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893B1 - Child Seat - Google Patents
Child Sea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3893B1 KR102253893B1 KR1020167004601A KR20167004601A KR102253893B1 KR 102253893 B1 KR102253893 B1 KR 102253893B1 KR 1020167004601 A KR1020167004601 A KR 1020167004601A KR 20167004601 A KR20167004601 A KR 20167004601A KR 102253893 B1 KR102253893 B1 KR 1022538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pedestal
- child seat
- seat body
- belt
- Prior art date
Links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4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10000975 Carbon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62 carbon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KAKZBPTYRLMSJV-UHFFFAOYSA-N Butadiene Chemical compound C=CC=C KAKZBPTYRLMSJ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506 ci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2
- NLHHRLWOUZZQLW-UHFFFAOYSA-N Acrylonitrile Chemical compound C=CC#N NLHHRLWOUZZQL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8—Adaptations for seat belts characterised by guiding means for children bel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60N2/282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part of the base being supported by the vehicle fr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head-re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6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rotatable about a vertical axis
-
- B60N2002/281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시트벨트 타입 및 ISOFIX 타입의 부품을 공통화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삭감한다. 차일드 시트가, 차량의 시트벨트를 사이에 끼울 수 있는 잠금 오프 디바이스(130)를 가지는 제1 받침대(20), 및 차량의 앵커부재(403)에 연결 가능한 연결기구(300)를 가지는 제2 받침대(220) 중 어느 한쪽의 받침대와, 제1 받침대(20) 상 및 제2 받침대(220) 상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된 시트 본체(30)를 구비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hild seat, the seat belt type and the ISOFIX type component are shared in common,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The child seat has a first pedestal 20 having a lock-off device 130 capable of sandwiching a seat belt of a vehicle, and a second pedestal having a connecting mechanism 300 connectable to the anchor member 403 of the vehicle One of the bases 220 and a seat body 30 configured to be supported on the first base 20 and on the second base 220 so as to be slidably suppor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설치하는 차일드 시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 seat installed on a vehicle seat.
승용차 등에 영유아를 태울 때에 사용되는 차일드 시트로서, 차량(예를 들어,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되는 받침대와, 받침대 상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시트 본체를 가지는 차일드 시트가 공지이다(특허문헌 1).As a child seat used when carrying infants and toddlers in a passenger car, etc., a child seat having a pedestal installed on a seat of a vehicle (for example, a car) and a seat body supported on the pedestal so as to be slidable is known (Patent Document 1 ).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일드 시트는, 차량의 시트로의 고정을 위하여, 차량의 시트에 구비되는 시트벨트 장치의 시트벨트를 이용하는 시트벨트 타입의 차일드 시트이다. 즉, 차일드 시트의 받침대는, 차량의 시트의 배면부에 대면하는 기립부를 가지고 있고, 기립부는, 시트벨트를 사이에 끼우기 위한 2개의 잠금 오프 디바이스를 가지고 있다. 잠금 오프 디바이스는, 받침대의 기립부의 앞면의 좌우에 배치되며, 차일드 시트에 대하여 좌우 어느 한쪽에 배치된 시트벨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차일드 시트는, 기립부의 앞면을 통과하도록 연장된 시트벨트가 잠금 오프 디바이스에 의하여 사이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차량의 시트에 확실히 장착된다.The child seat described in
그런데, 시트벨트 타입의 차일드 시트에 더하여, ISOFIX 또는 ISO-FIX(아이소픽스)의 규격에 준거하여 제조된 ISOFIX 타입의 차일드 시트도 공지이다. ISOFIX 타입의 차일드 시트는, 암부재와, 암부재의 선단에 장착된 연결부재를 가지고 있다. 암부재는, 차일드 시트의 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차일드 시트 중, 예를 들어 받침대 중에 넣을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ISOFIX 타입의 차일드 시트를 고정하는 차량의 시트는, 앵커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차일드 시트의 연결부재는 앵커부재에 대하여 연결 또는 연결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By the way, in addition to the seat belt type child seat, the ISOFIX type child sea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ISOFIX or ISO-FIX (Isofix) is also known. The ISOFIX type child seat has an arm member and a connecting member attached to the tip of the arm member. The arm member protrudes toward the rear of the child seat, and can be put in the child seat, for example, in a pedestal. On the other hand, the seat of the vehicle fixing the ISOFIX type child seat has an anchor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child sea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or disconnected from the anchor member.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는, 차량의 시트로의 고정방법의 차이에 의하여, 시트벨트 타입과 ISOFIX 타입의 2가지가 있다. 하지만, 종래 이들 2가지 타입의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시트 본체 및 받침대는, 그 타입마다 설계 및 제조되어 있으며, 이들을 공통화한다는 발상은 없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일드 시트는, 시트 본체를 받침대에 대하여 리클라이닝 동작 및 회전 동작시키기 위하여, 기립부를 포함하는 받침대의 내부에 있어서 복잡한 링크기구를 가지고 있고, 그로 인하여, 받침대 중에 넣을 수 있는 암부재를, 받침대의 내부에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였다는 것이 그 하나의 이유이다.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wo types of child seats, a seat belt type and an ISOFIX type, due to a difference in the method of fixing to the seat of the vehicle. However, conventionally, in these two types of child seats, the seat body and the pedestal are designed and manufactured for each type, and there is no idea that these are common. For example, the child seat described in
2가지 타입의 차일드 시트의 시트 본체 및 받침대를 공통화할 수 없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나 제조공정의 증가가 발생하고, 또한 조립 라인의 스케쥴 조정이 곤란하게 되어, 그 결과 제조비용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Since the two types of child seats cannot be shared in commo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and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ccurs, and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schedule of the assembly line, resulting in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There was.
본 발명은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시트벨트 타입 및 ISOFIX 타입의 부품을 공통화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삭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by making common parts of a seat belt type and an ISOFIX type in a child seat.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량의 시트벨트를 사이에 끼울 수 있는 협지(挾持)기구를 가지는 제1 받침대, 및 차량의 앵커부재에 연결 가능한 연결기구를 가지는 제2 받침대 중 어느 한쪽 받침대와, 상기 제1 받침대 상 및 상기 제2 받침대 상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된 시트 본체를 구비하는 차일드 시트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a first pedestal having a clamping mechanism capable of sandwiching a seat belt of a vehicle, and a second pedestal having a connecting mechanism connectable to an anchor member of the vehicle; , A child seat is provided having a seat body configured to be supported on the first pedestal and on the second pedestal so as to be slidably support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협지기구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기구가 상기 제2 받침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가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ild seat, wherein the holding mechanism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pedestal, and the connecting mechanism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pedestal.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연결기구가, 상기 제2 받침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가능한 봉 형상의 암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가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ild seat, wherein the connecting mechanism has a rod-shaped arm member capable of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second pedest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연결기구가, 좌우 한 쌍의 상기 암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가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ild seat, wherein the connecting mechanism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arm members.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시트 본체가, 서로 다른 경사각도의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 사이를 변경 가능하게 상기 받침대 상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리클라이닝 위치의 각각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받침대 상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가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body is supported on the pedestal so as to be changeable between a plurality of reclining positions of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and at the same time, on the pedestal so as to be rotatable at each of the reclining positions. There is provided a child seat,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ed b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시트 본체가, 상기 받침대를 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돌출되어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계합 또는 계합 해제하는 리클라이닝 잠금부재와, 상기 받침대를 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돌출되어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계합 또는 계합 해제하는 회전잠금부재를 가지고, 상기 시트 본체의 상기 리클라이닝 위치를 변경할 때에는, 상기 리클라이닝 잠금부재를 상기 받침대로부터 계합 해제하며, 상기 시트 본체를 회전할 때에는, 상기 회전잠금부재를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계합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body is a reclining locking member that protrudes toward the pedestal so as to be able to advance and retreat and engages or releases the engagement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and the pedestal protrudes so as to advance and retreat toward the pedestal. It has a rotation locking member that engages or disengages with respect to, when the reclining position of the seat body is changed, the reclining locking member is disengaged from the pedestal, and when the seat body is rotated, the rotation locking member is removed from the base. There is provided a child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ement is released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가 계합부를 가지고, 상기 시트 본체가 상기 계합부와 계합하는 피계합부를 가지며, 상기 시트 본체의 상기 리클라이닝 위치의 변경 및 상기 시트 본체를 회전할 때에, 상기 계합부 및 상기 피계합부 사이의 계합이 유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가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edestal has an engaging portion, the seat body has an engaging portion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and when the seat body changes the reclining position and rotates the seat body And a child seat,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ement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is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피계합부가, 상기 시트 본체의 회전축선 둘레의 속이 비어 있는 고리 형상 또는 속이 차 있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가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ild sheet,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a hollow ring shape or a hollow disk shape around a rotation axis of the seat body.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계합부가, 상기 상부 피계합부 및 상기 하부 피계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가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ild seat,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to be engaged and the lower portion to be engag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계합부가, 상기 시트 본체의 상기 리클라이닝 위치의 변경에 추종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가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ild seat,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moves in a front-rear direction following a change in the reclining position of the seat body.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계합부와 상기 피계합부와의 계합이, 상기 시트 본체의 후방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가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ild seat,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engaged at the rear of the seat body.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차일드 시트에 있어서, 시트벨트 타입 및 ISOFIX 타입의 부품을 공통화함으로써, 제조비용의 삭감을 한다는 공통의 효과를 나타낸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in each claim, in the child seat, the common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is achieved by making the seat belt type and the ISOFIX type component in common.
이하, 첨부 도면과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을 한층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fully understood from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차일드 시트의 전방향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차일드 시트의 후방향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차일드 시트의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받침대의 상면도이다.
도 6은 차일드 시트의 일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차일드 시트의 시트 본체의 바닥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차일드 시트의 계합부 및 피계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차일드 시트의 가로방향의 중앙을 통과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차일드 시트의 가로방향의 중앙보다 왼쪽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차일드 시트의 시트 본체의 내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12는 차일드 시트의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차일드 시트의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14는 차일드 시트의 리클라이닝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차일드 시트의 회전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차일드 시트의 조작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차일드 시트의 조작기구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18은 차일드 시트의 조작기구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19는 차일드 시트의 배면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20은 차일드 시트의 유아벨트의 높이조절기구의 일부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21은 차일드 시트의 유아벨트의 높이조절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차일드 시트의 유아벨트의 높이조절기구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23은 차일드 시트의 최상위치의 조절벨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차일드 시트의 최하위치의 조절벨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차일드 시트의 배면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26은 차일드 시트의 배면 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유아벨트의 일부의 상면도이다.
