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409079B1 -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079B1
KR102409079B1 KR1020150022342A KR20150022342A KR102409079B1 KR 102409079 B1 KR102409079 B1 KR 102409079B1 KR 1020150022342 A KR1020150022342 A KR 1020150022342A KR 20150022342 A KR20150022342 A KR 20150022342A KR 102409079 B1 KR102409079 B1 KR 102409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dipocytes
obesity
uc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9963A (ko
Inventor
김원곤
배광희
김승준
이상철
한백수
오경진
최혜령
김도형
이상화
이원경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22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0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오미자 추출물은 백색지방세포에서 에너지 소비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UCP-1(Uncoupling protein-1),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을 증가시키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갈색지방 유도 물질 또는 항 비만 물질, 갈색지방세포 유도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약학적 조성물로써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comprising the extracts of Schizandra chinensis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갈색지방세포 유도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성장과 생활방식의 변화에 따라 식습관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바쁜 현대인들의 경우 패스트푸드 등의 고열량 식이와 적은 운동량으로 인하여 체중 과다 및 비만이 증가하고 있다. 체중 과다는 체질량 지수(BMI,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비만 척도)가 25 이상 30 미만을 의미하며, 비만은 체질량 지수가 30 이상일 때를 의미한다. 미국 성인의 3분의 2는 체중 과다이거나 비만이며, 체중 과다는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심장 질환 등의 각종 성인병의 발병률을 증가시킨다. 비만이 여러 가지 질병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각하여 전 세계 당뇨병 환자의 80 %, 심장질환의 21 %가 비만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자궁암, 신장암, 유방암 등 각종암 또한 비만과 직,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비만이나 과체중의 경우 수면무호흡증, 골관절염, 담석증 등의 발병률도 정상인보다 높다(Stein CJ, Colditz GA. The epidemic of obesity. J Clin Endocrinol Metab 2004; 89: 2522-2525. ; Kopelman P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2000 Apr 6; 404(6778): 635-43.). 비만은 한 가지 원인으로 발생하는 질병이 아니라 유전적, 환경-사회적, 정신적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어느 한 가지 방법으로 치료하기는 어렵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식사요법, 운동요법, 행동요법 등 생활 습관을 교정하는 방법과 약물 치료 및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약물이나 수술적 치료에 앞서 생활습관을 교정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일이 쉽지 않을 뿐 아니라 생활습관 교정만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체중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많은 경우에 생활습관 교정과 함께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이러한 비만의 약물 치료를 위해 매년 많은 항비만 제제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현재 사용 가능한 비만 치료 약물은 많지 않으며, 대부분 소화나 식욕을 억제시키는 제제에 국한되어 있다. 