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29030B1 -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 제어 장치 및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 - Google Patents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 제어 장치 및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9030B1
KR102329030B1 KR1020200082537A KR20200082537A KR102329030B1 KR 102329030 B1 KR102329030 B1 KR 102329030B1 KR 1020200082537 A KR1020200082537 A KR 1020200082537A KR 20200082537 A KR20200082537 A KR 20200082537A KR 102329030 B1 KR102329030 B1 KR 102329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hine room
air conditioner
room air
refrigerant
cooling mach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웨이빙 초우
웨이빙 초우
Original Assignee
선전 아이티큐 네트워크 파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아이티큐 네트워크 파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아이티큐 네트워크 파워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03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Compression cycl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air supply to heat-exchangers or bypas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compressors within refrigeration or heat pump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10Pressure
    • F24F2140/12Heat-exchange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상기 방법은,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펌프 작동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작동 모드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제1 작동 모드에서 기설정 트리거 조건을 만족할 경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부하를 획득하는 단계; 냉부하에 따라 제2 작동 모드를 결정하고, 제2 작동 모드는 제1 작동 모드와 상이한 단계; 및 제2 작동 모드에 따라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펌프 작동 상태일 경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1 작동 모드 및 제2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를 통해 냉매 펌프의 빠른 가동 및 안정적인 냉각 출력 시간 단축이 가능하여, 펌프 작동 상태의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고, 기계실 내의 온도를 편리하게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 및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장치를 더 제공한다.

Description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 제어 장치 및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Free-cooling air conditioner, controlling system and controlling device of the same}
본 발명은 공조기 냉각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 제어 장치 및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및 정보 기계실의 실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기계실 에어컨의 한가지 특징은 일년 내내 냉각을 진행하는 것이고, 기계실 온도가 실내 온도보다 낮으면 실외의 자연냉원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자연냉원을 직접 이용하는 것은 공기질, 지리적 위치 등 조건의 제한을 받기에 실외 자연냉원을 간접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현재 기계실 에어컨이 흔히 사용하는 해결수단이다.
여기서, 불소 펌프 순환 자연냉각 방식은 경쟁력 있는 고효율 에너지 절약 방식이다. 불소 펌프 순환 자연냉각 에어컨 시스템은 불소 펌프, 스로틀기, 증발기, 응축기 등 부재를 포함하고, 고압에 견디는 구리관에 의해 밀폐 시스템으로 연결되고, 시스템에 소정량의 낮은 비점의 매질, 즉 냉매를 주입하며, 냉매가 불소 펌프 시스템에서 순환된다. 그 작동 원리는 불소 펌프가 액체 냉매를 강제로 스로틀기를 거쳐 증발기에 흘러가도록 하고, 실내 뜨거운 공기가 증발기 내에서 순환되는 냉매에 열을 방출하며, 냉매가 열을 흡수하고 소부분의 냉매가 열을 흡수하여 기화되며, 기포가 있는 액체 냉매가 응축기 내로 순환되고 이에 포함된 열량이 실외 대기에 방출되며, 냉매의 열이 방출된 후 과냉 액체로 변한다. 그러나 불소 펌프가 가동되어 안정적으로 운행되는 시간이 길면 에어컨이 긴 시간동안 냉각 출력이 없어 기계실 온도가 높아져 기계실 온도 제어에 영향을 준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개선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 제어 장치 및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을 제공한다.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은 응축기, 냉매 펌프, 스로틀 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고,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작동 상태는 펌프 작동 상태를 포함하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펌프 작동 상태일 경우 응축기, 냉매 펌프, 스로틀 밸브 및 증발기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작동 회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펌프 작동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작동 모드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되, 제1 작동 모드는 응축기의 회전 속도가 제1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고, 냉매 펌프의 회전 속도가 제2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며, 스로틀 밸브의 개방 정도가 제1 기설정 개방 정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제1 작동 모드에서 기설정 트리거 조건을 만족할 경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부하를 획득하는 단계; 냉부하에 따라 제2 작동 모드를 결정하고, 제2 작동 모드는 제1 작동 모드와 상이한 단계; 및 제2 작동 모드에 따라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1 작동 모드는, 응축기의 응축팬이 제1 회전 속도로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제1 회전 속도는 응축팬의 정격 회전 속도이며; 냉매 펌프가 제2 회전 속도로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제2 회전 속도는 냉매 펌프의 정격 회전 속도의 절반이며; 스로틀 밸브가 기설정 개방 정도로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기설정 개방 정도는 스로틀 밸브의 정격 개방 정도의 절반 인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기설정 트리거 조건은,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제1 작동 모드로 작동하는 시간이 기설정 시간 범위를 만족하도록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기설정 시간 범위는 5분보다 크거나 같고 15분보다 작거나 같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부하를 획득하는 단계는, 현재 기계실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현재 기계실 온도 및 목표 온도에 따라,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부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냉부하에 따라 제2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냉부하에 따라, 응축기의 회전 속도가 제3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고, 냉매 펌프의 회전 속도가 제4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며, 스로틀 밸브의 개방 정도가 제2 기설정 개방 정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제2 작동 모드에 따라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방법은, 냉매의 실제 과냉도를 획득하는 단계; 실제 과냉도와 목표 과냉도 범위의 비교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비교 결과에 따라 냉매의 가열 유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냉매의 실제 과냉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냉매가 스로틀 밸브의 입력단에서의 압력을 획득하는 단계; 압력에 따라 냉매의 포화 온도를 결정하는 단계; 냉매의 현재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현재 온도 및 포화 온도에 따라 냉매의 실제 과냉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비교 결과에 따라 냉매의 가열 유량을 획득하는 단계는,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에 있으면, 냉매의 가열 유량을 0으로 제어하는 단계;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의 상한보다 크면, 냉매의 가열 유량을 증가하는 단계; 및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의 하한보다 작으면, 냉매의 가열 유량을 감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장치를 더 제공한다. 