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402438B1 - 안테나 장착 장치 및 비행체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착 장치 및 비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438B1
KR102402438B1 KR1020210144577A KR20210144577A KR102402438B1 KR 102402438 B1 KR102402438 B1 KR 102402438B1 KR 1020210144577 A KR1020210144577 A KR 1020210144577A KR 20210144577 A KR20210144577 A KR 20210144577A KR 102402438 B1 KR102402438 B1 KR 102402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hell
aircraft
mounting devi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4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철
Original Assignee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4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36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adapted to receive antennas or rado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H01Q1/276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for mounting on helm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행체의 외피의 외부면에 배치되고, 안테나를 안착하기 위한 받침부와, 받침부와 정렬되도록 비행체의 외피의 내부면에 배치되는 고정부와, 안테나를 비행체의 외피에 고정하기 위해 받침부와 고정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부와, 비행체의 외피의 외부면을 실링하기 위해 비행체의 외피와 받침부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착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로서, 외피에 안테나를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는 안테나 장착 장치 및 비행체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착 장치 및 비행체{ANTENNA MOUNTING APPARATUS AND AERO VEHICLE}
본 발명은 안테나 장착 장치 및 비행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피에 안테나를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는 안테나 장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
피아식별기는 항공기에서 감지되는 미확인 플랫폼에 대한 피아식별을 수행하기 위해 항공기에 탑재되는 장비이다. 피아식별기는 질문을 담은 신호를 미확인 플랫폼에 송신한다. 또한, 피아식별기는 미확인 플랫폼이 질문 신호에 응답하지 않거나, 약속된 응답 신호와 다른 신호를 응답하는 경우, 미확인 플랫폼을 아군이 아닌 것으로 간주한다. 이를 위해 피아식별기는 질문 신호의 송신과 응답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안테나를 구비한다. 이때, 안테나는 항공기의 외피에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항공기의 일종인 헬리콥터에 피아식별기가 탑재되는 경우, 안테나는 헬리콥터의 후방으로 연장된 테일 붐에 설치된다. 예컨대 종래에는 하나의 안테나가 헬리콥터의 테일 붐의 하부면에 장착되었다.
한편, 종래의 피아식별기는 하나의 안테나로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하였으나, 최근 암호화 기술의 발달로 인해 피아식별기가 송수신하는 신호의 체계가 복잡해짐에 따라, 원활하게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안테나의 개수가 증가하였다.
이때, 최근 제작되는 헬리콥터는 설계 시점부터 피아식별기의 안테나 개수가 반영되었으나, 기존에 운용중인 헬리콥터는 피아식별기의 신호 체계를 업데이트 하면서 안테나의 개수를 증가시켜야 한다. 즉, 헬리콥터의 외피의 일부를 절단하고, 신규 안테나를 장착해야 한다, 하지만 헬리콥터는 비행 시 상당한 공기저항을 받기 때문에, 신규 안테나를 장착하기 위해 헬리콥터의 외피에 설치되는 구조물에 대한 구조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하기의 특허문헌에 게재되어 있다.
KR 10-2008-0025364 A KR 10-1559933 B1
본 발명은 비행체의 외피에 안테나를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안테나 장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행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는, 비행체의 외피의 외부면에 배치되고, 안테나를 안착하기 위한 받침부; 상기 받침부와 정렬되도록 비행체의 외피의 내부면에 배치되는 고정부; 안테나를 비행체의 외피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부; 및 비행체의 외피의 외부면을 실링하기 위해 비행체의 외피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한다.
안테나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에 배치되는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비행체의 외피의 외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부가 지지되며, 상기 받침부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고정부는 각각의 전후방향의 길이가 각각의 좌우방향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안테나의 전후방향의 길이 및 좌우방향의 폭은 상기 받침부의 전후방향의 길이 및 좌우방향의 폭보다 작고, 상기 받침부의 전후방향의 길이 및 좌우방향의 폭은 상기 고정부의 전후방향의 길이 및 좌우방향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의 상하방향의 두께는 상기 고정부의 상하방향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비행체의 외피와 상기 보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부의 전후방향의 길이 및 좌우방향의 폭은 상기 보강부의 전후방향의 길이 및 좌우방향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는, 안테나를 안착시키기 위한 상기 받침부의 안착면에 배치되는 안테나 차폐부; 비행체의 외피에 지지되기 위한 상기 받침부의 지지면에 배치되는 외피 차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차폐부의 에지는 안테나의 에지와 상하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외피 차폐부의 에지는 상기 받침부의 에지와 상하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받침부와 상기 실링부와 비행체의 외피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1 장착부재; 및 안테나와 상기 받침부와 상기 실링부와 비행체의 외피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2 장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부재 및 상기 제2 장착부재 각각은 상기 안테나의 중심에서 전후방향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씩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상기 제1 장착부재와 상기 제2 장착부재가 번갈아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부재는 상기 안테나의 전방 및 후방에서 직선 형태 및 삼각형 형태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 장착부재는 상기 안테나의 중심의 전후방향의 양측에서 각각 삼각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는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가 좌우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가 좌우방향으로 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비행체는, 비행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동체의 외형을 유지하기 위한 외피; 상기 동체의 후방 하부에서 상기 외피에 설치되는 제1안테나; 상기 동체의 후방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외피의 외부면에 지지되는 제2안테나; 상기 제2안테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외피에 설치되고, 상기 제2안테나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외피의 외부면 및 내부면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피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 각각 접촉되며, 상기 