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263291B1 -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291B1
KR102263291B1 KR1020190030932A KR20190030932A KR102263291B1 KR 102263291 B1 KR102263291 B1 KR 102263291B1 KR 1020190030932 A KR1020190030932 A KR 1020190030932A KR 20190030932 A KR20190030932 A KR 20190030932A KR 102263291 B1 KR102263291 B1 KR 102263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ant
side frame
cooling
cooling wat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3291B9 (ko
KR20200111353A (ko
Inventor
이동윤
손성만
박병학
신규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90030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291B1/ko
Publication of KR20200111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291B1/ko
Publication of KR10226329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29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9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heat storage or buffering, e.g. heat capacity or liquid-solid phase changes or tran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2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 B60L58/26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batteries by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는, 배터리 패키지에 다수 개로 구획된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ⅰ)내측에 냉각수 유동부 및 PCM(Phase Change Material: 상 변화 물질) 충진부를 각각 구획 형성하며, 배터리 셀을 사이에 두고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냉각 모듈들과, ⅱ)냉각 모듈들의 일단에 배터리 셀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냉각수 유동부로 냉각수를 유입하는 제1 사이드 프레임과, ⅲ)냉각 모듈들의 타단에 배터리 셀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냉각수 유동부로부터 냉각수를 유출하는 제2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BATTERY MODULE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기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에 구성되는 고 용량 배터리의 열 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 문제 및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노력으로 전기 자동차의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에는 차량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모터(구동모터)와, 그 전기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고전압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다. 배터리는 전기모터를 구동시키는 에너지원으로 인버터를 통해 전기모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충전 및 방전 가능한 이차 전지로서, 배터리 팩의 형태로 차체에 탑재되며, 필요 전력을 얻기 위해 다수 개의 셀들로 이루어진 배터리 모듈을 직렬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의 성능은 주변 환경의 온도에 따라 크게 좌우되며, 충전 및 방전 시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열 또한 배터리의 성능 및 효율을 낮추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냉각팬의 작동 정도를 제어하여 배터리로 제공되는 풍량을 조절함으로써 배터리의 냉각 정도를 조절하고 있다.
더 나아가, 종래 기술에서는 주변온도가 저온일 경우(특히 겨울철 저온인 경우를 들 수 있음) 및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의 경우, 배터리의 온도 관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해 배터리의 성능저하를 야기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냉각수와 상 변화 물질(Phase Change Material)을 적용한 간단한 구성으로서 배터리 셀들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전기자동차용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는, 배터리 패키지에 다수 개로 구획된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배터리 셀을 사이에 두고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며, 내부에 흐르는 제1 열전달매체 및 상기 내부에 상기 제1 열전달매체와 서로 다른 물질로서 별개로 수용된 제2 열전달매체를 통해 상기 배터리 셀들의 온도를 관리하는 복수 개의 냉각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전달매체는 냉각수이고, 상기 제2 열전달매체는 상 변화 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는, 상기 냉각 모듈의 양단에 상기 배터리 셀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는, 배터리 패키지에 다수 개로 구획된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ⅰ)내측에 냉각수 유동부 및 PCM(Phase Change Material: 상 변화 물질) 충진부 를 각각 구획 형성하며, 배터리 셀을 사이에 두고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냉각 모듈들과, ⅱ)상기 냉각 모듈들의 일단에 상기 배터리 셀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냉각수 유동부로 냉각수를 유입하는 제1 사이드 프레임과, ⅲ)상기 냉각 모듈들의 타단에 상기 배터리 셀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냉각수 유동부로부터 냉각수를 유출하는 제2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은 양단이 상기 배터리 셀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방된 판형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은 상기 하우징 양단 사이의 내부에서 상기 PCM 충진부를 사이에 두고 이의 상하 측에 상기 냉각수 유동부를 각각 구획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은 냉각수를 상기 각 냉각수 유동부로 유입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각 냉각수 유동부를 통과한 냉각수를 유출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와, 상기 PCM 충진부로 상기 상 변화 물질을 충진하기 위한 복수 개의 PCM 충진 유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냉각수 유동부와 상기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 연결 홀들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냉각수 