제어 장치는 명령 획득 모듈, 제1 수행 모듈, 냉부하 획득 모듈, 제2 작동 모드 결정 모듈 및 제2 수행 모듈을 포함한다. 명령 획득 모듈은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펌프 작동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한다. 제1 수행 모듈은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작동 모드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되, 제1 작동 모드는 응축기의 회전 속도가 제1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고, 냉매 펌프의 회전 속도가 제2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며, 스로틀 밸브의 개방 정도가 제1 기설정 개방 정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냉부하 획득 모듈은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제1 작동 모드에서 기설정 트리거 조건을 만족할 경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부하를 획득한다. 제2 작동 모드 결정 모듈은 냉부하에 따라 제2 작동 모드를 결정하고, 제2 작동 모드는 제1 작동 모드와 상이하다. 제2 수행 모듈은 제2 작동 모드에 따라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응축기, 냉매 펌프, 스로틀 밸브, 증발기, 열교환기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을 더 제공한다. 컨트롤러는 응축기, 냉매 펌프, 스로틀 밸브, 증발기 및 열교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컨트롤러는 펌프 모드를 포함하며, 컨트롤러가 펌프 모드일 경우 응축기, 냉매 펌프, 열교환기, 스로틀 밸브 및 증발기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작동 회로를 형성한다. 컨트롤러는 상술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여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을 제어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은 압축기를 포함하고, 압축기는 증발기 및 응축기 사이에 연결되며; 압축기 및 증발기 사이에는 흡기 전자 밸브가 설치되지 않는다. 컨트롤러는 압축기 모드를 더 포함하며, 컨트롤러가 압축기 모드일 경우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스로틀 밸브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작동 회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 제어 장치 및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은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펌프 작동 상태일 경우, 제1 작동 모드 및 제2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를 통해 냉매 펌프의 빠른 가동 및 안정적인 냉각 출력 시간 단축이 가능하여, 펌프 작동 상태의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고, 기계실 내의 온도를 편리하게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제의 해결 수단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 아래 실시예의 설명 과정에서 사용된 도면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아래에서 설명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진보성 창출에 힘쓸 필요가 없이 이러한 도면에 의해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일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회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다른 일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단계 S105의 일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단계 S109 이후의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장치의 기능 모듈 모식도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아래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제의 해결 수단에 대해 더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가 특정 부재를 가리킬 경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드웨어 제조업체가 상이한 명칭으로 동일한 부재를 지칭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는 명칭이 다름으로 부재를 구분하지 않고. 부재의 기능적 차이를 구분 원칙으로 한다. 전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언급된 “대략”이라는 용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소정 오차 범위 내에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여 기술적 효과에 기본상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일년 내내 냉각이 필요한 데이터 센터, 생산 공법 등 일년 내내 냉각이 필요한 시스템에 있어서, 실외 온도가 그 순환 냉동 수온보다 낮거나 훨씬 낮을 경우 냉수 유닛 운행도 정상적인 운행이 필요하다. 실외 온도가 낮으면, 냉기를 이용하여 냉동수를 직접 냉각 순환시켜 압축기 냉각의 가동을 감소하거나 완전히 가동하지 않아도 에어컨 실내기를 위해 차가운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런 방법을 자연냉각 방법이라고 하는데 이런 기능을 구비하는 유닛을 자연냉각 유닛이라고 한다. 이와 통상적인 냉수 유닛의 구별은 이는 우선 자연환경의 저온 공기를 이용하여 순환수를 냉각시켜 압축기의 운행이 없이 냉각을 진행함으로써 압축기의 전력 소모를 현저히 절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을 제공하고,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은 응축기(110), 냉매 펌프(130), 스로틀 밸브(150), 증발기(170), 열교환기(190) 및 컨트롤러(101)를 포함한다. 컨트롤러(101)는 응축기(110), 냉매 펌프(130), 스로틀 밸브(150), 증발기(170) 및 열교환기(19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부재의 작동 파라미터를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은 펌프 작동 상태를 구비하고,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이 펌프 작동 상태일 경우, 응축기(110), 냉매 펌프(130), 열교환기(190), 스로틀 밸브(150) 및 증발기(17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작동 회로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응축기(110), 냉매 펌프(130), 스로틀 밸브(150), 증발기(170) 및 열교환기(190)는 도관을 통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냉매가 순차적으로 냉매 펌프(130), 열교환기(190), 스로틀 밸브(150), 증발기(170)를 거쳐 응축기(110)에 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응축기(110)에 진입한 냉매는 냉매 펌프(130)에 되돌아가 다시 냉매 펌프(130)를 통해 냉매 순환을 완료할 수 있다. 응축기(110)에 진입한 냉매는 응축기(110)로부터 직접 스로틀 밸브(150)에 도달하여 냉매 순환을 완료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냉매 펌프(130)의 액체 유출단 및 응축기(110)의 액체 유출단은 동일한 도관(아래 설명 과정에서 “액체 유출 도관”은 해당 부분의 도관을 가리킴)으로 병합될 수 있고, 즉 냉매는 선택적으로 응축기(110) 또는 냉매 펌프(130)를 거쳐 스로틀 밸브(150)에 도달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이 펌프 작동 상태일 경우, 냉매는 상기 순환 과정을 통해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의 냉각 과정을 실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냉매가 열교환기(190)를 지나갈 경우, 열교환기(190)는 냉매를 가열하여 열교환기(190)를 지나가는 냉매의 온도를 높여 냉매의 과냉도를 감소한다. 이로써 스로틀 밸브(150)를 지나가는 냉매가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두가지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여 냉매가 증발기(170) 내에서의 분할 균일도 및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의 냉각 효율을 증가시킨다.
