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434880B1 -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880B1
KR102434880B1 KR1020220017649A KR20220017649A KR102434880B1 KR 102434880 B1 KR102434880 B1 KR 102434880B1 KR 1020220017649 A KR1020220017649 A KR 1020220017649A KR 20220017649 A KR20220017649 A KR 20220017649A KR 102434880 B1 KR102434880 B1 KR 102434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sharing
video
user terminal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영
Original Assignee
김국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국영 filed Critical 김국영
Priority to KR1020220017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6Support for shared access to files; File sharing suppo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2Distributed file systems
    • G06F16/1834Distributed file systems implemented based on peer-to-peer networks, e.g. gnutell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8File system types
    • G06F16/188Virtual file systems
    • G06F16/192Implementing virtual folder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 G06F16/90332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전체검색 메뉴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및 파일공유 카테고리별로 검색결과가 추출되어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어를 전체검색 메뉴에서 입력하면,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및 파일공유 카테고리별로 제공하는 검색부, 위키백과 메뉴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문서가 작성, 편집 및 수정되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가 위키백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되도록 하는 위키백과부, 질문답변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질문을 업로드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답변이 등록되면 사용자 단말에서 베스트 답변을 선택하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에서 질문에 대한 답변을 검색하는 경우 질문을 검색어로 질문답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결과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되도록 하는 질문답변부, 동영상공유 메뉴를 제공하고 동영상이 동영상공유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 또는 검색되도록 하는 동영상공유부, 파일공유 메뉴를 제공하고 파일 또는 폴더의 생성, 편집 및 삭제의 툴을 제공하며, 폴더의 접근권한을 등록, 수정 및 삭제하도록 설정하는 파일공유부를 포함하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KNOWLEDGE SHARING SERVICE BASED ON MULTIMEDIA PLATFORM}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및 파일공유를 하나의 사이트에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기업의 경영 활동에 있어 조직원의 경험과 비결을 통하여 창조되고 구축될 수있는 암묵적 지식, 즉 경험 지식을 저장, 공유, 습득함으로써 문제 해결 능력을 높이는 지식공유 활동은 4차산업혁명 시대에 다시금 새로운 핵심 키워드로 자리 잡고 있다. 비즈니스의 국제화, 시스템화, 자동화, 디지털화에 따라 4차 산업 시대의 핵심 인재는 지식 근로자로 변화되고 있으며 홍수처럼 쏟아지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지식을 공유하는 것은 지식의 자기 증식성으로 인해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의 원천이 되고 있다. 경제적 부의 원천이 토지, 기계, 설비, 하드웨어 자산인 유형자산(Tangible Assets)에서 기업의 핵심 역량을 창출하는 아이디어나 소프트웨어 같은 무형자산(Intangible Assets)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가치 있는 지식의 확보와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의 확보가 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주요한 요인임을 시사한다.
이때, 지식을 공유하기 위하여 질문답변방식이나 동영상을 이용한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0-0079620호(2010년07월08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0-0039585호(2010년04월16일 공개)에는, 지식공유사이트에서 전달받을 질문의 카테고리 및 키워드가 설정되면, 커뮤니티사이트를 통하여 질문을 입력받고, 답변을 제공할 때 카테고리 및 키워드가 일치하면 지식공유사이트로 연동되는 구성과, 동영상을 이용하여 지식공유를 하기 위하여 답변요청 질문의 초기가격을 등록하면, 답변자가 답변 동영상을 제작하고 답변 요청 질문에 관련된 광고 동영상이 선택되어 답변 동영상과 함께 업로드되고, 질문자는 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중 전자의 경우 질문답변사이트와 커뮤니티사이트를 단순히 연동시키는 것 이상의 의미가 없어 인스턴트 메신저가 활성화되지 않은 환경에서 커뮤니티사이트를 통하여 알람을 받는 구성에 지나지 않고, 후자의 경우에도 질의응답을 동영상 방식으로 변경한 것일 뿐 통합적인 플랫폼을 구성하고 있지 않다. 이에, 지식공유를 위한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파일 공유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하나의 플랫폼에 통합시켜 통합적인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통합검색,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파일공유 서비스를 하나의 사이트에서 제공할 수 있고, 검색결과를 본 발명의 통합플랫폼에서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플랫폼을 방문하지 않고도 검색결과를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파일 또는 폴더명과 검색어가 일치하는 경우 파일 및 폴더를 검색해주며, 각 멀티미디어 콘텐츠별로 고유코드를 부여하여 고유코드를 선택하거나 입력하는 경우 고유코드와 매핑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이동되도록 하고, 동영상 내 장면을 묘사하는 검색어가 입력된 경우 동영상 내 장면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검출하여 장면 검색도 가능한,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체검색 메뉴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및 파일공유 카테고리별로 검색결과가 추출되어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어를 전체검색 메뉴에서 입력하면,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및 파일공유 카테고리별로 제공하는 검색부, 위키백과 메뉴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문서가 작성, 편집 및 수정되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가 위키백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되도록 하는 위키백과부, 질문답변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질문을 업로드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답변이 등록되면 사용자 단말에서 베스트 답변을 선택하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에서 질문에 대한 답변을 검색하는 경우 질문을 검색어로 질문답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결과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되도록 하는 질문답변부, 동영상공유 메뉴를 제공하고 동영상이 동영상공유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 또는 검색되도록 하는 동영상공유부, 파일공유 메뉴를 제공하고 파일 또는 폴더의 생성, 편집 및 삭제의 툴을 제공하며, 폴더의 접근권한을 등록, 수정 및 삭제하도록 설정하는 파일공유부를 포함하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통합검색,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파일공유 서비스를 하나의 사이트에서 제공할 수 있고, 검색결과를 본 발명의 통합플랫폼에서 제공함으로써 각각의 플랫폼을 방문하지 않고도 검색결과를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파일 또는 폴더명과 검색어가 일치하는 경우 파일 및 폴더를 검색해주며, 각 멀티미디어 콘텐츠별로 고유코드를 부여하여 고유코드를 선택하거나 입력하는 경우 고유코드와 매핑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이동되도록 하고, 동영상 내 장면을 묘사하는 검색어가 입력된 경우 동영상 내 장면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검출하여 장면 검색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검색어를 입력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검색될 자료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기 설정된 보상 체계에 맞는 포인트나 리워드를 받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0)은, 공유될 콘텐츠의 공개범위에 대응하는 직급이나 조직 내에 포함된 경우 공유될 콘텐츠에 대한 엑세스권을 부여받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일반 사용자의 단말일 수도 있지만, 회사나 조직 내에 소속되어 사내 지식공유 플랫폼을 이용하는 직원의 단말일 수도 있다. 다만, 두 가지 주체에 대해 공개범위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모두 동일한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으므로 그 주체에 대해서 한정하거나 제한하지 않도록 한다. 물론, 공개범위의 기능을 일반 사용자도 사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고 일반 사용자에게 이 기능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검색메뉴, 위키백과메뉴, 질문답변메뉴, 동영상공유메뉴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각의 메뉴별 데이터베이스를 별도로 구축할 수도 있으나 통합하여 구축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검색결과에 대한 연관태그를 제공하고, 각 연관태그가 조회 또는 검색된 횟수를 함께 표시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터 단말(미도시)로부터 검색 로그를 수집하고, 검색의 시작점부터 종료점을 지정받은 후, 검색어 뭉치가 나타나는 연쇄검색에 대해 검색과정에 대한 맵(Map)을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 맵이 구축되는 경우, 이후 동일한 검색어를 넣는 사용자에게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다른 사람들은 어떠한 검색어를 통하여 어떠한 결과를 받아보았는지를 마인드맵(MindMap)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어에 빠르게 도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동영상공유, 위키백과 및 질문답변 메뉴를 제공하고, 통합검색을 제공할 때 멀티플랫폼의 검색결과를 가져와 멀티플랫폼별로 나누어 보여주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멀티플랫폼은 예를 들어, 구글, 네이버, 유튜브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은,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위키백과를 만들어가는 참여자의 단말일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도 위키백과를 만드는 참여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검색부(310), 질문답변부(320), 동영상공유부(330), 위키백과부(340), 설정부(350), 연관태그부(360), 대상한정부(370), 표시부(380), 북마크부(390), 검색로그분석부(391), 자동교정부(393), 파일공유부(394), 코드설정부(395), 인공지능검색부(396), 요청부(397), 저작권침해방지부(39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로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은,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검색부(310)는, 검색 메뉴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별로 검색결과를 분류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검색 메뉴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가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으로부터 추출되어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별로 나누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플랫폼이 네이버의 지식IN, 위키백과, 유튜브라고 가정하면, 검색어에 대한 검색결과를 각각의 플랫폼별로, 즉, 지식IN, 위키백과, 유튜브별로 나누어 보여줄 수 있다.
