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5248B1 - Lens mov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ens mov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5248B1 KR102285248B1 KR1020200100692A KR20200100692A KR102285248B1 KR 102285248 B1 KR102285248 B1 KR 102285248B1 KR 1020200100692 A KR1020200100692 A KR 1020200100692A KR 20200100692 A KR20200100692 A KR 20200100692A KR 102285248 B1 KR102285248 B1 KR 1022852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member
- bobbin
- printed circuit
- circuit board
- electrically connect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 H04N5/2253—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코일의 양끝선을 상하로 나누어 상측 탄성부재 및 하측 탄성부재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을 중간 연결수단으로 사용하여 결과적으로 코일에 외부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는 보빈의 코일의 양끝선의 접속지점을 상측 탄성부재와 하측 탄성부재로 나누어 배치할 수 있어 코일과 외부 전원 사이의 접속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y dividing both ends of the coil up and down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used as an intermediate connection means to electrically connect an external power source to the coil as a result. can 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points of both ends of the coil of the bobbin can be divided into an upper elastic member and a lower elastic member, and thus a connection working space between the coil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can be sufficiently secured.
Description
본 실시예는 렌즈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보빈의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면서 렌즈의 광축 방향 변위량을 피드백하여 렌즈의 초점 정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lens driv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ns driving device capable of reducing a focus alignment time of a lens by feeding back an amount of displacement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of a lens while improving spatial efficiency of a bobbin.
최근 들어,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등의 IT 제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IT products such a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a notebook computer with a built-in micro digital camera is being actively conducted.
종래의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되는 IT제품의 경우, 외부광을 디지털 이미지 또는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렌즈 구동장치가 내장되어 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IT product with a built-in miniature digital camera, an image sensor that converts external light into a digital image or digital image and a lens driving device that aligns the focal length of the lens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 are built-in.
그러나, 종래의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는 자동 초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코일과 외부 전원 사이의 접속(예를 들어, 솔더링 또는 납땜) 작업 공간이 협소한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However, the conventional miniature digital camera has a problem in that a working space for connection (eg, soldering or soldering) between a coil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is narrow in order to perform an autofocus function.
따라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렌즈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lens driving device that solves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목적은 보빈의 코일과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외부 전원 사이의 접속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lens driving device capable of securing a connection working space between a coil of a bobbin and an external power supply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coil.
또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상측 탄성부재와 하측 탄성부재의 제조단가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보빈의 코일과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외부 전원 사이의 접속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 lens driving device capable of securing a connection working space between a coil of a bobbin and an external power supply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coil without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실시예는, 구동용 마그네트를 지지하는 중공기둥 형상의 하우징과;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의 내측에 배치되는 코일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와 상기 코일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광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과; 상기 하우징와 상기 보빈을 탄성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코일의 양끝선 각각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측 탄성부재 및 하측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자부 및 출력단자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입력단자부 및 상기 출력단자부 중 하나의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는 상기 입력단자부 및 상기 출력단자부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housing having a hollow column shape for supporting a driving magnet; a bobbin having a coil disposed inside the driving magnet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inside the housing by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driving magnet and the coil; an upper elastic member and a lower elastic member elastically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il; and a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including an input terminal part and an output terminal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wherein the upper elastic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terminal part of the input terminal part and the output terminal part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측 탄성부재 및 상기 하측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의 상부면 및 하측면 중 일면에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 및 하측면 중 일면에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 및 상기 외측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an inner frame coupled to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bbin, and an outer frame coupled to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on portion for elastically connecting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의 단자부 및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one terminal part and the other terminal part are provided from the bottom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oward the outsid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의 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에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와 동일한 높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측 탄성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부 접속용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에서 상기 하측 탄성부재와 동일한 높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 탄성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부 접속용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one terminal part is provid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lastic memb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The other terminal part is provid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lastic memb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terminal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elastic member.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나의 단자부와 상기 상부 접속용 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 중 하나의 인쇄회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단자부와 상기 하부 접속용 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 중 다른 하나의 인쇄회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one terminal part and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part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one printed circuit among 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s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other terminal part and the lower connection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terminal unit for u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printed circuits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일의 양끝선 중 하나의 끝선은 상기 하측 탄성부재의 내측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코일의 양끝선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끝선은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내측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one end line of both end lines of the coi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ner frame of the lower elastic member, and the other end line of both end lines of the coi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ner fram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외측 프레임은 수평 외측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나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중간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의 외측 프레임은 수평 외측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중간단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outer fram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is provided in a horizontal outward direction and includes a first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ne terminal portion, and the outer frame of the lower elastic member is provided in a horizontal outward direction. and a second intermediate terminal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par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중간단자부와 상기 제2 중간단자부는, 상기 외측 프레임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first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one side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outer fram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중간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에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와 동일한 높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나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접속용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중간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에서 상기 하측 탄성부재와 동일한 높이에 구비되고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 접속용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first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is provid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lastic memb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upper connection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ne terminal portion, The second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is provid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lastic memb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lower connection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중간단자부와 상기 제2 중간단자부는, 양측면에서 상기 외측 프레임 중 일부 외측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유로한정용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first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low path limiting cutout formed by cutting some outer portions of the outer frame from both side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외측면에서 상기 제1 중간단자부의 하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 회피용 절개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외측면에서 상기 제2 중간단자부의 상부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제2 회피용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avoidance cutout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under the first intermediate terminal part on the outer surface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in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avoidance cutout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on the outer surface opposite to the side surfa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일은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3층 또는 6층으로 권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coi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wound in three or six layer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빈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제1 변위값을 판단하는 변위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bobbi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cement sensor for determining a first displacement value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위 감지부는, 상기 보빈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에 구비되는 센싱용 마그네트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에서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제1 변위값을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displacement sensing unit corresponds to a sensing magnet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bobbin, and the sensing magne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It is provided at a position to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si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first displacement value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sensing magnet.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빈은,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를 수용하도록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소정 깊이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bobbi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inner direction of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to accommodate the sensing magnet.
전술한 과제해결수단의 의하면, 본 실시예는 코일의 양끝선을 상하로 나누어 상측 탄성부재 및 하측 탄성부재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을 중간 연결수단으로 사용하여 결과적으로 코일에 외부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는 보빈의 코일의 양끝선의 접속지점을 상측 탄성부재와 하측 탄성부재로 나누어 배치할 수 있어 코일과 외부 전원 사이의 접속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this embodiment divides both ends of the coil up and down and electrically connects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so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used as an intermediate connecting means. An external power supply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points of both ends of the coil of the bobbin can be divided into an upper elastic member and a lower elastic member, and thus a connection working space between the coil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can be sufficiently secured.
또한, 본 실시예는 상측 탄성부재와 하측 탄성부재의 외측 프레임에 유로한정용 절개부를 간단하게 형성함으로써, 상측 탄성부재와 하측 탄성부재에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상측 탄성부재와 하측 탄성부재를 코일의 중간 연결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는 상측 탄성부재와 하측 탄성부재의 제조단가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보빈의 코일과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외부 전원 사이의 접속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are coiled without adding a separate configuration to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by simply forming a flow path limiting cutout in the outer fram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It can be used as an intermediate connecting means of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ecure a connection working space between the coil of the bobbin and an external power supply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coil without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또한, 본 실시예는 코일과 외부 전원 사이의 접속 공정시 유체성 전도물질(예를 들어, 접속 공정이 납땜인 경우 납땜액)이 단자부 이외의 부품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는 접속 공정시 발생되는 고온의 유체성 전도물질로 인해 하우징 또는 인쇄회로기판 등의 모재가 융해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렌즈 구동장치의 불량률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uid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soldering liquid when the connection process is soldering) from flowing to components other than the terminal part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coil and the external power supply. For this reason,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event melting or damage to the base material such as the housing or the printed circuit board due to the high-temperature fluid conductive material generated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defect rate of the lens driving device. .
