[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437793B1 - 턱받이 - Google Patents

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793B1
KR102437793B1 KR1020220014093A KR20220014093A KR102437793B1 KR 102437793 B1 KR102437793 B1 KR 102437793B1 KR 1020220014093 A KR1020220014093 A KR 1020220014093A KR 20220014093 A KR20220014093 A KR 20220014093A KR 102437793 B1 KR102437793 B1 KR 102437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ing
bib
fastening
fastene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4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Original Assignee
이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재 filed Critical 이승재
Priority to KR1020220014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10Bibs
    • A41B13/106Bibs with fastening means for attachment to tray or 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어린이 등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침이나 음식물이 흘러 옷이나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목한 수용부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턱받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체에의 착용을 위한 착용수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착용부(110)와, 상기 착용부(110)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착용부(110)를 착용 시 신체의 앞면이 커버되도록 턱 아래에 대어주는 부분으로, 하단부 측면부에 일정한 너비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돌출부(123)를 구성하는 받침부(120)와, 상기 받침부(120)의 양측면의 상하로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서로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며, 서로 체결되었을 때, 상기 받침부(120)의 양측면이 오므려지는 모양이 되어 중앙부에 오목한 수용부(124)를 만드는 제1, 2 체결부(121)(122)와, 상기 받침부(120)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판부(200)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착용부(110)를 착용 시 식탁과 사용자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는 커버부(130)와, 상기 제1, 2 고정부(131)(132)는 커버부(100)의 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구성되며,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암수로 구성되어 상기 판부(200)를 상기 커버부(130)에 고정시키는 제1, 2 고정부(131)(132)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턱받이{BIB}
본 발명은 턱받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 어린이 등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침이나 음식물이 흘러 옷이나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목한 수용부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턱받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턱받이는 유아, 어린이, 장애인, 환자 등이 침 또는 콧물을 흘리거나 음식을 먹을 때 음식물이 흘러 내려서 옷이나 신체에 묻지 않도록 턱 아래의 가슴 앞에 위치시켜 대어주는 헝겊으로 만든 물건이다.
종래의 턱받이는 받침부의 상단에 체결 끈을 달고, 이러한 체결 끈을 유아나 어린이 등의 목 뒤로 묶어서 사용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유아용 턱받이는 유아의 입에서 떨어지는 음식물이나, 침 또는 콧물이 떨어져 옷에 묻는 것을 방지하였으나, 식탁 상면에 떨어지거나, 식탁과 유아의 사이 공간에 떨어지는 음식물을 받아 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1(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2229호)는 목 밴드와 허리 밴드로 구성되되, 얇은 플라스틱 시트로 된 턱받이 몸체의 하부에는 엎질러진 액체를 담기 위한 수용부를, 몸체의 상부에는 좌우 한 쌍의 연장부를 연장 설치하여 이의 사이에 턱받이를 유아의 목에 착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개재하고, 연장부의 양단에는 턱받이의 착용을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아용 턱받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1의 턱받이는 체결 끈의 묶음과 해제가 번거롭고, 턱받이를 유아나 어린이 등이 착용하게 되면 양팔의 움직임 등이 자유롭지 못하여 불편하며, 보관 및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특허문헌2(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9156호) 및 특허문헌3(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6170호)는 유아용 턱받이의 받침부가 유아용 식탁의 상면에 씌워져 고정되는 식탁 커버부를 구비하는 유아용 식탁 턱받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2, 3의 턱받이는 착용 시 유아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여, 유아가 식탁에 앉아 식기에 담아 있는 음식물을 섭취할 때 유아의 동작에 의해 식탁이 쓰러지거나 엎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식탁이 넘어지면서 식탁에 고정되어 있는 턱받이를 착용한 유아까지 함께 넘어지게 될 수 있어 유아의 신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2229호 (등록일자 2000.06.0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9156호 (등록일자 2019.05.0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6170호 (등록일자 2018.04.