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272405B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405B1
KR102272405B1 KR1020190095175A KR20190095175A KR102272405B1 KR 102272405 B1 KR102272405 B1 KR 102272405B1 KR 1020190095175 A KR1020190095175 A KR 1020190095175A KR 20190095175 A KR20190095175 A KR 20190095175A KR 102272405 B1 KR102272405 B1 KR 102272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connection terminal
aerosol
heating
gener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6865A (ko
Inventor
김태훈
심인식
이승원
정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90095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405B1/ko
Publication of KR20210016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40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44Heating of fluid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characterised by means converting mechanical movement into electric signals
    • G05G2009/04748Position sensor for rotary movement, e.g. potentiometer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공급받는 심지 및 심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가열 요소 및 가열 요소에 전력을 전달하는 제1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카트리지가 삽입될 수 있는 빈 공간인 수용부 및 수용부에 배치되어 제1 접속 단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본체, 제2 접속 단자 및 제1 접속 단자를 통해 가열 요소에 공급할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카트리지의 본체에 대한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로터리 센서 및 복수의 가열 모드들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가열 요소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고, 로터리 센서가 카트리지의 본체에 대한 회전을 감지하면 가열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AEROSOL GENERATING DEVICE, OPERATING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FOR THE METHOD}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본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액상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기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끽연감을 경험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액상의 에어로졸을 저장하는 카트리지는 장치에 삽입 및 탈착될 수 있는데, 기존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카트리지 및 본체의 결합을 위해서 카트리지 및 본체가 향하는 방향이 일치하는 것을 요구하므로 결합 과정이 번거롭다. 또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을 위해서 버튼을 누르는 등의 조작이 필요하므로 조작 방법이 간편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2017/0196263호(2017.07.1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카트리지의 본체에 대한 회전에 따라 가열 모드를 변경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카트리지 및 본체의 결합 시, 카트리지 및 본체에 각각 배치되는 환형의 전극 단자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부, 저장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공급받는 심지 및 심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가열 요소 및 가열 요소에 전력을 전달하는 제1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카트리지가 삽입될 수 있는 빈 공간인 수용부 및 수용부에 배치되어 제1 접속 단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본체, 제1 접속 단자 및 제2 접속 단자를 통해 가열 요소에 공급할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카트리지의 본체에 대한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로터리 센서 및 복수의 가열 모드들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가열 요소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고, 로터리 센서가 카트리지의 본체에 대한 회전을 감지하면 가열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제어부는 카트리지가 본체에 대해 소정의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열 요소에 제1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가열 모드를 운용하고, 카트리지가 본체에 대해 소정의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열 요소에 제1 전력보다 큰 제2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가열 모드를 운용할 수 있다.
또, 제어부는 카트리지가 본체에 대해 소정의 제1 각도만큼 회전하면, 가열 요소에 제1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가열 모드를 운용하고, 카트리지가 본체에 대해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만큼 회전하면, 가열 요소에 제1 전력보다 더 큰 제2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가열 모드를 운용할 수 있다.
또, 제1 접속 단자는 환형이고, 제2 접속 단자는 제1 접속 단자에 대해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환형일 수 있다.