도 1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커버부재를 제거한 렌즈 구동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와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하우징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 탄성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 탄성부재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부분 확대 저면도이고,
도 17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홈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상부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렌즈 구동장치의 상부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하부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하부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driving device with the cover member removed in FIG. 1;
Figure 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ure 3,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viewed from an angle different from FIG. 5;
7 is a schematic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8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9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upper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10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lower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rinted circuit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13 is a schematic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1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15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 14;
16 is a partially enlarged bottom view of FIG. 14;
17 is a schematic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receiving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18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bob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19 is a schematic partial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20 i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part of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21 is a schematic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art of the lens driving device of FIG. 20;
2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lower portion of a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23 is a schematic partial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lower part of the lens dri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so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i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ber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when indicating the same configuration in other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a known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certain features presented in the drawings are enlarged, reduced, or simplified for ease of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and components thereof are not necessarily drawn to scale.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ese details.
참고로, 도 1 내지 도 18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 방향, x축 방향은 제2 방향, y축 방향은 제3 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For reference, in FIGS. 1 to 18 , a Cartesian coordinate system (x, y, z) may be used. In the drawings, the x-axis and y-axis mea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For convenience, the optical-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the x-axis direction as a second direction, and the y-axis direction as a third direction. .
도 1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커버부재(300)를 제거한 렌즈 구동장치(10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4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와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하우징(14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40)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4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측 탄성부재(15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측 탄성부재(16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17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0)는 카메라 모듈에서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이미지 센서가 상기 렌즈의 초점 거리에 위치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렌즈 구동장치(100)는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The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0)는, 커버부재(300), 상측 탄성부재(150), 보빈(110), 상기 보빈(110)에 구비되는 코일(120), 하우징(140), 상기 하우징(140)에 구비되는 구동용 마그네트(130) 및 인쇄회로기판(170), 하측 탄성부재(160), 베이스(210) 및 상기 보빈(110)의 광축 방향(즉, 제1 방향)의 변위량을 판단하는 변위 감지부를 포함한다.1 to 4 , the
커버부재(300)는 전체적으로 상자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21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기 베이스(210)와 함께 형성된 수용공간 내에 상측 탄성부재(150), 보빈(110), 상기 보빈(110)에 구비되는 코일(120), 하우징(140), 상기 하우징(140)에 구비되는 구동용 마그네트(130) 및 인쇄회로기판(170)을 수용한다.The
상기 커버부재(300)는, 상부면에 보빈(110)에 결합되는 렌즈가 외부광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를 구비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기 개구부에는 광투과성 물질로 구성된 윈도우가 구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상기 커버부재(300)는 하부에서 제1 홈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후술하겠지만, 상기 베이스(210)는 상기 커버부재(300)와 상기 베이스가 결합될 때 상기 제1 홈부(310)와 맞닿는 부분(즉, 제1 홈부(310)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제2 홈부(2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00)와 상기 베이스가 결합시 제1 홈부(310)와 제2 홈부(211)의 결합을 통해 일정 면적의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요홈부에는 점도를 갖는 접착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즉, 상기 요홈부에 도포된 접착부재는 상기 요홈부를 통해 커버부재(300)와 베이스(210)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 사이의 갭(gap)을 메우어, 커버부재(300)가 베이스(210)와 결합되면서 상기 커버부재(300)와 상기 베이스(210)의 사이를 밀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가 결합되면서 측면이 밀폐될 수 있다.The
또한, 커버부재(300)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단자면과 대응되는 면에는 상기 단자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단자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제3 홈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홈부(320)는 상기 단자면과 마주보는 면 전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제 3 홈부 안쪽으로 상기 접착부재를 도포하여 커버부재(300)와 베이스(210) 및 인쇄회로기판(170)을 밀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베이스가 결합되면서 측면이 밀폐될 수 있다.In addition, a
한편, 상기 제1 홈부(310) 내지 상기 제3 홈부(320)는 베이스(210)와 커버부재(300)에 각각 형성되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베이스(210)에만 형성되거나, 커버부재(300)에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베이스(210)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300)와 결합하여 보빈(110) 및 하우징(140)의 수용공간을 형성한다.The base 210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and is combined with the
상기 베이스(210)의 하부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외측방향으로 소정 두께 돌출된 단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턱부의 상기 소정 두께는 상기 커버부재(300)의 측면 두께와 동일하며, 상기 커버부재(300)가 상기 베이스(210)에 결합될 때, 상기 커버부재(300)의 측면은 상기 단턱부의 상부 또는 측면에 안착 또는 접촉 또는 배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단턱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부재(300)를 가이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커버부재(300)의 단부가 면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의 단부는 밑면 또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턱부와 커버부재(300)의 단부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 고정 및 밀봉될 수 있다.A stepped portion protruding outwar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lower edge of the
상기 단턱부에는, 상기 커버부재(300)의 제1 홈부(3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홈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홈부(211)는 상기 커버부재(300)의 제1 홈부(310)와 결합하여 요홈부를 형성하며, 접착부재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stepped portion, a
상기 베이스(210)는 중앙부근에서 개구부를 구비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카메라모듈에 배치된 이미지 센서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베이스(210)는 네 개의 모서리 부분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정 높이 직각으로 돌출된 네 개의 가이드부재(216)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는 다각기둥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16)는 후술할 하우징(140)의 하부 가이드홈(148)에 삽입 또는 체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가이드부재(216)와 상기 하부 가이드홈(148)로 인해, 상기 베이스(210)부의 상부에 하우징(140)이 안착 또는 배치될 때, 상기 베이스(210) 상의 하우징(140)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고, 동시에 하우징(140)이 렌즈 구동장치(100)의 작동과정 중 진동 등으로 인해 또는 결합과정 중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장착되어야 할 기준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40)은 전체적으로 중공기둥 형상(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사각기둥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4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인쇄회로기판(17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내부에 보빈(110)이 상기 하우징(140)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빈(110)을 수용한다.As shown in FIGS. 4 to 9 , the
상기 하우징(140)은 네 개의 평평한 측면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40)의 측면은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면적 또는 그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40)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마주하는 양측면 각각에는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안착 또는 배치 또는 고정되는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또는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또는 홈은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가이드를 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각각에는 제1 구동용 마그네트(131) 및 제2 구동용 마그네트(132), 즉 총 2개의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a through
그리고, 상기 하우징(140)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상기 양측면에 직각인 일측면 또는 상기 양측면 이외의 면에는 후술할 위치 감지센서(180)가 삽입 또는 배치 또는 고정 또는 안착되는 센서용 관통공(141b)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용 관통공(141b)은 후술할 위치 감지센서(180)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측면에서는, 인쇄회로기판(170)이 장착 또는 배치 또는 가고정 또는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용 돌출부(14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착용 돌출부(149)는 후술하는 인쇄회로기판(170)에 형성된 장착용 관통구(173)에 삽입되며, 이때 상기 장착용 관통구(173)와 상기 장착용 돌출부(149)는 형상끼워맞춤 방식 또는 억지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으나, 단순 가이드 기능만을 할 수도 있다.And, among the four
여기서, 상기 하우징(140)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상기 일측면에 대향하는 타측면은 평평한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among the four
