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750B1 - 보충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 - Google Patents
보충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9750B1 KR102299750B1 KR1020167023921A KR20167023921A KR102299750B1 KR 102299750 B1 KR102299750 B1 KR 102299750B1 KR 1020167023921 A KR1020167023921 A KR 1020167023921A KR 20167023921 A KR20167023921 A KR 20167023921A KR 102299750 B1 KR102299750 B1 KR 1022997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ewing zone
- spectacle lens
- lens
- optical
- fa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7
- 230000000153 supple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9
- 201000009310 astigmati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1508 eye Anatomy 0.000 description 38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1000010041 presbyop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747 pupi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25 retina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46 bilat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52 bulbus oculi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87 fa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257 vis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3 visual impair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8—Special properties achiev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and back surfa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6—Auxiliary lenses located directly on a main spectacle lens or in the immediate vicinity of main spectacl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7—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considering wearer's paramet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4—Methods of designing ophthalmic lenses
- G02C7/028—Special mathematical design techniqu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착용자의 눈 시야를 교정할 수 있고 후단면(BS) 및 전단면(FS)을 갖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가 개시되고, 상기 렌즈는 도광 광학 요소의 출구면(ES)을 통해 착용자에게 보충 이미지(SI)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도광 광학 요소를 포함하며, 출구면(ES), 후단면(BS) 및 상기 출구면(ES)과 상기 후단면(BS)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 재료는 광학 디바이스(OD)를 형성하고 상기 광학 디바이스(OD)는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착용자의 눈 시야를 교정할 수 있고 보충 이미지를 착용자에게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도광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에 관한 것이다.
눈 시야 및 보충 시야를 제공하는 안과용 안경 렌즈가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상기 안과용 안경 렌즈는 전단면 및 후단면을 갖고 도광 광학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 광학 요소는 정보 콘텐츠가 정보의 최소 손실로 보여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광원(예를 들어, 광빔 생성기 시스템)으로부터 착용자의 눈으로 광을 이송하도록 설계되는 디바이스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빔들은 안경 렌즈로 도입되는 것과 안경 렌즈로부터 퇴거하는 것 사이의 2개의 "반사"면 사이에서 복수 회 반사되며, 상기 2개의 반사면은 도광 광학 요소의 면들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과제는 관찰자가 이미지 둘 다를 뚜렷하게 볼 수 있도록 적절한 눈 시야 및 적절한 보충 시야 둘 다를 제공하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눈 시야를 교정할 수 있고 후단면 및 전단면을 갖는 다중 초점 안과용 렌즈이며, 후단면은 다중 초점 안과용 렌즈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눈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되며, 다중 초점 안과용 렌즈는 도광 광학 요소의 출구면을 통해 착용자에게 보충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도광 광학 요소를 포함하며, 출구면, 후단면 및 상기 출구면과 상기 후단면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 재료는 광학 디바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광학 디바이스는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을 포함하고, 출구면은 AC(α,β)(α는 눈 경사각이고 β는 눈 방위각임)로 표시되는 개구각 윤곽에 의해 한정되며, 개구각 윤곽(AC)(α,β)는 광학 디바이스(OD)가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이하의 식(E1)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에 위치되며:
(E1): -0.5 디옵터 ≤ P(α,β)- P평균 ≤ 0.5 디옵터;
여기서, P(α,β)는 광학 디바이스의 광선 굴절 배율이고 P평균은 윤곽(AC)(α,β) 내에서 광학 디바이스의 평균 광선 굴절 배율이며, P(α,β) 및 P평균은 디옵터로 표현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이란 표현은 착용자가 광학 배율의 원근 조절을 변화시키지 않고 모든 응시 방향으로 뚜렷하게 볼 수 있는 영역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은 이하의 식의 필요 조건들이 충족되는 영역이며:
-0.5 디옵터 ≤ P(α,β)- P평균 ≤ 0.5 디옵터;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초점 안과용 렌즈의 도움으로, 착용자는 광경을 편안하게 보고/보거나 보충 이미지를 바라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눈 시야”란 표현은 광경이 그의 앞에서 그에게 나타나는 이러한 광경의 가시적 감지를 의미한다. 광경의 이미지는 상기 광경을 볼 때, 착용자의 환경에서 직접 비롯된다. 따라서, 광경에 포함되는 전반적인 정보는 광경의 이미지가 착용자의 처방에 따른 교정된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변형되더라도, 감지된다.
눈 시야와 달리, 보충 시야는 대상의 환경에서 직접 비롯되지 않은 정보를 대상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것은 대상에게 제공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항공기 파일럿의 헤드셋의 차양 상에 덮어 씌워져 투영되는 내비게이션 데이터는 정보를 제공하는 시야 타입의 보충 시야를 구성한다. 다른 타입의 보충 시야가 대상의 환경의 일정 부분의 변경된 이미지들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보충 시야의 다른 예들은 가시 광선으로 변환되는 적외선 이미지, 또는 확대되는 대상의 환경의 일부의 이미지의 제공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안경 렌즈는 눈 시야를 유지하면서, 착용자의 시야의 시계에서, 또는 이러한 시계의 일부에서 그러한 보충 이미지들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즉, 2개의 시야, 즉, 눈 및 보충 시야가 착용자에게 이용 가능하다. 그것들은 동시에 또는 교대로 이용 가능할 수 있다. 정보를 제공하는 보충 시야의 경우에, 보충 이미지는 정보 데이터의 시각 제공에 상응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특히 더 큰 광 강도 또는 뚜렷한 색상을 갖고 안과용 이미지 상에 덮어 씌워져 나타날 수 있다. 안과용 이미지는 가시적이거나 정보를 제공하는 보충 시야의 데이터가 착용자에게 제공되지 않으면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광학 디바이스”란 표현은 안과용 안경 렌즈의 하위 부분이다. 광학 디바이스는 2개의 표면 및 상기 표면들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 재료에 의해 즉, 광학 재료의 굴절률에 의해 한정된다.
“다중 초점 렌즈”는 상이한 초점 배율들의 2개 이상의 부분을 제공하도록 설계되며; 초점 배율 변화는 렌즈의 일부를 통해 또는 전체를 통해 불연속적일 수 있거나 연속적일 수 있다.
다중 초점 렌즈들 중에서, 이중 초점 렌즈, 3초점 렌즈 및 누진 가법 렌즈를 찾을 수 있다.
이중 초점 렌즈는 통상적으로 원거리 및 근거리 보기를 위한 2개의 부분을 갖는 다중 초점 렌즈이며; 초점 배율 변화는 그 때 불연속적이다.
