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75243B1 - Charging connector - Google Patents

Charging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243B1
KR102375243B1 KR1020200088060A KR20200088060A KR102375243B1 KR 102375243 B1 KR102375243 B1 KR 102375243B1 KR 1020200088060 A KR1020200088060 A KR 1020200088060A KR 20200088060 A KR20200088060 A KR 20200088060A KR 102375243 B1 KR102375243 B1 KR 102375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terminal
inner housing
installation space
rea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80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9631A (en
Inventor
이헌준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243B1/en
Publication of KR20220009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6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2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설치공간(32)이 있는 충전하우징(10)과,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 내부에 수납되고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부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의 내부에 걸려 1차고정되는 충전터미널(T1)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너하우징(55)이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에 설치되고,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T1)의 외부를 감싼다. 또한,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되면 리어홀더(80)가 상기 이너하우징(55)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기 이너하우징(55)에 연결된 상기 충전터미널(T1)을 2차고정시키며, 와이어시일(S1)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T1)에 연결된 충전와이어(W)를 감싸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이너하우징(55)과 상기 리어홀더(8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너하우징(55) 및 상기 리어홀더(80)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connect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housing 10 having a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therein, and a contact portion accommodat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and protruding toward the opposite terminal is caught inside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Includes a primary fixed charging terminal (T1). And an inner housing 55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 and the inner housing 55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charging terminal T1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 In addition, when assembled to the charging housing 10, the rear holder 80 supports the rear of the inner housing 55 to secondaryly fix the charging terminal T1 connected to the inner housing 55, and a wire seal (S1)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harging wire (W)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T1)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the inner housing (55) is the inner housing (55) and It is located between the rear holder 80 and may be compressed between the inner housing 55 and the rear holder 80 .

Figure R1020200088060
Figure R1020200088060

Description

충전커넥터{Charging connector}Charging connector {Charging connector}

본 발명은 충전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것이고,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은 이중으로 걸려 고정됨과 동시에 방수기능이 있는 충전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arging connector for charging a battery of a vehicle, wherein the terminal installed therein is double-hung and fixed and at the same time has a waterproof function.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자동차에서는 구동원을 구동시키기 위해서 고전압 배터리가 사용되고, 배터리는 충전커넥터를 통해서 충전된다. 자동차에 설치된 충전커넥터는 인렛커넥터라고 하는데, 이러한 인렛커넥터는 충전스테이션에 설치된 플러그커넥터와 결합하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In an electric vehicle or hybrid vehicle, a high voltage battery is used to drive a driving source, and the battery is charged through a charging connector. A charging connector installed in a vehicle is called an inlet connector, and this inlet connector can receive power when combined with a plug connector installed in a charging station.

충전스테이션에서는 고전압이 제공되므로 전기연결의 안정성이 중요하다. 전기연결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충전커넥터의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이 충전커넥터에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충전커넥터의 뒤쪽에 일종의 커버인 리어홀더를 조립하여 터미널을 후방에서 한번 더 지지해주도록 할 수 있다. Since a high voltage is provided at the charging station, the stability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important. In order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it is necessary to keep the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charging connector firmly fix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charging connector. To this end, by assembling a rear holder, which is a kind of cover, on the back of the charging connector,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terminal once more from the rear.

그리고, 이러한 충전스테이션은 외부환경에 노출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방수성능도 요구된다. 즉, 인렛커넥터와 플러그커넥터는 그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기능을 가져야 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 충전커넥터에는 방수시일이 설치된다. 방수시일은 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가 바깥쪽으로 배출되는 입구 부분에도 설치되어서, 입구 부분과 와이어의 사이 틈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때 방수시일은 리어홀더에 의해 압축되어 방수성능을 높일 수 있다. And, since this charging station can be used in a stat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waterproof performance is also required. That is, the inlet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must have a waterproof function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the inside. For this purpose, a waterproof seal is installed on the charging connector. The waterproof seal is also installed at the inlet where the wire connected to the termina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preventing moisture from entering into the gap between the inlet and the wire. At this time, the waterproof seal can be compressed by the rear holder to increase the waterproof performance.

그런데 리어홀더가 충전커넥터에 조립되어 시일을 안쪽으로 압축하면, 리어홀더에 눌린 시일이 터미널을 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터미널이 충전커넥터의 내부에서 정위치를 벗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들 사이가 정확하게 밀착되기 어렵고, 애초에 설계된 위치에서 벗어나 결과적으로 전기연결의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단락이 발생될 수도 있다. However, when the rear holder is assembled to the charging connector and the seal is compressed inward, the seal pressed on the rear holder pushes the terminal. This can cause the terminal to be out of position inside the charging connector.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fit the terminals, and as a result, the stability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may be deteriorated or a short circuit may occur as a result of deviation from the originally designed position.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일의 압축량을 줄이면 충전커넥터의 방수성능이 낮아진다. 또한 시일을 터미널이 삽입되는 입구 주변이 아니라 터미널을 직접 감싸도록 안쪽에 설치해서 커버가 시일을 누르지 않도록 하면 입구를 통해서 수분이 유입되어 역시 방수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To solve this, if the compression amount of the seal is reduced, the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charging connector is lowered. In addition, if the seal is installed inside to directly surround the terminal rather than around the inlet where the terminal is inserted, so that the cover does not press the seal, moisture flows in through the inle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proof performance is also deteriorated.

한편, 시일이 커버에 의해 압축되는 과정에서 시일이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면, 시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축되지 못하고 어느 한쪽의 압축량이 많아진다. 이렇게 되면 압축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쪽은 방수성능이 떨어져 수분이 유입될 수 있고, 충전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eal is twisted to either side while the seal is compressed by the cover, the seal is not compressed evenly throughout and the amount of compression on either side increases. In this case, the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side with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compression may be lowered and moisture may be introduc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harging connector is deteriorated.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94354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794354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01396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1801396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커넥터의 내부에 설치된 충전터미널의 뒤쪽을 리어홀더로 한번 더 고정하되, 리어홀더가 방수시일을 눌러 압축하더라도 방수시일의 압축력이 충전터미널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x the rear of the charging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charging connector with the rear holder once more, even if the rear holder is compressed by pressing the waterproof seal This is to prevent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waterproof seal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harging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어홀더에 의해 방수시일이 압축될 때 방수시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축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waterproof seal to be compressed evenly as a whole when the waterproof seal is compressed by the rear hold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설치공간이 있는 충전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설치공간 내부에 수납되고,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부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내부에 걸려 1차고정되는 충전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성 재질인 이너하우징과, 상기 충전하우징에 조립되면 상기 이너하우징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기 이너하우징에 연결된 상기 충전터미널을 2차고정시키는 리어홀더 및 와이어시일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ging housing having a terminal installation space therein, and a contact part that is accommodat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and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A charging terminal that is primarily fixed by hanging inside the space, an inner hous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at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and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charging terminal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and assembled to the charging housing and a rear holder and a wire seal for supporting the rear of the inner housing and secondarily fixing the charg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inner housing.

그리고, 상기 와이어시일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에 연결된 충전와이어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이너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너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And, the wire seal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harging wir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located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rear holder, compressed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rear holder can be

또한, 상기 이너하우징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인접한 상기 충전터미널의 후방부를 감싸되, 상기 이너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내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In addition, the inner housing surrounds the rear por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housing is caught inside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movement is restricted.

그리고, 상기 이너하우징은 상기 충전터미널을 감싼 상태로 상기 충전터미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구간 안에서 상기 충전터미널과 상대이동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inner housing is movable relative to the charging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in a state that surrounds the charging terminal.

또한, 상기 이너하우징에는 상기 와이어시일을 상기 리어홀더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판이 있고, 상기 가압판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걸려 상기 이너하우징이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안쪽으로 이동되는 정도가 제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housing has a pressure plate that presses the wire seal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holder, and the pressure plate is caught at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to limit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inner housing 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

그리고, 상기 가압판은 상기 와이어시일과 밀착되는 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판과 상기 와이어시일은 서로 면접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sure plate has a flat surfac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re seal, so that the pressure plate and the wire seal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이너하우징의 가압판에서 상기 이너시일과 접촉되는 표면의 반대편 표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 마련된 걸림홈에 끼워져 상기 이너하우징이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a lock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pressure plate of the inner housing opposite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eal, and the locking protrusion is fitted into a locking groove provid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to prevent the inner housing from rotating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can be

그리고, 상기 충전터미널에서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부에는 고정턱이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 있는 랜스부에 걸려 상기 충전터미널이 1차고정되고, 상기 충전터미널의 몸체부는 상기 접촉부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되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를 향한 상기 몸체부의 저면은 상기 이너하우징의 상단에 지지되어 2차고정된다. In addition, a fixing jaw protrudes from the contac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harging terminal in the direction of the opposite terminal, and the charging terminal is primarily fixed by being caught by the lance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and the body por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contact por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facing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having a diameter is supported by the upper end of the inner housing and is secondarily fixed.

또한, 상기 이너하우징의 가압판에는 상기 리어홀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부가 있고, 상기 결합돌부는 상기 와이어시일에 관통된 결합홀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홀더와 접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sing plate of the inner housing may have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hold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 may pass through a coupling hole through the wire seal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holder.

