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677B1 -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 Google Patents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0677B1 KR102290677B1 KR1020200050478A KR20200050478A KR102290677B1 KR 102290677 B1 KR102290677 B1 KR 102290677B1 KR 1020200050478 A KR1020200050478 A KR 1020200050478A KR 20200050478 A KR20200050478 A KR 20200050478A KR 102290677 B1 KR102290677 B1 KR 1022906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housing
- discharge
- pipe
- treatment facilit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327 media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loe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32059 Carica parviflo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3 Carica parviflo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37 artifici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유입구에 설치되어 빗물을 차집시키는 차집조로써, 상기 빗물유입구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빗물유입구를 통해 빗물을 전달받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차집공간이 형성된 차집하우징과, 상기 차집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차집공간이 형성되며, 외면에 유출공들이 형성된 방류하우징과 상기 차집하우징의 저면패널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방류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차집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집하우징의 빗물을 상기 방류하우징으로 전달하는 연결관부로 이루어져, 최초로 빗물유입 유량의 증감에 따라 초기 우수차집이 이루어지고 관로를 통한 일차적 우수 배제 및 미세먼지, 사모래, 침식유기물이 격벽구조 또는 월류관에 의하여 이차적 배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물의 유입에 따라 차집과 단계적 배제가 이루어지기에 소량차집의 오염, 다량차집의 빗물역류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우수차집에 침식되는 미세먼지, 유기물, 침식토사물의 중력적 배출이 가능함으로 연결되는 접촉여재 및 침투조의 막힘현상, 토양 및 하천의 유입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물의 유입에 따라 차집과 단계적 배제가 이루어지기에 소량차집의 오염, 다량차집의 빗물역류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우수차집에 침식되는 미세먼지, 유기물, 침식토사물의 중력적 배출이 가능함으로 연결되는 접촉여재 및 침투조의 막힘현상, 토양 및 하천의 유입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최초로 빗물유입 유량의 증감에 따라 초기 우수차집이 이루어지고 관로를 통한 일차적 우수 배제 및 미세먼지, 사모래, 침식유기물이 격벽구조 또는 월류관에 의하여 이차적 배제되는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빗물의 유입에 따라 차집과 단계적 배제가 이루어지기에 소량차집의 오염, 다량차집의 빗물역류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우수차집에 침식되는 미세먼지, 유기물, 침식토사물의 중력적 배출이 가능함으로 연결되는 접촉여재 및 침투조의 막힘현상, 토양 및 하천의 유입 오염을 방지하는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여름 장마철에 집중적으로 비가 오고, 지형적으로는 경사가 급한 산악 지형이 많고, 최근 도시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지면에 불투수층의 포장공사를 한 곳이 많다. 이에 따라 짧은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내린 비는 지면으로 충분히 스며들지 못하여 지하수를 보충하지도 못하고, 또한 경제활동에 이용할 시간도 없이 일시에 하천과 강을 통하여 바다로 흘러가면서 홍수 피해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여름철에 집중되는 강수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홍수피해를 줄이려면 빗물을 일시적으로 차집시키는 차집시설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차집시설의 필요에 따라, 최근에 다양한 차집기술이 개발되고 또한 특허출원이 되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0731773호 "감량구조의 차집블록을 구비한 우수저류조", 제10-0582121호 "우수저류조", 제10-0485742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50476호 등에서는 특별한 구조의 사각형 콘크리트 블록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우수 차집조를 구성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우수가 차집되는 차집조가 단일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최초로 유입되는 우수의 차집공간이 협소하여 홍수시 차집조로 유입되는 우수 및 하수가 차집조의 차집 용량에 비해 월등히 늘어나게 되므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우수 및 하수에 의해 차집조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없어, 하수가 역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최초로 빗물유입 유량의 증감에 따라 초기 우수차집이 이루어지고 관로를 통한 일차적 우수 배제 및 미세먼지, 사모래, 침식유기물이 격벽구조 또는 월류관에 의하여 이차적 배제되는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빗물의 유입에 따라 차집과 단계적 배제가 이루어지기에 