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574B1 - 데이터 분류 방법 및 장치와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분류 방법 및 장치와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15574B1 KR102315574B1 KR1020140172347A KR20140172347A KR102315574B1 KR 102315574 B1 KR102315574 B1 KR 102315574B1 KR 1020140172347 A KR1020140172347 A KR 1020140172347A KR 20140172347 A KR20140172347 A KR 20140172347A KR 102315574 B1 KR102315574 B1 KR 1023155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input data
- value
- classification
- cla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4—Recurrent networks, e.g. Hopfield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06N3/045—Combinations of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데이터 설정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a 및 3b는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분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a 및 도 3b의 입력 데이터 변경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영상 데이터에서 관심영역을 분리하는 실시예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방법의 흐름도이다.
120: 가설 클래스 선택부 130: 데이터 분류부
140: 결과 출력부 210: 손실함수 정의부
220: 기울기 산출부 230: 데이터 변경부
500: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장치
510: 데이터 설정부 520: 가설 클래스 선택부
530: 데이터 분류부 540: 관심영역 분리부
Claims (26)
-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분류 가능한 전체 클래스 중에서 하나의 가설 클래스를 선택하는 단계;
입력 데이터에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전체 클래스에 관한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재분류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재분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출력 데이터 중에서 가설 클래스의 값이 증가하도록 입력 데이터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데이터를 새로운 입력 데이터로 설정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이하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재분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분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분류 조건은
상기 가설 클래스의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및, 미리 설정된 재분류 횟수 이하인 경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분류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가설 클래스를 사용하여 상기 분류 알고리즘의 손실함수를 정의하는 단계;
상기 정의된 손실함수의 기울기 벡터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기울기 벡터를 기반으로 입력 데이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분류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벡터를 기반으로 입력 데이터를 변경하는 단계는
입력 데이터의 각 값을 기울기 방향으로 임의의 양의 값 만큼 감소시키는 데이터 분류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벡터를 기반으로 입력 데이터를 변경하는 단계는
입력 데이터의 각 값 중에서, 부호값과 기울기 값을 곱한 결과가 기준값 이상이거나, 기울기의 절대값이 기준값 이상인 값을 0으로 변경하는 데이터 분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상기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전체 클래스에 관한 초기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설 클래스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초기 출력 데이터의 각 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가설 클래스를 선택하는 데이터 분류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알고리즘은
뉴럴 넷(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및 RNN(Recurrent Neural Network)을 포함하는 분류 알고리즘 중의 어느 하나인 데이터 분류 방법. -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설정부;
분류 가능한 전체 클래스 중에서 하나의 가설 클래스를 선택하는 가설 클래스 선택부;
입력 데이터에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전체 클래스에 관한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분류부; 및
재분류 조건을 만족하는지 않는 경우,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설정부는
재분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단하여 만족하는 경우, 상기 출력 데이터 중에서 가설 클래스 값이 증가하도록 입력 데이터를 변경하고, 변경된 데이터를 새로운 입력 데이터로 설정하는 데이터 분류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분류 조건은
상기 가설 클래스의 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하인 경우 및, 미리 설정된 재분류 횟수 이하인 경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데이터 분류 장치.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설정부는
상기 가설 클래스를 사용하여 상기 분류 알고리즘의 손실함수를 정의하는 손실함수 정의부;
상기 정의된 손실함수에 대한 기울기 벡터를 구하는 기울기 산출부; 및
