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295147B1 -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 Google Patents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147B1
KR102295147B1 KR1020200183352A KR20200183352A KR102295147B1 KR 102295147 B1 KR102295147 B1 KR 102295147B1 KR 1020200183352 A KR1020200183352 A KR 1020200183352A KR 20200183352 A KR20200183352 A KR 20200183352A KR 102295147 B1 KR102295147 B1 KR 102295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rail
nut
insulation module
distributio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영
Original Assignee
김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영 filed Critical 김인영
Priority to KR1020200183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1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선과 자선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전원을 분배시키는 분전반을 개선하여 합선이 되는 것을 확실하게 예방하는 한편 짧은 시간 내에 분전반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배선 차단기(1) 및 보조배선 차단기(2, 2')가 배치되는 베이스(100)와; 주배선 차단기(1)에 접속되는 모선 레일(200)과; 모선 레일(200)을 가로질러 보조배선 차단기(2, 2')에 접속되며 체결공(301)이 형성된 자선 부스바(300)와; 자선 부스바(300)의 저면을 감싸 모선 레일(200)과 자선 부스바(300)의 사이에 적층 배치되되 통공(411)이 형성되는 절연 모듈(400)과; 자선 부스바(300)의 체결공(301)과 절연 모듈(400)의 통공(411)을 관통하여 모선 레일(200) 내측에 위치하는 너트(600)와 체결되어 모선 레일(200)과 자선 부스바(300)를 통전시키는 체결수단(500)과; 너트(600)를 회전 불가하게 수용하여 절연 모듈(400)의 저면에 지지되는 너트 캐리어(700)를 포함하여, 절연 모듈을 통해 모선과 자선 간에 혹은 자선 서로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합선을 원천적으로 예방하며, 너트 캐리어를 절연 모듈에 선택적으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메인 커버 등의 다양한 구성을 탄력적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분전반에 대한 조립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은 물론 제품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Distribution panelboard having insulation module and nut carrier}
본 발명은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선과 자선이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전원을 분배시키는 분전반을 개선하여 합선이 되는 것을 확실하게 예방하는 한편 짧은 시간 내에 분전반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절연 모듈을 통해 모선과 자선 간에 혹은 자선 서로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합선을 원천적으로 예방하며, 너트 캐리어를 절연 모듈에 선택적으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메인 커버 등의 다양한 구성을 탄력적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분전반에 대한 조립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은 물론 제품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가 흐르는 주된 선을 간선이라 하는데, 간선으로부터 옥내 배선에서의 각 분기회로로 갈라지는 곳에 설치하여 분기회로의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해 한 곳에 모아놓은 것을 분전반이라고 한다.
분전반에는 주배선 차단기 및 보조배선 차단기 등이 베이스 패널 상에 마련되어 있으며, 주배선 차단기로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모선(母線)이 나란하게 배치되며, 보조배선 차단기로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자선(子線)은 모선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소망하는 위치에서 모선과 자선을 접속시키는 것으로써, 간선으로부터의 전원은 주배선 차단기, 모선, 자선, 보조배선 차단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옥내로 배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선과 자선이 소망하는 위치에서만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연 안전성과, 수많은 부품을 하나의 분전반에 조립하기에 용이해야 한다는 조립 편의성은 분전반에 있어서 중요한 설계 요소가 되고 있다.
초기의 분전반에 있어서는 모선과 자선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를 마련하고 소망하는 위치에 체결공을 미리 형성하여, 나사와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관통 체결하는 것으로써 모선과 자선을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분전반은 체결공을 미리 형성하기에 번거롭고, 모선 부스바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너트의 회전을 제한하기가 어려워 나사와 너트의 체결이 어려운 것이었다.
이를 개선한 종래의 분전반에 있어서는 자선 부스바는 그대로 유지하지만 모선을 소정 단면 형상을 가진 레일로 성형하여, 모선 레일 내측에 너트를 회전 불가하게 마련하는 기술이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116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분전반에 있어서는, 규격화되어 유통되는 일반적인 너트를 사용할 수 없으며, 모선 레일 내에 위치하여 회전이 제한될 수 있는 특별한 형상으로 너트를 제조할 필요가 있는 것이었다.