소량차집의 오염, 다량차집의 빗물역류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우수차집에 침식되는 미세먼지, 유기물, 침식토사물의 중력적 배출이 가능함으로 연결되는 접촉여재 및 침투조의 막힘현상, 토양 및 하천의 유입 오염을 방지하는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빗물유입구에 설치되어 빗물을 차집시키는 차집조로서, 상기 빗물유입구와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빗물유입구를 통해 빗물을 전달받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차집공간이 형성된 차집하우징과, 상기 차집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차집공간이 형성되며, 외면에 유출공들이 형성된 방류하우징과 상기 차집하우징의 저면패널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방류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차집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집하우징의 빗물을 상기 방류하우징으로 전달하는 연결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집하우징에는 빗물이 수용되도록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빗물수용캡이 더 체결되고, 상기 빗물수용캡의 내부에는 하부거름망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거름망의 상측에 배치되게 상부거름망이 설치되며, 상기 빗물수용캡에는 상기 차집하우징의 빗물을 이동시키도록 앵글안내관로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빗물수용캡에는 일면에 빗물유입안내관로의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면에는 빗물배출안내관로의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부에는 상기 차집하우징의 빗물을 상기 방류하우징으로 전달하도록 통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의 내부에는 상기 통수공을 개폐하도록 단속밸브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류하우징의 내부에는 유입되는 상기 방류하우징에서 전달되는 빗물을 정화시켜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여재유닛들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은 최초로 빗물유입 유량의 증감에 따라 초기 우수차집이 이루어지고 관로를 통한 일차적 우수 배제 및 미세먼지, 사모래, 침식유기물이 격벽구조 또는 월류관에 의하여 이차적 배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빗물의 유입에 따라 차집과 단계적 배제가 이루어지기에 소량차집의 오염, 다량차집의 빗물역류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으며 우수차집에 침식되는 미세먼지, 유기물, 침식토사물의 중력적 배출이 가능함으로 연결되는 접촉여재 및 침투조의 막힘현상, 토양 및 하천의 유입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빗물처리시설이라 명명함)은 지면에 형성되는 빗물유입구에 설치되어 빗물을 차집시키는 빗물처리시설(10)로서, 이에 이와같은 빗물처리시설(10)은 차집하우징(20)과 방류하우징(30)과 연결관부(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집하우징(20)은 상기 지면에 형성되는 빗물유입구에 끼움되어 고정되고 상면에 수용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차집하우징(20)은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사각의 블럭형상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차집하우징(20)의 수용홈부에는 빗물수용캡(50)이 더 끼움되어 상기 빗물유입구를 통해 빗물을 공급받게 되며, 빗물수용캡(50)이 서스재질스테인리스 또는 알루미늄 또는 금속재로 형성시켜 상기 빗물유입구의 빗물을 최초로 공급받아 빗물이 상기 빗물수용캡(50)에 일정높이로 충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지속적으로 빗물수용캡(50)으로 빗물이 유입시 유입된 빗물과 상기 빗물수용캡(50)에 충진된 빗물이 상기 연결관부(40)를 통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빗물수용캡(50)이 서스재질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최초 빗물을 외부에 유출없이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빗물수용캡(50)은 상부패널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상부패널에 개방부가 형성된 캡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빗물유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빗물을 최초로 수용하게 된다.
상기 빗물수용캡(50)에는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관부(40)를 상기 관통공에 관통되게 끼운 후 용접 또는 접착하여 상호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빗물수용캡(50)이 서스재질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져, 최초로 유입되는 빗물이 상기 차집하우징(20)에 스며들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차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빗물수용캡(50)과 상기 유출공(31)에는 흙을 채우고 채운 흙에 나무나 잔디를 식재하도록 함으로써, 조경에 활용하여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빗물수용캡(50)의 상측외면에는 걸림패널를 더 형성시켜 상기 걸림패널이 상기 빗물유입구의 상면에 걸림되게 배치되어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수용캡(50)의 내부에는 하부거름망(51)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고, 상기 하부거름망(51)의 상측에 배치되게 상부거름망(52)이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빗물수용캡(50)으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게 된다.
