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284678B1 -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가스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가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4678B1
KR102284678B1 KR1020200061480A KR20200061480A KR102284678B1 KR 102284678 B1 KR102284678 B1 KR 102284678B1 KR 1020200061480 A KR1020200061480 A KR 1020200061480A KR 20200061480 A KR20200061480 A KR 20200061480A KR 102284678 B1 KR102284678 B1 KR 102284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suction plate
needle
gas
deg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군
이강민
변재규
김동주
김진고
이승노
정택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에스오토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에스오토,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에스오토
Priority to KR1020200061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4678B1/ko
Priority to HUE21174818A priority patent/HUE064788T2/hu
Priority to EP21174818.1A priority patent/EP3913715B1/en
Priority to US17/327,051 priority patent/US12148947B2/en
Priority to JP2021086359A priority patent/JP2021185565A/ja
Priority to CN202110567635.XA priority patent/CN113694682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4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467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08Detachable arrangements, e.g. detachable vent plugs or plu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가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셀 포켓의 크기에 상관 없이 가스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고, 간소화된 구성으로 제품의 단가를 낮추면서도 품질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는, 파우치의 적어도 일면을 흡착하는 흡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판을 당겨서 상기 파우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 및 상기 흡착판에 설치되고, 내부에 가스배출로가 형성된 니들로 상기 파우치를 피어싱하고, 상기 가스배출로를 통해 상기 파우치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가스제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방법은 (a) 흡착판이 상기 파우치의 적어도 일면을 흡착하는 단계; (b) 이격부가 상기 흡착판을 당겨서 상기 파우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c) 내부에 가스배출로가 형성된 니들로 상기 파우치를 펀칭한 후, 상기 가스배출로를 통해 상기 파우치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가스 방법{DEGASSING APPARATUS FOR POUCH SECONDARY BATTERY AND DEGAS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파우치 내부에 존재하는 가스, 기타 이물질 등을 간소화된 구조로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가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의미하며, 휴대폰, 노트 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전자기기 또는 전기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전자 장 비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는 니켈-카드뮴 전지 또는 니켈-수소 전지보다 큰 용량을 가지며, 단위 중량당 에너 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그 활용 정도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전 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제조과정에서 음극, 분리막 및 양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파우치 외장재 안에 넣고, 전해액을 주입한 후 가장자리를 실링한다. 그 다음, 몇 회의 충방전 사이클을 통해 전지를 활성화시킨다.
이 과정에서 셀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한 가스를 포집하기 위해 활성화 공정 전 단계의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파우치 외장재의 사이즈가 최종 제품보다 크게 형성된다.
파우치 외장재에서 전극 조립체가 배치되는 부분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가스 포켓부라 지칭하며, 이러한 가스 포켓부에 활성화 공정 중 발생한 가스가 포집될 수 있다.
활성화 공정이 끝나면 가스 포켓부에 구멍을 내어 가스를 빼낸 다음 가스 포켓부를 재단하고 파우치 외장재를 최종 제품 규격에 맞게 재실링한다.
한편, 활성화 공정에서 상기 가스 포켓부의 팽창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가스가 발생할 경우 실링부의 절연이 파괴될 수 있다.
그런데 활성화 공정 시 발생하는 가스양은 전극 조립체의 소재 및 활성화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가스 포켓부의 적정 사이즈를 가늠하기 쉽지 않다.
이에 종래에는 가능한 가스 포켓부의 사이즈를 크게 제작하여 활성화 공정 시 실링부의 절연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가스 포켓부는 디개싱 공정 후에는 잘라내야 할 불필요한 부분이므로 이를 크게 제작하는 것은 생산 비용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8394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셀 포켓의 크기에 상관 없이 가스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차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가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간소화된 구성으로 제품의 단가를 낮추면서도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가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는, 가장자리가 씰링된 이차 전지용 파우치에서 가스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기 파우치의 적어도 일면을 흡착하는 흡착판 및 상기 흡착판의 내부에서 상기 파우치에 흡착되고 니들이 인,출입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디가스 흡착판을 포함하되, 상기 흡착판을 당겨서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 및 상기 디가스 흡착판에 설치되고, 내부에 가스배출로가 형성된 상기 니들로 상기 파우치를 피어싱하되, 상기 니들이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배출로를 통해 상기 파우치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가스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판의 내부와 상기 디가스 흡착판의 외부와 상기 파우치 사이의 공간은 수밀 구조를 형성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이격부에는 흡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흡기홀에 연결되며 공기흡입을 통해 상기 이격부 내부의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이물질제거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격부는, 상기 파우치의 각 면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흡착판을 전,후진 시키는 전,후진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파우치의 적어도 일면에 흡착되는 하부 흡착판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스제거부는, 상기 가스배출로와 연결되는 가스배출관, 상기 니들을 이동시켜 상기 니들이 상기 파우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되도록 구동하는 니들 구동부, 상기 가스배출로와 연결되고, 상기 니들이 