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56194B1 -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fitted with pipe line type screen - Google Patents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fitted with pipe line type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194B1
KR102356194B1 KR1020210120346A KR20210120346A KR102356194B1 KR 102356194 B1 KR102356194 B1 KR 102356194B1 KR 1020210120346 A KR1020210120346 A KR 1020210120346A KR 20210120346 A KR20210120346 A KR 20210120346A KR 102356194 B1 KR102356194 B1 KR 102356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creen
unit
tunnel
filt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03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상혁
최만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엔테크
최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엔테크, 최상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엔테크
Priority to KR1020210120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19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19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지중에 배치되는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중 침사 스크린조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침사 스크린조는, 측벽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중공부로의 빗물 유입을 위한 우수 유입관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측벽에 유입 홀이 형성되며, 유입된 빗물을 상기 중공부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우수 유출관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유출 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중공부의 하부에 침전 분리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침전 분리부; 및 상기 침전 분리부와 상기 유입 홀 사이의 높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여과 홀이 형성된 여과 유닛에 의해 고액 분리된 빗물을 상기 유출 홀에 설치된 우수 유출관을 통해 유출하도록 구비되는 고액분리 스크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유출 홀은 상기 유입 홀과 동일한 높이 또는 상기 유입 홀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 유닛은, 상기 복수의 여과 홀의 형성 높이가 상기 유출 홀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As an underwater sedimentation screen tank applied to a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disposed underground, the underwater sedimentation scree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 hollow part formed inside the sidewall, and rainwater inflow for rainwater inflow from the outside into the hollow part a body in which an inlet hole is formed in the side wall to enable the installation of a pipe, and an outlet hole is formed to enable the installation of a rainwater outlet pipe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rainwater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art; a sedimentation separation unit forming a space for sedimentation separation in a lower portion of the hollow part; and a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disposed at a height between the settling separation unit and the inlet hole and provided to discharge rainwater separated from solid-liquid by a filtra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through a rainwater outlet pipe installed in the outlet hole However, the outlet hole of the body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inlet hole or at a height lower than the inlet hole, and the filtration unit may be disposed so that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utlet hole.

Description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FITTED WITH PIPE LINE TYPE SCREEN}A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FITTED WITH PIPE LINE TYPE SCREEN}

본원은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unit.

물은 지구상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를 구성하고 살아가도록 하는 가장 기본적인 물질이다. 물의 순환은 지구의 생명체를 살게 하고 오염물질을 정화하는 지구의 핏줄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Water is the most basic substance that makes up and sustains all living things on Earth. The cycle of water is like the blood vessels of the earth that support life on earth and purify pollutants.

그러나 시멘트와 아스팔트로 뒤덮인 현대도시에서 자연스러운 물의 순환은 왜곡되어 가고 있다. 이 같은 물 순환의 왜곡은 도시형 홍수, 지하수위 저하 및 하천유량 감소, 수질오염 증가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However, in a modern city covered with cement and asphalt, the natural circulation of water is becoming distorted. This distortion of the water cycle is causing problems such as urban flooding, lowering the groundwater level, decreasing river flow, and increasing water pollution.

이러한 물 순환 문제의 해결을 위해, 빗물저류침투 시스템(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 빗물이용 시스템 등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water cycle problem, the development of a rainwater storage and penetration system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a rainwater utilization system, etc. is being made.

다만, 본 출원인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16758호에서 개시한 기존 특허기술의 경우, 빗물저류침투 시스템보다는 빗물이용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중점을 둔 기술이었다. 또한, 빗물저류침투 시스템에 있어서도, 기존의 빗물저류침투 시스템은 주로 소규모(소용량) 처리가 가능한 시스템이 대부분으로서, 대용량 우수 처리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집중 호우, 폭우 등과 같이 짧은 시간동안 많은 양의 비가 내릴 때, 단시간 내에 범람하는 대용량의 우수를 효과적으로 저류/침투 처리할 수 있는 홍수 예방 등의 방재 목적에 중점을 둔 빗물저류침투 시스템(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에 대한 개발 및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existing patent technology discl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16758, it was a technology that focused on building a rainwater utilization system rather than a rainwater storage penetration system. In addition, in the rainwater storage and permeation system, the existing rainwater storage and permeation system is mainly a system capable of small-scale (small-capacity) treatment, and there is a limit in large-capacity rainwater treatment. Accordingly, when a large amount of rain falls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torrential rain or heavy rain, a rainwater storage and penetration system focusing on disaster prevention purposes such as flood prevention that can effectively store/infiltrate large-capacity rainwater that overflows within a short time (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rainwater permeation-type storage system) is required.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입되는 빗물을 최대한 빠르게 필터링 하여 일시 저류하면서 점차적으로 지반으로 침투시키는 데에 효율적이고, 유지관리 용이성 또한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홍수와 같은 물 관련 재난 발생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방지하거나 저감할 수 있는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effective in filtering the incoming rainwater as quickly as possible and temporarily storing it and gradually infiltrating it into the grou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device)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that can continuously and stably prevent or reduce the occurrence of water-related disasters.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침사 스크린조는, 지중에 배치되는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에 적용되는 수중 침사 스크린조로서, 측벽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중공부로의 빗물 유입을 위한 우수 유입관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측벽에 유입 홀이 형성되며, 유입된 빗물을 상기 중공부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우수 유출관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유출 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중공부의 하부에 침전 분리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침전 분리부; 및 상기 침전 분리부와 상기 유입 홀 사이의 높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여과 홀이 형성된 여과 유닛에 의해 고액 분리된 빗물을 상기 유출 홀에 설치된 우수 유출관을 통해 유출하도록 구비되는 고액분리 스크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유출 홀은 상기 유입 홀과 동일한 높이 또는 상기 유입 홀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 유닛은, 상기 복수의 여과 홀의 형성 높이가 상기 유출 홀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underwater sedimentation scree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n underwater sedimentation screen tank applied to a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disposed in the ground, and a hollow part is formed inside the side wall, An inlet hole is formed in the side wall to enable installation of a rainwater inlet pipe for inflow of rainwater from the outside into the hollow part, and an outlet hole is provided to enable installation of a rainwater outlet pipe for discharging the inflow rainwater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art. formed body; a sedimentation separation unit forming a space for sedimentation separation in a lower portion of the hollow part; and a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disposed at a height between the settling separation unit and the inlet hole and provided to discharge rainwater separated from solid-liquid by a filtra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through a rainwater outlet pipe installed in the outlet hole However, the outlet hole of the body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inlet hole or at a height lower than the inlet hole, and the filtration unit may be disposed so that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utlet hole.

또한, 상기 여과 유닛의 상기 복수의 여과 홀의 형성 높이가 상기 유출 홀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유출 홀을 통한 우수 유출 중에는 상기 여과 유닛이 수중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by the formation height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of the filtration unit being arrang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utlet hole, the filtration unit may be located in water during rainwater outflow through the outlet hole.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은, 지중에 배치되는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침사 스크린조; 내부 저류 공간으로 유입된 빗물 중 적어도 일부가 지중으로 침투되도록 제공되는 빗물침투형 저류조; 상기 빗물침투형 저류조 내부를 가로지르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터널 스크린부; 및 상기 수중 침사 스크린조로부터 유출된 빗물이 상기 하나 이상의 터널 스크린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중 침사 스크린조와 상기 하나 이상의 터널 스크린부를 연결하는 분배조를 포함하되, 상기 터널 스크린부는 상기 고액분리 스크린장치에 의해 필터링된 빗물에 대한 추가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미세 홀이 형성된 투수부재로 둘러싸인 관로형 구조로 제공되며,상기 투수부재의 미세 홀은 상기 여과 유닛의 여과 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disposed underground, comprising: an underwater sedimentation scree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provid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torage space penetrates into the ground; one or more tunnel screen units disposed across the inside of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and a distribution tank connecting the underwater sedimentation screen tank and the one or more tunnel screen parts so that rainwater discharged from the underwater sedimentation screen tank is moved to the one or more tunnel screen parts, wherein the tunnel screen part is filtered by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It is provided in a conduit-type structure surrounded by a permeable member in which micro-holes are formed to enable additional filtering of the rainwater, and the micro-holes of the water-permeable member may be formed in a size smaller than the filtration hole of the filtration unit.

또한, 상기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은, 상기 터널 스크린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점검 맨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검 맨홀의 바닥면은, 상기 터널 스크린부의 관로형 구조 내부의 바닥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분배조는 작업자가 진입 가능한 연직 통로부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점검 맨홀과 상기 터널 스크린부와의 바닥면 높이차에 의해, 상기 분배조 측에서 상기 터널 스크린부로의 준설 작업시 준설에 의해 제거되는 오염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점검 맨홀의 바닥면 상으로 누적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the conduit-type screen part further includes an inspection manhol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unnel screen part,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pection manhole is higher than the floor surface inside the duct-type structure of the tunnel screen part. It is provided to be located at a low height, and the distribution tank is provided to have a vertical passage part through which an operator can enter, and by the difference in floor height between the inspection manhole and the tunnel screen part, dredging from the distribution tank side to the tunnel screen part At least some of the contaminants removed by dredging during operation may be induced to accumulat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pection manhole.

또한, 상기 분배조는, 상기 터널 스크린부와 연결되는 하부 공간에 월류턱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공간은, 상기 월류턱을 기준으로 상기 터널 스크린부와 연결되는 월류 공간 및 상기 유출 홀에 설치된 유출 관으로부터 유입된 빗물이 도달하는 침사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월류턱 및 상기 침사 공간에 의해, 상기 터널 스크린부에서의 상기 투수부재에 의한 추가 필터링 이전에 추가 침사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distribution tank, an overflow jaw is formed in a lower space connected to the tunnel screen unit, and the lower space has an overflow space connected to the tunnel screen unit based on the overflow jaw and an outlet pipe installed in the outlet hole It includes a sedimentation space to which rainwater introduced from the water reaches, and by the overflow ridge and the sedimentation space, an additional sedimentation action can be made before additional filtering by the water permeable member in the tunnel screen part.

또한, 상기 월류 공간은, 상기 분배조의 연직 통로부를 통해 진입한 작업자가 상기 터널 스크린부에 대한 준설 작업이 가능한 크기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verflow space may be formed as a space of a size in which an operator entering through the vertical passage of the distribution tank can dredged the tunnel screen unit.