또, 로터리 센서는 카트리지에 배치된 자성체 및 본체에 배치된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로터리 센서는 본체에 배치된 스위치를 포함하고, 카트리지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카트리지에 배치된 돌출부가 스위치를 가압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무화부 및 제1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카트리지가 삽입될 수 있는 빈 공간인 수용부 및 수용부에 배치되는 제2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본체 및 복수의 가열 모드들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제2 접속 단자 및 제1 접속 단자를 통해 무화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카트리지가 본체에 결합함에 따라 제1 접속 단자 및 제2 접속 단자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로터리 센서를 통해 카트리지의 본체에 대한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가열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은 카트리지가 본체에 대해 소정의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무화부에 제1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가열 모드를 운용하는 단계 및 카트리지가 본체에 대해 소정의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무화부에 제1 전력보다 큰 제2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가열 모드를 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무화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가 삽입될 수 있는 본체 및 복수의 가열 모드들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무화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로터리 센서를 통해 카트리지의 본체에 대한 회전을 감지하면 가열 모드를 변경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리지의 본체에 대한 회전에 따라 가열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회전식으로 카트리지가 결합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해 직관적이고 간편한 조작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카트리지 및 본체에 각각 배치되는 환형의 전극 단자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카트리지 및 본체가 향하는 방향의 일치 여부와 무관하게 카트리지 및 본체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카트리지 및 본체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도 2에 따른 단면 S의 일 실시예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단면 S의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배터리(110), 히터(230), 센서(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70), 메모리(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내부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설계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본체(100)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100)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본체(100) 및 카트리지(200)로 구성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100) 및 카트리지(200)에 나뉘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체(100) 및 카트리지(200) 각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한정하지 않고, 각 구성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110)는 히터(23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에 구비된 다른 하드웨어 구성들, 즉, 센서(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70), 메모리(150) 및 제어부(16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110)이거나 일회용 배터리(11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는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11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히터(23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가열 요소(230)이다. 히터(230)는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삽입된 궐련을 가열하거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장착된 카트리지(200)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2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본체(100)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본체(100) 및 카트리지(200)로 구성되는 경우, 히터(230)는 카트리지(200)에 위치할 수 있다. 히터(230)가 카트리지(200)에 위치하는 경우, 히터(230)는 본체(100) 및 카트리지(20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히터(230)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230)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230)는 카트리지(200)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히터(230), 액체 전달 수단(심지(220), 220) 및 저장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10)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체 전달 수단으로 이동하고, 히터(230)는 액체 전달 수단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230)는 니켈크롬과 같은 소재를 포함하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서 센싱된 결과는 제어부(160)로 전달되고, 센싱 결과에 따라 제어부(160)는 히터의 동작 제어, 흡연의 제한, 카트리지(200) 삽입 유/무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는 카트리지(200)의 본체(100)에 대한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로터리 센서(180, 28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 센서(180, 280)는 광학식 로터리 인코더, 자기식 로터리 인코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식 로터리 인코더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포함하고, 카트리지(200)의 회전에 따라 수광 소자에서 인식되는 펄스 신호를 감지함으로서 카트리지(20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식 로터리 인코더는 카트리지(200)에 배치된 자성체(280) 및 본체(100)에 배치된 홀 센서(180)를 포함할 수 있고, 카트리지(200)의 회전에 따른 자성체(280)의 이동을 홀 센서(18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또 로터리 센서(180, 280)는 회전하는 카트리지(200)가 이동하는 경로에 배치되는 스위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80)는 카트리지(200)의 회전에 따라 카트리지(200)의 돌출부(280)에 의해 가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카트리지(20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퍼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전압 변화 및 압력 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는 히터(230)(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가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히터(230)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대신 히터(230) 자체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히터(230)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는 위치변화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싱 수단들(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충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들,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Field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싱 모듈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70)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15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150)는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50)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드웨어이다.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복수의 동작 모드들을 운용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운용 중인 가열 모드 또는 예열 모드에 따라 배터리(110)로부터 가열 요소(2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기화시킬 수 있는 고온까지 가열하는 가열 모드 및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이전에 가열 모드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히터를 예열하여,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즉각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예열 모드 등을 운용할 수 있다. 