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920B1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4920B1 KR102354920B1 KR1020170083737A KR20170083737A KR102354920B1 KR 102354920 B1 KR102354920 B1 KR 102354920B1 KR 1020170083737 A KR1020170083737 A KR 1020170083737A KR 20170083737 A KR20170083737 A KR 20170083737A KR 102354920 B1 KR102354920 B1 KR 1023549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touch
- display device
- disposed
- touch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1312 dry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BLIQUJLAJXRXSG-UHFFFAOYSA-N 1-benzyl-3-(trifluoromethyl)pyrrolidin-1-ium-3-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1C(C(=O)O)(C(F)(F)F)CCN1CC1=CC=CC=C1 BLIQUJLAJXRX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RHYYFGTRYWZRS-UHFFFAOYSA-N Fluorane Chemical class F KRHYYFGTRYWZR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GRYLNZFGIOXLOG-UHFFFAOYSA-N N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N+]([O-])=O GRYLNZFGIOXLO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37 deposi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25 hole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PJSUIGXIBEQAC-UHFFFAOYSA-N n-(2,4-dichloro-5-propan-2-yloxyphen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CC(C)OC1=CC(NC(C)=O)=C(Cl)C=C1Cl QPJSUIGXIBEQA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604 nitric aci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9 wet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
- H01L27/323—
-
- H01L51/5237—
-
- H01L51/56—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41—Short-circuit prevention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터치 전극들 사이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층, 발광 소자층 상에 배치된 봉지층, 봉지층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터치 전극들, 및 복수의 터치 전극들 상부에 배치된 상부 PAC층을 구비한다. 본 출원의 상부 PAC층은 복수의 터치 전극들 상부에 배치되도록 패터닝된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표시장치 중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발광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두 개의 전극 사이의 전계에 의해 발광층이 발광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전계 발광 표시장치 중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가 있다.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손가락이나 펜을 이용하여 직접 정보를 입력할 수 있어, 네비게이션(navigation), 휴대용 단말기 및 가전 제품 등에 널리 적용된다.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하부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층, 발광 소자층 상에 배치된 봉지층, 및 봉지층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터치 전극들을 구비한다.
또한, 기존의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복수의 터치 전극들 상부에 보호층을 단일한 층으로 덮는다. 이 경우, 보호층이 터치 전극들 상부뿐만 아니라 터치 전극들이 이격되어 배치되어 마련된 사이의 공간까지 배치된다. 이 경우 터치 전극들 사이의 공간 사이에 잔존하는 금속 또는 이물질로 인하여 단락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수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출원은 터치 전극들 사이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층, 발광 소자층 상에 배치된 봉지층, 봉지층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터치 전극들, 및 복수의 터치 전극들 상부에 배치된 상부 PAC층을 구비한다. 본 출원의 상부 PAC층은 복수의 터치 전극들 상부에 배치되도록 패터닝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발광 소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발광 소자층 상에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봉지층 상에 복수의 터치 전극들을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복수의 터치 전극들 상부에 상부 PAC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부 PAC층을 복수의 터치 전극들 상부에 형성되도록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터치 전극들 사이의 공간 사이에 잔존하는 금속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터치 전극들 사이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화소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화소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제1 수평 축 방향", "제2 수평 축 방향" 및 "수직 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출원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화소(P)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 게이트 구동부(20), 데이터 구동부(30), 및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 T-CON)(4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0)은 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의 주변에 마련된 비표시영역을 포함한다. 표시영역은 화소(P)들이 마련되어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비표시영역은 표시패널(10)의 테두리를 형성하고 표시영역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영역이다. 표시패널(10)에는 게이트 라인들(GL1~GLp, p는 2 이상의 양의 정수), 데이터 라인들(DL1~DLq, q는 2 이상의 양의 정수) 및 센싱 라인들(SL1~SLq)이 마련된다. 데이터 라인들(DL1~DLq) 및 센싱 라인들(SL1~SLq)은 게이트 라인들(GL1~GLp)과 교차할 수 있다. 데이터 라인들(DL1~DLq)과 센싱 라인들(SL1~SLq)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표시패널(10)은 화소(P)들이 마련되는 하부기판과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화소(P)들을 보호하기 위한 봉지(Encapsulation) 기능을 수행하는 상부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P)들 각각은 게이트 라인들(GL1~GLp) 중 어느 하나, 데이터 라인들(DL1~DLq) 중 어느 하나 및 센싱 라인들(SE1~SEm)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될 수 있다. 