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161B1 -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4161B1 KR102354161B1 KR1020200067243A KR20200067243A KR102354161B1 KR 102354161 B1 KR102354161 B1 KR 102354161B1 KR 1020200067243 A KR1020200067243 A KR 1020200067243A KR 20200067243 A KR20200067243 A KR 20200067243A KR 102354161 B1 KR102354161 B1 KR 1023541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able member
- tilting
- camera module
- actuator
- coi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 H04N5/23287—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23—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tilting or inclin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유입된 광을 90도로 반사시켜 광학계에 전달하는 반사부재가 포함된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Folded Zoom camera module)에 적용되는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 액추에이터는,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을 이미지 변환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재와, 반사부재를 탑재하는 가동부재와, 가동부재를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가동부재 또는 고정부재에 원호 형상의 틸팅 돌출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재 또는 가동부재에는 상기 제1 틸팅 돌출부를 수용하는 원호 형상의 그루브를 갖는 틸팅 가이드부가 형성되되, 그루브의 곡률반경이 틸팅 돌출부의 곡률반경보다 커서, 그루브 상에서 틸팅 돌출부의 구름운동으로 가동부재가 이미지 변환부에 대해 특정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Folded zoom camera module)에 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을 위해 적용되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이하, '모바일' 이라 함)는 그 기술의 고도화에 발맞춰 기존의 단순 전화 기능에서 벗어나, 음악, 영화, TV, 게임 등 다양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멀티 컨버젼스로 진화하고 있으며, 멀티 컨버젼스로의 전개를 이끌어 가는 요소 중의 하나가 바로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이다.
모바일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은, 사용자 요구에 의한 고화소 및 고기능 중심으로의 최근 트랜드에 부합하기 위해 자동초점조절(Auto Focus) 기능과 광학 줌(Optical zoom)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갖춘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영상 흔들림 방지) 기술을 모바일 크기에 구현하려는 시도가 최근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떨림 보정 기술은 카메라 모듈 구성하는 렌즈 조립체의 초점을 흔들림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자동 제어하여 촬상 이미지의 해상도를 최적으로 유지시키는 기술이다. 이러한 떨림 보정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모바일, 캠코더 등에 적용되는 카메라 모듈에는 떨림 보정을 위한 떨림 보정용 액추에이터가 탑재된다.
떨림 보정용 액추에이터로 잘 알려진 VCM(Voice Coil Motor) 타입은 자기장과 전기장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방식이다. VCM 타입은 보통, 대면 배치되는 코일과 자성체로 구성한 자기회로를 포함하며, 자기회로가 발생시키는 전자기력으로 렌즈가 실장된 구동파트(mover)를 평면 이동시켜 떨림에 대응하는 보정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는 X, Y 2축 방향으로 구동파트를 움직여 떨림 보정이 행해질 수 있도록, 2축 방향으로 대면하는 두 쌍, 총 네 개의 자기회로를 적용하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네 개의 자기회로를 적용하는 방식은 큰 수용공간이 요구되므로, 제품의 사이즈가 커지고 장치 구성이 복잡해져 콤팩트한 크기로 제품을 구현해내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떨림 보정 기능과 함께 제공되는 자동초점조절 기능 역시 자기장과 전기장의 상호 작용 원리를 이용한 VCM(Voice Coil Motor) 타입이 있다. 또한 센서가 인식한 위치 값에 기초한 피드백 제어를 통해 렌즈 조립체의 승강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클로즈 루프(Close loop) 타입이 있다. VCM과 클로즈 루프 타입은 구조 및 제어의 관점에서 명확히 구분될 수 있다.
VCM 타입은 클로즈 루프 타입에 비해 비용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구동 정밀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클로즈 루프 타입은 센서와 같은 부품이 요구됨에 따라 제작단가가 상승하는 등 비용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은 있으나 센서에 의해 확인된 위치 값에 기반하여 작동되는 매커니즘을 가짐에 따라 구동 정밀도가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 모바일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 대부분은, 복수의 렌즈들로 구성된 광학계를 광이 유입되는 방향인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자동초점조절을 구현한다. 이때 광학계의 이동방향은 카메라 모듈을 모바일에 실장했을 때 모바일의 두께방향이 된다. 때문에 종래에는 모바일 두께방향으로 카메라 모듈의 광학계가 움직일 수 있는 최소한의 공간 확보가 필요하다.
즉 모바일의 두께방향으로 광학계가 움직이는 구성의 종래 대부분의 카메라 모듈은, 모바일에 실장 시 이를 실장할 수 있을 만큼의 최소한의 공간을 모바일의 두께방향으로 확보해야만 하는 구조이다. 때문에 모바일의 두께를 더욱 얇게 구현하려는 최근의 슬림화 추세에서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렌즈의 각도, 크기, 이격된 간격, 초점 거리 등을 조정하여 광학계 자체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줌 렌즈 내지 줌 렌즈 배럴의 크기를 물리적으로 줄이는 방법이므로 슬림화 달성에 한계가 있고, 줌 렌즈의 본질적인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유입된 광을 90도로 굴절시키는 반사부재를 장착하고, 반사부재에서 굴절된 광을 통과시키는 광학계를 모바일의 폭 또는 길이 방향으로 눕혀 광학계를 이루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함으로써, 고배율의 광학줌을 구현하고 슬림화를 달성할 수 있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Folded zoom camera module)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은 센서(CCD, CMOS 등의 촬상 소자)와 렌즈들을 세로로 쌓는 기존 방식과 달리 잠망경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전체적인 높이 증가 없이도 고배율의 광학줌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렌즈들을 세로로 쌓는 기존 방식과 달리 잠망경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 방식에 비해 슬림화 측면에서도 매우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에도 떨림 방지 기술이 적용된다.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의 떨림 보정 방안에는 반사부재의 평면과 평행한 두 축을 기준으로 반사부재를 이동시키거나, 반사부재를 고정 구조물에 축 결합시키고 반사부재를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렌즈 또는 촬상 소자를 기준으로 촬상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하는 방안 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95420호의 '손떨림 보정 반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전자인 반사부재를 이동시켜 떨림 보정을 구현하는 기술에 해당되며,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25989호를 통해 개시된 '회전식 볼-가이드 음성 코일 모터'가 후자인 반사부재를 회전시켜 떨림 보정 구현하는 기술에 해당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95420호의 '손떨림 보정 반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25989호의 '회전식 볼-가이드 음성 코일 모터'는 떨림 보정을 위한 구체적인 반사부재의 구동 매커니즘이 다르지만, 볼-가이드 방식, 즉 볼이 레일를 따라 구름이나 미끄럼 운동을 하면서 반사부재의 이동 또는 회전을 구현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볼-가이드 방식은 볼 레일에 직접적인 충격을 가하는 낙하 시험 또는 실제 낙하 시 세라믹(Ceramic) 재질의 볼이 합성수지(Resin)로 구성된 볼 레일에 가하는 충격으로 인하여 볼 레일에 미세 패임(볼 찍힘)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반사부재의 거동 특성이 나빠짐으로써 촬상 이미지의 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볼의 크기를 키워 볼 찍힘을 줄이는 방안도 있으나 볼의 크기를 키우면 그만큼 전체적인 카메라 모듈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며, 카메라 모듈의 사이즈를 고려해 볼을 작게 구성하면 모듈이 특정 주파수로 진동할 때 공진이 발생하는 문제와 더불어, 볼 레일의 미세한 변화에도 떨림이 쉽게 발생하여 구동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볼-가이드 방식의 경우, 매우 작은 크기의 볼을 레일이나 홈에 실장함에 있어 상당한 제조 정밀도가 요구되므로 제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비용 상승이 수반될 수 밖에 없다. 