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528B1 -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4528B1 KR102414528B1 KR1020210093783A KR20210093783A KR102414528B1 KR 102414528 B1 KR102414528 B1 KR 102414528B1 KR 1020210093783 A KR1020210093783 A KR 1020210093783A KR 20210093783 A KR20210093783 A KR 20210093783A KR 102414528 B1 KR102414528 B1 KR 1024145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mmer
- oil
- unit
- wastewater
- storage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5—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gas bubbles or moving sol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되는 물과 오일이 저장되기 위한 폐수저장부, 상기 폐수저장부에 저장된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한 오일스키머부, 상기 폐수저장부에서 1차 스키밍된 액체를 저장시키기 위한 제2폐수저장부, 상기 제2폐수저장부에 저장된 액체에서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한 제2오일스키머부, 및 상기 오일스키머부와 제2오일스키머부에서 스키밍된 오일에서 물을 분리하기 위한 유수분리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발생되는 폐수를 집수하여 저수하며, 압축기체를 이용하여 집수된 폐수에서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이동시킬 수 있어 스키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발생되는 폐수를 집수하여 저수하며, 압축기체를 이용하여 집수된 폐수에서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이동시킬 수 있어 스키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수분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체를 이용하여 폐수에 포함된 오일을 물과 분리시키며 가이드하여 스키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 스키머(Skimmer)는 수면의 상층에 부유하는 오일과 물의 혼합물을 펌핑하고, 펌핑된 혼합물을 유수분리조 또는 여과조로 집수하여 오일은 제거하고 물은 다시 배출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오일 스키머는 각 산업현장에서 폐오일의 분리를 위한 기존 부양식 스키머로는 오일 스키밍하는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곤란하였다. 즉, 수면의 유동 또는 방해물 내지 펌프의 이상으로 펌프로 흡입하는 유량이 크게 되어 흡입 챔버가 비워지면 부력이 증가하여 위어립이 수면으로 부상해 버리거나 수면 아래로 잠수되어 대기중의 공기로 인한 공동현상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부유하는 오일을 효과적으로 펌핑하기가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 오일 스키머는 실용신안출원 제20-1994-29438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집유통을 기준으로 포유부를 사방에 고정배치하고, 이 포유부를 통해 물과 오일이 통과하여 집유통으로 집수하도록 하고 있다. 즉, 포유부는 부유와 집수를 동시에 수행하고, 동시에 집유통에서 상하로 작동가능하게 하는 로울러를 더 포함하여 수면의 물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포유부는 집유통의 부양을 위해서는 매우 바람직한 구성이나, 포유부를 통해 유입되는 혼합물의 수위라든지 혼합물의 유입에 따른 와류발생과 이로 인한 펌프의 성능저하 등은 고려치 않은 매우 소극적인 고안이었다.
특히, 탱크나 수조에 저수된 물과 오일이 정체되어 있을 경우, 스키밍을 부분적으로만 실시함에 따라, 오일 스키밍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물과 오일을 분리시키며 스키머로 가이드할 수 있게하여 스키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분리된 물의 오염도를 최소화시켜 환경오염 방지 및 정화처리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배출되는 물과 오일이 저장되기 위한 폐수저장부, 상기 폐수저장부에 저장된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한 오일스키머부, 상기 폐수저장부에서 1차 스키밍된 액체를 저장시키기 위한 제2폐수저장부, 상기 제2폐수저장부에 저장된 액체에서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한 제2오일스키머부, 및 상기 오일스키머부와 제2오일스키머부에서 스키밍된 오일에서 물을 분리하기 위한 유수분리부,를 포함하여 발생되는 폐수를 집수하여 저수하며, 압축기체를 이용하여 집수된 폐수에서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이동시킬 수 있어 스키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배출되는 물과 오일이 저장되기 위한 폐수저장부, 상기 폐수저장부에 저장된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한 오일스키머부, 상기 폐수저장부에서 1차 스키밍된 액체를 저장시키기 위한 제2폐수저장부, 상기 제2폐수저장부에 저장된 액체에서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한 제2오일스키머부, 및 상기 오일스키머부와 제2오일스키머부에서 스키밍된 오일에서 물을 분리하기 위한 유수분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폐수저장부는, 지중에 설치되는 폐수저장조, 다공을 갖고, 상기 폐수저장조를 덮는 폐수저장조덮개, 상기 폐수저장조로 오일이 포함된 폐수가 유입되기 위한 폐수유입부, 및 상기 오일스키머부에 의해 오일이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폐수배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폐수배출부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폐수배출관으로, 하단부가 상기 폐수저장조의 저면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처리수저장부의 상단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개방된 방향이 하단부의 개방된 방향과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폐수저장조의 수위가 상기 상단부 이상일 경우, 처리수를 상기 처리수저장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오일스키머부는, 상기 폐수저장조덮개에 구비되는 스키머몸체, 상기 스키머몸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키머상단롤러, 상기 폐수저장조의 액체에 담기도록 상기 스키머상단롤러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스키머하단롤러, 상기 스키머하단롤러와 스키머상단롤러에 연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폐수저장조의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한 