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240B1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77240B1 KR102377240B1 KR1020170108223A KR20170108223A KR102377240B1 KR 102377240 B1 KR102377240 B1 KR 102377240B1 KR 1020170108223 A KR1020170108223 A KR 1020170108223A KR 20170108223 A KR20170108223 A KR 20170108223A KR 102377240 B1 KR102377240 B1 KR 1023772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induction module
- lifter
- tub
- rp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6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302 ferro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1000239290 Araneae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94 contradic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26 se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2—Condition of the washing liquid, e.g. turbidity
- D06F34/24—Liquid temperatur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5—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 H05B6/108—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using a susceptor for heating a fluid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06F2103/46—Current or voltage of the motor driving the drum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6—Condition of the drying air, e.g. air humidity or temperatur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을 직접 가열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효율을 증진시키고 안전성을 높인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리프터; 상기 드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온도센서; 그리고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량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리프터; 상기 드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온도센서; 그리고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량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을 직접 가열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효율을 증진시키고 안전성을 높인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의 세탁, 건조 그리고 리프레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의류처리장치에는 의류 세탁을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건조를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그리고 리프레시를 주 목적으로 하는 리프레셔 등 다양한 형태의 의류처리장치가 있다.
그리고 하나의 의류처리장치에서 세탁, 건조 그리고 리프레시 중 적어도 2 개 이상의 의류처리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가 있다. 일례로 세탁 겸 건조기는 하나의 의류처리장치가 세탁, 건조 그리고 리프레시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최근에는 하나의 의류처리장치에 두 개의 처리장치를 제공하여 동시에 2 장치에서 세탁이 수행되거나, 동시에 세탁과 건조가 수행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의류처리장치에는 세탁수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이 일반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세탁수의 가열은 세탁수의 온도를 높여 세제의 활성화를 촉진하고 오염물의 분해를 촉진하여 세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공기의 가열은 젖은 의류에 열을 가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수의 가열은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에 장착된 전기 히터를 통해서 수행된다. 전기 히터는 세탁수에 잠겨 있고 세탁수에는 이물질이나 세제가 포함된다. 따라서, 전기 히터 자체에 스케일과 같은 이물질이 누적될 수 있고 이러한 이물질은 전기 히터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공기의 가열은 공기의 이동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팬과 같은 구성뿐만 아니라 공기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덕트 등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공기의 가열을 위해서 전기 히터나 가스 히터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공기 가열 방식의 효율은 높지 않다.
최근에는 히트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건조기가 제공되고 있다. 히트 펌프는 에어컨의 냉각 사이클을 반대로 이용하는 것으로, 따라서 증발기, 응축기, 팽창밸브 그리고 압축기와 같은 동일한 구성들을 필요로 한다. 에어컨에서 실내 공기를 낮추기 위해서 실내기에 응축기가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히트 펌프 건조기에서는 증발기에서 공기를 가열하여 의류를 건조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히트 펌프 건조기는 구성들이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의류처리장치에서 가열수단으로서의 전기 히터, 가스 히터 그리고 히트 펌프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사이의 장점을 더욱 부각시키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가열 수단으로 유도 가열을 이용한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컨셉들(일본등록특허 JP2001070689, 한국등록특허 KR10-922986)이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런 선행 기술들은 세탁기에서 유도 가열을 수행하는 기본 컨셉들에 대해서만 개시하고 있을뿐 구체적인 유도 가열 모듈 구성들, 의류처리장치의 기본 구성들과의 연결 및 작용 관계, 그리고 효율 증진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 내지는 구성들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유도 가열 원리를 적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효율 증진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기술 사상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가열을 수행하기 때문에 과열 방지를 위한 구조, 구성 및 제어 로직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유도 가열을 이용하면서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인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럼에 구비되는 리프터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과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안전성을 증진시킨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리프터의 기본 기능을 충실히 유지함과 동시에 안정성을 증진시킨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럼과 리프터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도 리프터가 장착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리프터의 위치를 파악하여 드럼의 원주면 중 리프터에 대응되는 부분에서의 발열량을 줄여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리프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럼에서 세탁수 또는 세탁물로 충분히 열전달을 시킬 수 있을 때 상기 드럼을 가열하여, 드럼의 과열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회전하는 드럼의 온도를 신뢰성 있게 감지하여 드럼이 의도치 않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리프터; 그리고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리프터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량을 달리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리프터의 위치가 상기 인덕션 모듈과 대향되는 대향 위치에서의 상기 드럼의 발열량보다 상기 리프터의 위치가 상기 대향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서의 상기 드럼의 발열량이 더 크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 제어부는, 리프터의 위치가 인덕션 모듈과 대향되는 위치일 때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0 또는 정상 출력보다 줄이고, 리프터의 위치가 인덕션 모듈과 대향되는 위치가 아닐 때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정상 출력으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터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하여, 상기 리프터와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드럼에 구비되는 자석; 그리고 상기 드럼 외부에 고정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자석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원통형의 드럼의 회전 각도를 0도에서 360로 할 때, 자석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자석 위치와 기설정된 각도를 갖도록 구비되는 리프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석을 감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나 플레그를 출력하는 리드 스위치 또는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드럼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터브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인덕션 모듈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인덕션 모듈이 장착되는 터브 위치의 반대편인 터브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모듈 제어부와 통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자석은 상기 리프터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비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석마다 위치를 센싱하여 상기 리프터마다 위치를 센싱하여 출력을 상기 모듈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3 개의 리프터가 구비되는 경우 3 개의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리프터와 자석은 각각 동일한 각도를 갖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자석이 감지되면 인근 리프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의 RPM이 가변되는 구간에서도 비교적 정확하게 각각의 리프터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상기 리프터의 개수와 무관하게 하나만 구비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석의 위치를 센싱하여 특정 리프터의 위치를 센싱하여 출력을 상기 모듈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출력과 상기 모터의 회전 각도를 통해서 나머지 리프터의 위치를 추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석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서 경제적이다. 어느 하나의 리프터 위치를 자석을 통해서 추정하면, 현재의 RPM과 리프터와 리프터 사이의 각도를 고려하여 나머지 리프터들의 위치를 비교적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드럼의 RPM이 가변되는 구간에서는 상대적으로 정확한 리프터들의 위치 추정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반복되는 엠보싱 패턴이 형성되며, 상기 리프터가 장착되는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서는 상기 엠보싱 패턴의 형성이 배제될 수 있다.
상기 엠보싱 패턴은 드럼 원주면의 돌출이나 함몰로 형성된다. 따라서, 엠보싱 패턴이 형성된 부분은 그렇지 않은 부분에 비해서 인덕션 모듈과 대향되는 대향면의 면적이 작아지고 대향 거리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엠보싱 패턴이 인덕션 모듈과 대향되는 시점에서 인덕션 모듈에 흐르는 전류값이나 인덕션 모듈의 출력(전력)이 상대적으로 커질 수 있다.
반면에, 리프터가 장착되는 리프터 장착부에 해당하는 드럼의 원주면에는 상대적으로 대향 면적이 커지고 대향 거리가 짧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에 흐르는 전류값이나 인덕션 모듈의 출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있다.
엠보싱 패턴과 리프터 장착부는 드럼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적 그리고 규치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드럼의 회전 각도에 따른 인덕션 모듈의 전류 또는 출력의 변화를 통해서 리프터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드럼의 회전 각도를 센싱하는 별도의 센서가 구비되지 않아도 비교적 정확하게 리프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인덕션 모듈과 대향하는 엠보싱 패턴의 유무 변화에 의한, 상기 인덕션 모듈의 전력 또는 전류 변화를 통하여,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추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 자체에서 출력 변화를 피드백 받아서 리프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리프터; 그리고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모듈을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모듈 제어부에서 상기 인덕션 모듈을 정상 출력으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리프터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모듈 제어부에서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 위치의 감지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출력 감소 단계의 수행 여부의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 판단 단계에서 조건은 드럼의 회전 속도일 수 있고, 수행하는 행정일 수 있다.
드럼의 회전 속도가 텀블링 속도보다 빠른 스핀 속도 이상인 경우, 의류는 드럼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회전하게 된다. 텀블링 속도는 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리프터에 의해서 의류가 들어올려진 후 낙하될 수 있는 속도를 의미한다. 드럼의 회전 속도가 텀블링 속도보다 커져 스핀 속도에 이르게 되면 원심력이 중력 가속도 보다 더 커지게 되어 의류는 낙하하지 않고 드럼 내주면에 밀착되어 드럼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의류가 드럼 내주면에 밀착되는 경우, 드럼과 의류 사이의 열전달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가변 제어할 필요가 없다.
상기 조건 판단 단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가 기설정된 속도 이하인 경우에, 상기 출력 감소 단계가 수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기설정된 속도를 초과하면 출력 감소 단계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기설정된 속도는 일례로 200RPM일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을 수용하고 내부에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를 포함하고, 상기 조건 판단 단계에서, 상기 터브 내부에 세탁수가 저수되는 세탁 행정인 경우에, 상기 출력 감소 단계가 수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세탁 행정의 경우에는 드럼의 원주면 일부가 터브 내부의 세탁수에 잠기게 된다. 따라서, 드럼이 회전하는 경우 드럼에 발생되는 열이 세탁수에 매우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세탁 행정의 경우 출력 감소 제어는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감지 단계에서 상기 리프터의 위치가 상기 인덕션 모듈과 대향되는 위치로 감지된 경우, 상기 출력 감소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 감소 단계에서, 출력이 정상 출력보다 낮게 제어되거나 출력을 오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덕션 모듈에 흐르는 전류값 또는 인덕션 모듈의 전력을 센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의 위치 감지 단계는 상기 전류값 또는 전력의 변화를 통해서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센서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리프터와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드럼에 구비되는 자석; 그리고 상기 드럼 외부에 고정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자석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의 위치 감지 단계는 상기 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리프터 중 특정 리프터와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드럼에 구비되는 단일 자석; 그리고 상기 드럼 외부에 고정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단일 자석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특정 리프터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의 위치 감지 단계는, 상기 센서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드럼의 회전 각도 또는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 각도를 통해서 나머지 리프터의 위치를 추정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리프터의 위치가 상기 인덕션 모듈과 대향되는 위치로 감지되면, 상기 출력 감소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먼저 인덕션 모듈이 작동된 후 인덕션 모듈의 출력이 가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정상 출력으로 인덕션 모듈이 된 후 출력이 가변될 수 있다.