다시 말해 작업의 정밀도를 요하는 만큼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고, 제품의 양산성 측면에서도 불리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볼-가이드 방식이 아닌 원호형의 그루브를 따라 틸팅 돌출부이 구름운동을 하면서 반사부재를 2축 방향으로 회전시켜 떨림에 대응하는 방식으로서, 볼 찍힘의 우려가 전혀 없으며 반사부재의 거동 특성이 안정적인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액추에이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존 볼-가이드 방식에 비해 단순한 구성이면서도 향상된 구동 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윤활 작업도 필요 없으며, 비용 절감 및 제품의 양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을 이미지 변환부 측으로 반사 또는 굴절시키는 반사부재;
상기 반사부재를 탑재하는 가동부재; 및
상기 가동부재를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재 또는 고정부재는 원호 형상의 틸팅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 또는 가동부재에는 상기 틸팅 돌출부을 수용하며 곡률반경이 상기 틸팅 돌출부보다 큰 원호 형상의 그루브를 갖는 틸팅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틸팅 돌출부가 상기 그루브 상에서 구름 운동하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제1 방향 축선 또는 상기 제1 방향 축선과 직교하는 제2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 액추에이터는 바람직하게,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을 이미지 변환부 측으로 반사 또는 굴절시키는 반사부재;
상기 반사부재를 탑재하는 제1 가동부재;
상기 제1 가동부재와 결합되는 제2 가동부재; 및
상기 제2가동부재를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동부재 또는 고정부재는 중앙에 원호 형상의 제1 틸팅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 또는 제2 가동부재에는 상기 제1 틸팅 돌출부를 수용하며 곡률반경이 상기 제1 틸팅 돌출부보다 큰 원호 형상의 제1 그루브를 갖는 제1 틸팅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가동부재는,
상기 제1 틸팅 돌출부가 상기 제1 그루브 상에서 구름 운동하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제1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동부재 또는 제1 가동부재는 양측에 원호 형상의 제2 틸팅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가동부재 또는 제2 가동부재에는 상기 제2 틸팅 돌출부를 수용하며 곡률반경이 상기 제2 틸팅 돌출부보다 큰 원호 형상의 제2 그루브를 갖는 제2 틸팅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가동부재는, 상기 제2 틸팅 돌출부가 상기 제2 그루브 상에서 구름 운동하면, 제2 가동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방향 축선과 직교하는 제2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 액추에이터는 또한,
상기 제2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틸트 구동부; 및
상기 제1 가동부재가 상기 제2 가동부재에 대해 상기 제2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틸트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틸트 구동부는, 상기 제2 가동부재의 일 측벽부 및 대향부 타측벽부에 마그네트 요크와 함께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마그네트와, 상기 고정부재를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FPCB에 실장되어 고정부재 양 측벽부에 형성된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제1 마그네트 각각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코일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틸트 구동부는, 상기 제1 가동부재의 하면부에 마그네트 요크와 함께 결합되는 제2 마그네트와, 상기 고정부재를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FPCB에 실장되어 고정부재의 바닥판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제2 마그네트와 대면 배치되는 제2 코일과,상기 제2 코일이 실장된 면 반대편의 FPCB에 부착되는 제2 코일요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가동부재에 결합되는 제2 마그네트와 상기 제2 개구에 배치되는 제2 코일이 직접 대면하도록 제2 가동부재의 바닥판 일부가 개구될 수 있다.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을 이미지 변환부 측으로 반사 또는 굴절시키는 반사부재;
상기 반사부재를 탑재하는 가동부재; 및
상기 가동부재를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재 또는 고정부재는 원호 형상의 틸팅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 또는 가동부재에는 상기 틸팅 돌출부을 수용하며 곡률반경이 상기 틸팅 돌출부보다 큰 원호 형상의 그루브를 갖는 틸팅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틸팅 돌출부가 상기 그루브 상에서 구름 운동하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제1 방향 축선 또는 상기 제1 방향 축선과 직교하는 제2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 액추에이터는 바람직하게,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을 이미지 변환부 측으로 반사 또는 굴절시키는 반사부재;
상기 반사부재를 탑재하는 제1 가동부재;
상기 제1 가동부재와 결합되는 제2 가동부재; 및
상기 제2가동부재를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동부재 또는 고정부재는 중앙에 원호 형상의 제1 틸팅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 또는 제2 가동부재에는 상기 제1 틸팅 돌출부를 수용하며 곡률반경이 상기 제1 틸팅 돌출부보다 큰 원호 형상의 제1 그루브를 갖는 제1 틸팅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가동부재는,
상기 제1 틸팅 돌출부가 상기 제1 그루브 상에서 구름 운동하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제1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동부재 또는 제1 가동부재는 양측에 원호 형상의 제2 틸팅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가동부재 또는 제2 가동부재에는 상기 제2 틸팅 돌출부를 수용하며 곡률반경이 상기 제2 틸팅 돌출부보다 큰 원호 형상의 제2 그루브를 갖는 제2 틸팅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가동부재는, 상기 제2 틸팅 돌출부가 상기 제2 그루브 상에서 구름 운동하면, 제2 가동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방향 축선과 직교하는 제2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 액추에이터는 또한,
상기 제2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틸트 구동부; 및
상기 제1 가동부재가 상기 제2 가동부재에 대해 상기 제2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틸트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틸트 구동부는, 상기 제2 가동부재의 일 측벽부 및 대향부 타측벽부에 마그네트 요크와 함께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마그네트와, 상기 고정부재를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FPCB에 실장되어 고정부재 양 측벽부에 형성된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제1 마그네트 각각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코일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틸트 구동부는, 상기 제1 가동부재의 하면부에 마그네트 요크와 함께 결합되는 제2 마그네트와, 상기 고정부재를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FPCB에 실장되어 고정부재의 바닥판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제2 마그네트와 대면 배치되는 제2 코일과,상기 제2 코일이 실장된 면 반대편의 FPCB에 부착되는 제2 코일요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가동부재에 결합되는 제2 마그네트와 상기 제2 개구에 배치되는 제2 코일이 직접 대면하도록 제2 가동부재의 바닥판 일부가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마그네트와 제2 코일요크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가동부재가 제2 가동부재에 밀착되고 제2 가동부재는 고정부재에 밀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입사광과 수직한 방향으로서 반사부재에서 반사된 광이 진행하는 방향(광축 방향)이며, 제2 방향은 상기 입사광의 방향과 수직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일 측면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반사부재를 통해 반사된 광이 통과하도록 제1 방향(광축 방향)으로 정렬된 광학계; 및