상기 기울기 벡터를 기반으로 입력 데이터를 변경하는 데이터 변경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분류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경부는
입력 데이터의 각 값을 기울기 방향으로 임의의 양의 값만큼 감소시키는 데이터 분류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경부는
입력 데이터의 각 값 중에서, 부호값과 기울기 값을 곱한 결과가 기준값 이상이거나, 기울기의 절대값이 기준값 이상인 값을 0으로 변경하는 데이터 분류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 클래스 선택부는
상기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상기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전체 클래스에 관한 초기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초기 출력 데이터의 각 값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가설 클래스를 선택하는 데이터 분류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알고리즘은
뉴럴 넷(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및 RNN(Recurrent Neural Network)을 포함하는 분류 알고리즘 중의 어느 하나인 데이터 분류 장치. -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분류 가능한 전체 클래스 중에서 하나의 가설 클래스를 선택하는 단계;
입력 데이터에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전체 클래스에 관한 출력 데이터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출력 데이터 중에서 상기 가설 클래스의 값이 증가하도록 입력 데이터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변경된 입력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영역으로 분리하는 단계는
세그멘테이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입력 데이터에서 값이 증가된 하나 이상의 연속된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는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관심영역의 재분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재분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리된 하나 이상의 연속된 영역을 포함하는 새로운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이하를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방법. - 삭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멘테이션 알고리즘은
그래프 컷(graph cut) 및 CRF(Conditional Random Field)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가설 클래스를 사용하여 상기 분류 알고리즘의 손실함수를 정의하는 단계;
상기 정의된 손실함수의 기울기 벡터를 구하는 단계; 및
상기 기울기 벡터를 기반으로 하여 입력 데이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방법. - 분류 가능한 전체 클래스 중에서 하나의 가설 클래스를 선택하는 가설 클래스 선택부;
입력 데이터에 분류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전체 클래스에 관한 출력 데이터 생성하는 데이터 분류부;
상기 출력 데이터 중에서 상기 가설 클래스의 값이 증가하도록 입력 데이터를 변경하는 데이터 설정부; 및
상기 변경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변경된 입력 데이터에서 하나 이상의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는 관심영역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심영역 분리부는
세그멘테이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변경된 입력 데이터에서 값이 증가된 하나 이상의 연속된 영역을 관심영역으로 분리하는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설정부는
관심영역의 재분리 여부를 판단하고, 재분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분리된 하나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는 새로운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장치. - 삭제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멘테이션 알고리즘은
그래프 컷(graph cut) 및 CRF(Conditional Random Field)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설정부는
상기 가설 클래스를 사용하여 상기 분류 알고리즘의 손실함수를 정의하는 손실함수 정의부;
상기 정의된 손실함수의 기울기 벡터를 구하는 기울기 산출부; 및
상기 기울기 벡터를 기반으로 하여 입력 데이터를 변경하는 데이터 변경부를 포함하는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2347A KR102315574B1 (ko) | 2014-12-03 | 2014-12-03 | 데이터 분류 방법 및 장치와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방법 및 장치 |
US14/944,717 US10460232B2 (en) | 2014-12-03 | 2015-11-18 | Method and apparatus for classifying data,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egmenting region of interest (ROI)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2347A KR102315574B1 (ko) | 2014-12-03 | 2014-12-03 | 데이터 분류 방법 및 장치와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6926A KR20160066926A (ko) | 2016-06-13 |
KR102315574B1 true KR102315574B1 (ko) | 2021-10-20 |
Family
ID=5609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2347A Active KR102315574B1 (ko) | 2014-12-03 | 2014-12-03 | 데이터 분류 방법 및 장치와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460232B2 (ko) |
KR (1) | KR10231557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5336A (ko) | 2021-12-22 | 2023-06-29 | 주식회사 렛서 | 인터렉티브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