인덕션 모듈과 드럼 사이의 위치 관계와 그리고 인덕션 모듈과 드럼의 형상으로 인해, 인덕션 모듈은 실질적으로 특정 부분의 드럼만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정지된 드럼을 인덕션 모듈이 가열하게 되면, 드럼의 특정 부분만 매우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드럼이 회전될 필요가 있다. 즉, 드럼이 회전하여 가열되는 부분을 가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의 작동을 위해서는 먼저 드럼이 회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세탁기나 건조기에서 드럼의 회전 속도는 일반적으로 텀블링 구동이 가능한 회전 속도로 구동된다. 드럼이 정지 상태에서 곧바로 텀블링 구동되는 속도로 가속된다. 그리고, 텀블링 구동은 정역 회전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시계 방향으로 텀블링 구동이 지속된 후 드럼 정지 후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텀블링 구동될 수 있다.
드럼의 회전 속도가 매우 낮으면 마찬가지로 드럼의 특정 부분이 과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텀블링 구동 속도가 40RPM인 경우, 드럼이 정지 상태에서 40RPM으로 회전될 때까지 소정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드럼을 텀블링 구동을 시작하는 시점과 드럼이 정상적인 텀블링 구동하는 시점은 다르다. 즉, 드럼이 텀블링 구동을 시작하면 드럼은 정지 상태에서 점차 가속되어 텀블링 RPM에 도달된 후 텀블링 RPM으로 구동되게 된다. 일정 방향으로 텀블링 구동이 수행되다가 다시 드럼은 정지하고 다른 방향으로 텀블링 구동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드럼의 과열 방지 그리고 가열 에너지 효율 및 시간 효율을 증가시킬 필요성이 있다.
드럼의 RPM이 매우 낮은 구간에서는 가열이 회피하는 것이 드럼 과열 회피 차원에서 좋다. 반대로, 드럼의 RPM이 정상 구간에 도달한 후에야 드럼을 가열하는 것은 시간 손실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의 작동 시점은 드럼이 회전을 시작한 후 그리고 정상적인 텀블링 RPM 도달 전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드럼 과열 회피의 목적이 더욱 중요하므로, 텀블링 RPM 도달 후 인덕션 모듈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일례로, 드럼 RPM이 30 RPM보다 큰 경우에 인덕션 모듈을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드럼 RPM이 30 RPM보다 작은 경우 인덕션 모듈이 작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특정 RPM 보다 큰 경우에만 인덕션 모듈이 작동하도록 하고 특정 RPM보다 작은 경우에는 인덕션 모듈이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상적인 텀블링 구동 구간에서 인덕션 모듈은 드럼 회전이 시작된 후 구동되고 드럼 회전이 정지되기 전 구동이 정지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정상적인 텀블링 RPM 보다 작은 기설정 RPM을 기준으로 인덕션 모듈이 온/오프 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인덕션 모듈의 가변 제어는 인덕션 모듈이 온 상태에서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 그리고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금속 재질의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인덕션 모듈과 상기 리프터의 대향 간격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의 대향면을 드럼의 원주면보다 반경 방향으로 더욱 내측에 형성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리프터 부분에서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리프터의 위치에 따른 인덕션 모듈의 출력 가변 제어가 불필요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터의 대향면 자체가 가열될 수 있어서 가열 시간을 상대적으로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리프터와 드럼의 구조 변경을 통한 리프터 부분의 과열 방지는 인덕션 모듈의 출력 가변 제어와 함께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리프터 부분에서의 과열 방지 목적 측면에서는 더욱 더 효과적인 목적 달성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리프터; 그리고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모듈을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인덕션 모듈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인덕션 모듈의 작동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정지 상태에서 정상적인 텀블링 구동 회전 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이 회전을 시작하여 가속된 후 텀블링 구동 회전 속도에서 드럼의 회전이 지속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이 회전된 후 정상적인 텀블링 회전 속도보다 낮은 기설정된 드럼 회전 속도를 기준으로 인덕션 모듈의 구동 및 구동 정지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의 구동이 시작되면 상기 모듈 제어부에서 상기 인덕션 모듈을 정상 출력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리프터의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 모듈 제어부에서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텀블링 구동이 지속되는 경우, 인덕션 모듈은 정상 출력 구간과 감소 출력 구간이 반복될 수 있다.
그리고, 텀블링 구동이 종료되기 전에 인덕션 모듈이 오프된다. 왜냐하면 기설정된 드럼 회전 속도보다 작은 속도로 드럼이 구동되다가 정지되기 때문이다.
다시, 드럼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드럼의 회전 속도 감지하고 인덕션 모듈의 구동 시작되면, 인덕션 모듈의 구동이 정지될 때까지, 정상 출력 제어, 리프터 위치 감지 그리고 감소 출력 제어가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의 과열 방지, 드럼의 특정 부분(리프터 부분)의 과열 방지 그리고 시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리프터; 상기 드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온도센서; 그리고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량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터브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의 내주면과 상기 드럼의 외주면 사이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는 터브의 외주면과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며, 간접적으로 상기 드럼 외주면의 온도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터브의 1사분면과 2사분면 중 어느 하나 또는 1사분면과 2사분면에 걸쳐 상기 인덕션 모듈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2사분면에는 상기 터브 내부와 터브 외부의 공기 연통을 위한 숨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인덕션 모듈보다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인덕션 모듈의 자기장의 영향에서 벗어나도록 상기 온도센서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4사분면에는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순환시키기 위한 덕트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3사분면에는 상기 터브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응축포트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에서 외부 영향을 최대한 배제하여 보다 정확하게 드럼 외주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드럼의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큰 경우, 상기 인덕션 모듈의 구동을 오프시키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회전을 시작하여 소정 RPM보다 큰 경우에 상기 인덕션 모듈이 구동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 RPM은 텀블링 RPM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리프터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량을 달리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리프터의 위치가 상기 인덕션 모듈과 대향되는 대향 위치에서의 상기 드럼의 발열량보다 상기 리프터의 위치가 상기 대향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서의 상기 드럼의 발열량이 더 크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터와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드럼에 구비되는 자석; 그리고 상기 드럼 외부에 고정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자석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리프터; 상기 드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온도센서; 그리고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모듈을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모듈 제어부에서 상기 인덕션 모듈을 정상 출력으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서 상기 드럼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큰 경우, 상기 모듈 제어부에서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출력 감소 단계에서, 출력이 정상 출력보다 낮게 제어되거나 출력을 오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의 RPM을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드럼의 RPM이 소정 RPM 보다 큰 경우, 정상 출력으로 제어하는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드럼의 RPM이 소정 RPM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출력을 감소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소정 RPM은 0 RPM 보다 크고 텀블링 RPM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터브에 구비되는 센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인덕션 모듈의 전력 변화를 통하여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추정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터의 위치가 상기 인덕션 모듈과 대향되는 위치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출력을 감소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리프터; 상기 드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온도센서; 그리고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모듈을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인덕션 모듈의 작동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인덕션 모듈의 작동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드럼의 온도에 따라 상기 인덕션 모듈의 작동 및 정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 각각에서의 특징들은 서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럼에 구비되는 리프터에서 발생될 수 있는 과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안전성을 증진시킨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리프터의 기본 기능을 충실히 유지함과 동시에 안정성을 증진시킨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럼과 리프터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도 리프터가 장착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리프터의 위치를 파악하여 드럼의 원주면 중 리프터에 대응되는 부분에서의 발열량을 줄여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리프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인덕션 모듈의 출력 제어 조건을 파악하여 리프터의 과열을 방지함과 동시에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드럼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 효율 그리고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드럼뿐만 아니라 리프터에도 가열이 수행되도록 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리프터 부분의 가열 온도를 리프터가 장착되지 않은 드럼 부분 보다 낮게 하여 리프터의 과열을 방지함과 동시에 리프터를 통한 열전달을 허용하여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해서, 종래의 드럼과 리프터의 형상과 구조의 변경을 최소화면서도 안정성과 효율성을 증진시킨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터브에 인덕션 모듈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3은 일반적인 드럼에 리프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 구성들의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제어 구성들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드럼 내주면 형상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는 도 7의 드럼 내주면에 대해서 드럼 회전 각도에 대한 인덕션 모듈의 전류와 출력(전력)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플로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플로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터브의 횡단면에서 인덕션 모듈의 자기장 영역 및 온도센서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터브에 인덕션 모듈이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3은 일반적인 드럼에 리프터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도 4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 구성들의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제어 구성들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블럭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드럼 내주면 형상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8는 도 7의 드럼 내주면에 대해서 드럼 회전 각도에 대한 인덕션 모듈의 전류와 출력(전력)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플로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플로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터브의 횡단면에서 인덕션 모듈의 자기장 영역 및 온도센서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기본 구성들과 유도 가열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 터브(20), 드럼(30), 그리고 상기 드럼(30)을 가열하도록 구비되는 인덕션 모듈(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2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전방에는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30)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의류를 수용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드럼의 전방에는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와 드럼의 개구부를 통해 의류가 드럼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70)은 전자기장을 발생시켜 상기 드럼을 가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덕션 모듈(70)은 터브(2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수용공간을 제공하며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한 터브(20),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도체로 이루어진 드럼(30), 상기 터브(2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드럼(30)을 전자기장으로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20)와 드럼(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브(20)와 드럼(30)의 내주면과 외주면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드럼(30)이 지면과 나란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형태의 의류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30)을 상기 터브(20)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구동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모터(41)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스테이터와 로터를 포함한다. 상기 로터는 회전축(42)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42)은 드럼(30)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30)을 터브(20) 내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40)는 스파이더(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더(43)는 드럼(30)과 회전축(42)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회전축(42)의 회전력을 드럼(30)에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더(43)는 드럼(30)의 후벽에 적어도 일부분 삽입된 형태로 드럼(30)과 결합된다. 이를 위해 드럼(30)의 후벽은 드럼 내부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스파이더(43)는 드럼(30)의 회전 중심 부분에서 더욱 드럼(30) 내측으로 삽입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드럼(30)의 후단 부분에는 스파이더(43)로 인해서 세탁물이 수용되지 않게 된다.