도 28은 도 1의 유아벨트의 신장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1의 유아벨트의 굴곡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0은 차일드 시트의 유아벨트의 정면도이다.
도 31은 차일드 시트의 상부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차일드 시트의 덮개기구의 회전계지기구의 분해조립도이다.
도 33은 차일드 시트의 서포트 레그의 위치결정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3의 위치결정기구의 중앙보다 왼쪽의 종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33의 위치결정기구의 중앙을 통과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1의 차일드 시트의 받침대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6의 받침대의 하반체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받침대의 하반체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ntire child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ild seat in an omnidirectional stat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ild seat in a rearward stat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of the child seat.
5 is a top view of the pedestal of FIG. 4.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child seat.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 body of the child seat.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ngaging portion and an engaging portion of the child seat.
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hild sea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ig. 10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hild seat to the left of the cen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seat body of the child seat.
Fig. 12 is a diagram explaining a reclining mechanism and a rotating mechanism of a child seat.
Fig. 13 is another diagram explaining a reclining mechanism and a rotating mechanism of a child seat.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reclining operation of a child seat.
1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child seat.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 mechanism of a child seat.
Fig. 17 is another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child seat.
Fig. 18 is another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mechanism of the child seat.
1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child seat.
20 is an exploded and assembled view of a part of th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of the infant belt of the child seat.
Fig. 21 is a view for explaining a height adjustment mechanism of an infant belt of a child seat.
22 is another view for explaining th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of the infant belt of the child seat.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djustment belt of the highest value of a child seat.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djustment belt at the lowest position of the child seat.
2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child seat.
2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panel of the child seat.
27 is a top view of a part of the infant belt.
28 is a side view of the infant belt of FIG. 1 in an elongated state.
29 is a side view of the infant belt of FIG. 1 in a curved state.
Fig. 30 is a front view of an infant belt of a child seat.
3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hild seat.
Fig. 32 is an exploded assembly view of the rotation locking mechanism of the lid mechanism of the child seat.
Fig. 3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leg positioning mechanism of a child seat.
Fig. 3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to the left of the center of the positioning mechanism of Fig. 33;
Fig. 3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positioning mechanism of Fig. 33;
36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pedestal of the child seat of FIG. 1.
3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half of the pedestal of FIG. 36;
38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ild se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half of the pedestal of FIG. 38;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체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공통의 참조부호를 붙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roughout the drawings, corresponding elements are given common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1)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차일드 시트(1)의 전방향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차일드 시트(1)의 후방향 상태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차일드 시트(1)는 차일드 시트 본체(10)와, 차일드 시트 본체(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포트 레그(100)를 가지고 있다. 차일드 시트 본체(10)는 차량(예를 들어, 자동차)의 시트에 설치되는 받침대(20)와, 받침대(20) 상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시트 본체(30)를 가지고 있다. 한편, 차일드 시트(1)의 착좌면 등을 포함하는 시트 본체(30)는,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쿠션성이 있는 커버(11)에 의하여 덮여져 있는데, 그 밖의 도면에 있어서는, 구조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생략되어 있다.The
본 명세서 중에서는, 각 구성부재의 설명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1)를 차량 시트에 설치한 상태로, 차량의 진행방향 전방을 '전'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후'라고 규정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시트 본체(30)의 상태를 시트 본체(30)의 '전방향 상태'라고 칭하고, 도 3에 나타난 시트 본체(30)의 상태를 시트 본체(30)의 '후방향 상태'라고 칭한다. 특히, 시트 본체(30)를 설명할 때에는, 착좌한 영유아에서 본 전방을 '전'으로 하고, 그 반대측을 '후'라고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더욱이, '우'방향 및 '좌'방향은 '전'방향에 대하여 결정된다.In this specification, in the description of each constituent member, with the
시트 본체(30)는 후술하는 회전기구에 의하여 전방향 상태(도 1 및 도 2)와 후방향 상태(도 3)의 사이에서, 받침대(20)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시트 본체(30)는 후술하는 리클라이닝 기구에 의하여, 받침대(20)에 대한 경사각도를 변경하여, 즉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를 선택하여 리클라이닝시킬 수 있다.The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받침대(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차일드 시트(1)의 받침대(2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받침대(20)의 상면도이다. 받침대(20)는 전체적으로 중공으로 형성되고, 차량 시트의 시트부 상에 놓이는 베이스부(21)와, 베이스부(21)의 뒷부분에서 위쪽으로 뻗는 동시에, 차량 시트의 배면부에 대면하는 기립부(22)를 가지고 있다. 받침대(20)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상하의 절반마다 또는 좌우의 절반마다 성형하고, 이들을 끼워맞춤으로써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베이스부(21)의 상면에는, 시트 본체(30)의 하부를 수용하기 위하여, 전후방향으로 뻗는 대략 타원형의 개구인 본체 수용개구(23)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수용개구(23)의 둘레에는, 아래쪽으로 소정 길이만큼 뻗는 지지벽(23a)이 본체 수용개구(23)의 형상을 따라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 수용개구(23) 주위의 베이스부(21)의 상면에는, 베이스부(21)의 상면이며 중앙을 향하여 완만하게 경사지는 받침대 지지면(24)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 지지면(24)의 표면에는, 정렬하여 배치된 복수의 볼록한 곡면 형상의 돌기(24a)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 수용개구(23) 중, 즉 베이스부(21)의 바닥면의 안쪽에는 바닥면으로부터 융기한 원통곡면(25)이 형성되며, 베이스부(21)의 상면의 본체 수용개구(23)를 통하여 노출되어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원통곡면(25)은 중심축선이 좌우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뻗는 원통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오목한 곡면이고, 전단보다 후단 쪽이 보다 위쪽에 배치된다(도 9). 원통곡면(25)에 있어서, 차일드 시트(1)의 가로방향의 중앙을 통과하는 중앙선(H) 상에는, 3개의 잠금구멍(25a)이 전후방향으로 정렬하여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원통곡면(25)에 있어서, 중앙선(H)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오프셋한 좌우의 평행선 상에는, 전후방향으로 뻗는 한 쌍의 잠금홈(25b)이 형성되어 있다.The cylindrical
받침대(20)의 기립부(22)의 중간부에 형성된 전방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22a)에는, 내부공간을 향하여 관통하고, 전후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가늘고 긴 가이드홈(22b)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홈(22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부접속로드(43)의 전후방향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는 동시에, 가로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받침대(20)의 기립부(22)의 상부 전면(22c)에는 직사각형의 개구(26)가 형성되어 있다(도 3). 받침대(20)의 베이스부(21)의 좌우의 뒷부분, 즉 받침대(20)의 기립부(22)의 좌우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돌출된 벨트 계합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A pair of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시트 본체(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차일드 시트(1)의 일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차일드 시트(1)의 시트 본체(30)의 바닥면의 사시도이다.The sheet
시트 본체(30)는 시트 하부(31)와 시트 하부(31)의 뒷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뻗은 배면 맞닿음부(32)를 가지고 있다. 시트 본체(30)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시트 하부(31)의 외관은, 아래쪽을 향하여 끝이 가는 원뿔대부(31a)와, 원뿔대부(31a)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는 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부(31b)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31b)의 하단부는, 원형의 시트 바닥면(33)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시트 바닥면(33)의 중앙에는 원형개구(33a)가 형성되어 있고, 시트 바닥면(33)의 원형개구(33a)의 중심으로부터 왼쪽 방향으로 오프셋한 선 상에, 2개의 원형개구(33b)가 형성되어 있다.The
배면 맞닿음부(32)의 전면에는, 좌우가 전방을 향하여 굴곡져서 헤드 레스트의 기능을 다하는 헤드 플레이트(60)가 설치된다(도 2). 헤드 플레이트(6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면 맞닿음부(32)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킴으로써,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헤드 플레이트(60)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front surface of the
도 6,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차일드 시트(1)의 계합부 및 피계합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차일드 시트(1)의 계합부 및 피계합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차일드 시트(1)의 가로방향(좌우방향)의 중앙을 통과하는 종단면도이며, 도 10은 차일드 시트(1)의 가로방향의 중앙보다 왼쪽의 확대 종단면도이다.6, 8, 9, and 10,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시트 본체(30)의 하면, 즉 시트 바닥면(33)의 외측면에는, 피계합부로서 원반 형상의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의 직경은, 원통부(31b)의 직경보다 크다. 특히 도 10을 참조하면,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 하면의 둘레 근방에는, 고리 형상의 계합홈(40a)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의 계합홈(40a)에는, 계합부로서 하부접속로드(41)의 일단이 아래쪽으로부터 계합하고 있다. 즉, 하부접속로드(41)는, 그 한쪽 단부에 있어서, 후크 형상으로 위쪽을 향하여 꺾여진 계합 후크(41a)를 가지고 있다. 한편,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lower surface of the