외피의 외부면을 실링하는 안테나 장착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1안테나는, 상기 외피의 외주면을 따라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테나는, 상기 외피의 외주면을 따라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베이스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사부 및 상기 제2방사부는 상기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각각의 외측면이 상기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 각각에 대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동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상기 안테나 장착 장치의 내부 몸체와, 상기 외피와, 상기 안테나 장착 장치의 외부 몸체와 상기 제2안테나의 제2베이스부 순서로 위치함에 의해, 일체화된 샌드위치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에는 상기 안테나 장착 장치의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를 연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은 상기 샌드위치 구조를 위한 코어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베이스부의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정렬되며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몸체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상기 외피의 외부면와 상기 제2방사부 사이에 복수의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단차 중 적어도 하나의 단차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안테나가 장착된 안테나 장착 장치를 비행체의 외피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 각각 접촉시킬 수 있고, 비행체의 비행 시에 안테나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비행체의 외피의 외부면 및 내부면으로 안정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안테나 장착 장치의 장착으로 인한 비행체의 구조 안정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안테나 장착 장치가 장착된 비행체 외피의 안테나 장착 부위의 구조강도에 대한 안전여유(margin of safety)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장착 장치를 이용하여 비행체의 외피의 안테나 장착 부위와 안테나 간의 통전을 차단할 수 있고, 해당 부위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통전 및 부식으로 인한 안테나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부터 해당 안테나가 적용되는 피아식별기의 질문 신호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는 것과, 응답 신호의 수신 감도가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의 일 예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의 부분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의 후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의 전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의 받침부 및 고정부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가 장착된 비행체의 구조강도를 해석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가 장착된 비행체의 방향안정성을 분석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가 장착된 비행체의 공력 계수를 분석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가 장착된 비행체의 추력 증가량을 분석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안테나 장착 장치 및 비행체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안테나 장착 장치 및 비행체가 헬리콥터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 및 비행체는 전투기 및 드론봇 등 다양한 종류의 비행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의 일 예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10)는 군용 및 민간용 등의 용도로 운용되는 헬리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비행체(10)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10)는, 외형을 유지하기 위한 외피(110)를 구비하며, 비행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동체(100), 동체(100)의 후방 하부에서 외피(110)에 설치되는 제1안테나(300), 동체(100)의 후방 상부에 배치되고 외피(110)의 외부면에 지지되는 제2안테나(400), 및 제2안테나(400)를 고정하기 위해 외피(110)에 설치되고 제2안테나(4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외피(110)의 외부면 및 내부면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외피(110)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 각각 접촉되며, 외피(110)의 외부면을 실링하는 안테나 장착 장치(5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행체(10)는, 동체(100)의 내부에 탑재되고, 제1안테나(300) 및 제2안테나(400)와 연결되는 피아식별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체(100)는,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메인 로터가 구비되고, 하부에 랜딩 기어가 구비되는 메인 동체, 및 메인 동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방 단부에 테일 로터가 구비되는 테일 붐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동체의 내부에는 피아식별기(200)가 탑재될 수 있고, 테일 붐에는 제1안테나(300) 및 제2안테나(400)가 설치될 수 있다. 외피(110)는 메인 동체 및 테일 붐의 외형을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외피(110)로서, 그 구조와 재질은 다양할 수 있다.
피아식별기(200)는 신호 처리기(미도시), 질문기(미도시) 및 응답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피아식별기는 비행체(10)의 임무 수행 시에 제1안테나(300) 및 제2안테나(400)를 이용하여 질문 신호 및 응답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고, 이로부터 피아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제1안테나(300)는 동체(100)의 후방 하부에서 테일 붐의 외피(1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안테나(300)는 비행체(10)의 개발 단계에서 설계되어 비행체(10)의 제작 시 테일 붐의 외피(110)에 설치되는 안테나로서, 비행체(10)의 운용 범위 내에서 비행체(10)의 안전을 위한 검증 절차를 통과한 안테나일 수 있다. 제1안테나(300)의 고정을 위한 프레임 조립체(미도시)는 예컨대 테일 붐의 외피(110)에 내장되거나, 테일 붐의 외피(11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안테나(300)는, 외피(110)의 외주면을 따라 전후방향(X) 및 좌우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1베이스부(310)와, 제1베이스부(31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방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이스부(310)는 전후방향(X)의 길이가 좌우방향(Y)의 폭보다 큰 장방형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제1베이스부(310)는 상면이 외피(1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베이스부(310)의 하면에는 제1방사부(32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방사부(320)는 제1베이스부(310)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외측면이 제1베이스부(310)에 대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1방사부(32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복사소자가 형성되는 기판과, 기판에 연결되는 전력분배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복사소자의 배치와, 전력분배기의 구조는 다양할 수 있다.
