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14188B1 - 반려동물용 기능성 간식 조성물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기능성 간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4188B1
KR102314188B1 KR1020210064721A KR20210064721A KR102314188B1 KR 102314188 B1 KR102314188 B1 KR 102314188B1 KR 1020210064721 A KR1020210064721 A KR 1020210064721A KR 20210064721 A KR20210064721 A KR 20210064721A KR 102314188 B1 KR102314188 B1 KR 102314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s
weight
present
extract
sna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피에프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피에프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피에프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064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188B1/ko
Priority to KR1020210134299A priority patent/KR102688164B1/ko
Priority to KR1020210134303A priority patent/KR102688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1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23K10/2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from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4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carnivorous animals, e.g. cats or do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5Pet food for dog, cat, bird, or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류, 어류, 해산물류 및 천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간식 조성물 및 상기 간식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은 천연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구강 유해균에 대한 높은 항균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어 반려동물의 구강염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기호성 또한 우수하여 반려동물의 건강 간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기능성 간식 조성물 {Functional snack composition for pets}
본 발명은 육류, 어류, 해산물류 및 천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간식 조성물 및 상기 간식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로 반려동물 관련사업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는, 1인 가구의 증가와 반려동물에 대한 가족 개념의 강화가 그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문화의 변화에 따라 반려동물 양육과 관련한 사업들의 빠른 성장이 나타나고 있으며, 반려동물 용품 시장 역시 프리미엄 제품 출시와 품목의 다변화를 통해 빠르게 성장 중이다. 실제로, 통계청의 가구 당 애완동물 관련 물품의 평균 지출액은 최근 5년간 9.6%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반려동물의 식품(Pet Food) 부문이 가장 큰 증가폭을 보인다.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높아지는 만큼, 반려동물들의 먹을거리 또한 관심과 투자가 높아져 더 고급 제품을 찾게 된다는 것이다. 한국펫사료협회에 따르면 펫사료 시장 규모는 2014년 7323억 원에서 2016년 9696억 원으로 성장했으며, 최근에는 1조원대 시장 규모로 예측되고 있다. 최근 반려동물용 식품 구매 트렌드는 고품질 사료의 소비 증가, 고영양성과 더불어 질병이 있으면 치료도 할 수 있는 처방식 사료의 구매의향 증가, 고양이를 기르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단백질과 수분함량이 높은 습식사료 수요 증가 등으로 꼽아볼 수 있다.
반려동물 식품은 주식과 간식으로 그 카테고리를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주식은 사료에 속하는 것으로 반려동물의 연령별 및 특징별에 따라 그 종류가 다양하다. 간식은 사료 식품을 제외한 반려동물의 식품을 칭하며, 원재료의 종류와 가공 특성에 따라 제품 및 종류가 다양하게 나누어 진다. 2016년을 기준으로 반려동물 간식 시장은 개의 경우 822억원, 고양이의 경우 172억원으로, 총 규모는 994억원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전체 반려동물 식품 시장의 약 18%를 차지하는 규모이다 (Euromonitor(2017). Pet food in South Korea; Dog, Cat, Others).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반려동물의 기호도를 유지하면서도 기능성 및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간식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천연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반려동물의 구강염을 예방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닭고기, 소고기, 및 오리고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육류; 연어, 참돔, 및 참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어류; 게살, 오징어, 관자살, 및 새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해산물류; 및 산초, 황금, 및 방풍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간식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닭고기, 소고기, 및 오리고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육류; 연어, 참돔, 및 참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어류; 게살, 오징어, 관자살, 및 새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해산물류; 및 산초, 황금, 및 방풍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반려동물"은 반려(伴侶) 목적으로 기르는 개, 고양이, 토끼, 페럿, 기니피그, 및 햄스터 등을 의미하며, 그 동물의 범위는 인간과 더불어 사는 동물이라면 제한 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반려동물은 구체적으로 개 또는 고양이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고양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반려동물용 간식"은 사료 식품을 제외한 반려동물의 식품을 의미한다. 반려동물용 간식은 사사미/육포, 저키류, 껌, 습식간식/소시지, 캔/파우치, 비스켓/쿠키, 건조식품 등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간식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습식간식 또는 캔/파우치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은 닭고기, 소고기, 및 오리고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육류; 연어, 참돔, 및 참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어류; 및 게살, 오징어, 관자살, 및 새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해산물류;를 포함한다. 