게다가, 모선 레일 내에 위치하는 너트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선 레일과 너트의 치수를 상호간에 틈새가 없도록 거의 일치시키면 모선 레일 내에서 너트를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어려워진다.
반대로, 너트를 모선 레일 내에서 쉽게 슬라이딩 이동시키고자 모선 레일과 너트의 치수에 적절한 틈새를 마련하면 나사와 너트의 체결 시 너트가 모선 레일 내에서 돌아가 버린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뿐 아니라, 모선과 자선은 소망하는 위치에서만 서로 접속되어야 하고, 그렇지 않은 위치에서는 서로 절연을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자선을 절연재로 피복하고, 소망하는 위치에서 자선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절연재를 절단하여, 절단된 부분에서 노출된 자선을 모선과 접속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에, 이는 분전반에 대한 조립 편의성을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게다가, 통상적으로 분전반의 앞면에는 각종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한 메인 커버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메인 커버의 장착 및 분리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116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절연 모듈을 통해 모선과 자선 간에 혹은 자선 서로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합선을 원천적으로 예방하며, 너트 캐리어를 절연 모듈에 선택적으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메인 커버 등의 다양한 구성을 탄력적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분전반에 대한 조립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은 물론 제품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은, 주배선 차단기 및 보조배선 차단기가 배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주배선 차단기에 접속되는 모선 레일과; 상기 모선 레일을 가로질러 상기 보조배선 차단기에 접속되며 체결공이 형성된 자선 부스바와; 상기 자선 부스바의 저면을 감싸 상기 모선 레일과 상기 자선 부스바의 사이에 적층 배치되되 통공이 형성되는 절연 모듈과; 상기 자선 부스바의 체결공과 상기 절연 모듈의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모선 레일 내측에 위치하는 너트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모선 레일과 상기 자선 부스바를 통전시키는 체결수단과; 상기 너트를 회전 불가하게 수용하여 상기 절연 모듈의 저면에 지지되는 너트 캐리어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너트 캐리어는, 상기 너트가 회전 불가하게 안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모듈에는 상기 탄성 후크에 대응하여 결합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탄성 후크의 중간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 후크가 상기 결합 슬릿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높이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절연 모듈은 상측이 개방된 ㄷ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자선 부스바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하측면에는 상기 모선 레일 간의 틈새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상기 모선 레일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유동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추가로, 상기 절연 모듈의 양단에는 서로 대향하는 걸림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자선 부스바를 보호하기 위한 메인 커버에는, 상기 걸림 고리에 대응하는 한 쌍의 후크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절연 모듈을 통해 모선과 자선 간에 혹은 자선 서로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합선을 원천적으로 예방하며, 너트 캐리어를 절연 모듈에 선택적으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메인 커버 등의 다양한 구성을 탄력적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분전반에 대한 조립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은 물론 제품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메인 커버와 자선 부스바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자선 부스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절연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너트 캐리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주요부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절연 모듈을 추가로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메인 커버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2에 나타낸 C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A-A선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메인 커버와 자선 