가열 모드 및 예열 모드 등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종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여량 및 퍼프의 횟수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복수의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를 분석하고 뒤이어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230)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히터(23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230)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230)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터리 센서(180, 280)가 카트리지(200)의 본체(100)에 대한 회전을 감지하면 제어부(160)는 가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로터리 센서(180, 280)를 통해 감지한 카트리지(200)의 본체(100)에 대한 회전의 방향(방향 a, b) 및 각도 등에 따라 가열 모드를 미리 정해진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히터(230)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히터(230)의 모드를 예열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한 후 히터(230)의 모드를 예열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히터(230)에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30)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7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제어부(160)는 램프, 모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가 곧 종료될 것임을 예고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배터리(110)를 충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크래들 내부의 수용부(120)에 수용된 상태에서, 크래들의 배터리(1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배터리(110)를 충전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카트리지(200) 및 본체(100)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200)와, 카트리지(200)를 지지하는 본체(10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200)는 본체(10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 또는 무선 신호 등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카트리지(200)의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200)는 본체(100)로부터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거나,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하거나,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을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카트리지(200)가 자체적인 전력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본체(100)로부터 카트리지(200)에 전달되는 전기적인 제어 신호나 무선 신호에 의해 카트리지(200)가 작동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저장부(210)와, 저장부(210)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화부(atom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10)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다'는 것은 저장부(210)가 그릇(container)의 용도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단순히 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저장부(210)의 내부에 예를 들어 스펀지(sponge)나 솜이나 천이나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함침(함유)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화기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저장부(210)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공급받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액체 전달 수단(wick; 윅; 심지(220))과, 액체 전달 수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예를 들어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전기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액체 전달 수단에 전달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가열 요소(230)이다. 히터는 구리, 니켈, 텅스텐 등의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예를 들어, 금속 열선(wire),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니크롬선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현되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무화기는 또한 별도의 액체 전달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과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메시 형상(mesh shape)이나 판 형상(plate shape)의 발열체로 구현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100)에 결합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의 일 부분 또는 전체가 본체(100)의 수용부(120)에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200)가 본체(1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 때, 카트리지(2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수용부(120)에 삽입 또는 탈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200)가 본체(100)에 삽입 및 장착되면, 제1 접속 단자(240) 및 제2 접속 단자(1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카트리지(200)는 본체(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240)는 히터의 양 단에 연결되며, 전달된 전력에 의해 히터가 가열될 수 있다. 접속 단자는 예를 들면 전도성 부재인 전극일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240)는 카트리지(200)의 일 면에 구비되거나, 카트리지(200)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접속 단자(140)는 수용부(120)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접속 단자(140)는 제1 접속 단자(240)에 대해 제1 방향(방향 a) 및 제2 방향(방향 b)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240) 및 제2 접속 단자(140)의 결합 관계에 대해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후술한다.
카트리지(200)는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나, 기체 상태나, 겔(gel) 상태 등의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의 어느 하나의 성분이나, 이들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니코틴 염이 첨가된 임의의 중량비의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에는 2종 이상의 니코틴 염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으로서, 액상 조성물의 총 용액 중량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중량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작동 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 락트산, 살리실산, 라우르산, 소르브산, 레불린산, 피루브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시트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페닐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사카린산, 말론산 또는 말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체(100)는 카트리지(200)에 공급하는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110) 및 배터리(110)로부터 카트리지(200)에 공급되는 전력을 조절하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카트리지(200)가 삽입되는 빈 공간인 수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20)는 본체(100)의 일 면에서 본체(100)의 내부로 함입된 공간일 수 있다. 수용부(120)의 내측면에는 제2 접속 단자(140)가 배치될 수 있다.
로터리 센서(180, 280)는 카트리지(200) 및 본체(100)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 복수의 로터리 센서(180, 280)들이 카트리지(200)의 둘레 방향 및 본체(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로터리 센서(180, 280)의 배치에 관한 일 실시예일 뿐이며, 로터리 센서(180, 280)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터리 센서(180, 280)는 자기식 인코더일 수 있고, 이 때 로터리 센서(180, 280)의 제1 요소인 홀 센서(180)는 본체(100)의 수용부(120)의 내측면에서 제2 접속 단자에서 이격된 위치에 수용부(120)의 내측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로터리 센서(180, 280)의 제2 요소인 자성체(280)는 카트리지(200)의 제1 접속 단자(240) 부근에 카트리지(20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터리 센서(180, 280)는 스위치(180)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스위치(180)는 본체(100)의 수용부(12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수용부(120)에 삽입되는 카트리지(200)의 일 부분에는 회전 시 스위치(180)를 가압할 수 있는 돌출부(280)가 형성될 수 있다.
마우스피스(2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사용자의 구강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마우스피스(270)는 저장부(210)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을 포함한다. 마우스피스(270)는 카트리지(200) 또는 본체(10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에 따른 단면 S의 일 실시예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카트리지(200) 및 본체(100)가 결합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단면도에서 제1 접속 단자(240) 및 제2 접속 단자(140)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240) 및 제2 접속 단자(14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는 환형 또는 내부가 채워진 원형일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240) 및 제2 접속 단자(140)는 결합되는 방향과 무관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 제1 접속 단자(240) 및 제2 접속 단자(140)는 상호에 대해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속 단자(240)는 카트리지(200)의 외곽에 배치되는 제1 외곽 전극 및 카트리지(200)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1 중심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곽 전극 및 제1 중심부 전극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기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제2 접속 단자(140)는 본체(100)의 외곽에 배치되는 제2 외곽 전극 및 본체(100)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제2 중심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곽 전극 및 제2 중심부 전극은 서로 다른 극성의 전기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카트리지(200) 및 본체(100)의 결합에 따라 제1 외곽 전극 및 제2 외곽 전극이 결합할 수 있고, 제1 중심부 전극 및 제2 중심부 전극이 결합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따른 단면 S의 다른 일 실시예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카트리지(200) 및 본체(100)가 결합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단면도에서 제1 접속 단자(240) 및 제2 접속 단자(140)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접속 단자(240)는 카트리지(20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단면에서 2개의 단자로 제공되며, 제2 접속 단자(140)는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단면에서 4개의 단자로 제공된다. 제1 접속 단자(240) 및 제2 접속 단자(140) 중 어느 하나는 카트리지(200) 및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제1 접속 단자(240) 및 제2 접속 단자(140) 중 다른 하나는 카트리지(200) 및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함입될 수 있다.
