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4491B1 - 휴대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84491B1 KR102284491B1 KR1020210042874A KR20210042874A KR102284491B1 KR 102284491 B1 KR102284491 B1 KR 102284491B1 KR 1020210042874 A KR1020210042874 A KR 1020210042874A KR 20210042874 A KR20210042874 A KR 20210042874A KR 102284491 B1 KR102284491 B1 KR 1022844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ball head
- body part
- support block
- portable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에 직립하게 설치되는 거치대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본체의 상단에는 거치부가 마련되고, 거치부는 거치대본체에 형성된 볼헤드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는 볼헤드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바닥면에 직립하게 세워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세워 직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바닥면에 고정되는 받침블럭을 포함하고,상기 거치부는 몸체부 상단의 볼헤드의 외주연 일부를 감싸면서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 되는 홀더유닛에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게 하며, 상기 몸체부와 홀더유닛은, 몸체부의 볼헤드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되 홀더유닛에 내장된 링자석이 볼헤드에 맞닿아 몸체부와 홀더유닛이 자력에 의하여 탈착되는 제1마그네틱체결부에 의하여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홀더유닛의 다른 이면으로는 휴대단말기의 뒷면에 장착된 금속플레이트와 자력에 의하여 탈착되는 제2마그네틱체결부에 의하여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와 받침블럭은 분리 구성되되, 하나의 몸체부에 대하여 여러 개의 받침블럭을 장착하거나 몸체부 단독으로 직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몸체부와 받침블럭에는 서로 맞물려 상,하 수직으로 끼워지도록 암,수 구조로 끼움부를 마련하고, 암,수 구조의 끼움부에는 각각 대응자성체가 내장되는 제3마그네틱체결부를 형성하여 몸체부를 이동시켜 다양한 장소에서 휴대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를 간단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소형 기기들을 거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히 차량에서 운전석 부근에 장착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기능이 점점 진화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음악이나 동영상 감상은 물론, 네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기기로 다양하게 활용된다.
그리고 스마트폰을 차량 운행시 네비게이션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그에 적합한 차량용 거치대를 운전석 부근에 설치하여 사용하며, 차량에 설치되는 거치대는 주행시 스마트폰이 흔들리거나 떨어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대쉬보드 등의 상부에 강력 접착테이프 등으로 쉽게 떨어지지 않게 매우 강한 힘으로 접착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이렇게 거치대를 대쉬보드에 설치하는 구조의 특성상 거치대가 고정식으로 이루어지므로 한 번 설치한 이후에는 제거가 쉽지 않고, 거치대를 활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시 거치대가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고 운전자 시야를 방해하는 등의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은 그 활용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차량은 물론,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도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위하여 별도의 거치대를 구비하여야 한다.
즉, 차량용 거치대와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거치대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지출이 늘어나게 됨은 물론, 구조가 서로 다른 거치대를 사용함에 따라 사용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예를 들면, 같은 스탠드 방식의 거치대이더라도 차량거치대는 차량 운행시 흔들림이나 유동에 대하여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견고한 고정을 위한 구조를 가지며,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실내 거치대인 경우에는 외력에 의한 내구성보다는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외관이 미려한 구조를 요하는 것으로서, 차량에서 마그네틱 방식의 거치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휴대단말기 뒷면에 자력발생을 위한 금속플레이트 등을 부착해서 사용해야 하는데,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거치대의 장착구조가 다를 경우 휴대단말기 뒷면에 부착되어 있는 금속플레이트의 돌출된 구조로 인하여 오히려 거치상태가 불안정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차량용 거치대와 책상용 거치대의 설치특성 또는 장착특성의 차이로 인하여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에 거치하는 기능외에도 필요에 따라 책상이나 테이블과 같이 실내에서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하나의 거치대로 장소에 따라 여러 용도로 활용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거치대를 조형화하여 새로운 미감을 갖도록 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로 조립이 가능하게 하고 간편하게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면서도 거치안정성도 우수한 구조의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바닥면에 직립하게 설치되는 거치대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본체의 상단에는 거치부가 마련되고, 거치부는 거치대본체에 형성된 볼헤드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는 볼헤드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바닥면에 직립하게 세워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를 세워 직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바닥면에 고정되는 받침블럭을 포함하고,상기 거치부는 몸체부 상단의 볼헤드의 외주연 일부를 감싸면서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 