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413B1 - A alert apparatus for railway working helmet - Google Patents
A alert apparatus for railway working helm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6413B1 KR102286413B1 KR1020200002847A KR20200002847A KR102286413B1 KR 102286413 B1 KR102286413 B1 KR 102286413B1 KR 1020200002847 A KR1020200002847 A KR 1020200002847A KR 20200002847 A KR20200002847 A KR 20200002847A KR 102286413 B1 KR102286413 B1 KR 1022864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larm
- helmet
- control module
- led
- railro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4—Lighting devices, e.g. helmets with lamp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작업자의 안전모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작업자가 휴대한 철도무전기 또는 모바일기기와 블루투스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안전 경보 메시지를 안전모 전면에 위치한 점멸식 LED, 충격진동, 증폭이어폰을 통해 동시에 작업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작업자의 경보 인식률을 높일 수 있는 철도작업자 안전모용 차량진입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o a railroad worker's helmet, and by linking with a railroad radio or mobile device carried by the operator via Bluetooth, a safety alarm message delivered in real time through a flashing LED located on the front of the helmet, shock vibration, and amplification earphones At the same time, it relates to a vehicle entry warning device for a railroad worker's hard hat that can increase the worker's alarm recognition rate by delivering it to the opera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작업자의 안전모에 부착되어 열차의 진입신호에 대한 경보를 발생하는 철도작업자 안전모용 차량진입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휴대한 모바일기기 또는 철도무전기와 연동하여 열차진입 경보가 발생하였을 때 점멸 LED와 충격진동, 그리고 증폭이어폰을 통해 경보를 전달하는 철도작업자 안전모용 차량진입 경보장치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 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entry warning device for a railroad worker safety helmet that is attached to a railroad worker's helmet and generates an alarm for an entrance signal of a train, and more specifically, a train entrance warning device in conjunction with a mobile device or a railroad radio carried by the operator. It relates to a vehicle entry warning device for railroad workers hard hats that transmits an alarm through a flashing LED, shock vibration, and amplified earphones when , and a mobile app for controlling it.
건설 현장이나 철도 작업 현장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은 무전기, 모바일기기 등을 휴대하여 안전 상황에 대한 경보 메시지를 전달받는다. 그러나 작업 도중 경보가 울릴 경우 작업복 어딘가에 넣어둔 휴대 기기들을 찾아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고, 현장 소음이 커서 경보음을 듣지 못할 경우 심각한 안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철도작업자의 경우 현장 소음으로 인해 열차 접근 알림음을 제때에 듣지 못하여 피난 대처가 늦어져 사상사고로 이어지는 사례가 적지 않다.Workers working at construction sites or railway work sites carry radios, mobile devices, etc. to receive warning messages about safety conditions. However, if an alarm goes off during work, it is difficult to find and check the portable devices placed somewhere in the work clothes, and if the sound of the alarm is not heard due to the loud noise of the site, it can lead to a serious safety accident. In the case of railroad workers,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evacuation response is delayed due to the train approach warning sound due to on-site noise, leading to fatal accidents.
작업자의 모바일기기와 안전모를 연동하려는 시도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402120호(무선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스마트 안전모) 등을 통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발명과 같은 안전모는 무선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것에 중점을 둔 것으로서, 다양한 스마트 기능 탑재를 하고 있으나, 여러가지 부가기능에 의해서 회선과 장치의 복잡도로 인하여 안전모 자체의 무게를 늘리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장비 착용에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안전모 제작 비용이 증가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효과적이지 않다. 더구나 선행발명은 열차의 진입을 경보하는 특화된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 아니하여, 철도작업자의 안전에 적합하지 아니하여다. Attempts to link the worker's mobile device with the hard hat have been suggested through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02120 (smart hard hat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However, the helmet like the prior invention focuses on wireless communication and is equipped with various smart functions. It is not effective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as it not only puts a burden on the safety helmet, but also increases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helmet. Moreover, the prior invention does not provide a specialized function to warn the entrance of a train, so it is not suitable for the safety of railroad workers.
