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307617B1 -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쿠션매트 - Google Patents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쿠션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7617B1
KR102307617B1 KR1020210049093A KR20210049093A KR102307617B1 KR 102307617 B1 KR102307617 B1 KR 102307617B1 KR 1020210049093 A KR1020210049093 A KR 1020210049093A KR 20210049093 A KR20210049093 A KR 20210049093A KR 102307617 B1 KR102307617 B1 KR 102307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ushion mat
parts
double
sided ta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호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국
Priority to KR1020210049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6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쿠션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는 쿠션매트(100)의 일측면과 접착되는 제1 접착층(220), 및 상기 제1 접착층(220) 상에 위치하고 바닥이나 벽면의 마감재와 접착되는 제2 접착층(240)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는 일측면은 쿠션매트와의 강력한 접착력을 제공하고 타측면은 부착되는 바닥이나 벽면 마감재의 박리없이 쿠션매트의 탈부착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쿠션매트{DOUBLE-SIDED TAPE FOR ATTACHING CUSHION MAT AND CUSHION MAT CONSTRUCTED USING IT}
본 발명은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쿠션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면은 쿠션매트와의 강력한 접착력을 제공하고 타측면은 부착되는 바닥이나 벽면 마감재의 박리없이 쿠션매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쿠션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유치원, 어린이집 혹은 체육관이나 각종 운동시설을 갖춘 실내에는 충격이나 부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층간 소음 등을 감소시키기 위해 바닥이나 벽면에 매트를 깔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바닥이나 벽면에 형성되는 매트는 통상적으로 우레탄 발포 성형방법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으로 발포 성형 매트 자체의 우수한 탄력성 및 완충성으로 인해 부상 방지 및 소음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포 성형되는 매트의 표면에는 다양한 종류 및 색상 혹은 재질로 된 표피재를 함께 부착하여 만들어지는데, 바닥이나 벽면에 형성되는 매트의 사용 목적이나 사용 용도 혹은 설치 장소에 따라 적합한 형태의 두께나 무늬 혹은 장식 패턴 등이 형성된 제품을 선택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아파트, 빌라 등의 복층 건물에서는 상층 거주자의 생활상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진동이 하층으로 전달되어 상하층 주민간의 분쟁이 야기된다. 특히, 유아나 어린이가 있는 가정에서는 거실 등에 소정 크기의 매트를 깔아 둠으로써, 아이가 뛰거나 장난칠 때 하층으로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을 어느 정도 방지함과 동시에 아이가 넘어질 때 다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바닥이나 벽면에 형성되는 매트는 단층의 발포 합성수지, 또는 상기 발포 합성수지 표면에 마감층을 적층시켜 구성되고, 상기 발포 합성수지 이면에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상기 매트를 바닥이나 벽면에 고정 부착하는데, 매트를 바닥이나 벽면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의 점착 성분이 바닥이나 벽면에 잔류하거나, 또는 상기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의 점착 성분에 의해 매트가 부착된 바닥이나 벽면의 벽지가 뜯어지거나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번 분리된 매트를 바닥이나 벽면에 다시 부착하는 경우, 상기 매트에 형성된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의 점착력이 약해져서 상기 매트를 바닥이나 벽면에 다시 견고하게 부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10719호(2015년 04월 03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2175978호(2020년 11월 02일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671844호(2016년 10월 27일 등록)