상기 반사된 광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광학계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광학계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에 상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는 이미지 변환부;를 포함하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는, 볼-가이드 방식이 아닌 원호형의 그루브를 따라 틸팅 돌출부이 구름운동을 하면서 반사부재를 2축 방향으로 회전(틸팅)시켜 떨림에 대응하는 방식이므로, 종래 기술과 같은 볼 찍힘의 우려가 전혀 없다. 즉 장치의 내구성이 우수하며 반사부재의 거동 특성이 안정적인 신뢰도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볼-가이드 방식에 비해 단순한 구성이면서도 틸팅 돌출부이 구름운동을 하면서 떨림에 대응하는 방식이므로, 상대 운동하는 부품 간 마찰력이 크게 줄어 구동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볼을 사용하지 않는 만큼 별도의 윤활 작업도 필요 없어 비용 절감 및 제품의 양산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의 완전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추에이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추에이터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제2 가동부재에 제1 가동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의 부분 상세도.
도 5는 제2 가동부재에 제1 가동부재가 결합된 구성을 도 4의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에 제2 가동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의 부분 상세도.
도 7은 고정부재에 제2 가동부재가 결합된 구성을 도 6의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3의 액추에이터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개 단면도.
도 9는 도 3의 액추에이터를 B-B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개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액추에이터를 C-C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추에이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추에이터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제2 가동부재에 제1 가동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의 부분 상세도.
도 5는 제2 가동부재에 제1 가동부재가 결합된 구성을 도 4의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에 제2 가동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의 부분 상세도.
도 7은 고정부재에 제2 가동부재가 결합된 구성을 도 6의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3의 액추에이터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개 단면도.
도 9는 도 3의 액추에이터를 B-B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개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액추에이터를 C-C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개략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후 설명될 본 실시 예들은 "휴대 가능한 사용자 기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모바일은 휴대 가능한 사용자 기기를 지칭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일반적인 용어이며, 본 실시 예는 이동 전화기, 손바닥 크기(palm sized) 개인용 컴퓨터(PC), 개인용 통신 시스템(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개인용 디지털 어시스턴트(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PC(HPC: Hand-held PC), 스마트 폰(smart phone),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단말기, 랩탑 컴퓨터, 넷북(netbook), 태블릿 피씨(tablet personal computer), 모바일 외 게임기, VR 기기(Virtual Reality), 차량 등 중 다양한 기기 또는 분야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 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차원 좌표계를 도면에서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표시된 3차원 좌표계에 표시된 방향 중 제1 방향은 반사부재로 입사되는 광(입사광)과 수직한 방향으로서, 반사부재에서 반사된 광이 진행하는 방향(광축 방향)을 가리키며, 제2 방향은 상기 입사광의 방향과 수직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그리고 제3 방향은 상기 입사광의 진행 방향, 즉 외부에서 반사부재로 광이 유입(입사)되는 방향을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의 완전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추에이터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액추에이터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제2 가동부재에 제1 가동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의 부분 상세도이며, 도 5는 제2 가동부재에 제1 가동부재가 결합된 구성을 도 4의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고정부재에 제2 가동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의 부분 상세도이며, 도 7은 고정부재에 제2 가동부재가 결합된 구성을 도 6의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는, 피사체에서 반사된 광(light)이 바로 광학계로 유입되지 않고 반사부재를 통해 빛의 경로가 변경(굴절 또는 반사)된 채로 광학계로 유입되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Folded zoom camera module)에 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을 위해 적용되는 액추에이터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2)는, 반사부재(20) 및 이를 고정하는 제1 가동부재(22)를 포함한다. 반사부재(20)는 피사체로부터 입사광을 이미지 변환부(5, 도 11 참조) 측으로 반사시키고, 제1 가동부재(22)는 반사부재(20)의 일부를 노출시켜 탑재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반사부재(20)는 입사광을 굴절시키는 반사면(200)이 광이 입사되는 방향인 제3 방향과 수직한 평면에 대해 45도 각도로 기울어져 입사된 광을 90도 반사시키는 거울 또는 프리즘(Prism)일 수 있으며, 제1 가동부재(22)는 상기 반사면(200)에 대응하여 45도 각도로 경사진 탑재면을 형성한 실장부(222) 및 실장부(222)와 함께 상기 반사부재(20)가 탑재될 공간을 구획하는 양 측벽부(224)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액추에이터(2)는 또한, 제1 가동부재(22)를 수용하는 제2 가동부재(24)를 포함한다. 제2 가동부재(24)는 후술하게 될 고정부재(26)에 실장되고 반사부재(20)를 고정한 상태의 상기 제1 가동부재(22)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정 크기의 개구(243)를 갖는 바닥판(242)과 바닥판(242)의 제1 방향 양단에 직립 배치되는 측벽부(244)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가동부재(22)의 양 측벽부(224)의 외면에는 제2 틸팅 돌출부(226)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가동부재(22)를 수용하는 상기 제2 가동부재(24)의 양 측벽부(244) 상단에는 상기 제2 틸팅 돌출부(226)에 대응하여 제2 틸팅 가이드부(246)가 형성된다. 이때 제2 틸팅 가이드부(246)에는 제2 틸팅 돌출부(226)을 전부 또는 일부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원호형의 제2 그루브(247)가 요입 형성된다.