화소(P)들 각각은 도 2와 같이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전류를 공급하는 화소 구동부(P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j(j는 1≤≤j≤≤q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데이터 라인(DLj), 제j 센싱 라인(SLj), 제k(k는 1≤≤k≤≤p을 만족하는 양의 정수) 스캔 라인(Sk), 및 제k 센싱 신호 라인(SSk)에 접속된 화소(P)만을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화소(P)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 제j 센싱라인(SLj)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화소 구동부(PD)를 포함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T)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에 따라 발광한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접속되고, 캐소드 전극은 고전위전압보다 낮은 저전위전압이 공급되는 저전위전압라인(ELVSSL)에 접속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 전극(anode electrode),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발광 소자층(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캐소드 전극(cathode electrode)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유기발광 소자층으로 이동되며, 유기발광 소자층에서 정공과 전자가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화소 구동부(PD)는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DT), 스캔 라인(Sk)의 스캔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1 트랜지스터(ST1), 센싱 신호 라인(SSk)의 센싱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2 트랜지스터(ST2) 및 커패시터(capacitor)(C)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구동부(PD)는 표시 모드에서 화소(P)에 접속된 스캔 라인(Sk)으로부터 스캔 신호가 공급될 때 화소(P)에 접속된 데이터 라인(DLj)의 데이터 전압(VDATA)을 공급받고,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른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공급한다. 화소 구동부(PD)는 센싱 모드에서 화소(P)에 접속된 스캔 라인(Sk)으로부터 스캔 신호가 공급될 때 화소(P)에 접속된 데이터 라인(DLj)의 센싱 전압을 공급받고,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를 화소(P)에 접속된 센싱 라인(SLj)으로 흘린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고전위전압라인(ELVDDL)과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이에 마련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의 전압 차에 따라 고전위전압라인(ELVDDL)으로부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흐르는 전류를 조정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은 제1 트랜지스터(ST1)의 제1 전극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고전위전압이 공급되는 고전위전압라인(ELVDDL)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ST1)는 제k 스캔 라인(Sk)의 제k 스캔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제j 데이터 라인(DLj)의 전압을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한다. 제1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 전극은 제k 스캔 라인(Sk)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에 접속되며, 제2 전극은 제j 데이터 라인(DLj)에 접속될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ST1)는 스캔 트랜지스터로 통칭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ST2)는 제k 센싱 신호 라인(SSk)의 제k 센싱 신호에 의해 턴-온되어 제j 센싱 라인(SLj)을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접속시킨다. 제2 트랜지스터(ST2)의 게이트 전극은 제k 센싱 신호 라인(SSk)에 접속되고, 제1 전극은 제j 센싱 라인(SLj)에 접속되며, 제2 전극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접속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ST2)는 센싱 트랜지스터로 통칭될 수 있다.
커패시터(C)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 마련된다. 커패시터(C)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압과 소스 전압 간의 차전압을 저장한다.
도 2에서는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ST1, ST2)이 N 타입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으로 형성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ST1, ST2)은 P 타입 MOSFET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전극은 소스 전극일 수 있고 제2 전극은 드레인 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즉, 제1 전극은 드레인 전극일 수 있고 제2 전극은 소스 전극일 수 있다.
표시 모드에서, 제k 스캔 라인(Sk)에 스캔 신호가 공급될 때 제j 데이터 라인(DLj)의 데이터 전압(VDATA)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되고, 제k 센싱 신호 라인(SSk)에 센싱 신호가 공급될 때 제j 센싱라인(SEj)의 초기화 전압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표시 모드에서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과 소스 전극의 전압 간의 전압 차에 따라 흐르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공급되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에 따라 발광한다. 이때, 데이터 전압(VDATA)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문턱 전압과 전자 이동도를 보상한 전압이므로,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문턱 전압과 전자 이동도에 의존하지 않는다.
센싱 모드에서, 제k 스캔 라인(Sk)에 스캔 신호가 공급될 때 제j 데이터 라인의 센싱 전압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에 공급되고, 제k 센싱 신호 라인(SSk)에 센싱 신호가 공급될 때 제j 센싱 라인(SLj)의 초기화 전압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소스 전극에 공급된다. 또한, 제k 센싱 신호 라인(SSk)에 센싱 신호가 공급될 때 제2 트랜지스터(ST2)가 턴-온되어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 전극의 전압과 소스 전극의 전압 간의 전압 차에 따라 흐르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가 제j 센싱 라인(SLj)으로 흐르도록 한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타이밍 컨트롤러(40)로부터 게이트 구동부 제어 신호(GCS)를 공급받고, 게이트 구동부 제어 신호(GCS)에 따라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하여 게이트 라인들(GL1~GLp)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30)는 타이밍 컨트롤러(40)로부터 데이터 구동부 제어 신호(DCS)를 공급받고, 데이터 구동부 제어 신호(DCS)에 따라 데이터전압들을 생성하여 데이터 라인들(DL1~DLq)에 공급한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30)는 화소(P)들 각각의 전압 및 전류 특성을 센싱하여 센싱 데이터(SEN)를 생성하여 타이밍 컨트롤러(40)로 공급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외부로부터 화상의 표시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신호(TS)와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색상 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를 공급받는다. 타이밍 컨트롤러(40)의 입력단에는 타이밍 신호(TS)와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가 설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입력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40)는 데이터 구동부(30)로부터 화소(P)들 각각의 전압 및 전류 특성에 따른 센싱 데이터(SEN)를 공급받는다.
