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070B1 - Quick Work Holder Clamp Device - Google Patents
Quick Work Holder Clamp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3070B1 KR102263070B1 KR1020200187782A KR20200187782A KR102263070B1 KR 102263070 B1 KR102263070 B1 KR 102263070B1 KR 1020200187782 A KR1020200187782 A KR 1020200187782A KR 20200187782 A KR20200187782 A KR 20200187782A KR 102263070 B1 KR102263070 B1 KR 1022630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kholder
- clamp
- dovetail
- block pieces
- ji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07 loc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10—Auxiliary devices, e.g. bolsters, extension members
- B23Q3/103—Constructional elements used for constructing work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8—Catch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12—Accessories for att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는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작동이 원활하고 확실하여 워크홀더의 빠른 교체가 이루어지고, 워크홀더의 결합시 안정적인 클램핑이 이루어지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과 가공의 정밀성을 극대화하여 주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으로, 기본적으로 상부에는 공작물을 파지하여 줄수 있는 도브테일 홈이나 볼트체결 플랜지 또는 지그(300)가 선택적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태의 결합부(110)가 형성된 워크홀더(100)와,
머시닝센터의 테이블상에 장착되는 홀더베이스(200) 내부로 워크홀더(100)의 하부 결합부(110) 삽입공간(210)이 형성되도록 결합되어 삽입공간(210)에 결합부(110)가 삽입된 워크홀더(100)를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클램프유닛(300)을 포함하는 클램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홀더베이스(210)내로 워크홀더(100)의 하부 결합부(110) 삽입공간(211)이 형성되도록 결합설치되는 클램프코아(220)의 상면에 도브테일돌기(221)를 형성하고,
이 도브테일돌기(221)에 하측 모서리 외연에 밀착면(232a)이 형성된 블럭조각(232)이 양측단에 위치되도록 복수의 블럭조각(231)(232)을 설치하되,
복수의 블럭조각(231)(232) 저면에 형성된 도브테일홈(231b)(232b)이 도브테일돌기(221)에 끼워지도록 복수의 블럭조각(231)(232)을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스크류(230)에 나사결합하여서된 클램프유닛(200)을 구성하여서,
워크홀더(100)의 하부 결합부(110)를 삽입공간(211)에 삽입한 후,
클램프스크류(230)를 회전시켜 도브테일돌기(221)를 따라 블럭조각(231)(232)을 좌우 양측으로 벌려서 양측단의 블럭조각(232) 하측 모서리 외연에 형성된 밀착면(232a)으로 상기 워크홀더(100)의 결합부(110)에 형성된 테이퍼면(111)을 가압하여 워크홀더(100)가 견실하게 클램핑되도록 이루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The quick workholder clam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in configuration and smooth and reliable in operation, so that the workholder can be replaced quickly and stable clamping is achieved when the workholder is combined, thereby maximizing the convenience of use and the precision of processing. As a result of this, basically a dovetail groove or bolt fastening flange or jig 300 that can hold and give a workpiece is selective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has a cylindrical coupling part 110 with an open lower side. holder 100, and
The lower coupling part 110 of the work holder 100 is coupled so that the insertion space 210 is formed into the holder base 200 mounted on the table of the machining center, and the coupling part 1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10 In configuring a clamping device including a clamp unit 300 for selectively clamping the work holder 100,
A dovetail projection 2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amp core 220 that is coupled and installed so that the insertion space 211 of the lower coupling part 110 of the work holder 100 is formed into the holder base 210,
A plurality of block pieces 231 and 232 are installed on the dovetail protrusion 221 so that the block pieces 232 having the contact surfaces 232a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dge are positioned at both ends,
The plurality of block pieces 231 and 232 are clamped screws 230 with bidirectional threads so that the dovetail grooves 231b and 232b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urality of block pieces 231 and 232 are fitted into the dovetail protrusion 221 . By configuring the clamp unit 200 by screwing to the
After inserting the lower coupling part 110 of the workholder 100 into the insertion space 211,
By rotating the clamp screw 230 to spread the block pieces 231 and 232 along the dovetail protrusion 221 to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work holder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lower edge of the block piece 232 at both end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holder 100 is firmly clamped by pressing the tapered surface 111 formed on the coupling portion 110 of (100).
Description
본 발명은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작동이 원활하고 확실하여 가공물이 고정되는 워크홀더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등 결과적으로 워크홀더의 빠른 교체가 이루어져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되고, 워크홀더의 결합시 안정적인 클램핑이 이루어져 가공정밀성의 증대되도록 한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workholder clamp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its configuration is simple, and its operation is smooth and reliable, so it is easy to combine and separate the workholder to which the workpiece is fixed. As a result, the workholder can be replaced quickly. It relates to a quick work holder clamping device that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use and provides stable clamping when the work holder is combined to increase processing precision.
[과제고유번호] D2020106
[부처명] 경기도
[연구관리전문기관] (재)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연구사업명] 경기도 기술개발사업/기업주도(일반)
[연구과제명] 멀티 포지셔닝 및 센터링 기능이 가능한 5축 클램프 국산화 및 수입대체 개발
[기여율] 1/1
[주관기관] 블루엔씨
[연구기간] 2020.02.01. ~ 2021.02.28.