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유아, 어린이 등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침이나 음식물이 흘러 옷이나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목한 수용부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 턱받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팔 삽입형 형태로 유아에게 턱받이를 착용하기 용이하며, 턱받이를 유아나 어린이 등이 착용한 후 양팔의 움직임 등이 자유로운 턱받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턱받이와 결합되는 판부를 통해 식탁과 유아의 사이 공간에 떨어지는 음식물을 받아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판부의 구성을 통해 일반 아기의자가 아닌 모든 식탁 및 테이블에서 턱받이의 사용이 가능한 턱받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턱받이와 고정되어 있는 판부가 식탁과 분리되어 있어, 식사 중에 식탁이 쓰러지거나 엎어지는 경우에도 턱받이를 착용한 유아가 식탁과 함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턱받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턱받이와 결합되는 받침부를 통해 식탁과 유아의 사이 공간에 떨어지는 음식물을 받아낼 수 있으며, 식탁이 쓰러지거나 엎어지는 경우에도 턱받이가 식탁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 턱받이를 착용한 유아가 식탁과 함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턱받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 시에만 받침부에 구비된 버튼 결합으로 턱받이 앞에 오목한 수용부를 만들고, 미사용 시에는 받침부를 평평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편리하고, 특히 세척 및 건조에 용이한 턱받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턱받이의 특징은 신체에의 착용을 위한 착용수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착용부(110)와, 상기 착용부(110)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착용부(110)를 착용 시 신체의 앞면이 커버되도록 턱 아래에 대어주는 부분으로, 하단부 측면부에 일정한 너비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돌출부(123)를 구성하는 받침부(120)와, 상기 받침부(120)의 양측면의 상하로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서로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며, 서로 체결되었을 때, 상기 받침부(120)의 양측면이 오므려지는 모양이 되어 중앙부에 오목한 수용부(124)를 만드는 제1, 2 체결부(121)(122)와, 상기 받침부(120)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판부(200)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착용부(110)를 착용 시 식탁과 사용자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는 커버부(130)와, 상기 제1, 2 고정부(131)(132)는 커버부(100)의 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구성되며,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암수로 구성되어 상기 판부(200)를 상기 커버부(130)에 고정시키는 제1, 2 고정부(131)(13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착용부(110)는 사용자의 양팔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이 양측으로 절개되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2 체결부(121)(122) 중 하단에 위치하는 제2 체결부(122)는 상기 돌출부(123)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판부(200)는 상기 제1, 2 고정부(131)(132)와 결합되는 결합판부(220)와, 일정한 너비를 갖는 판 형태로 구성되어, 식탁 상부에 올려지는 식탁판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판부(220)는 상기 제1, 2 고정부(131)(132)와 결합할 수 있는 제1, 2 결합홈(221)(22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2 고정부(131)(132)는 상기 커버부(100)의 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구성되며,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암수로 구성되며, 상기 판부(200)의 결합판부(220)에 구성되는 제1, 2 결합홈(221)(222)에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하방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성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2 결합홈(221)(222)에 삽입되어 내측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2 고정부(131)(13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돌출부의 각 단부에 위치되고, 또 다른 하나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2 결합홈(221)(222)에 삽입되어 내측으로 감겼을 때, 마주 보이는 커버부(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턱받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유아, 어린이 등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침이나 음식물이 흘러 옷이나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오목한 수용부(와이드 포켓)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팔 삽입형 형태로 유아에게 턱받이를 착용하기 용이하며, 턱받이를 유아나 어린이 등이 착용한 후 양팔의 움직임 등이 자유로워 착용과 탈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셋째, 턱받이와 결합되는 판부를 통해 식탁과 유아의 사이 공간에 떨어지는 음식물을 받아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판부의 구성을 통해 일반 아기의자가 아닌 모든 식탁 및 테이블에서 턱받이의 사용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판부는 식탁이 아닌 받침부에 턱받이가 고정되어 있어, 식사 중에 식탁이 쓰러지거나 엎어지는 경우에도 턱받이를 착용한 유아가 식탁과 함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사용 시에만 받침부에 구비된 버튼 결합으로 턱받이 앞에 오목한 수용부를 만들고, 미사용 시에는 받침부를 평평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편리하고, 특히 세척 및 건조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 즉, 일반적으로 턱받이에 사용되는 방수원단은 기계세탁이나 건조기 사용이 제한된다. 