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98581B1 -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581B1
KR102398581B1 KR1020150056161A KR20150056161A KR102398581B1 KR 102398581 B1 KR102398581 B1 KR 102398581B1 KR 1020150056161 A KR1020150056161 A KR 1020150056161A KR 20150056161 A KR20150056161 A KR 20150056161A KR 102398581 B1 KR102398581 B1 KR 102398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gion
deposition
deposition layer
col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5239A (ko
Inventor
안병주
강도행
김정철
박수진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6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581B1/ko
Priority to US15/131,096 priority patent/US10739816B2/en
Priority to PCT/KR2016/004052 priority patent/WO2016171443A1/en
Priority to EP16166151.7A priority patent/EP3085524B1/en
Priority to CN201610252254.1A priority patent/CN106064545B/zh
Publication of KR20160125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5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6Producing casings, e.g. accumulator c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3/00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layered product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repairing; Apparatus therefor
    • B32B43/006De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0Applying plastic materials and superficially modelling the surface of thes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2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 B44C1/228Removing surface-material, e.g. by engraving, by etching by lase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05Removing selectively parts of at least the upper layer of a multi-layer art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43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for decorative purpo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6Vapour de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43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모재의 중첩되는 영역에 적어도 두 개의 증착층을 적층시키는 공정;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증착층 중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증착층을 탈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탈막 공정 후에 탈막 영역에 인쇄층을 적층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과 이 제조 방법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 및 하우징이 적용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HOUSING,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우징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어, 두 가지 이상의 다중 컬러 구현을 위한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의 발달은 우리 생활에 밀착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그 기능 및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출시되는 바, 장치의 기능 및 슬림화뿐만 아니라 외적 미려함에도 신경쓰게 되었으며, 타업체의 장치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보다 우수하고 미려한 디자인을 가진 장치가 좀더 사용자에게 선호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전자 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하우징이나,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별도로 장착되는 보호 하우징(예: 보호 커버) 등의 외관 구성(색상, 질감 등)은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메탈 소재를 증착시킴으로서 그 상부의 컬러에 메탈감을 부가시키면서 제품의 고급화에 일조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하우징들은 후가공으로 한 번의 증착 공정을 적용하기 때문에 단 컬러 일색의 구성을 가지므로써 단조로운 디자인을 구현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하우징에 인쇄를 할 경우, 기본 도장층에 인쇄층을 형성할 뿐이어서 인쇄 잉크 자체의 컬러에 의한 단조로운 솔리드 컬러감만이 제공될 수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하우징에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다중 컬러 영역을 가짐으로써 장치 외관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증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증착증을 배경으로 하는 메탈릭한 컬러 인쇄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모재의 중첩되는 영역에 적어도 두 개의 증착층을 적층시키는 공정;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증착층 중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증착층을 탈막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탈막 공정 후에 탈막 영역에 인쇄층을 적층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과 이 제조 방법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 및 하우징이 적용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재의 상부에 제1증착층을 적층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1증착층의 상부에 중도 도장층을 적층시키는 공정과, 상기 중도 도장층의 상부에 제2증착층을 적층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2증착층의 상부에 컬러 도장층을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모재의 일부 영역에 대하여 상기 컬러 도장층 및 제2증착층을 탈막시키는 공정 및 상기 탈막된 영역에 대응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상기 인쇄층은 상기 제1증착층이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투영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과 이 제조 방법에 의해 형성된 하우징 및 하우징이 적용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나의 하우징에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다중 컬러 영역을 구현할 수 있고, 배경으로 메탈릭한 컬러 인쇄가 가능하기 때문에 하우징의 외적 미려함을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전자 장치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에 전자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컬러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2a의 제조 방법에 따라 형성된 하우징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b 내지 3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제조 방법에 따라 형성되는 하우징의 모식도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제조 방법에 따라 형성된 하우징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3g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제조 방법에 따라 형성된 하우징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인쇄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인쇄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다중 컬러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 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 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 째", "둘 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 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 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 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의복, 전자팔찌, 전자목걸이, 전자앱세서리(appcessory), 전자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전자장비(예: 선박용항법장치 및 자이로콤파스 등), 항공전자기기(avionics), 보안기기, 차량용헤드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싸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flexible)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100에 전자 장치 200이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100에 전자 장치 200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 200의 전면 207에는 디스플레이 201이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201의 상측으로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스피커 장치 202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201의 하측으로는 상대방에게 전자 장치 사용자의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장치 203이 설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피커 장치 202가 설치되는 주변에는 전자 장치 2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component)들이 배치될 수 있다. 부품들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 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모듈 204는, 예컨대, 조도 센서(예: 광센서),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은 카메라 장치 205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부품은 전자 장치 200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켜주기 위한 LED 인디케이터 206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200은 전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 211, 좌측 212, 상측 213 및 하측 테두리 21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테두리 211, 212, 213, 214는 전자 장치 200의 측면으로서 기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200은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용되기 위한 보호 하우징 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하우징 100은 전자 장치 200의 후면 및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보호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하우징 100은 전자 장치 200의 후면을 수용하기 위한 플레이트 타입 장치 수용부 101과, 장치 수용부 101의 네 모서리에서 상방향으로 각각 신장된 걸림 리브 1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 리브 102는 전자 장치의 네 모서리 215를 타이트하게 수용함으로써 전자 장치 200이 일정 외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보호 하우징 100과 이탈되지 못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전자 장치 200의 형상에 따라, 보호 하우징 100은 전자 장치 200의 다양한 부분을 지지할 수도 있다.