질문답변부(320)는, 질문답변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질문을 업로드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답변이 등록되면 사용자 단말(100)에서 베스트 답변을 선택하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100)에서 질문에 대한 답변을 검색하는 경우 질문을 검색어로 질문답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결과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질문답변 메뉴에서 질문을 업로드하거나 질문에 대한 답변을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동영상공유부(330)는, 동영상공유 메뉴를 제공하고 동영상이 동영상공유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 또는 검색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동영상공유 메뉴에서 동영상을 업로드하거나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동영상공유부(330)는,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동영상(콘텐츠)을 찾기 위하여 사전 및 규칙으로 추출된 메타 태그와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메타 태그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더욱 부합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미디어 콘텐츠 검색 질의 분석기를 이용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질의 분석기는, 첫 번째로, 입력 문장에서 키워드 추출 및 키워드에 대한 메타 유형 분류를 하고, 두 번째로, 추출된 키워드와 가장 유사한 메타 태그 검색을 하며, 세 번째로 사전 및 규칙으로 추출된 메타 태그와 추가적으로 추출한 메타 태그에 대한 지능적인 병합을 수행하는 3 가지 단계를 거쳐 사전 및 규칙으로 정의되지 않은 메타 태그도 해석하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검색은 입력 문장에서 콘텐츠에 메타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메타 정보는 장르, 출연자, 감성 등 메타 유형들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메타 유형은 예를 들어, <장르:드라마>, <출연자:공유>, <감성:감동적인> 같이 메타 태그들에 대한 집합이다.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자유롭게 입력하기에, 어휘가 변형된 메타 태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성:감동적인> 메타 태그는 “감동스러운”, “감동을 느끼는”, “감동의” 어휘들과 같이 형태적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감명적인”, “감격적인”과 같이 유의어로 입력될 수 있다. 변형된 어휘들은 메타 태그로 인식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해당되는 콘텐츠가 없을 수 있어, 메타 태그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입력 문장에서 키워드 추출 및 키워드에 대한 메타 유형 분류는 개체명 인식 같이 입력된 어휘들마다 라벨을 정하는 Sequence Labeling 문제다. 최근 개체명 인식 task는 Pretrained Language Model 중 RoBERTa를 사용한 모델들이 좋은 성능을 보이고 있고, RoBERTa의 출력을 LSTM Layer, CRF Layer를 통해 개체명 인식 한모델이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콘텐츠는 메타 태그에 대한 정보들로 정의되어 있어, 키워드를 사용하여 검색할 시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추출된 키워드와 가장 유사한 콘텐츠의 메타 태그 검색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사전을 구축하여 동의어, 유의어에 대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한 연구와 신경망 모델을 이용하여 단어와 관련 문서를 연결하는 개체명 연결하기 위하여, 자연어 문장과 유의어 문장 쌍을 구축하는 등 방법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방법들은 대량의 데이터가 요구된다. 또, 매일 새로운 어휘들이 추가되고 있어 이를 동의어 및 유의어 사전을 구축하는 것은 매우 많은 비용이 요구되며, 신경망 모델을 사용할 시 모델을 학습할 시간이 필요하기에, 새로운 메타 태그를 즉시 적용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이브리드 미디어 콘텐츠 검색 질의 분석기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사전과 규칙으로 메타 정보를 추출하는 것과 딥러닝을 사용하여 사전과 규칙으로 추출하지 못한 메타 태그를 추출하여 보다 사용자 의도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사전과 규칙을 이용한 메타 정보 추출은 수작업으로 구축한 사전과 규칙에 정의된 메타 태그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사전과 규칙은 형태소 정보를 사용하기에, 입력된 문장에 대하여 형태소 분석을 진행한 후 사전 및 패턴에 정의된 메타 태그 정보들을 추출할 수 있다. 사전 및 규칙은 학습 과정 없이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새로운 메타 태그를 즉시 해석할 수 있도록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에 사전 및 규칙만으로 잘 해석되던 입력에 대한 해석 품질을 유지 할 수 있다.
