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275B1 -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5275B1 KR102365275B1 KR1020200107276A KR20200107276A KR102365275B1 KR 102365275 B1 KR102365275 B1 KR 102365275B1 KR 1020200107276 A KR1020200107276 A KR 1020200107276A KR 20200107276 A KR20200107276 A KR 20200107276A KR 102365275 B1 KR102365275 B1 KR 1023652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
- section
- cargo
- unloading
- linear equ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08—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leaf spr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8—Recording and/or co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eigh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 및 방법은 겹판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에서 사용하는 탑재형자중계에 대해서 적재하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화물 상차/하차 할 때 나타나는 겹판스프링의 하중-처짐(기울기) 특성을 모델링 한다. 실시예에서는 1단 겹판 스프링의 이력특성을 연속 상차 구간(하중 증가 구간), 상차 이후 하차 하는 구간(하중이 증가 이후 감소 구간), 연속 하차 구간(하중 감소 구간), 하차 이후 상차하는 구간(하중 감소 이후 증가)구간으로 으로 모델링 하고, 모델링 된 구간별 특성을 이용해 상차 및 하차 되는 적재 하중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한다.
Description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겹판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에서 사용하는 탑재형자중계에서 적재물 승차 및 하차 시 하중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프 스프링(leaf spring)은 스프링 강재로 만든 널빤지 모양의 평판을 7∼매 또는 10여 매를 포갠 스프링으로, 겹판 스프링이라고도 하고, 철도 차량이나 자동차의 차체를 지지하는 부분에 사용된다. 도 1은 1단 겹판 스프링의 이력특성(hysteresis characteristic)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1단 겹판 스프링은 화물을 연속적으로 상차할 경우,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스프링의 처짐이 증가한다. 하중-처짐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을 연속적으로 상차할 경우에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해서 처짐이 증가한다.
하중-처짐 그래프에는 화물 상차를 멈추고 일부 화물을 하차하면 하중 감소 대비 작은 범위로 처짐이 감소하고, 화물을 계속 하차하면 하중 감소에 비례해서 처짐이 감소한다. 또한, 화물 하차를 멈추고 다시 상차하면 하중 증가 대비 작은 범위로 처짐이 증가하는 그래프 특성을 관찰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 및 방법은 겹판스프링을 장착한 차량에서 사용하는 탑재형자중계에 대해서 적재하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화물 상차/하차 할 때 나타나는 겹판스프링의 하중-처짐(기울기) 특성을 모델링 한다. 실시예에서는 1단 겹판 스프링의 이력특성을 연속 상차 구간(하중 증가 구간), 상차 이후 하차 하는 구간(하중이 증가 이후 감소 구간), 연속 하차 구간(하중 감소 구간), 하차 이후 상차하는 구간(하중 감소 이후 증가)구간으로 으로 모델링 하고, 모델링 된 구간별 특성을 이용해 상차 및 하차 되는 적재 하중의 무게를 정확하게 측정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 및 방법은 2단 겹판 스프링의 하중-변위 특성을 이용하여 하단 겹판스프링만 하중이 작용하는 영역(저하중 영역)과 상,하단 겹판스프링에 하중이 작용하는 영역(고하중 영역)으로 분리하여 모델링 하고, 1단 겹판스프링의 하중과 처짐 특성 모델링 방법을 저 하중 영역과 고 하중 영역 각각 적용하여 모델링 한다.