상기 파우치 내부로 인입되면 공기흡입을 통해 상기 파우치 내부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흡입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니들의 인출길이를 가변하는 가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니들 구동부에 결합되는 이동가이드부, 상기 가스배출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는 이동부, 상기 이동가이드부에 결합되며 가변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가변가이드부, 상기 가변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부를 전진시키는 가변제어부, 상기 이동가이드부와 이동부의 내부공간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이동부에 후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격부가 접하는 파우치의 반대 면에 상기 파우치를 흡착하여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흡착판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흡착판은 고정되거나 상기 이격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고정 흡착판에 설치되고, 내부에 가스배출로가 형성된 니들로 상기 파우치를 피어싱하고, 상기 가스배출로를 통해 상기 파우치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제2가스제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방법은, (a) 흡착판이 상기 파우치의 적어도 일면을 흡착하고, 상기 흡착판의 내부에서 디가스 흡착판이 파우치를 흡착하는 단계; (b) 이격부가 상기 흡착판을 당겨서 상기 파우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c) 내부에 가스배출로가 형성된 니들로 상기 파우치를 펀칭하되, 상기 니들이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배출로를 통해 상기 파우치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격부의 하측에 결합된 하부 흡착판이 상기 파우치의 하부를 흡착하여 당기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니들을 이동시켜 상기 니들을 상기 파우치 내부로 인입시키는 단계; (c2) 상기 니들이 상기 파우치 내부로 인입되면 공기흡입을 통해 상기 파우치 내부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단계; 및 (c3) 미리 설정된 한계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니들을 상기 파우치 외부로 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격부가 접하는 파우치의 반대 면에 위치한 고정 흡착판이 상기 파우치를 흡착하여 고정하거나 당기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고정 흡착판에 설치되고, 내부에 가스배출로가 형성된 니들로 상기 파우치에 미세공을 형성하고, 상기 가스배출로를 통해 상기 파우치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는, 셀 포켓의 크기에 상관 없이 가스를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간소화된 구성으로 제품의 단가를 낮추면서도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에 적용된 이격부 및 가스제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에 적용된 이격부, 가스제거부, 이물질제거부를 도시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에 적용된 가변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를 통해 셀 포켓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에 적용된 이격부 및 가스제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에 적용된 이격부, 가스제거부, 이물질제거부를 도시한 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에 적용된 가변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를 통해 셀 포켓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1)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이하 '파우치'라 함.)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파우치(90) 내부에 존재하는 가스, 기타 이물질 등을 간소화된 구조로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제품이다.
이때, 파우치(90)는 크게 셀 본체(91) 및 셀 포켓(92)을 포함할 수 있다.
셀 본체(91) 및 셀 포켓(92)은 서로 동일한 재질과 크기로 형성되는 제1면(92a)과 제2면(92b)의 가장자리를 씰링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셀 본체(91)는 내부에 전극 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하고, 셀 포켓(92)은 셀 본체(91)의 내부에 존재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가스 장치(1)는 셀 포켓(92)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셀 포켓(92)의 제1면(92a)과 제2면(92b)을 이격시키는 이격부(10), 셀 포켓(92)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가스를 제거하는 가스제거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격부(10)는 후술되는 흡입부(32)가 셀 포켓(92) 내부에 존재하는 가스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제1면(92a)과 제2면(92b)을 이격시키는 것으로, 본체(111), 흡착판(11), 디가스 흡착판(12), 하부 흡착판(14), 전,후진구동부(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격부(10)는 파우치(90)의 크기에 따라 적용개수가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본체(111)는 일정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다각블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1)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가스제거부(20)의 일부 구성인 니들(21)과 가스배출관(22)이 공동으로 삽입되는 삽입홀(11a) 및 후술되는 이물질제거부(30)가 설치되는 흡기홀(111b)이 형성된다.
이때, 삽입홀(11a)은 본체(111)의 수평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흡기홀(111b)은 본체(111)의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삽입홀(11a)과 연결된다.
그리고, 삽입홀(11a)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니들(21)과 가스배출관(22)은 각각 삽입홀(11a)과 동일한 개수로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삽입홀(11a)과 니들(21) 및 가스배출관(22)의 적용 개수는 가스제거 속도를 높이고자 할 경우, 파우치(90)의 크기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밝힌다.
본체(111)의 전방에는 후술되는 전,후진구동부(13)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1면(92a)을 제2면(92b)에서 이격시키는 흡착판(11)이 형성된다.
흡착판(11)은 제1면(92a)의 많은 영역에 흡착될 수 있도록 타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11)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물질제거부(30)는 본체(111)의 삽입홀(11a)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가스제거부(20)는 흡기력을 통해 셀 본체(91) 내부의 가스를 배출하며, 그 과정에서 셀 본체(91) 내부에 수용된 전해액까지 흡기되어 삽입홀(11a)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물질제거부(30)는 삽입홀(11a)로 이동된 전해액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 이물질제거부(30)는 흡기홀(111b)에 설치되는 흡기노즐(31), 흡기노즐(31)에 연결되는 흡입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흡입부(32)는 펌프 또는 공기흡입 기능을 갖는 공지의 제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흡입부(32)가 작동하여 흡기력이 발생되면 삽입홀(11a) 상의 전해액, 이물질이 흡기노즐(31)을 통해 흡입부(32)에 흡입된다.
디가스 흡착판(12)은 흡착판(11)에 고정된 상태에서 흡착판(11)과 함께 제1면(92a)에 흡착된다.
디가스 흡착판(12)은 니들(21)과 동일하게 2개로 적용된다.
디가스 흡착판(12)의 내부에는 니들(21)이 인,출입되는 가이드홀(12a)이 형성된다.