타이밍 신호(TS)는 수직 동기 신호(Vertical sync signal, Vsync), 수평 동기 신호(Horizontal sync signal, 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signal, DE), 및 도트 클럭(Dot clock, DCLK)을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센싱 데이터(SEN)에 기초하여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를 보상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게이트 구동부(20), 데이터 구동부(30), 스캔 구동부 및 센싱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 제어 신호들을 생성한다. 구동부 제어 신호들은 게이트 구동부(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 제어 신호(GCS), 데이터 구동부(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 제어 신호(DCS), 스캔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스캔 구동부 제어 신호 및 센싱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구동부 제어 신호를 포함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모드 신호에 따라 표시 모드와 센싱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데이터 구동부(30), 스캔 구동부 및 센싱 구동부를 동작시킨다. 표시 모드는 표시패널(10)의 화소(P)들이 화상을 표시하는 모드이고, 센싱 모드는 표시패널(10)의 화소(P)들 각각의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전류를 센싱하는 모드이다. 표시 모드와 센싱 모드 각각에서 화소(P)들 각각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의 파형과 센싱 신호의 파형이 변경되는 경우, 표시 모드와 센싱 모드 각각에서 데이터 구동부 제어 신호(DCS), 스캔 구동부 제어 신호 및 센싱 구동부 제어 신호 역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타이밍 컨트롤러(40)는 표시 모드와 센싱 모드 중 어느 모드인지에 따라 해당하는 모드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부 제어 신호(DCS), 스캔 구동부 제어 신호 및 센싱 구동부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게이트 구동부 제어 신호(GCS)를 게이트 구동부(20)로 출력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보상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와 데이터 구동부 제어 신호(DCS)를 데이터 구동부(30)로 출력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스캔 구동부 제어 신호를 스캔 구동부로 출력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센싱 구동부 제어 신호를 센싱 구동부로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40)는 데이터 구동부(30), 스캔 구동부 및 센싱 구동부를 표시 모드와 센싱 모드 중에 어느 모드로 구동할지에 따라 해당 모드를 구동하기 위한 모드 신호를 생성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모드 신호에 따라 표시 모드와 센싱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데이터 구동부(30), 스캔 구동부 및 센싱 구동부를 동작시킨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하부 기판(100), 중앙 기판(200), 및 터치 스크린(300)을 포함한다.
하부 기판(100)은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후면을 지지한다. 하부 기판(100) 상에는 화소를 이루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형성된다.
폴리이미드층(110)은 하부 기판(100)의 최하단에 배치된다. 폴리이미드층(110)은 가요성을 갖고 있다. 폴리이미드층(110)은 하부 기판(100)의 후면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한다.
데이터 라인(120)은 폴리이미드층(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데이터 라인은 각각의 화소열마다 배치된다. 데이터 라인(120)은 데이터 전압을 각각의 화소들에 전달한다.
애노드 전극(130)은 데이터 라인의 상부에 배치된다. 애노드 전극(130)은 각각의 화소를 단위로 하여 배치된다. 다른 화소에 배치된 애노드 전극(130)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애노드 전극(130)은 데이터 라인(120)으로부터 데이터 전압을 공급받는다.
평탄화층(140)은 폴리이미드층(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평탄화층(140)은 데이터 라인(120)이 배치되지 않은 곳에 배치된다. 평탄화층(140)은 데이터 라인(120)보다 높게 형성된다. 평탄화층(140)의 상부는 평탄하며, 평탄화층(140)의 상부 일부에는 애노드 전극(130)이 마련된다. 평탄화층(140)의 상부에서 애노드 전극(130)은 인접한 애노드 전극(130)과 연결되지 않고 절단된 상태로 형성된다.
뱅크(150)는 애노드 전극(130)의 상부 및 평탄화층(140)의 상부에 배치된다. 뱅크(150)는 각각의 화소들을 구획한다. 뱅크(150)는 절연성이 우수한 물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뱅크(150)는 인접하게 배치된 애노드 전극(130)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댐(160)은 폴리이미드층(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댐(160)은 하부 기판(100)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다. 댐(160)은 화소들을 형성하는 물질들 중 유동성 있는 물질이 하부 기판(100)의 가장자리를 넘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댐(160)은 화소 외부의 구성 요소들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물질들이 화소 영역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패드부(170)는 폴리이미드층(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패드부(170)는 하부 기판(100)의 가장자리 영역 중 댐(160)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패드부(17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터치 전극 구동 신호를 터치 전극(3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패드부(170)는 터치 전극(340)에서 생성한 터치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신호를 하부 기판(100)의 외부에 배치된 터치 드라이버 IC로 전달할 수 있다.
중앙 기판(200)은 하부 기판(1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중앙 기판(200)은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색상을 구현하고, 하부 기판(100)의 전면을 보호한다.
발광 소자층(210)은 애노드 전극(130)의 상부에 배치된다. 발광 소자층(210)은 각각의 화소마다 배치된다. 발광 소자층(210)은 내부의 재료 또는 상부에 배치된 컬러 필터와 같은 수단으로 미리 설정된 색상의 빛을 방출한다. 발광 소자층(210)은 외부의 신호 또는 전압의 크기에 대응하여 소정의 빛을 방출한다. 이에 따라, 애노드 전극(130)의 전압에 따라 발광 소자층(2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가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같은 자발광 표시장치인 경우, 각각의 발광 소자층(210)을 데이터 라인(120)에서 애노드 전극(130)을 경유하여 전달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라 원하는 밝기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캐소드 전극(220)은 뱅크(150)의 상부와 발광 소자층(2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캐소드 전극(220)은 복수의 화소에 걸쳐서 단일한 전극으로 형성된다. 캐소드 전극(220)은 기준 전압 또는 공통 전압을 화소들에 공급한다.
제 1 패시베이션층(230)은 화소들이 마련된 영역에서는 캐소드 전극(23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 1 패시베이션층(230)은 패드부(170)가 배치된 영역 안쪽의 폴리이미드층(110)의 상부와 댐(16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 1 패시베이션층(230)은 하부 기판(100) 상의 화소들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보호한다. 또한, 제 1 패시베이션층(230)은 패드부(170)가 배치된 영역 안쪽의 폴리이미드층(110)의 상부와 댐(160)의 상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폴리이미드층(110)과 댐(160)을 보호한다.
봉지층(240)은 제 1 패시베이션층(230)의 상부에 배치된다. 봉지층(240)은 화소 영역 상에 형성된다. 봉지층(240)은 화소들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산소, 수분 등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한다.
