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95228B1 -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228B1
KR102395228B1 KR1020180120748A KR20180120748A KR102395228B1 KR 102395228 B1 KR102395228 B1 KR 102395228B1 KR 1020180120748 A KR1020180120748 A KR 1020180120748A KR 20180120748 A KR20180120748 A KR 20180120748A KR 102395228 B1 KR102395228 B1 KR 102395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r frame
battery cell
celid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614A (ko
Inventor
조영범
김경모
서성원
김승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120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228B1/ko
Priority to CN201980043784.7A priority patent/CN112335108B/zh
Priority to JP2020572412A priority patent/JP7154636B2/ja
Priority to PCT/KR2019/010495 priority patent/WO2020075966A1/ko
Priority to US17/262,090 priority patent/US11962039B2/en
Priority to EP19871665.6A priority patent/EP3806194A4/en
Publication of KR20200040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against vibrations, collision impact or sw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은 셀리드 블록과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을 교대로 적층하여 복수의 셀리드 블록과 전지셀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덮도록 양단에 버스바 프레임이 장착된 탑커버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셀리드 블록을 상기 전지셀 적층체와 상기 버스바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서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버스바 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이 상기 전지셀 적층체에 장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셀리드 블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을 교대로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셀리드 블록 중 서로 이웃하는 셀리드 블록 사이에 상기 전지셀로부터 돌출된 전극 탭의 연장부에 의해 형성된 전극 리드가 개재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MOUNTING METHOD OF BUSBAR FRAME}
본 발명은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셀 리드 형상의 블록을 이용한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품군에 따른 적용 용이성이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 등의 전기적 특성을 가지는 이차 전지는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적 구동원에 의해 구동하는 전지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력 저장 장치 등에 보편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의 사용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일차적인 장점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사용에 따른 부산물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친환경 및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다.
상기 전지 자동차 등에 적용되는 전지팩은 고출력을 얻기 위해 복수의 단위셀을 포함하는 다수의 셀 어셈블리를 직렬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셀은 양극 및 음극 집전체, 세퍼레이터, 활물질, 전해액 등을 포함하여 구성 요소들 간의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하여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하다.
한편, 근래 에너지 저장원으로서의 활용을 비롯하여 대용량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다수의 이차 전지가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다수의 전지 모듈을 집합시킨 멀티 모듈 구조의 전지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전지셀을 직렬/병렬로 연결하여 전지팩을 구성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로 이루어지는 전지 모듈을 먼저 구성하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전지 모듈을 이용하여 기타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전지팩을 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종래 전지 모듈은, 상호 적층되는 복수개의 전지셀들 및 복수개의 전지셀들의 전극 리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버스바 어셈블리는, 각각의 전지셀의 전극 리드들을 개별적으로 통과시키는 리드 슬롯들을 구비하는 버스바 프레임 및 버스바 프레임에 장착되고, 리드 슬롯들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버스바 슬롯들을 구비하며, 버스바 슬롯들을 통과한 전극 리드들과 용접 등으로 연결되는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전지 모듈에서는, 전지셀들의 개수가 늘어나게 되면 그만큼 전극 리드들 개수도 증가하고, 전극 리드들의 개수에 따라 리드 슬롯들의 개수가 늘어나며, 리드 슬롯들의 개수가 늘어난만큼 버스바 프레임에서 상대적으로 리드 슬롯의 폭이 좁아지게 되므로, 이웃하는 전극 리드들간에 쇼트가 발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지 모듈에서의 버스바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앞서 언급한 전극 리드(40)들간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절연 테이프(60)를 부착하여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버스바 프레임(50)을 조립한 이후에는 전극 리드(40)들의 용접을 위해서 절연 테이프(60)가 제거되어야 하고, 셀 테라스(30) 형상의 복잡성으로 인해 매뉴얼에 따라 전지셀(10)들에 버스바 프레임(50)을 조립해야 하므로 오조립 등의 조립 불량 확률이 커지는 등 조립 공정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지 모듈에서, 전지셀에 버스바 프레임 조립 시 조립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버스바 어셈블리 조립 시 조립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은 셀리드 블록과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을 교대로 적층하여 복수의 셀리드 블록과 전지셀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덮도록 양단에 버스바 프레임이 장착된 탑커버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셀리드 블록을 상기 전지셀 적층체와 상기 버스바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서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버스바 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이 상기 전지셀 적층체에 장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셀리드 블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을 교대로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셀리드 블록 중 서로 이웃하는 셀리드 블록 사이에 상기 전지셀로부터 돌출된 전극 리드가 개재되도록 한다.
