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831B1 -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 Google Patents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6831B1 KR102416831B1 KR1020210140792A KR20210140792A KR102416831B1 KR 102416831 B1 KR102416831 B1 KR 102416831B1 KR 1020210140792 A KR1020210140792 A KR 1020210140792A KR 20210140792 A KR20210140792 A KR 20210140792A KR 102416831 B1 KR102416831 B1 KR 1024168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ad
- detection sensor
- camera module
- display unit
- status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제1 도로와 제2 도로의 연결지점에 설치되는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에 있어서, 연결지점의 주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 제1 도로를 향하도록 지주의 상단에 설치되어 제2 도로의 객체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지주 또는 상태표시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도로에 진입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 지주 또는 상태표시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 도로에 진입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 제1 감지센서의 제1 도로에 진입하는 객체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2 감지센서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제2 감지센서에 의한 제2 도로의 객체 감지가 비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저전력으로 동작 가능한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T자형 도로나, L자, U자형 도로와 같이 도로 상의 운전자가 다른 방향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인지하기 어려운 도로에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도로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전자 도로반사경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은 날이 갈수록 보급량이 증대되며 현대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될 필수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이 국토면적이 좁은 나라에서는 급격히 증가되는 차량의 증대속도에 비해 도로 여건은 상당히 열악한 현실이다. 즉, 차량의 보급속도에 맞게 고속도로를 비롯한 각종 도로망을 확충하는 데에는 예산이나 가용 국토면적의 확보 차원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렇게 열악한 도로상황에 의한 교통사고가 매년 발생하는 가운데, 특히 T자형 도로에서는 운전자의 도로에 대한 시야 확보가 되지 않아 교통사고가 빈번히 일어난다.
이러한 T자형 도로에서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상대편 도로의 상황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원형의 하프미러 반사경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반사경이 설치된 곳에서는 선회하려는 쪽의 도로 상황을 미리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대편 운전자에게도 자신의 존재를 주지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하프미러 반사경은 야간에는 잘 보이지 않고, 주간이라도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많이 오는 등 기상 상황이 안 좋은 경우 운전자가 도로상황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ED 조명을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도로상황을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악조건의 기상 상황에서도 도로 상황을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전자 도로반사경에 관한 기술들이 제안되었다. LED 조명을 이용한 전자 도로반사경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92013호 “T자 도로용 실시간 상황표지판”이 있다. 제10-1492013호는 초음파를 통해 도로상의 차량의 속도 및 대수를 감지하고 감지된 도로 상황을 LED 소자를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여부 및 진입대수를 표시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도로 상황을 직관적으로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전자 도로반사경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차량 감지 센서 및 LED의 제어를 위해 상용전원을 사용해야 하므로 설치 장소에 제약이 있고, 정보를 제공받아야 할 차량 의 유무에 상관없이 항상 정보를 전달하며,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는 다량의 초음파 센서 및 표시장치가 항상 동작하므로 전력소비량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T자형 도로와 같이 한정된 조건에서만 적용 가능하고, 전자 도로반사경에 접근하는 모든 물체를 차량으로 감지하므로, 도로의 보행자나 자전거 등이 차량으로 인식되어 정보를 제공받은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도로에 설치되는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하여 저전력으로 동작이 가능함으로써 상용 전원이 아닌 배터리나 태양전지 등을 전원으로 하여도 안정적으로 동작이 가능한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제1 도로에 위치한 객체에게 제2 도로에서 진입하는 객체의 종류, 및 진입 방향 등 제2 도로 상황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 도로반사경은 제1 도로와 제2 도로의 연결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지점의 주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 상기 제1 도로를 향하도록 상기 지주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로의 객체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로에 진입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로에 진입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 및 상기 제1 감지센서의 제1 도로에 진입하는 객체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감지센서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감지센서에 의한 제2 도로의 객체 감지가 비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제1 도로의 객체가 감지되면 오프 상태의 상기 제2 감지센서를 온 시킴으로써 상기 제2 감지센서가 상기 상태표시부에 표시될 상기 제2 도로의 객체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로에 진입하는 객체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모듈; 및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로에 진입하는 객체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센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2 도로의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카메라모듈을 온 시킴으로써 상기 제2 카메라모듈이 상기 감지된 제2 도로의 각 객체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카메라모듈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2 도로의 각 객체의 종류 및 진입방향을 판별하고,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판별된 상기 제2 도로의 각 객체의 종류 및 진입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딥러닝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2 도로의 각 객체의 종류를 판별하고, 상기 제2 카메라모듈이 설치된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각 객체의 진입방향을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제2 카메라모듈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딥러닝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AI 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카메라모듈은 상기 카메라로 상기 제2 도로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AI 엔진으로 촬영된 영상을 딥러닝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촬영된 제2 도로의 각 객체의 종류 및 진입방향을 판별하며, 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제2 카메라모듈에 의해 판별된 상기 제2 도로의 각 객체의 종류 및 진입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태표시부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에 수직하는 측면으로 구성되어 전면이 개방된 프레임; 및 기 프레임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LED 소자가 설치된 LED 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LED 소자 각각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판별된 상기 제2 도로의 각 객체의 종류 및 