이에 철도작업자에게 철도차량의 진입신호를 가장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전모에 탈착이 가능한 형식으로, 경보를 효율적으로 작업자에 전달할 수 있는 스마트 경보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velop a smart alarm device that can efficiently transmit the alarm to the worker in a form that can be detached from the hard hat in order to most easily transmit the entry signal of the railroad car to the railroad work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전모에 탈부착이 가능하고, 철도작업자가 휴대한 철도무전기 또는 모바일기기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철도진입메시지를 안전모를 통하여 철도작업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철도작업자 안전모용 차량진입 경보장치 및 제어용 모바일 앱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safety helmet, and is interlocked with a railway radio or mobile device carried by the railway worker to transmit a railroad entry message delivered in real time to the railroad worker through the helme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entry warning device and a mobile app for control for railroad workers' hard hats.
본 발명은 현장 소음에 노출된 철도작업자에게 철도차량의 진입경보를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한 경보 장치에 있어, 철도무전기 또는 모바일기기와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철도차량의 진입시에 경보신호를 수신받아 안전모 전면부의 점멸식 LED, 충격진동, 증폭이어폰이 동시에 작동되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device for easily delivering an entrance warning of a railroad car to a railroad worker exposed to on-site noise. Flashing LED, shock vibration, and amplified earphones are activated at the same time.
본원 발명은 모바일 기기의 경보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한 개 이상의 블루투스 페어링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블루투스 연결부(110), 수신된 상기 경보신호에 의해서 각 경보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구비하는 경보 제어 모듈(100); 를 구비하되, 상기 경보모듈(200)은, 현장 소음에도 청취가 가능한 증폭이어폰(210);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larm control module ( 100); However, the
안전 경보 상황 발생시 충격진동을 안전모에 전달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충격진동경보(220); 점멸식 적록 LED를 사용하여 경보 발생시 점멸등 형태로 적색 LED와 녹색 LED를 번갈아 교차 점멸하여 사용자가 경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점멸 LED(2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원 발명은 사용자의 안전모의 둘레를 따라 표면에 부착되어 휴대할 수 있도록 벨크로 장착부(320)를 구비한 신축성있는 섬유 소재의 연결 벨트(300); 상기 연결 벨트(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면에 띠 형태로 고정된 회선 및 전원을 공급을 위한 회선 연결부(31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벨트(3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경보 제어 모듈(100)과 각 경보 모듈(200)이 장착되되, 상기 경보 제어 모듈(100)은 안전모 후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벨트(300)에 구비되고, 상기 점멸LED(230)는 안전모 전면 챙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ㄷ 자형 LED 고정 클립(330)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벨트에 고정되며, 상기 증폭이어폰(210)은 코일구조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유선이어폰으로서, 일단이 안전모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벨트에 고정되어, 상기 회선 연결부를 통해서 회선 및 전원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웨어러블 방식으로 작업자의 안전모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surfac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ser's helmet, the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철도차량 진입신호를 철도작업자의 안전모를 통해서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특히 전면에 위치한 점멸식 LED 불빛과 충격진동, 그리고 증폭이어폰을 통해 동시에 작업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경보수단을 제공하여 사고예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transmit a railroad vehicle entry signal transmitted from a mobile device through a railroad worker's helmet, and in particular, visually and hearing It is designed to prevent accidents in advance by providing a means of warning and tactile warning.
본 발명은 LED경보가 ㄷ 자형 클립의 하측면에 구비된 것으로서, 안전모의 챙에 용이하게 결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LED 경보가 발생했을 때 용이하게 눈에 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D alarm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U-shaped clip, and not only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visor of the helmet, but also can be easily noticed when the LED alarm occurs.
본 발명은 웨어러블 형태로 탈부착이 가능한 장치로 구현함으로써 기존 안전모를 교체하지 않고도 사고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다. By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s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n accident prevention effect can be expected without replacing the existing hard hat, and thus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ered.
