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84033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033B1
KR102384033B1 KR1020170034838A KR20170034838A KR102384033B1 KR 102384033 B1 KR102384033 B1 KR 102384033B1 KR 1020170034838 A KR1020170034838 A KR 1020170034838A KR 20170034838 A KR20170034838 A KR 20170034838A KR 102384033 B1 KR102384033 B1 KR 102384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vibrating
length
cantilever
display pane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473A (ko
Inventor
박종하
이동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033B1/ko
Priority to US15/923,782 priority patent/US11522470B2/en
Priority to EP18162693.8A priority patent/EP3379387B1/en
Priority to CN201810228783.7A priority patent/CN108632549B/zh
Publication of KR2018010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1Driving devices, e.g. vibrators
    • H02N2/0015Driving devices, e.g. vibrators using only ben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307/00Details of diaphragms or cone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their suspension or their manufacture covered by H04R7/00 or H04R31/003,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307/025Diaphragms comprising polymer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40/00Bending wa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40/05Aspects relating to the positioning and way or means of mounting of exciters to resonant bending wave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bending displacement, e.g. unimorph, bimorph or multimorph cantilever or membrane benders
    • H10N30/2041Beam type
    • H10N30/2042Cantilevers, i.e. having one fixed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된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에 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돌출되는 캔틸레버부를 구비하는 압전 진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일 예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 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및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알려져 있다. 진동부는, 음향 출력 장치(스피커)나 사람이 촉각적으로 진동을 느끼게 하기 위한 햅틱 장치(예를 들어, 리니어 모터)를 말한다.
알려진 진동부로서, 코일에 전류를 흘려 진동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무빙 코일 장치(예를 들어, 무빙 코일 스피커) 및 압전 효과를 이용하여 진동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압전 진동 장치(예를 들어, 압전 액츄에이터) 등이 있다.
압전 효과란, 세라믹스 등의 특정 재질에 기계적 응력을 인가하면 전기가 발생하고 반대로 전기를 인가하면 해당 재질이 팽창 또는 수축되는 효과이다. 압전 진동 장치를 제작할 수 있는 재질로서, 티탄산 지르코산연(Pb(Ti, Zr)O3)(PZT), 티탄산 바륨(BaTiO3), 티탄산연(PbTiO3), 니오브산리튬(LiNbO3), 수정(SiO2) 등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청각적으로 또는 촉각적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장치(상기 무빙 코일 장치 또는 상기 압전 진동 장치)의 진동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격된 별도의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사람의 가청주파수는 20Hz~20,000Hz의 주파수 영역이며, 일상생활에서 주로 듣는 소리는 10,000Hz를 크게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Hz~16,000Hz의 주파수 영역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대를 고 주파수 영역이라 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대를 저 주파수 영역이라 할 때, 일상적인 사람의 말소리는 상기 저 주파수 영역에 속한다. 또한, 사람이 촉각적으로 느낄 수 있는 주파수 영역도 상기 저 주파수 영역에 속한다.
압전 진동 장치는 무빙 코일 장치보다 가볍고 작게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압전 진동 장치는 무빙 코일 장치보다 상기 저 주파수 영역의 출력 크기가 상대적으로 낮다.
종래 기술에서 화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진동 장치에 의한 진동 발생 지점에 차이가 있어, 사용자의 화상 몰입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사용자의 화상 몰입감을 상승시키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화상을 통해 시각적으로 느끼는 음향 발생 지점(예를 들어, 화상 중 사람의 입 부분)과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음향이 발생된다고 느끼는 지점(음상)의 거리가 상당히 떨어지게 되어, 화상의 현실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시각적인 음향 발생 지점과 청각적인 음향 발생 지점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케이스를 접촉한 상태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터치하여 진동이 발생할 때(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한 손으로 쥔 상태로 다른 손으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터치할 때), 디스플레이 패널과 사용자의 접촉 지점에서 사용자가 촉각적으로 느끼는 진동의 크기는 케이스와 사용자의 접촉 지점에서 사용자가 촉각적으로 느끼는 진동의 크기보다 작다. 이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는 화상과 진동의 관련성이 떨어지고 진동에 대한 이질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시각적인 진동 발생 지점(화상의 위치)과 촉각적인 진동 발생 지점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압전 진동 장치는 저 주파수 영역에서 출력 크기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인가 전압 대비 저 주파수 영역의 진동 출력 크기를 더욱 크게 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저 주파수 영역의 출력의 크기를 상당량 확보하기 위해서 부피가 큰 무빙 코일 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피 또는 두께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5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6과제는, 상기 과제들을 달성하면서도, 고 주파수 영역의 진동 출력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압전 진동 장치를 이용하여, 저 주파수 영역 중 특정의 소영역만 현저히 크게 출력되게 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7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저 주파수 영역 중 기설정된 특정의 소영역에서 출력 크기의 증가량이 현저하게 커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8과제는, 설계자가 출력 크기의 증가량이 현저하게 커지는 특정의 상기 소영역을 쉽게 기설정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9과제는, 설계자가 출력 크기의 증가량이 현저하게 커지는 특정의 상기 소영역를 복수개로 기설정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0과제는, 복수의 기설정된 상기 소영역이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증폭되게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된 서포터와, 압전 진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압전 진동부는, 상기 서포터에 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돌출되는 캔틸레버부를 구비한다.
상기 압전 진동부는 후측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캔틸레버부는, 상기 직사각형의 어느 한 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캔틸레버부는, 상기 직사각형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의 후측을 향하는 면과 상기 고정부의 전방면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캔틸레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캔틸레버부의 돌출 방향으로 측정된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캔틸레버부의 돌출 길이는 상기 고정부의 고정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돌출 길이는 상기 고정 길이의 4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압전 진동부의 두께는 0.6 내지 1mm일 수 있다.
상기 돌출 길이 및 상기 고정 길이의 합은 35mm 내지 45mm일 수 있다.
상기 캔틸레버부의 돌출 길이는 20mm 이상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캔틸레버부의 돌출 길이는 30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압전 진동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일 방향 캔틸레버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 또는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타 방향 캔틸레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 진동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제 1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방향 캔틸레버부,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제 1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방향 캔틸레버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3방향 캔틸레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전 진동부는, 상기 고정부에서 상기 제 2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4방향 캔틸레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압전 진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압전 진동부의 각각의 캔틸레버부의 돌출 길이들 중 적어도 2개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압전 진동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압전 진동부는 제 1돌출 길이만큼 돌출된 제 1캔틸레버부를 가진 제 1압전 진동부, 및 상기 제 1돌출 길이와 다른 제 2돌출 길이만큼 돌출된 제 2캔틸레버부를 가진 제 2압전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압전 진동부 및 상기 제 2압전 진동부에 선택적으로 전기를 인가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압전 진동부의 상기 캔틸레버부의 돌출 방향은 상기 제 2압전 진동부의 상기 캔틸레버부의 돌출 방향의 반대 "?향?? 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돌출 길이는 상기 제 2돌출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제 1압전 진동부의 상기 고정부의 고정 길이는 상기 제 2압전 진동부의 상기 고정부의 고정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는 제 1베이스, 상기 제 1베이스의 후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 2베이스, 및 상기 제 1베이스와 상기 제 2베이스를 연결하여 상기 제 2베이스를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압전 진동부는, 상기 제 1베이스에 부착되는 압전 진동부, 및 상기 제 2베이스에 부착되는 압전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된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에 부착되는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는 각각, 상기 서포터에 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돌출되는 캔틸레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의 각각의 캔틸레버부의 돌출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에 선택적으로 전기를 인가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은 3이상일 수 있다. 제 1압전 진동부의 상기 캔틸레버부의 돌출 방향은 제 2압전 진동부의 상기 캔틸레버부의 돌출 방향의 반대 "?향?? 되게 구비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돌출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 3압전 진동부의 부착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된 제 1서포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 1서포터와 이격되는 제 2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1서포터에 부착되는 제 1고정부와 상기 제 1고정부에서 제 1돌출 길이만큼 돌출되는 제 1캔틸레버부를 구비하는 제 1압전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 2서포터에 부착되는 제 2고정부와 상기 제 2고정부에서 제 2돌출 길이만큼 돌출되는 제 2캔틸레버부를 구비하는 제 2압전 진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돌출 길이와 상기 제 2돌출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제해결수단들을 통해서, 사용자가 시각적 또는 청각적인 진동의 발생 지점이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있게 하여, 화상에 대한 몰입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직접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게 함으로써, 시각적인 음향 발생 지점과 청각적인 음향 발생 지점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직접 진동하여 사용자가 촉각적으로 진동을 느끼게 함으로써, 시각적인 진동 발생 지점과 촉각적인 진동 발생 지점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 및 캔틸레버부를 가진 압전 진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압전 진동부의 저 주파수 영역의 출력 크기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캔틸레버부를 상기 고정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압전 진동부(50)에서 출력의 크기가 취약해지는 보다 낮은 주파수 영역의 출력 크기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저 주파수 영역 중 기설정된 소영역의 출력 크기의 증가량(Q)이 더욱 커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저 주파수 영역인 100Hz 이상 800Hz 이하의 범위 영역에서 진동 출력이 증가하는 것은 매우 유리한 효과이다. 100Hz 이상 800Hz 이하의 범위 영역은, 상기 압전 진동부의 16,000Hz이하의 주파수 영역 중 상기 웨이트 멤버가 없는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진동 출력이 작은 영역이며, 사용자 입장에서 상기 음상이 인식되는 주파수 영역이기 때문이다. 또한, 사람의 말소리는 주로 100Hz 이상이므로 화상과 이질감을 느끼지 않게 하기 위해서, 100Hz 이상의 저 주파수 영역의 진동 출력 상승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서포터 및 캔틸레버부를 가진 압전 진동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압전 진동부의 저 주파수 영역의 출력 크기뿐만 아니라 고 주파수 영역의 출력 크기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돌출 길이를 가진 복수의 캔틸레버부를 구비함으로써, 저 주파수 영역 중 기설정된 복수의 소영역의 출력 크기가 현저하게 커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캔틸레버부에 선택적으로 전기를 인가하게 제어함으로써, 저 주파수 영역 중 기설정된 복수의 소영역을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 또는 동시에 출력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압전 진동부(50)는 후측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사각형의 어느 한 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저 주파수 영역 중 기설정된 특정의 소영역으로 출력의 증폭이 집중되는 정도가 더 커지고, 설계자 입장에서 현저하게 증폭되는 상기 소영역을 정확하게 기설정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를 통해, 저 주파수 영역 중 기설정된 특정의 소영역의 범위를 더 좁게 기설정할 수 있다.