입력 문장에서 키워드 추출 및 키워드에 대한 메타 유형 분류는 각 어휘에 대하여 NONE 태그를 포함한 키워드 종류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추출한 키워드의 범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IOB Tag를 사용하여 태그를 분류한다. 개체명 인식에서 사용된 방법을 이용할 수 있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RoBERTa의 결과에 LSTM Layer와 CRF Layer를 추가한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형태소 분석 정보, 키워드 사전 및 패턴을 통해 추출된 유의미한 정보들을 LSTM Layer에 추가적인 입력으로 사용한다. 추출된 키워드와 가장 유사한 콘텐츠의 메타 태그를 검색하기 위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구축하지 않고 유의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어휘, 부분 문자열 같은 키워드와 메타 태그의 형태적 정보를 이용한 방법과 BM25 스코어를 이용한 어휘에 대한 가중치 정보를 사용하는 메타 태그 검색기를 구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전 및 규칙으로 추출된 메타 태그와 추가적으로 추출한 메타 태그에 대한 지능적인 병합은 규칙을 생성하여 해결할 수 있다. 병합 규칙은 사전 및 패턴 기반 키워드와 딥러닝 키워드 간 모호성 해소, 키워드에 대한 노이즈 제거, <장르:로맨스> <장르:코미디>를 <장르:로맨스코미디> 와 같이 상위 키워드로 변환 등 키워드를 고도화할 수 있는 규칙이다. 병합된 키워드를 사용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쿼리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동스러운 로맨스 드라마"라는 입력에 대하여 메타 태그를 추출 후 쿼리를 생성하는 경우, "감동스러운 로맨스 드라마" 입력에 대하여 사전 및 패턴 기반 메타 태그 추출은 <장르:로맨스> <콘텐츠:드라마> 메타 태그를 추출한다. LSTM Layer는 RoBERTa를 결과인 단어 Vector, 형태소 분석 정보, 사전 및 패턴을 이용한 메타 태그 정보를 받아 계산 후 CRF Layer에 전달한다. CRF Layer는 LSTM Layer에서 계산한 값을 입력으로 사전 및 패턴에서 인식하지 못한 <감성:감동스러운>을 추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감성:감동스러운>은 메타 태그 검색 결과 <감성:감동적인>이 가장 유사하여 해당 메타 태그로 치환될 수 있고, 사전 및 패턴 기반 키워드들과 병합 후 미디어 콘텐츠를 검색하는 쿼리를 생성할 수 있다.
위키백과부(340)는, 위키백과 메뉴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문서가 작성, 편집 및 수정되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가 위키백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되도록 할 수 있다.
설정부(350)는, 접근권한 그룹을 설정하고, 접근권한 그룹별 부서를 지정하며,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업로드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보상을 포인트로 지정할 수 있다.
연관태그부(36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되는 검색어에 대한 연관태그를 추출하여 검색결과를 포함하는 화면에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연관태그부(360)는, 연관태그를 추출하여 출력할 때, 연관태그가 검색된 횟수를 연관태그와 함께 출력하고, 연관태그를 가나다순 및 최신순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필터에 의해 정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연관태그는 이하의 질의 확장의 개념으로, 연관 검색어의 키워드이다.
정보 검색 분야에서 검색어 추천 또는 제안은 대부분 질의 확장(Query Expansion)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질의 확장은 이용자의 초기 질의를 정련하기 위한 기법으로, 이용자의 질의에 검색어나 구를 추가함으로써 실행되며, 검색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되거나, 이용자에 의해서 적합성 피드백의 형태로 수작업으로 실행된다. 전통적인 질의 확장 기법은 대개 문서 내의 출현 단어의 분석에 기반하는데 비해, 웹 검색 분야에서의 검색어 추천 기법은 문서 내 출현 단어뿐만 아니라, 질의에 대한 검색 결과 중 이용자들이 많이 조회한 결과와 같은 다양한 요소들에 근거하여 연관 검색어들을 추출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웹 검색 엔진의 질의 로그로부터 적합한 검색어를 추출하고 제안하는 방식은, 특정 질의가 검색된 세션 내에서 함께 등장한 검색어들을 연관 검색어로 추천하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전문 검색 엔진인 경우, 특정 분야의 질의 로그를 대상으로 특정한 세션 내에서 이용자가 연속하여 입력하는 검색어들을 연관 검색어 후보군으로 추출한 후, 이 후보군에 포함된 검색어들 중 내용상 유사도가 높은 검색어들을 연관 검색어로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이용자들이 특정 질의 입력 후 조회한 문서의 미리보기(Snippet)에 등장한 단어들을 연관 검색어로 추천하는 알고리즘(Snippet Click Models)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수집된 검색어들 간의 상호 연관성을 찾기 위해 변형된 Apriori 알고리즘(연관분석)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이 일정 횟수 이상 검색된 라지 셋(Large Set) 검색어 뿐만 아니라, 일정 횟수 이하로 검색되는 검색어들인 스몰 셋(Small Set)의 연관 법칙을 찾기 위한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질의 확장을 지원하기 위하여 검색 엔진 이용자가 방문하는 웹 문서로부터 추출된 용어들을 연관 검색어로 추천하고, 이렇게 수집된 검색어들의 유용성의 순위를 정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키워드 간의 연관성을 추출하기 위한 방식으로 변형된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고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대상한정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문서가 업로드될 때, 전사 공개(L1), 부문 공개(L2), 본부 공개(L3), 팀 공개(L4), 파트 공개(L5) 및 담당 공개(L6)을 포함하는 전사조직 내 공개 대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어느 한 기업이나 조직에 있어서 공개해야 할 대상을 한정해야 할 때 사용하는 기능일 수 있다. 물론, 개인이 사용한다고 할지라도 대상을 한정할 수 있는 것을 배제하지 않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표시부(380)는, 검색 메뉴에서 검색결과를 제공할 때, 링크, 제목, 작성일 및 키워드 관련 본문의 2 라인을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38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결과를 클릭 또는 터치하여 선택했을 때, 해당 페이지로 넘어가 이 화면을 보여주게 되는데, 항상 화면은 상단부터 나오게 되므로 첫 번째 페이지부터 사용자는 열심히 검색어를 찾게 된다. 링크의 페이지가 짧으면 바로 찾을 수 있겠지만, 하나의 페이지가 길어서 한참을 스크롤해야 하거나, 문서 파일이어서 첫 번째 페이지부터 찾아보거나, Ctrl+F를 눌러 찾아 사용자 자신이 찾는 데이터가 맞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더 해야 한다. 이에 따라, 표시부(380)는, 검색어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바로 스크롤 다운 또는 스크롤 업이나, 페이지 다운/업 등의 기능을 이용하고, 검색어 부분을 하이라이트 처리하여 링크로 넘어가자마자 바로 보여줌으로써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The Lord of the Rings: The Two Towers music analysis"라는 검색어를 입력했고, 형식은 .pdf로 검색했다. 이때, 다수의 .pdf 링크가 검색결과로 출력되는데, 사용자는 각각의 pdf 파일을 열어보고 여기에서 "The Lord of the Rings: The Two Towers"라는 키워드를 찾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만약 1 개의 문서만 찾고 끝나는 일이라면 크게 불편하지 않겠지만, 학회지에 제출할 논문을 작성하기 위한 과정 중 하나로 조사과정이라면 적어도 수 십 내지 수 백 번의 클릭 및 키워드 검색을 반복해야 한다. 이를 넣어서 찾는다고 할지라도 자신이 원하는 자료가 아닐 수도 있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이 상당히 허비된다. 이에 따라, 검색결과 화면에 키워드가 들어간 본문 2 줄 영역에 마우스 오버(Mouse Over)를 하는 경우, Ctrl+F로 찾은 키워드가 포함된 페이지를 검색결과 페이지에 오버레이(Overlay)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pdf를 열어보고 찾는 과정을 반복하지 않아도 되도록 할 수 있다. 한 페이지에서 검색결과의 링크로 넘어가지 않아도 된다면 네트워킹 자원이 부족하여 딜레이가 발생하거나, 컴퓨팅 자원이 부족하여 지연이 되는 상황에서도 빠르고 쉽게 검색활동을 마칠 수 있다.