유동부와 상기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 연결 홀들과, 상기 PCM 충진 유로들과 상기 PCM 충진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3 연결 홀들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와 냉각수 순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입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와 상기 냉각수 순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출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각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 유동부와 상기 PCM 충진부를 각각 구획하는 한 쌍의 내부 격벽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는, 배터리 패키지에 다수 개로 구획된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ⅰ)내측에 냉각수 유동부 및 PCM(Phase Change Material: 상 변화 물질) 충진부 를 각각 구획 형성하며, 배터리 셀을 사이에 두고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냉각 모듈들과, ⅱ)상기 냉각 모듈들의 일단에 상기 배터리 셀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냉각수 유동부로 냉각수를 유입하는 제1 사이드 프레임과, ⅲ)상기 냉각 모듈들의 타단에 상기 배터리 셀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냉각수 유동부로부터 냉각수를 유출하는 제2 사이드 프레임과, ⅳ)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냉각 모듈의 양단을 각각 실링하는 패킹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은 양단이 상기 배터리 셀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방된 판형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양단 사이의 내부에 상기 PCM 충진부를 사이에 두고 이의 상하 측에 상기 냉각수 유동부를 각각 구획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은, 냉각수를 상기 각 냉각수 유동부로 유입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유동부와 상기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 연결 홀들과, 상기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와 냉각수 순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입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각 냉각수 유동부를 통과한 냉각수를 유출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와, 상기 PCM 충진부로 상기 상 변화 물질을 충진하기 위한 복수 개의 PCM 충진 유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유동부와 상기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 연결 홀들과, 상기 PCM 충진 유로들과 상기 PCM 충진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3 연결 홀들과, 상기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와 상기 냉각수 순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출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패킹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냉각 모듈들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냉각 모듈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패킹 브라켓과, 상기 각 패킹 브라켓과 상기 냉각 모듈의 결합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수밀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패킹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의 상기 제1,2,3 연결 홀들과, 상기 냉각 모듈들의 상기 냉각수 유동부 및 PCM 충진부를 연결하는 홀 형태의 연결 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냉각 모듈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패킹 브라켓과, 상기 각 패킹 브라켓과 상기 냉각 모듈의 결합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수밀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패킹 브라켓에는 상기 수밀 패드를 지지하는 오목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각 모듈들을 순환 유동하는 냉각수와, 냉각 모듈들에 충진된 상 변화 물질을 통하여 배터리 셀들의 냉각 성능을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동절기 또는 저온지역) 및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도 상 변화 물질을 통하여 배터리 셀들의 온도를 일정하게 관리할 수 있으므로, 온도 변화에 따른 배터리 셀들의 안정적이면서 효율적인 열 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가 적용되는 배터리 팩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에 적용되는 패킹유닛 부위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수단"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가 적용되는 배터리 팩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100)는 고전압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구동모터를 동력원으로 하여 주행이 가능한 전기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100)는 차체의 언더 바디에 탑재되며, 충, 방전이 가능한 다수 개의 배터리 셀(3)들이 장착된 배터리 마운팅 구조체로서의 배터리 팩(1)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팩(1)은 다수 개의 배터리 셀(3)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 집합 구조체로서, 배터리 용량에 따라 배터리 셀(3)들의 개수가 가변될 수 있고, 집합체의 형상도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팩(1)은 배리어(5)를 통하여 다수 개의 장착부(7)들을 각각 구획 형성하고 있는 배터리 패키지(9)와, 각각의 장착부(7)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배터리 팩(1)는 배터리 케이스 내에 장착되는 바, 그 배터리 케이스는 배터리 팩(1)을 수용하는 배터리 트레이와, 그 배터리 트레이를 커버링 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 케이스는 차체 언더 바디의 전후 방향을 기준할 때, 그 언더 바디를 구성하는 프론트 플로어, 센터 플로어 및 리어 플로어의 일체형 구조에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는 프론트 플로어와 별개로 일체로 구성되는 센터 플로어 및 리어 플로어의 일체형 구조에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차체(언더 바디)의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정의하며, 차체의 좌우 방향을 폭 방향으로 정의하고, 차체의 높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정의한다.
