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276467B1 -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6467B1
KR102276467B1 KR1020200063844A KR20200063844A KR102276467B1 KR 102276467 B1 KR102276467 B1 KR 102276467B1 KR 1020200063844 A KR1020200063844 A KR 1020200063844A KR 20200063844 A KR20200063844 A KR 20200063844A KR 102276467 B1 KR102276467 B1 KR 102276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ower transmission
lower thread
hook body
transmis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용군
Original Assignee
크레센트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레센트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레센트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467B1/ko
Priority to PCT/KR2021/095062 priority patent/WO2021242084A1/ko
Priority to CN202180013500.7A priority patent/CN115087771B/zh
Priority to JP2022536666A priority patent/JP7473995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05B57/143Vertical axis typ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개방된 일측과 반대측에 안착되어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기어부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동력 전달부와, 상기 동력 전달부 보다 상기 하우징부의 개방된 일측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되, 윗실을 거는 고리 형상의 후크를 포함하는 후크 바디부를 포함하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부의 개방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후크 바디부에는 밑실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밑실 수용공간에 수용된 밑실은 상기 후크 바디부와 동력 전달부 사이로 배출되어 윗실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Internal rotating sewing apparatus with crescent hook}
본 발명은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봉제물로 공급되는 밑실의 장력을 유지하여 밑실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재봉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봉틀은, 옷, 가방, 구두 기타 봉제물을 기계적으로 재봉하여 빠르고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창안된 재봉기계이다.
그러나, 재봉작업에서 봉제물을 이동시키거나 봉제선을 따라 재봉을 하거나 재봉틀을 조정하는 작업은 결국 재봉틀을 조정하는 사람의 몫이 되므로 재봉틀의 효율 여하에 따라 재봉작업의 효율이 좌우되게 된다.
재봉틀의 기본원리가, 밑실을 구비하고 윗실을 당겨 기계적 작동에 의해 밑실과 윗실을 엮어주어 봉제물에 스티치(땀)를 형성하는 것이므로, 특히 재봉틀 밑실 공급장치는 재봉틀의 심장이라 할 수 있는 것이며, 재봉틀 밑실 구비량의 다과는 재봉작업의 계속성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어 재봉의 효율을 좌우하게 되므로 지금도 재봉틀의 밑실권취량을 늘리기 위한 많은 노력 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의 재봉틀의 가로, 세로, 높이의 크기는 인체공학적 관점에서 사람이 재봉작업을 할 수 있는 최적화된 상태로 점진적으로 발전 되어 온 것으로 이해되고 있어, 당 업계에서는 재봉틀의 기본 구조에 변형을 가하는 것을 주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 부품인 재봉틀 밑실공급장치의 개발 역시 어느 정도의 한계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재봉틀 밑실 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재봉틀 밑실 공급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봉틀의 하측부에 마련된 구동축(D)에 결합되어, 구동축(D)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밑실을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재봉틀 밑실공급장치(1)의 형상은, 평면이 원형을 이루며,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재봉틀 밑실공급장치(1)에 수용될 밑실의 용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재봉틀 밑실공급장치(1)는, 하우징부(10), 기어부(20), 커버부(30), 동력전달부(40), 후크바디부(50), 케이스부(6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는,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개방된 일측을 통해 수용공간으로 회전기어(23), 회전기어커버(33), 동력 전달부(40), 후크 바디부(50) 등을 수용한다.
기어부(20)는, 재봉틀의 구동축(D)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D)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기어치의 맞물림에 의해 동력전달부(40)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기어부(10)는, 구동축(D)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으로 동력 전달부(40)를 회전시키게 되고, 동력 전달부(40)는 후크 바디부(50)와 연결이 되는바, 동력 전달부(40)의 회전력이 후크 바디부(5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기어부(20)는, 동력전달기어부(21), 회전기어(23)를 포함한다.
커버부(30)는, 기어부(20)가 하우징부(10)에 안착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기어부(20)를 하우징부(10)에 고정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커버부(30) 상에는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고정홀이 형성되며 고정홀에 고정수단(F)을 삽입함으로써, 하우징부(10) 상에 커버부(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커버부(30)는, 동력전달기어커버부(31), 회전기어커버부(33)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의 재봉틀 밑실 공급장치에서 동력 전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동력 전달부(40)는, 회전기어(23)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기어(23)와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구성을 말한다.