일 실시형태에서, 열교환기(190)는 과열 코일 파이프일 수 있고, 이는 증발기(170)의 열풍 풍상측(windward side)에 설치되어 증발기(170)의 열풍을 이용하여 냉매를 가열한다. 예를 들면, 열교환기(190)의 액체 유입단이 증발기(170)의 풍하측(Leeward Side)에 설치되어, 열교환기(190) 및 열풍의 접촉면적을 증가한다. 여기서, 자연냉각 에어컨이 작동 시, 실내의 뜨거운 공기는 증발기(170)에 흘러가 열교환기(190)와 열교환을 진행하여 열교환기(190) 내의 냉매를 가열한다. 또한 열교환기(190)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 핀 부착관 형식의 열 코일 파이프를 열교환기(190)로 사용하면 열교환기(190)의 외표면적을 증가하고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열교환기(190)는 온수를 열매체로 하는 벽타입(wall-type) 열교환기(190)일 수 있고, 열교환기(190) 내에서 순환되는 온수를 통해 열교환기(190)의 냉매를 가열하여 그 과냉도를 감소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열교환기(190)는 열교환기(190) 내에서 순환되는 온수를 통해 열교환기(190)에 유입되는 냉매를 가열하여 그 과냉도를 감소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열교환기(190)는 케이싱 파이프, 핀 부착관, 마이크로채널 및 쉘튜브 등 임의의 형식일 수도 있다.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의 실제 작동 상황에 따라, 열교환기(190)를 위해 상응한 열원을 설정할 수 있고 열원은 상술한 뜨거운 공기 및 온수 두가지 형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기서는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은 조절 밸브(120)를 더 포함하고, 조절 밸브(120)는 삼방 밸브일 수 있으며, 조절 밸브(120)는 열교환기(190)의 액체 유입단, 스로틀 밸브(150)의 액체 유입단 및 액체 유출 도관에 연결된다. 여기서 삼방 밸브의 상이한 개방 상태를 통해 냉매가 액체 유출 도관를 거쳐 열교환기(190)에 진입하고 스로틀 밸브(150)에 진입하는 유량을 제어함으로써, 스로틀 밸브(150)의 냉매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상기 “액체 유입단”, “액체 유출단” 등은 냉매가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이 펌프 작동 상태에서 순환되는 유동 방향이다.
구체적으로, 조절 밸브(120)의 조절을 통해, 액체 유출 도관를 지나가는 냉매가 열교환기(190)을 거쳐 가열된 후 다시 스로틀 밸브(150)에 진입되도록 할 수 있고, 냉매가 직접 스로틀 밸브(150)에 진입되도록 할수도 있다. 이런 과정은 열교환기(190)에 진입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여 냉매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식을 통해 냉매의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에 근접하도록 한다. 이로써 스로틀 후의 냉매가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두가지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여 냉매가 증발기(170) 내에서의 분할 균일도 및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의 냉각량을 증가시킨다.
