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582B1 -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7582B1 KR102327582B1 KR1020150001403A KR20150001403A KR102327582B1 KR 102327582 B1 KR102327582 B1 KR 102327582B1 KR 1020150001403 A KR1020150001403 A KR 1020150001403A KR 20150001403 A KR20150001403 A KR 20150001403A KR 102327582 B1 KR102327582 B1 KR 1023275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emitting
- stretchable
- emitting device
- emitting devices
- substr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3—Stretchable printed circui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45—Locally raised area or protrusion of insulating substrat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3—Surface mounted components, e.g. affixing before soldering, aligning means, spacing means
- H05K3/305—Affixing by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보다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신축성 기판,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의 상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있으며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 상기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와 상기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축성 표시 장치(Stretchable Display)는 실제로 패널 크기가 늘어날 수 있는 차세대 표시 장치의 일종이다. 종래의 신축성 표시 장치는 플렉서블(flexible)한 패널을 사용하여 패널의 일부를 장치 내부에 숨겼다가 필요 시 펼쳐서 사용자에게 보이는 면적을 확장시키는 구조였다. 그러나 이러한 신축성 표시 장치는 패널이 늘어나는 기술은 아니므로 필연적으로 전체 표시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된다.
미국 UIUC 대학에서 개발한 LED 발광부와 플렉서블(flexible)한 연결부로 이루어진 신축성 표시 장치는 복수개의 LED를 개별적으로 전사하여야 하므로 대면적 및 고해상도의 표시 장치에는 적용하기 어렵고, 연결부가 상당한 영역을 차지하므로 해상도가 낮으며, 연신 시 해상도가 더욱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곡면에 구현하는 경우 곡면상의 위치에 따라 연신율이 달라져 위치마다 해상도가 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해상도에 적용가능한 신축성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보다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신축성 기판,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의 상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있으며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 상기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와 상기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발광 소자는 상기 평면부에 위치하는 제1 이동 발광 소자, 상기 제1 이동 발광 소자와 상기 고정 발광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이동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측면은 상기 평면부의 상면과 정테이퍼질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 발광 소자는 상기 신축성 기판이 연신된 연신 상태에서만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측면은 상기 평면부의 상면과 역테이퍼질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 발광 소자와 상기 제2 이동 발광 소자는 상기 신축성 기판이 연신된 연신 상태에서만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발광 소자는 상기 신축성 기판이 수축된 상태인 수축 상태에서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와 상기 고정 발광 소자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발광 소자 및 상기 이동 발광 소자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층, 상기 표시층을 덮고 있는 밀봉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배선은 금속선, 상기 금속선을 둘러싸고 있는 유연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기판은 제1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기판은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동시에 신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발광 소자 위에 위치하는 신축성 덮개판, 상기 신축성 덮개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신축성 터치 패널, 상기 신축성 터치 패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신축성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는 신축성 기판, 상기 신축성 기판 위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 상기 신축성 기판과 이격되어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 상기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와 상기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신축성 기판이 수축되는 수축 상태에서 비발광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발광 소자와 이동 발광 소자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신축성 덮개판, 상기 고정 발광 소자와 신축성 덮개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발광 소자와 상기 신축성 덮개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간격재, 상기 신축성 덮개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신축성 터치 패널, 상기 신축성 터치 패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신축성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축성 기판과 상기 고정 발광 소자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캐리어 기판 위에 복수개의 발광 소자 및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 배선을 분리하는 단계, 평면부보다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신축성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신축성 기판을 연신시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 배선을 상기 연신된 신축성 기판에 부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신축성 기판을 수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 중 고정 발광 소자는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고, 이동 발광 소자는 상기 돌출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축된 신축성 기판의 돌출부에 부착된 상기 고정 발광 소자 위에 신축성 덮개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신축성 덮개판 위에 신축성 터치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신축성 터치 패널 위에 신축성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축성 기판의 돌출부의 상면에 고정 발광 소자를 부착하고 돌출부 사이에 이동 발광 소자를 위치시킴으로써, 신축성 기판을 연신시킨 상태에서 발광하는 발광 소자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축성 기판이 연신되어도 해상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연신율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소자의 수를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해상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즉, 곡면상에서 연신율이 큰 부분에서는 발광하는 발광 소자의 수를 증가시키고, 연신율이 작은 부분에서는 발광하는 발광 소자의 수를 감소시키므로 곡률이 큰 곡면상에서도 전체적으로 해상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기판의 표면에 고정 발광 소자를 부착하고 고정 발광 소자 사이에 연결 배선을 이용하여 이동 발광 소자를 위치시킴으로서, 신축성 기판을 연신시킨 상태에서 발광하는 발광 소자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축성 기판이 연신되어도 해상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10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30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5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10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I-XV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10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30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5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10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30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5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10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I-XV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10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30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5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발명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또는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 상에" 또는 "~ 위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10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는 신축성 기판(10), 신축성 기판(10) 위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100), 그리고 복수개의 발광 소자(100)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 배선(40)을 포함한다.