하부접속로드(41)의 다른 쪽 단부(41b)(도 10)는, 로드접속부재(42)의 하부에 접속되어 있다. 로드접속부재(42)는, 베이스부(21)의 내부공간의 후방 상부의 모서리부에 적합한 형상으로,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등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리클라이닝 기구에 의하여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가 가장 후방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로드접속부재(42)는 베이스부(21)의 내벽에 맞닿고, 내부공간의 후방 상부의 모서리부에 끼워맞춰진다. 그 결과, 리클라이닝 기구에 의하여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를 가장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즉 시트 본체(30)를 보다 직립한 상태로 리클라이닝 동작시키는 경우에, 로드접속부재(42)가 베이스부(21)의 내벽과 맞닿아, 시트 본체(30)의 이동시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의 역할을 다한다. 또한, 하부접속로드(41)는 이 상태로 베이스부(21)의 내벽에 간섭하지 않도록, 내벽형상을 따라서 굴곡져 형성되어 있다.The
로드접속부재(42)의 상부의 좌우에는, 계합부로서 한 쌍의 상부접속로드(43)가 접속되어 있다. 상부접속로드(43)의 각각은, 받침대(20)의 기립부(22)에 형성된 가이드홈(22b)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도 10). 외부로 돌출된 상부접속로드(43)의 부분은, 위쪽으로 뻗는 직선부분과, 직선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굴곡진 반원부분과, 반원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약간 아래쪽으로 뻗는 직선부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외부로 돌출된 상부접속로드(43)의 부분은, 알파벳 'J'를 상하 반대로 한 것과 같은 후크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A pair of upper connecting
시트 본체(30)의 원뿔대부(31a)의 바깥측 원뿔면에는, 피계합부로서 고리 형상의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는 그 고리 형상의 형상을 따라서 위쪽으로 뻗은 원통 형상의 가이드벽(44a)을 가지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의 가이드벽(44a)에는, 상부접속로드(43)의 각 선단이, 위쪽으로부터 계합하고 있다. 또한,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의 외주면의 하부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볼록한 곡면인 충돌지지면(44b)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On the outer conical surface of the
한편,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는, 상부접속로드(43)와 가이드벽(44a)과의 계합에 있어서, 가이드벽(44a)을 보강하기 위하여, 탄소강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는 보강부재(44c)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보강부재(44c)는, 가이드벽(44a)의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되어도 좋고,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특히 시트 본체(30)의 전방향 상태 및 후방향 상태에 있어서 계합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to-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는, 가이드벽(44a)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고리 형상의 커버부재(45)에 의하여 위쪽으로부터 덮여 있다(도 6).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는 커버부재(45)에 의하여 덮이면서 회전 가능하다. 커버부재(45)에는 커버부재(45)를 통하여 상부접속로드(43)의 각 선단이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의 가이드벽(44a)에 계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4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접속로드(43)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부접속로드(43)에 대하여 보호커버(46)가 위쪽으로부터 씌워진다. 보호커버(46)는 커버부재(45)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 있어서, 커버부재(45) 및 보호커버(46)는, 생략하여 그려져 있다.The upper
커버부재(45)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 등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보호커버(46)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부접속로드(41) 및 상부접속로드(43)는, 탄소강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도 6,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에 관한 내부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차일드 시트(1)의 시트 본체(30) 내부의 확대사시도이다. 시트 본체(30)의 시트 하부(31)의 상부는, 영유아가 착좌하는 시트부를 형성하는 시트 플레이트(34)로 덮여 있고, 시트 플레이트(34)는 그 아래쪽의 내부공간(35)을 구성하고 있다.6, 9, 10, and 11, the internal mechanism related to the reclining mechanism and the rotating mechanis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inside of the
시트 본체(30)의 시트 바닥면(33) 중앙의 원형개구(33a)에 대응하는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의 중앙에는, 동일한 직경의 원형개구(40b)가 형성되어 있다(도 6). 시트 바닥면(33)의 원형개구(33a) 및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의 원형개구(40b)에는, 시트 본체(30)의 내부공간(35) 측으로부터 원주 형상의 리클라이닝 잠금핀(50)이 삽입된다.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리클라이닝 잠금핀(50)의 선단은, 받침대(20)의 원통 곡면(25)에 형성된 잠금구멍(25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계합한다.In the center of the lower
더욱이, 시트 본체(30)의 시트 바닥면(33)의 2개의 원형개구(33b)에 대응하는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의 원형개구(40b)의 중심으로부터 왼쪽 방향으로 오프셋한 선 상에, 2개의 원형개구(40c)가 형성되어 있다(도 6). 시트 바닥면(33)의 2개의 원형개구(33b) 및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의 2개의 원형개구(40c)에는, 시트 본체(30)의 내부공간(35) 측으로부터 U자형의 회전 잠금핀(51)의 각 선단이 삽입된다.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회전 잠금핀(51)의 각 선단은, 받침대(20)의 원통곡면(25)에 형성된 잠금홈(25b)의 한쪽에 삽입되어 계합한다.Moreover, on a line offset from the center of the
이 때문에, 시트 바닥면(33)의 원형개구(33a)의 중심으로부터 2개의 원형개구(33b)가 정렬하는 선의 오프셋양 및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의 원형개구(40b)의 중심으로부터 2개의 원형개구(40c)가 정렬하는 선의 오프셋양과, 받침대(20)의 원통곡면(25)에 형성된 잠금홈(25b)의 중앙선(H)으로부터의 오프셋양은 동일하게 설정된다.For this reason, the offset amount of the line aligned by the two
특히, 도 11을 참조하면, 시트 본체(30)의 시트 바닥면(33)의 내측면, 즉 내부공간(35)의 바닥면에는, 위쪽을 향하여 돌출되고, 또한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제1 가이드 돌기(33c) 및 제2 가이드 돌기(33d)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가이드 돌기(33c)는 오른쪽에 배치되고, 제2 가이드 돌기(33d)는 왼쪽에 배치된다. 제1 가이드 돌기(33c) 및 제2 가이드 돌기(33d)는, 위쪽을 향하여 약간 끝이 가늘게 되어 있다.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11, a first guide protruding upward and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제1 가이드 돌기(33c)에는, 제1 핀 보유부재(52)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가이드 돌기(33d)에는, 제2 핀 보유부재(53)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핀 보유부재(52)에는, 제1 가이드 돌기(33c)를 수용하는 상보적인 직사각형 개구가 형성되고, 제2 핀 보유부재(53)에는, 제2 가이드 돌기(33d)를 수용하는 상보적인 직사각형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핀 보유부재(52)는, 상술한 리클라이닝 잠금핀(50)을 보유하고, 제2 핀 보유부재(53)는, 상술한 회전 잠금핀(51)을 보유하고 있다. 제1 핀 보유부재(52)는 코일스프링(54a)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부세되고, 제2 핀 보유부재(53)는 코일스프링(54b)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부세되고 있다.In the
시트 본체(30)의 시트 하부(31)의 상면의 전방 부분에는, 조작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기구는, 조작대(55)를 가지고 있다. 조작대(55) 상의 오른쪽에는, 제1 조작부로서 리클라이닝 기구를 조작하는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대(55) 상의 왼쪽에는, 제2 조작부로서 회전기구를 조작하는 회전조작레버(55b)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핀 보유부재(52)는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뻗는 조작로드(56a)를 통하여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 핀 보유부재(53)는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뻗는 조작로드(56b)를 통하여 회전조작레버(55b)에 접속되어 있다.An operating mechanism is provid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를 전방으로 당기면, 조작로드(56a)를 통하여 제1 핀 보유부재(52)가 제1 가이드 돌기(33c)를 따라서 위쪽으로 슬라이딩 운동한다. 그에 따라, 제1 핀 보유부재(52)에 의하여 보유된 리클라이닝 잠금핀(50)도 위쪽으로 이동하여, 리클라이닝 잠금핀(50)의 선단과 잠금구멍(25a)의 계합이 해제된다. 그 결과, 시트 본체(30)의 리클라이닝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When the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는, 제1 핀 보유부재(52)를 아래쪽으로 부세하는 코일스프링(54a)의 부세력에 의하여, 조작로드(56a)를 통하여 후방위치로 부세되어 있다. 따라서, 리클라이닝 동작 후,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를 해방하면, 코일스프링(54a)의 부세력에 의하여,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가 후방위치로 복귀하여, 리클라이닝 잠금핀(50)의 선단도 잠금구멍(25a)에 다시 삽입된다.The
한편, 회전조작레버(55b)를 전방으로 당기면, 조작로드(56b)를 통하여 제2 핀 보유부재(53)가 제2 가이드 돌기(33d)를 따라서 위쪽으로 슬라이딩 운동한다. 그에 따라, 제2 핀 보유부재(53)에 의하여 보유된 회전 잠금핀(51)도 위쪽으로 이동하여, 회전 잠금핀(51)의 각 선단과 잠금홈(25b)의 계합이 해제된다. 그 결과, 시트 본체(30)의 회전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회전조작레버(55b)는 제2 핀 보유부재(53)를 아래쪽으로 부세하는 코일스프링(54b)의 부세력에 의하여, 조작로드(56b)를 통하여 후방위치로 부세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동작 후, 회전조작레버(55b)를 해방하면, 코일스프링(54b)의 부세력에 의하여, 회전조작레버(55b)가 후방위치로 복귀하여, 회전 잠금핀(51)의 각 선단도 잠금홈(25b) 내에 다시 삽입된다.The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서, 차일드 시트(1)의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차일드 시트(1)의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3은 차일드 시트(1)의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서는, 각 구성이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12 and 13, a reclining mechanism and a rotating mechanism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본체(30)는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와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와 커버부재(45)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로드접속부재(42)를 통하여 접속된 하부접속로드(41) 및 상부접속로드(43)가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 및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 사이를 계합하면서 연결되어 있다. 한쌍의 상부접속로드(43)의 각각이 받침대(20)의 대응하는 가이드홈(22b)을 각각 관통함으로써, 더욱이는 로드접속부재(42)가 받침대(20)의 경사면(22a)의 내측면에 맞닿음으로써, 하부접속로드(41) 및 상부접속로드(43)의 전후방향의 슬라이딩 운동이 안내되는 동시에 가로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12에서는, 시트 본체(30)가 3개의 잠금구멍(25a) 중 후방의 잠금구멍(25a)에 대응하는 리클라이닝 위치에 있다. 즉, 시트 본체(30)는 시트 본체(30)로부터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를 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리클라이닝 잠금핀(50)을 잠금구멍(25a)과 계합시킴으로써, 리클라이닝 위치가 고정된다.In Fig. 12, the
