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837B1 - Breast wall structure - Google Patents
Breast wall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4837B1 KR102334837B1 KR1020190101568A KR20190101568A KR102334837B1 KR 102334837 B1 KR102334837 B1 KR 102334837B1 KR 1020190101568 A KR1020190101568 A KR 1020190101568A KR 20190101568 A KR20190101568 A KR 20190101568A KR 102334837 B1 KR102334837 B1 KR 1023348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ilding unit
- retaining wall
- net
- support rod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은, 옹벽의 전방을 형성하는 복수의 축조유닛들과, 상기 축조유닛의 후방에 매설되는 네트 부재를 포함하는 옹벽구조물로서, 제 1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축조유닛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축조유닛과 제 2 축조유닛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 수단과, 상기 고정 수단에 일부가 삽입 또는 고정되면서, 상기 옹벽의 후방에 매설되는 네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제 1 축조유닛과 제 2 축조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바디와, 상기 지지 바디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지지 로드와, 상기 지지 바디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지지 로드와, 상기 상부 지지 로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축조유닛의 하면을 뚫고 삽입되는 상부 고정부와, 상기 하부 지지 로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축조유닛의 상면을 뚫고 삽입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한다.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retaining wall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truction units forming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and a net member buried in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unit, the first construction unit and the first construction unit a second building unit disposed under wherein the fixing means includes a support body disposed between the first building unit and the second building unit, an upper support rod extending upwardly from the support body, and a lower support rod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support body; , an upper fixing part formed on the upper support rod and insert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uilding unit, and a lower fixing part formed on the lower support rod and inser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uilding uni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옹벽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뒷채움층에 포설되는 지오그리드의 양을 극히 줄이면서도 옹벽의 안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옹벽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to a retaining wall structure capable of further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while extremely reducing the amount of geogrid installed in the backfill layer.
일반적으로, 옹벽은 도로 변이나 혹은 산 기슭 등과 같이 토양의 압력에 의해 토양이 무너지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지역에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여 그 견고성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조물을 의미한다.In general, a retaining wall refers to a structure installed in an area where soil collapse easily occurs due to soil pressure, such as a roadside or the foot of a mountain, to prevent soil loss and secure its firmness and stability. .
현재 옹벽의 설치 방식과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가장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시공 지점 상에 강철망을 설치한 후, 다시 혼합된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이를 고형화시키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그 시공 규모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시공의 난이도 역시 높고, 또한 혼합된 콘크리트가 고형화되는 시간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시공 기한이 길어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Currently, the installation methods and types of retaining walls are very diverse, and the most traditional method is to install a steel mesh on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n inject mixed concrete again to solidify it. However, this method has disadvantages in that the construction scale is very large,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is high, and the time for solidification of the mixed concrete is relatively long, so the construction period is inevitably long.
일반적으로 옹벽 구축시, 흙은 콘크리트나 강재 암석 등과는 달리 자체적으로 소정의 강도를 발휘하지 못하는 특성이 있어서 흙 내부에 인장력이 큰 여러 가지 보강재를 사용하여 그 점착력을 증가시켜 강화된 보강토를 제작한 후 이러한 보강토를 이용하여 옹벽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In general, when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nlike concrete or steel rock, the soil has a characteristic that it cannot exert a predetermined strength on its own. Afterwards,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constructed using this reinforcing soil.
즉, 사면의 표면도 철근콘크리트 구조, 보강토 옹벽 구조 등으로 보강한다. 이중 보강토 옹벽 구조는 원 경사지반 앞에 옹벽블록, 옹벽패널 등을 쌓아 올리는 것인데, 옹벽블록과 원 경 사지반 사이에는 보강토(뒷채움 골재)를 층층이 채워 다진다. 보강토에 의한 성토부의 안정성 강화를 위해서 보강토의 층 사이에 지오그리드를 포설하여 뒷채움 골재의 층간 마찰력을 높이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That is, the surface of the slope is also reinforced with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etc. The double-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is to stack retaining wall blocks and retaining wall panels in front of the original sloped ground, and reinforced soil (backfill aggregate) is filled layer by layer between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original sloped ground. In order to strengthen the stability of the fill part by the reinforcing soil, a method of increasing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layers of the backfill aggregate by installing a geogrid between the layers of the reinforcing soil is commonly used.