부스바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자선 부스바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a)는 체결공이 바깥쪽에 형성된 자선 부스바를 나타내며, (b)는 체결공이 안쪽에 형성된 자선 부스바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절연 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a)는 통공이 바깥쪽에 형성된 절연 모듈을 나타내며, (b)는 통공이 안쪽에 형성된 절연 모듈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너트 캐리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절연 모듈을 추가로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에 있어서 메인 커버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2에 나타낸 C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은, 절연 모듈을 통해 모선과 자선 간에 혹은 자선 서로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합선을 원천적으로 예방하며, 너트 캐리어를 절연 모듈에 선택적으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메인 커버 등의 다양한 구성을 탄력적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분전반에 대한 조립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은 물론 제품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배선 차단기(1) 및 보조배선 차단기(2, 2')가 배치되는 베이스(100)와; 상기 주배선 차단기(1)에 접속되는 모선 레일(200)과; 상기 모선 레일(200)을 가로질러 상기 보조배선 차단기(2, 2')에 접속되며 체결공(301)이 형성된 자선 부스바(300)와; 상기 자선 부스바(300)의 저면을 감싸 상기 모선 레일(200)과 상기 자선 부스바(300)의 사이에 적층 배치되되 통공(411)이 형성되는 절연 모듈(400)과; 상기 자선 부스바(300)의 체결공(301)과 상기 절연 모듈(400)의 통공(411)을 관통하여 상기 모선 레일(200) 내측에 위치하는 너트(600)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모선 레일(200)과 상기 자선 부스바(300)를 통전시키는 체결수단(500)과; 상기 너트(600)를 회전 불가하게 수용하여 상기 절연 모듈(400)의 저면에 지지되는 너트 캐리어(7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은, 간선으로부터 옥내 배선에서의 각 분기회로로 갈라지는 곳에 설치될 수 있을 것이며, 크게는 베이스(100), 모선 레일(200), 자선 부스바(300), 절연 모듈(400), 체결수단(500), 그리고 너트(600)를 수용하는 너트 캐리어(700)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베이스(10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판재로서, 이러한 베이스(100)에는 이하에 설명할 다양한 구성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는 외력에 의해 휘어짐이 발생치 않도록 높은 강성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다수의 구멍을 가능한 한 용이하게 형성하기에 적합한 재료가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베이스(100)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경우 추가적인 절연 작업이 요구되지 않지만, 금속재로 상기 베이스(100)를 제작하는 경우, 추가적인 절연 코팅 등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베이스(100)에는 기본적으로 주배선 차단기(1) 및 보조배선 차단기(2, 2')가 마련된다.
상기 주배선 차단기(1)는 옥외의 간선에 접속되며, 상기 보조배선 차단기(2, 2')는 옥내의 다양한 전기 기기에 접속될 것이다.
이때, 주배선 차단기(1)와 보조배선 차단기(2, 2')의 위치에 제한은 없지만, 이후에서는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00)에 있어서 상측에 주배선 차단기(1)가 배치되고, 좌우측에 보조배선 차단기(2, 2')가 배치되는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모선 레일(200)은 도 9와 같이 상기 주배선 차단기(1)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하나의 주배선 차단기(1)에 다수의 모선 레일(200)이 접속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4개의 모선 레일(200)이 세로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모선 레일(200)은 다수가 상하로 나란하게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며, 움직임이 발생치 않도록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도 2 및 도 3과 같이 하나의 상기 모선 레일(200)은 한 쌍의 레일 부재(210)와 하나의 브래킷(220)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상기 레일 부재(210)는 구리 등 전도성이 우수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브래킷(220)은 합성수지 등 절연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모선 레일(200)에 있어서 2개의 대략 ㄱ자 형상 레일 부재(210)가 하나의 브래킷(220) 내에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두 레일 부재(210) 사이 공간으로 이하에 설명할 너트(6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브래킷(220)을 통해 모선 레일(200)이 상술한 베이스(100)에 고정 배치된다.
다음으로, 자선 부스바(300)는 전도체로 이루어진 막대 형상의 구성으로, 도 1과 같이 상술한 모선 레일(200)을 가로질러 기본적으로 그 양단이 상기 보조배선 차단기(2, 2')에 접속된다.