더욱이, 영유아의 착좌시의 하중에 견디도록, 시트 본체(30)의 시트 하부(31)의 바깥면이 받침대(20)의 받침대 지지면(24)에 지지된다.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와 받침대(20)의 원통곡면(25)은, 아주 약간 이간하여 배치된다. 시트 하부(31)의 상기 바깥면은, 시트 본체(30)의 리클라이닝 동작 중 및 회전 동작 중에 있어서, 받침대(20)의 받침대 지지면(24)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하며, 또한 지지된다. 또한,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는 시트 본체(30)의 리클라이닝 동작 중 및 회전 동작 중에 있어서, 받침대(20)의 원통곡면(25)과는 아주 약간 이간되어 있다. 바꿔말하면, 시트 본체(30)의 상기 바깥면은, 받침대 지지면(24)과 항상 맞닿고, 또한 지지되도록, 크기나 형상 등이 결정되며,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는 원통곡면(25)과는 아주 약간 이간되도록 크기나 형상 등이 결정된다.More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시트 본체(30)는 받침대(20)의 받침대 지지면(24)에 형성된 볼록한 곡면 형상의 돌기(24a)와 점 형상으로 맞닿음으로써, 마찰저항이 경감되어, 매끄럽게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다.The
이러한 상태로 도시하지 않은 회전 잠금핀(51)과 잠금홈(25b)의 계합을 해제함으로써, 리클라이닝 잠금핀(50)의 중심축선과 대략 일치하는 회전축선(R) 둘레의 시트 본체(30)의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리클라이닝 잠금핀(50) 및 회전 잠금핀(51)은, 탄소강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In this state, by releasing the engagement of the
시트 본체(30)를 받침대(20)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시트 본체(30)에 설치된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는 하부접속로드(41)의 계합 후크(41a)를 고리 형상의 계합홈(40a)에 계합시킨 상태로 시트 본체(30)와 함께 회전한다. 이때, 하부접속로드(4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로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받침대(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지하고 있다. 따라서, 하부접속로드(41)의 계합 후크(41a)는,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의 고리 형상의 계합홈(40a) 안을 계합하면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운동한다.When the
또한, 시트 본체(30)를 받침대(20)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시트 본체(30)에 설치된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는, 상부접속로드(43)의 각 선단을 원통 형상의 가이드벽(44a)에 항상 계합시킨 상태로 시트 본체(30)와 함께 회전한다. 이때, 상부접속로드(43)는 받침대(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지하고 있다. 따라서, 상부접속로드(43)의 각 선단은,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의 원통 형상의 가이드벽(44a)을 따라서 항상 계합하면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운동한다.In addition, when the seat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를 덮고 있는 커버부재(45) 및 상부접속로드(43)의 보호커버(46)는, 상부접속로드(43)와 함께 받침대(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정지하고 있다. 즉, 커버부재(45)는 시트 본체(30)의 회전에 따르는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의 회전시에,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를 덮은 상태를 유지하며, 커버부재(45) 자체는 회전하지 않는다.The
도 13은, 도 12에 나타난 후방의 리클라이닝 위치로부터 전방의 리클라이닝 위치까지, 시트 본체(30)를 받침대(20)에 대하여 리클라이닝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2에 나타난 상태에서, 리클라이닝 잠금핀(50)과 후방의 잠금구멍(25a)의 계합을 해제하여, 시트 본체(30)를 받침대 지지면(24)을 따라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킨다. 이어서, 리클라이닝 잠금핀(50)을 전방의 잠금구멍(25a)과 계합시킴으로써, 리클라이닝 위치가 고정된다.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시트 본체(30)의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 및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하부접속로드(41) 및 상부접속로드(43)는, 시트 본체(30)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추종하여, 받침대(20)의 가이드홈(22b)을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한다. 따라서, 시트 본체(30)는 받침대(20)에 대하여 리클라이닝 동작 및 회전 동작을 하는데, 로드접속부재(42)를 통하여 접속된 하부접속로드(41) 및 상부접속로드(43)는, 시트 본체(30)의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 및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와 항상 계합 상태를 유지하면서, 즉 시트 본체(30)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유지하면서 연결되고 있다.The lower connecting
한편, 당연한 일이지만, 시트 본체(30)가 중앙의 잠금구멍(25a)에 대응하는 리클라이닝 위치가 되도록 하여도 좋다. 시트 본체(30)가 중앙의 잠금구멍(25a)에 대응하는 리클라이닝 위치 및 전방의 잠금구멍(25a)에 대응하는 리클라이닝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리클라이닝 잠금핀(50)의 중심축선인 회전축선(R) 둘레의 시트 본체(30)의 회전운동이 가능해진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of course, the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차일드 시트(1)의 리클라이닝 동작 및 회전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차일드 시트(1)의 리클라이닝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4의 (a) 내지 (d)는, 리클라이닝 동작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5는 차일드 시트(1)의 회전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5의 (a) 내지 (d)는, 회전동작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14 and 15, the reclining operation and rotation operation of the
도 14 및 도 15의 각 도면에 있어서, 3개의 잠금구멍(25a)과, 2개의 잠금홈(25b)과, 리클라이닝 잠금핀(50)과, 회전 잠금핀(51)과,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와, 회전조작레버(55b)가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오목한 곡면인 원통곡면(25)은, 수평면으로써 모식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 14 및 도 15의 각 도면에 있어서, 왼쪽을 차일드 시트(1)의 앞쪽으로 하고, 오른쪽을 차일드 시트(1)의 뒷쪽으로 한다. 또한, 도 14 및 도 15의 각 도면에 있어서, 상부 도면은 위쪽으로부터 시점을 하부 도면의 선 X-X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포함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고, 하부 도면은, 앞쪽으로부터 시점을 상부 도면의 선 Y-Y, 즉 왼쪽 잠금홈(25b)을 따른 선에 있어서의 단면도를 포함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14 and 15, three locking
리클라이닝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4의 (a)는 시트 본체(30)의 전방향 상태이고,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 및 회전조작레버(55b)를 조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리클라이닝 잠금핀(50)은 3개 중 중앙의 잠금구멍(25a)과 계합하고 있고, 회전 잠금핀(51)은 왼쪽의 잠금홈(25b)과 계합하고 있다. 도 14의 (b)는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를 앞쪽으로 당긴 상태이고, 리클라이닝 잠금핀(50)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잠금구멍(25a)과의 계합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Referring to the reclining operation, Fig. 14A shows the
도 14의 (c)는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를 앞쪽으로 당긴 상태로, 시트 본체(30)를 앞쪽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이 동작은 시트 본체(30)를 받침대(20)에 대하여 리클라이닝시키는 리클라이닝 동작이다. 리클라이닝 동작하는 동안에, 회전 잠금핀(51)은 잠금홈(25b)과 계합하고 있다. 도 14의 (d)는 시트 본체(30)를 앞쪽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킨 후에, 즉 리클라이닝시킨 후에, 시트 본체(30)의 받침대(20)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동작이다. 즉,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를 해방함으로써,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가 후방위치로 복귀하여, 리클라이닝 잠금핀(50)이 전방의 잠금구멍(25a)에 삽입되어 계합한다.14C shows a state in which the
회전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5의 (a)는 시트 본체(30)의 전방향 상태이고,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 및 회전조작레버(55b)를 조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리클라이닝 잠금핀(50)은 전후방향으로 정렬한 3개 중 중앙의 잠금구멍(25a)과 계합하고 있고, 회전 잠금핀(51)은 왼쪽의 잠금홈(25b)과 계합하고 있다. 도 15의 (b)는 회전조작레버(55b)를 전방으로 당긴 상태이고, 회전 잠금핀(51)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잠금홈(25b)과의 계합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Referring to the rotation operation, Fig. 15A is a state in which the
도 15의 (c)는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를 전방으로 당긴 상태로, 시트 본체(30)를 리클라이닝 잠금핀(50)의 회전축선(R) 둘레로 180도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이 동작은, 시트 본체(30)를 받침대(20)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시트 본체(30)를 전방향 상태에서 후방향 상태로 변경하는 회전동작이다. 회전동작 동안에, 리클라이닝 잠금핀(50)은 잠금구멍(25a)과 계합하고 있다. 도 15의 (d)는 시트 본체(30)를 회전시킨 후에, 시트 본체(30)를 받침대(20)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동작이다. 즉, 회전조작레버(55b)를 해방함으로써, 회전조작레버(55b)가 후방위치로 복귀하여, 회전 잠금핀(51)이 다른 쪽 잠금홈(25b)에 삽입되어 계합한다.FIG. 15C shows a state in which the
차일드 시트(1)의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에 대하여 정리하면, 차일드 시트(1)는 계합부로서 하부접속로드(41) 및 상부접속로드(43)를 가지는 받침대(20)와, 계합부와 계합하는 피계합부로서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 및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를 가지는 시트 본체(30)를 가지고, 시트 본체(30)의 리클라이닝 위치의 변경 및 시트 본체(30)의 회전 시에, 계합부 및 피계합부 사이의 계합이 유지되고 있다. 즉, 이들 부재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는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는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를 가지는 종래의 차일드 시트에 비하여, 부품수가 적고, 또한 부품이 소형화된 단순한 기구로, 받침대(20)에 대한 시트 본체(30)의 회전위치와 상관없이 시트 본체를 리클라이닝시킬 수 있다.Regarding the reclining mechanism and the rotating mechanism of the
또한, 차일드 시트(1)에 있어서 하부, 즉 시트 하부(31) 및 받침대(20)의 기립부(22)의 하부에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시트 본체(30)의 받침대(20)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결과적으로 안정적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받침대(20)의 기립부(22)의 하부에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받침대(20)의 기립부(22)의 상부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lower part of the
더욱이, 시트 본체(30)의 리클라이닝 동작 시 및 회전동작 시에 있어서,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손가락 등이 끼일 일이 없어 안전성에 뛰어나며, 또한 의장성도 뛰어나다.Moreover, since the reclining mechanism and the rotating mechanism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during the reclining operation and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또한, 차일드 시트(1)는 리클라이닝 잠금핀(50) 및 회전 잠금핀(51)이 각각 별개로 형성되는 동시에 독립적으로 조작되므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일드 시트와 같이, 단일한 잠금핀의 돌출량에 따라서 리클라이닝 동작 및 회전동작을 선택하는 경우에 비하여, 단순한 기구로,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원하는 조작에 따라서 돌출량의 변경을 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일드 시트에 비하여,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의 각 부품의 가공 정밀도나 조립 정밀도가 엄격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부품비용이나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한편, 리클라이닝 동작 및 회전동작 동안에, 받침대(20) 및 시트 본체(30) 사이의 계합이 유지되고 있는 이상, 계합부 및 피계합부는 임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대(20)가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 및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 중 어느 한쪽만을 가지고, 시트 본체(30)가 대응하는 하부접속로드(41) 및 상부접속로드(43)의 한쪽을 가지도록 하여도 좋다.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는 원반 형상이 아니고, 고리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이어도 좋다.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 및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는 시트 본체(30)와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On the other hand, as long as the engagement between the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 및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 사이의 연결부재로서, 하부접속로드(41) 및 로드접속부재(42) 및 상부접속로드(43)는,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더욱이, 하부접속로드(41) 및 로드접속부재(42) 및 상부접속로드(43)는, 시트 본체(30)의 차일드 시트(1)에 있어서의 후방, 즉 받침대(20)의 기립부(22) 측에서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 및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와 계합하고 있었는데, 시트 본체(30)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따른 전후 이동이 가능한 이상, 그 밖의 배치여도 좋다. As a connecting member between the lower