종래에 사용되는 지오그리드는 보강토 층 전영역에 걸쳐 포설하기 때문에, 지오그리드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게 증가하고, 고비용의 지오그리드의 사용을 줄이면 층간 마찰력의 감소로 성토부의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Since the conventionally used geogrid is install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reinforcing soil layer, the cost of the geogrid greatly increases, and if the use of the expensive geogrid is reduced, the stability of the fill part is greatly reduced due to the reduction of interlayer friction.
본 발명은 옹벽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오그리드의 사용량을 극히 줄이면서도 층간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옹벽블록(본 발명에서는 축조유닛)들 사이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지오그리드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가 하나의 부재로 가능하도록 하여 안정성을 도모하면서도 시공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옹벽구조물과 그 시공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inter-floor stability while extremely reducing the amount of geogrid used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s well as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xing memb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while promoting stability by making it possible to use a single member to fix the geogrid and the geogrid.
본 실시예에 따른 옹벽구조물은, 옹벽의 전방을 형성하는 복수의 축조유닛들과, 상기 축조유닛의 후방에 매설되는 네트 부재를 포함하는 옹벽구조물로서, 제 1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축조유닛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축조유닛과 제 2 축조유닛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 수단과, 상기 고정 수단에 일부가 삽입 또는 고정되면서, 상기 옹벽의 후방에 매설되는 네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제 1 축조유닛과 제 2 축조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바디와, 상기 지지 바디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지지 로드와, 상기 지지 바디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지지 로드와, 상기 상부 지지 로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축조유닛의 하면을 뚫고 삽입되는 상부 고정부와, 상기 하부 지지 로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축조유닛의 상면을 뚫고 삽입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한다.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retaining wall structure including a plurality of construction units forming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and a net member buried in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unit, the first construction unit and the first construction unit a second building unit disposed under wherein the fixing means includes a support body disposed between the first building unit and the second building unit, an upper support rod extending upwardly from the support body, and a lower support rod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support body; , an upper fixing part formed on the upper support rod and insert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uilding unit, and a lower fixing part formed on the lower support rod and inser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uild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고정 수단을 통해 상층의 축조유닛과 그 하층의 축조유닛들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과 함께, 지오그리드의 일부가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축조유닛의 결속을 위한 부재와 지오그리드의 고정을 위한 부재가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mber for binding of the building unit because a part of the geogrid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together with the binding of the building unit of the upper layer and the building unit of the lower layer through the fixing means. and a member for fixing the geogrid does not need to be separately provided.
또한, 시공시 지오그리드의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시공 비용 역시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geogrid used during constructi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cost can also be greatly reduc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옹벽구조물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통해 축조유닛과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라 상하방향의 축조유닛과 지오그리드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지오그리드를 매설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unit and the geogrid are combined through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ion unit and the geogri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burying a geogr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determined from the matters disclosed in this embodiment,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implementation of addition, deletion, change, etc. of components with respect to the proposed embodiment It will be said to include transformations.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설명에 사용되는 접미수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used in the descrip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or us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옹벽구조물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라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네트 부재 보다 길이가 짧은 서브 보강 부재가 구성되는 경우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constructe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d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cases in which a sub-reinforcing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than a net member extending to the rear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m.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옹벽구조물은 복수의 축조유닛들을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축조되고, 해당 축조유닛들 사이에 후방의 보강토 층들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지오그리드가 고정된다. 축조유닛과 지오그리드는 별도의 고정부재가 아닌 단일의 고정수단(200)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축조유닛들의 위치 고정을 위하여 상하방향의 축조유닛들 사이와, 수평방향의 축조유닛들 사이에 별도의 고정부재들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First, i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uilding units are built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nd a geogrid is fixed between the corresponding building units to increase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reinforcing earth layers at the rear. Since the construction unit and the geogrid are fixed by a single fixing means 200 rather than a separate fixing member, a separate space between the construction unit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between the construction unit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nstruction units There is no need to install fixing members.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지오그리드는 널리 알려진 지오그리드 이외에 다양한 재질의 그물이나 망과 같은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이며, 이하에서는 지오그리드를 포함한 그물이나 망과 같이 격자로 제작되어 보강토를 다짐시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을 네트 부재로 통칭하여 부르기로 한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eogrid includes members such as nets or nets of various materials in addition to the well-known geogrid, and in the following, a net or net including the geogrid is manufactured as a grid to provide frictional force when compacting the reinforcing soil. The configuration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net member.