본 발명은 안전모의 측면에 코일스프링구조의 유선이어폰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철도작업자가 용이하게 장착하면서 동시에 외부의 작업환경에 의한 소음과 별도로 경고음을 들을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a wire earphone having a coil spring structure can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safety helmet, so that a railroad worker can easily mount it and at the same time hear a warning sound separately from noise caused by an external working environment.
도1은 철도작업자를 위한 웨어러블 스마트 경보 장치의 안전모 부착도
도2은 스마트 경보 장치와 사용자 휴대 기기 간 연동을 위한 기능 블록도
도3는 모바일기기와 스마트 경보 장치간 경보 발생 흐름도
도4는 철도무전기와 스마트 경보 장치간 경보 발생 흐름도1 is a safety helmet attachment view of a wearable smart alarm device for railroad workers
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interworking between a smart alarm device and a user's portable device;
3 is a flow chart of alarm gener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smart alarm device;
4 is a flowchart of alarm generation between a railroad radio and a smart alarm devic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철도작업자를 위한 웨어러블 스마트 경보 장치(001)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As shown in FIGS. 1 and 2, a wearable smart alarm device 001 for railway workers of the present invention
한 개 이상의 블루투스 페어링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블루투스 연결부(110), 각 블루투스 기기에 대한 경보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120)를 구비하는 경보 제어 모듈(100)과,An
현장 소음에도 청취가 가능한 증폭이어폰(210), 철도차량 진입경보 메시지가 모바일기기 또는 무전기로부터 수신되었을 때 진동충격을 안전모에 전달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충격진동경보수단(220), 점멸식 적록 LED를 사용하여 경보 발생시 점멸등 형태로 적색 LED와 녹색 LED를 번갈아 교차 점멸하여 사용자가 경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점멸 LED수단(230), 그리고 작업자의 야간 작업을 보조하기 위한 작업등(240)을 구비하는 경보 모듈(200)로 구성된다. An amplified
바람직하게, 상기 철도안전모용 차량진입 경보 장치(001)는 철도작업자의 안전모에 탈부착할 수 있는 벨트형 연결 장치로서, Preferably, the vehicle entry warning device 001 for the railroad safety helmet is a belt-type connection device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safety helmet of the railroad worker,
각 모듈을 연결하는 회선 및 전원 공급 라인이 가운데 합성 플라스틱 재질의 띠 형태로 고정된 회선 연결부(310), 사용자의 안전모에 부착되어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된 벨크로 장착부(320), 경보 LED를 안전모 전면에 장착하기 위한 전면 LED 고정 클립(330)을 구비하는 신축성있는 섬유 소재의 연결 벨트(300)로 구성된다. The line connecting each module and the power supply line are fixed in the form of a synthetic plastic band in the middle, the
바람직하게 본원 발명은 Preferably,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의 안전모의 둘레를 따라 표면에 부착되어 휴대할 수 있도록 벨크로 장착부(320)를 구비한 신축성있는 섬유 소재의 연결 벨트(300);A
상기 연결 벨트(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면에 띠 형태로 고정된 회선 및 전원을 공급을 위한 회선 연결부(310);를 포함하고, and a
상기 연결 벨트(3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경고 제어 모듈(100)과 각 경보 모듈(200)이 장착되되, The
상기 경보 제어 모듈(100)은 안전모 후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벨트(300)에 구비되고, The
상기 점멸LED(230)는 안전모 전면 챙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ㄷ 자형 LED 고정 클립(330)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벨트에 고정되며, The flashing
상기 증폭이어폰(210)은 코일구조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유선이어폰으로서, 일단이 안전모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벨트에 고정되어, The
상기 회선 연결부를 통해서 회선 및 전원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웨어러블 방식으로 작업자의 안전모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s the line and power supply are made through the line connection part,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worker's helmet in a wearable manner.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서 작업자의 안전모는 작업자가 작업 도중 주머니 안에 휴대한 모바일기기나 철도무전기와 같은 경보 단말기를 꺼내거나 조작할 필요없이 경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로 연결된다. 본원 발명은 작업자의 웨어러블 장비 중 경보 인식률을 높일 수 있도록 안전모에 장착되는 장비이다. 본원 발명의 웨어러블 스마트 경보 장치(001)는 벨트 형태로 제작하여 안전모에 벨크로 등의 방식으로 탈부착하도록 구현함을 특징으로 한다. With this structure, the worker's helmet is connected via Bluetooth so that the worker can recognize the alarm without having to take out or operate an alarm terminal such as a mobile device or a railroad radio carried in his pocket during work.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quipment mounted on a helmet so as to increase the alarm recognition rate among wearable equipment of the operator. The wearable smart alarm device 00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bel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mplemented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hard hat using Velcro or the like.
