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496B1 - Multi-channel suction and irrigation tube - Google Patents
Multi-channel suction and irrigation tub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8496B1 KR102358496B1 KR1020200009114A KR20200009114A KR102358496B1 KR 102358496 B1 KR102358496 B1 KR 102358496B1 KR 1020200009114 A KR1020200009114 A KR 1020200009114A KR 20200009114 A KR20200009114 A KR 20200009114A KR 102358496 B1 KR102358496 B1 KR 1023584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 tube
- washing water
- channel
- ti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5—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with gas or fluid supply means, e.g. for supplying rinsing fluids or anticoagul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7—Suction-irrigation systems
- A61M1/774—Handpieces specially adapted for providing suction as well as irrigation, either simultaneously or independent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에 관한 것으로서, 내주에 형성된 통로와, 외주에 상기 통로와 연통 형성되어 수술부위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공을 가지며, 장기 속으로 삽입되는 삽입관; 및 상기 세척수 공급공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채널과, 수술부위에서 발생한 오염수가 흡인되는 오염수 채널이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삽입관의 통로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인관을 포함하며, 상기 흡인관이 오염수를 흡인할 때, 상기 흡인관의 선단이 상기 삽입관의 선단과 상기 세척수 공급공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세척수 공급공은 상기 삽입관의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hannel suction irrigation tube, comprising: an insertion tube having a passag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and a irrigation water supply hol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assage on the outer periphery for supplying irrigation water to a surgical site, and inserted into an organ; And a washing water channel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supply hole, and a contaminated water channel through which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at the surgical site is sucked is provided detachably, and a suction tube is reciprocally coupled to the passage of the insertion tube, When the suction pipe sucks the contaminated water, the washing water supply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ip of the insertion tube by a certain distance so that the tip of the suction pipe is positioned between the tip of the insertion tube and the washing water supply hole.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channel suction irrigation tube.
현재 사용되는 수술 기법 중의 하나인 복강경 수술은 산부인과를 비롯한 여러 외과계열 임상 진료 과에서 최소 침습수술 술기로서 널리 시술되고 있다.Laparoscopic surgery, one of the surgical techniques currently used, is widely used as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technique in various surgical departments including obstetrics and gynecology.
이러한 복강경 수술 시 사용하는 기구들은 시술하는 의사의 요구에 맞추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실제 사용하는 외과 의사와 기구개발 연구자와의 사용 요구와 개발 의도가 차이가 있어, 실제 사용시 임상의사들이 많은 불편함을 감수하며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These instruments used in laparoscopic surgery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operating doctor, bu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need for use and the purpose of development between the surgeon and the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er. It is often accepted and used.
복강경 수술 시 혈액이나 오염수를 제거하고 생리식염수로 복강 내를 세척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 중에는 흡인 세척관(suction & irrigation tube)이 있다.In laparoscopic surgery, there is a suction & irrigation tube among the equipment used to remove blood or contaminated water and wash the abdominal cavity with physiological saline.
이 장비를 소독 후 여러 번 사용하는 재사용 장비도 있지만, 최근에는 일회용으로 개발되어 제품으로 나오고 있어 소독의 불편함과 감염 방지를 위해 일회용 제품을 많은 병원에서 선호되어 사용되고 있다.There are reusable equipment that is used several times after disinfection, but recently, it has been developed and released as a product, so disposable products are preferred and used in many hospitals to prevent the inconvenience of disinfection and infection.
종래의 제품은 세척과 흡인 통로가 동일한 관계로 흡인 과정 중 환자의 복강 내 있는 장이나 장간막, 대망 등의 내부 장기 일부가 흡인 통로로 흡인되는 현상이 많아, 흡인과정에 문제가 발생이 되고 흡인 통로에 끼여 있는 내장 장기를 수술 기구를 이용하여 견인하다 보면 조직이 손상되거나 출혈이 되어 불필요한 추가적인 수술적인 조작을 하게 되는 상황이 벌어진다.In conventional products, since the washing and suction passages are the same, during the suction process, some of the internal organs such as the intestine, mesentery, and omentum in the patient's abdominal cavity are often sucked into the suction passage, causing problems in the suction process and the suction passage. If the internal organs caught in the viscera are towed using surgical instruments, the tissue may be damaged or bleed, resulting in unnecessary additional surgical manipulation.
