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063B1 -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Google Patents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4063B1 KR102364063B1 KR1020210135657A KR20210135657A KR102364063B1 KR 102364063 B1 KR102364063 B1 KR 102364063B1 KR 1020210135657 A KR1020210135657 A KR 1020210135657A KR 20210135657 A KR20210135657 A KR 20210135657A KR 102364063 B1 KR102364063 B1 KR 1023640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plate
- support
- chair
- support arms
- backres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4—Seat parts with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무 혹은 학습 등을 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등받이 의자의 좌판이 등받이를 향해 백-다운되면서 사용자의 등 부분 전체가 등받이에 밀착되는 동시에 등받이의 하단이 전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압박하므로 상호 밀착도와 지지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더욱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여 학습 및 업무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고, 다리를 꼬아 앉거나 의자 측부를 향해 몸을 기울이는 등의 하중 위치 변화에 따라 좌판이 좌,우로 롤링되면서 하중의 안정적인 지지는 물론 몸의 기울임이 편안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일층 향상시켜 주는 것이며, 상체를 기울이거나 다리 전체를 뻗어 하중이 좌판의 전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좌판 전체가 전방으로 틸팅되면서 보다 자연스러운 자세를 유도하게 되므로 장시간 의자를 사용함에도 피로감이나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업무 혹은 학습 등을 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 의자에 착석하는 과정에서 백-다운 형태로 움직이는 좌판에 대한 백-다운 구조의 개선 및 상기 좌판에 대한 전방 틸팅 및 좌,우 탄력적인 롤링 구조를 적용하는 것은 물론 상기 좌판에 대한 백-다운 과정에서 링크 연결된 등받이지지대의 하단이 사용자의 전방 회동하여 요추 부분을 푸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착석 상태에서 등받이지지대와의 밀착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요추 부분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더욱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동시에 좌판 백-다운 구조에 대한 조립성 및 내구성 향상과 함께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무게중심 변화에 따라 좌판이 전방으로 틸팅되거나 좌판의 좌,우가 탄력적으로 롤링되면서 더욱 편안하고 편리한 상태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등받이 의자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받이 의자는 사용자가 앉는 좌판과 좌판을 지지하는 다리 및 좌판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와 좌판과 다리 사이에 설치되어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구와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등받이 의자는 사용자가 좌판에 앉은 후 등받이에 등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학습을 하거나 업무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등받이에 통풍성을 향상시키거나 또는 헤드레스트가 틸팅되도록 하거나 또는 의자 좌판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하거나 또는 의자와 등받이에 쿠션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대개 의자 좌판이 등받이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엉덩이가 항상 의자 좌판의 전방측으로 밀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허리가 굽어지거나 골반이 틀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의자에 앉아 고정된 자세에서 오랜 시간동안 작업을 하게 되면 추간연골의 혈액 및 양분 공급을 차단하게 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경직되고, 좌판의 전방측으로 엉덩이가 밀릴 경우 잘못된 자세에 의해 사용자의 척추라인이 정상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게 되어 뒤로 굽어지는 척추후만증이 발생되며 척추후만증이 지속될 경우 척추의 추간연골이 척추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의자에 앉을 때 엉덩이를 등받이측으로 밀착시킨 상태로 앉도록 하고는 있으나, 장시간 의자에 앉아 학습을 하거나 업무를 보는 동안에 사용자의 상체 하중에 의해 상체가 점차적으로 눌러지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엉덩이가 의자 좌판이 전방측으로 미끄러지게 되어 엉덩이가 등받이에 밀착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좌판의 틸팅기능을 갖는 의자들이 안출되고 있는 것으로, 등록특허 10-1913799호인 좌판 틸팅형 의자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좌판이 구비된 착석부와, 상기 좌판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상기 좌판을 지면에 대해 이격시키는 하부본체부와, 상기 하부본체부에 대해 상기 좌판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각도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좌판의 전방측 하부와 상기 좌판의 후방측 하부에서 상기 좌판과 상기 하부본체부를 연결하는 회동연결부와, 상기 회동연결부에 의해 상기 좌판이 상기 하부본체부에 대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각도 회동될 시, 상기 좌판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회동연결부에 설치되는 토션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좌판과 하부본체부의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143619호의 경우 좌판과 다리부를 구비한 의자에 적용되는 좌판 틸팅장치에 있어서, 좌판과 다리부 사이에 설치되어 좌판의 틸팅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는 다리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좌우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좌판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시소운동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좌판 틸팅장치 및 의자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좌판의 틸팅기능을 위한 토션부가 연결하우징의 내측 공간을 채운 고무소재의 토션고무층으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토션부의 찢어짐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토션부의 틀어진 후 복귀되는 복귀성이 저하되어 좌판에 대한 틸팅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10-2038385호와 같이 좌판프레임체 상단에 고정되는 수용구와, 상기 수용구에 수용되는 좌판틸팅체와, 상기 수용구에 일측이 각각 힌지 연결되고 타측은 의자 좌판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틸팅링크체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에 사용자가 앉을 때 눌러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좌판틸팅체가 압축되면서 상기 좌판이 등받이측으로 밀착되고, 상기 좌판으로부터 사용자가 일어서는 것에 의해 좌판에 가해지는 하중이 해제되어 상기 좌판틸팅체가 벌어지면서 등받이측에 밀착된 좌판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비되는 의자 좌판의 밀착형 틸팅구조를 안출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좌판 밀착형 틸팅 또는 백-다운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는 좌판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회전하는 링크로 인해 틸팅스프링을 압축시켜 좌판에 탄력성을 부여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회전 운동하는 상기 링크와 간섭되는 틸팅구의 횡방향 운동력으로 인해 상기의 틸팅스프링이 반복적으로 압축 혹은 복원되는 형태의 구조적 취약함을 갖고 있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링크의 회전시 링크 일측의 밀착돌부가 회전하면서 틸팅구와 간섭을 일으키면서 상기의 틸팅구가 이동하여 틸팅스프링을 압축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이들 상호 간의 강력한 마찰 저항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밀착돌부 혹은 틸팅구의 마모 혹은 취약 파손이 빈번하므로 이들의 훼손으로 인해 틸팅장치 혹은 나아가 의자 전체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틸팅스프링은 지속적으로 압축과 복원을 반복하는 동안 상기 틸팅스프링에 대한 압축력의 약화가 진행될 것이므로 결국 상기와 같은 좌판의 상승 복원력이 저하되거나 틸팅 작용력이 떨어지는 등 구조적 내구성 및 작동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전기한 틸팅장치는 걸림돌부를 갖는 링크와 틸팅구 및 틸팅스프링 및 이들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과 이탈방지덮개 등 복잡하고 조밀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조립 효율성이 떨어져 생산성 저하로 연결되는 것이고, 틸팅스프링의 압축 상태가 본래의 길이로 충분히 복원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링크와 틸팅구 간의 유격 및 간극으로 인한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는 등 다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구조적 개선이 절실한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10-2275327호와 같이, 좌판과 백-다운장치의 사이에 결합 회전되는 지지아암이 상기 백-다운장치 내에 위치한 토션스프링의 일단부에 구속되도록 하여 상기 토션스프링의 비틀림 탄성으로 인해 상기의 지지아암이 탄력 회전되게 하고, 상기 지지아암의 탄력 회전으로 인해 상기 좌판이 등받이를 향해 백-다운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좌판에 대한 백-다운 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구조적 단순화로 인해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내구성을 증대시켜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고, 토션스프링의 간단한 교체를 통해 백-다운 작용에서의 탄력성 및 하중 저항 또는 복원력 등을 빠르고 쉽게 가감할 수 있도록 한 좌판의 개선된 백-다운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를 안출 및 등록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등받이 의자의 좌판 백-다운구조는 단순히 등받이 의자의 좌판이 백-다운 형태로만 작동하므로 의자에 착석 상태에서 자세를 바꾸거나 몸을 움직이는 경우 사용자의 체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거나 무게중심의 변화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착석 상태를 유도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허벅지를 나란히 편 상태를 취하거나 다리를 꼰 형태 혹은 몸을 비틀어 앉는 등 주기적으로 경직된 몸을 풀어주거나 자세를 고쳐잡는 것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등받이 의자의 좌판에는 사용자의 착석 자세 혹은 위치에 따라 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하는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다.