스키머벨트, 상기 스키머상단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키머구동모터, 상기 스키머벨트의 면을 스크레이핑하여 스키밍된 액체를 상기 유수분리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핑부, 및 압축기체를 상기 폐수저장조의 수중에서 분사하여 유동시킴에 따라, 오일을 물과 분리시켜 부유되며, 부유하는 오일을 상기 스키머벨트로 유도하는 기포유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포유도부는, 산소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 일단부가 상기 폐수저장조의 수중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기체공급관, 및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기체를 상기 기체공급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체공급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기체를 저장하기 위한 기체저장탱크,를 더 포함하고, 기체저장탱크의 압축 기체는 기체공급밸브에 의해 기체공급관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스키머부는 폐수저장조의 일측 모서리에 위치되고, 상기 기체공급관의 일단부는 오일스키머부와 대각선 방향인 폐수저장조의 타측 모서리에 위치된다.
또한, 자중에 의해 상기 스키머상단롤러를 지나는 스키머벨트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스키머벨트의 회전력을 향상시키며, 스키머상단롤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키머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키머이탈방지부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공을 갖고, 상기 스키머몸체의 대면되는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 상기 스키머상단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이탈방지샤프트, 상기 이탈방지샤프트의 각 단부를 해당 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이탈방지승강롤러, 및 일정 중량을 갖고, 상기 스키머벨트의 양측단부를 스키머상단롤러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이탈방지샤프트에 구비되는 이탈방지가압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일스키머부는, 상기 폐수저장조의 수위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스키머상단롤러, 스키머하단롤러, 스키머벨트, 스키머구동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스키머몸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이동몸체, 및 상기 조절이동몸체를 승강시키기 위한 조절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폐수저장조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폐수수위센서, 및 상기 폐수수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조절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높이조절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레이핑부는, 상기 스키머벨트의 외측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한 외측스크레이퍼, 상기 스키머벨트의 내측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한 내측스크레이퍼, 및 상기 외측스크레이퍼와 내측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된 오일이 임시저장되도록 상기 스키머몸체에 구비되는 스크레이핑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측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은 상기 외측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되되, 상기 스키머상단롤러보다 외측에 위치되며, 외측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은 내측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보다 내측에 위치되어 회전되는 스키머벨트가 상기 내측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과 외측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에서 변곡되며 스크레이핑된다.
그리고 상기 폐수저장부에서 1차 스키밍된 액체를 저장시키기 위한 제2폐수저장부, 및 상기 제2폐수저장부에 저장된 액체에서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한 제2오일스키머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폐수저장부는, 지중에 설치되며, 상기 폐수저장부의 폐수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액체가 저장되기 위한 제2폐수저장조, 다공을 갖고, 상기 제2폐수저장조를 덮는 제2폐수저장조덮개, 및 상기 제2오일스키머부에 의해 오일이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2폐수배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폐수배출부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2폐수배출관으로, 하단부가 상기 제2폐수저장조의 저면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처리수저장부의 상단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개방된 방향이 하단부의 개방된 방향과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폐수저장조의 수위가 상기 상단부 이상일 경우, 처리수를 상기 처리수저장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상기 제2오일스키머부는, 상기 제2폐수저장조덮개에 구비되는 제2스키머몸체, 상기 제2스키머몸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스키머상단롤러, 상기 제2폐수저장조의 액체에 담기도록 상기 제2스키머상단롤러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제2스키머하단롤러, 상기 제2스키머하단롤러와 제2스키머상단롤러에 연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폐수저장조의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한 제2스키머벨트, 상기 제2스키머상단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스키머구동모터, 및 상기 제2스키머벨트의 면을 스크레이핑하여 스키밍된 액체를 상기 유수분리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2스크레이핑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포유도부는, 압축기체를 상기 제2폐수저장조의 수중에서 분사하여 유동시킴에 따라, 오일을 물과 분리시켜 부유되며, 부유하는 오일을 상기 제2스키머벨트로 유도한다.
