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0266B1 - Transponder mounting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and flight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 Google Patents
Transponder mounting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and flight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0266B1 KR102380266B1 KR1020210144578A KR20210144578A KR102380266B1 KR 102380266 B1 KR102380266 B1 KR 102380266B1 KR 1020210144578 A KR1020210144578 A KR 1020210144578A KR 20210144578 A KR20210144578 A KR 20210144578A KR 102380266 B1 KR102380266 B1 KR 1023802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ponder
- support frame
- peer identification
- cradle
- pee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4561 Emphyse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4 troubleshoo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8—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discriminating between different kinds of targets, e.g. IFF-radar, i.e.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6—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 G01S13/765—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wherein pulse-type signals are transmitted with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interrogator and responde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03—Details of HF sub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common to transmitter and receiver
- G01S7/032—Constructional details for solid-state radar sub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 및 피아식별용 비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응답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 및 피아식별용 비행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nder mounting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and a flying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the transponder in the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and to stably support the transponder. It relates to a flying device for device and peer identification.
피아식별장비(Identification Friend or Foe : IFF)는 군사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보조감시 레이다의 일종으로 아군/적군 비행체의 판별에 필요한 중계기(트랜스폰더, transponder)이다. 피아식별장비는 특정 전파를 송신하는 질문기와, 아군의 이동체들에 탑재되어 송신된 전파에 자동으로 응답하는 응답기를 포함한다. 응답기의 응답신호가 기약속된 정상적인 신호이면 아군으로 판단하고, 응답신호가 잘못된 신호이면 적군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체인 전차, 비행체, 함선 등에 응답기를 설치하여 표적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빠르게 미확인 이동체에 대한 식별 결과를 처리하여, 아군 오인 사격을 방지하고 적군일 경우 선제 공격하여 자기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Identification Friend or Foe (IFF) is a type of auxiliary surveillance radar used for military purposes and is a repeater (transponder) necessary for the identification of friendly/enemy aircraft.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includes an interrogator that transmits a specific radio wave and a responder that is mounted on friendly mobile units and automatically responds to the transmitted radio wave. If the response signal of the transponder is a promised normal signal, it can be judged as an ally, and when the response signal is an incorrect signal, it can be judged as an enemy. Accordingly, target identification can be performed by installing a transponder on a moving vehicle, such as a tank, an aircraft, or a ship.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quickly process the identification result of an unidentified moving object, prevent shooting by mistaken allies, and perform self-protection by preemptively attacking the enemy.
운용 중인 피아식별장비는 Mode-화 알고리즘이 노후화되고, 재밍(Jamming)의 위험이 증가하여, 미국은 2020년부터 순차적으로 기존에 운용하던 Mode-4 암호 코드를 종료하고 Mode-5로 전환할 것을 발표하였다. 따라서 미국 및 NATO 와의 연합작전을 중요시하는 한국군은 반드시 신규 피아식별장비의 Mode-5에 대한 암호화 코드를 육/해/공군에 빠른 시기에 적용해야 한다. 이에 Mode-4 피아식별장비는 2020년 6월부터 Mode-5 피아식별장비로 교체되고 있다. In operation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the mode-ization algorithm is aging and the risk of jamming increases. announced. Therefore, the Korean military, which places importance on joint oper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and NATO, must apply the encryption code for Mode-5 of the new foe identification equipment to the land/naval/air force at an early stage. Accordingly, Mode-4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has been replaced with Mode-5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from June 2020.
이처럼, 피아식별장비를 교체하는 경우, 피아식별장비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 피아식별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도 교체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피아식별장비의 신속한 교체를 위해 비행체에 장착되어 있는 장착장치를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피아식별장비, 특히 응답기의 무게가 증가로 인해 장착장치가 응답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As such, when replacing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the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needs to be replaced according to the size or weight of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However, if the mounting device mounted on the aircraft is used as it is for quick replacement of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unting device cannot stably support the transponder due to the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especially the transponder.
본 발명은 교체되는 응답기와 거치대의 무게에 맞추어 기존에 사용되는 지지대를 보강함으로써 비행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지지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 및 피아식별용 비행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onder mounting device and a flying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that can prevent the support from being damaged by vibrations generated in an aircraft by reinforcing the support used in the past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ransponder and the holder to be replaced. to provide.