진입방향을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신호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센서 의해 상기 제1 도로의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신호등을 온시킴으로써 상기 제2 도로의 객체에게 상기 제1 도로의 객체의 존재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센서는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면에서 진입하는 제1 도로의 객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감지센서는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우측면에 설치되어 우측에서 진입하는 제2 도로의 객체를 감지하거나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좌측면에 설치되어 좌측에서 진입하는 제2 도로의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좌측면에 설치되어 좌측에서 진입하는 직진도로의 객체를 감지하는 좌측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도로는 차량이 직진가능한 경로를 갖는 직진도로이고, 상기 제1 도로는 상기 직진도로에 합류하는 경로를 갖는 합류도로이며, 상기 전자 도로반사경은 상기 직진도로와 상기 합류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센서는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면에서 진입하는 합류도로의 객체를 감지하는 전면감지센서이고, 상기 제2 감지센서는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우측면에 설치되어 우측에서 진입하는 직진도로의 객체를 감지하는 우측감지센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감지센서의 합류도로의 객체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우측감지센서 및 상기 좌측감지센서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우측감지센서 및 상기 좌측감지센서에 의한 직진도로의 객체 감지가 비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합류도로의 객체가 감지되면 오프 상태의 상기 우측감지센서 및 상기 좌측감지센서를 온 시킴으로써 상기 우측감지센서 및 상기 좌측감지센서가 상기 상태표시부에 표시될 상기 직진도로의 객체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우측면에 설치되어 우측에서 진입하는 직진도로의 객체를 촬영하는 우측카메라모듈; 및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좌측면에 설치되어 좌측에서 진입하는 직진도로의 객체를 촬영하는 좌측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측감지센서 및 상기 좌측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직진도로의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우측카메라모듈 및 좌측카메라모듈 중 상기 각 객체가 감지된 방향의 카메라모듈을 온 시켜 상기 감지된 직진도로의 각 객체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도로에 진입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 제2 도로에 진입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제1 감지센서의 제1 도로의 객체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제2 감지센서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제2 도로의 상황정보를 제공받을 제1 도로의 객체가 있는 경우에만 제2 감지센서를 온시켜 제2 도로의 객체를 감지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제2 감지센서의 객체 감지가 비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저전력으로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감지센서 의해 제2 도로에 진입하는 객체가 감지되면, 제2 카메라모듈을 온시켜 감지된 객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감지된 객체의 종류 및 진입방향을 결정하여 제2 도로 상황정보로서 제1 도로의 객체에게 제공함으로써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제1 도로의 객체에게 시야확보가 어려운 제2 도로의 상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의 전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에서 복수 개의 LED 소자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의 전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에서 복수 개의 LED 소자가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전력 동작이 가능한 실시간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각각 간략하게 ‘전자 도로반사경’ 및 ‘전자 도로반사경 제어방법’으로 호칭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100)이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100)은, 서로 진행방향이 상이한 제1 도로(120) 및 제2 도로(110)가 연결되는 지점 인근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a는 차량이 직진 가능한 경로를 가지는 제2 도로와,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통해 제2 도로(110)에 합류하는 경로를 갖는 제1 도로(120)로 형성된 T자형 도로의 교차지점(C)에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도시한다. 도 1b는 직진 경로를 갖는 제1 도로(120)와 제2 도로(110)가 서로 수직하게 연결되는 L자형 도로의 연결지점 인근에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도시한다. 도 1c는 커브 구간을 갖는 제1 도로(120)와 제2 도로(110)가 서로 커브 구간에서 연결되는 U자형 도로의 연결지점 인근에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일 실시예로서, 도 1a에 도시된 T자형 도로에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차량이 직진 가능한 경로를 가지는 제2 도로(110)와,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통해 제2 도로(110)에 합류하는 경로를 갖는 제1 도로(120)로 형성된 T자형 도로의 교차지점(C)에서 전면이 제1 도로(120)를 향하도록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도시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T자형 도로에서 제1 도로(120)를 주행하거나 제1 도로(120)에 정지한 객체(140)(예컨대, 차량)는 제2 도로(110)를 주행하여 제1 도로(120) 방향으로 접근하거나, 제2 도로(110)에 정지해 있는 차량, 보행자, 또는 자전거 등의 객체(130)를 인지하기 어렵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도로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 방향으로 접근하거나, 제1 도로에 정지해 있는 차량, 보행자, 또는 자전거 등의 객체를 ‘제1 도로 객체(140)’로, 제2 도로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 방향으로 접근하거나, 전자 도로반사경(100) 인근 제2 도로(110)에 정지해 있는 차량, 보행자, 또는 자전거 등의 객체를 ‘제2 도로 객체(130)’로 칭하도록 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제1 도로 객체(140)’ 및 ‘제2 도로 객체(130)’는 각 객체가 보행자인 경우 보행자를, 객체가 차량이나 자전거인 경우에는 차량이나 자전거의 운전자를 지칭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100)은 제1 도로 객체(140)에게 제2 도로 객체(130)의 종류 및 접근 방향 등을 포함하는 제2 도로 상황정보를 빠르고 직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제1 도로 객체(140)가 보다 안전하게 제2 도로(110)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100)은 제1 도로 객체(140)에게 이러한 제2 도로 상황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상용 전력을 이용하지 않고 태양전지, 배터리 등을 이용하여 구동하기에 적합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전면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오른쪽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왼쪽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도로반사경(100)은 지주(210), 상태표시부(220), 전면감지센서(230), 우측감지센서(240), 좌측감지센서(250), 전면카메라(260), 우측카메라모듈(270), 좌측카메라모듈(280), 우측신호등(281), 좌측신호등(282), 및 제어부(290)로 구성된다.
지주(210)는 원기둥, 사각기둥 등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전자 도로반사경(100)이 설치될 위치의 지면에 설치된다. 지주(210)는 지면에 직접 항타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지지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상태표시부(220)는 납작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도로 객체(140)에게 잘 보이는 높이에서 지주(210)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LED 소자(440)를 이용하여 제2 도로 객체(130)의 종류 및 진입방향 등의 정보를 표현함으로써 제1 도로 객체(140)에게 제2 도로의 현재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태표시부(220)는 바닥면과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결합된 측면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가지고 전면이 개방된 원통 또는 사각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프레임(410), 프레임(410)의 전면에 설치되는 LED 전광판(420) 및 LED 전광판(420)을 보호하는 후드(430)로 구성된다.