제2 그루브(247)의 곡률반경(R1)은 적어도 제2 틸팅 돌출부(226) 둘레의 곡률반경(R2)보다 크다. 따라서 후술할 제2 틸트 구동부(27)가 발생시킨 힘(Drive force)에 의해 제2 틸팅 돌출부(226)은 제2 그루브(247)의 그루브 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고정체인 제2 가동부재(24)에 대해 제1 가동부재(22)가 제2 틸팅 가이드부(246)를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되면서 제2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으로 발생되는 떨림을 상쇄시킨다.
제1 가동부재(22)가 수용되는 상기 제2 가동부재(24)는 고정부재(26)에 실장된다. 고정부재(26)는 바닥판(262)과 바닥판(262)의 제2 방향 양단에 직립 배치되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측벽부(264), 그리고 상기 바닥판(242)과 수직이며 한 쌍의 측벽부(264) 일단을 상호 연결하도록 배면판(266)으로 이루어져, 도면의 예시와 같이 상면부 및 일 측면부가 완전히 개방된 구성일 수 있다.
서로 마주하도록 대향되는 고정부재(26)의 일 측벽부와 타 측벽부(264)에는 제1 개구(265)가 형성되며, 고정부재(26)의 상기 바닥판(262)에는 제2 개구(263)가 형성된다. 제1 개구(265)에는 후술하게 될 제1 틸트 구동부(28)의 제1 코일(284)이 배치되며, 제2 개구(263)에는 후술하게 될 제2 틸트 구동부(27)의 제2 코일(274)이 배치된다.
제2 가동부재(24)의 하면의 제2 방향 중앙에는 제1 틸팅 돌출부(248)가 제1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가동부재(24)가 실장되는 상기 고정부재(26)의 바닥판(242) 상면의 제2 방향 중앙에는 상기 제1 틸팅 돌출부(248)에 대응하여 제1 틸팅 가이드부(268)가 형성된다. 이때 제1 틸팅 가이드부(268)에는 제1 틸팅 돌출부(248)을 전부 또는 일부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원호형의 제1 그루브(269)가 요입 형성된다.
제1 그루브(269)의 곡률반경(R3)은 적어도 제1 틸팅 돌출부(248) 둘레의 곡률반경(R4)보다 크다. 따라서 후술할 제1 틸트 구동부(28)가 발생시킨 힘(Drive force)으로 제1 틸팅 돌출부(248)는 제1 그루브(269)의 그루브 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며, 이에 따라 고정부재(26)에 대해 제2 가동부재(24)가 제1 틸팅 가이드부(268)를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되면서 제1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으로 발생되는 떨림을 상쇄시킨다.
제2 틸팅 가이드부(246)를 기준으로 하는 제1 가동부재(22)의 상기 제2 가동부재(24)에 대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틸팅은 앞서 언급한 제2 틸트 구동부(27)가 발생시키는 힘(Drive force)에 구현된다. 그리고 제1 틸팅 가이드부(268)를 기준으로 하는 제2 가동부재(24)의 상기 고정부재(26)에 대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틸팅은 제1 틸트 구동부(28)가 발생시키는 힘(Drive force)에 의해 구현된다.
이하 제1 틸트 구동부(28)와 제2 틸트 구동부(27)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1 틸트 구동부(28)의 구성부터 살펴보기로 한다.
제1 틸트 구동부(28)는 제2 가동부재(24) 양 측벽부(244)의 마그네트 장착부(249)에 마그네트 요크(282)와 함께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마그네트(280)를 포함한다. 또한 고정부재(26)를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상기 FPCB(29)에 실장되어 고정부재(26)의 양 측벽부(264)에 형성되는 제1 개구(265)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제1 마그네트(280) 각각에 대면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코일(284)을 구비한다.
제1 코일(284) 각각의 중심에는 공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둘 중 어느 한 제1 코일(284)의 공심부에는 상기 FPCB(29)와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도록 홀 센서(H3)가 실장될 수 있다. 이때 홀 센서(H3)는 대면하는 제1 마그네트(280)의 자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구동소자에 제공하며, 구동소자는 액추에이터 구동 명령 및 홀 센서(H3) 정보를 바탕으로 한 쌍의 제1 코일(284)을 제어한다.
구동소자의 제어에 따라 한 쌍의 제1 코일(284)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와 방향이 동시에 조절되며, 한 쌍의 제1 코일(284)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발생된 전기장과 대응되는 한 쌍의 제1 마그네트(280)의 자기장 간 상호 작용으로 힘(Drive force, 제1 틸팅 가이드부(268)를 기준으로 제2 가동부재(24)를 고정부재(26)에 대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틸팅시키는 힘)이 발생된다.
구동소자(미도시)는 액추에이터 구동 명령 및 홀 센서(H) 정보를 바탕으로 한 쌍의 제1 코일(284)에 세기는 같지만 흐름 방향이 반대인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7의 예시와 같이 우측 구동계와 좌측 구동계에 크기는 같지만 방향이 반대인 힘(Drive force, 화살표 참조)이 발생하고, 그 결과 제1 틸팅 돌출부(248)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토크가 발생된다.
이러한 토크에 의해 한 쌍의 제1 코일(284) 각각에 인가된 전류의 방향과 세기에 상응하는 방향과 변위로 제1 틸팅 돌출부(248)가 제1 그루브(269)의 그루브 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구름운동에 따른 제1 틸팅 돌출부(248)의 회전으로 고정부재(26)에 대해 제2 가동부재(24)가 제1 틸팅 가이드부(268)를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됨으로써 제1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으로 발생되는 떨림을 상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음 제2 틸트 구동부(27)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2 틸트 구동부(27)는 상기 제1 가동부재(22) 하면의 마그네트 장착부(도 1의 부분 확대도 참조, 228)에 마그네트 요크(272)와 함께 결합되는 제2 마그네트(270)를 포함한다. 또한 고정부재(26)를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FPCB(29)에 실장되어 고정부재(26) 바닥판(242)의 제2 개구(263)를 통해 상기 제2 마그네트(270)와 대면 배치되는 제2 코일(274) 및 제2 코일(274)이 실장된 면 반대편의 상기 FPCB(29)에 부착되는 제2 코일요크(276)를 구비한다.