소화나 식욕을 조절하는 제제의 경우, 습관성 때문에 향정신성 약물로 분류되며, 소화억제제는 설사, 변비 등의 부작용을 나타낸다. 2010년까지 미국 FDA가 장기사용을 승인한 대표적 비만치료 약물은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과, 세로토닌(serotonin)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작용을 가진 시부트라민(sibutramine; Reductil)과, 췌장 및 소화기계에서 분비되는 리파제 (lipase)를 억제하여 효과를 나타내는 오르리스타트 (orlistat; Xenical)가 있었다(YanovskiSZ, Yanovski JA. Obesity. N Engl J Med 2002; 346: 591-602.). 그러나 시부트라민은 혈압상승, 불면증, 구강 건조, 어지러움 등의 부작용이 흔하고, 심근경색과 뇌졸중 등 심혈관계 증상이 나타날 위험이 있어 2010년 10월 미국 및 국내에서 퇴출되었다. 또한 오르리스타트는 설사, 지방변, 분실금 등의 부작용이 흔하고 한국인과 같이 서양인에 비해 지방섭취가 적은 경우에는 약물의 효과가 뚜렷하지 않아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김상만. Orlistat에 대한 연구. 대한비만학회지 1998; 7(4): 287-92.). 따라서, 아직까지 비만 억제 효과가 좋고 장기 복용의 안전성이 확인된 비만 치료 약물이 아직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만한 비만 예방 및 치료제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지방세포에 저장된 지방은 체내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나, 과잉의 열량 섭취와 열량의 비효율적 소비로 인하여 비만이 진행된다. 이때 지방세포의 수적 증가와 함께 과다한 지방세포의 분화에 의한 다량의 중성지방 (Triglyceride) 합성이 유발되고 지방세포의 크기 증가를 포함한 형태적 변화와 여러 유전자 발현의 변화를 동반한다. 지방조직의 증가는 지방세포 수의 증가와 지방세포 크기의 증가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지방전구 세포 수의 증가와 지방전구세포로부터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의 증가로 나타난다. 특히, 지방세포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식사조절로 가능하지만 새로운 전구지방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은 식사조절로 효과가 없으므로 비만의 근본적 치료 또는 억제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을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포유류 지방 세포들은 에너지를 저장하는 백색 지방세포 또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갈색 지방세포로 분류된다. 갈색 지방세포는 탈공역단백질-1(uncoupling protein-1:UCP1)을 발현시키는데, 이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 양성자 구배로부터 탈공역 ATP 생산에 의해 생화학 에너지를 열로 전환시킨다(Cannon et al., 2004, Physiol Rev 84:277-359). 이러한 발열은 차가운 환경에서 체온을 유지시키거나 또는 과도한 열량 섭취에도 불구하고 에너지 균형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인간에서, 갈색 지방 조직은 출생 시기에 중요한 발열성 역할을 하지만, 출생후 축소되고, 조직학적으로 드문 것으로 해산되며, 성인에게 임상적으로 중요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최근 발견은 이러한 생각을 뒤집고, 성인기에서 갈색 지방 조직의 역할에 상당한 흥미를 일으켰다. 특히, 종양 전이를 모니터하기 위하여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과 자동화된 X-선 단층 촬영(PET-CT)을 복합이용하여 성인에서 실질적인 비율의 매우 활성이 높은 갈색 지방 창고로 추정되는 것을 우연히 발견하였다(Nedergaard et al., 2007, Am J Physiol Endocrinol Metab 293:E444-E452). 후속 연구에서, 건강한 성인에서 이러한 창고는 사실상 UCP-1를 발현시키는 기능을 하는 갈색 지방이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Virtanen et al., 2009, N Engl J Med 360:1518-1525), 차가운 환경 그러나 열적으로 중성인 조건에 노출시킨 연구대상 젊은 남성의 90% 이상에서 갈색-지방-조직 활성이 관찰되었다(van Marken Lichtenbelt et al., 2009, N Engl J Med 360:1500-1508). 더욱이, 다양한 진단 이유로 진행된 거의 2 천 개의 PET-CT 스캔의 소급 분석에서 활성 갈색 지방의 양은 전체적인 지방과다의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척도인 체질량 지수와 역관계에 있어, 성인 인간 대사에서 갈색 지방의 중요한 역할의 가능성이 증가된다(Cypess et al., 2009, N Engl J Med 360:1509-1517). 백색 지방 조직에 산재되어 있는 발열성 지방세포(가령, 갈색 지방세포 또는 기타 UCP-1을 발현시키는 지방세포)의 역할에 대해서는 다소 덜 명확하다. 발열성 지방세포가 대사 활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생체 내 발열성 지방세포를 증가시키는 물질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비만이 현대사회의 문제로 대두되면서, 특히 많은 여성들이 자신의 몸매를 가꾸고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균형 있는 몸매와 매끄러운 피부는 여성에게 매력뿐만 아니라 자신감까지 더해 줄 수 있다. 