3초점 렌즈는 통상적으로 원거리, 중간 거리 및 근거리 보기를 위한 3개의 부분을 갖는 다중 초점 렌즈이며; 초점 배율 변화들은 그 때 불연속적이다.
누진 배율 렌즈 또는 누진 가법 렌즈는 정의 광선 굴절 추가 배율을 갖는 렌즈이다.
"누진 가법 표면"은, 적어도 2개의 거리 보기 구역을 갖는 연속적인 비구면 표면 및 상기 2개의 거리 보기 구역을 연결시키는 구역을 의미하며, 연결 구역의 광선 굴절 배율은 가장 먼 거리 보기 구역(먼 거리 보기 구역)과 가장 가까운 거리 보기 구역(더 근접한 거리 보기 구역) 사이에서 증가한다.
"역누진 표면"은, 적어도 2개의 거리 보기 구역을 갖는 연속적인 비구면 표면 및 상기 2개의 거리 보기 구역을 연결시키는 구역을 의미하며, 연결 구역의 광선 굴절 배율은 가장 먼 거리 보기 구역과 가장 가까운 거리 보기 구역 사이에서 감소한다.
"거리 보기 구역”은, 관찰자가 주어진 거리에 대해 편안한 시야를 갖는 다중 초점 렌즈의 구역을 의미하며; 거리 보기 구역들은 원거리 보기 구역(멀리 보는 거리 즉, 4 미터 초과의 보는 거리), 중간 거리 보기 구역(컴퓨터 보기 거리와 같은 중간 거리 즉, 대략 60 ㎝ 내지 4 미터의 보는 거리), 근거리 보기 구역(판독 거리 즉, 60 ㎝ 미만의 보는 거리)으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통상적으로 선택된다.
"광선 굴절 추가 배율"은, 2개의 거리 보기 구역 사이의 광선 굴절 배율 차이의 양을 의미하며, 상기 차이는 가장 가까운 거리 보기 구역의 광선 굴절 배율과 가장 먼 거리 보기 구역의 광선 굴절 배율 사이에서 계산된다.
모든 기술적으로 매우 유용한 실시예에 따라 결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AC(α,β) 내의 α 변화 범위 및 AC(α,β) 내의 β 변화 범위는 각각 5°(도) 이상이며; 선행하는 특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AC(α,β) 내의 α 변화 범위 및/또는 AC(α,β) 내의 β 변화 범위는 15° 이상이며;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AC(α,β) 내의 α 변화 범위 및/또는 AC(α,β) 내의 β 변화 범위는 30° 이상이며;
·광학 디바이스는 안정화된 비점 수차의 영역에 위치되며; 본 발명의 맥락에서, “안정화된 비점 수차의 영역”이란 표현은 광학 디바이스의 비점 수차의 기준이 비교적 균일한 영역을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화된 비점 수차의 영역은 이하의 식의 필요 조건들이 충족되는 구역을 지칭하며:
-0.5 디옵터 ≤ Asti(α,β)- Asti평균 ≤ 0.5 디옵터;
Asti(α,β)는 α,β 응시 방향으로의 비점 수차의 기준이고 Asti평균은 상기 영역을 통한 비점 수차 기준의 평균이며, Asti(α,β) 및 Asti평균은 디옵터로 표현되며;
·출구면은 AC(α,β)(α는 눈 경사각이고 β는 눈 방위각임)로 표시되는 개구각 윤곽에 의해 한정되며, 개구각 윤곽(AC)(α,β)는 광학 디바이스가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이하의 식(E2)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안정화된 비점 수차의 영역에 위치되며:
(E2): 0 디옵터 ≤ UnAsti(α,β) ≤ 0.5 디옵터;
여기서, UnAsti(α,β)는 광학 디바이스의 원하지 않는 비점 수차의 기준이고 UnAsti는 디옵터로 표현되며;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은 후단면(BS)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해 생성되는 광학 배율에 기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하지 않는 비점 수차, UnAsti(α,β)는 착용자의 눈 시야를 교정하는데 적절한 비점 수차 즉, 착용자의 처방의 비점 수차와, 광학 디바이스의 실제 비점 수차 사이의 비점 수차 벡터 차이이다. '원하지 않는 비점 수차'란 용어는 편각값 및 각도의 값에 의해 형성되는 데이터 쌍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이것이 언어의 남용이지만, 그것은 또한 원하지 않는 비점 수차의 편각만을 나타내는데 때때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는 원거리 보기 구역,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렌즈;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렌즈; 원거리 보기 구역 및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렌즈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되는 누진 가법 렌즈이다.
누진 가법 안과용 렌즈들이 현재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한 렌즈들은 노안을 보정하고 안경 착용자의 안경을 제거할 필요 없이 광범위한 거리들을 통해 안경 착용자가 물체들을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누진 가법 렌즈들은 전형적으로 렌즈의 상단에 위치되는 먼 거리 보기 영역, 렌즈의 하단에 위치되는 더 근접한 거리 보기 영역을 갖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착용자의 요구에 따라, 누진 가법 안과용 렌즈는 이하의 것들과 같은 상이한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먼 거리 보기는 원거리 보기이고 더 근접한 거리 보기는 근거리 보기이며;
·먼 거리 보기는 중간 거리 보기이고 더 근접한 거리 보기는 근거리 보기이며;
·먼 거리 보기는 원거리 보기이고 더 근접한 거리 보기는 중간 거리 보기이다.
주어진 노안 착용자에 대한 처방은 먼 거리 보기에 대한 처방된 배율값 및 먼 거리 보기와 더 근접한 거리 보기 사이에서 필요로 하는 배율 증가를 나타내는 처방된 배율 가법을 포함한다. 배율 가법은 “처방된 가법”으로 칭해진다.
통상적으로, 착용자가 처방된 가법이 0.5 디옵터 초과, 바람직하게는 0.75 디옵터 이상일 때, 노안이라고 고려한다.
따라서, 당업자는 안과용 렌즈가 렌즈 상에서 관측되는 배율 변화가 적어도 0.5 디옵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0.75 디옵터 이상이어야만, 누진 가법 렌즈라는 점을 고려할 것이다.