이때, 상기 차집하우징(20)에는 유입된 이물질 및 빗물을 이동시키도록 앵글안내관로(53)가 더 마련된다. 상기 앵글안내관로(53)는 하단부가 상기 빗물수용캡(5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거름망(51)과 상기 빗물수용캡(50)을 관통하면서 절곡된 상단부가 후술될 빗물배출안내관로(55)와 연통되게 관연결되어, 상기 빗물수용캡(50)의 내측 저면에 배치되는 이물질이나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 앵글안내관로(53)는 상기 빗물배출안내관로(55)의 압력과 상기 빗물수용캡(50) 내부의 압력차에 의해 이동하게 되며, 상기 빗물수용캡(50)에 배치되는 연결관부(40)의 상단부보다 수위가 높게 형성되면 압력차에 의해 이물질과 빗물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앵글안내관로(53)는 상기 하부거름망(51)에 용접하여 고정시키거나, 상기 빗물수용캡(50)에 용접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앵글안내관로(53)에 펌프를 설치하여 상기 빗물수용캡(50)의 이물질이나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빗물수용캡(50)에는 일면에 빗물유입안내관로(54)의 일단이 연통되게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연결되고, 타면에는 빗물배출안내관로(55)의 일단이 연통되게 용접 또는 나사체결되어 연결되어, 상기 빗물유입구 이외에 상기 빗물유입안내관로(54)를 통해 빗물을 전달받을 수 있게 되고, 수용되는 용량을 벗어나게 되면 오버플로우되는 빗물을 상기 빗물배출안내관로(5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빗물유입안내관로(54)와 빗물배출안내관로(55)는 상부거름망(52)과 하부거름망(51) 사이에 배치되게 상기 빗물수용캡(50)에 설치되어 고정된다.
상기 방류하우징(30)은 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상기 차집하우징(2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볼트체결되어 고정되고, 내부에 빗물을 차집하도록 차집공간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유입된 빗물을 지중에 유출시키도록 유출공(31)들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방류하우징(30)에는 상단부가 상기 방류하우징(30)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고, 하단부가 상기 방류하우징(30)의 저면패널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상기 방류하우징(30)의 내측 상부의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부(32)가 상기 방류하우징(30)의 저면패널을 관통하여 인서트 또는 접착 고정되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관부(32)의 상단부는 상기 방류하우징(30)의 내부 차집공간의 상측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차집공간에 충진되는 빗물이 상기 배출관부(32)를 통해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관부(32)에는 하부에 상기 통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수공을 개폐하도록 내부에 상기 단속밸브를 더 마련하여, 상기 차집공간(31)의 하부에 일정기간 고인 빗물을 상기 통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부(40)는 상기 차집하우징(20)의 저면패널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방류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차집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집하우징(20)의 빗물을 상기 방류하우징(30)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연결관부(40)는 상기 저면패널에 인서트되게 고정시키거나 접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관부(40)의 상단부는 상기 차집하우징(2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차집하우징(20)의 차집공간에 충진되는 빗물이 바이패스 되기전에 상기 연결관부(40)를 통해 상기 방류하우징(30)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연결관부(40)에는 하부에 통수공(41)이 형성되고, 상기 통수공(41)을 개폐하는 단속밸브(42)가 더 마련되어, 상기 빗물수용캡(50)이 일정기간 고인 빗물을 상기 통수공(41)을 통해 상기 방류하우징(30)으로 이동시켜, 상기 유출공(31)을 통해 지중으로 전달된 빗물을 유출시키게 된다.
상기 방류하우징(30)의 유출공(31)들은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방류하우징(30)의 차집공간에 충진된 빗물을 상기 유출공(31)들을 통해 지중으로 유출시키게 된다. 상기 유출공(31)들은 도면상 수평으로 배치되게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와 같이 경사지게 유출공(31)을 형성하여 수위에 따라 빗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방류하우징(30)의 내부에는 유입되는 상기 방류하우징(30)에서 전달되는 빗물을 정화시켜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여재유닛(33)들이 더 배치된다.
즉, 상기 방류정화하우징의 내부에는 여재유닛(33)들이 더 배치되어, 상기 방류정화하우징의 내부에 충진되는 빗물을 정화한 후 상기 배출공들을 통해 지중으로 유출시키게 된다.