그리고, 상기 결합돌부의 길이는 압축되기 전의 상기 와이어시일의 두께 보다 작고, 상기 와이어시일이 상기 리어홀더에 의해 압축되면 상기 결합돌부의 끝부분이 상기 결합홀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홀더에 접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wire seal before compression, and when the wire seal is compressed by the rear holder, th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passes through the coupling hole to contact the rear holder. there is.

또한, 상기 이너하우징은 상기 충전터미널과 상기 충전와이어의 연결부분을 감싸 상기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housing may surrou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charging wire to shield the connection port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충전터미널의 몸체부의 표면에는 터미널시일이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시일은 상기 이너하우징을 향한 상기 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고정턱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A terminal seal may be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body of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seal may be coupled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body toward the inner hous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jaws of the body.

또한, 상기 이너하우징은 상기 충전터미널의 외부를 감싸는 결합몸체와, 상기 와이어시일을 향한 상기 결합몸체의 뒤쪽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시일과 밀착되는 가압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판은 상기 와이어시일과 마주보는 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시일과 면접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housing includes a coupling body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harging terminal, and a pressure plate formed on the back of the coupling body facing the wire seal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ire seal, the pressure plate facing the wire seal The surface may be configured as a flat surface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wire seal.

그리고, 상기 이너하우징의 결합몸체에는 상기 충전터미널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부가 상기 충전터미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open portion for exposing a por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to the outside may exten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on the coupling body of the inner housing.

또한, 상기 이너하우징의 결합몸체는 상기 충전터미널의 외부를 감싸되, 상기 이너하우징의 결합몸체의 상단은 상기 충전터미널의 몸체부의 저면과 접촉하여 상기 충전터미널이 상기 리어홀더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upling body of the inner housing wraps around the outside of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body of the inner housing contacts the bottom of the body of the charging terminal to prevent the charging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in the rear holder direction. can do.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설치공간이 있는 충전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설치공간 내부에 수납되고,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부는 상대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터미널과,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에 조립되는 절연성 재질인 이너하우징과, 상기 충전하우징에 조립되면 상기 이너하우징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기 이너하우징 및 상기 이너하우징과 조립된 상기 충전터미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어홀더 및 와이어시일을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시일은 상기 충전터미널에 연결된 충전와이어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이너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너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ing housing having a terminal installation space therein, a charging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and a contact port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opposit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posite terminal; An inner hous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ssembled to the charging terminal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and the charging terminal assembled with the inner housing and the inner housing by supporting the rear of the inner housing when assembled to the charging housing It includes a rear holder and a wire seal to prevent it from being separated. The wire seal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harging wir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rear holder to be compressed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rear holder.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 충전터미널은 충전하우징의 내부에서 걸려 1차고정되고, 충전터미널의 뒤쪽에는 리어홀더가 설치되어 충전터미널을 2차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충전터미널은 최소한 2군데에서 각각 고정되므로 충전터미널의 안정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전기적 연결안전성이 향상되며, 그에 따라 동작신뢰성도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ing terminal is primarily fixed by hanging from the inside of the charging housing, and a rear holder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harging terminal to secondaryly fix the charging terminal.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harging terminals are respectively fixed at least at two places, the charging terminals can be stably fixed, electrical connection safety is improved, and thus operation reliability is also improv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충전하우징의 내부에는 이너하우징이 설치되어 충전터미널을 감싸고, 방수를 위한 와이어시일은 이너하우징과 리어홀더 사이에 위치한다. 이렇게 되면 리어홀더가 와이어시일을 후방에서 밀어 압축시키더라도, 와이어시일의 압축력은 이너하우징에만 전달될 뿐이고, 충전터미널은 와이어시일의 압축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따라서, 충전터미널은 일정한 설치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상대터미널과의 연결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ner housing is installed inside the charging housing to surround the charging terminal, and a wire seal for waterproofing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rear holder. In this case, even if the rear holder pushes and compresses the wire seal from the rear,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wire seal is transmitted only to the inner housing, and the charging terminal does not receive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wire seal. Accordingly, the charging terminal can maintain a constant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also be stably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에서 이너하우징에는 가압판이 있어서 와이어시일을 리어홀더 방향으로 눌러주는데, 이때 가압판은 와이어시일과 밀착되는 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가압판과 와이어시일은 서로 면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시일이 압축될 때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넥터의 방수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ressure plate in the inner housing to press the wire seal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holder. Accordingly, when the wire seal is compressed, it can be compressed evenly as a whole without twisting to either side, thereby improving the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connector.

그리고, 본 발명의 커넥터에는 외부의 충전하우징 안쪽에 절연체인 이너하우징이 설치되어 충전터미널의 뒤쪽을 감싸준다. 이너하우징은 충전터미널이 커넥터의 내부에서 절연성 부품과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주고, 특히 이너하우징은 충전터미널과 충전와이어의 연결부분을 감싸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해주므로, 커넥터의 절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nd, 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sulator inner housing is installed inside the external charging housing to surround the rear of the charging terminal. The inner housing expands the area where the charging terminal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sulating part inside the connector. In particular, the inner housing wraps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charging wire so that the connection par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e insulation of the connector is improved. has the effect of being

또한, 이너하우징은 충전터미널과는 별개물로, 별도로 사출성형된 후에 충전터미널의 뒤쪽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시일을 압축하고, 충전터미널을 커넥터의 내부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는 사출성형될 수 있는 이너하우징 쪽이 담당하고, 상대터미널과 조립되어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역할은 충전터미널 쪽이 담당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충전터미널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해져 가공성이 좋아지고, 충전터미널의 제조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housing is separate from the charging terminal and may be separately injection-molded and then inserted into the back of the charging terminal. Therefore, the complex structure for compressing the wire seal and hooking and fixing the charging terminal to the inside of the connector is handled by the injection-molded inner housing, and the charging terminal plays the role of being assembled with the other terminal and responsible for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in charge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the charging terminal is relatively simple, so that processability is improved,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harging terminal can be greatly reduc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이너하우징에는 결합돌부가 리어홀더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이러한 결합돌부는 와이어시일에 관통된 결합홀을 통과하여 리어홀더와 접촉된다. 이렇게 되면 리어홀더가 커넥터에 조립될 때 리어홀더와 이너하우징 사이에서 와이어시일이 압축되지만, 결합돌부가 리어홀더에 닿을 때까지만 압축된다. 따라서 와이어시일의 과도한 압축이 방지되고, 와이어시일의 내구성 및 커넥터의 방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holder in the inner housing, and the coupling protrusion passes through a coupling hole through the wire seal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holder. In this way, when the rear holder is assembled to the connector, the wire seal is compressed between the rear holder and the inner housing, but is compressed only until the coupling protrusion touches the rear holder. Accordingly, excessive compression of the wire seal can be prevented, and the durability of the wire seal and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connector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도 1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충전하우징에서 충전터미널, 이너하우징 및 리어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충전터미널들 중 하나를 충전하우징에서 분리한 상태로 표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충전터미널에 이너하우징 및 와이어시일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이너하우징 및 와이어시일이 충전터미널에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의 일실시례를 조립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조립순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ifferent angle from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harging terminal, an inner housing, and a rear holder are separated from the charging housing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one of the charging terminals in FIG. 4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charging housin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n inner housing and a wire seal are combined to a charging termina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housing and the wire seal are separated from the charging terminal in FIG. 6;
8(a) to 8(c) are assembly flowcharts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an embodiment of the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은 충전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방수기능이 있는 충전커넥터이다. 본 발명의 충전커넥터의 내부에는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충전터미널(T1)이 설치되는데, 상기 충전터미널(T1)은 충전하우징(10)의 내부에서 걸려 1차고정되고, 충전터미널(T1)의 뒤쪽에는 리어홀더(80)에 의해 2차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충전커넥터는 방수시일에 의해 보호되어 방수기능을 갖게 되는데, 아래에서는 이와 같은 충전터미널(T1)의 고정구조와 방수구조를 중심으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connector, and is a charging connector having a waterproof function. A charging terminal (T1) responsible for electrical connection is installed inside the charg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harging terminal (T1) is primarily fixed by hanging inside the charging housing (10), and the rear of the charging terminal (T1) The second is fixed by the rear holder (80). In addition, the charg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tected by a waterproof seal and has a waterproof function. Hereinafter, the fixing structure and the waterproof structure of the charging terminal T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충전커넥터는 전기 자동차(Electric Vehicle; EV) 또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등에 구비되는 것이고, 자동차 쪽에 설치되는 인렛커넥터이거나, 또는 충전스테이션에 설치되는 플러그커넥터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충전커넥터가 인렛커네터인 것으로 예로 들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The charg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n electric vehicle (EV) or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 etc., and is an inlet connector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or a plug connector installed in a charging station may be Hereinafter, the charg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an inlet connector.