본 발명은 일측면은 쿠션매트와의 강력한 접착력을 제공하고 타측면은 부착되는 바닥이나 벽면 마감재의 박리없이 쿠션매트의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쿠션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면테이프로 부착된 쿠션매트를 바닥이나 벽면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접착제 성분이 바닥이나 벽면에 잔류하거나, 또는 매트가 부착된 바닥이나 벽면의 마감재(예를 들어, 벽지 등)가 뜯어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한번 분리된 매트를 바닥이나 벽면에 다시 부착하는 경우에도 접착력의 저하 없이 쿠션매트를 바닥이나 벽면에 다시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쿠션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는 쿠션매트(100)의 일측면과 접착되는 제1 접착층(220), 및 상기 제1 접착층(220) 상에 위치하고 바닥이나 벽면의 마감재와 접착되는 제2 접착층(2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착층(220)은 제1 접착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되, 상기 제1 접착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TPV 수지, 탄산칼슘, 로진 글리세롤에스테르 및 솔벤트나프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240)은 제2 접착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되, 상기 제2 접착조성물은 바이오매스 폴리우레탄 수지, TPO 수지, 폴리비닐알콜, 천연고무, 과산화물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50 내지 70 중량부, TPV 수지 20 내지 30 중량부, 탄산칼슘 3 내지 7 중량부, 로진 글리세롤에스테르 5 내지 15 중량부 및 솔벤트나프타 20 내지 3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조성물은 바이오매스 폴리우레탄 수지 40 내지 50 중량부, TPO 수지 30 내지 4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 5 내지 10 중량부, 천연고무 4 내지 8 중량부, 과산화물 2 내지 6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내지 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양면테이프가 부착되어 시공된 쿠션매트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는 일측면은 쿠션매트와의 강력한 접착력을 제공하고 타측면은 부착되는 바닥이나 벽면 마감재의 박리없이 쿠션매트의 탈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는 양면테이프로 부착된 쿠션매트를 바닥이나 벽면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 접착제 성분이 바닥이나 벽면에 잔류하거나, 또는 매트가 부착된 바닥이나 벽면의 마감재(예를 들어, 벽지 등)가 뜯어지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한번 분리된 매트를 바닥이나 벽면에 다시 부착하는 경우에도 접착력의 저하 없이 쿠션매트를 바닥이나 벽면에 다시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테이프가 쿠션매트에 부착된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테이프가 쿠션매트에 부착된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200)는 쿠션매트(100)의 일측면과 접착되는 제1 접착층(220), 및 상기 제1 접착층(220) 상에 위치하고 바닥이나 벽면의 마감재와 접착되는 제2 접착층(2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면테이프(200)는 쿠션매트(100)를 바닥이나 벽면 마감재에 부착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쿠션매트(100)는 가정이나 유치원, 어린이집 혹은 체육관이나 각종 운동시설을 갖춘 실내의 바닥이나 벽면에 부착되어 충격이나 부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층간 소음 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220)은 쿠션매트(100)의 일측면과 접착되고 제1 접착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접착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TPV(Thermo Plastic Vulcanizate; 열가소성 가교 탄성체) 수지, 탄산칼슘, 로진 글리세롤에스테르 및 솔벤트나프타(Solvent Naphtha(Petroleum))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접착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50 내지 70 중량부, TPV 수지 20 내지 30 중량부, 탄산칼슘 3 내지 7 중량부, 로진 글리세롤에스테르 5 내지 15 중량부 및 솔벤트나프타 20 내지 3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접착력이 우수하다. 상기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Bisphenol)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Bisphenol) F형 에폭시 수지, Brominated 에폭시 수지, Hydrogenated bisphenol-A형 에폭시 수지, Novolac 에폭시 수지, Phenol 에폭시 수지, 그 밖에 분자 내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를 이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Bisphenol) A형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는 에폭시 당량이 186 내지 190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와 에폭시 당량이 600 내지 700인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1: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TPV(Thermo Plastic Vulcanizate; 열가소성 가교 탄성체) 수지는 절연성, 내열성, 내한성이 우수한데, 상기 TPV 수지는 열가소성과 고무 탄성을 동시에 갖는 수지로서, 가교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와 폴리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TPV(Thermo Plastic Vulcanizate; 열가소성 가교 탄성체) 수지는 탄성체의 가교도에 따라, 가교 성분이 전혀 없이 고무성분이 단순 혼합된 단순 블렌드형 열가소성 탄성체(TPO)와, 부분적으로 가교가 이루어진 부분 가교형 열가소성 가교 탄성체(TPR)과, 완전 가교가 이루어진 완전 가교형 열가소성 가교탄성체(TPV)로 분류된다.