상기 드럼(30)의 내부에는 리프터(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50)는 드럼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50)는 세탁물을 교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례로,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리프터는 세탁물을 상부로 올리게 된다. 상부로 이동한 세탁물은 중력에 의해서 리프터와 분리되어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러한 세탁물이 낙하에 의한 충격력으로 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세탁물의 교반은 건조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세탁물은 드럼 내부에서 전후로 골고루 분배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터는 드럼 후단에서 전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리프터(50)는 일반적으로 드럼을 갖는 의류처리장치에서는 필수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리프터(50)는 드럼 자체의 엠보싱들과는 다르다. 즉, 드럼 내부로 돌출되는 길이가 엠보싱들보다는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 그리고 드럼의 전후로 연장되어 있다는 것이 상이하다.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드럼(30)을 가열하는 장치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덕션 모듈(70)은 전류를 공급받아 자기장을 생성하여 상기 드럼에 와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코일(71)과 상기 코일(71)을 수용하는 모듈커버(72)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커버(72)는 강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자성체는 영구자석일 수 있으며, 페라이트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커버(72)는 상기 코일(71)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페라이트와 같은 강자성체는 상기 코일(7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코일(71)은 하부에 위치되는 드럼(30)을 향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코일(71)의 상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상기 드럼(30)의 가열에 사용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자기장은 코일(71)의 상부가 아닌 코일(71)의 하부로 집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페라이트와 같은 강자성체를 통해서 자기장을 코일(71)의 하부 즉 드럼 방향으로 집중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코일(71)이 터브(20)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페라이트와 같은 강자성제는 코일(7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71)은 강자성체와 드럼(30) 사이에 위치한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커버(72)는 일면이 개구된 박스(BOX)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드럼을 향하는 면이 개구되며 반대의 면은 막혀있는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듈커버(72)의 내부에 코일(71)이 위치되거나 상기 코일(71)의 상부를 상기 모듈커버(72)가 덮게 된다. 상기 모듈커버(72)는 상기 코일(71)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듈 커버(72)는 코일(71)과의 사이에 공기 유동 공간을 형성하여 코일(71)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코일(71)이 상기 드럼(30)을 가열하여 상기 드럼(30) 자체 뿐만 아니라 상기 드럼(30) 내부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럼(30)의 가열을 통해서 상기 드럼(30)과 접하는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으며 상기 드럼(30) 내주면과 접촉하는 의류를 가열할 수 있다. 물론, 드럼 내부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드럼(30)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의류 또한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세탁수, 세탁물 그리고 드럼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물의 건조를 위해서 세탁물, 드럼 그리고 드럼 내부의 분위기 온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코일(71)을 포함하는 인덕션 모듈(70)이 드럼(30)을 가열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와이어를 권선하여 코일(71)을 형성하게 되는데, 따라서 코일(71)은 중심을 갖는다.
상기 와이어에 전류를 공급하면 코일(71) 형상에 의해서 전류는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흐르게 된다. 따라서, 코일(71)을 중심을 통과하는 수직 방향의 자기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코일(71)에 전류의 위상차가 달라지는 교류전류가 통과하면 시간에 따라 방향이 달라지는 교류자기장이 형성된다. 상기 교류자기장은 인접한 도체에 상기 교류자기장과 반대방향의 유도자기장이 발생하며, 상기 유도자기장의 변화는 상기 도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유도전류 및 유도자기장은 전기장 및 자기장의 변화에 대한 관성의 형태로서 이해할 수 있다.
즉, 드럼(30)이 도체로 구비되면, 상기 드럼(30)은 상기 코일(71)에서 발생된 유도자기장으로 인해 유도전류의 일종인 와전류(eddy current) 또는 맴돌이 전류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드럼(30) 도체의 저항에 의해 상기 와전류는 소산되면서 열로 전환된다. 즉, 결과적으로 상기 드럼(30)은 상기 저항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가열되며, 드럼(30) 내부의 온도는 상기 드럼(30)이 가열됨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드럼(30)이 철(Fe)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진 도체로 구비되면 상기 터브(20)에 구비된 코일(71)의 교류전류에 의해 가열되게 될 수 있다. 최근에는 강도 및 위생성 향상을 위해 스테인리스 재질의 드럼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스테인리스 재질은 전기 전도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므로 전자기장의 변화에 의해서 쉽게 가열될 수 있다. 이는 인덕션 모듈(70)을 통해 드럼을 가열하기 위해서 새로운 형태나 재질의 드럼을 특별히 제작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사용되는 드럼, 즉 히트펌프 형태의 의류처리장치나 전기 히터(sheath heater)를 사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서의 드럼,을 인덕션 모듈을 적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그대로 이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코일(71)과 상기 모듈커버(72)를 포함한 인덕션 모듈은 터브(20)의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자기장은 거리에 따라 그 세기가 감소하므로, 상기 인덕션 모듈은 드럼(30)과의 간격을 좁힐 수 있도록 터브(2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터브(20)는 세탁수를 수용하게 되고, 상기 드럼(30)이 회전하면서 진동이 발생하므로 안전을 위해 터브(2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터브 내부는 매우 다습한 환경이므로 코일의 절연성 및 안정성을 위해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70)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브(2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30)이 회전하며 의류(이하 '세탁물')을 세탁하거나 건조하기 때문에 터브(20)는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코일(71)은 상기 터브(20)의 외주면 전체를 적어도 1회 이상 감기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코일(71)이 상기 터브(20)의 둘레 전체를 따라 감기게 되면 상기 코일(71)이 너무 많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터브(20)에서 유출된 세척수가 접촉되어 합선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71)이 상기 터브(20)의 둘레 전체를 따라 감기게 되면 유도자기장이 상기 터브(20)의 개구부(22) 및 구동부(40)에 발생하게 되어, 드럼(30)의 외주면을 직접 가열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코일(71)은 터브(20)의 외주면에 구비되되, 상기 터브(20)의 외주면 일측에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코일(71)은 상기 터브(20)의 외주면 전체를 감도록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터브(2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일정 면적에 적어도 1회 이상 감기어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인덕션 모듈(70)의 출력 대비 드럼(30)의 발열량에 대한 효율을 감안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터브(20)와 캐비닛(10) 사이의 공간을 고려하여 전체 의류처리장치의 제작 효율성을 감안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71)은 단일층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와이어가 복수 개의 층으로 권선되지 않고 단일층으로 권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가 복수 개의 층으로 권선되면 와이어와 와이어 사이에는 갭이 발생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바닥층의 와이어와 바닥층 상부층의 와이어 사이에는 갭만큼의 거리가 발생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바닥층 상부층의 코일과 드럼 사이의 거리는 증가될 수 밖에 없다. 물론, 이러한 갭이 물리적으로 배제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바닥층 상부층의 코일과 드럼 사이는 코일의 층이 증가될 수록 멀어지므로 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코일(71)은 단일 층으로 형성됨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는 동일한 와이어 길이를 사용하면서 최대한 드럼과 접하는 코일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또한 의미하게 된다.
도 1에서는 상기 인덕션 모듈이 상기 터브(20)의 상측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터브의 상측, 하측,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인덕션 모듈의 상기 터브의 상측 또는 상측에서 좌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터브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4개의 사분면이 형성될 때, 인덕션 모듈은 1사분면(1S)이나 2사분면(2S)에 구비되거나, 1사분면(1S_과 2사분면(2S)에 걸쳐서 구비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터브의 상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덕션 모듈이 상기 터브 외주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71)은 상기 인덕션 모듈 내에서 상기 인덕션 모듈이 터브(20)와 인접한 면을 따라 적어도 1회 이상 감기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드럼(30)의 외주면에 직접적으로 유도자기장을 방사하여 상기 드럼(30)에 와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드럼(30)의 외주면을 직접 가열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인덕션 모듈은 외부 전력공급원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 제어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인덕션 모듈의 온/오프 그리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인덕션 모듈은 내부 코일(71)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면 어느 곳에서 전력을 공급받아도 무방하다.
상기 인덕션 모듈에 전력이 공급되어 상기 인덕션 모듈 내부에 구비된 상기 코일(71)에 교류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드럼(30)은 가열된다.