상기 복수의 전지셀 각각의 전극 리드는 상기 전극 리드의 돌출된 방향을 따라 상기 전극 리드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셀 테라스를 형성하고, 상기 셀 테라스의 형상은 상기 셀리드 블록의 형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셀 테라스와 마주보는 상기 셀리드 블록의 일측에는 함침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함침 구조에 상기 셀 테라스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은 상기 셀리드 블록을 제거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버스바 프레임을 예각의 범위로 회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프레임을 상기 전지셀 적층체에 장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극 리드가 상기 버스바 프레임에 형성된 리드 슬롯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극 리드는 상기 복수의 셀리드 블록마다 형성되어 복수개가 되고, 상기 셀리드 블록을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는 전극 리드는 서로 다른 극성 배치를 갖도록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셀리드 블록 중 서로 이웃하는 셀리드 블록 사이에 상기 전극 리드가 복수개 연장되어 전극 리드 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셀리드 블록과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셀리드 블록을 압축 패드 양단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 패드 상에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은 상기 전지셀 적층체에 포함된 최상단 전지셀 위에 상기 압축 패드를 추가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은 상기 전지셀 적층에 중간에 상기 압축 패드를 추가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셀 리드 형상의 블록을 이용함으로써, 전지셀 적층시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리드 간의 쇼트를 방지하고, 자동화된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지 모듈에서의 버스바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지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전지셀과 버스바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지 모듈에 포함된 전지셀의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 일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이라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지 모듈에 포함된 복수의 전지셀과 버스바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지 모듈에 포함된 전지셀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1000)은, 복수의 전지셀(100) 및 버스바 프레임(500)를 포함한다. 전지 모듈(1000)은 복수의 전지셀 적층체를 덮는 탑커버(400)를 포함하고, 탑커버(400) 양단에 버스바 프레임(500)이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전지셀(100)들이 적층되어 형성된 전지셀 적층체 외측에는 압축 패드(200)가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전지셀(100) 각각으로부터 돌출된 전극 탭(미도시)은 연장되어 전극 리드(160)와 연결되고, 전극 리드(160)는 버스바 프레임(500)에 형성된 리드 슬롯(510)을 통과하여 전극 리드(160)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하나의 전지셀(10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전지셀(100)은 이차 전지로서,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지셀(100)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전지셀(100)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호 적층되어 전지셀 적층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전지셀(100)은 각각, 전극 조립체(110), 전지 케이스(130), 전극 조립체(110)로부터 돌출된 전극 리드(160) 및 절연 테이프(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10)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지 케이스(130)는 전극 조립체(110)를 패키징하기 위한 것으로, 수지층과 금속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전지 케이스(130)는, 케이스 본체(132) 및 셀 테라스(13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 본체(132)는 전극 조립체(110)를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케이스 본체(132)에는 전극 조립체(1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셀 테라스(135)는 케이스 본체(132)로부터 연장되며, 전극 조립체(110)를 밀봉할 수 있도록 실링될 수 있다. 이러한 셀 테라스(135)의 일측, 구체적으로 셀 테라스(135)의 전방(+X축 방향)에는 전극 리드(160)가 일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전극 리드(160)는 전극 조립체(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 리드(16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 리드들(160)의 일부는 각각, 전지 케이스(130)의 전방(+X축 방향) 및 후방(-X축 방향)에서 셀 테라스(135)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절연 테이프(170)는 전지 케이스(130)와 전극 리드(160) 사이에서의 단락 발생을 방지하고 셀 테라스(135)의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절연 테이프(170)는 전극 리드(16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 테이프(17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절연 테이프들(170)의 일부는 각각, 전지 케이스(130)의 전방(+X축 방향) 및 후방(-X축 방향)에서 셀 테라스(135)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전지셀(100)의 구성은 한 예이고, 전지셀 적층체를 구성하기 위한 전지셀(100)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버스바 프레임(500)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버스바 어셈블리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버스바 어셈블리는 복수개의 전지셀(100)의 전극 리드들(16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전지셀(100)을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버스바 