하지만, 배선에 따라 상기 자선 부스바(300)의 양단 중 어느 한 쪽만이 보조배선 차단기(2, 2')에 접속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자선 부스바(300)의 양단 인근에는 도 5와 같이 상기 보조배선 차단기(2, 2')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 구멍(31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자선 부스바(300)는 소망하는 위치에서 상술한 모선 레일(200)에 인접해지도록 적절하게 절곡 성형되며, 이러한 절곡 부위에 체결공(30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자선 부스바(300)의 절곡 부위는 상기 모선 레일(200)에 접속되기 위한 부위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선 부스바(300)는 도 5의 (b)와 같이, 체결공(301)이 중심측, 즉 안쪽에 형성되는 타입과, 도 5의 (a)와 같이 바깥쪽에 형성되는 타입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며, 좌우 대칭이므로, 이 두 가지 타입의 자선 부스바(300)를 이용하여 소망하는 모선 레일(200)에 자선 부스바(300)의 절곡 부위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모선 레일(200)과 상기 자선 부스바(300) 사이에 절연 모듈(400)이 마련되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 절연 모듈(400)은 도 1 및 도 4와 같이 자선 부스바(300) 마다 일대일 대응하여, 상기 자선 부스바(3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절연 모듈(400)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면,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절연 모듈(400)의 하측면 측에 상술한 모선 레일(200)이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절연 모듈(400)의 상측면 측에 상기 자선 부스바(300)가 나란하게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절연 모듈(400)은 기본적으로 상기 자선 부스바(300)와 상기 모선 레일(200) 사이에 절연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는 단면 형상을 가질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절연 모듈(400)은 기본적으로 바닥면(410)을 가지며, 이 바닥면(410)으로부터 직립되어 상기 자선 부스바(300)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2개의 측벽(420)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 절연 모듈(400)의 바닥면(410)에는 도 6과 같이 자선 부스바(300)와 모선 레일(200)이 서로 접속될 수 있도록 통공(411)이 관통 형성되어 있어, 이 통공(401)의 위치에 상술한 자선 부스바(300)의 절곡 부위가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 모듈(400) 또한 도 6의 (a)와 같이, 통공(411)이 중심측, 즉 안쪽에 형성되는 타입과, 도 6의 (b)와 같이 바깥쪽에 형성되는 타입이 존재할 수 있을 것이며, 좌우 대칭이므로, 이 두 가지 타입의 절연 모듈(400)을 좌우 역전시켜 이용하여 소망하는 모선 레일(200)에 자선 부스바(300)의 절곡 부위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체결수단(500)은 볼트 또는 나사 등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자선 부스바(300)의 체결공(301)과 상기 절연 모듈(400)의 통공(411)을 관통하여 상기 모선 레일(200) 내측에 위치하는 너트(600)와 체결된다.
이때, 상기 너트(600)는 특정 형상으로 별도 제작될 필요는 없으며, 규격화된 적정 내경을 가지며, 이 내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500)과 체결 가능한 것이면 좋다.
물론, 이러한 체결수단(500)과 너트(600)는 모선 레일(200)과 자선 부스바(300)의 접속을 위해 기본적으로 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제작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절연 모듈(400)의 저면에 지지되는 너트 캐리어(700)가 추가로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너트 캐리어(700)에는 상기 너트(600)가 회전 불가하게 안착하여 수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너트 캐리어(700)에는 상기 너트(600)를 수용하여 회전 불가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대략 육각기둥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너트 캐리어(700)는 너트(600)를 수용한 상태로 상술한 모선 레일(200)의 레일 부재(210) 사이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의 조립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베이스(100)에 주배선 차단기(1)와 보조배선 차단기(2, 2')를 장착한 후, 모선 레일(200)이 세로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베이스(100)에 고정시킨다.
이후, 모선 레일(200)의 한 쪽 끝단을 상기 주배선 차단기(1)에 접속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모선 레일(200)의 반대 쪽 끝단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절연 모듈(400)에 지지되는 너트 캐리어(700) 내에 너트(600)를 안착시킨 후, 이 너트 캐리어(700)를 모선 레일(200)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절연 모듈(400)을 소망하는 위치까지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후, 상기 절연 모듈(400)이 적정 위치에 도달하면, 이 절연 모듈(400) 안쪽에 자선 부스바(300)를 올려놓은 뒤, 상기 자선 부스바(300)의 양단을 보조배선 차단기(2, 2')에 접속시키게 된다.