제2안테나(400)는 동체(100)의 후방 상부에서 테일 붐의 외피(110)의 외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제2안테나(400)는 비행체(10)의 운용 중에, 피아식별기의 신호 체계를 업데이트하며 비행체(10)에 추가 설치되는 안테나일 수 있다. 예컨대 제2안테나(400)를 추가 안테나 혹은 신규 안테나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제2안테나(400)는, 외피(110)의 외주면을 따라 전후방향(X) 및 좌우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2베이스부(410)와, 제2베이스부(4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방사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베이스부(410)는 안테나 장착 장치(500)의 후술하는 받침부(5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베이스부(410)는 전후방향(X)의 길이가 좌우방향(Y)의 폭보다 큰 장방형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제2베이스부(410)의 상면에 제2방사부(420)가 장착될 수 있다. 제2방사부(420)는 제2베이스부(410)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외측면이 제2베이스부(410)에 대해 전후방향(X) 및 좌우방향(Y)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제2방사부(420)는 내부에 복수개의 복사소자가 형성되는 기판과, 기판에 연결되는 전력분배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복사소자의 배치와, 전력분배기의 구조는 다양할 수 있다.
제2안테나(400)의 장착으로 인한 비행체(10)의 구조 안정성 저하를 방지하고 외피(110)의 제2안테나 장착 부위와 제2안테나(400) 간의 통전을 차단하며 해당 부위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외피(110)의 제2안테나 장착 부위에 안테나 장착 장치(500)를 설치하고, 안테나 장착 장치(500)에 제2안테나(400)를 장착함으로써, 제2안테나(400)를 외피(110)에 장착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의 부분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의 후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의 전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의 받침부 및 고정부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500)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 장착 장치(500)는, 제2안테나(400)를 고정하기 위해 외피(11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장착 장치(500)는 제2안테나(4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외피(110)의 외부면(111) 및 내부면(112)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외피(110)의 외부면(111) 및 내부면(112)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장착 장치(500)는 외피(110)의 외부면(111)을 실링할 수 있다.
안테나 장착 장치(500)는 외피(110)의 내부면측에 배치되는 내부 몸체와, 외피(110)의 외부면측에 배치되는 외부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몸체는 고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몸체는 받침부(510), 실링부(540), 차폐부(550) 및 보강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장착 장치(500)는 내부 몸체 및 외부 몸체를 상하방향(Z)으로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530)를 연결 몸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이때, 동체(100)의 테일 붐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안테나 장착 장치(500)의 내부 몸체와, 테일 붐의 외피(110)와, 안테나 장착 장치(500)의 외부 몸체와, 제2안테나(400)의 제2베이스부(410) 순서로 위치함에 의해, 테일 붐의 외피(110)를 중심으로 하는 일체화된 샌드위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테일 붐의 외피(110)에는 안테나 장착 장치(500)의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를 연결시키기 위한 장착부(530)가 배치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관통홀은 상술한 샌드위치 구조를 위한 코어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2베이스부(410)의 하측에서 상하방향(Z)으로 정렬되며 전후방향(X) 및 좌우방향(Y)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처럼 안테나 장착 장치(500)가 외피(110)와 함께 샌드위치 구조를 형성하고, 외피(110)에 코어 캐비티를 형성함으로써, 안테나 장착 장치(500)가 외피(110)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장착 장치(500)의 외부 몸체는 전후방향(X) 및 좌우방향(Y)으로 외피(110)의 외부면와 제2방사부(420) 사이에 복수의 단차(S)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부(560) 및 받침부(510)를 이용하여 외피(110)의 외부면와 제2방사부(420) 사이에 복수의 단차(S)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단차(S) 중 적어도 하나의 단차에 복수의 돌기(P)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보강부(560)의 상부면에 복수의 돌기(P)가 구비될 수 있다(도 2 참조).
상술한 복수의 단차 및 돌기는 비행체(10)의 비행 시에 제2안테나(400)의 제2방사부(420) 주위에 형성되는 기류와 먼저 충돌함으로써, 제2안테나(400)의 제2방사부(420)로 가해지는 공력을 조절해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500)의 상세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안테나 장착 장치(500)는 받침부(510), 고정부(520), 장착부(530), 실링부(540)를 포함한다. 또한, 안테나 장착 장치(500)는, 차폐부(550) 및 보강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안테나 장착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받침부(510), 고정부(520), 장착부(530), 실링부(540), 보강부(560)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510)는 안테나를 안착하기 위한 받침부(510)일 수 있다. 받침부(510)는 테일 붐의 외피(110)의 외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받침부(510)는 전후방향(X)의 길이가 좌우방향(Y)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받침부(510)의 전후방향(X)의 길이 및 좌우방향(Y)의 폭은 제2안테나(400)의 제2베이스부(410)의 전후방향(X)의 길이 및 좌우방향(Y)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받침부(510)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받침부(510)의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는 좌우방향(Y)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510)의 상부면에는 제2안테나(400)의 제2베이스부(410)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받침부(510)의 하부면은 보강부(56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받침부(510)의 상부면 및 하부면은 테일 붐의 외피(110)의 외부면의 곡률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받침부(510)는 비행체(10)의 비행 시 제2안테나(400)로 가해지는 하중 중 일부를 장착부(530)로 전달하고, 나머지를 테일 붐의 외피(110)의 외부면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장착부(530)로 전달되는 하중은 받침부(510)를 거쳐 테일 붐의 외피(110)의 외부면으로 전달되어 분산될 수 있다.