어셈블리는 전극 리드들(160)의 돌출 방향(X축 방향)에서 복수개의 전지셀(100)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버스바 어셈블리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버스바 어셈블리들은 각각, 복수개의 전지셀들(100)의 전방(+X축 방향)에 돌출된 전극 리드들(160) 및 복수개의 전지셀들(100)의 후방(-X축 방향)에 돌출된 전극 리드들(16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버스바 어셈블리들은 각각 버스바 프레임(500) 외에 버스바(미도시) 및 셀 연결 보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바 프레임(500)은 복수개의 전지셀들(100)의 전방(+X축 방향) 또는 후방(-X축 방향)을 커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스바 프레임(500)은 복수개의 전지셀들(100)의 전방(+X축 방향) 또는 후방(-X축 방향)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리드 슬롯(510)은 복수개의 전지셀들(100)의 전극 리드들(160)을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버스바 프레임(500)의 좌우 방향(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리드 슬롯(510)은 인접하는 세 개의 전지셀들(100)의 전극 리드들(160)의 연장부들을 공동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서로 이웃하는 세 개의 전지셀들(100)의 전극 리드들(160)이 연장되어 하나의 전극 리드(160) 군을 형성하고, 이러한 전극 리드(160) 군에 포함된 전극 리드들(160)이 리드 슬롯(510)을 통과한 후 버스바와 함께 레이저 용접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리드 슬롯(510)은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리드(160)를 통과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로 이웃하는 리드 슬롯들(510) 중 하나의 리드 슬롯(510)이 양극의 전극 리드들(160)을 통과시키는 경우, 서로 이웃하는 리드 슬롯들(510) 중 다른 하나의 리드 슬롯(510)은 음극의 전극 리드들(160)을 통과시킬 수 있다.
리드 슬롯(510)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리드 슬롯(510)은 버스바 프레임(500)의 상하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호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압축 패드(200)를 준비하고, 압축 패드(200)의 양 단부에 첫번째 셀리드 블록(300)을 장착한다. 압축 패드(200)는 폴리 우레탄 계열의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압축 패드(200)는 앞에서 설명한 전지셀(100)의 스웰링에 의한 두께 변형 및 외부 충격에 의한 전지셀(100)의 변화를 흡수할 수 있다.
셀리드 블록(300)은 이웃하는 양의 전극 리드와 음의 전극 리드간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절연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리드 블록(300)은 피크(peek)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압축 패드(200) 상에 전지셀들(100)을 순차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전지셀(100)로부터 돌출된 전극 리드(160)이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전극 리드(160) 군이, 압축 패드(200) 양단의 셀리드 블록(300)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전극 리드(160) 군은 3개의 전지셀(100)로부터 각각 돌출된 전극 리드(160)들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 리드(160) 군은 압축 패드(200) 양단에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 리드(160)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3개의 전지셀(100)로부터 각각 돌출된 전극 리드(160)들이 연장되어 하나의 전극 리드(160) 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한 예에 해당할 뿐이며, 전지셀(100)들의 연결 관계는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와 연결되는 전지셀(100)의 배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전극 리드(160) 군을 형성하기 위한 전극 리드(160)들이 연장되어 나오는 전지셀(100)의 개수 또한 3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압축 패드(200) 양 단부에 두번째 셀리드 블록(300)을 장착한다. 두번째 셀리드 블록(300)은 전극 리드(160) 군 위에 배치될 수 있도록 장착한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첫번째 셀리드 블록(300)과 두번째 셀리드 블록(300) 사이에 전극 리드(160) 군이 개재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기 적층된 전지셀들(100) 상에 전지셀들(100)을 순차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이때,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첫번째 셀리드 블록(300)과 두번째 셀리드 블록(300)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 리드(160) 군의 극성 배치와 다른 극성 배치를 갖도록 전지셀들(100)을 적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첫번째 셀리드 블록(300)과 두번째 셀리드 블록(300) 사이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 리드(160) 군의 극성 배치가 양극-음극이라면, 본 단계에서 적층되는 전지셀들(100)이 갖는 한 쌍의 전극 리드(160) 군의 극성 배치는 음극-양극일 수 있다. 즉, 양극의 전극 리드(160) 군과 음극의 전극 리드(160) 군이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이처럼 셀리드 블록(300)과 전지셀들(10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과정을 반복하여 총 24개의 전지셀들(100)을 적층하여 전지셀 적층체(105)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사용된 셀리드 블록(300)은 모두 9개일 수 있다. 전지셀들(100)의 개수와 셀리드 블록(300)의 개수는 하나의 예에 해당하고, 설계하고자 하는 전지 모듈의 성능 및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전지셀 적층체(105)를 형성한 후에, 가장 마지막에 적층된 전지셀(100) 위에 압축 패드(200)를 추가 형성할 수 있다. 또, 외부 충격 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전지셀 적층체(105) 중간 부분에 압축 패드(200)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압축 패드(200)는 폴리 우레탄 계열의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압축 패드(200)는 앞에서 설명한 전지셀(100)의 스웰링에 의한 두께 변형 및 외부 충격에 의한 전지셀(100)의 변화를 흡수할 수 있다.