이러한 동력 전달부(40)는 하우징부(10)의 수용공간 상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후크 바디부(50)의 일부분을 추진해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도 2의 재봉틀 밑실 공급장치에서 후크 바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크 바디부(50)는, 동력 전달부(4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성으로,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밑실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밑실을 저장하고, 후크 바디부(50)의 외측에서 내측 중심방향으로 일정 영역을 절개한 함몰부를 형성하여 윗실을 걸고 내려오는 바늘이 후크 바디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면서 후크 바디부(50)에 걸려 회전하는 윗실이 밑실과 엮이게 되면 자연스럽게 후크 바디부(50)로부터 풀리도록 한다.
도 5는 도 2의 재봉틀 밑실 공급장치에서 동력 전달부와 후크 바디부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동력 전달부(40)가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동력 전달부(40)는, 상측부로 갈수록 후크 바디부(50)와 보다 크게 이격될 수 있다.
반대로 동력 전달부(40)는 하측부로 갈수록 후크 바디부(50)와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 없이 밀접하게 접하는바, 동력 전달부(40)는 후크 바디부(50)의 하측부를 추진해 후크 바디부(5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후크 바디부(50)의 후크(51)는, 윗실(U)을 거는 고리형상의 구성으로, 후크(51)의 말단은, 동력 전달부(40) 측으로 편향될 수 있다.
동력 전달부(40)의 회전판(41)은 θ의 각도로 경사질 수 있는바, 밑실 공급장치(1)의 상측부에서 동력 전달부(40)와 후크 바디부(50)는 가장 넓은 이격공간(E)을 형성하게 된다.
이격공간(E)은 하우징부(10)의 윗실입출구과 연통되기에, 윗실을 걸고 하향하는 바늘은 하우징부(10)의 윗실입출구를 지나 이격공간(E)으로 들어오게 되고, 이때 후크(51)가 윗실을 걸고 회전하게 된다.
케이스부(60)는, 후크 바디부(50)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구성으로, 후크 바디부(50)의 밑실수용공간의 평면형상과 상보적인 외주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케이스부(60)는 후크 바디부(50)와 결합되어 후크 바디부(5)의 밑실수용공간에 안착된 밑실뭉치가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부호 62는 후크 바디부(50)의 밑실수용공간으로부터 밑실이 배출되도록 케이스부(60)의 정중앙에 형성된 밑실 배출공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1의 재봉틀 밑실 공급장치로부터 밑실이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후크 바디부(50)의 밑실수용공간에 수용된 밑실(L)은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바디부(50)가 회전하는 경우 케이스부(60)의 정중앙에 형성된 밑실 배출공(62)을 통해 배출되어 바늘(N)에 걸린 밑실(L)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밑실(L)의 장력이 유지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도 6의 경우에는 밑실(L)에 장력이 과도하게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고, 도 7의 경우에는 밑실(L)의 장력이 일정하고 팽팽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해 밑실(L)이 후크 바디부(50)의 후크에 걸려 꼬임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재봉 불량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9의 경우에는 윗실(U)이 끌려 올라갈 때 밑실(L)의 느슨한 부분이 윗실(U)과 함께 끌려 올라감으로 인해 재봉 불량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9-0105315 A
본 발명의 목적은 봉제물로 공급되는 밑실의 장력을 유지하여 밑실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재봉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개방된 일측과 반대측에 안착되어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기어부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동력 전달부와, 상기 동력 전달부 보다 상기 하우징부의 개방된 일측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되, 윗실을 거는 고리 형상의 후크를 포함하는 후크 바디부를 포함하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부의 개방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후크 바디부에는 밑실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밑실 수용공간에 수용된 밑실은 상기 후크 바디부와 동력 전달부 사이로 배출되어 윗실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후크 바디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측에서 내측 중심방향으로 절개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일단에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말단은 상기 동력 전달부 측으로 편향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몰부의 내주면 중앙에는 상기 밑실 수용공간에 수용된 밑실을 상기 후크 바디부와 동력 전달부 사이로 가이드하는 판 형태의 밑실 가이드판이 형성된다.