이에 따라, 흡인 시 환자의 내부 장기 등이 작은 흡인구에 끼어드는 현상을 줄인 흡인 세척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a suction irrigation tube that reduces the phenomenon that the internal organs of the patient are caught in the small suction port during suc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 중 수술부위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흡인할 때 수술부위의 장기 일부가 흡인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직의 손상 및 출혈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추가적인 수술을 줄일 수 있는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a part of the organs in the surgical site from being aspirated when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in the surgical site is sucked during surgery, and to prevent tissue damage and bleeding. It is to provide a multi-channel suction irrigation tube that can reduce additional surger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소작기의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channel suction washing tube that can additionally provide the function of an electric cauterizer.
본 발명의 목적은, 내주에 형성된 통로와, 외주에 상기 통로와 연통 형성되어 수술부위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공을 가지며, 장기 속으로 삽입되는 삽입관; 및 상기 세척수 공급공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채널과, 수술부위에서 발생한 오염수가 흡인되는 오염수 채널이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삽입관의 통로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인관을 포함하며, 상기 흡인관이 오염수를 흡인할 때, 상기 흡인관의 선단이 상기 삽입관의 선단과 상기 세척수 공급공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세척수 공급공은 상기 삽입관의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passag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and a passag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assage on the outer periphery to supply the wash water to the surgical site, the insertion tube being inserted into the organ; And a washing water channel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supply hole, and a contaminated water channel through which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at the surgical site is sucked is provided detachably, and a suction tube is reciprocally coupled to the passage of the insertion tube, When the suction pipe sucks the contaminated water, the washing water supply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ip of the insertion tube so that the tip of the suction pipe is positioned between the tip of the insertion tube and the washing water supply hole. Multi-channel This can be accomplished by a suction wash tube.
여기서, 상기 세척수 채널은 상기 흡인관의 외주에 상기 흡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리세스홈과 상기 삽입관의 내주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오염수 채널은 상기 흡인관의 내주에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washing water channel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ction tube by a recess recess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ction tube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tube, and the contaminated water channel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tube.
상기 세척수 공급공은 상기 삽입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홈은 상기 세척수 공급공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흡인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supply holes may be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tube, and the recess grooves may be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ction pipe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washing water supply holes.
상기 흡인관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술부위를 전류를 이용하여 처치하기 위한 소작(燒灼) 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protrudes from the tip of the suction tube, and may further include a cauterization tip for treating the surgical site using an electric current.
상기 흡인관이 오염수를 흡인할 때, 상기 소작 팁은 상기 삽입관에 수용될 수 있다.When the suction tube sucks the contaminated water, the cauterization tip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tube.
상기 흡인관은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관은 비전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tube may include a conductive material through which electricity passes, and the insertion tube may include a non-conductive material.
상기 흡인관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 채널로 세척수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It is formed in the suction pipe and may include an injection hole for injecting the washing water into the washing water channel.
상기 세척수 채널 상에 마련되어, 세척수 또는 오염수가 상기 세척수 채널로부터 상기 주입공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원웨이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one-way valve provided on the washing water channel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or contaminated water from flowing back into the injection hole from the washing water channel.
