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002B1 - 열화상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 Google Patents
열화상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3002B1 KR102293002B1 KR1020190152576A KR20190152576A KR102293002B1 KR 102293002 B1 KR102293002 B1 KR 102293002B1 KR 1020190152576 A KR1020190152576 A KR 1020190152576A KR 20190152576 A KR20190152576 A KR 20190152576A KR 102293002 B1 KR102293002 B1 KR 1022930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base
- thermal imaging
- damping unit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6
- 238000001931 thermograph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0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1219 R-pha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8199 S phas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529 body temperatur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4—Cas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2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infrared radiation only
- H04N23/23—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infrared radiation only from thermal infrared radi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열화상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제진부 및 수평 제진부는 각각 베이스와 브라켓, 브라켓과 열화상 카메라가 상대적으로 미끄러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촉에 의해 회전 방향 또는 일 방향으로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화상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전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설치 구조가 열화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열화상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은 고압의 전기를 받아 관리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배전반에는 각종 스위치, 계전기, 선로, 버스바(bus bar) 등의 다양한 전력기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전반 내부의 전력기기는 과부하로 인해 발열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기적/열적/화학적 스트레스 및 진동 등의 환경 요인에 의한 열화로 의해 절연 파괴되면서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전반 내부의 화재 발생 등을 감시하기 위하여 열화상 카메라와 같은 열화상 감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사고 징후를 미연에 파악하기 위해, 열화상 감시 장치를 통해 감시 대상에 대한 온도 정보(이하, “열화상 온도 정보”라 지칭함)를 검출함으로써 국부 발열 현상을 실시간으로 감시 진단할 수 있다.
그런데, 배전반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적/열적/화학적 스트레스 및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배전반 내부의 진동으로 인하여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열화상 감시 장치가 원래 목적하던 위치에서 벗어날 수 있다.
즉, 열화상 감시 장치가 배전반 내부의 진동에 의해 이동되어 원래 감시하고자 한 지점과 상이한 지점을 비추거나, 배전반 내부에서 설치된 구조가 열화되어 설치된 지점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열화상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반 내에 배치되는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 상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대향하는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라켓이 결합되는 위치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결합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진부를 포함하는, 열화상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전반 내에 배치되는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결합되고, 베이스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브라켓, 및 브라켓에 결합되고, 브라켓 상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대향하는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고, 베이스와 브라켓이 결합되는 위치 및 브라켓과 열화상 카메라가 결합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고,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진부를 포함하는 열화상 감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진부는, 열화상 카메라의 회전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 제진부, 및 열화상 카메라의 좌우 이동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평 제진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는, 고정 플레이트 상에 배치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 바디, 및 베이스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브라켓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 돌출 결합부를 포함하고, 베이스 바디에는 원주 모양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돌출 결합부는, 결합수단이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라운드부, 브라켓과 결합되는 라운드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회전 제진부 일면, 및 라운드부에서 일측면으로 돌출되고, 아래로 볼록한 원주 곡면을 이루는 회전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진부 일면은, 결합홀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진부 일면은, 라운드부의 표면이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철 형상이 반복될 수 있다.
또한, 결합홈의 내부에는, 베이스 및 고정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의 적어도 일부가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은, 전면으로 볼록하게 벤딩되어 형성되는 브라켓 바디, 및 브라켓 바디의 후면에서 돌출되고, 베이스 돌출 결합부과 결합되는 브라켓 돌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돌출 결합부는, 라운드부와 결합 시 결합홀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라운드부 결합부, 라운드부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회전 제진부 일면과 접촉되어 브라켓의 회전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 제진부 타면, 및 라운드부 결합부의 타측으로 돌출되고, 브라켓이 베이스에 대하여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 가이드와 인접하여 회전되는 회전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진부 일면 및 회전 제진부 타면 중 적어도 하나는 표면이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철이 반복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바디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고, 열화상 카메라는, 브라켓에 장착되는 위치가 변경 가능하도록, 복수의 장공을 관통해 삽입되는 열화상 카메라 결합수단과 결합하여 브라켓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 바디의 전면에는, 복수의 장공 사이에 형성되고, 열화상 카메라의 일면과 접촉되어 열화상 카메라의 이동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평 제진부 일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 제진부 일면은, 표면이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철로 이루어지고, 브라켓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브라켓의 양 단에는, 열화상 카메라에서 연장되는 케이블이 삽입 가능한 케이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의 후면은, 전면으로 볼록하게 벤딩되는 브라켓 바디와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는, 브라켓 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2 이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에는, 수평 제진부 일면과 접촉되어, 일 방향으로의 진동이 저감되는 수평 제진부 타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공간에 배치된 전력부품과 이격되게 캐비닛에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및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전력부품의 온도를 센싱하는 열화상 감시 장치를 포함하고, 열화상 감시 장치는,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베이스, 베이스에 결합되고, 베이스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브라켓, 및 브라켓에 결합되고, 브라켓 상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대향하는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고, 베이스와 브라켓이 결합되는 위치 및 브라켓과 열화상 카메라가 결합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고,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진부를 포함하는 배전반을 제공한다.