또한, 상기 빗물침투형 저류조는,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거나 적층되는 복수의 단위박스를 포함하는 적층부; 및 상기 적층부의 외면을 감싸는 침투 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 스크린부는 복수의 단위박스를 연결 배치한 터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tank, the stacking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unit boxes that are arranged or stack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enetration sheet part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acking part, and the tunnel screen par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unnel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boxes are connected and arranged.

또한, 상기 고액분리 스크린장치는, 내부가 상기 유출 홀과 통하도록 상기 몸체의 측벽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 유닛에 의해 고액 분리된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여과 유닛과 연결되는 하우징; 및 상기 우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빗물에 의한 와류가 유도되도록,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여과 유닛의 상측 위치에 설치되는 유입수 유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may include: a housing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so that the inside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hole, and connected to the filtration unit so that rainwater separated from solid-liquid by the filtration unit flows into the inside; and an inflow water guide plate installed at an upper position of the filtration unit in the housing to induce a vortex by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inwater inlet pipe.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are merely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dditional embodiments may exist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침사 스크린조의 여과 유닛의 복수의 여과 홀의 형성 높이가 유출 홀의 높이보다 낮도록 배치됨으로써, 유출 홀로의 우수 유출 중에는 여과 유닛이 항상 수중에 위치할 수 있어, 여과 유닛이 수상에 노출됨에 따라 이물질이 부착되어 마르거나 고형화되는 현상이 저감 또는 방지될 수 있고, 여과 유닛의 여과 홀이 이물질로 인해 폐색되어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저감 또는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과 유닛의 세척 등을 위한 유지관리 주기가 보다 연장될 수 있는 유지관리 용이성이 확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ormation height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of the filtration unit of the underwater sedimentation scree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arrang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utlet hole, so that the filtration unit is always It can be located in water, and as the filtration unit is exposed to the water phase, the phenomenon that foreign substances are attached and dry or solidified can be reduced or prevented, and the filtration hole of the filtration unit is blocked by foreign substances, reduc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Or it can be prevented, and thus, maintenance easiness in which a maintenance cycle for cleaning the filtration unit, etc. can be further extended can be secured.

또한, 고액 분리된 결과물을 유출 홀을 통해 유출하도록 구비되는 고액분리 스크린장치가 복수의 여과 홀이 형성된 여과 유닛을 포함하되, 초기 여과에 해당하는 여과 유닛의 여과 홀의 크기는 크게 설정하고, 추가 여과(2차 여과)에 해당하는 투수부재의 미세 홀의 크기는 작게 설정함으로써, 고액분리 스크린장치를 통해 1차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관로형(터널형)으로서 고액분리 스크린장치(여과 유닛) 대비 대용량의 여과가 가능한 관로형으로 구비되는 터널 스크린부의 투수부재의 미세 홀을 통해서는 보다 미세한 여과가 대용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다중 여과가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provided to discharge the solid-liquid separated product through the outlet hole includes a filtra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and the size of the filtration hole of the filtrat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filtration is set large, and additional filtration (Secondary filtration) By setting the size of the fine hole in the water permeable member to be small, the large-sized foreign material is primarily removed through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and then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filtration unit) as a conduit type (tunnel type) ), finer filtration can be made with a large capacity through the fine holes of the water permeable member of the tunnel screen part, which is provided in a conduit type that allows for large-capacity filtration, so that multiple filtration can be performed effectively and quickly.

또한,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이 유입된 빗물을 일시 저류하면서 점차적으로 적어도 일부가 침투되도록 제공되는 빗물침투형 저류조를 포함함으로써, 유입되는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류하거나 일부를 지반으로 침투시켜 외부로 유출되는 빗물 유출량을 억제하여 홍수와 같은 물 관련 재난 발생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방지하거나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the conduit type screen part temporarily stores the inflowing rainwater and includes a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that is provid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it gradually penetrates, thereby temporarily storing the inflowing rainwater or using a part of it as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and reliably prevent or reduce the occurrence of water-related disasters such as floods by suppressing the amount of rainwater that leaks out through infiltration.

또한, 터널 스크린부는 미세 홀이 형성된 투수부재로 둘러싸인 터널 관로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고액분리 스크린장치에 의해 1차적으로 필터링된 빗물을 2차적으로 추가 필터링하여 보다 깨끗한 빗물을 지중으로 침투되도록 하거나, 저류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unnel screen un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unnel pipe surrounded by a water permeable member having fine holes, so that the rainwater filtered primarily by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is additionally filtered secondary to allow cleaner rainwater to penetrate into the ground, or to be stored. can make it

또한, 점검 맨홀의 바닥면이 터널 스크린의 내부의 바닥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점검 맨홀과 터널 스크린부와의 바닥면 높이차에 의해, 분배조 측에서 터널 스크린부로의 준설 작업시 준설에 의해 제거(청소)되는 오염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점거 맨홀의 바닥면 상으로 누적되도록 유도되어 이후 작업자가 점검 맨홀을 통해 누적된 오염물질을 청소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pection manhole is provided to be locat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tunnel screen, due to the difference in floor height between the inspection manhole and the tunnel screen part, dredging from the distribution tank side to the tunnel screen part At least a portion of the pollutants removed (cleaned) by the is induced to accumulat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ccupied manhole,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clean the accumulated pollutants through the inspection manhole.

또한, 분배조의 하부 공간에 월류턱이 형성됨으로써, 터널 스크린부에서의 미세 필터 이전에 추가 침사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출 홀에 설치된 유출 관으로부터 침사 공간으로 유입되는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적으로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forming an overflow jaw in the lower space of the distribution tank, an additional sedimentation action is made before the fine filter in the tunnel screen part, so that at least some of th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with rainwater flowing into the sedimentation space from the outlet pipe installed in the outlet hole. may be additionally removed.

또한, 월류 공간은 분배조의 연직 통로부를 통해 진입한 작업자가 터널 스크린부에 대한 준설 작업이 가능한 크기의 공간으로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준설 작업을 위해 월류 공간에 진입하여 분배조 측에서 터널 스크린부로의 준설 작업시 또는 월류 공간의 준설 작업시, 준설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verflow space is formed as a space sized for the dredging work for the tunnel screen part by the worker who entered through the vertical passage part of the distribution tank, so that the worker enters the overflow space for the dredging work and moves from the distribution tank side to the tunnel screen part. When dredging work or when dredging an overflow space, dredging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고액분리 스크린장치가 하우징에서 여과 유닛의 상측 위치에 설치되는 유입수 유도판을 포함함으로써, 우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빗물에 의한 와류가 유도되며 여과 유닛에 부착되는 이물질(협잡물)에 대한 제거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includes an inflow water guide plate installed at an upper position of the filtration unit in the housing, a vortex by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inwater inlet pipe is induced, and foreign substances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filtration unit are removed. can be done more effectively.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침사 스크린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내지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침사 스크린조의 고액분리 스크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단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평면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의 분배조가 월류턱이 형성된 하부 공간을 포함하도록 구비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단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의 분배조가 월류턱이 형성된 하부 공간을 포함하도록 구비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평면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의 우수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underwater silt screen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2 to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of the underwater sedimentation scree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5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6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plan view) illustrating a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7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tribution tank of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rovided to include a lower space in which overflow jaws are formed.
8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tribution tank of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rovided to include a lower space in which overflow jaws are formed.
9 is a flow chart of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can easily carry out.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do.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positioned “on”, “on”, “on”, “on”, “under”, “under”, or “under” another member, this means that a member is positioned on the other member.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they are in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wo members.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침사 스크린조(이하 '본 스크린조'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underwater sedimentation screen tank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s scree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침사 스크린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1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underwater silt screen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스크린조(100)는 몸체(110), 침전 분리부(120) 및 고액분리 스크린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스크린조(100)는 후술할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screen tank 100 may include a body 110 , a sediment separation unit 120 , and a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 This screen tank 100 may be applied to a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to be described later.

몸체(110)는 측벽 내부에 중공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2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구조는 공장에서 선제작 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현장타설 공법 대비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우기나 동절기에도 공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몸체(110) 및 이를 포함하는 본 시스템(1000)의 제작 방식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공 여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제작 방식에 의해 제작(시공)될 수 있다.The body 110 may have a hollow part 111 formed inside the side wall. For example, the body 120 may be provided in a precast concrete (PC) structure, and since the precast concrete (PC) structure is pre-fabricated in a factory,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compared to the cast-in-place method,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It has the advantage that construction can be carried out even in the rainy season or winter season because it is not affected by the Howev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body 110 and the present system 1000 including the sam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nufactured (constructed) by various manufacturing methods in consideration of construction conditions and the like.

중공부(111)는 몸체(110)의 측벽으로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공부(111)는 작업자가 상하 방향(도 1를 참조하면, 12시-6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크기(상하 방향 통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몸체(110)의 측벽 내부에는 작업자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점검 사다리가 설치될 수 있다.The hollow part 111 may be formed surrounded by a sidewall of the body 110 . For example, the hollow part 111 may be formed in a size (a vertical passage shape and size) that an operator can move in an up-down direction (referring to FIG. 1, 12 o'clock-6 o'clock), and also, the body ( 110), an inspection ladde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ide wall to enabl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perator.

또한, 중공부(111)는 몸체(110) 내부로의 빗물 유입을 위해 형성된 공간이다. 따라서, 몸체(110)는 외부로부터 중공부(111)로의 빗물 유입을 위한 우수 유입관(121)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측벽에 유입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 홀(112)에 설치된 우수 유입관(121)은 그 외측 단부가 외부의 다른 관과 연결되거나, 외부의 집수 구조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low part 111 is a space formed for the inflow of rainwater into the body 110 . Accordingly, in the body 110 , an inlet hole 112 may be formed in the side wall so that the rainwater inlet pipe 121 for inflow of rainwater from the outside to the hollow part 111 can be installed. The rainwater inlet pipe 121 installed in the inlet hole 112 may have an outer end thereof connected to another external pipe or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collecting structure.