신축성 기판(10)은 평평한 평면부(11), 평면부(11)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서로 일정한 수축 간격(d1)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출부(12)를 포함한다. 신축성 기판(10)은 실리콘 엘라스토머(Silicone Elastom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의 신축성 고분자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때, 신축성 기판(10)은 제1 방향(x)으로만 신축된다.
복수개의 발광 소자(100)는 복수개의 돌출부(12)의 상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20), 복수개의 돌출부(12)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있는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30)를 포함한다.
고정 발광 소자(20) 및 이동 발광 소자(30)는 각각 지지층(110), 지지층(110) 위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층(120), 표시층(120)을 덮고 있는 밀봉층(130)을 포함한다. 표시층(12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고분자 발광 다이오드(Polymer Light Emitting Diode, PLED), 양자점(Quantum Dot, Q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등의 발광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층(120)에서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돌출부(12)와 고정 발광 소자(20) 사이에는 접착층(15)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층(15)은 신축성 기판(10)이 신축되는 경우에 돌출부(12)에 고정 발광 소자(20)가 고정되어 있도록 고정 발광 소자(20)와 돌출부(12)를 서로 접착시킨다. 이러한 접착층(15)은 산화 규소막을 형성한 후 표면 처리하거나 프라이머(Primer)로 형성할 수 있다.
이동 발광 소자(30)는 평면부(11)에 위치하는 제1 이동 발광 소자(31), 제1 이동 발광 소자(31)와 고정 발광 소자(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이동 발광 소자(32)를 포함한다. 이 때, 돌출부(12)의 측면은 평면부(11)의 상면과 정테이퍼(positive taper)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12)의 측면과 평면부(11)의 상면간의 제1 경사각(θ1)은 둔각 또는 직각을 이룬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제1 경사각(θ1)이 직각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여기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연결 배선(40)은 금속선(41), 금속선을 둘러싸고 있는 유연 폴리머(Flexible Polymer)(42)를 포함한다. 금속선(41)은 전도성이 우수한 금(Au), 은(Ag),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 또는 가요성 및 전도성이 우수한 나노 와이어(nano wir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그래핀(graphene) 등의 나노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연 폴리머(42)는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의 고내열성 고분자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연결 배선(40)과 이격되어 센서 배선(1)이 위치할 수 있다. 센서 배선(1)은 복수개의 발광 소자(20, 30)를 서로 연결하고 있으며 연신율을 감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센서(sensor)(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배선(1)은 연신율을 감지하여 연신율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소자(100)의 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돌출부(12) 위에 부착된 고정 발광 소자(20) 위에는 신축성 덮개판(50)이 위치하고 있다. 신축성 덮개판(50)은 고정 발광 소자(20)와 이동 발광 소자(30)를 덮어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신축성 덮개판(50)과 신축성 기판(10) 사이 공간(2)은 공기(air) 또는 흡습제로 채울 수 있다. 신축성 덮개판(50)은 고정 발광 소자(20)와 접촉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발광 소자(2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신축성 덮개판(50)의 연신율은 신축성 기판(10)의 연신율과 동일할 수 있다.
신축성 덮개판(50) 위에는 신축성 터치 패널(60)이 형성되어 있다. 신축성 터치 패널(60)은 사용자가 손 또는 펜 등으로 직접 접촉하여 외부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이다. 신축성 터치 패널(60) 위에는 신축성 윈도우(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신축성 윈도우(70)는 외부의 물리적 환경으로부터 신축성 터치 패널(60)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신축성 터치 패널(60) 및 신축성 윈도우(70)의 연신율은 신축성 기판(10)의 연신율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신축성 기판이 연신되기 전의 상태인 수축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신축성 기판이 연신된 후의 상태인 연신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축 상태에서 신축성 기판(10)의 인접하는 돌출부(12)는 서로 수축 간격(d1)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다. 이 때, 고정 발광 소자(20)는 돌출부(12) 위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고, 고정 발광 소자(20)의 상방에는 고정 발광 소자(20)에서 발광하는 빛을 차단하는 구조가 없으므로 고정 발광 소자(20)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이동 발광 소자(31)는 평면부(11)에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고, 제1 이동 발광 소자(31)의 상방에는 제1 이동 발광 소자(31)에서 발광하는 빛을 차단하는 구조가 없으므로 제1 이동 발광 소자(31)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정테이퍼지게 형성된 돌출부(12)의 측면을 따라 경사지게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2 이동 발광 소자(32)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신축성 기판(10)의 수축 상태에서는 발광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신 상태에서 신축성 기판(10)의 돌출부(12) 사이의 연신 간격(d2)은 수축 상태에서 신축성 기판(10)의 돌출부(12) 사이의 수축 간격(d1)보다 크게 된다. 여기서, 연신율은 돌출부(12) 사이의 거리의 증가율의 1/2로 정의되며, 연신 간격(d2)는 수축 간격(d1)의 약 3배이므로 연신율 = (d2-d1)/d1 x 100/2 = 100%가 된다.