KR20230095350A (ko) | 2021-12-22 | 2023-06-29 | 주식회사 렛서 |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결과의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
KR102572423B1 (ko) | 2023-03-07 | 2023-08-30 | 주식회사 에이모 | 인스턴스 레이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516103B (zh) * | 2016-06-17 | 2020-08-25 | 北京市商汤科技开发有限公司 | 一种影像分类方法和系统 |
KR101886373B1 (ko) * | 2016-07-14 | 2018-08-09 | 주식회사 언더핀 | 딥러닝 인공신경망 기반의 타스크 제공 플랫폼 |
US11526757B2 (en) | 2016-09-19 | 2022-12-13 | Intrinsic Innovation Llc | Systems and methods for deep learning with small training sets |
US10303961B1 (en) * | 2017-04-13 | 2019-05-28 | Zoox, Inc. | Object detection and passenger notification |
KR101898511B1 (ko) * | 2017-05-10 | 2018-10-31 |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통합 결제 관리방법 |
CN107578055B (zh) * | 2017-06-20 | 2020-04-14 | 北京陌上花科技有限公司 | 一种图像预测方法和装置 |
KR102049331B1 (ko) * | 2017-08-22 | 2019-11-27 | 주식회사 인피닉스 | 이미지 분류 장치와 방법 및 이미지 분류를 위한 이미지 학습 장치 |
KR102127855B1 (ko) * | 2018-03-27 | 2020-06-29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검출 반복성을 최대화 하는 특징점 선별방법 |
US11645535B2 (en) | 2018-09-24 | 2023-05-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Normalization method for training deep neural networks |
KR102061445B1 (ko) * | 2019-02-22 | 2019-12-31 | 써모아이 주식회사 | 가시광 및 적외선 융합 영상 기반 객체 검출 방법 및 장치 |
WO2020234299A1 (en) * | 2019-05-23 | 2020-11-26 | Deepmind Technologies Limited | Energy-based associative memory neural networks |
KR20210099988A (ko) * | 2020-02-05 | 2021-08-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뉴럴 네트워크의 메타 학습 방법 및 장치와 뉴럴 네트워크의 클래스 벡터 학습 방법 및 장치 |
US11080484B1 (en) * | 2020-10-08 | 2021-08-03 | Omniscient Neurotechnology Pty Limited | Natural language processing of electronic record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33503A1 (en) * | 2002-01-17 | 2003-07-17 | Marco Paniconi | Motion segmentation system with multi-frame hypothesis tracking |
WO2008008142A2 (en) | 2006-07-12 | 2008-01-17 | Kofax Image Products, Inc. |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nd transductive data classification |
US20090304290A1 (en) | 2008-06-09 | 2009-12-10 | Denso Corporation | Image recognition apparatus utilizing plurality of weak classifiers for evaluating successive sub-images extracted from an input image |
US20120127267A1 (en) | 2010-11-23 | 2012-05-24 | Qualcomm Incorporated | Depth estimation based on global motion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41092A (ja) | 1995-03-03 | 1996-09-17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音響モデルの話者適応化方法とその装置 |
US5850470A (en) | 1995-08-30 | 1998-12-15 | Siemens Corporate Research, Inc. | Neural network for locating and recognizing a deformable object |
KR100631608B1 (ko) | 2004-11-25 | 2006-10-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음성 판별 방법 |
JP5207870B2 (ja) | 2008-08-05 | 2013-06-12 | 日立コンピュータ機器株式会社 | 次元削減方法、パターン認識用辞書生成装置、及びパターン認識装置 |
US8488863B2 (en) * | 2008-11-06 | 2013-07-16 | Los Alamos National Security, Llc | Combinational pixel-by-pixel and object-level classifying, segmenting, and agglomerating in performing quantitative image analysis that distinguishes between healthy non-cancerous and cancerous cell nuclei and delineates nuclear, cytoplasm, and stromal material objects from stained biological tissue materials |
KR20110055347A (ko) | 2009-11-17 | 2011-05-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컨텐츠 기반의 이미지 분류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EP2323069A2 (en) | 2009-11-17 | 2011-05-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ent based image categorization field |
KR20120052778A (ko) | 2010-11-16 | 2012-05-2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음향모델 적응 장치 및 그 방법 |
KR101174048B1 (ko) | 2010-12-10 | 2012-08-16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객체 인식 장치 및 객체 인식 방법 |
CN103778600B (zh) * | 2012-10-25 | 2019-02-19 |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 图像处理系统 |