상기 캔틸레버부가 직사각형의 압전 진동부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설계자는 보다 큰 길이 범위 내에서 상기 캔틸레버부의 돌출 길이를 기설정할 수 있고, 저 주파수 영역의 출력 증가 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돌출 길이가 상기 고정 길이 이상이 되게 하거나 20mm이상이 되게함으로써, 최대 증가 주파수(P)가 상기 저 주파수 영역 내에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돌출 길이는 상기 고정 길이의 4배 이상으로 하거나 30mm이상이 되게함으로써, 최대 증가 주파수(P)가 약 150 내지 350Hz로 기설정할 수 있고, 증가량(Q)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a)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b)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1)를 라인 S1-S1'를 따라 수직으로 자른 단면 개념도이다. 도 3에는, E1 부분을 각 타입(type)(O1, O2, A1, A2) 예시 별로 확대한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1)의 변형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디스플레이 장치(1)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4의 하우징(350)을 제외한 디스플레이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E2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E3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8(a)에는 사이드 커버(310)의 일 실시예(311)가 도시되고, 도 8(b)에는 사이드 커버(310)의 다른 실시예(312)가 도시되며, 도 8(c)에는 사이드 커버(310)의 또 다른 실시예(313)가 도시되고, 도 8(d)에는 사이드 커버(310)의 또 다른 실시예(314)가 도시된다.
도 9, 10, 11a 내지 11e 및 12는, 압전 진동부(50)에 소정 전압을 인가한 때 각 주파수(Hz) 별 출력 크기(dB)를 측정한 실험예를 나타낸 로그 스케일(log scale) 그래프이다.
도 9는 서포터(80) 없이 압전 진동부(50)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직접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와 실험 그래프(타입 O1)를 도시한다.
도 10은 캔틸레버부(55) 없이 압전 진동부(50)의 전면이 모두 서포터(80)에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와 실험 그래프(타입 O2)를 도시한다.
도 11a 내지 11e는, 도 3의 타입 A1에 해당하는 캔틸레버부(55)를 구비한 압전 진동부(50)의 사시도 및 실험 그래프를 도시하고, 도 10의 그래프(타입 O2)를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내지 11e는, 캔틸레버부(55)의 돌출 길이(D) 조건(35mm, 30mm, 27.5mm, 25mm, 20mm)에 따른 실험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 3의 타입 A2에 해당하는 각각 다른 돌출 길이(D1, D2)를 가진 캔틸레버부(55)를 구비한 2개의 압전 진동부(50)의 사시도 및 실험 그래프를 도시하고, 도 10의 그래프(타입 O2)를 비교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돌출 길이(D1)가 35mm인 캔틸레버부(55)를 구비한 제 1압전 진동부(50(1))와 돌출 길이(D2)가 25mm인 캔틸레버부(55)를 구비한 제 2압전 진동부(50(2))의 동시 출력에 따른 실험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a 내지 13d는, 압전 진동부(50)를 후측에서 바라본 입면도로서, 각각 캔틸레버부(55)의 개수 조건을 달리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도 13a는 도 3의 타입 A1에 해당되는 하나의 캔틸레버부(55)만 구비한 압전 진동부(50)를 도시한다. 도 13b는 제 1방향 캔틸레버부(55-1) 및 제 2방향 캔틸레버부(55-2)를 구비한 압전 진동부(50)를 도시한다. 도 13c는 제 1방향 캔틸레버부(55-1), 제 2방향 캔틸레버부(55-2) 및 제 3방향 캔틸레버부(55-3)를 구비한 압전 진동부(50)를 도시한다. 도 13d는 제 1방향 캔틸레버부(55-1), 제 2방향 캔틸레버부(55-2), 제 3방향 캔틸레버부(55-3) 및 제 4방향 캔틸레버부(55-4)를 구비한 압전 진동부(50)를 도시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하나의 서포터(80)에 부착된 복수(n개)의 압전 진동부(50(1), 50(2), 50(3), 50(4), …, 50(n-1), 50(n))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후측에서 바라본 입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하나의 서포터(80)에 부착된 복수의 압전 진동부(50)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80') 및 서포터(80')에 부착된 복수의 압전 진동부(50(1), 50(2), 50(3), 50(4))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서포터(80') 및 복수의 압전 진동부(50(1), 50(2), 50(3), 50(4))를 라인 S2-S2'를 따라 자른 단면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후(R)/좌(Le)/우(Ri)/상(U)/하(D)”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 1 내지 8에 표시된 바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특히, '전방 및 후방'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상을 출력하는 방향을 전방으로 보고 정의한 것이다.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본 실시예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평면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모든 부분에서 전방 및 후방이 동일하나,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곡률을 가진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각 부분에서 전방 및 후방이 서로 달라진다.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기준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도 1 내지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방으로 화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압전 효과에 의해 진동하게 구비된 압전 진동부(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부착된 서포터(80, 80')를 포함한다. 압전 진동부(50)는 서포터(80, 80')에 부착된다. 압전 진동부(50)는 서포터(80, 80')에 부착되는 고정부(51)와, 고정부(51)에서 돌출되는 캔틸레버부(55)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상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제어부(250)는 압전 진동부(50)의 진동 출력을 제어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어부(250)의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송해주는 케이블(26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260)은 제어부(250)의 제어 신호를 압전 진동부(50)에 전달해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음향을 출력하는 서브 스피커(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등의 휴대용 단말 장치(1a), 노트북, 태블릿 PC, 모니터, TV(1b, 1b') 등의 장치로서, 화상 출력이 가능한 어떤 장치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장치(1a)가 도시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형 TV(1b)가 도시된다. 도 4 및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 형 TV(1b')가 도시된다. 이하, 주로 TV(1b, 1b')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진동부(50)의 용도는, 청각적으로 감지될 진동 출력용(음향 출력용) 및/또는 촉각적으로 감지될 진동 출력용(햅틱 용) 등이 될 수 있다. 후술할 실험예에서는 주파수 별 출력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주파수 별 음향 출력의 크기(dB)를 측정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으나, 이러한 실험 결과는 상기 햅틱 용의 압전 진동부(50)에 대해서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하 주로 음향 출력용의 압전 진동부(50)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압전 진동부(50)의 용도는 이에 제한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를 지지해주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가려준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플렉서블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커버(300)의 지지 없이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게 구비된 폴딩형 디스플레이 장치(1)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 및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a)(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 장치(1a)는 상하 방향 길이가 좌우 방향 길이보다 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4개의 변으로 이루어진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은 상대적으로 짧은 변이 배치되고, 좌측 및 우측은 상대적으로 긴 변이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의 중앙부에 압전 진동부(50)가 부착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덮어주는 커버(300)가 구비된다. 커버(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커버(30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음향을 출력하는 서브 스피커(40)가 배치된다. 압전 진동부(5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직접 진동시킨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을 터치할 때 압전 진동부(50)가 진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진동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거쳐 사용자의 손 끝으로 전달되게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압전 진동부(50)가 부착됨으로써, 사용자의 커버(300)에 접촉된 어느 한 손에 전달되는 진동 출력 크기보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접촉된 다른 한 손에 전달되는 진동 출력 크기가 더 커진다.
도 2 및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b)(TV 또는 모니터 등)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 장치(1b)는 좌우 방향 길이가 상하 방향 길이보다 긴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4개의 변으로 이루어진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좌측 및 우측은 상대적으로 짧은 변이 배치되고, 상측 및 하측은 상대적으로 긴 변이 배치된다. 압전 진동부(5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직접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킨다. 스테레오 음향을 출력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서로 이격된 2개의 압전 진동부(50a, 50b)가 부착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덮어주는 커버(300)가 구비된다. 커버(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커버(30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음향을 출력하는 서브 스피커(40)가 배치될 수 있다. 스테레오 음향 출력을 위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서브 스피커(40)가 구비될 수 있고, 서브 스피커(40)는 우퍼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압전 진동부(50)가 부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감지하는 화상의 위치와 음향 출력의 위치(음상)(SI)가 거의 일치하게된다.