제 2 패시베이션층(250)은 봉지층(24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 2 패시베이션층(250)은 봉지층(24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터치 스크린(300)은 중앙 기판(200)의 상부에 배치된다. 터치 스크린(300)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 펜 등을 이용한 외부의 터치 정보를 감지한다. 터치 스크린(300)의 상부를 터치하는 경우, 터치 스크린(300)과 하부 기판(100) 사이에 배치된 봉지층(240)에서 형성되는 커패시터가 변화하여 터치 정보를 감지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300)은 외부의 터치 정보를 화소 영역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 1 절연층(310)은 화소 영역 상에서 제 2 패시베이션층(25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 1 절연층(310)은 패드부(170)가 배치된 영역 안쪽의 제 1 패시베이션층(2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 1 절연층(310)은 터치 스크린(300) 하부에 마련된 배선들 사이의 단락을 방지한다.
터치 라인(320)은 제 1 절연층(310)의 상부에 배치된다. 터치 라인(320)은 데이터 라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터치 라인(320)은 터치 스크린(300)을 구동하기 위한 터치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또한, 터치 라인(320)은 터치 스크린(300)에서 감지한 터치 정보를 터치 드라이버 IC로 전달한다. 터치 라인(320)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된다.
제 2 절연층(330)은 제 1 절연층(310) 및 터치 라인(3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 2 절연층(330)은 인접한 터치 라인(320) 사이의 단락을 방지한다.
터치 전극(340)은 터치 라인(320) 및 제 2 절연층(330) 상에 마련된다. 데이터 라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터치 전극(340)은 터치 라인(320)의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게이트 라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터치 전극(340)은 제 2 절연층(330)의 상부에 배치된다. 데이터 라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터치 전극(340)과 게이트 라인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터치 전극(340)은 브릿지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그물형 구조인 메쉬(mesh) 구조를 갖는다.
화소 영역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터치 전극(340)은 패드부(170)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패드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쉬(mesh) 구조로 배치된 터치 전극(340)은 화소 영역 상의 터치 위치를 감지한다. 터치 전극(340)은 터치 위치를 포함한 터치 정보를 패드부(170)로 전송한다.
상부 PAC층(350)은 제 2 절연층(330) 및 터치 전극(34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부 PAC층(350)은 절연성이 우수하고 외부 물질과 반응하지 않는 고분자 재료로 형성한다. 상부 PAC층(350)은 제 2 절연층(330) 및 터치 전극(34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다. 상부 PAC층(350)은 제 2 절연층(330) 및 터치 전극(340)을 수분, 산소 등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한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상부 PAC층(350)을 제외하고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상부 PAC층(350)은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 상부에 배치되도록 패터닝된다. 상부 PAC층(350)은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의 상부와 오버랩된다. 상부 PAC층(350)의 평면 형태는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의 평면 형태와 동일하게 된다. 상부 PAC층(350)은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을 완전하게 덮기 위해서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이 형성된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일부 형성된다. 상부 PAC층(350)은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 사이에서는 적어도 한 곳에서 절단되도록 형성된다.
터치 전극들(340)이 본래 연결되지 않아야 할 부분에서 잔존하는 수분, 금속 기타 이물질 등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터치 전극들(340)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게 된다. 어느 하나의 터치 전극(340)에만 터치가 가해지는 경우에도, 단락이 발생한 터치 전극들(340)은 모두 터치 정보를 터치 드라이버 IC로 전달할 것이다. 이에 따라, 터치 드라이버 IC는 단락으로 인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터치 전극들(340)이 배치된 영역 전체에 터치가 가해진 것으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터치 스크린(300)이 터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게 된다.
상술한 이유로 인하여, 터치 전극들(340)은 직교하는 두 개의 터치 전극들(3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하여 브릿지 전극으로 연결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서로 연결되지 않아야 터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즉, 제 2 절연층(330)의 상부에는 잔존하는 수분, 금속 기타 이물질 등이 없어야 한다. 제조 과정 중에 제 2 절연층(330)의 상부에 발생하는 금속 기타 이물질 등은 제거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는 완성 후 상부 PAC층(350)에 의하여 제 2 절연층(330)의 상부에 수분, 금속 기타 이물질 등이 침투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도 불구하고, 제조 과정 중에 제 2 절연층(330)의 상부에 발생하는 금속 기타 이물질 등이 발생한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 2 절연층(330)의 상부에 잔존하는 금속 기타 이물질 등을 식각(Etching) 공정으로 제거한다. 식각 공정으로는 플라즈마(Plsama) 상태의 기체 또는 질산계 기체를 적용하여 이들의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여 제거하는 건식 식각(Dry etching) 공정 또는 활성화된 플루오르화 수소산(HF), 이플루오르화 제논(XeF2) 등 습식 식각(Wet Etching)을 적용할 수 있다. 식각 공정을 제 2 절연층(330)의 상부에 적용하는 경우, 터치 전극들(340) 사이에 잔존하는 금속 기타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또한, 터치 전극들(340) 사이에 잔존하는 금속 기타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경우, 터치 전극들(340) 사이의 단락으로 인한 불량을 리페어(repair) 할 수 있다.