본 실시례에서 충전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은 충전하우징(10)이 만든다. 상기 충전하우징(10)은 그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될 충전터미널(T1)을 비롯한 부품들이 내장된다. 상기 충전하우징(10)의 골격을 만드는 하우징몸체(11)는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안쪽에는 전후방향, 즉 상대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의 결합방향으로 관통되어 터미널설치공간(32)이 만들어진다. In this embodiment,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charging connector is made by the charging housing (10). The charging housing 10 has a built-in component therein, including a charging terminal T1 to be described below. The housing body 11 forming the skeleton of the charging housing 1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inside of the housing body 11 is penetr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t is, in the coupling direction with a counterpart connector (not shown) to form a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

상기 하우징몸체(11)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브라켓(12)이 있다. 상기 브라켓(12)은 충전커넥터를 자동차의 내부에 상기 충전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브라켓(12)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브라켓(12)에 체결하여 충전커넥터를 고정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brackets 12 are provided at the edge of the housing body 11 . The bracket 12 is for fixing the charging connector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and the charging connector may be fixed by fastening a fastener such as a bolt to the bracket 12 .

도 2를 보면, 상기 하우징몸체(11)의 하부에는 배수홀(19)이 있다. 상기 배수홀(19)은 상기 충전하우징(10)으로 유입된 물을 아래쪽으로 유도하여, 최종적으로는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배수홀(19)은 상기 충전커넥터의 방수성능 높이기 위한 것으로, 생략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2 , a drain hole 19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body 11 . The drain hole 19 is for guiding the water flowing into the charging housing 10 downward, and finally discharging it. That is, the drain hole 19 is for improving the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charging connector, and may be omitted.

상기 하우징몸체(11)의 전방에는 충전부(20)가 있다. 상기 충전부(20)는 상대커넥터인 플러그커넥터와 연결되는 것으로, 전방으로 노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충전부(20)에는 별도의 커버가 결합되어서 충전을 할 때만 충전부(20)가 노출되게 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충전부(20)는 제1충전부(21)와 제2충전부(25)로 구성되는데, 서로 높이를 달리해서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례에서 제1충전부(21)는 교류전류로 충전되고, 제2충전부(25)는 직류전류로 충전되는 것으로, 여기에는 각각 별개의 플러그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다. 이들 제1충전부(21) 및 제2충전부(25)는 동시에 또는 각각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둘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There is a charging part 20 in front of the housing body 11 . The charging unit 20 is connected to a plug connector that is a counterpart connector, and is exposed forward. Although not shown, a separate cover may be coupled to the charging unit 20 to expose the charging unit 20 only when charging. In this embodiment, the charging unit 20 is composed of a first charging unit 21 and a second charging unit 25, which are located at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harging unit 21 is charged with AC current, and the second charging unit 25 is charged with DC current, and separate plug connectors may be connected thereto. The first charging unit 21 and the second charging unit 25 may be used simultaneously or individually, and either one may be omitted.

상기 제1충전부(21)에는 교류연결공간(21)이 있고, 상기 제2충전부(25)에는 직류연결공간(25)이 있다. 여기에는 플러그커넥터의 일부가 삽입되는데, 상기 교류연결공간(21)과 직류연결공간(25)은 상기 하우징몸체(11)의 두께 방향(도 1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몸체(11)를 관통해서 만들어진다. 상기 제1충전부(21) 또는 제2충전부(25)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되거나, 서로 위치를 바꾸어 구비될 수도 있다. The first charging unit 21 has an AC connection space 21 , and the second charging unit 25 has a DC connection space 25 . A part of the plug connector is inserted therein, and the AC connection space 21 and the DC connection space 25 are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using body 11 (front and rear direction based on FIG. 1). is made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charging unit 21 or the second charging unit 25 may be omitted or provided by changing positions.

도 1과 도 2를 보면, 충전와이어(W)와 센싱와이어(WS)가 뒤쪽으로 연장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충전와이어(W)와 센싱와이어(WS)는 아래에서 설명될 충전터미널(T1)들과 센싱터미널(TS1, TS2)들에 각각 연결된 것으로, 플러그커넥터에서 공급된 전원을 배터리쪽으로 전달한다. 도면에는 상기 충전와이어(W)와 센싱와이어(WS)가 중간에 잘린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1 and 2, it can be seen that the charging wire (W) and the sensing wire (WS) are extended to the rear. The charging wire W and the sensing wire W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s T1 and the sensing terminals TS1 and TS2 to be described below, and transfer power supplied from the plug connector to the battery. In the drawing, the charging wire (W) and the sensing wire (WS) are shown in a cut form in the middle.

도 2을 보면, 상기 하우징몸체(11)의 배면쪽에는 터미널삽입부(30)가 있다. 상기 터미널삽입부(30)는 상기 충전부(20)에 대응하는 것으로, 충전터미널(T1)이 삽입되는 부분이 된다. 상기 터미널삽입부(30)는 상기 충전부(30)와 마찬가지로, 제1삽입부(31)와 제2삽입부(35)가 서로 높이를 달리하여 구비되고, 상기 제1삽입부(31)에는 교류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1충전터미널(T1)이 설치되고, 상기 제2삽입부(35)에는 직류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2충전터미널(T1)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충전터미널(T1)과 제2충전터미널(T1)을 충전터미널(T1)로 통칭하고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re is a terminal insertion part 30 on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body 11 . The terminal insertion part 30 corresponds to the charging part 20, and becomes a part into which the charging terminal T1 is inserted. The terminal inserting part 30 is provided with the first inserting part 31 and the second inserting part 35 having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similar to the charging part 30 , and the first inserting part 31 has an alternating current. A first charging terminal T1 for supplying power is installed, and a second charging terminal T1 for supplying DC power is installed in the second inserting part 35 .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charging terminal T1 and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T1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charging terminal T1 and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상기 제1삽입부(31)에는 제1터미널설치공간(32)이 있고, 상기 제2삽입부(35)에는 제2터미널설치공간(36)이 있다. 상기 제1터미널설치공간(32)과 제2터미널설치공간(36)은 상기 하우징몸체(11)의 두께 방향(도 1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몸체(11)를 관통해서 만들어진다. 이하에서는 제1터미널설치공간(32)을 중심으로 설명하되, 편의를 위해 터미널설치공간(32)으로 칭하기로 한다. The first insertion part 31 has a first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35 has a second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6 . The first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and the second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6 are formed by penetrating the housing body 11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using body 11 (front and rear direction based on FIG. 1 ). Hereinafter, the first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will be mainly described, but for convenience, it will be referred to as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

상기 제1삽입부(31)의 표면에는 제1체결턱(33, 도 3참조)이 돌출되고, 제2삽입부(35)의 표면에는 제2체결턱(37, 도 2참조)이 돌출된다. 이들 제1체결턱(33)과 제2체결턱(37)은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제1리어홀더(81) 및 제2리어홀더(85)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체결턱(33)에는 제1리어홀더(81)의 제1체결후크(83)가 걸리고, 상기 제2체결턱(37)에는 제2리어홀더(85)의 제2체결후크(87)가 걸린다.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33 (refer to FIG. 3)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first inserting part 31, and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37 (refer to FIG. 2) protrudes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inserting part 35. . These first fastening protrusions 33 and second fastening protrusions 37 are for fastening with a first rear holder 81 and a second rear holder 85 to be described below, respectively. The first fastening hook 83 of the first rear holder 81 is caught on the first fastening jaw 33 , and the second fastening hook 87 of the second rear holder 85 is caught on the second fastening jaw 37 . ) takes

도 3을 보면, 상기 제1삽입부(31)와 상기 제2삽입부(35)에는 각각 제1체결리브(34)와 제2체결리브(39)가 있다. 상기 제1체결리브(34)는 상기 제1삽입부(31)가 상기 하우징몸체(11)에서 돌출되는 방향, 즉 도면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리브(39)는 상기 제2삽입부(35)가 상기 하우징몸체(11)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리브(34)와 상기 제1체결리브(34)는 각각 아래에서 설명될 리어홀더(80)의 제1체결슬릿(84) 및 제2체결슬릿(88)과 결합하여, 리어홀더(80)의 조립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first inserting part 31 and the second inserting part 35 include a first fastening rib 34 and a second fastening rib 39 , respectively. The first fastening rib 34 is 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inserting part 31 protrudes from the housing body 11, that i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econd fastening rib 39 is The second insertion part 35 is formed in a direction to protrude from the housing body 11 . The first fastening ribs 34 and the first fastening ribs 34 are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slits 84 and second fastening slits 88 of the rear holder 80 to be described below, respectively, so as to form a rear holder. (80) serves to guide the assembly.

상기 충전하우징(10)에는 충전터미널(T1)이 삽입된다. 상기 충전터미널(T1)은 상기 제1삽입부(31)가 수납되는 제1충전터미널(T1)과, 상기 제2삽입부(35)에 수납되는 제2충전터미널(T1)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동일한 도면을 부여하고 충전터미널(T1)로 통칭하기로 한다. A charging terminal T1 is inserted into the charging housing 10 . The charging terminal T1 is composed of a first charging terminal T1 in which the first inserting part 31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charging terminal T1 being accommodated in the second inserting part 35, which are The same drawing will be given and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charging terminal T1.