또한 상기 웨어러블 스마트 경보 장치(001)는 증폭이어폰(210)을 한쪽 귀에 꼽아 작업을 하고 있는 동안에도 상시로 무전음과 모바일기기에서 발생하는 안전 경보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고,In addition, the wearable smart alarm device 001 allows the
경보의 발생을 알리는 점멸식 LED(220)를 안전모 전면의 모자챙 끝부분에 클립으로 고정하여 작업자의 눈높이 바로 윗부분에서 적색, 녹색을 교차로 깜박이도록 하여 사용자가 현장 소음으로 경보 비상음을 듣지 못하더라도 경보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The flashing
안전모에 진동을 가하는 기계식 충격진동경보수단(230)를 구비하여 현장 소음이 심한 상황에서 놓칠 수 있는 경보를 머리에 착용하고 있는 안전모에 대한 진동에 의해서 촉각적으로 경보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충격진동경보수단은 모터의 축에 편심되어 결합된 스트로크(미도시)를 구비한다. A mechanical shock and vibration alarm means 230 for applying vibration to the helmet is provided so that an alarm that can be missed in a situation of severe on-site noise can be tactilely recognized by the vibration of the helmet worn on the head. The shock vibration alarm means has a stroke (not shown) coupled to the shaft eccentrically of the motor.
상기 충격진동경보의 경우 소음이 심하지 않은 현장에서는 작업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할 우려가 있으므로, 경보 도중 작업자가 충격진동경보 장치를 손으로 가볍게 터치하여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경보해제 터치수단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the shock vibration alarm, since there is a risk of distracting the operator at a site where the noise is not severe, an alarm release touch means is provided so that the operator can release the shock vibration alarm device by lightly touching it with a hand during the alarm. do it with
본 발명의 스마트 경보 장치가 경보를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정보의 흐름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바일기기(400)와 연동하여 경보를 발생함에 있어,The flow of information through which the smart alarm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livers an alarm to an operator generates an alarm in conjunction with the
상기 경보 제어 모듈(100)은 The
사용자가 모바일기기에서 철도작업자 작업 모니터링을 위한 모바일 앱 모듈(400)을 실행(3a_1)하여 기능을 시작하는 단계; The user starts the function by executing (3a_1) the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기기와 스마트 경보 장치의 경보 제어 모듈 간에 블루투스 페어링(Pairing)(3a_2)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경보 제어 모듈은 초기화가 완료됨을 경보 모듈에 전달하여 LED 점멸과 충격진동을 발생(3a_3)시키고, 증폭이어폰을 통해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발생(3a_4)시키는 단계;When Bluetooth pairing (3a_2) is successfully performed between the mobile device carried by the user and the alarm control module of the smart alarm device, the alarm control module notifies the alarm module that initialization is complete, causing LED flashing and shock vibration (3a_3) ) and generating (3a_4) a voice message informing that the initializ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amplification earphone;
온라인 경보가 발생하였을 경우 모바일기기는 수신된 경보를 상기 경보 제어 모듈에 전달(3b_1)하고, 경보 제어 모듈은 경보가 발생하였음을 경보 모듈에 전달하여 LED 점멸과 충격진동을 발생(3b_2)시키고, 증폭이어폰을 통해 경보의 내용을 음성 메시지 형태로 공지(3b_3)하는 단계;에 의해서 제어된다. When an online alarm occurs, the mobile device transmits the received alarm to the alarm control module (3b_1), and the alarm control module transmits that an alarm has occurred to the alarm module to generate LED blinking and shock vibration (3b_2), It is controlled by; the step of notifying (3b_3) the content of the alert in the form of a voice message through the amplification earphone.
