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262B1 -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6262B1 KR102416262B1 KR1020150170901A KR20150170901A KR102416262B1 KR 102416262 B1 KR102416262 B1 KR 102416262B1 KR 1020150170901 A KR1020150170901 A KR 1020150170901A KR 20150170901 A KR20150170901 A KR 20150170901A KR 102416262 B1 KR102416262 B1 KR 1024162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trix
- zero
- elements included
- communication system
- zero elemen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4—Channel estimation channel estimation algorithms
- H04L25/0242—Channel estimation channel estimation algorithms using matrix metho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343—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891—Spatial equalizers
- H04L25/03961—Spatial equalizers design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미리 생성된송신 행렬을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미리 생성된송신 행렬은, 제로 엘리먼트(zero element)들과 넌-제로 엘리먼트(non-zero element)들을를 포함하는 하나의기준 행렬이 미리 결정된 수만큼 반복되어 생성된 것이며, 기준 시퀀스는 상기 송신미리 생성된 행렬에 포함된 상기 넌-제로 엘리먼트(non-zero element)들에는 특정 시퀀스가 할당되고,되어 있음 상기 기준 행렬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들의 하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1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시퀀스에 포함된 하나의 엘리먼트로부터 순환 쉬프트된 엘리먼트는 상기 제1 열로부터 미리 정해진 열 간격에 위치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2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을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의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 (massive multi-input multi-output: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 (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SCMA는 시간-주파수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함으로써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 IoT) 환경에서 복수 개의 단말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접속기술로서 주목 받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결과들은 정확한 동기화 및 정확한 채널추정을 가정한 결과로서, SCMA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추정 및 동기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SCMA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시에는 하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OFDM) 심볼을 기준으로 Ndata개의 자원 엘리먼트 (resource element : RE) 를 사용하는 반면, 채널 추정을 위해 복조 참조 신호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 DMRS)를 사용 시에는 참조 (reference) 신호로 하나의 OFDM 심볼을 기준으로 Npilot개의 RE을 사용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Ndata 및 Npilot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결정된다.
<수학식 1>
여기서, 은 주파수 대역에서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subcarrier)의 길이에 해당하며, 하나의 RE당 심볼 전력을 1로 가정하였다. SCMA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존의 DMRS를 이용한 채널 추정 시 파일럿으로 사용되는 RE의 수가 데이터 전송 시 필요한 RE의 수에 대비하여 배 증가하게 된다. 또한 주파수에 따라 변화하는 주파수 선택적인 페이딩 채널(frequency selective fading channel)에서 기존의 DMRS는 직교성이 유지되지 않아 채널 추정 성능이 상당히 열화 하게 된다.
따라서 SCMA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DMRS를 생성하여 신호 송수신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 스파스 코드(sparse code) 특성을 가지는 신호를 생성하여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선택적인 페이딩 채널에서 직교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 행렬을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행렬은, 제로 엘리먼트(zero element)들과 넌-제로 엘리먼트(non-zero element)들을 포함하는 기준 행렬이 미리 결정된 수만큼 반복되어 생성된 것이며, 기준 시퀀스는 상기 송신 행렬에 포함된 상기 넌-제로 엘리먼트들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행렬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들의 하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1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시퀀스에 포함된 하나의 엘리먼트로부터 순환 쉬프트된 엘리먼트는 상기 제1 열로부터 미리 정해진 열 간격에 위치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2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 행렬을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행렬은, 제로 엘리먼트(zero element)들과 넌-제로 엘리먼트(non-zero element)들을 포함하는 기준 행렬이 미리 결정된 수만큼 반복되어 생성된 것이며, 기준 시퀀스는 상기 송신 행렬에 포함된 상기 넌-제로 엘리먼트들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행렬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들의 하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1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시퀀스에 포함된 하나의 엘리먼트로부터 순환 쉬프트된 엘리먼트는 상기 제1 열로부터 미리 정해진 열 간격에 위치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2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신 행렬을 기반으로 생성된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행렬은, 제로 엘리먼트(zero element)들과 넌-제로 엘리먼트(non-zero element)들을 포함하는 기준 행렬이 미리 결정된 수만큼 반복되어 생성된 것이며, 기준 시퀀스는 상기 송신 행렬에 포함된 상기 넌-제로 