또한, 제진부는, 열화상 카메라의 회전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 제진부, 및 열화상 카메라의 좌우 이동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평 제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는, 고정 플레이트에 대하여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고정가능하고, 브라켓은, 베이스에 대하여 일축과 수직한 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고정가능하며, 열화상 카메라는, 브라켓에 대하여 일축 및 타축과 직교하는 직교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고정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돌출 결합부와 브라켓 돌출 결합부가 각각 베이스 및 브라켓으로부터 서로 돌출되어 결합됨으로써, 브라켓이 베이스에 대해서 일축 방향으로 회전되기 용이한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열화상 감시 장치는 고정 플레이트에 대하여 서로 직교하는 3축으로 자유롭게 회전된 후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하는 위치의 자유도가 높아짐에 따라, 배전반 내부의 목적하는 전력부품에 열화상 감시 장치가 향하도록 용이하게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진부 및 수평 제진부는 각각 베이스와 브라켓, 브라켓과 열화상 카메라가 상대적으로 미끄러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촉에 의해 회전 방향 또는 일 방향으로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브라켓의 회전 돌기부는 회전 가이드와 인접하여 회전함으로써, 브라켓이 진동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때 회전 돌기부가 회전 가이드에 지지되어 상하로의 진동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열화상 카메라는 서로 교차하는 오목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 및 감시하고자 하는 전력부품이 배치되는 곳을 향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브라켓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감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열화상 감시 장치가 각 축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열화상 감시 장치의 고정 플레이트와 베이스가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열화상 감시 장치의 베이스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2의 열화상 감시 장치의 브라켓 및 열화상 카메라가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부가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감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열화상 감시 장치가 각 축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열화상 감시 장치의 고정 플레이트와 베이스가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열화상 감시 장치의 베이스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2의 열화상 감시 장치의 브라켓 및 열화상 카메라가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부가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화상 감시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은 캐비닛(1), 고정 플레이트(5) 및 열화상 감시 장치를 포함한다. 배전반은 내부에 공간(S)이 형성된 캐비닛(1)과 공간(S)에 배치된 전력부품(2)과, 고정 플레이트(5)와, 고정 플레이트(5)에 설치되어 전력부품(2)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화상 감시 장치를 포함한다.
캐비닛(1)은 배전반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그 내부에 설치된 전력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캐비닛(1)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캐비닛(1)은 프레임(11)과, 프레임(11)를 덮는 측면 커버(13)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은 프레임(11), 바닥부(15)와, 측면 커버(13)와, 상측에 배치되는 탑 커버(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전반은 공간(S)을 여닫는 도어(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7, 8)은 캐비닛(1)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프런트 도어(7)와, 캐비닛(1)의 개방된 배면을 개폐하는 리어 도어(8)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도어(7)와 리어 도어(8)은 캐비닛(1)에 회전 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플레이트(5)는 리어 도어(8)의 내측에 가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 지면을 뚫고 들어가는 방향으로 고정 플레이트(5)가 상하로 이격되어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의 내부에 배치되고 열화상 감시 장치에 의해 온도가 측정되는 전력부품(2)은 버스바(B), 캐패시터(미도시, Capacitor), 리액터(미도시, Reactor), 변류기(CT, Current Transformer), 차단기(CB, Circuit Breaker) 등일 수 있다.
열화상 감시 장치에 의해 온도 측정되는 전력부품(2)은 버스바(B)일 수 있고, 열화상 감시 장치의 온도 측정 대상은 순차 배치된 R상 버스바와, T상 버스바 및 S상 버스바일 수 있다.
열화상 감시 장치에 의해 온도 측정되는 전력부품(2)은 캐패시터일 수 있고, 열화상 감시 장치의 온도 측정 대상은 순차 배치된 R상 캐패시터와, T상 캐패시터 및 S상 캐패시터일 수 있다.
열화상 감시 장치에 의해 온도 측정되는 전력부품(2)은 리액터일 수 있고, 열화상 감시 장치의 온도 측정 대상은 순차 배치된 R상 리액터와, T상 리액터 및 S상 리액터일 수 있다.
열화상 감시 장치에 의해 온도 측정되는 전력부품(2)은 변류기(CT)일 수 있고, 열화상 감시 장치의 온도 측정 대상은 순차 배치된 R상 변류기, T상 변류기, S상 변류기일 수 있다.
열화상 감시 장치는 그 종류가 동일한 다수의 전력부품의 온도를 함께 측정하고, 그 종류가 상이한 다수의 전력부품의 온도를 함께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전반은 그 종류가 동일한 전력부품이 비슷한 온도대역을 갖을 수 있고, 하나의 열화상 감시 장치는 그 종류가 동일하고 위치가 상이한 다수의 전력부품 온도를 함께 측정할 수 있다.
열화상 감시 장치가 상술한 전력부품의 온도를 측정하는데 있어서, 배전반 내부의 다양한 전력부품 중 특히 해당 배전반에 온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부품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바 부분에 전력이 집중되어 열이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열화상 감시 장치를 열이 가장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해당 버스바가 배치되는 곳을 향하여 열화상 감시 장치를 배치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열화상 감시 장치가 감시할 곳을 비추기 위하여 열화상 감시 장치를 상하로 이격된 고정 플레이트(5) 중 적절한 높이에 위치한 고정 플레이트(5)에 설치할 수 있다.
열화상 감시 장치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감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열화상 감시 장치가 각 축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열화상 감시 장치는 베이스(100), 브라켓(200) 및 열화상 카메라(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베이스(100)와 브라켓(200)이 결합되는 위치 및 브라켓(200)과 열화상 카메라(300)가 결합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한 곳에 제진부를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배전반 내에 배치되는 고정 플레이트(5)에 고정된다. 고정 플레이트(5)에는 고정 플레이트 홀(5a)이 형성되고, 베이스(100)는 결합수단(105)을 통해 고정 플레이트(5)에 고정된다.
베이스(100)는 베이스 바디(102), 베이스 돌출 결합부(120) 및 결합홈(11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바디(102)는 고정 플레이트(5) 상에 배치 가능하게 형성된다. 베이스 바디(102)는 고정 플레이트(5)에 대하여 Z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돌출 결합부(120)는 베이스 바디(102)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베이스 돌출 결합부(120)는 베이스 바디(102)가 고정 플레이트(5)를 바라보는 면의 반대편으로 돌출된다. 베이스 돌출 결합부(120)는 브라켓(200)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다.