이 때, 고정 발광 소자(20)는 돌출부(12) 위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고정 발광 소자(20)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연신 상태에서 제1 이동 발광 소자(31)는 인장력에 의해 평면부(11)에서 이격되어 수직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경우에도 제1 이동 발광 소자(31)는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이동 발광 소자(31)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연신 상태에서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돌출부(12)의 측면에서 이격되어 인장력에 의해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제2 이동 발광 소자(32)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발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신축성 기판(10)의 신축 상태에 따라 발광 여부가 결정되므로 히든 발광 소자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신축성 기판(10)을 연신시키는 경우 발광하는 발광 소자(100)의 수가 증가되므로 연신되어도 해상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연신율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소자의 수를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해상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신축성 기판(10)을 연신시키는 경우 이동 발광 소자(30)의 위치가 변동되므로 신축성 표시 장치의 외측과 내측 사이의 중간 영역에 존재하며 어떠한 힘도 발생하지 않는 중립면(Netural Plane, NP)이 변동하게 된다. 이 때, 연결 배선(40)을 조절하여 중립면에 이동 발광 소자(30)를 위치시킴으로써, 연신 상태에서 신축성 표시 장치의 화면 이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어 기판(3) 위에 복수개의 발광 소자(100) 및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 배선(40)을 형성한다. 복수개의 발광 소자(10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고분자 발광 다이오드(PLED), 양자점(QD), 발광 다이오드(LED) 등의 발광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저 탈착 공정(lift off)를 이용하여 캐리어 기판(3)으로부터 복수개의 발광 소자(100) 및 복수개의 연결 배선(40)을 분리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부(11)보다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12)를 포함하는 신축성 기판(10)을 형성한다. 이 때, 인접하는 돌출부(12) 사이는 수축 간격(d1)을 가진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성 기판(10)을 연신시켜 복수개의 돌출부(12)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켜 연신 간격(d2)을 가지게 한다. 이 때, 돌출부(12) 사이의 연신 간격(d2)은 수축 간격(d1)보다 크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발광 소자(100) 및 복수개의 연결 배선(40)을 연신된 신축성 기판(10)에 부착한다. 이 때, 복수개의 발광 소자(100) 중 일부인 이동 발광 소자(20)는 접착층(15)을 개재시켜 돌출부(12)와 부착한다. 따라서, 복수개의 발광 소자(100)는 돌출부(12)의 상면에 부착된 고정 발광 소자(20), 돌출부(12)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이동 발광 소자(30)로 분리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축성 기판(10)을 수축시켜 돌출부(12) 사이의 간격을 다시 수축 간격(d1)으로 만든다. 이 때, 이동 발광 소자(30) 중 일부인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돌출부(12)의 측면을 따라 위치하며, 나머지 일부인 제1 이동 발광 소자(31)는 평면부(11) 위에 위치하게 된다. 돌출부(12)의 측면을 따라 위치하는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신축성 기판(10)의 신축 상태에 따라 발광 여부가 결정되므로 히든 발광 소자가 된다.
그리고, 수축된 신축성 기판(10)의 돌출부(12)에 부착된 고정 발광 소자(20) 위에 신축성 덮개판(50)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신축성 덮개판(50) 위에 신축성 터치 패널(60)을 형성하고, 신축성 터치 패널(60) 위에 신축성 윈도우(70)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돌출부의 측면은 평면부의 상면과 정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으나, 돌출부의 측면이 평면부의 상면과 역테이퍼지게 형성되는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30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돌출부의 측면이 평면부의 상면과 역테이퍼진 것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이동 발광 소자(30)는 평면부(11)에 위치하는 제1 이동 발광 소자(31), 제1 이동 발광 소자(31)와 고정 발광 소자(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이동 발광 소자(32)를 포함한다. 이 때, 돌출부(12)의 측면은 평면부(11)의 상면과 역테이퍼(reverse taper)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돌출부(12)의 측면과 평면부(11)의 상면간의 제2 경사각(θ2)은 예각을 이룬다.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역테이퍼진 돌출부(12)의 측면을 따라 경사지게 위치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축 상태에서 신축성 기판(10)의 인접하는 돌출부(12)는 서로 수축 간격(d1)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다. 이 때, 고정 발광 소자(20)는 돌출부(12) 위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고, 고정 발광 소자(20)의 상방에는 고정 발광 소자(20)에서 발광하는 빛을 차단하는 구조가 없으므로 고정 발광 소자(20)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게 된다.
제1 이동 발광 소자(31)는 평면부(11)에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으나, 제1 이동 발광 소자(31)의 상방에는 제1 이동 발광 소자(31)에서 발광하는 빛을 차단하는 제2 이동 발광 소자(32)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이동 발광 소자(31)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1 이동 발광 소자(31)는 신축성 기판(10)의 수축 상태에서는 발광하지 않는다. 또한,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역테이퍼지게 형성된 돌출부(12)의 측면을 따라 경사지게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2 이동 발광 소자(32)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신축성 기판(10)의 수축 상태에서는 발광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동 발광 소자(31)와 제2 이동 발광 소자(32)가 모두 수평하게 위치하는 연신 상태에서 신축성 기판(10)의 돌출부(12) 사이의 연신 간격(d2)은 수축 상태에서 신축성 기판(10)의 돌출부(12) 사이의 수축 간격(d1)보다 크게 된다. 여기서, 연신율은 돌출부(12) 사이의 거리의 증가율의 1/2로 정의되며, 연신 간격(d2)은 수축 간격(d1)의 약 7배이므로 연신율 = (d2-d1)/d1 × 100/2 = 300%가 된다.