도 1b를 참고하면, 보호 하우징 100은 전자 장치 200의 후면에 배치된 카메라 장치 217 및 센서 모듈(플래시 포함) 218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전자 장치 200의 나머지 후면 영역은 가릴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하우징 100은 전자 장치 200의 네 모서리만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전자 장치 200의 외부에 노출된 전자 부품들(예: 키 버튼 216 등)의 조작을 용이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하우징 100은 두 가지 컬러를 갖는 다중 컬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호 하우징 100은 장치 수용부 101 중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된 제1컬러 영역 1011과, 제1컬러 영역 1011의 테두리 및 테두리를 따라 신장된 걸림 리브 102까지 형성되는 제2컬러 영역 10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컬러 영역 1011과 제2컬러 영역 1012는 증착층을 포함하는 증착 컬러로써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일반 컬러가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컬러 영역 1011을 배경으로 인쇄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컬러 영역 1011은 배경으로 증착 컬러가 인쇄층을 통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하여 메탈릭(metalic)한 컬러 인쇄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인쇄층을 포함하는 제1컬러 영역 1011과 제1컬러 영역 1011의 테두리를 따라 걸림 리브 102까지 형성된 제2컬러 영역 1012를 모두 증착 컬러로 구현함으로서, 보호 하우징 100은 좀더 미려한 외관을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향상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2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c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 200의 후면에는 커버 부재 2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부재 220은 전자 장치 2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 팩을 보호하고, 전자 장치 200의 외관을 미려하기 하기 위한 배터리 커버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커버 부재 220은 전자 장치 200과 일체화되어 전자 장치 200의 후면 하우징으로 직접 기여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200의 후면에는 카메라 장치 217 및 플래시 218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다중 컬러 영역을 커버 부재 220에 구현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컬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영역은 증착 컬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컬러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컬러 영역에는 인쇄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쇄 영역은 증착 컬러를 배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 영역은 전장치의 제조사 로고, 전자 부품을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 등 다양한 인쇄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보호 하우징 100 및 커버 부재 220은 금속, 유리(galss), 복합 소재, 합성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다중 컬러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2a의 제조 방법에 따라 형성된 하우징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2a의 제조 공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2b의 구성을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면, 230 공정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형상의 모재 205을 제조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재 205은 합성수지, 유리, 금속, 복합 소재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재 250이 금속 재질일 경우, 캐스팅, 프레스 공법 등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재 250이 합성 수지 재질일 경우 사출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재 250이 합성 수지와 금속의 이종 재질일 경우, 이중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그후, 231 공정에서, 모재 250의 일면에 제1증착층 2521을 형성하고, 232 공정에서 제1증착층 2521의 상부에 제1컬러 도장층 2522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증착층 2521과 제1컬러 도장층 2522는 제1증착 컬러층 252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증착 컬러층 252는 제1증착증 2521을 배경으로 제1컬러 도장층 2522가 메탈릭한 컬러로 발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재 250과 제1증착층 2521 사이에는 하도 도장층 251이 더 적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하도 도장층 251은 여러층의 소재로 형성이 될수 있으며 아크릴, 올레핀, 우레탄 계열 또는 그 이상의 수지와 경화방식에 따라 UV, 우레탄 경화 방식의 도료로 도장하여 도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도 도장층 251은 이후 공정인 증착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써 증착 물질이 하우징의 면에 균일하고 원활하게 도포 및 고착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도 도장층 251이 도포된 모재 250은 오븐 또는 자연 건조 등의 과정 또는 자외선 경화 방식을 거쳐 경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증착층 2521은 하도 도장층 251이 경화된 후, 그 상부에 적층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증착 방법으로는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또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증착층 2521은 Sn 계열, Ti 계열, Cr 계열, Al계열 중 적어도 하나의 계열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증착층은 TiO2, TiN, TiCN, SiO2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증착증 2521은 실리콘산화막(SiO2), 티타늄 산화막(TiO2), 알루미늄 산화막(Al2O3), 지르코늄 산화막(ZrO2), 탄탈륨 산화막(Ta2O5)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증착될 수도 있다.