엘리먼트들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행렬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들의 하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1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시퀀스에 포함된 하나의 엘리먼트로부터 순환 쉬프트된 엘리먼트는 상기 제1 열로부터 미리 정해진 열 간격에 위치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2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장치는;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신 행렬을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행렬은, 제로 엘리먼트(zero element)들과 넌-제로 엘리먼트(non-zero element)들을 포함하는 기준 행렬이 미리 결정된 수만큼 반복되어 생성된 것이며, 기준 시퀀스는 상기 송신 행렬에 포함된 상기 넌-제로 엘리먼트들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행렬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들의 하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1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시퀀스에 포함된 하나의 엘리먼트로부터 순환 쉬프트된 엘리먼트는 상기 제1 열로부터 미리 정해진 열 간격에 위치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2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들과, 이득들 및 핵심적인 특징들은 부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고,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개시하는,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본 개시의 구체적인 설명 부분을 처리하기 전에, 이 특허 문서를 통해 사용되는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을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용어들 "포함하다(include)" 및 "포함하다(comprise)"와 그 파생어들은 한정없는 포함을 의미하며; 상기 용어 "혹은(or)"은 포괄적이고, "및/또는"을 의미하고; 상기 구문들 "~와 연관되는(associated with)" 및 "~와 연관되는(associated therewith)"과 그 파생어들은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되고(be included within), ~와 서로 연결되고(interconnect with), 포함하고(contain), ~내에 포함되고(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nnect to or with),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be communicable with), ~와 협조하고(cooperate with), 인터리빙하고(interleave), 병치하고(juxtapose), ~로 가장 근접하고(be proximate to), ~로 ~할 가능성이 크거나 혹은 ~와 ~할 가능성이 크고(be bound to or with), 가지고(have), 소유하고(have a property of) 등과 같은 내용을 의미하고; 상기 용어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혹은 그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상기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2개의 몇몇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특정 제어기와 연관되는 기능성이라도 집중화되거나 혹은 분산될 수 있으며, 국부적이거나 원격적일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만 할 것이다.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은 이 특허 문서에 걸쳐 제공되고,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많은 경우, 대부분의 경우가 아니라고 해도, 상기와 같은 정의들이 종래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정의된 단어들 및 구문들의 미래의 사용들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팩터 그래프 행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확장된 팩터 그래프 행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에에 따른 신호 생성 장치에서 확장된 팩터 그래프 행렬에 ZC 시퀀스를 할당하는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신호 생성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종래 기술과 본 개시의 실시 예 각각에서 생성된 DMRS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한 결과를 비교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DMRS의 구조와 종래 기술에 의해 생성된 DMRS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채널 환경에 따라 종래 기술과 본 개시의 실시 예 각각에서 생성된 DMRS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한 결과를 비교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팩터 그래프 행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확장된 팩터 그래프 행렬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에에 따른 신호 생성 장치에서 확장된 팩터 그래프 행렬에 ZC 시퀀스를 할당하는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신호 생성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종래 기술과 본 개시의 실시 예 각각에서 생성된 DMRS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한 결과를 비교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DMRS의 구조와 종래 기술에 의해 생성된 DMRS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채널 환경에 따라 종래 기술과 본 개시의 실시 예 각각에서 생성된 DMRS을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한 결과를 비교한 일 예를 나타낸 도면.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청구항들 및 청구항들의 균등들로 정의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것이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그 이해를 위해 다양한 특정 구체 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는 단순히 예로서만 간주될 것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여기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또한, 공지의 기능들 및 구성들에 대한 설명은 명료성 및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및 단어들은 문헌적 의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발명자에 의한 본 개시의 명료하고 일관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뿐이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 목적만을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첨부되는 청구항들 및 상기 청구항들의 균등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개시를 한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명백해야만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다른 내용을 지시하지 않는 "한"과, "상기"와 같은 단수 표현들은 복수 표현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 예로, "컴포넌트 표면(component surface)"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 표현들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보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음성 및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0)을 포함한다. 