북마크부(39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북마크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결과를, 검색, 질문답변, 동영상 및 위키백과로 각각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검색로그분석부(391)는, 적어도 하나의 테스터 단말(미도시)로부터 검색의 시작점과 종료점을 표시하도록 하고, 검색의 시작점과 종료점까지 입력한 시계열적인 검색어 덩어리인 검색어 클러스터를 입력받고, 검색어가 하나만 입력되는 단일 검색과,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 클러스터를 발생시키는 연쇄 검색을 구분하며, 연쇄 검색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검색어 클러스터를 카테고리 태그, 네비게이션 태그 및 인스턴스(Instance) 태그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4의 및 이하 표 1을 참조하면, 검색은 정확한 검색어를 넣어 한 번에 종료되는 단일 검색과, 검색어를 정교화하거나 관심사를 정교화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는 연쇄 검색이 있다.
구분 내용 예시
단일검색 일련의 검색과정에서 하나의 검색어만 발생 #오리엔탈카사블랑카
연쇄검색:
검색어 클러스터 발생
검색어정교화 맞춤법이나 형태 교정 #까사블랑카->#카사블랑카
관심사정교화 주제의 심화 또는 이동 #크고흰백합->#크고흰백합품종->#오리엔탈품종->#오리엔탈카사블랑카
예를 들어, 퇴근길에 크고 흰 백합을 본 사용자 A는 봄을 맞아 백합 구근을 사려고 한다. 그런데, 사용자 A는 막상 크고 흰 백합의 명칭이나 품종을 모른다. 이때, 사용자 A는 "크고 흰 백합"이라는 검색어로 검색을 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A는 지나가다 본 백합이므로 본 것을 기반으로 이미지 검색 탭으로 이동하여 찾다가 유사한 이미지를 올려놓은 블로그를 발견한다. 그리고 사용자 A는 블로그로 이동하여 보지만 예쁘다는 말만 잔뜩 써있고 정작 품종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다시, 사용자 A는 자신이 품종이라는 키워드(검색어)를 기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닫고 "크고 흰 백합 품종"이라고 검색해본다.
이때, 검색결과에 오리엔탈 백합이 크고 향기가 좋다는 것을 보고, 다시 "오리엔탈 백합 종류"라고 검색해본다. 그때서야 Lily/Lower Classifications 탭에 각종 품종과 이름이 기재된 검색결과가 나온다. 이때, 다시 검색결과를 이미지 탭으로 바꾸어 자신이 본 것과 비슷한 이미지의 백합을 찾는다. 이미지가 있는 링크를 클릭했더니 자신이 본 이미지는 바로 나오지 않았고 본 이미지를 보기 위해서 스크롤을 내리는데 마우스 볼을 10 번 넘게 굴리고 나서야 나온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오리엔탈계: 카사블랑카]라는 결과를 얻게 된다. 이 과정에서 검색 로그는 [크고 흰 백합(시작점)->크고 흰 백합 품종->오리엔탈 백합 종류->오리엔탈계: 카사블랑카(종료점)]이 되는데, 초기에는 카테고리 태그인 [크고 흰 백합], 네비게이션 태그는 [크고 흰 백합 품종->오리엔탈 백합 종류], 인스턴스 태그는 [오리엔탈계: 카사블랑카] 이다.
이때, 이러한 로그를 수집하여 분석한 후 데이터마이닝을 거쳐 클러스터링을 하게 되는 경우, 이후에 사용자 B가 [크고 흰 백합]이라는 검색어를 넣으면, 이 과정을 마인드맵과 같이 보여주고, 그 결과도 바로 [오리엔탈계: 카사블랑카]가 포함된 링크를 보여줄 수 있다. 초기에는 다수의 참여자나 베타테스터를 모집하여 이러한 검색 로그를 일일이 참여자와 테스터가 지정하고, 라벨링하는 과정을 거쳐 학습할 데이터셋을 만들어야 하지만, 어느 정도 인공지능 모델이 구축이 된 경우에는 이후 본 발명의 사이트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검색 로그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재학습에 이용될 데이터셋으로 만들 수 있다.
이때,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질의로 입력되는 식별자나 자연어를 분석하고, 그 안에 숨겨진 정보를 발굴해 내기 위해 대용량 언어자원과 통계적, 규칙적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 분석(Cluster Analysis)은, 비슷한 특성을 가진 객체를 합쳐가면서 최종적으로 유사 특성의 그룹을 발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룹을 군집분석을 통하여 분류할 수 있도록 하고,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후 신규 검색어가 입력된 경우, 신규 검색어에 따른 객체를 분류해낼 수 있다.