당 업계에서는 차체의 길이 방향(이송 방향)을 T 방향, 차체의 폭 방향을 L 방향, 차체의 높이 방향을 H 방향이라고도 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LTH 방향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차체의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더 나아가, 하기에서의 "단(한쪽/일측 단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한쪽/일측 단부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100)는 냉각수와 상 변화 물질(Phase Change Material)을 적용한 간단한 구성으로서 배터리 셀(3)들의 온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2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100)는 기본적으로, 냉각 모듈(10)들, 제1 사이드 프레임(30), 제2 사이드 프레임(50), 그리고 패킹유닛(70)을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냉각 모듈(10)들은 배터리 셀(3)을 사이에 두고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며, 내부에 흐르는 제1 열전달매체(T1) 및 그 내부에 제1 열전달매체(T1)와 서로 다른 물질로서 별개로 수용된 제2 열전달매체(T2)를 통해 배터리 셀(3)들의 온도를 관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열전달매체(T1)은 냉각 모듈(10)에 대해 유출입 순환하는 공지 기술의 냉각수를 포함하며, 제2 열전달매체(T2)는 그 냉각 모듈(10)에 별개로 충진된 상 변화 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 변화 물질은 고체 상태에서 흡수 열을 저장 및 방출하고,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상 변화하며 열을 흡수할 수 있는 물질이다. 이러한 상 변화 물질은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조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상기 냉각 모듈(10)들은 배터리 셀(3)을 사이에 두고 설정된 방향(예를 들면,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냉각 모듈(10)은 양단이 배터리 셀(3)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방된 판형의 하우징(1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1)은 열 전달이 용이한 압출 금속재로 구비되며, 양단이 배터리 셀(3)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1)은 냉각수를 유동시키는 냉각수 유동통로서의 냉각수 유동부(13)와, 상 변화 물질이 충진되는 PCM 충진부(15)를 그 내부 공간에 각각 구획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은 양단 사이의 내부 공간에서 PCM 충진부(15)를 사이에 두고 이의 상하 측에 냉각수 유동부(13)를 각각 구획 형성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는 냉각수 유동부(13)와 PCM 충진부(15)를 각각 구획하는 한 쌍의 내부 격벽(17)이 설치된다.
상기 내부 격벽(17)은 하우징(11)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그 하우징(11)의 중앙부 상하 측에 각각 설치되며, 이들 내부 격벽(17)에 의해 그 중앙부에는 PCM 충진부(15)를 형성하고, 그 PCM 충진부(15)의 상하 측에는 냉각수 유동부(13)를 각각 형성한다.
이러한 냉각수 유동부(13)는 배터리 셀(3)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냉각수 유동통로를 형성하며, PCM 충진부(15)는 배터리 셀(3)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 변화 물질의 충진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30)은 냉각 모듈(10)들의 일측 사이드(이하에서는 "일단" 이라고 한다)를 지지 및 고정하며, 냉각수를 냉각 모듈(10)들의 냉각수 유동부(13)로 유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3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플레이트 타입의 금속재 프레임으로 구비되며, 냉각 모듈(10)들의 하우징(11) 일단에 배터리 셀(3)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30)은 냉각수를 각 하우징(11)의 냉각수 유동부(13)로 유입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3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31)는 제1 사이드 프레임(3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구획 형성되며, 각 하우징(11) 내부의 상하 측 냉각수 유동부(13)와 연결되게 구비된다.