실시예에 따른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에 있어서, 1단 겹판 스프링 및 2단 겹판 스프링의 하중-변위 그래프 특성을 분석하여, 화물을 연속 상차하는 하중 증가 구간인 제1구간, 화물을 상차한 후 하차 하는 하중 증가 후 감소 구간인 제2구간, 화물을 연속 하차하는 하중 감소 구간인 제3구간 및 화물을 하차한 후 상차하는 하중 감소 후 증가 구간인 제4구간으로 분리하는 구간생성모듈; 분리된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하중-변위 그래프 수식을 모델링 하는 모델링 모듈; 및 화물의 상하차 및 하중 증감을 파악하여, 제1구간 내지 제4구간 중 대응되는 구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구간에 모델링 된 수식을 이용하여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모듈; 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간생성모듈, 모델링모듈 및 하중 측정모듈을 포함하는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방법은 (A) 구간생성모듈에서 1단 겹판 스프링 및 2단 겹판 스프링의 하중-변위 그래프 특성을 분석하여, 화물을 연속 상차하는 하중 증가 구간인 제1구간, 화물을 상차한 후 하차 하는 하중 증가 후 감소 구간인 제2구간, 화물을 연속 하차하는 하중 감소 구간인 제3구간 및 화물을 하차한 후 상차하는 하중 감소 후 증가 구간인 제4구간으로 분리하는 단계; (B) 모델링모듈에서 상기 분리된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프 수식을 모델링 하는 단계; 및 (C) 하중측정모듈에서 화물의 상하차 및 하중 증감을 파악하여, 제1구간 내지 제4구간 중 대응되는 구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구간에 모델링 된 수식을 이용하여 하중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 및 방법은 하중 증감에 따른 겹판스프링의 이력 특성을 정확히 모델링 하여 화물의 하중 및 축하중, 총 하중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겹판스프링의 이력 특성에 의한 구간 분리와 간단한 수식 구성으로 구현이 쉬우며 파라미터 보정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1단 겹판 스프링의 이력특성(hysteresis characteristic)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탑재형 자중계 하중 측정 장치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모델링 모듈의 구간별 그래프 수식 모델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2단 겹판 스프링의 하중-처짐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방법의 데이터 처리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탑재형 자중계 하중 측정 장치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모델링 모듈의 구간별 그래프 수식 모델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2단 겹판 스프링의 하중-처짐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방법의 데이터 처리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탑재형 자중계 하중 측정 장치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탑재형 자중계 하중 측정 장치는 구간생성모듈(110), 모델링모듈(130) 및 하중측정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구간생성모듈(110)은 1단 겹판 스프링 및 2단 겹판 스프링의 하중-변위 그래프 특성을 분석하여, 화물을 연속 상차하는 하중 증가 구간인 제1구간, 화물을 상차한 후 하차 하는 하중 증가 후 감소 구간인 제2구간, 화물을 연속 하차하는 하중 감소 구간인 제3구간 및 화물을 하차한 후 상차하는 하중 감소 후 증가 구간인 제4구간으로 분리한다. 도 1에 도시된 하중-처짐 그래프를 참조하면,
화물을 연속적으로 상차할 경우에는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해서 처짐이 증가하고, 화물 상차를 멈추고 일부 화물을 하차하면 하중 감소 대비 작은 범위로 처짐이 감소한다. 화물을 계속 하차하면 하중 감소에 비례해서 처짐이 감소하고, 화물 하차를 멈추고 다시 상차하면 하중 증가 대비 작은 범위로 처짐이 증가하므로 실시예에서는 화물의 연속 상차, 상차 이후 하차, 하차 이후 상차 및 연속하차의 4구간으로 하중 변화 구간을 파악한다.
모델링모듈(130)은 분리된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프 수식을 모델링 한다.
하중측정모듈(150)은 화물의 상하차 및 하중 증감을 파악하여, 제1구간 내지 제4구간 중 대응되는 구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구간에 모델링 된 수식을 이용하여 하중을 측정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하는 하중-처짐 변위 구간은 하중-기울기(각도) 관계로 해석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모델링 모듈의 구간별 그래프 수식 모델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델링모듈(130)은 화물을 계속 상차하는 1 구간은 하중 증가에 비례하여 처짐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차 방정식 y= a*x +b으로 모델링 한다. 일차방정식에서 y는 하중이고 x는 처짐 변위이고, 일차방정식의 파라미터 a와 b는 다른 하중이 가해지는 공차(x0, y0)와 만차(x1, y1)시점에서의 처짐과 하중을 이용하여 수학식 1: 로 산출한다.