하우징(140)의 추가 실시예로서, 상기 하우징(140)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마주하는 양측면 각각에는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안착 또는 배치 또는 고정되는 제1 및 제2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141a')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40)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상기 양측면에 직각인 일측면 또는 상기 양측면 이외의 면에는 제3 마그네트용 관통공과 상기 제3 마그네트용 관통공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센서용 관통공(141b)이 구비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하우징(140)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상기 일측면에 마주하는 타측면에는 제4 마그네트용 관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As a further embodiment of the
즉, 상기 하우징(140)의 네 개의 측면(141)에는 네 개의 마그네트용 관통공과 하나의 센서용 관통공(141b)이 구비될 수 있다.That is, four through-holes for magnets and one through-
이때, 상기 제1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및 상기 제2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은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하우징(140)의 측면의 측방향 길이 전체에 (거의) 동일한 측방향 길이를 가진다. 반면, 상기 제3 마그네트용 관통공 및 상기 제4 마그네트용 관통공은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및 상기 제2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보다 측방향 길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 마그네트용 관통공이 형성되는 일측면에는 센서용 관통공(141b)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센서용 관통공(141b)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first through-
당연하겠지만, 상기 제1 마그네트용 관통공 내지 상기 제4 마그네트용 관통공 각각에는 제1 구동용 마그네트(131) 내지 제4 구동용 마그네트 각각이 안착 또는 배치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마찬가지로, 상기 제1 구동용 마그네트(131) 및 상기 제2 구동용 마그네트(132)는 서로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하고, 하우징(140)의 측면의 측방향 길이 전체에 거의 동일한 측방향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3 구동용 마그네트 및 상기 제4 구동용 마그네트는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구동용 마그네트(131) 및 상기 제2 구동용 마그네트(132)보다 측방향 길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Of course, each of the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마그네트 관통공과 상기 제4 마그네트 관통공은 상기 하우징(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일직선 상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상기 제4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상기 하우징(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일직선 상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만약, 제3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제4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상기 하우징(140)의 중심과 무관하게 일측에 편향된 채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보빈(110)의 코일(120)에 전자기력이 상기 일측에 편향되게 작용하므로 보빈(110)이 틸트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3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상기 제4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상기 하우징(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일직선 상에 대칭되게 배치함으로써, 보빈(110) 및 코일(120)에 편향되지 않은 전자기력을 가할 수 있어, 보빈(110)의 제1 방향 이동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Here, preferably, the third magnet through-hole and the fourth magnet through-hole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on a straight lin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또한, 도 3 내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제1 스토퍼(14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토퍼(143)는 상기 커버부재(300)와 하우징(140) 몸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충격 발생 시 하우징(140)의 상부면이 커버부재(300)의 상부 내측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토퍼(143)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제1 스토퍼(143)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 홈(155)이 형성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S. 3 to 6 and 8 , a plurality of
또한, 하우징(140)의 상측에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외측 프레임(152)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측 프레임 지지돌기(14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상기 상측 프레임 지지돌기(144)와 대응되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외측 프레임(152)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제1 통공(152a)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곳에서 접착제 또는 융착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융착은 열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upper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40)의 하측에는 하측 탄성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이 결합되는 복수 개의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7)와 대응되는 하측 탄성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에는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162a)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곳에서 접착제 또는 융착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융착은 열융착 또는 초음파 융착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a plurality of lower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에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대신 하우징(140)의 내측면에는 요홈 형상의 마그네트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마그네트 안착부는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The driving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보빈(110)에 구비되는 코일(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한 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보빈(110)의 코일(120)을 마주보는 면을 N극, 바깥쪽 면은 S극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광축에 수직한 평면으로 2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driving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일정 폭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마그네트용 관통공(141a) 또는 홈에 안착되어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넓은 면이 하우징(140)의 측면 중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마주보는 구동용 마그네트(130)들은 서로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는 상기 보빈(110)의 코일(120)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상기 보빈(110)의 코일(120)의 서로 마주보는 면은 서로 평행이 되도록 평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에 따라 구동용 마그네트(130)과 보빈(110)의 코일(120) 중 어느 하나만이 평면이고, 다른 한 쪽은 곡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보빈(110)의 코일(120)과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마주보는 면은 모두가 곡면일 수도 있으며, 이때, 보빈(110)의 코일(120)과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마주보는 면의 곡률은 같게 형성될 수 있다.The driving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40)의 일측면에는 센서용 관통공(141b) 또는 홈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용 관통공(141b)에는 위치 감지센서(180)가 삽입 또는 배치 또는 안착되며, 상기 위치 감지센서(180)는 솔더링 또는 납땜 방식으로 인쇄회로기판(170)의 일면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하우징의 네 개의 측면(141) 중에서 상기 센서용 관통공(141b) 또는 홈이 구비되는 일측면의 외측면에 고정 또는 지지 또는 배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e side of the
상기 위치 감지센서(180)는 후술할 보빈(110)의 센싱용 마그네트(190)와 함께 상기 보빈(110)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제1 변위값을 판단하는 변위 감지부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위치 감지센서(180) 및 상기 센서용 관통공(141b) 또는 홈은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위치 감지센서(180)는 보빈(110)의 센싱용 마그네트(190)에서 방출되는 자기력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감지센서(180)는 홀센서(Hall sensor)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홀센서에 제한되지 않으며 자기력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며, 자기력 이외에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예를 들어, 포토리플렉터 등을 이용한 방식도 가능하다.The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하우징(140)의 일측면에 결합 또는 배치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용 관통구(173) 또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하우징(140)의 일측면에 구비된 장착용 돌출부(149)에 의해 설치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11 , the printed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복수 개의 단자(171)들이 배치되어, 외부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보빈(110)의 코일(120) 및 위치 감지센서(18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에 형성된 단자(171)들의 개수는 제어가 필요한 구성요소들의 종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FPCB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inted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자(171)들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이 상기 하우징(140)의 일측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하부에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단자(171)들은 상기 렌즈 구동장치가 장착되는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전원의 전류가 입력되는 입력단자부(174)와, 상기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전원의 전류가 보빈의 코일을 통과한 후 다시 외부 전원으로 회귀하는 출력단자부(175)와, 상측 탄성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와, 하측 탄성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이때, 입력단자부(174) 및 출력단자부(17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렌즈 구동장치를 전자기기에 장착시 접속 작업 공간을 렌즈 구동장치의 외부에서 확보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예를 들어, 도 8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단자부(174)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 중 하나의 인쇄회로(174a)에 의해 상기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단자부(17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 중 다른 하나의 인쇄회로(175a)에 의해 상기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8 and 11 , the
물론, 반대로, 상기 입력단자부(174)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 중 다른 하나의 인쇄회로(175a)에 의해 상기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출력단자부(17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 중 하나의 인쇄회로(174a)에 의해 상기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on the contrary, the
여기서, 상기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 및 상기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측 탄성부재 및 하측 탄성부재와 상기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 및 상기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함이다.Here, the upper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은 상기 변위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제1 변위값에 기초하여 상기 코일(120)의 인가전류량을 재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즉, 제어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 상에 실장되어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에 실장되지 않고 별도의 다른 기판에 실장될 수 있으며, 이는 카메라모듈의 이미지센서가 실장되는 기판일 수 있으며 또는 별도 다른 기판일 수도 있다.The printed
상기 홀센서에 의해 탐지된 마그넷플럭스(즉, 자속밀도) 변화에 대한 홀전압차에 기초하여 액츄에이터 구동거리를 캘리브레이션을 추가로 할 수 있다.The actuator driving distance may be further calibrated based on the Hall voltage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change in the magnet flux (ie, magnetic flux density) detected by the Hall sensor.
