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0817B1 - 내용물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0817B1 KR102310817B1 KR1020200023147A KR20200023147A KR102310817B1 KR 102310817 B1 KR102310817 B1 KR 102310817B1 KR 1020200023147 A KR1020200023147 A KR 1020200023147A KR 20200023147 A KR20200023147 A KR 20200023147A KR 102310817 B1 KR102310817 B1 KR 1023108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s
- seating surface
- applicator
- container
- tr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을 도포하는 도포구가 안착되도록 안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의 반대편으로부터 상기 안착면으로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유입홀이 형성되는 트레이부; 및 상기 안착면의 반대편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홀과 연통하며 상기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이 상기 안착면으로 배출되도록 형태가 변형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례로 소량의 화장품과 화장도구를 내장하여 샘플 또는 증정품으로 제조 및 공급할 수 있어, 제품의 홍보효과 및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등과 같은 고형 화장품이나 선 블록(sun block) 등과 같은 액체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는 퍼프(puff)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퍼프의 경우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된 상태로 판매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퍼프 등은 화장품 용기의 뚜껑 내부에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뚜껑을 열어 퍼프를 인출하고, 퍼프에 구비된 탄성끈 등을 손가락에 끼운 상태로 퍼프를 화장품에 접촉시킴으로써 퍼프에 소정 양만큼의 화장품이 묻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운데이션 등의 화장품은 퍼프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화장품의 성분 변경, 품질 개선 및 색상의 다양화 등에 의해 사용자가 사용해보지 못한 제품이나 신제품을 바로 구매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고 제품에 대한 홍보를 위해, 샘플을 제조/공급하거나, 화장품 샵 등에 본품과 동일한 형태의 화장품 용기가 비치된다.
그런데 파운데이션과 같이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을 수행하여야 하는 제품의 경우, 예를 들어 필름지와 같이 액상의 화장품만이 소량 담겨진 경우, 이를 1회 성으로 이용 가능하나 사용자가 퍼프를 이용하여 샘플을 시용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으며, 화장품 샵에 마련되는 제품은 본품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어 퍼프가 구비되기는 하나,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이용하게 됨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피부질환 등이 전달되는 등 이용에 거부감을 발생시켜 실효성이 저하되어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량의 화장품을 제조/공급함에 있어 화장도구를 함께 이용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므로 사용자의 만족감 및 홍보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내용물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을 도포하는 도포구가 안착되도록 안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의 반대편으로부터 상기 안착면으로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유입홀이 형성되는 트레이부; 및 상기 안착면의 반대편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홀과 연통하며 상기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이 상기 안착면으로 배출되도록 형태가 변형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포구; 및 상기 도포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트레이부에 마련되되 분리 가능한 제1 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안착면의 외곽 둘레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도포구를 수용하며 상기 제1 씰링부가 부착되는 둘레부재; 및 상기 둘레부재로부터 반대편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착면보다 돌출되는 다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다리부재의 둘레면에 착탈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둘레부재와의 사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끼움홈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착면의 반대편에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돌기가 끼움되는 돌기홈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는, 내용물이 삽입되도록, 관통구조를 이루는 충진홈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안착면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물은 2g 이하로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용물 용기는, 트레이부와 수용부의 결합에도, 자(jar) 형태의 트레이부를 통해 일반적인 용기의 형상을 가지면서도, 결합구조의 노출이 없어 하부 외관이 복잡하게 형성되지 않아 심플한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므로 소비자가 느끼는 심미감의 향상으로 제품의 고급화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어, 제품의 이미지 향상 또는 고급화를 이룰 수 있어 홍보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샘플과 같이 소용량의 내용물을 수용하더라도 수용부의 가압으로 내용물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어 소량의 화장품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퍼프와 같은 화장 도구가 함께 내장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에서 일부 구성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에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에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충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에서 수용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에서 수용부의 다른 형태를 통해 충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에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에서 내용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뒤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충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에서 수용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에서 수용부의 다른 형태를 통해 충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에서 수용부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는 트레이부(110), 수용부(120), 도포구(130), 제1 씰링부(140), 제2 씰링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용물 용기(100)는 액상의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고, 내용물은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블러셔 등의 화장품 또는 소독약과 같은 의약품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실시예의 내용물 용기(100)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퍼프 또는 거즈와 같은 도포구(130)에 의해 피부에 전달될 수 있으며, 세균 번식 등을 방지하고자 도포구(130)에 의해 전달되는 내용물이 1회 사용 용량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용물 용기(100)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바람직하게는 2g 이하로 수용될 수 있으나, 상처의 면적이 넓어 내용물의 도포가 많이 요구되는 바와 같이 1회 필요량에 따라 내용물의 용량은 가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내용물이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인 것을 일례로 설명하도록 한다.