본 발명은 피아식별장비를 쉽게 교체할 수 있고,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 및 피아식별용 비행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onder mounting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and a flying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that can easily replace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and reduce replacement costs.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는, 비행체에 탑재되고,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응답기를 안착시키기 위한 거치대; 상부에 상기 거치대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 및 상기 응답기와 상기 거치대의 무게에 따라, 상기 지지대가 상기 비행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 값과 다른 주파수 값을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ounting a transponder for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which is mounted on an aircraft and for mounting a transponder for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comprising: a cradle for mounting the transponder; a support for installing the cradle on an upper portion; and a reinforcing member installed on the support so that the support generates vibration having a frequency value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value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aircraft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ransponder and the cradle.
상기 지지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수직 지지프레임; 및 상기 거치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수평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includes: a vertical support frame dispos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support frame that forms a space in which the holder is installed and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support frame so as to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reinforcing member may include a reinforcing plate installed on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to ext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extends.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대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upport.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에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거치대와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다.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reinforcing plate to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may be further included, wherein the fixing member may fix the holder and the reinforcing plate to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거나,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r formed to b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과 상기 보강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buffer member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and the reinforcing plate.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The buffer member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fixing member.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may include a bracket installed on the vertical support frame.
상기 브라켓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상기 제1면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면이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에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bracket may include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to be ben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surface, wherein the first surface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 frame, and the second surface is horizontally supported It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rame.
상기 제1면의 상부 길이는 상기 제1면의 하부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2면의 길이는 상기 제1면의 하부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제1면의 상부는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면의 하부 일측은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과 중첩되고 상기 제1면의 하부 타측은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upper length of the first surface is shorter than the lower length of the first surface, the length of the second surface is the same as the lower length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overlaps the vertical support frame. The lower one side of the first surface may overlap the vertical support frame and the other lower side of the first surface may be disposed outside the vertical support frame.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지지대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bracket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upport.
상기 응답기 및 거치대는 교체될 수 있으며, 교체되는 신규 응답기 및 거치대 무게에 맞추어 보강부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transponder and the cradle may be replaced, and the size of the reinforcing member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new transponder and the cradle to be replaced.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피아식별용 비행장치는, 비행체; 상기 비행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 및 상기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에 설치되는 응답기;를 포함할 수 있다.A flight device for foe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ir vehicle; a transponder mounting device installed in the aircraft and provided in any one of
상기 비행체는 회전익 비행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응답기가 장착된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가 상기 비행체에 설치되는 회전익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 값과 다른 주파수 값을 갖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vehicle includes a rotorcraft vehicle, and the reinforcing member is a vibration having a frequency value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value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orcraft installed in the vehicle by the re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on which the responder is mounted. It can be formed in a size that can be generated.
상기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는 상기 비행체의 장비실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installed to be fixed in the equipment room of the aircraft.
상기 지지대는 상기 비행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응답기 및 거치대의 무게와 상기 비행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 값에 맞추어 상기 보강부재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The support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vehicle, and the size of the reinforcing membe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ransponder and the cradle and the frequency value of vibration generated in the vehicle.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지지대에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응답기와 거치대의 무게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to be replaceable on the support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to have different sizes depending on the weight of the transponder and the cradle.
상기 응답기 및 거치대는 CDMA(Code Division Multi-Access) 방식을 적용하는 제1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및 거치대이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피아식별장비와 다른 방식을 적용하는 제2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와 거치대를 장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응답기 및 거치대의 무게는 상기 제2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와 거치대의 무게보다 무거울 수 있다.The transponder and cradle are a transponder and a cradle of a first peer identification device applying a CDMA (Code Division Multi-Access) scheme, and the support is a transponder of a second peer identification device that applies a different scheme from the first peer identification device. and a cradle, and the weight of the transponder and the cradle may be heavier than the weight of the transponder and the cradle of the second peer identification device.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장치는 새로 교체되는 응답기와 거치대의 무게에 따라 비행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 값과 다른 주파수 값을 갖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가 비행체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공명 현상을 일으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던 지지대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응답기 교체에 의해 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the transponder of the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may generate vibration having a frequency value different from that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aircraft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newly replaced transponder and the cradle.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re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by causing vibration and resonance generated in the flying vehic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ncrease in cost by replacing the transponder by using the existing support as it i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용 비행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의 요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의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를 구성하는 브라켓의 사시도 및 정면도.