또한, 몸체(110)에는 유입된 빗물을 중공부(111)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우수 유출 관(113a)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출 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utlet hole 113 may be formed in the body 110 to allow the installation of a rainwater outlet pipe 113a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rainwater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art 111 .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몸체(110)의 유출 홀(113)은 유입 홀(112)과 동일한 높이 또는 유입 홀(112)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 홀(112)은 역류를 방지하는 수두차를 유지하기 위해 유출 홀(113)에 비해 낮은 높이에 위치하지 않고, 동일하거나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 , the outlet hole 113 of the body 110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inlet hole 112 or at a lower height than the inlet hole 112 . That is, the inlet hole 112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at the same or higher position than the outlet hole 113 , rather than being position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outlet hole 113 in order to maintain a head difference for preventing backflow.

예시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유입 홀(112)과 유출 홀(113)은 몸체(110)의 측벽 중 서로 대향하는 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이 적용되는 현장의 여건, 설계, 규모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입 홀(112)과 유출 홀(113)은 서로 이웃하여 연결되는 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1 by way of example, the inlet hole 112 and the outlet hole 113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sidewalls of the body 110 that face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set in various ways in consideration of site conditions, design, scale, etc. As another example, the inlet hole 112 and the outlet hole 113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sidewalls connected to each other adjacent to each other.

또한, 침전 분리부(120)는 중공부(111)의 하부에 침전 분리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공간적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침전 분리부(120)는 우수 유입관(112a)를 통해 유입된 빗물 중 입자 크기가 큰 모래, 자갈 등과 같은 비중이 큰 고형물질이 침전(유입된 빗물로부터 분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diment separation unit 120 can be said to be a spatial configuration that forms a space for the sediment separa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111). Referring to FIG. 1 , the sedimentation separator 120 induces sedimentation (separation from the inflowing rainwater) of a solid material with a large specific gravity such as sand and gravel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among the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inwater inlet pipe 112a. can do.

도 1을 참조하면, 본 스크린조(100)는 고액분리 스크린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액분리 스크린장치(130)는 침전 분리부(120)와 유입 홀(112) 사이의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액분리 스크린장치(130)는 유입된 빗물 중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이 침전에 의해 분리되어 침전 분리부(120)에 대해 쌓일 수 있도록 소정 이상의 높이(중공부 하부의 침전 분리 공간을 고려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액분리 스크린장치(130)는 유입된 빗물의 고액을 분리(필터링)하도록 유입 홀(112)의 형성 높이보다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 홀(112)을 통해 유입된 빗물 중 비중이 큰 이물질은 침전 분리부(120)에 우선 침전이 유도되며, 침전되지 못한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는 고액분리 스크린장치(130)를 거쳐 고액 분리되면서 유출 홀(113)을 통해 유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screen tank 100 may include a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may be disposed at a height between the sediment separation unit 120 and the inlet hole 112 .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has a predetermined height or higher (height considering the sedimentation separation space of the lower part of the hollow part) so that foreign substances having a relatively large specific gravity among the introduced rainwater are separated by sedimentation and accumulated in the sedimentation separation unit 120 . It is preferable to be installed to be located in In addition,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may be located below the formation height of the inlet hole 112 to separate (filter) the solid and liquid from the introduced rainwater. Accordingly, foreign substances with a large specific gravity among the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hole 112 are firstly induced to settle in the sedimentation separation unit 120 , and at least some of the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not been precipitated go through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 It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hole 113 while being separated.

도 2내지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침사 스크린조의 고액분리 스크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침사 스크린조의 고액분리 스크린장치의 설명을 위해 도 1의 일부를 부분 확대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와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에서 수중 침사 스크린조를 바라본 개념도이며, 도 4는 여과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2 to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of the underwater sedimentation scree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More specifically, FIG. 2 is a partially enlarged conceptual view of a part of FIG. 1 for explanation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of the underwater sedimentation screen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It is a conceptual diagram looking at the silt screen tank, and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filtration unit.

또한,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액분리 스크린장치(130)는 복수의 여과 홀(131a)이 형성된 여과 유닛(1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액분리 스크린장치(130)는 여과 유닛(131)과 연결되는 하우징(13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여과 홀(131a)은 유입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를 분리(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과 홀(131a)의 크기는 유입되는 빗물의 수준(유입 우수량, 본원의 시스템을 통해 처리해야 하는 우수량, 및 유입되는 우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의 종류, 크기 등), 상술한 침전 분리부(120)에 의해 침전 분리되는 입자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여과 홀(131a)의 홀 크기는 5 mm 내외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may include a filtration unit 131 in which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131a are formed. In addition,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may include a housing 132 connected to the filtration unit 131 . The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131a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to separate (remove) at least some of th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introduced rainwater. For example, the size of the filtration hole 131a is determined by the level of inflow rainwater (inflow rainwater, the amount of rainwater to be treated through the system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 type and size of foreign substances included in the inflowing rainwater),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particles to be separated by the sedimentation separation unit 120 . Illustratively, the hole size of the filtering hole 131a may be about 5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여과 유닛(131)에 형성된 복수의 여과 홀(131a)은 여과 유닛(13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여과 유닛(131)은 복수의 여과 홀(131a)이 형성된 둘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여과 유닛(131)은 둘레 부재의 일측(도 4 기준 12시 방향측)을 덮는 덮개(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131b)는 유지관리 용의성 확보를 위해 둘레 부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여과 유닛(131)은 둘레 부재의 타측(도 4 기준 6시 방향측)에 하우징(132)과 나사결합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여과 유닛(131)이 하우징(13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유지관리를 위한 여과 홀(131a)의 세척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lso, referring to FIG. 4 , the plurality of filtering holes 131a formed in the filtering unit 131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ltering unit 131 .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filtration unit 131 may include a peripheral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131a are formed. In addition, the filtration unit 131 may include a cover (131b) for covering one side (12 o'clock side in reference to FIG. 4) of the circumferential member. This cover (131b) may be provided to be detachable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member in order to secure the ease of maintenance. In addition, the filtration unit 131 may include a portion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member (the 6 o'clock side in FIG. 4 ) through screw coupling with the housing 132 . As such, since the filtration unit 131 is detach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32, the cleaning operation of the filtration hole 131a for maintenance can be made more easily.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액분리 스크린장치(130)의 하우징(132)이 내부가 유출 홀(113)과 통하도록 몸체(110)의 측벽 내면(유출 홀(113)에 대응하는 측벽 내면 위치)에 설치될 수 있고, 여과 유닛(131)은 이러한 하우징(132)에 대하여 둘레 부재가 누운 상태가 되도록(둘레 부재의 중심축이 수평 방향을 향하도록)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32)은 여과 유닛(131)에 의해 고액 분리된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여과 유닛(131)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도 2를 참조하면, 여과 유닛(131)의 둘레 부재의 하단이 하우징(132)의 측면에 서로의 내부가 통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여과 유닛(131)이 누운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유입 홀(112)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여과 유닛(131)의 둘레면(둘레 부재)의 상측을 타격하는 형태의 자연 세척이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여과 유닛(131)은 상기와 같이 누운 상태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우징(132)에 대하여 회전 자유도를 가지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자유도 부여에 의해, 상기와 같은 유입되는 빗물에 의한 타격시 여과 유닛(131)이 회전되면서 둘레면에 대한 타격이 보다 넓은 범위(영역 또는 면적)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110 (corresponding to the outlet hole 113 ) so that the housing 132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communicates with the outlet hole 113 . It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and the filtration unit 131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so that the circumferential member is in a ly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32 (the central axis of the circumferential member faces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ousing 132 may be connected to the filtration unit 131 so that rainwater separated into solid-liquid by the filtration unit 131 flows into the housing 132 . Referring to FIG. 2 as a specific example, the lower ends of the peripheral members of the filtration unit 131 may be mount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32 so that the insides of each other pass through. As such, as the filtration unit 131 is placed in a lying state, natural washing in the form of rain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hole 112 hitting the upp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circumferential member) of the filtration unit 131 can be induced. have. In addition, the filtration unit 131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having a degree of freedom of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32 about the central axis of the lying state as described above. By giving such a degree of freedom of rotation, when the filtration unit 131 is rotated when hitting by the inflowing rainwater as described above, the blow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can be made over a wider range (region or area).

이에 따라, 고액분리 스크린장치(130)의 복수의 여과 홀(131a)이 갖는 크기보다 큰 이물질을 분리(필터링)할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하면, 고액분리 스크린 장치(130)는 고액 분리된 빗물(결과물)을 유출 홀(113)에 설치된 우수 유출관(113a)을 통해 유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foreign substance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131a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can be separated (filtered), and referring to FIG. 2 ,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is a solid-liquid separation It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rainwater (result) through the rainwater outlet pipe 113a installed in the outlet hole 113 .

또한,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여과 유닛(131)은 둘레를 따라 복수의 여과 홀(131a)이 형성된 망 형태의 실린더(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여과 유닛(131)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여과 유닛(131)의 개수 및 각각의 규모는 본 스크린조(100)에 의해 고액 분리되고 유출 홀(113)을 통해 유출되는 결과물에 의해 요구되는 유량, 각각의 여과 유닛(131)의 크기(규격), 각각의 여과 유닛(131)이 갖는 복수의 여과 홀(131a)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2 to 4 , the filtration unit 131 may be provided in a cylinder (cylindrical) shape of a mesh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131a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 and 3 ,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131 may be provided, and the number and size of each of these filtration units 131 are solid-liquid separated by the screen tank 100 and the outlet hol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rate required by the result flowing out through 113 , the size (standard) of each filtration unit 131 ,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131a of each filtration unit 131 , etc. can be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여과 유닛(131)은 복수개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도 다단(다층)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중공부(111)로 유입되는 빗물에 의한 직접적인 타격이 보다 유도될 수 있도록, 상항 방향으로 이웃하는 여과 유닛(131)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가장 윗층의 여과 유닛(131)들의 사이 간격 부분에 그 아래층의 여과 유닛(131)들이 위치하도록 지그재그 형태의 배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3 , a plurality of filtration units 131 may b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be arranged in multiple stages (multi-layer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filtration units 131 adjacent in the upward direction may be alternately disposed so that a direct blow by rainwater flowing into the hollow part 111 may be more induced.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 a zigzag arrangement may be made such that the filtration units 131 of the lower layer are located in the interval between the filtration units 131 of the uppermost layer.