트레이부(110)는, 도포구(130)를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내용물을 덜어 사용할 수 있는 파레트로 이용 가능한 구성으로서, 내용물을 도포하는 도포구(130)가 안착되도록 안착면(111)이 형성된다.
일례로, 트레이부(110)에 도포구(130)가 단순히 안착되도록, 안착면(111)은 평평한 면을 이룰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레이부(110)에 도포구(130)가 수용되도록 안착면(111)의 외곽 둘레면이 돌출되어 안착면(111)을 바닥면으로 하는 오목 홈의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안착면(111)의 반대편으로부터 안착면(111)으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안착면(111)에는 유입홀(11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홀(111A)의 위치는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설계될 수 있어, 사용자가 도포구(130)의 중심부 또는 일측 모서리에 내용물을 덜어 내는 성향에 따라 달리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내용물 용기(100)는 소량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샘플, 증정용과 같이 1회 사용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내용물이 도포구(130)에 고르게 도포될 수 있도록 안착면(111)의 중심에 유입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부(110)는 둘레부재(112), 다리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부(110) 상에 도포구(130)가 단순히 얹혀지고, 도포구(130)를 수용하는 형태로 트레이부(110)의 안착면(111)을 씰링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제1 씰링부(140)가 접착으로 연결될 수 있게 둘레부재(112)가 생략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트레이부(110)가 둘레부재(112)를 포함하여 제1 씰링부(140)의 밀봉형태가 평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트레이부(110)의 안착면(111)은 파레트 기능을 위해 평평한 구조만으로 이루어져 안착면(111) 상에 도포구(130)가 배치된 후 이를 커버하도록 제1 씰링부(140)가 도포구(130)의 둘레면으로 안착면(111) 상에 접착되어 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씰링부(140)는 트레이부(110)로부터 벗겨져 제거되는 구성으로서 비닐류 등으로 이루어져 형태가 쉽게 변형될 수 있어 포장이 일정하지 않을 우려가 있어 외관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레이부(110)는 둘레부재(112)를 포함하여 도포구(130)를 안정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제1 씰링부(140)가 고정되는 밀착면을 둘레부재(112)의 상단 둘레면으로 이루도록 함으로써 트레이부(110) 상에 접착된 제1 씰링부(140)는 둘레부재(112)에 의해 평평한 형태를 이룰 수 있고, 내용물 용기(100)의 형태가 둘레부재(112)에 의해 일정할 수 있어 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둘레부재(112)는 안착면(111)의 외곽 둘레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도포구(130)를 수용하며 제1 씰링부(140)가 부착될 수 있고, 상부로 돌출된 둘레부재(112)에서 하부로 다리부재(113)가 연장된 형태를 이룰 수 있는데, 이러한 안착면(111), 둘레부재(112), 다리부재(113)는 주물 방식을 통해 일체로 제조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리부재(113)는 둘레부재(112)로부터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안착면(111)의 하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는데, 다리부재(113)의 내측인 안착면(111)의 반대편에서 수용부(120)가 다리부재(113)에 의해 트레이부(110)의 내부에 수용부(120)가 마련된 형태를 이루어 수용부(120)가 다리부재(113)에 의해 다른 물품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다리부재(113)가 내용물 용기(100)의 외곽에 마련되고 그 내부에 수용부(120)가 안착된 형태를 이루어 다리부재(113)에 의해 다른 물품이 걸려 수용부(120)가 보호되는 형태를 이룸으로써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리부재(113)는 안착면(111)보다 돌출되고, 안착면(111)의 반대편에 수용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다리부재(113)는 둘레부재(112)와의 사이에 끼움홈(1131)이 형성될 수 있고, 이때 후술되는 지지부재(121)가 끼움홈(1131)에 연결될 수 있어, 트레이부(110)와 수용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다리부재(113)는 원기둥 형태를 이루어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수용부(12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안착면(111)의 반대편에 연결되어, 유입홀(111A)과 