또한, 자중에 의해 상기 제2스키머상단롤러를 지나는 제2스키머벨트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제2스키머벨트의 회전력을 향상시키며, 제2스키머상단롤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스키머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키머이탈방지부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공을 갖고, 상기 제2스키머몸체의 대면되는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 상기 제2스키머상단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제2이탈방지샤프트, 상기 제2이탈방지샤프트의 각 단부를 해당 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제2이탈방지승강롤러, 및 일정 중량을 갖고, 상기 제2스키머벨트의 양측단부를 제2스키머상단롤러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2이탈방지샤프트에 구비되는 제2이탈방지가압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오일스키머부는, 상기 제2폐수저장조의 수위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높이조절부는, 상기 제2스키머상단롤러, 제2스키머하단롤러, 제2스키머벨트, 제2스키머구동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2스키머몸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조절이동몸체, 및 상기 제2조절이동몸체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2조절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높이조절부는, 상기 제2폐수저장조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제2폐수수위센서, 및 상기 제2폐수수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조절구동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2높이조절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스크레이핑부는, 상기 제2스키머벨트의 외측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한 제2외측스크레이퍼, 상기 제2스키머벨트의 내측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한 제2내측스크레이퍼, 및 상기 제2외측스크레이퍼와 제2내측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된 오일이 임시저장되도록 상기 제2스키머몸체에 구비되는 제2스크레이핑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내측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은 상기 제2외측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되되, 상기 제2스키머상단롤러보다 외측에 위치되며, 제2외측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은 제2내측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보다 내측에 위치되어 회전되는 제2스키머벨트가 상기 제2내측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과 제2외측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에서 변곡되며 스크레이핑된다.
그리고 상기 유수분리부는, 스크레이핑저장부에 저장된 오일이 공급되되, 공급된 오일에서 물이 하측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물은 일정 수위 이상될 경우, 상기 폐수저장조로 유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에 의하면, 발생되는 폐수를 집수하여 저수하며, 압축기체를 이용하여 집수된 폐수에서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시켜 이동시킬 수 있어 스키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스키머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핑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스키머부에 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오일스키머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크레이핑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오일스키머부에 제2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저장부와 PH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스키머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핑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스키머부에 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오일스키머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크레이핑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오일스키머부에 제2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저장부와 PH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스키머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핑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스키머부에 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오일스키머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크레이핑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오일스키머부에 제2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저장부와 PH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은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은 폐수저장부(100)와 오일스키머부(200), 제2폐수저장부(600), 제2오일스키머부(700) 및 유수분리부(300)를 더 포함한다.
폐수저장부(100)는 배출되는 물과 오일이 저장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오일스키머부(200)는 폐수저장부(100)에 저장된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2폐수저장부(600)는 폐수저장부(100)에서 1차 스키밍된 액체를 저장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오일스키머부(700)는 제2폐수저장부(600)에 저장된 액체에서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해 구비된다.
유수분리부(300)는 오일스키머부(200)와 제2오일스키머부(700)에서 스키밍된 오일에서 물을 분리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한, 폐수저장부(100)는 폐수저장조(110)와 폐수저장조덮개(120), 폐수유입부(130) 및 폐수배출부(140)를 포함한다.
폐수저장조(110)는 지중에 설치되며, 상측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폐수저장조덮개(120)는 다공을 갖고, 폐수저장조(110)를 덮도록 구비된다.
폐수유입부(130)는 폐수저장조(110)로 오일이 포함된 폐수가 유입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폐수배출부(140)는 오일스키머부(200)에 의해 오일이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폐수배출부(14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폐수배출관(142)으로, 하단부가 폐수저장조(110)의 저면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단부가 처리수저장부(400)의 상단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단부는 개방된 방향이 하단부의 개방된 방향과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폐수저장조(110)의 수위가 상단부 이상일 경우, 처리수를 처리수저장부(400)로 배출시킨다.
이는, 폐수저장조(110)에 저수된 수위가 폐수배출관(142)의 상단부보다 높게 채워질 경우,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오일스키머부(2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키머몸체(210)와 스키머상단롤러(220), 스키머하단롤러(230), 스키머벨트(240), 스키머구동모터(250), 스크레이핑부(260) 및 기포유도부(270)를 포함한다.
스키머몸체(210)는 폐수저장조덮개(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폐수저장조덮개(120) 상측에 구비되거나 관통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스키머상단롤러(220)는 스키머몸체(2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스키머하단롤러(230)는 폐수저장조(110)의 액체에 담기도록 스키머상단롤러(220)의 하측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스키머벨트(240)는 스키머하단롤러(230)와 스키머상단롤러(220)에 연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폐수저장조(110)의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해 구비된다.