상세히, 도 1을 참조하면, 복수의 축조유닛(1)들이 수직방향으로 쌓여서 옹벽구조물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하방향의 축조유닛(1)들 사이에는 본 실시예의 네트 부재(10)가 매설된다. 상기 네트 부재(10)는 고정수단(200)에 의해 상기 축조유닛(1)들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하방향의 축조유닛들을 결속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In detail, referring to FIG. 1 , a plurality of
상기 네트 부재(10)는 상하방향의 축조유닛들 각각에 매설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축조유닛 몇개의 층마다 매설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네트 부재는 기존의 네트 부재인 지오그리드를 복수개로 잘라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기존의 장방형의 지오그리드를 소정 간격으로 잘게 잘라서, 본 실시예의 네트 부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만큼 적은 양으로도 본 발명의 구조에 따라 충분한 안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e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축조유닛들(1)을 기준으로 상기 네트 부재(10)가 매설 및 연장되는 방향을 옹벽구조물의 후방이라고 하고, 그 반대의 방향을 옹벽구조물의 전방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Meanwhi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상기 축조유닛(1)들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과 함께, 수평방향으로도 축조되어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축조유닛들에 의하여 옹벽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1 , the
수평측 축조유닛(1)은 지면 상에 쌓여진 다수의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이고, 수직측 축조유닛(1)은 수평측 축조유닛 상에 쌓여진 다수의 모래자루 또는 흙자루이다. 이러한 축조유닛(1)은 내구성이 있는 지오텍스타일(geotextile) 재료와, 물이 축조유닛(1)을 통과하여 흘러 들어올 수 있고, 씨가 발아할 수 있는 재질의 직물로 만들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축조유닛은 흙이나 모래가 채워진 토낭으로 이해하여도 좋다. The
한편,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라 토낭인 축조유닛(1)의 크기가 작더라도 옹벽구조물로서 전면에서 보강토 등의 토압을 충분히 견뎌내기 위하여 작은 길이의 서브 보강 부재(50)가 구성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2 and 3 ,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size of the
서브 보강 부재(50) 역시 기존의 네트 부재인 지오그리드를 복수개로 잘라서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외에도 부직포 또는 직포와 같은 패브릭 소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메인 보강 부재에 해당하는 네트 부재(10) 뿐만 아니라 작은 길이의 서브 보강 부재(50) 역시 보강토에 마찰력을 제공하면서 구조물 안정성을 도모한다. 다만, 상기 서브 보강 부재(50)는 작은 크기의 축조유닛(1)들을 사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경우에도, 후방의 토압에 의하여 전방으로 축조유닛들이 무너지지 않도록 각각의 축조유닛에 대한 지지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이러한 서브 보강 부재(50)는 상기 네트 부재(10)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직포 또는 직포 재질의 패브릭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The
상기 서브 보강 부재(50) 역시 단일의 축조유닛 상에만 놓여질 수 있는 크기/폭을 갖으며, 이를 통해 각각의 축조유닛들에 개별적인 지지력을 제공한다. The
고정 수단의 경우, 축조유닛의 크기 및 다른 고정 수단의 위치에 따라 지그재그 형태의 배열로 설치되거나, 동일한 수직선상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case of the fixing means, it may be installed in a zigzag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uilding unit and the position of other fixing means, or it may be installed on the same vertical line.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통해 축조유닛과 지오그리드를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struction unit and the geogrid are combined through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그리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상하방향의 축조유닛과 지오그리드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And, Figure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ion unit and the geogri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네트 부재(10)는 단일의 축조유닛(1) 상에만 위치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즉, 옹벽구조물 후방에서 보강토가 다져지는 전 영역에 걸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ure 4, the