연통하며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내용물이 안착면(111)으로 배출되도록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120)는 소량의 내용물 예를 들어 2g 내외로 수용할 수 있는데, 사용자에 따라 내용물을 이용하는 용량이 달라져, 2g을 한 번에 모두 소진시키거나 1g을 2회 분할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 내용물의 사용량이 상이하더라도, 본 실시예의 수용부(120)에 저장된 내용물은 유입홀(111A)을 통해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일정하게 배출되면서도 유입홀(111A)이 작은 홀 형태를 이루어 내용물이 보호될 수 있어, 소량 남은 상태에서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수용부(120)는 예를 들어 비닐류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수용부(120)를 누르는 동작을 통해 수용부(120)의 수용공간(부호 도시하지 않음)을 줄여 내용물이 유입홀(111A)을 통해 안착면(111)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심미감의 저하를 방지하고 고급화된 제품 이미지를 위해, 수용부(120)의 외관이 일정하게 변형되도록 수용부(120)는 주름구조를 통해 주름의 폭이 줄어들면서 수용공간이 줄어들도록 하여 수용부(120)의 바닥면 형태는 변형되지 않으면서 트레이부(110)를 향해 진입하여 수용공간이 줄어드는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또는 수용부(120)의 바닥면이 볼록한 형태에서 오목한 형태로 변형되어 수용공간을 축소시킴으로써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도 있다.
이때 수용부(12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형태 변형이 가능하도록 실리콘 등과 같이 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특히 트레이부(110)와의 결합을 위해 일정한 형태를 가지면서도 수용공간의 축소를 위한 형상 변형을 위해 페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그 재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내용물의 색상, 잔량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수용부(120)는 투명, 반투명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수용부(120)는, 트레이부(11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다리부재(113)의 둘레면에 착탈되는 지지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121)가 끼움홈(1131)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지지부재(121)가 끼움홈(1131)에 삽입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지지부재(121)가 탄성을 가지고 다리부재(113)와 맞닿는 방향으로 벌어지되 다리부재(113)에 의해 오므라들게 이루어져 다리부재(113)와 밀착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수용부(120)에는 둘레를 따라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돌기홈(122)이 마련되고, 안착면(111)의 반대편에는 돌기홈(122)에 끼움되는 돌기(114)가 맞물리는 구조로 이루어져 이들의 결합으로 연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돌기(114)의 형상은 링 형태, 또는 서로 이격 되어 복수로 마련되는 돌출 구조물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즉 수용부(120)와 트레이부(110)의 결합은, 다리부재(113)에 의한 결합 및/또는 돌기(114)/돌기홈(122)에 의한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용부(120)와 트레이부(110)가 서로 맞닿는 면에 접착제, 양면 테이프 등이 추가로 마련되어 이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결합관계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트레이부(110)를 기준으로 트레이부(110)의 하부 내측에 수용부(120)가 안착 및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수용부(120)가 트레이부(110)의 내측에서 다른 물품에 대한 간섭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내용물 용기(100)의 형상은, 제1 씰링부(140)에 의해 상단이 커버된 다리부재(113)를 통해 노출되므로 다리부재(113)의 둘레면이 내용물 용기(1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이때, 다리부재(113)는 안착면(111)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둘레부재(112)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안착면(111)이 원형을 이루는 경우 다리부재(113) 또한 원형을 따라 돌출되는 원기둥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물론 안착면(111)이 다각형, 원형을 이루는 경우 다리부재(113) 또한 그 형상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어, 