이 때, 고정 발광 소자(20)는 돌출부(12) 위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고정 발광 소자(20)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연신 상태에서 제1 이동 발광 소자(31)는 인장력에 의해 평면부(11)에서 이격되어 수직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경우에 제2 이동 발광 소자(32)가 제1 이동 발광 소자(31)의 상방에 위치하지 않고, 제1 이동 발광 소자(31)는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이동 발광 소자(31)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연신 상태에서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돌출부(12)의 측면에서 이격되어 인장력에 의해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제2 이동 발광 소자(32)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어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1 이동 발광 소자(31)와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신축성 기판(10)이 연신된 연신 상태에서만 발광한다. 이와 같이, 신축성 기판(10)을 연신시키는 경우 발광하는 발광 소자(100)의 수가 증가되므로 연신되어도 해상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연신율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소자의 수를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해상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의 측면이 평면부의 상면과 역테이퍼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일 실시예에서 돌출부의 측면이 평면부의 상면과 정테이퍼지게 형성된 경우에 비해 연신율을 최대 300%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신축 상태에서 이동 발광 소자의 일부인 제1 이동 발광 소자만 발광하였으나, 신축 상태에서 이동 발광 소자 모두가 발광하는 또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12 및 도 1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도 13은 도 12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5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수축 상태에서 이동 발광 소자 모두가 발광하는 것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30)는 돌출부(12)의 상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2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수축 상태에서 신축성 기판(10)의 인접하는 돌출부(12)는 서로 수축 간격(d1)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다. 이 때, 고정 발광 소자(20)는 돌출부(12) 위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전면으로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 발광 소자(31)는 평면부(11) 및 돌출부(12)의 측면에서 이격되어 경사지게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 발광 소자에서 발광하는 빛은 경사지게 측면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시야각 등의 측면 광특성이 향상된다.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발광 소자(30)가 모두 수평하게 위치하는 연신 상태에서 신축성 기판(10)의 돌출부(12) 사이의 연신 간격(d2)은 수축 상태에서 신축성 기판(10)의 돌출부(12) 사이의 수축 간격(d1)보다 크게 된다. 여기서, 연신율은 돌출부(12) 사이의 거리의 증가율의 1/2로 정의되며, 연신 간격(d2)은 수축 간격(d1)의 약 2배이므로 연신율 = (d2-d1)/d1 × 100/2 = 50%가 된다.
이 때, 고정 발광 소자(20)는 수축 상태와 동일하게 전면으로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경사지게 위치하고 있던 이동 발광 소자(30)는 인장력에 의해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이동 발광 소자(30)는 전면으로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이동 발광 소자(30)는 신축성 기판(10)이 연신된 연신 상태와 수축된 수축 상태에서 모두 발광한다. 이와 같이, 신축성 기판(10)의 연신율을 조절하여 신축성 기판(10)을 연신시키거나 수축시킴으로써 시야각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어느 한 방향으로만 신축성 기판이 신축되었으나, 교차하는 두 방향으로 신축성 기판이 신축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XV-XV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10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XVII-XVII선을 따라 잘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 도 15,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교차하는 두 방향으로 신축성 기판이 신축 가능한 것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신축성 기판(10)은 평면부(11), 평면부(11)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출부(12)를 포함한다. 신축 상태에서 복수개의 돌출부(12)는 제1 방향(x)을 따라 일정한 제1 수축 간격(d1x)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2 방향(y)을 따라 일정한 제2 수축 간격(d1y)으로 이격되어 있다. 복수개의 발광 소자(100)는 복수개의 돌출부(12)의 상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20), 복수개의 돌출부(12)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있는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 발광 소자(30)는 평면부(11)에 위치하는 제1 이동 발광 소자(31), 제1 이동 발광 소자(31)와 고정 발광 소자(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이동 발광 소자(32)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신 상태에서 복수개의 돌출부(12)는 제1 방향(x)을 따라 일정한 제1 연신 간격(d2x)으로 이격되며, 제2 방향(y)을 따라 일정한 제2 연신 간격(d2y)으로 이격된다. 여기서, 제1 연신 간격(d2x)은 제1 수축 간격(d1x)의 약 3배이므로 연신율 = (d2x-d1x)/d1x × 100/2 = 100%가 된다. 