도 8은 지지대에 브라켓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flight device for identifying a pe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a pe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structure of a transponder mounting apparatus of a pe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3;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a pe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bracket constituting a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a pe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ompletely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용 비행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의 요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를 구성하는 브라켓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8은 지지대에 브라켓을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light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art structure of the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a pe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and a front view of a bracket constituting the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cket is installed on the support.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용 비행장치는, 비행체(100)와, 비행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200) 및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200)에 설치되는 응답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flying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비행체(100)는 회전익(130: 131, 132)을 가지는 비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행체(100)에는 하나의 회전익이 마련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회전익(130: 131, 132)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비행체(100)는 회전익(130: 131, 132)의 회전에 의해 비행 및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다. 비행체(100)에는 비행을 위한 조종간 등의 제어설비와 조종석 등이 마련된 조종실(110), 피아식별장비 등과 같은 다양한 장비들을 설치하기 위해 조종실(110)의 뒷쪽에 마련된 장비실(120)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장비실(120)에 탑재될 장비들은 비행 시 비행체(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기류 등에 의해 발생되는 비행체(100)의 흔들림에 견딜 수 있도록 마련되는 장착장치, 예컨대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200)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회전익 비행체(100)는 제트 엔진을 이용하는 비행체에 비해 많은 진동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200)는 회전익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에 견딜 수 있고, 특히 비행체(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 값과 다른 주파수 값을 발생시키도록 제작된다. 즉,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200)가 비행체(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 값과 동일한 주파수 값을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면, 공명 현상에 의해 진동이 증폭되어 비틀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200)는 장착되는 장비들의 무게와 비행체(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 값에 따라 공명 현상을 발생시키기 않는 구조로 제작되어야 한다. 예컨대 새로 교체되는 응답기(10)는 CDMA(Code Division Multi-Access) 방식으로 질문과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제1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이고, 교체되기 이전의 응답기는 제1피아식별장비와는 다른 방식으로 질문과 응답 신호를 전송하는 제2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일 수 있다. The
여기에서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200)가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하지만,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를 포함하는 다양한 장비들을 장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아식별장비를 교체함에 따라 교체되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10) 및 응답기(10)를 지지대(210)에 고정시키는 거치대(220)의 무게에 맞추어 지지대(210)에 보강부재(241, 242)를 설치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응답기(10) 이외에 다른 장비가 교체되고, 교체되는 다른 장비의 무게가 변경되는 경우, 새로 교체되는 다른 장비의 무게에 따라 보강부재(241, 242)를 이용하여 지지대(210)를 보강시킬 수도 있다. Herein,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200)는, 비행체(100)에 탑재되고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응답기를 안착시키기 위한 거치대(220)와, 상부에 거치대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210) 및 응답기(10)와 거치대(220)의 무게에 따라 지지대(210)가 비행체(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 값과 다른 주파수 값을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지지대(210)에 설치되는 보강부재(241, 2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200)는 경량이면서 우수한 강도를 가지는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거치대(220), 지지대(210) 및 보강부재(241, 242)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제작될 수 있다. 2 and 3, the