이에 다리를 꼰 상태 혹은 좌판의 중심이 아닌 일측으로 옮겨 앉은 형태를 유지하는 경우 사용자의 둔부 및 허벅지 전체를 통해 하중이 고르게 좌판에 분산되는 것이 아니라 일측 둔부 또는 허벅지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좌판에도 편향된 형태로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자세가 지속되는 경우 사용자는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것은 물론 좌판으로부터의 반력 또는 응력이 사용자의 요추 부분에 집중적으로 작용하면서 다양한 허리 질환이나 증상 등을 유발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등받이 의자인 경우에도 바른 자세로의 착석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사용자는 피로감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바른 자세를 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개인의 체형이나 습관 혹은 편리에 따라 다양한 자세로 의자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사용자의 허리에는 상당한 무리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의자 측부 혹은 바닥부로 물건이 떨어지거나 기타 필요에 의해 물건 등을 집어 올리거나 내려놓을 경우 바람직하게는 의자가 물품의 전면을 향하도록 좌판 및 등받이를 회전 상태에서 몸을 숙여 물품을 집거나 내려놓는 것이 이상적인데, 대부분 번거로움으로 인해 그대로 몸을 비틀어 물건을 내려놓거나 집어올리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비틀림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평 지지의 좌판에 앉은 상태로 몸을 비틀어 기울이게 되면 사용자의 요추에는 비틀린 상태에서 무리한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허리 건강에 특히 이롭지 못한 것으로 자칫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등받이 의자에 적용된 좌판은 백-다운 구조를 통해 사용자의 요추 부분이 등받이지지대에 밀착된 상태로 착석되도록 유도하여 올바른 자세가 지속적으로 유도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이 몸을 비틀거나 잘못된 자세로 의자를 사용하는 과정에서의 다양한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고 있지는 못한 것이어서 그에 따른 대책이나 해소방안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한 쌍의 전방지지아암과 후방지지아암을 갖는 백-다운장치에 대하여, 상기 전방지지아암과 후방지지아암의 상측을 각기 서로 연결하는 가로지지축과 좌판의 하부의 브라켓을 회전축핀에 의해 상호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는 탄력받침부재를 삽입 형성하며, 상기 전방지지아암과 후방지지아암의 하측을 각기 서로 연결하는 회전각관에 결합된 회전가압구 및 장치본체 내 탄력지지블록에 의해 좌판의 탄력적인 회전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후방가로지지축에는 작동링크를 통해 등받이지지대의 하부가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좌판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체중에 따라 좌판 전체가 백-다운 형태로 하강하는 것은 물론 좌판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하중 위치 변화에 따라 좌판의 앞쪽은 하강하고 뒷쪽은 상승하는 형태의 틸팅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좌판의 좌,우가 경사진 형태로 롤링되는 것은 물론 좌판이 백-다운되는 동시에 등받이지지대의 하단이 사용자의 요추부분을 푸시하도록 하여, 몸을 기울이거나 무게 중심을 옮긴 상태에서도 자연스럽고 편안한 자세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지주의 하단에 방사상의 지지각이 형성된 하부지지체가 구비되어 상기 수직지주의 선단에 별도 구비의 등받이 록킹장치가 장착되고, 상기 등받이 록킹장치의 일측에는 등받이프레임이 힌지 결합된 별도 구비의 등받이지지대 하단이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 록킹장치의 상부에는 별도 구비의 백-다운장치 및 좌판이 양측의 전방지지아암 및 후방지지아암에 의해 상,하 이격 상태로 상호 힌지 결합되어진 등받이 의자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지지아암과 후방지지아암의 상측은 지지축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지지축관에는 별도 구비의 가로지지축이 삽입되며, 상기 가로지지축의 중간부는 좌판의 저면에 전,후 배치된 지지브라켓에 대하여 축 결합되어 상기의 좌판이 좌,우로 롤링되게 하고; 상기 한 쌍의 전방지지아암과 후방지지아암의 하측은 백-다운장치의 장치본체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각관의 단부에 각기 결합 고정되고, 상기 회전각관의 중간부에는 별도 구비의 회전가압구가 삽입되게 하며, 상기 장치본체의 상측에는 전기한 회전가압구 및 회전가압구의 일측 하부에 위치되게 한 별도 구비의 탄력지지블록이 삽입되게 한 안치홈부를 형성하여 상기의 좌판이 탄력 백-다운 및 틸팅 작동되게 하고; 상기 후방지지아암을 연결하는 가로지지축과 상기 등받이프레임의 하단은 별도 구비의 작동링크부에 의해 서로 링크 연결되어 상기 좌판의 백-다운 작용과 연동하는 상기 작동링크부를 통해 등받이프레임의 하단이 전방으로 회동하여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좌판이 등받이를 향해 백-다운되면서 사용자의 등 부분 전체가 등받이에 밀착되는 동시에 등받이의 하단이 전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압박하므로 상호 밀착도와 지지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더욱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여 학습 및 업무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것이고, 다리를 꼬아 앉거나 의자 측부를 향해 몸을 기울이는 등의 하중 위치 변화에 따라 좌판이 좌,우로 롤링되면서 하중의 안정적인 지지는 물론 몸의 기울임이 편안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가일층 향상시켜 주는 것이며, 상체를 기울이거나 다리 전체를 뻗어 하중이 좌판의 전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좌판 전체가 전방으로 틸팅되면서 보다 자연스러운 자세를 유도하게 되므로 장시간 의자를 사용함에도 피로감이나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측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요부 측면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요부 측면 확대 분리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지지아암 상부와 좌판 간 결합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의 전방지지아암 결합부에 대한 확대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7에서의 후방지지아암 결합부에 대한 확대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지지아암 하부와 장치본체 간 결합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의 전방지지아암 결합부에 대한 확대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서의 후방지지아암 결합부에 대한 확대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전방지지아암 하단과 장치본체 간 회전결합부를 보인 확대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좌판 백-다운 작용을 보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좌판 백-다운 및 등받이 푸시 작용을 보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좌판 롤링 작용을 보인 단면 작동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좌판 틸팅 작용을 보인 작동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측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요부 측면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요부 측면 확대 분리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지지아암 상부와 좌판 간 결합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의 전방지지아암 결합부에 대한 확대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7에서의 후방지지아암 결합부에 대한 확대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지지아암 하부와 장치본체 간 결합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의 전방지지아암 결합부에 대한 확대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서의 