이에, 상기 하우징(11)의 일단에 대응하는 제1 사이드 프레임(30)의 일측 면(내측 사이드 면)에는 냉각수 유동부(13)와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31)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 연결 홀(33)들을 하우징(11)의 배열 방향을 따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30)에는 냉각수를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31)로 유입하기 위한 한 쌍의 냉각수 유입 홀(35)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냉각수 유입 홀(35)은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31)와 뒤에서 더욱 설명될 냉각수 순환부(60)를 상호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50)은 냉각 모듈(10)들의 다른 일측 사이드(이하에서는 "타단" 이라고 한다)를 지지 및 고정하고, 상 변화 물질을 PCM 충진부(15)로 충진하며, 냉각수를 냉각 모듈(10)들의 냉각수 유동부(13)로부터 유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50)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플레이트 타입의 금속재 프레임으로 구비되며, 냉각 모듈(10)들의 하우징(11) 타단에 배터리 셀(3)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50)은 각 하우징(11)의 냉각수 유동부(13)를 통과한 냉각수를 유출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51)와, 각 하우징(11)의 PCM 충진부(15)로 상 변화 물질을 충진하기 위한 복수 개의 PCM 충진 유로(53)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51)는 제2 사이드 프레임(50)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구획 형성되며, 각 하우징(11) 내부의 상하 측 냉각수 유동부(13)와 연결되게 구비된다.
상기 PCM 충진 유로(53)는 제2 사이드 프레임(50)에서 한 쌍의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51) 사이에 별도로 구비되는 바, 각 하우징(11)의 PCM 충진부(15)와 실질적으로 연결되는 파이프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PCM 충진 유로(53)는 제2 사이드 프레임(50)의 외측 사이드 면으로 개방된 PCM 주입 단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PCM 주입 단에는 도면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캡 볼트(54)가 결합되며, PCM 충진 유로(53)의 PCM 주입 단은 캡 볼트(54)를 통해 폐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의 타단에 대응하는 제2 사이드 프레임(50)의 일측 면(내측 사이드 면)에는 냉각수 유동부(13)와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51)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 연결 홀(55)들을 하우징(11)의 배열 방향을 따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50)의 일측 면에서 상하 측의 제2 연결 홀(55)들 사이에는 PCM 충진 유로(53)들과 PCM 충진부(15)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3 연결 홀(57)들을 하우징(11)의 배열 방향을 따라 형성하고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50)에는 냉각수를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51)로부터 유출하기 위한 한 쌍의 냉각수 유출 홀(59)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냉각수 유출 홀(59)은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51)와 뒤에서 더욱 설명될 냉각수 순환부(60)를 상호 연결한다.
상기한 바 있는 냉각수 순환부(60)는 제1 사이드 프레임(30)의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3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50)의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51)를 통하여 냉각수를 냉각 모듈(10)들의 냉각수 유동부(13)로 순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냉각수 순환부(60)는 냉각수 저장조(61)에 저장된 냉각수를 순환펌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펌핑 압력으로서 냉각수 유입라인(63) 및 냉각수 유출라인(65)을 통해 냉각 모듈(10)들의 냉각수 유동부(13)로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냉각수 유입라인(63)은 제1 사이드 프레임(30)의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31)의 냉각수 유입 홀(35)과 냉각수 저장조(61)를 상호 연결하며, 냉각수 유출라인(65)은 제2 사이드 프레임(50)의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51)의 냉각수 유출 홀(59)과 냉각수 저장조(61)를 상호 연결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패킹유닛(70)은 냉각 모듈(10)들의 하우징(11) 양단과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30, 50)을 각각 연결하며 그 하우징(11)의 양단과 사이드 프레임(30, 50)들 사이를 각각 실링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패킹유닛(70)은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30, 5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유닛(70)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30, 50) 측에 각각 구비되는 패킹 브라켓(71, 81) 및 수밀 패드(73, 83)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30) 측에 구비되는 패킹 브라켓(71)과 수밀 패드(73)를 편의 상 "제1 패킹 브라켓(71)과 제1 수밀 패드(73)"로 명명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50) 측에 구비되는 패킹 브라켓(81)과 수밀 패드(83)를 편의 상 "제2 패킹 브라켓(81)과 제2 수밀 패드(83)"로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패킹 브라켓(71)은 각각의 냉각 모듈(10)에 대응하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제1 사이드 프레임(30)의 내측 사이드 면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며, 냉각 모듈(10)들의 각 하우징(11) 일단과 상호 결합된다. 상기 제1 패킹 브라켓(71)은 하우징(11) 일단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끼워지는 형태로서, 하우징(11)의 일단과 상호 암수 결합된다.