따라서 손 세척 후 자연건조를 하게 되는데, 받침부에 수용부나 포켓의 형상이 있는 경우, 수용부나 포켓에 물이 고여 건조가 느려지게 된다. 이것은 곰팡이나 냄새의 원인이 되고, 제품의 수명뿐만 아니라 세균으로 인한 청결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a,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받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받이의 커버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서 커버부와 판부가 탈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부와 결합된 턱받이로서, 받침부에 수용부가 구현된 턱받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부와 결합되지 않은 턱받이로서, 받침부에 수용부가 구현된 턱받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턱받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a,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받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 1a는 턱받이의 정면부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1b는 턱받이의 후면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턱받이(100)는 착용부(110)와, 받침부(120)와, 커버부(130)와, 제1, 2 체결부(121)(122)와, 제1, 2 고정부(13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부(110)는 신체에의 착용을 위한 착용수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체결 수단(111)(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용부(110)는 사용자의 양팔이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후방이 양측으로 절개되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용부(110)는 사용자의 팔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긴팔 소매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부(110)의 후방은 양측이 절개되도록 형성되고, 절개된 체결 수단(111)(112)의 각 단부에 서로 탈부착이 가능한 부착부(111a)(112a)가 형성된다. 상기 부착부(111a)(112a)는 벌크로, 똑딱이 단추, 자석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착용부(110)는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긴팔 소매의 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팔의 상부 일부만을 덮는 반팔이나, 팔은 모두 오픈되고 어깨 일부에 걸쳐지는 형태인 민소매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착용부(110)는 사용자의 양팔이 삽입되는 팔 삽입형 형태가 아니라 사용자의 목에 감겨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 끈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단부에 서로 탈부착이 가능한 부착부(111a)(112a)의 구성이 필요없이, 상기 체결 끈을 서로 묶어서 사용자의 목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착용부(110)는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때, 상기 착용부(110)의 하방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받침부(120)가 사용자의 턱 아래부터 가슴 앞까지 포함하는 전면부에 위치되도록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걸쳐지기만 한다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착용부(110)의 하부에는 유아의 허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허리 고정벨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허리 고정벨트는 상기 착용부(11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120)는 상기 착용부(110)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착용부(110)를 착용 시 신체의 앞면이 커버되도록 턱 아래에 대어주는 부분으로 흘러내리는 침이나 음식물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상기 받침부(120)는 원형, 사각형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면의 상하로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서로 체결 가능한 제1, 2 체결부(121)(122)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2 체결부(121)(122)는 받침부(120)의 양측면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구성되며,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암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벌크로, 똑딱이 단추, 자석 등과 같은 체결 부재로 탈부착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체결부(121)(122)가 서로 체결되는 경우, 상기 받침부(120)는 양측면이 오므려지는 모양이 되어 중앙부에 오목한 수용부(124)가 만들어지게 된다. 상기 수용부(124)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침이나 음식물이 아래로 흘러내릴 때,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120)의 하측 단부에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지지력을 갖는 막대(bar) 또는 와이어 형태를 갖는 지지부(30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받침부(120)가 제1, 2 체결부(121)(122)의 체결에 의해 중앙부에 오목한 수용부(124)가 만들어질 때, 상기 받침부(120)의 하단부를 지지함으로써 오므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받침부(120)의 양측면이 오므려지면서 중앙부에 오목한 수용부(124)가 만들어질 때, 상기 받침부(120)의 하단부는 지지부(300)에 의해 양측면이 오므려지는 것을 지지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는 횡방향(양측단에서 중심방향)으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는 재질로서, 알루미늄, 합금, 크롬-몰리브덴 강철 등과 같은 금속이나, 플라스틱, 고무 및 실리콘 