베이스 바디(102)에는 원주 모양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11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10)은 상술한 결합수단(105)이 삽입되기 위하여 개구된다. 결합홈(110)으로 상술한 결합수단(105)이 삽입되고, 삽입된 결합수단(105)은 고정 플레이트(5)의 고정 플레이트 홀(5a)로 삽입된다.
브라켓(200)은 베이스(100)에 결합되고, 베이스(100)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브라켓(200)은 전면으로 볼록하게 벤딩되어 형성되는 브라켓 바디(202)와, 브라켓 바디(202)의 후면에서 돌출되고, 베이스 돌출 결합부(120)과 결합되는 브라켓 돌출 결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브라켓 바디(202)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장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300)는 복수의 장공(210) 중 일부에 삽입되는 결합수단(305)에 의해 브라켓(200)에 고정될 수 있다.
브라켓(200)의 양 단에는 열화상 카메라(300)에서 연장되는 케이블이 삽입 가능한 케이블 홀(204)이 형성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300)의 단자(306)에는 열화상 카메라(300)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이 배전반 내부로 늘어뜨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라켓(200)의 양 단에 형성될 케이블 홀(204)에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홀(204)은 브라켓(200)의 양 단에 배치되는데, 이를 통해 열화상 카메라(300)의 브라켓(200)로의 설치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화상 카메라(300)는 브라켓(200)에 대해서 일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과 달리 열화상 카메라(300)가 가로로 긴 방향으로 브라켓(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열화상 카메라(300)의 단자(306)로부터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한 케이블 홀(204)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정리할 수 있어 편의성이 높아진다.
또한, 브라켓 바디(202)의 전면에는 결합수단(105)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 조립홀(206)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2)는 고정 플레이트(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데, 브라켓 바디(202)에 베이스(102)의 결합홈(110)이 가려질 경우 결합수단(105)을 조립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볼트 조립홀(206)을 이용하여 결합수단(105)을 용이하게 결합홈(110)에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다.
브라켓 바디(202)의 전면에는 복수의 장공(210) 사이에 형성되고, 열화상 카메라(300)의 일면과 접촉되어 열화상 카메라(300)의 이동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평 제진부 일면(2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열화상 카메라(300)는 바디의 전면(302a)에 카메라 모듈(304)을 포함하고, 바디의 배면(302b)에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단자(306)가 배치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300)는 후면이 브라켓(200)에 결합되고, 브라켓(200) 상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대향하는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브라켓(20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열화상 카메라(300)는 브라켓(200)의 상하로 길게 형성된 바디 중 상부와 하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화상 카메라(3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200)의 바디(210)의 전면은 굴곡지게 형성된다. 열화상 카메라(300)의 후면은 굴곡지게 형성된 바디와 접촉하며 브라켓(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 바디(202)의 전면이 굴곡지게 형성됨에 따라, 열화상 카메라(300)는 카메라 모듈(304)이 대향할 방향에 맞추어 브라켓 바디(202)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200)의 구조를 통해, 열화상 카메라(300)는 설치되는 높이 및 대향하는 방향을 설정할 수는 장점이 있다.
제진(除振)부는 열화상 감시 장치가 고정 플레이트(5)로부터 전달받는 진동을 저감시킨다. 이를 통해 열화상 감시 장치가 고정 플레이트(5)로부터 이탈되거나, 목적하는 전력부품을 비추는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진부는 열화상 카메라(300)의 회전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 제진부, 및/또는 열화상 카메라(300)의 좌우 이동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평 제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열화상 감시 장치의 각 구성의 회전에 대해서 설명한다.
베이스(100)는 고정 플레이트(5)에 대하여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100)는 고정 플레이트(5)에 대하여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플레이트(5)에는 고정 플레이트 홀(5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홈(110)은 베이스(100)의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베이스(100)를 고정 플레이트(5)에 대하여 Z축 방향으로 회전시켜도 결합수단(105)은 결합홈(110)을 통해 고정 플레이트 홀(5a)로 삽입가능하다.
브라켓(200)은 베이스(100)에 대하여 일축과 수직한 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200)은 베이스(100)에 대하여 X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베이스(100)의 베이스 돌출 결합부(120)와, 브라켓(200)의 브라켓 돌출 결합부(220)는 서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00)와 브라켓(200)은 결합수단(205)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여기서, 결합수단(205)은 볼트(205a), 너트(205b) 및 와셔(205c) 등이 될 수 있다.
베이스(100)와 브라켓(200)이 각각의 바디(102, 202)로부터 돌출되어 결합되지 않는다면, 브라켓(200)과 베이스(10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브라켓(200)의 베이스(100)에 대한 X축 회전 반경이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돌출 결합부(120)와 브라켓 돌출 결합부(220)가 각각 베이스(100) 및 브라켓(200)으로부터 서로 돌출되어 결합됨으로써, 브라켓(200)이 베이스(100)에 대해서 X축 방향으로 회전되기 용이한 공간을 제공한다.
열화상 카메라(300)는 브라켓(200)에 대하여 일축 및 타축과 직교하는 직교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열화상 카메라(300)는 브라켓(200)에 대하여 X축 및 Z축과 직교하는 Y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브라켓 바디(202)는 전면을 향해 굴곡지게 벤딩된다. 이에 따라, 열화상 카메라(300)가 브라켓 바디(202)의 전면에 접촉되는 부분에 따라 열화상 카메라(300)가 대향하는 방향이 달라진다.