각 기지국(110)은 특정 셀(cell)(150a, 150b, 150c)에 대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하나의 기지국(110)은 다수의 셀을 담당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기지국(110)은 셀룰러 통신을 위해 단말과의 정보 및 제어 정보 공유 등을 수행하게 되는 송수신 엔터티를 의미하며,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 베이스 송수신기 시스템(base transceiver system : BTS),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펨토(femto) 기지국, 홈내 기지국(home nodeB) 또는 릴레이 노드(relay nod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그리고 셀은 메가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셀, 펨토셀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적어도 하나의 단말(12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사용자 터미널(user terminal),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무선 모뎀(wireless modem) 또는 무선 장치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상기 통신 시스템(100)에서는 데이터의 송수신, 시스템 동기 획득 및 채널 정보 피드백 등을 위하여,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의 채널을 추정할 필요가 있다. 급격한 채널 환경의 변화에 의하여 생기는 신호의 왜곡(distortion)을 보상하여 전송 신호를 복원하는 과정을 채널 추정이라고 한다. 또한 단말(120)이 속한 셀 혹은 다른 셀에 대한 채널 상태 역시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채널 추정 또는 채널 상태 측정을 위해서 단말(120)과 기지국(110)이 상호 간에 알고 있는 참조 신호(reference signal : RS)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참조 신호는 모든 서브캐리어에 할당될 수 있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브캐리어 사이에 할당될 수도 있다. 특히,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을 위해 상향 링크에서 사용되는 참조신호는 DMRS가 있으며,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 PUSCH)/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 PUCCH) 전송에 해당되는 주파수 대역의 채널 정보만 필요하므로 해당되는 주파수 대역의 길이로 DMRS를 전송한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참조신호가 DMRS임을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DMRS와 동일한 구조 또는 시퀀스(sequence)를 이용하는 다른 참조신호에도 본 개시의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DMRS는 일반적으로 시퀀스로 전송된다. 상기 시퀀스는 상관 특성(correlation property)이 우수한 시퀀스가 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상관 특성이 우수한 시퀀스로는 쟈도프-츄 (zadoff-chu : ZC) 시퀀스가 있다. 이에 DMRS는 아래 <수학식 2>와 같은 ZC 시퀀스를 기반으로 전송될 수 있다.
<수학식 2>
여기서, 기저 대역(base band)의 ZC 시퀀스는 순환 쉬프트(cyclic shift)를 수행한 ZC 시퀀스와 완전히 직교하는 특성을 가진다.
일 예로,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또는 기지국은 주파수 상에서 기저 대역의 ZC 시퀀스를 만큼 위상 변화시켜 새로운 시퀀스로 생성할 수 있다. 이에 한 단말에 대해서 공간 멀티플렉싱(spatial multiplexing)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한 셀 내에서 동일한 자원을 할당 받은 단말들에게 직교하는 참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기저 ZC 시퀀스의 위상 변화를 적용하게 된다.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직교하는 참조 신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신신호가 시간 정렬 (timing alignment)되어 수신되어야 하며, 채널의 주파수 응답이 DMRS를 전송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SCMA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효율적으로 채널 추정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sparse code 구조를 이용하여 확장된 DMRS를 생성하는 방안에 대하여 제안한다. 그리고 본 개시의 실시 예와 같이 생성된 DMRS는 송신 장치를 통해 수신 장치로 전송된다. 상기 DMRS가 송신 장치를 통해 수신 장치로 송수신되는 방법은 종래 통신 기술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하기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즉, 하기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생성 장치에서 DMRS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0) 및 단말(120) 각각에 포함된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를 신호 생성 장치라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신호 생성 장치는 SCMA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을 위해 이용되는 파라미터에(parameters)에 따라 하나의 팩터 그래프 행렬을 생성한다(201). 여기서, 상기 파라미터는 다른 엔터티로부터 수신하거나 내부에 미리 저장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라미터는 SCMA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코드 길이(K), 넌-제로(non-zero) 심볼의 수(N) 및 SCMA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 접속 가능한 단말들의 수(J)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J는 K와 N의 관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팩터 그래프 행렬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신호 생성 장치는 상기 파라미터 K=4, N=2, J=6인 경우, 도 3과 같은 팩터 그래프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팩터 그래프 행렬의 열의 개수는 상기 코드 길이에 대응되며, 상기 팩터 그래프 행렬의 행의 개수는 상기 최대 접속 가능한 단말들의 수에 대응된다.
