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506B1 -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4506B1 KR102264506B1 KR1020190088625A KR20190088625A KR102264506B1 KR 102264506 B1 KR102264506 B1 KR 102264506B1 KR 1020190088625 A KR1020190088625 A KR 1020190088625A KR 20190088625 A KR20190088625 A KR 20190088625A KR 102264506 B1 KR102264506 B1 KR 1022645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lling operation
- fixed
- operation part
- injection core
- inj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65D81/3222—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with additional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 혼합물이 저장되어 있는 고정수용부와 이러한 고정수용부 저면의 밀폐부를 파괴하여 음료 혼합물의 낙하를 야기하는 천공작동부를 탄성 있는 연질의 실리콘 수지에 의해 이중사출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하는 천공작동부를 고정수용부에 한 몸체로 형성하되, 상기 천공작동부의 외주면에는 일단이 천공작동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고정수용부에 구비된 수용부의 내주 벽면에서 분리된 상태로 내주 벽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사선가이드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천공작동부가 수용부 내주 벽면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수직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게 한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 혼합물이 저장되어 있는 고정수용부와 이러한 고정수용부 저면의 밀폐부를 파괴하여 음료 혼합물의 낙하를 야기하는 천공작동부를 탄성 있는 연질의 실리콘 수지에 의해 이중사출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하는 천공작동부를 고정수용부에 한 몸체로 형성하되, 상기 천공작동부의 외주면에는 일단이 천공작동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고정수용부에 구비된 수용부의 내주 벽면에서 분리된 상태로 내주 벽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사선가이드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천공작동부가 수용부 내주 벽면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수직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게 한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타민 파우더나 과립 파우더 또는 액상 형태의 음료 혼합물이 수납되어 있는 수용장치를 일반 생수병에 뚜껑대신 결합한 후, 외력에 의해 수용장치 내부를 터트려 음료 혼합물을 생수에 혼합시킴으로써, 즉석에서 비타민 음료나 과일 음료 등을 제조하여 마실 수 있게 한 제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비타민 음료나 과일 음료의 경우 비타민이나 과립 파우더가 물에 녹아서 혼합되어 있는 상태로 제조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혼합음료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공색소나 방부제와 같은 보존제가 첨가되어 있음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혼합 음료와 달리 파우더나 액상 형태의 음료 혼합물 또는 일반 생수 자체에는 방부제 등의 보존제가 첨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파우더나 액상 형태의 음료 혼합물을 물과 분리하여 보관하였다가 마시기 직전에 혼합한다면 방부제 등의 보존제가 없는 상태로 음료를 제조하고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종래에도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9802호의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45039호의 “밀봉덮개 및 해당 밀봉덮개를 갖춘 용기”와 같은 문헌들을 통하여 파우더나 액상 형태의 음료 혼합물을 병뚜껑을 대체할 수 있는 용기에 보관하였다가 마시기 전에 터트려 혼합시킬 수 있게 하는 형태의 제품들이 소개되었으며, 특히 생수의 가격이 저렴한 북미권에서는 스포츠 음료의 형태로 많이 이용되곤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에 음료용 혼합물을 수납하기 위해 사용되던 많은 이종물질 수용장치들의 경우,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파우더나 액상 형태의 음료용 혼합물이 원치 않게 새어 나오는 경우가 발생되면서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크게 하락시키곤 하였다.