이때, 흡착판(11)의 선단에는 니들(21)이 디가스 흡착판(12)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홀이 가이드홀(12a) 및 삽입홀(11a)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디가스 흡착판(12)은 제1면(92a)에 대한 흡착력이 우수하도록 대략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직경은 제1재부와 마주하는 일단에서 흡착판(11)에 접하는 타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흡착판(11)의 내부와 디가스 흡착판(12)의 외부와 파우치(90) 사이의 공간은 수밀 구조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가스제거부(20)가 셀 포켓(92) 내의 가스가 완벽하게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하부 흡착판(14)은 셀 포켓(92)의 제1면(92a)과 제2면(92b)을 보다 넓고 안정적으로 이격시키기 위해 적용된다.
하부 흡착판(14)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셀 포켓(9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된다.
하부 흡착판(14)은 흡착판(11)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하부 흡착판(14)은 제1면(92a)과 마주하고, 다른 하나의 하부 흡착판(14)은 제2면(92b)과 마주한다.
그리고, 하부 흡착판(14)은 본체(111)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흡착판(14)은 별도의 구동원을 통해 제1면(92a)과 제2면(92b)에 대해 각각 전진 또는 후진되는 하부 본체(111)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구동원은 실린더, 캠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후술되는 전,후진구동부(13)와 동일한 제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원은 후술되는 전,후진구동부(13)와 동시에 작동된다.
즉, 구동원은 전,후진구동부(13)가 흡착판(11) 및 디가스 흡착판(12)을 전진 시킬 경우 하부 흡착판(14)을 전진시켜 제2면(92b)에 흡착되도록 하고, 전,후진구동부(13)가 흡착판(11) 및 디가스 흡착판(12)을 후진시킬 경우 하부 흡착판(14)을 후진시켜 제1면(92a)과 제2면(92b)이 이격되도록 한다.
계속해서, 하부 흡착판(14)은 하부 본체(111)의 일단에 형성되어 흡착판(11) 및 디가스 흡착판(12)과 거의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하부 흡착판(14)은 전진할 경우 흡착판(11)과 함께 제1면(92a)에 흡착되고, 후진할 경우 흡착판(11)과 함께 제1면(92a)을 당겨 제2면(92b)에서 이격시킨다.
이때, 하부 흡착판(14)은 흡착판(11)보다 제1면(92a)의 아래쪽을 이격시킴으로, 셀 포켓(92) 상에 일종의 장벽을 형성시킨다. 따라서, 니들(21)을 통해 셀 포켓(92)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가스를 흡입 및 배출하는 과정에서 셀 본체(91) 내의 전해액이 셀 포켓(92)의 내부공간으로 상승되어 니들(21)에 의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하부 흡착판(14)은 후술되는 고정 흡착판(40)의 아래에도 배치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하부 흡착판(14)들은 셀 포켓(9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1면(92a)과 제2면(92b)을 각각 당겨 셀 포켓(92)에 보다 넓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체(111)는 대략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플러(C)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커플러(C)는 본체(111)와 전,후진구동부(13)를 연결시켜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커플러(C)에는 본체(111)의 삽입홀(1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홀(11a)(미도시)이 형성된다.
전,후진구동부(13)는 흡착판(11)과 디가스 흡착판(12)을 전,후진 시키는 것으로, 커플러(C)의 상측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양측에 장방형의 이동가이드홀(131a)이 각각 형성된 상판(131), 상판(131)의 상면에 설치되는 모터(132), 상판(131)의 상면에 설치되는 케이스(133), 케이스(133)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34), 케이스(133)의 내부에 수용되며, 모터(132)의 동력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그 우측과 좌측에 오른 나사산과 왼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회전샤프트(미도시), 케이스(133)의 상면에서 가이드레일(134)을 따라 양방향 이동되는 슬라이드부(135), 슬라이드부(135)의 하측에 형성되며 케이스(133) 내부에서 회전샤프트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내주연에 회전샤프트의 오른 나사산을 따라 양방향 이동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장착링(미도시), 커플러(C)들의 상면에 고정되는 연결블럭(136), 슬라이드부(135)와 연결블럭(136)의 양측을 연결하고 이동가이드홀(131a)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되는 연결샤프트(1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모터(132)가 회전샤프트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장착링이 오른 나사산을 따라 전진되어 회전샤프트의 중앙부분 측으로 점차 이동되며, 모터(132)가 회전샤프트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장착링이 오른 나사산을 따라 후진되어 회전샤프트의 오른쪽으로 점차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장착링이 전진되면 슬라이드부(135), 연결블럭(136), 연결샤프트(137), 커플러(C) 및 이격부(10)가 일률적으로 전진되어 흡착판(11) 및 디가스 흡착판(12)이 제1면(92a)에 흡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장착링이 후진되면 슬라이드부(135), 연결블럭(136), 연결샤프트(137), 커플러(C) 및 이격부(10)가 일률적으로 후진되며, 결국 흡착판(11) 및 디가스 흡착판(12)이 제1면(92a)을 당겨 제2면(92b)에서 이격시킨다.
한편, 가스제거부(20)는 이와 같이 이격부(10)에 의해 제1면(92a)과 제2면(92b)이 이격된 포켓부의 내부공간에서 가스를 제거하는 것으로, 니들(21), 가스배출관(22), 가변부(23), 니들 구동부(24), 흡입제어부(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21)은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본체(111)의 삽입홀(11a)에 각각 삽입된다.
니들(21)은 서로 평행을 이루며, 각각이 삽입홀(11a)과 가이드홀(12a)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니들(21)의 내부에는 셀 포켓(92) 내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로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가스배출관(22)은 일부분이 커플러(C)의 연결홀을 관통하여 본체(111)의 삽입홀(11a)에 삽입되고, 다른 부분은 커플러(C)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가스배출관(22)의 끝단 외주연에는 니들(21)의 끝단에 마련된 장착관(211)이 장착된다.