상기 여재유닛(33)으로는 천연광물인 제올라이트· 맥반석· 쇄석이나, 자연소재인 패각· 산호나, 인공소재인 황토· 점토· 세라및· 숯· 인공현무암 등을 사용하여, 상기 방류정화하우징에 유입되는 빗물을 정화시킨 후 지중으로 유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여재유닛(33) 이외에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재료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빗물처리시설
20 : 차집하우징
30 : 방류하우징
31 : 유출공
32 : 배출관부
33 : 여재유닛
40 : 연결관부
41 : 통수공
42 : 단속밸브
50 : 빗물수용캡
51 : 하부거름망
52 : 상부거름망
53 : 앵글안내관로
54 : 빗물유입안내관로
55 : 빗물배출안내관로
20 : 차집하우징
30 : 방류하우징
31 : 유출공
32 : 배출관부
33 : 여재유닛
40 : 연결관부
41 : 통수공
42 : 단속밸브
50 : 빗물수용캡
51 : 하부거름망
52 : 상부거름망
53 : 앵글안내관로
54 : 빗물유입안내관로
55 : 빗물배출안내관로
Claims (5)
- 빗물유입구에 설치되어 빗물을 차집시키는 빗물처리시설로서,
상기 빗물유입구에 끼움되어 고정되고 상면에 수용홈부가 형성된 차집하우징;
상기 차집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차집공간이 형성되며, 외면에 유출공들이 형성된 방류하우징; 및
상기 차집하우징의 저면패널을 관통하여 하단부가 상기 방류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차집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차집하우징의 빗물을 상기 방류하우징으로 전달하는 연결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집하우징에는 빗물이 수용되도록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빗물수용캡이 더 체결되고,
상기 빗물수용캡의 내부에는 하부거름망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거름망의 상측에 배치되게 상부거름망이 설치된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부에는 상기 차집하우징의 빗물을 상기 방류하우징으로 전달하도록 통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부의 내부에는 상기 통수공을 개폐하도록 단속밸브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수용캡에는 상기 차집하우징의 이물질 및 빗물을 이동시키도록 앵글안내관로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수용캡에는 일면에 빗물유입안내관로의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면에는 빗물배출안내관로의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류하우징의 내부에는 유입되는 상기 방류하우징에서 전달되는 빗물을 정화시켜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여재유닛들이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0478A KR102290677B1 (ko) | 2020-04-27 | 2020-04-27 |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50478A KR102290677B1 (ko) | 2020-04-27 | 2020-04-27 |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0677B1 true KR102290677B1 (ko) | 2021-08-17 |
Family
ID=7746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0478A KR102290677B1 (ko) | 2020-04-27 | 2020-04-27 |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067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19550A (zh) * | 2021-11-29 | 2022-04-12 | 福建省鼎贤市政园林工程有限公司 | 一种用于风景园林中的雨水回收利用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7203B1 (ko) * | 2004-02-05 | 2006-07-07 |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
KR100731773B1 (ko) | 2006-09-15 | 2007-06-22 |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
KR20180017990A (ko) * | 2016-08-12 | 2018-02-21 |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
-
2020
- 2020-04-27 KR KR1020200050478A patent/KR1022906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7203B1 (ko) * | 2004-02-05 | 2006-07-07 | 주식회사이피에스솔루션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우수받이 시스템 |
KR100731773B1 (ko) | 2006-09-15 | 2007-06-22 |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
KR20180017990A (ko) * | 2016-08-12 | 2018-02-21 |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 빗물 침투저류형 길어깨 lid 포장구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319550A (zh) * | 2021-11-29 | 2022-04-12 | 福建省鼎贤市政园林工程有限公司 | 一种用于风景园林中的雨水回收利用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84923B1 (ko) | 하수용 우수토실 | |
DK2085527T3 (en) | Rainwater management plant | |
US20090279954A1 (en) | Debris and sediment reduction apparatus for water drainage systems | |
CN215223342U (zh) | 一种雨水过滤花园 | |
US11408162B2 (en) |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 |
KR102290677B1 (ko) | 관로형 초기우수 배제가 가능한 빗물처리시설 | |
US20220356691A1 (en) |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 |
CN110029721A (zh) | 一种具有排污及初雨调蓄功能的管涵结合截污结构 | |
KR102292290B1 (ko) |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 |
KR102527838B1 (ko) | 저영향개발 침투시설 | |
CN214993540U (zh) | 拦沙式水土保持生态护岸 | |
KR100986644B1 (ko) | 빗물 처리시스템 | |
CN106592748A (zh) | 水下初雨调蓄利用系统 | |
KR101017980B1 (ko) | 비점오염원 저감 장치용 침투정 | |
KR100625746B1 (ko) | 부유물 자동인입 수류토실 | |
CN208379731U (zh) | 一种用于雨水调蓄和处理的调蓄塘 | |
CN106480974B (zh) | 前置网孔箱式分离器的调蓄池 | |
EP3976895A1 (en) |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 |
KR100313036B1 (ko) | 조립식 사이펀 장치 | |
CN211080307U (zh) | 一种防积水的地井结构 | |
CN216726182U (zh) | 一种园林绿化用排水结构 | |
KR20160050465A (ko) | 도로 측대의 초기우수 처리장치 | |
CN208777280U (zh) | 一种绿化带排水结构 | |
CN219653429U (zh) | 海绵城市雨水收集再利用系统 | |
CN218871523U (zh) | 入渗截污型雨水沉沙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