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87506B1 -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7506B1
KR102387506B1 KR1020170084499A KR20170084499A KR102387506B1 KR 102387506 B1 KR102387506 B1 KR 102387506B1 KR 1020170084499 A KR1020170084499 A KR 1020170084499A KR 20170084499 A KR20170084499 A KR 20170084499A KR 102387506 B1 KR102387506 B1 KR 102387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ception
information
data transmission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196A (ko
Inventor
이호연
김상효
최형진
김성훈
백영교
손중제
이현재
진승리
김한준
이경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7506B1/ko
Priority to US16/025,389 priority patent/US10397808B2/en
Publication of KR20190004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7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7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2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location or mo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3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power control in peer-to-pee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7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inform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데이터 송수신 방법이 개시된다.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제1 단말과 기기 간 (device-to-device: D2D)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생성된 수신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수신율이 상기 제2 단말에서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을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CEIVING}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간(device-to-device)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4G (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의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 (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와,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LTE 기반 통신 기술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목적에 따라 non-safety와 safety 서비스로 분류할 수 있다. Non-safety 서비스는 사업자의 상업적 용도 및 사용자의 편의를 목적으로 제공되며, 그 예로 기존의 셀룰러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음성 통화, 문자 메시지, 광고, 게임, SNS (social network service) 및 위치 기반 서비스 (LBS; location based service) 등이 있다. Safety 서비스는 사용자의 안전 보장을 목적으로 제공되며, non-safety 서비스 보다 통신 신뢰도 및 보안 측면에서 높은 수준의 요구 조건을 가진다.
사회적으로 사용자의 안전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LTE의 Safety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 뜨겁다. 이에 따라, 단말의 이동성을 제공하면서도 단말과 무선 접속망 사이에 최대 수백 Mbps급 고속의 패킷 통신을 지원하는 LTE 기반의 공공안전 및 재난 망 서비스 (public safety service)를 위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단말간 직접 통신(D2D; device-to-device) 기술이 있다.
본 발명은,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제1 단말과 기기 간 (device-to-device: D2D)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생성된 수신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수신율이 상기 제2 단말에서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결정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을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수신율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수신율이 상기 제2 단말에서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configuration)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은 송수신기; 및 제1 단말과 기기 간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생성된 수신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고, 여기서 수신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수신율이 상기 제2 단말에서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을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단말과 기기간 (device-to-device: D2D)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은, 송수신기; 및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수신율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수신율이 상기 제2 단말에서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configuration)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열악한 통신 상황에서도 수신율 향상이 가능하며,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2V/V2P 통신 운용 방안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P2V/V2P 통신 운용 방안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율 인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율 인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율 인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구성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구성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구성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수신 구간 감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수신 구간 감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V2Pa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보행자 식별 방법을 도시한다.
도 16a 및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 내지 1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VBIM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촉식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V2Pa 서비스 지원 방법을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단말 그룹 등록 방법을 도시한다.
도 21a 및 2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단말 그룹 등록 해제 방법을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흐름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의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하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LTE 시스템의 예를 들어 설명될 것이나, UE에 상응하는 단말(terminal 또는 mobile station)이 ENB에 상응하는 기지국(base station)에게 가용 전송 전력 정보 또는 주기적인 전송이 필요한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이라면,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들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단말 및 기지국이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는, 설명의 편의상 단말 및 기지국이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기재할 뿐, 단말의 프로세서 또는 송수신기나, 기지국의 프로세서 또는 송수신기에 의해 해당 동작이 수행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네트워크(10)는 단말 (UE; user equipment)(11, 12, 13) 및 (mobility management entity)(14) MME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11, 12, 13)은 보행자 단말 (P_UE; pedestrian UE)(11, 12)과 차량 단말 (V_UE; vehicle UE)(14)을 포함한다. 또한 단말(UE)은 device, terminal, vehicle, mobile station, subscriber station 등 다양한 명칭으로 칭해질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단말이라 함은 D2D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은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차량-사물간 통신(V2X; vehicle-to-everything)의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다.
보행자 단말(11, 12) 및 차량 단말(14)은 PC5 인터페이스 기반의 보행자-차량간 통신(P2V: pedestrian-to-vehicle) 및 차량-보행자간 통신(V2P: vehicle-to-pedestrian)을 수행한다. 상기 PC5 인터페이스는 3GPP에서 D2D 통신을 위해 정의된 인터페이스들의 규격을 참조할 수 있다, MME(14)는 LTE 시스템에서 이동성을 관리하는 네트워크 구성요소로서, 단말(11, 12)의 이동 정보를 관리한다.
기지국(15)은 단말(11, 12, 13)에게 자원을 할당한다. 또한 기지국(15)는 단말(11, 12, 13) 및 MME(14)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3GPP는 공공안전 및 재난 망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PS-LTE (Public Safety-LTE) 기술에 대한 표준화를 수행한다. PS-LTE란 LTE for public safety의 줄임 말이며, 대표적인 기술로는 근접성 기반 서비스 통신 (ProSe; proximity based service) 및 그룹 통신 (GCSE; group communication system enabler) 등 D2D 형태의 통신이 있다.
D2D 통신기술은 기지국(15) 또는 무선 접속공유기 (AP; access point) 등의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단말들(11, 12, 13) 간에 직접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3GPP에서는 LTE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근접한 거리에 있는 단말(11, 12, 13)끼리 통신하는 방식을 ProSe라고 정의한다. ProSe 기반 D2D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D2D 단말(11, 12 or 13)은 근접한 위치에 있는 다른 D2D 단말(들)(11, 12 or 13)과 신호를 직접 송수신하므로, 기존 셀룰러 인프라를 통해서 통신하는 방식 대비 높은 전송률과 낮은 지연 시간을 가진다. 따라서, 높은 수준의 요구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 공공안전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또한, D2D 통신 기술은 기지국(15) 없이 단말들(11, 12, 13) 간에 직접 통신을 수행하므로 기지국(15)에 집중된 트래픽을 분산시킴으로써 셀룰러 네트워크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D2D 통신 기술은 무선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여 셀 내에서 동시에 다수의 D2D 통신 링크를 생성하므로 주파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단말들(11, 12, 13) 간의 릴레이 기능 (UE-to-network relay)을 통해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을 벗어난 D2D 단말이 기지국과 연결할 수 있으므로, D2D 통신 기술은 셀룰러 커버리지를 실질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LTE 기반의 D2D 통신 기술은 단말(11, 12)이 관심 있는 다른 단말(13)을 찾는 직접탐색 과정 (direct discovery)과 단말(11, 12)이 관심 있는 다른 단말(13)과 통신을 수행하는 직접통신 과정 (direct communication)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직접 탐색 동작은 3GPP에서, 단말(11, 12)이 근접한 위치에 있는 다른 단말(13)에게 자신의 존재 또는 정체성을 알리는 Model A ("I am here")와 단말(11, 12)이 주변에 위치한 다른 단말(13)의 존재 또는 정체성을 식별하는 Model B ("Who is there?")로 구분한다. 직접탐색의 목적은 주어진 시간 안에 가능한 한 주변의 많은 D2D 단말(13)을 탐색하는 것이다. 직접통신 동작은 기지국(15)과 같은 인프라를 거치지 않고, 근접한 2개 이상의 단말들 간(11과 13, 또는 12와 13, 물론 11 및 12 간의 D2D 탐색 및 통신도 가능함)에 직접 트래픽을 전달하는 통신 방법이다. 이 때, 단말간 탐색을 수행한 후, 탐색된 단말(13)과 직접통신을 하는 방법이 있으며, 직접탐색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단말간 직접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단말간 직접탐색 과정의 필요 여부는 D2D 서비스 시나리오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직접통신의 목적은 가능한 한 주변의 많은 단말에게 자신의 데이터를 방송하는 것이다. D2D 직접탐색 및 직접통신은 LTE 자원을 기반으로 공공안전 서비스 제공뿐만 아니라 광고, 친구 찾기, SNS, 쿠폰 발행, 게임 등의 다양한 상업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D2D 직접발견 및 직접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PC5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PC5 인터페이스란 3GPP에서 ProSe 제공을 위해 새롭게 정의한 것으로, D2D 단말들(11, 12, 13)간 탐색, 통신, 중계를 위해 제어/사용자 평면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기준이다. 다른 인터페이스의 예로는 LTE-Uu가 있으며, 이는 LTE 기반 통신에서 단말(11, 12, 13)과 기지국(15)을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는 기준점이 될 수 있다. LTE-Uu 인터페이스는 D2D 통신에서 UE-to-network-relay 기능 사용시 활용될 수 있다.