제1 이동 발광 소자(31)와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모두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따라 연신된 평면부(11)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평면부(11) 중 제1 이동 발광 소자(31)와 제2 이동 발광 소자(32)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13)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신축성 표시 장치를 어느 한 방향 뿐만 아니라 평면상으로 교차하는 두 방향으로 연신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실시예에서는 신축성 기판 위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돌출부에고정 발광 소자를 부착하였으나, 신축성 기판에 돌출부를 형성하지 않고 신축성 기판의 표면에 고정 발광 소자를 부착하는 또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18, 도 19 및 도 2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10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20은 도 18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30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8,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신축성 기판의 표면에 고정 발광 소자를 부착하는 것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는 신축성 기판(10), 신축성 기판(10) 위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100), 그리고 복수개의 발광 소자(100)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 배선(40)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발광 소자(100)는 신축성 기판 위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20), 신축성 기판(10)과 이격되어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30)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20)와 신축성 기판(10) 사이에는 접착층(15)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층(15)은 신축성 기판(10)이 신축되는 경우에 신축성 기판(10)에 고정 발광 소자(20)가 고정되어 있도록 고정 발광 소자(20)와 신축성 기판(10)을 서로 접착시킨다.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30)는 제1 이동 발광 소자(31), 제1 이동 발광 소자(31)와 고정 발광 소자(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이동 발광 소자(32)를 포함한다. 제1 이동 발광 소자(31)는 수축 상태에서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고,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수축 상태에서 경사지게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신축성 기판(10)에서 이격되어 떠있는 제1 이동 발광 소자(31)와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연결 배선(40)으로 서로 연결되어 그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20)와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30) 상부에는 신축성 덮개판(50)이 위치하고 있다. 신축성 덮개판(50)은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20)와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30)를 덮어 이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20)와 신축성 덮개판(50) 사이에는 고정 발광 소자(20)와 신축성 덮개판(5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간격재(80)가 위치하고 있다. 복수개의 간격재(80)는 서로 일정한 수축 간격(d3)으로 이격되어 있다.
신축성 덮개판(50)은 간격재(80)를 통해 고정 발광 소자(20) 및 신축성 기판(1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신 상태에서 이들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신축성 덮개판(50)의 연신율은 신축성 기판(10)의 연신율과 동일할 수 있다.
신축성 덮개판(50) 위에는 신축성 터치 패널(60)이 형성되어 있고, 신축성 터치 패널(60) 위에는 신축성 윈도우(7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축성 터치 패널(60) 및 신축성 윈도우(70)의 연신율은 신축성 기판(10)의 연신율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8, 도 19 및 도 20을 참고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축 상태에서 신축성 기판(10)의 인접하는 간격재(80)는 서로 수축 간격(d1)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다. 이 때, 고정 발광 소자(20)는 신축성 기판(20) 위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고, 고정 발광 소자(20)의 상방에는 고정 발광 소자(20)에서 발광하는 빛을 차단하는 구조가 없으므로 고정 발광 소자(20)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이동 발광 소자(31)는 신축성 기판(20)에서 이격되어 공중에서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고, 제1 이동 발광 소자(31)의 상방에는 제1 이동 발광 소자(31)에서 발광하는 빛을 차단하는 구조가 없으므로 제1 이동 발광 소자(31)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경사지게 위치하고 있으며 제2 발광 소자의 전면이 경사지게 아래 방향으로 향하고 있으므로 제2 이동 발광 소자(32)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신축성 기판(10)의 수축 상태에서는 발광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신율이 100%인 연신 상태에서 간격재(80) 사이의 연신 간격(d4)은 수축 상태에서 신축성 기판(10)의 간격재(80) 사이의 수축 간격(d3)보다 크게 된다. 여기서, 연신율은 간격재(80) 사이의 거리의 증가율의 1/2로 정의되며, 연신 간격(d4)는 수축 간격(d3)의 약 3배이므로 연신율 = (d4-d3)/d3 x 100/2 = 100%가 된다.
이 때, 고정 발광 소자(20)는 신축성 기판(20) 위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고정 발광 소자(20)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이동 발광 소자(31)는 인장력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경우에도 제1 이동 발광 소자(31)는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이동 발광 소자(31)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인장력에 의해 제2 이동 발광 소자(32)의 전면이 경사지게 위 방향을 향하고 있으므로 이 경우에도 제2 이동 발광 소자(32)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연신율이 100%인 연신 상태에서는 발광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신율이 300%인 연신 상태에서 신축성 기판(10)의 간격재(80) 사이의 연신 간격(d5)은 연신율이 100%인 연신 상태에서 신축성 기판(10)의 간격재(80) 사이의 연신 간격(d4)보다 크게 된다. 여기서, 연신율은 간격재(80) 사이의 거리의 증가율의 1/2로 정의되며, 연신 간격(d5)는 수축 간격(d3)의 약 7배이므로 연신율 = (d5-d3)/d3 x 100/2 = 300%가 된다.