모델링모듈(130) 은 제 2구간의 하중-처짐 그래프를 모델링 한다. 2구간은 하중이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구간으로 하중-처짐 특성이 곡선 형태로 나타나지만 상대적으로 좁은 구간인 것을 고려하여 일차방정식 y1= a1*x +b1으로 모델링 한다. 제2 구간에서 파라미터 a1은 사용자의 입력한다. a1은 a보다 작지 않으며 겹판스프링에 따라 a값의 1.2~2.5배 사이 값을 가진다. b1은 y= a*x+b 와 y1 = a1*x+b1 두 직선의 교점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하중이 감소하는 바로 직전의 값을 최대 하중시점(최대 변위 시점)이라 고 할 때 최대 하중시점에서는 두 직선이 교차하기 때문에 a*x+b = a1*x+b1이 성립한다. 따라서 b1은 수식 b1 = (a-a1)*x +b 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b1 파라미터 값을 구하기 위해서는 최대 하중시점을 계속 기록하고, 2구간에서 일어나는 미세 하중 증가는 y1= a1*x +b1로 처리한다.
모델링모듈(130) 은 제 3구간의 하중-처짐 그래프를 모델링 한다. 실시예에서 3구간(3-4 구간)은 하중이 계속 감소하는 구간으로 하중 감소에 비례하여 처짐이 감소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일차방정식 y2 = a2*x+b2 로 모델링한다. 제3구간의 하중(y2)은 1구간의 하중(y)에 보상상수 C(대략 0.8~0.9 )을 적용하여 수학식 2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수학식 2: y2 = C*y
제3구간 일차방정식의 파라미터 a2와 b2은 수학식3 및 수학식 4로 계산한다.
수학식 3: a2 = C*a
수학식 4: b2 = C*b
실시예에서 2구간에서 3구간으로 전환되는 시점은 y2가 y1보다 크게 되는 시점으로 y1 = a1*x+b1과 y2 = a2*x+b2의 교점을 수학식 5를 통해 산출할 수 있다.
모델링모듈(130)은 제 4구간의 하중-처짐 그래프를 모델링 한다. 제4구간(5-6구간)은 다시 화물을 상차하여 하중이 증가하는 구간으로 하중-처짐 특성이 곡선 형태로 나타나지만 1내지 3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인 것을 고려하여 일차방정식 y3 = a3*x+b3로 모델링한다. 파라미터 a3는 a1과 동일하며, b3은 y2 = a2*x+b2과 y3 = a3*x+b3 교점을 이용하여 구한다.
제 4구간에서 일어나는 미세 하중 감소는 y3= a3*x +b3로 처리한다. 화물을 계속 상차하여 y3과 y가 같아지는 시점에서는 4구간에서 1구간으로 전환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2단 겹판 스프링의 하중-처짐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그래프 (a)는 2단 겹판스프링의 하중-처짐 변위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의 그래프 (a)를 참조하면, 2단 겹판스프링은 하중-처짐 변위 특성이 하단 겹판스프링만 하중이 작용하는 영역(저하중 영역)과 상하단 겹판스프링에 하중이 작용하는 영역(고하중 영역)으로 나뉘어져서 도 4의 그래프 (a)와 같은 특성을 나타난다. 따라서 실시예에에서는 도 4의 그래프(b)와 같이 저하중 영역과 고하중 영역을 분리하여 모델링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1단 겹판스프링의 하중과 처짐 특성 모델링 방법을 저하중 영역과 고하중 영역 각각 적용하여 모델링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저하중 영역과 고하중 영역의 전환 시점은 두 영역에서 상차구간(1구간)의 일차방정식 교점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방법의 작용(기능)은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방법의 데이터 처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510 단계에서는 탑재형 자중계의 구간생성모듈에서 1단 겹판 스프링 및 2단 겹판 스프링의 하중-변위 그래프 특성을 분석하여, 화물을 연속 상차하는 하중 증가 구간인 제1구간, 화물을 상차한 후 하차 하는 하중 증가 후 감소 구간인 제2구간, 화물을 연속 하차하는 하중 감소 구간인 제3구간 및 화물을 하차한 후 상차하는 하중 감소 후 증가 구간인 제4구간으로 분리한다.
S510 단계에서는 2단 겹판스프링의 경우, 하중-처짐 특성이 하단 겹판스프링만 하중이 작용하는 영역인 저하중 영역과 상하단 겹판스프링에 하중이 작용하는 영역인 고하중 영역으로 분리한다.