D2D 통신 기술은 공공안전 및 재난 망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높은 수준의 통신 요구 조건 달성을 목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 보장을 위한 V2X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PC5 인터페이스는 V2X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 PC5 인터페이스는 D2D 통신을 위해 정의된 단말간 무선 링크이다. 다른 예로, LTE-Uu 인터페이스는 V2X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 LTE-Uu 인터페이스는 LTE 셀룰러 통신에서 사용되는 단말(11, 12, 13)과 기지국(15) 간의 무선 링크이다. V2X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요구 조건은 다음과 같다. 유효 통신범위와 최소 메시지 수신율의 경우 유효 통신범위(m)/최소 메시지 수신율(%)로 표시하면, 도시 외곽에서는 200m/90%, 자동차 전용 도로 또는 고속도로에서는 320m/80%, 도심 또는 NLOS (non-link of sight) 환경에서는 100m/90% 조건을 요구하며, 메시지 최대 허용 지연은 모든 시나리오에서 100ms를 만족해야 한다.
3GPP에서 정의하는 V2X는 V_UE와 V_UE 간의 통신인 V2V (vehicle-to-vehicle), V_UE와 인프라 간의 통신인 V2I (vehicle-to-infrastructure), V_UE와 어플리케이션 서버 간의 통신인 V2N (vehicle-to-network), 그리고 V_UE와 P_UE 간의 통신인 V2P를 포함한다. 특히, 3GPP에서는 보행자 및 운전자의 생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PC5 인터페이스 기반의 P2V/V2P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 중이다. P2V는 P_UE가 V_UE로 필요한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하는 형태의 통신이며, 반면에 V2P는 V_UE가 P_UE로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하는 통신이다.
3GPP에서는 원활한 V2X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Inter-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Inter-PLMN 통신은 서로 다른 통신사업자 간의 통신으로 정의될 수 있다. V2X 서비스는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므로, V_UE 및 P_UE가 모든 혹은 다수의 통신사업자 망으로부터 V2X 메시지를 반드시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LTE 네트워크 기반의 P2V/V2P 통신 운용 방안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2V/V2P 통신 운용 방안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2V/V2P 통신 운용 방안은 i) P2V 링크의 수신율 저하를 인지하는 과정과 ii) P2V 통신 방법 전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P2V 수신율 저하를 인지하기 위하여, 기지국은 MME로부터 위치 정보 (예를 들면, 좌표 정보, 이동성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2V 링크의(또는 메시지의) 수신율 저하를 인지하는 단계는 링크의 수신 주체에 따라 3가지 구성될 수 있다. 수신 주체의 예로는, V_UE(23), P_UE(21, 22) 및 네트워크(예를 들어, 기지국(25) 또는 MME(24))를 들 수 있다.
P2V 링크의 수신율 저하가 인지되면, V_UE(23)는 수신율 관련 정보를 기지국(25)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25)은 수신율 관련 정보를 통해 P2V 링크의 수신율이 저하됨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25)은 MME(24)와의 연동을 통해 P_UE(21, 22) 및 V_UE(23)의 위치 정보 및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P2V 링크의 수신율 저하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25)은 P_UE(21, 22) 및 V_UE(23)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P_UE(21, 22) 및 V_UE(23)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거리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기지국(25)은 P2V 링크의 수신율 저하 원인은 P_UE(21, 22) 및 V_UE(23) 간의 '이격'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수신율 저하 원인이 P_UE(21, 22) 및 V_UE(23) 간의 '이격'이라고 판단된 경우, 기지국(25)은 상기 수신율 관련 정보를 유효한 정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25)은 3가지 option에 기초하여, P_UE/V_UE(21, 22, 23)에게 일시적인/지속적인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configuration) (이하, 데이터 송수신 구성) 변경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P2V 메시지의 송신 전력 또는 송신 빈도를 증가시키는 구성, 랜덤 자원 선택 구성에서 센싱 기반 자원 선택 구성으로 변경하는 구성, 및 V2X 전용 자원을 할당하는 구성 등이 있다. 데이터 송수신 구성을 변경하는 경우, V_UE(23)은 P2V 메시지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P2V/V2P 통신 운용 방안을 도시한다.