또한, 이러한 가교도는 TPV 수지 중의 고무성분의 미세 분산성에 영향을 미치며, 결국 인장강도나 영구신장줄음율 및 영구압축줄음율 등의 탄성적 물성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는 가교가 전혀 되지 않은 TPO나 가교도가 낮은 TPR의 경우 전단응력에 의해 고무상을 균일한 미세 분산상으로 하는 것에 한계가 있으며, 특히 고무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미세 분산상을 얻는 것이 더욱 어려워진다. 이러한 이유로, 열가소성과 우수한 탄성이 요구되는 소재에서는, 가교가 진행될 때 전단응력에 의해 고무상을 미세 입자로 물리적으로 분쇄시키는 동적가교를 행하게 된다.
상기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은 제1 접착조성물에 포함되는 무기 충전제로 사용되고, 겉보기 점도를 높여 초기 점착을 증가시키며, 내열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은 화학식이 CaCO3로 자연계에서 존재하는 염 중에서 가장 많고, 그 형태도 다양한데, 대리석, 방해석, 선석, 석회석, 백악, 빙주석(氷洲石), 조개껍질, 달걀껍질, 산호 등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탄산칼슘은 일반적으로 무색의 결정 또는 백색의 고체로, 비중 2.93이며, 825℃에서 분해될 수 있고, 가열하면 이산화탄소(CO2)를 발생하고 생석회를 얻을 수 있다(CaCO3 → CaO + CO2 ↑).
상기 탄산칼슘은 값이 싸고 비중도 크지 않아 공업 분야에 널리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탄산칼슘은 석회석 대리석으로서 시멘트의 주원료, 산화칼슘의 원료, 건축재료 등의 중화제(中和劑)로서 사용될 수 있다. 호분은 백색안료와 수성도료에, 침강 탄산칼슘은 안료, 도료, 치약 등에 사용되며, 고무에도 보강제로서 배합될 수 있다.
상기 로진 글리세롤에스테르는 점착부여 수지로 작용하고 점도와 접착성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진 글리세롤에스테르는 다른 첨가물과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용융 점도가 높지 않으며 브로킹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솔벤트나프타(Solvent Naphtha(Petroleum))는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로 제1 접착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며, 분자구조의 효율적 제어 및 급속한 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반응물의 함량, 반응 조건 등에 따라 사용량을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240)은 상기 제1 접착층(220) 상에 위치하고 바닥이나 벽면의 마감재와 접착되며 제2 접착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상기 제2 접착조성물은 바이오매스 폴리우레탄 수지, TPO(Thermo Plastic Polyolefine;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수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천연고무, 과산화물(peroxide)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접착조성물은 바이오매스 폴리우레탄 수지 40 내지 50 중량부, TPO(Thermo Plastic Polyolefine;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수지 30 내지 4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5 내지 10 중량부, 천연고무 4 내지 8 중량부, 과산화물(peroxide) 2 내지 6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내지 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이오매스 폴리우레탄 수지는 하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바이오매스 폴리우레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이오매스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 및 폴리올(Polyol)을 준비하여 혼합한 후 축합반응을 진행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을 합성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은 아디픽산(Adipic Acid) 또는 숙신산(Succinic Acid)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Polyol)은 1,6-헥산디올(1,6-Hexanediol), 1,3-프로판디올(1,3-Propanediol) 및 폴리 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oly tetramethylene ether glycol, PTMG)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은 상기 디카르복실산(Dicarboxylic Acid) 1 몰(mol) 및 폴리올(Polyol) 1.5 내지 2.0 몰(mol)의 비율로 준비하여 혼합한 후 250 내지 300℃의 온도에서 10 내지 20시간 동안 축합반응을 진행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 유기용제, 바이오 다관능 폴리올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에 라디칼 개시제를 투입하고 반응시켜 바이오매스 폴리우레탄 수지(Biomass Polyurethane Resin)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제는 톨루엔(Toluene),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아세톤(Acetone) 및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오 다관능 폴리올 화합물은 수산기를 함유하지 않고 있는 바이오매스 자원 유래의 동식물 기름에서 합성을 통하여 수산기를 포함하는 바이오 다관능 폴리올로 합성하는 화학적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이오 다관능 폴리올 화합물의 화학적인 제조방법으로는 동식물 기름의 불포화 지방산사슬에 탄소이중결합을 에폭시화(epoxidation)와 고리열림(ring opening) 반응을 통해 수산기를 도입하는 에폭시화 제조방법과, 에폭시화와 마찬가지로 탄소 이중결합에 하이드로포밀화(hydroformylation) 후 수소첨가(hydrogenation) 반응을 통해 수산기를 도입하는 하이드로포밀화 제조방법과, 오존(O3)을 이용하여 탄소이중결합을 절단한 후 수소첨가를 통해 수산기를 도입 오존분해(ozonolysis)를 통한 제조방법 등이 있다.