그런데, 상부 PAC층(350)이 배치되는 경우, 상부 PAC층(350)이 건식 식각 또는 퍼지 공정으로부터 하부에 있는 층들이나 구성 요소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PAC층(350)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부에서 건식 식각 또는 퍼지 공정을 수행하더라도 상부 PAC층(350)의 하부에 있는 층들이나 구성 요소들은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부 PAC층(350)이 제 2 절연층(33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 제 2 절연층(330)의 상부에 잔존하는 수분, 금속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즉, 상부 PAC층(350)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터치 전극들(340)을 형성하는 제조 과정에서 잔존하게 된 금속 기타 이물질 등으로 인하여 터치 전극들(340) 간에 이미 발생한 단락을 리페어(repair)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상부 PAC층(350)은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 사이마다 상부 PAC층(35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마련된다. 상부 PAC층(35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제 2 절연층(330)의 상부가 노출된다. 이에 따라, 제 2 절연층(330)의 상부에서 건식 식각 또는 퍼지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제 2 절연층(330)의 상부가 노출된 부분에 건식 식각 또는 퍼지 공정을 직접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절연층(330)의 상부가 노출된 부분에서는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 사이에 잔존하던 금속 기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터치 전극들(340) 간에 제조 과정에서 잔존하는 금속으로 인하여 발생한 단락 문제를 상부 PAC층(350)을 형성한 이후에도 건식 식각 또는 퍼지 공정을 적용하여 용이하게 리페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상부 PAC층(350)은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 사이에서는 배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절연층인 제 2 절연층(330)이 외부로 노출된다. 즉, 상부 PAC층(350)이 패터닝된 경우, 상부 PAC층(35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제 2 절연층(330)이 제품의 최상층이 된다.
이 경우, 상부 PAC층(350) 뿐만 아니라 제 2 절연층(330) 역시 하부의 층들을 외부의 이물질들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PAC층(350)이 패터닝되지 않은 경우와 동일하게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 PAC층(350)이 제 2 절연층(330)을 일부 노출시키도록 배치된 경우, 상부 PAC층(350)의 평균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전극(340)에 가해지는 터치 감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 역시 존재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의 단면도이다.
제조 방법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고, 도 7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하부기판(100)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터치 전극(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드부(170) 및 패드부(170)와 연결된 터치 전극(340)의 상부를 덮는 터치 전극 PAC층(360)을 더 포함한다.
터치 전극 PAC층(360)은 절연성이 우수하고 외부 물질과 반응하지 않는 고분자 재료로 형성한다. 터치 전극 PAC층(360)은 상부 PAC층(350)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여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터치 전극 PAC층(360)은 패드부(170)와 연결된 터치 전극(34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다. 터치 전극 PAC층(360)은 패드부(170)와 연결된 터치 전극(340)을 수분, 산소 등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한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터치 전극 PAC층(360)을 이용하여 패드부(170)와 연결된 터치 전극(340)을 덮는다. 이에 따라, 터치 전극(340)과 패드부(170) 간의 연결 관계를 보다 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전극(340)과 패드부(170) 간의 전기적인 신호의 교환이 방해 받지 않고 확실하게 신호 전달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상부 PAC 층(350)은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 간의 단락 발생이 가능한 부분(DE1, DE2)에서 제거된다. 단락 발생이 가능한 부분(DE1, DE2)은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 중 동일 층에 인접하게 배치된 터치 전극들(340) 사이가 될 수 있다. 또한 단락 발생이 가능한 부분(DE1, DE2)은 올바른 터치 전극들(340)의 구동을 위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아야 하는 터치 전극들(340) 사이가 될 수 있다. 또한, 단락 발생이 가능한 부분(DE1, DE2)은 제조 공정 중 금속이 잔존하기 쉬운 영역이 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단락 발생이 가능한 부분(DE1, DE2)의 상부에 상부 PAC층(350)이 형성되지 않도록 선별적으로 상부 PAC층(350)을 패터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PAC층(350)에 의해 단락 발생이 가능한 부분(DE1, DE2)에 잔존하는 금속을 제거할 수 없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패터닝 부분을 최소화하면서 단락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기판 상에 발광 소자층(210)을 형성하는 단계, 발광 소자층(210) 상에 봉지층(240)을 형성하는 단계, 봉지층(240)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을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 상부에 상부 PAC층(35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도 5와 같이 상부 PAC층(350)이 단일한 층으로 형성된다. 이 때, 터치 전극들(34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터치 전극들(340) 사이에 금속이 잔존하여 단락부(SH1, SH2)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도 6과 같이 상부 PAC층(350)을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 상부에 형성되도록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부 PAC층(350)의 패터닝 단계를 거친 이후,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 상부 및 터치 전극들(340)과 인접한 영역에 상부 PAC층(350)이 패터닝된다. 상부 PAC층(350)은 인접한 터치 전극들(340) 사이에서 절단되도록 패터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PAC층(350)은 단락부(SH1, SH2)의 상부에서 절단되도록 패터닝된다.
이에 따라, 단락부(SH1, SH2)의 상부에 상부 PAC층(350)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부 PAC층(350)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단락부(SH1, SH2)의 금속을 제거하여 단락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 때, 상부 PAC층(350)을 패터닝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절연층인 제 2 절연층(330)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제 2 절연층(330) 역시 외부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충격 흡수력 및 절연성이 좋은 물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 PAC층(350)을 패터닝하더라도 터치 전극(340)의 일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터치 전극(340)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락이 발생한 단락부(SH1, SH2)를 노출시켰다면, 단락부(SH1, SH2)의 단락 문제를 해결할 방법 또한 있어야 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상부 PAC층(350)을 패터닝하는 단계 이후에 상부에서 드라이 에칭을 수행하여, 제 2 절연층(330) 상부에서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 사이에 잔존하는 금속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드라이 에칭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상부 PAC층(350)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상부 PAC층(350)의 상부 일부만이 식각되고, 상부 PAC층(350)의 하부의 터치 전극들(340)은 식각되지 않고 보호된다. 또한 드라이 에칭 공정을 수행하는 경우, 상부 PAC층(35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잔존하는 금속들은 모두 제거된다. 이에 따라, 단락부(SH1, SH2)에 잔존하는 금속들이 모두 제거되어, 단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상부에서 일괄적으로 드라이 에칭을 수행하는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단락부(SH1, SH2)에 잔존하는 금속들만을 제거할 수 있어, 터치 전극들(340)을 보호하면서도 단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터치 전극들(340)을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단계에서 하부 기판(100) 상에 배치되며, 터치 전극(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드부(170)를 형성하고, 상부 PAC층(35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패드부(170)와 연결된 터치 전극(340)의 상부를 덮는 터치 전극 PAC층(360)을 형성한다.