다음으로, 상기 신호 생성 장치는 sparse code구조를 갖는 확장된 DMRS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생성된 하나의 팩터 그래프 행렬을 반복하기 위한 반복 횟수 Q를 결정한다(203). 여기서, 상기 반복 횟수 Q는 아래 <수학식 3>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수학식 3>
여기서, df는 상기 팩터 그래프 행렬에 포함된 하나의 톤(tone)에서 동시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수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는 단말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의 톤은 상기 팩터 그래프 행렬의 행에 포함된 하나의 엘리먼트에 해당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확장된 팩터 그래프 행렬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 상기 신호 생성 장치는 파라미터 K=4, N=2, J=6, Q=3, L=12인 경우, 도 4와 같이 확장된 팩터 그래프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수학식 4>
여기서 상기 길이 Q는 팩터 그래프 행렬이 반복되는 횟수 Q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신호 생성 장치는 길이 L의 DMRS에서 단말들간에 직교성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확장된 팩터 그래프 행렬에서 제로 엘리먼트들(zero elements)를 고려하여 상기 생성된 ZC 시퀀스를 할당한다(209). 이때, 상기 확장된 팩터 그래프 행렬에서 하나의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는 상기 ZC 시퀀스에 포함된 복수 개의 엘리먼트들 중 하나의 엘리먼트가 할당되며, 상기 미리 생성된 행렬에서 하나의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과 미리 정해진 열 간격에 위치하는 넌-제로 엘리먼트에는 상기 ZC 시퀀스에 포함된 상기 하나의 엘리먼트에서 순환 쉬프트된 엘리먼트가 할당된다. 이로부터 상기 확장된 팩터 그래프 행렬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간에는 서로 직교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신호 생성 장치는 sparse code구조를 갖는 길이 L의 DMRS를 생성할 수 있다(211).
일 예로, 도 5 및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에에 따른 신호 생성 장치에서 확장된 팩터 그래프 행렬에 ZC시퀀스를 할당하는 예들을 보이고 있다. 상기 신호 생성 장치는 도 5와 같이 파라미터 K=4, N=2, J=6, Q=3, L=12인 경우 확장된 팩터 그래프 행렬에 포함된 제로 엘리먼트를 고려하여, 확장된 팩터 그래프 행렬에 ZC시퀀스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 생성 장치는 도 6과 같이 파라미터 K=5, N=2, J=10, Q=4, L=20 인 경우 확장된 팩터 그래프 행렬에 포함된 제로 엘리먼트를 고려하여, 확장된 팩터 그래프 행렬에 ZC시퀀스를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확장된 팩터 그래프 행렬에서 하나의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는 상기 ZC 시퀀스에 포함된 복수 개의 엘리먼트들 중 하나의 엘리먼트가 할당되며, 상기 확장된 팩터 그래프 행렬에서 하나의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과 미리 정해진 열 간격에 위치하는 넌-제로 엘리먼트에는 상기 ZC 시퀀스에 포함된 상기 하나의 엘리먼트에서 순환 쉬프트된 엘리먼트가 할당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열 간격은 일 예로 4임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신호 생성 방법으로부터 sparse code구조를 갖는 확장된 DMRS를 기반으로 각 단말로 해당 DMRS를 할당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단말들 각각에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sparse code구조를 갖는 확장된 DMRS에서 중첩되는 패턴이 동일한 톤 별로 DMRS를 할당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저 ZC 시퀀스를 순환 쉬프트 시킴으로써 sparse code구조를 갖는 확장된 DMRS를 생성하므로, 동일한 패턴으로 중첩되는 톤들이 직교성을 유지하게 되며, 이는 전체적인 DMRS에서도 직교성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sparse code구조를 갖는 확장된 DMR은 주파수 및 시간 자원에서 적용 가능하다.