상기 충전터미널(T1)과 함께 상기 충전하우징(10)에는 센싱터미널(TS1, TS2)이 삽입된다. 상기 센싱터미널(TS1, TS2)은 충전커넥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삽입된다. 상기 센싱터미널(TS1, TS2)은 한 개 또는 다수개가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삽입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센싱터미널(TS1, TS2)은 다수개로 구성된다. 상기 센싱터미널(TS1, TS2)은 상기 제1삽입부(31)와 제2삽입부(35)에 각각 삽입되어, 제1삽입부(31)에 수납된 충전터미널(T1)의 온도와 제2삽입부(35)에 수된 충전터미널(T1)의 온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Sensing terminals TS1 and TS2 are inserted into the charging housing 10 together with the charging terminal T1. The sensing terminals TS1 and TS2 ar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harging connector, and are inserted into the charging housing 10 . One or a plurality of the sensing terminals TS1 and TS2 may be inserted into the charging housing 10. In this embodiment, the sensing terminals TS1 and TS2 are configured in plurality. The sensing terminals TS1 and TS2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ng part 31 and the second inserting part 35, and the temperature of the charging terminal T1 accommodated in the first inserting part 31 and the second The temperature of the charging terminal T1 applied to the insertion part 35 may be measured, respectively.

상기 센싱터미널(TS1, TS2)은 상기 충전터미널(T1)과 같은 방향으로 삽입되거나, 이와 다른 방향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제1삽입부(31)에 삽입되는 센싱터미널(TS1)은 충전터미널(T1)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되는데 반해, 상기 제2삽입부(35)에 삽입되는 센싱터미널(TS2)은 센싱통과홀(38)을 통해서 이와 직교한 방향으로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된다. The sensing terminals TS1 and TS2 may be inser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harging terminal T1 or may be inserted in a different direction. As shown in FIG. 3 , the sensing terminal TS1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ng part 31 is assembled to the charging housing 1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harging terminal T1 , whereas the second inserting part 35 ) is inserted into the sensing terminal (TS2) is assembled to the charging housing (10) in a direction orthogonal thereto through the sensing through hole (38).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충전터미널(T1) 중에서 제2삽입부(35)에 삽입되는 제2충전터미널(T1)은 2개의 부품(T1,T2)으로 구성되는데, 전방에 위치한 충전터미널(T1)과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하는 연결터미널(T2)이 있다.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연결터미널(T2)은 서로 용접 등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충전터미널(T1)은 상대적으로 고압의 전원이 공급되므로, 이를 허용하기 위해 제1충전터미널(T1) 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T1)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art (35) among the charging terminals (T1) is composed of two parts (T1, T2), the charging terminal (T1) located in the front ) and a connection terminal (T2) located at the rear relatively. The charging terminal T1 and the connection terminal T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elding or the like. Since the second charging terminal (T1) is supplied with relatively high voltage power, in order to allow this, it may be composed of two parts having a size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charging terminal (T1).

상기 충전터미널(T1)의 구조를 자세히 보면, 도 6 및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충전터미널(T1)의 골격은 원기둥형상의 몸체부(51)가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51)의 앞쪽에는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접촉부(도면부호 미부여)가 돌출된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몸체부(51) 보다 직경이 작은 세장형(細長型)의 원통형상이다. 상기 접촉부는 상대터미널 쪽의 빈 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charging terminal T1 in detail, 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skeleton of the charging terminal T1 is formed by a cylindrical body 51 , and the front of the body 51 is The contact part (reference numeral not assigned)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opposite terminal. The contact portion has an elongated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body portion 51 . The contact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an empty space on the opposite terminal side and coupled thereto.

상기 접촉부에는 고정턱(52)이 있다. 상기 고정턱(52)은 상기 접촉부 보다 직경이 큰 부분으로, 대략 링형상이다. 상기 고정턱(52)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에 있는 랜스부(32a, 도 4 참조)에 걸려 상기 충전터미널(T1)이 상기 충전하우징(10)에 1차고정되게 한다. 상기 고정턱(52)이 상기 랜스부(32a)를 타고 넘는 과정에서 상기 랜스부(32a)는 탄성변형되었다가 복원되면서 상기 고정턱(52)을 걸어준다. 도 4에는 이와 같이 상기 랜스부(32a)가 상기 고정턱(52)을 건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턱(52)은 생략되고, 상기 접촉부 자체가 터미널설치공간(32)의 내부에 걸릴 수도 있다. The contact portion has a fixed jaw 52 . The fixing jaw 52 is a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contact portion, and has a substantially ring shape. The fixing jaw 52 is caught on the lance part 32a (refer to FIG. 4 )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so that the charging terminal T1 is primarily fixed to the charging housing 10 .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ixed jaw 52 rides over the lance unit 32a, the lance unit 32a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n restored to hang the fixed jaw 52.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lance part 32a hangs the fixing jaw 52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jaw 52 is omitted, and the contact portion itself may be caught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

상기 충전터미널(T1)의 몸체부(51)의 표면에는 터미널시일(S2)이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시일(S2)은 상기 이너하우징(55)을 향한 상기 몸체부(51)의 저면(51a)으로부터 상기 몸체부(51)의 고정턱(52)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결합된다. 상기 터미널시일(S2)은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상대터미널의 결합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수분이 뒤쪽, 즉 와이어시일(S1)이 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terminal seal (S2) is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1) of the charging terminal (T1). The terminal seal (S2) is coupled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51a) of the body (51) toward the inner housing (55)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jaw (52) of the body (51). The terminal seal (S2) may prevent moisture existing around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charging terminal (T1) and the opposite terminal from flowing in the rear, that is, the wire seal (S1).

상기 충전터미널(T1)의 몸체부(51)는 상기 접촉부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있다. 상기 몸체부(51)의 저면(51a)은 아래에서 설명될 이너하우징(55)에 지지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충전터미널(T1)의 뒤쪽에 배치되는 이너하우징(55)의 앞부분이 상기 몸체부(51)의 저면(51a)을 지지하는 것이다. 도 7에는 상기 몸체부(51)의 저면(51a)이 표시되어 있는데, 상기 몸체부(51)의 저면(51a)은 그 뒤쪽으로 이어지는 부분 보다 직경이 커서 단차가 만들어지고, 이 단차면이 상기 몸체부(51)의 저면(51a)이 된다. 그리고 이너하우징(55)은 리어홀더(80)에 의해서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에 고정되므로, 충전터미널(T1)의 터미널설치공간(32)에 2차고정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51 of the charging terminal T1 has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contact portion. The bottom surface 51a of the body portion 51 is supported by an inner housing 55 to be described below. More precisely, as shown in FIG. 6 , the front part of the inner housing 55 disposed behind the charging terminal T1 supports the bottom surface 51a of the body part 51 . 7, the bottom surface 51a of the body part 51 is indicated, and the bottom surface 51a of the body part 51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portion extending to the rear thereof, so that a step is made, and the step surface is the It becomes the bottom surface (51a) of the body part (51). And since the inner housing 55 is fixed to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by the rear holder 80, it can be secondary fixed to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of the charging terminal T1.

상기 충전터미널(T1)에는 이너하우징(55)에 조립된다.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에 설치되고,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T1)의 외부를 감싼다.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충전하우징(10)의 내부에서 충전터미널(T1)을 감싸되, 아래에서 설명될 와이어시일(S1)을 사이에 두고 리어홀더(80)와 밀착될 수 있다. The charging terminal (T1) is assembled to the inner housing (55). The inner housing 55 is install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and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e inner housing 55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charging terminal T1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 The inner housing 55 may surround the charging terminal T1 in the interior of the charging housing 10 ,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holder 80 with a wire seal S1 to be described below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충전터미널(T1)의 뒷부분을 감싸서 절연성을 높이고, 와이어시일(S1)이 과도하게 변형되거나 또는 고르게 변형되지 못하고 어느 한쪽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해준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와이어시일(S1)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눌러 압축해줄 수 있다. The inner housing 55 wraps the rear por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T1 to increase insulation, and prevents the wire seal S1 from being excessively deformed or from being deformed evenly and being twisted to either side. To this end, the inner housing 55 may be compressed by evenly pressing the wire seal S1 as a whole.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상기 이너하우징(55)의 구성을 보면,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충전터미널(T1)의 외부를 감싸는 결합몸체(도면부호 미부여)와, 상기 결합몸체에 구비되는 가압판(55')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몸체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내부에는 결합공간(56)이 있다. 상기 결합공간(56)은 전후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간(56) 내부에는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충전와이어(W)가 위치하여 상기 결합몸체에 의해 감싸진다. When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inner housing 55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the inner housing 55 includes a coupling body (reference numeral not given)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harging terminal T1, and the coupling body. It includes a pressure plate 55' provided. The coupling body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there is a coupling space 56 therein. The coupling space 56 is ope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charging terminal T1 and the charging wire W are located inside the coupling space 56 and are surrounded by the coupling body.

상기 이너하우징(55)의 결합몸체에는 상기 충전터미널(T1)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부(56a)가 있다. 상기 개방부(56a)는 상기 충전터미널(T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몸체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 연속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개방부(56a)는 상기 결합몸체의 탄성변형을 쉽게 해준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충전터미널(T1)이 상기 결합공간(56)에 삽입될 때, 상기 개방부(56a)를 넓히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몸체가 탄성변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충전터미널(T1)이 상기 이너하우징(55)에 쉽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The coupling body of the inner housing 55 has an opening 56a through which a part of the charging terminal T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opening portion 56a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T1, and is continuously made from the front portion to the rear portion of the coupling body. The opening portion 56a facilitates elastic deformation of the coupling body. More precisely, when the charging terminal (T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56), the coupling body may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to widen the opening (56a), through which the charging terminal (T1) This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inner housing (55).