마지막으로, 체결수단(500)을 이용하여 자선 부스바(300)의 체결공(301)과 절연 모듈(400)의 통공(411)을 관통하여 모선 레일(200) 안쪽에 위치한 너트 캐리어(700)의 너트(600)와 체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너트(600)는 상기 너트 캐리어(700) 내에 회전 불가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너트(600)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체결수단(500)을 너트(600)에 체결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모선 레일(200)과 상기 주배선 차단기(1)의 접속 부위나 상기 모선 레일(200)의 개방된 끝단에는 별도의 보호 커버(3, 4)를 추가로 설치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보호 커버(3, 4)는 접속 부위에 먼지가 쌓이거나 벌레 등이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누전이나 합선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는 주배선 차단기(1)와 모선 레일(200) 사이에 상측 보호 커버(3)를 마련하고, 모선 레일(200)의 하측 단부에 하측 보호 커버(4)를 마련한 것을 예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은 종래에 비해 체결수단(500)과 너트(600)의 체결을 손쉽게 실시할 수 있다는 큰 이점을 지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의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에 다양한 기능과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추가 구성에 대하여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위에서는 상기 너트 캐리어(700)가 상기 절연 모듈(400)의 바닥면(410)에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설명하였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너트 캐리어(700)가 상기 절연 모듈(400)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한 것이 좋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너트 캐리어(7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너트(600)가 회전 불가하게 안착되는 몸체부(710)와, 상기 몸체부(710)로부터 연장되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 후크(720)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모듈(400)에는 상기 탄성 후크(720)에 대응하여 결합 슬릿(4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상기 너트 캐리어(700)는 몸체부(710)와 탄성 후크(72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7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쪽에 대략 육각기둥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이 홈 내에 너트(600)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너트(600)가 너트 캐리어(700) 내에 회전 불가하게 안착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몸체부(710)의 양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분기되며, 그 끝단에 탄성 후크(720)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 후크(720)에 대응하여, 상기 절연 모듈(400)의 바닥면(410)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결합 슬릿(4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후크(720)의 경사면이 상기 결합 슬릿(412)의 양측 모서리를 타고 넘어서 탄력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술한 너트 캐리어(700)가 상기 절연 모듈(400)의 저면에 탄력적으로 조립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물론, 상기 결합 슬릿(412)을 통과하여 위치하는 탄성 후크(720)를 탄성 변형시키는 것으로, 상기 절연 모듈(400)에 조립되어 있는 너트 캐리어(700)를 다시 분리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우선, 모선 레일(200) 안쪽에 너트(600)를 수용한 너트 캐리어(700)를 삽입한 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망하는 위치로 너트 캐리어(700)만을 슬라이딩 시켜 이동시킨다.
이후, 너트 캐리어(700)가 위치하는 모선 레일(200) 위쪽에서 절연 모듈(400)을 올려놓고, 아래쪽으로 누르는 동작만으로 도 4와 같이 모선 레일(200) 안쪽에 위치하는 너트 캐리어(700)의 탄성 후크(720)가 절연 모듈(400)에 형성된 결합 슬릿(412) 내에 탄력적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모선 레일(200) 위에서 절연 모듈(400)과 너트 캐리어(700)를 편리하게 상호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절연 모듈(400)의 통공(411) 아래에는 항상 너트(600)가 정위치에 회전 불가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이후 상기 절연 모듈(400) 위에 자선 부스바(300)를 올려놓고 체결수단(500)으로 체결하는 작업을 보다 쉽게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너트 캐리어(700)가 상기 절연 모듈(400)에 탄력적으로 조립되었을 때, 상기 너트 캐리어(700)가 상기 절연 모듈(400)의 하측면으로부터 적정 간극을 유지해야만 상기 너트 캐리어(700)가 모선 레일(200)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도 7과 같이, 상기 탄성 후크(720)의 중간에는 걸림턱(721)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 후크(720)가 상기 결합 슬릿(410)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높이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술한 너트 캐리어(700)의 탄성 후크(720) 중간에 상기 탄성 