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120)는 하단 측면부에 일정한 너비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돌출부(123)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2 체결부(121)(122) 중 하단에 위치하는 제2 체결부(122)를 상기 돌출부(123)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122)가 상기 돌출부(123)에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 2 체결부(121)(122)가 서로 체결될 때, 상기 받침부(120)의 하단부가 중앙으로 더 많이 오므려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123)로 인해, 상기 제1, 2 체결부(121)(122)가 서로 체결되었을 때, 상기 받침부(120) 중앙부에 만들어지는 오목한 수용부(124)가 더욱 넓고 오목하게 만들어 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받침부(120)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착용부(110)를 착용 시 식탁과 사용자의 사이 공간에 대어주는 부분으로, 식탁과 사용자의 사이에 떨어지는 음식물을 받아낼 수 있는 부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턱받이의 커버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부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서 커버부와 판부가 탈부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상기 커버부(130)는 도 2,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하고 있는 판부(2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판부(200)는 상기 커버부(130)와 결합되어 식탁 상부에 올려질 수 있다. 상기 판부(200)는 일정한 너비를 갖는 판형으로 구성되며, 일정한 무게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부(200)는 음식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고, 세척이 용이한 고무매트 또는 실리콘매트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부(200)는 상기 커버부(130)의 결합을 통해, 음식물 등의 받이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며, 특히, 상기 판부(200)의 구성을 통해 일반 아기의자가 아닌 모든 식탁 및 테이블에서 턱받이(100)의 사용이 가능해지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130)는 하부에 제1, 2 고정부(131)(132)를 구성하고, 상기 판부(200)의 일측과 탈부착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판부(200)는 상기 제1, 2 고정부(131)(132)와 결합되는 결합판부(220)와, 일정한 너비를 갖는 판 형태로 구성되어, 식탁 상부에 올려지는 식탁판부(21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판부(220)는 상기 제1, 2 고정부(131)(132)와 결합할 수 있는 제1, 2 결합홈(221)(2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2 결합홈(221)(222)은 그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2 고정부(131)(132)의 고정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제1, 2 고정부(131)(132)는 커버부(100)의 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구성되며,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암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벌크로, 똑딱이 단추, 자석 등과 같은 체결부재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30)는 상기 판부(200)의 결합판부(220)에 구성되는 제1, 2 결합홈(221)(222)에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하방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성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2 결합홈(221)(222)에 삽입되어 내측으로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제1, 2 고정부(131)(13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돌출부의 각 단부에 위치되고, 또 다른 하나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2 결합홈(221)(222)에 삽입되어 내측으로 감겼을 때, 마주보이는 커버부(13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부(130)의 제1, 2 고정부(131)(132)는 상기 판부(200)의 제1, 2 결합홈(221)(222)과 서로 결합되며, 사용자가 식탁 앞 의자에 착석하면, 상기 받침부(120)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버부(130)가 식탁 위까지 펼쳐져서 식탁의 상판 위까지 커버할 수 있다. 이로써, 음식물이 식탁과 사용자의 사이 공간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용부(110), 받침부(120) 및 커버부(130)는 음식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고, 세척이 용이하도록 방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부와 결합된 턱받이로서, 받침부에 수용부가 구현된 턱받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턱받이(100)는 받침부(120)의 제1, 2 체결부(121)(122)가 서로 체결되고, 커버부(130)와 판부(200)가 서로 결합되고 있다.
상기 제1, 2 체결부(121)(122)의 체결로 인해, 하단에 위치하는 제2 체결부(122)가 상단에 위치하는 제1 체결부(121)의 높이고 올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받침부(120)의 하단부 측면이 위쪽으로 당겨지면서 중앙으로 오므려지게 되어 상기 받침부(120)의 중심부에 오목한 수용부(124)가 구성되게 된다. 