프레임(410)의 측면에는 우측감지센서(240), 좌측감지센서(250) 등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으며, 프레임(410)의 내부공간에는 다양한 센서(230, 240, 250) 및 카메라(260, 270, 28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90)가 설치될 수 있다.
LED 전광판(420)은 프레임(41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1 도로 객체(140)에게 제2 도로 객체(130)의 종류 및 진입방향 등 제2 도로 상황정보를 제공한다. LED 전광판(420)은 기판(미도시), 기판에 배치된 복수 개의 LED 소자(440) 및 기판과 복수 개의 LED 소자 상에 증착되어 기판 및 복수 개의 LED 소자를 보호하는 필름층(미도시)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LED 소자(440)의 각각은 제어부(29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됨으로써 제2 도로 객체(130)의 종류 및 진입 방향 등의 제2 도로 상황정보를 제1 도로 객체(140)에게 표시한다. LED 전광판(420)의 구조 및 작동 매커니즘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설명이 장황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LED 전광판(420)에는 제2 도로(110)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으로 접근하는 객체의 종류 및 접근 방향 즉 제2 도로 상황정보가 표시된다. 도 2의 LED 전광판(420)에는 제2 도로 상황정보의 일 예로서 제2 도로의 오른쪽 방향에서 차량이 접근하고 있음이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LED 전광판(420)의 기판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LED 소자(440)는 기판 상에서 일정한 면적 내에 동일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LED 소자(440)는 기판 상에 직사각형 면적 내에 NxM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2 도로 객체(130)의 종류 및 진입방향에 따라 일정 면적 내에 배치된 복수 개의 LED 소자(440)의 각각을 제어하여 제2 도로 객체(130)의 종류 및 진입방향을 표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LED 소자(440)를 기판 상의 일정 면적 내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경우 복수 개의 LED 소자(440) 각각의 온오프에 의해 표현될 수 있는 형태가 제한되지 않으므로, 추후 전자 도로반사경(100)이 인식할 수 있는 객체의 종류가 증가하여 LED 전광판이 표시할 수 있는 객체가 추가되거나, 제2 도로 객체(130)의 종류 및 진입방향 외에 추가적인 정보를 표시하고자 할 때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LED 전광판(420)의 기판에는 미리 설정된 객체(차량, 보행자, 자전거 등)와 진입 방향(왼쪽, 오른쪽)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복수 개의 LED 소자(440)만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LED 소자(440)가 일정 면적을 채우도록 배치되는 것이 아닌, 특정 형상을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에만 LED 소자(440)가 배치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라 기판에 배치된 복수 개의 LED 소자(440)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복수 개의 LED 소자(440)가 일정 면적을 다 채우도록 배치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객체(차량, 보행자, 자전거 등)와 진입 방향(왼쪽, 오른쪽)을 표시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에만 배치가 되어 있다. 각 객체를 표현하기 위한 복수 개의 LED 소자(440)가 서로 중첩되어 배치되며, 각각의 LED 소자(440)는 제어부(29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 되어 제2 도로(110)의 상황을 표현함으로써 제1 도로 객체(140)에게 제2 도로 상황정보를 전달한다. 예컨대, 제어부(290)는 제2 도로 객체(130)가 차량이고 제1 도로 객체(140)를 기준으로 오른쪽 방향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으로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차량 모양을 이루는 복수 개의 LED 소자 및 왼쪽을 향해 꺾어진 “V”자형 부분의 복수 개의 LED 소자를 온 시킴으로써 제1 도로 객체(140)에게 오른쪽에서 차량이 접근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이렇게, 미리 정해진 형상을 표시하기 위한 LED 소자만을 기판에 배치하는 것은, 불필요한 LED 소자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LED 전광판(420)의 제작 비용 및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고, 제어부(290)의 복수 개의 LED 소자(440)의 제어가 미리 결정된 몇가지 패턴으로 한정되므로 제어부(290)를 보다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후드(430)는 곡선으로 휘어진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LED 전광판(420)의 상측 일부를 둘러싸며 프레임(410)에 결합함으로써 LED 전광판(420)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후드(430)는 LED 전광판(420)의 상측에서 LED 전광판(420)을 향하여 입사되는 태양광을 막아 LED 전광판(420)의 가시성을 증가시키며, 눈이나 비 등에 의해 LED 전광판(420)이 오염되거나 젖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LED 전광판(420)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전면감지센서(230)는 지주(210)의 전면, 또는 LED 전광판(4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1 도로(120)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향해 진입하거나, 제1 도로(120)에서 제2 도로(110)로의 진입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제1 도로 객체(140)를 감지한다. 전면감지센서(230)는 상시 온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1 도로 객체(140)를 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우측감지센서(240)는 지주(210) 또는 프레임(410)의 우측면에 설치되어 제1 도로 객체(140)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향해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한다. 우측감지센서(240)는 평소에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 우측감지센서(240)는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되면 후술할 제어부(290)에 의해 온 되어 우측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향해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우측감지센서(240)는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되는 동안에는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되지 않으면 오프되도록 제어부(2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좌측감지센서(250)는 지주(210) 또는 프레임(410)의 좌측면에 설치되어 제1 도로 객체(140)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향해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한다. 좌측감지센서(250)는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되면 제어부(290)에 의해 온 되어 좌측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향해 접근하는 객체가 있는지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좌측감지센서(250)는 우측감지센서(240)와 마찬가지로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되는 동안에는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되지 않으면 오프되도록 제어부(2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면감지센서(230), 우측감지센서(240) 및 좌측감지센서(250)는 대상물체에 초음파를 발사한 후, 반사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대상물체와의 거리 및 대상물체의 이동 방향을 검출하는 초음파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자 도로반사경(100)에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할 수 있다면 PIR(passive infrared sensor), 레이더(radio detecting and ranging) 등의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우측감지센서(240) 및 좌측감지센서(250)는 설치 위치 및 센싱 각도가 조절될 수 있어, 사용자는 설치되는 도로에 형성된 경사나, 도로와 전자 도로반사경(100)이 이루는 각도 등을 고려하여 우측감지센서(240) 및 좌측감지센서(250)가 전면감지센서(230)와 이루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전면카메라(260)는 지주(210)의 전면, 또는 LED 전광판(42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1 도로(120)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향해 진입하는 객체를 촬영한다. 전면카메라(260)는 상시 온 상태를 유지하여 제1 도로(120)의 상황을 촬영하거나, 평상시 온 신호 수신 시 지연없이 바로 동작할 수 있는 저전력 대기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된 경우에 온 되어 제1 도로 객체(140)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우측카메라모듈(270)은 지주(210) 또는 프레임(410)의 우측면에 설치되어 제1 도로 객체(140)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향해 접근하는 객체를 촬영한다. 우측카메라모듈(270)은 평소에는 온 신호 수신 시 지연없이 바로 동작할 수 있는 저전력 대기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우측카메라모듈(270)은 우측감지센서(240)에 의해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우측에서 접근하는 객체가 감지되면 후술할 제어부(290)에 의해 온 되고 우측에서 접근하는 객체를 촬영한다.