상기에서 도 2 내지 도 6을 기반으로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생성 방법은, 도 7과 같은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ZC 시퀀스를 이용하여 단말들 간에 직교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확장된 DMRS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보이고 있다.
상기 도 2 및 도 7에서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추정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채널 추정 장치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신호 생성 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 생성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10) 및 단말(120) 각각에 포함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신호 생성 장치(800)는 제어부 (801), 송신부 (803), 수신부 (805) 및 저장부 (80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 (801)는 신호 생성 장치(8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은 상기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송신부 (803)는 상기 제어부 (801)의 제어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송신부 (803)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상기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 (805)는 제어부 (801)의 제어에 따라 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부 (805)가 수신하는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은 상기 도 2 내지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 (807)는 상기 제어기 (80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호 생성 장치(800)이 수행하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에 관련된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 (807)는 상기 수신부 (805)가 상기 다른 엔터티들로부터 수신한 각종 신호 및 각종 메시지들을 저장한다.
한편, 도 8에는 상기 신호 생성 장치(800)가 상기 제어부 (801), 송신부 (803), 수신부 (805) 및 저장부 (807)와 같이 별도의 유닛들로 구현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신호 생성 장치(800)는 상기 제어부 (801), 송신부 (803), 수신부 (805) 및 저장부 (807)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된 형태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신호 생성 장치(800)은 1개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생성 장치에서 생성된 sparse code구조를 갖는 확장된 DM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종래 기술에 의해 생성된 DM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채널 추정에 대한 계산 복잡도 및 채널 추정에 관한 제곱근 오차(mean square error : MSE)를 감소시킬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해 생성된 길이 L을 갖는 DMRS를 이용하여 디스프레딩(dispreading) 방법으로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경우 곱셈 계산에 대한 복잡도가 L이 되지만,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sparse code구조를 갖는 확장된 DM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non-zero element가 로 감소함에 따라 곱셈 계산에 대한 복잡도가 K/N배 감소하게 된다. 일 예로, 파라미터 K=4, N=2, J=6 일 때 데이터 길이 L=12인 sparse code 구조를 갖는 확장된 DM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면, 종래 기술 대비 곱셈 계산에 대한 복잡도가 2배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예로 도 9에서 SCMA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시스템에서 K=4, N=2, J=6 인 경우에 대해서 종래 기술에 의해 생성된 DM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경우의 MSE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sparse code구조를 갖는 확장된 DM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경우의 MSE를 비교하였다.