그후, 233 공정에서 제2증착증 2531을 제1컬러 도장층 2522의 상부에 형성하고, 제2증착층 2531의 상부에 제2컬러 도장층 2532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증착층 2531과 제2컬러 도장층 2532는 제2증착 컬러층 25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증착 컬러층 253은 제2증착증 2531을 배경으로 제2컬러 도장층 2532가 메탈릭한 컬러를 발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증착층 2532 역시 상술한 제1증착증 2521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3증착층 2541 및 그 상부에 적층되는 제3컬러층 2542를 포함하는 제3증착 컬러층 254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증착 컬러층 252의 상부에 제2증착 컬러층 253을 적층하고, 제2증착 컬러층 253의 상부에 제3증착 컬러층 254를 적층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제N증착 컬러층 255를 순차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따라서, 제N증착 컬러층 255는 제N-1컬러 도장층의 상부에 제N증착층 2551을 적층시키는 235 공정과, 제N증착층 2551의 상부에 제N컬러 도장층 2552를 적층시키는 236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후, 서로 다른 컬러로 복수 적층된 증착 컬러층 252, 253, 254 ... 255 들을 서로 다른 영역에서 탈막시키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탈막 공정은 레이저 에칭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탈막 공정은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방식으로 탈막하는 층의 성질에 따라, 화이버(다이오드), 야그, 가스, 자외선 방식 등 다양한 종류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237 공정에서 제N컬러 도장층 2552까지 최종적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제N-1 도장층까지 일정 영역을 탈막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다른 영역에서 제1컬러 도장층 2521까지 순차적으로 탈막시키는 238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b는 순차적으로 각각의 증착 컬러층 252, 253, 254까지 탈막된 서로 다른 영역을 갖는 하우징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N컬러 도장층 2552까지 적층된 상태에서 A 영역 만큼 제3컬러 도장층 2542가 노출되도록 탈막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A 영역 중에서 B 영역 만큼 제2컬러 도장층 2532가 노출되도록 탈막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B 영역 중에서 C 영역 만큼 제1컬러 도장층 2522가 노출되도록 탈막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을 전체적으로 보면, C 영역에서는 제1증착 컬러층 252가 보이고, B-C 영역에서는 제2증착 컬러층 253이 보이고, A-B 영역에서는 제3증착 컬러층 254가 보이며, 나머지 영역에서는 제N증착 컬러층 255가 보이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하우징에서 탈막 영역을 조절하여 소망 영역에서 서로 다른 색상의 증착 컬러층 252, 253, 254 ... 255가 보이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의 증착 컬러층에서 증착증이 배제된 일반 컬러층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그후, 239 공정에서 각각의 영역에서 탈막된 후, 그 상부에 상도 도막층 256을 적층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도 도막층 256은 투명 재질의 우레탄 도료를 분사 방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도 도막층 256은 내지문(fingerprint resistance) 첨가제 형태의 다양한 UV 경화형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층은 소재 및 환경에 따라 UV,우레탄, 소부형, SF도료, 수성도료 등 경화 반응이 이루어지는 모든 범위에서의 도막층을 구성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지, 용제, 안료/염료, 첨가제 등으로 이루어진 유동성의 도료가 컬러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층은 소재 및 제품에 따라 1층 또는 다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층의 컬러는 유기/무기안료, 유기염료, Silver, Pearl 등이 포함된 도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며, 각각의 증착 컬러층 252, 253, 254 ... 255에 형성되는 각각의 증착층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증착층은 서로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증착층은 적어도 두 가지의 증착 물질을 교번하여 증착시킬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증착층은 적어도 두 가지의 증착 물질을 혼합하여 제1굴절률이 발현되는 제1증착 물질과, 제1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제2굴절률이 발현되는 제2증착 물질을 형성시켜 이 두 증착 물질을 교번하여 증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리콘산화막(SiO2)의 굴절률은 1.4이며, 티타늄 산화막(TiO2)의 굴절률은 2.4이고, 알루미늄 산화막(Al2O3)의 굴절률은 1.7이다. 따라서 굴절률의 차이가 큰 실리콘산화막(SiO2)과, 티타늄 산화막(TiO2)을 교번하여 증착하면 해당 증착 컬러층은 세라믹 펄 질감 효과와 이방성 컬러 재현에 아주 유리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인쇄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 30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3b 내지 3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제조 방법에 따라 형성되는 하우징의 모식도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제조 방법에 따라 형성된 하우징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3g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제조 방법에 따라 형성된 하우징을 도시한 사진이다.