받침대(20)의 원통곡면(25)에는, 3개의 잠금구멍(25a)이 형성되어 있었는데, 2개 또는 4개 이상이어도 좋다. 즉, 잠금구멍(25a)의 수에 대응하는 리클라이닝 위치는, 임의의 수로 설정할 수 있고, 이들은 등간격이 아니어도 좋다. 또한, 받침대(20)의 원통곡면(25)에는 중앙선(H)에 대하여 평행하에 한 쌍의 잠금홈(25b)이 형성되어 있었는데, 중앙선(H)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 예를 들어 직교하는 잠금홈이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시트 본체(30)의 전방향 상태 및 후방향 상태에 더하여, 영유아가 옆쪽을 향하는 가로방향 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가로방향 상태에 있어서도, 가로방향으로 잠금구멍을 복수개 설치함으로써, 리클라이닝 동작이 가능해지도록 하여도 좋다.Although three locking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는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를 당김으로써 시트 본체(30)를 리클라이닝시킬 수 있도록 되고, 회전조작레버(55b)를 당김으로써 시트 본체(3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만일 이들의 리클라이닝 동작 및 회전동작을 동시에 행할 수 있게 되면, 시트 본체(30)가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한 궤적을 그려, 조작자에게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차일드 시트(1)는 리클라이닝 동작 및 회전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도록 구성하고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서,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 및 회전조작레버(55b)의 조작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차일드 시트(1)의 조작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7은 차일드 시트(1)의 조작기구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며, 도 18은 차일드 시트(1)의 조작기구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에 있어서, 상부가 시트 본체(30)의 후방이고, 하부가 시트 본체(30)의 전방이다.With reference to Figs. 16 to 18, the operation mechanisms of the
조작스위치(57)는 두꺼운 판형상의 부재이고, 굴곡진 측면을 가지는 형상, 예를 들어 초승달 형상 또는 부메랑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스위치(57)는 그 중앙부분에 있어서 고정핀(57a)에 의하여, 고정핀(57a)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조작대(55)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스위치(57)의 양단 부분의 굴곡의 바깥측, 즉 뒷쪽의 측면에는, 시트 본체(30)의 전방을 향하여 바깥으로 확산되는 맞닿음면(57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조작스위치(57)는,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 및 회전조작레버(55b)에 의하여 위쪽으로부터 덮여져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없다.The
조작로드(56a)는 로드보유부재(58a)에 의하여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에 연결되고, 조작로드(56b)는 로드보유부재(58b)에 의하여 회전조작레버(55b)에 연결되어 있다. 즉, 조작로드(56a)의 단부가, 위쪽으로 굴절, 즉 도면에 있어서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앞쪽 방향으로 굴절되며, 대응하여 L자형으로 형성된 로드 보유부재(58a)가 위쪽으로부터 끼워맞춤, 즉 도면에 있어서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앞쪽 방향으로부터 끼워맞춤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로드보유부재(58b)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로드보유부재(58a) 및 로드부유부재(58b)는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 및 회전조작레버(55b)와 일체로 각각 형성되어도 좋다.The
다음으로, 조작스위치(57)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난 조작기구의 상태에서,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가 전방, 즉 도면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당겨지면 조작로드(56a)와 함께 로드보유부재(58a)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로드보유부재(58a)의 선단, 즉 앞단 부분은, 우선 조작스위치(57)의 맞닿음면(57b)에 맞닿아, 조작스위치(57)를 고정핀(57a) 둘레로 회전시킨다.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가 더욱 당겨지면, 도 1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가 조작대(55)의 스토퍼부(55c)에 맞닿아 정지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이 상태로 회전한 조작스위치(57)의 맞닿음면(57b)은 로드보유부재(58a)의 측면에 맞닿는 동시에, 다른 쪽의 로드보유부재(58b)의 선단, 즉 앞단 부분은 조작스위치(57)의 다른 쪽의 맞닿음면(57b)에 맞닿는다. 따라서, 회전조작레버(55b)의 이동은, 로드보유부재(58b)의 선단이 조작스위치(57)의 맞닿음면(57b)에 맞닿음으로써 저지된다. 바꿔말하면, 회전한 조작스위치(57)의 맞닿음면(57b)이 로드보유부재(58a)의 측면에 맞닿은 상태로, 다른 쪽의 로드보유부재(58b)의 앞단 부분이 조작스위치(57)의 다른 쪽 맞닿음면(57b)에 맞닿도록, 조작스위치(57)의 초승달 형상 또는 부메랑 형상의 형상이 결정된다.The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를 당긴 상태(도 17)에서는, 회전조작레버(55b)를 당길 수 없으며, 반대로 회전조작레버(55b)를 당긴 상태(도 18)에서는,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를 당길 수 없다. 전방으로 당긴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 또는 회전조작레버(55b)의 한쪽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면,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 또는 회전조작레버(55b)는 전방으로 당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작기구에 따르면, 단순한 기구로,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가 동시에 동작하는 것이 방지되는, 즉 양자택일의 조작을 안전하게 실현할 수 있다.When the
또한, 차일드 시트(1)는 시트 본체(30)의 리클라이닝 및 회전을 위한 조작을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 또는 회전조작레버(55b)를 단순하게 당기는 것에 의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한손으로의 조작도 가능하여, 다른 쪽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기구를 한손으로 조작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 또는 회전조작레버(55b)의 한쪽을 당겨, 조작스위치(57)가 로드보유부재(58a)의 측면에 맞닿을 때까지 로드보유부재(58a)를 슬라이딩 운동시키지 않아도, 로드보유부재(58a)의 선단이 조작스위치(57)를 회전시킨 시점에서, 리클라이닝 조작레버(55a) 또는 회전조작레버(55b)의 다른 쪽의 슬라이딩 운동이 규제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조작스위치(57)는 단순한 직사각형의 부재 등이어도 좋다. 한편, 상술한 조작스위치(57)를 가지는 조작기구는, 차일드 시트의 분야뿐만 아니라, 양자택일의 조작을 안전하게 실현한다고 하는 요구가 존재하는 그 밖의 분야에서도 적용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by pulling one of the
그런데,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20)의 기립부(22)의 상부에는, 직사각형의 개구(2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차일드 시트(1)에서는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를 시트 하부(31) 및 받침대(20)의 기립부(22)의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받침대(20)의 기립부(22)의 상부에 개구(26)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26)를 차일드 시트(1)를 운반할 때의 손잡이로 이용할 수 있다.By the way, especially referring to FIG. 3, as described above, a
또한, 개구(26)에는,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구 또는 장치(90)를 탑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받침대(20)가 시트 본체(30)의 지지기능 이외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시트 본체(30)의 후방향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카메라를 탑재하여 정지화면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여, 착좌하고 있는 영유아의 모습을 휴대전화나 카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을 통하여 보호자 등이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스크린을 탑재하여, 영유아가 영상을 즐길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스피커를 탑재하여, 영유아가 음성을 즐길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선풍기나 공조장치, 조명장치 등을 탑재하여도 좋다. 더욱이, 플라즈마 방전 등에 의하여 공기 중에 이온을 방출하는 이온 발생장치를 탑재하여도 좋다. 이러한 이온 발생장치에 의하면, 공기의 소독, 제진, 살균, 유기물 분해 및 탈취 등 공기청정효과나, 영유아나 보호자의 머리카락이나 피부의 케어를 대상으로 한 헤어 케어 및 페이스 케어의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장치 등을 간단하게 교환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이들 장치 등이 장착기구를 통하여 탑재되어도 좋다.Further, in the
개구(26)에 탑재되는 전기기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받침대(20)의 내부에 전지를 교환 가능하게 배치하여도 좋고, 또는 차량의 시거 소켓을 전원으로 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전지나 시거 소켓 등의 전원으로부터 전기기기까지의 전원 케이블은, 시트 본체(30)의 리클라이닝 동작 및 회전동작에 간섭하지 않도록, 차일드 시트(1)의 하면 및 배면을 통과하도록 배선하거나, 또는 받침대(2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하여 배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use an electric device mounted in the
한편, 당연한 일이지만, 개구(26)는, 직사각형 이외의 형상, 예를 들어 원형이어도 좋다. 또한, 개구(26)는 후방을 향하여 관통하고 있어도 단순한 오목부여도 좋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은 개구(26)는, 받침대에 대한 시트 본체의 리클라이닝 동작 및 회전동작이 가능한 타입의 차일드 시트뿐만 아니라, 시트 본체가 받침대에 고정되어 있는 타입이나 시트 본체가 받침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타입에도 적용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s a matter of course, the
그런데, 차일드 시트는, 충돌시에 차량에 작용하는 충격으로부터 영유아를 보호한다고 하는 그 목적에서, 높은 내충격성능이 요구된다. 내충격성능은, 충돌 직후의 차량의 시트에 대한 차일드 시트의 변위량이나, 충돌 직후의 변위에 따른 반동에 기인한 불규칙한 차일드 시트의 운동의 변위량 등에 의하여 검증된다. 높은 충격성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차일드 시트는, 차량의 시트에 확실히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일드 시트의 고정에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시트에 구비되는 시트벨트 장치의 시트벨트가 이용된다. 차량의 시트에 구비되는 시트벨트 장치는, 시트벨트와, 시트벨트가 끼워져 있는 텅 플레이트를 구비한 텅과, 텅 플레이트를 착탈 가능한 버클을 가지고 있다.By the way, the child seat is required to have high impact resistance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infants and children from impacts acting on a vehicle during a collision. The impact resistance performance is verified by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child seat relative to the seat of the vehicle immediately after the collision,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motion of the irregular child seat due to recoil due to the displacement immediately after the collision, and the like. In order to realize high impact perform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child seat is securely fixed to the seat of the vehicle. For fixing the child seat, a seat belt of a seat belt device, which is usually provided on a seat of a vehicle, is used. A seat belt device provided in a seat of a vehicle has a seat belt, a tongue including a tongue plate in which the seat belt is fitted, and a buckle in which the tongue plate is detachable.