이러한 제1 패킹 브라켓(71)은 제1 사이드 프레임(30)과 각 냉각 모듈(10)을 연결하는 제1 연결 유로(75)를 형성하는 바, 상기 제1 연결 유로(75)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1 연결 홀(33)들과 연결되는 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1 수밀 패드(73)는 제1 패킹 브라켓(71)과 각 하우징(11)의 결합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공지 기술의 방수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수밀 패드(73)는 제1 패킹 브라켓(71)과 각 하우징(11)의 결합 단부 사이에서 압착되며 이들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수밀 패드(7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킹 브라켓(71)의 패킹 부분에 구비된 제1 오목 비드(77)를 통해 그 패킹 부분과 하우징(11)의 결합 단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수밀 패드(73)는 제1 패킹 브라켓(71)과 각 하우징(11)의 결합 단부 사이에서 압착될 때, 제1 오목 비드(77)에 패킹됨으로써, 제1 사이드 프레임(30)과 냉각 모듈(10)들 사이의 수밀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패킹 브라켓(81)은 각각의 냉각 모듈(10)에 대응하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제2 사이드 프레임(50)의 내측 사이드 면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며, 냉각 모듈(10)들의 각 하우징(11) 타단과 상호 결합된다. 상기 제2 패킹 브라켓(81)은 하우징(11) 타단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끼워지는 형태로서, 하우징(11)의 타단과 상호 암수 결합된다.
상기한 제2 패킹 브라켓(81)은 제2 사이드 프레임(50)과 각 냉각 모듈(10)을 연결하는 제2 연결 유로(85)를 형성하는 바, 상기 제2 연결 유로(85)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2,3 연결 홀(55, 57)들과 연결되는 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수밀 패드(83)는 제2 패킹 브라켓(81)과 각 하우징(11)의 결합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공지 기술의 방수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수밀 패드(83)는 제2 패킹 브라켓(81)과 각 하우징(11)의 결합 단부 사이에서 압착되며 이들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수밀 패드(8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패킹 브라켓(81)의 패킹 부분에 구비된 제2 오목 비드(87)를 통해 그 패킹 부분과 하우징(11)의 결합 단부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수밀 패드(83)는 제2 패킹 브라켓(81)과 각 하우징(11)의 결합 단부 사이에서 압착될 때, 제2 오목 비드(87)에 패킹됨으로써, 제2 사이드 프레임(50)과 냉각 모듈(10)들 사이의 수밀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100)의 작용 효과를 앞서 개시한 도면들을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도 8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2 사이드 프레임(50)의 PCM 충진 유로(53)들 및 제2 패킹 브라켓(81)의 제2 연결 유로(85)들을 통하여 제2 열전달매체(T2)인 상 변화 물질(PCM)을 냉각 모듈(10)들의 PCM 충진부(15)에 충진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상기 PCM 충진 유로(53)의 PCM 주입 단은 캡 볼트(54)를 통해 폐쇄된 상태에 있다.
더 나아가, 배터리 셀(3)들을 사이에 두고 배열된 복수 개의 상기 냉각 모듈(10)들의 양쪽 사이드 측에는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30, 50)이 각각 결합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 모듈(10)들의 냉각수 유동부(13)는 제1 사이드 프레임(30)의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3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50)의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51)와 상호 연결된 상태에 있다. 이에 상기 냉각수 유동부(13),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31) 및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51)는 냉각수 순환부(60)를 통하여 제1 열전달매체(T1)인 냉각수를 순환 유동시키는 냉각수 순환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냉각 모듈(10)들의 PCM 충진부(15)에 충진된 상 변화 물질은 고체 상태에서 주변의 열을 흡수 및 저장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배터리 셀(3)들의 충전 및 방전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그 배터리 셀(3)들에서는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는 과정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각수 순환부(60)의 순환펌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키며, 냉각수 저장조(61)에 저장된 냉각수를 냉각수 유입라인(63)을 통해 제1 사이드 프레임(30)의 냉각수 유입 홀(35)로 공급한다.