S530 단계에서는 탑재형 자중계의 모델링모듈에서 분리된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프 수식을 모델링 한다. S530 단계에서는 화물을 계속 상차하는 1 구간은 하중 증가에 비례하여 처짐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차 방정식 y= a*x +b으로 모델링 한다. 이때, 일차방정식에서 y는 하중이고 x는 처짐 변위이고, 일차방정식의 파라미터 a와 b는 다른 하중이 가해지는 공차(x0, y0)와 만차(x1, y1)시점에서의 처짐과 하중을 이용하여 수학식 1: 로 산출한다.
실시예에서 제2구간은 하중이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구간으로일차방정식 y1= a1*x +b1으로 모델링한다.
또한, S530 단계에서는 하중이 계속 감소하는 구간으로 하중 감소에 비례하여 처짐이 감소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일차방정식 y2 = a2*x+b2로 모델링하고, 3구간의 하중 y2는 1구간의 하중 y에 보상상수 C를 적용하여 수학식 y2 = C*y 로 산출하고 3구간 일차방정식의 파라미터 a2와 b2는 a2 = C*a, b2 = C*b로 산출한다. 2구간에서 3구간으로 전환되는 시점은 y2가 y1보다 크게 되는 시점으로 y1 = a1*x+b1과 y2 = a2*x+b2의 교점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S530 단계에서는 하중 처짐 그래프의 4구간을 일차방정식 y3 = a3*x+b3 로 모델링하고, 파라미터 a3는 a1과 동일하며, b3은 y2 = a2*x+b2 과 y3 = a3*x+b3 교점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또한, S530 단계에서는 2단 겹판스프링의 경우, 같이 저하중 영역과 고하중 영역을 분리하여 모델링하며, 앞서 1단 겹판스프링의 하중과 처짐 특성 모델링 방법을 저하중 영역과 고하중 영역 각각 적용하여 모델링 한다.
S550 단계에서는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측정모듈에서 화물의 상하차 및 하중 증감을 파악하여, 제1구간 내지 제4구간 중 대응되는 구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구간에 모델링 된 수식을 이용하여 하중을 측정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 및 방법은 하중 증감에 따른 겹판스프링의 이력 특성을 정확히 모델링 하여 화물의 하중 및 축하중, 총 하중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겹판스프링의 이력 특성에 의한 구간 분리와 간단한 수식 구성으로 구현이 쉬우며 파라미터 보정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2)
-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에 있어서,
1단 겹판 스프링 및 2단 겹판 스프링의 하중-변위 그래프 특성을 분석하여, 화물을 연속 상차하는 하중 증가 구간인 제1구간, 화물을 상차한 후 하차 하는 하중 증가 후 감소 구간인 제2구간, 화물을 연속 하차하는 하중 감소 구간인 제3구간 및 화물을 하차한 후 상차하는 하중 감소 후 증가 구간인 제4구간으로 분리하는 구간생성모듈;
상기 분리된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하중-변위 그래프 수식을 모델링 하는 모델링 모듈; 및
화물의 상하차 및 하중 증감을 파악하여, 제1구간 내지 제4구간 중 대응되는 구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구간에 모델링 된 수식을 이용하여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모델링모듈; 은
화물을 연속 상차하는 제1 구간은 하중 증가에 비례하여 처짐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차 방정식 y= a*x +b으로 모델링 하고,
상기 일차방정식에서 y는 하중이고 x는 처짐 변위이고,
상기 일차방정식의 파라미터 a와 b는 다른 하중이 가해지는 공차(x0, y0)와 만차(x1, y1)시점에서의 처짐과 하중을 이용하여
수학식 1: 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모듈; 은
제 2구간은 하중이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구간으로
일차방정식 y1= a1*x +b1으로 모델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모듈;은
하중이 계속 감소하는 구간으로 하중 감소에 비례하여 처짐이 감소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일차방정식 y2 = a2*x+b2로 모델링하고,
제3구간의 하중 y2는 1구간의 하중 y에 보상상수 C를 적용하여
수학식 y2 = C*y 로 산출하고
제 3구간 일차방정식의 파라미터 a2와 b2는 a2 = C*a, b2 = C*b로 산출하고, 제 2구간에서 제 3구간으로 전환되는 시점은 y2가 y1보다 크게 되는 시점으로 y1 = a1*x+b1과 y2 = a2*x+b2의 교점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링모듈;은
제 4구간 일차방정식 y3 = a3*x+b3 로 모델링하고,
파라미터 a3는 a1과 동일하며, b3은 y2 = a2*x+b2과 y3 = a3*x+b3 교점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간생성모듈;은
2단 겹판스프링의 경우, 하중-처짐 특성이 하단 겹판스프링만 하중이 작용하는 영역인 저하중 영역과 상하단 겹판스프링에 하중이 작용하는 영역인 고하중 영역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