다른 일 실시형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밸브(120)는 제1 조절 밸브(121) 및 제2 조절 밸브(12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조절 밸브(121)는 액체 유출 도관 및 열교환기(190)의 액체 유입단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조절 밸브(123)는 액체 유출 도관 및 스로틀 밸브(150)의 액체 유입단 사이에 연결되며, 제1 조절 밸브(121) 및 제2 조절 밸브(123)에 대한 제어를 통해, 열교환기(190)에 진입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스로틀 밸브(150)에 진입하는 냉매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을 통해 냉매의 과냉도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냉매의 실제 과냉도가 냉매의 목표 과냉도보다 클 경우 제1 조절 밸브(121)의 개방 정도를 크게 하고 제2 조절 밸브(123)의 개방 정도를 감소하여, 냉매가 열교환기(190)를 거쳐 가열되는 유량을 증가함으로써 냉매의 온도를 높이고 냉매의 과냉도를 감소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을 추운 지역에서 사용할 경우, 냉매가 항상 높은 과냉도 상태에 처해있기에 조절 밸브(120)를 생략할 수 있고고 액체 유출 도관를 지나가는 냉매는 모두 열교환기(190)를 거쳐 가열된 후 스로틀 밸브(150)에 다시 진입하여 냉매의 과냉도를 감소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은 온도 센서(140) 및 압력 센서(160)를 더 포함하고, 온도 센서(140) 및 압력 센서(160)는 모두 스로틀 밸브(150)의 액체 유입단에 설치되어, 스로틀 밸브(150)에 진입하는 냉매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은 압축기(180)를 더 포함하고, 압축기(180)는 증발기(170) 및 응축기(110)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은 압축기(180) 작동 상태를 구비하고,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이 압축기(180) 작동 상태일 경우, 증발기(170), 압축기(180), 응축기(110) 및 스로틀 밸브(15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작동 회로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증발기(170), 압축기(180), 응축기(110) 및 스로틀 밸브(150)는 도관을 통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냉매가 순차적으로 스로틀 밸브(150), 증발기(170), 압축기(180), 응축기(110) 및 스로틀 밸브(150)를 작동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응축기(110)에 진입한 냉매는 조절 밸브(120)의 조절을 통해 선택적으로 열교환기(190) 거친 후 스로틀 밸브(150)에 도달할 수 있고, 스로틀 밸브(150)에 직접 도달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이 압축기(180) 작동 상태일 경우, 냉매는 상기 순환 과정을 통해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의 냉각 과정을 실현한다.
또한, 압축기(180) 및 증발기(170) 사이에는 흡기 전자 밸브가 설치되지 않기에, 압축기(180) 운행 시의 흡기 압력 손실을 방지하여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이 압축기(180) 작동 상태일 경우의 작동 과정 효율이 더 높아진다. 아울러, 흡기 전자 밸브가 효력을 잃어 압축기(180)가 타버리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기(180)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러(101)는 또한 온도 센서(140), 압력 센서(160) 및 압축기(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컨트롤러(101)는 펌프 모드 및 압축기 모드를 구비한다. 여기서, 컨트롤러(101)가 펌프 모드일 경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이 펌프 작동 상태에 처한다. 컨트롤러(101)가 압축기 모드일 경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이 압축기(180) 작동 상태에 처한다. 즉 컨트롤러(101)를 통해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의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01)는 온도 센서(140) 및 압력 센서(160)의 데이터에 다라 냉매가 열교환기(190)를 거쳐 가열되는 유량을 제어하여, 냉매의 과냉도를 조절함으로써 냉매의 실제 과냉도와 기설정 과냉도가 일치하도록 하고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면, 컨트롤러(101)는 비례 적분 미분 제어(proportional-integral-derivative control, PID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제어를 진행할 수 있고, 온도 센서(140) 및 압력 센서(160)의 데이터에 따라 조절 밸브(12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여, 냉매가 열교환기(190)에 진입하여 가열하는 유량을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101)는 또한 응축기(110), 냉매 펌프(130), 스로틀 밸브(150) 등의 작동 파라미터를 제어할 수 있고,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이 펌프 작동 상태일 경우, 컨트롤러(101)가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의 제1 작동 모드 및 제2 작동 모드를 제어하여, 냉매 펌프(130)의 빠른 가동 및 안정적인 냉각 출력 시간 단축이 가능하여, 펌프 작동 상태의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고, 기계실 내의 온도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스로틀기 전에 열교환기(190)를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온도차 열교환을 이용하여 과냉도가 큰 냉매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실제 과냉도를 목표 과냉도까지 낮추어 실제 과냉도와 목표 과냉도가 근접하게 한다. 이로써 스로틀 후의 냉매가 기체와 액체가 혼합된 두가지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여 냉매가 증발기(170) 내에서의 분할 균일도 및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100)의 냉각량을 증가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에 응용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을 더 제공한다.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은 응축기, 냉매 펌프, 스로틀 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고,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은 펌프 작동 상태를 포함하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펌프 작동 상태일 경우, 응축기, 냉매 펌프, 스로틀 밸브 및 증발기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작동 회로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 방법은 단계 S101 ~ 단계 S109를 포함한다.
단계 S101에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펌프 작동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작동 상태는 펌프 작동 상태를 포함한다.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펌프 작동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이 획득될 경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매는 응축기, 냉매 펌프, 스로틀 밸브 및 증발기가 형성한 작동 회로에서 순환된다.