그러면, 상기 냉각수는 냉각수 유입 홀(35)을 통해 제1 사이드 프레임(30)의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31)로 유입되며, 그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31)에서 제1 사이드 프레임(30)의 제1 연결 홀(33)들, 제1 패킹 브라켓(71)의 제1 연결 유로(75)들을 통해 냉각 모듈(10)들의 냉각수 유동부(13)로 유동된다.
이렇게 상기 냉각수 유동부(13)를 따라 유동하는 냉각수는 제2 패킹 브라켓(81)의 제2 연결 유로(85)들, 제2 사이드 프레임(50)의 제2 연결 홀(55)들을 통해 제2 사이드 프레임(50)의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51)로 유입되며, 냉각수 유출 홀(59)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 유출 홀(59)을 통해 배출되는 냉각수는 냉각수 순환부(60)의 냉각수 유출라인(65)을 통하여 냉각수 저장조(61)로 유입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며, 냉각수 순환 통로를 통해 냉각수를 순환 유동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패킹유닛(70)의 제1 및 제2 수밀 패드(73, 83)가 제1 및 제2 패킹 브라켓(71, 81)과 냉각 모듈(10)들의 결합 단부 사이에서 각각 압착되며, 제1 및 제2 패킹 브라켓(71, 81)의 제1 및 제2 오목 비드(77, 87)에 각각 패킹됨으로써,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30, 50)과 냉각 모듈(10)들 사이의 수밀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사이드 프레임(30)의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3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50)의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51)를 통해 냉각 모듈(10)들의 냉각수 유동부(13)로 냉각수를 순환시킴으로써, 배터리 셀(3)들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수 순환 통로를 따라 유동하는 냉각수로서 냉각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냉각 모듈(10)들의 PCM 충진부(15)에 충진된 상 변화 물질이 배터리 셀(3)들의 열을 흡수하며, 고체 상태에서 액체 상태로 상 변화됨으로써, 배터리 셀(3)들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할 수 있다.
한편,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동절기 또는 저온지역) 및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냉각 모듈(10)들의 PCM 충진부(15)에서 고체 상태로 상 변화되며 열을 흡수 및 저장하고 있는 상 변화 물질이 열을 방출하면서 배터리 셀(3)들에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100)에 의하면, 냉각 모듈(10)들을 순환 유동하는 냉각수와, 냉각 모듈(10)들에 충진된 상 변화 물질을 통하여 배터리 셀(3)들의 냉각 성능을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동절기 또는 저온지역) 및 차량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도 상 변화 물질을 통하여 배터리 셀(3)들의 온도를 일정하게 관리할 수 있으므로, 온도 변화에 따른 배터리 셀(3)들의 안정적이면서 효율적인 열 관리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배터리 셀(3)들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배터리 셀(3)들의 충방전 능력 및 주변 환경의 온도 변화 등에 따른 배터리 셀(3)들의 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배터리 팩 3: 배터리 셀
5: 배리어 7: 장착부
9: 배터리 패키지 10: 냉각 모듈
11: 하우징 13: 냉각수 유동부
15: PCM 충진부 17: 내부 격벽
30: 제1 사이드 프레임 31: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
33: 제1 연결 홀 35: 냉각수 유입 홀
50: 제2 사이드 프레임 51: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
53: PCM 충진 유로 55: 제2 연결 홀
57: 제3 연결 홀 59: 냉각수 유출 홀
60: 냉각수 순환부 61: 냉각수 저장조
63: 냉각수 유입라인 65: 냉각수 유출라인
70: 패킹유닛 71: 제1 패킹 브라켓
73: 제1 수밀 패드 75: 제1 연결 유로
77: 제1 오목 비드 81: 제2 패킹 브라켓
83: 제2 수밀 패드 85: 제2 연결 유로
87: 제2 오목 비드 T1: 제1 열전달매체(냉각수)
T2: 제2 열전달매체(PCM) 100: 배터리 모듈 조립체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배터리 패키지에 다수 개로 구획된 장착부에 장착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로서,
    내측에 냉각수 유동부 및 PCM(Phase Change Material: 상 변화 물질) 충진부를 각각 구획 형성하며, 배터리 셀을 사이에 두고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냉각 모듈들;
    상기 냉각 모듈들의 일단에 상기 배터리 셀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냉각수 유동부로 냉각수를 유입하는 제1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냉각 모듈들의 타단에 상기 배터리 셀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냉각수 유동부로부터 냉각수를 유출하는 제2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모듈은, 양단이 상기 배터리 셀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방된 판형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양단 사이의 내부에서 상기 PCM 충진부를 사이에 두고 이의 상하 측에 상기 냉각수 유동부를 각각 구획 형성하며,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은 냉각수를 상기 각 냉각수 유동부로 유입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각 냉각수 유동부를 통과한 냉각수를 유출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와, 상기 PCM 충진부로 상기 상 변화 물질을 충진하기 위한 복수 개의 PCM 충진 유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5. 삭제