한편, 제2안테나(400)의 제2베이스부(410)의 하부면에는 복사소자로의 급전 및 복사소자와 피아식별기(200) 간의 신호 전달을 위한 복수개의 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포트는 제1포트(411)와 제2포트(4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받침부(510)의 전후방향(X)의 중심영역에는 제1포트(411)가 통과될 수 있는 제1포트 통과홀(h411)과 제2포트(412)가 통과될 수 있는 제2포트 통과홀(h4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510)는 제1포트 통과홀(h411)의 전후방향(X)의 양측에 복수개의 설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설치홀은 장착부(530)의 복수개의 제1 장착부재(531)가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설치홀(h531)과, 장착부(530)의 복수개의 제2 장착부재(532)가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설치홀(h53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20)는 받침부(510)와 상하방향(Z)으로 정렬될 수 있다. 고정부(520)는 테일 붐의 외피(110)의 내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520)는 전후방향(X)의 길이가 좌우방향(Y)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때, 고정부(520)의 전후방향(X)의 길이 및 좌우방향(Y)의 폭은 받침부(510)의 전후방향(X)의 길이 및 좌우방향(Y)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520)의 상하방향(Z)의 두께는 고정부(510)의 상하방향(Z)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고정부(520)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고정부(520)는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가 좌우방향으로 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520)의 상부면은 테일 붐의 외피(110)의 내부면에 접촉할 수 있다. 고정부(520)의 하부면은 장착부(530)의 후술하는 장착너트(531-2, 532-2)와 접촉할 수 있다. 고정부(520)는 비행체(10)의 비행 시 제2안테나(400)로 가해지는 하중을 장착부(530)를 거쳐서 받침부(51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고, 전달받은 하중을 테일 붐의 외피(110)의 내부면으로 전달하여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부(520)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는 외피(110)의 내부면의 곡률을 따라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520)의 전후방향(X)의 중심영역에는 제1포트(411)가 통과될 수 있는 제1포트 통과홀(h411)과 제2포트(412)가 통과될 수 있는 제2포트 통과홀(h4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510)는 제1포트 통과홀(h411)의 전후방향(X)의 양측에 복수개의 설치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설치홀은 복수개의 제1설치홀(h531)과 복수개의 제2설치홀(h5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설치홀(h531)에는 제1 장착부재(531)가 배치될 수 있고, 제2설치홀(h532)에는 제2 장착부재(532)가 배치될 수 있다.
장착부(530)는 제2안테나(400)를 테일 붐의 외피(110)에 고정하기 위해 받침부(510)와 고정부(520)를 관통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530)는 복수개의 제1 장착부재(531) 및 복수개의 제2 장착부재(5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장착부재(531)는 제2안테나(400)의 제2베이스부(41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하방향(Z)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고, 전후방향(X) 및 좌우방향(Y)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 장착부재(531)는 받침부(510), 후술하는 외피 차폐부(552), 실링부(540), 외피(110) 및 고정부(520)를 관통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복수개의 제1 장착부재(531)는 받침부(510)를 외피(110)와 고정부(5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제1 장착부재(531) 각각은 제1 장착볼트(531-1)와 제1 장착너트(5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착볼트(531-1)는 상하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장착볼트(531-1)는 상단의 상부면이 받침부(510)의 상부면과 동일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장착볼트(531-1)는 상단의 외주면에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장착볼트(531-1)의 경사면은 받침부(510)의 제1설치홀(h531)의 내주면에 접촉함으로써, 받침부(510)를 전후방향(X), 좌우방향(Y) 및 상하방향(Z)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장착볼트(531-1)는 하단이 고정부(52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장착볼트(531-1)는 하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장착볼트(531-1)의 나사산에 제1 장착너트(531-2)가 장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장착부재(532)는 제2안테나(400)의 제2방사부(420)로부터 전후방향(X) 및 좌우방향(Y)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제2방사부(420)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고, 각각 상하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2 장착부재(532)는 제2안테나(400)의 제2베이스부(410), 후술하는 안테나 차폐부(551), 받침부(510), 외피 차폐부(552), 보강부(560), 실링부(540), 외피(110) 및 고정부(520)를 관통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복수개의 제2 장착부재(532)는 제2안테나(400)를 받침부(510)와 외피(110)와 고정부(5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장착부재(532)는 제2 장착볼트(532-1)와 제2 장착너트(532-2)를 각각 복수개씩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착볼트(532-1)는 상하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장착볼트(532-1)는 상단의 상부면이 제2베이스부(410)의 상부면과 동일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장착볼트(532-1)는 상단의 외주면에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장착볼트(532-1)의 경사면은 제2베이스부(410)의 제1설치홀(h531)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고, 제2베이스부(410)를 전후방향(X), 좌우방향(Y) 및 상하방향(Z)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장착볼트(531-1)는 하단이 고정부(52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하단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장착볼트(532-1)의 나사산에 제2 장착너트(532-2)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장착부재(531) 및 복수개의 제2 장착부재(532) 각각은 제2안테나(400)의 중심에서 전후방향(X)의 양측으로 이격될 수 있고, 제2안테나(400)의 중심의 양측에 각각 복수개씩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2안테나(40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제1 장착부재(531)와 제2 장착부재(532)가 번갈아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1 장착부재(531)는 제2안테나(400)의 전방 및 후방에서 직선 형태 및 삼각형 형태로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2 장착부재(532)는 제2안테나(400)의 중심의 양측 즉, 제2안테나(400)의 전방 및 후방에서 삼각형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부터 복수개의 제1 장착부재(531)와 복수개의 제2 장착부재(532)가 전후방향(X) 및 좌우방향(Y)으로 고르게 분산 배치될 수 있고, 받침부(510), 외피(110) 및 고정부(520)의 국부 위치에 제2안테나(4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다.