즉, 도 5에서 열화상 카메라(300)가 브라켓 바디(202)의 전면에 오른쪽, 즉 브라켓 바디(202)의 중심에서 X축으로 더 나아간 부분에서 접촉되면, 열화상 카메라(300)는 Y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반향으로 돌아간 부분을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열화상 카메라(300)가 브라켓 바디(202)의 전면에서 왼쪽, 즉 브라켓 바디(202)의 중심에서 -X축 방향으로 더 나아간 부분에서 접촉되면, 열화상 카메라(300)는 Y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돌아간 부분을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즉, 열화상 카메라(300)는 브라켓 바디(202)의 굴곡진 전면에 따라 대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화상 감시 장치는 고정 플레이트(5)에 대하여 서로 직교하는 3축으로 자유롭게 회전된 후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열화상 카메라(300)를 설치하는 위치의 자유도가 높아짐에 따라, 배전반 내부의 목적하는 전력부품에 열화상 감시 장치가 향하도록 용이하게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열화상 감시 장치의 고정 플레이트와 베이스가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열화상 감시 장치의 베이스 및 브라켓이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2의 열화상 감시 장치의 브라켓 및 열화상 카메라가 결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진부가 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8 및 도 9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오른쪽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왼쪽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00)는 베이스 바디(102)로부터 돌출되고, 브라켓(200)과 결합가능한 베이스 돌출 결합부(120)를 포함한다. 베이스 돌출 결합부(120)는 라운드부(122), 회전 제진부 일면(123) 및 회전 가이드(126)를 포함할 수 있다.
라운드부(122)는 상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하단은 점점 넓어지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라운드부(122)의 중심에는 결합수단(205)이 삽입되는 결합홀(124)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124)에는 상술한 결합수단(205)이 삽입되어 브라켓(200)과 베이스 돌출 결합부(120)가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제진부 일면(123)은 브라켓(200)과 결합되는 라운드부(122)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회전 제진부 일면(123)은 후술할 회전 제진부 타면(223)과 결합되어, 회전 제진부를 구성한다. 즉, 회전 제진부는 회전 제진부 일면(123)과 회전 제진부 타면(223)을 포함한다.
회전 제진부 일면(123)은 상술한 결합홀(124)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즉, 회전 제진부 일면(123)은 결합홀(124) 주변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진부 일면(12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부(122)의 표면이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철 형상이 반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 제진부 일면(123)은 회전 제진부 타면(223)과 접촉되는 경우, 회전 제진부 타면(223)이 미끄러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진부 일면(123) 및 회전 제진부 타면(223)의 접촉에 의해 회전방향으로의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회전 가이드(126)는 라운드부(122)에서 일측면으로 돌출되고, 아래로 볼록한 원주 곡면을 이룬다. 라운드부(122)의 상단 및 회전 제진부 일면(123)은 대략의 원과 유사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원의 원주의 하단부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회전 가이드(126)가 돌출될 수 있다.
회전 가이드(126)는 아래로 볼록한 원주 형상의 곡면을 이룬다. 회전 가이드(126)의 표면에는 브라켓(200)의 회전 돌기부(226, 도 7 참조)가 인접하게 배치된다. 브라켓(200)이 베이스(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브라켓(200)의 회전 돌기부(226)는 회전 가이드(126) 상을 스치듯이 회전할 수 있다.
브라켓(200)의 회전 돌기부(226)는 회전 가이드(126)와 인접하여 회전함으로써, 브라켓(200)이 진동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때 회전 돌기부(226)가 회전 가이드(126)에 지지되어 상하로의 진동이 저감될 수 있다.
베이스(100)의 결합홈(110)은 2개로 구비되어, 서로 마주보고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홈(110)은 상하로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홀(5a)에 대응되도록 2개를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10)은 베이스(100)가 회전되어도 고정 플레이트 홀(5a)에 결합수단(10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원주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는 2개의 결합홈(110)이, 베이스(100)가 회전되어도 고정 플레이트 홀(5a)에 결합수단(105)을 삽입할 수 있도록 원주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결합홈(110)의 내부에는 베이스(100) 및 고정 플레이트(5)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105)의 적어도 일부가 걸림되는 걸림턱(11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결합수단(105)은 볼트일 수 있다. 그리고, 볼트의 상단에 볼트헤드(105a)가 상술한 걸림턱(112)에 걸림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브라켓(2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라켓(200)은 전면으로 볼록하게 벤딩되어 형성되는 브라켓 바디(202)와, 브라켓 바디(202)의 후면에서 돌출되고, 베이스 돌출 결합부(120)과 결합되는 브라켓 돌출 결합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바디(202)는 전면으로 볼록하게 벤딩된다. 구체적으로, 브라켓 바디(202)는 베이스(100)의 반대편으로 볼록하게 벤딩되어 이루어 질 수 있다.