  6. 삭제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냉각수 유동부와 상기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 연결 홀들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냉각수 유동부와 상기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 연결 홀들과, 상기 PCM 충진 유로들과 상기 PCM 충진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3 연결 홀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와 냉각수 순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입 홀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와 상기 냉각수 순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출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 유동부와 상기 PCM 충진부를 각각 구획하는 한 쌍의 내부 격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10. 배터리 패키지에 다수 개로 구획된 장착부에 장착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로서,
    내측에 냉각수 유동부 및 PCM(Phase Change Material: 상 변화 물질) 충진부를 각각 구획 형성하며, 배터리 셀을 사이에 두고 설정된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냉각 모듈들;
    상기 냉각 모듈들의 일단에 상기 배터리 셀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냉각수 유동부로 냉각수를 유입하는 제1 사이드 프레임;
    상기 냉각 모듈들의 타단에 상기 배터리 셀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냉각수 유동부로부터 냉각수를 유출하는 제2 사이드 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에 구비되며, 상기 냉각 모듈의 양단을 각각 실링하는 패킹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패킹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냉각 모듈들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냉각 모듈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패킹 브라켓과, 상기 각 패킹 브라켓과 상기 냉각 모듈의 결합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수밀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패킹 브라켓에는 상기 수밀 패드를 지지하는 오목 비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모듈은,
    양단이 상기 배터리 셀들의 배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방된 판형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양단 사이의 내부에 상기 PCM 충진부를 사이에 두고 이의 상하 측에 상기 냉각수 유동부를 각각 구획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은,
    냉각수를 상기 각 냉각수 유동부로 유입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유동부와 상기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1 연결 홀들과, 상기 냉각수 유입 매니폴드와 냉각수 순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입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각 냉각수 유동부를 통과한 냉각수를 유출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와, 상기 PCM 충진부로 상기 상 변화 물질을 충진하기 위한 복수 개의 PCM 충진 유로들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수 유동부와 상기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2 연결 홀들과, 상기 PCM 충진 유로들과 상기 PCM 충진부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제3 연결 홀들과, 상기 냉각수 유출 매니폴드와 상기 냉각수 순환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냉각수 유출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14. 삭제
  15. 삭제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의 상기 제1,2,3 연결 홀들과, 상기 냉각 모듈들의 상기 냉각수 유동부 및 PCM 충진부를 연결하는 홀 형태의 연결 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냉각 모듈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패킹 브라켓과,
    상기 각 패킹 브라켓과 상기 냉각 모듈의 결합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수밀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KR1020190030932A 2019-03-19 2019-03-19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KR102263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932A KR102263291B1 (ko) 2019-03-19 2019-03-19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932A KR102263291B1 (ko) 2019-03-19 2019-03-19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353A KR20200111353A (ko) 2020-09-29
KR102263291B1 true KR102263291B1 (ko) 2021-06-10
KR102263291B9 KR102263291B9 (ko) 2022-04-15

Family

ID=7266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932A KR102263291B1 (ko) 2019-03-19 2019-03-19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2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24388A1 (de) 2021-09-21 2023-03-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zelle