이전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하의 부가적이지만 대안적인 특징들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는 원거리 보기 구역,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누진 가법 렌즈 또는 원거리 보기 구역 및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렌즈이며, 후단면은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이고 개구각 윤곽(AC)(α,β)는 원거리 보기 구역에 위치되며;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는 원거리 보기 구역,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누진 가법 렌즈 또는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렌즈이며, 후단면은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이고 개구각 윤곽(AC)(α,β)는 근거리 보기 구역에 위치되며;
·후단면은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이고, 개구각 윤곽(AC)(α,β)는 α가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을 만족시키는 구역에서 렌즈의 관자 놀이 구역 또는 코 구역에 위치되며;
·전단면은 누진 표면이고 후단면은 표면을 통한 평균 구형값 차이들의 절댓값들이 0.5 디옵터 이하인 표면이며;
·후단면은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이고, 개구각 윤곽(AC)(α,β)는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의 부분을 통한 평균 구형값 차이들의 절댓값이 0.5 디옵터 이하인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의 부분에 위치되며;
·후단면은 개구각 윤곽(AC)(α,β) 주변에 위치되는 표면 불연속점을 포함하는 누진 표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초점 안과용 렌즈는 이중 초점 렌즈 및 3초점 렌즈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된다.
이전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 초점 렌즈는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렌즈; 원거리 보기 구역 및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렌즈; 원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렌즈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되는 렌즈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3초점 렌즈는 원거리 보기 구역,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렌즈이다.
본 발명은 또한 착용자의 눈 시야를 교정할 수 있고 후단면 및 전단면을 갖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를 컴퓨터 수단의 도움으로 계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후단면은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눈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되며,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는 광 전도 요소의 출구면을 통해 착용자에게 보충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도광 광학 요소를 포함하며, 출구면, 후단면 및 상기 출구면과 상기 후단면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 재료는 광학 디바이스가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에 위치되도록 광학 디바이스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단면의 기하학적 구조 및 전단면의 기하학적 구조는 착용자의 처방에 따른 가상 광학 기능을 갖는 타겟 렌즈를 포함하는 최적화 방법의 도움으로 계산된다.
앞서 열거되고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초점 안과용 렌즈들에 관한 모든 실시예들은 상기 계산 방법의 도움으로 계산될 수 있다.
계산 단계는 광선 추적 방법 또는 최적화 알고리즘들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예를 들어, 간행물 “컴퓨터-보조 안과용 렌즈 설계의 최적화의 응용” (P. Allione, F. Ahsbahs 및 G. Le Saux, in SPIE Vol. 3737, 광학 시스템들의 설계 및 공학 상의 EUROPTO 회의, Berlin, May 1999)(본 문서에 참조로 포함됨)에 당업자에 의해 알려져 있다.
주어진 전단면을 갖는 렌즈의 광학 시스템을 계산하는 것이 또한 당업자로부터 알려져 있고 정확한 방법의 일 예가 특허 문서 WO 2007/017766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착용자의 처방”이란 표현은 예를 들어, 개인의 눈 앞에 위치되는 렌즈에 의해 개인의 시각 장애를 교정하기 위해 안과 의사 또는 눈 관리 의사(ECR)에 의해 결정되는 광학 배율, 비점 수차 및 적절한 경우, 가법의 광학 특성들의 세트를 의미한다. '비점 수차'란 용어는 편각값 및 각도의 값에 의해 형성되는 데이터 쌍을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이것이 언어의 남용이지만, 그것은 또한 비점 수차의 편각만을 나타내는데 때때로 사용된다. 문맥은 어떤 용어의 사용 의도를 당업자가 이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누진 안경 렌즈에 대한 처방 데이터는 광학 배율 및 거리-시야 지점에서 비점 수차의 값들 및 광선 굴절 추가 배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됨.
예들은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착용자의 눈 시야를 교정할 수 있고 보충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도광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안과용 안경 렌즈 및 착용자의 눈의 개략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의 실시예들의 개략도들이다.
도면들의 요소들은 단순함 및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고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그려지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의 요소들 중 일부의 치수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해를 개선하는 것을 돕도록 다른 요소들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착용자의 눈 시야를 교정할 수 있고 보충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도광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안과용 안경 렌즈 및 착용자의 눈의 개략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의 실시예들의 개략도들이다.
도면들의 요소들은 단순함 및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고 반드시 일정한 비율로 그려지지는 않았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의 요소들 중 일부의 치수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해를 개선하는 것을 돕도록 다른 요소들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보충 이미지(SI)를 착용자의 눈(100)으로 출력함으로써 눈 시야(OV) 및 보충 시야 둘 다를 제공하는 안경 렌즈(10)의 원리를 도시하는 개략도들이다. 안경 렌즈는 착용자의 눈 시야를 교정할 수 있으며; 안경 렌즈는 후단면(BS) 및 전단면(FS)을 가지며, 안경 렌즈가 착용될 때, 후단면이 착용자의 눈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안경 렌즈는 또한 보충 이미지(SI)를 상기 도광 광학 요소의 출구면(ES)을 통해 착용자에게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도광 광학 요소(2)를 포함한다.
렌즈(10)는 안과 분야에 사용되는 임의의 유기 또는 무기 재료일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투명한 굴절성 재료로 구성된다. 도광 광학 요소(2)는 후단면(BS)과 전단면(FS) 사이에 삽입된다. 도광 광학 요소(2)는 “근위면”(PS) 및 “원위면”(DS)이라는 명칭의 2개의 대향면을 가지며, 근위면은 안경 렌즈가 착용될 때, 원위면보다 착용자의 눈에 더 근접한다. 따라서, 근위면(PS)은 후단면(BS)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도광 광학 요소의 표면이고 원위면(DS)은 전단면(FS)으로부터 가장 근접한 도광 광학 요소의 표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위면(PS) 및 원위면(DS)은 평행면들이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근위면(PS) 및 원위면(DS)은 비평행면들이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위면(PS) 및/또는 원위면(DS)은 평평한 면(들)이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근위면(PS) 및/또는 원위면(DS)은 곡면(들)이며; 그러한 곡면은 예를 들어, 구형면, 원환체면, 구형 원환체면이며; 그러한 곡면은 비구면화된 구형 또는 원환체 또는 구형 원환체면일 수도 있다.
제1 투명한 굴절성 재료는 도광 광학 요소(2) 주변에 위치되며; 도광 광학 요소(2)는 제2 투명한 굴절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상기 2개의 재료의 굴절률들은 동일하거나, 약간 상이하거나, 상당히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10)는 볼록한 전단면(FS) 및 오목한 후단면(BS)을 갖는다. 표면들(FS 및 BS)은 상기 2개의 표면 사이의 재료(들)의 광 굴절률(들)의 값(들)로, 눈 시야(OV)에 대한 안경 렌즈의 광학 배율을 함께 결정하는 각각의 곡률을 갖는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이러한 광학 배율은 다중 초점 시야를 제공하도록 안계의 방향들 사이에서 달라진다.