도 3은 다수의 통신사업자(39-1 내지 39-3)가 존재하는 환경을 도시한다. 여기서, P_UE(31)는 주변의 V_UE(32 내지 34)들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39-1 내지 39-3)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P_UE(31)는 통신사업자(39-1 내지 39-3)의 주파수 대역 별 V2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주파수 대역은 사업자 A 내지 B (39-1 내지 39-3) 각각이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네트워크(예를 들어, V2X AS (V2X Application Server))(38)는 MME(35 내지 37)와의 연동을 통해 P_UE(31)의 주파수 대역 수신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V2X AS(38)는 각 통신사업자의 MME들(35 내지 37)로부터 V_UE들(32 내지 34)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ter-PLMN 환경에서 MME(35 내지 37)는 V_UE들(32 내지 34)의 위치 정보를 V2X AS(38)에게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38)는 P_UE(31)의 주변에 위치한 통신사업자(39-1 내지 39-3) 별 V_UE(32 내지 34)의 개수를 확인한 후, P_UE(31)에게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 별 수신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V2X AS(38)가 사업자 별 MME(35 내지 37) 또는 기지국(39-1 내지 29-3)을 통해 P_UE(31)에게 결정된 수신구간에 따른 수신 동작을 요청하면, P_UE(31)는 주파수 대역 별로 서로 다른 수신 구간을 적용하여 V2P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P_UE(31)의 수신 주기는 P_UE(31)의 주변 환경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들의 왕래가 잦은 지역에 위치한 경우 P_UE(31)는 짧은 수신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P_UE(31)는 불필요한 사업자 대역(예를 들어, 30-1)에 대한 수신 구간을 감축함으로써, V2P 메시지 수신을 위한 전력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 및 보행자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지국(예를 들어, eNB)이 P2V/V2P 링크의 수신율이 저하됨을 인지하는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P2V/V2P 링크의 수신율이 저하됨을 판단하는 데에는 P_UE 및 V_UE의 구별이 전제된다. 일 예로, P_UE 및 V_UE는 MAC ID, service ID 및 application ID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구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율 인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P_UE(또는 P_UE s)(100)는 P2V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401). 이 경우, V_UE(200)는 P2V 메시지의 수신 품질 or 수신 신호 세기(예컨대, SINR) 또는 P_UE(100)이 사용하는 자원에 대한 CBR(channel busy ratio) 을 측정한다. 여기서, SINR 또는 CBR이 임계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402). SINR 또는 CBR이 임계값 이하로 측정되는 경우, P2V 메시지에 대한 수신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보고 메시지를 기지국(300)으로 송신한다(수신 상태 정보 보고)(403). 일 예로, 수신율에 대한 정보는 V_UE ID 및 P_UE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수신율에 대한 정보는 수신율 저하 발생 유무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수신율 저하 발생 유무의 경우 0 또는 1의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기지국(300)은 보고 메시지의 유효성 확인 요청을 MME(400)에게 송신한다(404). 이 경우, MME(400)는 P_UE/V_UE(100, 200)의 위치를 확인하여, 보고 메시지의 유효성을 확인한다(405). 예를 들어, MME(400)는 P_UE/V_UE(100, 200)의 위치가 기설정된 영역을 벗어난 경우(절대적 기준), P_UE(100) 및 V_UE(200)의 위치가 기설정된 값 이상 이격된 경우, 보고 메시지는 유효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MME(400)는 수신율 저하가 발생한 원인이 P_UE(100) 및 V_UE(200) 간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발생한 것인지, 아니면 PC5 사이드링크(sidelink)에 문제가 생긴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링크는 D2D 통신에서 D2D 링크에 해당된다. MME(400)는 보고 메시지의 유효성 확인 결과를 기지국(300)에게 송신한다(406). 기지국(300)은 보고 메시지 유효성 결과 및 수신율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율 저하를 인지한다. 일 예로, 기지국(300)은 수신 SINR 측정값이 낮은 P2V 메시지를 전송한 유효 P_UE ID를 저장한다(408).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율 인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P_UE(또는 P_UE s)(100)는 주기적으로 D2D 탐색을 수행한다(501). 이에 따라, P_UE(100)는 주변 P_UE(100)의 수와 P_UE IDs를 기지국(200)에 보고(탐색 결과 보고)한다(502). 기지국(200)은 상기 보고에 대한 유효성 확인을 요청(또는 보고 메시지 유효성 확인 요청)한다(503). 여기서, 상기 보고에 대한 유효성 확인 요청은 P_UE IDs를 포함할 수 있다. MME(400)는 탐색된 P_UE(100)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 경우, MME(400)는 탐색된 P_UE(100)의 이동 경로 방향을 결정할 수도 있다(504). MME(400)는 보고 메시지 유효성 확인 결과 응답을 기지국(200)에게 송신한다(505). 기지국(200)은 상기 탐색 결과 보고 및 상기 보고 메시지 유효성 확인 결과 응답에 기초하여 자원 충돌 확률을 추정할 수 있다(506). 여기서, 자원 충돌 확률은 P2V 통신용 resource pool 크기 대비 D2D 탐색 동작에서 탐색된 P_UE들의 수가 될 수 있다. 자원 충돌 확률이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기지국(200)은 수신율이 저하됨을 결정하고(수신율 저하 인지), 해당 P_UE_ID를 저장할 수 있다(507).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신율 인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기지국(들)(200)은 자원 충돌 확률 추정 요청(P_UE IDs, ECGIs(E-UTRAN cell global identifier), TAIs(tracking area identities), etc.)를 MME(400)로 송신한다(601). MME(400)는 P_UE들(100)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지역별 P_UE들의 수를 추정한다(602). 일 예로,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MME(400)은 복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자원 충돌 확률 추정 요청을 수신하고, 복수의 기지국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역별 P_UE들의 수를 추정할 수도 있다. MME(400)는 자원 충돌 확률을 추정한다. MME(400)는 특정 지역 내 P_UE 수가 기설정된 값보다 많을 경우 자원 충돌 확률이 높다고 판단한다(603). MME(400)는 기지국(200)에게 자원 충돌 확률 추정 응답을 송신한다(604). 여기서, 자원 충돌 확률 추정 응답은 자원 충돌 가능성 여부를 0 또는 1로 나타낼 수 있다. 기지국(200)은 자원 충돌 확률 추정 응답에 따라, 자원 충돌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일 예로, 자원 충돌 가능성 여부가 1로 표시된 경우) 수신율 저하를 인지할 수 있다(605).