되는 홀더유닛에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게 하며, 상기 몸체부와 홀더유닛은, 몸체부의 볼헤드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되 홀더유닛에 내장된 링자석이 볼헤드에 맞닿아 몸체부와 홀더유닛이 자력에 의하여 탈착되는 제1마그네틱체결부에 의하여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홀더유닛의 다른 이면으로는 휴대단말기의 뒷면에 장착된 금속플레이트와 자력에 의하여 탈착되는 제2마그네틱체결부에 의하여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몸체부와 받침블럭은 분리 구성되되, 하나의 몸체부에 대하여 여러 개의 받침블럭을 장착하거나 몸체부 단독으로 직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몸체부와 받침블럭에는 서로 맞물려 상,하 수직으로 끼워지도록 암,수 구조로 끼움부를 마련하고, 암,수 구조의 끼움부에는 각각 대응자성체가 내장되는 제3마그네틱체결부를 형성하여 몸체부를 이동시켜 다양한 장소에서 휴대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의하면, 거치대다 여러 유닛으로 분리 구성되면서 각각의 유닛들이 자력에 의한 탈부착 구조로 간단하게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거치대가 완전히 설치 고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하나의 거치대로도 여러 장소에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매우 높으며, 각각의 장소에서 사용하기 위한 거치대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거치대의 형상을 동물이나 캐릭터 등 다양한 형상으로 조형화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미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 연출이 가능하고, 장식효과로 인하여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방향제가 내장된 발향유닛을 구비하여 홀더유닛을 발향유닛으로 교체하여 사용하거나 발향유닛을 홀더유닛에 부착하여 방향제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그 활용성을 다변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다양한 제품을 요구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외관도
도 2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몸체부와 받침블럭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몸체부와 홀더유닛의 탈부착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거치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몸체부와 홀더유닛의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몸체부의 분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홀더유닛의 분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홀더유닛의 조립단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몸체부가 다양한 받침블럭에 장착되는 사용상태도
도 11은 도 10의 몸체부의 저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발향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발향유닛의 사용상태도
도 2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몸체부와 받침블럭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몸체부와 홀더유닛의 탈부착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거치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몸체부와 홀더유닛의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몸체부의 분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홀더유닛의 분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홀더유닛의 조립단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몸체부가 다양한 받침블럭에 장착되는 사용상태도
도 11은 도 10의 몸체부의 저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발향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발향유닛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치대는 바닥면에 직립하게 설치되는 거치대본체(1)의 상단에 휴대단말기(A)를 거치할 수 있도록 거치부(2)가 마련되고, 거치부(2)는 거치대본체(1)에 형성된 볼헤드(1a)에 의하여 휴대단말기(A)를 장착한 상태에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A)의 거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정하여 사용자의 시야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거치대본체(1)는 볼헤드(1a)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바닥면에 직립하게 세워지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를 세워 직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바닥면에 고정되는 받침블럭(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A)를 거치하는 거치부(2)는 몸체부(100) 상단의 볼헤드(1a)의 외주연 일부를 감싸면서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 되는 홀더유닛(300)으로 구성됨으로써 홀더유닛(300)을 몸체부의 볼헤드(1a)에 탈착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홀더유닛(300)에 거치되는 휴대단말기(A)를 몸체부(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몸체부(100)와 받침블럭(200)과 홀더유닛(300)이 모두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의하여 부분들로 분리하여 사용하거나 거치장소를 이동하여 설치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몸체부(100)와 홀더유닛(300)은 제1마그네틱체결부(M1)에 의하여 자력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홀더유닛(300)과 휴대단말기(A)는 제2마그네틱체결부(M2)에 의하여 자력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100)와 받침블럭(200)은 제3마그네틱체결부(M3)의 의하여 자력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 또는 개인공간으로 거치대를 이동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부(100)는 거치대본체(1)의 외관 형태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단은 바닥면에 닿도록 구성되어 독립하여 세워지거나 또는 바닥면에 부착, 설치된 받침블럭(200)과 결합되어 몸체부가 직립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몸체부(100)의 상부측에는 볼헤드(1a)가 형성되어 홀더유닛(300)이 장착됨으로써 휴대단말기(A)를 거치할 수 있도록 된다.