도 3a의 제조 공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3b 내지 도 3g의 구성을 참고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g를 참고하면, 301 공정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형상의 모재 320을 제조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재 320은 합성수지, 유리, 금속, 복합 소재 중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후, 302 공정에서, 모재 320의 일면에 하도 도장층 321이 적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도 도장층 321은 후술될 증착 공정에서 증착 물질의 증착 형성이 용이하고, 증착막의 원활한 부착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도 도장층 321은 여러층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아크릴, 올레핀, 우레탄 계열 또는 그 이상의 수지와 경화방식에 따라 UV, 우레탄 경화 방식의 도료로 도장하여 도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역시 투명 우레탄 도료를 통해 형성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도 도장층 321은 이후 공정인 증착 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공정으로써 증착 물질이 하우징의 면에 균일하고 원활하게 도포 및 고착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도 도장층 321이 도포된 모재 320는 오븐 또는 자연 건조 등의 과정 도는 자외선 경화 방식을 거쳐 경화될 수 있다.
그후, 303 공정에서, 하도 도장층 321이 경화된 후, 제1증착층 322이 그 상부에 적층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증착 방법으로는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또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증착층 322는 Sn 계열, Ti 계열, Cr 계열, Al계열 중 적어도 하나의 계열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증착층은 TiO2, TiN, TiCN, SiO2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증착증 322는 실리콘산화막(SiO2), 티타늄 산화막(TiO2), 알루미늄 산화막(Al2O3), 지르코늄 산화막(ZrO2), 탄탈륨 산화막(Ta2O5)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이 증착될 수도 있다.
그후, 304 공정에서, 제1증착층 322의 상부에 중도 도장층 323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도 도장층 323은 그 상부에 적층되는 제2증착층 324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증착막 부착성이 우수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도 도장층 232은 CPO(Chlorinated Polyolefine) 계열(예: CPO _C1 타입의 프라이머)의 수지, 아크릴 변성 수지, UV 경화형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중도 도장층 323은 후술될 탈막 공정에서 제1증착층 322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도장 단계의 최상층은 올리고머, 모노머, 광개시제로 구성된 UV 도료일 수 있다.
그후, 305 공정에서 중도 도장층 323의 상부에 제2증착층 324를 형성하고, 306 공정을 통해 그 상부에 컬러 도장층 325를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 도장층 325는 후술될 인쇄층 327이 적용되지 않는, 즉, 하우징 300의 인쇄 영역 이외의 영역에 적용되는 컬러가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 도장층 325는 제2증착층 324를 배경(base)으로 하여 메탈릭한 증착 컬러층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 도장층 325는 소재 및 환경에 따라 UV,우레탄, 소부형, SF도료, 수성도료 등 경화 반응이 이루어지는 모든 범위에서의 도막층을 구성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지, 용제, 안료/염료, 첨가제 등으로 이루어진 유동성의 도료가 컬러 도장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 도장층 325는 소재 및 제품에 따라 1층 또는 다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 도장층 325의 컬러는 유기/무기안료, 유기염료, Silver, Pearl 등이 포함된 도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후, 307 공정에서 모재 320의 소정의 영역에 대하여 중도 도장층 323까지 탈막 시키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탈막 공정은 레이저 에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탈막 공정은 레이저 광원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방식으로 탈막하는 층의 성질에 따라, 화이버(다이오드), 야그, 가스, 자외선 방식 등 다양한 종류의 레이저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c를 참고하면 탈막 영역 329는 인쇄층 327이 형성될 영역으로써, 도 3g의 인쇄 영역일 수 있으며, 도 1b의 영역 1011일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노출된 제1증착층 322와 제2컬러 도장층 325 및 제2증착층 324에 의해 형성된 제2증착 컬러층은 서로 다른 컬러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탈막 공정에 의해 형성된 인쇄 영역의 제1증착층 322가 실버 계열의 컬러일 때, 제2증착 컬러층 325는 다양한 다른 컬러일 수 있다. 예컨대, 제2증착 컬러층 325는 그린, 레드, 골드 등 다양한 색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후, 308 공정에서 탈막된 영역 329에 인쇄층 327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층 327은 DDP(Direct Digital Printing), 그라비아 인쇄, 열전사 인쇄, 수전사 인쇄, 패드 인쇄, 실크 인쇄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층 327이 적층되기 전에 인쇄 영역 및 컬러 도장층 325을 포함하여 그 상부에 프라이머 층 326(예: DDP 프라이머 층)이 더 적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라이머 층 326은 다양한 소재에 부착성이 우수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PO 계열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그후, 309 공정에서 인쇄층 327의 상부에 상도 도장층 328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도 도장층 328은 인쇄층 327을 보호하기 위하여 투명 우레탄 도료를 분사 방식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도 도장층 328의 상부에 SF(Soft Feel) 도료를 도포하여 인쇄층 327 및 컬러 도장층 325의 컬러를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도 도장층 328은 인쇄층 327 및 제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투명 또는 컬러를 적용하여 도장할 수 있으며 경화 방식에 따라 UV, 우레탄, 소부 타입의 도료를 적용하거나, SF 도료를 도포하여 질감을 표현 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공정에 의해 완성된 하우징 300은 탈막 영역, 즉 인쇄 영역은 인쇄층 327을 배경으로 제1증착층 322가 발현되기 때문에 메탈릭한 인쇄층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인쇄층 327의 양측면 역시 제2증착층 324에 의해 컬러 도장층 325 역시 증착 컬러층으로써 발현될 수 있다. 