가스배출관(22)의 내부공간과 니들(21)의 가스배출로는 서로 연결된다.
가스배출관(22) 중 본체(111)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는 디가스 흡착판(12)의 외부로 인출되는 니들(21)의 인출길이를 가변하기 위한 가변부(23)가 적용된다.
가변부(2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가이드부(231), 브라켓(232), 이동부(233), 가변가이드부(234), 가변제어부(235), 스프링(236)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231)는 니들 구동부(24)의 피스톤(241)에 결합된다. 따라서, 이동가이드부(231)는 제1면(92a)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231)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다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에 스프링(236)을 지지하는 제1지지판(2311)이 형성된다.
브라켓(232)은 대략 'ㄷ'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측과 후측에 가스배출관(22)이 관통설치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동부(233)는 이동가이드부(231)와 연결되고 브라켓(232)에 고정된다.
이동부(233)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다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공간에는 제1지지판(2311)과 이격되는 위치에 스프링(236)을 지지하는 제2지지판(23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부(233)는 이동가이드부(231)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 일 예로, 이동가이드부(231)의 저면 양측과 이동부(233)의 상면 양측 중 어느 하나에는 대략 'ㅜ'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레일홈(미도시)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대략 'ㅜ'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부(135)(미도시)를 형성하여 이동부(233)가 이동가이드부(231)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할 수 있다.
가변가이드부(234)는 이동가이드부(231)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대략 'ㄱ'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변가이드부(234) 중 이동부(233)와 마주하는 면에는 가변가이드홀(12a)이 형성된다.
가변제어부(235)는 이동부(233)를 전진시키는 것으로, 가변가이드홀(12a)을 관통하여 이동부(233)에 접촉되는 푸쉬부(2351)를 포함한다.
이때, 가변가이드홀(12a)의 내주연과 푸쉬부(2351)의 외주연에는 서로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가변제어부(235)를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푸쉬부(2351)가 가변가이드홀(12a)을 따라 전진 이동하면서 이동부(233)를 푸쉬하여 이동부(233)를 전진시키며, 결국 브라켓(232)을 매개로 연결된 가스배출관(22) 및 가스배출관(22)에 장착된 니들(21)이 전진된다.
그리고, 가변제어부(235)를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푸쉬부(2351)가 가변가이드홀(12a)을 따라 후진 이동되어 이동부(233)와 이격된다.
이러한 가변제어부(235)의 둘레면에는 인출 또는 인입되는 니들(21)의 길이를 수치로 표시하기 위한 눈금 및 눈금에 해당하는 숫자가 인쇄될 수 있다.
스프링(236)은 푸쉬부(2351)가 이동부(233)와 이격될 경우, 이동부(233)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동가이드부(231)와 이동부(233)의 내부공간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그 양측은 제1지지판(2311)과 제2지지판(2331)에 각각 고정된다.
이로 인해, 가변제어부(235)를 정 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부(233)를 전진시키면 제1지지판(2311)과 제2지지판(2331)이 서로 멀어져 스프링(236)이 팽창되고, 가변제어부(235)를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프링(236)이 원래의 형태로 수축되어 이동부(233)가 후진하게 된다.
이동부(233)를 전진시킬수록 디가스 흡착판(12)에 대한 니들(21)의 인출길이가 길어지고, 이동부(233)를 후진시킬수록 디가스 흡착판(12)에 대한 니들(21)의 인출길이가 짧아짐으로, 제1면(92a)의 두께에 따라 가변제어부(235)를 제어하여 니들(21)의 인출길이를 조절하면 된다.
니들 구동부(24)는 니들(21)을 이동시켜 니들(21)이 셀 포켓(92)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되도록 구동하는 것으로, 로드레스 실린더나 유압 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니들 구동부(24)가 로드레스 실린더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니들 구동부(24)는 상면이 커플러(C)의 천장면에 고정되고, 피스톤(241)은 고정블럭의 상면에 결합된다.
피스톤(241)은 니들 구동부(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방향으로 왕복이동 되면서 가스배출관(22) 및 니들(21)을 제1면(92a)에 대해 일률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 시킨다.
이때, 니들(21)은 전진될 경우 그 전측이 디가스 흡착판(12)에서 인출된 후, 제1면(92a)을 관통하여 셀 포켓(92)의 내부공간에 위치된다.
흡입제어부(25)는 셀 포켓(92) 내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것으로, 펌프 또는 공기흡입 기능을 갖는 공지의 제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제어부(25)는 자체에 구비되는 흡입호스(251)가 가스배출관(22)의 끝단에 연결되며, 니들(21)이 셀 포켓(92)의 내부공간으로 인입되면 공기흡입을 통해 셀 포켓(92)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가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우치(90)에 적용된 고정 흡착판(40) 및 제2가스제거부(50)에 대해 설명한다.
고정 흡착판(40)은 흡착판(11)이 접하는 파우치(90)의 반대면 즉, 셀 포켓(92)의 제2면(92b)을 흡착하여 고정함으로써, 이격부(10)가 제1면(92a)을 용이하게 당겨 제2면(92b)에서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고정 흡착판(40)은 흡착판(11)과 동일한 개수로 적용될 수 있다.