이제 이러한 욕구들은 여성들에서 남성들까지 확장되고 있다. 바디 케어는 단지 비만만이 아니라 비만 예방 및 군살 제거와 더불어 피부 상태 개선까지 만족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현대인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슬리밍 바디 케어 제품은 간편하고 효과적이어야 하며 다른 기관에 미치는 부작용이 없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인체에 영향이 없이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기존의 슬리밍 바디 케어 제품들은 식욕억제 약물을 사용하거나 이뇨제를 사용하는 등의 일시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어지러움, 구토, 불면증, 환각 증세 등의 부작용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알려진 카페인이나 테오필린 같은 메틸잔틴계 지방 분해 촉진 물질 역시 중독성 물질이라는 인식과 기관지 확장과 월경 전 증후군 현상 악화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그 안전성에 대한 보장이 없다. 따라서 천연성분을 활용하여 종래 화장료 제품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며 인체에 대해서 좀 더 안전한 새로운 물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오미자(五味子, Schizandra chinensis Baillon.)는 낙엽 활엽 덩굴나무로 잎은 어긋나고 난형(卵形) 또는 도란형(倒卵形)이며 끝은 급히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뒷면 맥상에 다소 털이 있다. 꽃은 홍백색으로 6~7월에 피며 자웅이주이다. 과실은 식용으로 쓰이고 가지 끝에 이삭모양으로 늘어지며 8~9월에 붉게 익는다. 과실을 오미자(오매자), 북오미자(Schizandrae fructus)라 한다. 표고 200~1,600m 지리산, 전북, 강원도가 주산지이며 충남, 충북을 제외한 전국에 야생하고, 지리적으로 일본, 사할린, 만주, 중국에 분포한다. 과실에는 시잔드롤(Schizandrol), 시잔드린(Schizandrin) A, B, C, 안겔로일고미신(angeloylgomisin) O, P, 에피고미신(epigomisin), 프레고모이신(pregomoisin), 데옥시시잔드린(Deoxyschizandrin) 등을 함유한다. 오미자는 오래전부터 수렴, 자양, 강장, 진해약, 해주독, 목마름, 수렴고삽, 익기생진, 보신염심 등의 약효를 가져 생약 원료로 한방에서 사용해오던 재료이며, 오미자주의 원료로 사용되어 온 것으로서 체내 섭취에 따른 인체 안정성이 이미 확인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물 유래 항 비만제를 찾기 위해 노력한 결과, 오미자 추출물이 백색지방세포의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세포화를 유도하며, 에너지 소비에 관여하고 갈색지방세포의 표지 유전자인 UCP-1(Uncoupling protein-1),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오미자 추출물을 비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갈색지방세포 유도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갈색지방 분화 유도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백색지방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갈색지방세포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sliming)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오미자 추출물은 백색지방세포에서 에너지 소비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UCP-1(Uncoupling protein-1),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을 증가시키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갈색지방 유도 물질 또는 항 비만 물질, 갈색지방세포 유도용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약학적 조성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쥐의 서혜부 백색지방세포(inguinal white adipose tissue; iWAT)에서 추출한 지방전구세포 및 지방전구세포에서 성숙된 백색지방세포의 분화된 모습을 현미경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 처리를 통해 UCP-1의 발현이 증가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오미자 추출물 처리를 통해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이 증가한 것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갈색지방 분화 유도제를 제공한다.