압전 진동부(50)는 햅틱 진동을 위해서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하 압전 진동부는 음향 출력을 위해 진동하게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고하여, 압전 진동부(50)는 전면 방향을 향해 음향을 전파시킨다.(화살표 Sa 참고) 서브 스피커(40)는 상하좌우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해 음향을 전파시킬 수 있다.(화살표 Sb 참고) 본 실시예에서, 서브 스피커(40)는 하측 방향을 향해 음향을 전파시킨다.
도 3 및 7을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패널(Field Emission Display, FED),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패널이 될 수 있다.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은 얇게 구현 가능하고 플렉서블하여 직접 진동하는데에 유리하고, 백라이트 모듈이 불요하여 압전 진동부(50)를 후면에 부착하는데에 유리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OLED 디스플레이 패널(100)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7을 참고하여, OLED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부 커버층(110), 상부 전극(120), 유기 발광층(130), 하부 전극(140) 및 하부 커버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층(110), 상부 전극(120), 유기 발광층(130), 하부 전극(140) 및 하부 커버층(150)은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커버층(110) 및 상부 전극(120)은 투명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커버층(110)은 두께 0.7mm인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커버층(110)은 투명한 박막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부 전극(120)은 음극(Cathode)일 수 있고, 하부 전극(140)은 양극(Anode)일 수 있다. 하부 전극(140)은 투명하지 않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하부 전극(140)은 투명한 물질(예를 들어, ITO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 전극(140)의 일면으로 빛이 방출될 수도 있다. 상부 및 하부 전극(120, 140)에 전압이 인가되면 유기 발광층(130)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상부 전극(120)과 상부 커버층(110)을 투과하여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OLED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하부 전극(140)의 후측에 배치된 차광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130)과 음극인 상부 전극(120) 사이에 전자 수송층(ETL ; Electrron Transfer Layer)(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130)과 양극인 하부 전극(120) 사이에 정공 수송층(ETL ; Hole Transfer Layer)(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층(150)은 두께 0.1mm인 인바(invar)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전극(120)과 하부 커버층(150) 사이에 박막 트랜지스터(TFT ; Thin Film Transistor)(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커버(300)를 포함한다. 커버(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이격되어 공간(300a)을 형성한다. 상기 공간(300a) 내에 압전 진동부(50)가 배치된다. 커버(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사이드 커버(310)를 포함한다. 커버(3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가려주는 백 커버(320)를 포함한다. 커버(300)는 내부에 제어부(250)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350)을 포함한다. 하우징(350)은 서브 스피커(40)를 수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백 커버(320)의 전면 사이에 접착시트(20)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백 커버(320)에 접착시트(20)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접착시트(20)는 양 면을 모두 결합할 수 있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은 접착시트(20)의 전면에 접촉하여 부착된다. 접착시트(20)의 후면은 백 커버(320)의 전면에 접촉하여 부착된다. 접착시트(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백 커버(320)를 이격 시킨다.
사이드 커버(3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하좌우 4개의 변 중 적어도 하나의 변을 따라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커버(3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기 4개의 변 전체를 둘러싸며 배치된다. 사이드 커버(3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테두리에 접촉하며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31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테두리와 백 커버(320)의 테두리의 이격된 틈을 실링하는 기능을 한다.
도 8의 (a)를 참고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커버(311)는, 반고체 재질의 실링재를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테두리를 따라 접착시트(20)의 일 측에 사이드 커버(311)가 실링될 수 있다. 실링재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테두리, 백 커버(320)의 테두리 및 접착시트(20)의 일측에 함께 접촉된 상태로 경화되어, 사이드 커버(311)가 구비된다.
도 8의 (b)를 참고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커버(312)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백 커버(320)의 전면 사이의 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312)는 접착시트(20)의 일 측에 접촉하며 배치된다. 사이드 커버(312)의 일단은 접착시트(20)의 일 측에 접하고, 사이드 커버(312)의 타단은 전방을 향하도록 절곡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단은 사이드 커버(312)에 의해 가려진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단은 사이드 커버(312)에 접촉될 수 있다.
도 8의 (c)를 참고한 제 3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커버(313)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백 커버(320)의 전면 사이의 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313)는 접착시트(20)의 일 측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사이드 커버(313)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백 커버(320)의 전면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부(313a)를 포함한다. 사이드 커버(313)는, 삽입부(313a)에서 전방으로 돌출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단을 가려준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단은 사이드 커버(313)에 접촉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313)는, 삽입부(313a)에서 후방으로 돌출하여 백 커버(320)의 측단을 가려준다. 백 커버(320)의 측단은 사이드 커버(313)에 접촉될 수 있다.
도 8의 (d)를 참고한 제 4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커버(314)는, 백 커버(320)와 일체로 형성된다. 백 커버(320)의 가장자리 부분이 전방을 향하여 절곡되어 사이드 커버(314)가 형성된다. 사이드 커버(314)는 백 커버(32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사이드 커버(314)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단을 가려준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단은 사이드 커버(314)에 접촉될 수 있다.
하우징(350)은 제어부(250)를 내부에 수용한다. 제어부(250)는 각종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메인 회로기판(252)을 포함한다. 제어부(250)는 화상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보드(254)를 포함한다. 메인 회로기판(252) 또는 제어 보드(254)가 압전 진동부(50)의 진동 출력을 제어할 수도 있고, 압전 진동부(50)의 진동 출력을 제어하는 별도의 진동 제어 보드(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25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각 부품에 전력을 분배해주는 전력 공급부(256)를 포함한다. 전력 공급부(256)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56)은 압전 진동부(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56)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1)에 있어서, 제어부(250)는 복수의 압전 진동부(50)에 선택적으로 전기를 인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내지 50(n))에 선택적으로 전기를 인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 제어부(250)는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내지 50(n)) 중 선택된 1개 이상의 압전 진동부를 출력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내지 50(n)) 중 어느 하나만 출력하게 제어할 수도 있고,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내지 50(n)) 모두가 동시에 출력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의 캔틸레버부(55)의 돌출 길이(D)가 서로 다른 경우, 이를 통해, 저 주파수 영역 중 기설정된 복수의 소영역을 선택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제 1 및 2 압전 진동부(50(1), 50(2))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1)에 있어서, 제어부(250)는 제 1압전 진동부(50(1)) 및 제 2압전 진동부(50(2))에 선택적으로 전기를 인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 1압전 진동부(50(1))만 출력하게 제어할 수 있고, 제 2압전 진동부(50(2))만 출력하게 제어할 수도 있으며, 제 1압전 진동부(50(1)) 및 제 2압전 진동부(50(2))가 모두 출력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제 1압전 진동부(50(1))의 제 1캔틸레버부(55)의 제 1돌출 길이(D1)와 제 2압전 진동부(50(2))의 제 2캔틸레버부(55)의 제 2돌출 길이(D2)가 서로 다른 경우, 이를 통해, 저 주파수 영역 중 기설정된 2개의 소영역을 선택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어부(250)의 제어 신호를 각 부품에 전달해주는 케이블(26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260)은 복수의 도선을 포함한다. 복수의 케이블(260)이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260)은, 평평한 형상인 플랫 케이블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형의 단면을 가진 원형 케이블로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블(260)은 복수의 신호연결 단자핀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라운드 단자핀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26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상 출력 신호를 전달하는 화상 신호 인가선(264)을 포함한다. 화상 신호 인가선(264)의 일단은 제어 보드(254)에 연결되고, 화상 신호 인가선(264)의 타단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배치된 인터페이스 PCB(274)에 연결된다.
케이블(260)은 압전 진동부(50)의 진동 출력 신호를 전달하는 진동 신호 인가선(265)을 포함한다. 진동 신호 인가선(265)의 일단은 제어 보드(254)에 연결될 수 있고, 진동 신호 인가선(265)의 타단은 압전 진동부(50)에 연결된다. 하나의 압전 진동부(50)에 대해, 전압 인가를 위한 2개의 진동 신호 인가선(265)이 구비될 수 있다.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내지 50(n))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2n개의 진동 신호 인가선(265)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 예를 들어, 2개의 압전 진동부(50)를 제어하기 위해서 4개의 진동 신호 인가선(265)이 구비된다.
도 3을 참고한 일 예에서, 하우징(350)은 백 커버(320)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350)은 백 커버(320)의 후측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260)은 하우징(350)의 내부 공간 및 백 커버(320)의 내부 공간(300a)에 배치된다.
도 4를 참고한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1b')의 예에서, 하우징(350)은 백 커버(320)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350) 내부의 제어부(250)와 디스플레이부(100, 50)를 연결하는 케이블(260)은 외부로 노출된다. 복수의 도선이 한 묶음으로 연장되어 케이블(26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고한 상기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1b')의 변형 예에서, 케이블(260)은 복수의 묶음으로 분리되어 연장된다. 도 5의 (a)에 4개의 케이블(260)이 노출된다.
도 5의 (b)를 참고한 상기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장치(1b')의 다른 변형 예에서, 제어부(250)는 디스플레이부(100, 50)에 무선으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350)과 디스플레이부(100, 50)를 연결하는 케이블(260)없이 디스플레이 장치(1b')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을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 및/또는 커버(300)에 배치된 부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 패널(100) 후면의 적어도 일부에 인터페이스 PCB(274)와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272)가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274)는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27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소스 PCB(272)는 인터페이스 PCB(274)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PCB(272)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소스 PCB(272)는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PCB(274)는 제어 보드(254)로부터 전달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들과 타이밍 제어신호 등을 전송하기 위한 신호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있다.