또한,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여과 유닛(131)은 고액분리 스크린장치(130)의 하우징(132)(수중스크린 박스)에 대해 탈착 가능한 연결 결합(예를 들어, 나사 결합)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여과 유닛(131)은 하부에 볼트와 같은 나사 부분(수나사)을 포함하며, 하우징(132)은 이에 대응하여, 여과 유닛의(131)의 나사 부분이 결합 가능하도록 암나사홀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 유닛(131)은 세척시 혹은 교체시에 하우징(132)에 대해 용이하게 분리되어 세척된 여과 유닛(131) 또는 새로운 여과 유닛(131)으로 하우징(132)에 나사 결합 형태로 연결(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결합 부분은 여과 홀(131a)을 통해 고액 분리되며 여과 유닛(131) 내부로 진입한 빗물이 하우징(132)으로 이동되어 하우징(132)과 통하는 유출 홀(113)을 통해 유출될 수 있도록, 그 내부가 하우징(132)의 내부와 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lso,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 the filtration unit 131 is a detachable connection coupling (eg, screw coupling) form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32 (underwater screen box) of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 can be connected to Illustratively, the filtration unit 131 includes a screw portion (male thread) such as a bolt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housing 132 has a female screw hole corresponding to this, so that the screw portion of the filtration unit 131 can be coupled thereto. can do. Accordingly, the filtration unit 131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housing 132 during cleaning or replacement, and is connected to the housing 132 by screwing the cleaned filtration unit 131 or a new filtration unit 131 in the form of a screw connection. It can be (mounted). This connection coupling part is separated into solid and liquid through the filtration hole 131a, and rainwater entering the filtration unit 131 moves to the housing 132 so that it can flow out through the outlet hole 113 communicating with the housing 132. , its interior may b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32 .

또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여과 유닛(131)은, 복수의 여과 홀(131a)의 형성 높이가 유출 홀(113)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출 홀(113)로의 우수 유출 중에 여과 유닛(131)이 항상 수중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같은 여과 유닛(131)의 배치 높이 설정에 의하면, 여과 유닛(131)에 부착되는 이물질이 말라서 고형화됨에 따라 쉽게 분리되지 않고, 이에 따른 여과 홀의 폐색(막힘)으로 인해 여과 효율이 급격하게 낮아지고 유지관리 주기가 짧아지게 되는 곤란성의 발생이 자연적으로 저감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즉, 여과 유닛(131)은 최대한 수중에 위치하도록 하는 배치 위치(높이) 설정을 통해, 이에 부착되는 협잡물(이물질)의 제거가 종래 대비 훨씬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1 to 3 , in the filtration unit 131 ,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131a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utlet hole 113 . For this reason, the filtration unit 131 can always be located in the water during storm water outflow to the outlet hole 113 .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height setting of the filtration unit 131,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filtration unit 131 are not easily separated as they dry and solidify, and the filtration efficiency is sharply lowered due to clogging (blockage) of the filtration holes. The occurrence of the difficulty of shortening the maintenance cycle can be naturally reduced or prevented. That is, the filtration unit 131 can be placed in the water as much as possible through the arrangement position (height) setting, the removal of contaminants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hereto can be much easier compared to the prior art.

또한, 여과 유닛(130)의 배치 위치는, 우수 유입관(112a)이 배치되는 유입 홀(113)의 위치를 고려하여, 우수 유입관(112a)을 통해 유입된 빗물에 의해 수중에 상대적으로 와류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와류 형성 가능 위치에 대한 여과 유닛(130)의 배치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직접 타격하지 않는 여과 유닛(130)의 여과 홀(131a) 영역에 대해서도 수중 와류에 의한 부착 이물질의 제거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우수 유입관(112a)이 와류를 형성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각도로 빗물을 토출하도록 우수 홀(113) 및 우수 유입관(112a)을 구비하고, 그러한 우수 유입관(112a)과 연동되는 와류 형성 가능 영역에 대하여 여과 유닛(130)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the inlet hole 113 in which the rainwater inlet pipe 112a is disposed,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ltration unit 130 is relatively vortexed in water by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inwater inlet pipe 112a.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forming the .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filtration unit 130 to the position where the vortex can be formed, the removal action of foreign substances attached by the underwater vortex is also made in the area of the filtration hole 131a of the filtration unit 130 that is not directly hit by the inflowing rainwater. can Illustratively, the rainwater inlet pipe 112a has a rainwater hole 113 and a rainwater inlet pipe 112a to discharge rainwater at an angle with a relatively high possibility of forming a vortex, and the rainwater inlet pipe 112a and A filtration unit 130 may be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interlocking vortex-forming region.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액분리 스크린장치(130)는 유입수 유도판(133)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수 유도판(133)은, 우수 유입관(112a)을 통해 유입된 빗물에 의한 와류가 유도되도록, 하우징(132)에서 여과 유닛(131)의 상측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입수 유도판(133)은 하우징(132)의 상측 위치에서 비스듬하게(경사지게) 상향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유입수 유도판(133)의 상향 연장되는 경사진 방향은 우수 유입관(112a)이 설치되는 유입 홀(112) 측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유입되는 빗물에 의한 와류(선회 와류) 형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입수 유도판(133)의 연장 길이, 유입 홀(112)(또는 우수 유입관(112a))과 유입수 유도판(133) 사이의 거리 등이 적정히 설정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may include an inflow water guide plate 133 . The inflow water guide plate 133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position of the filtration unit 131 in the housing 132 to induce a vortex by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storm water inlet pipe 112a. For example, the inflow water guide plate 133 may be provided to extend obliquely (slope) upward from an upper position of the housing 132 . In this case, the upwardly extending inclined direction of the inflow water guide plate 133 may be a direction toward the inflow hole 112 in which the rainwater inlet pipe 112a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extended length of the inflow water guide plate 133, the inlet hole 112 (or the storm water inlet pipe 112a) and the inflow water guide plate 133 so that a vortex (or swirling vortex) formed by the inflowing rainwater can be formed more effectively. ) is preferably set appropriately.

이러한 유입수 유도판(133)에 의해, 우수 유입관(112a)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이 단순 유입되는 것이 아니라, 유입되면서 보다 유속이 빨라지거나 흐름의 방향이 전환되는 와류(선회 와류)가 적어도 일부 유도될 수 있어서, 여과 유닛(131)에 부착되는 이물질(협잡물)에 대한 제거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유지관리 측면의 장점이 확보될 수 있다.By the inflow water guide plate 133, rainwater flowing in through the storm water inlet pipe 112a is not simply introduced, but a vortex (orbital vortex) in which the flow rate becomes faster or the direction of the flow is changed as it flows in is induced at least partially. can be, the advantage in terms of maintenance that can be more effectively removed for foreign substances (contaminants) adhering to the filtration unit 131 can be secured.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여과 유닛(131)은 복수의 여과 홀(131a)이 형성된 둘레 부재 및 둘레 부재의 일측(도 4 기준 12시 방향측)을 탈착 가능하게 덮는 덮개(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과 유닛(131) 세척시 여과유닛(131)을 하우징(132)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여과 홀(131a)에 형성된 둘레 부재에 대한 세척 등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4, the filtration unit 131 may include a circumferential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filtering holes 131a are formed and a cover 131b removably covering one side (the 12 o'clock side in FIG. 4) of the circumferential member. can Accordingly, by separating the filtration unit 131 from the housing 132 when cleaning the filtration unit 131 ,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maintenance such as washing the peripheral member formed in the filtration hole 131a.

또한,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고액분리 스크린장치(130)는 하우징(132)의 상부 측에 비상 월류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비상 월류 홀은 단시간의 대규모 강수 등으로 인해, 본 스크린조(100)로 유입되는 빗물의 양이 급격히 증가되면서, 여과 유닛(131)의 여과 홀(131a)을 거치는 것만으로는 오버 플로우가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나, 여과 홀(131a)의 폐색이 과도할 경우, 여과 홀(131a)을 거치지 않고 하우징(132) 내부로 빗물이 진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비상 월류 홀의 형성 높이는 유출 홀(113)의 형성 높이보다 높게 설정함이 바람직하며, 해당 지역의 강수 지속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 높이 차이만큼 유출 홀(113)의 높이 또는 여과 유닛(131)의 높이보다 더 높게 설정될 수 있다.Also,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 ,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may form an emergency overflow hole i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32 . In the emergency overflow hole, as the amount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screen tank 100 rapidly increases due to short-time large-scale precipitation, etc., overflow may occur only through the filtering hole 131a of the filtration unit 131. If expected, or when the closure of the filtration hole 131a is excessive, it may be provided so that rainwater can enter the housing 132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ltration hole 131a. The formation height of the emergency overflow hole is preferably set higher than the formation height of the outlet hole 113, and the height of the outlet hole 113 or the height of the filtration unit 131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utlet hole 113 by the height differenc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continuity of precipitation in the area. It can be set higher.

이 같은 본 스크린조(100)는 자연유하로 유입되는 빗물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본 스크린조(100)에 유입되는 빗물(유입수) 중에 혼입되는 각종 부유물질이나 침전물질과 같은 이물질을 필터링하고 침전 분리하여 저감 또는 제거하도록 구비되는 구성(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This screen tank 100 uses the potential energy of rainwater flowing into the natural flow, so that various floating substances or sediments mixed in the rainwater (influent water) flowing into the screen tank 100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are used. It can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device) provided to reduce or remove foreign substances by filtering and sedimentation separation.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이하 '본 시스템'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hereinafter, a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esent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단면도)이며,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개념도(평면도)이다.5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cross-sectional view) of a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FIG. 6 is a rainwater penetration type screen unit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plan view) showing a type storage system.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0)은 본 스크린조(100), 빗물침투형 저류조(400), 터널 스크린부(300)및 분배조(200)를 포함한다.5 and 6 , the present system 1000 includes a main screen tank 100 , a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400 , a tunnel screen unit 300 , and a distribution tank 200 .

여기서, 본 시스템(1000)은 침투형 빗물저류조를 포함하여 침투형 빗물저류를 수행하는 시스템(장치 또는 시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시스템(1000)은 침투형 빗물저류조에 유입된 빗물 중 적어도 일부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면서 차츰 침투시키는 형태의 시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시스템(1000)은 침투형 빗물저류조에 유입된 빗물 전부를 일시 저류하였다가 전부 침투시키는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본 시스템(1000)은 침투형 빗물저류조에 유입된 빗물 중 일부는 일시 저류하였다가 침투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지반(지중)으로 침투시키지 않고 저류(저장)하고 이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present system 1000 is a system (device or facility) for performing infiltration-type rainwater storage, including an infiltration-type rainwater storage tank.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system 1000 may be a type of facility that gradually infiltrates while temporarily sto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infiltra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For example, the present system 1000 may be a system that temporarily stores all of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infiltration rainwater storage tank and then infiltrates all of the rainwa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xample, the present system 1000 may be provided to store (store) and use some of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permeation-type rainwater storage tank after temporarily storing and infiltrating, and the remaining part without penetrating into the ground (underground).