본 발명에 따르면, 수술 중 수술부위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흡인할 때 수술부위의 장기 일부가 흡인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직의 손상 및 출혈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추가적인 수술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기 소작기의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at the surgical site during surgery is sucked, a part of the organ in the surgical site is prevented from being aspirated, and unnecessary additional surgery can be reduced by preventing tissue damage and bleeding.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electric cauterizer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의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흡인관과 가이드 커버가 조립된 상태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도 4의 가이드 커버의 내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가이드 커버가 조립되는 흡인관 단부의 요부 확대도,
도 7은 가이드 커버에 의해 흡인관에 조립되는 밸브 수용체의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channel suction wash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of FIG. 3,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uction tube and the guide cover of FIG. 2 assembled;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guide cover of Figure 4,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suction pipe end to which the guide cover is assembled;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receptor assembled to the suction pipe by the guide cover;
8 and 9 are enlarged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multi-channel suction wash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us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specifically defined explicit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이 도시되어 있다.1 to 7 show a multi-channel suction wash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1)은 삽입관(10)과 흡인관(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multi-channel
삽입관(10)은 일정 길이의 속이 빈 튜브 형상을 가지며, 수술하고자 하는 장기 속으로 삽입된다.The
삽입관(10)의 내부에는 흡인관(20)이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통로(13)가 형성되어 있다.A
삽입관(10)에는 수술부위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공(15)이 마련되어 있다. 세척수 공급공(15)은 통로(13)와 연통하도록 삽입관(10)의 외주에 관통 형성된다.The
본 실시예에서 세척수 공급공(15)은 복수로 마련되며, 복수의 세척수 공급공(15)은 삽입관(10)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washing
또한, 세척수 공급공(15)은, 흡인관(20)이 오염수를 흡인할 때 흡인관(20)의 선단(20a, 도 9 참조)이 삽입관(10)의 선단(10a, 도 9 참조)과 세척수 공급공(15)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관(10)의 선단(10a)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washing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흡인관(20)의 선단(20a)에 소작(燒灼) 팁(60)이 일정 길이 돌출되게 마련된 경우, 세척수 공급공(15)은 흡인관(20)이 오염수를 흡인할 때, 소작 팁(60)이 삽입관(10)에 수용됨과 동시에, 흡인관(20)의 선단(20a)이 삽입관(10)의 선단(10a)과 세척수 공급공(15)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관(10)의 선단(10a)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Her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삽입관(10)의 선단(10a)의 반대측 단부에는, 삽입관(10)을 파지하기 위한 삽입관용 손잡이(17)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써, 삽입관용 손잡이(17)를 파지한 상태에서, 삽입관(10)을 수술하고자 하는 장기 속으로 간편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At the end opposite to the
이러한 삽입관(10)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The
흡인관(20)은 일정 길이의 속이 빈 튜브 형상을 가지며, 삽입관(10)의 통로(13)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The
흡인관(20)은 삽입관(10)의 세척수 공급공(15)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채널(21)과, 수술부위에서 발생한 오염수가 흡인되는 오염수 채널(25)이 분리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The
흡인관(20)의 외주에는 세척수 채널(21)을 형성하기 위한 리세스홈(23)이 형성되어 있다.A
리세스홈(23)은 흡인관(20)의 외주에 흡인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와 폭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에 따라, 흡인관(20)의 외주는 고랑(ridge)의 형태를 가진다.The
이러한 리세스홈(23)은 삽입관(10)의 세척수 공급공(15)의 위치에 대응하여 흡인관(2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세척수 공급공(15)의 위치에 대응하여 한 쌍의 리세스홈(23)이 형성되어 있다.The
이에 따라, 흡인관(20)을 삽입관(10)의 통로(13)에 삽입 결합하면, 흡인관(20)의 외주에 형성된 리세스홈(23)과 삽입관(10)의 내주(11)는 흡인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척수 채널(21)을 형성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세척수 채널(21)이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척수 채널(21)은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Here, although it is illustrated that a pair of
오염수 채널(25)은 흡인관(20)의 내주에 흡인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의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다.The contaminated
이로써, 흡인관(20)은 세척수 공급공(15)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채널(21)과, 수술부위에 대한 오염수가 흡인되는 오염수 채널(25)이 분리가능하게 마련된다.As a result, the
한편, 흡인관(20)의 선단(20a)의 반대측 단부에는,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오염수가 배출되는 유출입부(31)가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t the opposite end of the
유출입부(31)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 채널(21)로 세척수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공(3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주입공(33)은 세척수 채널(21)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마련된다.As shown in FIG. 6 , an
한편, 각 세척수 채널(21) 상에는, 일방향으로만 개방되고 타방향으로는 폐쇄되는 원웨이밸브(43)가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 each
원웨이밸브(4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의 유동로를 형성하는 밸브 수용체(41)에 수용된다.As shown in FIG. 7 , the one-
원웨이밸브(43)는 세척수 또는 오염수가 세척수 채널(21)로부터 주입공(33)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세척수를 수술부위로 공급할 때, 원웨이밸브(43)는 주입공(33)을 통해 유입된 세척수를 세척수 채널(21)을 향해 흘려보내는 기능만을 가진다. 반대로, 수술부위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흡인할 때, 원웨이밸브(43)는 세척수 공급공(15)과 세척수 채널(21)을 통한 흡인력을 차단하며, 이에 오염수는 세척수 채널(21)을 통해 흡인되지 않고, 오염수 채널(25)을 통해서만 흡인된다.The one-