이때, 몸체부(100)의 볼헤드(1a)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되 홀더유닛(300)에 내장된 링자석(320)이 볼헤드(1a)에 맞닿아 몸체부(100)와 홀더유닛(300)이 자력에 의하여 탈착되는 제1마그네틱체결부(M1)에 의하여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홀더유닛(300)의 다른 이면으로는 휴대단말기(A)의 뒷면에 장착된 금속플레이트(A1)와 자력에 의하여 탈착되는 제2마그네틱체결부(M2)에 의하여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진다.
몸체부(100)의 상세한 구성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체(102)와 하부체(104)의 조립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체(102)와 하부체(104)의 조립에 의하여 동물형상이나 캐릭터 등 다양한 장식 조형물의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부체(102)는 지지봉(103)이 형성되어 볼헤드(1a)가 상부체(102)의 상단으로 들려진 상태를 이루도록 되어 휴대단말기(A)가 소정의 높이에 거치될 수 있게 되며, 지지봉(103)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휴대단말기(A)의 각도를 조절할 때 걸림되지 않고 가변되는 범위를 충분히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볼헤드(1a)에는 나선 체결홈이 형성되어 볼트 방식의 체결구(160)가 상부체(102)와 하부체(104) 그리고 지지봉(103)을 관통하여 볼헤드(1a)에 조립되어 일체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하부체(102,104)의 조립시 더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보조 체결구(162)가 더 구비되어 이중으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부체(102)와 하부체(104)가 볼트방식의 체결구(160)에 의하여 체결부위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체(106)가 하부체(104)에 덧씌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체(104)는 하단에 끼움부(120)가 내입되게 형성되어 받침블럭(200)의 끼움부(220)와 암,수 구조로 조립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체결구(160)와 보조 체결구(162)로 이중 체결에 의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 상기 끼움부(120,220)가 맞물림 고정되는 구조도 이중으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와 받침블럭(200)에는 서로 맞물려 상,하 수직으로 끼워지도록 암,수 구조로 끼움부(120,220)가 마련되고, 암,수 구조의 끼움부(120,220)에는 각각 대응자성체(140,240)가 내장되는 제3마그네틱체결부(M3)가 형성되어 어 몸체부(100)를 이동시켜 다양한 장소에서 휴대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몸체부(100)와 받침블럭(200)을 분리 구성함으로써 몸체부(100)를 단독으로 직립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하나의 몸체부(100)에 대하여 여러 개의 받침블럭(200)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장소에 받침블럭(200)을 설치해두면 장소를 이동할 때마다 몸체부(100)를 가져가서 받침블럭(200)에 세워두고 휴대단말기(A)를 간편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개의 거치대를 마련할 필요없이 하나의 거치대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블럭(200)은 받침플레이트(202)에 상향 돌출되게 끼움부(220)가 형성되고, 그 끼움부(220)에 대응자성체(240)가 내장된 상태에서 마감판(204)으로 조립 구성되게 하여 간단한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면서도 부피를 최소화하고, 몸체부(100)가 지면에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받침블럭(200)의 하단에는 양면테이프나 점착패드 등의 고정요소에 의하여 거치대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응자성체(240)는 몸체부(100)와 받침블럭(200)의 대응자성체를 모두 자석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어느 일측은 자석으로 형성하면서 타측은 대응하여 자력에 의한 탈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금속판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유닛(300)은 볼헤드(1a)와 밀착된 상태에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써, 홀더케이싱(302)에 