거치대(220)는 상부에 응답기(1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응답기(10)를 지지대(210)에 연결시켜줄 수 있는 체결장치이다. 거치대(220)는 응답기(10)의 크기에 맞추어 다양한 형상 및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거치대(220)는 다양한 크기 및 무게를 가지는 응답기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응답기의 크기 및 무게에 맞게 제작될 수도 있다. 거치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31)와 제1고정부재(232)를 이용하여 지지대(210), 예컨대 제2지지프레임(21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부재(232)는 볼트(232a), 락와셔(232b), 와셔(232c), 너트(232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지지대(210)는 비행체(100)의 내부, 예컨대 장비실(120)에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 응답기(10)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장비를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210)는 복수개의 지지프레임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각각의 지지프레임은 평평한 플레이트나, 'ㄱ'자 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는 플레이트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은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수직 지지프레임(211: 211a 내지 211d)과 수평 지지프레임(212, 21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지지대(2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비행체(100)에 설치되는 수직 지지프레임(211: 211a 내지 211d)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수직 지지프레임(211: 211a 내지 211d)에 연결되는 수평 지지프레임(212, 2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210)는 지지대(210)를 비행체(1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부재(214: 214a 내지 214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평 지지프레임(212, 213)은 수직 지지프레임(211: 211a 내지 211d)에 직접 연결되는 제1지지프레임(212)과, 제1지지프레임(212)에 연결되는 제2지지프레임(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프레임(212)은 수직 지지프레임(211: 211a 내지 211d)을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제2지지프레임(213)은 제1지지프레임(212)에 연결되어 각종 장비들을 안착시키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지지대(210)가 3단으로 형성되는 경우, 수직 지지프레임(211: 211a 내지 211d)은 제1 내지 제4수직 지지프레임(211a 내지 211d)을 포함할 수 있고, 제1지지프레임(212)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제1 및 제4수직 지지프레임(211a, 211d)을 연결하는 제1-1 내지 제1-3 지지프레임(212a 내지 212c)과, 제2 및 제3수직 지지프레임(211b, 211c)을 연결하는 제1-4 내지 제1-6 지지프레임(212d 내지212f)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지지프레임(213)은 제1-1 지지프레임(212a)과 제1-4 지지프레임(212d), 제1-2 지지프레임(212b)과 제1-5 지지프레임(212e) 및 제1-3 지지프레임(212c)과 제1-6 지지프레임(212f)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단에서 제2지지프레임(213)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The support 210 may be fixedly installed inside the
이러한 지지대(210)의 구조는 일 예이며, 지지대(210)의 단수와, 지지프레임 간 연결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210 is an example, and the number of stages of the support 210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support frames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지지대(210)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10)나 이외의 장비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다시 제작되지 않고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지지대(210)는 비행체(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 값과 다른 주파수 값을 가지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작되어 있다. 이에 이전에 장착되어 있던 응답기나 다른 장비의 무게와 다른 무게를 가지는 응답기(10)나 다른 장비로 교체되는 경우, 지지대(210)는 이들 무게 차이에 의해 비행체(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 값과 동일한 주파수 값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교체되는 응답기(10)의 무게는 이전에 사용되던 응답기의 무게보다 무거울 수 있다. 따라서 교체되는 응답기(10)의 무게에 맞추어 지지대(210)를 보강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upport 210 can be used as it is without being re-manufactured even when the
도 3을 참조하면, 보강부재(241, 242)는 지지대(210)에 설치되어, 교체되는 응답기(10)와 거치대(220)의 무게에 따라, 지지대(210)가 비행체(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 값과 다른 주파수 값을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보강부재(241, 242)는 수평 지지프레임(212, 213)에 설치되는 보강 플레이트(241)와, 수직 지지프레임(211)에 설치되는 브라켓(242)을 포함할 수 있다. 3, the reinforcing
도 4의 (a) 및 도 4의 (b)를 참조하면, 보강 플레이트(241)는 응답기(10)가 설치되는 수평 지지프레임(212, 213), 즉 제2지지프레임(213)에 설치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241)는 평평하고 긴, 예컨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강 플레이트(241)는 제2지지프레임(213)에서 거치대(220)가 결합되는 면과 유사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241)는 거치대(220)와 연결되는 제2지지프레임(213)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거치대(220)가 하나의 제2지지프레임(213)에만 연결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보강 플레이트(241)를 사용하고, 두 개의 제2지지프레임(213)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두 개의 보강 플레이트(241)를 사용할 수 있다. 보강 플레이트(241)는 교체되는 응답기(10)의 크기나 무게 및 제2지지프레임(213)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레이트(241)는 제2고정부재(233)를 이용하여 제2지지프레임(213)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지지프레임(213)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보강 플레이트(241)는 제2지지프레임(213)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가운데에 제2지지프레임(213)이 배치되도록 제2지지프레임(213)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4A and 4B , the reinforcing