이 때, 고정 발광 소자(20)는 여전히 발광하고, 제1 이동 발광 소자(31)는 인장력에 의해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여 신축성 기판(20) 위에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제1 이동 발광 소자(31)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이동 발광 소자(32)도 인장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제2 이동 발광 소자(32)에서 발광하는 빛도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이동 발광 소자(32)는 연신율이 300%인 연신 상태에서는 발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신율을 증가시키며 신축성 기판(10)을 연신시키는 경우 발광하는 발광 소자(100)의 수가 증가되므로 연신되어도 해상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연신율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소자의 수를 증감시킬 수 있으므로 해상도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8,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신축 상태에서 이동 발광 소자의 일부인 제1 이동 발광 소자가 발광하였으나, 신축 상태에서 이동 발광 소자 모두가 발광하지 않는 또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신축성 표시 장치를 50%의 연신율로 연신한 연신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8,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수축 상태에서 이동 발광 소자 모두가 발광하지 않는 것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축성 표시 장치의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30)는 신축성 기판(20)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 발광 소자(20)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수축 상태에서 인접하는 간격재(80)는 서로 수축 간격(d3)을 가지고 이격되어 있다. 이 때, 고정 발광 소자(20)는 신축성 기판(20) 위에 고정되어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전면으로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 발광 소자(30)는 신축성 기판(20)에서 이격되어 공중에서 경사지게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동 발광 소자(30)에서 발광하는 빛은 전면(front side)으로 진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동 발광 소자(30)는 신축성 기판(10)의 수축 상태에서는 발광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신율이 50%인 연신 상태에서 간격재(80) 사이의 연신 간격(d4)은 수축 상태에서 간격재(80) 사이의 수축 간격(d3)보다 크게 된다. 여기서, 연신율은 간격재(80) 사이의 거리의 증가율의 1/2로 정의되며, 연신 간격(d4)은 수축 간격(d3)의 약 2배이므로 연신율 = (d4-d3)/d3 × 100/2 = 50%가 된다.
이 때, 고정 발광 소자(20)는 여전히 수평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전면으로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경사지게 위치하고 있던 이동 발광 소자(30)는 인장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신축성 기판(10) 위에 수평으로 위치하게 되므로 전면으로 발광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신축성 기판 11: 평면부
12: 돌출부 20: 고정 발광 소자
30: 이동 발광 소자 31: 제1 이동 발광 소자
32: 제2 이동 발광 소자 40: 연결 배선
50: 신축성 덮개판기 60: 신축성 터치 패널
70: 신축성 윈도우 80: 간격재
12: 돌출부 20: 고정 발광 소자
30: 이동 발광 소자 31: 제1 이동 발광 소자
32: 제2 이동 발광 소자 40: 연결 배선
50: 신축성 덮개판기 60: 신축성 터치 패널
70: 신축성 윈도우 80: 간격재
Claims (20)
- 평면부, 상기 평면부보다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신축성 기판,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의 상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있으며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
상기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와 상기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 배선
을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이동 발광 소자는 상기 평면부에 위치하는 제1 이동 발광 소자, 상기 제1 이동 발광 소자와 상기 고정 발광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이동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 제2항에서,
상기 돌출부의 측면은 상기 평면부의 상면과 정테이퍼진 신축성 표시 장치. - 제3항에서,
상기 제2 이동 발광 소자는 상기 신축성 기판이 연신된 연신 상태에서만 발광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 제2항에서,
상기 돌출부의 측면은 상기 평면부의 상면과 역테이퍼진 신축성 표시 장치. - 제5항에서,
상기 제1 이동 발광 소자와 상기 제2 이동 발광 소자는 상기 신축성 기판이 연신된 연신 상태에서만 발광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이동 발광 소자는 상기 신축성 기판이 수축된 상태인 수축 상태에서 발광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고정 발광 소자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고정 발광 소자 및 상기 이동 발광 소자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 위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층, 상기 표시층을 덮고 있는 밀봉층을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연결 배선은 금속선, 상기 금속선을 둘러싸고 있는 유연 폴리머를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신축성 기판은 제1 방향으로 신축되는 신축성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신축성 기판은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동시에 신축되는 신축성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고정 발광 소자 위에 위치하는 신축성 덮개판,
상기 신축성 덮개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신축성 터치 패널,
상기 신축성 터치 패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신축성 윈도우
를 더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 신축성 기판,
상기 신축성 기판 위에 부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
상기 신축성 기판과 이격되어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동가능한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
상기 복수개의 고정 발광 소자와 상기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발광 소자를 서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 배선
을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 제14항에서,
상기 복수개의 이동 발광 소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신축성 기판이 수축되는 수축 상태에서 비발광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 제14항에서,
상기 고정 발광 소자와 이동 발광 소자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신축성 덮개판,
상기 고정 발광 소자와 신축성 덮개판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발광 소자와 상기 신축성 덮개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간격재,
상기 신축성 덮개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신축성 터치 패널,
상기 신축성 터치 패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신축성 윈도우
를 더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 제14항에서,