링자석(320)이 내장되어 볼헤드(1a)의 외주면에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 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홀더케이싱(302)의 상면에는 덮개판(304)이 장착되어 마감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덮개판(304)은 휴대단말기(A)를 거치한 상태에서 자력에 의하여 고정됨과 동시에 휴대단말기(A)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정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논슬립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고무나 실리콘 등의 연질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자석(320)이 볼헤드(1a)에 밀착되는 구조에서 홀더유닛(300)이 임의로 움직임되거나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링자석(320)의 하단에 논슬립패드(340)를 장착하면 제1마그네틱체결부(M1)의 링자석(320)의 자력에 의하여 볼헤드(1a)에 부착된 상태에서 홀더유닛(300)이 임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한 힘을 가해서 홀더유닛(300)을 조절하는 경우에만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논슬립패드(340)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 연질체의 마찰계수가 높을 지질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홀더케이싱(302)의 개구된 구멍을 통하여 노출되게 함으로써 볼헤드(1a)의 표면에 장착되며, 이때 상기 논슬립패드(340)에는 끼움부(342)가 형성되어 링자석(320)에 맞물려 끼워지고, 논슬립패드(340)의 외주연에는 플랜지(344)가 형성되어 링자석(320)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게 함으로써 홀더유닛(300)의 방향, 각도전환이 이루어질 때 논슬립패드(340)가 벗어나지 않고 링자석(320)과 논슬립패드(340)가 함께 움직임되면서 유연성 있게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대를 차량에 거치하여 운행하는 등의 상황에서 거치대에 충격이 발생하거나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홀더유닛(300)이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거치상태의 조정된 각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휴대단말기(A)를 거치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A)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홀더유닛(300)이 몸체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아닌, 휴대단말기(A)만 홀더유닛(3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즉, 제1마그네틱체결부(M1)의 자력이 제2마그네틱체결부(M2)의 자력보다 상대적으로 강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A)만 이탈되는 기능 구현이 가능한데, 상기 체결구(160)의 조립구조를 통하여 제1마그네틱체결부(M1)의 자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목적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00)는 볼헤드(1a)가 수직으로 상향 고정되는 체결구(160)를 이용하여 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체결구(160)를 금속재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체결구(160)의 일단(상단)은 볼헤드(1a)에, 타단(하단)은 끼움부(120)에 맞닿게 고정되게 함으로써 끼움부(120)에 마련된 대응자성체(140) 또는 받침블럭(200)의 끼움부(220)에 마련된 대응자성체(240)로부터 체결구(160)의 자화가 이루어져 볼헤드(1a)가 자성을 띄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유닛(300)이 볼헤드(1a)에 장착되어 휴대단말기(A)를 거치한 상태에서 휴대단말기(A)의 금속플레이트(A1)보다 상대적으로 볼헤드(1a)에 장착된 자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A)를 떼어낼 때 홀더유닛(300)이 몸체부(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휴대단말기만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상기 홀더유닛(300)은 링자석(320)과 볼헤드(1a) 간의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되는 힘을 강화하기 위하여 링자석(320)의 테두리에 복수의 보조자석(322)이 장착될 수 있으며, 보조자석의 자력이 가중되어 볼헤드(1a)와의 자력에 