보강 플레이트(241)는 제2고정부재(233)를 이용하여 거치대(220)와 함께 제2지지프레임(21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고정부재(233)는 거치대(220), 보강 플레이트(241) 및 제2지지프레임(213)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볼트(233a)와, 볼트(233a)와 거치대(220) 사이에 설치되는 락와셔(233b)와, 보강 플레이트(241)의 하부에 설치되는 와셔(233c) 및 와셔(233c)의 하부에서 볼트(233a)에 나사결합되는 너트(233d)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보강 플레이트(241)는 리벳(미도시) 등과 같은 보조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제2지지프레임(213)에 연결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또한, 보강 플레이트(241)의 양쪽 단부는 제2지지프레임(213)의 양쪽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제3고정부재(234)에 의해 제1지지프레임(212)에 제2지지프레임(213)과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고정부재(234)는 볼트(234a), 락와셔(234b), 와셔(234c) 및 너트(234d)를 포함할 수 있고, 제2고정부재(233)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1지지프레임(212), 제2지지프레임(213) 및 보강 플레이트(241)를 연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이러한 보강 플레이트(241)는 응답기(10)와 거치대(220)의 크기나 무게에 따라 복수개로 마련되고, 응답기(10)와 거치대(220)의 크기나 무게에 맞추어 제2지지프레임(213)에 교체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보강 플레이트(241)는 응답기(10), 또는 응답기(10)와 거치대(220)의 무게에 따라 지지대(210), 즉 장착장치(2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 값을 조절할 수 있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reinforcin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200)는 비행체(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지지대(210) 및 지지대(210)에 장착되는 응답기(10)에 전달되는 것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부재(243a, 243b)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5 and 6, the
완충부재(243a, 243b)는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거나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완충부재(243a, 243b)는 고무,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는 오링이나, 압축 스프링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The
도 5를 참조하면, 완충부재(243a, 243b)는 보강 플레이트(241)와 제2지지프레임(21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 플레이트(241)와 제2지지프레임(213)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그 사이에 완충부재(243a, 243b)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완충부재(243a, 243b)는 제2고정부재(233) 및 제3고정부재(234)에 의해 보강 플레이트(241)와 제2지지프레임(213) 사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도 6을 참조하면, 완충부재(243a, 243b)는 보강 플레이트(241)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 플레이트(241)와 제2지지프레임(213)는 서로 접촉되고, 완충부재(243a, 243b)는 제2고정 부재(233) 및 제3고정부재(234)에 의해 보강 플레이트(241)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완충부재(243a, 243b)는 제2고정 부재(233) 및 제3고정부재(234)의 볼트(233a, 234a)에 끼워지고, 보강 플레이트(241)와 너트(233d, 234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이러한 구성을 통해 비행체(1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완충부재(243a, 243b)로 흡수 또는 완화시킴으로써 지지대(210)와 보강 플레이트(241), 그리고 지지대(210)에 설치되는 응답기(10)에 전달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Vibration generated in the
브라켓(242)은 수직 지지프레임(211a 내지 211d)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브라켓(242)은 제1면(242a)과, 제1면(242a)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제1면(242a)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면(242b)을 포함하고, 제1면(242a)에는 수직 지지프레임(211a 내지 211d)에 연결하기 위한 통공(242c)이 형성될 수있다. 예컨대 브라켓(242)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면(242a)의 상부 길이(L1)는 제1면(242a)의 하부 길이(L2)보다 짧고, 제2면(242b)의 길이는 제1면(242a)의 하부 길이(L2)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면(242a)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면(242b)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4고정부재(235)를 이용하여 브라켓(242)을 수직 지지프레임(211a 내지 211d)에 연결했을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242a)의 상부는 수직 지지프레임(211a 내지 211d)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제1면(242a)의 하부 일측은 수직 지지프레임(211a 내지 211d)과 중첩되며 제1면(242a)의 하부 타측은 수직 지지프레임(211a 내지 211d)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면(242b)은 수평 지지프레임(212, 213), 예컨대 제1지지프레임(212)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브라켓(242)은 수직 지지프레임(211a 내지 211d)에 연결되고, 제1지지프레임(212)에는 고정되지 않는다. 이는 지지대(21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경우, 브라켓(242)에 의해 수직 지지프레임(211a 내지 211d)이 제1지지프레임(212)에 지지되어 수직 지지프레임(211a 내지 211d)과 제1지지프레임(212)이 서로 비틀어지거나, 수직 지지프레임(211a 내지 211d)과 제1지지프레임(212) 간의 연결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242)의 제2면(242b)은 제1지지프레임(212)에 직접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브라켓(242)의 제2면(242b)이 진동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여, 지지대(210)가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의 성능을 검증하는 실험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experimental results for verifying the performance of the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하기 표1은 BH-55-1520-240-T Troubleshooting Manual Vol.1, 2.3 Vibration Analysis를 근거로 한 회전익 비행체인 CH-47 기종의 주파수 정보이다.Table 1 below is the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CH-47 rotorcraft based on the BH-55-1520-240-T Troubleshooting Manual Vol.1, 2.3 Vibration Analysis.