실링부(540)는 테일 붐의 외피(110)의 외부면을 실링하기 위해 받침부(510)와 테일 붐의 외피(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링부(540)는 비행체(10)의 테일 붐의 외피(110)와 보강부(5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실링부(540)의 전후방향(X)의 길이 및 좌우방향(Y)의 폭은 보강부(560)의 전후방향(X)의 길이 및 좌우방향(Y)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실링부(540)에는 복수개의 설치홀과, 제1포트 통과홀 및 제2포트 통과홀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설치홀에 복수개의 제1 장착부재(531) 및 복수개의 제2 장착부재(532)가 배치될 수 있고, 제1포트 통과홀에 제1포트(411)가 배치될 수 있고, 제2포트 통과홀에 제2포트(412)가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540)는 실런트의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540)는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금속 및 고무와 결합 가능한 접착제의 층이 필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실링부(540)는 고무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테일 붐의 외피(110), 보강부(560), 복수개의 제1 장착부재(531), 복수개의 제2 장착부재(532), 제1포트(411) 및 제2포트(412)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실링부(540)는 접착제의 층을 이용하여, 테일 붐의 외피(110), 보강부(560), 복수개의 제1 장착부재(531), 복수개의 제2 장착부재(532), 제1포트(411) 및 제2포트(412)와 접합될 수 있다.
이에, 실링부(540)는 테일 붐의 외피(110)의 외부면(111)과 보강부(560)의 하부면 사이를 실링하여, 이들 사이를 기밀한 상태로 만들어 줄 수 있다. 또한, 실링부(540)는 복수개의 제1 장착부재(531), 복수개의 제2 장착부재(532), 제1포트(411) 및 제2포트(412)의 외주면과 외피(11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실링부(540)에 의해 테일 붐의 외피(110)의 외부면(111)과 보강부(560)의 하부면이 습기로부터 보호되어 해당 부위의 부식이 방지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1 장착부재(531), 복수개의 제2 장착부재(532), 제1포트(411) 및 제2포트(412)와 외피(110)의 사이로 습기가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어 해당 부위의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실링부(540)가 상술한 부위를 실링하는 방식은 밀착 및 접합 방식 외에도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540)가 상술한 부위를 실링할 수 있는 것을 만족하는 범주 내에서 실링부(540)의 재질은 다양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540)는 전기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기전도성 물질로 은 입자를 예시할 수 있다. 물론, 은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예시이고, 실링부(540)에 포함되는 전기전도성 물질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다. 이때, 실링부(540)는 전기전도성 물질을 이용하여 제2안테나(400)를 테일 붐의 외피(110)에 접지시킬 수 있다.
차폐부(550)는 제2안테나(400)를 보호하기 위해 받침부(510)에 배치될 수 있다. 차폐부(550)는 제2안테나(400)를 안착시키기 위한 받침부(510)의 안착면(상부면)에 배치되는 안테나 차폐부(551)와, 테일 붐의 외피(110)에 지지되기 위한 받침부(510)의 지지면(하부면)에 배치되는 외피 차폐부(552)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차폐부(551) 및 외피 차폐부(552) 각각은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매쉬(mesh) 타입의 망 부재와, 망 부재의 그물 눈을 채우도록 망 부재의 표면에 도포되는 갤을 포함할 수 있다. 망 부재는 제2안테나(400)를 외피(110)에 접지시킬 수 있고, 갤은 외기 및 수분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차폐부(551) 및 외피 차폐부(552)는 망 부재를 이용하여 제2안테나(400)를 공기 중의 낙뢰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갤을 이용하여 제2안테나(400)를 공기 중의 수분 및 이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 차폐부(551) 및 외피 차폐부(552)는 외피(110)와 제2안테나(400) 사이의 불필요한 전자파 및 노이즈를 차폐할 수도 있다.