일반적으로 머시닝센터란 다기능 CNC공작 선반으로서 밀링이나 드릴링은 물론이고 보링,테이핑,리이밍 등의 가공을 입력한 G코드의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적으로 할수 있는 복합된 공작기계를 말한다.[Project unique number] D2020106
[Buddha] Gyeonggi-do
[Research management institution] Gyeonggi-do Economic Science Promotion Agency
[Research project name] Gyeonggi-do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company-led (general)
[Research project name] Localization of 5-axis clamp capable of multi-positioning and centering function and development of import substitution
[Contribution rate] 1/1
[Organizer] Blue NC
[Research period] 2020.02.01. ~ 2021.02.28.
In general, a machining center is a multi-function CNC machine lathe, and refers to a complex machine tool that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G-code program that inputs machining such as boring, taping, and reaming as well as milling or drilling.
현재 3축 머시닝센터나 5축 머시닝센터에서는 도브테일 홈을 가지는 도브테일 클램프 홀더나 볼트체결 플랜지 램프홀더로 나누어지는 워크홀더에 척킹된 공작물의 다면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Currently, in 3-axis machining centers or 5-axis machining centers, in order to facilitate the multi-sided machining of a workpiece chucked in a work holder that is divided into a dovetail clamp holder having a dovetail groove or a bolted flange lamp holder,
공작물이 척킹되는 워크홀더를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클램프장치가 구비되어 있다.A clamping device is provided for selectively clamping the work holder to which the workpiece is chucked.
일예로 일본특허 공개번호 제2009-115166호에서 클램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a clamp device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9-115166.
그런데 이와같 개시된 클램프장치는 워크홀더의 하측의 체결부 외면에 형성된 테이퍼면과 스틸볼이 점접촉상태로 체결되도록 구성된 것이이서, 그 체결상태가 안정되지 않고 워크홀더가 덜컹거림이 생기는 우려가 있고, 이 덜컹거림에 의해, 공작물의 가공에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lamp device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fasten the tapered surfac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fastening part of the workholder and the steel ball in a point contact state, the fastening state is not stable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workholder may rattle. ,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ing of the workpiece is not accurate due to this rattling.
그 밖의 선행기술로는 일본특허 공개번호 2003-300124호, 국내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74404호 등이 있다.As other prior art, there are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3-300124 No.,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74404 No.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ior art,
그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작동이 원활하고 확실하여 워크홀더의 빠른 교체가 이루어지고,Its configuration is simple, but the operation is smooth and reliable, so the workholder can be replaced quickly.
워크홀더의 결합시 안정적인 클램핑이 이루어지록 구성되는 고품질의 클램프장치를 제공함으로써,By providing a high-quality clamping device that is configured to achieve stable clamping when a work holder is combined,
사용의 편리성과 가공의 정밀성을 극대화하여 주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The purpose is to maximize the convenience of use and the precision of processing.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기재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는 기본적으로 상부에는 공작물을 파지하여 줄수 있는 도브테일 홈이나 볼트체결 플랜지 또는 지그가 선택적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된 워크홀더와,The quick workholder clam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described in the above problem is basically a dovetail groove or a bolt fastening flange or a jig that can hold a work piece at the upper part is selectively installed and the lower side is open at the lower part A work holder with a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formed therein;
머시닝센터의 테이블상에 장착되는 홀더베이스 내부로 워크홀더의 하부 결합부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결합되어 삽입공간에 결합부가 삽입된 워크홀더를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클램프유닛을 포함하는 클램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In constructing a clamping device including a clamp unit for selectively clamping the workholder in which the engag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by being coupled to form a lower engaging portion insertion space of the workholder into the holder base mounted on the table of the machining center. ,
클램프유닛을 구성하는 홀더베이스내로 워크홀더의 하부 결합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도록 결합설치되는 클램프코아의 상면에 도브테일돌기를 형성하고,A dovetail projec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amp core that is coupled and installed so as to form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the lower coupling part of the work holder is inserted into the holder base constituting the clamp unit,
이 도브테일돌기에 하측 모서리 외연에 밀착면이 형성된 블럭조각이 양측단에 위치되도록 복수의 블럭조각을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되,A plurality of block pieces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so that the block pieces having a close contact surface on the outer edge of the lower edge of the dovetail protrusion are located at both ends,
복수의 블럭조각 저면에 형성된 도브테일홈이 도브테일돌기에 끼워지도록 복수의 블럭조각을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스크류에 나사결합하여서,By screwing the plurality of block pieces to a clamp screw having bidirectional threads so that the dovetail groov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urality of block pieces is fitted into the dovetail projection,
워크홀더의 하부 결합부를 삽입공간에 삽입한 후,After inserting the lower coupling part of the workholder into the insertion space,
클램프스크류를 회전시켜 도브테일돌기를 따라 블럭조각들을 좌우 양측으로 벌려서 양측단의 블럭조각 하측 모서리 외연에 형성된 밀착면으로 상기 워크홀더의 결합부에 형성된 테이퍼면을 가압하여 워크홀더가 견실하게 클램핑되도록 이루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By rotating the clamp screw to spread the block pieces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dovetail protrusion, the workholder is firmly clamped by pressing the tapered surfac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of the workholder with the close contact surface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lower edge of the block piece at both ends.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의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는 그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워크홀더의 상부에 형성된 센터고정홈에 센터고정판을 결합하고 이 센터고정판에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지그스크류 중간부분을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한 다음,The quick work holder clam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in its configuration, but the center fixing plate is coupled to the center fixing groov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work holder, and the middle part of the jig screw having a bidirectional thread on the center fixing plate is rotatably coupled,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지그스크류의 양측으로 한쌍의 지그블럭을 나사결합하여서된 지그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먼저 지그스크류를 회전시켜서 센터고정판을 중심으로 한쌍의 지그블럭을 좌,우 양측으로 벌리거나 오므리면서 공작물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파지하여 줄수 있는 이점이 있다.Since a jig made by screwing a pair of jig blocks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jig screw having a two-way thread, first rotate the jig screw and spread or retract a pair of jig block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centering on the center fixing plate to open or close the work piece.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gripped very easily and quickly.