이때, 상기 드럼(30)이 회전하지 않으면 상기 드럼(30)의 일면만 가열되게 되므로, 상기 일면은 과열될 수 있고 상기 드럼(30)의 나머지 면은 가열되지 않거나 가열되는 정도가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30)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에 열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덕션 모듈이 작동되면 상기 구동부(40)가 회전하여 드럼(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드럼(30) 외주면의 모든 면이 상기 인덕션 모듈와 마주볼 수 있다면 상기 구동부(40)가 상기 드럼(30)을 회전시키는 속도는 어느 속도가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드럼(3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30)의 모든 면이 가열될 수 있고, 상기 드럼(30) 내부의 세탁물은 고르게 열에 노출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인덕션 모듈이 상기 터브(20)의 외주면의 상측, 하측, 양측부 등 곳곳에 설치되지 않고 한 곳에만 설치되어도 상기 드럼(30) 외주면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인덕션 모듈(70)의 구동에 의해서 드럼은 매우 빠른 시간 내에서 섭씨 120도 이상으로 가열될 수 있다. 만약, 드럼이 정지된 상태 또는 매우 느린 회전 속도인 상태에서 인덕션 모듈(70)이 구동되면 드럼의 특정 부분은 매우 빠르게 과열될 수 있다. 왜냐하면, 가열된 드럼에서 세탁물로 충분히 열전달이 수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드럼의 회전 속도와 인덕션 모듈(70)의 구동 사이의 상관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인덕션 모듈의 구동되고 드럼을 회전시키는 것보다, 드럼을 회전시키고 인덕션 모듈을 구동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드럼의 회전 속도와 인덕션 모듈의 구동 제어에 대한 상세한 실시예는 후술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50)는 드럼의 전후 중심에서 전후로 연장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드럼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50)의 위치는 인덕션 모듈(70)의 장착 위치와 유사하다. 즉, 리프터(50)의 많은 부분이 인덕션 모듈(70)과 대향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터(50)가 구비되는 드럼의 외주면은 인덕션 모듈(70)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터(50)가 구비되는 드럼의 외주면은 직접적으로 드럼 내부의 의류와 접촉하는 부분이 아니다. 즉, 리프터(50)가 의류와 접촉하므로, 드럼의 외주면에 발행되는 열은 의류가 아닌 리프터(50)로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리프터(50)의 과열이 문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리프터(50)와 접하는 드럼 원주면에서의 과열이 문제될 수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드럼(30)에서 리프터(50)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드럼(30)의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은 생략한 드럼 센터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리프터(50)는 일반적으로 드럼 센터에만 장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리프터(50)는 드럼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장착되는 데, 3개 장착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드럼의 원주면은 리프터가 장착되는 리프터 장착부(323)와 리프터가 장착되지 않는 리프터 배제부(3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통형의 드럼(30)은 금속 판재를 둥굴게 말아서 시밍부(326)를 통해서 형성될 수 있다. 시밍부(326)는 금속 판재의 양단을 용접 등을 통해서 연결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드럼의 원주면에는 다양한 엠보싱 패턴들이 형성될 수 있고 리프터 장착을 위해 복수 개의 관통홀(324)과 리프터 연통홀(32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리프터 배제부(322)에는 다양한 엠보싱 패턴들이 형성되고, 리프터 장착부(323)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과 리프터 연통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리프터 장착부(323)는 드럼의 원주면 일부분이다. 따라서, 리프터 장착과 세탁수의 통과를 위한 최소한의 홀들만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피어싱 등을 통해서 형성되는 홀들이 많아질수록 불필요한 제조비 상승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프터 장착부(323)에는 장착되는 리프터(50)의 외각 형상에 따라 복수 개의 관통홀(24)이 형성되어 이러한 관통홀(24)을 통해서 리프터(50)가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리프터 장착부(323)의 중앙 부분에는 드럼 외부에서 리프터 내부로 세탁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리프터 연통홀(325)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리프터 장착부(323)에는 필요한 홀(324, 325)만 형성되어 있을 뿐 드럼의 외주면의 많은 부분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리프터 장착부(323)의 총 면적에서 홀(324, 325)들이 형성하는 총 면적은 상대적으로 매우 작다. 따라서, 리프터 장착부(323)에서 홀들의 면적을 제외한 많은 면적이 직접적으로 인덕션 모듈(70)과 대향될 수 있다. 즉, 리프터 장착부(23) 자체가 인덕션 모듈(70)에 의해서 가열될 수 있다.
리프터 장착부(323)에는 드럼(3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리프터(50)가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리프터 장착부(23) 자체는 드럼 내부의 의류와 접촉하지 않는다. 다만, 리프터 자체가 드럼과 접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리프터(5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질의 리프터(50)는 리프터 장착부(323)에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리프터 장착부(323)에서 발생되는 열이 리프터(50)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반면, 리프터(50)는 플라스틱 재질이므로 접촉하는 의류로 전달되는 열량이 매우 적게 된다. 왜냐하면, 리프터(50) 자체의 플라스틱 재질은 열전달 특성이 매우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프터 장착부에 접하는 리프터의 일부분만 고온에 노출되고, 이러한 열은 리프터 전체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발명자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리프터 장착부에서의 온도는 섭씨 160도까지 상승할 수 있고, 반면에 리프터가 장착되지 않는 부분에서의 온도는 섭씨 140도까지 상승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리프터 장착부에서 발생되는 열이 의류로 전달될 수 없는 것에 기인하는 것을 생각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터(50)는 과열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리프터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터 장착부(323)에서 발생되는 열을 의류로 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어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과 리프터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드럼의 제작 방법이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일반적인 드럼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다만, 리프터 장착부(323)가 달라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 배제부(322)는 일반적인 드럼에서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리프터 장착부(323)에는 리프터 배제부(322)와는 달리 드럼의 원주면이 배재거나 생략될 수 있다. 즉, 드럼의 원주면 중 리프터의 면적과 유사한 만큼의 면적이 생략되거나 배재될 수 있다. 전술한 리프터의 장착이나 세탁수 통과를 위한 홀들에 의한 생략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의 면적이 생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터 장착부(323)의 중앙 부분에는 함몰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25)는 드럼 원주면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일 수 있으며, 드럼 원주면 일부분이 드럼의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도 4에는 전자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후자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리프터 장착부(323)에는 장착되는 리프터(50)의 형상에 대응되어 복수 개의 관통홀(324, 3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24, 326)은 리프터(50)의 외각 형상에 대응되어 리프터의 외각(프레임)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리프터가 트랙 형상인 경우 상기 관통홀들은 트랙의 외각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관통홀들은 드럼의 원주면 일부분에 구멍을 뚫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리프터 장착부(323)의 중앙 부분에는 드럼 원주면 부분이 생략될 수 있다. 즉, 인덕션 모듈(70)과 대향되는 면적이 생략될 수 있다. 즉, 관통홀(324, 326)들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 전체가 절개되어 절개된 형태의 함몰부(3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325)는 리프터의 내측에 대응되어 형성되어 리프터에 의해서 막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절개 형태의 함몰부는 드럼 내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그리고 드럼 외측에서는 리프터 장착부(323)에 장착된 리프터의 중앙 부분이 보이게 된다.
이러한 리프터 장착부(323)에 의해서 리프터가 장착되는 부분에서 드럼 원주면과 인덕션 모듈(70)이 대향되는 면적이 실질적으로 모두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터 장착부(323)에서 발생되는 열이 매우 작게 된다. 이는 일반적인 플라스틱 형태의 리프터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왜냐하면, 리프터 장착부 전체에서 발생되는 열이 매우 작기 때문에 리프터로 전달되는 열에 의해서 리프터가 과열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플라스틱 리프터를 사용하는 경우 리프터와 리프터 장착부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국부적인 가열이 발생될 수 있고, 이는 국부적인 리프터의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리프터 장착부(323)에 대응되는 면적이 인덕션 모듈과 대향될 때 발생되는 열의 양이 최소이나, 인덕션 모듈이 구동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에너지의 대부분이 열 에너지로 변환되지 않으므로 에너지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리프터의 과열 방지와 리프터 장착부에서 발생되는 에너지 손실 최소화를 모두 충족하는 것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제공자는 특정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건조 기능이 없는 세탁기와건조 기능이 있는 세탁기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 용량의 모델의 경우 동일한 구성들은 공통 부품을 사용하여 생산하는 것이 매우 경제적이다.
일례로, 동일 용량(세탁 처리 용량)을 갖는 세탁기나 세탁 겸 건조기의 경우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동일한 드럼과 동일한 리프터를 다양한 모델에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경제적일 수 있다. 이는 기존에 사용하는 드럼과 리프터를 새로운 모델에서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제품 경쟁력에서는 유리할 수 있다. 왜냐하면, 대량 생산을 전제로 하면 기존 부품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초기 투자비나 제고 관리비 또는 생산 원가가 증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드럼이나 리프터의 구조나 재질들을 변경하지 않고 제어적으로 리프터의 과열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들에 대한 간략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인덕션 모듈(70)을 통해서 드럼(30)을 가열하는 것은 동일하다. 그리고 드럼(30) 내부에 리프터(50)를 장착하는 것도 동일하다. 또한, 드럼의 반경 방향 외측, 더욱 구체적으로는 터브(20)의 외주면에 인덕션 모듈(70)을 장착하는 것도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의 회전 각도를 파악하여 인덕션 모듈(70)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 내지는 출력의 크기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드럼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특정점을 기준으로 드럼의 회전 각도를 0도에서 360도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리프터가 최상부에 위치하는 A 지점에서의 드럼의 회전 각도를 0도라 정의할 수 있다. 드럼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그리고 3 개의 리프터가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동일 간격으로 위치하는 경우, 드럼의 회전 각도가 0도인 경우, 드럼의 회전 각도가 120인 경우 그리고 드럼의 회전 각도가 240도인 경우 각각에 리프터가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리프터의 좌우 폭을 고려하면 대략 2-10도의 각도 범위에 리프터가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드럼이 회전할 때 리프터(50)의 위치를 파악하여 인덕션 모듈에 의한 드럼 가열량을 가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리프터(50)가 인덕션 모듈(70)에 대향되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인덕션 모듈에 의한 드럼 가열량을 줄이거나 없애고, 대향되는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 드럼 가열량을 정상적으로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드럼 가열량의 변화는 인덕션 모듈의 출력 변화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의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항상 인덕션 모듈에서 소모되는 에너지를 유지하지 않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리프터(50)에 대응되는 드럼 부분에서는 소모되는 에너지를 현저히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리프터(50) 부분에서의 과열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드럼의 원주 방향에 따라 동일 간격으로 구비되는 리프터(50)와 마찬가지로 구비되는 영구자석(80a)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자석(80a)은 드럼의 회전 각도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리프터(50)와 마찬가지로 자석(80a)은 원주 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터의 개수와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리프터와 자석 사이의 각도는 복수 개의 리프터와 자석 사이에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자석의 위치가 감지되면 특정 자석과 연관된 리프터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 개의 자석의 위치가 감지되면 세 개의 리프터의 위치가 감지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이 회전될 때 특정 위치에서 자석이 감지되면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60도 가량 드럼이 더욱 회전하는 위치에 리프터가 위치됨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의 회전됨에 따라 자석(80a)의 위치를 감지하여 리프터(5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드럼의 회전 각도에서 어느 각도 지점에 자석이 위치하는 지를 감지할 수 있고, 자석의 위치를 통해서 리프터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센서(85)는 자석을 감지하고 단순히 자석의 감지 여부만을 센싱할 수 있다. 드럼(30)의 회전 속도는 특정 시점에서 일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자석의 감지된 시점에서 특정 시간이 경과되면 리프터(50)가 인덕션 모듈(70)에 대향되는 위치에 도달하는지 알 수 있다.