제1 가동부재(22) 하면의 상기 마그네트 장착부(228)에 결합되는 제2 마그네트(270)와 상기 고정부재(26) 바닥판(242)의 제2 개구(263)에 위치하는 제2 코일(27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가동부재(24)의 바닥판(242) 일부가 개구됨에 따라 직접적으로 대면하며, 이로 인한 제2 마그네트(270)와 제2 코일요크(276) 사이의 인력에 의해 피수용체가 상대적 개념인 수용체에 밀착되는 구조로 결합된다.
즉 제2 마그네트(270)와 상기 제2 코일요크(276)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제1 가동부재(22)가 제2 가동부재(24)에 제3 방향으로 밀착되려는 힘을 받고, 고정부재(26)에 대해서는 상기 제2 가동부재(24)가 제3 방향으로 밀착되려는 힘을 받는다. 그 결과 제1, 제2 틸팅 돌출부(248, 226)는 대응되는 제1, 제2 그루브(269, 247)의 그루브 면에 긴밀히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제1, 제2 틸팅 돌출부(248, 226)가 제1, 제2 그루브(269, 247)의 그루브 면에 긴밀히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음에 따라, 액추에이터(2)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 또는 액추에이터에 전원 인가 후 인가된 전원이 차단되면, 제1, 제2 그루브(269, 247)의 만곡점에 제1, 제2 틸팅 돌출부(226, 248)의 만곡점이 각각 선접촉되는 중립 위치에 반사부재(20)가 자동 정렬되거나 이동 후 중립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제2 코일(274)은 중심에 공심부가 형성된 환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공심부에는 상기 FPCB(29)와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도록 홀 센서(H1, H2)가 실장될 수 있다. 홀 센서(H1, H2)는 제2 마그네트(270)의 자력을 감지하고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켜 구동소자에 출력하고, 구동소자는 외부 입력신호(액추에이터 구동 명령) 및 홀 센서(H1, H2) 신호를 바탕으로 제2 코일(274)을 제어한다.
구동소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2 코일(274)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와 방향이 조절되며, 제2 코일(274)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제2 코일(274)이 발생시킨 전기장과 제2 마그네트(270)의 자기장 간 상호 작용으로 힘(Drive force, 제2 틸팅 가이드부(246)를 기준으로 제1 가동부재(22)를 제2 가동부재(24)에 대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틸팅시키는 힘)이 발생된다.
이러한 힘에 의해 제2 코일(274)에 인가된 전류의 방향과 세기에 상응하는 방향과 변위로 제2 틸팅 돌출부(226)가 제2 그루브(247)의 그루브 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게 되고, 이러한 구름운동에 따른 제2 틸팅 돌출부(226)의 회전으로 제2 가동부재(24)에 대해 제1 가동부재(22)가 제2 틸팅 가이드부(246)를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됨으로써 제2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으로 발생되는 떨림을 상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면부호 21은 자성 재질의 쉴드 캔을 가리킨다. 쉴드 캔(21)은 반사부재(20)를 탑재한 제1 가동부재(22)가 제2 가동부재(24)에 조립되고, 이러한 제2 가동부재(24)가 고정부재(26)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26) 상측의 개방부 가장자리 부분을 덮도록 고정부재(26)와 결합됨으로써 고정부재(26)에 실장된 부품들의 이탈을 막는 마감재 역할과 함께 자기 차폐를 위해 기능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2 틸트 구동부에 의한 떨림 보정(제2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떨림에 대한 보정)부터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는 제2 틸트 구동부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8은 앞서 첨부된 도 3의 액추에이터를 A-A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3의 액추에이터를 B-B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가동부재(22)에 결합된 제2 마그네트(270)와 고정부재(26) 측의 제2 코일요크(276) 사이에는 서로 당기는 힘인 인력이 작용한다. 이에 따라 제2 틸트 구동부(27)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인력으로 인하여 제2 틸팅 돌출부(226)이 대응되는 제2 그루브(247)의 그루브 면에 긴밀히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제2 그루브(247)의 만곡점과 제2 틸팅 돌출부(226)의 만곡점이 서로 선접촉되며, 따라서 제2 틸트 구동부(27)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가동부재(22) 및 이에 탑재된 반사부재(20)는 제2 틸팅 가이드부(246)를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어느 한쪽으로도 틸팅(또는 회전)되지 않은 채 중립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제2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 떨림이 감지되면, 구동소자(미도시)의 통제에 따라 FPCB(29)를 통해 제2 코일(274)에 전류가 인가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9의 제2 틸팅 가이드부(246)를 기준으로 떨림이 감지된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지 시계 방향인지에 따라서, 구동소자는 상기 제2 코일(274)에 +/- 전류를 인가하거나 반대로 -/+ 전류를 인가한다.
떨림 감지에 따른 구동소자의 통제로 위와 같이 제2 코일(274)에 +/- 또는 -/+전류가 인가되면, 그 인가된 전류에 따라 제2 코일(274)이 자화되어 특정 방향 전기장이 발생되며, 발생된 전기장과 제2 마그네트(270)의 자기장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힘(Drive force, 제2 틸팅 가이드부(246)를 기준으로 제1 가동부재(22)를 제2 가동부재(24)에 대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시키려는 힘)이 발생된다.
이러한 힘에 의해 제2 코일(274)에 인가된 전류의 방향과 세기에 상응하는 방향과 변위로 제2 틸팅 돌출부(226)이 제2 그루브(247)의 그루브 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 제2 가동부재(24)에 대해 제1 가동부재(22)가 제2 틸팅 가이드부(246)를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됨으로써 제1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 떨림을 상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떨림 보정에 있어서, 제2 코일(274)의 공심부에 배치된 홀 센서(H1, H2)가 제2 마그네트(270)의 거리 변화를 센싱하며, 구동소자는 해당 홀 센서(H1, H2)의 출력 정보를 바탕으로 제1 가동부재(22)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초기 위치 대비 인식된 위치 값에 기초해 제2 틸트 구동부(27)를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제2 방향에 대한 떨림 보정이 정확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떨림 보정 후 반사부재(20)를 실장한 제1 가동부재(22)를 제2 틸팅 가이드부(246)를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힘(제2 틸트 구동부의 구동력)이 제거되면, 제1 가동부재(22)에 결합된 제2 마그네트(270)와 고정부재(26) 측의 제2 코일요크(276) 사이에 작용하는 힘인 인력에 의하여 반사부재(20) 및 이를 탑재한 제1 가동부재(22)는 제2 가동부재(24) 상에서의 원래 중립 위치로 자연스럽게 복귀하게 된다.