상술한 도 4 내지 6의 실시 예에 따른 수신율 인지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서로 조합되어 함께 판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도 4 내지 6의 실시 예 모두에 기초하여 수신율 저하 여부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도 4 내지 6의 실시 예에서, 기지국(200)이 수신율 저하를 인지하는 경우, 기지국(200)은 데이터 송수신 구성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율 저하의 판단은, case 1) P2V 메시지의 수신율 저하가 직접적으로 판단된 경우 및 case 2) 높은 자원 충돌 확률에 따라 P2V 메시지의 수신율 저하가 예상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도 7 내지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구성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상기 case 1) P2V 메시지의 수신율 저하가 직접적으로 판단된 경우와 관련된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300)은 데이터 송수신 구성 변경 요청을 송신한다(701, 702). 여기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구성 변경 요청은 송신 파라미터 변경 또는 송신 메시지 포맷 변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파라미터는, P_UE(100)의 P2V 메시지 송신 전력 또는 송신 빈도일 수 있다. 일 예로, P2V 메시지 수신율 저하가 판단되는 경우, P2V 메시지 송신 전력을 높이거나, 송신 빈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송신 메시지 포맷 변경 정보는, 요구되는 SNR (signal-to-noise ratio)이 낮은 MCS 인덱스를 적용하거나, 다수의 파일럿 신호가 할당된 메시지 구조의 적용을 포함할 수 있다. P_UE(100) 및 V_UE(200)는 P2V 메시지의 데이터 송수신 구성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703). 일 예로, P_UE(100) 및 V_UE(200)는 송신 파라미터를 변경하거나, 송신 메시지 포맷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P_UE(100) 및 V_UE(200)는 데이터 송수신 구성 변경 완료 응답을 기지국(300)으로 송신할 수 있다(704). P_UE(100)는 변경된 데이터 송수신 구성에 기초하여, P2V 메시지 브로드캐스트를 수행한다(705). 기설정된 시간(T sec) 후에, 데이터 송수신 구성 변경을 종료한다(706).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구성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상기 case 2) 높은 자원 충돌 확률에 따라 P2V 메시지의 수신율 저하가 예상되는 경우와 관련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300)은 P_UE 자원 선택 방법 변경 요청을 V_UE(200)으로 송신한다(801, 802). 여기서, P_UE 자원 선택 방법 변경 요청은, 센싱 기반 자원 선택 방안으로의 변경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P_UE(100) 및 V_UE(200)는 P_UE 자원 선택 방법을 변경할 수 있다(803). 일 예로, 현재 P_UE 자원 선택 방법이 랜덤 자원 선택 방안인 경우, 센싱 기반 자원 선택 방안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기반 자원 선택 방안은 활용 가능한 자원을 식별하여 식별된 자원을 이용하는 방안일 수 있다. P_UE(100)는 P_UE 자원 선택 방법 변경 완료 응답을 기지국(300)으로 송신할 수 있다(804). P_UE(100)는 P2V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805). 기설정된 시간(T sec) 후에, P_UE는 P_UE 자원 선택 방법 변경을 종료한다(806).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구성 변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상기 case 2) 높은 자원 충돌 확률에 따라 P2V 메시지의 수신율 저하가 예상되는 경우와 관련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300)은 P2V 통신 전용 자원 풀(resource pool) 할당 요청을 V_UE(200)로 송신한다(901, 902). 여기서, 상기 P2V 통신 전용 자원 풀 할당 요청은 전용 자원 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P_UE(100) 및 V_UE(200)는 P2V 통신 전용 자원 풀을 할당할 수 있다(903). 이 경우, P_UE(100) 및 V_UE(200)는 별도의 독립된 P2V 통신용 자원 풀을 할당할 수 있다. P_UE(100)는 P2V 통신 방법 변경 응답(P2V 통신 전용 자원 풀 할당 완료)을 기지국(300)으로 송신할 수 있다(904). P_UE(100)는 P2V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905). 기설정된 시간(T sec) 후에, P_UE는 P_UE 자원 선택 방법 변경을 종료한다(906). 이에 따르면, P2V 자원 충돌 확률을 줄여 P2V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도 7의 실시 예는, in-coverage에 국한하여 동작할 수 있지만, 도 8 및 9의 실시 예는 out-coverage 상황에서도 동작할 수 있다. 즉, 도 8 및 9의 실시 예에서는, 수신율 저하 인지시, 기지국(300)에 보고 없이 단말(100, 200) 자체적으로 정해진 규칙에 따라 통신방법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도 7 내지 9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구성 변경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서로 조합되어 함께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도 7 및 8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구성 변경 방법이 하나의 실시 예로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안정적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P_UE 인근에 위치한 V_UE들의 통신사업자를 고려하고, 불필요한 사업자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수신 구간을 감축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수신 구간 감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P_UE(100-1), V_UEs(200-1), eNB(300-1) 및 MME(400-1)는 사업자 A와 관련된다. 또한, V_UEs(200-2), eNB(300-2) 및 MME(400-2)는 사업자 B와 관련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V_UEs(200-1, 200-2)는 V2P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1001, 1002). P_UE(100-1)는 사업자 A 및 B 각각에 대응되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V2P 메시지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한다(1003), 한편, V_UEs(또는 V_UE)(200-2)가 이동하여 P_UE(100-1)로부터 멀어지는 경우를 가정한다(1004). 이 경우, V2X App Server(500-1)는 MME(400-1, 400-2)로부터 P_UE/V_UE(100-1, 100-2, 200-2, 200-2) 위치 정보에 대한 보고(ECGI,TAI, etc.)를 수신한다(1005, 1006). V2X App Server(500-1)는 P_UE(100-1) 주변의 통신 사업자별 V_UE의 개수를 확인한다(1007). 또한, V2X App Server(500-1)는 주파수 대역별 수신 ON/OFF를 결정한다(1008). 일 예로, V2X App Server(500-1)는 사업자 A의 주파수 대역의 수신을 ON하고, 사업자 B의 주파수 대역의 수신을 OFF할 수 있다. V2X App Server(500-1)는 수신 동작 변경 요청(수신 ON/OFF를 위한 주파수 대역 별 flag bit 포함)을 P_UE(100-1)로 송신한다(1009, 1010, 1011). P_UE(100-1)는 기지국(300-1)으로 수신 동작 변경 완료 응답을 송신한다. V_UEs(200-1)는 V2P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1013). P_UE(100-1)는 사업자 A의 주파수 대역에서 V2P 메시지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한다(1014).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수신 구간 감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P_UE(100-1), V_UEs(200-1), eNB(300-1) 및 MME(400-1)는 사업자 A와 관련된다. 또한, V_UEs(200-2), eNB(300-2) 및 MME(400-2)는 사업자 B와 관련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V_UEs(200-1, 200-2)는 V2P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1101, 1102). P_UE(100-1)는 사업자 A 및 B 각각에 대응되는 상이한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V2P 메시지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한다(1103), 한편, V_UEs(또는 V_UE)(200-2)가 이동하여 P_UE(100-1)로부터 멀어지는 경우를 가정한다(1004). 이 경우, V2X App Server(500-1)는 MME(400-1, 400-2)로부터 P_UE/V_UE(100-1, 100-2, 200-2, 200-2) 위치 정보에 대한 보고(ECGI,TAI, etc.)를 수신한다(1105, 1106). V2X App Server(500-1)는 P_UE(100-1) 주변의 통신 사업자별 V_UE의 개수를 확인한다(1107). 또한, V2X App Server(500-1)는 주파수 대역 별 수신 구간 조정을 수행할 것을 결정한다(1108). 일 예로, 사업자 A의 주파수 대역의 수신 구간을 증가시키고, 사업자 B의 주파수 대역의 수신 구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V2X App Server(500-1)는 수신 동작 변경 요청(주파수 대역 별 수신 구간 조정 정보를 포함)을 P_UE(100-1)로 송신한다(1109, 1110, 1111). P_UE(100-1)는 기지국(300-1)으로 수신 동작 변경 완료 응답을 송신한다. V_UEs(200-1)는 V2P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한다(1113). P_UE(100-1)는 사업자 A 및 B의 주파수 대역에서 V2P 메시지 브로드캐스트를 수신한다(1014). 여기서, 사업자 A의 주파수 대역의 수신 구간은 증가되고, 사업자 B의 주파수 대역의 수신 구간은 감소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1200)의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기지국(1200)은 송수신기(1210) 및 프로세서(1220)를 포함한다.