후방지지아암 결합부에 대한 확대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전방지지아암 하단과 장치본체 간 회전결합부를 보인 확대 분리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좌판 백-다운 작용을 보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좌판 백-다운 및 등받이 푸시 작용을 보인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좌판 롤링 작용을 보인 단면 작동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좌판 틸팅 작용을 보인 작동 설명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전체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측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요부 측면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의 요부 측면 확대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 의자는 일반적인 형태의 등받이 의자에 구비된 좌판에 대하여 사용자의 무게 중심 변화에 따라 상기의 좌판이 다양한 형태로 틸팅 혹은 롤링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일반적인 형태의 등받이 의자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면 우선 쇽업소버 등이 장착된 수직지주(101)의 하단에 방사상의 지지각(102)이 형성된 하부지지체(10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수직지주(101)의 선단에는 별도 구비의 등받이 록킹장치(11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등받이 록킹장치(110)의 일측에는 별도 구비의 등받이지지대(120) 하단이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등받이 록킹장치(110)의 상부에는 별도 구비의 백-다운장치(200) 및 좌판(130)이 순차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백-다운장치(200) 및 좌판(130)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양측의 전방지지아암(210)(210') 및 후방지지아암(220)(220')에 의해 상,하 이격 상태로 상호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등받이지지대(120)의 선단 전방에는 별도 구비의 등받이프레임(121) 후면 중간부가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등받이프레임(121)에 쿠션패드 혹은 메쉬 형태의 지지부재를 통해 사용자의 상체 하중을 지지해주는 것은 물론 등받이 록킹장치(110)로부터 회동하는 등받이 지지대(120)로 인해 상기 등받이프레임(121)에 대한 틸팅 작용은 물론 등받이 지지대(120)로부터 힌지 결합된 등받이프레임(121)은 소정의 회전 작용을 통해 사용자의 등 부분에 온전하게 밀착되면서 우수한 착좌감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하중을 고르게 받쳐주게 된다.
또한, 상기의 하부지지체(100)는 사용자의 체중을 온전히 지탱하는 동시에 등받이 의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고, 상기 등받이 록킹장치(110)는 등받이지지대(120)에 대한 틸팅 혹은 각도 고정을 위한 동시에 쇽업쇼버가 내장되는 수직지주(101)에 대한 높낮이의 조절을 위한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의 백-다운장치(200)는 좌판(130)에 사용자가 착석하는 경우 하중에 의해 좌판(130)이 등받이지지대(120)를 향하여 후측 방향으로 하강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등 부분이 등받이지지대(120)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좌판(130)은 백-다운장치(200)와 힌지 결합된 전방지지아암(210)(210') 및 후방지지아암(220)(220')의 회전 작용에 의해 의자 뒷쪽으로의 하향 회전 및 의자 앞쪽으로의 상향 회전을 통해 백-다운 및 상향 복귀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한 쌍의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의 상측은 지지축관(231)(23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각각의 지지축관(231)(231')에는 별도 구비의 가로지지축(230)(230')이 삽입되며, 상기 가로지지축(230)(230')의 중간부는 좌판(130)의 저면에 전,후 배치된 지지브라켓(240)(240')에 대하여 축 결합되어 상기의 좌판(130)이 상호 결합의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롤링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전기한 가로지지축(230)(230')과 지지브라켓(240)(240')은 별도 구비의 회전축핀(250)(250')을 통해 상호 축 결합되고, 전기한 가로지지축(230)(230')의 상측에는 상기 지지브라켓(240)(240')의 저면에 상단이 밀착되게 한 탄력받침부재(234)(234')가 삽입 형성되어 상기 좌판(130)이 힌지축핀(250)(250') 및 탄력받침부재(234)(234')에 의해 좌,우로 탄력있는 롤링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한 쌍의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의 하측은 백-다운장치(200)의 장치본체(201)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각관(260)(260')의 단부에 각기 결합 고정되고, 상기 회전각관(260)(260')의 중간부에는 별도 구비의 회전가압구(270)(270')가 삽입되게 하며, 상기 장치본체(201)의 상측에는 전기한 회전가압구(270)(270') 및 회전가압구(270)(270')의 일측 하부에 위치되게 한 별도 구비의 탄력지지블록(280)(280')이 삽입되게 한 안치홈부(202)(202')를 형성하여 상기의 좌판(130)이 상기 탄력지지블록(280)(280')에 의해 탄력적인 백-다운 및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의 회전 작용을 이용하여 좌판(130)의 전방이 하향 경사진 형태로의 틸팅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어, 상기 후방지지아암(220)(220')을 연결하는 가로지지축(23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121)의 하단은 별도 구비의 작동링크부(300)에 의해 서로 링크 연결되어, 상기 좌판(130)의 백-다운 작용과 연동하는 상기 작동링크부(300)를 통해 등받이프레임(121)의 하단이 전방으로 전진 회동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등받이프레임(121)이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가압하여 더욱 밀착감있는 착좌감은 물론 이상적인 착좌 상태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작동링크부(300)는 후방지지아암(220)(220')을 연결하는 지지축관(231')에 선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체(310)와, 상기 제1링크체(310)의 하단에 일측단이 상호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링크체(320)와, 상기 제2링크체(320)의 타단과 일측 하단이 서로 힌지 결합되는 제3링크체(330)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3링크체(300)의 선단은 전기한 등받이프레임(121)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게 하고, 상기 등받이지지대(120)의 전방 하측에는 상기 작동링크부(300)가 삽입 및 수용되게 한 안치홈(122) 및 안치공(123)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1링크체(310)의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체(320)의 일측단에는 상기 제1링크체(310)의 하단이 삽입되게 한 끼움홈(321)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321)의 내부 양측으로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유동슬롯(322)(322')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321)으로 삽입되는 제1링크체(310)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유동슬롯(322)(32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끼움돌부(311)를 형성하여, 상기 유동슬롯(322)(322')의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끼움돌부(311)에 의해 상기 제1링크체(310)와 제2링크체(320) 간의 유격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좌판(130)에 사용자가 앉아 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좌판(130)을 후측으로 경사진 상태의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이 