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5903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85903B1 KR102385903B1 KR1020200090625A KR20200090625A KR102385903B1 KR 102385903 B1 KR102385903 B1 KR 102385903B1 KR 1020200090625 A KR1020200090625 A KR 1020200090625A KR 20200090625 A KR20200090625 A KR 20200090625A KR 102385903 B1 KR102385903 B1 KR 1023859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hole
- terminal
- communication
- coupling member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연통결합부재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터미널부가 분리방지안내부에 의해 접속홀부로 분리 방지되도록 삽입됨으로써,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커넥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커넥터는 복수개의 접속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접속홀부에 삽입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터미널부와,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부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홀부에 연결되는 연통부가 형성되는 연통결합부재 및 상기 연통결합부재가 상기 수용홈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홀부로 상기 터미널부의 삽입을 허용하고, 상기 접속홀부에 상기 터미널부가 삽입 완료시 상기 터미널부를 분리 방지되도록 안내하는 분리방지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커넥터는 복수개의 접속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접속홀부에 삽입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터미널부와,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부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홀부에 연결되는 연통부가 형성되는 연통결합부재 및 상기 연통결합부재가 상기 수용홈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홀부로 상기 터미널부의 삽입을 허용하고, 상기 접속홀부에 상기 터미널부가 삽입 완료시 상기 터미널부를 분리 방지되도록 안내하는 분리방지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통결합부재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터미널부가 분리방지안내부에 의해 접속홀부로 분리 방지되도록 삽입됨으로써,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서 점차적으로 일반 차량,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는 고전압/고전류를 사용하게 되므로, 차량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량 내부의 부품에 안정적으로 공급 및 분배하기 위한 전기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자제어를 위하여 많은 부품들이 모듈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사용전류나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커넥터가 연결된 전선이나 통신선들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커넥터(CONNECTOR)는 자동차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자동차의 부품에 장착되었을 때 전기적인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여러 가지 안전검사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통상의 커넥터는 상호 탈착되는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을 구비하며, 상호 결합된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이 고정부재의 결합을 통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커넥터의 하우징에는 터미널부가 삽입되어 결합되기 전에 터미널부의 걸림을 유지하고 터미널부의 덜삽입을 검지하는 TPA(이하, 이탈방지부재라 함)가 설치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재의 주된 기능은 터미널부의 위치 확인을 통한 터미널부의 덜삽입 검지 및 터미널부의 이탈을 하우징 내부의 란스부에 걸리는 1차 걸림과 더불어 2차 걸림을 통해 이중으로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터미널부의 완전한 덜삽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이탈방지부재가 터미널부의 전체면에 간섭되어 쉽게 덜삽입에 대해 검지가 가능하지만, 터미널부의 덜삽입 거리가 1mm 이하의 경우에는 덜삽입의 검지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커넥터가 소극의 경우에는 큰 관계가 없지만, 다극일수록 커넥터의 너비가 길어져 중간지점에서의 덜삽입 발생의 경우에는 양측 사이드의 이탈방지부재의 걸림후크구조는 록킹이 이루어지더라도 중간부위가 볼록하게 튀어나온 배불뚝이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터미널부가 이탈방지부재에 걸림이 유지되지 못하여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50446호(2018.04.13, 발명의 명칭: 전선 접속용 커넥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연통결합부재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터미널부가 분리방지안내부에 의해 접속홀부로 분리 방지되도록 삽입됨으로써,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복수개의 접속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접속홀부에 삽입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터미널부와,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부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홀부에 연결되는 연통부가 형성되는 연통결합부재 및 상기 연통결합부재가 상기 수용홈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홀부로 상기 터미널부의 삽입을 허용하고, 상기 접속홀부에 상기 터미널부가 삽입 완료시 상기 터미널부를 분리 방지되도록 안내하는 분리방지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방지안내부는 상기 터미널부의 접속단자에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기울어지는 탄성걸림부와, 상기 탄성걸림부가 상기 연통부에 진입시 상기 탄성걸림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도록 상기 연통부에 구비되는 변형안내부 및 상기 탄성걸림부가 상기 변형안내부를 통과시 상기 연통결합부재에 걸림 가능하게 복원되도록 상기 접속홀부에 형성되는 걸림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변형안내부는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연통결합부재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터미널부가 분리방지안내부에 의해 접속홀부로 분리 방지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므로, 하우징에 연통결합부재를 완전히 결합시킨 채로 납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작업 공수가 줄어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연통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서 분리방지안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연통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서 분리방지안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한 연통결합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서 분리방지안내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하우징(10), 터미널부(20), 연통결합부재(30) 및 분리방지안내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직육면체의 블록 형태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접속홀부(11)가 형성된다. 이때, 접속홀부(11)는 하우징(10)에 2층 이상으로 폭 방향을 따라 구획되도록 구비된다.