상기 수용부(124)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침이나 음식물이 받침부(120)에서 옆으로 흘러내려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120)와 상기 수용부(124)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부(300)에 의해 상기 받침부(120)의 하단부 및 커버부(130)는 중앙으로 오므려지지 않고, 넓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판부(200)가 식탁의 상판에 놓이는 경우, 상기 커버부(130)의 제1, 2 고정부(131)(132)가 상기 판부(200)의 제1, 2 결합홈(221)(222)과 서로 결합되어 고정되면서, 상기 받침부(120)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버부(130)는 식탁 위까지 연장되어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기존 턱받이의 경우, 턱받이와 식탁 사이에 발생되는 공간까지, 커버부(130)를 통해 모두 커버되게 되어 식탁과 사용자 사이의 공간으로 떨어지는 음식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턱받이(100)는 판부(200)와만 고정되어 있을 뿐, 상기 판부(200)는 식탁 상부에 올려져 있을 뿐, 분리 가능함에 따라, 식탁이 쓰러지거나 엎어지는 경우에도 식탁이 아닌 판부(200)에 턱받이가 고정되어 있어 턱받이를 착용한 유아가 식탁과 함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부와 결합되지 않은 턱받이로서, 받침부에 수용부가 구현된 턱받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턱받이(100)는 받침부(120)의 제2 체결부(122)와 커버부(130)의 제1 고정부(131)가 서로 결합되고 있다. 이때, 상기 제2 체결부(122) 및 상기 제1 고정부(131)는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암수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체결부(122) 및 상기 제1 고정부(131)의 체결로 인해, 하단에 위치하는 제1 고정부(131)가 상단에 위치하는 제2 체결부(122)의 높이고 올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커버부(130)의 하단 측면부가 위쪽으로 당겨지면서 중앙으로 오목한 수용부(124)가 구성되게 된다. 상기 수용부(124)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침이나 음식물이 받침부(120)에서 옆으로 흘러내려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120)와 상기 수용부(124)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부(300)에 의해 상기 받침부(120)의 하단부 및 커버부(130)는 중앙으로 오므려지지 않고, 넓게 펼쳐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턱받이(100)는 판부(200)와의 결합 없이도 상기 제2 체결부(122) 및 상기 제1 고정부(131)의 체결을 통해, 받침부(120)에 떨어지는 침이나 음식물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부(124)의 구성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공개 문헌, 특허 출원, 특허 등을 포함하는 모든 문헌들은 각 인용 문헌이 개별적으로 및 구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내는 것 또는 게시된 실시예에서 전체적으로 병합하여 나타낸 것과 동일하게 개시된 실시예에 병합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해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참조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였으나, 특정 용어에 의해 개시된 실시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개시된 실시예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턱받이 110: 착용부
111, 112: 체결 수단 111a, 112a: 부착부
120: 받침부 121, 122: 제1, 2 체결부
123: 돌출부 124: 수용부
130: 커버부 131, 132: 제1, 2 고정부
200: 판부 210: 식탁판부
220: 결합판부 221, 222: 제1, 2 결합홈
300: 지지부

Claims (3)

  1. 신체에의 착용을 위한 착용수단을 구비하는 한 쌍의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착용부(110)와,
    상기 착용부(110)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사용자가 상기 착용부(110)를 착용 시 신체의 앞면이 커버되도록 턱 아래에 대어주는 부분으로, 하단부 측면부에 일정한 너비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돌출부(123)를 구성하는 받침부(120)와,
    상기 받침부(120)의 양측면의 상하로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서로 체결 가능하게 구성되며, 서로 체결되었을 때, 상기 받침부(120)의 양측면이 오므려지는 모양이 되어 중앙부에 오목한 수용부(124)를 만드는 제1, 2 체결부(121)(122)와,
    상기 받침부(120)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고, 판부(200)와 결합되어 사용자가 상기 착용부(110)를 착용 시 식탁과 사용자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는 커버부(130)와,
    상기 제1, 2 고정부(131)(132)는 커버부(100)의 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구성되며,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암수로 구성되어 상기 판부(200)를 상기 커버부(130)에 고정시키는 제1, 2 고정부(131)(13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122) 및 상기 제1 고정부(131)는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암수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체결부(122)와 상기 제1 고정부(131)의 체결로 인해, 하단에 위치하는 제1 고정부(131)가 상단에 위치하는 제2 체결부(122)의 높이고 올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커버부(130)의 하단 측면부가 위쪽으로 당겨지면서 중앙으로 오목한 수용부(124)를 만들어, 상기 판부(200)와의 결합 없이도 상기 제2 체결부(122) 및 상기 제1 고정부(131)의 체결을 통해, 받침부(120)에 떨어지는 침이나 음식물의 수용이 가능한 수용부(124)를 구성하는 턱받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체결부(121)(122) 중 하단에 위치하는 제2 체결부(122)는 상기 돌출부(123)에 위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받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고정부(131)(132)는
    상기 커버부(100)의 하단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구성되며,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암수로 구성되며,
    상기 판부(200)에 구성되는 제1, 2 결합홈(221)(222)에 각각 삽입 가능하도록 하방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성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2 결합홈(221)(222)에 삽입되어 내측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받이.