즉, 사용자가 모바일기기에서 철도작업자 작업 모니터링을 위한 모바일 앱 모듈(400)을 실행(3a_1)하여 기능을 시작하고,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기기와 스마트 경보 장치의 경보 제어 모듈 간에 블루투스 페어링(Pairing)(3a_2)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경보 제어 모듈은 초기화가 완료됨을 경보 모듈에 전달하여 LED 점멸과 충격진동을 발생(3a_3)시키고, 증폭이어폰을 통해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발생(3a_4)킨다. That is, the user starts the function by executing the
또한 모바일기기가 철도차량의 진입신호가 수신하였을 경우, 모바일기기는 수신된 경보를 스마트 경보 장치의 경보 제어 모듈에 전달(3b_1)하고, 경보 제어 모듈은 경보가 발생하였음을 경보 모듈에 전달하여 LED 점멸과 충격진동을 발생(3b_2)시키고, 증폭이어폰을 통해 경보의 내용을 음성 메시지 형태로 공지(3b_3)하고, 안전모와 두드려 진동하는 충격진동경보는 경보 도중 안전모와 이어폰 연결 단자 부분을 사용자가 가볍게 터치하여 중간에 해제(3b_4)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In addition, when the mobile device receives the entry signal of the railroad vehicle, the mobile device transmits the received alarm to the alarm control module of the smart alarm device (3b_1), and the alarm control module transmits the alarm that the alarm has occurred to the LED Flashing and shock vibration are generated (3b_2), and the contents of the alarm are announced in the form of a voice message through the amplified earphone (3b_3). It has a function that can be released (3b_4) in the middle by touching.
다른 한편, 모바일기기를 통해서 실시간 안내 방송이 발생하였을 경우 모바일기기는 수신된 정보를 스마트 경보 장치의 경보 제어 모듈에 전달(3c_1)하면, 경보 제어 모듈은 경보와 음성 정보를 경보 모듈에 전달하여 LED 점멸과 충격진동을 발생(3c_2)시키고, 증폭이어폰을 통해 경보 내용을 음성 안내 메시지의 형태로 공지(3c_3)하고, 충격진동경보는 경보 도중 안전모와 이어폰 연결 단자 부분을 사용자가 가볍게 터치하여 중간에 해제(3b_4)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real-time announcement occurs through the mobile device, the mobile device transmit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alarm control module of the smart alarm device (3c_1), and the alarm control module transmits the alarm and voice information to the alarm module to LED Flashing and shock vibration are generated (3c_2), and the alarm contents are announced in the form of a voice guidance message through the amplified earphone (3c_3). A function capable of releasing (3b_4) is provided.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기기의 모바일 앱에서 충격진동경보의 기능을 직접 해제하거나 재개할 수 있도록 선택(3d_1 ~ 3d_2)하여 충격진동경보에 예민한 사용자에게 선택 사항으로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can select (3d_1 ~ 3d_2) to directly cancel or resume the function of the shock vibration alarm in the mobile app of the mobile device carried by the user, and provide it as an option to the user who is sensitive to the shock vibration alarm.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철도무전기와 연동하여 경보를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n alarm in conjunction with a railroad radio,
상기 경보 제어 모듈(100)은 철도무전기와 연동하여 경보를 발생함에 있어,The
사용자가 휴대한 철도무전기(500)와 경보 제어 모듈 간에 블루투스 페어링(Pairing)(4a_1)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경보 제어 모듈은 초기화가 완료됨을 경보 모듈에 전달하여 LED 점멸과 충격진동을 발생(4a_2)시키고, 증폭이어폰을 통해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발생(4a_3)시키는 단계;When the Bluetooth pairing (4a_1) is successfully performed between the
상기 경보 제어 모듈은 철도무전기로부터 음성신호의 발생을 모니터링(4b_1)하다가 무전기를 통해 음성이 수신(4b_2)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경보가 발생하였음을 경보 모듈에 전달하여 LED 점멸과 충격진동을 발생(4b_3)시키고, 증폭이어폰을 통해 경보의 내용을 음성 메시지 형태로 공지(4b_4)하는 단계;The alarm control module monitors the generation of a voice signal from the railroad radio (4b_1), and when a voice is received through the radio (4b_2), it detects it and transmits the alarm that an alarm has occurred to the alarm module, causing LED flashing and shock vibration ( 4b_3) and notifying (4b_4) the content of the alert in the form of a voice message through the amplification earphone;
상기 충격진동경보는 경보 도중 안전모에 구비된 스위치를 터치하여 도중에 해제(4b_5)하는 단계;에 의해서 제어된다. The shock vibration alarm is controlled by a step of releasing (4b_5) midway by touching the switch provided on the helmet during the alarm.