트레이부(110)는 안착면(111)이 형성되는 오목한 자(jar) 형태를 이루고, 이러한 다리부재(113)가 내용물 용기(1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이때, 트레이부(110)의 하부에는 수용부(120)가 끼움되므로, 내용물 용기(100)의 하부 내측에서 수용부(120)가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120)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안착면(111)의 반대편으로 볼록한 형태를 이룰 수 있고 수용공간의 단면적은 안착면(111)보다 작게 이루어져 수용부(120)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볼록하게 이루어지되 상부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태를 이룰 수 있어, 수용공간에서 볼록하게 돌출된 영역을 사용자가 가압함으로써 내용물을 유입홀(111A)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다만, 수용부(120)의 수용공간이 다리부재(113)의 최하단과 동일하거나 작게 이루어져 수용부(120)가 트레이부(110)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여부에 관계없이 바닥면에 대해 동일한 형태로 배치되게, 내용물 용기(100)가 바닥면에 놓일 경우 다리부재(113)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수용부(120)에 마련되는 내용물은 제조과정에서 충진 되거나, 내용물이 모두 소진된 이후 사용자가 충진하여 재사용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충진 도구(50) 등에 의한 충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도 5를 참조하면(일 형태의 수용부 도시), 수용부(120)의 상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수용공간에 내용물이 충진 되고, 내용물이 충진된 상태의 수용부(120)와 트레이부(110)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다른 형태의 수용부 도시), 수용부(120)는 관통구조를 이루는 충진홈(125)이 마련될 수 있다. 충진홈(125)은 수용부(120)의 수용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관통되는 구조를 이루어 주사기 등의 형태를 이루는 충진 도구(50)로부터 내용물이 리필/충진 되거나 수용부(120) 내부의 내용물과 다른 색상의 화장품이 혼합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 이때, 수용부(120)에는 충진홈(125)을 개폐하는 스티커, 마개(도시하지 않음) 등이 부착/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충진 방법은, 일 형태의 수용부(120)와 달리, 도 7을 참조하면, 트레이부(110)와 수용부(120)가 먼저 결합된 이후 내용물이 충진될 수 있다. 여기서, 충진 도구(50)로부터 내용물이 하방으로 유입되는 바와 같이, 수용부(120)에 대하여 백(BACK)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즉 작업자/사용자 등이 내용물을 충진할 경우 아래 보기 방향으로 내용물을 충진할 수 있도록, 수용부(120)는 뒤집어진 상태로 배치되어 충진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충진 방법에 따라 수용부(120)에는 충진홈(125)의 구비 여부가 달라 질 수 있으며, 더불어 생산성, 편리성 등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 이외의 변형예도 가능하다.
도포구(130)는 스펀지, 퍼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트레이부(110) 내에 내장되어 내용물과 함께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화장도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특히, 소량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120) 내의 화장품을 도포구(130)와 함께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타인이 사용한 화장도구를 이용하지 않아 위생에 대한 거부감이 없어 화장품에 대한 제품 홍보가 향상될 수 있다.
제1 씰링부(140)는 도포구(1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트레이부(110)에 마련되되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씰링부(140)는 비닐, 필름 등과 같이 평면지를 이루어 부피나 두께를 차지하지 않아 내용물 용기(100)의 전체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소량의 내용물을 제공하는 목적에 부합할 수 있으며, 자재비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씰링부(140)는 비닐류 외에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뚜껑 형태를 이루어 단순 밀착 또는 나사결합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러한, 제1 씰링부(140)는 바람직하게는 비닐류로 이루어져 둘레부재(112) 상에 접착, 열 융착 등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뜯기 용이하도록, 제1 씰링부(140)의 일부가 둘레부재(112)로부터 연장되게 마련되어 손잡이를 이룰 수 있다(도 4 참조: 내용물 용기가 뒤집힌 상태).