후크(720)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 슬릿(412)을 통과할 수 없는 두께로 걸림턱(721)이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너트 캐리어(700)와 상기 절연 모듈(400)이 상호 적정 간극을 유지할 수 있어, 상기 너트 캐리어(700)가 모선 레일(200) 내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절연 모듈(400)의 구체적인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연 모듈(4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된 ㄷ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자선 부스바(300)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하측면에는 상기 모선 레일(200) 간의 틈새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상기 모선 레일(200)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유동방지턱(4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절연 모듈(400)은 기본적으로 모선 레일(200)과 자선 부스바(300)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면(410)이 마련되며, 이 바닥면(410)의 양측을 따라 소정 높이의 측벽(420)이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측벽(420)은 대략 상기 절연 모듈(400)의 전체 길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420)의 높이는 상기 자선 부스바(300)의 상한 높이 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자선 부스바(300)는 상기 절연 모듈(400)의 바닥면(410)과 측벽(420)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ㄷ자 형상의 공간 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자선 부스바(300)가 그 아래에 위치하는 모선 레일(200)이나 혹은 그 이웃한 자선 부스바(300)와 합선이 발생할 가능성을 크게 저감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측벽(420)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상기 자선 부스바(300)를 절연재로 피복할 필요도 없어지게 된다.
게다가, 상기 절연 모듈(400)에 있어서 바닥면(410)의 하측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유동방지턱(4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동방지턱(413)의 폭은 상술한 모선 레일(200) 서로간의 틈새에 대응하는 것이며, 상기 유동방지턱(413)이 형성되는 간격은 상기 모선 레일(200)의 폭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 모듈(400)의 하측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는 유동방지턱(41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선 레일(200) 사이마다 위치하게 됨으로써, 다수의 모선 레일(200)들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돕고, 상기 절연 모듈(400)이 모선 레일(200) 상에 안착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는 있지만, 좌우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방지턱(413)은 상기 절연 모듈(400)과 모선 레일(200) 상호 조립된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분전반의 메인 커버(8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적으로, 분전반에는 주배선 차단기(1) 및 보조배선 차단기(2, 2')를 비롯하여 모선 레일(200)과 자선 부스바(300)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메인 커버(800)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 메인 커버(8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메인 커버(800)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서포트를 추가로 조립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연 모듈(400)의 양단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걸림 고리(421)가 형성되고, 상기 자선 부스바(300)를 보호하기 위한 메인 커버(800)에는, 상기 걸림 고리(421)에 대응하는 한 쌍의 후크부(83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양호하다.
즉, 상기 절연 모듈(400)의 측벽(420) 양단에는 후크 형상의 걸림 고리(421)가 각각 대향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걸림 고리(421)에 대응하여 메인 커버(800)에는 후크부(830)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커버(800)의 단면 형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메인 커버(800)는 크게 몸통부(810), 날개부(820), 그리고 후크부(83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몸통부(810) 양측에 한 쌍의 날개부(820)와 후크부(830)가 선대칭을 이루어 형성된다.
우선, 날개부(820)와 후크부(830)는 서로 대략 ㄱ자 형상으로 직각을 이루어 연결되는 것으로, 날개부(820)는 상기 메인 커버(800)에 있어서 몸통부(81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구성이며, 상기 후크부(830)는 상기 몸통부(810)의 내측을 향하여 상술한 절연 모듈(400)을 향하여 연장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도 10과 같이 상기 절연 모듈(400)의 걸림 고리(421) 위에 메인 커버(800)의 후크부(830)를 위치시킨 후, 가볍게 누르는 것만으로 걸림 고리(421)가 메인 커버(800)의 후크부(830) 내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날개부(820)의 저면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보조배선 차단기(2, 2')의 상측면에 접촉하게 되면서 적절하게 탄성 변형된다.