좌측카메라모듈(280)은 지주(210) 또는 프레임(410)의 좌측면에 설치되어 제1 도로 객체(140)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향해 접근하는 객체를 촬영한다. 좌측카메라모듈(280)은 평소에는 온 신호 수신 시 지연없이 바로 동작할 수 있는 저전력 대기 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좌측카메라모듈(280)은 좌측감지센서(250)에 의해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좌측에서 접근하는 객체(130)가 감지되면 후술할 제어부(290)에 의해 온 되고 좌측에서 접근하는 객체(130)를 촬영한다.
각 카메라(260, 270, 280)는 자체 저장장소(예컨대, SD 카드, USB 메모리 등)를 구비할 수 있으며, 외부 통신 및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예컨대. 네트워크, WIFI, Lora, LTE, USB 등)를 갖출 수 있다. 각 카메라(260, 270, 28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각 카메라(260, 270, 280)의 자체 저장장소에 저장될 수 있다. 각 카메라(260, 270, 280)는 야간 촬영을 위해 적외선(IR)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은 딥러닝을 이용하여 영상을 분석하는 기능을 갖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카메라모듈일 수 있다. AI 카메라모듈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딥러닝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AI 엔진으로 구성된다. AI 카메라모듈로 구성된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는 각각 제2 도로의 우측 및 좌측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AI 엔진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우측 또는 좌측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향해 접근하는 객체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우측카메라모듈(270)은 제2 도로(110)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자전거가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향해 접근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다. AI 카메라로 구성된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에 의해 결정된 제2 도로 객체(130)의 종류 정보는 제어부(290)로 전송되어 복수 개의 LED 소자(440)를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는 일반 카메라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90)가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로부터 촬영된 제2 도로(110) 영상을 수신하고, 딥러닝을 이용하여 수신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제2 도로 객체(130)의 종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29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또한,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은 설치 위치 및 촬영 각도가 조절될 수 있어, 사용자는 설치되는 도로에 형성된 경사나, 도로와 전자 도로반사경(100)이 이루는 각도 등을 고려하여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이 전면감지센서(230)와 이루는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우측신호등(281)은 지주(210) 또는 프레임(410)의 우측면에 설치되고,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되면 온 됨으로써,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우측에서 진입하는 객체에게 제1 도로(120)에 객체가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좌측신호등(282)은 지주(210) 또는 프레임(410)의 좌측면에 설치되고,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되면 온 됨으로써,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좌측에서 진입하는 객체에게 제1 도로(120)에 객체가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우측신호등(281) 및 좌측신호등(282)은 할로겐등 또는 LED 소자를 이용한 LED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제2 도로(110)를 이동하는 객체에게 제1 도로 객체(140)의 존재를 알림으로써 주행에 주의를 요구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전면감지센서(230), 우측감지센서(240) 및 좌측감지센서(250)의 객체 감지 결과 및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의 영상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LED 전광판(420)의 복수 개의 LED 소자(440)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제1 도로 객체(140)에게 제2 도로(110)의 상황을 전달한다. 제어부(290)는 상태표시부(220)의 프레임(4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제어부(290)의 구성을 도시한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어부(290)는 감지장치 상태제어부(610), 좌우객체 판별부(620), LED 전광판 제어부(630)를 포함한다.