스키머구동모터(250)는 스키머상단롤러(22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스크레이핑부(260)는 스키머벨트(240)의 면을 스크레이핑하여 스키밍된 액체를 유수분리부(300)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기포유도부(270)는 압축기체를 폐수저장조(110)의 수중에서 분사하여 유동시킴에 따라, 오일을 물과 분리시켜 부유되며, 부유하는 오일을 스키머벨트(240)로 유도한다.
이러한 기포유도부(270)는 압축기(272)와 기체공급관(274) 및 기체공급밸브(276)를 포함한다.
압축기(272)는 산소를 압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기체공급관(274)은 일단부가 폐수저장조(110)의 수중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압축기(272)에 연결된다.
기체공급밸브(276)는 압축기(272)에서 압축된 기체를 기체공급관(274)으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압축산소를 수중에서 분사하여 기포를 발생시킴에 따라, 수중에서 오일을 물과 분리시키며 유동시킨다.
여기서, 폐수가 폐차장에서 발생될 경우, 먼지 등의 이물질도 포함되는 것으로, 기포유도부(270)에 의해 이물질을 부상시킬 수 있어 폐수저장조(110)의 저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기포유도부(270)는 기체저장탱크(278)를 더 포함한다.
이 기체저장탱크(278)는 압축기(272)에서 압축된 기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기체저장탱크(278)의 압축 기체는 기체공급밸브(276)에 의해 기체공급관(274)으로 공급된다.
오일스키머부(200)는 폐수저장조(110)의 일측 모서리에 위치되고, 기체공급관(274)의 일단부는 오일스키머부(200)와 대각선 방향인 폐수저장조(110)의 타측 모서리에 위치된다.
이에, 폐수저장조(110)에 저수된 폐수가 오일스키머부(200)방향으로 가이드된다.
그리고 오일스키머부(200)는 스키머이탈방지부(280)를 더 포함한다.
이 스키머이탈방지부(280)는 자중에 의해 스키머상단롤러(220)를 지나는 스키머벨트(24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스키머벨트(240)의 회전력을 향상시키며, 스키머상단롤러(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스키머이탈방지부(280)는 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282)과 이탈방지샤프트(284), 이탈방지승강롤러(286) 및 이탈방지가압롤러(288)를 포함한다.
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282)은 한 쌍으로,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공(283)을 갖고, 스키머몸체(210)의 대면되는 양면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이탈방지샤프트(284)는 스키머상단롤러(220)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탈방지승강롤러(286)는 이탈방지샤프트(284)의 각 단부를 해당 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282)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그리고 이탈방지가압롤러(288)는 일정 중량을 갖고, 스키머벨트(240)의 양측단부를 스키머상단롤러(220)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이탈방지샤프트(284)에 구비된다.
이러한 이탈방지가압롤러(288)에 의해 스키머벨트(240)와 스키머상단롤러(220)의 압착력이 증가되어 일정한 회전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크레이핑부(26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스크레이퍼(262)와 내측스크레이퍼(264) 및 스크레이핑저장부(266)를 포함한다.
외측스크레이퍼(262)는 스키머벨트(240)의 외측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내측스크레이퍼(264)는 스키머벨트(240)의 내측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해 구비된다.
스크레이핑저장부(266)는 외측스크레이퍼(262)와 내측스크레이퍼(264)에 의해 스크레이핑된 오일이 임시저장되도록 스키머몸체(210)에 구비된다.
여기서, 내측스크레이퍼(264)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은 외측스크레이퍼(262)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되되, 스키머상단롤러(220)보다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외측스크레이퍼(262)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은 내측스크레이퍼(264)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보다 내측에 위치되어 회전되는 스키머벨트(240)가 내측스크레이퍼(264)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과 외측스크레이퍼(262)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에서 변곡되며 스크레이핑된다.
여기서, 오일스키머부(2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부(290)를 더 포함한다.
이 높이조절부(290)는 폐수저장조(110)의 수위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290)는 조절이동몸체(292)와 조절구동부(294)를 포함한다.
조절이동몸체(292)는 스키머상단롤러(220), 스키머하단롤러(230), 스키머벨트(240), 스키머구동모터(250)가 구비되며, 스키머몸체(210)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조절구동부(294)는 조절이동몸체(292)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높이조절부(290)는 폐수수위센서(296)와 높이조절제어부(298)를 더 포함한다.