또한, 본 시스템(1000)은 홍수와 같은 물 관련 재난 발생을 예방하는 방재를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0)은 쾌적한 환경을 창조함으로써 친환경을 실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본 시스템(1000)은 지중에 배치될 수 있으며, 통상의 빗물저류침투 시스템이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지역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system 1000 may have the purpose of disaster prevention to prevent water-related disasters such as floods. In addition, the present system 1000 may aim to practice eco-friendliness by creating a comfortable environment. The present system 1000 may be disposed underground,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areas in which a typical rainwater storage and penetration system may be disposed.

본 시스템(1000)의 빗물침투형 저류조(400)는 적층부(410) 및 침투 시트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tank 400 of the present system 1000 may include a lamination part 410 and a penetration sheet part 420 .

도 5를 참조하면, 적층부(410)는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거나 적층되는 복수의 단위박스(411)를 포함할 수 있다. 단위박스(411)는 플라스틱(합성수지) 재질, 예를 들면 PP(Polypropylene)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단위박스(411)는 복수의 블록을 상호 조립하여 하나의 단위박스(411)를 제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단위박스(411)는 합성수지 재질의 다공성의 조립형 블록을 암수 맞물림 결합과 같은 상호 결합 방식에 의해 조립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단위(터널)박스(411)는 본 출원인이 보유한 한국등록특허 제10-1568018호 또는 한국등록특허 제10-1271648호에 개시된 구조 또는 그로부터 일부 개선(변형)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5 , the stacking unit 4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nit boxes 411 disposed or stack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unit box 411 may be made of a plastic (synthetic resin) material, for example, a PP (Polypropylene) material. In addition, the unit box 41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manufacturing one unit box 411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blocks. As a specific example, the unit box 411 may be formed by assembling a porous prefabricated block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by a mutual coupling method such as male and female engagement coupling. Such a plurality of unit (tunnel) boxes 411 may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568018 or Korean Patent No. 10-1271648 owned by the present applicant or a structure partially improved (deformed) therefrom.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위박스(411) 복수개가 전후좌우 배치되고 상하 적층됨으로써 빗물침투형 저류조(400)가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빗물침투형 저류조(400)의 적층부(410)의 규모는 본 시스템(1000)이 적용되는 지역의 여건, 본 시스템(1000)을 통해 처리가 요구되는 침투/저류 용량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적층부(410)의 형상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치 장소 및 구조에 맞는 형상에 대응하여 단위박스(411)가 적층되는 형태로 구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a plurality of unit boxes 411 are arranged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nd stacked up and down to build a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400 . The scale of the stacking part 410 of the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tank 400 is to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s of the area to which the system 1000 is applied, the penetration / storage capacity required to be treated through the system 1000, etc. can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stacking unit 410 may b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nstructed in a form in which the unit boxes 411 are stacked corresponding to a shape suitable for an installation location and structure.

또한, 적층부(400)는 복수의 단위박스(411)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유닛(연결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연결 유닛은 종 방향으로 이웃하는 단위박스를 서로 연결하는 종 방향 연결구, 횡 방향으로 이웃하는 단위박스를 서로 연결하는 횡 방향 연결구, 및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단위박스를 서로 연결하거나 포지셔닝하는 상하 방향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단위박스(411)의 결합방식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거나 향후 개발될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cking unit 400 may include a connection unit (connector structure) for interconnecting the plurality of unit boxes 411 . Illustratively, the connection unit may include a longitudinal connector connecting unit boxes adjac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ach other, a transverse connector connecting unit boxes neighbor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each other, and unit boxes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ach other, or It may include a vertical direction connector for positioning. However, the coupling method of the plurality of unit boxes 41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coupling methods that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단위박스(411)는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다. 단위박스(411)가 합성수지 재질인 경우, 적층식으로 조립되어 저류 공간을 확보하면서, 상부 하중과 측면 토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수준의 내구성과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unit box 411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en the unit box 411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t is preferably provided so as to secure a level of durability and structural stability that can sufficiently withstand upper load and side earth pressure while assembling in a stacked manner to secure a storage space.

또한, 빗물침투형 저류조(400)의 침투 시트부(420)는 적층부(410)의 외면을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빗물침투형 저류조(400)는 내부 저류 공간으로 유입된 빗물 중 적어도 일부가 지중으로 침투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투 시트부(420)는 침투시트를 포함하여 적층부(410)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침투시트(투수포)로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침투시트부(420)는 침투시트 및 저류(방수)시트(불투수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침투 시트부(420)는 침투시트와 저류시트를 조합하여 적층부(410)의 외면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침투시트와 저류시트의 조합을 통해, 일시 저류 후 전면 침투가 이루어지도록 빗물침투형 저류조(400)가 구비될 수도 있고, 일시 저류 후 일부는 지중으로 침투되고 나머지 일부는 빗물침투형 저류조(400) 내에 저류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유입되는 모든 빗물을 저류하고 이용하는 형태로 빗물침투형 저류조(400)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penetration sheet portion 420 of the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tank 400 may wrap the outer surface of the stacking portion 410 . Accordingly, the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tank 400 may be provid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torage space penetrates into the ground. For example, the permeation sheet unit 420 may be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lamination unit 410, including the permeation sheet, with the permeation sheet (permeable fabric). As another example, the penetration sheet unit 420 may include a penetration sheet and a storage (waterproof) sheet (impermeable fabric). In this case, the penetration sheet unit 42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tacking unit 410 by combining the penetration sheet and the storage sheet.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penetration sheet and the storage sheet,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40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front penetration is made after the temporary storage, and after the temporary storage, some infiltrates into the ground and the remaining parts in the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tank 400 ) may be provided to be stored within.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4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storing and using all the inflowing rainwater.

예시적으로, 적층부(410) 중 일시 저류 후 지중 침투를 원하는 영역은 침투시트(투수포)로 감싸고, 저류 후 빗물 이용을 원하는 영역은 저류시트(불투수포)로 감쌀 수 있다. 또한, 저류 후 빗물 이용을 원하는 영역은 저류시트뿐만 아니라 침투시트까지 함께 감싸 시트를 2겹 배치함으로써 내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Illustratively, an area of the lamination unit 410 that wants to penetrate underground after temporary storage may be wrapped with a penetration sheet (permeable cloth), and an area where rainwater is desired to be used after storage may be wrapped with a retention sheet (impervious cloth). In addition, dur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by wrapping the storage sheet as well as the penetration sheet in the area where the rainwater is desired to be used after storage and placing the sheets in two layers.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적층부(410)를 평면 상에서 구획하여, 평면 상의 일부 영역은 빗물 이용을 위한 저류 영역, 나머지 영역은 일시 저류 후 침투 영역을 포함하도록 계획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적층부(410)를 높이 방향에 대하여 구획하여, 높이가 낮은 저층 공간의 외곽에는 빗물 이용을 위한 저류가 이루어지도록 불투수포를 포함하여 감싸고, 높이가 높은 고층 공간의 외곽에는 일시 저류 및 지중 침투가 이루어지도록 불투수포는 제외하고 투수포로만 감쌀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by dividing the stacking unit 410 on a plane, it can be planned that some regions on the plane include a storage region for rainwater use, and the remaining regions include an infiltration region after temporary storage. As another example, by dividing the stacking unit 410 in the height direction, the outer portion of the low-rise space with a low height is wrapped with an impermeable cloth so that storage for use of rainwater is made, and temporary storage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high-rise space with a high height. And it can be wrapped only with the permeable cloth, excluding the impervious cloth so that the underground penetration is made.

침투 시트부(420)에 포함될 수 있는 침투시트 또는 저류시트의 규격, 설치방법 등은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알려진 사항들 또는 향후 개발될 다양한 사항들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pecifications, installation methods, etc. of the penetration sheet or storage sheet that may be included in the penetration sheet part 420 may be applied to various matter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so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do.

또한, 본 시스템(1000)은 빗물침투형 저류조(400)에 저류된 빗물을 이용하기 위하여 빗물 이용 맨홀(600)을 배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빗물 이용 맨홀(600)은 적층부(410)에 배치된 단위박스(411) 중 일부를 제거하여 적층부(410)의 상측이 일부 개구되도록 한 뒤, 이러한 개구 영역 상에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빗물침투형 저류조(400)에 저류된 빗물이 필요시에 다양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system 1000 may arrange a rainwater use manhole 600 to use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tank 400 . Illustratively, referring to FIG. 8 , the rainwater manhole 600 removes some of the unit boxes 411 disposed on the stacking part 410 so that the upper side of the stacking part 410 is partially opened, and then,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disposed on the opening reg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ly,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tank 400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when necessary.

또한, 빗물침투형 저류조(400)는 그 내부로 빗물이 충진되면서 내부의 공기가 그에 맞추어 배출될 수 있도록 적층부(410)의 상부측 또는 빗물 이용 맨홀(600) 측에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tank 400 discharges the air inside the upper side of the stacking unit 410 or the rainwater use manhole 600 side so that the inside air can be discharged accordingly while rainwater is filled therein. It may include an air vent.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0)의 터널 스크린부(300)는 빗물침투형 저류조(400)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터널 스크린부(300)는 복수의 단위박스(411)를 연결 배치한 관로형 구조(터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터널 스크린부(300)는 빗물침투형 저류조(400) 내부를 가로지르며, 관통된 형상의 관로형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5 and 6 , one or more tunnel screen units 300 of the present system 1000 may be disposed to cross the inside of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400 . The tunnel screen unit 300 may be provided in a conduit-type structure (tunnel type)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boxes 411 are connected and arranged. The tunnel screen unit 300 traverses the inside of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400 and may be provided in a tubular structure having a penetrating shape.