감지장치 상태제어부(610)는 전면감지센서(230), 전면카메라(260), 우측감지센서(240), 우측카메라모듈(270), 좌측감지센서(25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감지장치 상태제어부(610)는 전면감지센서(230)는 상시 온 되어있고, 우측감지센서(240), 우측카메라모듈(270), 좌측감지센서(25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은 오프된 상태로 있도록 제어한다. 감지장치 상태제어부(610)는 상시 온 되어있는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되면, 오프 상태에 있던 우측감지센서(240) 및 좌측감지센서(250)를 온 시켜, 제2 도로(110)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향해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감지장치 상태제어부(610)는 우측감지센서(240) 및 좌측감지센서(250)가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되는 동안에는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되지 않으면 오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감지장치 상태제어부(610)는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되면, 우측신호등(281) 및 좌측신호등(282)을 온 시켜 제2 도로 객체(130)에게 제1 도로에 객체가 존재함을 안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감지장치 상태제어부(610)는 우측감지센서(240) 및 좌측감지센서(250) 중 적어도 하나가 제2 도로 객체(130)를 감지하면, 제2 도로 객체(130)가 감지된 방향의 신호등만 온 시킴으로써 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도로반사경(100)은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오프 상태에 있던 우측감지센서(240) 및 좌측감지센서(250)를 온 시킴으로써 제2 도로(110)의 도로 상황 정보를 수신할 대상(즉, 제1 도로 객체(140))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우측감지센서(240) 및 좌측감지센서(250)가 제2 도로(110)의 상황을 감지하도록 하여 전력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감지장치 상태제어부(610)는 우측감지센서(240) 및 좌측감지센서(250)에 의해 제2 도로(110)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향해 접근하는 객체가 감지되면, 객체가 감지된 방향의 카메라를 온 시킨다. 예컨대, 우측감지센서(240)에 의해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우측방향에서 접근하는 객체(130)가 감지되면, 감지장치 상태제어부(610)는 우측카메라모듈(270)을 온 시켜 우측에서 진입하는 제2 도로 객체(130)를 촬영하고, 만약 우측감지센서(240) 및 좌측감지센서(250) 모두에서 객체가 감지되었다면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을 모두 온 시켜 좌우측의 제2 도로 객체(130)를 촬영한다. 감지장치 상태제어부(610)에 의해 온 상태가 된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촬영된 영상은 제어부(290)의 좌우객체 판별부(620)로 전송된다.
한편, 감지장치 상태제어부(610)는 전면카메라(260)가 상시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거나,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된 경우에 온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전면카메라(260)에 대한 감지장치 상태제어부(610)의 제어는 관리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전면카메라(26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전면카메라(260)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된 저장장치(예컨대, SD 메모리카드, USB 메모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측감지센서(250) 및 우측감지센서(240) 중 제2 도로 객체(130)를 감지한 센서와 동일한 방향의 카메라만 온 시키고 감지된 객체를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카메라 동작을 최소화하여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좌우객체 판별부(620)는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이용하여 제2 도로 객체(130)의 종류를 판별하고, 제2 도로 객체(130)의 종류 및 제2 도로 객체(130)의 진입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도로 상황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좌우객체 판별부(620)는 딥러닝을 이용하여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영상 내의 제2 도로 객체(130)의 종류를 결정하고, 수신된 영상이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 중 어느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것인지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제2 도로 객체(130)의 진입방향을 결정함으로써 제2 도로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카메라모듈(280)에 의해 촬영된 제2 도로 객체(130)의 영상을 수신한 좌우객체 판별부(620)는 딥러닝을 이용하여 영상을 분석함으로써 촬영된 객체가 차량임을 결정할 수 있고, 좌측카메라모듈(280)로부터 영상이 수신되었으므로 제2 도로 객체(130)(즉, 차량)의 진입방향이 왼쪽임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 생성된 제2 도로 상황정보는 차량이 왼쪽에서 진입하고 있음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에서, 좌측카메라모듈(280) 및 우측카메라모듈(270) 모두에 의해 제2 도로 객체(130)가 촬영된 경우, 좌우객체 판별부(620)는 좌측카메라모듈(280) 및 우측카메라모듈(270) 모두의 영상을 수신하여 각각의 영상을 딥러닝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딥러닝 분석 결과, 좌측카메라모듈(28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제2 도로 객체(130)가 차량이고, 우측카메라모듈(27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제2 도로 객체(130)가 자전거이면 좌우객체 판별부(620)는 좌측에서 차량이 진입하고, 우측에서 자전거가 진입하고 있음을 포함하는 제2 도로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좌우객체 판별부(620)는 생성된 제2 도로 상황정보를 LED 전광판 제어부(630)로 전송한다.
한편,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이 AI 카메라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제2 도로 객체(130)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딥러닝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촬영된 제2 도로 객체(130)의 종류를 결정하고, 제2 도로 객체(130)의 진입방향을 결정하여 제2 도로 상황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이 AI 카메라모듈 자체에서 수행되므로, 제어부(290)의 좌우객체 판별부(620)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에 의해 생성된 제2 도로 상황정보가 제어부(290)의 LED 전광판 제어부(630)로 바로 전송된다.