지오그리드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줄이면서 옹벽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네트 부재(10)의 폭은 단일의 축조유닛(1)의 가로 길이(장변) 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다. 즉, 각각의 축조유닛(1)은 단변과 장변을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네트 부재(10)는 단일의 축조유닛(1) 상부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축조유닛(1) 상에 위치하고, 그 크기도 축조유닛(1)의 장변보다는 작은 크기의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In order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while reducing the size of the geogrid relatively significantly, the width of each
이와 같이, 각각의 축조유닛(1) 상부면에 네트 부재(10)가 위치하고, 그 폭이 축조유닛(1)의 장변보다 작기 때문에, 각각의 네트 부재(10) 사이에는 지오그리드가 존재하지 않고 보강토가 곧바로 위치하게 되는 보이드 영역(A)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이드 영역(A)이 형성되더라도 보강토 층은 좌우측의 지오그리드에 의한 다짐/밀착과 함께, 상하 방향의 지오그리드에 의한 마찰력이 충분히 발생하기 때문에 오히려 옹벽구조물 전체적으로 안정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갖고 온다. In this way, since the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5를 참조하면, 하층에 위치한 축조유닛(1a)들 상에 배치되는 상층의 축조유닛(1)은 하층 2개의 축조유닛(1a)들에 걸쳐서 축조되며, 하층에 위치한 축조유닛(1a)을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In this regard, referring to FIG. 5 , the
따라서, 하층 축조유닛(1a) 상에 매설되는 하층 네트 부재(13)는 상층 지오그리드들(11,1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층 네트 부재(11,12) 사이의 보이드 영역(A)에 다져지는 보강토는 좌우의 상층 네트 부재(11,12)에 의한 밀착과 함께, 하층 네트 부재(13)에 의한 마찰, 도시되지 않은 더 높은 위치의 지오그리드에 의해서도 마찰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보강토층 각각은 상하좌우 방향에 지오그리드들이 위치하게 되는 구조를 갖게 되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지오그리드의 매설 양을 줄이더라도 안정적인 옹벽구조물로서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lower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지오그리드를 매설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and 7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method of burying a geogri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각각의 축조유닛(1) 상에 하나의 네트 부재(10) 일부가 위치하고, 네트 부재(10)는 고정수단(20)에 의해 상기 축조유닛(1)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20)은 그 일부가 상기 축조유닛(1)을 뚫고 그 내부로 들어가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기 네트 부재(10)는 상기 고정수단(20)에 의해 그 일단이 축조유닛(1)에 고정된다. 6 and 7 , a part of one
상기 축조유닛(1) 상부면에서 상기 고정수단(20)를 통해 고정되는 각각의 네트 부재(10)들은 후방쪽으로 배치되는데, 이들 지오그리드를 전후방 지오그리드라고 한다면, 이들 전후방 네트 부재(10)를 가로지는 좌우측 네트 부재(21,22)를 더 매설할 수 있다. Each of the
그리고, 좌우측 네트 부재(21,22)와 전후방 네트 부재(10)가 겹치는 영역에는 상기 고정수단(20)을 설치함으로써, 각 지오그리드의 위치를 더욱 견고히 고정시켜 지오그리드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fixing means 20 in the area where the left and right
즉, 상기 좌우측 네트 부재(21,22)는 그 일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후방 네트 부재들을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이를 통해 적은 양의 네트 부재(예를 들면, 철망이나 지오그리드)가 사용되더라도 옹벽으로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at is, the left and right
한편, 상기 좌우측 네트 부재나 전후방 네트 부재보다 짧은 길이의 서브 보강 부재(50)이 설치되는 위치에도 일부가 겹쳐지도록 서브 보강 부재가 가로 질러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b-reinforcement member may be installed across the left and right net members or the front and rear net members so that a part of the
지오그리드 또는 철망 등의 네트 부재(10)가 존재하지 않는 보이드 영역(A)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좌우 4방이 인접한 네트 부재로 둘러싸이거나 전후 방향 또는 좌우방향이 인접한 네트 부재에 둘러싸이기 때문에 이 역시 큰 사이즈의 지오그리드라고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void area A in which the
도 8와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수단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8 and 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ure 10 is a diagram for showing the fix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 폭이 축조유닛의 장변보다 작게 형성된 지오그리드를 축조유닛에 고정시키면서, 각 축조유닛들 사이에의 결속도 함께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수단(200)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The fixing means 200 for fixing the geogrid, whose width is smaller than the long side of the building unit, to the building unit, and also allowing binding between each building unit together, is shown in FIG. 9 .