제1 접속 단자(240) 및 제2 접속 단자(140)가 결합되는 결합 위치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결합 위치에서, 제1 접속 단자(240)의 단자(244a) 및 단자(244b)는 제2 접속 단자(140)의 단자(144a) 및 단자(144d)에 결합될 수 있다. 또, 제2 결합 위치에서, 제1 접속 단자(240)의 단자(244a) 및 단자(244b)는 제2 접속 단자(140)의 단자(144b) 및 단자(144c)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200)의 본체(100)에 대한 회전 시, 제1 접속 단자(240) 및 제2 접속 단자(140)의 결합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카트리지(200)의 본체(100)에 대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카트리지(200)와 본체(100)는 바요넷 잠금 방식(bayonet lock type)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200)는 본체(100)에 대해 길이 방향의 이동 및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평면 상에서의 이동을 교번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카트리지(200)는 결합 위치에서의 잠금 해제 및 잠금을 수행하면서 결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의 동작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카트리지(200)가 본체(100)에 삽입됨에 따라 제1 접속 단자(240) 및 제2 접속 단자(1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S1100). 예를 들면, 제1 접속 단자(240) 및 제2 접속 단자(140)는 도 3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결합될 수 있고,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로터리 센서(180, 280)를 통해 카트리지(200)의 본체(100)에 대한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S1200). 로터리 센서(180, 280)는 카트리지(200)의 본체(100)에 대한 회전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로터리 센서(180, 280)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로터리 센서(180, 28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카트리지(200)의 본체(100)에 대한 회전의 발생, 회전 방향, 회전 각도, 회전 속도 및 회전 횟수 등 회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터리 센서(180, 280) 자체적으로 제어부(160)를 구비하고, 로터리 센서(180, 280)가 회전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가열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S13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200)가 본체(100)에 대해 소정의 제1 방향(방향 a)으로 회전하면, 제어부(160)는 무화부에 제1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가열 모드를 운용할 수 있다. 또, 카트리지(200)가 본체(100)에 대해 소정의 제2 방향(방향 b)으로 회전하면, 제어부(160)는 무화부에 제1 전력보다 큰 제2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가열 모드를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200)가 본체(100)에 삽입된 후, 카트리지(200)가 제1 방향(방향 a)으로 회전하면 제어부(160)는 예열 모드에 따라 가열 요소(230)를 제1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고, 이후 카트리지(200)가 제2 방향(방향 b)으로 회전하면 제어부(160)는 가열 모드에 따라 가열 요소(230)를 제1 온도보다 고온인 제2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200)가 본체(100)에 대해 소정의 제1 각도만큼 회전하면, 제어부(160)는 가열 요소(230)에 제1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가열 모드를 운용하고, 카트리지(200)가 본체(100)에 대해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만큼 회전하면, 제어부(160)는 가열 요소(230)에 제1 전력보다 더 큰 제2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가열 모드를 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200)가 본체(100)에 삽입된 후, 카트리지(200)가 제1 각도만큼 회전하면 제어부(160)는 예열 모드에 따라 가열 요소(230)를 제1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고, 이후 카트리지(200)가 제2 각도만큼 회전하면 제어부(160)는 가열 모드에 따라 가열 요소(230)를 제1 온도보다 고온인 제2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0 본체
110 배터리
120 수용부
140 제2 접속 단자
160 제어부
180 로터리 센서
200 카트리지
210 저장부
220 심지
230 가열 요소
240 제1 접속 단자
270 마우스피스
280 로터리 센서

Claims (9)

  1.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로부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공급받는 심지 및 상기 심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는 가열 요소 및 상기 가열 요소에 전력을 전달하는 제1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될 수 있는 빈 공간인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가열 요소에 공급할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본체에 대한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로터리 센서; 및
    복수의 가열 모드들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가열 요소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고, 상기 로터리 센서가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본체에 대한 회전을 감지하면 상기 가열 요소를 동작시키는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 센서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의 부근에 상기 카트리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요소와 상기 본체의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제2 접속 단자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용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대해 제1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실행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기화시킬 수 있는 고온까지 상기 가열 요소를 가열하는 가열 모드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대해 제2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실행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기화되지 않도록 상기 가열 모드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상기 가열 요소를 예열하는 예열 모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단자는 환형이고,
    상기 제2 접속 단자는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대해 결합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환형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센서의 상기 제1 요소와 상기 제2 요소의 어느 하나는 자성체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자성체를 감지하는 홀 센서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센서의 상기 제1 요소와 상기 제2 요소의 어느 하나는 스위치이고, 다른 하나는 상기 카트리지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는 돌출부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기화시키는 무화부 및 제1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될 수 있는 빈 공간인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는 제2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본체 및 복수의 동작 모드들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상기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무화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결합함에 따라 상기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제2 접속 단자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1 접속 단자의 부근에 상기 카트리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요소와 상기 본체의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제2 접속 단자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용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로터리 