고정 흡착판(40)은 제2면(92b)의 많은 영역에 흡착될 수 있도록 타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본체(41)의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흡착판(40)은 다각블럭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 본체(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흡착판(40)의 내부에는 전술한 디가스 흡착판(12)과 동일한 형태의 부가 디가스 흡착판(43)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부가 디가스 흡착판(43)에도 제2니들(51)의 인,출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43a)이 형성된다.
하나의 예시에서, 고정 흡착판(40)은 고정된 상태에서 제2면(92b)에 흡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고정 흡착판(40)이 제2면(92b)에 접촉된 상태에서 흡착판(11) 및 디가스 흡착판(12)만 전술한 전,후진구동부(13)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어 제1면(92a)만 당기게 된다.
이때, 고정 흡착판(40)은 흡착판(11) 및 디가스 흡착판(12)이 제1면(92a)을 가압하면서 흡착할 때 셀 포켓(92)을 지지하여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고정 흡착판(40)은 흡착판(11) 및 디가스 흡착판(12)의 가압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제2면(92b)에 흡착된다.
따라서, 고정 흡착판(40)은 흡착판(11) 및 디가스 흡착판(12)이 후진할 때 제2면(92b)을 잡아준다.
다른 하나의 예시에서, 고정 흡착판(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진구동부(13)를 통해 흡착판(11)과 동시에 제2면(92b)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1)는, 케이스(133)의 상면에서 가이드레일(134)을 따라 양방향 이동되는 부가 슬라이드부(60), 부가 슬라이드부(60)의 하측에 형성되며 케이스(133) 내부에서 회전샤프트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내주연에 회전샤프트의 왼 나사산을 따라 양방향 이동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부가 장착링(미도시), 고정 본체(41)에 결합되어 있는 커플러(C)들의 상면에 고정되는 부가 연결블럭(70), 부가 슬라이드부(60)와 부가 연결블럭(70)의 양측을 연결하고 이동가이드홀(131a)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되는 부가 연결샤프트(8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32)가 회전샤프트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부가 장착링이 왼 나사산을 따라 전진되어 회전샤프트의 중앙부분 측으로 점차 이동됨에 따라 장착링과 가까워지고, 모터(132)가 회전샤프트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부가 장착링이 오른 나사산을 따라 후진되어 장착링과 점차 멀어진다. 그리고, 부가 장착링이 전진되면 부가 슬라이드부(60), 부가 연결블럭(70), 부가 연결샤프트(80), 부가 커플러(C'), 및 고정 본체(41)가 일률적으로 전진되어 고정 흡착판(40)이 제2면(92b)에 흡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부가 장착링이 후진되면 부가 슬라이드부(60), 부가 연결블럭(70), 부가 연결샤프트(80), 부가 커플러(C') 및 고정 본체(41)가 일률적으로 후진되며, 결국 고정 흡착판(40)이 제2면(92b)을 당겨 제1면(92a)에서 이격시킨다.
제2가스제거부(50)는 고정 본체(41)의 삽입홀(41a)에 삽입되고 내부에 가스배출로가 형성되며 제2면(92b)을 피어싱 하는 제2니들(51), 제2니들(51)의 끝단에 마련된 부가 장착관(511)에 장착되는 제2가스배출관(52), 제2니들(51)을 제2면(92b)에 대해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제2니들 구동부(24), 제2가스배출관(52)에 연결되고 공기흡입을 통해 셀 포켓(92)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가스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2흡입제어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배출관(22)의 끝단 외주연에는 니들(21)의 끝단에 마련된 장착관(211)이 장착된다.
이때, 고정 본체(41)의 내부에는 후술되는 제2가스제거부(50)의 일부 구성된 제2니들(51)과 제2가스배출관(52)이 공동으로 삽입되는 삽입홀(41a) 및 이물질제거부(30)가 설치되는 흡기홀(41b)이 형성된다.
고정 본체(41)의 삽입홀(41a)은 고정 본체(41)의 수평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흡기홀(41b)은 고정 본체(41)의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삽입홀(41a)과 연결된다.
그리고, 삽입홀(41a)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후술되는 제2니들(51)과 제2가스배출관(52)은 각각 삽입홀(41a)과 동일한 개수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니들(51)은 니들(21)과 동일하게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고정 본체(41)의 삽입홀(41a)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제2가스제거부(50)의 각 구성 및 작동은 전술한 가스제거부(2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1흡입제어부(25)와 제2흡입제어부(54)에서 발생되는 흡기력은 반드시 동일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2흡입제어부(54)의 흡기력이 제1흡입제어부(25)의 흡기력보다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흡입제어부(25)가 많은 양의 가스를 흡입하고 제2흡입제어부(54)가 제1흡입제어부(25)를 보조하여 가스를 흡입할 수 있게 되어, 셀 포켓(92) 내의 가스를 보다 빠른 시간 안에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이상 설명한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를 이용한 가스 제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방법은, 먼저 (a) 흡착판(11)을 제1면(92a)에 흡착시킨다.
구체적으로, 흡착판(11)은 전,후진구동부(13)에 의해 전진되어 제1면(92a)을 흡착한다.
그리고, 흡착판(11)의 내부에 배치된 디가스 흡착판(12) 및 흡착판(11)의 하측에 배치된 하부 흡착판(14)도 흡착판(11)과 함께 전진되어 제1면(92a)과 제2면(92b)을 각각 흡착하며, 고정 흡착판(40)은 제2면(92b)을 흡착한다.