다만, 압축 패드(200)를 사용하는 것 대신에, 셀리드 블록(300)과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100)을 교대로 적층하여 복수의 셀리드 블록과 전지셀 적층체(10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고하여, 전지셀 적층체(105)에 셀리드 블록(300)이 장착된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의 왼쪽 상단 도면은 전지셀 적층체(105)에 셀리드 블록(300)이 장착된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왼쪽 하단 도면은 상기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오른쪽 도면은 정면도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복수의 전지셀(100) 각각의 전극 리드들(160)이 돌출된 방향을 따라 간격이 좁아지는 셀 테라스(135)가 형성된다. 셀 테라스(135)는 전지 케이스 본체(132)가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셀 테라스(135)와 마주보는 셀리드 블록(300)의 일측에는 함침 구조(DE)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함침 구조(DE)로 인해 셀 테라스(135)의 형상이 만들어질 수 있다. 즉, 셀 테라스(135)가 상기 함침(DE) 구조에 배치됨으로써, 셀 테라스(135)의 형상은 셀리드 블록(300)의 형상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극 리드(160)가 돌출된 방향을 따라 전지셀(100)로부터 멀어지면서 셀 테라스(135)의 간격이 좁아지고 결국 복수의 전극 리드들(160)이 서로 만나게 되어 전극 리드(160) 군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양단에 버스바 프레임(500)이 장착된 탑커버(400)를 전지셀 적층체(105)를 배치할 수 있다. 탑커버(400)를 배치할 때 직교 로봇 및 공압 실린더를 사용하여 전지셀 적층체(105)에 탑커버(400)를 부착하여 전지셀(100) 적층 공정과 버스바 프레임 장착을 통합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커버(400)에 흡착 패드(420)가 형성되어 있고, 버스바 프레임(500)에는 복수개의 리드 슬릿(510)과 회전봉(520)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봉(520)은 버스바 프레임(500)의 모퉁이에 각각 안착될 수 있다. 흡착 패드(420)는 버스바 프레임(500)과 탑커버(400)를 전지셀 적층체(105)에 공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부품이며, 여러 개여 흡착 패드(420)가 버스바 프레임(500) 및 탑커버(400)에 동시에 붙어 있을 수 있다. 회전봉(520)은 버스바 프레임(500)을 회전시켜, 버스바 프레임(500)이 전지셀 적층체(105)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버스바 프레임(500) 회전을 위해 버스바 프레임(500)에 붙어 있는 흡착 패드(420)의 에어(air)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버스바 프레임(500)을 셀리드 블록(300)과 인접하도록 예각의 범위로 회전할 수 있다. 예각의 범위는 30도 내지 60도일 수 있다. 이때, 예각의 범위로 회전한 버스바 프레임(500)의 리드 슬롯(510)에 전극 리드(160)의 단부가 일부 삽입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도 11의 셀리드 블록(300)을 전지셀 적층체(105)와 버스바 프레임(500) 사이의 공간에서 제거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버스바 프레임(500)을 추가 회전하여 버스바 프레임(500)을 압축 패드(200) 사이에 위치하는 전지셀 적층체(105)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전극 리드(160)의 단부가 버스바 프레임(500)에 형성된 리드 슬롯(510)에 삽입될 수 있다. 전극 리드(160)의 단부는 리드 슬롯(510)에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를 참고하여, 전지셀 적층체(105)에 버스바 프레임(500)이 장착된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의 왼쪽 상단 도면은 전지셀 적층체(105)에 버스바 프레임(500)이 장착된 구조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왼쪽 하단 도면은 상기 구조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며, 오른쪽 도면은 정면도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복수의 전지셀(100) 각각의 전극 리드들(160)이 돌출된 방향을 따라 간격이 좁아지는 셀 테라스(135)가 형성된다. 버스바 프레임(500)은 패스 가이더(260)를 포함한다. 패스 가이더(260)는 인접하는 세 개의 전지셀들(100) 각각의 전극 리드들(160)이 연장되어 있는 셀 테라스(135)를 형성하기 전에, 전극 리드들(160)이 리드 슬롯(510)을 통과하도록 가이드 하기 위한 것으로서, 버스바 프레임(5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바 프레임(500)은, 전지셀들(100)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버스바 프레임(500)의 후면 안쪽에 패스 가이더(26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패스 가이더(260)는, 리드 슬롯(510)을 통과하기 전에 세 개의 전극 리드들(160)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스 본체(132)의 연장부들이 서로 가까워질 수 있도록 버스바 프레임(500)의 후면에서 소정의 가이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한 XYZ 좌표를 참고할 때, 상기 가이드 공간의 폭은 버스바 프레임(500)의 후방(-X축 방향)에서 리드 슬롯(510)을 구비하는 버스바 프레임(500)의 전방(+X축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패스 가이더(260)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패스 가이더(260)는 복수개의 리드 슬롯(510)의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전지셀(100) 중 인접하는 전극 리드들(160)은, 세 개씩 짝을 이룬 후 각각의 패스 가이더(260)를 통해 전극 리드들(160)이 리드 슬롯(510)을 통과하여 전극 리드(160) 군을 형성할 수 있다. 