한편, 흡인관(20)의 주입공(33)을 향하는 밸브 수용체(41)의 단부에는, 주입공(33)을 통해 주입된 세척수를 밸브 수용체(41)로 유도하기 위한 세척수 가이드(45)가 마련되어 있다. 세척수 가이드(45)는 나팔관의 형상을 가지며, 이에 많은 양의 세척수를 집수하여 원웨이밸브(43)를 통해 세척수 채널(21)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t the end of the
이러한 밸브 수용체(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커버(51)에 의해 흡인관(20)의 유출입부(31)에 고정된다. 이러한 밸브 수용체(41)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가이드 커버(51)는 주입공(33)을 감싸며 흡인관(20)의 유출입부(31)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세척수가 밸브 수용체(41)로 유도되도록 가이드한다.The guide cover 51 surrounds the
가이드 커버(51)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를 주입공(33)으로 주입하기 위한 포트(53)가 마련되어 있다. 포트(53)는 주입공(33)의 수량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a
또한, 가이드 커버(51)는 흡인관(20)과 밸브 수용체(41)를 고정하여, 누수와 불완전한 결속을 방지하고, 세척수 공급과 오염수 흡인을 위해 삽입관(10)과 흡인관(20)이 회전할 때 삽입관(10)과 흡인관(20)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스토퍼 역할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가이드 커버(51)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비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The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1)은 수술부위를 전류를 이용하여 처치하기 위한 소작 팁(60)을 더 포함한다.And, the multi-channel
소작 팁(60)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흡인관(20)의 선단(20a)에 돌출되게 마련된다.The
소작 팁(60)의 단부에는 수술부위를 지지거나 커팅하기 위한 스푼 또는 후크 형태의 전극이 부착되어 있다.An electrode in the form of a spoon or hook for supporting or cutting the surgical site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이러한 소작 팁(60)과 흡인관(20)은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1)은 전기 소작기의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multi-channel
한편, 소작 팁(60)이 삽입관(10)에 수용될 때 흡인관(20)의 선단(20a)이 삽입관(10)의 선단(10a)과 세척수 공급공(15)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관(10)의 세척수 공급공(15)은 삽입관(10)의 선단(10a)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이로써, 수술부위의 오염수를 흡인할 때 소작 팁(60)을 삽입관(10)에 수용시킴으로써, 소작 팁(60)의 전기적인 오작동을 예방함과 동시에, 수술부위의 장기들이 삽입관(10)의 세척수 공급공(15)으로 흡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by accommodating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1)을 이용하여 수술부위에 세척수를 공급 및 수술부위의 오염수를 흡인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process of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surgical site and sucking the contaminated water in the surgical site using the multi-channel
먼저, 삽입관(10)의 통로(13)에 흡인관(20)을 삽입 결합한 후, 삽입관(10)을 장기 속으로 삽입한다.First, after inserting the
이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작 팁(60)이 삽입관(10)의 선단(10a)으로부터 돌출하거나 또는 소작 팁(60)이 삽입관(10)에 수용되도록 흡인관(20)을 수술부위를 향해 이동시킨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8 , the
이어서, 소작 팁(60)이 흡인관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수술부위를 전류를 이용하여 처치한다.Then, in a state in which the
그리고, 삽입관(10)이 장기 속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작 팁(60)이 삽입관(10)에 수용되도록 흡인관(20)을 수술부위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Then, the
이 때, 흡인관(20)의 선단(20a)이 삽입관(10)의 선단(10a)과 세척수 공급공(15)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세척수를 포트(53)를 통해 주입하면, 세척수는 주입공(33)과 원웨이밸브(43)와 세척수 채널(21)을 순차적으로 거쳐 세척수 공급공(15)을 통해 수술부위로 공급되어, 수술부위를 세척한다. 여기서, 수술부위를 세척할 때, 세척수 채널(21)뿐만 아니라 흡인관(20)의 오염수 채널(25)을 통해서도 동시에 공급하여 수술부위를 세척할 수도 있다.And, when the washing water is injected through the
그리고, 흡인관(20)을 통해 수술부위에 음압을 건다. 이 때, 세척수를 수술부위에 공급하면서 흡인관(20)에 음압을 걸 수도 있다. 여기서, 소작 팁(60)이 흡인관(20)의 선단(20a)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수술부위에 음압을 걸 수도 있다.Then, a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surgical site through the
수술부위에 음압이 작용함에 따라, 수술부위에서 발생한 오염수는 흡인관(20)의 오염수 채널(25)로 전량 흡인되어, 유출입부(3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s negative pressure acts on the surgical site, the entire amount of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in the surgical site is sucked into the contaminated
이 때, 수술부위에 걸리는 음압에 의한 흡인력은 세척수 채널(21) 상에 마련된 밸브 수용체(41)의 원웨이밸브(43)에 의해 삽입관(10)의 세척수 공급공(15)으로는 전달되지 않게 되며, 이에 오염수는 흡인관(20)의 오염수 채널(25)로만 흡인된다.At this time, the suction force due to the negative pressure applied to the surgical site is not transmitted to the washing
이에 따라, 수술부위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흡인하거나 또는 수술부위에 음압이 작용할 때, 수술부위의 장기들이 삽입관(10)의 세척수 공급공(15)으로 흡인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in the surgical site is sucked or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o the surgical site, the organs of the surgical site are prevented from being sucked into the wash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은 수술부위에서 발생한 오염수를 흡인할 때, 흡인관의 선단이 삽입관의 선단과 세척수 공급공 사이에 위치하도록, 세척수 공급공이 삽입관의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흡인관을 통해 오염수를 흡인할 때 수술부위의 장기들이 삽입관의 세척수 공급공으로 흡인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조직의 손상 및 출혈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추가적인 수술을 줄일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ulti-channel suction washing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at the surgical site is sucked, the