즉, 2톤(tone)의 증착 컬러층이 구현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향상된 심미감을 갖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인쇄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400은 모재 420의 상부에 제1컬러층 421, 증착층 422 및 제2컬러층 423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인쇄 영역을 탈막시키고 그 상부에 프라이머 층 424를 적층시킨 후 인쇄층 425를 형성하고 상도 도장층 426이 적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컬러층421, 증착층 422, 제2컬러층 423, 프라이머 층 424, 인쇄층 425 및 상도 도장층 426은 전술한 공정 및 소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도 3f의 인쇄층 327의 배경으로 적층되었던 제1증착층 322 대신 제1컬러 도장층 421이 대체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컬러 도장층 421은 인쇄층 425를 배경으로 메탈릭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실버 컬러 도장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버 컬러 도장의 경우, 탈막 공정시 별도의 중도 도장층을 배제시키고 제1컬러 도장층 421까지 소정의 영역을 탈막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하우징 500의 인쇄층 524는 제2증착층 252 및 컬러 도장층 526으로 형성된 증착 컬러층의 저부에 먼저 적층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500은 모재 520의 상부에 하도 도장층 521, 제2증착층 522, 프라이머 층 523, 인쇄층 524, 제2증착층 525 및 컬러 도장층 526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소정의 영역에 대하여 인쇄층 노출 영역으로써 탈막 공정을 수행한 후 그 상부에 상도 도장층 527을 적층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탈막 영역을 마스킹한 상태에서 제2증착층 525 및 컬러 도장층 526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도 도장층 521, 제1증착층 522, 프라이머 층 523, 인쇄층 524, 제2증착층 525, 컬러 도장층 526 및 상도 도장층 527은 전술한 공정 및 소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500은 인쇄층 노출 영역을 통하여 인쇄층의 배경으로 제1증착층 522가 제공되기 때문에 인쇄층 524는 메탈릭한 컬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컬러 도장층 526 역시 제2증착층 525에 의해 메탈릭한 컬러가 제공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인쇄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요부 단면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층의 배경으로 제공되는 메탈릭한 느낌의 제1증착층 또는 메탈릭한 컬러 도장층은 모재의 제2증착층이 적층된 면과 대향되는 면에 적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모재는 투명하거나 적어도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증착층이 모재의 상면에 적층된다면, 제1증착층은 모재의 저면에 적층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하우징 600의 모재 620의 일면에 하도 도장층 621, 제2증착층 622, 컬러 도장층 623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후, 탈막 공정을 통해 인쇄 영역을 탈막시킨 후, 그 상부에 프라이머 층 624, 인쇄층 625 및 상도 도장층 626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재 620의 저면에 제1증착층 627이 적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탈막 영역을 통해 인쇄된 인쇄층 625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모재 620을 통해 그 대향면에 형성된 제1증착층 627을 배경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역시 메탈릭한 컬러 구현이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도 도장층 621, 제2증착층 622, 컬러 도장층 623, 프라이머 층 624, 인쇄층 625, 상도 도장층 626 및 제1증착층 627은 전술한 공정 및 소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인쇄층 723의 배경으로 제공되는 메탈릭한 느낌의 제1증착층 727 또는 메탈릭한 컬러 도장층은 모재의 제2증착층 724가 적층된 면과 대향되는 면에 적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모재 720는 투명하거나 적어도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증착층 724가 모재 720의 상면에 적층된다면, 제1증착층 727은 모재 720의 저면에 적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층 723은 제2증착층 724 및 컬러 도장층 725로 형성된 증착 컬러층의 저부에 먼저 적층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 700은 모재 720의 상부에 하도 도장층 721, 프라이머 층 722, 인쇄층 723, 제2증착층 724 및 컬러 도장층 725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후, 소정의 영역에 대하여 인쇄층 노출 영역으로써 탈막 공정을 수행한 후 그 상부에 상도 도장층 726을 적층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재 720의 저면에 제1증착층 727이 적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탈막 영역을 통해 노출된 인쇄층 723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모재 720을 통해 그 대향면에 형성된 제1증착층 727을 배경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역시 메탈릭한 컬러 구현이 가능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도 도장층 721, 프라이머 층 722, 인쇄층 723, 제2증착층 724, 컬러 도장층 725, 상도 도장층 726 및 제1증착층 727은 전술한 공정 및 소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다중 컬러 영역을 포함하는 하우징 800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모재 820의 제1면에 인쇄층 822, 증착층 823 및 제1도장층 824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모재 820의 제1면과 대향되는 제2면에서 바라볼 때, 증착층 823을 배경으로 하는 메탈릭한 느낌의 인쇄층 822를 볼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증착층 823 대신 컬러 도장층이 대체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컬러 도장층은 인쇄층을 배경으로 메탈릭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실버 컬러 도장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면은 하우징 800의 외면으로 기여될 수 있으며, 제1면은 하우징 800의 내면으로 기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재 820은 투명 또는 적어도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모재 820의 제2면에는 투명 재질의 모재 820을 보호하기 위하여 제2도장층 821이 더 적층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도장층 821은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하드 코팅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증착층 823 역시 제1도장층 824로써 투명 코팅층이 더 적층되어 증착층 823을 보호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코팅층 역시 우레탄 계열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쇄층 822, 증착증 823, 제1도장층 824 및 제2도장층 821은 전술한 공정 및 소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0: 하우징 320: 모재