송수신기(1210)는 제1 단말과 D2D (device-to-device)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로부터 신호의 수신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20)는 도 1 내지 도 11, 그리고 도 14 내지 도 16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혹은 결합)에 따라 기지국(12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일 예로, 프로세서(1220)는 수신율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고, 결정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을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도록 송수신기(1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20)는 수신율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신호 세기를 판단하고,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단말 및 제2 단말 간의 거리를 결정하고, 수신신호 세기 및 거리에 기초하여,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20)는 제1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단말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제1 단말로부터 더 수신하도록 송수신기(1210)를 제어하고, 단말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정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구성 또는 송신율을 증가시키는 구성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결정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센싱기반 자원선택 방식일 수 있다.
D2D 통신 예를 들어, P2V/V2P 통신의 경우, 차량(vehicle)은 차량의 탑승자와, 차량에 탑승하지 않은 보행자를 구별하는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탑승자와 보행자를 구별하여 탑승자와 보행자에 따라 다른 서비스(예를 들어, 안전, 정보제공 등)를 제공하는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이하에서, 탑승자와 보행자를 구별하는 방안과, 그에 따른 서비스 제공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차량-탑승자 간 통신을 V2Pa(vehicle-to-passenger)로 새로이 명명하며, V2P와 명칭 상의 혼동이 방지하기 위해 차량과 보행자간 통신을 V2Pe로 변경하여 명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단말(1300)은 송수신기(1310) 및 프로세서(1320)를 포함한다.
송수신기(1310)는 제1 단말 또는 기지국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320)는 도 1 내지 도 11, 그리고 도 14 내지 도 16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혹은 결합)에 따라 단말(13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호의 수신율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수신율에 대한 정보와, 제1 단말 및 단말(130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configuration)을 수신하고, 데이터 송수신 구성에 기초하여 제1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송수신기(13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수신율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수신신호 세기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1 단말 및 단말(1300)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제1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단말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구성 또는 송신율을 증가시키는 구성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센싱기반 자원선택 방식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V2Pa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다.
V2Pa 서비스 시스템은 보행자 및 탑승자 간의 스위치를 원활하게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일 예로, 보행자(11, 12)는 차량(15)에 탑승하는 경우 탑승자(13, 14)로 스위치 되어 기록될 수 있다. 반대로, 탑승자(13, 14)가 차량(15)에서 하차하는 경우 보행자(11, 12)로 스위치 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일 예로, V2Pa 서비스는 탑승자 리스트(16)을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탑승자 리스트는 사용자 ID, 탑승위치, 탑승시간, 안전서비스 항목으로 기록될 수 있다. 이 경우, V2Pa 서비스는 보행자(11, 12) 및 탑승자(13, 14) 간의 스위치에 따른 현재 상태(보행자인지 또는 탑승자인지)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보행자 식별 방법을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탑승자/보행자 식별은 탑승자/보행자 단말 및 차량 단말의 상태 메시지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태 메시지는 기본 정보(151) 및 이동성 정보(1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정보(151)는 사용자 ID(또는 단말 ID), 단말 형태(예를 들어, 차량, 휴대폰, RSU(road side unit)), 차량 역할(예를 들어, 소/중/대형, 응급), 주행 유형(예를 들어, 자율, 원격, 수동), 보행 유형(예를 들어, 보행, 자전거, 휠체어), 탑승 유형(예를 들어, 탑승, 중간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성 정보(152)는 위치 정보(예를 들어, GPS, 상대거리), 가속도, 진행 방향, 속도(순간, 평균), 도로정보, 경로정보(예를 들어, 도착지, 경유지, 노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 정보는 탑승자/보행자의 도착지 요구사항에 따라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보행자는 이동경로에 따라 필요한 광고 및 소식 등을 효과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탑승자/보행자 단말 및 차량 단말은 각자가 수신받은 특정 정보 예를 들어, 기본 정보(151) 및 이동성 정보(152)를 활용하여 탑승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탑승자/보행자 식별 방법은 비접촉식 식별 방법과 접촉식 식별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비접촉식 방법은 차량과 단말간 일정 거리에서 무선 통신을 이용해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이며, 접촉식 방법은 기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수 cm) 내의 근거리 통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관련 정보 혹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이다. 상기 비접촉식 식별 방법과 접촉식 식별 방법은 차량의 목적 및 승객 수, 통신 환경 등 상황에 따라 각각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상호 보완적으로 함께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6a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비접촉식 식별 방법과 접촉식 식별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a 및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접촉식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비접촉식 식별 방법은 V2X 통신 및 Long Range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와 같은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보행자/탑승자를 식별하는 기술이다. 식별을 위해 개인이 차량 단말(1500) 및 탑승자/보행자 단말(1600, 1700)에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탑승자/보행자간 상태 식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비접촉식 탑승자/보행자 식별 방법은 도 16a와 같이, V2X 상태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법과, 도 16b와 같이, 비콘(Beacon)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비콘은 근거리에 있는 스마트 기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통신기술(블루투스, Long Range RFID)일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V2X 상태 메시지를 이용하는 방법은 V2X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각 탑승자/보행자 단말(1600, 1700)에서 전송하는 상태 메시지 내 정보를 활용하여 보행자/탑승자를 식별하는 방법이다. 차량 단말(1500)은 상태 메시지에 포함된 탑승자/보행자 단말(1600, 1700)의 이동성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단말(1500)과 탑승자/보행자 단말(1600, 1700)의 근접성을 계산할 수 있다.
V2X 상태 메시지의 일 예로, ETSI 와 SAE에서 제안한 CAM(cooperative awareness message)과 BSM(basic safety message)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해당 표준에서는 탑승자 상태 관련 메시지가 없으므로 V2Pa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탑승자의 상태 정보 제공을 고려한 신규 상태 메시지인 VBIM(vehicle basic information message)를 새롭게 제안한다. 이를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7a 내지 1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VBIM의 구조를 도시한다.
VBIM은 탑승자/보행자 간 식별을 수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VBIM은 차량 상태 메시지(도 17a), 보행자 상태 메시지(도 17b), 탑승자의 상태 메시지(도 17c)를 포함할 수 있다. VBIM 구조는 CAM과 BSM 구조를 기반으로 신규 서비스 및 대상에 따라 필요한 부가정보들을 추가하여 구성되었다. 여기서, CAM 및 BSM 구조는 동종 기술 분야에 널리 공지된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CAM과 BSM 구조와 비교하여, VBIM 구조의 차량 상태 메시지에는 주행 기술 및 서비스 확대에 따라 운전유형(수동/자율/무인), 탑승정보(탑승자/운전자유무), 주행시간, 운전자 정보, 도로정보(노면상태) 등이 추가되었으며, 탑승자 상태 메시지는 탑승차량 ID와 탑승 위치와 같은 탑승 부가 정보로 새로이 제안된다. 탑승자의 경우 이동성 정보 및 대부분의 상태 정보가 차량과 동일하므로 탑승한 차량의 ID 및 해당 차량 상태 메시지를 통해 상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도 16b는 비 접촉식 식별 방법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콘(bacon)을 이용한 식별 방법을 도시한다.