예를 들어, 터널 스크린부(300)는 빗물침투형 저류조(400) 내부에 1개소(1개 열)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2개소(2개 열)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터널 스크린부(300)의 개수, 규모, 길이 등은 본 시스템(1000)을 통해 일시 저류한 뒤 지중으로 침투시켜야 하는 우수량, 저류조의 용량, 설치 현장의 여건,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해당 여건에 맞게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tunnel screen unit 300 may be provided in one place (one row) inside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400 , and as another example, may be provided in two or more places (two rows). The number, size, length, etc. of the tunnel screen unit 300 are the amount of rainwater that must be temporarily stored through the system 1000 and then penetrate underground, the capacity of the storage tank, the conditions of the installation site, and th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inflowing rainwater.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etc., it may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relevant conditions.

이에 따라, 터널 스크린부(300)는 대량의 빗물이 본 시스템(1000)에 유입되어도 빗물에 혼입된 이물질(고형물)을 여과시키고 여과된 빗물을 빗물침투형 저류조(400)에 일시 저류 및 침투시키거나, 일부는 빗물 이용을 위해 저류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tunnel screen unit 300 filters foreign substances (solids) mixed in the rainwater even when a large amount of rainwater flows into the system 1000, and temporarily stores and infiltrates the filtered rainwater into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400. Alternatively, some of the rainwater can be stored for use.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터널 스크린부(300)는 고액분리 스크린장치(130)에 의해 필터링된 빗물에 대한 추가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미세 홀(311)이 형성된 투수부재(310)로 둘러싸인 관로형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 스크린부(300)는 일렬로 조립된 단위박스(터널박스)의 한 열(한 라인) 또는 복수의 열(복수의 라인)을 투수부재(투수포)로 감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5 , the tunnel screen unit 300 is a conduit type surrounded by a permeable member 310 having a fine hole 311 formed therein to enable additional filtering of rainwater filtered by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 structure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tunnel screen unit 3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one row (one line) or a plurality of rows (plural lines) of unit boxes (tunnel boxes) assembled in a line is wrapped with a water permeable member (permeable cloth). can

이때, 투수부재(310)의 미세 홀(311)은 여과 유닛(131)의 여과 홀(131a)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차적으로 여과 유닛(131)의 여과 홀(131a)을 통해 필터링된 빗물을 이후 여과 유닛(131)의 여과 홀(131a)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터널 스크린부(300)의 투수부재(310)의 미세 홀(311)에 의하여 이물질을 추가적으로 제거(추가 필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투수부재(310)는 예를 들어, 투수포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ne hole 311 of the water permeable member 310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filtration hole 131a of the filtration unit 131 . Accordingly, the permeable member ( Foreign substances may be additionally removed (additional filtering) by the micro-holes 311 of the 310 . Here, the water-permeable member 310 may be, for example, a water-permeable cloth.

본 시스템(1000)은 추가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투수부재(310)의 미세 홀(311)이 여과 유닛(131)의 여과 홀(131a)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본 스크린조(100)에서 1차적으로 필터링함에 있어서, 빠른 속도로 크기가 큰 이물질 위주로 필터링하고, 이후에 관로형으로 구비됨으로써 여과 유닛(131)보다 넓은 면적에서 필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는 터널형 스크린부(300)의 투수부재(310)의 미세 홀(311)에서 1차적으로 필터링된 이물질보다 작은 크기의 미세 이물질을 추가로 필터링하여 기존의 빗물이용시설에 비해 다중으로 필터링 및 침전 분리를 수행하면서도 빠른 속도로 대용량의 빗물을 저류 및 침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처럼 빗물침투형 저류조(400)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써, 본 시스템(1000)의 사용 연한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system 1000, the fine hole 311 of the water permeable member 310 provided to enable additional filtering is formed in a size smaller than the filtration hole 131a of the filtration unit 131, and in this screen tank 100 In the primary filtering, the permeable member ( of the tunnel-type screen unit 300 ) capable of filtering mainly large-sized foreign substances at a high speed, and then being provided in a conduit type so that filtering can be performed in a larger area than the filtration unit 131 ( 310) by additionally filtering fine foreign substances smaller than the primary filtered foreign substances in the fine hole 311 of 310), and performing multiple filtering and sedimentation separa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while simultaneously storing a large amount of rainwater at a high speed and penetration treatment. In addition, by minimizing th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400 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life of the present system 1000 can be greatly increased.

한편,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의 분배조가 월류턱이 형성된 하부 공간을 포함하도록 구비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단면도)이며,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의 분배조가 월류턱이 형성된 하부 공간을 포함하도록 구비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평면도)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tribution tank of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the conduit-type scree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rovided to include the lower space in which the overflow jaw is formed. , FIG. 8 is a schematic conceptual diagram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distribution tank of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rovided to include a lower space in which overflow jaws are formed.

도 5, 도 6,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0)은 분배조(200)를 포함할 수 있다.5, 6, 7 and 8 , the present system 1000 may include a distribution tank 200 .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분배조(200)는 본 스크린조(100)로부터 유출된 빗물이 하나 이상의 터널 스크린부(300)로 이동되도록 본 스크린조(100)와 하나 이상의 터널 스크린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조(200)는 터널 스크린부(300)가 복수개로 구비된 경우, 본 스크린조(100)로부터 유출되는 대량의 유입 빗물을 터널 스크린부(300)에 대해 분배(분산)하는 역할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터널 스크린부(300)가 하나로 구비된 경우, 본 스크린조(100)로부터 유출된 빗물을 터널 스크린부(300)로 이동시키는 역할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조(200)는 터널 스크린부(300)각각에 일대일로 연결되도록 터널 스크린부(300)의 구비 개소에 따라 동일한 개소로 구비될 수 있다.6 and 8 , the distribution tank 200 includes the main screen tank 100 and one or more tunnel screen units ( 300) can be connected. For example, the distribution tank 200 distributes (distributes) a large amount of inflow rainwater flowing out from the main screen tank 100 to the tunnel screen unit 300 when a plurality of tunnel screen units 300 are provided. role can be provided. Also, as another example, when the tunnel screen unit 300 is provided as one, it may be provided with a role of moving rainwater flowing out from the main screen tank 100 to the tunnel screen unit 300 . For example, the distribution tank 200 may be provided at the same loca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tunnel screen unit 300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tunnel screen units 300 on a one-to-one basis.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분배조(200)는 터널 스크린부(300)와 연결되는 하부 공간(2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 공간(220)에는 월류턱(221)이 형성될 수 있다. 월류턱(221)은 본 스크린조(100)로부터 유입된 빗물에 대해 추가적으로 침사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7 , the distribution tank 200 may include a lower space 220 connected to the tunnel screen unit 300 , and an overflow jaw 221 may be formed in the lower space 220 . . The overflow jaw 221 may be formed so as to additionally apply a sedimentation action to the rainwater introduced from the screen tank 100 .

또한, 분배조(200)는 하부 공간(220)과 연결되는 연직 통로부(2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직 통로부(210)는 작업자가 진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분배조(200)의 하부 공간(220)에 대해 준설 작업을 할 때, 어렵지 않게 하부 공간(220)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ribution tank 200 may include a vertical passage portion 210 connected to the lower space 220, the vertical passage portion 210 may be formed in a size that an operator can enter. Accordingly, when the operator dredged the lower space 220 of the distribution tank 200,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lower space 220 without difficulty.

도 7을 참조하면, 하부 공간(220)은 침사 공간(222) 및 월류 공간(2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침사 공간(222)은 유출 홀(113)에 설치된 유출 관(113a)으로부터 유입된 빗물이 도달하는 공간일 수 있다. 월류턱(221) 및 침사 공간(222)에 의해, 터널 스크린부(300)에서의 추가 필터링(미세 필터링) 이전에 추가 침사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출 관(113a)으로부터 유입된 빗물이 도달하여 터널 스크린부(300)로 이동될 때, 소정의 높이를 갖는 월류턱(221)에 의해 추가적으로 비중이 큰 물질에 대한 침전 작용이 이루어져 이물질이 침사 공간(222)에 침전되어 터널 스크린부(300)로 진입하는 빗물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보다 미세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널 스크린부(300)의 내부 통로에 보다 적은 양의 이물질만이 잔존하게 되어 남지 않아 유지관리를 위한 준설 작업에 있어서 보다 수월한 준설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lower space 220 may include a sedimentation space 222 and an overflow space 223 , and the sedimentation space 222 is introduced from the outlet pipe 113a installed in the outlet hole 113 . It may be a space where rainwater reaches. By the overflow jaw 221 and the sedimentation space 222 , an additional sedimentation action may be performed before additional filtering (fine filtering) in the tunnel screen unit 300 . For example, when rainwater flowing in from the outlet pipe 113a arrives and moves to the tunnel screen unit 300, a precipitation action is made on the material with a large specific gravity additionally by the overflow jaw 221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oreign substances are deposited in the sedimentation space 222 and th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inwater entering the tunnel screen unit 300 may be further refined. Accordingly, only a smaller amount of foreign matter remains in the inner passage of the tunnel screen unit 300 and does not remain, so that the dredging operation for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도 7을 참조하면, 월류 공간(223)은 월류턱(221)을 기준으로 터널 스크린부(300)와 연결되는 공간일 수 있다. 월류 공간(223)은 분배조(200)의 연직 통로부(210)를 통해 진입한 작업자가 터널 스크린부(300)에 대한 준설 작업이 가능한 크기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 스크린부(300)의 단위박스가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 합성수지 재질의 단위박스는 작업자가 진입하기 어려운 내부 통로 크기(예를 들면, 1000 mm 이하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터널 스크린부(300)의 내부로 직접 들어가 준설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월류 공간(223)으로 진입하여 터널 스크린부(300)의 관로형 내부 공간에 대하여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등의 준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준설 작업에 의해 본 빗물 저류조(1000)의 터널 스크린부(300)의 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overflow space 223 may be a space connected to the tunnel screen unit 300 with respect to the overflow jaw 221 . The overflow space 223 may be formed as a space of a size in which a worker entering through the vertical passage 210 of the distribution tank 200 can dredged the tunnel screen 300 . For example, when the unit box of the tunnel screen unit 300 is provided with a material containing a synthetic resin, the unit box made of synthetic resin has an internal passage size (for example, a size of 1000 mm or less) that is difficult for an operator to enter. In this case, it may be difficult to directly enter the interior of the tunnel screen unit 300 to perform dredging. At this time, the operator enters the overflow space 223 and can perform dredging operations such as spraying high-pressure washing water into the conduit-type inner space of the tunnel screen unit 300, and the rainwater storage tank ( 1000), maintenance of the tunnel screen unit 300 may be performed.