이때, 검색어 클러스터(뭉치)는, 테스터나 참여자, 또 사용자가 스스로 표시한 일련의 검색어 덩어리일 수 있다. 이로부터 검색 행동이 시작하고 종료되는 시점까지 검색어가 하나만 나타나는 단일 검색과 여러개의 검색어 뭉치를 발생 시키는 연쇄 검색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연쇄 검색에서는 맞춤법이나 검색어의 형태를 교정하는 검색어 정교화와 주제의 심화나 이동이 나타나는 관심사 정교화로 분류할 수 있다. 연쇄 검색에서 사용된 검색어를 ‘범주적 속성-세부적 속성’의 축에 따라 스코어링을 통해 속성을 분류한 결과, 도 4의 (b)와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테리어나 #미술관과 같이 범주적 속성이 큰 것들은 카테고리 태그로 분류할 수 있고, #코듀로이 팬츠, #양털이불과 같이 세부적 속성이 큰 것들은 인스턴스 태그로 분류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태그는 두 개 이상의 단어의 조어로 구성된 태그로 카테고리 태그와 인스턴스 태그의 중간적 역할을 하는 태그이다. 예를 들어, 도 4의 (c)와 같이 카테고리 태그로 시작하는 검색의 경우, 예를 들어, #fashion, #유행과 같은 높은 범주의 태그에서부터 네비게이션 태그, 인스턴스 태그로 옮겨가며 순차적인 구체화가 나타난다. 반면, 네비게이션 태그로 시작하는 유형의 경우에는, 처음부터 #ootd, #데일리룩과 같은 네비게이션 태그로 시작하여 네비게이션 태그와 인스턴스 태그를 오가며 최종 인스턴스 태그에 도달할 수 있다. 또 두 가지 유형 모두에서 네비게이션 태그의 검색어 정교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자동교정부(393)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연쇄 검색을 시작하는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 연쇄 검색의 종료점에 포함된 검색어의 검색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파일공유부(394)는, 파일공유 메뉴를 제공하고 파일 또는 폴더의 생성, 편집 및 삭제의 툴을 제공하며, 폴더의 접근권한을 등록, 수정 및 삭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파일공유부(394)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파일공유를 하면서 파일공유일(Day)수를 입력한 경우, 파일 공유코드를 생성하여 파일공유일수 및 파일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파일 공유코드가 입력된 경우, 파일 공유 완료로 처리할 수 있다. 파일공유부(394)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입력한 검색어와 동일한 파일명 또는 폴더명을 포함하는 파일 또는 폴더를, 전체검색 메뉴의 검색결과를 제공할 때 파일공유 카테고리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코드설정부(395)는,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및 파일공유에 업로드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고유코드를 부여하여 매핑하여 저장하고, 고유코드가 선택되는 경우, 고유코드와 매핑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이동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인공지능검색부(396)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검색어가 포함된 동영상의 장면을 추출하고, 동영상공유 메뉴의 검색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 인공지능 분야에서 동영상 및 이미지를 이용하는 시각 분야(Vision)와, 자연어 처리 분야를 결합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동영상/이미지 질의응답, 동영상/이미지 자막 생성, 동영상 검색, 동영상 행동 인식, 동영상 장면 검색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그 중 동영상 장면 검색은 어떠한 장면에 대한 묘사를 입력(Query) 값으로 하여, 동영상 내에서 그 묘사에 해당하는 장면의 시간적 위치를 찾는 분야로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영상 검색과 동영상 장면 검색을 결합한 동영상 그룹 내 장면 검색이 가능한 모델을 이용하기로 한다. 한 개의 동영상 내의 특정 장면에 대한 묘사가 검색어로 주어지면, 그 묘사에 대한 내용이 들어있는 동영상을 찾고, 이후 해당 동영상 내에서 묘사에 해당하는 시간적 위치를 구체화한다. 주어진 장면에 대한 정답과 오답간의 비교를 통해 학습하는 대조 학습을 이용하여 학습의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동영상 검색>
동영상 검색은 동영상 및 해당 묘사의 집단 단위로 학습이 진행된다. B개의 동영상과 해당하는 B개의 장면 묘사가 주어진다. 이때 각 동영상과 각 장면 묘사 사이의 유사성을 점수로 측정한다. 매칭되는 동영상과 묘사의 유사성 점수는 높아지도록, 매칭되지 않는 동영상과 묘사의 유사성 점수는 낮아지도록 학습이 진행된다. 단순히 정답을 찾는 것이 아닌 매칭되는 쌍과 매칭되지 않는 쌍을 비교함으로써 모델은 보다 정확한 표현을 학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Contrastive Loss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Contrastive 학습(Learning)이란 현재의 이미지와 매칭이 되는 이미지의 특징 벡터를 가깝게, 현재 이미지와 다른 데이터에 대해서는 특징 벡터가 멀어지도록 학습하는 것을 의미한다.
<동영상 장면 검색>
동영상 장면 검색은 동영상 내에서 몇 개의 후보 장면을 만든다. 각 후보 장면은 짧은 길이의 장면부터 긴 길이의 장면까지 다양하게 만들어 진다. 이후 각 장면과 주어진 묘사 사이의 유사성을 점수로 측정하고, 해당하는 묘사에 해당하는 장면의 유사성 점수가 높아지도록 학습이 진행된다.
<동영상 그룹 내 장면 검색>
동영상과 해당되는 묘사가 정답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동영상 그룹 내 장면 검색은 학습시에는 적용 되지 않으며 추론시에만 적용이 된다. 묘사와 각 동영상 간의 유사성 점수를 측정함과 동시에 각 동영상 내에서 장면 후보군을 만들고, 각 후보군과 동영상과의 유사성 점수를 측정한다. 이후 각 장면의 최종 유사성 점수는 동영상 유사성 점수와 장면 유사성 점수의 곱으로 계산이 된다. 각 동영상은 미리 학습된 ResNet과 SlowFast를 이용하여 프레임 단위로 특징이 추출될 수 있다. N 개의 프레임을 갖는 동영상은 D 차원 벡터 N 개로 구성이 된다. 장면에 대한 묘사는 각 단어를 입력값으로 하는 LSTM(Long Short-Term Memory)을 통하여 D 차원의 쿼리벡터(Query Vector)로 구성된다.
Figure 112022015198114-pat00001
각 프레임과 묘사와의 유사성 점수는 수학식 2과 같이 프레임 벡터와 쿼리 벡터간의 곱으로 계산이 되며, 동영상 V의 유사성 점수 Sv 및 후보군 P의 유사성 점수 Sp는 수학식 3 및 수학식 4와 같이 해당 프레임들의 유사성 점수의 평균으로 계산이 된다.
Figure 112022015198114-pat00002
Figure 112022015198114-pat00003
Figure 112022015198114-pat00004
후보군 P의 ps는 후보군의 시작 프레임 위치이며, pe는 후보군의 마지막 프레임의 위치를 나타낸다. 동영상 검색의 경우 여러 개의 동영상 중에서 Sv가 높은 순으로 정답으로 선출이 되며, 동영상 장면 검색의 경우 동일한 동영상 내에서의 여러 개의 후보군 중에서 Sp가 높은 순으로 정답으로 선출이 된다. 동영상 그룹 내 장면 검색의 경우 여러 개의 동영상 및 각 동영상의 후보군들 중에서 정답이 선출되며, 수학식 5에서와 같이 동영상 유사성 점수와, 후보군 유사성 점수와의 곱으로 계산된다.
Figure 112022015198114-pat00005
최종적인 유사성 점수 Svp를 통해 선출된 후보군과 정답과의 IoU을 계산하여, 기준 이상일 경우 올바른 정답을 예측한 것으로 계산된다. 모델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동영상 장면 검색 데이터셋은 DiDeMo 벤치마크 데이터셋을 이용할 수 있으며, 각 성능을 측정함에 있어서 예측된 장면과 정답 장면과의 IoU가 X가 넘을 경우 정답을 예측한 것으로 계산될 수 있다. 또한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N순위 내에 들었을 경우 정답으로 측정될 수 있다.