이것에 관하여 도 4를 참조하면, 차일드 시트(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20)의 베이스부(21)의 좌우 뒷부분에 벨트 계합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 벨트계합돌기(27)는 받침대(20)를 차량의 시트에 설치한 상태로, 시트벨트 장치의 텅 또는 버클(91)과 후방측으로부터 계합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바꿔말하면, 차종에 따라서 다른 텅 또는 버클(91)의 위치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벨트계합돌기(27)는 어느 정도의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벨트계합돌기(27)는 시트벨트 장치의 텅 또는 버클(91)과 계합할 수 있는 이상, 홈 형상의 벨트 계합홈으로 하여도 좋다.In this regard, referring to FIG. 4, as described above, the
시트벨트장치의 텅 또는 버클(91)은, 통상적으로 차량의 시트의 시트면 근방에 배치되고, 시트벨트장치의 시트벨트와 비교하여 강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시트벨트장치의 텅 또는 버클(91)을 차일드 시트(1)의 받침대(20), 특히 받침대(20)의 하부에 형성된 벨트계합돌기(27) 또는 벨트계합홈에 계합시킴으로써, 보다 확실히 받침대(20)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높은 내충격성능이 실현된다.The tongue or buckle 91 of the seat belt device is usually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seat surface of the seat of the vehicle, and has high rigidity compared to the seat belt of the seat belt device. Therefore, by engaging the tongue or buckle 91 of the seat belt device with the
한편, 벨트계합돌기(27) 또는 벨트계합홈은, 텅 또는 버클(91)이 어긋나거나 빠지거나 하지 않고 보다 확실하게 계합하도록, 텅 또는 버클(91)이 계합하는, 받침대(20) 및 벨트계합돌기(27) 사이의 오목부 또는 벨트계합홈의 길이방향으로 수직인 단면 형상이 예각을 구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벨트계합돌기(27) 또는 벨트계합홈은, 텅 또는 버클(91)이 아니라, 시트벨트장치의 시트벨트가 계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차일드 시트(1)의 받침대(20)의 하부를 고정함으로써, 종래의 차일드 시트보다 확실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벨트계합돌기(27)는 받침대(20)와 별개로 형성되어도 좋다.On the other hand,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벨트계합돌기(27) 또는 벨트계합홈은, 받침대에 대한 시트 본체의 리클라이닝 동작 및 회전동작이 가능한 타입의 차일드 시트뿐만 아니라, 시트 본체가 받침대에 고정되어 있는 타입이나 시트 본체가 받침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타입에도 적용 가능하다.The
차일드 시트(1)는 받침대(20)에 대한 시트 본체(30)의 변위량을 억제하여, 보다 높은 내충격성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충격에 대한 복수의 지지점을 가지고 있다. 즉, 예를 들어 차량이 정면에서 물체에 충돌한 경우, 차일드 시트(1) 전체는 전방향의 관성력을 받는다. 이때, 받침대(20)는 차량의 시트벨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데에 대하여, 시트 본체(30)는 차량의 시트벨트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시트 본체(30)는 전방향으로 변위하려고 하는데, 지지점에 있어서 시트 본체(30)와 받침대(20)가 맞닿아 지지됨으로써, 시트 본체(30)의 변위량이 억제된다.The
이에 관하여 도 10을 참조하면, 차일드 시트(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접속로드(43)의 각 선단이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와 계합하고 있는 것으로부터, 지지점(A)을 형성한다. 즉, 차량의 충돌에 의하여 차일드 시트(1) 전체가 전방향의 관성력을 받는 경우에, 차량의 시트에 직접 고정되어 있는 받침대(20) 측에 배치된 상부접속로드(43)의 각 선단이 시트 본체(30) 측에 배치된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를 후방을 향하여 지지하고 있다. 그 결과, 차량이 물체에 충돌한 경우에, 받침대(20)에 대한 시트 본체(30)의 전방으로의 변위가 억제된다.In this regard, referring to FIG. 10, the
마찬가지로, 시트 본체(30)에 설치된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의 외주면에 형성된 충돌 지지면(44b)과, 받침대(20)의 앞단부 안쪽의 지지벽면(28a)이 지지점(B)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시트 본체(30)에 설치된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의 고리 형상의 상면(40d)(도 8)과, 받침대(20)의 본체 수용개구(23)를 구성하는 지지벽(23a)의 하단부가 지지점(C)을 형성하고 있다. 지지점(C)은, 도 10에 있어서는, 받침대(20)의 지지벽(23a)의 하단부 중의 특히 후단부분 및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의 상면(40d)의 후단부분이다.Similarly, the
지지점(C)은 시트 본체(30)의 리클라이닝 위치에 따라서는, 받침대(20)의 고리 형상의 지지벽(23a)의 하단부 중의 좌우부분 및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의 상면(40d)의 좌우부분이어도 좋다. 즉,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의 상면(40d)이, 어떤 리클라이닝 위치에 있어서도 받침대(20)의 지지벽(23a)의 하단부와 지지점(C)을 구성하도록,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의 직경이, 받침대(20)의 본체 수용개구(23)의 가로방향의 폭(L)(도 5)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차일드 시트(1)에 있어서, 본체 수용개구(23)에 수용된 시트 본체(30)가 받침대(20)로부터 빠지는 것도 방지된다.Depending on the reclining position of the
차일드 시트(1)가 지지점(A, B, C)을 가짐으로써, 특히 받침대(20)에 대한 시트 본체(30)의 변위가 억제되고, 즉 받침대(20)에 대한 시트 본체(30)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결과, 보다 높은 내충격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지지점(A, B, C)은, 차일드 시트(1)의 시트 하부(31) 및 받침대(20)의 기립부(2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대(20)는 시트 본체(3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20)가 시트 본체(30)를 복수의 지지점(A, B, C)으로 지지함으로써, 충격이 분산되므로, 받침대(20) 및 시트 본체(30)를 형성하는 재료를 금속 등으로부터 보다 경량의 수지 등으로 변경할 수 있어, 비용도 삭감할 수 있다.Since the
한편, 받침대(20)와 시트 본체(30)는, 지지점에 있어서 항상 맞닿아 있을 필요는 없으며 약간 이간하여, 충돌시에만 맞닿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차일드 시트(1)는 1개의 지지점(A)만을 가지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지지점(A, B, C) 중 2개의 지지점을 가지도록 구성하여도 좋으며, 3개의 지지점(A, B, C)을 가지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높은 내충격성능을 실현하기 위한 지지점은, 상술한 3개의 부분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받침대(20)와 맞닿는 시트 본체(30) 부분은, 상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4)를 포함하는 전방부분 및 후방부분, 그리고 이들 전방부분 및 후방부분보다 아래쪽의 하부 피계합 가이드부재(40)를 포함하는 아랫부분에 있어서, 임의로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서, 유아벨트(70)(도 1)의 높이조절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차일드 시트(1) 배면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20은 차일드 시트의 유아벨트의 높이조절기구 일부의 분해조립도이며, 도 21은 차일드 시트의 유아벨트(70)의 높이조절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2는 차일드 시트(1)의 유아벨트의 높이조절기구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다. 한편, 도 19에 있어서, 후술하는 배면패널(68)은 생략하여 그려지고 있다.19 to 22, th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of the infant belt 70 (FIG. 1) will be described. 19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of the
차일드 시트(1)는 차일드 시트(1)에 대하여 영유아를 안전하게 구속하기 위하여, 차량의 시트에 구비되는 시트벨트에 상당하는 광폭의 유아벨트(70)를 가지고 있다. 유아벨트(70)는 시트 본체(30)의 배면 맞닿음부(32) 전면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고, 영유아의 몸체 정면에서 좌우의 유아벨트(70)가 체결된다. 이 때문에, 유아벨트(70)는 시트 본체(30)의 배면 맞닿음부(32)의 후방으로부터 배면 맞닿음부(32)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뻗고, 착좌면, 즉 시트 하부(31)를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뻗으며, 시트 하부(31)의 아랫부분에서 고정된다.The
시트 본체(30)의 착좌면으로부터 유아벨트(70)가 관통하는 배면 맞닿음부(32) 부분의 위치, 즉 유아벨트(70)의 높이는, 영유아의 시트 높이에 따라 조절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는 유아벨트(7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유아벨트(70)의 높이조절기구를 가지고 있다.The position of the
그 때문에, 시트 본체(30)의 배면 맞닿음부(32)에는, 상하방향, 즉 높이방향으로 뻗는 2개의 개구(36)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36)는, 배면 맞닿음부(32) 중앙의 지주부(37)를 사이에 끼우고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유아벨트(70)의 높이로서 필요시되는 범위에 걸쳐 높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36)를 통하여, 배면 맞닿음부(32) 전면에 배치된 상술한 헤드 플레이트(60)를 포함하는 이동부(61)가 배면 맞닿음부(32)에 대하여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Therefore, in the
이동부(61)는 배면 맞닿음부(32) 전면에 배치된 헤드 플레이트(60)와, 배면 맞닿음부(32) 배면에 배치되고, 헤드 플레이트(60)에 대하여 배면 맞닿음부(32)의 2개의 개구(36)를 통하여 설치된 회전지지부재(62)와, 회전지지부재(62)에 대하여 설치된 제1 계합부재(63)와, 제1 계합부재(63)에 대하여 설치된 제2 계합부재(64)를 가지고 있다. 한편, 도 20에 있어서, 회전지지부재(62), 제1 계합부재(63) 및 제2 계합부재(64)는, 배면 맞닿음부(32) 및 헤드 플레이트(60)에 대하여 명확화를 위하여 약간 확대하여 그려지고 있다. 또한, 헤드 플레이트(60)는 슬롯 개구(60a)를 통하여 유아벨트(70)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벨트 보유부재를 구성하는데, 그 밖의 부재에 의하여 보유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The moving