(rmp)operating frequency
(rmp)
(F1) Fundamental
(F1)
(F2)Blade passage
(F2)
(F3)1st harmonic
(F3)
(F4)2nd harmonic
(F4)
실험을 위해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를 비행체에 탑재하고,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에 새로 교체되는 응답기를 장착하였다. 그리고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와 응답기에 진동을 측정하기 위해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와 응답기에 14개의 센서를 부착하였다. 그리고 실제 비행을 하면서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 및 응답기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 값을 측정하였다. For the experiment, the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was mounted on the aircraft, and a newly replaced transponder was installed in the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Then, 14 sensors were attached to the responder mounting device and the transponder of the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to measure the vibration. And during actual flight, the frequency value of vibration generated from the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and the transponder was measured.
그리고 14개의 센서에서 측정된 진동의 주파수 값을 평균한 주파수 값, 예컨대 고유 주파수 값을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And a frequency value averaging the frequency values of vibrations measured by 14 sensors, for example, a natural frequency value is shown in Table 2 below.
상기 표 2에서 회피율은 비행체에서 발생되는 가진 주파수 값에 대한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에서 발생되는 고유 주파수 값에서 가진 주파수 값을 뺀 차이값의 주요 가진원의 주파수 값을 뺀 차이값의 비율을 나타낸다. 이때, 회피율이 0%인 경우, 피아식별장비의 고유 주파수 값이 비행체에서 발생되는 가진 주파수 값과 동일한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비행체에서 발생되는 진동과 공명 현상을 일으켜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가 파손될 수 있다. 그러나 실험 결과에 따르면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가 7% 이상의 주파수 회피율을 나타내고 있어, 상기와 같은 공명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able 2, the avoidance rate is the ratio of the differenc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frequency value of the main excitation source from the differenc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excitation frequency value from the natural frequency value generated by the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to the excitation frequency value generated by the vehicle. indicates. At this time, when the evasion rate is 0%, it indicates that the natural frequency value of the foe identification device is the same as the excitation frequency value generated by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may cause a resonance phenomenon with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aircraft, and the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damaged. However,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exhibited a frequency avoidance rate of 7% or more, thereby preventing the resonance phenomenon from occurring.
이외에도 MIL-STD-810H 기준으로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의 구조 강도를 해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장착장치의 각 부위에서 안전 계수(Margin of safety)가 0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based on MIL-STD-810H, an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margin of safety exceeded 0 in each part of the mounting device. .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def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variously change and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00: 비행체 200: 장착장치
220: 거치대 241: 보강 플레이트
242: 브라켓 243a, 243b: 완충부재100: aircraft 200: mounting device
220: cradle 241: reinforcing plate
242:
Claims (19)
상기 응답기를 안착시키기 위한 거치대;
상부에 상기 거치대를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 및
상기 응답기와 상기 거치대의 무게에 따라, 상기 지지대가 상기 비행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 값과 다른 주파수 값을 갖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수직 지지프레임; 및
상기 거치대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수평 지지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제1면; 및 상기 제1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상기 제1면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면이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2면은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1면의 상부 길이는 상기 제1면의 하부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2면의 길이는 상기 제1면의 하부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제1면의 상부는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면의 하부 일측은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과 중첩되고 상기 제1면의 하부 타측은 상기 수직 지지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A device mounted on an aircraft and equipped with a transponder of a peer identification device, comprising:
a cradle for mounting the transponder;
a support for installing the cradle on the upper part; and
a reinforcing member installed on the support so that the support generates a vibration having a frequency value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value of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aircraft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ransponder and the cradle;
The support is
a vertical support frame dispos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support frame that forms a space in which the holder is installed and is installed on the vertical support frame so as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cludes;
The reinforcing member includes a bracket installed on the vertical support frame,
The bracket has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to be ben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surface;
The first surface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support frame, the second surface is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The upper length of the first surface is shorter than the lower length of the first surface,
The length of the second surface is the same as the lower length of the first surfac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rface is arranged to overlap the vertical support frame, the lower one side of the first surface overlaps the vertical support frame, and the other lower side of the first surface is arranged outside the vertical support frame. Transponder mounting device for identification equipment.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member includes a reinforcing plate installed on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reinforcing plate is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so as to exte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extends.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대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reinforcing plate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upport.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에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거치대와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reinforcing plate to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The fixing member is a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a peer identification device capable of fixing the cradle and the reinforcing plate to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탄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거나,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ransponder mounting apparatus of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uffer member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r formed to be stretch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수평 지지프레임과 상기 보강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buffer member is installed between the horizontal support frame and the reinforcing plate.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보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buffer member is installed between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fixing member.