터미널부(20)는 접속홀부(11)에 결합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터미널부(20)는 전선(21)과, 전선(21)이 고정되는 접속단자(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접속단자(22)는 하우징(10)의 접속홀부(11)에 삽입되어 전기적 신호 등을 통전시키는 역할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통결합부재(30)는 하우징(10)에 결합되고, 접속홀부(11)에 연통되는 연통부(31)가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10)에는 접속홀부(11)에 연통되도록 개방되어 연통결합부재(30)를 수용하는 수용홈부(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연통부(31)는 2층으로 이루어지되, 아래층이 사각 구멍의 형태로 형성되고, 위층이 상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접속홀부(11)와 연통된다.
또한, 연통결합부재(3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 내측면에 후크홈부(32)가 형성되고, 후크홈부(32)는 하우징(10)의 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후크돌부(13)에 탄성적으로 걸림 지지된다.
한편, 분리방지안내부(40)는 연통결합부재(30)가 수용홈부(12)에 수용된 상태에서 접속홀부(11)로 터미널부(20)의 삽입을 허용하고, 접속홀부(11)에 터미널부(20)가 삽입 완료시 터미널부(20)를 분리 방지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분리방지안내부(40)는 터미널부(20)의 접속단자(22)에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기울어지는 탄성걸림부(41)와, 탄성걸림부(41)가 연통부(31)에 진입시 탄성걸림부(41)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도록 연통부(31)에 구비되는 변형안내부(42) 및 탄성걸림부(41)가 변형안내부(42)를 통과시 연통결합부재(30)에 걸림 가능하게 복원되도록 접속홀부(11)에 형성되는 걸림경사부(43)를 포함한다.
이때, 변형안내부(42)는 접속단자(22)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접속홀부(11)에 터미널부(20)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접속단자(22)의 탄성걸림부(41)가 연통부(31)의 변형안내부(42)에 접촉되면 탄성걸림부(41)는 변형안내부(42)의 경사면에 가압되어 직선 형태로 탄성 변형되다가 변형안내부(42)를 넘어서는 순간 걸림경사부(43)에 대응되는 형태로 복원되어 단부가 연통결합부재(30)에 걸림 지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연통결합부재(30)를 하우징(10)에 결합시킨 상태로 납품하더라도 분리방지안내부(40)에 의해 터미널부(20)가 접속홀부(11)로 삽입 가능한 동시에 접속홀부(11)에 삽입 완료시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됨으로써, 단자간 전기적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처럼 터미널부(20)를 삽입한 후에 연통결합부재(30)를 하우징(10)에 완전히 체결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접속홀부
12: 수용홈부 13: 후크돌부
20: 터미널부 21: 전선
22: 접속단자 30: 연통결합부재
31: 연통부 32: 후크홈부
40: 분리방지안내부 41: 탄성걸림부
42: 변형안내부 43: 걸림경사부
12: 수용홈부 13: 후크돌부
20: 터미널부 21: 전선
22: 접속단자 30: 연통결합부재
31: 연통부 32: 후크홈부
40: 분리방지안내부 41: 탄성걸림부
42: 변형안내부 43: 걸림경사부
Claims (3)
- 복수개의 접속홀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접속홀부에 삽입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터미널부;
상기 하우징의 수용홈부에 결합되고, 상기 접속홀부에 연결되는 연통부가 형성되는 연통결합부재; 및
상기 연통결합부재가 상기 수용홈부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홀부로 상기 터미널부의 삽입을 허용하고, 상기 접속홀부에 상기 터미널부가 삽입 완료시 상기 터미널부를 분리 방지되도록 안내하는 분리방지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방지안내부는 상기 터미널부의 접속단자에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기울어지는 탄성걸림부와, 상기 탄성걸림부가 상기 연통부에 진입시 상기 탄성걸림부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도록 상기 연통부에 구비되는 변형안내부 및 상기 탄성걸림부가 상기 변형안내부를 통과시 상기 연통결합부재에 걸림 가능하게 복원되도록 상기 접속홀부에 형성되는 걸림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형안내부는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이고,