비콘(beacon)을 이용한 식별 방법을 위해 차량 내부/외부에 비콘들이 설치된다. 상기 설치된 비콘들은 서로 다른 신호를 송신한다. 비콘은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블루투스(bluetooth)등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RFID는 단말을 다른 단말을 스스로 인식하여, 수 미터 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Long Range RFID일 수 있다.
탑승자/보행자 단말(1600-1, 1700-1)에서는 비콘 신호의 수신 여부 및 순서에 따라 단말이 보행자 및 탑승자의 상태를 식별한 후, 차량에 해당 정보를 전달한다. 일 예로, 탑승자 판별 방법은 외부에서 내부 순서로 비콘 신호를 수신한 경우, 보행자 단말(1700-1)의 상태는 보행자에서 탑승자로 스위치 된다. 반대로, 역순으로 비콘 신호를 수신한 경우는, 탑승자 단말(1600-1)은 탑승자에서 보행자로 스위치된다.
일 예로, 보행자 단말의 경우 동시에 여러 대의 차량으로부터 외부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신호들을 분류하여 탑승차량의 신호를 선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때, 보행자 단말은 개별 사용자에게 여러 수신 신호에 대한 무시 또는 탑승하려는 차량을 선정하기 위한 요청을 보행자에게 발신하거나, 외부신호의 수신전력을 비교하여 탑승차량을 선정하게 된다. 보행자 단말은 전력 크기가 큰 k대의 차량을 선정하고, 우선순위 차량부터 일정시간 동안 내부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내부 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보행자 단말은 주변 차량에 대한 외부 신호 수신을 다시 수행한다.
탑승자는 보행자와 다르게 차량 내에서 다수의 외부 신호를 수신할 경우 신호들을 무시하거나 단말 사용자에게 차량 또는 상태 변경 여부를 직접 문의하게 된다. 그리고, 탑승자와 보행자 모두 다수의 내부, 외부 신호를 차량 내외에서 수신받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의 경우를 중간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중간상태 단말(1800-1)의 경우 자신의 안전과 관련된 서비스는 보행자에 준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중간상태 단말(1800-1)은 이동 속도 제한 및 해당 중간 상태 단말(1800-1)에 대하여 정확한 상태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촉식 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접촉식 식별 방법은 탑승자/보행자 단말을 보조장치에 접촉하여 상태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이다. 이에 따라, 탑승자/보행자 단말(1801, 1802) 여부가 결정된다. 여기서, 접촉은 탑승자/보행자 단말(1801, 1802)과 차량 단말(1803) 간의 유선 연결 또는 기설정된 거리 내의 근접에서의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접촉식 식별 방법의 일 예로,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식별 방법이 있다.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는 방법은 탑승자/보행자 단말(1801, 1802)을 차량 단말(1803)의 식별 장치에 수 cm 이내에 접근하여 상태 정보를 전달하여 식별을 수행한다. 일 예로, 근거리 통신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할 수 있다. NFC는 10cm 이내의 짧은 거리 내에서 상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 유선 연결을 통한 탑승자 식별 방법은 USB(universal serial bus)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을 차량 단말(1830)과 탑승자 단말(1802, 1804, 1805)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태 정보는 상기 케이블을 따라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식 식별 방법을 위해 이용되는 방식은 NFC 및 USB로 제한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또는 개인 단말)을 보행자 단말, 탑승자 단말 또는 중간 상태 단말로 식별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보행자 단말은 V2X 상태 메시지 및 서비스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하거나 수신받는다. 만약, 개별 사용자가 특정 단말 또는 서비스의 원하지 않는 경우 직접 단말의 설정을 통하여 해당 메시지를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탑승자 단말은 기본적으로 탑승자간 그룹을 형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각 탑승자 단말은 그룹원 및 차량과 통신이 가능하며, 그룹 외부의 단말과도 통신이 가능하다. 탑승자 그룹은 차량 자체의 탑승자 그룹 관리 서버 또는 리더 단말을 선정하여 서비스 지원 및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그룹 구성원은 차량 자체 서버 또는 리더 단말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V2Pa 서비스 요청 및 지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자체 서버 및 리더 단말은 구성원들에게 불필요한 주행안전 관련 서비스 또는 사각지역 경고 등의 서비스를 차단하여 제공하지 않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중간상태는 탑승자/보행자 식별이 불확실한 상태이다. 비접촉식 식별 방법에서 수신 신호의 수신율이 저하되거나 동시에 여러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중간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접촉식 식별 방법에서는 상태정보에 오류가 생긴 경우에도 중간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보행자 또는 탑승자 상태 식별이 불확실한 중간상태인 경우 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별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중간상태 단말은 차량에 자신의 상태전환을 알리고, 사고 예방을 위한 속도 감속 또는 정지와 같은 이동제한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태가 명확하게 식별될 때까지 보행자와 탑승자와 관련된 모든 V2X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인 상태 메시지나 보조 장치를 통해 식별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중간상태 단말은 사용자에게 직접 현재상태에 대해 문의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V2Pa 서비스 지원 방법을 도시한다.
도 19를 참조하여, 탑승자 단말과 보행자 단말의 식별된 것을 전제로, V2Pa 서비스 지원 방법을 설명한다.
차량 단말(1910)은 복수의 탑승자 단말(1920-1 내지 1920-5) 각각에 대해서 서로 다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복수의 탑승자 단말(1920-1 내지 1920-5)의 상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단말(1910)은 복수의 탑승자 단말(1920-1 내지 1920-5)을 하나의 그룹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 단말(1910)은 복수의 탑승자 단말(1920-1 내지 1920-5)의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또는 게이트웨이(1950)를 통해) 차량 서버(1930) 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94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차량 서버(1930)는 그룹정보(1960)를 이용하여 복수의 탑승자 단말(1920-1 내지 1920-5)에게 서비스를 지원한다. 일 예로, 차량 서버(1930)(또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940)는 탑승자 정보와 차량이동 정보를 기반으로 관광 정보 또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 단말(1910)(또는 단말)은 그룹정보(1960)를 통해 그룹원들(복수의 탑승자 단말(1920-1 내지 1920-5))의 이동성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탑승자 단말 그룹의 등록 및 해제 방법을 도 20 내지 21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단말 그룹 등록 방법을 도시한다.