이때, 고정 흡착판(40) 및 고정 본체(41)가 부동 상태로 적용되는 경우에 고정 흡착판(40)이 제2면(92b)을 지지해 줌으로, 흡착판(11)이 제1면(92a)을 안정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나아가, 흡착판(11)이 제1면(92a)을 흡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압력에 의해 제2면(92b)이 고정 흡착판(40)에 밀착되어 결국 고정 흡착판(40)도 제2면(92b)을 안정적으로 흡착하게 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과 같이 고정 흡착판(40)이 전,후진구동부(13)에 의해 전진 및 후진되는 경우, 흡착판(11)과 고정 흡착판(40)은 각각 제1면(92a)과 제2면(92b)을 동시에 흡착하게 된다.
이후, (b) 흡착판(11) 및 고정 흡착판(40)을 각각 당겨서 셀 포켓(92)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흡착판(11)은 전,후진구동부(13)에 의해 다시 후진되어 제1면(92a)을 당기고, 이와 동시에 고정 흡착판(40)이 전술한 바와 같이 부동 상태에서 제2면(92b)을 지지 및 흡착하거나 또는, 전,후진구동부(13)에 의해 전진되어 제2면(92b)을 흡착한 다음, 후진되면서 제2면(92b)을 당겨 제1면(92a)과 제2면(92b)의 사이에 보다 넓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하부 흡착판(14)도 함께 후진되면서 제1면(92a)과 제2면(92b)을 각각 당기기 때문에 셀 포켓(92)에는 일종의 장벽이 형성되며, 결국 셀 본체(91) 내의 전해액이 셀 포켓(92)에 니들(21)이 삽입되는 위치까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니들(21)로 제1면(92a)을 펀칭한 후 흡입제어부(25)로 셀 포켓(92) 내의 가스를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니들(21)은 니들 구동부(24)에 의해 전진되어 일부분이 디가스 흡착판(12)에서 인출되면서 제1면(92a)을 관통하여 셀 포켓(92)의 내부공간에 인입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흡입제어부(25)와 이물질제거부(30)가 동시에 작동하여 공기를 흡입한다.
흡입제어부(25)가 공기를 흡입하게 되면 셀 포켓(92) 내부의 가스는 가스배출로와 가스배출관(22)을 순차적으로 거쳐 흡입제어부(25)에 흡입된다.
그리고, 만약 가스제거부(20)의 흡기력에 의해 전해액이 삽입홀(11a)로 이동되었다면 이물질제거부(30)가 공기흡입을 통해 삽입홀(11a)에 존재하는 전해액을 흡입하여 제거하게 된다.
나아가, 제2가스제거부(50)도 가스제거부(20)와 함께 작동하여 셀 포켓(92) 내부의 가스를 흡입하여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셀 포켓(92)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진구동부(13)가 흡착판(11) 및 고정흡착판(40)을 각각 전진시키고 구동원이 하부 흡착판(14)을 전진시켜, 제1면(92a)과 제2(92b)이 다시 서로 접촉되도록 하며, 이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흡착판(14)의 하측에 위치된 한 쌍의 실징장치(100)가 제1면(92a)과 제2(92b)에 대해 전진하여 셀 포켓(92)의 하측부분을 실링하게 된다.
이후에, 미리 설정된 한계시간이 경과하면, 니들 구동부(24)는 니들(21)을 후진시켜 셀 포켓(92)의 외부로 인출시키고, 전,후진구동부(13)와 구동원이 각각 흡착판(11), 고정흡착판(40) 및 하부 흡착판(14)을 후진시켜 제1면(92a)과 제2(92b)에서 이격시킨다.
아울러, 실링장치(100)도 흡착판(11), 고정흡착판(40) 및 하부 흡착판(14)과 함께 후진된다.
이때, 파우치(90)의 크기에 따라 셀 본체(91)의 내부에 발생하는 가스의 양이 달라지는 바, 니들 구동부(24)가 니들(21)을 후진시키는 한계시간은 파우치(9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디가스 장치 10 : 이격부
11 : 흡착판 11a : 연결홀
111 : 본체 111a, 41a : 삽입홀
111b, 41b : 흡기홀 12 : 디가스 흡착판
12a : 가이드홀 13 : 전,후진구동부
131 : 상판 131a : 이동가이드홀
132 : 모터 133 : 케이스
134 : 가이드레일 135 : 슬라이드부
136 : 연결블럭 137 : 연결샤프트
14 : 하부 흡착판 141 : 하부 본체
20 : 가스제거부 21 : 니들
22 : 가스배출관 23 : 가변부
231 : 이동가이드부 2311 : 제1지지판
232 : 브라켓 233 : 이동부
2331 : 제2지지판 234 : 가변가이드부
235 : 가변제어부 2351 : 푸쉬부
236 : 스프링 24 : 니들 구동부
241 : 피스톤 25 : 흡입제어부
251 : 흡입호스 30 : 이물질제거부
31 : 흡기노즐 32 : 흡입부
40 : 고정 흡착판 41 : 고정 본체
50 : 제2가스제거부 51 : 제2니들
52 : 제2가스배출관 53 : 제2니들 구동부
54 : 제2흡입제어부 60 : 부가 슬라이드부
70 : 부가 연결블럭 80 : 부가 연결샤프트
90 : 파우치 91 : 셀 본체
92 : 셀 포켓 92a : 제1면
92b : 제2면 100 : 실링장치

Claims (15)

  1. 가장자리가 씰링된 이차 전지용 파우치에서 가스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기 파우치의 적어도 일면을 흡착하는 흡착판 및 상기 흡착판의 내부에서 상기 파우치에 흡착되고 니들이 인,출입되는 가이드홀을 포함하는 디가스 흡착판을 포함하되, 상기 흡착판을 당겨서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이격부; 및
    상기 디가스 흡착판에 설치되고, 내부에 가스배출로가 형성된 상기 니들로 상기 파우치를 피어싱하되, 상기 니들이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배출로를 통해 상기 파우치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가스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판의 내부와 상기 디가스 흡착판의 외부와 상기 파우치 사이의 공간은 수밀 구조를 형성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에는 흡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흡기홀에 연결되며 공기흡입을 통해 상기 이격부 내부의 이물질을 배출시키는 이물질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는,
    상기 파우치의 각 면이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흡착판을 전,후진 시키는 전,후진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파우치의 적어도 일면에 흡착되는 하부 흡착판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제거부는,
    상기 가스배출로와 연결되는 가스배출관,
    상기 니들을 이동시켜 상기 니들이 상기 파우치 내부 또는 외부로 이동되도록 구동하는 니들 구동부,
    상기 가스배출로와 연결되고, 상기 니들이 상기 파우치 내부로 인입되면 공기흡입을 통해 상기 파우치 내부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흡입제어부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인출길이를 가변하는 가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니들 구동부에 결합되는 이동가이드부,
    상기 가스배출관에 결합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 상에서 전진 또는 후진될 수 있는 이동부,
    상기 이동가이드부에 결합되며 가변가이드홀을 포함하는 가변가이드부,
    상기 가변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부를 전진시키는 가변제어부,