센서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본체에 대한 회전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대해 제1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실행되어 상기 무화부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기화시킬 수 있는 고온까지 가열하는 가열 모드 단계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대해 제2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실행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기화되지 않도록 상기 무화부가 상기 가열 모드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예열하는 예열 모드 단계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대해 소정의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무화부에 제1 전력을 공급하는 제1 가열 모드를 운용하는 단계; 및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대해 소정의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무화부에 상기 제1 전력보다 큰 제2 전력을 공급하는 제2 가열 모드를 운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
  9.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무화부와 상기 무화부에 전력을 전달하는 제1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및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될 수 있는 빈 공간인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접속 단자를 포함하는 본체 및 복수의 가열 모드들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상기 무화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상기 제1 접속 단자의 부근에 상기 카트리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요소와 상기 본체의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제2 접속 단자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수용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요소를 포함하는 로터리 센서를 통해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본체에 대한 회전을 감지하면 동작 모드를 변경하고,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대해 제1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실행되어 상기 무화부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기화시킬 수 있는 고온까지 가열하는 가열 모드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대해 제2 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실행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기화되지 않도록 상기 무화부가 상기 가열 모드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예열하는 예열 모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0095175A 2019-08-05 2019-08-05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ctive KR102272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175A KR102272405B1 (ko) 2019-08-05 2019-08-05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175A KR102272405B1 (ko) 2019-08-05 2019-08-05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865A KR20210016865A (ko) 2021-02-17
KR102272405B1 true KR102272405B1 (ko) 2021-07-02

Family

ID=7473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175A Active KR102272405B1 (ko) 2019-08-05 2019-08-05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4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199B1 (ko) * 2020-06-24 2023-06-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991A (ja) * 2002-01-15 2005-05-26 エアロジ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アロゾル発生器を作動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478885Y1 (ko) 2015-02-10 2015-12-01 백홍식 전자 담배
US20160374392A1 (en) * 2013-09-29 2016-12-29 Kimree Hi-Tech Inc. Battery assembly and atomizing assembly of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US20170196263A1 (en) * 2016-01-12 2017-07-1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Hall effect current sensor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61598B2 (ja) * 2015-02-27 2020-03-1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4991A (ja) * 2002-01-15 2005-05-26 エアロジ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エアロゾル発生器を作動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60374392A1 (en) * 2013-09-29 2016-12-29 Kimree Hi-Tech Inc. Battery assembly and atomizing assembly of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KR200478885Y1 (ko) 2015-02-10 2015-12-01 백홍식 전자 담배
US20170196263A1 (en) * 2016-01-12 2017-07-13 R.J. Reynolds Tobacco Company Hall effect current sensor for an aerosol delive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865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45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0004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7470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1614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859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81295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카트리지,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가열 요소와 단자를 연결하는 방법
KR10225245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0187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00126588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15572A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5666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함께 이용되는 카트리지
KR20220113314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20210101980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240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그 동작 방법, 및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258050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86582B1 (ko) 궐련 및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272407B1 (ko) 마우스피스 교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28658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30807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32600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3080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86581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충전용 전원변환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는 시스템
EP3817585B1 (en) Cartridg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25804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카트리지
KR20210014495A (ko) 가열 요소 수용부를 포함하는 심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용 가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