헤드 플레이트(60)에는 유아벨트(70)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하여, 배면 맞닿음부(32)의 2개의 개구(36)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개구(36)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가지는 2개의 슬롯 개구(60a)가 형성되어 있다. 슬롯 개구(60a)의 각각의 위쪽이며 헤드 플레이트(60)의 중앙측에는, 배면 맞닿음부(32)의 개구(36)를 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는 설치부(60b)가 형성되어 있다. 슬롯 개구(60a)의 각각의 아래쪽이며 헤드 플레이트(60)의 중앙측에는, 배면 맞닿음부(32)의 개구(36)를 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는 기둥 형상의 피계합 기둥(60c)이 형성되어 있다. 피계합 기둥(60c)의 각각의 선단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계합구멍(60d)이 형성되어 있다.In order to insert the
왼쪽 슬롯 개구(60a)의 좌측 및 오른쪽 슬롯 개구(60a)의 우측에는, 배면 맞닿음부(32)의 개구(36)를 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되고, 높이방향으로 확산되는 평판 형상의 지지판(60e)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60e)에는, 후술하는 원주 형상의 계합봉(65)을 수용하는 오목부(60f)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슬롯 개구(60a)의 각각의 더욱 아래쪽에는, 헤드 플레이트(600)의 높이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개구(36)의 각각을 향하여 개방하는 2개의 통기 개구(60g)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left side of the
회전지지부재(62)는, 하우징(62a)과, 하우징(62a)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직사각형 평판 형상의 보호벽(62b)과, 하우징(62a)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평판 형상의 제1 노브(62c)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62a)이 배면 맞닿음부(32)의 각각의 개구(36)를 통하여 돌출되는 헤드 플레이트(60)의 설치부(60b)(도 19)에 대하여 설치됨으로써, 헤드 플레이트(60)와 회전지지부재(62)가 일체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헤드 플레이트(60) 및 회전지지부재(62) 사이에는, 배면 맞닿음부(32)의 지주부(37)가 배치된다. 보호벽(62b)은 이동부(61)의 조작시에 조작자의 손이 시트 본체(30)의 지주부(37)에 닿아버리는 것을 방지한다.The
제1 계합부재(63)는 상자 형상의 본체부재(63a)를 가진다. 본체부재(63a)의 배면에는, 직사각형의 개구(63b)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재(63a)의 상부는, 제1 계합부재(63)가 가로방향으로 뻗는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지지부재(62)의 하우징(62a)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재(63a)의 하부에는, 통형상의 계합봉(65)이 좌우 바깥쪽을 향하여 각각 뻗어 있다. 계합봉(65)은, 그 내부에 있어서 좌우에 걸쳐 삽입된 보강을 위한 보강봉(65a)을 가지고 있다. 보강봉(65a)은 탄소강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engaging
배면 맞닿음부(32)의 배면에 있어서, 지주부(37)와 왼쪽 개구(36)의 좌측과 오른쪽 개구(36)의 우측에는, 피계합 곡면부(38)가 형성되어 있다. 피계합 곡면부(38)는 가로방향으로 뻗는 원통면의 일부를 포함하며, 원주형상의 계합봉(65)을 수용하기 쉽도록 입구가 넓게 형성된 오목한 곡면이 가로방향으로 정렬되며 높이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배치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On the rear surface of the
제1 계합부재(63)의 계합봉(65)을 피계합 곡면부(38)의 임의의 가로 일렬의 오목한 곡면에 계합시킴으로써, 헤드 플레이트(60)를 배면 맞닿음부(32)에 대하여 임의의 높이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피계합 곡면부(38)에 계합한 제1 계합부재(63)의 계합봉(65)은, 제1 계합부재(63)와 함께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하는 헤드 플레이트(60)의 지지판(60e)의 오목부(60f) 내에도 수용된다. 또한, 제1 계합부재(63)는, 회전지지부재(62)의 내부에 있어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좌주의 토션스프링(63c)에 의하여, 계합봉(65)이 배면 맞닿음부(32)의 피계합 곡면부(38)와 계합하는 회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By engaging the engaging
제2 계합부재(64)는 제1 계합부재(63)의 본체부재(63a)의 내부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한 판형상의 부재이고, 코일스프링(64a)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부세되어 있다. 제2 계합부재(64)의 하단부에는, 제1 계합부재(63)의 본체부재(63a)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계합핀(66)이 좌우로 형성되어 있다. 계합핀(66)의 각각은, 헤드 플레이트(60)로부터 개구(36)를 통하여 돌출되는 피계합 기둥(60c)의 계합구멍(60d)에 삽입됨으로써, 헤드 플레이트(60)와 계합한다. 또한, 제2 계합부재(64)는 제1 계합부재(63)의 직사각형의 개구(63b)를 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는 평판 형상의 제2 노브(64b)를 가지고 있다.The second engaging
도 21을 참조하면서, 유아벨트(70)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의 유아벨트(70)의 높이조절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시트 본체(30), 즉 이동부(61)의 폭방향 중앙을 통과하는 대략 종단면도이다. 우선, 회전지지부재(62)의 제1 노브(62c)와, 제2 계합부재(64)의 제2 노브(64b)를 동시에 쥐고, 제1 노브(62c) 방향으로, 제2 노브(64b)를 위쪽으로 끌어올린다(도 21의 (a)). 즉, 제1 계합부재(63)에 대하여 제2 계합부재(64)를 위쪽으로 끌어올린다. 이 동작은, 예를 들어 제1 노브(62c)의 상면에 엄지손가락을 올리고, 제2 노브(64b)의 하면에 검지 및 중지를 대고 위쪽으로 끌어올림으로써 행한다. 제1 계합부재(63)에 대하여 제2 계합부재(64)를 위쪽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제2 계합부재(64)의 계합핀(66)과, 헤드 플레이트(60)의 피계합 기둥(60c)의 계합구멍(60d)과의 계합이 해제된다. 그 결과, 제1 계합부재(63)가 회전지지부재(6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도 21의 (b)).An operation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더욱이, 제2 계합부재(64)의 제2 노브(64b)를 위쪽으로 끌어올리는 동작을 계속하면, 제1 계합부재(63)가 회전지지부재(62)에 대하여 회전한다. 그에 따라, 제1 계합부재(63)의 계합봉(65)과, 배면 맞닿음부(32)의 배면의 피계합 곡면부(38)와의 계합이 해제된다. 그 결과, 헤드 플레이트(60)가 배면 맞닿음부(32)에 대하여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도 21의 (c)). 이러한 상태로 유아벨트(70)가 슬롯 개구(60a)에 삽입 관통된 헤드 플레이트(60)를 배면 맞닿음부(32)에 대하여 높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킴으로써, 유아벨트(70)를 원하는 높이까지 슬라이딩 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Moreover, if the operation of pulling the
여기에서, 제1 계합부재(63)에 대하여 제2 계합부재(64)를 위쪽으로 끌어올려 계합핀(66)의 계합이 해제된 상태로, 회전지지부재(62)에 대하여 제1 계합부재(63)를 회전시키면, 제2 계합부재(64)의 제1 계합부재(63)에 대한 슬라이딩 운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관하여, 도 2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의 유아벨트의 높이조절기구를 설명하는 다른 도면이고, 제2 계합부재(64)의 측면을 포함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2에 있어서, 제1 계합부재(63) 및 제2 계합부재(64) 이외의 부재에 대하여는, 생략하여 그려지고 있다.Here,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of the
도 22를 참조하면, 제2 계합부재(64)의 측면에는 계지돌기(64c)(도 20도 참조)가 형성되고, 회전지지부재(62)의 하우징(62a)의 내부에는, 계지 오목부(62d)가 형성되어 있다. 도 22의 (a)의 상태에서 제1 계합부재(63)에 대하여 제2 계합부재(64)를 위쪽으로 끌어올리고(도 22의 (b)), 이어서 회전지지부재(62)에 대하여 제1 계합부재(63)를 회전시킨다. 그에 따라, 제2 계합부재(64)의 계지돌기(64c)가 회전지지부재(62)의 계지 오목부(62d)에 계합한다(도 22의 (c)). 그 결과, 제2 계합부재(64)의 제1 계합부재(63)에 대한 슬라이딩 운동이 규제된다.Referring to FIG. 22, a locking
따라서, 만일 이 상태로 제2 계합부재(64)의 제2 노브(64b)의 끌어올리는 힘을 약하게 하였더라도, 코일스프링(64a)의 부세력에 의하여 계합핀(66)이 다시 돌출되는 일은 없다. 바꿔말하면, 위쪽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킨 제2 계합부재(64)는 제1 계합부재(63)의 계합봉(65)이 배면 맞닿음부(32)의 피계합 곡면부(38)와 계합한 상태가 아닌 이상, 제2 계합부재(64)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지 않도록 안전하게 구성되어 있다.Therefore, even if the lifting force of the
유아벨트(70)를 원하는 높이로 슬라이딩 운동시킨 후에, 그 높이로 유아벨트(70)를 고정하기 위하여는, 상술한 일련의 동작을 반대로 행하면 된다. 즉, 회전지지부재(62)에 대하여 제1 계합부재(63)를 회전시키고, 제1 계합부재(63)의 계합봉(65)을 배면 맞닿음부(32)의 피계합 곡면부(38)에 계합시킨다. 그에 따라, 제2 계합부재(64)의 계지돌기(64c) 및 회전지지부재(62)의 계지 오목부(62d) 사이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어서, 제1 계합부재(63)에 대하여 제2 계합부재(64)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키고, 제2 계합부재(64)의 계합핀(66)을 헤드 플레이트(60)의 피계합 기둥(60c)의 계합구멍(60d)에 계합시킨다. 이들의 동작은, 토션스프링(63c) 및 코일스프링(64a)의 부세력에 조력되므로, 편하게 행할 수 있다.After sliding the
상술한 유아벨트(70)의 높이조절기구는, 헤드 플레이트(60)에 대한 제2 계합부재(64)의 계합과, 배면 맞닿음부(32)에 대한 제1 계합부재(63)의 계합과의 2가지 계합을 가지기 때문에, 만일 차일드 시트(1) 전체에 충격이 가해졌더라도, 양쪽의 계합이 풀려버리는 일은 없다. 즉, 헤드 플레이트(60)에 대한 제2 계합부재(64)의 계합 해제는 윗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배면 맞닿음부(32)에 대한 제1 계합부재(63)의 계합해제는, 회전방향, 즉 배면 맞닿음부(32)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들의 계합을 해제하기 위하여 필요한 힘의 방향은, 대략 직교하고 있다.Th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of the