상기 브라켓은 상기 지지대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racket is a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that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upport.
상기 응답기 및 거치대는 교체될 수 있으며, 교체되는 신규 응답기 및 거치대 무게에 맞추어 보강부재의 크기를 조절하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ponder and the cradle can be replaced, and the size of the reinforcing membe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new transponder and the cradle to be replaced.
상기 비행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청구항 1, 2 내지 8, 12 및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는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 및
상기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에 설치되는 응답기;를 포함하는 피아식별용 비행장치.air vehicle;
a transponder mounting device installed in the aircraft and provided in any one of claims 1, 2 to 8, 12 and 13; and
A flight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comprising a; a transponder installed in the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상기 비행체는 회전익 비행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응답기가 장착된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가 상기 비행체에 설치되는 회전익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 값과 다른 주파수 값을 갖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피아식별용 비행장치.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vehicle includes a rotorcraft,
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in such a size that the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equipped with the transponder can generate a vibration having a frequency value different from that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a rotor installed in the flying vehicle. identification flight device.
상기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장착장치는 상기 비행체의 장비실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피아식별용 비행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transponder mounting device of the peer identification device is a flying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that is installed to be fixed in the equipment room of the flying vehicle.
상기 지지대는 상기 비행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응답기 및 거치대의 무게와 상기 비행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 값에 맞추어 상기 보강부재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는 피아식별용 비행장치.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upport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aircraft,
A flight device for identifying a foe capable of changing the size of the reinforcing member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ransponder and the cradle and the frequency value of vibration generated in the flying vehicle.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지지대에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응답기와 거치대의 무게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복수개로 마련되는 피아식별용 비행장치.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reinforcing member is
Formed to be replaceable on the support,
A flight device for identification of a peer provided in plurality to have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transponder and the cradle.