321: 하도 도장층 322: 제1증착층
323: 중도 도장층 324: 제2증착층
325: 컬러 도장층 327: 인쇄층
328: 상도 도장층

Claims (20)

  1. 하우징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모재의 상부에 제1 색상을 가지는 제1 증착층, 상기 제1 증착층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색상과 다른 색상인 제2 색상을 가지는 제2 증착층, 및 상기 제2 증착층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색상 및 상기 제2 색상과 다른 색상인 제3 색상을 가지는 제3 증착층을 포함하는 적어도 세 개의 증착층을 적층시키는 공정; 및
    상기 제3 증착층의 제1 영역을 탈막시켜 상기 제3 증착층의 상기 제1 영역 외의 나머지 영역을 남기고 상기 제2 증착층의 제2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공정; 및
    상기 제2 증착층의 상기 제2 영역의 일부를 탈막시켜 상기 제2 증착층의 상기 탈막된 영역 외의 영역을 남기고, 상기 제2 영역의 나머지 일부와 상기 제1 증착층의 제3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증착층의 상기 탈막된 영역 외의 영역은, 상기 제3 증착층의 상기 제1 영역 외의 나머지 영역과 상기 노출되는 제1 증착층의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탈막 공정 후에 상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상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 인쇄층을 적층시키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금속 재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증착층, 제2 증착층 및 제3 증착층 각각은, Sn 계열, Cr 계열, Al 계열 중 적어도 하나의 계열의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고,
    상기 하우징은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은 증착층과 증착층에 적층되는 컬러 도장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
  4. 삭제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막 공정은 화이버(다이오드), 야그, 가스, 자외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그 하측에 적층된 증착층이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투영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DDP(Direct Digital Printing), 그라비아 인쇄, 열전사 인쇄, 수전사 인쇄, 패드 인쇄, 실크 인쇄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과 그 하측의 증착층 사이에는 프라이머 층이 더 개재되되,
    상기 프라이머 층은 그 하측의 탈막 영역 및 주변의 다른 증착 컬러층까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과 적층되는 증착 컬러층 대신 컬러 도장층을 적층시키되, 상기 인쇄층은 상기 컬러 도장층이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투영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적으로 탈막된 영역 모두를 포함하여 상도 도막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층의 탈막 공정 전에 인쇄층을 적층시키고, 상기 인쇄층까지 탈막 시켜 상기 인쇄층이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가 광이 투과되는 재질로 형성될 경우, 상기 증착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모재의 나머지 증착층이 적층된 면과 대향되는 대향면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자 장치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 별도로 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보호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전자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프레임 또는 전자 장치의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배터리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3항,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3항,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하우징 제조 방법에 있어서,
    모재의 상부에 제1증착층을 적층시키는 공정;
    상기 제1증착층의 상부에 중도 도장층을 적층시키는 공정;
    상기 중도 도장층의 상부에 제2증착층을 적층시키는 공정;
    상기 제2증착층의 상부에 제1 컬러 도장층을 도포하는 공정;
    상기 제1 컬러 도장층의 상부에 제3증착층을 적층시키는 공정;
    상기 제3증착층의 상부에 제2 컬러 도장층을 도포하는 공정;
    상기 제3증착층과 상기 제2 컬러 도장층의 제1 영역을 탈막시켜 상기 제3증착층과 상기 제2 컬러 도장층의 상기 제1 영역 외의 나머지 영역을 남기고, 상기 제2증착층과 상기 제1 컬러 도장층의 제2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공정;
    상기 제2증착층과 상기 제1 컬러 도장층의 상기 제2 영역의 일부를 탈막시켜 상기 제2증착층과 상기 제1 컬러 도장층의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탈막된 영역 외의 영역을 남기고, 상기 중도 도장층의 제3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공정; 및
    상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상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에 대응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증착층과 상기 제2 컬러 도장층의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탈막된 영역 외의 영역은, 상기 제3증착층과 상기 제2 컬러 도장층의 상기 제1 영역 외의 상기 나머지 영역과 상기 노출되는 상기 중도 도장층의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증착층, 제2증착층 및 제3증착층 각각은, Sn 계열, Cr 계열, Al 계열 중 적어도 하나의 계열의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고,
    상기 인쇄층은, 금속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증착층이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투영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은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제조 방법.