상기 에폭시화 제조방법으로 도입된 수산기는 2차 알코올로써 1차 알코올에 비해 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반응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고, 하이드로포밀화 제조방법으로 도입된 수산기는 에폭시화 제조방법과 같이 수산기가 지방산 사슬 중간에 생성되기는 하나 1차 알코올을 생성하므로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성이 비교적 더 높아진다. 오존분해를 통한 제조방법으로 도입된 수산기는 사슬 말단에 위치하여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이오 다관능 폴리올 화합물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공지의 바이오 다관능 폴리올 화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바이오 다관능 폴리올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이 3,000 내지 6,000g/mol인 바이오 다관능 폴리올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TDI)),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MDI)),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H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IPDI)) 및 4,4'-메틸렌비스(사이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4,4'-Methylenebis(cyclohexyl isocyanate)(HMD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디칼 개시제는 벤조일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BPO) 또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나이트릴(azobisisobutyronitrile; AIBN)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오매스 폴리우레탄 수지(Biomass Polyurethane Resin)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 60 내지 80 중량부, 유기용제 10 내지 20 중량부, 바이오 다관능 폴리올 화합물 20 내지 30 중량부 및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5 내지 15 중량부에 라디칼 개시제 0.1 내지 0.5 중량부를 투입하고 1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질소를 퍼징(N2 gas purging)하면서 5 내지 7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되고, 상기 바이오매스 폴리우레탄 수지(Biomass Polyurethane Resin)는 중량평균분자량(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Mw)이 30,000 내지 5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TPO(Thermo Plastic Polyolefine;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수지는 인장강도, 가공성이 우수한데, 상기 TPO 수지는 우수한 내후성과, 저온에서의 우수한 유연성, 탁월한 융착성 및 작업시 유해물질이나 냄새, 먼지 발생이 없고, 방수성과 내풍성이 뛰어나고, 무엇보다도 친환경 열가소성 소재로,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TPO(Thermoplastic Polyolefine) 수지는 PE(Polyethylene) 수지, PP(Polypropylene) 수지, 폴리부틸렌(Polybutylene)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수지 및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은 우수한 선형성, 평평한 지그재그 입체형태(zig-zag conformation), 고결정성, pH 13.5 이상에서도 견디는 우수한 내알카리성, 우수한 접착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전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물성적 특성과 다양한 적용 범위로 인해 그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폴리비닐알콜을 이용한 고강도 및 고탄성율 겔의 제조 및 고성능 폴리비닐알콜 섬유 제조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예로서, 폴리비닐알콜은 고분자 필름을 이용한 막 분리기술에 적용가능하다. 고분자 필름은 화학 공업 분야를 비롯하여, 생물 공학, 자원, 에너지, 환경 등 매우 광범위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액체 유기 혼합물 또는 유기물 수용액을 분리할 수 있는 투과 증발 분리법(pervaporation method)은 전통적인 증류법에 비하여 에너지 절약 및 장치 소형화 등 많은 이점이 있어, 무수알콜 제조 및 유기 혼합물의 분리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폴리비닐알콜은 고분자 필름 분야에서 그 활용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콜은 전기방사 기술로 미세섬유를 제조하는 기술에 적용이 가능하다. 전기방사기술로 미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은 고분자 수지용액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 방사구에서 토출되어 나오는 용액에 액체 젯(jet)의 형성을 유도하 고, 이때 용매의 휘발 중에 전기적인 반발력에 의한 연속적인 잡아늘림으로 굵기가 미세한 섬유가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전기방사기술을 이용할 경우 3차원 망상구조인 웹의 형태로 섬유사가 콜렉터에 쌓이게 되는데 이러한 미세섬유는 높은 비표면적 및 장력을 비롯한 기계적 물성 향상, 화학적 물성 향상 그리고 세포생체재료 인식특성 등을 갖게 된다. 따라서, 폴리비닐알콜은 미세섬유, 필터를 포함한 산업용 소재, 광화학 센서 소재, 바이오메디컬 소재, 미용 소재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 천연고무(Natural rubber: NR)는 식물에서 생산되는 원료를 이용한 고무로서, 주로 고무나무에서 생산된 원료를 이용한다. 상기 천연고무는 일반적인 천연고무 또는 변성 천연고무일 수 있다.