또한, 클램프스크류를 일측 방향(블럭조각을 좌우 양측으로 벌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램프 유닛을 구성하는 클램프코아의 상면에 형성된 도브테일돌기에 복수의 블럭조각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다수의 블럭조각의 저면에는 각각 도브테일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도브테일홈은 도브테일돌기에 결합되어져 결과적으로 클램프코아의 상면에 복수의 블럭조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은 물론,In addition, when the clamp screw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ck pieces are sprea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lock pieces are installed on the dovetail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amp core constituting the clamp unit. A dovetail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block piece, and the dovetail groove is coupled to the dovetail projection. As a result, a plurality of block pieces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amp core.
이와 동시에 상기 복수의 블럭조각들은 모두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스크류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At the same time, since all of the plurality of block pieces are screwed to a clamp screw having a bidirectional thread,
워크홀더의 하부 결합부를 삽입공간에 삽입한 후, 클램프스크류를 회전시켜 도브테일돌기를 따라 블럭조각을 좌우 양측으로 벌려주면 양측단의 블럭조각이 도브테일돌기에 의해 수평으로 안내되면서 하측 모서리 외연에 형성된 밀착면이 테이퍼면에 강력한 힘으로 면접촉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그 결합상태가 매우 견실하여 워크홀더의 덜컹거림이 전혀 없어서 공작물의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After inserting the lower coupling part of the work holder into the insertion space, rotate the clamp screw to spread the block pieces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dovetail protrusion. As the block pieces at both ends are guided horizontally by the dovetail protrusion, the close contact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lower corner The surface contact is very simple and quick due to the strong force on the tapered surface, and there is no rattling of the work holder due to the very solid bonding state, so that precise machining of the workpiece is achieved.
또한, 본 발명은 양측단의 블럭조각의 외면을 워크홀더의 결합부에 형성된 테이퍼면 상부의 오목면과 일치되도록 볼록면으로 형성하였기때문에, 양측단의 블럭조각 하측 모서리 외연에 형성된 밀착면이 워크홀더의 결합부에 형성된 테이퍼면을 가압하여 줌과 동시에,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piece at both ends is formed as a convex surface to match the concave surface of the upper tapered surface formed in the coupling part of the work holder, the close contact surface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lower edge of the block piece at both ends is the work At the same time as pressing the tapered surface formed on the coupling part of the holder,
볼록면이 상기 워크홀더의 오목면에 밀착되면서 가압되어 워크홀더가 2중으로 더욱 더 견실하게 클램핑되어 지므로 공작물의 정밀한 가공이 더욱 더 완벽하게 이루어지는 이점도 있다.Since the convex surface is pressed while closely adhering to the concave surface of the workholder, the workholder is clamped more firmly in double, so that precise machining of the workpiece is more and more perfect.
또한, 본 발명의 클램프장치에 견실하게 결합된 워크홀더를 분리시, 클램프스크류를 역회전(블럭조각을 내측으로 오므리는 방향)시켜주면 좌우 양측으로 벌어져 있던 블럭조각이 도브테일돌기에 의해 수평으로 안내되면서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양측단의 블럭조각 하측 모서리 외연에 형성된 밀착면에 의해 강력한 힘으로 가압되어 있던 워크홀더의 결합부에 형성된 테이퍼면의 가압이 해지되면서 클램핑이 해지되므로 워크홀더의 분리가 매우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separating the workholder firmly coupled to the clam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lamp screw is reversely rotated (in the direction of retracting the block pieces inward), the block pieces that were spread ou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guided horizontally by the dovetail protrusion. The workholder is very easy to separate because the pressure of the tapered surface formed in the joint of the workholder that was pressed with a strong force by the close contact surface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lower edge of the block piece at both ends as it shrinks inward is released and the clamping is released. Howev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done quickly.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하면서도 작동이 원활하여 가공물의 고정과 워크홀더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한 등 결과적으로 워크홀더의 빠른 교체가 이루어져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되고, 워크홀더의 결합시 안정적인 클램핑이 이루어져 가공정밀성이 증대되는 것이어서 실사용에 있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획기적인 발명임이 분명하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simple configuration and smooth operation, so it is easy to fix the workpiece and to combine and separate the work holder. As a result, the work holder can be quickly replaced, which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use, and the combination of the work holder is easy. It is clear that it is an innovative invention that can be used very usefully in actual use because it increases the processing precision through stable clamping.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전체 분해 사시도.