쉽게 설명하면, 드럼이 1RPM으로 회전한다고 전제하면 60초 동안 드럼은 360도 회전한다고 할 수 있다. 3개의 자석과 3개의 리프터가 동일 각도로 배치된다면, 센서(85)가 특정 자석(80)을 감지한 시점에서 드럼이 60도 더 회전하는 위치 즉 10초 후에 리프터가 센서와 대향되는 위치에 도달함을 알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85)가 드럼(30)의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자석을 감지하면, 특정 리프터는 인덕션 모듈(70)과 대향되는 위치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리프터가 인덕션 모듈(70)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인덕션 모듈(70)에 의한 드럼 가열량은 줄이고 대향되는 위치를 벗어나면 드럼 가열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오프하거나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리프터(50)와 동일한 위치에 자석(80)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자석 위치 센싱이 리프터 위치 센싱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선제적인 인덕션 모듈 구동이 어려울 수 있다. 매우 빠른 시간으로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가변시킬 수 있지만, 자석을 감지함과 동시에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가변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자석이 차지하는 각도에 비해서 리프터(50)가 차지하는 각도는 더욱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자석의 위치는 특정 각도로 정의할 수 있지만, 리프터의 각도는 특정 각도가 아닌 특정 각도 범위로 정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출력 가변을 위한 시간 구간과 리프터가 차지하는 각도 구간을 구려하면, 보다 정확한 인덕션 모듈의 출력 가변을 위해서 자석의 위치는 리프터와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소정 각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자석 감지 시점에서 소정 시간 딜레이 시간을 허용하여 리프터 위치를 추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가변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허용되는 딜레이 시간은 드럼 RPM에 따라 달라짐이 바람직하다.
자석(80a)은 드럼과 함께 회전하여야 한다. 따라서, 드럼에 자석(80a)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자석(80a)을 감지하는 센서(85)는 터브(20)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된 터브(20)에 대해서 드럼(30)이 회전하는 것처럼, 고정된 센서(85)에 대해서 자석(80a)이 회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자석(80a)의 위치를 감지하여 리프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제어 구성들을 도시하고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메인 제어부(100) 내지 메인 프로세서는 의류처리장치의 각종 구동을 제어한다. 일례로, 드럼(30)의 구동 여부 그리고 드럼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제어부(100)와 제어를 바탕으로 하여 인덕션 모듈(70)의 출력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모듈 제어부는 IH(induction heater) 제어부, IS(induction system) 제어부, HS(heating system) 제어부 내지는 모듈 프로세서라 할 수 있다.
모듈 제어부(200)는 인덕션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거나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메인 제어부(100)에서 모듈 제어부(200)로 인덕션 모듈이 작동을 명령하는 경우, 모듈 제어부(200)는 인덕션 모듈이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인덕션 모듈이 단순히 온/오프의 동작만을 반복하는 경우는 별도의 모듈 제어부(20)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이 구동되면 인덕션 모듈이 온으로 제어되고 드럼이 정지하면 인덕션 모듈이 오프로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이 구동되는 도중 인덕션 모듈의 온/오프가 반복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제어 변경의 시점은 매우 빠르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제어부(100)와는 별도로 인덕션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메인 제어부(100)의 처리 용량의 과다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기도 하다.
센서(85)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자석(80a)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모듈 제어부(200)로 전달할 수 있으면 족하다.
센서(85)는 리드 스위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리드 스위치는 스위치 형태로 자석에 의한 자력을 받으면 스위치가 온되고 자력에서 벗어나면 스위치가 오프되는 센서일 수 있다. 즉, 자석이 리드 스위치에 최대한 근접하게 위치하면 자석의 자력에 영향을 받아서 리드 스위치가 온되고, 자석이 리드 스위치에서 벗어나면 리드 스위치가 오프될 수 있다. 리드 스위치의 온과 오프는 서로 다른 신호나 플레그를 출력하게 된다. 일례로, 리드 스위치가 온인 경우 5V의 신호 그리고 리드 스위치가 오프인 경우 0V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신호를 모듈 제어부(200)에서 수신하여 리퍼트(50)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반대로, 리드 스위치는 온인 경우 0V의 신호를 출력하고 오프인 경우 5V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자력을 감지하는 구간이 자력을 감지하지 않는 구간보다 클 수밖에 없기 때문에, 자력을 감지할 때 0V의 신호를 출력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모듈 제어부(200)는 메인 제어부(100)를 통해서 현재의 드럼 RPM 정보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리프터와 자석들 사이의 상대적인 각도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모듈 제어부(200)는 리드 스위치의 신호를 기초로 하여 리프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물론, 추정되는 리프터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모듈 제어부(200)는 인덕션 모듈(70)의 출력을 가변시킬 수 있다. 리프터(50)가 인덕션 모듈(70)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모듈 제어부(200)는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0으로 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리프터(50) 부분에서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리프터(50) 부분에서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85)는 홀 센서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홀 센서는 자석(80a)을 감지하여 서로 다른 플레그(flag)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자석(80a)을 감지하는 경우 0 플레그 그리고 자석을 감지하지 않는 경우 1 플레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어느 경우나, 모듈 제어부(200)는 자석을 감지하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리프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추정된 리프터의 위치를 근거로 하여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가변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리프터의 개수와 동일하게 자석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리프터들은 서로 동일한 간격을 갖고 배치될 수 있으므로, 특정 리프터의 위치가 감지되면 다른 리프터들의 위치는 매우 정확하게 추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3 개의 자석들 중 2 개의 자석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대한 블럭도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메인 제어부(100)는 드럼의 회전 각도 및/또는 모터(41)의 회전 각도를 알고 있다. 즉, 모터(41)와 드럼이 일체로 회전하여 모터(41)의 회전 각도와 드럼의 회전 각도가 동일함을 전제로 하면, 하나의 자석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3개의 리프터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일례로, 드럼이 1RPM으로 회전하고 하나의 자석에 대해서 60도 회전된 위치에 리프터가 위치할 수 있다. 센서(85)가 자석(80a)을 감지하면, 60도 회전 위치(즉, 10초 후)에서 특정 리프터가 위치됨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10초가 더욱 경과된 시점에 두번째 리프터가 위치되고, 10초가 더욱 더 경과된 시점에 세번째 리프터가 위치됨을 알 수 있다.
즉, 메인 제어부(100)에서는 센서(85)에서 감지되는 하나의 자석에 대한 정보를 통해서 3 개의 리프터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메인 제어부(100)는 이러한 리프터 위치를 기초로 하여 모듈 제어부(200)가 인덕션 모듈(70)의 출력을 가변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프터가 인덕션 모듈에 대향되는 시점 내지는 드럼 회전 각도 구간에서는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줄이거나 0으로 제어하고, 대향 시점 내지는 대향 구간을 벗어나면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와 리프터 부분에 대한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종래에 사용되는 드럼과 리프터를 변경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은 리프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별도의 센서와 별도의 자석이 구비되어야만 한다. 물론, 이러한 센서와는 다른 형태의 센서를 통해서 리프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리프터의 위치를 파악을 목적으로 하는 별도의 센서가 필요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리프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는 구성의 추가로 인해 제조가 복잡할 수 있고 제조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는 필요없는 센서나 자석이 부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구성들의 장착을 위해서 터브나 드럼의 형상 내지는 구조도 변경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별도의 센서와 자석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전술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드럼의 내주면을 전개한 일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의 내주면에는 다양한 엠보싱 패턴(9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은 드럼 내부로 볼록한 양각 형태 반대로 드럼 외부로 볼록한 음각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엠보싱의 모양은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엠보싱의 패턴은 일반적으로 드럼 원주 방향으로 동일하고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엠보싱과 마찬가지로 드럼을 내외부를 관통하는 통공들이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세탁수가 드럼의 내외부로 출입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리프터가 장착되는 부분에서는 이러한 엠보싱 패턴(90)이 생략됨이 바람직하다. 즉, 일정한 드럼 내주면의 반경이 유지되어야 리프터의 장착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프터가 장착되지 않는 부분은 드럼 내주면의 반경 변화가 작다.
엠보싱의 많은 부분은 드럼 내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돌출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다. 왜냐하면 엠보싱이 드럼 내부로 돌출되어야 엠보싱에 의한 드럼 내주면의 면적이 증가될 수 있고, 따라서 의류와 드럼 내주면과의 마찰 면적이 더욱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엠보싱이 없고 동일한 반경을 갖는 드럼을 전제로 하면, 드럼은 회전 각도와 무관하게 항상 동일한 면적 그리고 동일한 이격 거리를 갖고 인덕션 모듈(70)과 대향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엠보싱 패턴은 세탁 효율이나 건조 효율 증가를 위해서 필수적인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엠보싱 패턴에 의해서 인덕션 모듈에 대한 대향 면적과 대향 거리는 드럼의 회전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전술한 엠보싱 패턴의 유무 또는 엠보싱 패턴의 변화에 의해서 드럼의 대향 면적과 대향 거리는 드럼의 회전 각도에 따라 달라지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인덕션 모듈과 대향되는 드럼의 형상이 달라질 수밖에 없다.