상기 고정수단(200)은 상하 방향의 축조유닛 2개에 각각 삽입 및 고정되는 상부 고정부(220)와 하부 고정부(230)를 포함하고, 축조유닛 상부면에 놓이는 지지 바디(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고정부(220)와 지지 바디(210)를 연결하는 상부 지지 로드(201)와, 상기 지지 바디(210)와 하부 고정부(230)를 연결하는 하부 지지 로드(202)를 포함한다. The fixing means 200 includes an
상기 상부 고정부(220)와 하부 고정부(230) 각각은 축조유닛을 뚫고 그 내부로 삽입되고, 삽입된 다음에는 축조유닛의 지오텍스타일(geotextile) 또는 직물에 의해 다시 외부로 쉽게 빠지지 않도록 콘(corn)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Each of the upper fixing
상기 상부 고정부(220)는 상기 지지 바디(210)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한 제 1 축조유닛 내부로 그 삽입이 용이하면서 삽입된 이후에는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상측 단부에서 상기 지지 바디(210)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e
반면, 상기 하부 고정부(230)는 상기 지지 바디(220)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한 제 2 축조유닛 내부로 그 삽입이 용이하면서 삽입된 이후에는 쉽게 탈거되지 않도록 하측 단부에서 상기 지지 바디(210)측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지지 바디(210)는 제 1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축조유닛의 하층에 배치되는 제 2 축조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고정부(220)와 하부 고정부(230)를 각각 연결하는 상부 지지 로드(201)와 하부 지지 로드(202)가 구성되어 있다. The
옹벽 시공시에, 지오그리드는 상기 상부 지지 로드(201) 또는 하부 지지 로드(202)에 걸려서 그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상부 고정부(220)와 하부 고정부(2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축조유닛들을 상호 연결 및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the geogrid is caught by the
옹벽구조물 시공시에, 하층의 제 2 축조유닛을 배치한 다음, 상기 고정 수단(200)을 상기 제 2 축조유닛 상에 위치시키면서 상기 고정 수단(200)의 하부 고정부(230)를 상기 제 2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 및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지 로드(201)가 지오그리드 일부를 통과하도록 상기 지오그리드를 매설한 다음, 상기 상부 고정부(220)가 제 1 축조유닛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축조유닛을 상기 지지 바디(210) 상에 배치시킨다. When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fter arranging the second building unit in the lower layer, the
상기 지오그리드 상에 보강토를 매설하여 보강토를 다져가면서 옹벽 구조물을 순차적으로 완성해나간다.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sequentially completed while compacting the reinforcement soil by burying the reinforcement soil on the geogrid.
다만, 상기 지오그리드가 반드시 상기 지지 바디(210) 상측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지 바디(210)의 하측, 즉, 지지 바디(210)의 하층의 제 2 축조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However, the geogrid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한편, 도 10에 도시된 고정 수단의 경우, 상하 방향의 각 축조유닛들 내에 삽입되어 이들을 결속시키는 것과 함께, 지오그리드 또는 철망과 같은 네트 부재가 축조유닛측에 결속이 더욱 견고히 되도록 하면서, 고정 수단 전체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되어 버리는 경우를 차단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fixing means shown in Fig. 10, while being inserted into each of the construction unit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bind them, a net member such as a geogrid or wire mesh to make the binding more firm to the construction unit side, the entire fixing means It has a shape that can block the case of being inserted into the building unit.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지지 로드(201) 및 하부 지지 로드(202)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 지지 로드(201)의 일측에는 상측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되기 쉬운 형상의 상부 고정부(220)가 구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 로드(202)의 일측에는 하측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형상의 하부 고정부(230)가 구성된다. An
그리고, 상기 상부 지지 로드(201) 또는 하부 지지 로드(202)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면서 절곡된 부위를 갖는 결속 강화부(24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결속 강화부(240)는 상부 지지 로드(201) 또는 하부 지지 로드(202)로부터 소정 각도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수단이 상하 방향의 축조유닛들을 상호 결속시키면서 네트 부재 또한 결속시키는 때에, 상기 결속 강화부(240)에 의해 네트 부재의 일부가 고정되는 것과 함께 고정 수단 전체가 어느 하나의 축조유닛 내부로 들어가버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The binding reinforcing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고정 수단을 통해 상층의 축조유닛과 그 하층의 축조유닛들의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과 함께, 지오그리드의 일부가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축조유닛의 결속을 위한 부재와 지오그리드의 고정을 위한 부재가 별도로 구비될 필요가 없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ing of the building unit of the upper layer and the building unit of the lower layer is made through the fixing means, and since a part of the geogrid is fixed by the fixing means, the binding of the building unit is performed.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vide a member for fixing the geogrid and the member for the geogrid.