즉, 상기 날개부(820)가 양측에서 보조배선 차단기(2)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830)가 걸림 고리(421)에 걸쳐지게 됨으로써, 상기 메인 커버(80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날개부(820)는 그 양 끝단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두께를 얇게 성형하는 한편, 상기 날개부(820)의 중간에 주름(821)을 형성하여, 상기 날개부(820)의 탄력적인 변형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 결과, 분전반에 메인 커버(800)를 손쉽게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 커버(800)를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메인 커버(800)를 길이방향으로 밀어서 후크부(830)를 따라 걸림 고리(421)가 빠져 나오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분리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 커버(800)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만약 투명한 소재의 합성수지를 사용한다면 메인 커버(800) 내측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메인 커버(800)의 바깥면 측에 도 10과 같이 한 쌍의 돌출레일(822)을 서로 마주보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이 돌출레일(822)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레이블(900)을 마련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때, 상기 레이블(900)은 합성수지재의 얇은 판재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돌출레일(822) 상호간의 간격은 상기 레이블(900)의 폭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이블(900)을 살짝 구부려 그 양단이 탄력적으로 상기 돌출레일(822) 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레이블(900) 밑에 위치하는 자선 부스바(300)의 용도를 상기 레이블(900) 상에 기재하거나 하는 등의 표시를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메인 커버(800)의 몸통부(810)의 중앙에 도 10 및 도 11과 같이 대략 원형 단면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가이드홈(811)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811) 내에 탄력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탄성 지지 레일(910)을 상기 레이블(900)의 내측면에 돌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상기 레이블(900)의 탄성 지지 레일(910)이 상기 메인 커버(800)의 몸통부(810)에 형성된 가이드홈(811) 내에 탄력적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이블(900)의 중앙이 상기 메인 커버(800)의 몸통부(810)로부터 들뜨는 것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며,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메인 커버(8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레이블(90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레이블(900)은 상기 돌출레일(822)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추가적인 레이블(900)을 설치하거나, 단순히 레이블(900)을 잡아 당겨 분리시키는 등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은, 절연 모듈(400)을 통해 모선과 자선 간에 혹은 자선 서로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합선을 원천적으로 예방하며, 너트 캐리어(700)를 절연 모듈(400)에 선택적으로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고, 게다가 메인 커버(800) 등의 다양한 구성을 탄력적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분전반에 대한 조립 편의성 및 사용 안전성은 물론 제품 경쟁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주배선 차단기 2, 2' : 보조배선 차단기
3 : 상측 보호 커버 4 : 하측 보호 커버
100 : 베이스 200 : 모선 레일
210 : 레일 부재 220 : 브래킷
300 : 자선 부스바 301 : 체결공
310 : 접속용 구멍 400 : 절연 모듈
410 : 바닥면 411 : 통공
412 : 결합 슬릿 413 : 유동방지턱
420 : 측벽 421 : 걸림 고리
500 : 체결수단 600 : 너트
700 : 너트 캐리어 710 : 몸체부
720 : 탄성 후크 721 : 걸림턱
800 : 메인 커버 810 : 몸통부
811 : 가이드홈 820 : 날개부
821 : 주름 822 : 돌출레일
830 : 후크부 900 : 레이블
910 : 탄성 지지 레일

Claims (5)

  1. 주배선 차단기 및 보조배선 차단기가 배치되는 베이스와;
    서로 대향하여 마주보아 사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레일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주배선 차단기에 접속되는 모선 레일과;
    상기 모선 레일을 가로질러 상기 보조배선 차단기에 접속되며 체결공이 형성된 자선 부스바와;
    상기 자선 부스바의 저면을 감싸 상기 모선 레일과 상기 자선 부스바의 사이에 적층 배치되되 통공이 형성되는 절연 모듈과;
    상기 자선 부스바의 체결공과 상기 절연 모듈의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모선 레일 내측에 위치하는 너트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모선 레일과 상기 자선 부스바를 통전시키는 체결수단과;