폐수수위센서(296)는 폐수저장조(110)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높이조절제어부(298)는 폐수수위센서(296)의 신호를 수신하여 조절구동부(294)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오일스키머부(200)는 폐수저장조(110)의 수위에 대응하여 위치가 조절되어 오일을 스키밍할 수 있다.
그리고 폐수저장조(110)의 폐수는 폐수배출부(140)의 배출 수위까지 저수되어야 배출됨에 따라, 그 전까지 반복적으로 오일을 스키밍할 수 있어 폐수의 오일 스키밍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폐수저장부(600)는 제2폐수저장조(610)와 제2폐수저장조덮개(620) 및 제2폐수배출부(630)를 포함한다.
제2폐수저장조(610)는 지중에 설치되며, 폐수저장부(100)의 폐수배출부(140)에서 배출되는 액체가 저장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폐수저장조덮개(620)는 다공을 갖고, 제2폐수저장조(610)를 덮도록 구비된다.
제2폐수배출부(630)는 제2오일스키머부(700)에 의해 오일이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제2폐수배출부(63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2폐수배출관(632)으로, 하단부가 제2폐수저장조(610)의 저면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단부가 처리수저장부(300)의 상단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폐수배출관(632)의 상단부 개방된 방향이 하단부의 개방된 방향과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제2폐수저장조(610)의 수위가 상단부 이상일 경우, 처리수를 처리수저장부(300)로 배출시킨다.
제2오일스키머부(70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스키머몸체(710)와 제2스키머상단롤러(720), 제2스키머하단롤러(730), 제2스키머벨트(740), 제2스키머구동모터(750) 및 제2스크레이핑부(760)를 포함한다.
제2스키머몸체(710)는 제2폐수저장조덮개(6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2폐수저장조덮개(620) 상측에 구비되거나 관통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2스키머상단롤러(720)는 제2스키머몸체(7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2스키머하단롤러(730)는 제2폐수저장조(610)의 액체에 담기도록 제2스키머상단롤러(720)의 하측으로 위치된다.
또한 제2스키머벨트(740)는 제2스키머하단롤러(730)와 제2스키머상단롤러(720)에 연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폐수저장조(610)의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2스키머구동모터(750)는 제2스키머상단롤러(72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스크레이핑부(760)는 제2스키머벨트(740)의 면을 스크레이핑하여 스키밍된 액체를 유수분리부(200)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오일스키머부(700)는 기포유도부(270)에 의해 압축기체가 공급되어 물과 오일을 분리하여 가이드한다.
이 기포유도부(270)는 압축기체를 제2폐수저장조(610)의 수중에서 분사하여 유동시킴에 따라, 오일을 물과 분리시켜 부유되며, 부유하는 오일을 제2스키머벨트(740)로 유도한다.
그리고 제2오일스키머부(700)는 제2스키머이탈방지부(780)를 더 포함한다.
이 제2스키머이탈방지부(780)는 자중에 의해 제2스키머상단롤러(720)를 지나는 제2스키머벨트(74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제2스키머벨트(740)의 회전력을 향상시키며, 제2스키머상단롤러(7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제2스키머이탈방지부(780)는 제2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782)과 제2이탈방지샤프트(784), 제2이탈방지승강롤러(786) 및 제2이탈방지가압롤러(788)를 포함한다.
제2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782)은 한 쌍으로,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공을 갖고, 제2스키머몸체(710)의 대면되는 양면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제2이탈방지샤프트(784)는 제2스키머상단롤러(620)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2이탈방지승강롤러(786)는 제2이탈방지샤프트(784)의 각 단부를 해당 제2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782)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또한 제2이탈방지가압롤러(788)는 일정 중량을 갖고, 제2스키머벨트(740)의 양측단부를 제2스키머상단롤러(620)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제2이탈방지샤프트(784)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이탈방지가압롤러(788)에 의해 제2스키머벨트(740)와 제2스키머상단롤러(620)의 압착력이 증가되어 일정한 회전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스크레이핑부(760)는 제2외측스크레이퍼(762)와 제2내측스크레이퍼(764) 및 제2스크레이핑저장부(76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외측스크레이퍼(762)는 제2스키머벨트(740)의 외측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2내측스크레이퍼(764)는 제2스키머벨트(740)의 내측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스크레이핑저장부(766)는 제2외측스크레이퍼(762)와 제2내측스크레이퍼(764)에 의해 스크레이핑된 오일이 임시저장되도록 제2스키머몸체(710)에 구비된다.