washing water supply hole is inserted so that the tip of the suction tube is located between the tip of the insertion tube and the washing water supply hole. By being formed at a loca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ip of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은 흡인관의 선단에 소작 팁을 돌출되게 마련함으로써, 수술부위로의 세척수 공급 및 수술부위의 오염수 흡인뿐만 아니라 수술부위를 전류를 이용하여 처치할 수 있게 되어, 흡인 세척의 기능 및 전기 소작기의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ulti-channel suction irrigation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truding cauterization tip at the distal end of the suction tube, thereby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surgical site and sucking contaminated water from the surgical site, as well as using an electric current to the surgical site. It becomes possible to treat, and it becomes possible to combine the function of suction washing and the function of an electric cauterizer.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세척수 채널이 흡인관의 외주에 흡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리세스홈과 삽입관의 내주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인관의 외경을 삽입관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하여, 세척수 채널은 삽입관의 내주와 흡인관의 외주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 embodiment, although it is shown that the washing water channel is formed by a recess groove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ction tub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ction tube and the inner periphery of the insertion tub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uction tube is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tube By forming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the washing water channel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tub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uction tub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know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
10: 삽입관
13: 통로
15: 세척수 공급공
20: 흡인관
21: 세척수 채널
23: 리세스홈
25: 오염수 채널
33: 주입공
41: 밸브 수용체
43: 원웨이밸브
51: 가이드 커버
60: 소작 팁1: Multi-channel suction lavage tube
10: cannula
13: passage
15: washing water supply hole
20: suction tube
21: wash water channel
23: recess home
25: contaminated water channel
33: injection hole
41: valve receptor
43: one-way valve
51: guide cover
60: Cauterization Tips
Claims (8)
상기 세척수 공급공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세척수 채널과, 수술부위에서 발생한 오염수가 흡인되는 오염수 채널이 분리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삽입관의 통로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흡인관을 포함하며,
상기 흡인관이 오염수를 흡인할 때, 상기 흡인관의 선단이 상기 삽입관의 선단과 상기 세척수 공급공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세척수 공급공은 상기 삽입관의 선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 채널은 상기 흡인관의 외주에 상기 흡인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된 리세스홈과 상기 삽입관의 내주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오염수 채널은 상기 흡인관의 내주에 형성되는,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an insertion tube having a passag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and a passag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assage on the outer periphery and a wash water supply hole for supplying wash water to the surgical site, and inserted into an organ; and
A washing water channel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supply hole and a contaminated water channel through which the contaminated water generated at the surgical site is sucked are detachably provided, and a suction tube is reciprocally coupled to the passage of the insertion tube.
When the suction pipe sucks the contaminated water, the washing water supply hole is formed at a location spaced apart from the tip of the insertion tube by a certain distance so that the tip of the suction pipe is positioned between the tip of the insertion tube and the washing water supply hole,
The washing water channel is formed by a recess groove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ction tub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ction tube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insertion tube,
The contaminated water channel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suction pipe, a multi-channel suction washing pipe.
상기 세척수 공급공은 상기 삽입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홈은 상기 세척수 공급공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흡인관의 둘레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According to claim 1,
The washing water supply holes are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insertion tube, and the recessed grooves are formed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ction pipe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washing water supply holes, multi-channel suction washing tube .
상기 흡인관의 선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술부위를 전류를 이용하여 처치하기 위한 소작(燒灼) 팁을 더 포함하는,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The method of claim 1,
Protruding from the tip of the suction tube, the multi-channel suction lavage tube further comprising a cauterization tip for treating the surgical site using an electric current.