상기 가압판(55')은 상기 결합몸체 보다 직경이 큰 부분으로, 대략 판상구조이다. 상기 가압판(55')은 상기 와이어시일(S1)을 향한 상기 결합몸체의 뒤쪽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시일(S1)과 밀착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와이어시일(S1)을 기준으로 앞쪽에는 가압판(55')이 있고, 뒤쪽에는 리어홀더(80)가 있다. 따라서 리어홀더(80)가 상기 와이어시일(S1)을 압축하면서 상기 터미널삽입부(30)에 조립될 때, 상기 와이어시일(S1)의 양쪽은 각각 가압판(55')과 리어홀더(80)에 눌려 압축될 수 있다. The pressure plate 55' is a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coupling body, and has a substantially plate-shaped structure. The pressure plate 55' is a portion formed on the back of the coupling body facing the wire seal S1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wire seal S1. That is, with respect to the wire seal (S1), there is a pressure plate 55' at the front, and a rear holder 80 at the rear. Therefore, when the rear holder 80 is assembled to the terminal insertion part 30 while compressing the wire seal S1, both sides of the wire seal S1 are attached to the pressing plate 55' and the rear holder 80, respectively. It can be compressed by pressing.

이렇게 되면, 상기 와이어시일(S1)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충전와이어(W)의 연결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시일(S1)이 상기 이너하우징(55)과 상기 리어홀더(8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너하우징(55) 및 상기 리어홀더(80) 사이에서 압축된다. In this case, the wire seal (S1)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T1) and the charging wire (W)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the wire seal (S1)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housing 55 and the rear holder 80 and compressed between the inner housing 55 and the rear holder 80 .

상기 가압판(55')은 상기 와이어시일(S1)과 마주보는 배면(55')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시일(S1)과 면접촉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가압판(55')의 배면(55')은 와이어시일(S1)과 최대한 넓은 면적에서 서로 접촉할 수 있고, 와이어시일(S1)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틀어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축될 수 있다. The pressure plate 55 ′ has a flat rear surface 55 ′ facing the wire seal S1 to make surface contact with the wire seal S1 . In this way, the rear surface 55' of the pressure plate 55' can be in contact with the wire seal S1 in the widest possible area, and the wire seal S1 can be compressed evenly throughout without being distorted in the process of being compressed. there is.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의 입구에 인접한 상기 충전터미널(T1)의 후방부를 감싸는데, 상기 이너하우징(5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의 내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가압판(55')에는 걸림돌기(58)가 있고, 상기 걸림돌기(58)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에 함몰되어 있는 걸림홈(32b)에 끼워진다. 이렇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58)는 상기 걸림홈(32b)에 끼워져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안될 뿐 아니라, 회전도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 안에서 유동없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inner housing 55 surrounds the rear por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T1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housing 55 is located inside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 Movement may be restricted. More precisely, as shown in FIG. 4 , the pressing plate 55 ′ has a locking projection 58 , and the locking projection 58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2b recess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 . In this case, the locking protrusion 58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32b so that it cannot mov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rotation is also restricted. Therefore, the inner housing 55 can maintain a firmly fixed state without movement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

이와 같이,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 안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리어홀더(80)가 와이어시일(S1)을 압축할 때 가해지는 압축력은 이너하우징(55)에만 전달되고, 충전터미널(T1)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어홀더(80)가 조립되더라도, 충전터미널(T1)은 일정한 설치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상대터미널과의 연결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As such, since the inner housing 55 maintains a fixed state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when the rear holder 80 compresses the wire seal S1 is only applied to the inner housing 55 . is transmitted, and is not transmitted to the charging terminal T1. Therefore, even when the rear holder 80 is assembled, the charging terminal T1 can maintain a constant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also be stably maintained.

도 7을 보면, 상기 이너하우징(55)의 가압판(55')에는 상기 리어홀더(80)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부(57)가 있다. 상기 결합돌부(57)는 상기 와이어시일(S1)에 관통된 결합홀(S1b)을 통과하는 부분으로,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도 4를 보면, 상기 결합돌부(57)가 상기 와이어시일(S1)에 관통된 결합홀(S1b)을 통과하여, 리어홀더(80)와 접촉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되면, 리어홀더(80)가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될 때 리어홀더(80)와 이너하우징(55) 사이에서 와이어시일(S1)이 압축되지만, 결합돌부(57)가 리어홀더(80)에 닿을 때까지만 압축된다. 따라서 와이어시일(S1)의 과도한 압축이 방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pressing plate 55 ′ of the inner housing 55 has a coupling protrusion 57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holder 80 . The coupling protrusion 57 is a portion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S1b through the wire seal S1, and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cross-section. Referring to FIG. 4 ,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57 passes through the coupling hole S1b penetrating through the wire seal S1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holder 80 is shown. In this case, when the rear holder 80 is assembled to the charging housing 10, the wire seal S1 is compressed between the rear holder 80 and the inner housing 55, but the coupling protrusion 57 is the rear holder 80 ) is compressed until it reaches Accordingly, excessive compression of the wire seal S1 can be prevented.

이를 위해서, 상기 결합돌부(57)의 길이는 압축되기 전의 상기 와이어시일(S1)의 두께 보다 작고, 상기 와이어시일(S1)이 상기 리어홀더(80)에 의해 압축되면 상기 결합돌부(57)의 끝부분이 상기 결합홀(S1b)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홀더(80)에 접촉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상기 충전와이어(W)의 연결부분을 감싸 상기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해주고, 커넥터의 절연성을 높일 수 있다. To this end, the length of the coupling protrusion 57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wire seal S1 before being compressed, and when the wire seal S1 is compressed by the rear holder 80, the coupling protrusion 57 of An end portion may pass through the coupling hole S1b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holder 80 . In this way, the inner housing 55 surrounds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harging terminal T1 and the charging wire W to shield the connection port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increasing the insulation of the connector.

그리고,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충전터미널(T1)과는 별개물로, 별도로 사출성형된 후에 충전터미널(T1)의 뒤쪽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시일(S1)을 압축하고, 충전터미널(T1)을 상기 충전하우징(10)의 내부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는 사출성형될 수 있는 이너하우징(55) 쪽이 담당하고, 상대터미널과 조립되어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역할은 충전터미널(T1) 쪽이 담당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충전터미널(T1)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housing 55 is separate from the charging terminal T1 and may be separately injection-molded and then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charging terminal T1. Therefore, the complex structure for compressing the wire seal (S1) and fixing the charging terminal (T1) to the inside of the charging housing (10) is in charge of the injection-molded inner housing (55) side, and the opposite terminal It is assembled with the charging terminal (T1) to take charge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In this way, the structure of the charging terminal T1 may be relatively simpl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충전터미널(T1)을 감싼 상태로 상기 충전터미널(T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구간 안에서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상대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충전터미널(T1)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너하우징(55) 또는 충전하우징(10)의 제조과정에서 허용오차를 넘는 오차가 발생해도 어느 정도 보상이 가능하고, 이너하우징(55)과 충전터미널(T1) 사이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housing 55 may move relative to the charging terminal T1 within a predetermined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T1 in a state of surrounding the charging terminal T1. That is, the inner housing 55 is not fixed to the charging terminal T1, but may be coupled to be relatively movable. Accordingly, even if an error exceeding the allowable error occur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inner housing 55 or the charging housing 10,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to some extent, and the assembly between the inner housing 55 and the charging terminal T1 becomes easy. .

한편, 도 7을 보면, 상기 와이어시일(S1)에는 상기 결합돌부(57)가 통과하는 결합홀(S1b)이 관통되고, 또한 충전와이어(W)가 통과하는 와이어홀(S1a)이 관통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시일(S1)에는 회전방지부(S1c)가 돌출될 수 있는데, 상기 회전방지부(S1c)는 상기 이너하우징(55)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너하우징(55)의 결합공간(56)에 끼워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와이어시일(S1)의 회전이 방지되는데, 다만 상기 결합돌부(57)가 상기 결합홀(S1b)에 끼워지면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방지부(S1c)는 생략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 7 , a coupling hole S1b through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57 passes is passed through the wire seal S1, and a wire hole S1a through which the charging wire W passes is passed through. In addition, a rotation preventing part S1c may protrude from the wire seal S1, and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S1c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housing 55 to form a coupling space 56 of the inner housing 55. ) can be inserted into In this case, the rotation of the wire seal (S1) is prevented. However,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57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S1b), the same function can be performed, so the rotation preventing part (S1c) may be omitted.

도 5를 보면, 충전터미널(T1)이 설치되는 터미널설치공간(32)의 안쪽으로 센싱터미널(TS1)의 일부가 노출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에는 센싱연결통로(32c)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센싱연결통로(32c)를 통해서 상기 센싱터미널(TS1)이 터미널설치공간(32) 쪽으로 노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센싱터미널(TS1)의 일부는 상기 센싱연결통로(32c)를 통해서 상기 충전터미널(T1)에 접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a portion of the sensing terminal TS1 is exposed inside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in which the charging terminal T1 is installed. More precisely, the sensing connection passage 32c is open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 and the sensing terminal TS1 is exposed toward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through the sensing connection passage 32c. In this case, a part of the sensing terminal TS1 may be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terminal T1 through the sensing connection passage 32c.