보빈(110)은 제1 축 방향으로 고정된 하우징(140)에 대해 제1 축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빈(110)의 제1 축 방향 이동으로 인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The
보빈(11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The
한편,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보빈(110)의 광축 방향으로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측 탄성부재(150)와 하측 탄성부재(160)는 판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도 2 내지 도 4,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는 보빈(110)과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151)(161)과 하우징(140)과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152)(162) 및 내측 프레임(151)(161)과 외측 프레임(152)(162)을 연결하는 연결부(153)(163)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9 and 10, the upper
상기 연결부(153)(163)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일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53)(163)의 위치 변화 및 미세 변형을 통해 보빈(110)은 광축방향의 제 1 방향으로의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이 탄력적으로(또는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connecting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탄성부재(150)는 상기 하우징(140)의 상부와 보빈(110)의 상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외측 프레임(152)에서 복수 개의 제1 통공(152a)을 구비하고, 내측 프레임(151)에서 복수 개의 제2 통공(151a)을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 the upper
상기 제1 통공(152a)은 상기 하우징(14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상측 프레임 지지돌기(144)와 결합하고, 상기 제2 통공(151a) 또는 홈은 후술할 보빈(110)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상측 지지돌기와 결합한다. 즉, 상기 외측 프레임(152)은 제1 통공(152a)을 통하여 하우징(140)에 고정 및 결합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151)은 제2 통공(151a) 또는 홈을 통하여 보빈(110)에 고정 및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through
상기 연결부(153)는 상기 내측 프레임(151)이 상기 외측 프레임(152)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소정 범위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상기 내측 프레임(151)과 상기 외측 프레임(152)을 연결한다.The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 및 외측 프레임(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보빈(110)의 코일(120) 및 인쇄회로기판(17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예를 들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외측 프레임(152)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중간단자부(15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에는 상기 코일(120)의 양끝선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끝선(120b)이 솔더링 또는 납땜부와 같은 통전성 수단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For example, the upper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하우징(140)의 하부와 보빈(110)의 하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외측 프레임(162)에서 복수 개의 삽입홈(162a) 또는 홀을 구비하고, 내측 프레임(161)에서 복수 개의 제3 통공(161a) 또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10 , the lower
상기 삽입홈(162a) 또는 홀은 상기 하우징(14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하측 프레임 지지돌기(147)와 결합하고, 상기 제3 통공(161a) 또는 홈은 후술할 보빈(11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하측 지지돌기(114)와 결합한다. 즉, 상기 외측 프레임(162)은 삽입홈(162a) 또는 홀을 통하여 하우징(140)에 고정 및 결합되고, 상기 내측 프레임(161)은 제3 통공(161a) 또는 홈을 통하여 보빈(110)에 고정 및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연결부(163)는 상기 내측 프레임(161)이 상기 외측 프레임(162)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소정 범위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도록 상기 내측 프레임(161)과 상기 외측 프레임(162)을 연결한다.The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와 동일하게 또는 거의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161)과 외측 프레임(162)이 각각 보빈(110)과 하우징(140)에 결합된 후, 보빈(110)에 배치된 코일(120)의 양 끝선과 대응되는 상기 내측 프레임의 위치에 솔더부를 마련하여, 상기 솔더부에서 납땜 등과 같은 통전성 연결을 수행하여 전원 또는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The lower
한편,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와 보빈(110) 및 하우징(140)은 열 융착 및/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한 본딩 작업 등을 통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조립 순서에 따라 열 융착 고정 후 접착제를 이용한 본딩으로 고정 작업을 마무리 할 수 있다.Meanwhile, the upper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의 내측 프레임(161) 및 외측 프레임(16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보빈(110)의 코일(120) 및 인쇄회로기판(17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예를 들어,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외측 프레임(152)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중간단자부(16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의 내측 프레임(161)에는 상기 코일(120)의 양끝선 중 하나의 끝선(120a)이 솔더링 또는 납땜부와 같은 통전성 수단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For example, the lower
도 12는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11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110)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11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부분 확대 저면도이고, 도 17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홈(117)의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110)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도 1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110)은 상기 하우징(140)의 내부 공간에 광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빈(11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코일(120)이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40)의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이 가능하여, 코일(120)과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으로 인해 보빈(110)을 제1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110)은 상측 탄성부재(150) 및 하측 탄성부재(160)에 의해 탄력적으로(또는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광축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11 to 18 , the
상기 보빈(11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배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렌즈배럴은 후술할 카메라모듈의 구성부품으로 상기 렌즈 구동장치의 필수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을 보빈(110)의 내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보빈(110) 내주면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배럴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들의 나사 결합으로 렌즈배럴을 보빈(11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빈(110)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렌즈배럴을 상기 보빈(110)의 안쪽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렌즈배럴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가 보빈(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렌즈배럴에 결합되는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또한, 보빈(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복수 개의 상측 지지돌기(113)와 복수 개의 하측 지지돌기(1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상측 지지돌기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상측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과 보빈(110)을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의 상기 상측 지지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 통공(151a)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측 지지돌기와 제2 통공(151a) 또는 홈은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측 지지돌기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상측 지지돌기들 사이의 거리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11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각각의 상측 지지돌기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이들의 간격이 일정하지는 않으나, 보빈(110)의 중심을 지나는 특정 가상선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2 , the upper support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or prismatic shape, and may couple and fix the
하측 지지돌기(11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상측 지지돌기와 같이 원통형상 또는 각기둥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하측 탄성부재(160)의 내측 프레임(161)과 보빈(110)을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측 탄성부재(160)의 상기 내측 프레임(161)의 상기 하측 지지돌기(114)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3 통공(161a)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측 지지돌기(114)와 제3 통공(161a) 또는 홈은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부재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하측 지지돌기(11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하측 지지돌기(114)들 사이의 거리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즉, 보빈(110)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각각의 하측 지지돌기(114)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13 , the
그리고, 상기 보빈(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연결부(153) 및 하측 탄성부재(160)의 연결부(163)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측 도피홈(112) 및 하측 도피홈(118)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상기 상측 도피홈(112)과 상기 하측 도피홈(118)이 구비됨으로써, 보빈(110)이 하우징(140)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연결부(153)(163)와 보빈(110)과의 공간적 간섭을 제거하여 연결부(153)(163)의 탄성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도피홈의 위치는 실시예처럼 하우징의 모서리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탄성부재의 연결부 형상 및/또는 위치에 따라 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Since the