전면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브라켓 바디(202)는 열화상 카메라(300)의 배면(302b)에 형성되는 오목부(310)에 접촉되어, 열화상 카메라(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뿐만 아니라, 브라켓 바디(202)는 원주의 일부와 같이 볼록하게 벤딩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열화상 카메라(300)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열화상 카메라(300)가 대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브라켓 돌출 결합부(220)는 브라켓 바디(202)의 후면에서 돌출되고, 베이스 돌출 결합부(120)과 결합된다. 브라켓 돌출 결합부(220)는 라운드부 결합부(222), 회전 제진부 타면(223) 및 회전 돌기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라운드부 결합부(222)는 베이스(100)의 라운드부(122)와 결합 시 결합홀(124)과 연통되는 개구부(224)가 형성된다. 라운드부(122) 및 라운드부 결합부(222)는 서로 회전된 후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운드부 결합부(222)는 베이스(100)의 라운드부(122)와 대응되는 하단의 원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 제진부 타면(223)은 라운드부 결합부(222)의 일측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회전 제진부 타면(223)은 라운드부 결합부(222)가 베이스(100)의 라운드부(122)와 결합될 때 서로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회전 제진부 타면(223)은 베이스(100)의 회전 제진부 일면(123)과 접촉되어 브라켓(200)의 회전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제진부 일면(123) 및 회전 제진부 타면(223) 중 적어도 하나는 표면이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철이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제진부 일면(123) 및 회전 제진부 타면(223) 중 어느 하나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요철을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력이 있는 재질은 요철을 이루는 부분과 결합수단(205)을 통해 결합될 때, 요철을 이루는 부분 중 돌출된 부분에 의해 표면이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제진부 일면(123)과 회전 제진부 타면(223)은 서로 결속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진동에 의한 변형 및 떨림도 저감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진부는 베이스 돌출 결합부(120) 및 브라켓 돌출 결합부(220)가 서로 회전하는 것을 저감시키므로, 진동에 의해 처음에 설정되었던 베이스(100)와 브라켓(200) 간의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진부 일면(123) 및 회전 제진부 타면(223) 모두 요철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돌기부(226)는 라운드부 결합부(222)의 타측으로 돌출된다. 회전 돌기부(226)는 라운드부 결합부(222)의 회전 제진부 타면(223)이 형성되는 면과 반대편으로 돌출될 수 있다. 회전 돌기부(226)는 베이스(100)의 회전 가이드(12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돌기부(226)는 브라켓(200)이 베이스(100)에 대하여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 가이드(126)와 인접하여 회전될 수 있다.
회전 돌기부(226)는 양측으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200)이 베이스(100)에 대해서 회전하는 경우, 어느 일 측의 회전 돌기부(226)가 회전 가이드(126)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200)이 베이스(100)에 대해서 위쪽을 바라보도록 회전하는 경우 제1 회전 돌기부(226a)가 회전하며 회전 가이드(126)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2 회전 돌기부(226b)는 회전하여 회전 가이드(126)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즉, 양 측으로 배치된 회전 돌기부(226)는 회전함에 따라 어느 일 측의 회전 돌기부(226)가 회전 가이드(126)와 접촉되어 회전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진동에 의하여 브라켓(200)이 흔들리는 경우 회전 돌기부(226)는 회전 가이드(126)를 지지하여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브라켓(200) 및 열화상 카메라(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브라켓 바디(202)의 전면에는 수평 제진부 일면(240)이 형성될 수 있다. 수평 제진부 일면(240)은 복수의 장공(210) 사이에 형성된다. 수평 제진부 일면(240)은 열화상 카메라(300)의 일면과 접촉되어 열화상 카메라(300)의 이동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수평 제진부 일면(240)은 표면이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철로 이루어지고 브라켓(20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제진부 일면(240)은 브라켓(200)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300)는 브라켓(200)에 장착되는 위치가 변경 가능하도록, 복수의 장공(210)을 관통해 삽입되는 열화상 카메라(300) 결합수단(305)과 결합하여 브라켓(200)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장공(210) 중 어느 하나의 장공(210)을 관통하는 결합수단(305)은, 열화상 카메라 바디(302)의 후면에 형성된 결합홀(320h)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브라켓(200)과 열화상 카메라(30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300)의 후면은 전면으로 볼록하게 벤딩되는 브라켓 바디(202)와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310)는 브라켓 바디(202)의 전면과 대응되게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오목부(310)의 오목한 정도, 굴곡은 브라켓 바디(202)의 전면의 굴곡된 정도에 대응된다. 이에 따라, 열화상 카메라(300)의 후면과 브라켓(200)의 전면이 포개어 지며 오목부(310)의 전면(全面)에서 브라켓 바디(202)와 접촉될 수 있다.
오목부(310)는 브라켓 바디(202)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2 이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오목부(310a)는 열화상 카메라(300)의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오목부(310b)는 제1 오목부(310a)에 수직하게 교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화상 카메라(300)는 사용자의 편의 및 감시하고자 하는 전력부품이 배치되는 곳을 향하기 위하여, 제1 오목부(310a)가 브라켓 바디(202)에 접촉되게 세로로 배치될 수도 있고, 제2 오목부(310b)가 브라켓 바디(202)에 접촉되게 가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오목부(310)에는 브라켓(200)의 수평 제진부 일면(240)과 접촉되어, 일 방향으로의 진동이 저감되는 수평 제진부 타면(32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 바디(202)의 상면의 수평 제진부 일면(240)과, 열화상 카메라 바디(302)의 배면에 형성된 오목부(310)의 결합홀(320h) 주변에 형성된 수평 제진부 타면(320)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결합홀(320h) 주변에는 결합수단(305)에 의해 브라켓(200)과 열화상 카메라(300)의 압착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 제진부 타면(320)이 압착력이 집중되는 결합홀(320h)의 주변에 형성됨으로써 수평 방향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수평 제진부 일면(240)과 수평 제진부 타면(320)이 서로 이격된 상태이다. 수평 제진부 일면(240) 및 수평 제진면 타면은 각각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 제진부 일면(240)이 돌출부(241) 및 요홈부(242)가 반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수평 제진부 타면(320)도 돌출부(321) 및 요홈부(322)가 반복되어 형성된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열화상 카메라(300)와 브라켓 바디(202)가 서로 결합하는 과정에서 수평 제진부 일면(240)과 수평 제진부 타면(320)이 서로 가깝게 배치된 상태이다. 이때, 수평 제진부 일면(240)의 돌출부(241)가 수평 제진부 타면(320)의 돌출부(321)와 서로 겹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열화상 카메라(300)와 브라켓 바디(202)가 서로 완전하게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수평 제진부 일면(240)과 수평 제진부 타면(320)의 요철 형상이 서로 겹치도록 결합된 모습이다.