    상기 너트를 회전 불가하게 수용하여 상기 절연 모듈의 저면에 지지되되, 상기 모선 레일의 레일 부재 사이 공간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가능한 너트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캐리어는, 상기 너트가 회전 불가하게 안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 모듈에는 상기 탄성 후크에 대응하여 결합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후크의 중간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 후크가 상기 결합 슬릿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높이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모듈은 상측이 개방된 ㄷ자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자선 부스바를 따라 연장 형성되며, 하측면에는 상기 모선 레일 간의 틈새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며 상기 모선 레일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유동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모듈의 양단에는 서로 대향하는 걸림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자선 부스바를 보호하기 위한 메인 커버에는, 상기 걸림 고리에 대응하는 한 쌍의 후크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KR1020200183352A 2020-12-24 2020-12-24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KR1022951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352A KR102295147B1 (ko) 2020-12-24 2020-12-24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352A KR102295147B1 (ko) 2020-12-24 2020-12-24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147B1 true KR102295147B1 (ko) 2021-08-27

Family

ID=7750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352A KR102295147B1 (ko) 2020-12-24 2020-12-24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1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302B1 (ko) * 2023-02-03 2023-09-08 홍연서 분전반용 단락 방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163Y1 (ko) 2003-05-30 2003-10-23 김영봉 배전반
KR20080030417A (ko) * 2006-09-30 2008-04-04 (주)푸른전기 부스바 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분배전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립식 분배전반
KR100988056B1 (ko) * 2009-09-08 2010-10-18 태인전력시스템(주)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KR101302576B1 (ko) * 2013-07-31 2013-09-02 박양석 스마트 분전반
KR20150066761A (ko) * 2013-12-09 2015-06-17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상평형 조절이 가능하고 조립이 용이한 분전반
KR101762717B1 (ko) * 2016-12-16 2017-07-28 주식회사 동진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163Y1 (ko) 2003-05-30 2003-10-23 김영봉 배전반
KR20080030417A (ko) * 2006-09-30 2008-04-04 (주)푸른전기 부스바 모듈을 이용한 조립식 분배전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조립식 분배전반
KR100988056B1 (ko) * 2009-09-08 2010-10-18 태인전력시스템(주)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KR101302576B1 (ko) * 2013-07-31 2013-09-02 박양석 스마트 분전반
KR20150066761A (ko) * 2013-12-09 2015-06-17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상평형 조절이 가능하고 조립이 용이한 분전반
KR101762717B1 (ko) * 2016-12-16 2017-07-28 주식회사 동진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302B1 (ko) * 2023-02-03 2023-09-08 홍연서 분전반용 단락 방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분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2574A (en) Electric meter center
US4783718A (en) Lighting circuit breaker panelboard modular assembly
US7329813B2 (en) Modular insulation system
US8684758B2 (en) Terminal unit having fused combiner/distribution bus bar assembly
KR100984143B1 (ko) 다중도체 접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분전반
US3991264A (en) Terminal box for cables
CN108551140B (zh) 母线基础单元结构
US4720769A (en) Lighting circuit breaker panelboard modular assembly including circuit breaker support mounting brackets
US5995362A (en) Support and electrical power supply device for electrical switchgear
US20200412074A1 (en) A hybrid busbar for a busbar system
KR102295147B1 (ko)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US4631634A (en) Lighting circuit breaker panelboard modular assembly
KR20080003842U (ko) 배전반
US4093970A (en) Main lug assembly for circuit breaker load centers
KR20130005426U (ko) 블록형 부스바 배선 장치
KR100672960B1 (ko) 부스바 지지대
KR200331163Y1 (ko) 배전반
KR101082328B1 (ko)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CN110289585B (zh) 一种直角转接式母线
CN210325662U (zh) 一种电源连接机构及塑壳断路器
JP5283840B2 (ja) 分岐ユニット及びバスダクトシステム
JP2003284211A (ja) 分電盤
CN108233188A (zh) 低压配电设备
US4679120A (en) Lighting circuit breaker panelboard modular assembly including circuit breaker indicating clips
US3740614A (en) Frame for mounting electric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