도광 광학 요소(2)는 보충 이미지(SI)를 생성하기 위해 상세히 나타내지 않은 소스(3)로부터 보충 광을 가져오는데 적절하다. 도광 광학 요소(2)의 구조는 본 설명의 논제가 아니고, 이러한 논제에 유용한 다른 문서를 참조할 수 있다. 적절한 광 광학 요소의 일 예가 LUMUS사의 이름으로 특허 문서 WO2005024491 또는 특허 문서 WO200195027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보충 이미지가 렌즈의 후단면(BS)의 광학 특성에 의해 왜곡되거나 변경될 수 있는 보충 이미지를 제공하는 렌즈로 구현되는 임의의 광 광학 요소에 적용될 수 있다.
렌즈(10)는 도광 광학 요소(2)와 전단면(FS) 사이에 있는 전단부(13), 그리고 도광 광학 요소(2)와 후단면(BS) 사이에 있는 후방부(12)를 갖는다.
도광 광학 요소(2)는 면들(FS 및 BS)에 대략 평행한 일정 방향들로 렌즈(10)의 영역 내에서 횡방향으로 제한된다. 그러한 구성에서, 렌즈(10)의 전단부(13) 및 후방부(12)는 도광 광학 요소(2)의 주변 에지(2e) 너머 연장된다. 렌즈(10)는 그 다음 도광 광학 요소(2)의 에지(2e) 너머 연장되고 부분들(13 및 12)을 렌즈(10)의 주변 에지(E)에 계속해서 연결하는 중간부(11)를 갖는다.
도광 광학 요소(2)는 가상 에지(2e’)에 의해 분리되는 2개의 구역(2a 및 2b)으로 가상으로 분할된다. 구역(2a)은 보충 이미지가 착용자의 눈에 따라 비롯되는 이미징 부분이며; 구역(2b)은 보충 이미지가 이미지를 착용자에게 공급하지 않고 소스(3)로부터 전파되는 전파 부분이다.
구역(2a)의 에지는 도광 광학 요소에 의해 출력되는 보충 이미지의 윤곽이며; 상기 보충 이미지는 출구면(ES)에 따라 근위면(PS)을 가로막는다. 원위면 상의 출구면(ES)에 상응하는 표면을 “대향면”(OS)으로 부른다. 본 예에 따르면, 이미징 부분은 실질적으로 폭이 W이고 높이가 H인 직사각형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학 참조용의 것에 따르면, 출구면(ES)은 AC(α,β)로 표시되는 개구각 윤곽에 의해 한정되며, α는 눈 경사각이고 β는 눈 방위각이다. α, β 폴은 렌즈 뒤의 착용자의 눈(100)의 회전 중심, CRE이다. 101은 α = β = 0인 축에 상응한다.
일 예에 따르면, 구경(AC)은 출구면(ES)의 중심을 통과하는 보충 시야의 광축의 양측이 +/-15°(도)일 수 있다. 상기 구경은 |β1| + |β2|에 의한 방위각 평면으로 정의된다. 이는 |α1| + |α2|에 의한 수직 평면으로 정의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AC(α,β) 내의 β 변화 범위는 대략 30°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AC(α,β) 내의 α 변화 범위는 대략 15°이다.
개구각 윤곽의 한계의 모체선들은 2개의 시야, 즉, 눈 및 보충 시야가 겹쳐지는 영역에서 렌즈의 후단면(BS)과 교차한다. 도 1a 및 도 1b의 구성에서, 눈 시야 및 보충 시야의 각각의 광축은 하나이고 동일하지만, 별개일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착용자에 의해 사용 위치에서의 안경 렌즈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착용자의 눈(100)은 한편으로는, 렌즈의 앞에 위치되는 환경에서 비롯되는 광(OV),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도광 광학 요소(2)에 의해 가져오게 되는 보충 이미지에 상응하는 광(SI)을 받도록 후단면의 측 상에서 렌즈(10) 뒤에 위치된다. 2개의 광(OV 및 SI)의 광빔들은 각각 눈 시야 및 보충 시야에 상응한다. 그것들은 각각 동공(120)을 통과한 후에, 착용자의 망막(110) 상에 안과용 이미지 및 보충 이미지를 형성한다. 참조 번호 130은 착용자의 동공(120)을 둘러싸는 착용자의 홍채를 나타낸다. 착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은 눈(100)의 광축에 상응한다. 그것은 눈(100)이 착용자의 안와에서 돌 때 달라지는 각각의 지점에서 안경 렌즈의 표면들(FS 및 BS)과 교차한다.
광(OV)이 렌즈의 2개의 표면(FS 및 BS)을 통과하는 것을 고려해 볼 때, 2개의 표면(FS 및 BS)은 둘 다 눈 시야에 관련된 렌즈의 광학 특성들에 기여한다. 그러나, 광(SI)은 표면(FS)을 통과하지 않아, 이러한 표면은 보충 시야에 관련된 렌즈의 광학 특성들에 기여하지 않는다. 광들(OV 및 SI) 사이의 이러한 차이 때문에, 그것들은 광들(OV 및 SI)이 렌즈의 후단면(BS)을 통과한 후에 동일한 집중성 특성들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망막 상에 형성되는 눈 및 부가 이미지들은 동시에 뚜렷하지 않을 수 있다.
“눈 및 보충 시야들 중 하나 또는 다른 것에 관련된 렌즈의 광학 특성들”이란 표현은 착용자가 바라보는 각각의 방향에 대한 렌즈의 광학 배율값, 비점 수차값들, 광학 왜곡값들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히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예들(예 1 내지 예 9)은 착용자의 눈 시야를 교정할 수 있고 도 1a 및 도 1b에 따른 보충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도광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안과용 안경 렌즈가 본 발명의 필요 조건들을 충족시키도록 설계되는 실시예들을 예시하도록 주어진다.
상기 실시예들에 따르면, 근위면(PS) 및 원위면(DS)은 평행면들이다.
상기 실시예들에 따르면, 근위면(PS) 및 원위면(DS)은 평평한 면들이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근위면(PS) 및 원위면(DS)은 곡선면들이다.
예 1:
후단면(BS)이
누진 표면이고
개구각
윤곽(AC)(α,β)가
원거리 보기 구역에 위치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
예 1은 도 2에 의해 도시된다.
도 2는 β = 0에 따른 상기 렌즈의 절단 부분이다.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는 원거리 보기 구역(21),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이러한 경우에: 22)을 포함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 또는 원거리 보기 구역(21) 및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이러한 경우에: 22)을 포함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이다.
전단면(FS)은 구형면, 원환체면, 구형 원환체면으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된다. 전단면(FS)은 비구면화된 구형 또는 원환체 또는 구형 원환체면일 수도 있다.
후단면(BS)은 누진 표면이다.
개구각 윤곽(AC)(α,β)는 원거리 보기 구역(21)에 위치된다.
발명자들은 그러한 구역이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 및 안정화된 비점 수차의 영역 둘 다라고 판단하였다.