이러한 밑실 가이드판은 상기 함몰부의 내주면 중앙에 세로로 배치되고, 상기 밑실 가이드판에는 밑실이 통과하도록 밑실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후크 바디부에서 상기 밑실 수용공간이 형성된 면과 반대쪽 면의 가운데 부분은 볼록한 형태로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의 테두리는 편평하게 형성되어 복수의 핀 수용홀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에서 상기 후크 바디부를 향하는 면의 가운데 부분은 상기 후크 바디부의 볼록부와 대응되게 오목한 형태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테두리는 편평하게 형성되어 후크 바디부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복수의 핀 수용홀과 대응되게 복수의 동력 전달핀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동력 전달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후크 바디부의 일부분을 추진해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기어부는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력전달기어와, 상기 동력전달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상기 회전기어와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크 바디부의 후크는 상기 동력 전달부와의 사이에 일정한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격공간은 윗실을 걸고 상하향 하는 바늘을 수용한다.
아울러, 상기 동력 전달부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의 상측부로 갈수록 상기 후크 바디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의 상측부의 동력 전달부와 후크 바디부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가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외주를 따라 일정한 높이로 돌출 형성된 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림부는, 일정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와 상기 후크 바디부 사이의 이격공간과 연통되는 윗실 입출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하우징부의 개방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후크 바디부에는 밑실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밑실 수용공간에 수용된 밑실은 후크 바디부와 동력 전달부 사이로 배출되어 윗실에 걸리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봉제물로 공급되는 밑실의 장력을 유지하여 밑실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밑실의 장력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 발생되는 재봉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재봉틀 밑실 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재봉틀 밑실 공급장치에서 동력 전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재봉틀 밑실 공급장치에서 후크 바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재봉틀 밑실 공급장치에서 동력 전달부와 후크 바디부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1의 재봉틀 밑실 공급장치로부터 밑실이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에서 후크 바디부와 동력 전달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후크 바디부와 동력 전달부를 반대쪽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11의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로부터 밑실이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는, 재봉틀의 하측부에 마련된 구동축(D)에 결합되어, 구동축(D)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밑실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하우징부(100), 기어부(200), 동력 전달부(300) 및 후크 바디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부(100)는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개방된 일측을 통해 동력 전달부(300), 후크 바디부(400) 등을 수용한다.
이러한 하우징부(100)는 회전하는 구동축(D)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지만, 구동축(D)이 회전하더라도 하우징부(100)에는 직접적인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우징부(100)는 베이스부(110)와 림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부(110)는, 하우징부(100)의 개방된 일측의 반대쪽 타면 상에서 면을 이루며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부품들(예를 들면, 동력 전달부(300), 후크 바디부(400) 등)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베이스부(110)에는 후술할 동력전달기어(210)와 회전기어(220) 등이 수용되도록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다.
림부(120)는 베이스부(110)의 외주를 따라 일정한 높이로 돌출 형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림부(120)를 통해 하우징부(100)의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내부공간에 수용된 부품들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림부(120)는 일정 영역이 절개되어 후술할 동력 전달부(300)와 후크 바디부(400) 사이의 이격공간(E)과 연통되는 윗실 입출구(122)를 포함한다.
이러한 윗실 입출구(122)의 형상과 관련하여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윗실 입출구(122)를 통해, 윗실을 걸고 있는 바늘(N)이 하우징부(100)의 내부공간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되면서, 하우징부(100) 상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후크 바디부(400)의 후크(H)가 윗실을 걸고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기어부(200)는 하우징부(100)의 개방된 일측과 반대측에 안착되어 구동축(D)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이다.
즉, 기어부(200)는 재봉틀의 구동축(D)에 일측이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D)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기어치의 맞물림에 의해 동력 전달부(300)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기어부(200)는 구동축(D)으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으로 후술할 동력 전달부(300)를 회전시키게 되고, 동력 전달부(300)는 후크 바디부(400)와 연결이 되어, 동력 전달부(300)의 회전력이 후크 바디부(4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기어부(200)는, 동력전달기어(210) 및 회전기어(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동력전달기어(210)는 구동축(D) 상에 직접 연결되어 구동축(D)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회전기어(220)에 동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회전기어(220)는 동력전달기어(210)에 맞물려 회전하는 구성으로, 구동축(D)의 회전에 의한 동력전달기어(21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하우징부(100) 및 기어부(200)에 대한 구성은 본 발명자가 발명하여 특허출원한 특허출원번호 제10-2018-0025712호에 개시된 구성과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동력 전달부(300)는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기어부(20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서, 회전기어(220)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기어(220)와 동기화되어 회전한다. 이러한 동력 전달부(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3 및 도 14를 토대로 후술하기로 한다.
후크 바디부(400)는 동력 전달부(300) 보다 하우징부(100)의 개방된 일측에 인접하게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동력 전달부(30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되, 윗실을 거는 고리 형상의 후크(H)를 포함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후크 바디부(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3 및 도 14를 토대로 후술하기로 한다.