여기서, 제2내측스크레이퍼(764)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은 제2외측스크레이퍼(762)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되되, 제2스키머상단롤러(720)보다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2외측스크레이퍼(762)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은 제2내측스크레이퍼(764)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보다 내측에 위치되어 회전되는 제2스키머벨트(740)가 제2내측스크레이퍼(764)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과 제2외측스크레이퍼(762)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에서 변곡되며 스크레이핑된다.
여기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오일스키머부(700)는 제2높이조절부(790)를 더 포함한다.
이 제2높이조절부(790)는 제2폐수저장조(610)의 수위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제2높이조절부(790)는 제2조절이동몸체(792)와 제2조절구동부(794)를 포함한다.
제2조절이동몸체(792)는 제2스키머상단롤러(720), 제2스키머하단롤러(730), 제2스키머벨트(740), 제2스키머구동모터(750)가 구비되며, 제2스키머몸체(710)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제2조절구동부(794)는 제2조절이동몸체(792)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높이조절부(790)는 제2폐수수위센서(796)와 제2높이조절제어부(798)를 더 포함한다.
제2폐수수위센서(796)는 제2폐수저장조(610)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높이조절제어부(798)는 제2폐수수위센서(796)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2조절구동부(794)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제2오일스키머부(700)는 제2폐수저장조(610)의 수위에 대응하여 위치가 조절되어 오일을 스키밍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폐수저장조(610)의 폐수는 제2폐수배출부(630)의 배출 수위까지 저수되어야 배출됨에 따라, 그 전까지 반복적으로 오일을 스키밍할 수 있어 폐수의 오일 스키밍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수분리부(300)는 스크레이핑저장부(266)에 저장된 오일이 공급되되, 공급된 오일에서 물이 하측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물은 일정 수위 이상될 경우, 폐수저장조(210)로 유입된다.
이에, 분리된 오일에 존재하는 물이 다시 분리되어 폐수저장조(210)와 제2폐수저장조(61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순환됨에 따라, 폐수저장조(210)와 제2폐수저장조(610)의 폐수를 희석시켜 오일 스키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폐수저장조(610)의 폐수는 제2폐수배출부(630)의 배출 수위까지 저수되어야 배출됨에 따라, 그 전까지 반복적으로 오일을 스키밍할 수 있어 폐수의 오일 스키밍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수저장부(40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처리수저장부(410)와 제2처리수저장부(420)를 포함한다.
제1처리수저장부(410)는 폐수저장부(100)을 통해 오일이 분리된 처리수가 저수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처리수저장부(420)는 제1처리수저장부(410)에서 이송되는 처리수가 저수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1처리수저장부(410)는 제1처리수저장조(412)와 제1처리수저장조덮개(414) 및 제1처리수배출부(416)를 포함한다.
제1처리수저장조(412)는 폐수저장부(100)에서 이송되는 처리수가 저장되기 위해 구비된다.
물론, 제2폐수저장부(600)가 포함될 경우, 제2폐수저장부(600)에서 이송되는 처리수가 저장되기 위해 구비됨이 당연하다.
또한 제1처리수저장조덮개(414)는 다공을 갖고, 제1처리수저장조(412)를 덮도록 구비된다.
제1처리수배출부(416)는 제1처리수저장조(412)에 저수된 처리수가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제1처리수배출부(416)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1처리수배출관(4162)으로, 하단부가 제1처리수저장조(412)의 저면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단부가 제2처리수저장부(420)의 상단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처리수배출관(4162)의 상단부 개방된 방향이 하단부의 개방된 방향과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제2폐수저장조(610)의 수위가 상기 상단부 이상일 경우, 처리수를 제2처리수저장부(420)로 배출시킨다.
제2처리수저장부(420)는 제2처리수저장조(422)와 제2처리수저장조덮개(424) 및 제2처리수배출부(426)를 포함한다.
제2처리수저장조(422)는 제1처리수저장조(412)에서 이송되는 처리수가 저장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처리수저장조덮개(424)는 다공을 갖고, 제2처리수저장조(422)를 덮도록 구비된다.
제2처리수배출부(426)는 제2처리수저장조(422)에 저수된 처리수가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제2처리수배출부(426)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2처리수배출관(4262)으로, 하단부가 제2처리수저장조(422)의 저면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2처리수저장조의 상단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2처리수배출관(4262)의 상단부 개방된 방향이 하단부의 개방된 방향과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제2폐수저장조(610)의 수위가 상기 상단부 이상일 경우, 처리수를 배출시킨다.
그리고 PH조절부(500)는 PH측정부(510)와 조절흡입부(520), 조절배출부(530) 및 약액공급부(540)를 포함한다.