상기 구역에서, 출구면(ES), 후단면(BS) 및 상기 출구면(ES)과 상기 후단면(BS)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광학 디바이스(OD)는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식(E1)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며:
(E1): -0.5 디옵터 ≤ P(α,β)- P평균 ≤ 0.5 디옵터;
광학 디바이스(OD)는 또한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이하의 식(E2)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킨다:
(E2): 0 디옵터 ≤ UnAsti(α,β) ≤ 0.5 디옵터.
예 2:
후단면(BS)이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이고
개구각
윤곽(AC)(α,β)가
원거리 보기 구역에 위치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
예 2는 도 3에 의해 도시된다.
도 3은 β = 0에 따른 상기 렌즈의 절단 부분이다.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는 원거리 보기 구역(21),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 또는 원거리 보기 구역(21) 및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이다.
전단면(FS)은 역누진 표면 및 누진 표면으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된다.
후단면(BS)은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이다.
개구각 윤곽(AC)(α,β)는 원거리 보기 구역(21)에 위치된다.
발명자들은 그러한 구역이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 및 안정화된 비점 수차의 영역 둘 다라고 판단하였다.
상기 구역에서, 출구면(ES), 후단면(BS) 및 상기 출구면(ES)과 상기 후단면(BS)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광학 디바이스(OD)는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식(E1)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며:
(E1): -0.5 디옵터 ≤ P(α,β)- P평균 ≤ 0.5 디옵터;
광학 디바이스(OD)는 또한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이하의 식(E2)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킨다:
(E2): 0 디옵터 ≤ UnAsti(α,β) ≤ 0.5 디옵터.
예 3:
후단면(BS)이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이고
개구각
윤곽(AC)(α,β)가
근거리 보기 구역에 위치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
예 3은 나타내어지지 않는다.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는 원거리 보기 구역,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 또는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이다.
후단면(BS)은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이다.
전단면(FS)은 구형면, 원환체면, 구형 원환체면으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전단면(FS)은 비구면화된 구형 또는 원환체 또는 구형 원환체면일 수도 있다.
전단면(FS)은 역누진 표면 및 누진 표면으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개구각 윤곽(AC)(α,β)는 근거리 보기 구역에 위치된다.
발명자들은 그러한 구역이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 및 안정화된 비점 수차의 영역 둘 다라고 판단하였다.
상기 구역에서, 출구면(ES), 후단면(BS) 및 상기 출구면(ES)과 상기 후단면(BS)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광학 디바이스(OD)는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식(E1)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며:
(E1): -0.5 디옵터 ≤ P(α,β)- P평균 ≤ 0.5 디옵터;
광학 디바이스(OD)는 또한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이하의 식(E2)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킨다:
(E2): 0 디옵터 ≤ UnAsti(α,β) ≤ 0.5 디옵터.
예 4:
후단면(BS)이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이고
개구각
윤곽(AC)(α,β)가
α가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을 만족시키는 구역에 위치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
예 4는 도 4a 및 도 4b에 의해 도시된다.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는 원거리 보기 구역,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 원거리 보기 구역 및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이다.
후단면(BS)은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이다.
도 4a는 상기 후단면(BS)의 등구형 곡선들(42)을 나타내는 후단면(BS)의 개략도이다. 2개의 이웃하는 등구형 곡선 사이의 구형값 차이는 0.5 디옵터이다.
도 4b는 상기 후단면(BS)의 등비점 수차 곡선들(43)을 나타내는 후단면(BS)의 개략도이다. 2개의 이웃하는 등비점 수차 곡선 사이의 비점 수차 차이는 0.5 디옵터이다.
전단면(FS)은 구형면, 원환체면, 구형 원환체면으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전단면(FS)은 비구면화된 구형 또는 원환체 또는 구형 원환체면일 수도 있다.
전단면(FS)은 역누진 표면 및 누진 표면으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개구각 윤곽(AC)(α,β)는 α가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을 만족시키는 구역에서 안경 렌즈의 관자 놀이 구역 또는 코 구역에 위치된다.
발명자들은 그러한 구역(41)이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 및 안정화된 비점 수차의 영역 둘 다일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상기 구역에서, 출구면(ES), 후단면(BS) 및 상기 출구면(ES)과 상기 후단면(BS)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광학 디바이스(OD)는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식(E1)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며:
(E1): -0.5 디옵터 ≤ P(α,β)- P평균 ≤ 0.5 디옵터;
광학 디바이스(OD)는 또한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이하의 식(E2)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킨다:
(E2): 0 디옵터 ≤ UnAsti(α,β) ≤ 0.5 디옵터.
예 5:
후단면(BS)이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인
개구각
윤곽(
AC
)(α,β) 주변에 위치되는 표면
불연속점을
포함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
예 5는 도 5에 의해 도시된다.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는 원거리 보기 구역,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 원거리 보기 구역 및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이다.
도 5는 상기 후단면(BS)의 등비점 수차 곡선들(53)을 나타내는 후단면(BS)의 개략도이다. 2개의 이웃하는 등비점 수차 곡선 사이의 비점 수차 차이는 0.5 디옵터이다.
구역(52)은 개구각 윤곽(AC)(α,β)(51) 주변에 위치되는 표면 불연속점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구역(52) 내의 표면은 표면이 구역(52) 외의 누진 또는 역누진 표면인 구형 원환체면이다.
상기 구역(51)은 출구면(ES), 후단면(BS) 및 상기 출구면(ES)과 상기 후단면(BS)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광학 디바이스(OD)가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식(E1)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설계된다:
(E1): -0.5 디옵터 ≤ P(α,β)- P평균 ≤ 0.5 디옵터.
광학 디바이스(OD)는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이하의 식(E2)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킬 수도 있다:
(E2): 0 디옵터 ≤ UnAsti(α,β) ≤ 0.5 디옵터.
그러한 구역(51)의 표면 불연속점은 누진 가법 안경 렌즈의 후단면(BS)을 설계할 때, 얻어질 수 있으며; 이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의 후단면(BS)을 기계 가공함으로써 얻어질 수도 있다.
예 6: 전단면(FS)이 누진 표면이고 후단면(BS)이 표면을 통한 평균 구형값 차이들의 절댓값들이 0.5 디옵터 이하인 표면인 누진 가법 안경 렌즈.
예 6는 도 6에 의해 도시된다.
도 6은 β = 0에 따른 상기 렌즈의 절단 부분이다.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는 원거리 보기 구역,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 원거리 보기 구역 및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이다.
후단면(BS)은 구형면, 원환체면, 구형 원환체면으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체 후단면을 통한 평균 구형값 차이들의 절댓값들은 0.5 디옵터 이하이다.