터치 전극 PAC층(360)이 없는 경우, 터치 전극(340)이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가장자리 부분에서 노출된다. 이 경우, 패드부(170)와 연결된 터치 전극(340)이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 침투에 약할 수 있다. 터치 전극 PAC층(360)을 더 배치하여 패드부(170)와 연결된 터치 전극(340)을 외부의 충격이나 이물질 침투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보호하고, 패드부(170)와 터치 전극(340) 간의 오류 없는 신호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상부 PAC층(350)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패드부(170) 상부에 하프톤 PAC층(370)을 형성한다. 하프톤 PAC층(370)은 박막층의 증착 공정 시, 절반 정도만 박막층을 형성하는 물질을 증착시키고, 나머지 절반 정도의 박막층을 형성하는 물질은 필터링하는 하프톤(Halftone) 마스크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PAC층에 비하여 절반 정도의 두께로 얇게 형성한 층을 정의한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프톤 PAC층(370)은 상부 PAC층(350) 및 터치 전극 PAC층(360)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하프톤 PAC층(370)은 상부 PAC층(350) 및 터치 전극 PAC층(360)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할 수 있다.
하프톤 PAC층(370)이 없는 경우, 상부에서 드라이 에칭을 수행하는 공정 등과 같이 단락부(SH1, SH2)에 잔존하는 금속을 제거하는 공정 중에 패드부(170)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패드부(170)는 완성된 제품에서는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지만 공정 중에는 단락부(SH1, SH2)에 잔존하는 금속의 제거 공정 중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일 예는 하프톤 PAC층(370)을 패드부(170)의 상부에 형성하여 패드부(170)를 단락부(SH1, SH2)에 잔존하는 금속의 제거 공정 중에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패드부(170)는 완성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야 외부로부터 신호를 공급받고,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에서 생성한 신호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는 상부 PAC층(350)을 패터닝하는 단계 이후에 상부에서 드라이 에칭을 수행하여, 하프톤 PAC층(370)을 제거하는 단게를 더 포함한다.
이 때, 하프톤 PAC층(370)은 상부 PAC층(350) 및 터치 전극 PAC층(360)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되기 때문에, 단락부(SH1, SH2)에 잔존하는 금속을 제거하는 드라이 에칭을 통하여 하프톤 PAC층(370)을 일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단락부(SH1, SH2)에 잔존하는 금속을 제거하는 드라이 에칭 시 하프톤 PAC층(370)을 제거하여 패드부(170)를 외부로 개방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금속을 제거하는 드라이 에칭 공정 시에는 패드부(170)를 보호하면서도 완성된 제품에서는 패드부(170)를 추가 비용 없이 오픈시킬 수 있어,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는 터치 전극들 사이의 공간 사이에 잔존하는 금속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터치 전극들 사이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 표시패널 20: 게이트 구동부
30: 데이터 구동부 40: 타이밍 컨트롤러
100: 하부 기판 110: 폴리이미드층
120: 데이터 라인 130: 애노드 전극
140: 평탄화층 150: 뱅크
160: 댐 170: 패드부
200: 중앙 기판 210: 발광 소자층
220: 캐소드 전극 230: 제 1 패시베이션층
240: 봉지층 250: 제 2 패시베이션층
300: 터치 스크린 310: 제 1 절연층
320: 터치 라인 330: 제 2 절연층
340: 터치 전극 350: 상부 PAC층
360: 터치 전극 PAC층 370: 하프톤 PAC층
30: 데이터 구동부 40: 타이밍 컨트롤러
100: 하부 기판 110: 폴리이미드층
120: 데이터 라인 130: 애노드 전극
140: 평탄화층 150: 뱅크
160: 댐 170: 패드부
200: 중앙 기판 210: 발광 소자층
220: 캐소드 전극 230: 제 1 패시베이션층
240: 봉지층 250: 제 2 패시베이션층
300: 터치 스크린 310: 제 1 절연층
320: 터치 라인 330: 제 2 절연층
340: 터치 전극 350: 상부 PAC층
360: 터치 전극 PAC층 370: 하프톤 PAC층
Claims (10)
- 기판 상에 배치된 발광 소자층;
상기 발광 소자층 상에 배치된 봉지층;
상기 봉지층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복수의 터치 전극들; 및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 상부에 배치된 상부 PAC층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PAC층은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 상부에 배치되도록 패터닝되며,
상기 상부 PAC 층은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 간의 단락 발생이 가능한 부분에서 제거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절연층이 외부로 노출된,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드부; 및
상기 패드부와 연결된 터치 전극의 상부를 덮는 터치 전극 PAC층을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 삭제
- 기판 상에 발광 소자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광 소자층 상에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봉지층 상에 복수의 터치 전극들을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 상부에 상부 PAC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PAC층을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 상부에 형성되도록 패터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PAC층을 패터닝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절연층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삭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PAC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이후에,
상부에서 드라이 에칭을 수행하여, 상기 절연층 상부에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 사이에 잔존하는 금속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들을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PAC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패드부와 연결된 터치 전극의 상부를 덮는 터치 전극 PAC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PAC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패드부 상부에 하프톤 PAC층을 형성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PAC층을 패터닝하는 단계 이후에,
상부에서 드라이 에칭을 수행하여, 상기 하프톤 PAC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3737A KR102354920B1 (ko) | 2017-06-30 | 2017-06-30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US16/023,305 US10817090B2 (en) | 2017-06-30 | 2018-06-29 | Display apparatus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DE102018115830.0A DE102018115830A1 (de) | 2017-06-30 | 2018-06-29 | Anzeigevorrichtung mit integriertem touchscre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
TW108125450A TWI689860B (zh) | 2017-06-30 | 2018-06-29 | 整合觸控螢幕的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
TW107122701A TWI670633B (zh) | 2017-06-30 | 2018-06-29 | 整合觸控螢幕的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
CN201810722261.2A CN109213364B (zh) | 2017-06-30 | 2018-06-29 | 具有集成触摸屏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