하측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상기의 좌판(130) 역시 백-다운 형태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고, 후방지지아암(220)(220')을 연결하고 있는 지지축관(231')이 함께 후방 하강됨에 따라 상기 지지축관(231')에 선단이 힌지 결합된 상태의 제1링크체(310)를 하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 제1링크체(310)에 작용하는 하강력은 제1링크체(310)의 하단을 통해 제2링크체(320)로 전달되는 동시에 제2링크체(320)와 하단이 힌지 결합된 상태의 제3링크체(330)는 반대로 경사상 상승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은 제2링크체(320)는 대부분이 등받이지지대(12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된 안치홈(122)에 삽입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제2링크체(320)의 하단은 안치홈(122)의 하측에 위치하는 안치공(123) 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전기한 바와 같이 제1링크체(310)에 하중이 작용하여 후방 경사진 형태로 움직임을 갖게 되면 제1링크체(310)의 하단에 일측단이 힌지 결합된 제2링크체(320)는 안치홈(122) 바닥면으로부터 슬립하면서 후퇴 이동하게 될 것이고, 이러한 후퇴 이동 과정에서 "L"자 형태로 된 등받이지지대(120)의 형상적 특성에 따라 제2링크체(320)의 타단은 상측 방향으로 유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링크체(320)의 후퇴 및 제3링크체(330)와의 연결부가 상향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3링크체(330) 역시 경사진 상태에서 상향으로의 압력을 받으며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제3링크체(330)의 움직임에 따라 제3링크체(330)의 하단과 힌지 결합된 등받이프레임(121)은 등받이지지대(120)와의 힌지 결합부를 축점으로 하여 하단이 전진하는 형태의 회전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등받이프레임(121)의 하단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등받이프레임(121)의 하단이 사용자의 요추 부분에 위치하고 있어 결국 좌판(130)에 착석하게 되면 상기의 좌판(130)이 백-다운 형태로 움직이며 사용자의 상체 전체가 등받이를 향하여 이동 및 밀착되도록 유도하는 것이고, 이와 동시에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해 등받이프레임(121)의 하단이 전방으로 회전되면서 착석 상태의 사용자 요추 부분을 지속적으로 압박하게 되므로 더욱 올바른 자세를 유도하는 것은 물론 하중 분산 작용이 매우 탁월하여 장시간 착석시에도 피로감이나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전기한 바와 같은 백-다운 장치(2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의 상측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각기 별도 구비의 가로지지축(230)(230')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가로지지축(230)(230')의 중간부는 좌판(130)의 저면에 전,후 배치된 지지브라켓(240)(240')에 대하여 별도 구비의 회전축핀(250)(250')을 통해 상호 축 결합되며, 상기 가로지지축(230)(230')의 상측에는 상기 지지브라켓(240)(240')의 저면에 상단이 밀착되게 한 탄력받침부재(234)(234')가 삽입 형성되어 상기 좌판(130)이 힌지축핀(250)(250') 및 탄력받침부재(234)(234')에 의해 좌,우로 탄력 롤링되게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좌판(130)은 상기 힌지축핀(250)(250')의 길이방향을 중심 축선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의 롤링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좌판(130)에 대한 롤링시 탄력받침부재(234)(234')는 롤링 방향에 따라 일측의 탄력받침부재(234)(234')가 압축되었다가 롤링 압력이 해제 또는 상실됨에 따라 압축 상태의 탄력받침부재(234)(234')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좌판(130)의 수평 상태로의 복귀를 빠르게 도와주는 것은 물론 양측의 탄력받침부재(234)(234')에 의해 편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의 좌판(130)에 대한 수평 상태로의 유지를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의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한 쌍의 후방지지아암(220)(2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전,후의 가로지지축(230)(230')에는, 도 8 및 도 9의 도시와 같이 상기 가로지지축(230)(230')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지지축관(231)(231')이 삽입되고, 상기 지지축관(231)(231')의 양단에는 상기 전방지지아암(210)(210') 및 후방지지아암(220)(220')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된 체결볼트(400)(400')가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가로지지축(230)(230')이 지지축관(231)(231')으로부터 자유 회전 상태로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의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체결볼트(400)(400')에 의해 서로 결합 고정된 지지축관(231)(231')에 단순히 삽입된 상태의 가로지지축(230)(230')은 상기 지지축관(231)(231')으로부터 자유 회전이 가능하므로 결국 상기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이 회전하더라도 가로지지축(230)(230')과 연결된 좌판(130)은 가로지지축(230)(230')의 비회전으로 인해 수평인 상태에서 후측 방향으로의 하강 및 앞쪽으로의 상승 작용만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좌판(130)이 회전축핀(250)(250')에 의해 축 결합되는 가로지지축(230)(230')의 중앙에는 전기한 회전축핀(250)(250')이 삽입되는 힌지축공(232)이 가로지지축(230)(230')의 길이방향과 평면상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공(232)의 양측에 해당하는 가로지지축(230)(230')의 상부에는 전기한 탄력받침부재(234)(234')의 하부가 삽입되는 끼움홈(233)(233')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판(130) 저면에 장착되는 지지브라켓(240)(240')에는 상기 힌지축공(232)과 대응하는 체결공(24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공(232)과 체결공(241)으로 삽입되는 힌치축핀(250)(250')에 의해 가로지지축(230)(230')과 지지브라켓(240)(240')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탄력받침부재(234)(234')는 선단이 상기 지지브라켓(240)(24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상호 이격 폭을 유지하여야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브라켓(240)(240')은 금속 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로지지축(230)(230')과 지지브라켓(240)(240')의 수평상태에서 상기 탄력받침부재(234)(234')는 끼움홈(233)(233')의 바닥면과 지지브라켓(240)(240')의 저면 사이에 비압축 상태로 삽입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하중이 작용하지 않는 좌판(130)은 양측 탄력받침부재(234)(234')의 지지력에 의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고,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좌판(130)에 하향의 하중이 작용하면 전기한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이 회전하면서 좌판(130)을 수평 상태로 하강시키는 것이다.
이때, 좌판(130)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자 일측으로 몸을 기울이거나 의자 측부 바닥면에 대한 사용자 무게중심의 변화를 가하는 경우 해당 방향으로 좌판(130)이 회전축핀(250)(250')을 중심축으로 하여 롤링되는 것이고 이와 함께 해당 방향의 탄력받침부재(234)(234')가 압축되면서 좌판(130)에 대한 탄력적인 롤링은 물론 사용자가 자세를 바르게 고쳐 잡는 과정에서 압축 상태인 탄력받침부재(234)(234')가 복원되면서 좌판(130)을 수평 상태로 빠르게 도와주게 되는 동시에 회전축핀(250)(250')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탄력받침부재(234)(234')가 좌판(130)의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다.