후단면(BS)은 상기 표면을 통한 평균 구형값 차이들의 절댓값들이 상기 후단면 모두에 걸쳐 0.5 디옵터 이하인 비구면화된 구형 또는 원환체 또는 구형 원환체 표면일 수도 있다.
후단면(BS)은 광선 굴절 추가 배율이 0.5 디옵터 이하인 누진 표면 및 역누진 표면으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발명자들은 그러한 후단면(BS)이 출구면(ES)을 갖는 광학 디바이스(OD)를 형성하는데 적절한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이라고 판단하였다.
상기 후단면(BS) 모두에 걸쳐, 출구면(ES), 후단면(BS) 및 상기 출구면(ES)과 상기 후단면(BS)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광학 디바이스(OD)는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식(E1)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킨다:
(E1): -0.5 디옵터 ≤ P(α,β)- P평균 ≤ 0.5 디옵터.
광학 디바이스(OD)는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이하의 식(E2)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킬 수도 있다:
(E2): 0 디옵터 ≤ UnAsti(α,β) ≤ 0.5 디옵터.
따라서, 출구면은 도광 광학 요소(2, 2', 2") 중 하나 또는 수 개가 전단면(FS) 및 후단면(BS) 내에 삽입될 때, ES, ES' ES"로서 도시되는 것과 같은 후단면(BS)의 수 개의 구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이하거나 결합된 예들에 따르면, ES는 원거리 보기 구역에 위치되며, ES'는 중간 거리 보기 구역에 위치되며, ES"는 근거리 보기 구역에 위치된다.
예 7:
후단면(BS)이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이고,
개구각
윤곽,
AC
(α,β)가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의 부분을 통한 평균
구형값
차이들의 절댓값이 0.5 디옵터 이하인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의 부분에 위치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
예 7는 도 7에 의해 도시된다.
도 7은 β = 0에 따른 상기 렌즈의 절단 부분이다.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는 원거리 보기 구역,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 원거리 보기 구역 및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이다.
전단면(FS)은 구형면, 원환체면, 구형 원환체면으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전단면(FS)은 비구면화된 구형 또는 원환체 또는 구형 원환체면일 수도 있다.
전단면(FS)은 역누진 표면 및 누진 표면으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될 수도 있다.
후단면(BS)은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이다. 개구각 윤곽, AC(α,β)는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의 부분을 통한 평균 구형값 차이들의 절댓값이 0.5 디옵터 이하인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의 부분에 위치된다.
그러한 결과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의 후단면(BS) 및 전단면(FS)을 설계할 때, 얻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단면(BS) 및 전단면(FS)을 설계하는 것은 중간 거리 보기 구역에서 그리고 또한 후단면 모두에 걸쳐 표준 설계(72)(점선)를 갖는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인 초기 후단면(BS)을 먼저 사용하며; 초기 후단면(BS) 및 초기 전단면(FS)의 조합은 초기 누진 렌즈의 초기 광학 시스템을 한정한다. 초기 후단면(BS)의 초기 설계는 변경되고 복합 표면인 중간 거리 보기 구역에서의 최종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71)이 계산된다. 상기 복합 표면은 출구면(ES), 최종 후단면(BS) 및 상기 출구면(ES)과 상기 최종 후단면(BS)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 재료에 의해 형성되는 광학 디바이스(OD)가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식(E1)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계산된다:
(E1): -0.5 디옵터 ≤ P(α,β)- P평균 ≤ 0.5 디옵터.
광학 디바이스(OD)는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이하의 식(E2)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킬 수도 있다:
(E2): 0 디옵터 ≤ UnAsti(α,β) ≤ 0.5 디옵터.
중간 거리 보기 구역(74)의 초기 전단면(점선)이 그 다음 변경되고 중간 거리 보기 구역(73)의 최종 전단면이 최종 후단면(BS) 및 최종 전단면(FS)의 조합인 최종 광학 시스템이 초기 누진 렌즈의 광학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누진 렌즈의 최종 광학 시스템을 한정하도록 계산된다.
여기서, 위의 예들은 본 발명이 예를 들어, 후방면이 배율 및/또는 비점 수차 변화들을 제공할 때, 누진 렌즈의 경우에 유리하다는 점을 입증한다.
그러한 렌즈의 일 예는 전단면이 구형면이고 후방면이 누진 표면인 “전체 후단측” 누진 렌즈이다. 이러한 경우에, 후방면은 배율 및 비점 수차 변화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변화들이 보충 이미지의 광학 경로 상에서 발생하면, 이러한 변화들은 수차들을 야기시키고 흐릿한 보충 이미지를 야기할 것이다. 양호한 시력을 갖는 보충 이미지를 착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배율 변화들 및 비점 수차 변화들이 윤곽(AC)(α,β) 내에서 제한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렌즈를 설계하는 것이 유용하다.
다른 예는 전단면 및 후방면 둘 다가 누진 표면들인 “이중측” 누진 렌즈이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후방면은 배율 및 비점 수차 변화들을 제공한다. 동일한 선행하는 논의가 적용된다.
예 8: 이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
예 8은 나타내어지지 않는다.
상기 예에 따르면,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는 광학 디바이스(OD)가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을 포함하고,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광학 디바이스(OD)가 이하의 식(E1)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개구각 윤곽(AC)(α,β)가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에 위치되는 이중 초점 렌즈이며:
(E1): -0.5 디옵터 ≤ P(α,β)- P평균 ≤ 0.5 디옵터;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는 광학 디바이스(OD)가 또한 안정화된 비점 수차의 영역을 포함하고,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광학 디바이스(OD)가 이하의 식(E2)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개구각 윤곽(AC)(α,β)가 안정화된 비점 수차의 영역에 위치되는 이중 초점 렌즈이다:
(E2): 0 디옵터 ≤ UnAsti(α,β) ≤ 0.5 디옵터.
예 9:
3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
예 9는 나타내어지지 않는다.
상기 예에 따르면,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는 광학 디바이스(OD)가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을 포함하고,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광학 디바이스(OD)가 이하의 식(E1)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개구각 윤곽(AC)(α,β)가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에 위치되는 3초점 렌즈이며:
(E1): -0.5 디옵터 ≤ P(α,β)- P평균 ≤ 0.5 디옵터;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는 광학 디바이스(OD)가 또한 안정화된 비점 수차의 영역을 포함하고, (α,β)가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광학 디바이스(OD)가 이하의 식(E2)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개구각 윤곽(AC)(α,β)가 안정화된 비점 수차의 영역에 위치되는 3초점 렌즈이다:
(E2): 0 디옵터 ≤ UnAsti(α,β) ≤ 0.5 디옵터.