탑승자 리스트(또는 그룹 정보)는 탑승자 단말의 ID, 탑승 위치, 탑승 시간, V2Pa 서비스 지원에 필요한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탑승자 리스트가 하차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차량 단말은 하차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도착지 알림 또는 광고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보행자 단말(2010) 및 차량 단말(2020)은 탑승자 단말 등록을 위해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먼저, 보행자 단말(2010)은 V2X 보행자 상태 메시지를 송신한다(2011). 차량 단말(2020)은 탑승 여부를 확인한다. 보행자 단말(2010)이 탑승자로 확인된 경우, 차량 단말(2020)은 탑승자 그룹 등록 문의 메시지를 보행자 단말(2010)로 송신한다(2012). 보행자 단말(2010)은 자신이 탑승자임을 알리고 탑승자 그룹에 자신을 등록하기 위해 탑승자 그룹 등록 요청 메시지를 차량 단말(2020)로 송신한다(2013). 만약, 보행자 단말(2010)이 탑승자 리스트에 등록을 원하지 않는 경우, 거절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탑승자 그룹 등록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차량 단말(2020)은 탑승자 리스트에 보행자 단말(2010)을 등록한다. 만약, 거절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차량 단말(2020)은 보행자 단말(2010)의 탑승 여부만을 저장하고, 탑승자 리스트에 등록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단말(2020)은 보행자 단말(2010)에게 별도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차량 단말(2020)은 탑승자 그룹 등록 확인 메시지를 보행자 단말(2010)로 송신한다(2014). 최종적으로, 보행자 단말(2010)은 탑승자 리스트 등록을 수락할 수 있다.
상술한 도 20의 실시 예에서, V2X 보행자 상태 메시지가 보행자 단말(2010)에서 차량 단말(2020)로 전달되는 것을 시작으로, 탑승자 리스트 등록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동작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고, 차량 단말(2020)에서 V2X 차량 상태 메시지가 보행자 단말(2010)로 전달되고, 탑승자 그룹 등록 요청 메시지가 보행자 단말(2010)로부터 차량 단말(2020)로 전달되고, 차량 단말(2020)에서 보행자 단말(2010) 탑승자 그룹 등록 확인 메시지가 전달되고, 보행자 단말(2010)에서 차량 단말(2020)로 V2X 탑승자 상태 메시지가 전달되는 탑승자 리스트 등록 프로세스도 물론 가능하다. 이 외에도, 다양한 프로세스에 따라 탑승자 리스트 등록 프로세스가 가능할 것이다.
도 21a 및 2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탑승자 단말 그룹 등록 해제 방법을 도시한다.
도 21a를 참조하면, 차량 단말(2120)은 V2X 차량 상태 메시지를 탑승자 단말(2110)로 송신한다(2111). 탑승자 단말(2110)은 탑승자 단말이 하차한 상태인 경우, 보행자로 상태를 변경한다. 탑승자 단말(2110)은 차량 단말(2120)로 탑승자 그룹 해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2112). 차량 단말(2120)은 탑승자 단말(2110)의 하차를 확인한다. 차량 단말(2010)은 탑승자 리스트에서 탑승자 단말(2110)을 삭제하고, 탑승자 그룹 해제 확인 메시지를 탑승자 단말(2110)로 송신한다(2113). 탑승자 단말은 탑승자 그룹 해제를 수락한다.
도 21b를 참조하면, 차량 단말(2140)은 V2X 차량 상태 메시지를 탑승자 단말(2130)로 송신한다(2131). V2X 차량 상태 메시지가 T초(예를 들어, 기설정된 제한 시간) 동안 수신되지 않는 경우, 탑승자 단말(2130)은 자신을 보행자 상태로 변환한다. 제한 시간은 상태 메시지의 1-3회 전송주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탑승자 단말(2130)은 V2X 탑승자 상태 메시지를 차량 단말(2140)로 송신한다(2132). T'초 동안 V2X 탑승자 상태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차량 단말(2140)은 탑승자 리스트에서 탑승자 단말(2130)을 삭제한다. 또는, V2X 탑승자 상태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차량 단말(2140)은 탑승자 리스트에서 탑승자 단말(2130)을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 단말은 탑승자 그룹에 속한 단말들로부터 전달받은 상태 정보를 통해 그룹을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탑승자 단말들의 상태 정보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상태 메시지를 이용하여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탑승자 단말들의 상태 정보는 그룹 등록 과정에서 전달받은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유선 연결을 통한 탑승자/보행자 식별이 이루어진 경우, 차량 단말은 유선 연결을 통해 탑승자 단말의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받아 리스트를 갱신할 수 있다.
탑승자 단말들은 V2Pa 통신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탑승자 단말들은 대표 ID를 설정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대표 ID는 탑승한 차량의 ID, 별도의 그룹 ID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탑승자 단말들은 각 단말의 개별 ID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 단말(또는 차량 서버 등)은 탑승자 리스트에 저장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안전 또는 편의와 관련되는 V2Pa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탑승자 리스트는 탑승자 단말의 ID, 서비스 제공에 따른 과금 정보, 하차 위치 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V2Pa 서비스 운용은 탑승자 그룹 정보를 관리하는 주체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22를 참조하여, 차량 서버에 의해 탑승자 그룹정보가 관리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흐름도이다.
차량에 탑재된 로컬 어플리케이션 서버(2220)는 탑승자 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먼저, 탑승자 단말(2210)은 로컬 어플리케이션 서버(2220)로 근거리 통신 또는 PC5를 이용하여 상태 메시지를 전송한다(2111). 로컬 어플리케이션 서버(2220)는 탑승자 상태 정보 또는 요구사항을 기초로 탑승자 리스트를 작성하고 관리한다(예를 들어, 단말 ID, 위치, 시간 등의 항목을 관리할 수 있음)(2212). 로컬 어플리케이션 서버(2220)는 기지국(2230)으로 탑승자 리스트 정보를 송신한다(2213). 여기서, 탑승 리스트 정보는 주기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기지국(2230)은 V2Pa 서비스 요청을 어플리케이션 서버(2240)로 송신한다(2214). 어플리케이션 서버(2240)는 필요한 V2Pa 서비스를 판단한다(2215). 여기서, V2Pa 서비스는 안전 또는 편의와 관련된 서비스일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서버(2240)는 선정된 V2Pa 서비스를 기지국(2230)으로 제공한다(2216). 기지국은 V2Pa 서비스를 로컬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한다(2217). 로컬 어플리케이션 서버(2220)는 Pa_UE에 V2Pa 서비스를 지원한다(2218). 여기서, 로컬 어플리케이션 서버(2220)는 차량에서 습득한 정보(이미지, 센싱 정보)를 Pa_UE(2210)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흐름도이다.
도 23은 차량에 서버가 부존재하는 경우의 실시 예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Pa_UE(2310)는 기지국(2330)에게 상태 메시지를 송신한다(2311). 기지국(2330)은 어플리케이션 서버(2340)에 탑승자 정보를 보고한다(2340). 어플리케이션 서버(2340)는 탑승자 단말을 그룹으로 형성하고, 그룹의 리더 Pa_UE를 선정할 수 있다(2313). 또한, 어플리케이션 서버(2340)는 필요한 V2Pa 서비스를 판단할 수 있다(2314). 어플리케이션 서버(2340)는 선정된 V2Pa 서비스를 기지국에게 제공하고(2315), 기지국(2330)은 V2Pa 서비스를 리더 Pa_UE(2230)에게 제공한다(2316). 리더 Pa_UE(2320)는 Pa_UE(2310)에게 V2Pa 서비스를 제공한다(2317).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다.