다음 제1 틸트 구동부에 의한 떨림 보정(제1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떨림에 대한 보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제1 틸트 구동부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앞서 첨부된 도 3의 액추에이터를 C-C선 방향에서 바라본 절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가동부재(24)는 제1 가동부재(22)와 고정부재(26) 사이에 위치하고 제1 가동부재(22)에 결합된 제2 마그네트(270)와 고정부재(26) 측의 제2 코일요크(276)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한다. 때문에 제1 틸트 구동부(28)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 틸팅 돌출부(248)은 대응되는 제1 그루브(269)의 그루브 면에 긴밀히 밀착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그루브(269)의 만곡점과 제1 틸팅 돌출부(248)의 만곡점이 서로 선접촉되며, 따라서 제1 틸트 구동부(28)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가동부재(24)는 고정부재(26)에 형성된 제1 틸팅 가이드부(268)를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어느 한쪽으로도 틸팅(또는 회전)되지 않은 채 고정부재(26) 상의 중립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제2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 떨림이 감지되면, 떨림 정보에 기초한 구동소자의 통제로 FPCB(29)를 통해 제1 방향으로 대향 배치된 두 개의 제1 코일(284)에 동시에 전류가 인가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 10의 제1 틸팅 가이드부(268)를 기준으로 떨림이 감지된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지 시계 방향인지에 따라서, 구동소자는 한 쌍의 제1 코일(284)중 일측의 제1 코일(284R)에는 +/- 전류를 인가하는 동시에 타측의 제1 코일(284L)에는 -/+ 전류를 인가하거나, 반대로 일측의 제1 코일(284R)에 -/+ 전류를 인가하는 동시에 타측의 제1 코일(284L)에는 +/- 전류를 인가한다.
떨림 감지에 따른 구동소자의 통제로 위와 같이 두 개의 제1 코일(284L, 284R)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면, 그 인가된 전류에 의해 한 쌍의 제1 코일(284L, 284R)이 자화되어 전기장이 발생되되, 도 10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제1 코일(284L)과 우측의 제1 코일(284R)에 크기는 같지만 방향이 서로 반대인 전기장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좌측의 제1 코일(284L)이 발생시킨 전기장과 제1 마그네트(280L)의 자기장 사이의 상호작용 및 우측의 제1 코일(28R4)이 발생시킨 전기장과 제1 마그네트(280R)의 자기장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좌측 구동계와 우측 구동계에 크기는 같지만 방향이 반대인 힘(Drive force, 전자기력)이 발생된다. 그 결과 제1 틸팅 돌출부(248)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토크가 발생된다.
이러한 토크에 의해 두 개의 제1 코일(284)에 인가된 전류의 방향과 세기에 상응하는 방향과 변위로 제1 틸팅 돌출부(248)이 제1 그루브(269)의 그루브 면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고정체인 고정부재(26)에 대해 제2 가동부재(24)가 제1 틸팅 가이드부(268)를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됨으로써 제1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반시계 또는 시계 방향 떨림을 상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떨림 보정에 있어서, 일측의 제1 코일(284) 공심부에 배치된 홀 센서(H3)가 대면 배치된 제1 마그네트(280)의 거리 변화를 센싱하며, 구동소자는 해당 홀 센서(H3)의 출력 정보를 바탕으로 제2 가동부재(24)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초기 위치 대비 인식된 위치 값에 기초해 제1 틸트 구동부(28)를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제2 방향에 대한 떨림 보정이 정확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떨림 보정 후 제1 가동부재(22)를 탑재한 제2 가동부재(24)가 제1 틸팅 가이드부(268)를 기준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힘(제1 틸트 구동부(28)의 구동력)이 제거되면, 제1 가동부재(22)에 결합된 제2 마그네트(270)와 고정부재(26) 측의 제2 코일요크(276) 사이에 작용하는 힘인 인력에 의하여 제2 가동부재(24)는 고정부재(26) 상에서의 원래 중립 위치로 자연스럽게 복귀하게 된다.
다른 한편, 제1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 떨림에 대한 보정과 제2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떨림에 대한 보정이 동시에 행해질 경우, 구조적으로 고정부재(26)에 대한 제2 가동부재(24)의 움직임이 제2 가동부재(24)에 대한 제1 가동부재(22)의 정확한 위치를 인식함에 있어 영항을 미칠 수 있다.
즉 제2 틸트 구동부(27)의 홀 센서는 제2 가동부재(24)에 대한 제1 가동부재(22)의 위치 변화만 감지해야 하는데, 2축 방향에 대한 떨림 보정이 동시에 행해질 경우 고정부재(26)에 대한 제2 가동부재(24)의 움직임에 의해 제2 마그네트(270)가 제1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도 틸팅됨에 따라(도 10 참조), 실제 제2 틸트 구동부(27)의 홀(Hall) 값에는 제2 가동부재(24)에 대한 제1 가동부재(22)의 위치 변화뿐 아니라, 고정부재(26)에 대한 제2 가동부재(24)의 위치 변화에 관한 정보도 포함된다.