그에 따라,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파우더나 액상 형태의 음료용 혼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으나, 생수병의 병목 부분에 결합되어야 하는 작은 크기의 제한과, 음료용 혼합물이 저장된 내부 공간을 밀폐하고 있는 은박지 등의 시일부를 파괴하기 위해서는 음료용 혼합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와는 독립적으로 천공부가 펌핑과 같은 푸쉬 동작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어야 하는 구조적인 복잡성으로 인해, 음료 혼합물이 원치 않게 유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신뢰도가 높은 제품을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에 따라 최근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980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 혼합물이 저장되는 수용부와 이러한 수용부 내부에서 외력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반복적인 펌핑동작을 수행하는 천공부 상호간을 탄성이 있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연결하되,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이중사출에 의해 경질의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는 수용부와 천공부 상호간을 탄성이 있는 연질의 실리콘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한 제조기술들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작고 복잡한 구조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장치를 경질의 플라스틱 수지와 연질의 실리콘 수지를 이용하여 이중사출 방식으로 사출하는 공정 수행의 어려움과, 천공부의 독립적이고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해야 하는 구조 구현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신뢰도 높은 제품을 구현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음료 혼합물이 저장되어 있는 고정수용부와 이러한 고정수용부 저면의 밀폐부를 파괴하여 음료 혼합물의 낙하를 야기하는 천공작동부를 탄성 있는 연질의 실리콘 수지에 의해 이중사출함으로써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하는 천공작동부를 고정수용부에 한 몸체로 형성하되, 상기 천공작동부의 외주면에는 일단이 천공작동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고정수용부에 구비된 수용부의 내주 벽면에서 분리된 상태로 내주 벽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사선가이드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천공작동부가 수용부 내주 벽면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수직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게 한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는,
병목에 결합 고정되며, 음료 혼합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내부 공간 저면에는 음료 혼합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밀폐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수용부; 상기 고정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펌핑 작용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밀폐부를 파괴하여 음료 혼합물의 낙하를 야기하는 천공작동부; 상기 천공작동부의 외주면에 일단이 부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고정수용부의 내주 벽면에서 분리된 상태로 내주 벽면을 지지하여, 상기 천공작동부의 상하 이동시 일측으로의 치우침을 방지하는 복수의 사선가이드부; 및 경질의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되는 상기 고정수용부와 천공작동부의 사출 후 탄성이 있는 연질의 실리콘 수지를 이중사출 방식으로 주입하여 상기 천공작동부를 독립적인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수용부에 일체화된 형태로 연결하는 연질 접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복수의 사선가이드부는, 상기 천공작동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고정수용부에 구비된 수용부의 내주 벽면에 이르도록 돌출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돌출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사선가이드부는, 상기 천공작동부에 부착되는 부분은 상기 천공작동부의 외주면에 두텁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주 벽면을 지지하는 타단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사선가이드부는, 연질 실리콘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고정수용부와 천공작동부를 연질 접철부로 연결하는 이중사출 후 사출코어를 분리하는 도중, 사출코어가 분리될 때 상기 천공작동부에 부착된 두터운 부분은 유지하면서 얇게 부착되어 있는 상기 수용부의 내주 벽면으로부터만 끊어져 내주 벽면에서 분리된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사선가이드부는, 중앙에 위치하는 천공작동부의 내부 공간을 지지하던 제1사출코어와, 상기 천공작동부와 수용부의 사이 공간을 지지하던 제2사출코어와, 상기 수용부와 병목 체결부의 사이 공간을 지지하던 제3사출코어, 및 상기 병목 체결부의 외부 공간을 지지하던 제4사출코어를 분리함에 있어, 상기 천공작동부의 내부 공간을 지지하고 있는 제1사출코어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사출코어를 먼저 분리하여 제2사출코어가 분리되는 동안 상기 천공작동부가 제1사출코어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질의 실리콘 수지에 의해 독립적으로 상하 이동하는 천공작동부가 고정수용부에 한 몸체로 형성되며, 천공작동부의 외주면에는 일단이 천공작동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고정수용부에 구비된 수용부의 내주 벽면에서 분리된 상태로 내주 벽면을 지지하는 복수의 사선가이드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천공작동부가 수용부 내주 벽면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수직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음료 혼합물의 유출를 방지하던 밀폐부 전체를 정확하고 신뢰도 높게 파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배출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에서 천공접철부가 아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배출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에서 천공접철부가 아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배출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는, 병목에 결합 고정되며 음료 혼합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내부 공간 저면에는 음료 혼합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밀폐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수용부(100)와, 상기 고정수용부 내부에 위치하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펌핑 작용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밀폐부를 파괴하여 음료 혼합물의 낙하를 야기하는 천공작동부(200)와, 상기 천공작동부의 외주면에 일단이 부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고정수용부의 내주 벽면에서 분리된 상태로 내주 벽면을 지지하여 상기 천공작동부의 상하 이동시 일측으로의 치우침을 방지하는 복수의 사선가이드부(300)와, 경질의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되는 상기 고정수용부와 천공작동부의 사출 후 탄성이 있는 연질의 실리콘 수지를 이중사출 방식으로 주입하여 상기 천공작동부를 독립적인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수용부에 일체화된 형태로 연결하는 연질 접철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용부(100)는, 