일반적인 본 발명의 개념의 제한 없이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술하였으며; 특히 파라미터들은 논의된 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15)
- 착용자의 눈 시야를 교정할 수 있고 후단면(BS) 및 전단면(FS)을 갖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로서, 상기 후단면은 상기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눈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는 도광 광학 요소의 출구면(ES)을 통해 상기 착용자에게 보충 이미지(SI)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도광 광학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출구면(ES), 상기 후단면(BS) 및 상기 출구면(ES)과 상기 후단면(BS)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 재료는 광학 디바이스(OD)를 형성하고 상기 광학 디바이스(OD)는 착용자가 광학 배율의 원근 조절을 변화시키지 않고 모든 응시 방향으로 뚜렷하게 볼 수 있는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출구면(ES)은 AC(α,β)(렌즈 뒤의 착용자의 눈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α는 눈 경사각이고 β는 눈 방위각임)로 표시되는 개구각 윤곽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개구각 윤곽(AC)(α,β)는 상기 광학 디바이스(OD)가 (α,β)가 상기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이하의 식(E1)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상기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에 위치되며:
(E1): -0.5 디옵터 ≤ P(α,β)- P평균 ≤ 0.5 디옵터;
여기서, P(α,β)는 상기 광학 디바이스(OD)의 광선 굴절 배율이고 P평균은 상기 윤곽(AC)(α,β) 내에서 상기 광학 디바이스(OD)의 평균 광선 굴절 배율이며, P(α,β) 및 P평균은 디옵터로 표현되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α,β) 내의 α 변화 범위 및 상기 AC(α,β) 내의 β 변화 범위는 각각 5°이상인,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디바이스(OD)는 광학 디바이스의 비점 수차의 기준이 비교적 균일한 안정화된 비점 수차의 영역에 위치되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면(ES)은 AC(α,β)(α는 상기 눈 경사각이고 β는 상기 눈 방위각임)로 표시되는 개구각 윤곽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개구각 윤곽(AC)(α,β)는 상기 광학 디바이스(OD)가 (α,β)가 상기 윤곽(AC)(α,β) 내에 있을 때, 이하의 식(E2)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광학 디바이스의 비점 수차의 기준이 비교적 균일한 안정화된 비점 수차의 영역에 위치되며:
(E2): 0 디옵터 ≤ UnAsti(α,β) ≤ 0.5 디옵터;
여기서, UnAsti(α,β)는 상기 광학 디바이스(OD)의 원하지 않는 비점 수차값이고 UnAsti는 디옵터로 표현되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은 상기 후단면(BS)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해 생성되는 광학 배율에 기인하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는 원거리 보기 구역,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 원거리 보기 구역 및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되는 누진 가법 안경 렌즈인,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는 원거리 보기 구역,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 또는 원거리 보기 구역 및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이며, 상기 후단면(BS)은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이고 상기 개구각 윤곽(AC)(α,β)는 상기 원거리 보기 구역에 위치되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는 원거리 보기 구역,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 또는 중간 거리 보기 구역 및 근거리 보기 구역을 포함하는 안경 렌즈이며, 상기 후단면(BS)은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이고 상기 개구각 윤곽(AC)(α,β)는 상기 근거리 보기 구역에 위치되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면(BS)은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이고, 상기 개구각 윤곽(AC)(α,β)는 α가 상기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을 만족시키는 구역에서 상기 안경 렌즈의 관자 놀이 구역 또는 코 구역에 위치되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면(FS)은 누진 표면이고 상기 후단면(BS)은 표면을 통한 평균 구면값 차이들의 절댓값이 0.5 디옵터 이하인 표면인,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면(BS)은 누진 표면 또는 역누진 표면이고, 상기 개구각 윤곽(AC)(α,β)가 상기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의 부분을 통한 상기 평균 구면값 차이들의 절댓값들이 0.5 디옵터 이하인 상기 중간 거리 보기 구역의 부분에 위치되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면(BS)은 상기 개구각 윤곽(AC)(α,β) 주변에 위치되는 표면 불연속점을 포함하는 누진 표면인,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는 이중 초점 렌즈 및 3초점 렌즈로 구성되는 리스트 내에서 선택되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 - 착용자의 시야를 교정할 수 있고 후단면(BS) 및 전단면(FS)을 갖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10)를 설계하기 위해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후단면은 상기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눈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는 광 전도 요소의 출구면(ES)을 통해 상기 착용자에게 보충 이미지(SI)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도광 광학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출구면(ES), 상기 후단면(BS) 및 상기 출구면(ES)과 상기 후단면(BS) 사이에 위치되는 광학 재료는 광학 디바이스(OD)가 착용자가 광학 배율의 원근 조절을 변화시키지 않고 모든 응시 방향으로 뚜렷하게 볼 수 있는 안정화된 광학 배율의 영역에 위치되도록 광학 디바이스(OD)를 형성하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면(BS)의 기하학적 구조 및 상기 전단면(FS)의 기하학적 구조는 착용자의 처방에 따른 가상 광학 기능을 갖는 타겟 렌즈를 포함하는 최적화 알고리즘의 도움으로 계산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4290091 | 2014-04-01 | ||
EP14290091.9 | 2014-04-01 | ||
PCT/EP2015/056751 WO2015150269A1 (en) | 2014-04-01 | 2015-03-27 | Multifocal ophthalmic spectacle lens arranged to output a supplementary im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0602A KR20160140602A (ko) | 2016-12-07 |
KR102299750B1 true KR102299750B1 (ko) | 2021-09-08 |
Family
ID=50513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23921A KR102299750B1 (ko) | 2014-04-01 | 2015-03-27 | 보충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126568B2 (ko) |
EP (1) | EP3126900B1 (ko) |
JP (1) | JP6675318B2 (ko) |
KR (1) | KR102299750B1 (ko) |
CN (1) | CN106062616B (ko) |
WO (1) | WO201515026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04056A (ko) | 2016-01-22 | 2018-09-19 |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 와이드 필드 개인 디스플레이 |
EP3270208B1 (fr) * | 2016-07-12 | 2024-03-06 | Essilor International | Procédé de fourniture d'un dispositif d'affichage pour dispositif électronique informatif |