의한 부착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자석(322)은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자석을 사용하여 홀더케이싱(302)에 피스(324)로 조립하면, 보조자석(322)에 의하여 링자석(320)이 자력에 의하여 부착되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홀더케이싱(302)에 덮개판(304)을 덧씌워 조립할 때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견고하게 끼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케이싱(302)과 덮개판(304)에는 서로 대응되게 끼움부(303,305)를 마련하여 암,수 구조로 가압 방식으로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홀더케이싱(302)에 형성된 끼움부(303)의 내,외벽이 덮개판(304)에 형성된 벽체와 밀착되게 끼움 조립되고, 덮개판(304)이 고무나 실리콘 등의 연질재로 구성되어 있어 마찰력에 의하여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되므로 접착제 등의 보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가 받침블럭(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임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몸체부(100)와 받침블럭(200)에 대응하게 형성된 끼움부(120,220)가 복수로 구성되게 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에 형성된 끼움부(120)를 복수로 구성하고, 상기 받침블럭(200)은 끼움부를 단수 또는 복수로 구성함으로써 형태가 서로 다른 받침블럭(200)을 설치하는 장소에 따라서 끼움부를 달리 구성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차량과 같이 움직임되는 장소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받침블럭(200)에도 끼움부(220)를 복수로 구성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면서도 회동되지 않도록 하고, 반면에 책상이나 테이블과 같이 실내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장소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받침블럭(200)의 끼움부(220)를 한 개로 구성하여 구조를 간소화하면서도 간단하게 탈부착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블럭(200)은 휴대단말기(A)를 거치한 상태에서 더욱 안정감있게 거치될 수 있도록 몸체부(100)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바닥에 지지되는 면적을 넓게함으로써 거치대에 휴대단말기(A)를 거치한 상태에서 조작하더라도 쉽게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00)의 하단에는 덮개체(106)로 마감되어 끼움부(120,220)가 서로 맞물려 끼움될 때 강한 자력에 의하여 체결되더라도 끼움부위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덮개체(106)를 연질체로 구성하면 몸체부(100)와 받침블럭(200) 간 유동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120,220)를 복수로 구성하는 경우 끼움부의 크기를 서로 달리하여 정방향 설치를 유도할 수 있으며, 끼움부의 정방향 조립을 위해서는 상기 끼움부(120,220)의 맞물림 구조를 다각형 구조로 형성하여도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00) 또는 홀더유닛(300)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제(420)가 내장되는 발향유닛(400)을 장착하여 방향제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발향유닛(400)에는 발향유닛(400)의 탈부착을 위한 연결자석(440)이 내장되어 몸체부(100)의 볼헤드(1a) 또는 홀더유닛(300)의 링자석(320)에 탈착 가능하게 됨으로써 휴대단말기(A)를 거치하지 않는 경우에 방향제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홀더유닛(300)을 제거한 후 발향유닛(400)을 볼헤드(1a)에 장착하여 방향 기능을 구현하거나, 또는 홀더유닛(300)이 볼헤드(1a)에 장착된 상태에서 홀더유닛(300)에 발향유닛(400)을 자력에 의하여 간편하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홀더유닛(300) 또는 발향유닛(400)의 방향을 전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향 발산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발향유닛(400)을 볼헤드(1a)에 대응되게 조립할 경우 연결자석(440)과 볼헤드(1a)가 마찰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논슬립패드가 부가될 수 있다.