결합수단(305)에 의해 결합되기 전 수평 제진부 일면(240)과 수평 제진부 타면(320)은 서로 접촉되어 있는 도 10의 (b)의 상태일 수 있다.
이때, 결합수단(305)에 의해 브라켓(200)과 열화상 카메라(300)가 서로 결합 시, 수평 제진부 일면(240)과 수평 제진부 타면(320)은 둘 중 어느 하나가 이동되어 도 10의 (c)와 같은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열화상 카메라(300)의 좌우 방향(d)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브라켓(20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도 열화상 카메라(300)로 전달되는 것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배전반의 진동에 의해 브라켓(200)과 열화상 카메라(300) 사이의 결속이 풀림되어 열화상 카메라(300)가 의도하지 않게 이동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요철부의 결합은 회전 제진부 일면(123) 및 회전 제진부 타면(223)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회전 제진부 및 수평 제진부의 어느 일 면은 탄성의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일 면은 요철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수평 제진부 일면(240) 및 수평 제진면 타면은 각각의 돌출부(241, 321)의 길이가, 각각의 요홈부(242, 32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브라켓 바디(202)의 전면과 열화상 카메라(300)의 오목부(310)가 서로 겹친 상태에서 각각의 요홈부(242, 322)에는 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홈부(242, 322)의 틈으로 인하여 결합수단(305)은 브라켓 바디(202)와 열화상 카메라(300)를 약간의 탄성 변형이 일어나도록 결속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달리, 수평 제진부 타면(320)은 오목부(310)의 결합홀(320h) 주변뿐만 아니라, 오목부(310)의 다른 부분에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오목부(310a) 및 제2 오목부(310b)가 서로 겹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수평 제진부 타면(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평 제진부 일면(240)과 접촉되는 수평 제진부 타면(320)이 증가하여 브라켓(200)과 열화상 카메라(300) 사이의 결속력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열화상 카메라(300')는 도 9에 도시된 열화상 카메라(300)와 비교하였을 때, 오목부(310')의 형상에만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요소들은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열화상 카메라(300')의 오목부(310')가 4개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오목부(310a'), 제2 오목부(310b'), 제3 오목부(310c') 및 제4 오목부(310d')가 서로 약 45도의 각도를 이루고 교차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오목부(310') 상에는 수평 제진부 타면(320')이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열화상 카메라(300')를 브라켓 상에 배치하는 데 있어서 열화상 카메라(300')를 배치할 수 있는 방향의 수가 증가하므로, 사용자는 배전반 내의 목적하는 전력부품을 더 정확하게 비추도록 열화상 카메라(30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캐비닛 2: 전력부품
5: 고정 플레이트 5a: 고정 플레이트 홀
7: 프런트 도어 8: 리어 도어
11: 프레임 13: 측면 커버
15: 바닥부 16: 탑 커버
100: 베이스 102: 베이스 바디
105: 결합수단 105a: 볼트헤드
110: 결합홈 112: 걸림턱
120: 베이스 돌출 결합부 122: 라운드부
123: 회전 제진부 일면 124: 결합홀
126: 회전 가이드 200: 브라켓
202: 브라켓 바디 204: 케이블 홀
205: 결합수단 205a: 볼트
205b: 너트 205c: 와셔
206: 볼트 조립홀 210: 장공
220: 브라켓 돌출 결합부 222: 라운드부 결합부
223: 회전 제진부 타면 224: 개구부
226: 회전 돌기부 226a: 제1 회전 돌기부
226b: 제2 회전 돌기부 240: 수평 제진부 일면
300: 열화상 카메라 302: 열화상 카메라 바디
302a: 바디 전면 302b, 302'b: 바디 후면
304: 카메라 모듈 305: 결합수단
306: 단자 310, 310': 오목부
310a: 제1 오목부 310b: 제2 오목부
310c': 제3 오목부 310d': 제4 오목부
320: 수평 제진부 타면 320h: 결합홀
A: 열화상 감시 장치 B: 버스바
CB: 차단기 CT: 변류기
S: 내부 공간
5: 고정 플레이트 5a: 고정 플레이트 홀
7: 프런트 도어 8: 리어 도어
11: 프레임 13: 측면 커버
15: 바닥부 16: 탑 커버
100: 베이스 102: 베이스 바디
105: 결합수단 105a: 볼트헤드
110: 결합홈 112: 걸림턱
120: 베이스 돌출 결합부 122: 라운드부
123: 회전 제진부 일면 124: 결합홀
126: 회전 가이드 200: 브라켓
202: 브라켓 바디 204: 케이블 홀
205: 결합수단 205a: 볼트
205b: 너트 205c: 와셔
206: 볼트 조립홀 210: 장공
220: 브라켓 돌출 결합부 222: 라운드부 결합부
223: 회전 제진부 타면 224: 개구부
226: 회전 돌기부 226a: 제1 회전 돌기부
226b: 제2 회전 돌기부 240: 수평 제진부 일면
300: 열화상 카메라 302: 열화상 카메라 바디
302a: 바디 전면 302b, 302'b: 바디 후면
304: 카메라 모듈 305: 결합수단
306: 단자 310, 310': 오목부
310a: 제1 오목부 310b: 제2 오목부
310c': 제3 오목부 310d': 제4 오목부
320: 수평 제진부 타면 320h: 결합홀
A: 열화상 감시 장치 B: 버스바
CB: 차단기 CT: 변류기
S: 내부 공간
Claims (20)
- 배전반 내에 배치되는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 상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대향하는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라켓이 결합되는 위치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결합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배치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브라켓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 돌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원주 모양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돌출 결합부는,
결합수단이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라운드부;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상기 라운드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회전 제진부 일면; 및
상기 라운드부에서 상기 일측면으로 돌출되고, 아래로 볼록한 원주 곡면을 이루는 회전 가이드를 포함하는,
열화상 감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부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회전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 제진부; 및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좌우 이동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평 제진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열화상 감시 장치.