일반적인 천연고무는 천연고무로서 알려진 것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고, 원산지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인 천연고무는 시스-1,4-폴리이소프렌을 주사슬로서 포함하지만, 요구 특성에 따라서 트랜스-1,4-폴리이소프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천연고무에는 시스-1,4-폴리이소프렌을 주사슬로서 포함하는 천연고무 외에, 예컨대 남미산 사포타과의 고무의 일종인 발라타 등 트랜스-1,4-폴리이소프렌을 주사슬로서 포함하는 천연고무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성 천연고무는, 상기 일반적인 천연고무를 변성 또는 정제한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상기 변성 천연고무로는 에폭시화 천연고무(epoxidized natural rubber), 탈단백 천연고무(Deprotein Natural Rubber), 수소화 천연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과산화물(peroxide)은 가교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예들 들어, 상기 과산화물(peroxide)은 디쿠밀퍼옥사이드(DCP), 1,1-디-(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1,1-di-(tert-butylperoxy)-3,3,5-trimethylcyclohexane], 디-(2-tert-부티-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di-(2-tert-buty-peroxyisopropyl)-benzene], 부틸-4,4-비스(tert-부틸디옥시)발러레이트 [Butyl 4,4-bis(tert-butyldioxy) valerate], 디-(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Di-(2,4-dichlorobenzoyl)-peroxi de], 디-(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Di-(2,4-dichlorobenzoyl)-peroxide],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Dibenzoyl peroxide], tert-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 (tert-Butyl peroxybenzoate), tert-부틸쿠밀퍼옥사이드 (tert-Butylcumylperoxide),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 [2,5-Dimethyl-2,5-di-(tert-butylperoxy)-hexane], 디-tert-부틸퍼옥사이드(Di-tert-butylperoxide) 및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심-3 [2,5-dimethyl-2,5-di(tertbutylperoxy)hexyme-3]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도데실티오)프로피오네이트]메탄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산화방지제는 제2 접착조성물에 포함되어 사용됨으로써, 자외선 차단 및 경화 도막의 라디칼 분해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쿠션매트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
쿠션매트의 일측면과 접착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1 접착층 상에 위치하고 바닥이나 벽면의 마감재와 접착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는 양면테이프를 제조하였고, 상기 양면테이프를 쿠션매트의 하부에 접착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제1 접착층은 제1 접착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는데, 상기 제1 접착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60 중량부, TPV 수지 25 중량부, 탄산칼슘 5 중량부, 로진 글리세롤에스테르 10 중량부 및 솔벤트나프타 25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었다.
또한, 상기 제2 접착층은 제2 접착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는데, 상기 제2 접착조성물은 바이오매스 폴리우레탄 수지 45 중량부, TPO 수지 35 중량부, 폴리비닐알콜 8 중량부, 천연고무 6 중량부, 과산화물(peroxide) 4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5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었다.
< 비교예 >
쿠션매트의 하부에 핫멜트 접착제를 도포하여 사용하였는데, 상기 핫멜트 접착제로는 공지된 선우케미칼사의 핫멜트 접착제(SBS 공중화합체 혼합물)를 사용하였고, 상기 선우케미칼사의 핫멜트 접착제는 SIS COPOLYMER((Polystyrene-Polyisoprene-Polystyrene)(CAS NO. 25038-32-8) 15 중량%, 탄화수소 수지(HYDROCARBON RESIN)(CAS NO. 69430-35-9) 25 중량%, 로진 에스터(ROSIN ESTER)(CAS NO. 68038-41-5) 45 중량%, 파라핀유(PARAFFINE OIL)(CAS NO. 64742-54-7) 10 중량% 및 산화방지제(ANTIOXIDANT, 경화제)(CAS NO. 6683-19-8) 5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로 제조되었다.
1. 점착성능, 탈부착 성능, 부착강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쿠션매트의 점착성능, 탈부착 성능, 부착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점착성능 및 부착강도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쿠션매트를 벽면에 7회 탈부착한 후 점착력 및 부착력를 측정하였다.