상기 센싱터미널(TS1)에는 접촉수단(60)이 있다. 상기 접촉수단(60)은 상기 충전터미널(T1)에 접촉하여, 상기 센싱터미널(TS1)에 접촉하여 센싱터미널(TS1)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접촉수단(60)은 컨텍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컨텍스프링은 상기 센싱터미널(TS1)에 결합되어 상기 충전터미널(T1)의 온도를 센싱터미널(TS1)에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접촉수단(60)은 라멜라 스프링(lamellae spring)으로 구성되는데, 이와 달리, 상기 접촉수단(60)은 다양한 탄성체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탄성력이 없는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ensing terminal TS1 has a contact means 60 . The contact means 60 is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sensing terminal (TS1)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terminal (T1), in contact with the sensing terminal (TS1). The contact means 60 may be configured as a context spring, and the context spring may be coupled to the sensing terminal TS1 to transmit the temperature of the charging terminal T1 to the sensing terminal TS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act means 60 is composed of a lamellae spring. On the contrary, the contact means 60 may be composed of various elastic materials, or may be composed of parts without elastic force.

그리고 상기 센싱터미널(TS1)은 충전터미널(T1)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 아니라, 충전터미널(T1)의 온도측정을 위한 것이므로, 온도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싱터미널(TS1)이 측정한 충전터미널(T1)의 온도정보는 상기 센싱와이어(WS)를 통해서 제어부(미도시) 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충전터미널(T1)이 과열되면, 상기 제어부는 이를 인지하고 사용자에게 이를 알리거나, 충전커넥터의 작동을 멈출 수도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ensing terminal TS1 is not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harging terminal T1, but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harging terminal T1, it may be configured as a temperature sensor.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T1 measured by the sensing terminal TS1 may be transmitted to a controller (not shown) through the sensing wire WS. If the charging terminal T1 is overheated, the control unit may recognize this and notify the user or stop the opera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다음으로 리어홀더(80)를 보면, 상기 리어홀더(80)는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되면 상기 이너하우징(55)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기 이너하우징(55)에 연결된 상기 충전터미널(T1)을 2차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리어홀더(80)는 상기 와이어시일(S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충전하우징(10)의 제1삽입부(31)와 제2삽입부(35)에 조립되어 충전터미널(T1)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Next, looking at the rear holder 80 , when the rear holder 80 is assembled to the charging housing 10 , the charging terminal T1 is connected to the inner housing 55 by supporting the rear of the inner housing 55 . ) serves as a secondary fixation. More precisely, the rear holder 80 is assembled to the first insertion part 31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35 of the charging housing 10 with the wire seal S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charging terminal T1 ) to prevent separation.

상기 리어홀더(80)는 제1리어홀더(81)와 제2리어홀더(85)로 구성된다. 상기 제1홀더는 상기 제1삽입부(31)에 결합되고, 제2리어홀더(85)는 상기 제1리어홀더(81) 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2삽입부(35)에 결합된다. 상기 제1리어홀더(81) 및 제2리어홀더(85)는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서로 별개물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리어홀더(81)와 제2리어홀더(85)는 서로 별개물이고, 상기 제1리어홀더(81)와 상기 제2리어홀더(85)는 각각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조립될 수 있다. The rear holder 80 includes a first rear holder 81 and a second rear holder 85 . The first holder is coupled to the first insertion part 31 , and the second rear holder 85 is disposed below the first rear holder 81 and coupled to the second insertion part 35 . The first rear holder 81 and the second rear holder 85 may be integrally formed or separate from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ar holder 81 and the second rear holder 85 are separate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rear holder 81 and the second rear holder 85 are each composed of two parts. and can be assembled.

도 3을 보면, 상기 제1리어홀더(81)의 제1홀더몸체(81a, 81b)에는 충전와이어(W)가 통과하는 제1와이어홀(82)이 관통되고, 상기 제1삽입부(31)의 제1체결턱(33)에 걸리는 제1체결후크(83)가 있다. 상기 제1홀더몸체(81a, 81b)에는 제1조립부(81a', 81b')가 있어서, 2개의 부품으로 된 제1홀더몸체(81a, 81b)가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홀더몸체(81a, 81b)는 1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3 , a first wire hole 82 through which a charging wire W passes is penetrated in the first holder body 81a and 81b of the first rear holder 81 , and the first insertion part 31 ) there is a first fastening hook 83 caught on the first fastening jaw 33 . The first holder bodies 81a and 81b have first assembly parts 81a' and 81b', so that the first holder bodies 81a and 81b made of two parts can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Of course, the first holder body (81a, 81b) may be made of one part.

그리고, 상기 제1리어홀더(81)에는 제1체결슬릿(84)이 있다. 상기 제1체결슬릿(84)은 상기 제1리어홀더(81)가 상기 제1삽입부(31)에 조립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데, 상기 제1삽입부(31)의 제1체결리브(34)가 상기 제1체결슬릿(84)에 끼워진다. 상기 제1체결슬릿(84)은 상기 제1리어홀더(81)에 다수개가 만들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총 4개의 제1체결슬릿(84)이 상기 제1리어홀더(81)에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rear holder 81 has a first fastening slit 84 . The first fastening slit 84 extends along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ear holder 81 is assembled to the first inserting part 31 , and the first fastening ribs 34 of the first inserting part 31 . ) is inserted into the first fastening slit 84 . A plurality of the first fastening slits 84 may be formed in the first rear holder 81 . 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four first fastening slits 84 are in the first rear holder 81 . .

상기 제1리어홀더(81)에는 제1센싱홀(84')이 있다. 상기 제1센싱홀(84')은 앞서 설명한 센싱터미널(TS1)에 연결된 센싱와이어(WS)가 통과하는 구멍으로, 제1리어홀더(81)가 상기 제1삽입부(31)에 조립되는 방향으로 관통됨과 동시에,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센싱홀(84')이 상기 제1리어홀더(81)의 측면 쪽으로도 개방되어 상기 제1체결슬릿(84)에 연결된다. The first rear holder 81 has a first sensing hole 84'. The first sensing hole 84 ′ is a hole through which the sensing wire W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sensing terminal TS1 passes, and the first rear holder 81 is assembled to the first insertion unit 31 . , and at the same time,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ensing hole 84 ′ is also opened towar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rear holder 81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fastening slit 84 .

상기 제2리어홀더(85)의 제2홀더몸체(85a,85b)에는 충전와이어(W)가 통과하는 제2와이어홀(86)이 관통되고, 상기 제2삽입부(35)의 제2체결턱(37)에 걸리는 제2체결후크(87)가 있다. 상기 제2홀더몸체(85a,85b)에는 제2조립부(85a',85b')가 있어서, 2개의 부품으로 된 제2홀더몸체(85a,85b)가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홀더몸체(85a,85b)는 1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A second wire hole 86 through which the charging wire W passes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holder body 85a and 85b of the second rear holder 85 ,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35 is coupled with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35 . There is a second fastening hook 87 caught on the jaw 37 . The second holder bodies 85a and 85b have second assembly parts 85a' and 85b', so that the second holder bodies 85a and 85b made of two parts can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Of course, the second holder body (85a, 85b) may be made of one part.

그리고, 상기 제2리어홀더(85)에는 제2체결슬릿(88)이 있다. 상기 제2체결슬릿(88)은 상기 제2리어홀더(85)가 상기 제2삽입부(35)에 조립되는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데, 상기 제2삽입부(35)의 제2체결리브(39)가 상기 제2체결슬릿(88)에 끼워진다. 상기 제2체결슬릿(88)은 상기 제2리어홀더(85)에 다수개가 만들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총 4개의 제2체결슬릿(88)이 상기 제2리어홀더(85)에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rear holder 85 has a second fastening slit 88 . The second fastening slit 88 extends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rear holder 85 is assembled to the second inserting part 35 , and the second fastening rib 39 of the second inserting part 35 . ) is inserted into the second fastening slit 88 . A plurality of the second fastening slits 88 may be formed in the second rear holder 85 . In this embodiment, a total of four second fastening slits 88 are in the second rear holder 85 . .