도 8은 드럼의 회전 각도에 따른 인덕션 모듈(70)에서의 전류와 출력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즉, 드럼의 회전 각도에 따라 인덕션 모듈에서의 전류와 출력은 변화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특정 시점 내지는 특정 각도에서 전류와 출력이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인덕션 모듈에서 감지되는 전류의 변화 내지는 출력의 변화를 통해서 별도의 센서없이 리프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일례로, 인덕션 모듈의 출력이 유지되는 동안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인덕션 모듈에서의 전류나 출력은 가변될 수 있다.
피드백 제어를 통해서 동일한 전류나 출력을 갖도록 제어되는 상태에서, 리프터 부분이 인덕션 모듈과 대응되는 경우 전류나 출력을 줄이게 된다. 왜냐하면 대향면의 면적과 거리가 가장 짧아지는 위치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드럼 회전 각도의 변화에 따른 인덕션 모듈에서의 전류나 출력(전력)의 변화를 통해서 리프터 장착 부분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터 장착 부분위 위치를 추정하면, 리프터 장착 위치에서의 인덕션 모듈의 출력은 O이 되도록 제어하거나 출력(전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360도를 기준으로 대략 50-70도 구간, 대략 170-190도 구간 그리고 대략 290-310도 구간에 리프터가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덕션 모듈이 구동되고 드럼이 한바퀴 회전하는 동안, 3 개의 각도 구간에 리프터가 리프터가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리프터의 위치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동일 과정을 복수 회 반복하여 리프터의 위치를 보정하여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터의 위치의 추정이 확정되면, 이후의 드럼 회전부터는 리프터의 위치에 기초하여 인덕션 모듈의 출력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드럼과 리프터의 특별한 변경없이 효율 증진 및 리프터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필요한 상황에서 인덕션 모듈(70)의 구동을 시작(S50)하여 드럼을 가열시킨다. 이러한 드럼 가열은 드럼 내부의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터브 내부의 세탁수를 가열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건조 행정이나 세탁 행정이 수행되는 시점에 이러한 인덕션 모듈(70)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탈수 행정에서도 인덕션 모듈(70)이 구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매우 빠른 속도로 드럼이 회전하므로 드럼의 가열량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원심력에 의한 수분 제거와 가열에 의한 수분 증발이 복합적으로 수행되어 탈수 효과는 더욱 증진될 수 있을 것이다.
인덕션 모듈(70)이 구동을 시작하면 종료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S51)하고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인덕션 모듈(70)의 구동을 종료(S56)할 수 있다. 종료 조건은 세탁 행정의 종료일 수 있고 건조 행정의 종료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동 종료(S56)는 하나의 세탁 코스나 건조 코스 내에서 최종적인 종료가 아닌 일시적인 종료일 수 있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의 온/오프는 반복될 수 있다.
일단 인덕션 모듈(70)이 구동을 시작하면 인덕션 모듈(70)은 종료(S56)될 때까지 정상 출력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설정된 출력을 갖도록 제어되며, 보다 정확한 출력 제어를 위해서 피드백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70)의 구동 단계는 모듈 제어부에서 인덕션 모듈을 정상 출력으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터 부분에서의 과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드럼이 회전함에 따른 리프터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S53)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리프터가 인덕션 모듈에 대향되는 위치(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인덕션 모듈과 마주보는 위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프터의 위치 감지는 드럼이 구동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물론, 드럼이 구동되는 동안 항상 인덕션 모듈이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헹굼 행정에서는 드럼이 구동하지만 인덕션 모듈이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세탁수의 가열의 종료된 후 지속되는 세탁 행정에서 드럼의 구동은 지속되지만 인덕션 모듈은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이 구동된 후에 비로소 리프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리프터의 위치 감지는 인덕션 모듈의 구동이 시작됨을 전제로 하여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리프터의 위치를 감지하면 리프터가 특정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출력을 줄이거나 0으로 하는지 여부를 판단(S54)한다. 리프터가 대향위치임을 감지하면 출력을 줄이거나 0으로 하는 조건이 만족된다. 따라서, 출력 감소 또는 출력을 O으로 한다(S55). 그리고, 리프터가 대향위치가 아님을 감지하면 출력을 정상으로 유지한다(S57).
이러한 단계들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리프터의 대향위치에서 출력을 낮추고 리프터의 대향위치가 아닌 경우 출력을 정상 출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적인 방법으로 리프터 부분의 과열을 방지함과 동시에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리프터의 위치에 따른 출력 제어는 항상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드럼이 구동되고 인덕션 모듈이 구동되는 동안, 리프터의 위치와 무관하게 항상 출력이 유지될 수 있다. 즉, 리프터의 과열이 무시될 수 있다면 이러한 제어는 생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리프터 과열 회피를 위한 리프터의 위치 감지 및 출력 제어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2)가 수행될 수 있다. 이는 리프터의 위치 감지가 수행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드럼의 회전 속도가 빠른 경우, 일례로 200 RPM 이상인 경우에는 드럼 회전 속도가 빠르므로 리프터 부분에서 발생되는 가열량이 상대적으로 작다. 물론, 드럼 회전 속도가 빨라 드럼과 의류가 접촉되는 면적과 시간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이 경우 의류는 리프터에 의해서 요동하지 않고 드럼 내주면에 밀착하기 때문이다.
즉, 드럼이 텀블링이 아닌 스핀 구동되는 RPM 이상에서는 리프터 위치에 따른 가열량 제어는 무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터 가열 회피 로직을 적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52)는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단계에서 적용되는 조건은 RPM뿐만 아니라 다른 조건일 수 있다. 일례로, 건조 행정에서 드럼이 가열되면 열은 의류로 전달되는 양이 많다. 따라서, 의류와 접촉되지 않는 리프터 부분에서의 과열이 문제될 수 있다. 반면에, 터브에 세탁수가 수용되어 드럼의 외주면 일부분이 세탁수에 잠긴 경우, 드럼이 가열되면 열은 대부분 세탁수로 전달된다. 이는 리프터 배제부뿐만 아니라 리프터 장착부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리고 리프터의 적어도 일부분은 직접 세탁수에 잠기게 된다. 따라서, 세탁수를 가열하는 경우에도 리프터 가열 회피 로직이 배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리프터 가열 회피 로직을 적용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조건은 어떤 행정인지 여부일 수도 있다. 세탁행정인 경우 리프터 가열 회피 로직이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리프터 가열 회피 로직 진입을 위한 조건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한편, 리프터의 위치 감지 단계(S50)은 다양한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센서와 자석을 이용하는 경우, 센서없이 인덕션 모듈의 전류 변화나 출력 변화를 이용하는 경우 등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인덕션 모듈과 드럼 사이의 위치 관계와 그리고 인덕션 모듈과 드럼의 형상으로 인해, 인덕션 모듈은 실질적으로 특정 부분의 드럼만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정지된 드럼을 인덕션 모듈이 가열하게 되면, 드럼의 특정 부분만 매우 고온으로 가열될 수 있다. 일례로, 인덕션 모듈이 터브의 상측에 위치되고 드럼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 인덕션 모듈이 구동되면 드럼의 상부 외주면만 가열될 수 있다.
드럼이 정지된 상태에서 드럼의 상부 외주면은 세탁수와 세탁물과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드럼의 상부 외주면은 매우 과열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드럼이 회전될 필요가 있다. 즉, 드럼이 회전하여 가열되는 부분을 가변시키고, 가열된 열을 세탁수나 세탁물로 전달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의 작동을 위해서는 먼저 드럼이 회전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인덕션 모듈의 작동과 드럼 구동 사이에 대한 제어로직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드럼(30)을 히팅하는 드럼 히팅 모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 행정이나 건조 행정 도중에 수행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드럼 히팅 모드는 세탁 행정과 건조 행정 구간 내에서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드럼 히팅(S10) 모드가 수행되면 히팅 종료 조건 만족 여부를 판단(S20)할 수 있다. 히팅 지속 시간, 목표 드럼 온도, 목표 건조도 그리고 목표 세탁수 온도 등 어느 하나의 조건이 히팅 종료 조건일 수 있다. 즉, 어느 하나의 조건이 만족되면 히팅 모드는 종료(S70)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행정에서 세탁수를 90도까지 가열하도록 드럼 히팅(S10)이 지속될 수 있다. 드럼 히팅(S10)은 세탁수가 90도에 도달되면 종료될 수 있다. 건조 행정에서 건조도가 만족될 때까지 드럼 히팅(S10)이 지속될 수 있다.
세탁기나 건조기에서 드럼의 회전 속도는 일반적으로 텀블링 구동이 가능한 회전 속도로 구동된다. 드럼이 정지 상태에서 곧바로 텀블링 구동되는 속도로 가속된다. 그리고, 텀블링 구동은 정역 회전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즉, 시계 방향으로 텀블링 구동이 지속된 후 드럼 정지 후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텀블링 구동될 수 있다.
드럼의 회전 속도가 매우 낮으면 마찬가지로 드럼의 특정 부분이 과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텀블링 구동 속도가 40RPM인 경우, 드럼이 정지 상태에서 40RPM으로 회전될 때까지 소정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드럼을 텀블링 구동을 시작하는 시점과 드럼이 정상적인 텀블링 구동하는 시점은 다르다. 즉, 드럼이 텀블링 구동을 시작하면 드럼은 정지 상태에서 점차 가속되어 텀블링 RPM에 도달된 후 텀블링 RPM으로 구동되게 된다. 일정 방향으로 텀블링 구동이 수행되다가 다시 드럼은 정지하고 다른 방향으로 텀블링 구동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드럼의 과열 방지 그리고 가열 에너지 효율 및 시간 효율을 증가시킬 필요성이 있다.