또한, 상기 보빈(110)의 외주면에는, 코일(120)이 설치되는 코일용 안착홈(116)이 구비될 수 있으나, 안착부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상기 코일(120)은 상기 보빈(110)의 외주면 또는 상기 코일용 안착홈(116) 또는 안착부에 삽입 결합되는 링 형상의 코일블록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코일(120)을 직접 보빈(110)의 외주면 또는 상기 코일용 안착홈(116) 또는 안착부에 권선할 수도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일(12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8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보빈(11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으로, 보빈(110) 또한 8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120)은 적어도 4면은 직선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들 면을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은 라운드 또는 직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직선으로 형성된 부분은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면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120)과 대응되는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면은 상기 코일(120)의 곡률과 같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코일(120)이 직선이면, 대응되는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면은 직선일 수 있으며, 상기 코일(120)이 곡선이면, 대응되는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면은 곡선일 수 있으며, 또한, 같은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코일(120)이 곡선이더라도 대응되는 구동용 마그네트(130)의 면은 직선일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도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일(12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110)의 외주면에 3층으로 권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코일(120)은 상기 보빈(110)의 외주면에 6층으로 권취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코일을 3층 또는 6층으로 보빈에 권취함으로써, 상기 코일의 양끝선 중 하나의 끝선(120a)을 하측 탄성부재의 위치에 대응되게 보빈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코일의 양끝선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끝선(120b)을 상측 탄성부재의 위치에 대응되게 보빈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는 보빈의 코일의 양끝선의 접속지점을 상측 탄성부재와 하측 탄성부재로 나누어 배치할 수 있어 코일과 외부 전원 사이의 접속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코일(120)은 보빈(110)을 광축 방향으로 움직여 오토 포커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류가 공급되면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전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으며, 형성된 전자기력이 보빈(110)을 움직일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코일(120)은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단일 몸체로 구성되어 코일(120)과 마주보는 면 전체가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마련되면, 상기 코일(120) 또한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면이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만일 구동용 마그네트(130)가 광축에 수직한 면으로 2분할 되어 코일(120)과 마주보는 면이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분될 경우, 상기 코일(120) 역시 분할된 구동용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개수로 분할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그리고, 상기 보빈(110)은 전술한 하우징(140)의 위치 감지센서(180)와 함께 변위 감지부에 포함되는 센싱용 마그네트(190)를 구비한다.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는 상기 보빈(110)에 고정 또는 배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는 상기 보빈(110)의 제1 방향 이동시에 상기 보빈(110)과 동일한 변위량만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는 한 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빈(110)의 상부 방향이 N극, 보빈(110)의 하부 방향이 S극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는 광축에 수직한 평면으로 2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빈(110)은 상기 보빈(110)의 외주면에서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7)을 구비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S. 14 to 18 , the
상기 수용홈(117)은 보빈(110)의 외부면에서부터 소정 깊이 보빈(11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홈(117)은 상기 수용홈(117)의 적어도 일부 이상이 상기 코일(12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보빈(11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117)은 적어도 일부 이상이 코일용 안착홈(116)보다 더 보빈(110)의 내측 방향으로 소정 깊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수용홈(117)을 보빈(110)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센싱용 마그네트(190)를 보빈(110)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센싱용 마그네트(190)를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빈(110)의 공간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receiving
특히, 상기 수용홈(117)은 상기 하우징(140)의 위치 감지센서(18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또는 상기 위치 감지센서(180)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센싱용 마그네트(190)와 위치 감지센서(180) 사이의 거리가 코일(120)의 두께와 코일(120)과 위치 감지센서(180) 사이의 이격거리 또는 여기에 코일과 위치 감지센서 사이의 거리를 더 포함하여 그 거리로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위치 감지센서(180)의 자력 감지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receiving
상기 수용홈(117)은 상기 보빈(110)의 하부면 및 상부면 중 하나의 면에서 상기 수용홈(117)에 연통되는 개구(119)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17)은 보빈(110)의 하부면 중 일부가 개방되어 개구(119)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119)는 상기 수용홈(117)의 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구(119)를 통하여 센싱용 마그네트(190)가 삽입 또는 배치 또는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분리될 수 있다.The receiving
보다 구체적으로,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홈(117)은,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일면이 지지되는 내측면과, 접착제가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내측면보다 소정 깊이 더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접착용 홈(117b)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6 to 18 , the receiving
상기 내측면은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위치하는 일면으로서,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넓은 면이 접촉 또는 안착되는 면이다.The inner surface is one surface positioned inward toward the center of the
상기 접착용 홈(117b)은 상기 내측면 중 일부분을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 방향으로 더 깊게 오목하게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상기 접착용 홈(117b)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119)에서부터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일면이 접촉 또는 안착 또는 배치되는 보빈(110)의 내부 일면까지 형성될 수 있다.The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용 홈(117b)은 상기 보빈(110)의 상하 두께방향으로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제1 추가홈(117c)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제1 추가홈(117c)은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이면이 접촉 또는 안착 또는 배치되는 보빈(110)의 내부 일면보다 더 깊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접착용 홈(117b)의 연장부이다. 상기 제1 추가홈(117c)을 구비함으로써, 접착제가 개구(119)를 통하여 접착용 홈(117b)에 주입될 때 제1 추가홈(117c)에서부터 접착제가 충진되어 접착용 홈(117b) 내부를 충진하므로, 접착제가 접착용 홈(117b)에서 오버 플로우되어 센싱용 마그네트(190)와 수용홈(117) 사이의 틈새를 따라 코일(120)에까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결합과정 중 렌즈 구동장치(100)의 불량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18 , the
또한, 상기 접착용 홈(117b)은 상기 개구(119)로부터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방향으로 소정 깊이 형성된 제2 추가홈(117a)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제2 추가홈(117a)은 상기 개구(119)의 부근에서 상기 내측면보다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방향으로 더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추가홈(117a)은 상기 접착용 홈(117b)과 연통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2 추가홈(117a)은 상기 접착용 홈(117b)의 연장부이다. 이렇게, 상기 제2 추가홈(117a)을 구비함으로써, 접착제가 제2 추가홈(117a)를 통하여 접착용 홈(117b)에 주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개구(119) 근처에서 접착제가 오버 플로우되어 코일(120) 등 보빈(110)의 다른 구성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결합과정 중 렌즈 구동장치(100)의 불량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추가홈(117a)은 접착용 홈(117b) 없이 단독으로 상기 보빈(110)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를 제2 추가홈(117a)에 주입하여 보빈(110)과 센싱용 마그네트(190)를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Also, as a modified embodiment, the secon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용 홈(117b)은 상기 제1 추가홈(117c) 및 상기 제2 추가홈(117a) 중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착용 홈(117b)은 상기 제1 추가홈(117c)만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추가홈(117a)만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의 일면(즉, 넓은 면)이 지지되는 내측면과 상기 코일이 구비되는 상기 외주면(즉, 코일용 안착홈 표면) 사이의 깊이가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는 코일의 권취로 인한 코일의 내측 가압력으로 수용홈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As a modified embodiment, in the receiving groove, the depth between the inner surface on which one surface (ie, the wide surface) of the sensing magnet is supported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n which the coil is provided (ie, the surface of the coil seating groove surface) is the sensing It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magnet. For this reason, the sensing magnet may be fixed in the receiving groove by the inner pressing force of the coil due to the winding of the coil. In this case, there is no need to use an adhesive.