상기 제2리어홀더(85)에는 제2센싱홀(88')이 있다. 상기 제2센싱홀(88')은 앞서 설명한 센싱터미널(TS2)에 연결된 센싱와이어(WS)가 통과하는 구멍으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센싱홀(88')이 상기 제2리어홀더(85)의 측면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2센싱홀(88')은 상기 제2삽입부(35)의 센싱통과홀(38)에 연결된다. 미설명부호 B는 볼트로, 상기 제2리어홀더(85)를 제2삽입부(35)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볼트(B)는 생략될 수도 있다. The second rear holder 85 has a second sensing hole 88 ′. The second sensing hole 88' is a hole through which the sensing wire W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sensing terminal TS2 passes, and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sensing hole 88' is the second rear holder ( 85)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second sensing hole 88 ′ is connected to the sensing through hole 38 of the second insertion part 35 . Reference numeral B, which is not described, is a bolt for more firmly fixing the second rear holder 85 to the second insertion part 35 . The bolt (B) may be omitt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충전커넥터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에는 충전커넥터가 조립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작업자는 충전하우징(10)에 충전터미널(T1)을 조립하기 전에, 충전터미널(T1)과 이너하우징(55)을 조립할 수 있다. Next, a process of assembling the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8 shows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charging connector sequentially. First, the operator may assemble the charging terminal T1 and the inner housing 55 before assembling the charging terminal T1 in the charging housing 10 .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충전와이어(W)의 결합부위에 상기 이너하우징(55)을 끼워넣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 상기 이너하우징(55)의 개방부(56a)를 넓히는 방향으로 상기 이너하우징(55)의 결합몸체를 벌리고, 벌어진 개방부(56a) 안쪽으로 충전터미널(T1)과 충전와이어(W)의 연결부분이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7 , the inner housing 55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charging terminal T1 and the charging wire W. For this purpose, the opening portion 56a of the inner housing 55 is widened in a direction The coupling body of the inner housing 55 is spread apart,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charging terminal T1 and the charging wire W is inserted into the wide open part 56a.

이어서, 상기 충전와이어(W)에 와이어시일(S1)을 결합할 수 있는데, 상기 와이어시일(S1)의 와이어홀(S1a)을 와이어시일(S1)이 통과하도록 하면서 충전와이어(W)에 와이어시일(S1)을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와이어(W)에는 와이어시일(S1)이 미리 끼워진 상태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와이어시일(S1)의 와이어홀(S1a) 주변이 절개되어 와이어홀(S1a)을 측면으로 개방시켜 충전와이어(W)를 끼울 수도 있다. Then, the wire seal (S1) can be coupled to the charging wire (W), and while the wire seal (S1) passes through the wire hole (S1a) of the wire seal (S1), the wire seal on the charging wire (W) (S1) may be combined. At this time, the wire seal (S1) may be pre-inserted into the charging wire (W), or the periphery of the wire hole (S1a) of the wire seal (S1) is cut to open the wire hole (S1a) to the side for charging. A wire (W) may be inserted.

이렇게 되면,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이너하우징(55) 및 와이어시일(S1)이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충전터미널(T1)을 상기 제1삽입부(31)를 통해 삽입하여,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 안에 충전터미널(T1)을 수납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충전터미널(T1)에 있는 고정턱(52)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에 있는 랜스부(32a, 도 4 참조)에 걸려 상기 충전터미널(T1)이 상기 충전하우징(10)에 1차고정된다.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 the charging terminal T1, the inner housing 55, and the wire seal S1 are in a combined state. In this state, the charging terminal T1 may be inserted through the first insertion part 31 to accommodate the charging terminal T1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 In this process, the fixed jaw 52 in the charging terminal T1 is caught by the lance part 32a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refer to FIG. 4) so that the charging terminal T1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housing 10 is fixed first in

그리고, 상기 충전터미널(T1)들이 모두 상기 제1삽입부(31) 및 제2삽입부(35)를 통해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되고 나면, 센싱터미널(TS1, TS2)도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된다. 상기 센싱터미널(TS1, TS2)은 충전터미널(T1)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일부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충전터미널(T1)은 상기 센싱연결통로(32c)를 통해서 터미널설치공간(32) 쪽으로 노출되므로, 상기 센싱터미널(TS1)의 일부는 상기 센싱연결통로(32c)를 통해서 상기 충전터미널(T1)에 접촉될 수 있다. And, after all of the charging terminals T1 are assembled in the charging housing 10 through the first inserting part 31 and the second inserting part 35, the sensing terminals TS1 and TS2 are also connected to the charging housing. (10) is assembled. The sensing terminals TS1 and TS2 are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harging terminal T1, and are installed to partially contact the charging terminal T1. 5, the charging terminal T1 is exposed toward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through the sensing connection passage 32c, so that a part of the sensing terminal TS1 is part of the sensing connection passage.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terminal T1 through (32c).

도 8(b)에서 보듯이, 상기 충전터미널(T1)과 센싱터미널(TS1, TS2)이 모두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되면, 마지막으로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제1리어홀더(81)와 제2리어홀더(85)가 조립된다. 상기 제1리어홀더(81)와 제2리어홀더(85)가 각각 상기 충전하우징(10)의 제1삽입부(31) 및 제2삽입부(35)에 조립되면, 도 8(c)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다. As shown in Figure 8 (b), when the charging terminal (T1) and the sensing terminals (TS1, TS2) are all assembled in the charging housing 10, finally the first rear holder 81 in the charging housing 10 and the second rear holder 85 are assembled. When the first rear holder 81 and the second rear holder 85 are assembled to the first inserting part 31 and the second inserting part 35 of the charging housing 10, respectively, FIG. 8(c) and assembly is completed together.

이때, 상기 제1리어홀더(81)와 제2리어홀더(85)가 상기 충전하우징(10)에 조립되면, 그 과정에서 와이어시일(S1)이 압축된다. 상기 제1리어홀더(81)와 제2리어홀더(85)가 상기 충전하우징(10)의 뒤쪽에 결합되면, 상기 제1리어홀더(81)와 제2리어홀더(85)가 상기 와이어시일(S1)을 압축하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when the first rear holder 81 and the second rear holder 85 are assembled to the charging housing 10, the wire seal S1 is compressed in the process. When the first rear holder 81 and the second rear holder 85 are coupled to the rear of the charging housing 10, the first rear holder 81 and the second rear holder 85 are connected to the wire seal ( S1) will be compress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리어홀더(81)가 상기 제1삽입부(31)에 조립되면, 상기 와이어시일(S1)은 상기 제1리어홀더(81)와 상기 이너하우징(55) 사이에서 압축된다. 이때,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이너하우징(55)의 가압판(55')이 상기 와이어시일(S1)을 함께 눌러줄 수 있다. 즉, 상기 와이어시일(S1)을 기준으로 앞쪽에는 가압판(55')이 있고, 뒤쪽에는 리어홀더(80)가 있게 되므로 상기 제1리어홀더(81)가 상기 와이어시일(S1)을 압축하면서 상기 터미널삽입부(30)에 조립될 때, 상기 와이어시일(S1)의 양쪽은 각각 가압판(55')과 상기 제1리어홀더(81)에 눌리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4 , when the first rear holder 81 is assembled to the first insertion part 31 , the wire seal S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ar holder 81 and the inner housing 55 . compressed in At this time, since the movement of the inner housing 55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side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is limited, the pressing plate 55 ′ of the inner housing 55 presses the wire seal S1 together. can That is, since there is a pressing plate 55 ′ at the front of the wire seal S1 and a rear holder 80 at the rear, the first rear holder 81 compresses the wire seal S1 while compressing the wire seal S1 . When assembled to the terminal inserting part 30, both sides of the wire seal S1 are pressed against the pressing plate 55' and the first rear holder 81, respectively.

이때, 상기 가압판(55')은 상기 와이어시일(S1)과 마주보는 배면(55')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시일(S1)과 면접촉되고, 상기 와이어시일(S1)이 압축되는 과정에서 틀어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축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와이어시일(S1)의 방수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essure plate 55 ′ has a flat rear surface 55 ′ facing the wire seal S1 to make surface contact with the wire seal S1 , and the wire seal S1 is compressed in the process of being compressed. It can be compressed evenly throughout without being distorted. In this way,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wire seal (S1) can be improved.

결과적으로, 상기 이너하우징(55)은 리어홀더(80)에 의해서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에 고정되므로, 상기 충전터미널(T1)의 터미널설치공간(32)에 2차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하우징(55)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32) 안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리어홀더(80)가 와이어시일(S1)을 압축할 때 가해지는 압축력은 이너하우징(55)에만 전달되고, 충전터미널(T1)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충전터미널(T1)은 일정한 설치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상대터미널과의 연결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As a result, since the inner housing 55 is fixed to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by the rear holder 80 , it can be secondarily fixed to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of the charging terminal T1 . At this time, since the inner housing 55 maintains a fixed state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2 ,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when the rear holder 80 compresses the wire seal S1 is transmitted only to the inner housing 55 . and is not transmitted to the charging terminal T1. Accordingly, the charging terminal T1 can maintain a constant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connection with the counterpart terminal can also be stably maintained.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 in combination or combined into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pecified, ex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충전하우징 11: 하우징몸체
20: 충전부 30: 터미널삽입부
31: 제1삽입부 32: 제1터미널설치공간
35: 제2삽입부 36: 제2터미널설치공간
50: 충전터미널 52: 고정턱
55: 이너하우징 55': 가압판
56a: 개방부 80: 리어홀더
81: 제1리어홀더 85: 제2리어홀더
S1: 와이어시일 S2: 터미널시일
T1: 충전터미널 T2: 연결터미널
TS1,TS2: 센싱터미널
10: charging housing 11: housing body
20: charging part 30: terminal insertion part
31: first insertion part 32: first terminal installation space
35: second insertion part 36: second terminal installation space
50: charging terminal 52: fixed jaw
55: inner housing 55': pressure plate
56a: opening 80: rear holder
81: first rear holder 85: second rear holder
S1: wire seal S2: terminal seal
T1: charging terminal T2: connection terminal
TS1, TS2: Sensing terminal