상기 응답기 및 거치대는 CDMA(Code Division Multi-Access) 방식을 적용하는 제1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 및 거치대이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피아식별장비와 다른 방식을 적용하는 제2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와 거치대를 장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응답기 및 거치대의 무게는 상기 제2 피아식별장비의 응답기와 거치대의 무게보다 무거운 피아식별용 비행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transponder and the cradle are the transponder and the cradle of the first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to which the CDMA (Code Division Multi-Access) method is applied,
The support is formed to mount a transponder and a cradle of a second peer identification device that uses a method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peer identification device,
The weight of the transponder and the cradle is heavier than the weight of the transponder and the cradle of the second peer identification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4578A KR102380266B1 (en) | 2021-10-27 | 2021-10-27 | Transponder mounting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and flight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44578A KR102380266B1 (en) | 2021-10-27 | 2021-10-27 | Transponder mounting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and flight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80266B1 true KR102380266B1 (en) | 2022-03-29 |
Family
ID=80995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44578A KR102380266B1 (en) | 2021-10-27 | 2021-10-27 | Transponder mounting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and flight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0266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008585A1 (en) * | 1978-08-04 | 1980-03-05 |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 Vibration absorber and use thereof in a helicopter |
KR20040086865A (en) * | 2003-03-22 | 2004-10-1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A helicopter deck located on LNG carrier adapting a technology of preventing vibration |
KR20140031756A (en) * | 2012-09-05 | 2014-03-13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Apparatus for mounting system for aerial photography |
US9366311B2 (en) * | 2000-06-02 | 2016-06-14 | Trelleborg Automotive Forsheda Ab | Device for damping vibration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device |
KR101879403B1 (en) * | 2018-01-17 | 2018-07-18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Vibration Reduction Transportation Apparatus for Long Range Radar Antenna and Vibration Reduction Transportation for Foldable Antenna Apparatus |
KR101974551B1 (en) | 2018-04-06 | 2019-05-02 |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
EP3744633A1 (en) * | 2019-05-27 | 2020-12-02 | AIRBUS HELICOPTERS DEUTSCHLAND GmbH | A vibration dampening structure for a rotary wing aircraft |
-
2021
- 2021-10-27 KR KR1020210144578A patent/KR10238026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008585A1 (en) * | 1978-08-04 | 1980-03-05 |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 Vibration absorber and use thereof in a helicopter |
US9366311B2 (en) * | 2000-06-02 | 2016-06-14 | Trelleborg Automotive Forsheda Ab | Device for damping vibration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device |
KR20040086865A (en) * | 2003-03-22 | 2004-10-1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A helicopter deck located on LNG carrier adapting a technology of preventing vibration |
KR20140031756A (en) * | 2012-09-05 | 2014-03-13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Apparatus for mounting system for aerial photography |
KR101879403B1 (en) * | 2018-01-17 | 2018-07-18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Vibration Reduction Transportation Apparatus for Long Range Radar Antenna and Vibration Reduction Transportation for Foldable Antenna Apparatus |
KR101974551B1 (en) | 2018-04-06 | 2019-05-02 |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identification friend or foe |
EP3744633A1 (en) * | 2019-05-27 | 2020-12-02 | AIRBUS HELICOPTERS DEUTSCHLAND GmbH | A vibration dampening structure for a rotary wing aircraf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81874B2 (en) | Mounting assembly for an aircraft auxiliary power unit and method | |
CN101801787B (en) | Securing plate and longitudinal handling member for a one-piece aircraft propulsion unit | |
KR102380266B1 (en) | Transponder mounting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equipment and flight device for peer identification | |
US9278759B2 (en) | Cabin air compressor cross-support bracket | |
US9878800B2 (en) | Rat mounting arrangement for a soft aircraft interface | |
US20160172748A1 (en) | Antenna assembly with a multi-band radome and associated methods | |
US10971794B2 (en) | Antenna mounting bracket assembly | |
US6766985B2 (en) | Structural assembly of part of an aircraft and aircraft, particularly rotary-wing aircraft, comprising such a structural assembly | |
US10093430B2 (en) | Rat frame for a soft aircraft interface | |
EP1378444B1 (en) | Two-tone isolator assembly | |
CN101960166A (en) | Device for supporting and securing a piece of equipment on an aircraft engine or nacelle case | |
CN204916211U (en) | Aircraft load mounting structure | |
EP4099499A1 (en) | Antenna arrangement for an aircraft | |
US20200102085A1 (en) | Device For Reducing Or Even Eliminating Tonal Noise For An Aircraft Powerplant De-Icing System | |
US7938361B2 (en) | Jet blast wall structures | |
US20130320134A1 (en) | Auxiliary fire resistant mount system for an auxiliary power unit | |
US10843785B2 (en) | Pressure bulkhead | |
CN115188242B (en) | Replaceable dynamic flight simulator cabin | |
CN111634431A (en) | Aerial camera shock absorption support convenient to mount and dismount | |
US20070057128A1 (en) | Auxiliary power unit case flange to plate adapter | |
KR101318858B1 (en) | Method of head up display wedge maintenance for fa-50 fighter | |
RU222930U1 (en) | CONTAINER FOR PLACEMENT OF INSTRUMENTS ON AN AIRCRAFT glider | |
CN217562817U (en) | Embedded mounting structure of aircraft antenna | |
CN219487730U (en) |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prevent falling function | |
RU2266845C2 (en) | Method of emergency landing of helicop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