전극 리드(160) 군을 형성하는 전극 리드들(160)의 개수는 세 개에 한정되지 않고, 전지셀(100)의 양극 및 음극의 전극 리드의 배치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평면도 일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직교 로봇 등을 활용하여 탑커버(400)를 전지셀 적층체의 측면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좌우측 버스바 프레임(500)의 공압을 제거하고, 탑커버(400)의 공압은 유지할 수 있다. 그 다음, 회전봉(520)을 이동하여 예각 범위(60도)로 버스바 프레임(500)을 회전하고, 전극 리드(160)의 단부 일부가 버스바 프레임(500)의 리드 슬롯(510)에 삽입될 수 있다. 그 다음, 셀리드 블록(300)을 전지셀 적층체(105)와 버스바 프레임(500)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후진할 수 있다. 그 다음, 버스바 프레임(500)을 추가 회전하여 버스바 프레임(500)을 전지셀 적층체(105)에 장착할 수 있다. 이때, 회전봉(520)은 사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지셀 적층 공정과 통합하여 버스바 프레임을 조립하고, 직교 로봇 등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버스바 프레임 조립 매뉴얼이 필요하지 않고 조립 자동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35: 셀 테라스
160: 전극 리드
200: 압축 패드
400: 탑커버
500: 버스바 프레임
510: 리드 슬롯

Claims (10)

  1. 셀리드 블록과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을 교대로 적층하여 복수의 셀리드 블록과 전지셀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덮도록 양단에 버스바 프레임이 장착된 탑커버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셀리드 블록과 인접하도록 상기 버스바 프레임을 예각의 범위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전지셀로부터 돌출된 전극 리드의 단부 일부를 상기 버스바 프레임의 리드 슬롯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셀리드 블록을 상기 전지셀 적층체와 상기 버스바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서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버스바 프레임을 추가적으로 회전시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이 상기 전지셀 적층체에 장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셀리드 블록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지셀을 교대로 적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셀리드 블록 중 서로 이웃하는 셀리드 블록 사이에 상기 전지셀로부터 돌출된 전극 리드가 개재되도록 하며,
    상기 셀리드 블록은 절연 물질로 형성되어 서로 이웃하는 양극 리드와 음극 리드간의 쇼트를 방지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전지셀 각각의 전극 리드는 상기 전극 리드의 돌출된 방향을 따라 상기 전극 리드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는 셀 테라스를 형성하고,
    상기 셀 테라스의 형상은 상기 셀리드 블록의 형상에 의해 구현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셀 테라스와 마주보는 상기 셀리드 블록의 일측에는 함침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함침 구조에 상기 셀 테라스가 배치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버스바 프레임을 상기 전지셀 적층체에 장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전극 리드가 상기 버스바 프레임에 형성된 리드 슬롯에 삽입되도록 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6. 제1항에서,
    상기 전극 리드는 상기 복수의 셀리드 블록마다 형성되어 복수개가 되고, 상기 셀리드 블록을 기준으로 서로 이웃하는 전극 리드는 서로 다른 극성 배치를 갖도록 적층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복수의 셀리드 블록 중 서로 이웃하는 셀리드 블록 사이에 상기 전극 리드가 복수개 연장되어 전극 리드 군을 형성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8.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셀리드 블록과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셀리드 블록을 압축 패드 양단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 패드 상에 상기 전지셀 적층체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전지셀 적층체에 포함된 최상단 전지셀 위에 상기 압축 패드를 추가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전지셀 적층에 중간에 상기 압축 패드를 추가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KR1020180120748A 2018-10-10 2018-10-10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KR102395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748A KR102395228B1 (ko) 2018-10-10 2018-10-10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CN201980043784.7A CN112335108B (zh) 2018-10-10 2019-08-19 汇流条框架安装方法
JP2020572412A JP7154636B2 (ja) 2018-10-10 2019-08-19 バスバーフレーム組み立て方法