소스 PCB(272)는 인터페이스 PCB(274)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소스 PCB(272)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영상신호에 따라 구동파형을 인가할 수 있다.
소스 PCB(272)는 소스 COF(Chip On Flexible Printed Circuit)(미도시)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소스 PCB(272)의 일 측과 연결된 상기 소스 COF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단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소스 COF는 소스 PCB(272)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기 TFT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소스 COF는 데이터 집적회로(Intergrated Circuit)가 실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백 커버(320)를 결합하기 위해 접착시트(20)가 위치한다. 접착시트(20)는 중앙이 비어있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착시트(20)의 중앙의 비어있는 공간(300a)에 적어도 하나의 PCB가 위치할 수 있다. 접착시트(20)는 일 면이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결합하며, 타 면이 백 커버(320)와 결합될 수 있다.
소스 PCB(272)와 대응되는 부분에 절연시트(281)가 위치할 수 있다. 절연시트(281)는 백 커버(320)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절연시트(281)는 소스 PCB(272)가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간섭받지 않도록 절연성을 띈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백 커버(3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측에 배치된다. 백 커버(320)는 접착시트(20)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백 커버(3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백 커버(320)는 알루미늄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백 커버(320)의 가장자리 부분의 전후 방향 두께가 백 커버(320)의 다른 부분의 전후 방향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백 커버(320)는 후측으로 돌출된 가장자리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백 커버(320)는 월브라켓(500)과 결합할 때, 돌출된 가장자리 부분이 월브라켓(500)의 가장자리를 덮어줄 수 있다. 월브라켓(500)은 외부의 벽(wall)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를 지지해주는 부재이다.
백 커버(320)의 네 코너와 인접한 부분에 결합홀(321)이 위치한다. 결합홀(321)은 백 커버(3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결합홀(321)은 백 커버(320)의 후면에 형성된다. 결합홀(321)이 위치한 백 커버(320)의 일 부분은 주변 부분 보다 후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321)은 월브라켓(500)과 커버(300)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백 커버(320)의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부(322)가 위치한다. 결합부(322)는 백 커버(320)의 4개의 변 중 적어도 하나의 변에 위치할 수 있다. 결합부(322)는 백 커버(320)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결합부(322)가 위치한 부분의 후측단은 백 커버(320)의 결합홀(321)이 위치한 일 부분의 후측단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322)는 자성을 띈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22)는 커버(300)와 월브라켓(500)이 결합할 때, 자성에 의해 더 강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백 커버(32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커버(300)의 결합시, 인터페이스 PCB(274)와 대응되는 부분에 개구부(323)를 형성한다. 개구부(323)는 백 커버(320)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개구부(323)는 인터페이스 PCB(274)의 후측에 형성된다. 인터페이스 PCB(274)의 전후 방향 두께는 백 커버(320)와 디스플레이 패널(100) 사이의 공간(300a)의 전후 방향 두께보다 더 클 수 있고, 개구부(323)는 인터페이스 PCB(274)가 위치할 공간을 확보해준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측에 고정된 PCB(272, 274)가 위치한 영역의 후면에 PCB 커버(325)가 구비된다. PCB 커버(325)는 백 커버(320)에 고정될 수 있다. PCB 커버(325)는 제 1 및 2 PCB 커버(325a, 32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PCB 커버(325a)는 소스 PCB(272)와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제 2 PCB 커버(325b)는 인터페이스 PCB(274)와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제 2 PCB 커버(325b)는 개구부(323)를 덮을 수 있다. PCB 커버(325)는 소스 PCB(272) 및 인터페이스 PCB(274)가 외부로 노출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압전 진동부(50)의 배치 위치 및 음상(SI)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좌우 방향의 길이가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서로 이격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압전 진동부(50a, 50b)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균등하게 6열로 등분한 영역 들(V1, V2, V3, V4, V5, V6 및 V7에 의해 구분된 가상의 6개 영역 들을 의미함)을 가정할 때, 2개의 압전 진동부(50a, 50b) 중 어느 하나(50a)는 좌측에서 2번째 열의 영역 내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50b)는 우측에서 2번째 열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균등하게 6행으로 등분한 영역 들(H1, H2, H3, H4, H5, H6 및 H7에 의해 구분된 가상의 6개 영역 들을 의미함)을 가정할 때, 상기 2개의 압전 진동부(50a, 50b)는 상측에서 2번째 행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상기 2개의 압전 진동부(50a, 50b)에 의한 음상(SI)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 중 임의의 2개의 압전 진동부(50a, 50b) 사이의 이격 거리는, 2개의 압전 진동부(50a, 50b)에 의해 발생되는 소정 저 주파수 영역의 출력끼리 서로 상쇄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거리로 기설정된다. 이를 위해, 2개의 압전 진동부(50a, 50b) 사이의 이격 거리(d)는, 0보다 크고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도출되는 제 1소정 거리(d1)보다 작거나,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도출되는 제 2소정 거리(d2)보다 크고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면의 대각선 거리보다 짧게 기설정될 수 있다.
Figure 112017027515529-pat00001
Figure 112017027515529-pat00002
여기서, c는 음속이고, f1은 상기 소정 저 주파수 영역의 최저 경계값이고, f2는 상기 소정 저 주파수 영역의 최고 경계값이다. 음속(c)은 온도에 따라 변화하나, 상온을 기준으로한 값인 340m/s로 보고 상기 제 1소정 거리(d1) 및 제 2소정 거리(d2)를 기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저 주파수 영역은 사람의 일반적인 말소리 영역에 해당하는 100 내지 800Hz의 영역으로 볼 수 있고, 이 경우 f1은 100Hz이고 f2는 800Hz로 기설정된다.
도 2를 참고하여, 도시되진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 1서포터(80), 및 제 1서포터(80)와 이격되는 제 2서포터(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된 제 1압전 진동부(50a) 및 제 2압전 진동부(50b)는 각각 상기 제 1서포터(80) 및 제 2서포터(80)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압전 진동부(50a)는 제 1서포터(80)에 부착되는 제 1고정부(51)와, 제 1고정부(51)에서 제 1돌출 길이(D1)만큼 돌출되는 제 1캔틸레버부(55)를 포함한다. 또한, 제 2압전 진동부(50b)는 제 2서포터(80)에 부착되는 제 2고정부(51)와, 제 2고정부(51)에서 제 2돌출 길이(D2)만큼 돌출되는 제 2캔틸레버부(55)를 포함한다. 제 1돌출 길이(D1)와 제 2돌출 길이(D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해, 저 주파수 영역 중 기설정된 2개의 소영역을 증폭시킬 수 있다.
이하, 캔틸레버부(55)의 돌출 길이(D) 조건 또는 캔틸레버부(55)의 개수 조건에 대한 구성 및 실험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또한, 각 조건 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데이터를 제시한다.
도 3에는, E1 부분을 각 타입(type)(O1, O2, A1, A2) 예시 별로 확대한 단면도가 도시된다. 압전 진동부(5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측에 배치된다. 타입 O1은 서포터(80) 없이 압전 진동부(50)만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측면에 부착된 기준 상태를 의미한다. 타입 O2는 캔틸레버부(55) 없이 압전 진동부(50)의 전면이 모두 서포터(80)에 부착된 다른 기준 상태를 의미한다. 타입 O1 및 타입 O2는 캔틸레버부(55)의 효과를 상대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비교 대상이다. 타입 A1은 하나의 압전 진동부(50)가 소정의 돌출 길이(D)를 가진 캔틸레버부(55)를 구비하는 실험군을 의미한다. 타입 A2는 복수의 압전 진동부(50)가 각각 소정의 돌출 길이(D1, D2)를 가진 캔틸레버부(55)를 구비하는 실험군을 의미한다.
도 9, 10, 11a 내지 11e 및 12는, 압전 진동부(50)에 소정 전압을 인가한 때 각 주파수(Hz) 별 출력 크기(dB)를 측정한 실험예를 나타낸 로그 스케일(log scale) 그래프를 보여준다. 각 그래프의 좌표계는 XY 좌표계를 이용하였고, X축은 주파수(Hz)의 크기를 나타내고 Y축은 진동 출력의 크기(dB)를 나타낸다.
도 9 및 10의 각 그래프의 우측 상단에는 각각 타입 O1 및 O2의 압전 진동부(50)가 배치된 부분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해당 사시도의 상태를 압전 진동부(50)의 실험 결과가 해당 그래프로 나타남을 의미한다.
도 11a 내지 11e 및 12의 각 그래프의 우측 상단에는 타입 A1 또는 타입 A2의 압전 진동부(50)가 배치된 부분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해당 사시도의 상태를 가진 실험군의 실험 결과가 해당 그래프로 나타남을 의미한다. 도 11a 내지 11e 및 12에서, 타입 O2의 그래프는 해당 실험군의 그래프와 같이 도시된다. 각 그래프의 우측 하단에는 타입 O2의 그래프 선과 해당 실험군의 그래프 선의 구분을 위한 보조 박스가 도시된다. 상기 보조 박스 내에는, 해당 실험군의 캔틸레버부(55)의 돌출 길이(D)의 값(mm)가 도시된다. 도 12의 상기 보조 박스 내에는, 제 1캔틸레버부(55(1))의 제 1돌출 길이(D1) 및 제 2캔틸레버부(55(2))의 제 2돌출 길이(D2)의 값(mm)이 도시된다.