상기 탄성걸림부는 상기 연통부에서 상기 접속홀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변형안내부에 접촉되면 상기 변형안내부의 경사면에 가압되어 직선 형태로 변형되고, 상기 변형안내부의 경사면을 넘어서면 상기 연통결합부재에 걸리도록 상기 걸림경사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텍터.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0625A KR102385903B1 (ko) | 2020-07-21 | 2020-07-21 |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0625A KR102385903B1 (ko) | 2020-07-21 | 2020-07-21 |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1548A KR20220011548A (ko) | 2022-01-28 |
KR102385903B1 true KR102385903B1 (ko) | 2022-04-12 |
Family
ID=8005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0625A KR102385903B1 (ko) | 2020-07-21 | 2020-07-21 |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8590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224470A (ja) | 2016-06-15 | 2017-12-21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コネクタ |
KR102088899B1 (ko) * | 2020-02-04 | 2020-03-13 | 주식회사 경신 | 커넥터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50386A (ja) * | 1996-08-05 | 1998-02-20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KR101830422B1 (ko) * | 2017-10-13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차량용 커넥터 |
-
2020
- 2020-07-21 KR KR1020200090625A patent/KR10238590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224470A (ja) | 2016-06-15 | 2017-12-21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コネクタ |
KR102088899B1 (ko) * | 2020-02-04 | 2020-03-13 | 주식회사 경신 |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11548A (ko) | 2022-0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48353B2 (en) | Power-circuit breaking device | |
US7275946B2 (en) | Electric connector for wiring harness having a short circuit terminal | |
US7354287B1 (en) | Shorting connector | |
EP1111728B1 (en) | Connector with an improved guide portion for guiding connection of the connector and an object to be connected thereto | |
US8764481B2 (en) | Direct mount connector terminal and direct mount connector | |
US20120282791A1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 |
US6955567B2 (en) | Junction terminal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 |
US8469751B2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harness | |
US20140227909A1 (en) | Connector | |
US9985380B2 (en) | Connector and position assurance member received therein | |
WO2016208368A1 (ja) | ジョイントコネクタ | |
US20180034203A1 (en) | Connector | |
KR20160123214A (ko) | 커넥터 어셈블리 | |
KR101562810B1 (ko) | 평판 케이블 커넥터 | |
KR102385903B1 (ko) | 커넥터 | |
EP1662618B1 (en) | A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 |
US6386923B2 (en) | Assembling structure of electronic unit to electrical connecting box | |
KR102088899B1 (ko) | 커넥터 | |
JPH10223311A (ja) | コネクタ嵌合構造 | |
CN211404810U (zh) | 用于高压连接器的高压互锁机构 | |
CN106058577B (zh) | 连接器组件 | |
KR102302286B1 (ko) | 커넥터 | |
KR100952811B1 (ko) | 차폐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차폐용 커넥터 세트 | |
US10998668B2 (en) | Connector assembly with a case that has a connection stopping portion that prevents stopping contact between first and second connectors | |
CN105281093B (zh) | 插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