그리고 발향유닛(400)은 발향케이싱(402)에 통기공이 형성된 덮개부(404)를 장착하고, 그 내부에 방향제(420)를 내장하여 발향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서, 방향제(420)는 고체 방향제를 사용하거나, 또는 압축섬유에 향을 함침시킨 방향제와 같이 일정한 형상을 갖는 방향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방향제(420)가 소진된 경우 교체를 위해서는 덮개부(404)가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덮개부(404)의 뒷면에 금속재질의 보조플레이트(406)를 장착하면 보조플레이트(406)가 연결자석(440)에 탈착되면서 간편하게 개폐가 가능하도록 됨은 물론, 사용자가 방향제(420)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1: 거치대본체 1a: 볼헤드
2: 거치부
100: 몸체부 102: 상부체 103: 지지봉
104: 하부체 106: 덮개체
120: 끼움부
140: 대응자성체
200: 받침블럭 202: 받침플레이트 204: 마감판
220: 끼움부 240: 대응자성체
300: 홀더유닛 302: 홀더케이싱 304: 덮개판
320: 링자석 322: 보조자석
340: 논슬립패드 342: 끼움부 344: 플랜지
400: 발향유닛 402: 발향케이싱 404: 덮개부
406: 보조플레이트
420: 방향제
440: 연결자석
2: 거치부
100: 몸체부 102: 상부체 103: 지지봉
104: 하부체 106: 덮개체
120: 끼움부
140: 대응자성체
200: 받침블럭 202: 받침플레이트 204: 마감판
220: 끼움부 240: 대응자성체
300: 홀더유닛 302: 홀더케이싱 304: 덮개판
320: 링자석 322: 보조자석
340: 논슬립패드 342: 끼움부 344: 플랜지
400: 발향유닛 402: 발향케이싱 404: 덮개부
406: 보조플레이트
420: 방향제
440: 연결자석
Claims (5)
- 바닥면에 직립하게 설치되는 거치대본체(1)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본체(1)의 상단에는 거치부(2)가 마련되고, 거치부(2)는 거치대본체(1)에 형성된 볼헤드(1a)에 의하여 휴대단말기(A)를 장착한 상태에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게 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본체(1)는 볼헤드(1a)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바닥면에 직립하게 세워지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를 세워 직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바닥면에 고정되는 받침블럭(200)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2)는 몸체부(100) 상단의 볼헤드(1a)의 외주연 일부를 감싸면서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 되는 홀더유닛(300)에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며,
상기 몸체부(100)와 홀더유닛(300)은, 몸체부(100)의 볼헤드(1a)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되 홀더유닛(300)에 내장된 링자석(320)이 볼헤드(1a)에 맞닿아 몸체부(100)와 홀더유닛(300)이 자력에 의하여 탈착되는 제1마그네틱체결부(M1)에 의하여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유닛(300)의 다른 이면으로는 휴대단말기(A)의 뒷면에 장착된 금속플레이트(A1)와 자력에 의하여 탈착되는 제2마그네틱체결부(M2)에 의하여 체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부(100)와 받침블럭(200)은 분리 구성되되, 하나의 몸체부(100)에 대하여 여러 개의 받침블럭(200)을 장착하거나 몸체부(100) 단독으로 직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100)와 받침블럭(200)에는 서로 맞물려 상,하 수직으로 끼워지도록 암,수 구조로 끼움부(120,220)가 마련되고, 암,수 구조의 끼움부(120,220)에는 각각 대응자성체(140,240)가 내장되는 제3마그네틱체결부(M3)가 형성되어 몸체부(100)를 이동시켜 다양한 장소에서 휴대단말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몸체부(100)는 볼헤드(1a)가 수직으로 상향 고정되는 체결구(160)를 이용하여 고정되고,
상기 체결구(16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되, 체결구(160)의 일단은 볼헤드(1a)에 타단은 하단의 끼움부(120)에 맞닿게 고정되어 끼움부(120)에 마련된 대응자성체(140) 또는 받침블럭(200)의 끼움부(220)에 마련된 대응자성체(240)로부터 자화가 이루어져 볼헤드(1a)가 자성을 띄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가 받침블럭(2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한 임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몸체부(100)와 받침블럭(200)에 대응하게 형성된 끼움부(120,220)가 복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 또는 홀더유닛(300)에 장착되되, 방향제(420)가 내장되는 발향유닛(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향유닛(400)은 몸체부(100)의 볼헤드(1a) 또는 홀더유닛(300)의 링자석(320)에 탈착가능하도록 보조자석(440)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300)은 링자석(320)과 볼헤드(1a) 간의 자력에 의하여 탈부착되는 힘을 강화하기 위하여 링자석의 테두리에 복수의 보조자석이 장착되고,