추가 실시예로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보빈(110)은, 상기 수용홈(117)이 형성된 외주면과 마주하는 외주면에서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117)과 대칭된 위치에 상기 보빈(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추가 수용홈(117)과, 상기 추가 수용홈(117)에 수용되는 중량균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 further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즉, 상기 추가 수용홈(117)은 상기 수용홈(117)이 형성된 외주면과 마주하는 외주면에서 상기 보빈(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117)과 일직선으로 대칭된 위치에서 소정 깊이 보빈(110)의 내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균형부재는 상기 추가 수용홈(117) 내에 고정 및 결합되며, 상기 자력 센싱부재와 동일한 중량을 가진다.That is, the additional receiving
이렇게, 상기 추가 수용홈(117)과 상기 중량균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수용홈(117)과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구비로 인한 보빈(110)의 수평방향 무게 불균형을 중량균형부재의 장착으로 보상할 수 있다.In this way, by providing the additio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가 수용홈(117)은 상기 접착용 홈(117b), 상기 제1 추가홈(117c) 및 상기 제2 추가홈(117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dditional receiving
도 19는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0)의 개략적인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0)의 상부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렌즈 구동장치(100)의 상부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0)의 하부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실시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100)의 하부부분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19 is a schematic parti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9, 도 10 및 도 19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상기 보빈(11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151)과, 상기 하우징(14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152)과, 상기 내측 프레임(151) 및 상기 외측 프레임(152)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5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보빈(11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161)과, 상기 하우징(14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162)과, 상기 내측 프레임(161) 및 상기 외측 프레임(162)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63)를 포함한다.9, 10 and 19 to 23 , the upper
상기 코일(120)의 양끝선 중 하나의 끝선(120a)은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의 내측 프레임(16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코일(120)의 양끝선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끝선(120b)은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의 끝선(120a) 및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끝선(120b) 각각은 접속부(168)(158)(예를 들어, 솔더링부, 또는 납땜부 등)를 통하여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의 내측 프레임(161) 및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One
그리고, 도 19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입력단자부(174) 및 상기 출력단자부(175) 중 하나의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입력단자부(174) 및 상기 출력단자부(175)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가 상기 입력단자부(17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가 상기 출력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기술하기로 한다.And, as shown in FIGS. 19 to 23, the upper
이때, 상기 입력단자부(174)는 인쇄회로기판(170) 내에서 하나의 인쇄회로(174a)에 의해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입력단자부(174)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이 상기 하우징(140)의 일측면에 결합 또는 고정 또는 배치될 때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내측면에서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와 동일한 높이 또는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와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는 통전성 연결수단(S)(예를 들어, 납땜부 또는 솔더링부 등)에 의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그리고, 상기 출력단자부(175)는 인쇄회로기판(170) 내에서 다른 하나의 인쇄회로(175a)에 의해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출력단자부(17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이 상기 하우징(140)의 일측면에 결합 또는 고정 또는 배치될 때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출력단자부(175)는 상기 입력단자부(174)와 동일한 높이에서 일렬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내측면에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와 동일한 높이 또는 서로 다른 높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와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는 통전성 연결수단(S)(예를 들어, 납땜부 또는 솔더링부 등)에 의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외측 프레임(152)에는, 상기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와 상측 탄성부재(150)의 외측 프레임(152)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1 중간단자부(156)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상기 제1 중간단자부(156)는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외측 프레임(152)에서 수평 외측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intermediate
이때, 상기 제1 중간단자부(156)는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외측 프레임(152)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중간단자부(15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와 대향하도록 또는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intermediate
상기 제1 중간단자부(156)는 통전성 연결수단(S)(예를 들어, 납땜부 또는 솔더링부 등)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70)의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intermediate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중간단자부(156)는 상기 제1 중간단자부(156)의 단부가 상기 상측 탄성부재(150)의 외측 프레임(152)의 외측면과 동일선 상에 또는 외측 프레임(152)의 외측면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preferably, in the first intermediate
상기 제1 중간단자부(156)는 양측면에서 상기 외측 프레임(152) 중 일부 외측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유로한정용 절개부(157)를 구비한다. 즉, 상기 외측 프레임(152)에는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두 개의 유로한정용 절개부(157)와, 상기 소정 간격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제1 중간단자부(156)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이렇게, 유로한정용 절개부(157)를 형성함으로써, 본 실시예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제1 중간단자부(156)와 인쇄회로기판(170)의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 사이에 통전성 연결수단으로 접속 공정시 유체성 전도물질(예를 들어, 접속 공정이 납땜인 경우 납땜액)이 제1 중간단자부(156)에서만 유동하도록 유체성 전도물질의 유동경로를 한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단자부 이외의 부품으로 고온의 유체성 전도물질이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by forming the flow
또한, 상기 하우징(14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외측면에서 상기 제1 중간단자부(156)의 하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 회피용 절개부(142)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1 회피용 절개부(142)는 상기 하우징(140)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 중간단자부(156)의 하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소정 깊이 및 소정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회피용 절개부(142)는 상기 하우징(140)의 외측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회피용 절개부(142)의 폭은 상기 제1 중간단자부(156)의 폭보다 클 수 있다.Preferably, the width of the
이렇게, 제1 회피용 절개부(142)를 구비함으로써, 본 실시예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제1 중간단자부(156)와 인쇄회로기판(170)의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 사이에 통전성 연결수단으로 접속 공정시 유체성 전도물질(예를 들어, 접속 공정이 납땜인 경우 납땜액)에서 방출되는 열로 인해 하우징(140)의 외측면이 녹아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유체성 전도물질로부터 고온의 열을 전달받는 상기 제1 중간단자부(156)와 하우징(140)의 외측면 일부를 공간적으로 격리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1 중간단자부(156)의 하부에 유체성 전도물질의 공냉(孔冷)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상측 탄성부재(150)의 제1 중간단자부(156)와 인쇄회로기판(170)의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 사이의 접속 공정시에 발생될 수 있는 하우징(140)의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y providing the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에는, 상기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와 하측 탄성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제2 중간단자부(166)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상기 제2 중간단자부(166)는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에서 수평 외측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intermediate
이때, 상기 제2 중간단자부(166)는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중간단자부(16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와 대향하도록 또는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econd intermediate
상기 제2 중간단자부(166)는 통전성 연결수단(S)(예를 들어, 납땜부 또는 솔더링부 등)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70)의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intermediate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중간단자부(166)는 상기 제2 중간단자부(166)의 단부가 상기 하측 탄성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의 외측면과 동일선 상에 또는 외측 프레임(162)의 외측면보다 더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preferably, the second
상기 제2 중간단자부(166)는 양측면에서 상기 외측 프레임(162) 중 일부 외측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유로한정용 절개부(167)를 구비한다. 즉, 상기 외측 프레임(162)에는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두 개의 유로한정용 절개부(167)와, 상기 소정 간격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제2 중간단자부(166)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이렇게, 유로한정용 절개부(167)를 형성함으로써, 본 실시예는 하측 탄성부재(160)의 제2 중간단자부(166)와 인쇄회로기판(170)의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 사이에 통전성 연결수단으로 접속 공정시 유체성 전도물질(예를 들어, 접속 공정이 납땜인 경우 납땜액)이 제2 중간단자부(166)에서만 유동하도록 유체성 전도물질의 유동경로를 한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단자부 이외의 부품으로 고온의 유체성 전도물질이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by forming the flow