한편, 안테나 차폐부(551)의 에지는 제2안테나(400)의 제2베이스부(410)의 에지와 상하방향(Z)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에, 안테나 차폐부(551)가 제2베이스부(410)로부터 전후방향(X) 및 좌우방향(Y)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외피 차폐부(552)의 에지는 받침부(510)의 에지와 상하방향(Z)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에, 외피 차폐부(552)가 받침부(510)로부터 전후방향(X) 및 좌우방향(Y)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보강부(560)는 비행체(10)의 테일 붐의 외피(110)의 외부면(111)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부(560)는 상부면으로 받침부(5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보강부(560)는 받침부(510)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보강부(560)는 외피(110)의 외부면의 곡률을 따라,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560)는 받침부(510)와 외피(110) 사이에서 외피(110)의 강도를 보강해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가 장착된 비행체의 외피의 구조강도를 해석한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500) 및 제2안테나(400)가 설치된 비행체(10)를 도 7에 예시된 것과 같이 모델링하고, 그 구조강도를 해석하였다. 여기서, 도 7에서 스킨(Al2024-T3)은 테일 붐의 외피(110)를 모델링한 것이고, 플레이트 1(Al2024-T3)은 보강부(560)를 모델링한 것이고, 플레이트 2(Al2024-T3)는 테일 붐의 외피(110) 중에서 안테나 장착 장치(500)가 장착되는 부위의 주변의 소정 영역을 모델링한 것이고, 베이스(Al7050-T7451)는 받침부(510)를 모델링한 것이고, AT-741B(0.23Kg)는 제2안테나(400)를 모델링한 것이다.
모델링된 비행체에 소정 크기의 하중을 부여하여 정하중 가속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예컨대 모델링된 비행체에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150 파운드(lb), 668 뉴턴(N)에 해당하는 중력가속도(g)를 적용하여, 정하중 가속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상술한 중력가속도(g)는 미국 국방부에서 제시하는 군사표준규격을 참조하여 정해지는 중력가속도(g)로서 핸들링 하중(handling load)이라 지칭할 수 있고, 그 크기는 비행체의 기동 시 비행체에 가해지는 하중과 유사한 크기의 하중일 수 있다. 물론, 정하중 가속도 해석을 위해 모델링된 비행체에 부여하는 정하중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다.
상술한 조건으로 정하중 가속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 스킨(Al2024-T3), 플레이트 1(Al2024-T3), 플레이트 2(Al2024-T3), 베이스(Al7050-T7451) 및 AT-741B(0.23Kg)의 안전마진(MS: Margin of Safrty)이 0.05 내지 2.81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즉, 모델링된 부위 각각의 안전마진(MS)이 모두 0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기서, 안전마진(MS)이 0 이상이면, 모델링된 각 부위가 각각에 적용된 하중을 견디고,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모델링된 비행체는 부여된 하중 조건 하에서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가 장착된 비행체의 방향안정성을 분석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컨대 비행체에 추가되는 제2안테나는 테일 붐에 구비되어 있는 수직안정판과 같은 방향안정성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안정성은 비행체의 요잉 운동에 대한 안정성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행체의 전방으로부터 베타 각도로 기류가 가해질 때 비행체에 요잉 운동이 발생할 수 있고, 방향안정성이 클수록 비행체가 요잉 운동으로부터 빠르게 회복할 수 있다. 여기서, 방향안정성은 면적모멘트와 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모델링된 비행체로부터 안테나 부위 예컨대 제2안테나를 모델링한 부위와 수직안정판 부위 예컨대 수직안정판을 모델링한 부위의 면적모멘트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대비함으로써, 제2안테나가 비행체의 방향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성을 예측할 수 있다. 이때, 면적모멘트는 기준축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면적을 곱하여 구할 수 있다. 모델링된 비행체의 메인 로터의 위치를 기준축으로 수직안정판 부위와 안테나 부위의 면적모멘트를 구한 결과 각각은 127ft2와 0.4ft2의 면적모멘트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부터 안테나 부위의 면적모멘트는 수직안정판 부위의 면적모멘트의 0.31%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안테나 및 안테자 장착 장치에 의한 비행체의 방향안정성의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가 장착된 비행체의 외피의 공력 계수를 분석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공력 계수는 항공기 외형 형태에 따른 공기저항 수치로서, 공력 계수를 분석함으로써, 모델링된 비행체에 소정의 유속(공기 속도)를 인가했을 때, 모델링된 비행체의 항공기 형상에서 발생되는 저항치를 알아볼 수 있다.
또한, 모델링된 비행체의 공력 계수를 분석하였다. 예컨대 도 9를 참조하면, 모델링된 비행체의 주변에 해석공간을 형성하였다. 이때, 해석공간은 비행체의 길이 L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50L, 좌우방향으로 40L 및 상하방향으로 40L의 크기로 형성하였다. 이후, 해석조건을 비행체가 해수면 상을 비행하고, 전진속도가 130 노트이고, 받음각이 0도이며, 옆미끄럼각이 각각 0, 10, 20도인 조건으로 하고, 전산유체역학 해석을 활용하여 모델링된 비행체에서 안테나 부위를 제외한 부위의 항력계수 및 방향안정미계수와, 모델링된 비행체의 안테나 부위의 항력계수 및 방향안정미계수를 해석하여 그 변화율을 보면, 항력계수의 변화율은 0.028%로 해석되었고, 방향안정미계수의 변화율을 0.237% 및 0.741%로 해석되었다. 이에, 제2안테나와 안테나 장착 장치에 의한 항력계수 및 방향안정미계수의 증가는 미미한 것으로 해석되었고, 따라서, 제2안테나와 안테나 장착 장치에 의한 비행체의 비행성능 저감은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기서, 방향안정미계수는 모델링된 비행체의 요잉 방향의 변화에 따른 조정안정성의 변화와 관련된 수치일 수 있다.