이어, 상기 한 쌍의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의 하측은 도 10의 도시와 같이 백-다운장치(200)의 장치본체(201)를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회전각관(260)(260')의 단부에 체결볼트(400)(400')에 의해 각기 결합 고정되고, 상기 회전각관(260)(260')의 중간부에는 별도 구비의 회전가압구(270)(270')가 삽입되게 하며, 상기 장치본체(201)의 상측에는 전기한 회전가압구(270)(270') 및 회전가압구(270)(270')의 일측 하부에 위치되게 한 별도 구비의 탄력지지블록(280)(280')이 삽입되게 한 안치홈부(202)(202')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회전각관(260)(260')을 회전축으로 하여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이 회전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회전각관(260)(260')의 회전과 함께 상기의 회전가압구(270)(270') 역시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즉, 한 쌍의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한 쌍의 후방지지아암(220)(220')은 도 11 및 도 12의 도시와 같이 상호 대향하는 하부 일측에 각홈(211)(221)을 형성하여 상기 각홈(211)(221)으로 전기한 회전각관(260)(260')이 삽입됨에 따라 이들 전방지지아암(210)(210') 및 후방지지아암(220)(220')과 회전각관(260)(260')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한 것이고, 상기 회전가압구(270)(270')에는 상기 회전각관(260)(260')이 관통 삽입되게 한 각공(271)과 상기 탄력지지블록(280)(280')의 상부에 위치하는 편심누름구(27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전방지지아암(210)(210') 및 후방지지아암(220)(220')과 회전각관(260)(260')의 회전 작용에 의해 회전가압구(270)(270')가 함께 회전하며 편심누름구(272)에 의한 탄력지지블록(280)(280')의 압축을 통해 좌판(130)에 대한 백-다운 완충 및 탄력지지블록(280)(280')의 복원력에 의한 좌판(130)의 자동 상승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전기한 전방지지아암(210)(2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회전각관(260) 상에 삽입된 회전가압구(270)가 안치되는 안치홈부(202) 상에는 별도 구비의 커버체(29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장치본체(201)에 결합되는 커버체(290)에 의해 전방지지아암(210)(210') 사이의 회전가압구(270)가 장치본체(201) 내에 은폐된 상태로 회전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전방지지아암(210)(21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장치본체(201)의 안치홈부(202) 양측에는 회전각관(260)의 삽입 경로 상에 위치한 스프링수용홈(203)(203')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수용홈(203)(203')에는 별도 구비의 토션스프링(204)(204')을 삽입하되, 상기 토션스프링(204)(204')은 상기 회전각관(260)에 삽입되는 동시에 토션스프링(204)(204')의 양측 끝단은 각기 장치본체(201)와 회전가압구(270)의 일측에 각기 삽입 계지되도록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회전가압구(270)에 토션스프링(204)(204')의 비틀림 탄발력이 부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의 회전각관(260)이 회전을 하게 되면 토션스프링(204)(204')이 비틀림에 의한 압축력을 갖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전방지지아암(210)(210') 및 후방지지아암(220)(22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회전각관(260)의 회전이 일어나면 상기의 토션스프링(204)(204')은 비틀림이 일어나면서 압축되는 것이고, 사용자가 의자로부터 일어서게 되면 전기한 탄력지지블럭(280)(280')의 복원력 및 상기 토션스프링(204)(204')의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이 강제로 상향 회전되면서 백-다운 형태의 좌판(130) 역시 전방으로의 상향 복귀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후방지지아암(220)(220')의 하단에 결합되는 회전각관(260') 상에 삽입되는 회전가압구(270')는, 상기 회전각관(260')이 삽입되게 한 관통공(292)이 양측에 형성된 노출형커버(291) 내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각관(260')에 노출형커버(291)와 함께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노출형커버(291)에는 상기 회전가압구(270')가 삽입되게 한 수용공(293)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전기한 장치본체(201)의 후측 안치홈부(202')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수용공(293)을 통해 후측의 회전가압구(270')에 대한 작동 상태가 확인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노출형커버(291)는 백-다운장치(200)의 장치본체(201)에 대하여 언더컷과 대응하는 체결공 혹은 탄력계지돌기와 대응하는 걸림턱 또는 고정볼트에 의한 나사결합 등의 다양한 상호 체결수단을 적용시켜 원터치 형태로 간단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전방지지아암(210)(210')의 상호 대향의 하단에는 도 13의 도시와 같이 회전허용홈(212)(212')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허용홈(212)(212')과 대응하는 장치본체(201)의 양측면에는 상기 회전허용홈(212)(212')의 내폭 보다는 좁은 두께로 된 회전멈춤구(205)(205')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장치본체(201)로부터 회전각관(260)(260')을 중심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전방지지아암(210)(210')은 상기 회전멈춤구(205)(205')가 상기 회전허용홈(212)(212')의 내 폭 범위 내에서 움직이며 상기 전방지지아암(210)(210')에 대한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것으로, 좌판(130)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인해 전방지지아암(210)(210')이 하향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멈춤구(205)(205')는 회전허용홈(212)(212')의 일측과 간섭되어 불필요하게 전방지지아암(210)(21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고, 사용자가 의자로부터 일어서 좌판(130)이 상승 및 전방지지아암(210)(210')이 상향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멈춤구(205)(205')가 회전허용홈(212)(212')의 타측과 간섭되어 상기 전방지지아암(210)(210')이 과도하게 상향 회전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지지아암(210)(210')의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허용홈(212)(212')과 장치본체(201)의 양측에 형성되는 회전멈춤구(205)(205') 간의 간섭으로 인해 상기 전방지지아암(210)(210')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면서 좌판(130)에 대한 승강 높이 및 지지아암의 회전량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멈춤구(205)(205')와 회전허용홈(212)(212')은 전방지지아암(210)(210') 및 대향의 장치본체(201)에 한정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후방지지아암(220)(220')과 대량의 장치본체(201)에 한정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고, 상기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 및 장치본체(201)에 회전허용홈(212)(212')과 회전멈춤구(205)(205')를 상호 대응하여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등받이 의자에 사용자의 하중이 작용함에 따라 혹은 좌판(130)에 앉은 상태에서 좌,우로의 하중 변화가 발생함에 따라 상기 좌판(130) 및 백-다운 장치(200) 간의 상호 작용 관계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도 14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가 좌판(130) 상에 착석하게 되면 하중으로 인해 상기의 좌판(130)은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을 