  20. 하우징에 있어서,
    모재;
    상기 모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1 증착층;
    상기 제1 증착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중도 도장층;
    상기 중도 도장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 증착층;
    상기 제2 증착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제1 컬러 도장층;
    상기 제1 컬러 도장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3 증착층;
    상기 제3 증착층의 상부에 도포되는 제2 컬러 도장층; 및
    상기 제3 증착층과 상기 제2 컬러 도장층의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을 탈막시켜 노출되는 상기 제2 증착층과 상기 제1 컬러 도장층의 제2 영역의 일부를 탈막시켜 노출되는 상기 제2 영역의 나머지 일부와 상기 중도 도장층의 제3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하는 인쇄층을 포함하되,
    상기 노출되는 상기 제2 영역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3 증착층과 상기 제2 컬러 도장층의 상기 제1 영역 외의 영역과 상기 중도 도장층의 상기 제3 영역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증착층, 제2 증착층 및 제3 증착층 각각은, Sn 계열, Cr 계열, Al 계열 중 적어도 하나의 계열의 재료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고,
    상기 인쇄층은, 금속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제1증착층이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투영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은 스마트폰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우징.
KR1020150056161A 2015-04-21 2015-04-21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ctive KR102398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161A KR102398581B1 (ko) 2015-04-21 2015-04-21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5/131,096 US10739816B2 (en) 2015-04-21 2016-04-18 Housing,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PCT/KR2016/004052 WO2016171443A1 (en) 2015-04-21 2016-04-19 Housing,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16166151.7A EP3085524B1 (en) 2015-04-21 2016-04-20 Housing,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1610252254.1A CN106064545B (zh) 2015-04-21 2016-04-21 壳体、制造壳体的方法以及包括壳体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161A KR102398581B1 (ko) 2015-04-21 2015-04-21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239A KR20160125239A (ko) 2016-10-31
KR102398581B1 true KR102398581B1 (ko) 2022-05-17

Family

ID=5610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161A Active KR102398581B1 (ko) 2015-04-21 2015-04-21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39816B2 (ko)
EP (1) EP3085524B1 (ko)
KR (1) KR102398581B1 (ko)
CN (1) CN106064545B (ko)
WO (1) WO20161714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86846S1 (en) * 2014-08-25 2017-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86228S1 (en) * 2014-08-25 2017-05-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94591S1 (en) * 2014-08-25 2017-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32230S1 (en) * 2014-12-31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84279S1 (en) * 2014-12-31 2017-04-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98285S1 (en) * 2015-02-16 2017-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D803203S1 (en) * 2015-07-15 2017-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03806S1 (en) 2015-07-15 2017-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97088S1 (en) * 2015-11-13 2017-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97089S1 (en) * 2015-11-13 2017-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94595S1 (en) * 2015-11-13 2017-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93984S1 (en) * 2015-11-13 2017-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782457S1 (en) * 2016-04-14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D783567S1 (en) * 2016-04-14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US20180065780A1 (en) * 2016-09-06 2018-03-08 Samsonite Ip Holdings S.Àr.L. Case with internal graphic
USD859388S1 (en) * 2016-12-09 2019-09-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mobile phone
USD879754S1 (en) * 2017-01-06 2020-03-31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843994S1 (en) * 2017-06-01 2019-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for mobile phone
USD843993S1 (en) * 2017-06-01 2019-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for mobile phone
USD813216S1 (en) * 2017-06-01 2018-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CN107666801B (zh) * 2017-09-29 2019-06-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制作方法、壳体及电子设备
USD839250S1 (en) * 2017-12-01 2019-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D839251S1 (en) * 2017-12-01 2019-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O2020117263A1 (en) * 2018-12-07 2020-06-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ousings for electronic devices
KR102406233B1 (ko) * 2018-12-19 2022-06-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D964338S1 (en) * 2019-01-30 2022-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se for mobile phone
CN110475440B (zh) * 2019-08-12 2022-02-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CN111010838B (zh) * 2019-12-11 2021-01-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的制造方法、壳体以及电子设备