PCT/KR2019/010495 WO2020075966A1 (ko) 2018-10-10 2019-08-19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US17/262,090 US11962039B2 (en) 2018-10-10 2019-08-19 Mounting method of bus-bar frame
EP19871665.6A EP3806194A4 (en) 2018-10-10 2019-08-19 OMNIBUS BAR FRAME ASSEMBLY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748A KR102395228B1 (ko) 2018-10-10 2018-10-10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614A KR20200040614A (ko) 2020-04-20
KR102395228B1 true KR102395228B1 (ko) 2022-05-04

Family

ID=70164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748A KR102395228B1 (ko) 2018-10-10 2018-10-10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62039B2 (ko)
EP (1) EP3806194A4 (ko)
JP (1) JP7154636B2 (ko)
KR (1) KR102395228B1 (ko)
CN (1) CN112335108B (ko)
WO (1) WO20200759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686A (ko) * 2022-07-16 2024-01-24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배터리 셀 간 쇼트 방지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967B1 (ko) * 2019-05-10 2022-12-2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KR102506245B1 (ko) * 2019-11-14 2023-03-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전지 모듈 제조 방법 및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10150072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셀 압력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20026790A (ko) * 2020-08-26 2022-03-0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060226A (ko) 2020-11-04 2022-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109220A (ko) *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방지 성능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PL4044353T3 (pl) * 2021-02-11 2023-10-02 Samsung Sdi Co., Ltd. Zestaw montażowy do montażu ramy nośnej stosu bloków ogniw baterii
KR102359235B1 (ko) 2021-09-16 2022-02-08 주식회사 신룡 버스바 조립용 리드 자동 성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리드 자동 성형방법
KR102434262B1 (ko) 2021-09-17 2022-08-22 주식회사 신룡 버스바 조립용 리드 자동 성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리드 자동 성형방법
KR20240083564A (ko) * 2022-12-05 2024-06-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855B1 (ko) * 2003-10-10 2006-11-15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배터리 및 관련 방법
JP2008147047A (ja) * 2006-12-11 2008-06-26 Nissan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3029A (ja) * 1994-03-25 1995-10-13 Mitsubishi Chem Corp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3731595B2 (ja) 2003-10-10 2006-01-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JP3894182B2 (ja) 2003-10-10 2007-03-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US7915716B2 (en) * 2007-09-27 2011-03-29 Stats Chippac Ltd. Integrated circuit package system with leadframe array
JP4775436B2 (ja) * 2008-02-29 2011-09-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1769820B1 (ko) 2010-04-06 2017-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모듈
KR101023184B1 (ko) 2010-11-01 2011-03-18 쓰리피시스템(주) 배터리 모듈의 용접 시스템 및 방법
RU2014134843A (ru) 2012-03-27 2016-03-20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Секция батареи, модуль батареи, система аккумул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энергосистема и электрическ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JP5626407B2 (ja) * 2013-05-31 2014-11-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US10218027B2 (en) * 2013-11-11 2019-02-26 A123 Systems, LLC Vehicle starter battery
KR101705308B1 (ko) 2014-07-03 2017-0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탭 고정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충방전 장치