본 설명에 제시된 실험을 위한 압전 진동부(50)는, 16개의 층으로 적층된 PZT 재질로 형성되어, 전기가 상기 적층된 층을 지그재그로 흘러가게 구비된다. 본 설명에 제시된 실험을 위한 압전 진동부(50)는, 후측에서 바라볼 때 약 40mm*30mm의 직사각 형상으로 구비되고, 전후 방향으로 약 0.8mm 두께를 가진다. 본 실험을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65인치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이 이용된다.
압전 진동부(50)는 후측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직사각 형상의 압전 진동부(50)의 어느 한변과 평행한 방향을 x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캔틸레버부(55)는, 상기 직사각형의 어느 한 변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 주파수 영역 중 기설정된 특정의 소영역으로 출력의 증폭이 집중되는 정도가 더 커지고, 설계자 입장에서 현저하게 증폭되는 상기 소영역을 정확하게 기설정하기 쉬워진다. 또한, 이를 통해, 저 주파수 영역 중 기설정된 특정의 소영역의 범위를 더 좁게 기설정할 수 있다. 캔틸레버부(55)가 상기 y축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캔틸레버부(55)의 돌출 길이(D)는 증폭되는 상기 소영역을 결정하고, 압전 진동부(55)의 상기 x축 방향 길이(X)는 전체적인 출력의 크기를 결정한다.
압전 진동부(50)가 정사각형이 아닌 직사각형의 판체 형상인 경우, 캔틸레버부(55)는 상기 직사각형의 장변과 평행한 방향(Y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설계자는 보다 큰 길이 범위 내에서 캔틸레버부(55)의 돌출 길이(D)를 기설정할 수 있고, 저 주파수 영역의 출력 증가 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압전 진동부(50)는 서포터(80)의 후측을 향하는 면에 부착된다. 압전 진동부(50)에서 발생된 진동이 서포터(80)를 거쳐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면이 진동한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직접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캔틸레버부(55)는 전후 방향으로 진폭을 가지는 진동을 할 수 있고, 캔틸레버부(55)가 직접 공기를 진동시켜 음향을 발생시킬수도 있다.
압전 진동부(50)의 중력 하중은 모두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전달된다. 압전 진동부(50)의 중력 하중은 서포터(80)를 거쳐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전달된다. 이를 통해, 압전 진동부(50)에서 발생된 진동이 서포터(80)를 제외한 다른 부품의 간섭없이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전달되어, 기설정된 원하는 효과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
압전 진동부(50)는 세라믹스 재질을 이용하여 압전 효과를 발휘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압전 진동부(50)는 압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주지의 재질 들을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압전 진동부(50)는 PZT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캔틸레버부(55)를 이용한 저 주파수 영역의 진동 출력 크기 상승 효과를 더욱 두드러지게 할 수 있다.
서포터(80)의 후측을 향하는 면과 고정부(51)의 전방면이 서로 부착된다. 고정부(51)는, 전방면이 서포터(80)와 접촉되는 부분이다. 캔틸레버부(55)의 돌출 방향으로 측정된 길이를 기준으로, 고정부(51)의 길이를 고정 길이(L)로 정의한다. y축 방향으로 돌출된 캔틸레버부(55)에 대응하는 고정 길이(L)는, 고정부(51)의 y축 방향 길이다.
캔틸레버부(55)는 자유단(free end)을 가진다. 캔틸레버부(55)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캔틸레버부(55)는, 전방면이 디스플레이 패널(100)로부터 이격된 부분이다. 캔틸레버부(55)는 돌출 길이(D)를 가진다. 캔틸레버부(55)의 돌출 방향으로 측정된 길이를 기준으로, 캔틸레버부(55)의 길이를 돌출 길이(D)로 정의한다.
서포터(80)의 전방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면에 부착된다. 서포터(8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서포터(80)는 압전 진동부(50)를 지지한다. 서포터(80)는 후측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서포터(80)는 전후 방향으로 두께(Ts)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캔틸레버부(55)의 전방면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방면의 이격 거리는 상기 두께(Ts)가 될 수 있다. 압전 진동부(50)의 진동을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서포터(80)의 두께(Ts)가 가능한한 작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터(80)의 두께(Ts)는 다음의 식 3에 의해 기설정될 수 있다. 압전 진동부(50)가 기설정된 최저 주파수로 진동할 때 캔틸레버부(55)가 가장 큰 진폭을 가지는데, 캔틸레버부(55)가 가장 큰 진폭을 가지며 진동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두께(Ts)가 기설정된다.
Figure 112017027515529-pat00003
여기서, Am은 압전 진동부(50)의 진동시 캔틸레버부(55)의 최대 진폭이고, Ve는 해당 압전 진동부(50)에 입력되는 전압의 공차를 고려한 보정값이고, fe는 해당 압전 진동부(50)의 최저 주파수의 변화율를 고려한 보정값이고, Se는 안전율을 고려한 보정값이다. 예를 들어, Am이 0.35mm이고, Ve가 1.15이고, fe가 1.2이고, Se가 1.3이면, 상기 식 3에 따라 상기 두께(Ts)는 약 0.63mm로 기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포터(80)의 두께(Ts)는 캔틸레버부(55)의 최대 진폭(Am)의 1.5 내지 2 배로 기설정될 수 있다. 서포터(80)의 두께(Ts)는 캔틸레버부(55)의 최대 진폭(Am)의 1.7 내지 1.9 배로 기설정될 수 있다.
서포터(80)는 후측에서 바라볼 때 사각 형상, 원 형상 또는 타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80)는 전후 방향의 두께(Ts)가 실질적으로 일정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80)는 프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10, 11a 내지 11e 및 12의 실험예를 참고하여, 상기 타입 A1 및 A2에서 타입 O1 및 O2에 비해 저 주파수 영역의 평균적인 진동 출력의 크기가 커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고 주파수 영역의 평균적인 진동 출력의 크기도 커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실험 대상이 되는 저 주파수 영역은 100Hz 이상 800Hz 이하의 범위로 정의할 수 있다. 100Hz 이상 800Hz 이하의 주파수 영역은, 타입 O1 및 O2에서 16,000Hz이하의 주파수 영역 중 상대적으로 진동 출력이 작은 영역인 동시에 음상(SI)이 인식되는 주파수 영역이므로 의미가 있다. 100Hz보다 작은 주파수 영역(0Hz 초과 100Hz 미만의 주파수 영역)에서는 파장의 길이가 늘어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음향 출력의 발생 위치(음상(SI))를 인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100Hz 이상의 저 주파수 영역의 음원(음향의 발생위치)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면이어야 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에 비해, 100Hz 미만의 주파수 영역의 음원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면이어야 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다. 또한, 사람의 말소리는 주로 100Hz 이상이므로 화상과 이질감을 느끼지 않게 하기 위해서, 100Hz 이상의 저 주파수 영역의 진동 출력 상승이 더욱 중요하다. 한편, 100Hz 이하의 음향 출력을 위해서 서브 스피커(40)(예를 들어, 우퍼)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실험 대상이 되는 고 주파수 영역은 2,000Hz 이상 16,000Hz 이하의 범위로 정의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11e에서는, 타입 A1의 압전 진동부(50)의 캔틸레버부(55)의 돌출 길이(D)에 따른 실험 결과가 도시된다. 도 11a의 실험군은 돌출 길이(D) 35mm인 캔틸레버부(55) 및 고정 길이(L) 5mm인 고정부(51)를 구비한다. 도 11b의 실험군은 돌출 길이(D) 30mm인 캔틸레버부(55) 및 고정 길이(L) 10mm인 고정부(51)를 구비한다. 도 11c의 실험군은 돌출 길이(D) 27.5mm인 캔틸레버부(55) 및 고정 길이(L) 12.5mm인 고정부(51)를 구비한다. 도 11d의 실험군은 돌출 길이(D) 25mm인 캔틸레버부(55) 및 고정 길이(L) 15mm인 고정부(51)를 구비한다. 도 11e의 실험군은 돌출 길이(D) 20mm인 캔틸레버부(55) 및 고정 길이(L) 20mm인 고정부(51)를 구비한다.
도 12에서는, 타입 A2의 제 1압전 진동부(50(1)) 및 제 2압전 진동부(50(2))를 동시에 출력시킨 경우의 실험 결과가 도시된다. 도 12의 실험군은, 제 1돌출 길이(D1) 35mm인 캔틸레버부(55) 및 제 1고정 길이(L1) 5mm인 고정부(51)를 구비하는 제 1압전 진동부(50(1))와, 제 2돌출 길이(D2) 25mm인 캔틸레버부(55) 및 제 2고정 길이(L2) 15mm인 고정부(51)를 구비하는 제 2압전 진동부(50(2))를 구비한다.
도 11a 내지 11e 및 12의 실험 결과를 참고할 때, 압전 진동부(50)의 상기 저 주파수 영역의 진동 출력이 상승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된다. 또한, 압전 진동부(50)의 상기 고 주파수 영역의 진동 출력도 평균적으로 상승되는 유리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된다.