도 9 및 도 10은 종래 기술과 본 개시의 실시 예 각각에서 생성된 DMRS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한 결과를 비교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9의 (a)와 (b)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해 생성된 DMRS에 구성되는 non-zero element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확장된 DMRS에 구성되는 non-zero element를 비교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확장된 DMRS에 구성되는 non-zero element의 수가 종래 기술에 의해 생성된 DMRS에 구성되는 non-zero element의 수에 비하여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확장된 DMRS에 포함된 non-zero element의 수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감소함에 따라 톤별 전송 전력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해 생성된 길이 L로 포함된 DMRS에서 톤당 전송 전력을 1로 보았을 때 전체 RE의 수인 L이 전체 전송 전력이 된다. 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확장된 DMRS의 경우 톤당 전송 전력을 1로 가정하면 총 전송 전력은 RE의 수인 이 된다. 따라서 동일한 비교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확장된 DMRS와 종래 기술에 의해 생성된 DMRS에서, (c)와 같이 전송 전력을 동일하게 L로 고정하면 톤당 전송 전력은 K/N배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기지국에서 시간 정렬된 수신 신호를 가정하였다. 그리고 채널은 레일리 블록 페이딩 채널(Rayleigh block fading channel)이고, 경우 1(case I)은 1 RB 즉 12 톤들 동안 채널이 일정한 경우이며, 경우 2(case II)는 2 RB동안 채널이 일정한 경우이다. 여기서, 채널 추정 방법은 디스프레딩 방법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조건에서, 도 10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확장된 DM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경우의 MSE 성능은 종래 기술에 의해 생성된 DM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경우와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도 9에서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sparse code 구조를 갖는 확장된 DMRS에서의 톤당 전송 전력은 증가하지만 non-zero element감소함에 따라 결국 디스프레딩에 관한 이득은 동일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DMRS의 구조와 종래 기술에 의해 생성된 DMRS의 구조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라미터 K=4, N=2, J=6이고, 액티브(Active) 단말의 수가 3인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티브(Active) 단말의 수가 적은 경우 증가된 톤당 전송 전력과 sparse code 구조로 인해 간섭이 줄어 들어 주파수 선택적인 페이딩 채널에서 종래 기술 대비 높은 정확도로 톤별 채널 추정이 가능해진다.
도 12는 채널 환경에 따라 종래 기술과 본 개시의 실시 예 각각에서 생성된 DMRS를 이용하여 채널을 추정한 결과를 비교한 일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보행자(pedestrian : Ped) 채널과 차량(Vehicular) 채널에 대해서 종래 기술과 본 개시의 실시 예 각각에서 생성된 DM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의 MSE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의해 생성된 DMR를 이용하여 디스프레딩 방법으로 채널 추정을 수행하였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DMRS에서 sparse code 구조로 인해 간섭이 있는 톤은 디스프레딩 방법을 이용하고 간섭이 없는 톤은 LS방법으로 파인 튜닝(fine tuning)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였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DM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당한 MSE에 대한 성능 이득이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SCMA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주파수 플랫(flat) 페이딩 채널 뿐만 아니라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sparse code구조를 가지는 확장된 DMRS를 이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면, 효과적으로 톤별 채널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6)
-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 행렬을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행렬은, 제로 엘리먼트(zero element)들과 넌-제로 엘리먼트(non-zero element)들을 포함하는 기준 행렬이 미리 결정된 수만큼 반복되어 생성된 것이며, 기준 시퀀스는 상기 송신 행렬에 포함된 상기 넌-제로 엘리먼트들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행렬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들의 하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1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시퀀스에 포함된 하나의 엘리먼트로부터 순환 쉬프트된 엘리먼트는 상기 제1 열로부터 미리 정해진 열 간격에 위치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2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행렬은,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코드 길이, 넌-제로 심볼들의 수,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 접속 가능한 단말들의 수, 상기 코드 길이에 상응하는 상기 기준 행렬의 행들에 포함된 엘리먼트들의 수 및 상기 최대 접속 가능한 단말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준 행렬의 열들에 포함된 엘리먼트들의 수를 기반으로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수는,
상기 기준 행렬의 열들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의 수보다 크거나 같은 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수는,
상기 넌-제로 심볼의 수와 상기 최대 접속 가능한 단말들의 수를 곱한 값을 상기 코드 길이로 분할한 값보다 크거나 같은 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송신 행렬의 열들의 개수는,
상기 코드 길이와 상기 미리 결정된 수를 곱한 값에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퀀스는,
기저 대역의 쟈도프-츄 (zadoff-chu : ZC) 시퀀스이고, 상기 ZC 시퀀스는,
상기 미리 결정된 수와 동일한 수를 갖는 길이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방법.