LED 전광판 제어부(630)는 좌우객체 판별부(620)로부터 수신된 제2 도로 상황정보에 기초하여 LED 전광판(420)의 복수 개의 LED 소자(44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도 5는 LED 전광판 제어부(630)에 의해 LED 전광판(420)의 복수 개의 LED 소자(440)가 온오프 제어되어 제2 도로(110)의 상황정보를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5a는 LED 전광판 제어부(630)가 좌우객체 판별부(620)로부터 수신한 제2 도로 상황정보로부터 제2 도로 객체(130)가 보행자이고, 제2 도로 객체(130)의 진입방향이 오른쪽임이 판별된 경우에 LED 전광판(420)을 제어한 모습을 도시한다. LED 전광판 제어부(630)는 LED 전광판(420)의 복수 개의 LED 소자(440)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보행자 및 왼쪽을 향해 꺾어진 “V”자형 부분의 복수 개의 LED 소자를 온 시킴으로써, 제1 도로 객체(140)에게 오른쪽에서 보행자가 접근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b는 LED 전광판 제어부(630)가 좌우객체 판별부(620)로부터 수신한 제2 도로 상황정보로부터 제2 도로 객체(130)가 자전거이고, 제2 도로 객체(130)의 진입방향이 왼쪽임이 판별된 경우에 LED 전광판(420)을 제어한 모습을 도시한다. LED 전광판 제어부(630)는 LED 전광판(420)의 복수 개의 LED 소자(440)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자전거 및 오른쪽을 향해 꺾어진 “V”자형 부분의 복수 개의 LED 소자를 온 시킴으로써, 제1 도로 객체(140)에게 왼쪽에서 자전거가 접근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도 5c는 LED 전광판 제어부(630)가 좌우객체 판별부(620)로부터 수신한 제2 도로 상황정보로부터 좌측 및 우측에서 차량이 진입하고 있음이 판별된 경우에 LED 전광판(420)을 제어한 모습을 도시한다. LED 전광판 제어부(630)는 LED 전광판(420)의 복수 개의 LED 소자(440)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차량 및 오른쪽을 향해 꺾어진 “V”자형 부분 및 왼쪽을 향해 꺾어진 “V”자형 부분의 복수 개의 LED 소자가 온 되도록 함으로써, 제1 도로 객체(140)에게 왼쪽 및 오른쪽에서 각각 차량이 접근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LED 전광판 제어부(630)는 좌우객체 판별부(620)로부터 수신한 제2 도로 상황정보로부터 좌측에서 차량이 진입하고, 우측에서 자전거가 진입하고 있음이 판별된 경우처럼, 서로 다른 방향에서 서로 다른 객체가 진입하는 경우 LED 전광판(420)을 이용하여 좌우 객체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LED 전광판 제어부(630)는 LED 전광판(420)의 복수 개의 LED 소자(440)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차량 및 오른쪽을 향해 꺾어진 “V”자형 부분의 복수 개의 LED 소자가 온 되도록 함으로써 제1 도로 객체(140)에게 왼쪽에서 차량이 접근하고 있음을 알린 후, 미리 설정된 시간(예컨대, 1초) 후에 다시 복수 개의 LED 소자(440)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자전거 및 왼쪽을 향해 꺾어진 “V”자형 부분의 복수 개의 LED 소자가 온되도록 함으로써 제1 도로 객체(140)에게 오른쪽에서 자전거가 접근하고 있음을 알리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제1 도로 객체(140)에게 보다 정확하게 제2 도로의 상황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제어부(290) 및 복수 개의 LED 소자(440) 등의 구성 요소들은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것은 물론, 상용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배터리(미도시) 또는 태양전지 중 적어도 하나만을 이용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및 태양전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전원으로 이용하는 경우, 상용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배선문제로부터 자유로워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설치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는 이점이 있다. 배터리 및 태양전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전원으로 이용하는 경우 상용 교류전력에 비해 전력공급량이 적을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100)은 제어부(290)가 좌우측감지센서(240, 250) 및 좌우측카메라모듈(270, 280)을 필요한 경우에만 온 시키는 바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배터리 및 태양전지를 전원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제어방법은 도 6에 도시된 제어부(290)에 의해 실행되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710 단계에서 제어부(290)는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시 온 상태인 전면감지센서(230)로부터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전면에 수직한 경로를 갖는 제1 도로(120)를 보행 또는 주행하거나, 제1 도로(120)에 정지하고 있는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되었음을 수신한다.
720 단계에서 제어부(290)는 710 단계에서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된 것에 대응하여 오프 상태의 좌측감지센서(250) 및 우측감지센서(240)를 온 시켜 제2 도로(110)의 좌측 및 우측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으로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하도록 한다.
730 단계에서, 제어부(290)는 좌측감지센서(250) 및 우측감지센서(240) 중 어느 센서에 의해서도 객체가 감지되지 않으면 740 단계로 진입한다.
740 단계에서 제어부(290)는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되고 있는 상태라면 다시 720 단계로 돌아가 좌측감지센서(250) 및 우측감지센서(240)가 제2 도로(110)의 좌측 및 우측에서 전자 도로반사경(100)으로 접근하는 객체를 감지하도록 한다.
한편,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되고 있지 않다면 제어부(290)는 750 단계로 진입하여 좌측감지센서(250) 및 우측감지센서(240)를 오프시키고 상시 온 상태인 전면감지센서(230)에 의해 제1 도로 객체(140)가 감지될 때까지 대기한다.
한편, 730 단계에서 좌측감지센서(250) 및 우측감지센서(240) 중 적어도 하나의 센서에 의해 제2 도로 객체(130)가 감지되었다면, 제어부(290)는 760 단계로 진입한다.
760 단계에서, 제어부(290)는 좌측감지센서(250) 및 우측감지센서(24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감지된 객체를 촬영하기 위해 좌측카메라모듈(280) 및 우측카메라모듈(270) 중 객체가 감지된 방향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온 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좌측감지센서(250)에 의해 객체가 감지된 경우 좌측카메라모듈(280)를 온 시켜 좌측에서 접근하는 객체를 촬영하고, 좌측카메라모듈(280) 및 우측카메라모듈(270) 모두에 의해 객체가 감지된 경우 좌측카메라모듈(280) 및 우측카메라모듈(270) 모두를 온 시켜 좌측 및 우측에서 접근하는 제2 도로 객체(130)를 각각 촬영하도록 한다.