드럼의 RPM이 매우 낮은 구간에서는 가열을 회피하는 것이 드럼 과열 회피 차원에서 좋다. 반대로, 드럼의 RPM이 정상 구간에 도달한 후에야 드럼을 가열하는 것은 시간 손실을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의 작동 시점은 드럼이 회전을 시작한 후 그리고 정상적인 텀블링 RPM 도달 전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드럼 과열 회피의 목적이 더욱 중요하므로, 텀블링 RPM 도달 후 인덕션 모듈을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일례로, 드럼 RPM이 30 RPM보다 큰 경우에 인덕션 모듈이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드럼 RMP 조건을 판단(S40)하고, 이를 만족시키는 경우 인덕션 모듈을 온(S50)할 수 있다. 그리고, 드럼 RPM이 30 RPM보다 작은 경우 인덕션 모듈이 작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인덕션 모듈을 오프(S60)할 수 있다.
즉, 특정 RPM 보다 큰 경우에만 인덕션 모듈이 작동하도록 하고 특정 RPM보다 작은 경우에는 인덕션 모듈이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상적인 텀블링 구동 구간에서 인덕션 모듈은 드럼 회전이 시작된 후 구동되고 드럼 회전이 정지되기 전 구동이 정지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정상적인 텀블링 RPM 보다 작은 기설정 RPM을 기준으로 인덕션 모듈이 온/오프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텀블링 구동 구간이 복수 회 반복되는 경우, 이러한 인덕션 모듈의 온/오프도 반복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럼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해 드럼 온도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3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드럼 온도 조건은 전술한 드럼 RPM 조건과 함께 또는 독자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함께 적용되는 경우 조건 판단 시점의 선후는 달라질 수 있다. 도 10에서는 드럼 온도 조건 판단이 먼저 수행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의 중앙 부분은 드럼의 전단과 후단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가열된다. 일례로, 드럼의 중앙 부분은 섭씨 140도 전후로 가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럼의 중앙 부분이 섭씨 160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드럼의 과열로 판단될 수 있다. 물론, 과열 판단에 대한 드럼 온도 조건은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섭씨 160도는 드럼 주변 구성들의 열변형이나 세탁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기설정된 온도일 수 있다. 따라서, 드럼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이거나 초과하는 경우, 인덕션 모듈의 작동을 오프(S60)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는, 일례로, 드럼 온도가 160도 미만, 드럼 RPM이 40, 목표 세탁수의 온도가 섭씨 90도인데 현재 세탁수의 온도가 섭씨 40도인 경우를 가정하면, 인덕션 모듈은 온 상태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조건들을 통해서 신뢰성이 보장되고 안전한 드럼 히팅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인덕션 모듈의 가변 제어는 인덕션 모듈이 온 상태에서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덕션 모듈 온 단계(S50)에서 인덕션 모듈의 출력 가변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출력 가변 제어에 대한 실시예는 도 9를 통해 설명한 바 있다. 그러므로, 텀블링 구동이 지속되는 경우, 인덕션 모듈은 정상 출력 구간과 감소 출력 구간이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드럼 히팅 모드에 대한 제어 로직과 리프터 과열 방지에 대한 제어 로직은 양자가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드럼의 과열을 미연에 방지, 예기치 않은 드럼 과열 시 드럼 가열 신속 중단 그리고 리프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드럼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60)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인덕션 모듈(70)에 의해서 가열되는 가열 대상은 드럼(30)이다. 따라서, 과열이 직접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구성은 드럼(30)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드럼(30)은 회전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드럼 히팅은 드럼이 회전됨을 전제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드럼의 특수성에 의해서 드럼 자체의 온도를 센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드럼에서 가장 온도가 높은 드럼 중앙 부분(즉, 드럼의 외주면에서 전후 중심 부분)에서의 드럼 온도를 센싱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드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드럼의 온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 일례로, 비접촉식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드럼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적외선 온도 센서를 통해서 센싱 대상이 되는 드럼 외주면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다.
그러나, 드럼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구성이며 터브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드럼 내외의 환경은 고온 다습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 외주면을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여 온도를 센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러한 어려움에 직면하여 본 발명자는 드럼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즉, 드럼 발열에 따른 공기 온도값을 통해 드럼 온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드럼 외주면과 터브 내주면 사이의 간격은 대략 20mm 전후일 수 있다. 따라서, 드럼 외주면과 터브 내주면 사이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여 드럼 온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터브(20)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온도센서(60) 터브 내주면과 드럼 외주면 사이의 공기 온도를 센싱한다. 터브 내주면과 드럼 외주면 사이에는 공기가 구비된다. 따라서, 실제 드럼 외주면의 온도와 공기의 온도(온도센서에서 센싱한 온도)의 차이는 공기에 의한 열전달량(드럼 외주면과 온도센서 사이에서)과 공기에 의한 열저항을 곱한 값이라 할 수 있다.
드럼의 회전에 의해서 드럼 외주면 부분에 일정한 공기 유동이 발생되는 경우, 드럼 외주면의 온도와 터브 내측에서 측정되는 공기 온도의 차는 일정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 외주면의 온도는 상수와 측정된 온도값의 합으로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추정된 드럼 외주면의 온도를 기초로 하여 인덕션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드럼 외주면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서는 드럼의 외주면과 온도 센서 사이에 온도의 증감을 야기시키는 외부 환경이 최대한 배제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외부 환경은 온도를 낮추는 환경이 대부분일 것이다.
일례로, 드럼의 회전에 의한 공기 유동뿐만 아니라 다른 요소에 의한 공기 유동이 더욱 활발한 경우에는 정확한 온도 추정이 어려울 수 있다. 일례로, 냉각수가 유입되는 부분에서는 드럼에서의 열량이 많은 부분 냉각수로 열전달되어 정확한 온도 추정이 어려울 수 있다. 일례로, 터브 외부의 상대적으로 저온의 환경과 직접 연통되는 부분에서는 드럼에서의 열량이 많은 부분 터브 외부로 열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인덕션 모듈의 자기장의 영향을 받는 부분에 온도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정확한 온도 측정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온도 센서의 장착 위치는 매우 한정될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정확한 온도의 측정, 가장 온도가 높은 드럼 부분에 대한 온도 측정 그리고 터브 자체의 구조에 의해 터브 연결부(전방 터브와 후방 터브가 서로 결합되는 부분)와의 간섭 회피 등 다양한 인자들이 고려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 센서(60)의 장착 위치에 대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터브(20)의 횡단면으로 터브의 내측 후벽(201)과 내측벽(202)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인덕션 모듈(70)은 터브의 상측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터브를 4 사분면으로 나누는 경우, 인덕션 모듈(70)은 1사분면(2S) 또는 2사분면(2S)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양자에 걸쳐서 위치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나, 인덕션 모듈(70)은 터브의 상하 중심선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터브(20)의 2사분면(S2)에는 일반적으로 숨구멍(203)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터브 내부는 터브 외부에 대해서 완전히 밀폐되지 않고 상기 숨구멍(203)을 통해서 공기의 연통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숨구멍(203)에 대응되는 터브(20)의 2사분면(2S)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갖는 외부 공기의 영향을 받게 된다.
터브(20)의 3사분면(3S)에는 가열된 습공기를 냉각시켜 수분을 응축하기 위한 응축포트(23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터브 외부에서 냉각수를 터브 내부로 공급하여 터브 내부의 가열된 습공기를 냉각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응축포트(230)가 구비될 수 있다. 냉각수가 공급되는 3사분면(3S)에 해당되는 터브의 내부는 온도가 낮은 응축수의 영향을 받게 된다.
터브(20)의 4사분면(4S)에는 터브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덕트 홀(202)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 내부에서 냉각수에 의해서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덕트 홀(202)을 통해서 터브(20) 외부로 배출된다. 물론, 배출된 공기는 다시 터브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따라서, 덕트 홀(202) 부분 즉 4사분면(4S)에 해당되는 터브의 내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게 되며, 공기의 유동이 빠르게 된다.