상기 유도제는 UCP-1(Uncoupling protein-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오미자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건조하여 오미자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의 오미자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오미자는 과실, 씨앗, 잎, 줄기 또는 뿌리가 모두 이용가능하고, 과실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추출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로는 C1 내지 C2 저급 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급 알코올로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방법은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를 건조된 오미자 분량에 1 내지 1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3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추출온도는 20℃ 내지 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4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실온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0 내지 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15 내지 30시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4시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추출 회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며, 3 내지 4회 반복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회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오미자 추출물을 처리하여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세포화를 유도하기 위해 쥐의 피하지방 조직 중 하나인 서혜부 백색지방세포(inguinal white adipose tissue; iWAT)에서 추출한 지방전구세포를 초대배양하였으며 그 결과, 성공적으로 백색지방전구세포를 추출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a 참조). 상기 지방전구세포로부터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세포가 100% confluence된 하루 뒤 분화 칵테일(IBMX 0.5mM, Rosiglitazone 1 mM, Dexamethason 1 mM, insulin 5 mg/ml in 10%FBS DMEM/F12 GlutaMax media)을 이틀간 처리하여 2일 간격으로 성장 배지(10% FBS, insulin 5 mg/ml)에서 총 6일간 분화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성공적으로 성숙된 백색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유도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1b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세포화의 유도에 있어 표지자로 사용되고 있으며,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세포화가 나타나고 있고 지방세포 내 에너지 소비 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려주는 UCP-1의 발현 증가를 측정하기 위해 백색지방세포에 오미자 추출물 1 ㎍/ml의 농도로 배지와 함께 처리한 후 24시간 후 열 발생 유전자(UCP-1)의 발현 정도를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오미자 추출물의 처리로 인해 백색지방 세포 내의 UCP-1의 발현이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열 발생 유전자인 UCP-1의 발현을 조절하는 PGC-1α 및 PRDM16 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시판용 오미자 추출물을 백색지방세포에 처리한 후 발현 정도를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오미자 추출물은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백색지방세포의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세포화를 유도하며, 에너지 소비에 관여하고 갈색지방세포의 표지 유전자인 UCP-1(Uncoupling protein-1),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갈색지방세포 분화 유도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백색지방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갈색지방세포 유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UCP-1(Uncoupling protein-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은 백색지방세포의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세포화를 유도하며, 에너지 소비에 관여하고 갈색지방세포의 표지 유전자인 UCP-1(Uncoupling protein-1),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갈색지방세포 분화 유도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sliming)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UCP-1(Uncoupling protein-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이 백색지방세포의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세포화를 유도하며, 에너지 소비에 관여하고 갈색지방세포의 표지 유전자인 UCP-1(Uncoupling protein-1),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지방분해제는 국내 또는 국외에 시판되거나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오미자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및 지방분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은, 복부 또는 허벅지에 대한 슬리밍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오미자 추출물 및 지방분해제를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은 비만 억제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슬리밍, 비만 억제 또는 치료에 유해한 효과를 끼치지 않는 한,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활성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고상, 크림상, 유액상, 페이스트상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필요에 따라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첨가 가능한 배합성분으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증점제, 정제수 등이 있다.
그 외,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오미자를 물을 사용하여 추출한 추출물 및 지방분해제를 함유하는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은 비만의 억제나 치료 효과를 위한 식품, 약학적 조성물 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백색지방세포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리밍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UCP-1(Uncoupling protein-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이 백색지방세포의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세포화를 유도하며, 에너지 소비에 관여하고 갈색지방세포의 표지 유전자인 UCP-1(Uncoupling protein-1),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슬리밍 피부 외용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UCP-1(Uncoupling protein-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이 백색지방세포의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세포화를 유도하며, 에너지 소비에 관여하고 갈색지방세포의 표지 유전자인 UCP-1(Uncoupling protein-1),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이의 활성 분획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로는 전분, 젤라틴화 전분, 미결정셀룰로오스, 유당, 포비돈, 콜로이달실리콘디옥사이드, 인산수소칼슘, 락토스, 만니톨, 엿, 아라비아고무, 전호화전분, 옥수수전분, 분말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카르나우바 납, 합성규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칼슘, 백당, 덱스트로스, 소르비톨 및 탈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는 상기 조성물에 대해 0.1 ~ 9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주사, 직장 내 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 ㎎/㎏이며, 하루 1 ~ 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식 또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UCP-1(Uncoupling protein-1)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이 백색지방세포의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세포화를 유도하며, 에너지 소비에 관여하고 갈색지방세포의 표지 유전자인 UCP-1(Uncoupling protein-1),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비만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은, 상기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각각의 성분이 인체에 안전한 물질이고, 이를 섭취한 경우에도 비만 억제나 치료 또는 슬리밍 효과가 있으므로 식품, 약학적 조성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공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함량은 제형에 따라 식품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중량%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의한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미자 추출물이 백색지방세포의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세포화를 유도하며, 상기 오미자 추출물에 의해 에너지 소비에 관여하고 갈색지방세포의 표지 유전자인 UCP-1,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오미자 추출물을 갈색지방세포 분화제,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및 항 비만용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제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제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제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세포의 배양
기존의 문헌조사에 따르면 백색지방조직 중 내장지방보다는 피하지방조직에서 갈색지방화가 더 많이 일어난다는 보고가 있다. 본 발명은 오미자 추출물을 처리하여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세포화를 유도하기 위해 쥐의 피하지방 조직 중 하나인 서혜부 백색지방세포(inguinal white adipose tissue; iWAT)에서 추출한 지방전구세포를 하기와 같이 초대배양하였다.