WO2023128389A1 (ko) * 2021-12-27 2023-07-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자동차
WO2023198356A1 (de) * 2022-04-11 2023-10-19 Siemens Mobility GmbH Energiespeichermodul, energiespeicheranordnung und fahrzeug mit energiespeicheranordnung sowie verfahren zum austausch eines energiespeichermoduls einer energiespeicheranordnung eines fahrzeu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50576A (zh) * 2016-11-28 2017-02-22 南昌大学 一种基于复合相变材料散热的动力电池热管理系统
KR102269290B1 (ko) * 2020-11-10 2021-06-25 주식회사 원진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냉각장치
US20220407146A1 (en) * 2021-06-16 2022-12-22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cell retention frame
US11784364B2 (en) 2021-06-16 2023-10-10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system having a battery module
CN114122562B (zh) * 2022-01-25 2022-04-19 河南工学院 一种大容量锂电池的防爆保护结构
KR20230149124A (ko) * 2022-04-19 2023-10-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액침 냉각부를 포함하는 캔형 전지모듈
EP4362191A1 (en) * 2022-06-27 2024-05-0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WO2024136293A1 (ko) * 2022-12-20 2024-06-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CN116387686B (zh) * 2023-04-26 2024-02-23 四川吉利学院 一种新能源汽车电池管理用散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0956B2 (en) * 2010-08-23 2014-12-30 Lg Chem, Ltd. Battery system and manifold assembly having a manifold member and a connecting fitting
KR102050310B1 (ko) * 2012-11-06 2019-11-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2208720B1 (ko) * 2017-01-05 2021-0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상변화물질(pcm) 캡슐을 적용한 배터리 냉각용 히트 싱크
JP7041797B2 (ja) * 2017-08-14 2022-03-25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温度調節性能が改善されたバッテリーパッ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24388A1 (de) 2021-09-21 2023-03-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atteriezelle
WO2023128389A1 (ko) * 2021-12-27 2023-07-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자동차
WO2023198356A1 (de) * 2022-04-11 2023-10-19 Siemens Mobility GmbH Energiespeichermodul, energiespeicheranordnung und fahrzeug mit energiespeicheranordnung sowie verfahren zum austausch eines energiespeichermoduls einer energiespeicheranordnung eines 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291B9 (ko) 2022-04-15
KR20200111353A (ko)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3291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US20220274494A1 (en) Electric vehicle power distribution and drive control modules
KR102329209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US9540055B2 (en) Underbody unit for a motor vehicle
US20200398652A1 (en) Cooling System Integrated With Vehicle Battery Tray
KR101217581B1 (ko) 하이브리드 작업 차량
CN105374964B (zh) 电池壳
WO2017033412A1 (ja) バッテリ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システムを備える電動車両
TW201914091A (zh) 具有換熱功能的電池包殼體和電池包
CN105932352A (zh) 具有用于锂电池的冷却流体的冷却回路,以及包括所述冷却回路的车辆
US9997810B2 (en) Electrically driven vehicle
US20190152287A1 (en) Vehicle temperature regulation system
WO2021108429A1 (en) Electric vehicle power distribution and drive control modules
CN110521019A (zh) 用于机动车的电池和机动车
KR102269252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조립체
CN109585727A (zh) 电池箱体
JP2017165222A (ja) 車両、バッテリユニット、及び車両のバッテリ搭載方法
TWM574763U (zh) 具有換熱功能的電池包殼體和電池包
US20230366340A1 (en) Water supply module integrated with reservoir tank
KR102120157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열관리 장치
KR102693383B1 (ko) 탈착식 배터리 모듈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차량
US20230311707A1 (en) Reservoir tank for integrated heat management, and integrated heat management module comprising same
KR20220057204A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및 그의 열 관리 시스템
KR102317986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의 열관리 장치
KR102317985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