PH측정부(510)는 처리수의 PH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조절흡입부(520)는 PH측정부(510)로 제1처리수저장조(412)에 저수된 처리수를 흡입하기 위해 구비된다.
조절배출부(530)는 PH측정부(510)를 거친 처리수를 제2처리수저장조(422)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약액공급부(540)는 PH측정부(510)에 의해 측정된 PH가 배출 기준범위에 속하도록 약액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처리수저장부(400)에 저수된 PH를 하수로 배출할 수 있는 정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폐수저장부 110 : 폐수저장조
120 : 폐수저장조덮개 130 : 폐수유입부
140 : 폐수배출부 200 : 오일스키머부
210 : 스키머몸체 220 : 스키머상단롤러
230 : 스키머하단롤러 240 : 스키머벨트
250 : 스키머구동모터 260 : 스크레이핑부
270 : 기포유도부 280 : 스키머이탈방지부
300 : 유수분리부 400 : 처리수저장부
500 : PH조절부 600 : 제2폐수저장부
610 : 제2폐수저장조 620 : 제2폐수저장조덮개
630 : 제2폐수배출부 700 : 제2오일스키머부
710 : 제2스키머몸체 720 : 제2스키머상단롤러
730 : 제2스키머하단롤러 740 : 제2스키머벨트
750 : 제2스키머구동모터 760 : 제2스크레이핑부
780 : 제2스키머이탈방지부
120 : 폐수저장조덮개 130 : 폐수유입부
140 : 폐수배출부 200 : 오일스키머부
210 : 스키머몸체 220 : 스키머상단롤러
230 : 스키머하단롤러 240 : 스키머벨트
250 : 스키머구동모터 260 : 스크레이핑부
270 : 기포유도부 280 : 스키머이탈방지부
300 : 유수분리부 400 : 처리수저장부
500 : PH조절부 600 : 제2폐수저장부
610 : 제2폐수저장조 620 : 제2폐수저장조덮개
630 : 제2폐수배출부 700 : 제2오일스키머부
710 : 제2스키머몸체 720 : 제2스키머상단롤러
730 : 제2스키머하단롤러 740 : 제2스키머벨트
750 : 제2스키머구동모터 760 : 제2스크레이핑부
780 : 제2스키머이탈방지부
Claims (10)
- 배출되는 물과 오일이 저장되기 위한 폐수저장부;
상기 폐수저장부에 저장된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한 오일스키머부;
상기 폐수저장부에서 1차 스키밍된 액체를 저장시키기 위한 제2폐수저장부;
상기 제2폐수저장부에 저장된 액체에서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한 제2오일스키머부; 및
상기 오일스키머부와 제2오일스키머부에서 스키밍된 오일에서 물을 분리하기 위한 유수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폐수저장부는,
지중에 설치되는 폐수저장조;
다공을 갖고, 상기 폐수저장조를 덮는 폐수저장조덮개;
상기 폐수저장조로 오일이 포함된 폐수가 유입되기 위한 폐수유입부; 및
상기 오일스키머부에 의해 오일이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폐수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일스키머부는,
상기 폐수저장조덮개에 구비되는 스키머몸체;
상기 스키머몸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키머상단롤러;
상기 폐수저장조의 액체에 담기도록 상기 스키머상단롤러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스키머하단롤러;
상기 스키머하단롤러와 스키머상단롤러에 연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폐수저장조의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한 스키머벨트;
상기 스키머상단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키머구동모터;
상기 스키머벨트의 면을 스크레이핑하여 스키밍된 액체를 상기 유수분리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핑부;
압축기체를 상기 폐수저장조의 수중에서 분사하여 유동시킴에 따라, 오일을 물과 분리시켜 부유되며, 부유하는 오일을 상기 스키머벨트로 유도하는 기포유도부;
자중에 의해 상기 스키머상단롤러를 지나는 스키머벨트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스키머벨트의 회전력을 향상시키며, 스키머상단롤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키머이탈방지부; 및
상기 폐수저장조의 수위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키머이탈방지부는,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공을 갖고, 상기 스키머몸체의 대면되는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
상기 스키머상단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이탈방지샤프트;
상기 이탈방지샤프트의 각 단부를 해당 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이탈방지승강롤러; 및
일정 중량을 갖고, 상기 스키머벨트의 양측단부를 스키머상단롤러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이탈방지샤프트에 구비되는 이탈방지가압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스키머상단롤러, 스키머하단롤러, 스키머벨트, 스키머구동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스키머몸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절이동몸체; 및
상기 조절이동몸체를 승강시키기 위한 조절구동부;를 포함하는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핑부는,
상기 스키머벨트의 외측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한 외측스크레이퍼;
상기 스키머벨트의 내측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한 내측스크레이퍼; 및