구체적으로, 쥐의 서혜부 근처 백색지방조직을 떼어내어 D-PBS에 세척한 후 분리 버퍼(isolation buffer)(KRB 버퍼 + 4% BSA + 1.5 mg/ml collagenase type 1) 첨가 후 가위를 이용하여 세절(chopping)하였다. 상기 KRB(Krebs-Ringer bicarbonate) 버퍼는 100 ml 기준으로 0.77 M NaCl 13.16 ml, 0.77 M KCl 0.52 ml, 0.77 M KH2PO4 0.132 ml, 0.77 M MgSO4 0.132 ml, 0.77 M NaHCO3 2.76 ml, 0.3 M glucose 4.16 ml, 0.275 M CaCl2 0.38 ml D.W. 78.8 ml를 넣어준 후, pH 7.4로 맞추고 5% CO2 배양기에서 20 내지 30분간 배양 후 사용하였다. 세절한 샘플을 37℃에서 45분간 정치시킨 후 300 ㎛ 나일론 메시(nylon mesh)에 샘플을 1차 필터링 한 후 200хg에서 5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상층액 제거 후 D-PBS로 펠렛(pellet)을 재현탁(resuspension)시킨 후 100 ㎛ 나일론 메시에 통과시켜 다시 200хg에서 5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상층액 제거 후 15% FBS가 첨가된 DMEM/F12 GultaMax media에 재현탁시킨 세포를 100 mm 배양 접시에 깔아 주었다(Distinct transcriptional profiles of adipogenesis in vivo and in vitro. J Biol Chem. 2001, Soukas et al.)
그 결과,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공적으로 백색지방전구세포를 추출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a).
< 실시예 2> 백색지방세포로의 분화 확인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가 100% confluence된 하루 뒤 분화 칵테일(IBMX 0.5mM, Rosiglitazone 1 mM, Dexamethason 1 mM, insulin 5 mg/ml in 10%FBS DMEM/F12 GlutaMax media)을 이틀간 처리하여 2일 간격으로 성장 배지(10% FBS, insulin 5 mg/ml)에서 총 6일간 분화를 진행하였다(FGF21 regulates PGC-1α and browning of white adipose tissues in adaptive thermogenesis. Genes Dev. 2012, Fisher et al.).
그 결과,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공적으로 성숙된 백색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유도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1b).