하향 회전시키면서 백-다운 형태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전방지지아암(210)(210') 및 후방지지아암(220)(2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각관(260)(260')이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이고, 회전각관(260)(260')의 회전과 함께 회전각관(260)(260')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회전가압구(270)(270') 역시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가압구(270)(270') 및 편심누름구(272)의 회전 작용으로 인해 편심누름구(272)가 탄력지지블록(280)(280')을 압축하면서 상기의 좌판(130)은 탄력지지블록(280)(280')의 완충 작용으로 인해 소정의 탄력성을 갖고 백-다운 되는 것이고, 상기 좌판(130)의 백-다운 작용으로 인해 좌판(130)에 앉은 사용자의 등 부분은 등받이지지대(120)를 향하여 밀착되므로 더욱 바람직한 착석 자세를 유도하는 것은 물론 등받이지지대(120)의 하단이 사용자 요추 부분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게 되므로 사용상의 피로감이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좌판(130)에 착석하여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해 좌판(130)이 백-다운 형태로 하강하게 되면 후방지지아암(220)(220')을 연결하는 후측의 가로지지축(230') 역시 하강을 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가로지지축(230')을 관통하여 삽입된 지지축관(231')과 힌지 결합된 상태의 제1링크체(310) 역시 하강을 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의 제1링크체(310)는 후측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하측단이 하향 경사진 형태로 하강하면서 제2링크체(320)에 힘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링크체(320)의 하측은 등받이지지대(120)에 형성된 안치공(123) 상에 위치하고 있고 제2링크체(320)의 상측은 등받이지지대(120)에 형성된 안치홈(122) 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링크체(310)의 하강력으로 인해 제2링크체(320)의 하측은 안치공(123) 내측으로 하향 다운되고 제2링크체(320)의 상측은 반대로 상향 상승하는 형태의 움직임을 갖게 되면서 결국 제3링크체(330)를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리는 형태의 작동 구조를 보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3링크체(330)가 상향 경사진 형태로 상승하면서 중간부가 등받이지지대(120)의 선단에 힌지 결합된 등받이프레임(121)의 하측을 전진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등받이프레임(121)의 하부가 전진 형태로 회전됨에 따라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좌판(130)에 착석하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으로 인해 좌판(130)이 백-다운 형태로 하강하는 동시에 등받이프레임(121)의 하측은 전진 회전하는 움직임을 갖게 되면서, 사용자의 등 전체가 등받이 프레임(121)의 전면에 고르게 밀착되는 것은 물론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지속적으로 푸시하면서 더욱 올바른 형태의 착석 자세를 유도하는 것이고, 요추 부분에 작용하는 가압력으로 인해 사용자는 장시간 의자에 앉아 업무 혹은 학습을 하더라도 피로감이나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착석 상태에서 사용자가 의자 측부로 몸을 기울이거나 의자 측면을 바닥을 향해 몸을 기울이는 등 좌판(130)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무게중심이 좌판(130)의 일측으로 옮겨가는 경우 하중이 더 크게 작용하는 좌판(130)의 일측으로 상기 좌판(130)은 롤링 작용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도 16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의 좌판(130) 역시 무게 중심을 따라 좌,우로 롤링되는 것이다.
즉, 상기 좌판(130)의 일측으로 사용자의 무게 중심 옮겨가면 상기의 좌판(130)은 가로지지축(230)(230')과의 상호 결합을 위한 회전축핀(250)(250')을 중심축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 롤링되는 것이고, 상기 좌판(130)이 롤링됨에 따라 하강 방향의 가로지지축(230)(230') 내 탄력받침부재(234)(234')가 압축되면서 좌판(130)에 대한 탄력적인 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사용자가 다시 본래의 자세 즉, 좌판(130)에 수직 방향으로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위치하도록 하는 자세를 취하게 되면 상기와 같이 압축되었던 방향의 탄력받침부재(234)(234')가 복원되면서 상기 좌판(130)의 수평 상태를 빠르게 도와주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좌판(130)에 앉은 상태에서 몸을 좌,우로 움직이는 경우 좌판(130)이 함께 좌,우로 롤링되면서 사용자의 무게 중심을 따라 더욱 자연스러운 착좌 상태를 연출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탄력받침부재(234)(234')로 인해 좌판(130)의 탄력적인 롤링 작용은 물론 빠른 수평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없이 효율적인 착좌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본 발명의 등받이 의자는 한 쌍의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한 쌍의 후방지지아암(220)(220')에 의한 백-다운 작용 및 이들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 사이의 가로지지축(230)(230')이 내장된 지지축관(231)(231')에 의해 자유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17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가 몸을 앞으로 숙이거나 좌판(130)의 앞쪽으로 걸터 앉은 상태를 갖게 되면 전방지지아암(210)(210')은 하중이 집중되면서 더욱 하향 회전하면서 전방의 탄력지지블록(280)을 압축할 것이고, 후방지지아암(210)(210')은 하중이 감소하면서 후측의 탄력지지블록(280')의 복원력에 의해 오히려 상향 회전하게 될 것이므로 결국 상기의 좌판(130)은 앞쪽이 낮고 뒷쪽이 높은 형태의 틸팅 상태를 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후방지지아암(220)(220')을 연결하는 후측의 지지축관(231') 역시 후방지지아암(220)(220')과 함께 상승하면서 제1링크체(310)를 당겨 이동시키게 될 것이나, 상기 제1링크체(310)의 하단 양측에 형성된 끼움돌부(311)는 제2링크체(320)의 일측 유동슬롯(322)(322') 내에서 이동하면서 상기 제2링크체(320)와 제3링크체(330)에는 힘을 전달하지 아니하므로 상기 등받이프레임(121)은 하단은 힌지 결합부의 마찰력 크기에 따라 전진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등받이프레임(121) 자체의 중량으로 인해 강제 회전된 하단이 본래의 위치로 자연스럽게 복귀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몸을 앞으로 숙이거나 좌판(130)의 앞쪽으로 걸터 앉을 경우 상기의 좌판(130)은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 및 탄력지지블록(280)(280')의 유기적인 작동에 의해 자연스럽게 전방 틸팅 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좌판(130)의 틸팅 작용으로 인해 사용자의 허벅지에 무리한 압박이 가해지는 등의 불편한 착좌 상태로부터 벗어날 수 있어 더욱 자연스럽고 편안한 상태로의 의자 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고, 무엇보다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변화 혹은 이동함에 따라 좌판(130)이 좌,우로 롤링되거나 백-다운 혹은 전방으로 틸팅되면서 좌판(130)이 사용자의 하중을 밀착 상태에서 온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탄력적인 롤링 및 백-다운과 틸팅이 이루어지므로 의자에 앉는 과정이나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하체 및 요추 부분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충격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하부지지체 101 : 수직지주
102 : 지지각
110 : 등받이 록킹장치
120 : 등받이지지대 121 : 등받이프레임
122 : 안치홈 123 : 안치공
130 : 좌판
200 : 백-다운장치 201 : 장치본체
202,202' : 안치홈부 203,203' : 스프링수용홈