요청부(397)는, 사용자 단말(100)의 교육수준을 입력받고, 질문답변 메뉴에서 질문에 대한 답변의 이독성(Readability) 지수를 측정하고, 답변의 이독성 지수가 사용자 단말(100)의 교육수준에 대응하는 지수를 초과한 경우, 답변을 제공한 참여자 단말로 재작성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이독성 지수를 측정할 때, Dale-Chall의 이독성 공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독성 공식은 공통적으로 의미적 변수(Semantic Variable)와 통사적 변수(Syntactic Variable)로 구성되는데, 전자는 어휘 차원의 변수로 어휘의 길이나 난이도로 측정하며 후자는 문장 차원의 변수로 대부분 문장 길이로 측정한다. 한국어 텍스트의 이독성 공식은 어휘 차원의 변수로 어휘의 난이도만을 고려하는데, 어휘의 길이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언어 특성상 한자의 영향을 받아 길이가 짧아도 어려운 어휘일 수 있어 이독성을 왜곡시킬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문장의 길이와 어려운 어휘를 바탕으로 텍스트의 난이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공식으로 Dale-Chall 공식이 있다. 문서 d에 대한 Dale-Chall의 이독성 공식 R(d)는 이하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112022015198114-pat00006
수학식 6에서 words는 주어진 문서에서 사용된 단어 수, difficult words는 어려운 단어 수, sentences는 문서에서 사용된 문장의 수이다. 수학식 6의 우변에서 앞부분은 어려운 단어의 비율을 의미하며 뒷부분은 문장 길이를 정의한 것으로 문장당 사용된 단어 수이다. 질문답변의 답변글의 이독성 비교를 위하여 어휘 요인과 문장 요인을 고르게 반영하고 있으면서 타당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진 Dale-Chall 공식을 이용하기로 한다.
한국어 텍스트에 Dale-Chall 공식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단어의 수와 어려운 단어를 파악하기 위한 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주어진 문서가 몇 개의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문장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웹에서 작성된 문서들은 비문이거나 문법적 오류가 많아 단순히 마침표나 물음표와 같은 문장부호 기준으로 문장을 구분할 수 없다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문장 구분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전처리 과정이 요구된다. 여기서 불용어(Stopwords)를 제거하거나 형태소를 분석하여 토큰화(Tokenization)를 하거나 품사 태깅을 하는 작업은 NLP(Natural Language Process)의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문장에서 단어의 수를 세기 위해서는 단어들을 개별적으로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영어에서는 띄어쓰기로단어를 구분할 수 있지만, 한국어는 영어와 다르게 실질적 의미를 갖는 단어 또는 어간에 문법적 기능을 가진 요소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단순히 띄어쓰기 단위로 단어를 구분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따라서 실질적 의미를 갖는 부분을 단어로 구분하고 이 부분에 해당하는 단어의 품사를 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어 구분과 개수 파악을 위하여 어미, 조사 등과 같은 관계사류와 실질적인 의미가 없는 기능동사 ‘이다’, 그리고 수사를 제외한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의존 명사, 보조 동사, 보조 형용사와 같은 품사의 단어를 사용한다.
어려운 단어와 쉬운 단어를 구분하기 위하여 영어에서는 쉬운 어휘를 모아 놓은 Dale-Chall 리스트를 기준으로 목록에 없는 단어를 어려운 단어로 분류한다. 한국어 텍스트의 이독성 공식 개발 연구에서도 이러한 영향을 받아 어휘 목록을 사용하는데, 한국어 교육 어휘는 국립국어원의 한국어기초사전에 구현되어 있으며, 초급 1,835개, 중급 3,855개, 고급 4,945개로 총 10,635개를 세 수준으로 분류되어 있다. 초급은 일상적이고 친숙한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기초어휘이며 중급은 일상적이고 사회적 상황에서 확장된 기초어휘이다. 고급은 사회적, 전문적, 친숙하지 않은 어휘들로 구성되어 있다. Dale-Chall 이독성 공식에 의해 산출된 지수는 학년 수준으로 변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ale-Chall 지수가 10 이상이면 대학 졸업자 이상으로 판정하고, 한 학년에 해당하는 지수는 0.5이며 이독성 지수가 높을수록 더 어려운 텍스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저작권침해방지부(398)는,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400)에서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및 파일공유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에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시도하는 경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작권 침해 여부를, 기 등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작권자와 참여자의 아이디가 동일하지 않고, 업로드되려는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동일한 경우로 판단하고, 아이디가 동일하지 않으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동일한 경우에 저작권 출처에 대응하는 고유코드를 강제삽입하여 업로드하도록 할 수 있다. 대법원 판결 2016다271608 사건에서는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운영하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Online Service Provider, OSP)에 대하여, 저작권 침해 게시물을 삭제하는 등의 작위의무가 인정되기 위해서 요구되는 ① 저작권 침해 게시물의 불법성이 명백할 것, ② 피해자로부터 구체적 및 개별적인 게시물의 삭제 및 차단 요구를 받을 것(또는 피해자로부터 직접적인 요구를 받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그 게시물이 게시된 사정을 구체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거나 그 게시물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었음이 외관상 명백히 드러날 것), ③ 기술적 및 경제적으로 그 게시물에 대한 관리 및 통제가 가능할 것이라는 3가지 요건을 제시하고 있다.
인터넷에서 저작권을 침해하는 게시물에 대하여 1차적인 책임을 지는 자는 물론 그 게시물을 직접 게시한 자이다. OSP가 제공한 인터넷 게시공간에 위와 같은 게시물이 게시되었고 검색 기능을 통하여 인터넷 이용자들이 그 게시물을 쉽게 찾을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만으로 곧바로 OSP에게 저작권 침해에 대한 불법행위책임을 지울 수는 없다. 인터넷을 이용한 저작권 침해에 대해서는 타인의 저작물을 무단으로 전송한 직접침해자가 책임을 지는 것은 당연하나, 많은 경우에 직접적 침해자는 배상능력이 없는 개인이므로 실효성 있는 배상을 위해서는 OSP나 통신망 사업자에게 가입자에 의한 저작권 침해 방지의무를 부과하는 문제가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 공유, 파일공유에 업로드된 문서, 그림, 글, 텍스트, 사진, 파일, 폴더, 동영상 등은 고유코드가 매핑되어 저장된다. 이때, 초기 업로드되는 모든 멀티미디어 콘텐츠는 고유코드가 매핑되어 저장되는데 이때에도 저작권 존재 여부를 검색하여 고유코드를 부착할 수 있다. 고유코드가 등록되었다면 동일한 글, 사진, 이미지, 파일, 동영상과 같은 글, 사진, 이미지, 파일, 동영상을 업로드할 때에는 고유코드를 강제로 삽입하여 저작권자나 출처를 표기하도록 한다.