도 13은 도 12의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에서 후크 바디부와 동력 전달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후크 바디부와 동력 전달부를 반대쪽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크 바디부(400)는 동력 전달부(300)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으로서,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부(100)의 개방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밑실 수용공간(41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밑실 수용공간(410)에 수용된 밑실은 후크 바디부(400)와 동력 전달부(300) 사이로 배출되어 윗실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이처럼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후크 바디부(400)는 외측에서 내측 중심방향으로 일정 영역이 절개된 함몰부(420)가 형성되는데, 윗실을 걸고 내려오는 바늘이 후크 바디부(40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면서 후크 바디부(400)에 걸려 회전하는 윗실이 밑실과 엮이게 되면 자연스럽게 후크 바디부(400)로부터 풀리도록 한다.
이러한 함몰부(420)에 의해 후크 바디부(400)의 평면형상은 U형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함몰부(420)의 일단에는 고리 형상의 후크(H)가 형성되며, 후크(H)의 말단은 동력 전달부(300) 측으로 편향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후크 바디부(400)의 전체적인 형상이 초승달 모양으로 이루어져서 일명 '크레센트 후크(crescent hook)'로 명명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함몰부(420)의 내주면 중앙에는 밑실 수용공간(410)에 수용된 밑실을 후크 바디부(400)와 동력 전달부(300) 사이로 가이드하는 판 형태의 밑실 가이드판(P)이 형성된다.
이러한 밑실 가이드판(P)은 함몰부(420)의 내주면 중앙에 세로로 배치되는데, 밑실 가이드판(P)에는 밑실이 통과하도록 밑실 배출공(G)이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S는 보빈 케이스(미도시)를 후크 바디부(400)의 밑실 수용공간(4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슬라이드이다.
아울러, 후크 바디부(400)에서 밑실 수용공간(410)이 형성된 면과 반대쪽 면의 가운데 부분은 볼록한 형태로 볼록부(430)가 형성되고, 볼록부(430)의 테두리는 편평하게 형성되어 복수의 핀 수용홀(440)이 관통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핀 수용홀(440)은 동력 전달부(300)에 형성된 동력 전달핀(330)을 수용하도록 후크 바디부(400)의 일면에서 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멍을 말한다.
이러한 핀 수용홀(440)의 형상과 관련하여 이를 어느 특정 개념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동력 전달핀(330)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핀 수용홀(440)은 원형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핀 수용홀(440)의 위치 및 개수는, 핀 수용홀(440)이 동력 전달핀(330)과 결합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동력 전달핀(330)에 대응되는 후크 바디부(400)의 위치상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후크 바디부(400)의 후크(H)는 동력 전달부(300)와의 사이에 일정한 이격공간(E)을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이격공간(E)은 윗실을 걸고 상하향 하는 바늘을 수용한다.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의 상측부에서 동력 전달부(300)와 후크 바디부(400)는 가장 넓은 이격공간(E)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이격공간(E)은 하우징부(100)의 윗실 입출구(122)과 연통되기에, 윗실을 걸고 하향하는 바늘은 하우징부(100)의 윗실 입출구(122)를 지나 상기 이격공간(E)으로 들어오게 되고, 이때 후크(H)가 윗실을 걸고 회전하게 된다.
동력 전달부(300)는 회전기어(220)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회전기어(220)와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것으로서,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후크 바디부(400)의 일부분을 추진해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동력 전달부(300)가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동력 전달부(300)는, 상측부로 갈수록 후크 바디부(400)와 보다 크게 이격되고, 반대로 하측부로 갈수록 후크 바디부(400)와 이격공간(E)을 형성함이 없이 밀접하게 접하게 된다.
이는 동력 전달부(300)가 후크 바디부(400)의 하측부를 추진해 후크 바디부(40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동력 전달부(300)에서 후크 바디부(400)를 향하는 면의 가운데 부분은 후크 바디부(400)의 볼록부(430)와 대응되게 오목한 형태로 오목부(3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오목부(310)의 테두리는 편평하게 형성되어 후크 바디부(400)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도록 복수의 핀 수용홀(440)과 대응되게 복수의 동력 전달핀(330)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동력 전달핀(3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타 다른 형상으로도 얼마든지 구현가능하다.