구분

점착성능(초기)

점착성능(7회 분리 후)

탈부착 성능(회수)

부착강도(N/mm2)

실시예

좋음

좋음

25회

1.45

비교예

좋음

나쁨

8회

-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쿠션매트는 다수번 탈부착 가능하고 점착성능이 우수하며 부착강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안정도, 표면경도, 부착성 및 박리성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양면테이프를 표준상태에서의 안정도, 표면경도, 부착성 및 박리성 등을 측정하였고,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안정도(kg/f)

1384

842

표면경도

이상무

약함

부착성

아주좋음

중간

박리성

미박리

약간박리
상기한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양면테이프는 부착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표면으로부터 쉽게 박리되지 않고 안정도도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쿠션매트와 양면테이프 상단이 부착 강도 측정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쿠션매트의 부착 강도 비교 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부착 강도 비교 실험은 공지된 부착 강도 테스트 장비를 이용하였고, 최대하중평균(N)은 총 3회 테스트한 후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쿠션매트와 양면테이프 상단의 부착 강도 비교 실험

시험항목

실시예

비교예

최대하중평균(N)

3684

2018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쿠션매트의 부착 강도 최대하중평균(N)은 3684로 나타났는데, 이는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쿠션매트의 2018과 비교하여 부착 강도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쿠션매트
200; 양면테이프
220; 제1 접착층
240; 제2 접착층

Claims (4)

  1. 쿠션매트(100)의 일측면과 접착되는 제1 접착층(220), 및 상기 제1 접착층(220) 상에 위치하고 바닥이나 벽면의 마감재와 접착되는 제2 접착층(2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층(220)은 제1 접착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되, 상기 제1 접착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TPV 수지, 탄산칼슘, 로진 글리세롤에스테르 및 솔벤트나프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착층(240)은 제2 접착조성물을 혼합하여 제조되되, 상기 제2 접착조성물은 바이오매스 폴리우레탄 수지, TPO 수지, 폴리비닐알콜, 천연고무, 과산화물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50 내지 70 중량부, TPV 수지 20 내지 30 중량부, 탄산칼슘 3 내지 7 중량부, 로진 글리세롤에스테르 5 내지 15 중량부 및 솔벤트나프타 20 내지 30 중량부의 중량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조성물은 바이오매스 폴리우레탄 수지 40 내지 50 중량부, TPO 수지 30 내지 4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 5 내지 10 중량부, 천연고무 4 내지 8 중량부, 과산화물 2 내지 6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내지 1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양면테이프가 부착되어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매트.
KR1020210049093A 2021-04-15 2021-04-15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쿠션매트 Active KR102307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093A KR102307617B1 (ko) 2021-04-15 2021-04-15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쿠션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9093A KR102307617B1 (ko) 2021-04-15 2021-04-15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쿠션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617B1 true KR102307617B1 (ko) 2021-10-05