음료 혼합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의 저면을 밀폐하여 내부 공간에 저장된 음료 혼합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밀폐부(130)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면서 상기 수용부와의 사이 공간에 병의 목부분이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병목 체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용부(100)는, 일반적인 생수병이나 용기의 뚜껑을 제거하고 뚜껑대신 결합하기 위한 것인바, 생수병이나 용기에 구비된 목부분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에 병목 체결부(1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음료 혼합물이 저장되어 있는 수용부(110)는 병의 구부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고정수용부(100)가 생수병이나 용기의 목부분에 결합되므로, 상기 천공작동부(200)에 의해 밀폐부(130)를 파괴하게 되면 음료 혼합물이 생수병이나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물로만 낙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밀폐부(130)는, 상기 수용부(110)의 저면을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천공작동부(200)가 펌핑 작용에 의해 하강할 경우 쉽게 파괴될 수 있으면서도, 물로부터 전달되는 습기가 상기 수용부에 저장되어 있는 음료 혼합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알루미늄 호일과 같이 내수성이 우수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용부(100)는 생수병 등에 뚜껑을 대체하여 결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 물이 담겨 있는 생수병 등의 용기와는 별도의 형태로 제공되어 음료 섭취시에 생수병 등의 뚜껑을 제거한 후 즉석에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천공작동부(200)는, 상기 수용부(111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말단에는 상기 밀폐부를 파괴하기 용이한 날카로운 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고정수용부와는 독립적으로 아래로 움직인 후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상기 연질 접철부(400)에 의해 상기 고정수용부(100)와 함께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천공커터(2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천공작동부(2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이 개방된 관 구조로 형성되어, 그 평단면이 대략 영문자 ‘C’자 형상을 띠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천공작동부(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천공커터(210)가 밀폐부(130)에 닿지 않고 수용부(110)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천공작동부(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결합되는 배출마개(230)의 상하 이동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어 음료의 섭취를 가능하게 하는 음료 배출구(220)가 상부에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배출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음료 배출구가 형성될 경우, 배출마개(230)를 들어 올리면서 음료 배출구(220)가 개방되고, 배출마개(230)를 내려서 음료 배출구(220)를 폐쇄할 수 있어 병목에 결합되어 있는 뚜껑이나 고정수용부를 제거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음료를 섭취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천공작동부(2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별도의 음료 배출구가 형성되지 않고, 그 상부가 돔 형상의 연질 접철부(300)에 의해 완전히 덮이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복수의 사선가이드부(3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공작동부(200)의 외주면에서 상기 고정수용부에 구비된 수용부(110)의 내주 벽면에 이르도록 돌출 형성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돌출부로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의 사선가이드부(300)는, 그 일단이 상기 천공작동부(200)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수용부(110)의 내주 벽면에서 분리된 상태로 상기 내주 벽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밀폐부(130)를 파괴하기 위한 천공작동부(200)의 상하 이동시 상기 천공작동부가 일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천공작동부(200)는 상기 수용부의 내주 벽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상부에서만 상기 연질 접철부(40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바, 연질 접철부 또는 음료 배출구의 상부에서 외력을 가하게 되면 아래로 이동하면서 마땅히 지지할 수단이 없어 일측으로 치우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천공작동부가 일측으로 치우친 상태로 내려오면 밀폐부가 완전히 파괴되지 않고 어느 한 쪽 부분만 찢겨지게 되어 수용부에 저장되어 있던 음료 혼합물이 전부 배출되지 못하고 잔존하는 밀폐부에 의해 수용부에 머무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상부만이 연질 실리콘에 의해 상기 고정수용부의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천공작동부가 밀폐부의 중앙부분 전체를 정확하게 파괴하기 위해서는, 상기 천공작동부(200)가 수용부(110) 내주 벽면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수직하게 아래로 내려올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사선가이드부(300)는 상기 천공작동부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천공작동부의 외주면 둘레에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사선가이드부(300)가 120°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60°간격, 90° 간격 또는 180°간격마다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상기 사선가이드부(300)가 상기 천공작동부(200)의 위쪽에 치우치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사선가이드부가 설치되는 위치도, 그보다 아래의 위치, 즉 상기 천공작동부의 외주 측면 중앙 하부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천공작동부의 움직임을 더욱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러한 상기 복수의 사선가이드부(30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공작동부에 부착되는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그 윗부분은 상기 천공작동부(200)의 외주면에 보다 두텁게 부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0)의 내주 벽면을 지지하는 타단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상을 취하도록 형성된다. 그에 따라, 사출 제작 중 사출코어를 분리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두텁게 형성된 천공작동부에는 부착된 상태로 얇게 부착되어 있는 수용부 내주 벽면으로부터만 분리되는 상태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질 접철부(400)는, 제품의 파손 없이 상기 천공작동부의 독립적인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고정수용부(100)와 천공작동부(200)의 상부가 탄성이 있는 연질의 재질로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경질의 플라스틱 수지를 주입하는 한 번의 사출공정에 의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사출성형된 고정수용부와 천공작동부의 상부 영역에 연질의 실리콘 수지를 이중사출 방식으로 성형하여 구현된다.