도 2는 전체 조립상태 사시도.
도 3은 워크홀더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워크홀더를 분리한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는 워크홀더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 예시도.
도 6은 워크홀더의 클램핑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클램프코아를 상부몸체와 하부고정판으로 분리하여 볼트로 체결되도록 구성한 상태를 보인 정단면 예시도.1 to 4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n entire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assembly state.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ork holder is separated.
Figure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ork holder is separated.
5 to 7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ssembling the work holder.
Figure 6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amping of the work holder is completed.
7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lamp core is separated into an upper body and a lower fixed plate and fastened with bolt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가령 워크홀더는 다양한 형태의 도브테일 홈을 가지는 도브테일 클램프 홀더나 볼트체결 플랜지 클램프홀더 및 지그 클램프홀더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워크홀더에서는 이러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7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illustratively shown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However,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mponen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etailed illust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example, the work holder can be composed of a dovetail clamp holder having various types of dovetail grooves, a bolt fastening flange clamp holder, and a jig clamp holder, so detailed descriptions of these parts can be omitted in the work holder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but dimensions of som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본 발명은 상부에는 공작물을 파지하여 줄수 있는 도브테일 홈이나 볼트체결 플랜지 또는 지그(300)가 선택적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태의 결합부(110)가 형성된 워크홀더(100)와,The present invention is a
머시닝센터의 테이블상에 장착되며 하부에는 워크홀더(100)의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태의 결합부(110)가 형성된 워크홀더(100)를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클램프유닛(200)을 포함하는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A clamping device including a clamp unit 200 mounted on a table of a machining center and selectively clamping the
크게 상부에 공작물을 파지하여 줄수 있는 도브테일 홈이나 볼트체결 플랜지 또는 지그(300)가 선택적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하측이 개방된 원통형태의 결합부(110)가 형성된 워크홀더(100),A
그리고 홀더베이스(210) 및 홀더베이스(210) 내부로 결합되어지되 워크홀더(100)의 하부 결합부(11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211)이 형성되도록 결합설치되는 클램프코아(220) 및 클램프코아(220)에 설치되어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스크류(230)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벌어졌다 오므라 들었다하면서 워크홀더(100)를 클램핑하는 블럭조각(231)(232)으로 이루어지는 클램핏유닛(200)으로 구분되어 진다.And the
여기서 상기 클램프유닛(200)을 구성하는 클램프코아(220)의 상면에는 도브테일돌기(22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도브테일돌기(221)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블럭조각(231)(232)이 설치되어 있는데,Here, a
이 다수의 블럭조각(231)(232)의 저면에는 각각 도브테일홈(231b)(232b)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도브테일홈(231b)(232b)은 도브테일돌기(221)에 결합되어져 결과적으로 클램프코아(220)의 상면에 복수의 블럭조각(231)(232)이 결합설치되어 있는 것은 물론,
이와 동시에 상기 복수의 블럭조각(231)(232)들은 모두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스크류(230)에 나사결합되어 있다.At the same time, the plurality of
또한, 상기 복수의 블럭조각(231)(232)들 중 양측단의 블럭조각(232) 하측 모서리 외연에는 밀착면(232a)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워크홀더(100)의 하부 결합부(110)를 삽입공간(211)에 삽입한 후, Therefore, after inserting the
클램프스크류(230)를 회전시켜 도브테일돌기(221)를 따라 블럭조각(231)(232)을 좌우 양측으로 벌려주면 양측단의 블럭조각(232) 하측 모서리 외연에 형성된 밀착면(232a)이 상기 워크홀더(100)의 결합부(110)에 형성된 테이퍼면(111)을 가압하여 워크홀더(100)가 견실하게 클램핑되도록 이루어 진다.When the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클램프코아(220)의 상부에 형성된 도브테일돌기(221)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또는 상기 다수의 블럭조각(231)(232)의 저면에 각각 형성된 도브테일홈(231b)(232b)을 도브테일돌기(221)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볼트(미도시)로 나사체결되는 착탈식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하면 먼저 상기 다수의 블럭조각(231)(232)의 저면에 각각 형성된 도브테일홈(231b)(232b)을 도브테일돌기(221)에 결합한 상태에서 이 도브테일돌기(221)를 클램프코아(220) 상면에 볼트(미도시)로 나사체결하면 아주 간편하게 클램프코아(220)의 상면에 다수의 블럭조각(231)(232)을 연계설치할 수 있다.He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코아(220)를 상부몸체(220a)와 하부고정판(220b)으로 분리하여 볼트(220c)로 체결되도록 구성하여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eparate the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스크류(230)를 이용하여 나사결합된 각각의 블럭조각(231)(232)들 저면에 형성된 도브테일홈(231b)(232b)을 상기 클램프코아(220)의 상부몸체(220a)에 형성된 도브테일돌기(221)에 결합한 상태에서 홀더베이스(210) 상부로 클램프코아(220)의 상부몸체(220a)를 삽입한 다음,The