단계 S103에서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작동 모드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펌프 작동 상태일 경우, 직접 제1 작동 모드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작동을 제어하여, 냉매 펌프의 빠른 가동 및 안정적인 냉각 출력 시간을 단축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 작동 모드는 응축기의 회전 속도가 제1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고, 냉매 펌프의 회전 속도가 제2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며, 스로틀 밸브의 개방 정도가 제1 기설정 개방 정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1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는 응축기의 응축팬이 정격 회전 속도의 75 % ~ 100 %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고, 제2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는 냉매 펌프가 정격 회전 속도의 40 % ~ 60 %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제1 기설정 개방 정도 범위는 스로틀 밸브가 기설정 개방 정도의 40 % ~ 60 %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작동 모드는, 응축기의 응축팬이 제1 회전 속도로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제1 회전 속도는 응축팬의 정격 회전 속도이며; 냉매 펌프가 제2 회전 속도로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제2 회전 속도는 냉매 펌프의 정격 회전 속도의 절반이며; 스로틀 밸브가 기설정 개방 정도로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기설정 개방 정도는 스로틀 밸브의 정격 개방 정도의 절반 인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응축팬이 제1 회전 속도(정격 회전 속도)로 작동하면 응축기의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아울러 제1 회전 속도로 작동하는 냉매 펌프 및 기설정 개방 정도로 작동하는 스로틀 밸브는 냉매가 응축기, 냉매 펌프, 스로틀 밸브 및 증발기가 형성한 작동 회로에서의 순환 효율을 가속화할 수 있기에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킨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작동 모드 중 각 부재의 작동 파라미터는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펌프 작동 상태의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빠르게 냉각 출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른 파라미터일 수 있으며 여기서는 더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S105에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제1 작동 모드에서 기설정 트리거 조건을 만족할 경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부하를 획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기설정 트리거 조건은,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제1 작동 모드로 작동하는 시간이 기설정 시간 범위를 만족하도록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설정 시간 범위는 5분보다 크거나 같고 15분보다 작거나 같다. 예를 들면, 기설정 트리거 조건은 10분 내에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응축팬이 제1 회전 속도로 작동하고, 냉매 펌프가 제2 회전 속도로 작동하며, 스로틀 밸브가 기설정 개방 정도로 작동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제1 제어 모드로 10분 작동한 후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부하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부하를 획득하는 단계는 단계 S201 ~ S203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1에서 현재 기계실 온도를 획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온도 센서 등을 통해 현재 기계실의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203에서 현재 기계실 온도 및 목표 온도에 따라,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부하를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현재 기계실 온도 및 목표 온도에 따라,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부하를 결정한다. 여기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부하는 현재 기계실 온를 목표 온도로 조절할 경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을 통해 기계씰 내에 제공하는 냉각량을 가리킨다.
단계 S107에서 냉부하에 따라 제2 작동 모드를 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작동 모드는 제1 작동 모드와 상이하다.즉 제2 작동 모드가 각 부재에 대한 제어 파라미터 및 제1 작동 모드가 각 부재에 대한 제어 파라미터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냉부하에 따라 응축기의 회전 속도가 제3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고, 냉매 펌프의 회전 속도가 제4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며, 스로틀 밸브의 개방 정도가 제2 기설정 개방 정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한다.
여기서, 제3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는 응축기의 응축팬의 회전 속도가 정격 회전 속도 내에 있는 것일 수 있고, 제4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는 냉매 펌프의 회전 속도가 정격 회전 속도 내에 있는 것일 수 있으며, 제2 기설정 개방 정도 범위는 스로틀 밸브의 개방 정도가 정격 개방 정도 내에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냉부하에 따라 제2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것은, 냉부하를 통해 응축기 회전 속도, 냉매 펌프 회전 속도 및 스로틀 밸브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응축기 회전 속도가 제3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 내에 있고, 냉매 펌프 회전 속도가 제4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 내에 있으며, 스로틀 밸브 개방 정도가 제2 기설정 개방 정도 범위에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써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적절한 냉부하를 제공하도록 보장함으로써, 응축기, 냉매 펌프 및 스로틀 밸브가 운행 극한을 초과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사용 수명을 연장한다.
단계 S109에서 제2 작동 모드에 따라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2 작동 모드에 따라 결정된 응축기 회전 속도, 냉매 펌프 회전 속도 및 스로틀 밸브 개방 정도에 의해 각각 응축기, 냉매 펌프, 스로틀 밸브를 제어한다. 이로써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적절한 냉부하를 제공하도록 보장함으로써, 응축기, 냉매 펌프 및 스로틀 밸브가 운행 극한을 초과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사용 수명을 연장한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에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계 S109 후에 스로틀 밸브에 진입한 냉매를 가열함으로써 냉매의 과냉도를 조절하여 냉매의 실제 과냉도가 기설정 값과 일치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자연냉각 에어컨의 제어 방법은 단계 S301~단계 S3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301에서 냉매의 실제 과냉도를 획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냉매의 실제 과냉도Ta의 획득 과정은 우선 냉매가 스로틀 밸브의 입력단에서의 압력P1을 획득하고, 압력P1에 따라 냉매의 포화 온도T0를 결정한다. 다음, 냉매의 현재 온도 T1를 획득하고, 현재 온도T1 및 포화 온도T0에 따라 냉매의 실제 과냉도Ta를 결정한다. 여기서, 실제 과냉도Ta는 Ta = T0 - T1일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압력P1에 따라 냉매의 포화 온도T0를 결정하는 것은, 냉매 속성표를 통해 압력P1에서의 냉매에 대응되는 포화 온도T0를 조회하여 얻는다.