JP6260487B2 (ja) 2014-07-31 2018-01-1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GB2535546B (en) 2015-02-18 2017-09-20 Tata Motors European Technical Ct Plc Battery modules and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US10637019B2 (en) 2015-07-09 2020-04-28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Cell module
JP6633643B2 (ja) 2015-10-22 2020-01-22 株式会社エンビジョンAescジャパン 組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KR102034208B1 (ko) 2016-03-03 2019-10-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256604B1 (ko) * 2016-05-31 2021-05-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2102927B1 (ko) * 2016-10-06 2020-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18124494A2 (ko) * 2016-12-27 2018-07-0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버스바 어셈블리 및 프레임 조립체
US11309593B2 (en) 2016-12-27 2022-04-19 Yura Corporation Co., Ltd. Flexible circuit board and frame assembly including same
US11376969B2 (en) 2016-12-27 2022-07-05 Yura Corporation Co., Ltd. Bus bar assembly and frame assembly
KR102032999B1 (ko) 2017-02-28 2019-10-1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프레임 조립체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190103433A (ko) * 2017-01-31 2019-09-04 가부시키가이샤 인비젼 에이이에스씨 재팬 조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N108448041B (zh) * 2018-05-02 2024-08-20 中创新航技术研究院(江苏)有限公司 一种软包锂离子电池模块及连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5855B1 (ko) * 2003-10-10 2006-11-15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배터리 및 관련 방법
JP2008147047A (ja) * 2006-12-11 2008-06-26 Nissan Motor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686A (ko) * 2022-07-16 2024-01-24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배터리 셀 간 쇼트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689731B1 (ko) * 2022-07-16 2024-07-31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배터리 셀 간 쇼트 방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30080A (ja) 2021-11-04
JP7154636B2 (ja) 2022-10-18
US11962039B2 (en) 2024-04-16
CN112335108B (zh) 2023-05-12
EP3806194A1 (en) 2021-04-14
KR20200040614A (ko) 2020-04-20
WO2020075966A1 (ko) 2020-04-16
CN112335108A (zh) 2021-02-05
US20210288387A1 (en) 2021-09-16
EP3806194A4 (en)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5228B1 (ko) 버스바 프레임 조립 방법
US11285821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US9548475B2 (en) Battery cell of irregular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KR100860002B1 (ko) 교번 배향 구조의 이차전지 팩
EP3282499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US11158895B2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battery pack
KR20110005595A (ko) 전지 모듈
US20220102813A1 (en)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13771B1 (ko) 이차전지용 셀 구조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11967735B2 (en) Battery module
CN107154469B (zh) 电池单元
KR102722680B1 (ko)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108140752A (zh) 电极堆叠约束件
KR101580086B1 (ko) 복합 구조로 형성된 전극조립체
US20220181749A1 (en) Battery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battery module
KR20210133566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614749B1 (ko) 단일 파우치 케이스를 이용하여 제조된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876614B1 (ko) 복합 구조로 형성된 전극조립체
US20240266655A1 (en) Battery cell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633457B1 (ko)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US20230268621A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2256102B1 (ko) 배터리 셀, 이러한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20240154231A1 (en) Battery pack
KR20240042912A (ko) 전지셀 적층체 정렬 시스템 및 전지셀 적층체의 정렬 방법
KR20240128476A (ko) 배터리모듈 및 배터리모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