GB1810734.2A GB2567274B (en) | 2017-06-30 | 2018-06-29 | Display apparatus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GB2015718.6A GB2589969B (en) | 2017-06-30 | 2018-06-29 | Display apparatus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17/024,549 US11243630B2 (en) | 2017-06-30 | 2020-09-17 | Display apparatus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17/566,170 US11687181B2 (en) | 2017-06-30 | 2021-12-30 | Display apparatus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0220007793A KR102430105B1 (ko) | 2017-06-30 | 2022-01-19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220096352A KR102545147B1 (ko) | 2017-06-30 | 2022-08-02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US18/196,493 US12061757B2 (en) | 2017-06-30 | 2023-05-12 | Display apparatus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0230076158A KR102635320B1 (ko) | 2017-06-30 | 2023-06-14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3737A KR102354920B1 (ko) | 2017-06-30 | 2017-06-30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7793A Division KR102430105B1 (ko) | 2017-06-30 | 2022-01-19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3181A KR20190003181A (ko) | 2019-01-09 |
KR102354920B1 true KR102354920B1 (ko) | 2022-01-21 |
Family
ID=6314381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3737A KR102354920B1 (ko) | 2017-06-30 | 2017-06-30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220007793A KR102430105B1 (ko) | 2017-06-30 | 2022-01-19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220096352A KR102545147B1 (ko) | 2017-06-30 | 2022-08-02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230076158A KR102635320B1 (ko) | 2017-06-30 | 2023-06-14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07793A KR102430105B1 (ko) | 2017-06-30 | 2022-01-19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220096352A KR102545147B1 (ko) | 2017-06-30 | 2022-08-02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230076158A KR102635320B1 (ko) | 2017-06-30 | 2023-06-14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4) | US10817090B2 (ko) |
KR (4) | KR102354920B1 (ko) |
CN (1) | CN109213364B (ko) |
DE (1) | DE102018115830A1 (ko) |
GB (2) | GB2567274B (ko) |
TW (2) | TWI67063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4086B1 (ko) * | 2016-09-30 | 2019-05-0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모듈 |
KR102380046B1 (ko) * | 2017-09-22 | 2022-03-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자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JP7150527B2 (ja) * | 2018-08-31 | 2022-10-11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
KR102690483B1 (ko) | 2018-12-31 | 2024-07-3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센서를 포함한 표시 장치 및 이의 불량 검출 방법 |
CN109742103B (zh) * | 2019-01-02 | 2021-05-11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
KR20200085386A (ko) * | 2019-01-04 | 2020-07-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KR20200145887A (ko) | 2019-06-19 | 2020-12-3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KR20210019256A (ko) * | 2019-08-12 | 2021-02-2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계 발광 표시 장치 |
KR20210045554A (ko) | 2019-10-16 | 2021-04-2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210069768A (ko) | 2019-12-03 | 2021-06-1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262683B1 (ko) | 2019-12-30 | 2021-06-0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표시 장치 |
KR20210099709A (ko) | 2020-02-04 | 2021-08-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KR20210145026A (ko) | 2020-05-22 | 2021-12-0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자 장치 |
KR102705522B1 (ko) | 2020-05-22 | 2024-09-1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CN111768693A (zh) * | 2020-06-24 | 2020-10-13 |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 显示面板 |
KR20220082315A (ko) * | 2020-12-10 | 2022-06-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일체형 발광 표시 장치 |
TWI777545B (zh) * | 2021-05-06 | 2022-09-11 |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 發光裝置 |
Family Cites Families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006998A1 (en) | 2009-07-10 | 2011-01-13 | Sunggu Kang | Patterning of thin film conductive and passivation layers |
KR101649228B1 (ko) | 2009-12-02 | 2016-08-1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패널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
KR20120044501A (ko) * | 2010-10-28 | 2012-05-08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패널을 구비한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KR101178914B1 (ko) * | 2010-10-29 | 2012-09-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
KR101908501B1 (ko) * | 2011-12-07 | 2018-10-17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일체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CN103197785B (zh) | 2012-01-06 | 2016-07-06 |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 触控面板及其制作方法 |
KR101464172B1 (ko) * | 2012-09-27 | 2014-11-2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000152B1 (ko) | 2012-12-31 | 2019-07-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소자용 도전물질과 전극 형성방법, 이를 구비한 표시소자 |
KR101675256B1 (ko) * | 2013-01-30 | 2016-11-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
CN203386169U (zh) * | 2013-07-22 | 2014-01-08 | 南昌欧菲光显示技术有限公司 | 触摸输入薄片 |