제2 씰링부(150)는 제1 씰링부(140)와 동일/유사하게 비닐, 필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2 씰링부(150)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유입홀(111A)을 폐쇄하도록 이루어지므로 제1 씰링부(140)에 대비하여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2 씰링부(150) 또한 손잡이가 이루어지도록 안착면(111)에 접착되지 않고 연장된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트레이부(110)와 수용부(120)의 결합에도, 자(jar) 형태의 트레이부(110)를 통해 일반적인 용기의 형상을 가지면서도, 외관이 복잡하게 형성되지 않아 심플한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므로 소비자가 느끼는 심미감의 향상으로 제품의 고급화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샘플과 같이 소용량의 내용물을 수용하더라도 수용부(120)의 가압으로 내용물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내용물 용기 110: 트레이부
111: 안착면 111A: 유입홀
112: 둘레부재 113: 다리부재
120: 수용부 121: 지지부재
125: 충진홈 130: 도포구
140: 제1 씰링부 150: 제2 씰링부
111: 안착면 111A: 유입홀
112: 둘레부재 113: 다리부재
120: 수용부 121: 지지부재
125: 충진홈 130: 도포구
140: 제1 씰링부 150: 제2 씰링부
Claims (9)
- 내용물을 도포하는 도포구가 안착되도록 안착면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면의 반대편으로부터 상기 안착면으로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유입홀이 형성되는 트레이부; 및
상기 안착면의 반대편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홀과 연통하며 상기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용물이 상기 안착면으로 배출되도록 형태가 변형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가압에 의해 외관이 일정하게 변형되도록 주름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구; 및
상기 도포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트레이부에 마련되되 분리 가능한 제1 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안착면의 외곽 둘레로부터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도포구를 수용하며 상기 제1 씰링부가 부착되는 둘레부재; 및
상기 둘레부재로부터 반대편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착면보다 돌출되는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다리부재의 둘레면에 착탈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둘레부재와의 사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끼움홈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의 반대편에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돌기가 끼움되는 돌기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내용물이 삽입되도록, 관통구조를 이루는 충진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안착면에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은 2g 이하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용물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3147A KR102310817B1 (ko) | 2017-10-30 | 2020-02-25 | 내용물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42463A KR102083633B1 (ko) | 2017-10-30 | 2017-10-30 | 내용물 용기 |
KR1020200023147A KR102310817B1 (ko) | 2017-10-30 | 2020-02-25 | 내용물 용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2463A Division KR102083633B1 (ko) | 2017-10-30 | 2017-10-30 | 내용물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2420A KR20200022420A (ko) | 2020-03-03 |
KR102310817B1 true KR102310817B1 (ko) | 2021-10-12 |
Family
ID=69937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3147A KR102310817B1 (ko) | 2017-10-30 | 2020-02-25 | 내용물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1081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64710B1 (ko) * | 2020-05-20 | 2020-10-12 | 한국콜마주식회사 | 내용물 용기 |
JP2023066704A (ja) * | 2021-10-29 | 2023-05-16 | 株式会社タイキ | 化粧品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2245B1 (ko) * | 2010-06-15 | 2010-11-05 | 박승훈 | 박형 용기 |
KR101610025B1 (ko) * | 2015-06-24 | 2016-04-07 |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 어플리케이터를 푸시버튼으로 사용하는 리필타입의 콤팩트 용기 및 이에 결합 사용되는 화장품 저장 토출 유닛 |
-
2020
- 2020-02-25 KR KR1020200023147A patent/KR1023108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2245B1 (ko) * | 2010-06-15 | 2010-11-05 | 박승훈 | 박형 용기 |
KR101610025B1 (ko) * | 2015-06-24 | 2016-04-07 | 주식회사 씨티케이코스메틱스 | 어플리케이터를 푸시버튼으로 사용하는 리필타입의 콤팩트 용기 및 이에 결합 사용되는 화장품 저장 토출 유닛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2420A (ko) | 2020-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81732B2 (en) | Bottle cap with cosmetic kit | |
US8132977B2 (en) | Refill container for consumer products | |
US7416357B2 (en) | Applicator dispenser | |
KR102310817B1 (ko) | 내용물 용기 | |
JP7082207B2 (ja) | 複式ポンプ分注システム | |
KR20180003321U (ko) | 화장품 용기 | |
US8851778B2 (en) | Content-reservoir/product-applicator assemblies, and packages | |
CN105819089B (zh) | 带有化妆用具的瓶盖 | |
CN110278708B (zh) | 容器盖及具有盖的包装 | |
EP3129303B1 (en) | Dispensing system for flexible containers such as pouches, sachets, packets or bag-in-boxes. | |
KR102083633B1 (ko) | 내용물 용기 | |
US20140332024A1 (en) | Multi-compartment container for sun screen application | |
CA2966568C (en) | Bottle cap with cosmetic kit | |
US11241073B2 (en) | Cosmetic container including refillable inner container | |
KR102035840B1 (ko) | 내용물 용기 | |
EP2848155B1 (en) | Container of single-dose cosmetic products | |
KR200152163Y1 (ko) | 화장품 샘플 보관지 | |
KR200418214Y1 (ko) | 리필용 파우치의 홀더 | |
KR20170061871A (ko) |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 |
KR20190070582A (ko) | 슬림화된 케이스 뚜껑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01058667A (ja) | 充填用容器及び充填用容器への被充填物の充填方法 | |
ITBO20030116U1 (it) | Contenitore-dosato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