즉, 사용자가 휴대한 철도무전기(500)와 스마트 경보 장치의 경보 제어 모듈 간에 블루투스 페어링(Pairing)(4a_1)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경보 제어 모듈은 초기화가 완료됨을 경보 모듈에 전달하여 LED 점멸과 충격진동을 발생(4a_2)시키고, 증폭이어폰을 통해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발생(4a_3)시키고, 스마트 경보 장치의 경보 제어 모듈은 철도무전기로부터 음성 신호의 발생을 모니터링(4b_1)하다가 무전기를 통해 음성이 수신(4b_2)되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경보가 발생하였음을 경보 모듈에 전달하여 LED 점멸과 충격진동을 발생(4b_3)시키고, 증폭이어폰을 통해 경보의 내용을 음성 메시지 형태로 공지(4b_4)하고, 충격진동경보는 경보 도중 안전모와 이어폰 연결 단자 부분을 사용자가 가볍게 터치하여 중간에 해제(4b_5)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when the Bluetooth pairing (4a_1) is successfully performed between the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기기에 설치되어 스마트 경보 장치와 연동하여 제어하는 모바일 앱 모듈(400)은, 철도 관제 시스템과 연계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진입과 지연, 출발 및 각종 안전 돌발 상황을 실시간으로 스마트 경보 장치에 알리는 경보 관제 기능(420)과, 작업자들의 현재 위치를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 기기의 GPS 정보를 사용하여 파악하고 앱 상의 철도 현장 지도에 항상 표시되도록 하는 위치 확인 기능(410)을 포함하여야 하며, 이를 관제하고 감시하는 작업감시자를 두어 운용하여야 한다.The
001: 철도작업자를 위한 웨어러블 스마트 경보 장치
100: 블루투스 모듈
110: 블루투스 연결부
120: 제어부
200: 경보 모듈
210: 증폭이어폰
220: 충격진동경보
230: 점멸 LED
240: 작업등
300: 연결 벨트
310: 회선 연결부
320: 벨크로 장착부
330: 전면 LED 고정 클립
400: 모바일 앱 모듈
410: 위치 확인
420: 경보시스템001: Wearable smart alarm device for railway workers
100: Bluetooth module
110: Bluetooth connection unit
120: control unit
200: alarm module
210: amplification earphone
220: shock vibration alarm
230: blinking LED
240: work light
300: connecting belt
310: line connection
320: Velcro mounting portion
330: front LED fixing clip
400: mobile app module
410: check location
420: alarm system
Claims (4)
모바일 기기의 경보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한 개 이상의 블루투스 페어링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블루투스 연결부(110), 수신된 상기 경보신호에 의해서 각 경보모듈(200)을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구비하는 경보 제어 모듈(100);을 구비하되,
상기 경보모듈(200)은,
현장 소음에도 청취가 가능한 증폭이어폰(210);
안전 경보 상황 발생시 충격진동을 안전모에 전달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충격진동경보(220);
점멸식 적록 LED를 사용하여 경보 발생시 점멸등 형태로 적색 LED와 녹색 LED를 번갈아 교차 점멸하여 사용자가 경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점멸 LED(230);를 포함하고,
안전모의 둘레를 따라 표면에 부착되어 휴대할 수 있도록 벨크로 장착부(320)를 구비한 신축성있는 섬유 소재의 연결 벨트(300);
상기 연결 벨트(3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면에 회선 및 전원을 공급을 위한 띠 형태로 구비된 회선 연결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벨트(3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경보 제어 모듈(100)과 각 경보 모듈(200)이 장착되되,
상기 경보 제어 모듈(100)은 안전모 후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벨트(300)에 구비되고,
상기 점멸 LED(230)는 안전모 전면 챙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ㄷ 자형 LED 고정 클립(330)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벨트에 고정되며,
상기 증폭이어폰(210)은 코일구조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유선이어폰으로서, 일단이 안전모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벨트에 고정되어,
상기 회선 연결부를 통해서 회선 및 전원 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웨어러블 방식으로 작업자의 안전모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작업자 안전모용 차량진입 경보장치.
