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880B1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4880B1 KR102404880B1 KR1020180002696A KR20180002696A KR102404880B1 KR 102404880 B1 KR102404880 B1 KR 102404880B1 KR 1020180002696 A KR1020180002696 A KR 1020180002696A KR 20180002696 A KR20180002696 A KR 20180002696A KR 102404880 B1 KR102404880 B1 KR 1024048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wall
- plate
- electronic device
- disposed
- sensing circu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방 및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개폐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변경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2구조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4a의 제2구조물에 포함되는 키 버튼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키 버튼의 조작에 따른 검출 구조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구조물의 이동에 따른 키 버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구조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키 버튼 배치 구조를 도시한 전자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키 버튼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500: 전자 장치 510: 제1구조물
512: 디스플레이
Claims (20)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포함하는 제1구조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면을 향하는 제2플레이트;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장된 제1측벽; 상기 제1측벽과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장되고 상기 측면을 향하는 제2측벽; 및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 연장되고, 상기 제2측벽에 평행하며 상기 측면을 향하는 제3측벽을 포함하는 제2구조물로서,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1측벽, 상기 제2측벽 및 상기 제3측벽은 상기 제1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오픈된 트로프(trough)를 함께 형성하고,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제2측벽에 평행한 제1방향으로 상기 제2구조물에 대하여 개방(open) 상태 및 폐쇄(closed) 상태 사이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제1거리에 놓여지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에 놓여지는 제 2 구조물;
상기 제2측벽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구조물 바깥으로부터 상기 제1구조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버튼; 및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및 상기 제2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계적 버튼의 상기 이동을 검출하고 상기 제1구조물의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사이의 이동에 따른 상기 기계적 버튼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하도록 설정된 감지 회로(sensing circuit)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는, 상기 기계적 버튼이 상기 폐쇄 상태 및 상기 개방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1구조물을 향하여 가압되는 압력을 검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측면의 높이 방향으로 제 1 길이를 갖고, 상기 측면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 1 길이보다 큰 제 2 길이를 갖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전자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버튼의 단부는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플렉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하고, 상기 제1면 위에 배치된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에 연장되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1구조물 사이의 공간 내로 위치되는 절곡 가능부(bendable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전이될 때, 상기 절곡 가능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평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 회로를 이용하여 검출된 상기 이동에 대응하는 신호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구조물에 대한 상기 제1구조물의 위치의 변화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버튼은,
상기 제2측벽 또는 제3측벽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키 탑;
상기 키 탑에 결합되며, 상기 제2측벽 또는 제3측벽 내부에서 상기 기계적 버튼이 이탈되는 것을 단속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와 결합되며, 상기 감지 회로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감지 회로는 상기 접촉부에 의해 생성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는 전자 장치.
-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를 포함하는 제1구조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면을 향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하는 제2구조물,
상기 제2플레이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상기 제1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일측이 오픈된 트로프(trough)를 함께 형성하고,
상기 제1구조물은 상기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에 평행한 제1방향으로 상기 제2구조물에 대하여 개방(open) 상태 및 폐쇄(closed) 상태 사이에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 중 제1측벽으로부터 제1거리에 놓여지고,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제1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큰 제2거리에 놓여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2구조물 바깥으로부터 상기 제1구조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버튼; 및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및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계적 버튼의 상기 이동을 검출하고 상기 제1구조물의 상기 개방 상태와 상기 폐쇄 사이의 이동에 따른 상기 기계적 버튼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하도록 설정된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플렉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하고, 상기 제1면 위에 배치된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에 연장되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평면부로부터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1구조물 사이의 공간 내로 위치되는 절곡 가능부(bendable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조물이 상기 폐쇄 상태에서 상기 개방 상태로 전이될 때, 상기 절곡 가능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평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설정된 휴대용 통신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 회로를 이용하여 검출된 상기 이동에 대응하는 신호에 적어도 기반하여 상기 제2구조물에 대한 상기 제1구조물의 위치의 변화를 검출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 휴대용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제1면 및 상기 제1면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면을 포함하는 제1플레이트와, 적어도 하나의 측면를 포함하는 제1구조물;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2면을 향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구조물과 결합하여, 상기 제1구조물에 대하여 일정 왕복 거리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구조물;
상기 제2구조물의 외부에서 상기 제1구조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버튼; 및
적어도 일부 영역이 상기 측면 및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계적 버튼의 상기 이동을 검출하고 상기 제2구조물의 상기 제1구조물에 대한 상기 일정 왕복 거리의 이동에 따른 상기 기계적 버튼의 상대적인 위치를 검출하도록 설정된 감지 회로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회로의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압력 센서 및/또는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응형 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2696A KR102404880B1 (ko) | 2018-01-09 | 2018-01-09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