이때, 동영상의 경우에는 동일한 동영상을 찾기가 더 어려워지는데, ROI(Region of Interest)를 찾거나 일일이 프레임을 대비하는 것은 연산량이 많아지고 하드웨어 자원을 많이 소모하는 방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영상공유 메뉴의 동영상의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동영상을 이루는 프레임 내 포함된 사람의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기 설정된 수의 사람이 등장하는 프레임을 기준 프레임으로 설정하고, 기준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수의 인접 프레임끼리 묶어 블록을 생성하고, 블록 내 객체의 스켈레톤(Skeleton) 정보를 OpenPos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스켈레톤 정보가 고유코드가 기 부여된 동영상의 스켈레톤 정보와 동일한 경우, 고유코드가 기 부여된 동영상의 고유코드를 강제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스켈레톤 정보를 영상 전체 프레임으로 잡지 않고 특정 프레임으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기준점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안에 존재하는 사람 수를 기준점으로 잡고 20%의 오차범위 안에 있는 인접한 프레임끼리 묶어 블록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첫 프레임의 사람 수를 12명으로 기준을 잡았다고 가정하면, 이후 프레임에 10명부터 14명 사이의 사람이 존재한다면 단일 블록으로 묶는다. 특징점 블록을 생성할 때는 평균 사람 수가 가장 많은 블록을 기준으로 상위 5개를 생성하지만 한 프레임에 사람 수가 많은 경우 키 포인트를 이진 좌표로 변경 시 전부 1로 채워질 수 있다. 입력 영상과 비교하는 영상의 특징점 블록이 1로 채워지는 경우 정확도가 떨어지고 연산량이 많아 질 수 있다. 따라서 특징점 블록을 생성할 때 최대 사람 수를 제한하여 이진 좌표로 변환 시 모든 정보가 1로 채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연산 과정을 줄일 수 있어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만, 사람 수만 제한하는 경우 정확도가 떨어지고 프레임 수가 많으면 연산 과정이 많아지게 되므로 단일 블록의 프레임 수를 제한해야 한다.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특징점 블록을 생성할 때 최대 15 명의 사람 수와 40 프레임으로 제한할 수도 있으나 이는 테스트 결과에 따라 증감되도록 업데이트될 수 있다.
사진이나 이미지에 대해서는, 저작권 부여의 모호함을 유사도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딥러닝을 활용한 유사도 분석 모델링을 구축하여 모방된 작품에 대한 저작권 부여를 막고 유사도 검사를 통과한 작품에 대해서만 저작권 및 고유코드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작물에 대해 고유코드를 생성하기 위해서 우선 유사도를 분석한다. 유사도 분석은 딥러닝의 CNN 모델을 이용한다. 유사도 검사를 통과한 저작물에 대해서만 고유코드를 발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고유코드가 이미 발행된 사진이나 이미지의 고유코드를 강제삽입한다. 유사 디자인 검출을 위한 딥러닝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CNN 모델을 변형한 VGG-16 모델과 AlexNet 모델을 사용하여 이미지의 특징을 추출하고 유사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 모델을 참고하여 CNN과 완전 합성곱 신경망(FNN) 모델을 변형한 이미지의 특징을 탐지하는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구축된 CNN 모델에 각 이미지 특징 정보의 유사도를 분석한다. 이미지 특징 정보의 유사도를 수치화하기 위해 스피어만 상관계수(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할 수 있다. 구축된 CNN 모델에 대해 훈련집합으로 학습시킨 후, 정확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다양한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페이지의 메뉴 및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다. 각각의 메뉴는 도 3a와 같이 로그인 화면과 지식나눔센터로 이동하는 경우 크게 5 가지, 즉 메인 화면(통합 검색),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시스템 설정이 존재한다. 관리자는 도 3f에서 보상을 설정할 수 있고, 나머지는 모두 사용자 화면이다. 도 3b는 전체검색(통합검색)은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DB를 한 번에 검색할 수 있는 메뉴이다. 내문서함에는 북마크 및 내작성글이 분류되어 표시될 수 있고, 북마크도 플랫폼별(위키백과/질문답변/동영상공유)로 나누어 출력될 수 있다. 도 3c는 위키백과 메뉴인데, 글을 작성하거나 작성된 글을 검색할 수 있고, 태그 목록 및 이에 관련된 게시글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고, 최근순으로 검색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북마크 저장 기능도 사용할 수 있고, 댓글을 작성하거나 게시글을 수정할 수도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질문답변 메뉴인데, 질문글을 작성하거나 답변을 작성할 수도 있고, 이를 검색할 수도 있다. 도 3e는 동영상공유 메뉴인데, 마찬가지로 동영상 게시글을 작성하거나, 검색, 태그를 표시하거나 최근 입력글 목록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f 및 도 3g는 파일공유 메뉴인데, 크게 폴더관리 및 파일관리로 나누어지고, 폴더관리의 경우 폴더를 생성, 폴더명을 변경, 폴더를 복사, 잘라내기, 삭제하거나, 내부 파일 및 폴더를 복사, 잘라내기, 삭제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폴더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 또는 회수하며 폴더 접근권한을 등록하거나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도록 한다. 또 파일관리는 파일 복사, 잘라내기, 파일명 변경, 삭제가 가능하고, 파일을 업로드 및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파일을 공유할 때 공유일수에 제한을 둘 수 있고, 공유코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공유코드가 입력된 경우 파일공유가 완료된 것으로 처리한다. 도 3h는 시스템 설정인데, 접근권한 그룹을 설정할 수 있고, 그룹별 부서를 지정할 수 있고, 포인트 설정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어를 전체검색 메뉴에서 입력하면,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및 파일공유 카테고리별로 제공한다(S5100).
그리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위키백과 메뉴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문서가 작성, 편집 및 수정되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가 위키백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S5200).
또,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질문답변 메뉴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에서 질문을 업로드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답변이 등록되면 사용자 단말에서 베스트 답변을 선택하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에서 질문에 대한 답변을 검색하는 경우 질문을 검색어로 질문답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결과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한다(S5300).