홀더베이스(210) 하부를 통해 클램프코아(220)의 하부고정판(220b)을 클램프코아(220)의 상부몸체(220a)에 볼트체결하여서 클램프코아(220)를 홀더베이스(210)에 설치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lower fixing plate 220b of th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스크류(230)를 이용하여 나사결합된 복수의 블럭조각(231)(232) 중 양측단의 블럭조각(232)의 외면을 워크홀더(100)의 결합부(110)에 형성된 테이퍼면(111) 상부의 오목면(112)과 일치되도록 볼록면(232c)으로 형성하여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클램프스크류(230)를 회전시켜 도브테일돌기(221)를 따라 블럭조각(231)(232)을 좌우 양측으로 벌리면 양측단의 블럭조각(232) 하측 모서리 외연에 형성된 밀착면(232a)이 상기 워크홀더(100)의 결합부(110)에 형성된 테이퍼면(111)을 가압하여 줌과 동시에 볼록면(232c)이 상기 워크홀더(100)의 오목면(112)에 밀착되면서 가압되어 워크홀더(100)가 2중으로 더욱 견실하게 클램핑되도록 이루어질 수 도 있다.By rotating the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워크홀더(100)의 상부에 센터고정홈(121)이 형성된 지그결합부(120)를 형성하고 이 지그결합부(120)에 공작물을 파지하여 줄 수 있는 지그(300)를 설치하되,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상기 워크홀더(100)의 상부에 형성된 센터고정홈(121)에 센터고정판(310)을 결합하고 이 센터고정판(310)에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지그스크류(320) 중간부분을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한 다음,The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지그스크류(320)의 양측으로 한쌍의 지그블럭(330)을 나사결합하여서,By screwing a pair of jig blocks 330 to both sides of the
지그스크류(320)를 회전시키면 센터고정판(310)을 중심으로 한쌍의 지그블럭(330)이 좌,우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공작물을 파지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When th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quick workholder clamp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클램프장치가 테이블상면에 장착된 머시닝센터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경우에는 일예로 상기 워크홀더(100)의 상부에 센터고정홈(121)이 형성된 지그결합부(1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지그결합부(120)에 공작물을 파지하여 줄수 있는 지그(30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지그(300)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고정설치하면 되는데,In order for the clam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cess a workpiece using a machining center mounted on a table top surfac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본 발명에서의 지그(300)는 상기 워크홀더(100)의 상부에 형성된 센터고정홈(121)에 센터고정판(310)을 결합하고 이 센터고정판(310)에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지그스크류(320) 중간부분을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한 다음,The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지그스크류(320)의 양측으로 한쌍의 지그블럭(330)을 나사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먼저 지그스크류(320)를 회전시켜서 센터고정판(310)을 중심으로 한쌍의 지그블럭(330)을 좌,우 양측으로 벌리거나 오므리면서 공작물을 파지하여 주면 된다.Since a pair of jig blocks 330 are screwed on both sides of the
이와 같이 하여 워크홀더(100)의 헤드부분에 공작물을 척킹한 상태에서 이 워크홀더(100)의 하부 결합부(110)를 클램프유닛(2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공간(211)에 삽입한다.In this way, in a state in which the workpiece is chucked in the head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이 하여 워크홀더(100)를 정위치에 결합완료한 후에는,After the
클램프스크류(230)를 일측 방향(블럭조각(231)(232)을 좌우 양측으로 벌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램프유닛(200)을 구성하는 클램프코아(220)의 상면에 형성된 도브테일돌기(221)에 복수의 블럭조각(231)(232)이 설치되어 있는데,When the
이 다수의 블럭조각(231)(232)의 저면에는 각각 도브테일홈(231b)(232b)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도브테일홈(231b)(232b)은 도브테일돌기(221)에 결합되어져 결과적으로 클램프코아(220)의 상면에 복수의 블럭조각(231)(232)이 결합설치되어 있는 것은 물론,
이와 동시에 상기 복수의 블럭조각(231)(232)들은 모두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스크류(230)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At the same time, since the plurality of
워크홀더(100)의 하부 결합부(110)를 삽입공간(211)에 삽입한 후, 클램프스크류(230)를 회전시켜 도브테일돌기(221)를 따라 블럭조각(231)(232)을 좌우 양측으로 벌려주면 양측단의 블럭조각(232) 하측 모서리 외연에 형성된 밀착면(232a)이 상기 워크홀더(100)의 결합부(110)에 형성된 테이퍼면(111)을 가압하여 워크홀더(100)가 견실하게 클램핑된다.After inserting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유닛(200)을 이용하여 워크홀더(100)를 클램핑하게 되면 양측단의 블럭조각(232)이 도브테일돌기(221)에 의해 수평으로 안내되면서 하측 모서리 외연에 형성된 밀착면(232a)이 테이퍼면(111)에 강력한 힘으로 면접촉되는 것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그 결합상태가 매우 견실하여 워크홀더(100)의 덜컹거림이 전혀 없어서 공작물의 정밀한 가공이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특히, 본 발명은 상기 양측단의 블럭조각(232)의 외면을 워크홀더(100)의 결합부(110)에 형성된 테이퍼면(111) 상부의 오목면(112)과 일치되도록 볼록면(232c)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양측단의 블럭조각(232) 하측 모서리 외연에 형성된 밀착면(232a)이 상기 워크홀더(100)의 결합부(110)에 형성된 테이퍼면(111)을 가압하여 줌과 동시에,At the same time, the