한편, 공기는 가열되면 밀도가 낮아져 상승하는 경향을 갖는다. 따라서, 터브의 4사분면(4S)과 3사분면(3S)에 비해서 1사분면(1S)과 2사분면(2S)에 온도 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숨구멍(203), 응축포트(230)그리고 덕트 홀(202) 구성을 고려하면, 최적의 온도 센서 위치는 제1사분면(1S)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제1사분면(1S)에서도 상기 온도 센서(60)는 인덕션 모듈(70) 보다 터브 중심에서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각도 치우친 위치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인덕션 모듈(7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영향이 상기 온도 센서(60)에 미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11에는 자기장의 영향 영역을 "B" 박스로 표시하였다. 따라서, 온도 센서(60)는 "B" 영역을 벗어난 터브의 제1사분면(1S)에서 터브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는 전방 터브와 후방 터브가 볼트 또는 스크류를 통해서 결합되는 연결부(209)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09)는 터브의 외주면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욱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연결부(209)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결국, 온도 센서의 위치는 터브의 횡단면 기준으로 제1사분면(1S)에 위치하여 x와 y축을 기준으로 양의 값을 갖는 위치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터브의 전후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터브의 전후 중심 부근에서 연결부(209)의 전방 내지는 후방에 위치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온도 센서(60)가 메인 제어부(100)와 연결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온도 센서(60)에서 센싱한 온도를 바탕으로 메인 제어부(100)가 드럼의 온도를 추정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 온도가 추정되면, 이를 기초로 하여 도 10에 도시된 S30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온도 센서(60)는 별도로 드럼의 온도를 추정하는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온도 센서(60)에서 추정된 드럼 온도 결과를 상기 메인 제어부(10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S30단계는 메인 제어부(100)가 아닌 모듈 제어부(200)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어느 경우나, 드럼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를 넘어가는 경우, 드럼의 과열로 인식하여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오프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드럼의 과열 방지를 위한 제어 로직, 리프터의 과열 방지를 위한 제어 로직, 드럼의 과열 방지를 위한 온도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로직을 통해서,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이 보장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드럼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센싱하면서도 보다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는 온도 센서 및 온도 센서의 장착 위치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 각각의 특징들은 서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 : 캐비닛 20 : 터브
30 : 드럼 322 : 리프터 배제부
323: 리프터 장착부 325 : 함몰부(절개부)
50 : 리프터 60 : 온도 센서
80a : 자석 85 : 센서 90 : 엠보싱
30 : 드럼 322 : 리프터 배제부
323: 리프터 장착부 325 : 함몰부(절개부)
50 : 리프터 60 : 온도 센서
80a : 자석 85 : 센서 90 : 엠보싱
Claims (37)
-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리프터;
상기 드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온도센서; 그리고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회전을 시작하여 상기 드럼의 RPM이 소정 RPM보다 큰 경우에 상기 인덕션 모듈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드럼의 RPM이 상기 소정 RPM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인덕션 모듈이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량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터브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의 내주면과 상기 드럼의 외주면 사이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터브의 1사분면과 2사분면 중 어느 하나 또는 1사분면과 2사분면에 걸쳐 상기 인덕션 모듈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2사분면에는 상기 터브 내부와 터브 외부의 공기 연통을 위한 숨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인덕션 모듈보다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4사분면에는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순환시키기 위한 덕트 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의 3사분면에는 상기 터브 내부로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응축포트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드럼의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큰 경우, 상기 인덕션 모듈의 구동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RPM은 텀블링 RPM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리프터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발열량을 달리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리프터의 위치가 상기 인덕션 모듈과 대향되는 대향 위치에서의 상기 드럼의 발열량보다 상기 리프터의 위치가 상기 대향 위치를 벗어난 위치에서의 상기 드럼의 발열량이 더 크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와의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드럼에 구비되는 자석; 그리고
상기 드럼 외부에 고정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드럼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자석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원주면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구비되고,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리프터;
상기 드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온도센서; 그리고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여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서 발생되는 발열량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RPM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RPM이 소정 RPM 보다 큰 경우, 상기 인덕션 모듈을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드럼의 RPM이 소정 RPM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인덕션 모듈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서 상기 드럼의 온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드럼의 온도가 소정 온도보다 큰 경우, 상기 모듈 제어부에서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감소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정상 출력보다 낮게 제어하거나 출력을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RPM은 0 RPM 보다 크고 텀블링 RPM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삭제
-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터브에 구비되는 센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인덕션 모듈의 전력 변화를 통하여 상기 리프터의 위치를 추정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의 위치가 상기 인덕션 모듈과 대향되는 위치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 출력을 감소시키는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삭제
-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드럼;
상기 터브의 상부에서 상기 드럼 회전축 방향을 따라 터브 전후방향으로 감기는 코일을 포함하는 인덕션 모듈;
상기 드럼 내부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리프터;
상기 드럼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온도센서; 그리고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는 모듈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회전을 시작하여 상기 드럼의 RPM이 소정 RPM보다 큰 경우에 상기 인덕션 모듈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드럼의 RPM이 상기 소정 RPM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인덕션 모듈이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인덕션 모듈에 대향되는 드럼의 위치가 가변되고 있을때 구동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회전 중에는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이 가변제어 되는 구간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은 드럼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가변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의 가변제어는 드럼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제어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인덕션 모듈은 의류가 상기 드럼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속도에서는 가변제어를 하지 않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인덕션 모듈은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200RPM이상에서는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을 감소하는 제어는 하지 않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세탁행정에서는 상기 인덕션 모듈은 가변제어를 하지 않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RPM이 30RPM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인덕션 모듈을 작동하고, 30RPM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인덕션 모듈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는 원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엠보싱이 드럼 원주면에서 드럼 중심으로 돌출 또는 상기 터브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리프터에 인접한 부분에는 상기 엠보싱은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가 배치되는 상기 드럼의 원주면에는 적어도 상기 리프터의 중앙 부분에는 함몰되거나 절개되어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드럼 외주면과 상기 터브 내부면 사이의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상부에는 상기 터브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숨구멍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온도센서는 원주방향에 대하여 상기 인덕션 모듈을 기준으로 상기 숨구멍과 반대 측에 설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인덕션 모듈보다 상기 터브 중심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각도 더 치우친 위치에 장착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의 위치가 상기 인덕션 모듈의 위치에 인접해지는 대향위치에 있을 때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은 상기 대향위치에서 상기 리프터가 벗어나는 경우 상기 인덕션 모듈의 출력보다 더 작게 하거나 제로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복수개를 포함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리프터 또는 인접한 위치의 드럼에는 자석을 배치하고, 상기 터브에는 상기 자석을 센싱하는 센서를 장착하되, 상기 센서는 상기 인덕션 모듈의 반대편에 배치되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8223A KR102377240B1 (ko) | 2017-08-25 | 2017-08-25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AU2017316101A AU2017316101B2 (en) | 2016-08-25 | 2017-08-25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PCT/KR2017/009341 WO2018038580A1 (ko) | 2016-08-25 | 2017-08-25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RU2019108097A RU2704898C1 (ru) | 2016-08-25 | 2017-08-25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
US16/328,100 US10941511B2 (en) | 2016-08-25 | 2017-08-25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EP18188199.6A EP3447181B1 (en) | 2017-08-25 | 2018-08-09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US16/111,492 US11060232B2 (en) | 2017-08-25 | 2018-08-24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US17/170,134 US11421369B2 (en) | 2016-08-25 | 2021-02-08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US17/870,290 US11828016B2 (en) | 2016-08-25 | 2022-07-21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US18/382,297 US20240044067A1 (en) | 2016-08-25 | 2023-10-20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08223A KR102377240B1 (ko) | 2017-08-25 | 2017-08-25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2212A KR20190022212A (ko) | 2019-03-06 |
KR102377240B1 true KR102377240B1 (ko) | 2022-03-22 |
Family
ID=6320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08223A KR102377240B1 (ko) | 2016-08-25 | 2017-08-25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060232B2 (ko) |
EP (1) | EP3447181B1 (ko) |
KR (1) | KR10237724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0079B1 (ko) * | 2017-08-09 | 2022-0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US10626543B2 (en) * | 2018-05-18 | 2020-04-21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Induction heating system for a dryer appliance |
CN111748992B (zh) * | 2019-03-28 | 2024-03-08 | 惠而浦公司 | 衣物处理装置及组合式洗衣干衣机 |
US11598042B2 (en) | 2019-03-28 | 2023-03-07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induction heat |
CN112111906B (zh) * | 2019-06-03 | 2024-07-16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
CN112481976B (zh) * | 2019-08-20 | 2024-05-03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一种干衣机的控制方法 |
CN112411149A (zh) * | 2019-08-20 | 2021-02-26 |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 一种干衣机 |
WO2021187875A1 (ko) * | 2020-03-16 | 2021-09-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EP4123077A4 (en) * | 2020-03-16 | 2024-05-01 | LG Electronics Inc. | CLOTHING TREATMENT DEVICE |
EP4123076A4 (en) * | 2020-03-16 | 2024-04-10 | LG Electronics, Inc. | CLOTHING TREATMENT DEVICE |
US20230124336A1 (en) * | 2020-03-16 | 2023-04-20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CN115298379A (zh) * | 2020-03-16 | 2022-11-04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8043281A1 (de) * | 2008-10-29 | 2010-05-06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Hau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mit einer Heiz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izen einer Waschlauge und/oder von Wäschestücken in einer Trommel eines Hausgeräts |
DE102009026646A1 (de) * | 2009-06-02 | 2010-12-09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Wäsche in einer Waschmaschine mittels einer Induktionsheizung sowie Waschmaschine hierfür |
DE102016110859B3 (de) * | 2016-05-19 | 2017-06-22 | Miele & Cie. Kg | Vorrichtung zum Waschen und bzw. oder zum Trocknen von Wäsch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58694A (ja) * | 1984-08-31 | 1986-03-2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衣類乾燥機 |
JP3870620B2 (ja) | 1999-09-09 | 2007-01-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洗濯機 |
KR100922986B1 (ko) | 2009-01-12 | 2009-10-22 | 윤태소 | 건조기 |
TR201005181A2 (tr) * | 2010-06-25 | 2010-12-21 | Vestel Beyaz E�Ya Sanay� Ve T�Caret Anon�M ��Rket�@ | Bir indüksiyon ısıtma sistemi |
KR20180023277A (ko) * | 2016-08-25 | 2018-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
2017
- 2017-08-25 KR KR1020170108223A patent/KR10237724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8-09 EP EP18188199.6A patent/EP3447181B1/en active Active
- 2018-08-24 US US16/111,492 patent/US1106023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08043281A1 (de) * | 2008-10-29 | 2010-05-06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Hau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mit einer Heiz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izen einer Waschlauge und/oder von Wäschestücken in einer Trommel eines Hausgeräts |
DE102009026646A1 (de) * | 2009-06-02 | 2010-12-09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Wäsche in einer Waschmaschine mittels einer Induktionsheizung sowie Waschmaschine hierfür |
DE102016110859B3 (de) * | 2016-05-19 | 2017-06-22 | Miele & Cie. Kg | Vorrichtung zum Waschen und bzw. oder zum Trocknen von Wäsch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2212A (ko) | 2019-03-06 |
EP3447181B1 (en) | 2021-09-29 |
US11060232B2 (en) | 2021-07-13 |
EP3447181A1 (en) | 2019-02-27 |
US20190062981A1 (en) | 2019-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77240B1 (ko) |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US11828016B2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102377042B1 (ko) | 의류처리장치 | |
EP3505674B1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US11926950B2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