그리고,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동영상공유 메뉴를 제공하고 동영상이 동영상공유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 또는 검색하고(S5400), 파일공유 메뉴를 제공하고 파일 또는 폴더의 생성, 편집 및 삭제의 툴을 제공하며, 폴더의 접근권한을 등록, 수정 및 삭제하도록 설정한다(S5500).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5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전체검색 메뉴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및 파일공유 카테고리별로 상기 검색결과가 추출되어 상기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어를 상기 전체검색 메뉴에서 입력하면,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를 상기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및 파일공유 카테고리별로 제공하는 검색부, 위키백과 메뉴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에 대한 문서가 작성, 편집 및 수정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검색어에 대응하는 검색결과가 위키백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되도록 하는 위키백과부, 질문답변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질문을 업로드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답변이 등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베스트 답변을 선택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질문에 대한 답변을 검색하는 경우 상기 질문을 검색어로 질문답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결과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표시되도록 하는 질문답변부, 동영상공유 메뉴를 제공하고 동영상이 동영상공유 데이터베이스에 업로드 또는 검색되도록 하는 동영상공유부, 파일공유 메뉴를 제공하고 파일 또는 폴더의 생성, 편집 및 삭제의 툴을 제공하며, 상기 폴더의 접근권한을 등록, 수정 및 삭제하도록 설정하는 파일공유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되는 검색어에 대한 연관태그를 추출하여 검색결과를 포함하는 화면에 함께 출력하는 연관태그부, 상기 검색결과를 제공할 때, 링크, 제목, 작성일 및 키워드 관련 본문의 2 라인을 추출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및 파일공유에 업로드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하여 고유코드를 부여하여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고유코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고유코드와 매핑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이동되도록 설정하는 코드설정부를 포함하는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연관태그부는,
    상기 연관태그를 추출하여 출력할 때, 상기 연관태그가 검색된 횟수를 상기 연관태그와 함께 출력하고, 상기 연관태그를 가나다순 및 최신순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렬필터에 의해 정렬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공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파일공유를 하면서 파일공유일(Day)수를 입력한 경우, 파일 공유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파일공유일수 및 파일을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파일 공유코드가 입력된 경우, 파일 공유 완료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공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입력한 검색어와 동일한 파일명 또는 폴더명을 포함하는 파일 또는 폴더를, 상기 전체검색 메뉴의 검색결과를 제공할 때 상기 파일공유 카테고리에서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검색어가 포함된 동영상의 장면을 추출하고, 상기 동영상공유 메뉴의 검색결과로 제공하는 인공지능검색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교육수준을 입력받고, 상기 질문답변 메뉴에서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의 이독성(Readability) 지수를 측정하며, 상기 답변의 이독성 지수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교육수준에 대응하는 지수를 초과한 경우 상기 답변을 제공한 참여자 단말로 재작성을 요청하는 요청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독성 지수를 측정할 때, Dale-Chall의 이독성 공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참여자 단말에서 상기 위키백과, 질문답변, 동영상공유 및 파일공유 메뉴 중 어느 하나의 메뉴에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업로드를 시도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작권 침해 여부를, 기 등록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저작권자와 상기 참여자의 아이디가 동일하지 않고, 업로드되려는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기 저장된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동일한 경우로 판단하고, 상기 아이디가 동일하지 않으면서 상기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동일한 경우에 저작권 출처에 대응하는 고유코드를 강제삽입하여 업로드하도록 하는 저작권침해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침해방지부는,
    상기 동영상공유 메뉴의 동영상의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동영상을 이루는 프레임 내 포함된 사람의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수의 사람이 등장하는 프레임을 기준 프레임으로 설정하고, 상기 기준 프레임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수의 인접 프레임끼리 묶어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 내 객체의 스켈레톤(Skeleton) 정보를 OpenPos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상기 스켈레톤 정보가 고유코드가 기 부여된 동영상의 스켈레톤 정보와 동일한 경우, 상기 고유코드가 기 부여된 동영상의 고유코드를 강제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017649A 2022-02-10 2022-02-10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34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649A KR102434880B1 (ko) 2022-02-10 2022-02-10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649A KR102434880B1 (ko) 2022-02-10 2022-02-10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880B1 true KR102434880B1 (ko) 2022-08-22

Family

ID=8310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649A KR102434880B1 (ko) 2022-02-10 2022-02-10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8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48633B1 (ja) 2023-12-21 2024-09-10 株式会社インタラクティブソリューションズ セグメント検索装置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274A (ko) * 2007-05-04 2007-06-22 심갑수 웹사이트를 통한 파일의 초간편 전송과 공유및 저장방법
KR20080074338A (ko) * 2007-02-08 2008-08-13 주식회사 태그스토리 저작권 표시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92989B1 (ko) * 2008-07-22 2009-04-10 김수현 탭브라우징을 이용한 검색결과 표시시스템
KR20160002162A (ko) * 2014-06-30 2016-0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질의 응답 장치 및 방법
KR20160044999A (ko) * 2014-10-16 2016-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질의동작기반 안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680977B1 (ko) * 2015-07-29 2016-11-29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방법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시스템
KR20170020170A (ko) * 2015-08-14 2017-02-22 조현철 문답형 지식검색을 기반으로하는 서비스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2300A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인공 지능을 이용한 스포츠 동영상 검색 방법 및 검색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4338A (ko) * 2007-02-08 2008-08-13 주식회사 태그스토리 저작권 표시된 동영상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65274A (ko) * 2007-05-04 2007-06-22 심갑수 웹사이트를 통한 파일의 초간편 전송과 공유및 저장방법
KR100892989B1 (ko) * 2008-07-22 2009-04-10 김수현 탭브라우징을 이용한 검색결과 표시시스템
KR20160002162A (ko) * 2014-06-30 2016-0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질의 응답 장치 및 방법
KR20160044999A (ko) * 2014-10-16 2016-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질의동작기반 안무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680977B1 (ko) * 2015-07-29 2016-11-29 주식회사 네이블커뮤니케이션즈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방법 및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유 시스템
KR20170020170A (ko) * 2015-08-14 2017-02-22 조현철 문답형 지식검색을 기반으로하는 서비스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32300A (ko) * 2020-04-27 2021-11-04 주식회사 코난테크놀로지 인공 지능을 이용한 스포츠 동영상 검색 방법 및 검색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548633B1 (ja) 2023-12-21 2024-09-10 株式会社インタラクティブソリューションズ セグメント検索装置及び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msey How To Find Information: A Guide For Researchers: A Guide for Researchers
Baldoni et al. From tags to emotions: Ontology-driven sentiment analysis in the social semantic web
US8868558B2 (en) Quote-based search
US9639609B2 (en) Enterprise search method and system
Zanasi Text mining and its applications to intelligence, CRM and knowledge management
Pu et al. Subject categorization of query terms for exploring Web users' search interests
Cantador et al. Enriching ontological user profiles with tagging history for multi-domain recommendations
Kano et al. Coliee-2018: Evaluation of the competition on legal information extraction and entailment
US201402796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mantic processing of personalized social data and generating probability models of personal context to generate recommendations in searching applications
US20110040776A1 (en) Semantic Trading Floor
Aletras et al. Evaluating topic representations for exploring document collections
Tatu et al. Rsdc’08: Tag recommendations using bookmark content
Beel Towards effective research-paper recommender systems and user modeling based on mind maps
US20160299951A1 (en) Processing a search query and retrieving targeted records from a networked database system
Strzelecki et al. Direct answers in Google search results
Yang et al. Sentiment annotations for reviews: an information quality perspective
Hennesy et al. Measuring actual practices: A computational analysis of LibGuides in academic libraries
KR102256007B1 (ko) 자연어 질의를 통한 문서 검색 및 응답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penmeier et al. Genuine information needs of social scientists looking for data
KR102434880B1 (ko) 멀티미디어 플랫폼 기반 지식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Chen et al. An analysis of users' behaviour patterns in the organisation of information: A case study of CiteULike
US9305103B2 (en) Method or system for semantic categorization
Iliadis et al. Fast facts: Platforms from personalization to centralization
Choi A complete assessment of tagging quality: A consolidated methodology
KR102185978B1 (ko) 신문칼럼 구독을 이용한 온라인 독해력 및 논술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