-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송신 행렬을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 행렬은, 제로 엘리먼트(zero element)들과 넌-제로 엘리먼트(non-zero element)들을 포함하는 기준 행렬이 미리 결정된 수만큼 반복되어 생성된 것이며, 기준 시퀀스는 상기 송신 행렬에 포함된 상기 넌-제로 엘리먼트들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행렬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들의 하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1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시퀀스에 포함된 하나의 엘리먼트로부터 순환 쉬프트된 엘리먼트는 상기 제1 열로부터 미리 정해진 열 간격에 위치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2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행렬은,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코드 길이, 넌-제로 심볼들의 수,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 접속 가능한 단말들의 수, 상기 코드 길이에 상응하는 상기 기준 행렬의 행들에 포함된 엘리먼트들의 수 및 상기 최대 접속 가능한 단말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준 행렬의 열들에 포함된 엘리먼트들의 수를 기반으로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수는,
상기 기준 행렬의 열들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의 수보다 크거나 같은 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수는,
상기 넌-제로 심볼의 수와 상기 최대 접속 가능한 단말들의 수를 곱한 값을 상기 코드 길이로 분할한 값보다 크거나 같은 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송신 행렬의 열들의 개수는,
상기 코드 길이와 상기 미리 결정된 수를 곱한 값에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퀀스는,
기저 대역의 쟈도프-츄 (zadoff-chu : ZC) 시퀀스이고, 상기 ZC 시퀀스는,
상기 미리 결정된 수와 동일한 수를 갖는 길이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방법.
-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신 행렬을 기반으로 생성된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행렬은, 제로 엘리먼트(zero element)들과 넌-제로 엘리먼트(non-zero element)들을 포함하는 기준 행렬이 미리 결정된 수만큼 반복되어 생성된 것이며, 기준 시퀀스는 상기 송신 행렬에 포함된 상기 넌-제로 엘리먼트들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행렬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들의 하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1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시퀀스에 포함된 하나의 엘리먼트로부터 순환 쉬프트된 엘리먼트는 상기 제1 열로부터 미리 정해진 열 간격에 위치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2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행렬은,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코드 길이, 넌-제로 심볼들의 수,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 접속 가능한 단말들의 수, 상기 코드 길이에 상응하는 상기 기준 행렬의 행들에 포함된 엘리먼트들의 수 및 상기 최대 접속 가능한 단말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준 행렬의 열들에 포함된 엘리먼트들의 수를 기반으로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수는,
상기 기준 행렬의 열들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의 수보다 크거나 같은 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수는,
상기 넌-제로 심볼의 수와 상기 최대 접속 가능한 단말들의 수를 곱한 값을 상기 코드 길이로 분할한 값보다 크거나 같은 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송신 행렬의 열들의 개수는,
상기 코드 길이와 상기 미리 결정된 수를 곱한 값에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퀀스는,
기저 대역의 쟈도프-츄 (zadoff-chu : ZC) 시퀀스이고, 상기 ZC 시퀀스는,
상기 미리 결정된 수와 동일한 수를 갖는 길이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송신 장치.