KR20150027596A (ko) * | 2013-09-04 | 2015-03-1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자기 공진 방식의 터치 센서 및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102208417B1 (ko) * | 2013-12-23 | 2021-01-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CN104915077B (zh) * | 2014-03-13 | 2017-11-28 | 乐金显示有限公司 | 触摸感应显示装置 |
KR102181237B1 (ko) * | 2014-03-17 | 2020-11-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1725893B1 (ko) | 2014-06-24 | 2017-04-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및 제조방법 |
EP3671883A1 (en) | 2014-06-25 | 2020-06-24 | LG Displa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
KR102205878B1 (ko) * | 2014-06-25 | 2021-01-2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271659B1 (ko) | 2014-08-29 | 2021-06-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KR102240937B1 (ko) * | 2014-10-10 | 2021-04-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289934B1 (ko) * | 2014-11-28 | 2021-08-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102269919B1 (ko) * | 2014-12-12 | 2021-06-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102362189B1 (ko) | 2015-04-16 | 2022-02-1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KR102388711B1 (ko) | 2015-04-27 | 2022-04-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160128513A (ko) * | 2015-04-28 | 2016-11-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102393931B1 (ko) * | 2015-05-01 | 2022-05-0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KR20170083737A (ko) | 2016-01-11 | 2017-07-19 |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 재실인원에 따른 전력제어 및 관리 시스템 |
KR101797728B1 (ko) * | 2016-03-11 | 2017-11-1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514411B1 (ko) * | 2016-03-31 | 2023-03-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2668184B1 (ko) * | 2016-07-25 | 2024-05-24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710447B1 (ko) * | 2016-08-12 | 2024-09-2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US10756118B2 (en) * | 2016-11-30 | 2020-08-25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Display device,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KR102718898B1 (ko) * | 2016-12-06 | 2024-10-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CN106708342B (zh) | 2016-12-21 | 2020-05-19 |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 Oled触控显示面板及制作方法、oled触控显示装置 |
JP2018112859A (ja) * | 2017-01-11 | 2018-07-19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 |
CN106775173B (zh) | 2017-02-07 | 2019-12-20 |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 一种触控显示面板和触控显示装置 |
-
2017
- 2017-06-30 KR KR1020170083737A patent/KR10235492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6-29 GB GB1810734.2A patent/GB2567274B/en active Active
- 2018-06-29 DE DE102018115830.0A patent/DE102018115830A1/de active Pending
- 2018-06-29 US US16/023,305 patent/US10817090B2/en active Active
- 2018-06-29 TW TW107122701A patent/TWI670633B/zh active
- 2018-06-29 GB GB2015718.6A patent/GB2589969B/en active Active
- 2018-06-29 CN CN201810722261.2A patent/CN109213364B/zh active Active
- 2018-06-29 TW TW108125450A patent/TWI689860B/zh active
-
2020
- 2020-09-17 US US17/024,549 patent/US11243630B2/en active Active
-
2021
- 2021-12-30 US US17/566,170 patent/US11687181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01-19 KR KR1020220007793A patent/KR10243010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08-02 KR KR1020220096352A patent/KR10254514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5-12 US US18/196,493 patent/US12061757B2/en active Active
- 2023-06-14 KR KR1020230076158A patent/KR10263532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0105B1 (ko) | 2022-08-04 |
US10817090B2 (en) | 2020-10-27 |
DE102018115830A1 (de) | 2019-01-03 |
US11243630B2 (en) | 2022-02-08 |
GB202015718D0 (en) | 2020-11-18 |
TWI689860B (zh) | 2020-04-01 |
TW201905662A (zh) | 2019-02-01 |
US20230289004A1 (en) | 2023-09-14 |
CN109213364A (zh) | 2019-01-15 |
GB201810734D0 (en) | 2018-08-15 |
KR20220110720A (ko) | 2022-08-09 |
US12061757B2 (en) | 2024-08-13 |
KR20230088669A (ko) | 2023-06-20 |
KR102545147B1 (ko) | 2023-06-16 |
US20210004108A1 (en) | 2021-01-07 |
US20190004654A1 (en) | 2019-01-03 |
GB2567274A (en) | 2019-04-10 |
KR20220013442A (ko) | 2022-02-04 |
US20220121306A1 (en) | 2022-04-21 |
TWI670633B (zh) | 2019-09-01 |
TW201939249A (zh) | 2019-10-01 |
KR102635320B1 (ko) | 2024-02-07 |
US11687181B2 (en) | 2023-06-27 |
KR20190003181A (ko) | 2019-01-09 |
GB2589969A (en) | 2021-06-16 |
CN109213364B (zh) | 2021-09-28 |
GB2567274B (en) | 2020-11-18 |
GB2589969B (en) | 2021-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30105B1 (ko) |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0364549B (zh) | 显示设备 | |
US9865670B2 (en)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210280130A1 (en) | Display device | |
KR102037455B1 (ko) |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 | |
US11864451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US8344616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US10692958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US10381418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 |
US20160211308A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US10997921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 |
KR20180061720A (ko) | 멀티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방법 | |
CN112925435A (zh) | 触摸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 |
TW201326852A (zh) | 用於顯示裝置之老化系統及使用其之老化方法 | |
US11765953B2 (en) | Display apparatus including overlapping elem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