770 단계에서, 제어부(290)는 좌측카메라모듈(280) 및 우측카메라모듈(27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촬영된 제2 도로 객체(130)의 영상에 기초하여 제2 도로 객체(130)의 종류 및 제2 도로 객체(130)의 진입방향을 결정하고, 제2 도로 객체(130)의 종류 및 진입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도로 상황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90)는 좌측카메라모듈(280) 및 우측카메라모듈(27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촬영된 제2 도로 객체(130)의 영상을 딥러닝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영상 내의 객체(130)의 종류(예컨대, 차량, 보행자, 자건거)를 결정하고, 제2 도로 객체(130)의 영상이 좌측카메라모듈(280) 또는 우측카메라모듈(270) 중 어느 것으로부터 수신된 것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제2 도로 객체(130)의 진입방향을 결정하여 제2 도로 상황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780 단계에서, 제어부(290)는 770 단계에서 생성된 제2 도로 상황정보에 기초하여 LED 전광판(420)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290)는 770 단계에서 생성된 제2 도로 상황정보에 의해 왼쪽방향에서 차량이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LED 전광판(420)의 복수 개의 LED 소자(440)가 차량 및 오른쪽으로 꺾어진 “V”자형 부분의 복수 개의 LED 소자를 온 시킨다. LED 전광판(420)에 표현된 차량 및 오른쪽으로 꺾어진 V”자형 모양으로부터 제1 도로 객체(140)는 제2 도로(110)의 왼쪽 방향에서 차량이 접근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b에 도시된 L자형 도로에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b는 차량이 직진 가능한 경로를 가지는 제1 도로(120) 및 제2 도로(110)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 L자형 도로의 연결지점 인근에 전면이 제1 도로(120)를 향하도록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의 전자 도로반사경(100)은, 전술한 T자형 도로에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전면감지센서(230)가 전면감지센서(230)에 대응하는 제1 감지센서로, 우측감지센서(240) 및 좌측감지센서(250) 중 어느 하나가 우측감지센서(240) 및 좌측감지센서(250)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고 제2 도로(110)를 향하도록 설치된 제2 감지센서로 대체되고, 대체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감지센서는 생략되며, T자형 도로에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전면카메라(260)가 전면카메라(260)에 대응하는 제1 카메라모듈로,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 중 어느 하나가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고 제2 도로(110)를 촬영하도록 설치된 제2 카메라모듈로 대체되고, 대체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카메라모듈이 생략되는 점을 제외하면 T자형 도로에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과 동일하므로, U자형 도로에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에 대한 설명은 T자형 도로에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1c에 도시된 U자형 도로에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c는 차량이 직진하다가 커브하는 경로를 가지는 제1 도로(120) 및 제2 도로(110)가 서로 커브 지점이 연결되어 형성된 U자형 도로의 연결지점 인근에 전면이 제1 도로(120)를 향하도록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의 전자 도로반사경(100)은, 전술한 T자형 도로에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전면감지센서(230)가 전면감지센서(230)에 대응하는 제1 감지센서로, 우측감지센서(240) 및 좌측감지센서(250) 중 어느 하나가 우측감지센서(240) 및 좌측감지센서(250)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고 제2 도로(110)를 향하도록 설치된 제2 감지센서로 대체되고, 대체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감지센서는 생략되며, T자형 도로에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의 전면카메라(260)가 전면카메라(260)에 대응하는 제1 카메라모듈로,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 중 어느 하나가 우측카메라모듈(270) 및 좌측카메라모듈(280)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고 제2 도로(110)를 촬영하도록 설치된 제2 카메라모듈로 대체되고, 대체되지 않은 다른 하나의 카메라모듈이 생략되는 점을 제외하면 T자형 도로에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과 동일하므로, U자형 도로에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에 대한 설명은 T자형 도로에 설치된 전자 도로반사경(100)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도록 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자 도로반사경
110: 제2 도로
120: 제1 도로
130: 제2 도로 객체
140: 제1 도로 객체
220: 상태표시부
230: 전면감지센서
240: 우측감지센서
250: 좌측감지센서
260: 전면카메라
270: 우측카메라모듈
280: 좌측카메라모듈
290: 제어부
110: 제2 도로
120: 제1 도로
130: 제2 도로 객체
140: 제1 도로 객체
220: 상태표시부
230: 전면감지센서
240: 우측감지센서
250: 좌측감지센서
260: 전면카메라
270: 우측카메라모듈
280: 좌측카메라모듈
290: 제어부
Claims (12)
- 제1 도로와 제2 도로의 연결지점에 설치되는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점의 주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
상기 제1 도로를 향하도록 상기 지주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로의 객체의 정보를 표시하는 상태표시부;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로에 진입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로에 진입하는 객체를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 및
상기 제1 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제1 도로의 객체가 감지되면 오프 상태의 상기 제2 감지센서를 온 시켜 상기 제2 감지센서가 상기 상태표시부에 표시될 상기 제2 도로의 객체를 감지하도록 상기 제2 감지센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상태표시부에 표시되는 제2 도로의 객체정보를 확인할 제1 도로의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감지센서가 온 되어 상기 제2 감지센서에 의한 제2 도로의 객체 감지가 비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도로에 진입하는 객체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모듈; 및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도로에 진입하는 객체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감지센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2 도로의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제2 카메라모듈을 온 시킴으로써 상기 제2 카메라모듈이 상기 감지된 제2 도로의 각 객체를 촬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카메라모듈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2 도로의 각 객체의 종류 및 진입방향을 판별하고,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판별된 상기 제2 도로의 각 객체의 종류 및 진입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딥러닝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제2 도로의 각 객체의 종류를 판별하고, 상기 제2 카메라모듈이 설치된 방향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각 객체의 진입방향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카메라모듈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딥러닝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AI 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카메라모듈은 상기 카메라로 상기 제2 도로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AI 엔진으로 촬영된 영상을 딥러닝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촬영된 제2 도로의 각 객체의 종류 및 진입방향을 판별하며,