또한, 상기 하우징(14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외측면에서 상기 제2 중간단자부(166)의 상부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제2 회피용 절개부(145)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2 회피용 절개부(145)는 상기 하우징(140)의 하부면에서 상기 제2 중간단자부(166)의 상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소정 높이 및 소정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회피용 절개부(145)는 상기 하우징(140)의 외측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회피용 절개부(145)의 폭은 상기 제2 중간단자부(166)의 폭보다 클 수 있다.Preferably, the width of the
이렇게, 제2 회피용 절개부(145)를 구비함으로써, 본 실시예는 하측 탄성부재(160)의 제2 중간단자부(166)와 인쇄회로기판(170)의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 사이에 통전성 연결수단으로 접속 공정시 유체성 전도물질(예를 들어, 접속 공정이 납땜인 경우 납땜액)에서 방출되는 열로 인해 하우징(140)의 외측면이 녹아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유체성 전도물질로부터 고온의 열을 전달받는 상기 제2 중간단자부(166)와 하우징(140)의 외측면 일부를 공간적으로 격리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2 중간단자부(166)의 상부에 유체성 전도물질의 공냉(孔冷)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하측 탄성부재(160)의 제2 중간단자부(166)와 인쇄회로기판(170)의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 사이의 접속 공정시에 발생될 수 있는 하우징(140)의 불량률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In this way, by providing the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전원의 코일(120)로의 입력 및 출력과정은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input and output process of the external power to the
우선, 외부 전원의 공급전류는 인쇄회로기판(170)의 입력단자부(174)를 통과한 후, 인쇄회로기판(170)의 하나의 인쇄회로(174a)와 하부 접속용 단자부(177)를 경유하여 하측 탄성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의 제2 중간단자부(166)로 공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공급전류는 제2 중간단자부(166)로부터 하측 탄성부재(160)의 외측 프레임(162), 연결부(163) 및 내측 프레임(161)을 거쳐 코일(120)의 양끝선 중 하나의 끝선(120a)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공급전류는 코일(120)을 모두 통과한 후, 코일(120)의 양끝선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끝선(120b)을 통하여 상측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으로 흐른다. 이후, 상기 공급전류는 상측 탄성부재(150)의 내측 프레임(151), 연결부(153) 및 외측 프레임(152)의 제1 중간단자부(156)로 흐른다. 이후, 제1 중간단자부(156)를 통과한 공급전류는 인쇄회로기판(170)의 상부 접속용 단자부(176)와 다른 하나의 인쇄회로(175a)를 거쳐 인쇄회로기판(170)의 출력단자부(175)를 통하여 외부전원으로 복귀하도록 흐른다.First, the supply current of the external power passes through the
전술한 과제해결수단의 의하면, 본 실시예는 코일의 양끝선을 상하로 나누어 상측 탄성부재 및 하측 탄성부재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을 중간 연결수단으로 사용하여 결과적으로 코일에 외부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는 보빈의 코일의 양끝선의 접속지점을 상측 탄성부재와 하측 탄성부재로 나누어 배치할 수 있어 코일과 외부 전원 사이의 접속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this embodiment divides both ends of the coil up and down and electrically connects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rough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so that the printed circuit board is used as an intermediate connecting means. An external power supply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For this reas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on points of both ends of the coil of the bobbin can be divided into an upper elastic member and a lower elastic member, and thus a connection working space between the coil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can be sufficiently secured.
또한, 본 실시예는 상측 탄성부재와 하측 탄성부재의 외측 프레임에 유로한정용 절개부를 간단하게 형성함으로써, 상측 탄성부재와 하측 탄성부재에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상측 탄성부재와 하측 탄성부재를 코일의 중간 연결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는 상측 탄성부재와 하측 탄성부재의 제조단가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보빈의 코일과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외부 전원 사이의 접속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are coiled without adding a separate configuration to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by simply forming a flow path limiting cutout in the outer fram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It can be used as an intermediate connecting means of 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secure a connection working space between the coil of the bobbin and an external power supply for supplying current to the coil without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또한, 본 실시예는 코일과 외부 전원 사이의 접속 공정시 유체성 전도물질(예를 들어, 접속 공정이 납땜인 경우 납땜액)이 단자부 이외의 부품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는 접속 공정시 발생되는 고온의 유체성 전도물질로 인해 하우징 또는 인쇄회로기판 등의 모재가 융해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렌즈 구동장치의 불량률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uid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soldering liquid when the connection process is soldering) from flowing to components other than the terminal part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coil and the external power supply. For this reason,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event melting or damage to the base material such as the housing or the printed circuit board due to the high-temperature fluid conductive material generated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defect rate of the lens driving device. .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카메라모듈에는 카메라모듈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변위 감지부에서 감지된 전류 변화값에 기초하여 계산된 제1 변위값과 피사체와 렌즈 사이의 거리에 따른 렌즈의 초점거리를 비교한다. 이후, 상기 카메라모듈제어부는 상기 제1 변위값 또는 렌즈의 현재위치와 렌즈의 초점거리가 대응되지 않는 경우 보빈(110)의 코일(120)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재조절하여, 상기 보빈(110)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제2 변위량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위 감지부는, 고정체인 하우징(140)에 고정 결합된 위치 감지센서(180)가 이동체인 보빈(110)에 고정 결합된 센싱용 마그네트(190)의 제1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190)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감지된 자기력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전류 변화량에 근거하여 별도의 드라이버 IC 또는 상기 카메라모듈제어부에서 보빈(110)의 현재위치 또는 제1 변위량을 계산 또는 판단할 수 있으며. 이렇게 변위 감지부에 의해 계산 또는 판단된 보빈(110)의 현재위치 또는 제1 변위량은 인쇄회로기판(170)의 제어부로 전달되어 제어부가 오토 포커싱을 위한 보빈(110)의 위치를 재결정하여 코일(120)의 인가전류량을 조절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module control unit in the camera module, and the first displacement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current change value detected by the displacement detection unit and the len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ubject and the lens Compare the focal lengths. Thereafter, the camera module control unit readjusts the amount of current applied to the
이상에서 본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실시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실시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실시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In the above, it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s a specific embodiment to illustrate the technical idea of this embodiment, but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am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s the specific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do not deviate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arried out withi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렌즈 구동장치
110 : 보빈
120 : 코일
130 : 구동용 마그네트
140 : 하우징
150 : 상측 탄성부재
160 : 하측 탄성부재
170 : 인쇄회로기판
180 : 위치 감지센서
190 : 센싱용 마그네트
210 : 베이스
300 : 커버부재100: lens driving device
110: bobbin
120: coil
130: magnet for driving
140: housing
150: upper elastic member
160: lower elastic member
170: printed circuit board
180: position sensor
190: magnet for sensing
210: base
300: cover member
Claims (15)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용 마그네트의 내측에 배치되는 코일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광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보빈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보빈을 연결하고, 상기 코일의 양끝선 각각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측 탄성부재 및 하측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구비되고,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단자부 및 출력단자부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보빈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제1 변위값을 판단하고, 상기 보빈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에 구비되는 센싱용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변위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탄성부재는 상기 입력단자부 및 상기 출력단자부 중 하나의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는 상기 입력단자부 및 상기 출력단자부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렌즈 구동장치.a housing supporting the driving magnet;
a bobbin having a coil disposed inside the driving magnet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oving in a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inside the housing;
an upper elastic member and a lower elastic member connecting the housing and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il;
a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including an input terminal part and an output terminal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d a displacement detecting unit that determines a first displacement value of the bobbin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cludes a sensing magnet provided inside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bobbin,
The upper elastic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terminal part of the input terminal part and the output terminal part,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part of the input terminal part and the output terminal part.