상기 외측스크레이퍼와 내측스크레이퍼에 의해 스크레이핑된 오일이 임시저장되도록 상기 스키머몸체에 구비되는 스크레이핑저장부;를 포함하는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유도부는,
산소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
일단부가 상기 폐수저장조의 수중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기체공급관; 및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기체를 상기 기체공급관으로 공급하기 위한 기체공급밸브;를 포함하는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폐수저장부는,
지중에 설치되며, 상기 폐수저장부의 폐수배출부에서 배출되는 액체가 저장되기 위한 제2폐수저장조;
다공을 갖고, 상기 제2폐수저장조를 덮는 제2폐수저장조덮개; 및
상기 제2오일스키머부에 의해 오일이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제2폐수배출부;를 포함하는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3783A KR102414528B1 (ko) | 2021-07-16 | 2021-07-16 |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93783A KR102414528B1 (ko) | 2021-07-16 | 2021-07-16 |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14528B1 true KR102414528B1 (ko) | 2022-06-28 |
Family
ID=8226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3783A KR102414528B1 (ko) | 2021-07-16 | 2021-07-16 |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4528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9911Y1 (ko) * | 1999-11-24 | 2000-04-15 |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 벨트스키머용 벨트의 미끄럼 방지 장치 |
KR20010084876A (ko) * | 2000-02-29 | 2001-09-06 | 김태종 | 절삭유 부패방지장치 |
KR200249707Y1 (ko) * | 2001-07-10 | 2001-11-17 | 주식회사 한국메이후란 | 벨트오일 스키머 |
KR100982203B1 (ko) * | 2010-06-07 | 2010-09-14 | (주)클레슨 |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
KR20190050511A (ko) * | 2017-11-03 | 2019-05-13 | 주식회사 아이엔테크 | 오일 스키머 |
-
2021
- 2021-07-16 KR KR1020210093783A patent/KR1024145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9911Y1 (ko) * | 1999-11-24 | 2000-04-15 |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 벨트스키머용 벨트의 미끄럼 방지 장치 |
KR20010084876A (ko) * | 2000-02-29 | 2001-09-06 | 김태종 | 절삭유 부패방지장치 |
KR200249707Y1 (ko) * | 2001-07-10 | 2001-11-17 | 주식회사 한국메이후란 | 벨트오일 스키머 |
KR100982203B1 (ko) * | 2010-06-07 | 2010-09-14 | (주)클레슨 | 멀티형 유수 분리장치 |
KR20190050511A (ko) * | 2017-11-03 | 2019-05-13 | 주식회사 아이엔테크 | 오일 스키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1786B1 (ko) | 해양 유출 기름 분리 회수 장치 | |
US8691097B2 (en) | Solids removal system and method | |
KR102390494B1 (ko) | 기포 오일스키머 | |
WO1999034894A1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a low density liquid from a high density liquid | |
KR102414528B1 (ko) |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 |
KR102390495B1 (ko) |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 |
JP2001162106A (ja) | 油水分離装置 | |
CN205435067U (zh) | 一种移动式浮油回收和油水分离装置 | |
KR102246268B1 (ko) | 기포사이즈가 상이한 다단수중 미세기포 발생장치와 산화성 가스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 |
CN219792602U (zh) | 含油污水撇油设备 | |
JP3092013B2 (ja) | 油水分離装置 | |
KR100854563B1 (ko) | 응축수탱크 및 응축수탱크 일체형 유수분리기 | |
KR20050077178A (ko) | 부력 부상수문 및 수문부상형 유수분리시스템 | |
JP4194469B2 (ja) | 油水分離装置 | |
CN212050879U (zh) | 一种油田修井废液处理装置 | |
KR200359700Y1 (ko) | 부유물 수집기 | |
CN113117383A (zh) | 破乳式油水分离系统及方法 | |
CN221855473U (zh) | 一种真空式收油机 | |
CN213475565U (zh) | 一种箱式油水分离装置 | |
CN113265977B (zh) | 一种水闸、泵站联合排涝系统 | |
CN116924514B (zh) | 一种油田污水处理用环保型沉降罐及油田污水处理系统 | |
KR100758345B1 (ko) | 부유물 수집장치 | |
KR102573240B1 (ko) | 녹조 흡입기 및 이를 활용한 녹조 회수장치 | |
CA2752963A1 (en) | Solids removal system and method | |
JP2960854B2 (ja) | 油の回収分離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