예를 들어, 월류 공간(223)은, 작업자가 진입하여 준설 작업이 가능하도록 1200m~1800m의 높이를 갖도록 하는 크기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월류턱(221)은 600m의 높이를 갖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월류턱(221)의 높이는 월류턱(221)에 의해 구획되는 침사 공간(222)에 대한 보다 많은 이물질의 침전이 유도될 수 있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월류턱(221)의 높이는 작업자가 월류 공간(223)으로 진입 가능하도록 하부 공간(220)의 높이를 함께 고려하여 설정함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overflow space 223 may be formed as a space sized to have a height of 1200m to 1800m so that an operator enters and enables dredging work,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overflow jaw 221 may be provided in a size having a height of 600 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height of the overflow jaw 221 is preferably set so that more foreign substances can be induced in the sedimentation space 222 partitioned by the overflow jaw 221 . However, the height of the overflow jaw 221 is preferably set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lower space 220 so that the operator can enter the overflow space 223 .

이러한 분배조(200)는, 그 구성 조합에 따라 예를 들어, 다기능조, 조정조, 유지관리조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Such a distribution tank 200 may be referred to as, for example, a multi-function tank, an adjustment tank, a maintenance tank,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of its components.

도 5, 도 6,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0)은 점검 맨홀(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점검 맨홀(500)은 터널 스크린부(300)의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점검 맨홀(500)은 터널 스크린부(300)의 타측과 통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터널 스크린부(300)를 중간에 두고 터널 스크린부(300)의 일측에는 분배조(200)가 연결되고 터널 스크린부(300)의 타측에는 점검 맨홀(500)이 연결될 수 있다. 점검 맨홀(500)은 하나 이상의 열로 구비되는 터널 스크린부(300) 각각과 일대일 연결되도록 터널 스크린부(300)의 구비 개소와 동일한 개소로 구비될 수 있다.5 , 6 , 7 and 8 , the system 1000 may include an inspection manhole 500 . The inspection manhole 50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unnel screen unit 300 . For example, the inspection manhole 50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unnel screen unit 300 . 5 and 7, the distribution tank 2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tunnel screen unit 300 with the tunnel screen unit 300 in the middle, and the inspection manhole 500 is located at the other side of the tunnel screen unit 300. This can be connected. The inspection manhole 500 may be provided at the same location as the provided location of the tunnel screen unit 300 so as to be connected one-to-one with each of the tunnel screen units 300 provided in one or more rows.

도 5및 도 7을 참조하면, 점검 맨홀(500)의 바닥면(510)은, 터널 스크린부(300)의 관로형 구조 내부의 바닥면(320)보다 낮은 높이(깊게)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점검 맨홀의 바닥면(510)과 터널 스크린부의 내부의 바닥면(320)의 높이차에 의해, 분배조(200) 측에서 터널 스크린부(300)로의 준설 작업시 준설에 의해 제거되는 오염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점검 맨홀(500)의 바닥면(510) 상으로 누적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5 and 7, the bottom surface 510 of the inspection manhole 500 is to be provided to be located at a lower height (deep) than the bottom surface 320 inside the conduit-type structure of the tunnel screen unit 300. can Contaminants removed by dredging from the distribution tank 200 side to the tunnel screen unit 300 due to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bottom surface 510 of the inspection manhole and the bottom surface 320 inside the tunnel screen unit At least a part of it may be induced to accumulate on the bottom surface 510 of the inspection manhole 500 .

예를 들어, 분배조(200)의 월류 공간(223)으로 진입한 작업자가 터널 스크린부(300)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는 준설 작업을 수행하면, 터널 스크린부(300) 내부 통로에 누적된 이물질(협잡물과 같은 오염물질)의 적어도 일부가 투수부재(310)로부터 분리(인발 또는 제거)되어 분배조(200) 반대편의 점검 맨홀(500)로 이송되는 내부 통로 청소(유지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점검 맨홀의 바닥면(510)과 터널 스크린부의 내부의 바닥면(320)의 높이차에 의해, 점검 맨홀(500) 측으로 이동된 이물질들이 터널 스크린부(300) 측으로 다시 반송되지 않고 점검 맨홀의 바닥면(510) 상에 보다 효과적으로 누적될 수 있다. 이처럼 점검 맨홀(500) 내에 누적된 이물질(오염물질)은 이후 작업자가 점검 맨홀(500)에 진입하여 제거하거나, 흡입력을 갖는 흡입 장치를 이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operator who has entered the overflow space 223 of the distribution tank 200 performs a dredging operation of spraying high-pressure washing water to the tunnel screen unit 300 , the accumulated in the tunnel screen unit 300 inner passage At least a part of foreign substances (contaminants such as contaminants) is separated (drawn or removed) from the water permeable member 310 and the internal passage cleaning (maintenance) transferred to the inspection manhole 500 opposite to the distribution tank 200 can be performed. have. At this time, due to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bottom surface 510 of the inspection manhole and the bottom surface 320 inside the tunnel screen part, the foreign substances moved to the inspection manhole 500 side are not conveyed back to the tunnel screen part 300 side, but the inspection manhole It can be accumulated more effectively on the bottom surface 510 of As such, foreign substances (contaminants) accumulated in the inspection manhole 500 may then be removed by a worker entering the inspection manhole 500 or removed using a suction device having suction power.

또한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점검 맨홀(500)에는 점검 맨홀 여수로(501a)에 대응하는 점검 맨홀 여수로 홀(501)이 형성될 수 있다. 점검 맨홀 여수로 홀(501)의 형성 높이는 빗물침투형 저류조(400)의 상면의 높이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점검 맨홀 여수로 홀(501)을 통해 빗물침투형 저류조(400)가 유입되는 빗물에 의해 완전히 충진되었을 때, 오버플로우되는 여분의 물을 바이패스 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으며, 여분의 빗물이 점검 맨홀 여수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S. 5, 7 and 8 , an inspection manhole free passage hole 501 corresponding to the inspection manhole free passage 501a may be formed in the inspection manhole 500 . The formation height of the inspection manhole freeway hole 501 may be set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400 . When the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tank 400 is completely filled by rain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spection manhole freeway hole 501, it may be configured to bypass excess water that overflows, and the excess rainwater is inspected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nhole spillway.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의 우수 흐름도이다.9 is a flow chart of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시스템(1000)에 의하면, 본 스크린조(100)의 유입 홀(112)에 설치된 우수 유출관(112a)을 통해 유입된 빗물이 침전 분리부(120)와 고액분리 스크린 장치(130)에 의해 1차 고액 필터링 및 1차 침전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액분리 스크린 장치(130)를 통과한 빗물은 분배조(200)로 이동되고, 분배조(200)의 하부 공간(220)에 월류턱(221)이 형성된 경우, 침사 공간(222)으로의 2차 침전 분리가 한차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분배조(200)를 통과한 빗물은 터널 스크린부(300)로 진입되어 투수부재(310)의 미세 홀에 의하여 2차 고액분리 필터링되면서 빗물침투형 저류조(400)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7 and 9 , according to the system 1000 ,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inwater outlet pipe 112a installed in the inlet hole 112 of the screen tank 100 is separated from the sedimentation separator 120 and The primary solid-liquid filtering and primary sedimentation separation can be performed by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 Next,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0 is moved to the distribution tank 200 , and when the overflow jaw 221 is formed in the lower space 220 of the distribution tank 200 , the sedimentation space 222 . Secondary precipitation separation may be performed once more. In addition, rain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istribution tank 200 enters the tunnel screen unit 300 and is filtered through secondary solid-liquid separation by the fine holes of the water permeable member 310 to move into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400 . .

도 9를 참조하면, 빗물침투형 저류조(400) 내부로 이동된 빗물은 일시 저류 후 점차적으로 지하(지중)으로 침투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빗물침투형 저류조(400) 내부로 이동된 빗물 중 일부는 저류되어 이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rainwater moved into the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tank 400 may be temporarily stored and then gradually penetrated underground (underground). Also, as another example, some of the rainwater moved into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400 may be stored and used.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터널 스크린부(300)에는 그 양측에 연결되는 분배조(200)와 점검 맨홀(500)과 연계하여 준설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9 , a dredg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tunnel screen unit 300 in connection with the distribution tank 200 and the inspection manhole 500 connected to both sides thereof.

기존 빗물저류침투 시스템은 소규모, 소용량이 가능하였고, 대용량 우수 처리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기존 빗물저류침투 시스템은 유입되는 빗물에 혼입되어 있는 다양한 이물질에 대한 필터링이 미흡하거나, 필터링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유지관리가 상당한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시스템(1000)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되는 빗물에 혼입되어 있는 다양한 이물질에 대한 디중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 같이 다중 필터링을 하면서도 터널형 스크리닝에 의한 대용량 필터링 처리까지 가능하고, 터널형 스크린부가 관로형임을 고려하여 그 양측에 연결되는 분배조와 점검 맨홀을 활용한 준설 작업까지 도입함으로써, 유지관리의 용이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The existing rainwater storage and permeation system was capable of small-scale and small-capacity, and had limitations in large-capacity rainwater treatment. In addition, the existing rainwater storage and penetration system had insufficient filtering for various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inflowing rainwater, or maintenance to remove the filtered foreign substances was quite difficult.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system 1000 enables double filtering of various foreign substances mixed in the inflowing rainwater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cess large-capacity filtering, and considering that the tunnel-type screen part is a conduit type, it is also possible to secure the ease of maintenance by introducing a distribution tank connected to both sides and a dredging operation using an inspection manhole.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1000: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
100: 수중 침사 스크린조
110: 몸체
111: 중공부
112: 유입 홀
112a: 우수 유입관
113: 유출 홀
113a: 우수 유출관
120: 침전 분리부
130: 고액분리 스크린 장치
131: 여과 유닛
131a: 여과 홀
131b: 덮개
132: 하우징
133: 유입수 유도판
200: 분배조
210: 연직 통로부
220: 하부 공간
221: 월류턱
222: 침사 공간
223: 월류 공간
300: 터널 스크린부
310: 투수부재
311: 미세 홀
320: 터널 스크린부의 내부의 바닥면
400: 빗물침투형 저류조
410: 적층부
411: 단위박스
420: 침투 시트부
500: 점검 맨홀
501: 점검 맨홀의 여수로 홀
501a: 점검 맨홀의 여수로
510: 점검 맨홀의 바닥면
600: 빗물 이용 맨홀
1000: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unit
100: underwater sedimentation screen set
110: body
111: hollow
112: inlet hole
112a: rainwater inlet pipe
113: outflow hole
113a: storm drain pipe
120: sedimentation separation unit
130: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131: filtration unit
131a: filtration hole
131b: cover
132: housing
133: influent guide plate
200: distribution tank
210: vertical passage
220: lower space
221: moonshine
222: sleeping space
223: overflow space
300: tunnel screen unit
310: pitching member
311: fine hole
320: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tunnel screen unit
400: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410: stacked part
411: unit box
420: penetration sheet portion
500: check manhole
501: Yeosu hole of the inspection manhole
501a: spillway of inspection manhole
510: the bottom of the inspection manhole
600: manhole using rainwater