상기 신축성 기판과 상기 고정 발광 소자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 - 캐리어 기판 위에 복수개의 발광 소자 및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 배선을 분리하는 단계,
평면부보다 돌출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신축성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신축성 기판을 연신시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 및 상기 복수개의 연결 배선을 상기 연신된 신축성 기판에 부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신축성 기판을 수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8항에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 소자 중 고정 발광 소자는 상기 돌출부에 부착되고, 이동 발광 소자는 상기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9항에서,
상기 수축된 신축성 기판의 돌출부에 부착된 상기 고정 발광 소자 위에 신축성 덮개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신축성 덮개판 위에 신축성 터치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신축성 터치 패널 위에 신축성 윈도우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축성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1403A KR102327582B1 (ko) | 2015-01-06 | 2015-01-06 |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US14/801,877 US9756723B2 (en) | 2015-01-06 | 2015-07-17 | Stretchabl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201510649877.8A CN105761619B (zh) | 2015-01-06 | 2015-10-09 | 可伸展显示器及其制造方法 |
CN201910471798.0A CN110111695B (zh) | 2015-01-06 | 2015-10-09 | 可伸展显示器及其制造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1403A KR102327582B1 (ko) | 2015-01-06 | 2015-01-06 |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4964A KR20160084964A (ko) | 2016-07-15 |
KR102327582B1 true KR102327582B1 (ko) | 2021-11-17 |
Family
ID=5628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1403A KR102327582B1 (ko) | 2015-01-06 | 2015-01-06 |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756723B2 (ko) |
KR (1) | KR102327582B1 (ko) |
CN (2) | CN110111695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4231A (ko) * | 2018-11-28 | 2020-06-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995739B2 (ja) | 2015-07-23 | 2022-01-17 | ソウル セミコンダクタ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KR101876436B1 (ko) * | 2016-01-25 | 2018-07-13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발광 소자 및 제조방법 |
KR102651054B1 (ko) * | 2016-02-22 | 2024-03-2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전사 장치,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및 표시 장치 |
KR102455039B1 (ko) * | 2016-03-18 | 2022-10-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신축성 디스플레이 장치 |
WO2018116112A1 (en) * | 2016-12-22 | 2018-06-28 |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US10203929B2 (en) | 2017-06-13 | 2019-02-12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Extendable display strips |
TWI643114B (zh) * | 2018-01-08 | 2018-12-01 |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 觸控顯示面板及其修補方法 |
TWI646453B (zh) * | 2018-01-08 | 2019-01-01 |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 觸控顯示面板 |
CN208189154U (zh) * | 2018-06-13 | 2018-12-04 |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 一种拉伸显示屏及显示装置 |
CN109791747B (zh) | 2018-11-09 | 2022-01-07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可拉伸显示面板、可拉伸显示设备和制造可拉伸显示面板的方法 |
CN109728066B (zh) * | 2019-01-09 | 2021-08-03 |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 显示面板及显示装置 |
CN109473057B (zh) | 2019-01-15 | 2021-10-22 | 成都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 一种可拉伸显示面板、其显示方法及显示装置 |
CN110268462B (zh) * | 2019-05-10 | 2022-12-09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可拉伸显示设备和图像显示驱动方法 |
CN110189640B (zh) | 2019-07-02 | 2020-11-10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可拉伸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
CN110911437A (zh) * | 2019-12-06 | 2020-03-24 |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 微发光二极管驱动背板和显示面板 |
CN110992832B (zh) * | 2019-12-18 | 2021-10-08 |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 一种可拉伸显示面板和可拉伸显示装置 |
CN111276528B (zh) * | 2020-02-21 | 2022-06-10 |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 可拉伸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拉伸检测方法和显示设备 |
CN111341210A (zh) * | 2020-04-09 | 2020-06-26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显示面板、显示装置以及显示面板的制造方法 |
JP7502616B2 (ja) | 2020-07-01 | 2024-06-19 |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 発光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発光装置 |
KR102406243B1 (ko) * | 2020-08-26 | 2022-06-08 | 재단법인 파동에너지 극한제어 연구단 | 신축성 패널 |
KR102454533B1 (ko) * | 2021-01-12 | 2022-10-1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
CN113035072B (zh) * | 2021-03-02 | 2022-10-25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显示模组、显示模组的制作方法及电子设备 |
CN113450653B (zh) * | 2021-06-30 | 2023-03-24 |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 可拉伸显示面板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
CN116107446A (zh) * | 2021-11-11 | 2023-05-12 |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 可挠式电子装置 |
KR20240134633A (ko) * | 2023-03-02 | 2024-09-10 | 한국과학기술원 | 신축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작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207139A1 (en) | 2003-04-29 | 2006-09-21 | France Telecom | Flexible display |
KR101347053B1 (ko) | 2011-06-01 | 2014-01-06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트레쳐블 유기 전도성 고분자 마이크로 아치 구조물, 스트레쳐블 유기 전자 소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