도 11a 내지 11e의 실험 결과를 참고할 때, 돌출 길이(D)를 길게 할 수록, 저 주파수 영역 중 가장 현저하게 출력의 크기가 증가하는 소영역의 중간값(또는 평균값)이 점점 작아진다. 돌출 길이(D)를 길게 할 수록, 상기 소영역에서 증가하는 평균적인 출력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소영역'이란 상기 저 주파수 영역보다 작은 주파수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소영역에서 증가하는 평균적인 출력의 크기가 상기 소영역의 전후 구간에서 증가하는 평균적인 출력의 크기보다 커진다. 상기 소영역은 특정의 돌출 길이(D)를 가진 캔틸레버부(55)의 고유 진동수에 의해 결정된다. 도 11a 내지 11e에서, 저 주파수 영역 중 비교대상 O2에 비해 가장 현저하게 출력의 크기가 증가하는 소영역의 중간값(P)(이하, 최대 증가 주파수(P))이 도시되고, 상기 소영역에서 비교대상 O2에 비해 증가하는 평균적인 출력의 크기(Q)(이하, 증가량(Q))가 도시된다. 도 11a의 실험결과에서 최대 증가 주파수(P)는 약 200Hz이고 증가량(Q)은 약 25dB이다. 도 11b의 실험결과에서 최대 증가 주파수(P)는 약 300Hz이고 증가량(Q)은 약 20dB이다. 도 11c의 실험결과에서 최대 증가 주파수(P)는 약 375Hz이고 증가량(Q)은 약 15dB이다. 도 11d의 실험결과에서 최대 증가 주파수(P)는 약 450Hz이고 증가량(Q)은 약 15dB이다. 도 11e의 실험결과에서 최대 증가 주파수(P)는 약 700Hz이고 증가량(Q)은 약 25dB이다.
도 11e의 실험군에서 돌출 길이(D)와 고정 길이(L)가 동일한 상태이며, 고정 길이(L)가 돌출 길이(D)보다 커지면 최대 증가 주파수(P)가 700Hz보다 커지게 된다. 최대 증가 주파수(P)가 상기 저 주파수 영역 내에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돌출 길이(D)는 고정 길이(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 길이(D)는 20mm이상 일 수 있다. 돌출 길이(D)는 고정 길이(L)가 0이 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20mm 이상일 수 있다. 돌출 길이(D)는 20mm 이상 35mm이하일 수 있다.
또한, 돌출 길이(D)는 고정 길이(L)의 4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a 및 11b 참고) 또한, 돌출 길이(D)는 30mm이상 일 수 있다. 돌출 길이(D)는 고정 길이(L)가 0이 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30mm 이상일 수 있다. 돌출 길이(D)는 30mm 이상 35mm이하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최대 증가 주파수(P)는 약 150 내지 350Hz로 기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교대상 O1 및 O2에서 약 350Hz 이하 주파수 영역의 출력 크기가 극히 낮은데, 이러한 취약한 출력 크기를 가진 주파수 영역 중 소영역의 출력 크기를 현저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약 150 내지 300Hz 영역에서 사람의 말소리 등 음상의 위치가 중요한 출력이 발생하므로, 그 기술적 의의는 더욱 크다. 또한, 돌출 길이(D)를 고정 길이(L)의 4배 이상으로 함으로써, 증가량(Q)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 주파수 영역 내에 최대 증가 주파수(P)가 있게 하는 도 11a 내지 11e의 실험 결과를 실제 제품에 정확하게 구현시키기 위하여, 압전 진동부(50)의 전후방향 두께는 0.6 내지 1mm이고, 돌출 길이(D) 및 고정 길이(L)의 합은 35mm 내지 4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전 진동부(50)는 PZT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의 실험 결과에서, 서로 다른 제 1돌출 길이(D1) 및 제 2돌출 길이(D2)에 각각 대응되는 제 1최대 증가 주파수(P1) 및 제 2최대 증가 주파수(P2)가 관찰된다. 제 1최대 증가 주파수(P1) 및 제 2최대 증가 주파수(P2)는 상기 저 주파수 영역 내에서 서로 이격된 2개의 소영역의 각각의 중간값(또는 평균값)이다. 도 12의 실험결과에서 제 1최대 증가 주파수(P1)는 약 220Hz이고 제 1증가량(Q1)은 약 20dB이며, 제 1최대 증가 주파수(P1)가 속한 소영역은 제 1압전 진동부(50(1))에 의해 주된 영향을 받은 영역이다. 또한, 도 12의 실험결과에서 제 2최대 증가 주파수(P2)는 약 450Hz이고 제 2증가량(Q2)은 약 15dB이며, 제 2최대 증가 주파수(P2)가 속한 소영역은 제 2압전 진동부(50(2))에 의해 주된 영향을 받은 영역이다. 서로 다른 돌출 길이를 가진 복수의 캔틸레버부를 구비함으로써, 저 주파수 영역 중 출력 크기가 현저하게 커지는 복수의 소영역을 기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3a 내지 13d를 참고하여, 하나의 압전 진동부(50)에 1개의 캔틸레버부(55)가 구비된 실시예(도 13a), 하나의 압전 진동부(50)에 2개의 캔틸레버부(55-1, 55-2)가 구비된 실시예(도 13b), 하나의 압전 진동부(50)에 3개의 캔틸레버부(55-1, 55-2, 55-3)가 구비된 실시예(도 13c), 및 하나의 압전 진동부(50)에 4개의 캔틸레버부(55-1, 55-2, 55-3, 55-4)가 구비된 실시예(도 13d)를 설명한다. 하나의 압전 진동부(50)는 전압 인가에 의해서 일체로 압전 효과가 일어나는 단위체를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압전 진동부(50)는 복수의 층으로 적층된 PZT 재질로 형성되고, 압전 진동부(50)는 후측에서 바라볼 때 x축 방향 길이(X)의 양변과 y축 방향 길이(Y)의 양변을 가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13a에서, 타입 A1의 일반적인 실시예를 개시한다. y축 양 방향 중 어느 하나로 돌출된 캔틸레버부(55)가 구비된다. 캔틸레버부(55)는 돌출 길이(D)를 가지고, 고정부(51)는 고정 길이(L)를 가진다. 돌출 길이(D)와 고정 길이(L)의 합은 y축 방향 길이(Y)가 된다.
도 13b 내지 도 13d에서, 하나의 압전 진동부(50)에 복수의 캔틸레버부(55)가 구비된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압전 진동부(50)는, 고정부(51)에서 일 방향으로 돌출되는 일 방향 캔틸레버부(55-1)를 포함한다. 압전 진동부(50)는, 고정부(51)에서 상기 일 방향에 수직한 방향 또는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타 방향 캔틸레버부(55-2, 55-3, 5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압전 진동부(50)에 전압을 인가하여, 저 주파수 영역 중 기설정된 복수의 소영역의 출력 크기가 동시에 커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3b의 실시예에서, 압전 진동부(50)는, 고정부(51)에서 제 1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1방향 캔틸레버부(55-1)와, 고정부(51)에서 상기 제 1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방향 캔틸레버부를 포함한다. 제 1방향 캔틸레버부(55-1)는 제 1방향 돌출 길이(Dd1)를 가지고, 고정부(51)는 제 1방향 돌출 길이(Dd1)에서 연장된 방향으로 측정된 제 1방향 고정 길이(Ld1)를 가진다. 제 1방향 돌출 길이(Dd1)와 제 1방향 고정 길이(Ld1)의 합은 y축 방향 길이(Y)가 된다. 제 2방향 캔틸레버부(55-2)는 제 2방향 돌출 길이(Dd2)를 가지고, 고정부(51)는 제 2방향 돌출 길이(Dd2)에서 연장된 방향으로 측정된 제 2방향 고정 길이(Ld2)를 가진다. 제 2방향 돌출 길이(Dd2)와 제 2방향 고정 길이(Ld2)의 합은 x축 방향 길이(X)가 된다.
도 13c의 실시예에서, 압전 진동부(50)는 상기 제 1방향 캔틸레버부(55-1)와 상기 제 2방향 캔틸레버부(55-2)를 포함한다. 압전 진동부(50)는 고정부(51)에서 상기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3방향 캔틸레버부(55-3)를 더 포함한다. 제 1방향 캔틸레버부(55-1)는 제 1방향 돌출 길이(Dd1)를 가지고, 제 3방향 캔틸레버부(55-3)는 제 3방향 돌출 길이(Dd3)를 가지며, 고정부(51)는 제 1방향 돌출 길이(Dd1) 및 제 3방향 돌출 길이(Dd3)에서 연장된 방향으로 측정된 y축 방향 고정 길이(Ldy)를 가진다. 제 1방향 돌출 길이(Dd1)와 제 3방향 돌출 길이(Dd3)와 y축 방향 고정 길이(Ldy)의 합은 y축 방향 길이(Y)가 된다. 제 2방향 캔틸레버부(55-2)는 제 2방향 돌출 길이(Dd2)를 가지고, 고정부(51)는 제 2방향 돌출 길이(Dd2)에서 연장된 방향으로 측정된 제 2방향 고정 길이(Ld2)를 가진다. 제 2방향 돌출 길이(Dd2)와 제 2방향 고정 길이(Ld2)의 합은 x축 방향 길이(X)가 된다.