- 삭제
- 구간생성모듈, 모델링모듈 및 하중 측정모듈을 포함하는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방법에 있어서,
(A) 구간생성모듈에서 1단 겹판 스프링 및 2단 겹판 스프링의 하중-변위 그래프 특성을 분석하여, 화물을 연속 상차하는 하중 증가 구간인 제1구간, 화물을 상차한 후 하차 하는 하중 증가 후 감소 구간인 제2구간, 화물을 연속 하차하는 하중 감소 구간인 제3구간 및 화물을 하차한 후 상차하는 하중 감소 후 증가 구간인 제4구간으로 분리하는 단계;
(B) 모델링모듈에서 상기 분리된 구간 각각에 대응되는 그래프 수식을 모델링 하는 단계; 및
(C) 하중측정모듈에서 화물의 상하차 및 하중 증감을 파악하여, 제1구간 내지 제4구간 중 대응되는 구간을 파악하고, 파악된 구간에 모델링 된 수식을 이용하여 하중을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의 단계; 는
화물을 계속 상차하는 1 구간은 하중 증가에 비례하여 처짐이 증가하기 때문에 일차 방정식 y= a*x +b으로 모델링 하고,
상기 일차방정식에서 y는 하중이고 x는 처짐 변위이고,
상기 일차방정식의 파라미터 a와 b는 다른 하중이 가해지는 공차(x0, y0)와 만차(x1, y1)시점에서의 처짐과 하중을 이용하여
수학식 1: 로 산출하고,
제2구간은 하중이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구간으로
일차방정식 y1= a1*x +b1으로 모델링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방법.
- 삭제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B)의 단계;는
하중이 계속 감소하는 구간으로 하중 감소에 비례하여 처짐이 감소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일차방정식 y2 = a2*x+b2로 모델링하고, 제 3구간의 하중 y2는 1구간의 하중 y에 보상상수 C를 적용하여 수학식 y2 = C*y 로 산출하고
제 3구간 일차방정식의 파라미터 a2와 b2는 a2 = C*a, b2 = C*b로 산출하고, 제 2구간에서 제 3구간으로 전환되는 시점은 y2가 y1보다 크게 되는 시점으로 y1 = a1*x+b1과 y2 = a2*x+b2의 교점을 이용하여 산출하고,
제 4구간 일차방정식 y3 = a3*x+b3 로 모델링하고,
파라미터 a3는 a1과 동일하며, b3은 y2 = a2*x+b2과 y3 = a3*x+b3 교점을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A)의 단계; 는
2단 겹판스프링의 경우, 하중-처짐 특성이 하단 겹판스프링만 하중이 작용하는 영역인 저하중 영역과 상하단 겹판스프링에 하중이 작용하는 영역인 고하중 영역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7276A KR102365275B1 (ko) | 2020-08-25 | 2020-08-25 |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7276A KR102365275B1 (ko) | 2020-08-25 | 2020-08-25 |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5275B1 true KR102365275B1 (ko) | 2022-02-22 |
Family
ID=8049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7276A KR102365275B1 (ko) | 2020-08-25 | 2020-08-25 |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527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500514A (zh) * | 2024-07-18 | 2024-08-16 | 安徽中凯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 一种物流车辆动态称重系统及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2581B1 (ko) | 2010-10-22 | 2011-12-13 | (주)바이텍코리아 | 2단 스프링 현가장치를 갖는 차량의 하중 측정 장치 및 방법 |
KR101315228B1 (ko) | 2013-04-18 | 2013-10-07 | 이알티엔지니어링(주) | 하중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의 코니컬스프링 변위량과 축상고 측정방법 및 그 장치 |
KR101504573B1 (ko) * | 2014-09-04 | 2015-03-23 | 주식회사 유디코 | 차량의 축 중량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
KR20170091348A (ko) * | 2016-02-01 | 2017-08-09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차량 자동 계근 시스템 및 방법 |
KR20200090525A (ko) * | 2019-01-21 | 2020-07-2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화물차량의 적재량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
2020
- 2020-08-25 KR KR1020200107276A patent/KR10236527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2581B1 (ko) | 2010-10-22 | 2011-12-13 | (주)바이텍코리아 | 2단 스프링 현가장치를 갖는 차량의 하중 측정 장치 및 방법 |
KR101315228B1 (ko) | 2013-04-18 | 2013-10-07 | 이알티엔지니어링(주) | 하중에 따른 철도차량 대차의 코니컬스프링 변위량과 축상고 측정방법 및 그 장치 |