이와 같이 경질의 플라스틱 수지로 고정수용부와 천공작동부를 사출성형한 후, 그 사출물의 경화가 완료되기 전에 다른 노즐에 의해 연질의 실리콘 수지를 공급하여 돔 형상의 연질 접철부(400)에 의해 고정수용부(100)와 천공작동부(200)가 상호 일체로 연결된 한 몸체의 구조를 구현함으로써, 조립 또는 접합에 의해 구현되는 구조에 비해 음료 혼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신뢰도 높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상기 천공작동부(200)에 음료 배출구(220)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어 연질 접철부 중앙이 관통된 형태로 구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4 및 도 5에서는 음료 배출구 없이 돔형상의 연질 접철부(400)에 의해 고정수용부(100)와 천공작동부(200) 상부가 완전히 밀폐된 것을 나타내는바, 이처럼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경질의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되는 고정수용부와 천공작동부를 성형하고, 이어서 연질의 실리콘 수지로 연질 접철부를 형성하는 이중사출 방식에 의해 사출성형한 후에는, 중앙에 위치하는 천공작동부의 내부 공간을 지지하던 제1사출코어와, 상기 천공작동부와 수용부의 사이 공간을 지지하던 제2사출코어와, 상기 수용부와 병목 체결부의 사이 공간을 지지하던 제3사출코어, 및 상기 병목 체결부의 외부 공간을 지지하던 제4사출코어를 분리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사출공정에서 사출코어를 분리하는 것과 같이, 내부에 있는 제1사출코어부터 순차적으로 분리하게 된 후 상기 제4사출코어를 마지막에 분리하게 되면, 연질 접철부가 미처 경화되지 못한 상태에서 별도의 지지수단 없이 사출코어와 함께 딸려 오게 되어 제품의 손상과 불량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경질의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고정수용부와 천공작동부를 연질의 실리콘 수지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 일체화된 형태로 제조함에 있어, 상기 천공작동부의 내부 공간을 지지하고 있는 제1사출코어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사출코어를 먼저 분리하여 제2사출코어가 분리되는 동안 상기 천공작동부가 제1사출코어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한 후, 제1사출코어와 제3사출코어 및 제4사출코어를 순차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사출성형된 연질 접철부의 손상 없이 사출물을 얻을 수 있게 하였다.
이처럼 상기 제1사출코어에 의해 천공작동부가 지지되는 동안 제2사출코어가 먼저 분리되므로, 상기 복수의 사선가이드부 중 고정 수용부의 수용부 내주 벽면에 접착된 상태로 형성되었던 말단 부분을 끊어내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연질 접철부의 손상 없이 제2사출코어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고정수용부 110 : 수용부
120 : 병목 체결부 130 : 밀폐부
200 : 천공작동부 210 : 천공커터
220 : 음료 배출구 230 : 배출마개
300 : 사선가이드부
400 : 연질 접철부
120 : 병목 체결부 130 : 밀폐부
200 : 천공작동부 210 : 천공커터
220 : 음료 배출구 230 : 배출마개
300 : 사선가이드부
400 : 연질 접철부
Claims (6)
- 병목에 결합 고정되며, 음료 혼합물이 저장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하고, 내부 공간 저면에는 음료 혼합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밀폐부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수용부;
상기 고정수용부 내부에 위치하여, 평단면이 C자 형상을 가지도록 일측면이 개방된 관 구조를 가지며, 외부에서 가해지는 펌핑 작용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밀폐부를 파괴하여 음료 혼합물의 낙하를 야기하는 천공작동부;
상기 천공작동부의 외주면에 일단이 부착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고정수용부에 구비된 수용부의 내주 벽면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내주 벽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향 사선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돌출부로 형성되되, 상기 천공작동부에 부착되는 부분은 상기 천공작동부의 외주면에 두텁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내주 벽면을 지지하는 타단으로 갈수록 얇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천공작동부의 상하 이동시 일측으로의 치우침을 방지하는 복수의 사선가이드부; 및
경질의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되는 상기 고정수용부와 천공작동부의 사출 후 탄성이 있는 연질의 실리콘 수지를 이중사출 방식으로 주입하여 상기 천공작동부를 독립적인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수용부에 일체화된 형태로 연결하는 연질 접철부;를 포함하며,
합성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고정수용부와 천공작동부, 병목 체결부를 형성하고, 연질 실리콘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고정수용부와 천공작동부를 연결하는 연질접철부를 형성하는 이중사출 후, 중앙에 위치하는 천공작동부의 내부 공간을 지지하던 제1사출코어와, 상기 천공작동부와 수용부의 사이 공간을 지지하던 제2사출코어와, 상기 수용부와 병목 체결부의 사이 공간을 지지하던 제3사출코어 및 상기 병목 체결부의 외부 공간을 지지하던 제4사출코어를 분리함에 있어,