상기 각 원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방식으로 가공 또는 처리되어 본 발명의 간식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쇄육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은 산초, 황금, 및 방풍 혼합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으로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 낼 수 있다면, 추출 방법이나 유효성분의 종류에 무관하게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원료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원료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건조 후 분말화하거나, 열수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물 분말의 10배 중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80 내지 90℃의 열수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산초, 황금, 및 방풍의 분말을 혼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천연물의 원물을 각각 추출하여 혼합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산초, 황금, 및 방풍 분말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으나, 산초, 황금, 및 방풍이 혼합되어 각각의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시너지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면, 그 함량비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는, 산초, 황금, 및 방풍 혼합 추출물이 각 천연물의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구강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 측면에서 시너지 활성을 가지며 (실험예 1), 치은세포의 염증 억제에 있어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및 방풍(Peucedanum japonicum)은 직접 채취하거나, 시중에 유통되는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수득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은 조성물은 육류 100 중량부, 어류 90 내지 110 중량부, 해산물류 40 내지 60 중량부, 및 혼합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육류 100 중량부, 어류 100 중량부, 해산물류 50 중량부, 및 혼합 추출물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는 산초, 황금,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이 6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반려동물의 간식 섭취율이 현저히 감소하는 바, 기호도 측면에서 60 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또한, 상기 혼합 추출물을 40 중량부 이하로 포함할 경우, 구강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 또는 항염 활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은 반려동물의 구내염 예방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어 "구내염(stomatitis)"은 구강 내 염증의 일반적 용어이며, 반려동물의 구강 점막에 생기는 염증을 포괄한다. 구내염의 원인으로는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의 감염에 의한 것이 일반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간식 조성물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구강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며, 치은 세포의 염증 억제에 효과적인 바, 반려동물의 구내염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반려동물의 간식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부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비타민C 및 비타민D를 포함하는 비타민합제, 철 및 구리를 포함하는 미네랄합제, 한천 등의 겔화제, 타우린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첨가제의 함량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배합되는 양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은 보존료, 착색료, 감미료, 및 조미료는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산초, 황금, 및 방풍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조된 상기 혼합 추출물을 육류, 어류, 및 해산물류의 원료와 혼합하여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은 천연 성분을 포함함으로써 구강 유해균에 대한 높은 항균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어 반려동물의 구강염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기호성 또한 우수하여 반려동물의 건강 간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산초, 황금, 및 방풍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산초, 황금, 및 방풍 혼합 추출물과, 산초, 황금, 또는 방풍 단독 추출물을 제조하여 구내염 개선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및 방풍(Peucedanum japonicum)을 세척 및 건조 후, 분쇄하여 준비하였다. 혼합 추출물의 경우, 산초, 황금, 및 방풍 분말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혼합된 분말의 10배 중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80 내지 90℃의 열수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여 산초, 황금, 및 방풍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산초, 황금, 또는 방풍 단독 추출물의 경우, 각 분말의 10배 중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80 내지 90℃의 열수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여 각각의 단독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추출액은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한 후, 회전진공농축기로 감압 농축하였으며, 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열수 추출물을 얻어 각각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구강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
고양이의 구강내 유해균으로 밝혀진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균주 및 Pasteurella multocida 균주를 (Veterinary Microbiology 148 (2011) 93-98), 혐기적 및 미호기적 조건 하에서 배양하기 위해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본 발명 추출물의 구강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은 배양액 희석법(broth dilution method)을 사용하여 최소생육저해농도(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균주를 액체 배지에서 24 내지 48시간 동안 전배양한 배양액 100μl를 각각의 추출물의 농도가 6.25, 12.5, 25, 50, 100μg/ml의 농도로 첨가된 브루셀라(brucella) 배지에 접종하여 24 내지 72시간 배양 후,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660 nm에서 각 세균의 생육 정도를 측정하여 단독 추출물 및 혼합 추출물의 최소생육저해농도를 결정하였다.