US15/733,340 US11169619B2 (en) | 2018-01-09 | 2019-01-07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key button arrangement structure applied to same |
DE202019005690.4U DE202019005690U1 (de) | 2018-01-09 | 2019-01-07 | Elektronische Vorrichtung mit flexibler Anzeige und darauf aufgebrachte Tastenknopf-Anordnungsstruktur |
PCT/KR2019/000213 WO2019139314A1 (ko) | 2018-01-09 | 2019-01-07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
EP19738061.1A EP3720104B1 (en) | 2018-01-09 | 2019-01-07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key button arrangement structure applied to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2696A KR102404880B1 (ko) | 2018-01-09 | 2018-01-09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4669A KR20190084669A (ko) | 2019-07-17 |
KR102404880B1 true KR102404880B1 (ko) | 2022-06-07 |
Family
ID=6721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2696A Active KR102404880B1 (ko) | 2018-01-09 | 2018-01-09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169619B2 (ko) |
EP (1) | EP3720104B1 (ko) |
KR (1) | KR102404880B1 (ko) |
DE (1) | DE202019005690U1 (ko) |
WO (1) | WO201913931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83059B2 (en) * | 2019-04-02 | 2023-02-21 | Andrew BARNUM | Attachment device for personal electronic device |
US12267447B2 (en) * | 2019-12-23 | 2025-04-01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WO2021141158A1 (ko) * | 2020-01-09 | 2021-07-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USD981385S1 (en) * | 2020-11-12 | 2023-03-21 | Samsung Display Co., Ltd. |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
USD980833S1 (en) * | 2020-11-12 | 2023-03-14 | Samsung Display Co., Ltd. | Cover window for display device |
US12126749B2 (en) * | 2021-04-13 | 2024-10-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with keyless sensor |
KR20220141591A (ko) * | 2021-04-13 | 2022-10-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키리스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N113179341B (zh) * | 2021-04-29 | 2023-09-22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电子设备、按键控制方法及装置 |
CN219875808U (zh) * | 2023-03-30 | 2023-10-20 | 荣耀终端有限公司 | 电子设备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8727B1 (ko) | 2003-12-09 | 2006-08-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화상 통화용 분리형 휴대 단말기 및 그 통신 방법 |
KR101495157B1 (ko) * | 2007-11-27 | 2015-0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
KR101562582B1 (ko) | 2008-12-30 | 2015-10-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화면확장방법 |
KR101691104B1 (ko) | 2010-07-27 | 2016-12-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US20170083109A1 (en) | 2013-05-20 | 2017-03-23 | Yonggui Li | Keyboard and mouse of handheld digital device |
KR102105462B1 (ko) * | 2013-08-12 | 2020-04-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20160097035A (ko) * | 2015-02-06 | 2016-08-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US10056204B2 (en) | 2015-02-06 | 2018-08-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Key button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KR102296846B1 (ko) * | 2015-02-06 | 2021-09-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키 버튼 어셈블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20170050270A (ko) * | 2015-10-30 | 2017-05-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롤러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KR20170059815A (ko) | 2015-11-23 | 2017-05-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롤러블 이동 단말기 |
KR20170099626A (ko) | 2016-02-24 | 2017-09-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사이드 키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20170123789A (ko) | 2016-04-29 | 2017-11-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102470945B1 (ko) * | 2016-06-15 | 2022-11-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102269604B1 (ko) | 2018-02-23 | 2021-06-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102499112B1 (ko) | 2018-04-09 | 2023-02-1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
-
2018
- 2018-01-09 KR KR1020180002696A patent/KR102404880B1/ko active Active
-
2019
- 2019-01-07 EP EP19738061.1A patent/EP3720104B1/en active Active
- 2019-01-07 WO PCT/KR2019/000213 patent/WO2019139314A1/ko unknown
- 2019-01-07 DE DE202019005690.4U patent/DE202019005690U1/de active Active
- 2019-01-07 US US15/733,340 patent/US11169619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720104A4 (en) | 2021-01-27 |
KR20190084669A (ko) | 2019-07-17 |
US11169619B2 (en) | 2021-11-09 |
EP3720104A1 (en) | 2020-10-07 |
DE202019005690U1 (de) | 2021-06-25 |
US20210117012A1 (en) | 2021-04-22 |
WO2019139314A1 (ko) | 2019-07-18 |
EP3720104B1 (en) | 2022-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04880B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 |
KR102346087B1 (ko) |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11281254B2 (en) |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pen | |
US11755073B2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applied to same | |
KR102540757B1 (ko) | 펜 입력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기반으로 화면의 속성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692813B1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동작 모드 제어 방법 | |
KR20200131662A (ko) |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 | |
KR102465076B1 (ko) | 안테나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200119020A (ko) | 전자 장치 및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어 및 운영하는 방법 | |
KR20200036374A (ko) | 스타일러스 펜과 페어링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에 관한 방법 | |
KR102372641B1 (ko) | 실링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377493B1 (ko) | 플렉서블 힌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20210132728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nsor for detecting external input | |
KR20200100929A (ko) | 필기 입력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715435B1 (ko) | 벅 컨버터들 간의 연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102737412B1 (ko) | 액세서리를 인식하는 전자 장치 | |
KR20210028924A (ko) | 폴더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210120378A (ko) | 무선 충전을 위한 외부 전자 장치의 배치 상태를 표시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
EP3849290B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ousing in which protective structure is disposed | |
KR20200038640A (ko) | 디지털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1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1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