- 삭제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진부 일면은,
상기 결합홀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열화상 감시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진부 일면은,
상기 라운드부의 표면이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철 형상이 반복되는,
열화상 감시 장치.
- 배전반 내에 배치되는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 상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대향하는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라켓이 결합되는 위치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결합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배치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브라켓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 돌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원주 모양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내부에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의 적어도 일부가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열화상 감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전면으로 볼록하게 벤딩되어 형성되는 브라켓 바디; 및
상기 브라켓 바디의 후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 돌출 결합부과 결합되는 브라켓 돌출 결합부를 포함하는,
열화상 감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돌출 결합부는,
상기 라운드부와 결합 시 상기 결합홀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라운드부 결합부;
상기 라운드부 결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 제진부 일면과 접촉되어 상기 브라켓의 회전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 제진부 타면; 및
상기 라운드부 결합부의 타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브라켓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회전 가이드와 인접하여 회전되는 회전 돌기부를 포함하는,
열화상 감시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진부 일면 및 상기 회전 제진부 타면 중 적어도 하나는 표면이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철이 반복되는,
열화상 감시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바디에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상기 브라켓에 장착되는 위치가 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장공을 관통해 삽입되는 열화상 카메라 결합수단과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열화상 감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복수의 장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일면과 접촉되어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이동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평 제진부 일면이 형성되는,
열화상 감시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제진부 일면은,
표면이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요철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열화상 감시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양 단에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서 연장되는 케이블이 삽입 가능한 케이블 홀이 형성되는,
열화상 감시 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후면은,
전면으로 볼록하게 벤딩되는 상기 브라켓 바디와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열화상 감시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브라켓 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2 이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는,
열화상 감시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에는,
상기 수평 제진부 일면과 접촉되어, 일 방향으로의 진동이 저감되는 수평 제진부 타면이 형성되는,
열화상 감시 장치.
-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공간에 배치된 전력부품과 이격되게 상기 캐비닛에 설치되는 고정 플레이트; 및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전력부품의 온도를 센싱하는 열화상 감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열화상 감시 장치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와 이루는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 상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대향하는 방향을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열화상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와 상기 브라켓이 결합되는 위치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열화상 카메라가 결합되는 위치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는 제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 상에 배치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 바디;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브라켓과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베이스 돌출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원주 모양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돌출 결합부는,
결합수단이 삽입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라운드부;
상기 브라켓과 결합되는 상기 라운드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회전 제진부 일면; 및
상기 라운드부에서 상기 일측면으로 돌출되고, 아래로 볼록한 원주 곡면을 이루는 회전 가이드를 포함하는,
배전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부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회전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회전 제진부; 및
상기 열화상 카메라의 좌우 이동에 대한 진동을 저감시키는 수평 제진부를 포함하는,
배전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대하여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고정가능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일축과 수직한 타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고정가능하며,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상기 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일축 및 상기 타축과 직교하는 직교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고정가능한,
배전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2576A KR102293002B1 (ko) | 2019-11-25 | 2019-11-25 | 열화상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
JP2020076017A JP7185658B2 (ja) | 2019-11-25 | 2020-04-22 | 熱画像監視装置及びそれを含む配電盤 |
CN202010332802.8A CN112837496B (zh) | 2019-11-25 | 2020-04-24 | 热成像监测装置及包括其的配电盘 |
US16/857,709 US11310429B2 (en) | 2019-11-25 | 2020-04-24 | Thermal image monitoring apparatus and distributing panel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2576A KR102293002B1 (ko) | 2019-11-25 | 2019-11-25 | 열화상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3910A KR20210063910A (ko) | 2021-06-02 |
KR102293002B1 true KR102293002B1 (ko) | 2021-08-24 |
Family