시료 MIC (μg/ml)
A. actinomycetemcomitans P. multocida
산초 단독 추출물 - 100
황금 단독 추출물 50 100
방풍 단독 추출물 - 50
산초, 황금, 방풍
혼합 추출물
25 12.5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초, 황금, 또는 방풍 단독 추출물은 100 μg/ml 이하의 농도에서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거나, 50 또는 100 μg/ml의 최소생육저해농도를 나타내었다. 그에 비해, 산초, 황금, 및 방풍 혼합 추출물의 경우, A. actinomycetemcomitans 균은 25μg/ml, P. multocida 균은 12.5μg/ml로 구강 유해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산초, 황금, 및 방풍 혼합 추출물은 고양이의 구강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 측면에서, 각 천연물의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시너지 활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활성
구강 내 염증에 대한 본 발명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in vitro 염증 유도된 세포에 대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HGF-1 (human gingival fibroblast) 치은세포를 1×106 cells/well 농도로 24-well plate에 접종하고,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1μg/ml의 Pg-LPS를 처리하여 염증을 유도하고, 각 추출물을 150μg/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배양 배지를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및 IL-8의 발현량을 ELISA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IL-6 발현량
(pg/ml)
IL-8 발현량
(pg/ml)
음성 대조군 5.7±0.04 11.9±1.29
양성 대조군 275.1±5.79 408.2±7.82
산초 단독 추출물 187.4±4.66 378.9±3.01
황금 단독 추출물 172.0±0.94 359.5±2.82
방풍 단독 추출물 216.5±9.24 371.4±5.18
산초, 황금, 방풍
혼합 추출물
126.8±3.07 322.6±10.04
그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Pg-LPS를 처리한 경우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6 및 인터루킨-8의 발현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산초, 황금,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그 발현량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산초, 황금, 또는 방풍의 단독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혼합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LPS 유도에 의한 IL-6 및 IL-8의 발현량이 더욱 크게 감소한 바, 이를 통해 각 천연물의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산초, 황금, 및 방풍의 혼합 추출물이 치은세포의 염증 억제에 있어서 시너지 활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3.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은 아래 표 3의 배합비로 제조하였다.
중량부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육류 (닭고기) 100 100 100 100
어류 (연어) 100 100 100 100
해산물류 (게살) 50 50 50 50
혼합 추출물 50 0 30 70
부첨가물(비타민합제, 미네랄합제, 및 타우린) 2.5 2.5 2.5 2.5
대표적으로 닭고기 100 중량부, 연어 100 중량부, 게살 50 중량부를 포함하여 반려동물용 간식을 제조하였으며, 산초, 황금, 및 방풍 혼합 추출물의 중량부를 달리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3. 기호도 평가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의 기호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간식 조성물을 그릇에 담고 고양이들에게 급여하였다. 구체적으로, 20마리의 고양이를 대상으로 시험 전날 밤 동안 금식을 시켰으며,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간식 조성물을 각 그릇에 50g씩 담고, 고양이 한 마리씩 정해진 공간에 배치하였다. 1시간 동안 간식을 급여한 후에 용기에 남아있는 간식의 잔량을 확인하여 섭취량 및 평균 섭취율을 계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간식 섭취량 45.9g 47.1g 46.3g 34.9g
평균 섭취율 91.8% 94.2% 92.6% 69.8%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초, 황금, 및 방풍 혼합 추출물을 각각 70 중량부 포함하는 실시예 1 조성물은 90% 이상의 기호도를 나타내어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조성물과 유사한 정도의 기호도인 것을 확인하였다. 그에 비하여, 상기 혼합 추출물을 70 중량부 포함하는 비교예 3 조성물은 그 기호도가 약 69%로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한 바, 산초, 황금, 및 방풍 혼합 추출물이 높은 함량으로 포함될 경우, 천연물의 특유의 향으로 인하여 고양이들의 기호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혼합 추출물을 비교적 낮은 함량으로 포함하는 비교예 2 조성물의 경우, 구내염에 대한 항균 활성 또는 항염 활성이 실시예 1 조성물에 비하여 낮을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사료 조성물은 천연 혼합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구강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바, 반려동물의 구내염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그 기호도 또한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닭고기, 소고기, 및 오리고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육류 100 중량부;
    연어, 참돔, 및 참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어류 90 내지 110 중량부;
    게살, 오징어, 관자살, 및 새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해산물류 40 내지 60 중량부; 및
    산초, 황금, 및 방풍 분말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80 내지 9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열수 추출한 혼합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 추출물을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 총 중량의 16 내지 17중량%가 되도록 포함하며,
    반려동물의 구내염 예방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64721A 2021-05-20 2021-05-20 반려동물용 기능성 간식 조성물 Active KR102314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721A KR102314188B1 (ko) 2021-05-20 2021-05-20 반려동물용 기능성 간식 조성물
KR1020210134299A KR102688164B1 (ko) 2021-05-20 2021-10-08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10134303A KR102688165B1 (ko) 2021-05-20 2021-10-08 고양이 식품용 항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721A KR102314188B1 (ko) 2021-05-20 2021-05-20 반려동물용 기능성 간식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303A Division KR102688165B1 (ko) 2021-05-20 2021-10-08 고양이 식품용 항균 조성물
KR1020210134299A Division KR102688164B1 (ko) 2021-05-20 2021-10-08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188B1 true KR102314188B1 (ko) 2021-10-18

Family