Claims (8)

지중에 배치되는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으로서,
측벽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상기 중공부로의 빗물 유입을 위한 우수 유입관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상기 측벽에 유입 홀이 형성되며, 유입된 빗물을 상기 중공부 외부로 유출하기 위한 우수 유출관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유출 홀이 형성된 몸체, 상기 중공부의 하부에 침전 분리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침전 분리부, 및 상기 침전 분리부와 상기 유입 홀 사이의 높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여과 홀이 형성된 여과 유닛에 의해 고액 분리된 빗물을 상기 유출 홀에 설치된 우수 유출관을 통해 유출하도록 구비되는 고액분리 스크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의 유출 홀은 상기 유입 홀과 동일한 높이 또는 상기 유입 홀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여과 유닛은, 상기 복수의 여과 홀의 형성 높이가 상기 유출 홀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인 수중 침사 스크린조;
내부 저류 공간으로 유입된 빗물 중 적어도 일부가 지중으로 침투되도록 제공되는 빗물침투형 저류조;
상기 빗물침투형 저류조 내부를 가로지르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터널 스크린부; 및
상기 수중 침사 스크린조로부터 유출된 빗물이 상기 하나 이상의 터널 스크린부로 이동되도록 상기 수중 침사 스크린조와 상기 하나 이상의 터널 스크린부를 연결하는 분배조를 포함하되,
상기 터널 스크린부는 상기 고액분리 스크린장치에 의해 필터링된 빗물에 대한 추가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미세 홀이 형성된 투수부재로 둘러싸인 관로형 구조로 제공되며,
상기 투수부재의 미세 홀은 상기 여과 유닛의 여과 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
As a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disposed underground,
A hollow part is formed inside the side wall, an inflow hole is formed in the side wall to enable installation of a rainwater inlet pipe for inflow of rainwater from the outside into the hollow part, and a rainwater outlet pipe for discharging the introduced rainwater to the outside of the hollow part A body in which an outlet hole is formed to enable the installation of a body, a sediment separation unit forming a space for sediment separati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llow part, and filtration disposed at a height between the sediment separation part and the inlet hole and having a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A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provided to discharge rainwater separated from solid-liquid by the unit through a rainwater outlet pipe installed in the outlet hole, wherein the outlet hole of the body is at the same height as the inlet hole or at a height lower than the inlet hole Is formed, the filtration unit, the formation height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will be dispos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utlet hole underwater sedimentation screen tank;
a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provided so that at least some of the rainwate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torage space penetrates into the ground;
one or more tunnel screen units disposed across the inside of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tank; and
A distribution tank connecting the underwater sedimentation screen tank and the one or more tunnel screen parts so that the rainwater flowing out from the underwater sedimentation screen tank is moved to the one or more tunnel screen parts,
The tunnel screen unit is provided in a conduit-type structure surrounded by a permeable member having fine holes to enable additional filtering of rainwater filtered by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The fine hole of the water permeable member is formed in a size smaller than the filtration hole of the filtration unit,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type scree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 유닛의 상기 복수의 여과 홀의 형성 높이가 상기 유출 홀의 높이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유출 홀을 통한 우수 유출 중에는 상기 여과 유닛이 수중에 위치하게 되는 것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Rainwater equipped with a conduit screen part, wherein the filtration unit is positioned in water during rainwater outflow through the outlet hole by being arranged so that the formation height of the plurality of filtration holes of the filtration unit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utlet hole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은,
상기 터널 스크린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점검 맨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검 맨홀의 바닥면은, 상기 터널 스크린부의 관로형 구조 내부의 바닥면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분배조는 작업자가 진입 가능한 연직 통로부를 갖도록 구비되고,
상기 점검 맨홀과 상기 터널 스크린부와의 바닥면 높이차에 의해, 상기 분배조 측에서 상기 터널 스크린부로의 준설 작업시 준설에 의해 제거되는 오염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점검 맨홀의 바닥면 상으로 누적되도록 유도되는 것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the conduit type screen unit,
Further comprising an inspection manhol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tunnel screen part,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pection manhole is provided to be locat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bottom surface inside the conduit-type structure of the tunnel screen part,
The distribution tank is provided to have a vertical passage through which an operator can enter,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floor between the inspection manhole and the tunnel screen part, at least a part of the pollutants removed by dredging from the distribution tank side to the tunnel screen part accumulat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pection manhole. A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unit that is guided as much as possi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조는,
상기 터널 스크린부와 연결되는 하부 공간에 월류턱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공간은, 상기 월류턱을 기준으로 상기 터널 스크린부와 연결되는 월류 공간 및 상기 유출 홀에 설치된 유출 관으로부터 유입된 빗물이 도달하는 침사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월류턱 및 상기 침사 공간에 의해, 상기 터널 스크린부에서의 상기 투수부재에 의한 추가 필터링 이전에 추가 침사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distribution tank is
An overflow jaw is formed in the lower space connected to the tunnel screen part,
The lower space includes an overflow space connected to the tunnel screen unit with respect to the overflow sill and a sedimentation space through which rainwater introduced from an outlet pipe installed in the outlet hole reaches,
The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type screen part, wherein an additional sedimentation action is made before additional filtering by the water permeable member in the tunnel screen part by the overflow jaw and the sedimentation spa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 공간은, 상기 분배조의 연직 통로부를 통해 진입한 작업자가 상기 터널 스크린부에 대한 준설 작업이 가능한 크기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verflow space is a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part, which is formed as a space of a size in which a worker who enters through the vertical passage of the distribution tank can dredged the tunnel screen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침투형 저류조는,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거나 적층되는 복수의 단위박스를 포함하는 적층부; 및
상기 적층부의 외면을 감싸는 침투 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널 스크린부는 복수의 단위박스를 연결 배치한 터널 형태로 구비되는 것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tank,
a stack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boxes disposed or stack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Including a penetration sheet part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amination part,
The tunnel screen un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unnel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boxes are connected and arranged. A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type scree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액분리 스크린장치는,
내부가 상기 유출 홀과 통하도록 상기 몸체의 측벽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 유닛에 의해 고액 분리된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여과 유닛과 연결되는 하우징; 및
상기 우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빗물에 의한 와류가 유도되도록,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여과 유닛의 상측 위치에 설치되는 유입수 유도판을 더 포함하는 것인,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olid-liquid separation screen device,
a housing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body so that the inside passes through the outlet hole, and connected to the filtration unit so that rainwater separated from solid-liquid by the filtration unit flows into the inside; and
The rainwater permeation type storage system equipped with a conduit screen part, further comprising an inflow water guide plate installed at an upper position of the filtration unit in the housing so as to induce a vortex by the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inwater inlet pipe.
KR1020210120346A 2021-09-09 2021-09-09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fitted with pipe line type screen Active KR1023561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346A KR102356194B1 (en) 2021-09-09 2021-09-09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fitted with pipe line type scre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0346A KR102356194B1 (en) 2021-09-09 2021-09-09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fitted with pipe line type scre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194B1 true KR102356194B1 (en) 2022-02-08

Family

ID=80252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346A Active KR102356194B1 (en) 2021-09-09 2021-09-09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fitted with pipe line type scre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19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556B1 (en) * 2016-07-05 2017-10-17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Treatment apparatus for rain water
KR102116758B1 (en) * 2019-09-27 2020-05-29 주식회사 수엔테크 Rainwater preprocessing structure and apparatus for reusing rainwa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556B1 (en) * 2016-07-05 2017-10-17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Treatment apparatus for rain water
KR102116758B1 (en) * 2019-09-27 2020-05-29 주식회사 수엔테크 Rainwater preprocessing structure and apparatus for reusing rainwa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45258U (en) Environmental protection filters water leg and utilizes its rainwater recirculating system
CN207727714U (en) Sponge urban ecology filtration system
JP5791287B2 (en) Rainwater storage facility
KR101703319B1 (en) Rainwater permeate retention system
KR100629151B1 (en) Initial excellent multi filtration facility
KR101023537B1 (en) Rainwater Quality Improvement Treatment System
CN109208426A (en) A kind of municipal road construc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767754B1 (en) Contaminated water multiple purification facility and water purification method to clean water using internal storage water
JP5356115B2 (en) Construction method of water storage facility, water storage facility and water storage facility
CN112900603A (en) Silica sand water storage and purification pool and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JPH05132993A (en) Rainwater filter and maintaining method for its device and rainwater filtering method and its controlling equipment
CN101624839A (en) Method for comprehensively discharging accumulated water of underpass roads by filtering infiltration pond
KR102356194B1 (en)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system fitted with pipe line type screen
KR102139984B1 (en) Filter replacable non-point pollution treatment ditch
KR101208694B1 (en) Apparatus for filtering rainwater
JP6593703B2 (en) Coal ash landfill method
CN101624840B (en) Method for comprehensively discharging accumulated water of underpass roads by deep layer of filtering settling pond
WO2017193226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hydrostatic pressure under foundation base
CN208472920U (en) A kind of rainwater integrated system for sponge city
KR102448419B1 (en) Rainwater penetration type storage
CN205329835U (en) Rising to a height shape cast member infiltration delaying basin
CN111021521A (en) Processing system of roofing rainwater of sponge type residential district
KR101800302B1 (en) Filter with filtering bag and pipe for maintenance thereof
CN214005811U (en) Sponge urban rainwater runoff control system
CN216765730U (en) Bank protection drainage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