In the safety helmet alarm device for alerting the approach of the railroad car to the railroad worker,
An alarm control module ( 100); but,
The alarm module 200,
Amplifying earphones 210 that can listen to field noise;
Shock vibration alarm 220 for generating an alarm by transmitting the shock vibration to the helmet when a safety alarm situation occurs;
A flashing LED 230 that alternately flashes a red LED and a green LED in the form of a flashing light when an alarm occurs using a flashing red-green LED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alarm; includes;
A connection belt 300 made of an elastic fiber material having a Velcro mounting part 320 to be attached to the surface along the perimeter of the helmet and to be carried;
and a line connecting part 310 provided in the form of a belt for supplying lines and power on the upper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belt 300;
The connection belt 30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alarm control module 100 and each alarm module 200 are mounted,
The alarm control module 100 is provided on the connection belt 300 so as to be mounted on the rear of the helmet,
The flashing LED 23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shaped LED fixing clip 330 so as to b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visor of the helmet and is fixed to the connection belt,
The amplification earphone 210 is a wired earphone elastically adjustable in length by a coil structure, and is fixed to the connection belt so that one end is fixed to the side of the helmet,
A vehicle entry warning device for a railroad worker hard hat,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worker's helmet in a wearable manner as a line and power are supplied through the line connection part.
상기 경보 제어 모듈(100)은
사용자가 모바일기기에서 철도작업자 작업 모니터링을 위한 모바일 앱 모듈(400)을 실행(3a_1)하여 기능을 시작하는 단계;
사용자가 휴대한 모바일기기와 스마트 경보 장치의 경보 제어 모듈 간에 블루투스 페어링(Pairing)(3a_2)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경보 제어 모듈은 초기화가 완료됨을 경보 모듈에 전달하여 LED 점멸과 충격진동을 발생(3a_3)시키고, 증폭이어폰을 통해 초기화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발생(3a_4)시키는 단계;
온라인 경보가 발생하였을 경우 모바일기기는 수신된 경보를 상기 경보 제어 모듈에 전달(3b_1)하고, 경보 제어 모듈은 경보가 발생하였음을 경보 모듈에 전달하여 LED 점멸과 충격진동을 발생(3b_2)시키고, 증폭이어폰을 통해 경보의 내용을 음성 메시지 형태로 공지(3b_3)하는 단계;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작업자 안전모용 차량진입 경보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alarm control module 100
The user starts the function by executing (3a_1) the mobile app module 400 for railway worker job monitoring on the mobile device;
When Bluetooth pairing (3a_2) is successfully performed between the mobile device carried by the user and the alarm control module of the smart alarm device, the alarm control module notifies the alarm module that initialization is complete, causing LED flashing and shock vibration (3a_3) ) and generating (3a_4) a voice message informing that the initializ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amplification earphone;
When an online alarm occurs, the mobile device transmits the received alarm to the alarm control module (3b_1), and the alarm control module transmits that an alarm has occurred to the alarm module to generate LED blinking and shock vibration (3b_2), A vehicle entry warning device for a railroad worker hard ha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by; announcing (3b_3) the contents of the alarm in the form of a voice message through the amplification earpho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2847A KR102286413B1 (en) | 2020-01-09 | 2020-01-09 | A alert apparatus for railway working helm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2847A KR102286413B1 (en) | 2020-01-09 | 2020-01-09 | A alert apparatus for railway working helm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9832A KR20210089832A (en) | 2021-07-19 |
KR102286413B1 true KR102286413B1 (en) | 2021-08-05 |
Family