Claims (15)

내부에 터미널설치공간이 있는 충전하우징;
상기 터미널설치공간 내부에 수납되고,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부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내부에 걸려 1차고정되는 충전터미널;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성 재질인 이너하우징;
상기 충전하우징에 조립되면 상기 이너하우징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기 이너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한 상기 충전터미널을 2차고정시키는 리어홀더;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에 연결된 충전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이너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너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 사이에서 압축되는 와이어시일;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터미널에서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부에는 고정턱이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 있는 랜스부에 걸려 상기 충전터미널이 1차고정되고, 상기 충전터미널의 몸체부는 상기 접촉부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되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를 향한 상기 몸체부의 저면은 상기 이너하우징의 상단에 지지되어 2차고정되는 충전커넥터.
Charging housing with terminal installation space inside;
a charging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the contact port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opposite terminal is primarily fixed by being caught inside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an inner housing install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and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hat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charging terminal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When assembled in the charging housing, the rear holder supports the rear of the inner housing to secondaryly fix the charging terminal located in the front of the inner housing; and
Install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harging wir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the wire seal is located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rear holder and compressed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rear holder including;
A fixing jaw protrudes from the contact part protruding from the charging terminal in the direction of the opposite terminal, and the charging terminal is primarily fixed by hooking on the lance part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and the body of the charging terminal has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contact part. A charging connector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facing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housing and fixed secondar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인접한 상기 충전터미널의 후방부를 감싸되, 상기 이너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내부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 충전커넥터.
The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housing surrounds a rear por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housing is caught inside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to restrict movem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은 상기 충전터미널을 감싼 상태로 상기 충전터미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구간 안에서 상기 충전터미널과 상대이동 가능한 충전커넥터.
The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housing is capable of moving relative to the charging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s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while surrounding the charging termi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에는 상기 와이어시일을 상기 리어홀더 방향으로 누르는 가압판이 있고, 상기 가압판은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걸려 상기 이너하우징이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안쪽으로 이동되는 정도가 제한되는 충전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housing has a pressure plate for pressing the wire seal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holder, the pressure plate is caught at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The degree of movement of the inner housing to the insid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is limited charging connecto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은 상기 와이어시일과 밀착되는 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판과 상기 와이어시일은 서로 면접촉되는 충전커넥터.
The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ressure plate has a flat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the wire seal, and the pressure plate and the wire seal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의 가압판에서 상기 와이어시일과 접촉되는 표면의 반대편 표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 마련된 걸림홈에 끼워져 상기 이너하우징이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충전커넥터.
[Claim 5]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of claim 4, wherein a lock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pressure plate of the inner housing opposite to the surface contacting the wire seal, and the locking projection is fitted into a locking groove provid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to rotate the inner housing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charging connector that can be prevented from doing so.
삭제delet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의 가압판에는 상기 리어홀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결합돌부가 있고, 상기 결합돌부는 상기 와이어시일에 관통된 결합홀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홀더와 접촉되는 충전커넥터.
The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ressure plate of the inner housing has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holder, and the coupling protrusion passes through a coupling hole through the wire seal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hold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의 길이는 압축되기 전의 상기 와이어시일의 두께 보다 작고, 상기 와이어시일이 상기 리어홀더에 의해 압축되면 상기 결합돌부의 끝부분이 상기 결합홀을 통과하여 상기 리어홀더에 접촉되는 충전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length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wire seal before compression, and when the wire seal is compressed by the rear holder, the end of the coupling protrusion passes through the coupling hole to the rear holder. Contact charging connec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은 상기 충전터미널과 상기 충전와이어의 연결부분을 감싸 상기 연결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충전커넥터.
The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housing surrounds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charging wire to shield the connection portion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터미널의 몸체부의 표면에는 터미널시일이 결합되고, 상기 터미널시일은 상기 이너하우징을 향한 상기 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고정턱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는 충전커넥터.
The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terminal seal is coupled to a surface of the body of the charging terminal, and the terminal seal is coupled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toward the inner housing in a fixing jaw direction of the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은
상기 충전터미널의 외부를 감싸는 결합몸체;
상기 와이어시일을 향한 상기 결합몸체의 뒤쪽에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시일과 밀착되는 가압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판은 상기 와이어시일과 마주보는 면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시일과 면접촉되는 충전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housing
a coupling body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charging terminal;
and a pressure plate formed on the back of the coupling body toward the wire seal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wire seal;
The pressure plate has a flat surface facing the wire seal, and the charging connector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wire seal.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의 결합몸체에는 상기 충전터미널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부가 상기 충전터미널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충전커넥터.
The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n open portion for exposing a por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body of the inner housing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harging terminal.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너하우징의 결합몸체는 상기 충전터미널의 외부를 감싸되, 상기 이너하우징의 결합몸체의 상단은 상기 충전터미널의 몸체부의 저면과 접촉하여 상기 충전터미널이 상기 리어홀더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충전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coupling body of the inner housing is wrapped around the outside of the charging terminal,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body of the inner housing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of the charging terminal to separate the charging terminal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holder charging connector to prevent
내부에 터미널설치공간이 있는 충전하우징;
상기 터미널설치공간 내부에 수납되고,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부는 상대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충전터미널;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충전터미널에 조립되는 절연성 재질인 이너하우징;
상기 충전하우징에 조립되면 상기 이너하우징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기 이너하우징 및 상기 이너하우징과 조립된 상기 충전터미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어홀더;
상기 충전터미널에 연결된 충전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되, 상기 이너하우징과 상기 리어홀더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이너하우징 및 상기 리어홀더 사이에서 압축되는 와이어시일;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터미널에서 상대터미널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촉부에는 고정턱이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에 있는 랜스부에 걸려 상기 충전터미널이 1차고정되고, 상기 충전터미널의 몸체부는 상기 접촉부 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되 상기 터미널설치공간의 입구를 향한 상기 몸체부의 저면은 상기 이너하우징의 상단에 지지되어 2차고정되는 충전커넥터.
Charging housing with terminal installation space inside;
a charging terminal accommodated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posite terminal, wherein the contact port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opposite terminal;
an inner housing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ssembled to the charging terminal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a rear holder that, when assembled to the charging housing, supports the rear of the inner housing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inner housing and the charging terminal assembled with the inner housing;
A wire seal install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harging wir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rear holder, and compressed between the inner housing and the rear holder;
A fixing jaw protrudes from the contact part protruding from the charging terminal in the direction of the opposite terminal, and the charging terminal is primarily fixed by hooking on the lance part in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and the body of the charging terminal has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contact part. A charging connector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facing the entrance of the terminal installation space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housing and fixed secondary.
KR1020200088060A 2020-07-16 2020-07-16 Charging connector KR1023752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060A KR102375243B1 (en) 2020-07-16 2020-07-16 Charging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8060A KR102375243B1 (en) 2020-07-16 2020-07-16 Charging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631A KR20220009631A (en) 2022-01-25
KR102375243B1 true KR102375243B1 (en) 2022-03-16

Family

ID=8004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8060A KR102375243B1 (en) 2020-07-16 2020-07-16 Charging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24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9163738U (en) * 2022-12-29 2023-06-09 长春捷翼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Discharge gun assembly
WO2024214979A1 (en) * 2023-04-14 2024-10-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Conn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1985A (en) 2013-03-19 2015-11-11 住友电装株式会社 Vehicle-side connector
JP2016012421A (en) * 2014-06-27 2016-01-21 住友電装株式会社 Seal structure of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354B1 (en) 2011-03-28 2017-1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KR101801396B1 (en) 2011-08-29 2017-11-2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Connector of Electric Vehicle Charger
KR102277839B1 (en) * 2014-12-23 2021-07-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High voltage connector
KR102361579B1 (en) * 2015-07-28 2022-02-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JP6402145B2 (en) * 2016-07-13 2018-10-10 矢崎総業株式会社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1985A (en) 2013-03-19 2015-11-11 住友电装株式会社 Vehicle-side connector
JP2016012421A (en) * 2014-06-27 2016-01-21 住友電装株式会社 Seal structure of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631A (en)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0631B2 (en) Receptacle connector for charging inlet assembly
US8858258B2 (en) Two-part contact element for high-voltage plug-and-socket connector
EP2676334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US9209550B2 (en) Battery wiring module
US20090023339A1 (en) Shielded connector structure
EP2922152A1 (en) Connector
US20180034171A1 (en) Power terminal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10454200B2 (en) Connector with locking wire holder
CN109565129A (en) Power connector system
EP2719024B1 (en) Connector
CN103682882B (en) Connector connecting structure
KR102375243B1 (en) Charging connector
CN112753138B (en) Male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20120122341A1 (en) Connector
EP3046189B1 (en) Connector insert
EP1077456A2 (en) Breaker device
EP2905846B1 (en) Terminal spacer
KR102432326B1 (en) Charging connector
CN103534884A (en) Terminal structure of braided wire, and terminal treatment method for braided wire
KR100733849B1 (en) Female terminal
US20180183166A1 (en) Connector
US10096925B2 (en) Connector
WO2017217208A1 (en) Connector
US20240186745A1 (en) Connection device using connector
KR102150943B1 (en) Temperature-sensitive safety plug with sensor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