아울러, 복수의 동력 전달핀(330)의 간격은 일정하게 정해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력 전달핀(330)이 후크 바디부(400)의 하측부를 추진해 후크 바디부(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고 전술하였는바, 회전력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웃하는 동력 전달핀(330) 사이의 간격은 동력 전달부(300)의 상측부에 비해 동력 전달부(300)의 하측부에서 보다 좁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9는 도 11의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로부터 밑실이 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밑실(L)이 봉제물로 공급되는 경우 밑실(L)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이 재봉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관건이다.
동력 전달부(300)와 후크 바디부(400) 사이의 이격공간(E)은 하우징부(100)의 윗실 입출구(122)과 연통되기에, 윗실(U)을 걸고 하향하는 바늘(N)은 하우징부(100)의 윗실 입출구(122)를 지나 상기 이격공간(E)으로 들어오게 되고, 이때 후크(H)가 윗실(U)을 걸고 회전하게 된다.
또한, 후크 바디부(400)의 밑실수용공간(410)에 수용된 밑실(L)은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바디부(400)와 동력 전달부(300) 사이로 배출되어 윗실(U)에 걸리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봉제물로 공급되는 밑실(L)의 장력을 유지하여 밑실(L)이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밑실(L)의 장력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 발생되는 재봉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0 : 하우징부
110 : 베이스부
120 : 림부
122 : 윗실 입출구
200 : 기어부
210 : 동력전달기어
220 : 회전기어
300 : 동력 전달부
310 : 오목부
330 : 동력 전달핀
400 : 후크 바디부
410 : 밑실 수용공간
420 : 함몰부
430 : 볼록부
440 : 핀 수용홀
U : 윗실
L : 밑실
N : 바늘
E : 이격공간
D : 구동축
H : 후크
P : 밑실 가이드판
G : 밑실 배출공
S : 보빈 케이스 고정 슬라이드

Claims (12)

  1.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개방된 일측과 반대측에 안착되어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기어부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동력 전달부와, 상기 동력 전달부 보다 상기 하우징부의 개방된 일측에 인접하게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되, 윗실을 거는 고리 형상의 후크를 포함하는 후크 바디부를 포함하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로서,
    상기 하우징부의 개방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후크 바디부에는 밑실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밑실 수용공간에 수용된 밑실은 상기 후크 바디부와 동력 전달부 사이로 배출되어 윗실에 걸리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후크 바디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측에서 내측 중심방향으로 절개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의 일단에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후크의 말단은 상기 동력 전달부 측으로 편향되며,
    상기 함몰부의 내주면 중앙에는 상기 밑실 수용공간에 수용된 밑실을 상기 후크 바디부와 동력 전달부 사이로 가이드하는 판 형태의 밑실 가이드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밑실 가이드판은 상기 함몰부의 내주면 중앙에 세로로 배치되고, 상기 밑실 가이드판에는 밑실이 통과하도록 밑실 배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 바디부에서 상기 밑실 수용공간이 형성된 면과 반대쪽 면의 가운데 부분은 볼록한 형태로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의 테두리는 편평하게 형성되어 복수의 핀 수용홀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에서 상기 후크 바디부를 향하는 면의 가운데 부분은 상기 후크 바디부의 볼록부와 대응되게 오목한 형태로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의 테두리는 편평하게 형성되어 후크 바디부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복수의 핀 수용홀과 대응되게 복수의 동력 전달핀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후크 바디부의 일부분을 추진해 동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동력전달기어와, 상기 동력전달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회전기어의 회전축을 회전중심으로 상기 회전기어와 동기화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동력 전달부와의 사이에 일정한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은 윗실을 걸고 상하향 하는 바늘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11. 청구항 1,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의 상측부로 갈수록 상기 후크 바디부와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의 상측부의 동력 전달부와 후크 바디부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동력 전달부가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외주를 따라 일정한 높이로 돌출 형성된 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림부는, 일정 영역이 절개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와 상기 후크 바디부 사이의 이격공간과 연통되는 윗실 입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KR1020200063844A 2020-05-27 2020-05-27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KR102276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844A KR102276467B1 (ko) 2020-05-27 2020-05-27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PCT/KR2021/095062 WO2021242084A1 (ko) 2020-05-27 2021-05-26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CN202180013500.7A CN115087771B (zh) 2020-05-27 2021-05-26 包括新月钩的内旋式缝纫装置