볼록면(232c)이 상기 워크홀더(100)의 오목면(112)에 밀착되면서 가압되어 워크홀더(100)가 2중으로 더욱 더 견실하게 클램핑 되어 지므로 공작물의 정밀한 가공이 더욱 더 완벽하게 이루어진다.The
이번에는 공작물의 가공이 완료되어 본 발명의 클램프유닛(200)으로 부터 워크홀더(100)를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This time,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본 발명의 클램프장치에 견실하게 결합된 워크홀더를 분리시에는,When separating the workholder firmly coupled to the clamp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클램프스크류(230)를 역회전(블럭조각(231)(232)을 내측으로 오므리는 방향)시켜 준다.First, the
그러면 좌우 양측으로 벌어져 있던 블럭조각(231)(232)이 도브테일돌기(221)에 의해 수평으로 안내되면서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양측단의 블럭조각(232) 하측 모서리 외연에 형성된 밀착면(232a)이 상기 워크홀더(100)의 결합부(110)에 형성된 테이퍼면(111)의 가압이 해지되면서 클램핑이 해지된다.Then,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scribed below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to be made.
100:워크홀더 110:결합부
111:테이퍼면 112:오목면
113:결합홈 120:지그결합부
121:센터고정홈 200:클램프유닛
210:홀더베이스 211:삽입공간
220:클램프코아 221:도브테일돌기
230:클램프스크류 231,232:블럭조각
231b,232b:도브테일홈 232a:밀착면
232c:볼록면 300:지그
310:센터고정판 320:지그스크류
330:지그블럭100: work holder 110: coupling part
111: tapered surface 112: concave surface
113: coupling groove 120: jig coupling part
121: center fixing groove 200: clamp unit
210: holder base 211: insertion space
220: clamp core 221: dovetail projection
230: clamp screw 231,232: block piece
231b, 232b:
232c: convex surface 300: jig
310: center fixing plate 320: jig screw
330: jig block
Claims (5)
머시닝센터의 테이블상에 장착되는 홀더베이스(200) 내부로 워크홀더(100)의 하부 결합부(110) 삽입공간(210)이 형성되도록 결합되어 삽입공간(210)에 결합부(110)가 삽입된 워크홀더(100)를 선택적으로 클램핑하는 클램프유닛(300)을 포함하는 클램프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홀더베이스(210)내로 워크홀더(100)의 하부 결합부(110) 삽입공간(211)이 형성되도록 결합설치되는 클램프코아(220)의 상면에 도브테일돌기(221)를 형성하고,
이 도브테일돌기(221)에 하측 모서리 외연에 밀착면(232a)이 형성된 블럭조각(232)이 양측단에 위치되도록 복수의 블럭조각(231)(232)을 설치하되,
복수의 블럭조각(231)(232) 저면에 형성된 도브테일홈(231b)(232b)이 도브테일돌기(221)에 끼워지도록 복수의 블럭조각(231)(232)을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스크류(230)에 나사결합하여서된 클램프유닛(200)을 구성하여서,
워크홀더(100)의 하부 결합부(110)를 삽입공간(211)에 삽입한 후,
클램프스크류(230)를 회전시켜 도브테일돌기(221)를 따라 블럭조각(231)(232)을 좌우 양측으로 벌려서 양측단의 블럭조각(232) 하측 모서리 외연에 형성된 밀착면(232a)으로 상기 워크홀더(100)의 결합부(110)에 형성된 테이퍼면(111)을 가압하여 워크홀더(100)가 견실하게 클램핑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A work holder 100 having a dovetail groove or a bolt fastening flange or a jig 300 selective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and a cylindrical coupling part 110 with an open lower side formed on the lower part,
The lower coupling part 110 of the work holder 100 is coupled so that the insertion space 210 is formed into the holder base 200 mounted on the table of the machining center, and the coupling part 1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10 In configuring a clamping device including a clamp unit 300 for selectively clamping the work holder 100,
A dovetail projection 2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amp core 220 that is coupled and installed so that the insertion space 211 of the lower coupling part 110 of the work holder 100 is formed into the holder base 210,
A plurality of block pieces 231 and 232 are installed on the dovetail protrusion 221 so that the block pieces 232 having the contact surfaces 232a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edge are positioned at both ends,
The plurality of block pieces 231 and 232 are clamped screws 230 with bidirectional threads so that the dovetail grooves 231b and 232b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urality of block pieces 231 and 232 are fitted into the dovetail protrusion 221 . By configuring the clamp unit 200 by screwing to the
After inserting the lower coupling part 110 of the workholder 100 into the insertion space 211,
By rotating the clamp screw 230 to spread the block pieces 231 and 232 along the dovetail protrusion 221 to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work holder is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lower edge of the block piece 232 at both ends. A quick workholder clam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holder 100 is firmly clamped by pressing the tapered surface 111 formed on the coupling portion 110 of (100).