상기 상태표시부는 상기 제2 카메라모듈에 의해 판별된 상기 제2 도로의 각 객체의 종류 및 진입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부는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에 수직하는 측면으로 구성되어 전면이 개방된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전면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LED 소자가 설치된 LED 전광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LED 소자 각각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판별된 상기 제2 도로의 각 객체의 종류 및 진입방향을 상기 LED 전광판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타측에 설치되는 신호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센서 의해 상기 제1 도로의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신호등을 온시킴으로써 상기 제2 도로의 객체에게 상기 제1 도로의 객체의 존재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센서는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면에서 진입하는 제1 도로의 객체를 감지하고,
상기 제2 감지센서는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우측면에 설치되어 우측에서 진입하는 제2 도로의 객체를 감지하거나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좌측면에 설치되어 좌측에서 진입하는 제2 도로의 객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좌측면에 설치되어 좌측에서 진입하는 직진도로의 객체를 감지하는 좌측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도로는 차량이 직진가능한 경로를 갖는 직진도로이고, 상기 제1 도로는 상기 직진도로에 합류하는 경로를 갖는 합류도로이며, 상기 전자 도로반사경은 상기 직진도로와 상기 합류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감지센서는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면에서 진입하는 합류도로의 객체를 감지하는 전면감지센서이고,
상기 제2 감지센서는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우측면에 설치되어 우측에서 진입하는 직진도로의 객체를 감지하는 우측감지센서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감지센서의 합류도로의 객체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우측감지센서 및 상기 좌측감지센서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우측감지센서 및 상기 좌측감지센서에 의한 직진도로의 객체 감지가 비연속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합류도로의 객체가 감지되면 오프 상태의 상기 우측감지센서 및 상기 좌측감지센서를 온 시킴으로써 상기 우측감지센서 및 상기 좌측감지센서가 상기 상태표시부에 표시될 상기 직진도로의 객체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우측면에 설치되어 우측에서 진입하는 직진도로의 객체를 촬영하는 우측카메라모듈; 및
상기 지주 또는 상기 상태표시부의 좌측면에 설치되어 좌측에서 진입하는 직진도로의 객체를 촬영하는 좌측카메라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측감지센서 및 상기 좌측감지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직진도로의 객체가 감지되면 상기 우측카메라모듈 및 좌측카메라모듈 중 상기 각 객체가 감지된 방향의 카메라모듈을 온 시켜 상기 감지된 직진도로의 각 객체를 촬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0792A KR102416831B1 (ko) | 2021-10-21 | 2021-10-21 |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0792A KR102416831B1 (ko) | 2021-10-21 | 2021-10-21 |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16831B1 true KR102416831B1 (ko) | 2022-07-05 |
Family
ID=8240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0792A KR102416831B1 (ko) | 2021-10-21 | 2021-10-21 |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683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85032B1 (ko) * | 2023-02-22 | 2023-10-06 | (주) 세종보안시스템 | 도로 통행 객체 인식 안전 시스템 |
KR102630264B1 (ko) * | 2022-11-21 | 2024-01-29 | 렉스젠(주) | 교차로 안내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45395A (ko) * | 2005-10-27 | 2007-05-02 | 옥윤선 | 사각지대용 반사경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 |
KR20160064904A (ko) * | 2014-11-28 | 2016-06-08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저전력 영상처리장치 및 저전력으로 영상처리장치를 구동하는 방법 |
KR20180065196A (ko) * | 2016-12-07 | 2018-06-1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비신호 교차로 자율주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
2021
- 2021-10-21 KR KR1020210140792A patent/KR1024168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45395A (ko) * | 2005-10-27 | 2007-05-02 | 옥윤선 | 사각지대용 반사경 및 이를 이용한 교통안전 시스템 |
KR20160064904A (ko) * | 2014-11-28 | 2016-06-08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저전력 영상처리장치 및 저전력으로 영상처리장치를 구동하는 방법 |
KR20180065196A (ko) * | 2016-12-07 | 2018-06-1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비신호 교차로 자율주행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0264B1 (ko) * | 2022-11-21 | 2024-01-29 | 렉스젠(주) | 교차로 안내 정보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KR102585032B1 (ko) * | 2023-02-22 | 2023-10-06 | (주) 세종보안시스템 | 도로 통행 객체 인식 안전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89569B1 (ko) | 다기능 스마트 객체인식 사고방지 표지 안내판 및 그것을 이용한 사고방지방법 | |
US11760313B2 (en) | Sensor pod cleaning system | |
US9564049B2 (en) | Electronic traffic alert system | |
US11227492B2 (en) | Solar induction lamp and induction system using same | |
KR102416831B1 (ko) | 저전력 전자 도로반사경 장치 | |
KR102190700B1 (ko) |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시스템에서의 범위 에일리어싱 검출 및 완화를 위한 연장된 검출 주기들의 사용 | |
CN110073239A (zh) | 用于旋转光检测和测距(lidar)设备的功率调制 | |
KR102182257B1 (ko) | 곡선도로에서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차량통행 안내시스템 | |
US20240272280A1 (en) | Sensor pod assembly | |
US11305724B2 (en) | Pedestrian protection system for sensor pods | |
US11623585B2 (en) | Sensor pod coverage and placement on vehicle | |
US20210341613A1 (en) | Sensor pod calibration | |
US20130235203A1 (en) | Indicia identifying system | |
CN111223313A (zh) | 一种电子智能化车道优先通行应急车辆的控制系统及方法 | |
KR102295992B1 (ko) | 자동차 내의 운전자 보조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CN114929967A (zh) | 用于疏导车辆交通并且增强工作区安全性的装置和方法 | |
CN106605026A (zh) | 道路轮廓标和安全系统 | |
KR102362304B1 (ko) | 사고 감지 및 2차 사고 방지를 위한 교통사고 알림 시스템 | |
CN111223314A (zh) | 一种应急车辆优先通行的控制系统及方法 | |
KR20210043552A (ko) | 하이브리드 자가 발전 시스템을 가진 횡단보도 안전용 엘이디 조명 장치 | |
US20240163533A1 (en) | Behind the windshield camera-based perception system for autonomous traffic violation detection | |
KR20160090585A (ko) | 교차로용 경보 장치 및 그의 경보 시스템 | |
KR102435281B1 (ko) | 등주식 가로등 구조물을 활용한 도로 돌발상황 검지 시스템 및 방법 | |
KR102693851B1 (ko) | 자동차용 센서 통합 모듈 | |
KR20140141409A (ko) | 교통 표지판에 설치되는 감시 카메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