KR101504573B1 (ko) * | 2014-09-04 | 2015-03-23 | 주식회사 유디코 | 차량의 축 중량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방법 |
KR20170091348A (ko) * | 2016-02-01 | 2017-08-09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차량 자동 계근 시스템 및 방법 |
KR20200090525A (ko) * | 2019-01-21 | 2020-07-2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화물차량의 적재량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500514A (zh) * | 2024-07-18 | 2024-08-16 | 安徽中凯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 一种物流车辆动态称重系统及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Vu et al. | Enhancing roll stability of heavy vehicle by LQR active anti-roll bar control using electronic servo-valve hydraulic actuators | |
Van der Sande et al. | Robust control of an electromagnetic active suspension system: Simulations and measurements | |
Oliveira et al. | Semi-active structural vibration control of base-isolated buildings using magnetorheological dampers | |
Xiao et al. | Sliding-mode output feedback control for active suspension with nonlinear actuator dynamics | |
KR102365275B1 (ko) | 탑재형 자중계의 하중 측정 장치 및 방법 | |
JP3401277B2 (ja) | エレベータ車両に乗り降りする乗客の数を求める方法 | |
Aghasizade et al. | Novel constrained control of active suspension system integrated with anti-lock braking system based on 14-degree of freedom vehicle model | |
Alyaqout et al. | Combined design and robust control of a vehicle passive/active suspension | |
Huang et al. | Rollover detection and control on the non-driven axles of trucks based on pulsed braking excitation | |
Cha et al. | Robustness studies of sensor faults and noises for semi-active control strategies using large-scale magnetorheological dampers | |
Amani et al. | Imperfection sensitivity of slender/stocky metal plates | |
Denimal et al. | On the influence of multiple contact conditions on brake squeal | |
Song et al. | An Adaptive semiactive control algorithm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s | |
US20220319292A1 (en) | Analysis processing device and analysis processing method | |
Bianchi et al. | Payload oscillation reduction in load-handling machines: A frequency-based approach | |
Dubrovskiy et al. | Properties of new adaptive suspension of vehicles | |
KR101732408B1 (ko) | 내하력 산정을 통한 중차량 통행허가 방법 | |
Alyaqout et al. | Combined design and robust control of a vehicle passive/active suspension | |
Zhang et al. | Plastic effect on the sliding inception between a cylinder and a rigid flat | |
Wahyudin et al. | Stress analysis on an automotive lower arm steered on the straight and turning roads | |
Gopalakrishnan | Emotional Learning based adaptive control algorithm for Semi-Active seismic control of structures | |
ElBeheiry | A method for preview vibration control of systems having forcing inputs and rapidly-switched dampers | |
Azhar et al. | Stress Analysis on an Automotive Coil Spring Due to Speed Effect | |
JP2010091463A (ja) | 解析条件決定装置 | |
Marappan et al. | Design of parabolic leaf spring for light duty automob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