클램프코아(220)의 상부에 형성된 도브테일돌기(221)는 일체로 형성하거나 또는 볼트로 나사체결되는 착탈식으로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dovetail protrusion 221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lamp core 220 is integrally formed or is a quick workholder clam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detachable manner that is screwed with a bolt.
상기 클램프코아(220)를 상부몸체(220a)와 하부고정판(220b)으로 분리하여 볼트로 체결되도록 구성하여서,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스크류(230)를 이용하여 나사결합된 각각의 블럭조각(231)(232) 저면에 형성된 도브테일홈(231b)(232b)을 상기 클램프코아(220)의 상부몸체(220a)에 형성된 도브테일돌기(221)에 결합한 상태에서 홀더베이스(210) 상부로 클램프코아(220)의 상부몸체(220a)를 삽입한 다음,
홀더베이스(210) 하부를 통해 클램프코아(220)의 하부고정판()220b을 클램프코아(220)의 상부몸체(220a)에 볼트체결하여서 클램프코아(220)를 홀더베이스(210)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According to claim 1,
By separating the clamp core 220 into an upper body 220a and a lower fixing plate 220b and fastening them with bolts,
Dovetail grooves 231b and 232b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each block piece 231 and 232 screwed together using a clamp screw 230 having a bi-directional thread are applied to the upper body 220a of the clamp core 220. After inserting the upper body 220a of the clamp core 220 into the upper part of the holder base 210 in a state coupled to the formed dovetail protrusion 221,
The lower fixing plate 220b of the clamp core 220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holder base 210 is bolted to the upper body 220a of the clamp core 220 so that the clamp core 220 is installed on the holder base 210. A quick workholder clamp device characterized by a.
상기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클램프스크류(230)를 이용하여 나사결합된 복수의 블럭조각(231)(232) 중 양측단의 블럭조각(232)의 외면을 워크홀더(100)의 결합부(110)에 형성된 테이퍼면(111) 상부의 오목면(112)과 일치되도록 볼록면(232c)으로 형성하여서,
클램프스크류(230)를 회전시켜 도브테일돌기(221)를 따라 블럭조각(231)(232)을 좌우 양측으로 벌리면 양측단의 블럭조각(232) 하측 모서리 외연에 형성된 밀착면(232a)이 상기 워크홀더(100)의 결합부(110)에 형성된 테이퍼면(111)을 가압하여 줌과 동시에 볼록면(232c)이 상기 워크홀더(100)의 오목면(112)에 밀착되면서 가압되어 워크홀더(100)가 더욱 견실하게 클램핑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surfaces of the block pieces 232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block pieces 231 and 232 screwed using the clamp screw 230 having the bidirectional thread formed thereon are attached to the coupling portion 110 of the workholder 100. By forming a convex surface 232c to coincide with the concave surface 112 of the formed tapered surface 111,
By rotating the clamp screw 230 to spread the block pieces 231 and 232 along the dovetail protrusion 221 to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contact surface 232a formed on the outer edge of the lower edge of the block piece 232 at both ends is the workholder. At the same time as pressing the tapered surface 111 formed on the coupling portion 110 of the 100, the convex surface 232c is pressed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cave surface 112 of the workholder 100, the workholder 100 A quick workholder clam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be more firmly clamped.