도 13d의 실시예에서, 압전 진동부(50)는 상기 제 1방향 캔틸레버부(55-1)와 상기 제 2방향 캔틸레버부(55-2)와 상기 제 3방향 캔틸레버부(55-3)를 포함한다. 압전 진동부(50)는, 고정부(51)에서 상기 제 2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4방향 캔틸레버부(55-4)를 포함한다. 제 1방향 캔틸레버부(55-1)는 제 1방향 돌출 길이(Dd1)를 가지고, 제 3방향 캔틸레버부(55-3)는 제 3방향 돌출 길이(Dd3)를 가지며, 고정부(51)는 제 1방향 돌출 길이(Dd1) 및 제 3방향 돌출 길이(Dd3)에서 연장된 방향으로 측정된 y축 방향 고정 길이(Ldy)를 가진다. 제 2방향 캔틸레버부(55-2)는 제 2방향 돌출 길이(Dd2)를 가지고, 제 4방향 캔틸레버부(55-4)는 제 4방향 돌출 길이(Dd4)를 가지며, 고정부(51)는 제 2방향 돌출 길이(Dd2) 및 제 4방향 돌출 길이(Dd4)에서 연장된 방향으로 측정된 x축 방향 고정 길이(Ldx)를 가진다.
상기 제 1 내지 4 방향은 전후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이하, 도 14a 내지 도 19b를 참고하여, 복수의 압전 진동부(50)가 구비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는 각각 선택적으로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는, 동일한 개수의 층으로 동일한 재질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는 전후 방향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의 돌출 길이(D)에 수직한 방향으로 측정된 길이가 서로 같을 수 있다.
도 14a를 참고하여, 복수의 압전 진동부(50)의 돌출 길이(D)와 고정 길이(L)의 합이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의 고정 길이(L)는 서로 동일하고, 복수의 압전 진동부(50)의 돌출 길이(D1, D2, …, Dn)가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복수의 압전 진동부(50)의 x축 방향 길이, 상기 층의 개수, 재질 및 전후 방향 두께 등은 서로 같을 수 있다.
도 14b를 참고하여, 복수의 압전 진동부(50)는 서로 동일한 규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는 후측에서 바라볼 때 동일한 형상의 직사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의 돌출 길이(D)와 고정 길이(L)의 합이 서로 같을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의 y축 방향 길이가 서로 같을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의 x축 방향 길이가 서로 같을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의 각각의 캔틸레버부의 돌출 길이들 중 적어도 2개가 서로 다르게 구비된다. 이를 통해, 저 주파수 영역 중 출력 크기가 현저하게 커지는 적어도 2개의 소영역을 기설정할 수 있다..
2개의 압전 진동부(50(1), 50(2))가 구비된 타입 A2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는, 제 1돌출 길이(D1)만큼 돌출된 제 1캔틸레버부(55)를 가진 제 1압전 진동부(50(1))를 포함한다. 제 1압전 진동부(50(1))는 제 1고정 길이(L1)를 가진 제 1고정부(51)를 포함한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는, 제 1돌출 길이(D1)와 다른 제 2돌출 길이(D2)만큼 돌출된 제 2캔틸레버부(55)를 가진 제 2압전 진동부(50(2))를 포함한다. 제 2압전 진동부(50(2))는 제 2고정 길이(L2)를 가진 제 2고정부(51)를 포함한다. 제 1압전 진동부(50(1))의 캔틸레버부(55)의 돌출 방향은 제 2압전 진동부(50(2))의 캔틸레버부(55)의 돌출 방향의 반대 "?향?? 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1돌출 길이(D1) 및 제 2돌출 길이(D2)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더 크게 구비된다. 제 1고정 길이(L1) 및 제 2고정 길이(L2)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제 1돌출 길이(D1)는 제 2돌출 길이(D2)보다 크고, 제 1고정 길이(L1)는 제 2고정 길이(L2)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서포터(80)에 부착되는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는 하나의 서포터(80)에 부착된다.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는 각각, 서포터(80)에 부착되는 고정부(51)와, 고정부(51)에서 돌출되는 캔틸레버부(55)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의 각각의 캔틸레버부(55)의 돌출 길이들(D1, D2, …, Dn) 중 적어도 2개가 서로 다르다.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의 각각의 캔틸레버부(55)의 돌출 길이(D1, D2, …, Dn)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다. 제 n압전 진동부(50(n))는 서포터(80)에 부착되는 제 n고정부(51)와, 제 n고정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 n캔틸레버부(55)를 포함한다. 제 n캔틸레버부(55)는 제 n돌출 길이(Dn)를 가진다. 제 n-1압전 진동부(50(n-1))는 서포터(80)에 부착되는 제 n-1고정부(51)와, 제 n-1고정부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 n-1캔틸레버부(55)를 포함한다. 제 n-1캔틸레버부(55)는 제 n-1돌출 길이(Dn-1)를 가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가 구비된다. 서포터(80)는 후측에서 바라볼 때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1), 50(2), …, 50(n))는 서포터(80)의 길이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캔틸레버부(55)가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1), 50(2), …, 50(n))는 서로 인접한 것들끼리 측단이 접촉되게 배치될 수도 있고, 도 14a 및 도 14b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4a를 참고한 실시예에서,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의 각각의 고정부(51)의 고정 길이(L)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1), 50(2), …, 50(n))의 돌출 길이(D1, D2, …, Dn)가 서로 다르도록, 복수의 압전 진동부(50(1), 50(2), …, 50(n))의 켄틸레버부(50) 돌출 방향의 전체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같은 고정 길이(L)를 가진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가 서로 다른 돌출 길이(D1, D2, …, Dn)를 가지도록,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의 y축 방향 길이(돌출 길이와 고정 길이의 합)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4a와 같이, 후측에서 바라볼 때,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는 서로 변의 길이가 다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길이(L)가 동일한 고정부(51)를 가진 2개의 압전 진동부(50)의 각각의 캔틸레버부(55)의 돌출 길이(D)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고정부(51)의 일단은 캔틸레버부(55)와 연결되고, 고정부(51)의 타단은 서포터(80)의 후면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51)의 상기 타단은 인접하는 압전 진동부(50)의 고정부(51)의 말단에 접촉할 수 있다. 서포터(80)의 후면 중앙부를 따라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의 말단이 배열될 수 있다.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가 서포터(80)에 접촉하는 일정한 면적을 통해,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의 진동이 서포터(8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를 서포터(80)에 부착시키는 공정이 용이해진다.
도 14b를 참고한 실시예에서,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의 각각의 고정부(51)의 고정 길이(L1, L2, …, L3)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는 서로 동일한 구격이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1), 50(2), …, 50(n))의 돌출 길이(D1, D2, …, Dn)가 서로 다르도록, 복수의 압전 진동부(50(1), 50(2), …, 50(n))의 고정 길이(L1, L2, …, Ln)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어느 한 압전 진동부(50)에서 돌출 길이(D)가 증가할수록 고정 길이(L)는 감소할 수 있다. 제 1고정부(51)는 제 1돌출 길이(D1)에서 연장된 방향으로 측정된 제 1고정 길이(L1)를 가진다. 제 n-1고정부(51)는 제 n-1돌출 길이(Dn-1)에서 연장된 방향으로 측정된 제 n-1고정 길이(Ln-1)를 가진다. 제 n고정부(51)는 제 n돌출 길이(Dn)에서 연장된 방향으로 측정된 제 n고정 길이(Ln)를 가진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 이를 통해,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의 일정한 규격을 통해,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의 각각의 최대 증가 주파수(P)를 기설정하면서도 압전 진동부의 생산라인이 단순해진다.
이하, 도 14a의 실시예 및 도 14b의 실시예 중 후자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14a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제 1 내지 n 압전 진동부(50(1), 50(2), …, 50(n))를 구비하고, n은 3이상일 수 있다. 제 1압전 진동부(50(1))의 캔틸레버부(55)의 돌출 방향은 제 2압전 진동부(50(2))의 캔틸레버부(55)의 돌출 방향의 반대 "?향?? 되게 구비될 수 있다. 서포터(80)는 제 2압전 진동부(50(2))의 돌출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 3압전 진동부(50(3))의 부착 위치를 제공한다. n이 4이상인 실시예에서, 서포터(80)는 제 2압전 진동부(50(2))의 돌출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 3 내지 n 압전 진동부(50(3), 50(4), …, 50(n))의 부착 위치를 제공한다. 후측에서 바라볼 때, 서포터(80)는 상기 돌출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장변과 상기 장변에 수직한 한 쌍의 단변을 가진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터(80)의 상기 한 쌍의 장변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복수의 압전 진동부(50)의 각각의 캔틸레버부(55)가 배열될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한 일 실시예에서, 제 1 내지 4 압전 진동부(50(1), 50(2), 50(3), 50(4))가 구비된다. 제 1압전 진동부(50(1))는 고정부(51)에서 일방향으로 제 1돌출 길이(D1) 만큼 돌출된 제 1캔틸레버부(55)를 가진다. 제 2압전 진동부(50(2))는 고정부(51)에서 상기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 2돌출 길이(D2) 만큼 돌출된 제 2캔틸레버부(55)를 가진다. 제 3압전 진동부(50(3))는 고정부(51)에서 상기 일방향으로 제 3돌출 길이(D3) 만큼 돌출된 제 3캔틸레버부(55)를 가진다. 제 4압전 진동부(50(4))는 고정부(51)에서 상기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 4돌출 길이(D4) 만큼 돌출된 제 4캔틸레버부(55)를 가진다. 제 1 내지 4 돌출 길이(D1, D2, D3, D4)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 1압전 진동부(50(1))와 제 3압전 진동부(50(3))는 캔틸레버부(55)의 돌출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 2압전 진동부(50(2))와 제 4압전 진동부(50(4))는 캔틸레버부(55)의 돌출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16 및 17을 참고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수의 압전 진동부(50)가 배치되고, 복수의 압전 진동부(50)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캔틸레버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내지 3 압전 진동부(50(1), 50(2), 50(3))가 구비된다. 제 3압전 진동부(50(3))는, 고정부(51)에서 제 1방향으로 돌출 길이(D3d1)만큼 돌출된 제 1방향 캔틸레버부(55-1)와, 고정부(51)에서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3방향으로 돌출 길이(D3d3)만큼 돌출된 제 3방향 캔틸레버부(55-3)를 포함한다. 제 1압전 진동부(50(1))는 고정부(51)에서 상기 제 1방향으로 돌출된 캔틸레버부(55)를 포함한다. 제 2압전 진동부(50(2))는 고정부(51)에서 상기 제 3방향으로 돌출된 캔틸레버부(55)를 포함한다.