또한, 시공시 지오그리드의 사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시공 비용 역시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geogrid used during constructi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cost can also be greatly reduced.
Claims (5)
제 1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축조유닛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축조유닛과 제 2 축조유닛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 수단과,
상기 고정 수단에 일부가 삽입 또는 고정되면서, 상기 옹벽의 후방에 매설되는 네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제 1 축조유닛과 제 2 축조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 바디와, 상기 지지 바디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지지 로드와, 상기 지지 바디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하부 지지 로드와, 상기 상부 지지 로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축조유닛의 하면을 뚫고 삽입되는 상부 고정부와, 상기 하부 지지 로드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축조유닛의 상면을 뚫고 삽입되는 하부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고정부는 상기 제 1 축조유닛을 뚫고 내부로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측 단부에서 상기 지지 바디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형상인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고정부는 상기 제 2 축조유닛을 뚫고 내부로 삽입된 후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하측 단부에서 상기 지지바디측으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형상인 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축조유닛은 장변과 단변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 부재의 폭은 상기 제 2 축조유닛의 장변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 부재는 상기 제 2 축조유닛의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축조유닛들의 상부에는 배치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 부재들은 상기 옹벽구조물에서 복수개가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고,
상기 네트 부재의 전후방 길이 보다 짧은 전후방 길이를 갖으면서, 상기 축조유닛들 중 상기 네트 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축조유닛 상에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일부가 삽입 또는 고정되는 서브 보강 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제 2 축조유닛 상에 일부가 배치되는 전후방 네트 부재와, 상기 전후방 네트 부재와 일부가 겹치도록 상기 옹벽의 후방에 배치되는 좌우측 네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A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struction units forming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and a geogrid buried in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unit,
a first building unit;
a second building unit disposed below the first building unit;
a fixing mean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uilding unit and the second building unit;
It includes a net member embedded in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while a part is inserted or fixed to the fixing means,
The fixing means includes a support body disposed between the first building unit and the second building unit, an upper support rod extending upwardly from the support body, a lower support rod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support body, and the upper part An upper fixing part formed on the support rod and inserted through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uilding unit, and a lower fixing part formed on the lower support rod and insert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uilding unit,
The upper fixing part is formed in a cone shape that is thickened from the upper end toward the support body to prevent it from falling out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first building unit,
The lower fixing part is made of a cone shape that is thickened from the lower end toward the support body side to prevent it from falling out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econd building unit,
The second building unit is made of a shape having a long side and a short side,
The width of the net member is made smaller than the long side of the second building unit,
The net member is configured not to be disposed on top of other construction units adjac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struction unit,
A plurality of the net members ar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i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 sub-reinforcing member having a front and rear length short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net member and partially inserted or fixed by the fixing means on a building unit in which the net member is not disposed among the building units is configured,
and a front and rear net member partially disposed on the second building unit, and left and right side net member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to partially overlap the front and rear net members.
제 1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축조유닛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축조유닛과,
상기 제 1 축조유닛과 제 2 축조유닛 사이에 개재되는 고정 수단과,
상기 고정 수단에 일부가 삽입 또는 고정되면서, 상기 옹벽의 후방에 매설되는 네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제 1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부 고정부와, 상기 제 2 축조유닛 내부로 삽입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부 고정부와, 상기 상부 고정부에 연결된 상부 지지 로드와, 상기 하부 고정부에 연결된 하부 지지 로드와, 상기 상부 지지 로드 또는 하부 지지 로드로부터 연장 형성되면서 소정 각도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결속 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축조유닛은 장변과 단변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 부재의 폭은 상기 제 2 축조유닛의 장변보다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네트 부재는 상기 제 2 축조유닛의 수평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축조유닛들의 상부에는 배치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네트 부재들은 상기 옹벽구조물에서 복수개 높이를 달리하여 설치되고,
상기 네트 부재의 전후방 길이 보다 짧은 전후방 길이를 갖으면서, 상기 축조유닛들 중 상기 네트 부재가 배치되지 않은 축조유닛 상에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일부가 삽입 또는 고정되는 서브 보강 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제 2 축조유닛 상에 일부가 배치되는 전후방 네트 부재와, 상기 전후방 네트 부재와 일부가 겹치도록 상기 옹벽의 후방에 배치되는 좌우측 네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물.