Family

ID=78077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093A Active KR102307617B1 (ko) 2021-04-15 2021-04-15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쿠션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6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544B1 (ko) 2022-09-20 2023-10-10 주식회사 동진산업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필터프레임용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2705905B1 (ko) 2023-12-22 2024-09-11 김동성 캡 프레임을 갖는 미디엄 백필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4646A (ko) * 2009-10-06 2012-06-19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이형제 조성물, 이형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접착 필름
JP2012241080A (ja) * 2011-05-18 2012-12-10 Sharp Kagaku Kogyo Kk 接着剤
KR101510719B1 (ko) 2013-05-29 2015-04-10 (주)티엠에스 재접착성 다층 양면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71844B1 (ko) 2016-03-21 2016-11-03 주식회사 원에이치플러스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
JP2018039871A (ja) * 2016-09-05 2018-03-15 日東電工株式会社 加圧接着型粘着部材
KR102175978B1 (ko) 2018-12-14 2020-11-06 주식회사 대현에스티 계면밀착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된 방수성 양면테이프
JP2020189901A (ja) * 2019-05-20 2020-11-26 サカタインクス株式会社 ラミネート接着剤及び積層体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4646A (ko) * 2009-10-06 2012-06-19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이형제 조성물, 이형 필름 및 이것을 사용한 접착 필름
JP2012241080A (ja) * 2011-05-18 2012-12-10 Sharp Kagaku Kogyo Kk 接着剤
KR101510719B1 (ko) 2013-05-29 2015-04-10 (주)티엠에스 재접착성 다층 양면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71844B1 (ko) 2016-03-21 2016-11-03 주식회사 원에이치플러스 탈부착이 가능한 점착매트
JP2018039871A (ja) * 2016-09-05 2018-03-15 日東電工株式会社 加圧接着型粘着部材
KR102175978B1 (ko) 2018-12-14 2020-11-06 주식회사 대현에스티 계면밀착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된 방수성 양면테이프
JP2020189901A (ja) * 2019-05-20 2020-11-26 サカタインクス株式会社 ラミネート接着剤及び積層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544B1 (ko) 2022-09-20 2023-10-10 주식회사 동진산업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필터프레임용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2705905B1 (ko) 2023-12-22 2024-09-11 김동성 캡 프레임을 갖는 미디엄 백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9214B2 (ja) 硬化性組成物
DE60017233T2 (de) Thermoplastische Vulkanisate aus carboxyliertem Nitrilkautschuk und thermoplastischen Polyurethanen
KR102307617B1 (ko) 쿠션매트 부착용 양면테이프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쿠션매트
DE60225674T2 (de) Hochmolekulare thermoplastische polyurethane hergestellt aus polyolen mit einem hohen gehalt an sekundären hydroxylgruppen
AU2011281624B2 (en) Reduction in modulus of polyurethane sealants and adhesives
KR101188321B1 (ko) 친환경 탄성접착제용 습기경화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182405A (zh) 一种双组分水性聚氨酯胶粘剂的制备方法
KR101871139B1 (ko) 폴리우레탄 접착제 조성물,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CN109153806A (zh) 嵌段共聚物在粘合剂中的用途
US8716397B2 (en) Bio-based roofing adhesive compositions
US11866617B2 (en) Very high solids, thermoset composition with one-side (wet set) adhesion to unprimed/unmodified TPO surfaces
CN114395360A (zh) 一种阻燃型双组分聚氨酯胶粘剂及其制备方法
KR100528608B1 (ko)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117549B (zh) 一种使用papi制备的单组份聚氨酯密封胶
JPH0565471A (ja) 反応性ホツトメルト接着剤
KR102365151B1 (ko) 발포배수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발포배수캡
WO2018198899A1 (ja)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
WO2018191107A1 (en) Method of making an enhanced membrane for single-ply roofing
KR20190045232A (ko) 2k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위한 플라스틱 접착 촉진
WO2011097212A1 (en) Bio-based roofing adhesive compositions
WO2008053725A1 (fr) Résine d&#39;uréthane pour des matériaux d&#39;amortissement de vibration et composition pouvant durcir
WO2009157640A1 (ko) 강도가 개선된 폴리에테르계 폴리우레탄 폼 및 그를 이용한 용도
JP4823484B2 (ja) 湿気硬化型ウレタン接着剤組成物
TWI864148B (zh) 聚碳二亞胺化合物、水性樹脂組成物、及食品包裝容器
JPS62223286A (ja) 樹脂接着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