도 10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장착 장치가 장착된 비행체의 추력 증가량을 분석한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예컨대 항공기에 제2안테나와 안테나 장착 장치를 추가함에 따라 항공기의 표면적 및 표면 형상이 변화하고, 그에따라 공기 저항이 커지게 된다. 이에, 공기 저항에 따른 저항모멘트의 상쇄를 위해 테일로터의 추력이 더 증가되어야 하므로, 비행체의 추력 증가량을 분석함으로써, 이에 대한 전반적인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제2안테나의 설치로 인해 발생하는 공기역학적인 힘이 테일 붐에 구비되는 테일로터의 추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도 10의 그래프에서 A는 페달 포지션(Pedal Position)을 나타내고, B는 테일 로터의 추력을 나타내고, C는 테일로터를 지나가는 크로스 윈드(Crosswind)의 크기를 나타내고, D는 측력(sideforce)를 나타내고, E는 요잉모멘트를 나타낸다. 여기서, 해석 조건으로 비행체는 제자리 비행 중이고, 우측풍이 17 내지 30노트로 비행체에 가해지는 조건을 사용하였고, 테일로터의 공력 해석은 BEMT(blade element-momentum theory) 해석 방식을 사용하였고, 안테나의 공력 해석은 경험식 해석 방식을 사용하였고, 기체 트림 해석은 인-하우스(In-house) 코드를 사용하였다. 그래프를 참조하면, 테일로터의 트림 추력 분석 결과 안테나 부위에 가해지는 측력은 테일로터에 가해지는 측력 대비 0.159%로서 매우 작은 값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테일로터의 추력은 비행체의 요잉 모멘트를 상쇄하므로, 제2안테나의 장착에 따른 테일로터의 트림 추력은 0.07% 증가한 양호한 수준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안테나와 안테나 장착 장치를 설치한 비행체를 모델링하여 구조 해석한 결과 모든 부위의 안전마진이 0 이상이고, 해당 모델링으로 공력을 분석한 결과 영향성은 모두 1% 미만으로, 제2안테나의 장착에 따른 비행체의 비행 성능과 비행 안정성의 변화는 없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개시된 구성과 방식은 서로 결합하거나 교차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합 및 변형될 것이고, 이에 의한 변형 예들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동체 110: 외피
200: 처리기 300: 제1안테나
400: 제2안테나 410: 제2베이스부
420: 제2방사부 500: 안테나 장착 장치
510: 받침부 520: 고정부
530: 장착부 540: 실링부
550: 차폐부 560: 보강부

Claims (18)

  1. 비행체의 외피의 외부면에 배치되고, 안테나를 안착하기 위한 받침부;
    상기 받침부와 정렬되도록 비행체의 외피의 내부면에 배치되는 고정부;
    안테나를 비행체의 외피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장착부; 및
    비행체의 외피의 외부면을 실링하기 위해 비행체의 외피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안테나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받침부에 배치되는 차폐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비행체의 외피의 외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받침부가 지지되며, 상기 받침부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착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 및 상기 고정부는 각각의 전후방향의 길이가 각각의 좌우방향의 폭보다 큰 안테나 장착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안테나의 전후방향의 길이 및 좌우방향의 폭은 상기 받침부의 전후방향의 길이 및 좌우방향의 폭보다 작고,
    상기 받침부의 전후방향의 길이 및 좌우방향의 폭은 상기 고정부의 전후방향의 길이 및 좌우방향의 폭과 동일한 안테나 장착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하방향의 두께는 상기 고정부의 상하방향의 두께보다 큰 안테나 장착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비행체의 외피와 상기 보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부의 전후방향의 길이 및 좌우방향의 폭은 상기 보강부의 전후방향의 길이 및 좌우방향의 폭과 동일한 안테나 장착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는,
    안테나를 안착시키기 위한 상기 받침부의 안착면에 배치되는 안테나 차폐부;
    비행체의 외피에 지지되기 위한 상기 받침부의 지지면에 배치되는 외피 차폐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착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차폐부의 에지는 안테나의 에지와 상하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외피 차폐부의 에지는 상기 받침부의 에지와 상하방향으로 정렬되는 안테나 장착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받침부와 상기 실링부와 비행체의 외피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1 장착부재; 및
    안테나와 상기 받침부와 상기 실링부와 비행체의 외피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복수개의 제2 장착부재;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착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재 및 상기 제2 장착부재 각각은 상기 안테나의 중심에서 전후방향의 양측으로 이격되어 복수개씩 장착되는 안테나 장착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상기 제1 장착부재와 상기 제2 장착부재가 번갈아서 장착되는 안테나 장착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재는 상기 안테나의 전방 및 후방에서 직선 형태 및 삼각형 형태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2 장착부재는 상기 안테나의 중심의 전후방향의 양측에서 각각 삼각형 형태로 배치되는 안테나 장착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가 좌우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전방단부 및 후방단부가 좌우방향으로 각지게 형성되는 안테나 장착 장치.