A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construction units forming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 and a geogrid buried in the rear of the construction unit,
a first building unit;
a second building unit disposed below the first building unit;
a fixing mean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uilding unit and the second building unit;
It includes a net member embedded in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while a part is inserted or fixed to the fixing means,
The fixing means includes an upper fixing part having a shape insertable into the first building unit, a lower fixing part having a shape insertable into the second building unit, an upper support rod connected to the upper fixing part, and the A lower support rod connected to a lower fixing part, and a binding strengthening part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support rod or the lower support rod and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second building unit is made of a shape having a long side and a short side,
The width of the net member is made smaller than the long side of the second building unit,
The net member is configured not to be disposed on top of other construction units adjac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struction unit,
The net members are installed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heights i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 sub-reinforcing member having a front and rear length short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net member and partially inserted or fixed by the fixing means on a building unit in which the net member is not disposed among the building units is configured,
and a front and rear net member partially disposed on the second building unit, and left and right side net member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to partially overlap the front and rear net membe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1568A KR102334837B1 (en) | 2019-08-20 | 2019-08-20 | Breast wall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1568A KR102334837B1 (en) | 2019-08-20 | 2019-08-20 | Breast wall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2295A KR20210022295A (en) | 2021-03-03 |
KR102334837B1 true KR102334837B1 (en) | 2021-12-03 |
Family
ID=7515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1568A KR102334837B1 (en) | 2019-08-20 | 2019-08-20 | Breast wall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34837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7796B1 (en) * | 2000-11-02 | 2005-06-29 | 김학준 | Bar type grid and structure for reinforcing block retaining wall used it |
KR200407940Y1 (en) * | 2005-11-04 | 2006-02-07 | 김윤희 | Vegetated retaining structures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47946B2 (en) * | 1993-10-21 | 1996-10-30 | 強化土エンジニヤリング株式会社 | Reinforced soil structure |
KR100752781B1 (en) * | 2005-09-30 | 2007-08-29 | 신승종 | Supporting member, block of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reof |
-
2019
- 2019-08-20 KR KR1020190101568A patent/KR10233483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7796B1 (en) * | 2000-11-02 | 2005-06-29 | 김학준 | Bar type grid and structure for reinforcing block retaining wall used it |
KR200407940Y1 (en) * | 2005-11-04 | 2006-02-07 | 김윤희 | Vegetated retaining structur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2295A (en) | 2021-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1258B1 (en) | The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with retaining wall block and geogrid | |
KR101162547B1 (en) | Reinforcement mattress gabion for afforestation environment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071572B1 (en) | Structure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vegetation using wire mesh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200185875Y1 (en) | Reinforced earth retaining-wall for using sand-bag | |
KR100746730B1 (en) | Constructing method of reinforced soil wall and slope | |
CN201891130U (en) | Flexible precast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101633853B1 (en) | An eco-friendly gabibolck for retaining wall with modular retaining wall | |
KR102334837B1 (en) | Breast wall structure | |
KR100889257B1 (en) | Precast concrete facing panel using greening of retaining panel's front | |
KR101963362B1 (en) | Reinforced gabion retaining wall capable of completely draina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080058697A (en) | Wire ne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tilizing the wire net | |
KR102194293B1 (en) | Breast wall structure | |
KR101235826B1 (en) | The method of constructing block for wall | |
KR101276567B1 (en) | Plant-seeding type breast wall for reinforcing a slope | |
CN106592626B (en) | A kind of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superelevation embankment | |
KR101019802B1 (en) | Mesh panel type retaining wall having mat and operation thereof | |
CN213173779U (en) | Cutting slope protection structure | |
KR102484636B1 (en) | Retain wall structure | |
KR100419883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green reinforcement slope; R, S Green | |
JP2750363B2 (en) | Steep embankment | |
JPH0369721A (en) | Steep gradient banking | |
KR100794669B1 (en) | Wire ne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utilizing the wire net | |
KR100885909B1 (en) | Self-supporting temporary establishment breast using public works' fiber mesh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0430245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green reinforcement slope R, S Green | |
KR102490879B1 (en) |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H p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