US20190056600A1 (en) | 2016-12-31 | 2019-02-21 | Lumus Ltd | Eye tracker based on retinal imaging via light-guide optical element |
DE102017101352A1 (de) * | 2017-01-25 | 2018-07-26 | tooz technologies GmbH | Brillenglas für eine auf den Kopf eines Benutzers aufsetzbare und ein Bild erzeugende Anzeigevorrichtung |
WO2018138714A1 (en) * | 2017-01-28 | 2018-08-02 | Lumus Ltd. | Augmented reality imaging system |
US10976551B2 (en) | 2017-08-30 | 2021-04-13 | Corning Incorporated | Wide field personal display device |
CA3092609C (en) * | 2018-03-01 | 2023-03-14 | Essilor International | Lens element |
IL259518B2 (en) | 2018-05-22 | 2023-04-01 | Lumus Ltd | Optical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ight field uniformity |
CN108957787B (zh) * | 2018-09-28 | 2024-10-15 | 戴明华 | 全矫足改善弱视或防止散光及视力恶化的眼镜片及治疗仪 |
JP2021184050A (ja) * | 2020-05-22 | 2021-12-02 | 株式会社日立エルジーデータストレージ | 映像表示装置、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
KR102485091B1 (ko) | 2020-10-06 | 2023-01-06 | 광흥메이커트레이드 유한회사 | 안경용 다중초점렌즈 |
EP4137878A1 (en) * | 2021-08-18 | 2023-02-22 | Luxexcel Holding B.V. | Method for producing a customized visual aid and visual aid |
DE102021125627A1 (de) * | 2021-10-04 | 2023-04-06 |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 Komponente für eine datenbrille und datenbrille |
US20230228994A1 (en) * | 2022-01-18 | 2023-07-20 | Google Llc | Integrated vision correction with augmented reality displa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25837A1 (en) | 1999-10-01 | 2001-04-12 |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 Progressive lens |
JP2008506980A (ja) | 2004-07-16 | 2008-03-06 | エシロール インテルナショナル, シイエ ジェネラル ドオプティク | 光学的ディスプレイを提供するための眼科レンズの製造方法 |
JP2012510075A (ja) | 2008-11-25 | 2012-04-26 | エシロール アンテルナシオナル (コンパニー ジェネラル ドプティック) | 眼科的視覚および追加的視覚を提供する眼鏡レンズ |
JP2012173674A (ja) | 2011-02-24 | 2012-09-10 | Seiko Epson Corp | 累進屈折力レンズおよびその設計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49271A (en) * | 1998-10-23 | 2000-11-21 | Innotech, Inc. | Progressive addition lenses |
JP2003536102A (ja) | 2000-06-05 | 2003-12-02 | ラマス リミテッド | 基板によって誘導される光学ビーム拡大器 |
IL157837A (en) | 2003-09-10 | 2012-12-31 | Yaakov Amitai | Substrate-guided optical device particularly for three-dimensional displays |
FR2866442B1 (fr) * | 2004-02-18 | 2006-08-04 | Essilor Int | Afficheur orphtalmique comportant une lentille optalmique et un imageur optique |
EP1752815A1 (en) | 2005-08-11 | 2007-02-14 |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 Method of manufacturing an optical system |
FR2893151B1 (fr) * | 2005-11-08 | 2008-02-08 | Essilor Int | Lentille ophtalmique. |
US8177361B2 (en) * | 2007-01-25 | 2012-05-15 | Rodenstock Gmbh | Spectacle glass and spectacle lens for data reflection |
CN101661167B (zh) * | 2009-09-05 | 2011-01-26 | 温州医学院眼视光研究院 | 一种利用子午线设计渐进多焦点眼用镜片的方法 |
CN103988116B (zh) * | 2011-12-15 | 2016-10-26 | 依视路国际集团(光学总公司) | 用于确定渐进式眼镜片和半成品镜片毛坯集合的方法 |
CN102768414B (zh) * | 2012-07-30 | 2013-09-25 | 上海理工大学 | 一种新型多光轴渐进多焦点镜片设计方法 |
-
2015
- 2015-03-27 EP EP15712385.2A patent/EP3126900B1/en active Active
- 2015-03-27 US US15/128,748 patent/US10126568B2/en active Active
- 2015-03-27 KR KR1020167023921A patent/KR10229975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3-27 WO PCT/EP2015/056751 patent/WO201515026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3-27 JP JP2016557250A patent/JP6675318B2/ja active Active
- 2015-03-27 CN CN201580010814.6A patent/CN106062616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1025837A1 (en) | 1999-10-01 | 2001-04-12 |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 Progressive lens |
JP2008506980A (ja) | 2004-07-16 | 2008-03-06 | エシロール インテルナショナル, シイエ ジェネラル ドオプティク | 光学的ディスプレイを提供するための眼科レンズの製造方法 |
JP2012510075A (ja) | 2008-11-25 | 2012-04-26 | エシロール アンテルナシオナル (コンパニー ジェネラル ドプティック) | 眼科的視覚および追加的視覚を提供する眼鏡レンズ |
JP2012173674A (ja) | 2011-02-24 | 2012-09-10 | Seiko Epson Corp | 累進屈折力レンズおよびその設計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50269A1 (en) | 2015-10-08 |
EP3126900B1 (en) | 2024-07-10 |
JP2017511500A (ja) | 2017-04-20 |
CN106062616B (zh) | 2019-04-12 |
KR20160140602A (ko) | 2016-12-07 |
US10126568B2 (en) | 2018-11-13 |
CN106062616A (zh) | 2016-10-26 |
JP6675318B2 (ja) | 2020-04-01 |
US20170351117A1 (en) | 2017-12-07 |
EP3126900A1 (en) | 2017-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9750B1 (ko) | 보충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다중 초점 안과용 안경 렌즈 | |
KR102353079B1 (ko) | 주어진 안경 프레임에 따른 광학계를 계산하는 방법 | |
KR102476999B1 (ko) | 보충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누진 가법 안과용 렌즈의 광학계를 계산하는 방법 | |
CN109073897B (zh) | 用于为电子信息装置提供显示装置的方法 | |
US10379382B2 (en) | Spectacle ophthalmic lens intended to be mounted on a spectacle frame | |
KR102042554B1 (ko) | 안경 렌즈 결정 방법 | |
AU2008332369A1 (en) | Pair of progressive power lens and method for designing same | |
US20150219924A1 (en) | Methods for determining a progressive ophthalmic lens | |
CN107111159B (zh) | 双眼用的一对眼镜镜片、其制造方法、供给系统及供给程序 | |
JP6495005B2 (ja) | 両眼用の一対の眼鏡レンズ、その製造方法、供給システム、および供給プログラム | |
KR101766563B1 (ko) | 안경 렌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 |
JP2012083482A (ja) | 累進屈折力レンズ | |
JP2004126256A (ja) | 両面非球面型累進屈折力レンズ | |
EP3374823A1 (en) | Lenses with improved management of distortion | |
CN112334818A (zh) | 用于确定眼科镜片的方法 | |
JP2020106644A (ja) | 累進屈折力眼鏡レン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