이처럼 실제 제2 틸트 구동부(27)의 홀(Hall) 값에 제2 가동부재(24)에 대한 제1 가동부재(22)의 위치 변화뿐 아니라, 고정부재(26)에 대한 제2 가동부재(24)의 위치 변화에 관한 정보까지 포함되면, 제1 가동부재(22)에 대한 부정확한 위치 인식으로 제2 틸트 구동부(27)에 의한 떨림 보정(제2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떨림에 대한 보정) 시 제어 정밀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코일(274)의 제1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적인 배치를 이루도록 해당 코일(제2 코일(274))의 공심부에 두 개의 홀 센서(H,1 H2)를 배치하되(도 2 참조), 두 홀 센서(H1, H2)의 출력이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변화할 때의 출력값만 제1 가동부재(22)의 움직임으로 인식하고, 두 홀 센서(H1, H2)의 출력이 동시에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출력되는 경우에 한해서는 그 출력을 무시할 수 있도록 제어 알고리즘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두 홀 센서(H1, H2) 중 일측의 홀 센서(H1)의 출력이 -값이고 대향부 타측의 다른 홀 센서(H2)의 출력 +값으로 출력되는 방향에 대해서는 두 홀 센서(H1, H2)의 출력이 서로 상쇄될 수 있도록 제어 알고리즘을 구성함으로써, 고정부재(26)에 대한 제2 가동부재(24)의 위치 변화에 따른 제2 마그네트(270)의 위치 변화는 무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에서 반사부재 이동을 위해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볼-가이드 방식은, 볼 레일에 직접적인 충격을 가하는 낙하 시험 또는 실제 낙하 시 세라믹 재질의 볼이 합성수지로 구성된 볼 레일에 가하는 충격으로 인하여 볼 레일에 볼 찍힘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반사부재의 거동 특성이 나빠짐으로써 촬상 이미지의 상태가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는, 볼-가이드 방식이 아닌 원호형의 그루브를 따라 틸팅 돌출부이 구름운동을 하면서 반사부재를 2축 방향으로 회전(틸팅)시켜 떨림에 대응하는 방식이므로, 종래 기술과 같은 볼 찍힘의 우려가 전혀 없다. 즉 장치의 내구성이 우수하며 반사부재의 거동 특성이 안정적인 신뢰도 높은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종래 볼-가이드 방식의 경우, 매우 작은 크기의 볼을 레일이나 홈에 실장함에 있어 상당한 제조 정밀도가 요구되므로 제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비용 상승이 수반될 수 밖에 없었다. 다시 말해 작업의 정밀도를 요하는 만큼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고, 제품의 양산성 측면에서도 불리한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존 볼-가이드 방식에 비해 단순한 구성이면서도 틸팅 돌출부이 구름운동을 하면서 떨림에 대응하는 방식이므로, 상대 운동하는 부품 간 마찰력이 크게 줄어 구동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볼을 사용하지 않는 만큼 별도의 윤활 작업도 필요 없어 비용 절감 및 제품의 양산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1)는 크게,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2), 광학계(O), 이미지 변환부(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2)는 앞서 설명한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광학계(O)는 렌즈배럴(부호 생략)을 포함한다. 렌즈배럴은 피사체에 반사되어 제3 방향으로 입사되고 상기 액추에이터(2)의 반사부재를 통해 반사된 광을 수광하며, 수광된 광을 제2 방향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광축 방향으로 정렬된다. 이때 렌즈배럴은 복수의 렌즈들로 구성된 렌즈군을 수용하며, 렌즈 각각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초점 거리,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광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광학계(O) 후방에 배치되는 이미지 변환부(5)이 상기 광학계(O)를 통과한 광을 수광한다. 이미지 변환부(5)은 기판(52)과 이러한 기판(52) 상에 실장되는 이미지센서(50)를 포함한다. 이미지센서(50)는 상기 광학계(O)를 통과한 광으로부터 이미지 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된 이미지 정보는 기판(52)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광학계(O)와 이미지 변환부(5) 중간의 광 경로 상에는 IR 필터(4)가 설치될 수 있다. IR 필터(4)는 입사광에 포함된 특정 파장,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파장을 필터링하고, 적외선 파장이 필터링 된 광이 이미지 변환부(5)에 투영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는 광학계와 이미지 변환부(5) 사이에 IR 필터(4)가 배치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는 제2 가동부재와 제1 가동부재에 제1 틸팅 돌출부와 제2 틸팅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고정부재와 제2 가동부재에 제1 틸팅 가이드부와 제2 틸팅 가이드부가 각각 형성된 구성을 예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제2 가동부재와 제1 가동부재에 제1 틸팅 가이드부와 제2 틸팅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재와 제2 가동부재에 제1 틸팅 돌출부와 제2 틸팅 돌출부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므로, 그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카메라 모듈 2 :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4 : IR 필터 5 : 이미지 변환부
20 : 반사부재 21 : 쉴드 캔
22 : 제1 가동부재 24 : 제2 가동부재
26 : 고정부재 27 : 제2 틸트 구동부
28 : 제1 틸트 구동부 29 : FPCB
50 : 이미지센서 52 : 기판
222 : 실장부 224 : 제2 가동부재의 측벽부
226 : 제2 틸팅 돌출부 228 : 마그네트 장착부
242 : 제2 가동부재의 바닥판 243 : 개구
244 : 제2 가동부재의 측벽부 246 : 제2 틸팅 가이드부
247 : 제2 그루브 248 : 제1 틸팅 돌출부
249 : 마그네트 장착부 262 : 고정부재의 바닥판
263 : 제2 개구 264 : 고정부재의 측벽부
265 : 제1 개구 266 : 고정부재의 배면판
268 : 제1 틸팅 가이드부 269 : 제1 그루브
270 : 제2 마그네트 272 : 마그네트 요크
274 : 제2 코일 276 : 제2 코일요크
280 : 제1 마그네트 282 : 마그네트 요크
284 : 제1 코일 H1, H2, H3 : 홀센서
O : 광학계
4 : IR 필터 5 : 이미지 변환부
20 : 반사부재 21 : 쉴드 캔
22 : 제1 가동부재 24 : 제2 가동부재
26 : 고정부재 27 : 제2 틸트 구동부
28 : 제1 틸트 구동부 29 : FPCB
50 : 이미지센서 52 : 기판
222 : 실장부 224 : 제2 가동부재의 측벽부
226 : 제2 틸팅 돌출부 228 : 마그네트 장착부
242 : 제2 가동부재의 바닥판 243 : 개구
244 : 제2 가동부재의 측벽부 246 : 제2 틸팅 가이드부
247 : 제2 그루브 248 : 제1 틸팅 돌출부
249 : 마그네트 장착부 262 : 고정부재의 바닥판
263 : 제2 개구 264 : 고정부재의 측벽부
265 : 제1 개구 266 : 고정부재의 배면판
268 : 제1 틸팅 가이드부 269 : 제1 그루브
270 : 제2 마그네트 272 : 마그네트 요크
274 : 제2 코일 276 : 제2 코일요크
280 : 제1 마그네트 282 : 마그네트 요크
284 : 제1 코일 H1, H2, H3 : 홀센서
O : 광학계
Claims (10)
- 삭제
- 피사체로부터의 입사광을 이미지 변환부 측으로 반사 또는 굴절시키는 반사부재;
상기 반사부재를 탑재하는 제1 가동부재;
상기 제1 가동부재와 결합되는 제2 가동부재; 및
상기 제2가동부재를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동부재 또는 고정부재는 중앙에 원호 형상의 제1 틸팅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 또는 제2 가동부재에는 상기 제1 틸팅 돌출부를 수용하며 곡률반경이 상기 제1 틸팅 돌출부보다 큰 원호 형상의 제1 그루브를 갖는 제1 틸팅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가동부재는,
상기 제1 틸팅 돌출부가 상기 제1 그루브 상에서 구름 운동하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제1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부재 또는 제1 가동부재는 양측에 원호 형상의 제2 틸팅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가동부재 또는 제2 가동부재에는 상기 제2 틸팅 돌출부를 수용하며 곡률반경이 상기 제2 틸팅 돌출부보다 큰 원호 형상의 제2 그루브를 갖는 제2 틸팅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가동부재는,
상기 제2 틸팅 돌출부가 상기 제2 그루브 상에서 구름 운동하면, 제2 가동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방향 축선과 직교하는 제2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틸팅되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기 제1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1 틸트 구동부; 및