  15. 비행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동체의 외형을 유지하기 위한 외피;
    상기 동체의 후방 하부에서 상기 외피에 설치되는 제1안테나;
    상기 동체의 후방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외피의 외부면에 지지되는 제2안테나;
    상기 제2안테나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외피에 설치되고, 상기 제2안테나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상기 외피의 외부면 및 내부면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외피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 각각 접촉되며, 상기 외피의 외부면을 실링하는 안테나 장착 장치;를 포함하는 비행체.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안테나는, 상기 외피의 외주면을 따라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베이스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테나는, 상기 외피의 외주면을 따라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베이스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방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사부 및 상기 제2방사부는 상기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각각의 외측면이 상기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 각각에 대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비행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상기 안테나 장착 장치의 내부 몸체와, 상기 외피와, 상기 안테나 장착 장치의 외부 몸체와 상기 제2안테나의 제2베이스부 순서로 위치함에 의해, 일체화된 샌드위치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외피에는 상기 안테나 장착 장치의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를 연결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은 상기 샌드위치 구조를 위한 코어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2베이스부의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정렬되며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비행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외부 몸체는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상기 외피의 외부면와 상기 제2방사부 사이에 복수의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단차 중 적어도 하나의 단차에 복수의 돌기가 구비되는 비행체.
KR1020210144577A 2021-10-27 2021-10-27 안테나 장착 장치 및 비행체 KR102402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577A KR102402438B1 (ko) 2021-10-27 2021-10-27 안테나 장착 장치 및 비행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4577A KR102402438B1 (ko) 2021-10-27 2021-10-27 안테나 장착 장치 및 비행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438B1 true KR102402438B1 (ko) 2022-05-26

Family

ID=8180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4577A KR102402438B1 (ko) 2021-10-27 2021-10-27 안테나 장착 장치 및 비행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4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155B1 (ko) * 2023-03-16 2023-06-01 단암시스템즈 주식회사 발사체 안테나의 주파수 간섭 방지용 후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364A (ko) 2005-05-18 2008-03-20 벨 헬리콥터 텍스트론, 인크. 헬리콥터 일체형 도어
JP2008258976A (ja) * 2007-04-05 2008-10-23 Toshiba Corp アレイアンテナ装置
KR101559933B1 (ko) 2014-05-09 2015-10-14 국방과학연구소 안테나의 항공기 탑재 적합도 평가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364A (ko) 2005-05-18 2008-03-20 벨 헬리콥터 텍스트론, 인크. 헬리콥터 일체형 도어
JP2008258976A (ja) * 2007-04-05 2008-10-23 Toshiba Corp アレイアンテナ装置
KR101559933B1 (ko) 2014-05-09 2015-10-14 국방과학연구소 안테나의 항공기 탑재 적합도 평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155B1 (ko) * 2023-03-16 2023-06-01 단암시스템즈 주식회사 발사체 안테나의 주파수 간섭 방지용 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7253B2 (en) Antenna fairing and method
US10093406B2 (en) Aircraft frame for tailstrike angle enhancement
US9234672B2 (en) Lightweight cabin pressure thrust recovery outflow valve
EP0532016B1 (en) Composite focused load control surface
KR102402438B1 (ko) 안테나 장착 장치 및 비행체
EP2535274A2 (en) On-board aircraft auxiliary power systems having dual auxiliary power units
US11247773B2 (en) Pylon mounted tilt rotor
US9187170B2 (en) Aircraft airfoil, and an aircraft provided with such an airfoil
US7931233B2 (en) Protective skin for aircraft
EP0508026B1 (en) Integrated helicopter empennage structure
US20060006287A1 (en) Fairing and airfoil apparatus and method
US7686245B2 (en) Rotary aircraft download alleviation apparatus and methods
US7967252B2 (en) Fairing and airfoil apparatus and method
CN114201819B (zh) 一种融合声阵列和在桨控制的直升机主动噪声抑制装置
CN109625238B (zh) 飞机的一体座舱罩
US10494090B2 (en) Rotor hub with structural reinforcements
CN118124850A (zh) 飞行器及其多旋翼飞行平台
CN207346069U (zh) 一种用于无人机的安装框、机架及无人机
US20190375498A1 (en) Counter torque device
CN211519852U (zh) 固定翼无人侦察机抛投旋翼机构
US20200385146A1 (en) Methods and assemblies for mounting equipment to an aircraft
CN112357058A (zh) 无人机的舵机安装结构、无人机及舵机的安装方法
CN113784889A (zh) 带有机翼的飞行器
CN103477180A (zh) 用于减少用于飞机的雷达标记的设备
TWM513843U (zh) 組裝式無人飛行載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