상기 보빈은,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를 수용하도록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소정 깊이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bobbin includes a receiving groove formed in an inner direction to a predetermined depth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to receive the sensing magnet.
상기 상측 탄성부재 및 상기 하측 탄성부재는,
상기 보빈의 상부면 및 하측면 중 일면에 결합되는 내측 프레임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 및 하측면 중 일면에 결합되는 외측 프레임과,
상기 내측 프레임 및 상기 외측 프레임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elastic member and the lower elastic member,
an inner frame coupled to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bbin;
an outer frame coupled to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A lens driving device including a connection part elastically connecting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상기 하나의 단자부 및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구비된 렌즈 구동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The one terminal part and the other terminal part are provided from the bottom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oward the outside.
상기 하나의 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에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와 동일한 높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측 탄성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부 접속용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에서 상기 하측 탄성부재와 동일한 높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측 탄성부재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부 접속용 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렌즈 구동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one terminal part is provid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lastic memb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elastic member,
The other terminal part is provid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lastic memb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terminal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elastic member.
상기 하나의 단자부와 상기 상부 접속용 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 중 하나의 인쇄회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단자부와 상기 하부 접속용 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인쇄회로 중 다른 하나의 인쇄회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렌즈 구동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The one terminal part and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part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one printed circuit among 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s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other terminal part and the lower connection terminal par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other printed circuit among a plurality of printed circuits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코일의 양끝선 중 하나의 끝선은 상기 하측 탄성부재의 내측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코일의 양끝선 중 나머지 다른 하나의 끝선은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내측 프레임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렌즈 구동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One end of the both ends of the coi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ner frame of the lower elastic member,
The other end of both ends of the coi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ner fram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상기 상측 탄성부재의 외측 프레임은 수평 외측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하나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중간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탄성부재의 외측 프레임은 수평 외측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중간단자부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장치.4. The method of claim 3,
The outer frame of the upper elastic member has a first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provided in a horizontal outward directio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ne terminal portion,
The outer frame of the lower elastic member is provided in a horizontal outward direction, the lens driving device having a second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portion.
상기 제1 중간단자부와 상기 제2 중간단자부는, 상기 외측 프레임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일측면에 구비된 렌즈 구동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er frame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제1 중간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에서 상기 상측 탄성부재와 동일한 높이에 구비되고 상기 하나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부 접속용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중간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에서 상기 하측 탄성부재와 동일한 높이에 구비되고 상기 나머지 다른 하나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부 접속용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렌즈 구동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is provid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lastic memb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upper connection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ne terminal portion,
The second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is provid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lastic member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lower connection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portion.
상기 제1 중간단자부와 상기 제2 중간단자부는, 양측면에서 상기 외측 프레임 중 일부 외측부분을 절개하여 형성되는 유로한정용 절개부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and the second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the lens driving device having a flow path limiting cutout formed by cutting some outer portions of the outer frame from both sides.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외측면에서 상기 제1 중간단자부의 하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1 회피용 절개부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과 대향하는 외측면에서 상기 제2 중간단자부의 상부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제2 회피용 절개부를 구비하는 렌즈 구동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avoidance cutout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under the first intermediate terminal on an outer surface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n outer surface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 lens driving device having a second avoidance cutout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intermediate terminal por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코일은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3층 또는 6층으로 권취된 렌즈 구동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coil is a lens driving device wound in three or six layer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상기 변위 감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내측면에서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센싱용 마그네트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제1 변위값을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장치.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placement sensing unit,
A position detection sensor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magne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detecting a first displacement value of the sensing magnet in the first direction; A lens drive comprising:
상기 수용홈의 일부는 상기 코일의 안쪽에 위치한 렌즈 구동장치.15. The method of claim 14,
A part of the receiving groove is located inside the coil.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0692A KR102285248B1 (en) | 2014-05-09 | 2020-08-11 | Lens moving apparatus |
KR1020210098655A KR102485413B1 (en) | 2020-08-11 | 2021-07-27 | Lens moving apparatus |
KR1020230000343A KR102689980B1 (en) | 2020-08-11 | 2023-01-02 | Lens mov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5363A KR102145917B1 (en) | 2014-05-09 | 2014-05-09 | Lens moving apparatus |
KR1020200100692A KR102285248B1 (en) | 2014-05-09 | 2020-08-11 | Lens moving apparatus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5363A Division KR102145917B1 (en) | 2014-05-09 | 2014-05-09 | Lens moving apparatu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8655A Division KR102485413B1 (en) | 2020-08-11 | 2021-07-27 | Lens mov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8457A KR20200098457A (en) | 2020-08-20 |
KR102285248B1 true KR102285248B1 (en) | 2021-08-04 |
Family
ID=7224273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0692A KR102285248B1 (en) | 2014-05-09 | 2020-08-11 | Lens moving apparatus |
KR1020210098655A KR102485413B1 (en) | 2020-08-11 | 2021-07-27 | Lens moving apparatus |
KR1020230000343A KR102689980B1 (en) | 2020-08-11 | 2023-01-02 | Lens moving apparatus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98655A KR102485413B1 (en) | 2020-08-11 | 2021-07-27 | Lens moving apparatus |
KR1020230000343A KR102689980B1 (en) | 2020-08-11 | 2023-01-02 | Lens mov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102285248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27433A (en) | 2010-07-27 | 2012-02-09 | Tdk Taiwan Corp | Electromagnetic lens drive device |
JP2012177753A (en) * | 2011-02-25 | 2012-09-13 | Shicoh Engineering Co Ltd | Lens driving device, autofocus camera and mobile terminal device with camera |
JP2013210550A (en) | 2012-03-30 | 2013-10-10 | Mitsumi Electric Co Ltd | Lens holder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10861A (en) * | 2006-07-28 | 2008-01-31 |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 Device for adjusting the focus of rense module |
KR101852188B1 (en) * | 2010-12-01 | 2018-04-25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Coil block for voice coil mo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il block, and voice coil motor having the coil block |
-
2020
- 2020-08-11 KR KR1020200100692A patent/KR10228524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7-27 KR KR1020210098655A patent/KR102485413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3
- 2023-01-02 KR KR1020230000343A patent/KR10268998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027433A (en) | 2010-07-27 | 2012-02-09 | Tdk Taiwan Corp | Electromagnetic lens drive device |
JP2012177753A (en) * | 2011-02-25 | 2012-09-13 | Shicoh Engineering Co Ltd | Lens driving device, autofocus camera and mobile terminal device with camera |
JP2013210550A (en) | 2012-03-30 | 2013-10-10 | Mitsumi Electric Co Ltd | Lens holder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85413B1 (en) | 2023-01-05 |
KR20200098457A (en) | 2020-08-20 |
KR102689980B1 (en) | 2024-07-30 |
KR20230006611A (en) | 2023-01-10 |
KR20210095843A (en) | 2021-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093475B (en) | Lens moving device | |
KR102230966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159746B1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 |
KR102438026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568371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145916B1 (en) | Lens apparatus | |
KR102185688B1 (en) | Lens moving unit | |
KR102145917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20200111657A (en) |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 |
KR102326536B1 (en)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285248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20230093231A (en)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
KR102296767B1 (en) | Lens apparatus | |
KR20230034276A (en) |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396345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356000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
KR102583322B1 (en) | Lens mov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