< 실시예 3> 오미자 추출물 처리에 따른 UCP -1( Uncoupling protein -1) 단백질의 발현 증가 확인
Uncoupling protein-1(UCP-1)은 체 내 열 발생을 증가시켜 에너지 소비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UCP-1은 백색지방세포에서 거의 발현되지 않으며 에너지 소비를 담당하고 있는 갈색지방세포에서 발현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세포화의 유도에 있어 표지자로 사용되고 있으며, 백색지방세포 내 UCP-1의 증가는 백색지방세포의 갈색지방세포화가 나타나고 있고 지방세포 내 에너지 소비 효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분화된 백색지방세포에 오미자 추출물의 처리로 인해 발열 관련 단백질인 Uncoupling protein-1(UCP-1)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 Turcz .) Baill .) 추출물은 시판되는 것으로, 제품의 상세한 설명은 하기 표 1과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분화된 백색지방세포 내에 상기 시판되는 오미자 추출물 1 ㎍/ml의 농도로 배지와 함께 처리한 후 24시간 후 열 발생 유전자(UCP-1)의 발현 정도를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각의 샘플로부터 Qiagen사(미국)의 RNeasy mini kit를 이용하여 분리 후, RNA 2 ㎍, Oligo dT primer(500 ㎍/mL) 2 ㎕를 70℃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Bioneer사(한국)의 RT-premix kit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이용하여 8 ng씩 real-time PCR mix와 혼합하여 95℃에서 15분 반응 후, 95℃에서 20초, 60℃에서 40초, 72℃C에서 15초가 40 cycle을 수행한 후 다시 72℃에서 5분, 60℃에서 5초, 95℃에서 5초간 반응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UCP-1 유전자의 프라이머(primer) 서열은 하기 표 2와 같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미자 추출물의 처리로 인해 백색지방 세포 내의 UCP-1의 발현이 2배 이상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Schizandra berry PE 9% Schizandrins (주)NATUREX
알콜 및 물을 용매로 하여 씨앗과 함께 과실로부터 추출함.
형태 파우더
색깔 갈색
특유의 향이 있음
분석
오미자 함유량 > 9% by HPLC
건조로 인한 손실량 < 6%
파티클 사이즈 40 mesh 100% 통과
< 실시예 4> 오미자 추출물 처리에 따른 열 발생 유전자의 발현 증가 확인
열 발생 유전자인 UCP-1의 발현을 조절하는 인자들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PGC-1α 및 PRDM16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오미자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UCP-1 발현 조절에 관여하는 PGC-1α 및 PRDM16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시판용 오미자 추출물을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분화된 백색지방세포에 처리한 후 열 발생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의 샘플로부터 Qiagen사(미국)의 RNeasy mini kit를 이용하여 분리 후, RNA 2 ㎍, Oligo dT primer(500 ㎍/mL) 2 ㎕를 70℃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Bioneer사(한국)의 RT-premix kit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이용하여 8 ng씩 real-time PCR mix와 혼합하여 95℃에서 15분 반응 후, 95℃에서 20초, 60℃에서 40초, 72℃C에서 15초가 40 cycle을 수행한 후 다시 72℃에서 5분, 60℃에서 5초, 95℃에서 5초간 반응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열 발생 관련 유전자들의 프라이머(primer)서열은 하기 표 2와 같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미자 추출물은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오미자 추출물은 UCP-1의 발현증가가 PGC-1α 및 PRDM16의 전사인자의 발현증가를 통해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프라이머 이름 유전자 이름 염기 서열 서열번호
mCidea-F TGC TCT TCT GTA TCG CCC AGT 서열번호 1
mCidea-R GCC GTG TTA AGG AAT CTG CTG 서열번호 2
mDio2-F CAA CTG CCA GCC TTC CGC CA 서열번호 3
mDio2-R CAG GCA CTG CCC AGC CAT CC 서열번호 4
mUCP1-F UCP-1 CCC GCT GGA CAC TGC C 서열번호 5
mUCP1-R UCP-1 ACC TAA TGG TAC TGG AAG CCT GG 서열번호 6
prdm6-F PRDM16 CAG CAC GGT GAA GCC ATT C 서열번호 7
prdm6-R PRDM16 GCG TGC ATC CGC TTG TG 서열번호 8
mPGC1a-F PGC-1α CCC TGC CAT TGT TAA GAC C 서열번호 9
mPGC1a-R PGC-1α TGC TGC TGT TCC TGT TTT C 서열번호 10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 제제예 1> 크림 제조
오미자 추출물 또는 분획물..........................10.00(%)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알레이트.........................2.00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5.00
세틸알코올.................................................4.00
스쿠알렌...................................................6.00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6.00
스핑고당지질...............................................1.00
1.3-부틸렌글리콜............................................7.00
비타민 C....................................................1.00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으며, 상기의 배합비(%)로 크림을 제조하였다.