단계 S303에서 실제 과냉도와 목표 과냉도 범위의 비교 결과를 획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실제 운행 환경(예컨대 기계실 온도, 실외 온도 등)에 따라, 목표 과냉도Ts 및 정밀도a를 설정하여, 목표 과냉도 범위 Tb = [Ts-a, Ts+a]를 얻는다. 예를 들면, 목표 과냉도 Ts = 7℃, a = 0.2℃일 경우, 목표 과냉도 범위 Tb = [6.8℃, 7.2℃]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냉매의 목표 과냉도Ts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실제 운행 환경을 분석한 후 얻은 데이터이다. 여기서, 목표 과냉도Ts에 부합되는 냉매는 순환 과정에서 증발기의 열교환이 충분하여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 시 목표 과냉도 범위Tb를 설정하는 것을 통해 냉매의 온도에 대한 제어가 편리하고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이 높으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각 효율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실제 과냉도와 목표 과냉도 범위의 비교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에 있고;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의 상한보다 크며;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의 하한보다 작은 3가지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의 상한보다 큰 경우는 실제 과냉도가 Ts+a보다 크다.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의 하한보다 작은 경우는 실제 과냉도가 Ts-a보다 작다.
단계 S305에서 비교 결과에 따라 냉매의 가열 유량을 획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단계 S303에 따르면 실제 과냉도와 목표 과냉도 범위의 비교 결과는 3가지가 있다. 따라서 비교 결과가 다름에 따라 냉매의 가열 유량도 상응하게 다르다.
구체적으로,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에 있으면, 냉매의 가열 유량을 0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실제 과냉도가 Ta = 7℃이고, 목표 과냉도 범위 Tb = [6.8℃, 7.2℃]이면, 이때 냉매의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에 있기에, 냉매를 가열할 필요가 없다. 이때 냉매는 냉매 펌프로부터 직접 스로틀 밸브에 흘러 들어갈 수 있다.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의 상한보다 크면, 냉매의 가열 유량을 증가한다. 예를 들어 실제 과냉도가 Ta = 7.5℃이고, 목표 과냉도 범위 Tb = [6.8℃, 7.2℃]이면, 이때 냉매의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상한보다 크기에 냉매의 실제 과냉도가 너무 큼을 의미하고 증발기 열교환이 불충분해질 수 있기에 냉매의 가열 유량을 증가하여 가열 후의 냉매의 실제 과냉 온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냉매의 가열 유량을 증가하는 것을 통해 스로틀 밸브에 진입하는 냉매의 온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냉매의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에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의 하한보다 작으면, 냉매의 가열 유량을 감소한다. 예를 들어 실제 과냉도가 Ta = 6.7℃이고, 목표 과냉도 범위 Tb = [6.8℃, 7.2℃]이면, 이때 냉매의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하한보다 작기에 냉매의 실제 과냉도가 너무 작음을 의미하고 증발기 열교환에 영향을 주기에 냉매의 가열 유량을 감소하여 조절 후의 냉매의 실제 과냉 온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냉매의 가열 유량을 감소하는 것을 통해 스로틀 밸브에 진입하는 냉매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냉매의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에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의 상한보다 크거나, 또는 실제 과냉도가 목표 과냉도 범위의 하한보다 작을 경우, 소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10 S ~ 30 S)으로 단계 S301 ~ 단계 S305를 수행하여 가열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은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펌프 작동 상태일 경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1 작동 모드 및 제2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를 통해 냉매 펌프의 빠른 가동 및 안정적인 냉각 출력 시간 단축이 가능하여, 펌프 작동 상태의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고, 기계실 내의 온도를 편리하게 제어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장치(200)를 더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200)는 명령 획득 모듈(210), 제1 수행 모듈(230), 냉부하 획득 모듈(250), 제2 작동 모드 결정 모듈(270) 및 제2 수행 모듈(290)을 포함한다.
명령 획득 모듈(210)은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펌프 작동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한다.
제1 수행 모듈(230)은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작동 모드로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1 작동 모드는 응축기의 회전 속도가 제1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고, 냉매 펌프의 회전 속도가 제2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며, 스로틀 밸브의 개방 정도가 제1 기설정 개방 정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냉부하 획득 모듈(250)은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제1 작동 모드에서 기설정 트리거 조건을 만족할 경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부하를 획득한다.
제2 작동 모드 결정 모듈(270)은 냉부하에 따라 제2 작동 모드를 결정한다. 제2 작동 모드는 제1 작동 모드와 상이하다.
제2 수행 모듈(290)은 제2 작동 모드에 따라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장치(200)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펌프 작동 상태일 경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1 작동 모드 및 제2 작동 모드에 대한 제어를 통해 냉매 펌프의 빠른 가동 및 안정적인 냉각 출력 시간 단축이 가능하여, 펌프 작동 상태의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작동 효율을 향상시키고, 기계실 내의 온도를 편리하게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른 명확한 규정 또는 한정이 없는 한, “장착”, “연결”, “고정” 등 용어는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고정 연결일 수 있고 탈착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일 수 있으며; 기계적 연결 또는 전기적 연결일 수 있고; 직접 연결 또는 중간에 매체를 통한 간접 연결일 수 있으며, 2개의 소자 내부의 연통이거나 단지 표면 접촉이거나 또는 중간 매체를 통한 표면 접촉 연결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용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구체적인 함의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등 참조 용어의 설명은 해당 실시예 또는 예씨적 설명의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의 예시적 서술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임의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이밖에, 서로 모순되지 않으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시 및 상이한 실시예 또는 예시의 특징을 서로 결부하거나 조합할 수 있다.