204,204' : 토션스프링 205,205' : 회전멈춤구
210,210' : 전방지지아암 211 : 각홈
212,212' : 회전허용홈
220,220' : 후방지지아암 221 : 각홈
230,230' : 가로지지축 231,231' : 지지축관
232 : 힌지축공 233,233' : 끼움홈
234,234' : 탄력받침부재
240,240' : 지지브라켓 241 : 체결공
250,250' : 회전축핀
260,260' : 회전각관
270,270' : 회전가압구 271 : 각공
272 : 편심누름구
280,280' : 탄력지지블록
290 : 커버체 291 : 노출형커버
292 : 관통공 293 : 수용공
300 : 작동링크부
310 : 제1링크체 311 : 끼움돌부
320 : 제2링크체 321 : 끼움홈
322,322' : 유동슬롯
330 : 제3링크체
400,400' : 체결볼트
102 : 지지각
110 : 등받이 록킹장치
120 : 등받이지지대 121 : 등받이프레임
122 : 안치홈 123 : 안치공
130 : 좌판
200 : 백-다운장치 201 : 장치본체
202,202' : 안치홈부 203,203' : 스프링수용홈
204,204' : 토션스프링 205,205' : 회전멈춤구
210,210' : 전방지지아암 211 : 각홈
212,212' : 회전허용홈
220,220' : 후방지지아암 221 : 각홈
230,230' : 가로지지축 231,231' : 지지축관
232 : 힌지축공 233,233' : 끼움홈
234,234' : 탄력받침부재
240,240' : 지지브라켓 241 : 체결공
250,250' : 회전축핀
260,260' : 회전각관
270,270' : 회전가압구 271 : 각공
272 : 편심누름구
280,280' : 탄력지지블록
290 : 커버체 291 : 노출형커버
292 : 관통공 293 : 수용공
300 : 작동링크부
310 : 제1링크체 311 : 끼움돌부
320 : 제2링크체 321 : 끼움홈
322,322' : 유동슬롯
330 : 제3링크체
400,400' : 체결볼트
Claims (10)
- 수직지주(101)의 하단에 방사상의 지지각(102)이 형성된 하부지지체(100)가 구비되어 상기 수직지주(101)의 선단에 별도 구비의 등받이 록킹장치(110)가 장착되고, 상기 등받이 록킹장치(110)의 일측에는 등받이프레임(121)이 힌지 결합된 별도 구비의 등받이지지대(120) 하단이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 록킹장치(110)의 상부에는 별도 구비의 백-다운장치(200) 및 좌판(130)이 양측의 전방지지아암(210)(210') 및 후방지지아암(220)(220')에 의해 상,하 이격 상태로 상호 힌지 결합되어진 등받이 의자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의 상측은 지지축관(231)(23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지지축관(231)(231')에는 별도 구비의 가로지지축(230)(230')이 삽입되며, 상기 가로지지축(230)(230')의 중간부는 좌판(130)의 저면에 전,후 배치된 지지브라켓(240)(240')에 대하여 축 결합되어 상기의 좌판(130)이 좌,우로 롤링되게 하고;
상기 한 쌍의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후방지지아암(220)(220')의 하측은 백-다운장치(200)의 장치본체(201)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회전각관(260)(260')의 단부에 각기 결합 고정되고, 상기 회전각관(260)(260')의 중간부에는 별도 구비의 회전가압구(270)(270')가 삽입되게 하며, 상기 장치본체(201)의 상측에는 전기한 회전가압구(270)(270') 및 회전가압구(270)(270')의 일측 하부에 위치되게 한 별도 구비의 탄력지지블록(280)(280')이 삽입되게 한 안치홈부(202)(202')를 형성하여 상기의 좌판(130)이 탄력 백-다운 및 틸팅 작동되게 하고;
상기 후방지지아암(220)(220')을 연결하는 가로지지축(23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121)의 하단은 별도 구비의 작동링크부(300)에 의해 서로 링크 연결되어 상기 좌판(130)의 백-다운 작용과 연동하는 상기 작동링크부(300)를 통해 등받이프레임(121)의 하단이 전방으로 회동하여 사용자의 요추 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작동링크부(300)는 후방지지아암(220)(220')을 연결하는 지지축관(231')에 선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1링크체(310)와, 상기 제1링크체(310)의 하단에 일측단이 상호 유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링크체(320)와, 상기 제2링크체(320)의 타단과 일측 하단이 서로 힌지 결합되는 제3링크체(330)로 구성되되,
상기 제3링크체(330)의 선단은 전기한 등받이프레임(121)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게 하고, 상기 등받이지지대(120)의 전방 하측에는 상기 작동링크부(300)가 삽입 및 수용되게 한 안치홈(122) 및 안치공(123)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제 2항에 있어서,
제1링크체(310)의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체(320)의 일측단에는 상기 제1링크체(310)의 하단이 삽입되게 한 끼움홈(321)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321)의 내부 양측으로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유동슬롯(322)(322')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321)으로 삽입되는 제1링크체(310)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유동슬롯(322)(32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끼움돌부(311)를 형성하여, 상기 유동슬롯(322)(322')의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되는 끼움돌부(311)에 의해 상기 제1링크체(310)와 제2링크체(320) 간의 유격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가로지지축(230)(230')과 지지브라켓(240)(240')은 별도 구비의 회전축핀(250)(250')을 통해 상호 축 결합되고, 전기한 가로지지축(230)(230')의 상측에는 상기 지지브라켓(240)(240')의 저면에 상단이 밀착되게 한 탄력받침부재(234)(234')가 삽입 형성되어 상기 좌판(130)이 힌지축핀(250)(250') 및 탄력받침부재(234)(234')에 의해 좌,우로 탄력 롤링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제 4항에 있어서,
가로지지축(230)(230')의 중앙에는 전기한 회전축핀(250)(250')이 삽입되는 힌지축공(23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공(232)의 양측에 해당하는 가로지지축(230)(230')의 상부에는 전기한 탄력받침부재(234)(234')의 하부가 삽입되는 끼움홈(233)(233')을 형성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판(130) 저면에 장착되는 지지브라켓(240)(240')에는 상기 힌지축공(232)과 대응하는 체결공(24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공(232)과 체결공(241)으로 삽입되는 힌치축핀(250)(250')에 의해 가로지지축(230)(230')과 지지브라켓(240)(240')이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가로지지축(230)(230')과 지지브라켓(240)(240')의 수평상태에서 상기 탄력받침부재(234)(234')는 끼움홈(233)(233')의 바닥면과 지지브라켓(240)(240')의 저면 사이에 비압축 상태로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전방지지아암(210)(210')과 한 쌍의 후방지지아암(220)(220')은 상호 대향하는 하부 일측에 각홈(211)(221)을 형성하여 상기 각홈(211)(221)으로 회전각관(260)(260')이 삽입됨에 따라 이들 전방지지아암(210)(210') 및 후방지지아암(220)(220')과 회전각관(260)(260')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구성하고,
회전가압구(270)(270')에는 상기 회전각관(260)(260')이 관통 삽입되게 한 각공(271)과 상기 탄력지지블록(280)(280')의 상부에 위치하는 편심누름구(272)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전방지지아암(210)(210') 및 후방지지아암(220)(220')과 회전각관(260)(260')의 회전 작용에 의해 회전가압구(270)(270')가 함께 회전하며 편심누름구(272)에 의한 탄력지지블록(280)(280')의 압축을 통해 좌판(130)에 대한 백-다운 완충 및 탄력지지블록(280)(280')의 복원력에 의한 좌판(130)의 자동 상승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전방지지아암(210)(2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회전각관(260) 상에 삽입된 회전가압구(270)가 안치되는 안치홈부(202) 상에는 별도 구비의 커버체(29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장치본체(201)에 결합되는 커버체(290)에 의해 전방지지아암(210)(210') 사이의 회전가압구(270)가 장치본체(201) 내에 은폐된 상태로 회전 작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전방지지아암(210)(210')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장치본체(201)의 안치홈부(202) 양측에는 회전각관(260)의 삽입 경로 상에 위치한 스프링수용홈(203)(203')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수용홈(203)(203')에는 별도 구비의 토션스프링(204)(204')을 삽입하되,