    상기 이동가이드부와 이동부의 내부공간에 공동으로 수용되며, 이동부에 후진 복귀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가 접하는 파우치의 반대 면에 상기 파우치를 흡착하여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흡착판을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흡착판은 고정되거나 상기 이격부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고정 흡착판에 설치되고, 내부에 가스배출로가 형성된 니들로 상기 파우치를 피어싱하고, 상기 가스배출로를 통해 상기 파우치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제2가스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11. 가장자리가 씰링된 이차 전지용 파우치에서 가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a) 흡착판이 상기 파우치의 적어도 일면을 흡착하고, 상기 흡착판의 내부에서 디가스 흡착판이 파우치를 흡착하는 단계;
    (b) 이격부가 상기 흡착판을 당겨서 상기 파우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c) 내부에 가스배출로가 형성된 니들로 상기 파우치를 펀칭하되, 상기 니들이 파우치의 내부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스배출로를 통해 상기 파우치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격부의 하측에 결합된 하부 흡착판이 상기 파우치의 하부를 흡착하여 당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니들을 이동시켜 상기 니들을 상기 파우치 내부로 인입시키는 단계;
    (c2) 상기 니들이 상기 파우치 내부로 인입되면 공기흡입을 통해 상기 파우치 내부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단계; 및
    (c3) 미리 설정된 한계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니들을 상기 파우치 외부로 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이격부가 접하는 파우치의 반대 면에 위치한 고정 흡착판이 상기 파우치를 흡착하여 고정하거나 당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고정 흡착판에 설치되고, 내부에 가스배출로가 형성된 니들로 상기 파우치에 미세공을 형성하고, 상기 가스배출로를 통해 상기 파우치 내부의 가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방법.
KR1020200061480A 2020-05-22 2020-05-22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가스 방법 Active KR102284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480A KR102284678B1 (ko) 2020-05-22 2020-05-22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가스 방법
HUE21174818A HUE064788T2 (hu) 2020-05-22 2021-05-19 Másodlagos akkumulátor zsákjának gáztalanító készüléke és azt alkalmazó gáztalanítási eljárás
EP21174818.1A EP3913715B1 (en) 2020-05-22 2021-05-19 Degassing apparatus of pouch for secondary battery and degassing method using the same
US17/327,051 US12148947B2 (en) 2020-05-22 2021-05-21 Degassing apparatus of pouch for secondary battery and degass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21086359A JP2021185565A (ja) 2020-05-22 2021-05-21 二次電池用ポーチの脱ガス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脱ガス方法
CN202110567635.XA CN113694682A (zh) 2020-05-22 2021-05-24 二次电池用袋的脱气装置及利用该脱气装置的脱气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480A KR102284678B1 (ko) 2020-05-22 2020-05-22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가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4678B1 true KR102284678B1 (ko) 2021-08-03

Family

ID=76011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480A Active KR102284678B1 (ko) 2020-05-22 2020-05-22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가스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2148947B2 (ko)
EP (1) EP3913715B1 (ko)
JP (1) JP2021185565A (ko)
KR (1) KR102284678B1 (ko)
CN (1) CN113694682A (ko)
HU (1) HUE064788T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147A (ko) 2021-07-27 2023-02-03 김덕군 디가스 라인 클리닝 장치
WO2023085735A1 (ko) *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가스제거설비
KR20240050265A (ko) * 2022-10-11 2024-04-18 이강민 이차전지의 내압력 평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내압력 평가방법
KR102676973B1 (ko) * 2023-12-15 2024-06-20 주식회사 엔시스 이차전지셀 가스 인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581B1 (ko) * 2021-12-24 2022-07-05 주식회사 티엠프라자 배터리 셀 가스 제거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3547A (ja) * 1999-06-08 2000-12-19 Fuji Elelctrochem Co Ltd 角形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ガス抜き方法
KR100433836B1 (ko) * 2002-01-17 2004-05-3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차 전지의 가스 제거 장치
KR20100118394A (ko) 2009-04-28 2010-1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실링 잉여부를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304870B1 (ko) * 2010-12-02 2013-09-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전지셀
KR20190055595A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차 전지의 디가싱 장치
KR20200004745A (ko) * 2018-07-04 2020-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동화된 이차전지 내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방법
KR102092269B1 (ko) * 2016-12-01 2020-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디가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2664A (ja) * 1999-08-10 2001-02-23 Toshiba Battery Co Ltd フィルム外装型電池の封口方法および封口装置