CN110978832A (zh) * 2019-12-19 2020-04-1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壳体的制作方法、壳体以及电子设备
KR102794841B1 (ko) * 2020-01-10 2025-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772809B1 (ko) * 2020-06-18 2025-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1763085B (zh) * 2020-07-16 2022-05-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陶瓷壳体、制备方法及电子设备
CN113035084B (zh) * 2021-04-09 2022-12-30 成都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仿形贴合装置、仿形贴合方法、显示模组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5537A (en) * 1988-09-12 1991-05-14 Seiko Epson Corporation Ornamental member
DE69425943T2 (de) * 1993-11-05 2001-04-12 Vari Lite Inc Lichtmusterschablone und Laserablationsverfahren bzw. -gerät zu deren Herstellung
US20090295736A1 (en) 2008-05-29 2009-12-03 Nokia Corporation Device having and method for providing a gemstone keymat
CN101594755A (zh) 2008-05-30 2009-12-02 林大森 表面具有图文的电器壳体制造方法及产品
CN101879799A (zh) * 2009-05-04 2010-11-10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壳体及其制造方法
CN102002712A (zh) 2009-09-03 2011-04-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外壳及其制造方法
KR20110085273A (ko) * 2010-01-19 2011-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전자 기기의 케이스
KR101662320B1 (ko) * 2010-04-15 201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중 표면 처리된 사출 성형물 및 그 제조방법
US20120003441A1 (en) * 2010-07-01 2012-01-05 Sipix Chemical Inc. Decoration film, dec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on device
KR20120099983A (ko) * 2011-03-02 2012-09-12 박정현 휴대용 단말기에 착탈이 가능한 보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US20120248001A1 (en) 2011-03-29 2012-10-04 Nashner Michael S Marking of Fabric Carrying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2958311A (zh) 2011-08-25 2013-03-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装饰性外壳及其制作方法
CN102950952A (zh) 2011-08-25 2013-03-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装饰性外壳及其制作方法
CN103132014A (zh) * 2011-12-01 2013-06-0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镀膜件及其制备方法
WO2014059618A1 (en) 2012-10-17 2014-04-24 Microsoft Corporation Graphic formation via material ablation
CN103781296B (zh) * 2012-10-18 2018-02-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外壳制造方法
KR102051583B1 (ko) 2012-11-01 2019-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케이스 프레임 및 그 제조 방법
KR102070279B1 (ko) * 2013-04-26 2020-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구비되는 케이스의 제조 방법
KR20150011692A (ko) 2013-07-23 201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150026274A (ko) * 2013-09-02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부재 및 이의 제작 방법
CN103516843B (zh) * 2013-09-18 2016-08-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手机塑胶外观件的表面处理方法及手机塑胶外观件
CN106462782B (zh) * 2014-05-22 2020-04-03 安全创造有限责任公司 具有选定纹理和着色的交易和id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64545B (zh) 2021-02-26
KR20160125239A (ko) 2016-10-31
US10739816B2 (en) 2020-08-11
WO2016171443A1 (en) 2016-10-27
EP3085524A3 (en) 2016-11-02
US20160313763A1 (en) 2016-10-27
EP3085524B1 (en) 2018-06-06
EP3085524A2 (en) 2016-10-26
CN106064545A (zh)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8581B1 (ko)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86827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exterior member for the same
JP5753559B2 (ja) ケースフレ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11372B1 (ko)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501116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izing consumer products
KR102567809B1 (ko) 광투과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광투과 필름 제조방법
CN207234900U (zh) 炫光保护壳及其炫光膜
US11301070B2 (en) Apparatus of display having adhesion reduction layer formed micro protrusion design
KR20200027182A (ko) 장식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53606B1 (ko) 커버글라스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40154483A1 (en) Transparent member having an image and method for forming the image on the transparent member
KR20120131848A (ko) 모바일기기용 커버 액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US1013330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ase fram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it
KR20180137975A (ko) 패턴 구조층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26274A (ko) 커버 부재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100084860A (ko) 휴대단말기
KR200477572Y1 (ko) 플라스틱 거울
US20130040113A1 (en) Screen protector
KR20090056037A (ko) 다양한 칼라 및 반거울감을 가지는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687206B1 (ko) 커버글라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커버글라스
KR101513684B1 (ko) 모바일 기기용 글라스의 인쇄층 형성방법 및 그 인쇄층 형성구조
JP5294312B2 (ja) 外装ケース、及び電子機器
KR20180049801A (ko) 멀티코팅층이 적용된 지문센서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2156789A (ja) 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4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