KR101404472B1 (ko) | 2012-11-29 | 2014-06-11 | 광주과학기술원 | 스트레처블 기판, 스트레처블 광기전장치, 및 스트레처블 기기 |
KR101521694B1 (ko) | 2013-03-29 | 2015-05-19 | 삼성전기주식회사 | 플렉서블/스트레처블 투명도전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465956B1 (en) * | 1998-12-28 | 2002-10-15 | Pioneer Corporation | Plasma display panel |
JP2002164181A (ja) * | 2000-09-18 | 2002-06-07 |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 表示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
US7128438B2 (en) * | 2004-02-05 | 2006-10-31 | Agilight, Inc. | Light display structures |
US8217381B2 (en) * | 2004-06-04 | 2012-07-10 |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 Controlled buckling structures in semiconductor interconnects and nanomembranes for stretchable electronics |
US7268491B2 (en) * | 2004-12-14 | 2007-09-1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Expandable display having rollable material |
CN103872002B (zh) * | 2008-03-05 | 2017-03-01 | 伊利诺伊大学评议会 | 可拉伸和可折叠的电子器件 |
US8207473B2 (en) * | 2008-06-24 | 2012-06-26 | Imec |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retchable electronic device |
US8097926B2 (en) * | 2008-10-07 | 2012-01-17 | Mc10, Inc. | Systems, methods, and devices having stretchable integrated circuitry for sensing and delivering therapy |
US8389862B2 (en) * | 2008-10-07 | 2013-03-05 | Mc10, Inc. | Extremely stretchable electronics |
PL2392196T3 (pl) | 2009-01-30 | 2019-05-31 | Imec Vzw | Rozciągliwe urządzenie elektroniczne |
CN101814258A (zh) * | 2009-02-25 | 2010-08-25 | 光磊科技股份有限公司 | 可调整尺寸的发光二极管显示模块 |
KR101073560B1 (ko) * | 2009-11-10 | 2011-10-17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US8711566B2 (en) | 2011-09-02 | 2014-04-29 | Microsoft Corporation | Expandable mobile device |
KR101507206B1 (ko) * | 2012-02-13 | 2015-03-3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연한 표시장치 |
CN103294369B (zh) * | 2012-03-05 | 2018-02-27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
TWI443279B (zh) * | 2012-03-05 | 2014-07-01 | Lextar Electronics Corp | 可延伸的發光模組 |
KR101466795B1 (ko) * | 2012-11-06 | 2014-11-28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신축성 기판 및 그 제조방법 |
KR101984734B1 (ko) * | 2012-11-16 | 2019-06-0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신축성 베이스 플레이트와 그것을 사용한 신축성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US9348362B2 (en) * | 2013-02-08 | 2016-05-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lexible portable terminal |
-
2015
- 2015-01-06 KR KR1020150001403A patent/KR10232758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7-17 US US14/801,877 patent/US9756723B2/en active Active
- 2015-10-09 CN CN201910471798.0A patent/CN110111695B/zh active Active
- 2015-10-09 CN CN201510649877.8A patent/CN105761619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207139A1 (en) | 2003-04-29 | 2006-09-21 | France Telecom | Flexible display |
KR101347053B1 (ko) | 2011-06-01 | 2014-01-06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스트레쳐블 유기 전도성 고분자 마이크로 아치 구조물, 스트레쳐블 유기 전자 소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
KR101404472B1 (ko) | 2012-11-29 | 2014-06-11 | 광주과학기술원 | 스트레처블 기판, 스트레처블 광기전장치, 및 스트레처블 기기 |
KR101521694B1 (ko) | 2013-03-29 | 2015-05-19 | 삼성전기주식회사 | 플렉서블/스트레처블 투명도전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4231A (ko) * | 2018-11-28 | 2020-06-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
KR102519417B1 (ko) | 2018-11-28 | 2023-04-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스트레처블 표시 장치 |
US12101989B2 (en) | 2018-11-28 | 2024-09-24 | Samsung Display Co., Ltd. | Stretchable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756723B2 (en) | 2017-09-05 |
CN110111695B (zh) | 2021-06-18 |
CN110111695A (zh) | 2019-08-09 |
KR20160084964A (ko) | 2016-07-15 |
US20160198567A1 (en) | 2016-07-07 |
CN105761619A (zh) | 2016-07-13 |
CN105761619B (zh) | 2019-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27582B1 (ko) | 신축성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709030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US10739929B2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ing layer | |
KR102427667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397900B1 (ko) | 표시 장치 | |
KR102411328B1 (ko) | 표시 장치 | |
KR102708773B1 (ko) | 플렉서블 표시장치 | |
CN105576000B (zh) | 有机发光显示装置 | |
KR102255198B1 (ko) | 스트레처블 기판 및 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
WO2021007890A1 (zh) | Oled显示装置 | |
CN106816456A (zh) | 一种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显示器 | |
CN107546249B (zh) | 柔性oled显示面板 | |
KR102601502B1 (ko) | 스트레쳐블 터치 표시 장치 | |
CN110854166A (zh) | 可拉伸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 | |
KR20200042140A (ko) | 스트레쳐블 표시장치 | |
KR102456050B1 (ko) | 터치 패널 | |
KR20200077402A (ko) | 신축성 디스플레이 | |
EP3433888B1 (en) |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JP7164664B2 (ja) | 発光装置 | |
WO2020044690A1 (ja) |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 |
KR20070066580A (ko) | 균일한 저항값을 갖는 스캔 라인을 포함한 유기 전계 발광소자 | |
JP2021184500A (ja) | 発光装置 | |
CN112599008A (zh) | 一种可拉伸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可拉伸显示装置 | |
US20240074281A1 (en) | Electronic device | |
US11244988B2 (en) | Input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