US9720934B1 (en) * | 2014-03-13 | 2017-08-01 | A9.Com, Inc. | Object recognition of feature-sparse or texture-limited subject matter |
US20160156579A1 (en) * | 2014-12-01 | 2016-06-02 | Google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estimating user judgment based on partial feedback and applying it to message categorization |
-
2014
- 2014-12-03 KR KR1020140172347A patent/KR102315574B1/ko active Active
-
2015
- 2015-11-18 US US14/944,717 patent/US1046023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30133503A1 (en) * | 2002-01-17 | 2003-07-17 | Marco Paniconi | Motion segmentation system with multi-frame hypothesis tracking |
WO2008008142A2 (en) | 2006-07-12 | 2008-01-17 | Kofax Image Products, Inc. |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nd transductive data classification |
JP5364578B2 (ja) | 2006-07-12 | 2013-12-11 | コファ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トランスダクティブデータ分類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機械学習手法を用いたデータ分類方法 |
US20090304290A1 (en) | 2008-06-09 | 2009-12-10 | Denso Corporation | Image recognition apparatus utilizing plurality of weak classifiers for evaluating successive sub-images extracted from an input image |
US20120127267A1 (en) | 2010-11-23 | 2012-05-24 | Qualcomm Incorporated | Depth estimation based on global motio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5336A (ko) | 2021-12-22 | 2023-06-29 | 주식회사 렛서 | 인터렉티브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방법 및 그 장치 |
KR20230095350A (ko) | 2021-12-22 | 2023-06-29 | 주식회사 렛서 | 이미지 세그멘테이션 결과의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
KR102572423B1 (ko) | 2023-03-07 | 2023-08-30 | 주식회사 에이모 | 인스턴스 레이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460232B2 (en) | 2019-10-29 |
US20160162805A1 (en) | 2016-06-09 |
KR20160066926A (ko) | 2016-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15574B1 (ko) | 데이터 분류 방법 및 장치와 관심영역 세그멘테이션 방법 및 장치 | |
US10769473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US10395136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US9582518B2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 |
US9563822B2 (en) | Learning apparatus, density measuring apparatus, learning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density measuring system | |
CN106295666B (zh) | 获取分类器、检测对象的方法和装置及图像处理设备 | |
US9619753B2 (en) | Data analysis system and method | |
EP3226176B1 (en) | Method for learning rejector by forming classification tree in use of training images and detecting object in test images, and rejector using the same | |
KR102543698B1 (ko) | 컴퓨팅 시스템 및 상기 장치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라벨링 방법 | |
JP6577397B2 (ja) | 画像解析装置、画像解析方法、画像解析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解析システム | |
KR102655789B1 (ko) | 얼굴 검출 방법 및 장치 | |
EP3869450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JP5360143B2 (ja) | 走行場面認識モデル生成装置、運転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2009510509A (ja) | セグメント別特徴比較によりプレイリストを自動生成する方法及び装置 | |
JP2018201161A (ja) | 移動体追跡装置、移動体追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2534936B1 (ko) | 영상 분류 장치 및 방법 | |
KR102499861B1 (ko) | 인공지능 기반 객체 재인식 장치 | |
CN111435457A (zh) | 对传感器获取的采集进行分类的方法 | |
KR101704736B1 (ko) | 다단계의 부분 분류기를 이용한 서포트 벡터 머신 기반 데이터 분류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506812B1 (ko) | 랜덤 포레스트와 이진 패턴 반복 길이 행렬을 이용한 얼굴 자세 추정 방법 | |
JP2017084006A (ja) |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 |
KR20210111677A (ko) | 뉴럴 네트워크의 클리핑 방법, 뉴럴 네트워크의 컨벌루션 계산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 |
CN112749660A (zh) | 一种视频内容描述信息的生成方法和设备 | |
KR20200134813A (ko) | 기계 학습을 위한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 |
KR102580131B1 (ko) | 순환 생성 적대 네트워크 조건부 생성 적대 네트워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11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3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10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