KR1020220014093A 2022-02-03 2022-02-03 턱받이 KR102437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093A KR102437793B1 (ko) 2022-02-03 2022-02-03 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4093A KR102437793B1 (ko) 2022-02-03 2022-02-03 턱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7793B1 true KR102437793B1 (ko) 2022-08-29

Family

ID=8311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4093A KR102437793B1 (ko) 2022-02-03 2022-02-03 턱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292B1 (ko) 2023-03-22 2023-11-24 조수양 의복 밀착형 턱받이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025U (ja) * 1991-06-05 1995-10-24 正行 敦賀 食事用エプロン
KR200192229Y1 (ko) 2000-02-03 2000-08-16 최기영 유아용 턱받이
JP2002507254A (ja) * 1997-06-27 2002-03-05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ポケット開口部を有するよだれ掛け
JP2002088533A (ja) * 2000-09-12 2002-03-27 Minoura:Kk エプロン
JP2005023476A (ja) * 2003-07-02 2005-01-27 Pigeon Corp エプロン
JP3139303U (ja) * 2007-11-28 2008-02-07 株式会社ビブサカモト 首掛けエプロン
US20110016599A1 (en) * 2009-07-25 2011-01-27 Versabib Llc Retained bib with attached wipe
KR20150056291A (ko) * 2013-11-15 2015-05-26 이영주 유아용 다기능 커버
KR200486170Y1 (ko) 2017-04-12 2018-04-10 배수연 식탁용 방수 턱받이
US20180271179A1 (en) * 2017-03-27 2018-09-27 Charlotte Louise Sellers Reusable baby bib device
KR200489156Y1 (ko) 2018-11-16 2019-05-10 최미경 유아용 식탁 턱받이
JP2020143418A (ja) * 2019-03-01 2020-09-10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エプロン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025U (ja) * 1991-06-05 1995-10-24 正行 敦賀 食事用エプロン
JP2002507254A (ja) * 1997-06-27 2002-03-05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改良されたポケット開口部を有するよだれ掛け
KR200192229Y1 (ko) 2000-02-03 2000-08-16 최기영 유아용 턱받이
JP2002088533A (ja) * 2000-09-12 2002-03-27 Minoura:Kk エプロン
JP2005023476A (ja) * 2003-07-02 2005-01-27 Pigeon Corp エプロン
JP3139303U (ja) * 2007-11-28 2008-02-07 株式会社ビブサカモト 首掛けエプロン
US20110016599A1 (en) * 2009-07-25 2011-01-27 Versabib Llc Retained bib with attached wipe
KR20150056291A (ko) * 2013-11-15 2015-05-26 이영주 유아용 다기능 커버
US20180271179A1 (en) * 2017-03-27 2018-09-27 Charlotte Louise Sellers Reusable baby bib device
KR200486170Y1 (ko) 2017-04-12 2018-04-10 배수연 식탁용 방수 턱받이
KR200489156Y1 (ko) 2018-11-16 2019-05-10 최미경 유아용 식탁 턱받이
JP2020143418A (ja) * 2019-03-01 2020-09-10 国立大学法人信州大学 エプロ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292B1 (ko) 2023-03-22 2023-11-24 조수양 의복 밀착형 턱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41487A1 (en) Multifunction infant carrier
JP7307283B2 (ja) 幼児用よだれ掛け
US20120074182A1 (en) Mother's helper baby sling
KR200483956Y1 (ko) 유아 식탁용 방수 턱받이
KR102437793B1 (ko) 턱받이
US20130205463A1 (en) Pillow bib
US20110010816A1 (en) Baby carry all smock
KR200486170Y1 (ko) 식탁용 방수 턱받이
US20190159525A1 (en) Bodysuit for easy change of diapers
KR101343101B1 (ko) 일회용 턱받이
US20140352021A1 (en) Clothing protector
US2005025730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tecting a child from spills
US9320304B1 (en) Food apron
KR101926150B1 (ko) 영유아 머리 보호용 어깨 패드
KR200485084Y1 (ko) 턱받이
KR101954212B1 (ko) 다용도 영유아 머리 보호용 어깨 패드
KR20110000528U (ko) 접이식 턱받이
JP3181018U (ja) 染みカット肩掛け兼用乳幼児エプロン。
KR20210084408A (ko) 유아용 턱받이
GB2334200A (en) Protective cape or bib with sealing collar
JP2020143418A (ja) エプロン
JP3244664U (ja) エプロン
JPH09299198A (ja) ウエストバッグ兼用ベビーホルダー
JP2008081874A (ja) エプロン。
US20060289592A1 (en) Infant care apr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