-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송신 행렬을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 행렬은, 제로 엘리먼트(zero element)들과 넌-제로 엘리먼트(non-zero element)들을 포함하는 기준 행렬이 미리 결정된 수만큼 반복되어 생성된 것이며, 기준 시퀀스는 상기 송신 행렬에 포함된 상기 넌-제로 엘리먼트들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행렬에 포함된 복수의 엘리먼트들의 하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1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되고, 상기 기준 시퀀스에 포함된 하나의 엘리먼트로부터 순환 쉬프트된 엘리먼트는 상기 제1 열로부터 미리 정해진 열 간격에 위치하는 상기 송신 행렬에서 제2 열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 각각에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행렬은,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코드 길이, 넌-제로 심볼들의 수, 상기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 접속 가능한 단말들의 수, 상기 코드 길이에 상응하는 상기 기준 행렬의 행들에 포함된 엘리먼트들의 수 및 상기 최대 접속 가능한 단말들에 상응하는 상기 기준 행렬의 열들에 포함된 엘리먼트들의 수를 기반으로 생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수는,
상기 기준 행렬의 열들에 포함된 넌-제로 엘리먼트들의 수보다 크거나 같은 값으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수는,
상기 넌-제로 심볼의 수와 상기 최대 접속 가능한 단말들의 수를 곱한 값을 상기 코드 길이로 분할한 값보다 크거나 같은 값으로 결정되고, 상기 송신 행렬의 열들의 개수는,
상기 코드 길이와 상기 미리 결정된 수를 곱한 값에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퀀스는,
기저 대역의 쟈도프-츄 (zadoff-chu : ZC) 시퀀스이고, 상기 ZC 시퀀스는,
상기 미리 결정된 수와 동일한 수를 갖는 길이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수신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0901A KR102416262B1 (ko) | 2015-12-02 | 2015-12-02 |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
US15/368,534 US10135637B2 (en) | 2015-12-02 | 2016-12-02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0901A KR102416262B1 (ko) | 2015-12-02 | 2015-12-02 |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4886A KR20170064886A (ko) | 2017-06-12 |
KR102416262B1 true KR102416262B1 (ko) | 2022-07-04 |
Family
ID=5879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0901A KR102416262B1 (ko) | 2015-12-02 | 2015-12-02 |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135637B2 (ko) |
KR (1) | KR102416262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3702B1 (ko) * | 2009-03-22 | 2016-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KR101651685B1 (ko) * | 2009-11-08 | 2016-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
US20140286255A1 (en) | 2013-03-25 | 2014-09-2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Uplink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s i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US10484988B2 (en) * | 2014-04-29 | 2019-11-19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device by which Device-to-Device user equipment transmits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2015
- 2015-12-02 KR KR1020150170901A patent/KR10241626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12-02 US US15/368,534 patent/US10135637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4886A (ko) | 2017-06-12 |
US20170164370A1 (en) | 2017-06-08 |
US10135637B2 (en) | 2018-1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4958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management reference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
CN108632179B (zh) | 信号传输方法、装置及系统 | |
US1041193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FT-S-OFDM PAPR reduction | |
KR102147634B1 (ko) | 대규모 다중 입력 다중 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된 브로드캐스트 및 동기화 신호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EP3146664B1 (en) | Method and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
CN110754043B (zh) | 用于新无线电的频率选择性上行链路预编码 | |
JP5663163B2 (ja) | 上りリンクの復調パイロットシーケンスを決定する方法、端末および上りリンクシステム | |
CN110268775B (zh) | 用于多输入多输出传输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 |
CN109155721B (zh) | 支持可缩放帧结构的无线通信系统中的发射和接收的方法和设备 | |
CN104937873A (zh) | 无线通信系统中的方法和节点 | |
US10924252B2 (en) | Sequence generation to support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multiplexing for pi over 2 binary phase shift keying modulation | |
CN108476107A (zh) | 具有多个音调跳变距离的窄带prach | |
CN110999187A (zh) | 无线通信系统中分配相位跟踪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 |
WO2011052222A1 (ja) | 無線通信装置及び参照信号生成方法 | |
CN111865517B (zh) | 发送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 |
US11477053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1134455B2 (en) |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tting or receiving method,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 |
US11552718B2 (en) | Beam refinement and localization using true-time-delay analog arrays | |
JPWO2010013468A1 (ja) | 無線通信基地局装置、無線通信端末装置および巡回遅延設定方法 | |
CN108112081B (zh) | 通信方法及系统 | |
US11968044B2 (en) | Interference mitigation by pseudo-random muting for sounding reference signals | |
US20240357428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1683820B2 (en) | Frequency-domain preamble with a time-domain single carrier waveform | |
KR102416262B1 (ko) |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신 방법 및 장치 | |
US20220321386A1 (en) | Frequency-domain reference signal block with a time-domain single carrier waveform data transmiss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