보조자석은 홀더덮개에 의하여 볼헤드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2874A KR102284491B1 (ko) | 2021-04-01 | 2021-04-01 | 휴대단말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42874A KR102284491B1 (ko) | 2021-04-01 | 2021-04-01 | 휴대단말기 거치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4491B1 true KR102284491B1 (ko) | 2021-08-03 |
Family
ID=7731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42874A KR102284491B1 (ko) | 2021-04-01 | 2021-04-01 | 휴대단말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449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0235B1 (ko) * | 2023-06-23 | 2023-11-09 | 최천오 | 완충 기능이 구비된 오토바이 충전 거치대 |
KR102637976B1 (ko) * | 2023-09-22 | 2024-02-19 | (주)오가프린스 | 스마트폰 거치대 |
WO2024152441A1 (zh) * | 2023-01-17 | 2024-07-25 | 深圳市李森智能有限公司 | 一种支架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1854B1 (ko) * | 2006-12-28 | 2008-04-14 | 고석수 | 모바일폰용 버티컬 스탠드 |
KR20150098360A (ko) * | 2014-02-20 | 2015-08-28 | 박정권 | 다용도 거치대 |
KR20170132511A (ko) * | 2016-05-24 | 2017-12-04 | 최상효 | 물품 부착용 다기능 자석 거치대 |
KR20170143472A (ko) * | 2017-10-11 | 2017-12-29 | 오세훈 | 모바일 기기 거치대 |
KR20180011601A (ko) * | 2016-07-25 | 2018-02-02 | 강영복 |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
-
2021
- 2021-04-01 KR KR1020210042874A patent/KR1022844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1854B1 (ko) * | 2006-12-28 | 2008-04-14 | 고석수 | 모바일폰용 버티컬 스탠드 |
KR20150098360A (ko) * | 2014-02-20 | 2015-08-28 | 박정권 | 다용도 거치대 |
KR20170132511A (ko) * | 2016-05-24 | 2017-12-04 | 최상효 | 물품 부착용 다기능 자석 거치대 |
KR20180011601A (ko) * | 2016-07-25 | 2018-02-02 | 강영복 |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
KR20170143472A (ko) * | 2017-10-11 | 2017-12-29 | 오세훈 | 모바일 기기 거치대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4152441A1 (zh) * | 2023-01-17 | 2024-07-25 | 深圳市李森智能有限公司 | 一种支架 |
KR102600235B1 (ko) * | 2023-06-23 | 2023-11-09 | 최천오 | 완충 기능이 구비된 오토바이 충전 거치대 |
KR102637976B1 (ko) * | 2023-09-22 | 2024-02-19 | (주)오가프린스 | 스마트폰 거치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84491B1 (ko) | 휴대단말기 거치대 | |
US10027788B2 (en) | System and method of attaching cellular device accessories | |
KR101732315B1 (ko) | 방향제가 구비된 송풍구 자석 거치대를 활용한 스마트폰 거치 장치 및 방법 | |
US5444790A (en) | Microphone windscreen mounting | |
USD510991S1 (en) | Air freshener device | |
US10397678B2 (en) | Versatile mounting system | |
US5961087A (en) | Suction-type fixing mechanism of a flagpole for advertisement | |
US20220116491A1 (en) | Magnetic grip accessory | |
WO2004088459A3 (en) | Portable screen assembly | |
USD510699S1 (en) | Multiple function geomatics pole support device | |
JP2009201088A (ja) | 首掛け式スピーカー | |
CN107961393B (zh) | 香氛设备 | |
KR200483942Y1 (ko) |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 |
CN208227223U (zh) | 一种可调节的音响底座 | |
KR102344893B1 (ko) | 스마트폰 다용도 거치대 | |
KR200484292Y1 (ko) |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 |
CN214381290U (zh) | 一种具有音效和振动功能的底座 | |
CN205769059U (zh) | 手机香水旋转固定支架 | |
CN217135531U (zh) | 电子设备支架 | |
CN220754429U (zh) | 车载充电支架 | |
CN219327977U (zh) | 一种带有吸盘的磁吸座 | |
CN210096906U (zh) | 一种带香薰的弹簧公仔 | |
CN215268392U (zh) | 一种组合式手机壳 | |
CN216896503U (zh) | 快装组件、挂脖装置及挂脖系统 | |
KR20190017589A (ko) | 흡착보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