ID=7827116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721A Active KR102314188B1 (ko) 2021-05-20 2021-05-20 반려동물용 기능성 간식 조성물
KR1020210134303A Active KR102688165B1 (ko) 2021-05-20 2021-10-08 고양이 식품용 항균 조성물
KR1020210134299A Active KR102688164B1 (ko) 2021-05-20 2021-10-08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303A Active KR102688165B1 (ko) 2021-05-20 2021-10-08 고양이 식품용 항균 조성물
KR1020210134299A Active KR102688164B1 (ko) 2021-05-20 2021-10-08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14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272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케이피에프컴퍼니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0587A (ja) * 1994-11-18 1996-06-04 Lion Corp ペットフード
KR100972116B1 (ko) * 2009-10-29 2010-07-23 (주)한국파비스 알엔디 생약 발효물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KR20170030147A (ko) * 2015-09-08 2017-03-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기능성 개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139597A (ja) * 2011-12-13 2018-09-13 ヒルズ・ペット・ニュートリシャ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歯の状態を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KR102106122B1 (ko) * 2019-10-25 2020-04-29 (주)에이앤바이오 필수영양소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간편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려동물용 간편식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206B1 (ko) * 2017-10-31 2019-05-23 이대훈 반려동물 장내환경 개선용 영양 간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4790B1 (ko) * 2019-03-29 2021-01-18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고양이 습식사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습식사료
KR102308195B1 (ko) * 2019-09-16 2021-10-01 고진희 탄성이 있는 반려동물용 영양간식
KR102314188B1 (ko) 2021-05-20 2021-10-18 주식회사 케이피에프컴퍼니 반려동물용 기능성 간식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0587A (ja) * 1994-11-18 1996-06-04 Lion Corp ペットフード
KR100972116B1 (ko) * 2009-10-29 2010-07-23 (주)한국파비스 알엔디 생약 발효물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JP2018139597A (ja) * 2011-12-13 2018-09-13 ヒルズ・ペット・ニュートリシャ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歯の状態を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KR20170030147A (ko) * 2015-09-08 2017-03-1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기능성 개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6122B1 (ko) * 2019-10-25 2020-04-29 (주)에이앤바이오 필수영양소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간편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려동물용 간편식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치주염"(2015.7.4.) https://blog.naver.com/gytlr52/22041034729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272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케이피에프컴퍼니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88164B1 (ko) 2021-05-20 2024-07-23 주식회사 케이피에프컴퍼니 반려동물용 간식 조성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7272A (ko) 2022-11-29
KR102688164B1 (ko) 2024-07-23
KR102688165B1 (ko) 2024-07-23
KR20220157273A (ko) 202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110B1 (ko) 오메가-3 지방산 강화 사료첨가제와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가축사육방법
Lowry Green-leaf fractionation by fruit bats: is this feeding behaviour a unique nutritional strategy for herbivores?
KR102314188B1 (ko) 반려동물용 기능성 간식 조성물
KR101151879B1 (ko) 뽕잎을 함유하는 기능성 사료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88442B1 (ko) 감태발효 사료첨가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JPH11504222A (ja) 動物の病気を防ぎかつ動物の成長および発育を促進する方法
CN118102882A (zh) 饲料添加剂组合物及其使用方法
US20070119380A1 (en) Additive Composition for Feeding Aquaculture Animals and Feed Containing the Same
US20240268416A1 (en) Animal feed addi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US20230053138A1 (en) Feed additive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domesticated animals
KR102322119B1 (ko) 모링가를 포함하는 친환경 무항생의 단미사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양돈 배합사료
JP7565597B2 (ja) 静菌用組成物
CN107047942A (zh) 利用辣木饲料改善奶牛产奶性能及乳品质的方法
KR100608153B1 (ko) 사육방법 및 사료
Griminger et al. Body composition of pigeons
Zulpa et al. Synergistic Work of Encapsulated Acalypha australis L. Leaf Extracts and Chitosan in Improving Production Performance of Broilers
NL2031078B1 (en) Feed additive containing trollius chinensis bunge and feed
DE102011006535A1 (de) Ergänzungsfuttermittel für Tiere
KR101618651B1 (ko) 화산석 송이 분말을 이용한 사료 효율 개선용 사료 조성물
CN1294834C (zh) 植物饲料添加剂
Gayathri et al.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zadirachta indica leaf meal on egg-nutrient profile and production economics of vanaraja laying hens
CN107712308A (zh) 一种以香蕉杆为主料的生物饲料及其制备方法
KR20250079789A (ko) 탱자껍질 추출물, 망고스틴껍질 추출물 및 삼채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 조성물
Park et al. Evaluation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Extract in Litter Quality and Footpad Dermatitis in Broiler Litter
Egbewande et al.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fed different animal protein sources as replacement for fish me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4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00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