ID=7592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2576A KR102293002B1 (ko) | 2019-11-25 | 2019-11-25 | 열화상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310429B2 (ko) |
JP (1) | JP7185658B2 (ko) |
KR (1) | KR102293002B1 (ko) |
CN (1) | CN112837496B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0709B1 (ko) | 2012-02-08 | 2013-05-15 | 주식회사 웍스웰테크 |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
KR101700183B1 (ko) | 2016-09-07 | 2017-02-13 | 주식회사 광명전기 | 스위치기어의 전기 기기를 감시하는 장치 |
KR101903342B1 (ko) | 2018-05-08 | 2018-10-11 | 주식회사 이티씨 |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화재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제어반 |
Family Cites Families (2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15930A (ja) * | 1991-04-16 | 1992-11-06 | Minolta Camera Co Ltd | 温度監視装置 |
JPH05212664A (ja) * | 1992-02-03 | 1993-08-24 | Hitachi Constr Mach Co Ltd | ロボットのグラインダ作業用防振機構 |
JP2001103454A (ja) | 1999-10-01 | 2001-04-13 | Daiko Electric Co Ltd |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を用いた監視装置 |
JP2002131830A (ja) | 2000-10-25 | 2002-05-09 | Inc Engineering Co Ltd | 俯瞰撮影用カメラ雲台 |
JP2002354306A (ja) | 2001-05-22 | 2002-12-06 |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 撮像装置 |
JP3880848B2 (ja) * | 2001-12-05 | 2007-02-14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監視カメラ装置 |
JP2004063653A (ja) * | 2002-07-26 | 2004-02-26 | Nikon Corp | 防振装置、ステージ装置及び露光装置 |
JP4102394B2 (ja) | 2005-08-19 | 2008-06-18 | 株式会社東芝 | カメラ装置 |
US9756262B2 (en) * | 2009-06-03 | 2017-09-05 | Flir System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power systems |
WO2015051501A1 (en) * | 2013-10-08 | 2015-04-16 | SZ DJI Technology Co., Ltd | Apparatus and methods for stabilization and vibration reduction |
EP3137848B1 (en) * | 2014-04-28 | 2021-09-22 | SZ DJI Technology Co., Ltd. | Interchangeable mounting platform |
US10027173B2 (en) * | 2014-07-17 | 2018-07-17 | Flir Systems, Inc. | Powered security camera tool-free installation |
JP6429526B2 (ja) | 2014-08-07 | 2018-11-28 | 株式会社東光高岳 | 電気設備温度監視装置および電気設備温度監視システム |
US10230909B2 (en) * | 2014-09-23 | 2019-03-12 | Flir Systems, Inc. | Modular split-processing infrared imaging system |
US9835934B2 (en) * | 2014-12-12 | 2017-12-05 | Chips Unlimited,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mounting photographic equipment |
CN205647693U (zh) | 2016-03-14 | 2016-10-12 |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 热成像摄像机 |
JP2017184306A (ja) | 2016-03-28 | 2017-10-05 | キヤノン株式会社 | 旋回駆動装置 |
KR102535859B1 (ko) * | 2016-06-17 | 2023-05-24 | 한화비전 주식회사 | 감시 카메라 시스템 |
JP6494569B2 (ja) * | 2016-07-20 | 2019-04-03 | 株式会社ニフコ | カメラユニット |
CN206181253U (zh) * | 2016-11-10 | 2017-05-17 | 深圳市誉满鑫科技有限公司 | 一种可拆卸的无线远程式视频监控器 |
KR101927712B1 (ko) * | 2016-12-02 | 2018-12-11 | (주)대경산전 | 돌출구조 완충 수단이 구비되는 내진 수배전반 |
CN106973201B (zh) | 2017-03-07 | 2019-09-13 | 杨志强 | 一种双视监测设备 |
KR101912699B1 (ko) * | 2017-07-27 | 2018-12-28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직류 기중차단기 |
CN207163563U (zh) * | 2017-09-18 | 2018-03-30 | 浙江国自机器人技术有限公司 | 一种非接触式振动检测装置 |
KR20190036063A (ko) | 2017-09-27 | 2019-04-04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열화상 카메라를 구비한 보호 계전기 |
US20190215423A1 (en) * | 2018-01-08 | 2019-07-11 | TP-Link Research America Corp. | Security monitoring system |
CN109000803A (zh) | 2018-07-30 | 2018-12-14 | 袁茂银 | 一种高压开关柜热成像监测装置 |
-
2019
- 2019-11-25 KR KR1020190152576A patent/KR10229300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4-22 JP JP2020076017A patent/JP7185658B2/ja active Active
- 2020-04-24 CN CN202010332802.8A patent/CN112837496B/zh active Active
- 2020-04-24 US US16/857,709 patent/US1131042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0709B1 (ko) | 2012-02-08 | 2013-05-15 | 주식회사 웍스웰테크 | 감시카메라용 브라켓 |
KR101700183B1 (ko) | 2016-09-07 | 2017-02-13 | 주식회사 광명전기 | 스위치기어의 전기 기기를 감시하는 장치 |
KR101903342B1 (ko) | 2018-05-08 | 2018-10-11 | 주식회사 이티씨 | 열화상 영상을 이용한 화재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제어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160428A1 (en) | 2021-05-27 |
JP7185658B2 (ja) | 2022-12-07 |
CN112837496A (zh) | 2021-05-25 |
KR20210063910A (ko) | 2021-06-02 |
US11310429B2 (en) | 2022-04-19 |
JP2021085868A (ja) | 2021-06-03 |
CN112837496B (zh) | 2023-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43417B1 (ko) |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 |
KR101788173B1 (ko) | 내진형 수배전반 | |
RU2633871C2 (ru) | Скрытая дверная петля с электрическим соединением | |
WO2007052386A1 (ja) | ケーブルの支持装置 | |
PL182881B1 (pl) | Przestawne urządzenie montażowe | |
JP7444152B2 (ja) | 電池パック | |
US6433999B1 (en) | Bus connection access panel | |
KR102293002B1 (ko) | 열화상 감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 |
KR101347745B1 (ko) |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 |
KR20180003078A (ko) | 조립식 전기 컨트롤 박스 | |
US3773967A (en) | Reaction damper for overhead electrical transmission lines | |
JP3677451B2 (ja) | 壁に固定される据え付けケーシング | |
KR102355906B1 (ko) | 내진성능을 가진 건물의 통합단자함 | |
US6647664B1 (en) | Hanger for a housing | |
US9923343B2 (en) | Distribution panel | |
KR20230095634A (ko) | 내진장치를 구비한 수배전반, 접속반, 분전반, 제어반 | |
KR102355907B1 (ko) | 내진성능을 가진 공동주택용 통합단자함 | |
KR102134870B1 (ko) | 전선 트레이 설치용 분전함 | |
JP4006397B2 (ja) | 平坦なボディの保持用フレーム | |
KR101802639B1 (ko) | 중장비용 스토퍼 힌지 | |
CA2870128C (en) | Electric current switching apparatus | |
JP6901680B2 (ja) | 保護装置 | |
KR102668406B1 (ko) | 부스덕트 접속부 | |
CN217882327U (zh) | 一种带温升检测的母线连接装置及开关柜组件 | |
CN114340273B (zh) | 一种电气设备防护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