JP2022536666A JP7473995B2 (ja) 2020-05-27 2021-05-26 クレセントフックを含む内回転式裁縫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844A KR102276467B1 (ko) 2020-05-27 2020-05-27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467B1 true KR102276467B1 (ko) 2021-08-11

Family

ID=77313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844A KR102276467B1 (ko) 2020-05-27 2020-05-27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473995B2 (ko)
KR (1) KR102276467B1 (ko)
CN (1) CN115087771B (ko)
WO (1) WO202124208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9852B1 (ko) 2023-09-20 2024-08-29 주식회사 크레센트훅 후크 바디 및 이를 구비하는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KR102701777B1 (ko) 2023-09-20 2024-09-03 주식회사 크레센트훅 밑실 공급장치의 구동축 연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WO2024181841A1 (ko) * 2023-02-28 2024-09-06 주식회사 크레센트훅 크레센트 훅 보빈 하우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280B1 (ko) * 2010-08-25 2013-04-10 강소대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20190105315A (ko) 2018-03-05 2019-09-17 이태용 재봉틀 밑실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4276B2 (ja) * 2004-03-22 2006-08-23 株式会社廣瀬製作所 垂直全回転かま
KR100588462B1 (ko) * 2005-02-01 2006-06-12 박근화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JP2006241941A (ja) * 2005-03-07 2006-09-14 Aisin Seiki Co Ltd 窓の施錠装置
KR101395267B1 (ko) * 2012-11-16 2014-05-27 (주)신진스틸 재봉틀 밑실공급장치
JP6238571B2 (ja) * 2013-05-24 2017-11-29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ボビン
KR101478281B1 (ko) * 2013-06-25 2014-12-31 정병준 셔틀케이스
KR101492604B1 (ko) * 2013-10-24 2015-02-11 강소대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KR20150130855A (ko) * 2014-05-14 2015-11-24 윤영수 재봉틀의 북집 장치
KR101931761B1 (ko) * 2016-11-01 2018-12-21 주식회사 마이크로코어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매듭형 밑실공급장치
KR101967640B1 (ko) * 2018-02-20 2019-04-10 (주)신진스틸 고속바느질이 가능한 속가마회전식 로타리훅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280B1 (ko) * 2010-08-25 2013-04-10 강소대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KR20190105315A (ko) 2018-03-05 2019-09-17 이태용 재봉틀 밑실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81841A1 (ko) * 2023-02-28 2024-09-06 주식회사 크레센트훅 크레센트 훅 보빈 하우징
KR102699852B1 (ko) 2023-09-20 2024-08-29 주식회사 크레센트훅 후크 바디 및 이를 구비하는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KR102701777B1 (ko) 2023-09-20 2024-09-03 주식회사 크레센트훅 밑실 공급장치의 구동축 연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73995B2 (ja) 2024-04-24
CN115087771A (zh) 2022-09-20
CN115087771B (zh) 2023-11-21
JP2023509353A (ja) 2023-03-08
WO2021242084A1 (ko) 2021-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467B1 (ko) 크레센트 후크를 포함하는 내회전식 바느질 장치
EP2921584B1 (en) Under-thread supply device for sewing machine
US9217213B2 (en) Lower thread supply device for sewing machine
US200801048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helically wound conductor
KR101492604B1 (ko) 윗실교차 구조가 구비된 밑실공급장치
KR20190105315A (ko) 재봉틀 밑실공급장치
KR101032967B1 (ko) 재봉틀 밑실공급장치
US20130263414A1 (en) Device For Producing Interlaced Knots
KR101217444B1 (ko) 재봉기기 밑실공급장치
US7124978B2 (en) Spiraling device
US6374585B1 (en) Cutting head for brush cutters or edge trimmers
JP2010100944A (ja) ワイヤロープ製造装置
US20140090220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entanglements on a multifilament thread
WO2023218513A1 (ja) 縫合補助具
KR101062465B1 (ko) 와이어 공급 장치
KR101931761B1 (ko) 보빈케이스베이스가 구비된 매듭형 밑실공급장치
US10647541B2 (en) Knot-tying head
US5099893A (en) Device for manufacturing an automotive tire bead
KR102701777B1 (ko) 밑실 공급장치의 구동축 연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재봉틀의 밑실 공급장치
CN215157283U (zh) 一种盖子以及容器
KR101204643B1 (ko) 시료의 혼합 방법 및 장치
CN1225403A (zh) 用于检测缝纫机中梭线剩余量的装置
JP2006111982A (ja) 二重撚糸装置
KR102110940B1 (ko) 재봉기용 회전북집
KR950011286B1 (ko) 재봉기의 밑실(下絲)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