상기 워크홀더(100)의 상부에 센터고정홈(121)이 형성된 지그결합부(120)를 형성하고 이 지그결합부(120)에 공작물을 파지하여 줄수 있는 지그(300)를 설치하되,
상기 워크홀더(100)의 상부에 형성된 센터고정홈(121)에 센터고정판(310)을 결합하고 이 센터고정판(310)에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지그스크류(320) 중간부분을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한 다음,
양방향 나사산이 형성된 지그스크류(320)의 양측으로 한쌍의 지그블럭(330)을 나사결합하여서,
지그스크류(320)를 회전시키면 센터고정판(310)을 중심으로 한쌍의 지그블럭(330)이 좌,우 양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면서 공작물을 파지하도록 설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According to claim 1,
A jig coupling part 120 having a center fixing groove 121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 holder 100 is formed, and a jig 300 capable of gripping and giving a workpiece is installed in the jig coupling part 120,
The center fixing plate 310 is coupled to the center fixing groove 121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workholder 100, and the middle part of the jig screw 320 having a bidirectional thread formed on the center fixing plate 310 is rotatably coupled,
By screwing a pair of jig blocks 330 to both sides of the jig screw 320 having a bidirectional thread,
A quick workholder clam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jig screw 320 is rotated, a pair of jig blocks 330 about the center fixing plate 310 are installed to grip the work piece while opening or retracting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7782A KR102263070B1 (en) | 2020-12-30 | 2020-12-30 | Quick Work Holder Clamp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7782A KR102263070B1 (en) | 2020-12-30 | 2020-12-30 | Quick Work Holder Clamp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3070B1 true KR102263070B1 (en) | 2021-06-09 |
Family
ID=7641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7782A Active KR102263070B1 (en) | 2020-12-30 | 2020-12-30 | Quick Work Holder Clamp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307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260140A (en) * | 2023-11-21 | 2023-12-22 | 合肥万向钱潮汽车零部件有限公司 | Transmission shaft friction welding quick-change chuck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36204A (en) * | 1995-11-13 | 1997-05-27 | Toshiba Tungaloy Co Ltd | Tool mounting/demounting device |
KR19980064036U (en) * | 1997-04-24 | 1998-11-25 | 홍기표 | Rotary One Touch Clamp Device |
JP2011115869A (en) * | 2009-12-01 | 2011-06-16 | Mst Corporation | Clamp device |
KR20110094901A (en) * | 2010-02-18 | 2011-08-24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Tool for fixing plastic material of bucket |
JP5739915B2 (en) * | 2010-03-02 | 2015-06-24 | コメート グループ ゲーエムベーハー | Device for joining two members |
JP5830220B2 (en) * | 2009-12-01 | 2015-12-09 | 株式会社Mstコーポレーション | Vise for 5-axis control machine |
JP2016144857A (en) * | 2014-12-04 | 2016-08-12 | エスエムヴェー アウトブローク シュパンジステーメ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 Transmission arrangement for transmission of energy and/or signal |
KR102232236B1 (en) * | 2019-12-30 | 2021-03-24 | 유상철 | Quick Work Holder Clamp Device |
-
2020
- 2020-12-30 KR KR1020200187782A patent/KR10226307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36204A (en) * | 1995-11-13 | 1997-05-27 | Toshiba Tungaloy Co Ltd | Tool mounting/demounting device |
KR19980064036U (en) * | 1997-04-24 | 1998-11-25 | 홍기표 | Rotary One Touch Clamp Device |
JP2011115869A (en) * | 2009-12-01 | 2011-06-16 | Mst Corporation | Clamp device |
JP5830220B2 (en) * | 2009-12-01 | 2015-12-09 | 株式会社Mstコーポレーション | Vise for 5-axis control machine |
KR20110094901A (en) * | 2010-02-18 | 2011-08-24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Tool for fixing plastic material of bucket |
JP5739915B2 (en) * | 2010-03-02 | 2015-06-24 | コメート グループ ゲーエムベーハー | Device for joining two members |
JP2016144857A (en) * | 2014-12-04 | 2016-08-12 | エスエムヴェー アウトブローク シュパンジステーメ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 Transmission arrangement for transmission of energy and/or signal |
KR102232236B1 (en) * | 2019-12-30 | 2021-03-24 | 유상철 | Quick Work Holder Clamp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7260140A (en) * | 2023-11-21 | 2023-12-22 | 合肥万向钱潮汽车零部件有限公司 | Transmission shaft friction welding quick-change chuck |
CN117260140B (en) * | 2023-11-21 | 2024-02-02 | 合肥万向钱潮汽车零部件有限公司 | Transmission shaft friction welding quick-change chu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63072B1 (en) | Quick Work Holder Clamp Device | |
CN100548544C (en) | Be used for collet is fixed to apparatus for fastening on the chuck | |
TWM573673U (en) | Exchange device featuring easy positioning | |
KR102232236B1 (en) | Quick Work Holder Clamp Device | |
KR102263070B1 (en) | Quick Work Holder Clamp Device | |
CN205464404U (en) | Special fixture device of numerical control center | |
CN101491840A (en) | Self-centering four-jaw independent chuck | |
CN210649629U (en) | Processing frock of coupling screw | |
US6244794B1 (en) | Clamp-type dowelling jig | |
CN211540357U (en) | Insert processing special tool | |
CN205834803U (en) | A kind of electric motor end cap processing jig of accurate positioning | |
CN217571827U (en) | Clamping tool for three-way joint parts | |
CN219093681U (en) | Lathe jaw | |
CN214922586U (en) | Multifunctional fixture based on three-jaw self-centering chuck | |
CN206373405U (en) | A kind of brake shoe iron boring grab | |
CN214109518U (en) | A special fixture for drilling the lever parts of lathes | |
CN214560686U (en) | Positioning clamping device and direction-changing positioning locking device | |
CN209565828U (en) | A kind of novel lathe fixture easy to operate | |
CN211361431U (en) | Device for drilling and tapping for machining flange end plate | |
CN111438547A (en) | Numerical control drilling and tapping clamp for mine explosion-proof lamp radiator and application method of numerical control drilling and tapping clamp | |
EP1080813B1 (en) | Doweling jig | |
WO2015161435A1 (en) | Milling machine tool holder device capable of quickly replacing tool clamping member | |
CN110961962A (en) | Quick workpiece positioning device | |
JP3242565U (en) | Auto exchangeable fixture | |
CN215037249U (en) | Positioning and clamping device and turning positioning and lock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1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