ID=7712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2847A Active KR102286413B1 (en) | 2020-01-09 | 2020-01-09 | A alert apparatus for railway working helm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641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65731A (en) * | 2021-08-09 | 2021-10-01 | 北京国兴力德新材料技术有限公司 | Railway line group operation safety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
KR102501516B1 (en) | 2021-11-24 | 2023-02-21 | 유태균 | Safety alarm system installed on safety vest for workers |
CN114009894A (en) * | 2021-11-30 | 2022-02-08 | 国网四川省电力公司南充供电公司 | a smart helmet |
CN114143721B (en) * | 2021-12-06 | 2023-10-20 | 国网山东省电力公司潍坊供电公司 | Positioning alarm for safety helmet |
CN115206073B (en) * | 2022-06-21 | 2024-07-26 | 安徽超清科技股份有限公司 | Rail safety monitoring system based on 5G communication |
KR102570651B1 (en) * | 2022-06-23 | 2023-08-24 | 변용섭 | Wearing safety caps and location information of movement line check system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4426B1 (en) * | 2017-12-05 | 2018-10-04 | 대아티아이 (주)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ystem of wayside working in railroad safety supervisio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4339A (en) * | 2008-10-22 | 2010-04-30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Danger detection system for safety of repairman working on railway line and method of detecting danger |
KR101295195B1 (en) * | 2010-04-20 | 2013-08-09 | (주)모토넷 | Communication bluetooth system |
KR20170018747A (en) * | 2015-08-10 | 2017-02-20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Smart Helmet, Worker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
-
2020
- 2020-01-09 KR KR1020200002847A patent/KR10228641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04426B1 (en) * | 2017-12-05 | 2018-10-04 | 대아티아이 (주)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ystem of wayside working in railroad safety supervis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89832A (en) | 2021-07-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86413B1 (en) | A alert apparatus for railway working helmet | |
US8710979B2 (en) | Personal alarm device for headwear for proximity detection | |
KR101131947B1 (en) | Warning apparatus for accident prevention in road construction field | |
KR101152031B1 (en) | Safety Helmet | |
KR20120083946A (en) | Supervisory apparatus of wearing the safety helmet in the construction field | |
JP3200747U (en) | Disaster prevention helmet | |
JP2010185155A (en) | Helmet with index-projecting means | |
JP2000037357A (en) | Phys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
KR100975289B1 (en) | Train approach alarm system and method using bone conduction speaker | |
KR102618229B1 (en) | Wearer monitoring module for hard hat and safety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 |
US20230001242A1 (en) | Fall Alerting Assembly | |
JP7055193B2 (en) | Emergency evacuation warning device and emergency evacuation warning system for wearing helmets | |
EP3815067B1 (en) | Improved arboriculture safety system | |
KR102501516B1 (en) | Safety alarm system installed on safety vest for workers | |
KR101149943B1 (en) | Vibration fire mask | |
EP3445158B1 (en) | Improved tree felling wedge giving tree felling alert | |
CN113826409A (en) | Self-retracting lifeline communication system | |
CN212994764U (en) | Safety helmet | |
JP2006195872A (en) |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 |
KR20180003378A (en) | Smart earplug having gas sensor and announcement transfering system using thesame | |
KR102812800B1 (en) | Safety glasses with real-time live alert function | |
CN112335971B (en) | Electric power operation safety helmet, electric power operation sit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 |
CN219781703U (en) | Intelligent safety helmet with automatic alarm function for intelligent construction site | |
JP3019807U (en) | Safety helmet | |
KR20230100119A (en) | safety ca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107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