상기 천공작동부의 내부 공간을 지지하고 있는 제1사출코어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사출코어를 먼저 분리하여 제2사출코어가 분리되는 동안 상기 천공작동부와 연질접철부가 제1사출코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복수의 사선가이드부는,
상기 제2사출코어가 분리될 때 상기 천공작동부에 부착된 두터운 부분은 연결 유지되면서, 상기 수용부의 내주 벽면에 부착된 얇은 부분은 내주 벽면으로부터 끊어져 분리된 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사선가이드부는 상기 천공작동부의 외주면을 따라 60°, 90°, 120° 또는 180° 간격 중 어느 하나의 동일한 간격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8625A KR102264506B1 (ko) | 2019-07-23 | 2019-07-23 |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8625A KR102264506B1 (ko) | 2019-07-23 | 2019-07-23 |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1567A KR20210011567A (ko) | 2021-02-02 |
KR102264506B1 true KR102264506B1 (ko) | 2021-06-14 |
Family
ID=7455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8625A KR102264506B1 (ko) | 2019-07-23 | 2019-07-23 |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450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31633A (ja) * | 2004-02-17 | 2005-09-02 | Nippon Tansan Gas Co Ltd | 原料封入カプセル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30129802A (ko) | 2012-05-21 | 2013-11-29 | 이성재 |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
KR20140022330A (ko) * | 2012-08-13 | 2014-02-24 | 이성재 |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
TWI626198B (zh) | 2017-04-14 | 2018-06-11 | Yang Fang Lin | Cover and container having the cover |
-
2019
- 2019-07-23 KR KR1020190088625A patent/KR1022645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31633A (ja) * | 2004-02-17 | 2005-09-02 | Nippon Tansan Gas Co Ltd | 原料封入カプセ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1567A (ko) | 2021-0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43969B2 (en) | Ingredient release spout | |
US9592940B2 (en) | Ingredient release spout | |
US11053061B2 (en) | Apparatus for receiving heterogeneous materials | |
JP6408496B2 (ja) | 飲料容器を閉塞するための装置、そのような装置のアセンブリ、および飲料容器 | |
US20090321286A1 (en) | Container closure having a lifting cap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 |
EP2700589A2 (en) | Apparatus for receiving heterogeneous materials | |
US20090020495A1 (en) | Container cap with liquid-dissolvable additive | |
US20120085761A1 (en) | Container top having sealable chamber for the storing and mixing of two or more substances | |
CN109219566B (zh) | 具有将添加剂引入到容器中的液体中的机构的容器封闭件 | |
US20050236424A1 (en) | Single use unit dosage dispensing closure | |
US20140166157A1 (en) | One Piece Dispensing Lid | |
US20150158621A1 (en) | Connection die coupled with container neck in use | |
CN109415145A (zh) | 具有将添加剂引入到容器中的液体中的机构的容器封闭件 | |
JP2017520489A (ja) | 万能ボトルキャップ | |
WO2011098865A1 (en) | A container closure | |
KR102264506B1 (ko) |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 | |
KR20120054673A (ko) | 용기목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수용장치 | |
KR102619274B1 (ko) | 음료 용기용 마개 조립체 | |
KR200480321Y1 (ko) | 혼합용 용기 | |
KR200286135Y1 (ko) | 서로 다른 성분의 분말 또는 용액을 분리보관 및 혼합사용할 수 있는 용기 | |
JP2001206428A (ja) | 飲料容器 | |
JP2550710Y2 (ja) | 2液混合容器 | |
JP6929597B2 (ja) | 注出容器 | |
KR20220167544A (ko) | 이종 약을 수용한 병뚜껑 | |
KR20240003172A (ko) | 혼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