Claims (10)

  1.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은 응축기, 냉매 펌프, 스로틀 밸브 및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작동 상태는 펌프 작동 상태를 포함하며,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펌프 작동 상태일 경우 상기 응축기, 상기 냉매 펌프, 상기 스로틀 밸브 및 상기 증발기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작동 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펌프 작동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작동 모드로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작동 모드는 상기 응축기의 회전 속도가 제1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고, 상기 냉매 펌프의 회전 속도가 제2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며, 상기 스로틀 밸브의 개방 정도가 제1 기설정 개방 정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 기설정 트리거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부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냉부하에 따라 제2 작동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작동 모드는 상기 제1 작동 모드와 상이한 단계; 및
    상기 제2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모드는,
    상기 응축기의 응축팬이 제1 회전 속도로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회전 속도는 상기 응축팬의 정격 회전 속도이며;
    상기 냉매 펌프가 제2 회전 속도로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회전 속도는 상기 냉매 펌프의 정격 회전 속도의 절반이며;
    상기 스로틀 밸브가 기설정 개방 정도로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기설정 개방 정도는 상기 스로틀 밸브의 정격 개방 정도의 절반 인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 트리거 조건은,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상기 제1 작동 모드로 작동하는 시간이 기설정 시간 범위를 만족하도록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 시간 범위는 5분보다 크거나 같고 15분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부하를 획득하는 단계는,
    현재 기계실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기계실 온도 및 목표 온도에 따라,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부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냉부하에 따라 제2 작동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냉부하에 따라, 상기 응축기의 회전 속도가 제3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고, 상기 냉매 펌프의 회전 속도가 제4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며, 상기 스로틀 밸브의 개방 정도가 제2 기설정 개방 정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냉매의 실제 과냉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실제 과냉도와 목표 과냉도 범위의 비교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냉매의 가열 유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의 실제 과냉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냉매가 상기 스로틀 밸브의 입력단에서의 압력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압력에 따라 상기 냉매의 포화 온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냉매의 현재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온도 및 상기 포화 온도에 따라 상기 냉매의 실제 과냉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냉매의 가열 유량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실제 과냉도가 상기 목표 과냉도 범위에 있으면, 상기 냉매의 가열 유량을 0으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실제 과냉도가 상기 목표 과냉도 범위의 상한보다 크면, 상기 냉매의 가열 유량을 증가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과냉도가 상기 목표 과냉도 범위의 하한보다 작으면, 상기 냉매의 가열 유량을 감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
  8.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펌프 작동 상태에 진입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획득하는 명령 획득 모듈;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제1 작동 모드로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제1 작동 모드는 응축기의 회전 속도가 제1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고, 냉매 펌프의 회전 속도가 제2 기설정 회전 속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며, 스로틀 밸브의 개방 정도가 제1 기설정 개방 정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수행 모듈;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 기설정 트리거 조건을 만족할 경우,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냉부하를 획득하는 냉부하 획득 모듈;
    상기 냉부하에 따라 제2 작동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제2 작동 모드는 상기 제1 작동 모드와 상이한 제2 작동 모드 결정 모듈; 및
    상기 제2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2 수행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장치.
  9.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에 있어서,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연결되는 냉매 펌프;
    상기 냉매 펌프에 연결되는 스로틀 밸브;
    상기 응축기와 상기 스로틀 밸브 사이에 연결되는 증발기;
    상기 냉매 펌프와 상기 스로틀 밸브 사이에 연결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응축기, 상기 냉매 펌프, 상기 스로틀 밸브,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열교환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펌프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가 펌프 모드일 경우 상기 응축기, 상기 냉매 펌프, 상기 열교환기, 상기 스로틀 밸브 및 상기 증발기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작동 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을 수행하여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은 압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는 상기 증발기 및 상기 응축기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 및 상기 증발기 사이에는 흡기 전자 밸브가 설치되지 않고; 상기 컨트롤러는 압축기 모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가 압축기 모드일 경우 상기 증발기,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및 상기 스로틀 밸브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작동 회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

KR1020200082537A 2020-05-26 2020-07-06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 제어 장치 및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 Active KR1023290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0456481.2A CN111609497B (zh) 2020-05-26 2020-05-26 自然冷机房空调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自然冷机房空调
CN202010456481.2 2020-05-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030B1 true KR102329030B1 (ko) 2021-11-19

Family

ID=72200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537A Active KR102329030B1 (ko) 2020-05-26 2020-07-06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 제어 장치 및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9030B1 (ko)