도 24에 따르면, 차량 또는 차량 단말(2410)은 탑승자 리스트를 관리한다. 일 예로, 탑승자 단말이 차량(2410)의 목적지에서 하차하지 않는 경우, 운전자 단말(2420)에게 하차하지 않은 사실을 통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차량 단말(2410)은 탑승자 리스트에 기초하여 구조 요청을 병원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 요청은 탑승자 인원과 차량(241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다.
도 25는 제1 량(2510)과 제2 량(2520)이 연결된 기차(또는 지하철)를 도시한다. 일 예로, 제1 량(2510)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제1 량(2510)은 탑승자 리스트의 정보를 제2 량(2520)의 탑승자 단말(2530, 2540, 2550)에게 통지하여 위험을 공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량(2510)은 탑승자 리스트를 이용하여 제1 량(2510)의 탑승자 단말(2560)에게 하차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차량 단말에서 탑승자 정보를 작성, 관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명하였다. 다만, 탑승자 정보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은 그 외에도 다양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제1 단말과 D2D (device-to-device)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로부터 신호의 수신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2610),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2620), 수신율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과정(2630) 및 결정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을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과정(26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호의 수신율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2710), 수신율에 대한 정보와,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configuration)을 수신하는 과정(2720) 및 데이터 송수신 구성에 기초하여 제1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과정(27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 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단말과 D2D (device-to-device)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로부터 신호의 수신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수신율에 대한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과정 및 결정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을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신호의 수신율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 수신율에 대한 정보와, 제1 단말 및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configuration)을 수신하는 과정 및 데이터 송수신 구성에 기초하여 제1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P_UE: 100; V_UE: 200
기지국: 300; MME: 400

Claims (20)

  1. 기지국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제1 단말과 기기 간 (device-to-device: D2D)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생성된 수신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수신율이 상기 제2 단말에서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이,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기지국이,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기지국이, 상기 결정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을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신호 세기를 결정하는 과정;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간의 거리를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신호 세기 및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D2D 통신을 위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 구성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단말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구성 또는 송신율을 증가시키는 구성 중 하나인, 데이터 송수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센싱기반 자원선택 방식인, 데이터 송수신 방법.
  6.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제1 단말과 기기 간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에 의해 생성된 수신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고, 여기서 수신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수신율이 상기 제2 단말에서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configuration)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을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기지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신호 세기를 결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간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수신신호 세기 및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D2D 통신을 위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 구성을 결정하는, 기지국.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단말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더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상기 D2D 통신을 위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 구성을 결정하는, 기지국.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구성 또는 송신율을 증가시키는 구성 중 하나인, 기지국.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센싱기반 자원선택 방식인, 기지국.
  11. 제1 단말과 기기 간 (device-to-device: D2D)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수신율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과정,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수신율이 상기 제2 단말에서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configuration)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데이터 송수신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수신신호 세기와,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된, 데이터 송수신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단말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결정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구성 또는 송신율을 증가시키는 구성 중 하나인, 데이터 송수신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센싱기반 자원선택 방식인, 데이터 송수신 방법.
  16. 제1 단말과 기기 간 (device-to-device: D2D) 통신을 수행하는 제2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및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수신율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수신율이 상기 제2 단말에서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와,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D2D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구성(configuration)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 구성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송수신기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2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상기 수신율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수신신호 세기와,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제1 단말 및 상기 제2 단말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된, 제2 단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단말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더 고려하여 결정되는, 제2 단말.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구성 또는 송신율을 증가시키는 구성 중 하나인, 제2 단말.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구성은, 센싱기반 자원선택 방식인, 제2 단말.
KR1020170084499A 2017-07-03 2017-07-03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387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499A KR102387506B1 (ko) 2017-07-03 2017-07-03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6/025,389 US10397808B2 (en) 2017-07-03 2018-07-02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to-device data 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499A KR102387506B1 (ko) 2017-07-03 2017-07-03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196A KR20190004196A (ko) 2019-01-11
KR102387506B1 true KR102387506B1 (ko) 2022-04-18

Family

ID=64739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499A KR102387506B1 (ko) 2017-07-03 2017-07-03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97808B2 (ko)
KR (1) KR1023875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1121B2 (en) * 2016-05-12 2020-09-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beam search or beam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312203B (zh) * 2018-03-23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相关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10833824B2 (en) * 2018-10-01 2020-11-10 Ahmad Jalali Self-configurable mesh network for wireless broadband access
CN111277949B (zh) 2019-01-25 2021-05-2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上报方法、资源分配方法、第一终端及第二终端
US11153717B2 (en) * 2019-04-04 2021-10-19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reporting of positioning-related states
WO2020248182A1 (en) * 2019-06-13 2020-12-17 Qualcomm Incorporated Bike lane communications networks
WO2021029466A1 (ko) * 2019-08-14 2021-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장착되는 tcu를 제어하는 서버에서 도로를 건너는 보행자를 탐지하는 기술
US11659522B2 (en) * 2020-12-10 2023-05-2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resource selection sche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06322A1 (en) * 2013-01-18 2014-07-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assisted ue detection in direct mode ue-to-ue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700B1 (ko) 2010-06-24 2017-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식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WO2013115567A1 (ko) * 2012-01-30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D2d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d2d 전송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전송 및 수신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KR101990827B1 (ko) 2012-03-27 2019-06-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상향링크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140124088A (ko) * 2013-04-16 2014-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US9872267B2 (en) * 2013-08-02 2018-01-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ignal transmission i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for
KR102280577B1 (ko) * 2014-08-01 2021-07-23 삼성전자 주식회사 D2d 통신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6182295A1 (ko) 2015-05-08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06322A1 (en) * 2013-01-18 2014-07-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assisted ue detection in direct mode ue-to-ue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196A (ko) 2019-01-11
US20190007846A1 (en) 2019-01-03
US10397808B2 (en)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7506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6837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sidelink communication based on parameters
US10728723B2 (en) User terminal, RSU, method and program
US11064509B2 (en) Methods, base station, infrastructure node and communications terminal
US11419127B2 (en) Methods, base station, infrastructure node and terminal for measurements and delay-sensitive vehicle-related communications
JP7230815B2 (ja) 通信装置
JP4930591B2 (ja) 送信制御方法並びに移動局間通信の制御方法、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US11064504B2 (en) Methods, base station, infrastructure node and terminal
CN115699960A (zh) Nr侧链路辅助信息消息
JP7355018B2 (ja) 通信装置
JPWO2019064986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