상기 흡인관이 오염수를 흡인할 때, 상기 소작 팁은 상기 삽입관에 수용되는,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suction tube sucks the contaminated water, the cauterization tip is accommodated in the cannulation tube, multi-channel suction cleaning tube.
상기 흡인관은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관은 비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5. The method of claim 4,
The suction tube comprises a conductive material through which electricity is passed, and the insertion tube comprises a non-conductive material, a multi-channel suction cleaning tube.
상기 흡인관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수 채널로 세척수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공을 포함하는,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According to claim 1,
A multi-channel suction washing pipe formed in the suction pipe and including an injection hole for injecting washing water into the washing water channel.
상기 세척수 채널 상에 마련되어,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 채널로부터 상기 주입공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원웨이밸브를 더 포함하는, 다중 채널 흡인 세척관.8. The method of claim 7,
The multi-channel suction washing tube further comprising a one-way valve provided on the washing water channel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flowing back into the injection hole from the washing water chann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9114A KR102358496B1 (en) | 2020-01-23 | 2020-01-23 | Multi-channel suction and irrigation tub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9114A KR102358496B1 (en) | 2020-01-23 | 2020-01-23 | Multi-channel suction and irrigation tub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5362A KR20210095362A (en) | 2021-08-02 |
KR102358496B1 true KR102358496B1 (en) | 2022-02-03 |
Family
ID=7731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9114A KR102358496B1 (en) | 2020-01-23 | 2020-01-23 | Multi-channel suction and irrigation tub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849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059895A3 (en) | 2021-03-15 | 2022-10-05 | SK On Co., Ltd. | Cathode activ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96360A (en) * | 2006-05-05 | 2007-11-15 | Alcon Inc | Irrigation/suction tip |
KR101699622B1 (en) * | 2015-09-22 | 2017-01-24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Multichannel suction and irrigation tub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58126B1 (en) * | 1998-09-19 | 2002-10-01 | Donald E. Doyle | Electrosurgical suction and coagulation instrument |
US9119926B2 (en) * | 2009-07-31 | 2015-09-01 | Avent, Inc. | Subglottic suctioning system |
KR101298654B1 (en) | 2011-09-26 | 2013-08-20 | 사이언스메딕 주식회사 | Washing device for surgical operation |
-
2020
- 2020-01-23 KR KR1020200009114A patent/KR10235849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96360A (en) * | 2006-05-05 | 2007-11-15 | Alcon Inc | Irrigation/suction tip |
KR101699622B1 (en) * | 2015-09-22 | 2017-01-24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Multichannel suction and irrigation tub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95362A (en) | 2021-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536998B1 (en) | Monopolar electrosurgical device with irrigation and suction controls for endoscopic surgery | |
CA2535467C (en) | Electrosurgical device | |
US5685877A (en) | Mutiple tool laparoscopic surgical instrument | |
JP2019528929A (en) | Electrosurgical instrument with flow diverter | |
JPH07500041A (en) | Multifunctional probe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US7731713B2 (en) | Versatile irrigation system dissector | |
SE541805C2 (en) | An endosurgical device | |
KR20130009807A (en) | Catheter for endoscope | |
US20060287651A1 (en) | Four function microsurgery instrument | |
US20160206369A1 (en) | Laparoscopic suction device and method | |
KR102358496B1 (en) | Multi-channel suction and irrigation tube | |
JP7451531B2 (en) | Equipment for endoscopic surgery | |
KR102301831B1 (en) | Endoscope medical instrument for polyp remove | |
KR20210007811A (en) | A medical dispensing mechanism capable of combining multiple of treatment tools having an independent driving range | |
JPH08140981A (en) | Treatment jig for endoscope | |
WO2010070387A1 (en) | Surgical device for washing wounds and surgical sites | |
US10827908B2 (en) | Endoscope apparatus and endoscope having valve which is opened and closed based on operation of cauterizing device | |
KR20150061897A (en) | suction and irrigator | |
CN115590615A (en) | Laser optical fiber manipulator | |
SE1851593A1 (en) | A tissue specimen collector comprising a rack arranged to move translatory within a collector housing | |
CA3026921A1 (en) | Intraoperative lens cleaning device | |
KR102641223B1 (en) | Device for irrigation and suction deal with ease surgery part | |
KR102212719B1 (en) |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 |
CN220988748U (en) | Hysteroscope binary channels apparatus guiding device | |
JPH09154803A (en) | Endoscop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