상기 토션스프링(204)(204')은 상기 회전각관(260)에 삽입되는 동시에 토션스프링(204)(204')의 양측 끝단은 각기 장치본체(201)와 회전가압구(270)의 일측에 각기 삽입 계지되도록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회전가압구(270)에 토션스프링(204)(204')의 비틀림 탄발력이 부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후방지지아암(220)(220')의 하단에 결합되는 회전각관(260') 상에 삽입되는 회전가압구(270')는, 상기 회전각관(260')이 삽입되게 한 관통공(292)이 양측에 형성된 노출형커버(291) 내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각관(260')에 노출형커버(291)와 함께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노출형커버(291)에는 상기 회전가압구(270')가 삽입되게 한 수용공(293)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전기한 장치본체(201)의 후측 안치홈부(202') 상에 장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수용공(293)을 통해 후측의 회전가압구(270')에 대한 작동 상태가 확인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제 1항에 있어서,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전방지지아암(210)(210')의 상호 대향의 하단에는 회전허용홈(212)(212')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허용홈(212)(212')과 대응하는 장치본체(201)의 양측면에는 상기 회전허용홈(212)(212')의 내폭 보다는 좁은 두께로 된 회전멈춤구(205)(205')를 돌출 형성하여, 장치본체(201)로부터 회전하는 전방지지아암(210)(210')의 회전 각도가 상기 회전허용홈(212)(212') 및 회전멈춤구(205)(205')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5657A KR102364063B1 (ko) | 2021-10-13 | 2021-10-13 |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35657A KR102364063B1 (ko) | 2021-10-13 | 2021-10-13 |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4063B1 true KR102364063B1 (ko) | 2022-02-18 |
Family
ID=80495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5657A KR102364063B1 (ko) | 2021-10-13 | 2021-10-13 |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406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4533B1 (ko) * | 2022-03-15 | 2022-09-20 |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 사무용 의자 |
KR102444534B1 (ko) * | 2022-03-15 | 2022-09-20 |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 사무용 의자 |
KR102444535B1 (ko) * | 2022-03-15 | 2022-09-20 |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 사무용 의자 |
KR102461625B1 (ko) | 2022-02-25 | 2022-11-03 | 유한회사 애니체 | 롤링 단속장치를 갖는 좌판 롤링 및 백-다운구조의 등받이 의자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3619B1 (ko) | 2011-08-08 | 2012-05-09 | 주식회사 다원산업 |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
KR101913799B1 (ko) | 2017-12-27 | 2018-10-31 | 유한회사 애니체 | 좌판 틸팅형 의자 |
KR102038385B1 (ko) | 2019-05-16 | 2019-10-31 | 유한회사 애니체 | 의자 좌판의 밀착형 틸팅구조 |
KR102275327B1 (ko) | 2020-10-30 | 2021-07-09 | 유한회사 애니체 | 좌판의 개선된 백-다운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KR102277397B1 (ko) * | 2020-11-25 | 2021-07-14 | 주식회사 토퍼스 | 의자 좌판 및 등판 지지 구조 |
-
2021
- 2021-10-13 KR KR1020210135657A patent/KR1023640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3619B1 (ko) | 2011-08-08 | 2012-05-09 | 주식회사 다원산업 | 좌판 틸팅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
KR101913799B1 (ko) | 2017-12-27 | 2018-10-31 | 유한회사 애니체 | 좌판 틸팅형 의자 |
KR102038385B1 (ko) | 2019-05-16 | 2019-10-31 | 유한회사 애니체 | 의자 좌판의 밀착형 틸팅구조 |
KR102275327B1 (ko) | 2020-10-30 | 2021-07-09 | 유한회사 애니체 | 좌판의 개선된 백-다운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KR102277397B1 (ko) * | 2020-11-25 | 2021-07-14 | 주식회사 토퍼스 | 의자 좌판 및 등판 지지 구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61625B1 (ko) | 2022-02-25 | 2022-11-03 | 유한회사 애니체 | 롤링 단속장치를 갖는 좌판 롤링 및 백-다운구조의 등받이 의자 |
KR102444533B1 (ko) * | 2022-03-15 | 2022-09-20 |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 사무용 의자 |
KR102444534B1 (ko) * | 2022-03-15 | 2022-09-20 |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 사무용 의자 |
KR102444535B1 (ko) * | 2022-03-15 | 2022-09-20 | 주식회사 대하체어스 | 사무용 의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64063B1 (ko) |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 및 백-다운 좌판에 의한 등받이 푸시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
US4695093A (en) | Work chair | |
EP1401306B1 (en) | Seats | |
KR102275327B1 (ko) | 좌판의 개선된 백-다운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
US8177299B2 (en) | Chair more comfortable when seated in optimum posture while reclining | |
JP2003521956A (ja) | 椅子機構 | |
KR20190044580A (ko) | 의자 구조 및 의자 | |
CN107183977B (zh) | 一种坐具 | |
KR102355428B1 (ko) | 전방 틸팅 및 좌우 롤링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
KR100807370B1 (ko) |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 |
CN215650076U (zh) | 一种人体工学健康椅 | |
KR102138836B1 (ko) |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 |
CN111200955A (zh) | 具有自调整接头的椅子 | |
CN112826263B (zh) | 一种椅子结构 | |
CN210696761U (zh) | 一种舒适型座椅 | |
CN111955983B (zh) | 一种健身椅 | |
KR102100599B1 (ko) | 다양한 신체에 적당한 형태로 변형되는 포위드 슬로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접이식 의자 | |
CN204561492U (zh) | 一种能满足不同人体及坐姿需要的椅子 | |
KR102361944B1 (ko) | 전방 슬라이딩 틸팅 및 리어 트위스트 기능을 구비한 백-다운 좌판구조를 갖는 등받이 의자 | |
KR20210040530A (ko) | 고정 지지구조가 개선된 등받이 틸팅 의자 | |
KR102461625B1 (ko) | 롤링 단속장치를 갖는 좌판 롤링 및 백-다운구조의 등받이 의자 | |
CN212878495U (zh) | 一种用于椅具的背座联动装置 | |
CN110638241A (zh) | 一种舒适型座椅 | |
US11000128B2 (en) | Horizontal-moving and rocking appliance and rocking chair | |
KR100846733B1 (ko) | 의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