<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오미자 추출물 또는 분획물...............................50 mg
옥수수전분..................................................100 mg
유당........................................................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2 mg
비타민 C.....................................................5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 제제예 3> 건강 음료의 제조
오미자 추출물 또는 분획물.................................1000 mg
구연산.........................................................1000 mg
올리고당.........................................................100 g
매실농축액.........................................................2 g
타우린.............................................................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10> Korea Research Institute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comprising the extracts of Schizandra chinensis as active ingredient <130> 2014P-10-012 <160> 10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Cidea-F <400> 1 tgctcttctg tatcgcccag t 21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Cidea-R <400> 2 gccgtgttaa ggaatctgct g 21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Dio2-F <400> 3 caactgccag ccttccgcca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Dio2-R <400> 4 caggcactgc ccagccatcc 20 <210> 5 <211> 1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CP1-F <400> 5 cccgctggac actgcc 16 <210> 6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CP1-R <400> 6 acctaatggt actggaagcc tgg 23 <210> 7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dm6-F <400> 7 cagcacggtg aagccattc 19 <210> 8 <211> 1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dm6-R <400> 8 gcgtgcatcc gcttgtg 17 <210> 9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PGC1a-F <400> 9 ccctgccatt gttaagacc 19 <210> 10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PGC1a-R <400> 10 tgctgctgtt cctgttttc 19

Claims (11)

  1.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을 함유하고 UCP-1, PGC-1α 및 PRDM16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갈색지방 분화 유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2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CP-1, PGC-1α 및 PRDM16은 갈색지방세포의 표지 유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CP-1은 열발생 유전자이고, 상기 PGC-1α 및 PRDM16은 UCP-1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지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22342A 2015-02-13 2015-02-13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09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342A KR102409079B1 (ko) 2015-02-13 2015-02-13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342A KR102409079B1 (ko) 2015-02-13 2015-02-13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963A KR20160099963A (ko) 2016-08-23
KR102409079B1 true KR102409079B1 (ko) 2022-06-17

Family

ID=5687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342A KR102409079B1 (ko) 2015-02-13 2015-02-13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0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3597B1 (ko) * 2016-10-20 2018-08-31 재단법인 진안홍삼연구소 아로니아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2408908B1 (ko) * 2017-04-10 2022-06-1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복합 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972588B1 (ko) * 2018-07-31 2019-04-26 정채홍 지방분해 및 지방제거 시술 전처리용 조성물
KR20230093679A (ko) 2021-12-20 2023-06-2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남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2137A (ko) * 2011-03-29 2012-10-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우웨이지수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FOOD CHEMISTRY, 2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963A (ko)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820B1 (ko)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09079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77927A (ko) 작약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항산화 또는 항균용 조성물
JP6709783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102337130B1 (ko) 한방 복합 재료의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47594A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장벽 강화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KR20120112137A (ko) 오미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우웨이지수 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819209B2 (ja) 幹細胞から褐色脂肪細胞への分化促進剤
KR102236685B1 (ko) 단삼 또는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647292B2 (ja) スクテラリア・アルピナ抽出物を含む脱毛防止または育毛促進用組成物
KR20190048794A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위축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099147B1 (ko) 어수리 지하부 및 사상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7514819A (ja) スクテラリア・アルピナ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10222431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JP5362976B2 (ja) 血流改善剤
KR102408908B1 (ko) 복합 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1877413B1 (ko) 지방축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왕불류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JP2017511338A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組成物
JP6574436B2 (ja) アルパインワームウッド抽出物を含む組成物
KR20140142516A (ko) 시호 및 꽈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06126B1 (ko) 백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204019B2 (ja) Cgi−58発現促進剤
KR20190103665A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20100108869A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11169B1 (ko) 지각 추출물 및 콜레우스 포스콜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