EP2521208B1 (en) * 2009-12-28 2014-04-09 Nagano Automation Co., Ltd. Apparatus for supplying electrolytic solution
JP2011192523A (ja) * 2010-03-15 2011-09-29 Toyota Motor Corp 二次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ガス抜き装置
KR101452028B1 (ko) * 2011-08-31 2014-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203644871U (zh) * 2013-12-04 2014-06-11 东莞市鸿宝锂电科技有限公司 电池制造设备及其无腔真空抽液装置
CN104733770A (zh) * 2015-02-16 2015-06-24 东莞市盟昌精密设备有限公司 电池抽气封边装置
KR101880340B1 (ko) * 2015-04-01 2018-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가스제거장치 및 방법
CN105552441B (zh) * 2015-07-30 2018-07-27 万向一二三股份公司 一种软包锂电池抽空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748362B1 (ko) * 2016-02-02 2017-06-19 (주)엔에스 파우치형 이차 전지 제조 방법
KR102067715B1 (ko) * 2016-12-01 2020-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디가싱 장치
CN206349455U (zh) * 2016-12-30 2017-07-21 深圳市聚和源科技有限公司 一种软包锂离子动力电池二封抽气封口结构
CN108808145B (zh) * 2018-05-31 2021-02-02 深圳市新浦自动化设备有限公司 软包锂电池化成抽气装置
CN209548068U (zh) * 2018-11-27 2019-10-29 王绍梅 一种妇产科人工破膜器
CN110165302A (zh) * 2019-05-14 2019-08-23 宁波市鄞州特尔斐电子有限公司 一种软包电池的封装方法
CN110707367A (zh) * 2019-09-30 2020-01-17 深圳爱商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软包锂离子电池生产的开口化成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3547A (ja) * 1999-06-08 2000-12-19 Fuji Elelctrochem Co Ltd 角形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ガス抜き方法
KR100433836B1 (ko) * 2002-01-17 2004-05-31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이차 전지의 가스 제거 장치
KR20100118394A (ko) 2009-04-28 2010-1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미실링 잉여부를 구비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1304870B1 (ko) * 2010-12-02 2013-09-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전지셀
KR102092269B1 (ko) * 2016-12-01 2020-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셀 디가싱 장치
KR20190055595A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차 전지의 디가싱 장치
KR20200004745A (ko) * 2018-07-04 2020-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자동화된 이차전지 내부 발생가스 포집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147A (ko) 2021-07-27 2023-02-03 김덕군 디가스 라인 클리닝 장치
WO2023085735A1 (ko) * 2021-11-12 2023-05-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용 가스제거설비
EP4336609A4 (en) * 2021-11-12 2024-10-02 LG Energy Solution, Ltd. Gas removal equipment for secondary battery
KR20240050265A (ko) * 2022-10-11 2024-04-18 이강민 이차전지의 내압력 평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내압력 평가방법
KR102705865B1 (ko) 2022-10-11 2024-09-12 이강민 이차전지의 내압력 평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의 내압력 평가방법
KR102676973B1 (ko) * 2023-12-15 2024-06-20 주식회사 엔시스 이차전지셀 가스 인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13715A1 (en) 2021-11-24
CN113694682A (zh) 2021-11-26
JP2021185565A (ja) 2021-12-09
US12148947B2 (en) 2024-11-19
EP3913715B1 (en) 2023-08-09
US20210367306A1 (en) 2021-11-25
HUE064788T2 (hu) 202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4678B1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가스 방법
US10873065B2 (en) Battery cell degassing apparatus
EP3474364B1 (en) Battery cell degassing apparatus
KR102285961B1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디가스 시스템
KR102560132B1 (ko) 이차전지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제조장치
KR102104983B1 (ko) 전지셀 제조용 탈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기 방법
KR102244119B1 (ko) 이차 전지 제조 장치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KR102693457B1 (ko) 가스배출 탭을 구비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디가스 장치
KR20180093792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JP2008166254A (ja) バイポーラ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製造装置
KR102676973B1 (ko) 이차전지셀 가스 인출장치
KR101453784B1 (ko) 이차전지용 파우치의 실링 장치 및 방법
KR102254203B1 (ko) 이차 전지용 파우치의 주름 방지장치
KR20170094669A (ko) 각형 이차전지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2544138B1 (ko) 디가스 라인 클리닝 장치
EP4068444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KR102740610B1 (ko) 파우치형 전지의 가스 배출장치 및 가스 배출방법
JP5708607B2 (ja) バイポーラ電池の製造装置
KR102436643B1 (ko) 2차전지 논챔버 디가싱 장치
CN115842221B (zh) 电芯的揉平设备和揉平方法
KR20230069568A (ko) 이차전지용 가스제거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26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11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011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