상기 제1 가동부재가 상기 제2 가동부재에 대해 상기 제2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틸팅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2 틸트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틸트 구동부는,
상기 제2 가동부재의 일 측벽부 및 대향부 타측벽부에 마그네트 요크와 함께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마그네트와,
상기 고정부재를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FPCB에 실장되어 고정부재 양 측벽부에 형성된 제1 개구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제1 마그네트 각각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코일을 포함하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틸트 구동부는,
상기 제1 가동부재의 하면부에 마그네트 요크와 함께 결합되는 제2 마그네트와,
상기 고정부재를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FPCB에 실장되어 고정부재의 바닥판에 형성되는 제2 개구를 통해 상기 제2 마그네트와 대면 배치되는 제2 코일과,
상기 제2 코일이 실장된 면 반대편의 FPCB에 부착되는 제2 코일요크를 포함하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부재에 결합되는 제2 마그네트와 상기 제2 개구에 배치되는 제2 코일이 직접 대면하도록 제2 가동부재의 바닥판 일부가 개구된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네트와 제2 코일요크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가동부재가 제2 가동부재에 밀착되고 제2 가동부재는 고정부재에 밀착되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입사광과 수직한 방향(광축 방향)이며,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입사광의 방향과 수직한 평면 상에서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 제 2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상기 액추에이터의 반사부재를 통해 반사된 광이 통과하도록 제1 방향(광축 방향)으로 정렬된 광학계; 및
상기 반사된 광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광학계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광학계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에 상응하는 이미지 정보를 출력하는 이미지 변환부;를 포함하는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7243A KR102354161B1 (ko) | 2020-06-03 | 2020-06-03 |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PCT/KR2021/006570 WO2021246708A1 (ko) | 2020-06-03 | 2021-05-27 |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7243A KR102354161B1 (ko) | 2020-06-03 | 2020-06-03 |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0195A KR20210150195A (ko) | 2021-12-10 |
KR102354161B1 true KR102354161B1 (ko) | 2022-01-24 |
Family
ID=78831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7243A KR102354161B1 (ko) | 2020-06-03 | 2020-06-03 |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4161B1 (ko) |
WO (1) | WO202124670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13750600U (zh) * | 2020-07-30 | 2021-07-20 |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 光学元件驱动机构 |
KR20230119511A (ko) * | 2022-02-07 | 2023-08-16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
KR20240056007A (ko) * | 2022-10-21 | 2024-04-30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CN117595602B (zh) * | 2022-12-02 | 2024-08-27 | 华为技术有限公司 | 音圈马达、光学防抖组件、摄像模组及电子设备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83417B2 (ja) * | 2014-11-27 | 2019-03-13 | Hoya株式会社 | 撮像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285566B2 (en) * | 2013-08-08 | 2016-03-15 | Apple Inc. | Mirror tilt actuation |
KR102002718B1 (ko) | 2016-05-30 | 2019-10-18 |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 회전식 볼-가이드 음성 코일 모터 |
KR101901705B1 (ko) * | 2016-10-13 | 2018-09-28 | 삼성전기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KR101973434B1 (ko) | 2017-02-17 | 2019-04-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KR102166942B1 (ko) * | 2017-02-20 | 2020-10-16 | 자화전자(주) | 다축 구조의 ois용 반사계 구동장치 |
KR102004802B1 (ko) * | 2017-02-23 | 2019-07-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KR102100195B1 (ko) * | 2018-03-14 | 2020-04-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미지 획득 장치 |
-
2020
- 2020-06-03 KR KR1020200067243A patent/KR10235416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5-27 WO PCT/KR2021/006570 patent/WO2021246708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83417B2 (ja) * | 2014-11-27 | 2019-03-13 | Hoya株式会社 | 撮像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0195A (ko) | 2021-12-10 |
WO2021246708A1 (ko) | 2021-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4161B1 (ko) |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2225727B1 (ko) | 소형의 접이식 카메라의 롤 보정에 의한 자동 초점 및 광학식 손떨림 방지 | |
KR20180097228A (ko) |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20170020803A (ko) | 폴딩된 광학 어레이 카메라들을 위한 자동초점 | |
KR102106525B1 (ko) |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CN211206941U (zh) | 潜望式光学模块以及光学系统 | |
KR20210027196A (ko) | 카메라 모듈 | |
US20230341654A1 (en) | Optical system | |
WO2024114616A1 (zh) | 音圈马达、光学防抖组件、摄像模组及电子设备 | |
US10976568B1 (en) | Camera device with hand shake correction function | |
WO2021171030A1 (en) | A camera assembly | |
KR20210034400A (ko) |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US20170075131A1 (en) | Anti-vibration optical system, telephoto optical system, binocle, and anti-vibration unit | |
KR20210100429A (ko) | 프리즘 액츄에이터 | |
EP4206778A1 (en) | Camera module, photographing module and terminal | |
KR20230011048A (ko) |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 |
CN114047659A (zh) | 反射模块、摄像模组及电子设备 | |
KR102312300B1 (ko) | 광 굴절식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US20230400703A1 (en) | Image stabilization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US20240201564A1 (en) |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 |
KR102574418B1 (ko) | 카메라 모듈 | |
US20230236385A1 (en) | Camera module | |
KR20210087782A (ko) |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CN117223292A (zh) | 相机致动器及包括该相机致动器的相机装置和光学装置 | |
KR20220005300A (ko) |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