CN (1) CN111609497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7407A (zh) * 2022-04-26 2022-08-09 深圳科士达科技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数据机房温度调节系统及调温控制方法
CN115200118A (zh) * 2022-07-11 2022-10-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及其冷凝风机的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5355562A (zh) * 2022-08-23 2022-11-18 中科绿能(深圳)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全时自然冷却制冷多联空调机组及控制方法
CN115397212A (zh) * 2022-09-05 2022-11-25 杭州云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冷却系统及其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435418A (zh) * 2022-09-22 2022-12-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机组、空调机组控制方法及装置
CN115500053A (zh) * 2022-09-08 2022-12-20 新疆华奕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数据中心的氟泵式空调系统
CN115790017A (zh) * 2022-11-30 2023-03-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缩机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处理器及空调设备
CN118794160A (zh) * 2023-11-01 2024-10-18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6541A (zh) * 2016-06-30 2016-10-12 深圳市艾特网能技术有限公司 自然冷机房空调及其过冷度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0577A (ja) * 1998-02-13 1999-08-27 Takenaka Komuten Co Ltd 冷暖房空調システム
JP2003120988A (ja) * 2001-10-12 2003-04-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媒加熱式多室形空気調和装置
AU2010354078B2 (en) * 2010-05-27 2014-05-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Thermosyphon coolers for cooling systems with cooling towers
CN102788405B (zh) * 2012-08-03 2014-07-23 宁波奥克斯电气有限公司 直流变频空调快速制冷和快速制热启动控制方法
CN103615774B (zh) * 2013-11-12 2017-01-18 曙光节能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用于泵系统的辅助装置及用于该辅助装置的控制方法、以及泵系统
CN103759388B (zh) * 2014-02-10 2016-08-17 广州松下空调器有限公司 一种空调器缓冲调温方法
CN104633815B (zh) * 2015-02-02 2017-11-17 深圳市艾特网能有限公司 机房用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CN104776633B (zh) * 2015-03-10 2017-05-10 深圳市艾特网能有限公司 混合动力制冷系统及其控制方法
CN105042794A (zh) * 2015-08-31 2015-11-1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器控制方法
CN105650838A (zh) * 2016-02-24 2016-06-08 深圳市共济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中心用节能控制系统
CN105783328A (zh) * 2016-04-28 2016-07-20 深圳市艾特网能技术有限公司 混合冷源的混合动力制冷系统及其控制方法
CN107345717B (zh) * 2016-06-13 2023-10-27 北京库蓝科技有限公司 一种压缩与氟泵循环制冷系统
CN105910315B (zh) * 2016-06-14 2018-04-24 安徽省君杰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型机房空调系统的控制方法
CN108662698A (zh) * 2018-05-23 2018-10-16 南京佳力图机房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节能双循环机房空调机组及其控制方法
CN108826554A (zh) * 2018-08-17 2018-11-16 北京中热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双冷源热管空调多联机组
CN109114718A (zh) * 2018-09-27 2019-01-01 克莱门特捷联制冷设备(上海)有限公司 机房用复合型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16541A (zh) * 2016-06-30 2016-10-12 深圳市艾特网能技术有限公司 自然冷机房空调及其过冷度控制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7407A (zh) * 2022-04-26 2022-08-09 深圳科士达科技股份有限公司 空调系统、数据机房温度调节系统及调温控制方法
CN115200118A (zh) * 2022-07-11 2022-10-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及其冷凝风机的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5200118B (zh) * 2022-07-11 2023-10-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及其冷凝风机的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15355562A (zh) * 2022-08-23 2022-11-18 中科绿能(深圳)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全时自然冷却制冷多联空调机组及控制方法
CN115397212A (zh) * 2022-09-05 2022-11-25 杭州云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冷却系统及其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500053A (zh) * 2022-09-08 2022-12-20 新疆华奕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数据中心的氟泵式空调系统
CN115435418A (zh) * 2022-09-22 2022-12-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机组、空调机组控制方法及装置
CN115790017A (zh) * 2022-11-30 2023-03-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缩机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处理器及空调设备
CN118794160A (zh) * 2023-11-01 2024-10-18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WO2025092854A1 (zh) * 2023-11-01 2025-05-08 中国移动通信集团设计院有限公司 一种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609497A (zh) 2020-09-01
CN111609497B (zh) 202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030B1 (ko)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의 제어 방법, 제어 장치 및 자연냉각 기계실 에어컨
WO2021223531A1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
US11802705B2 (en) Peak demand response operation with improved sensible capacity
KR102004939B1 (ko) 수냉식냉동기 냉수와 쿨링타워 냉각수를 조합한 공조냉각열원 에너지절약형 항온항습시스템과 그의 제어방법
CN109458683B (zh) 干式辐射热泵与单元式分户空调一体机及其控制方法
WO2009119023A1 (ja) 冷凍装置
WO2021184615A1 (zh) 空调系统的控制方法
JP2001280713A (ja) 電子式膨張弁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6890706B1 (ja)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CN113639416A (zh) 变频空调的控制方法
CN113339978A (zh) 全品质空调的基准运行频率确定方法、装置和全品质空调
CN106765946A (zh) 一种空调系统控制方法及空调系统
JP2020051709A (ja) 冷凍装置
JP5677198B2 (ja) 空冷ヒートポンプチラー
JP4074422B2 (ja) 空調機とその制御方法
CN110186225B (zh) 一种提高氟泵入口过冷度的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7132545A (ja) 空調システム
JP2002228294A (ja) エンジン冷却方法及び装置並びに冷凍装置
CN220017642U (zh) 一种定频空调系统以及定频空调
CN115854440B (zh) 空调机组及其控制方法
KR102326225B1 (ko) 항온항습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35242A (ko) 저온 냉방 운전 영역에서의 실외기 팬모터 제어 방법
KR100502310B1 (ko) 에어컨의 실외기 모터 제어를 위한 실내기 온도 프로그램로직 설정 방법
CN120160271A (zh) 变频空调变频压缩机控制方法
JP4194286B2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7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