도 17을 참고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 16의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압전 진동부(50(3))는, 고정부(51)에서 제 1방향으로 돌출 길이(D3d1)만큼 돌출된 제 1방향 캔틸레버부(55-1)와, 고정부(51)에서 제 1방향의 수직 방향인 제 2방향으로 돌출 길이(D3d2)만큼 돌출된 제 2방향 캔틸레버부(55-2)와, 고정부(51)에서 제 1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 3방향으로 돌출 길이(D3d3)만큼 돌출된 제 3방향 캔틸레버부(55-3)를 포함한다.
도 18을 참고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내지 4 압전 진동부(50(1), 50(2), 50(3), 50(4))가 구비된다. 제 1압전 진동부(50(1))는 고정부(51)에서 일방향으로 제 1돌출 길이(D1) 만큼 돌출된 제 1캔틸레버부(55)를 가진다. 제 2압전 진동부(50(2))는 고정부(51)에서 상기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 2돌출 길이(D2) 만큼 돌출된 제 2캔틸레버부(55)를 가진다. 제 3압전 진동부(50(3))는 고정부(51)에서 상기 일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제 3돌출 길이(D3) 만큼 돌출된 제 3캔틸레버부(55)를 가진다. 제 4압전 진동부(50(4))는 고정부(51)에서 제 3캔틸레버부(55)의 돌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 4돌출 길이(D4) 만큼 돌출된 제 4캔틸레버부(55)를 가진다. 제 1 내지 4 돌출 길이(D1, D2, D3, D4)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19a 및 19b를 참고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터(8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부착되는 제 1베이스(81)를 포함한다. 서포터(80')는 제 1베이스(81)의 후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 2베이스(82)를 포함한다. 서포터(80’)는 제 1베이스(81)와 제 2베이스(82)를 연결하여 제 2베이스(82)를 지지하는 연결부(85)를 포함한다. 제 1베이스(81)는 전후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베이스(82)는 전후 방향으로 두께를 가진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85)의 전단이 제 1베이스(81)의 후면에 고정되고, 연결부(85)의 후단이 제 2베이스(82)의 전방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85)에의해 제 1베이스(81)와 제 2베이스(82)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 중 적어도 하나는 제 1베이스(81)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는 제 2베이스(82)에 부착된다. 제 1베이스(81)에 부착된 압전 진동부(50(1), 50(2))와 제 2베이스(82)에 부착된 압전 진동부(50(3), 50(4))는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압전 진동부(50)는, 제 1베이스(81)에 부착되는 제 1 및 2 압전 진동부(50(1), 50(2))와, 제 2베이스(82)에 부착되는 제 3 및 4 압전 진동부(50(3), 50(4))를 포함한다.
1, 1a, 1b, 1b' : 디스플레이 장치 100 : 디스플레이 패널
20 : 접착 시트 40 : 서브 스피커
50 : 압전 진동부
51 : 고정부 L : 고정 길이
55 : 캔틸레버부 D : 캔틸레버 길이
80, 80' : 서포터 81 : 제 1베이스
82 : 제 2베이스 85 : 연결부
250 : 제어부 260 : 케이블
300 : 커버 350 : 하우징
500 : 월브라켓
P : 최대 증가 저역 주파수
Q : 증가량

Claims (23)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된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에 부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돌출되는 캔틸레버부를 구비하는 압전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캔틸레버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제 1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의 길이보다 큰 제 1길이를 갖는 제 1캔틸레버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 1방향에 교차하거나 반대되는 방향인 제 2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의 길이보다 큰 제 2길이를 갖는 제 2캔틸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길이와 상기 제 2길이는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진동부의 두께는 0.6 내지 1mm이고,
    상기 제 1방향에서 상기 제 1길이 및 상기 고정부의 길이의 합은 35mm 내지 45mm인 디스플레이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진동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압전 진동부는,
    제 1돌출 길이만큼 돌출된 캔틸레버부를 가진 제 1압전 진동부; 및
    상기 제 1돌출 길이와 다른 제 2돌출 길이만큼 돌출된 캔틸레버부를 가진 제 2압전 진동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압전 진동부 및 상기 제 2압전 진동부에 선택적으로 전기를 인가하게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삭제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돌출 길이는 상기 제 2돌출 길이보다 크고,
    상기 제 1압전 진동부의 상기 고정부의 고정 길이는 상기 제 2압전 진동부의 상기 고정부의 고정 길이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압전 진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는 제 1베이스;
    상기 제 1베이스의 후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 2베이스; 및
    상기 제 1베이스와 상기 제 2베이스를 연결하여 상기 제 2베이스를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압전 진동부는,
    상기 제 1베이스에 부착되는 압전 진동부; 및
    상기 제 2베이스에 부착되는 압전 진동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된 제 1서포터;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부착되고 상기 제 1서포터와 이격되는 제 2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압전 진동부는,
    상기 제 1서포터에 부착되는 제 1압전 진동부; 및
    상기 제 2서포터에 부착되는 제 2압전 진동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034838A 2017-03-20 2017-03-20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4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38A KR102384033B1 (ko) 2017-03-20 2017-03-20 디스플레이 장치
US15/923,782 US11522470B2 (en) 2017-03-20 2018-03-16 Display apparatus
EP18162693.8A EP3379387B1 (en) 2017-03-20 2018-03-20 Display apparatus
CN201810228783.7A CN108632549B (zh) 2017-03-20 2018-03-20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38A KR102384033B1 (ko) 2017-03-20 2017-03-20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473A KR20180106473A (ko) 2018-10-01
KR102384033B1 true KR102384033B1 (ko) 2022-04-06

Family

ID=6190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838A KR102384033B1 (ko) 2017-03-20 2017-03-20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22470B2 (ko)
EP (1) EP3379387B1 (ko)
KR (1) KR102384033B1 (ko)
CN (1) CN1086325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104B1 (ko) * 2018-08-01 2023-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22979B1 (ko) * 2018-10-15 2024-01-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209313874U (zh) * 2018-12-29 2019-08-27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移动终端
KR102711145B1 (ko) 2019-06-07 2024-09-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709306B1 (ko) 2019-07-10 2024-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708562B1 (ko) 2019-08-09 2024-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
JP7370190B2 (ja) * 2019-08-14 2023-10-27 太陽誘電株式会社 パネル及び電子機器
KR20210023188A (ko) 2019-08-22 202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채널 스피커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10776587U (zh) * 2019-08-28 2020-06-16 南昌欧菲生物识别技术有限公司 触控反馈模组及触控装置
JP7148481B2 (ja) * 2019-12-04 2022-10-05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表示装置
EP3836559B1 (de) * 2019-12-09 2024-08-21 Theis, Liliya Flächenlautsprecher
KR20210155770A (ko) * 2020-06-15 2021-1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향 장치
JP7559985B2 (ja) 2022-02-10 2024-10-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5700A1 (en) * 2006-03-07 2009-02-19 Nec Corporation Piezoelectric actuator and electronic device
US20110304569A1 (en) * 2008-12-26 2011-12-15 Nissha Printing Co., Ltd. Panel Member Having Oscillating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9115B2 (en) 2002-04-25 2008-05-06 Immersion Corporation Haptic devices having multiple operational modes including at least one resonant mode
CN101512468A (zh) 2006-09-09 2009-08-19 F-原点股份有限公司 集成压力敏感透镜组件
US8368662B2 (en) 2010-03-18 2013-02-05 Chris Argiro Actionable-object controller and data-entry attachment for touchscreen-based electronics
CN105653026A (zh) 2014-11-12 2016-06-08 意美森公司 触觉控制器
US10591993B2 (en) * 2016-09-21 2020-03-17 Apple Inc. Haptic structure for providing localized haptic outpu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5700A1 (en) * 2006-03-07 2009-02-19 Nec Corporation Piezoelectric actuator and electronic device
US20110304569A1 (en) * 2008-12-26 2011-12-15 Nissha Printing Co., Ltd. Panel Member Having Oscillating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32549B (zh) 2021-01-05
CN108632549A (zh) 2018-10-09
US11522470B2 (en) 2022-12-06
US20180269808A1 (en) 2018-09-20
EP3379387A1 (en) 2018-09-26
KR20180106473A (ko) 2018-10-01
EP3379387B1 (en) 2021-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03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91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6927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6728276B2 (ja) 表示装置
CN104461115B (zh) 显示装置
US20190324596A1 (en) Display device
KR101383702B1 (ko) 표시 장치 유닛
JP6623241B2 (ja) 電子機器
CN111276076B (zh) 显示设备
KR101569382B1 (ko) 표시 장치 유닛
KR102449246B1 (ko) 전자 기기
KR102332256B1 (ko) 표시 장치
KR102186361B1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