그럼에도 불구하고, 헤드 플레이트(60)에 대한 제2 계합부재(64)의 계합 해제, 및 배면 맞닿음부(32)에 대한 제1 계합부재(63)의 계합 해제는, 제2 계합부재(64)의 제2 노브(64b)를 끌어올린다고 하는 일련의 연속적인 동작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제2 계합부재(64)의 제2 노브(64b)에 대하여 항상 동일한 윗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2단계의 계합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유아벨트(70)의 높이조절기구는, 의도하지 않은 계합의 해제는 되기 어려우며, 의도한 계합의 해제는 쉽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Nevertheless, the release of the engagement of the
또한, 배면 맞닿음부(32)의 중앙에 지주부(37)를 남기면서, 피계합 곡면부(3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면 맞닿음부(32)의 강도가 유지된다. 또한, 배면 맞닿음부(32)의 피계합 곡면부(38)의 오목한 곡면은, 높이방향으로 3열로 정렬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계합부재(63)의 계합봉(65)이 가로 일렬이 아니라, 서로 다른 높이의 피계합 곡면부(38)의 오목한 곡면에 계합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since the engaged
한편, 유아벨트(70)의 높이조절기구, 즉 이동기구는, 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조작 가능한 이상, 임의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이동기구는, 슬라이딩 운동 방향과 제2 계합부재에 가하는 힘의 방향이 평행하며, 우선 제2 계합부재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하여 계합이 해제되고, 이어서 제1 계합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계합이 해제되며, 슬라이딩 운동 가능 상태가 되는 이상, 임의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높이조절기구는, 차일드 시트의 분야뿐만 아니라, 이동기구의 조작을 안전하게 실현한다고 하는 요구가 존재하는 그 밖의 분야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of the
그런데, 유아벨트(70)는 상술한 높이조절기구에 의하여, 영유아의 시트 높이에 따라서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한 후, 영유아의 체형에 따라서 유아벨트(70)의 조임 정도, 즉 배면 맞닿음부(32)의 전방으로 뻗는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By the way, the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서, 조절벨트(75)를 이용한 유아벨트(70)의 높이의 조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차일드 시트(1)의 최상위치의 조절벨트(7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4는 차일드 시트(1)의 최하위치의 조절벨트(7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 및 도 24는 차일드 시트(1)의 시트 본체(30)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Th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좌우의 유아벨트(70)는 시트 본체(30)의 배면 맞닿음부(32)의 뒷쪽에서 연결하고 있고, 따라서 1개의 벨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아벨트(70)는 시트 본체(30)의 배면 맞닿음부(32)의 뒷쪽에서, 1개의 광폭의 조절벨트(75)의 일단에 연결하고 있다. 즉, 조절벨트(75)의 일단은, 꺾여서 꺾인 앞쪽 부분과 서로 겹쳐 봉합되어 있다. 그 결과, 조절벨트(75)의 일단에는, 루프부(75a)가 형성되어 있다. 루프부(75a) 내에 유아벨트(70)가 삽입된다. 따라서, 조절밸브(75)의 루프부(75a)는 유아벨트(70)와의 연결부를 구성한다. 조절벨트(75)는 차량의 시트벨트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는 소재,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조직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left and
조절벨트(75)는 시트 본체(30)의 배면 맞닿음부(32)를 따라서 아래쪽으로 뻗고, 시트 본체(30)의 하단부 근방, 즉 시트 하부(31)의 원통부(31b)의 뒷쪽면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31c)(도 7을 참조)로부터 내부공간(35) 내에 들어간다. 이어서,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시트 본체(30)의 내부공간(35) 내에 들어간 조절벨트(75)는, 내부공간(35)의 바닥면에 형성된 윗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벨트지지돌기(33e)에 의하여 예각으로 굴곡져 위쪽을 향하여 시트 플레이트(34)의 하면 근방까지 뻗는다.The
이어서, 조절벨트(75)는 내부공간(35) 내를 전방을 향하여 시트 바닥면(33)에 대하여 평행하게 뻗은 후, 시트 하부(31)의 원통부(31b)의 앞쪽면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31d)(도 7도 참조)로부터 내부공간(35) 밖으로 나온다. 이어서, 조절벨트(75)는 시트 하부(31)의 원뿔대부(31a)의 앞쪽면에 형성된 개구(31e)로부터 시트 하부(31)의 위쪽을 향하여 뻗는다. 이어서, 조절벨트(75)는 시트 하부(31)의 상면의 전방부분에 설치된 조작기구의 조작대(55)의 후방에 배치된 벨트 어저스터(76)를 통하여 시트 본체(30) 전방으로 뻗는다(도 1).Subsequently, the
벨트 어저스터(76)는 공지의 기구로 조절벨트(75)의 잠금과 해제를 할 수 있다. 벨트 어저스터(76)에 의하여 조절벨트(75)가 잠기면, 벨트 어저스터(76)에 대하여 조절벨트(75)를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다. 한편, 벨트 어저스터(76)의 잠금이 해제되면, 벨트 어저스터(76)에 대하여 조절벨트(75)를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The
다음으로, 유아벨트(70)의 길이 조절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아벨트(70)의 길이 조절은, 벨트 어저스터(76)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배면 맞닿음부(32)의 전방으로 뻗는 유아벨트(70)의 길이를 길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배면 맞닿음부(32)의 전방으로 뻗는 유아벨트(70)를 전방 또는 위쪽으로 당김으로써 길게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시트 본체(30)의 배면 맞닿음부(32)의 뒷쪽에 여분의 부분이 없어질 때까지, 유아벨트(70)를 당길 수 있다. 이때, 배면 맞닿음부(32)의 전방으로 뻗는 유아벨트(70)의 길이는 최대이고, 유아벨트(70)에 연결된 조절벨트(75)의 루프부(75a)는 최상위치에 있다(도 23).Next,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조절벨트(75)의 최상위치란, 루프부(75a)가 유아벨트(70)가 삽입 관통되는 헤드 플레이트(60)의 슬롯 개구(60a)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이다. 따라서, 조절벨트(75)의 최상위치는, 유아벨트(70)의 높이조절기구에 의하여 조절된 높이에 따라서 변한다.The uppermost value of the
한편, 배면 맞닿음부(32)의 전방으로 뻗는 유아벨트(70)의 길이를 짧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트 본체(30)의 전방으로 뻗는 조절벨트(75)의 부분(도 1)을 전방으로 당김으로써 짧게 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유아벨트(70)에 연결된 조절벨트(75)의 루프부(75a)가 시트 하부(31)의 개구(31c) 근방에 배치될 때까지, 조절벨트(75)를 당길 수 있다. 이때, 배면 맞닿음부(32)의 전방으로 뻗는 유아벨트(70)의 길이는 최단이고, 유아벨트(70)에 연결된 조절벨트(75)의 루프부(75a)는 최하위치에 있다(도 24).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조절벨트(75)의 최하위치란, 루프부(75a)가 시트 하부(31)의 개구(31c) 근방인 위치이다. 따라서, 조절벨트(75)의 최하위치는, 시트 하부(31)의 개구(31c)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The lowest position of the
이상으로부터, 유아벨트(70)의 길이 조절은, 배면 맞닿음부(32)의 전방으로 뻗는 유아벨트(70) 또는 시트 본체(30)의 전방으로 뻗는 조절벨트(75)의 부분을 당김으로써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영유아의 체형에 따른 유아벨트(7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From the above,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차일드 시트(1)에서는, 조절벨트(75)가 시트 본체(30)의 뒷쪽 하단부 근방, 즉 시트 하부(31)의 원통부(31b) 뒷쪽면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31c)까지 뻗고나서 내부공간(35) 내로 들어간다. 이어서, 조절벨트(75)는 벨트지지돌기(33e)에 의하여 예각으로 굴곡져 위쪽을 향하여 뻗어 있다. 따라서, 조절벨트(75)는 벨트 어저스터(76)를 향하여 최단거리를 경유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으며, 우회한 경로를 돌고 있다. 이 때문에, 차일드 시트(1)에서는 조절벨트(75)의 최하위치를 종래의 차일드 시트보다 아래쪽의 시트 본체(30)의 하단부 근방으로 배치함으로써, 조절벨트(75)의 최상위치 및 최하위치 사이의 거리를 보다 길게 확보하고 있다. 그 결과, 유아벨트(70)의 길이 조절의 범위를 보다 넓게 할 수 있게 된다.In the
한편, 조절벨트(75)의 조절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시트 본체(30)와 접하는 부분, 예를 들어 개구(31c)의 상부에 도르래를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조절벨트(75)는 시트 본체(30)의 내부를 경유하지 않고, 그 외부, 즉 시트 본체(30)의 하면을 경유하도록 하여도 좋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mooth the adjustment of the
그런데, 시트 본체(30)의 배면 맞닿음부(32)의 배면에는, 배면패널(하네스 패널)(68)이 설치되어 있다. 도 25는 차일드 시트(1)의 배면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26은 차일드 시트(1)의 배면패널(68)의 사시도이다. 배면패널(68)은 시트 본체(30)의 배면 맞닿음부(32)의 뒷쪽에 배치된 여분의 유아벨트(70) 및 조절벨트(75)가 방해가 되지 않도록 커버하여, 배면 맞닿음부(32)의 배면에 수용하는 역할을 다한다. 또한, 배면패널(68)은 이동부(61)의 일부, 및 시트 본체(30)의 배면 맞닿음부(32)의 개구(36)의 양쪽에 형성된 피계합 곡면부(38)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커버하는 역할을 다한다.By the way, a rear panel (harness panel) 68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배면패널(68)은 도 9의 종단면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시트 본체(30)의 폭방향 중앙부분에 있어서 높이방향에 걸쳐 뻗도록 배치되고, 시트 본체(30)에 끼워맞추어 설치되어 있다. 배면패널(68)은 패널 상부(68a)와, 패널 하부(68b)를 가지고 있다. 배면패널(68)은 가요성을 가지도록,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재료로부터 사출성형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배면패널(68)의 패널 상부(68a)와 패널 하부(68b)와의 경계 부분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얇게 형성되어, 파손시키지 않고 반복 굴곡 가능한 힌지(68c)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배면패널(68)은 힌지(68c)를 생략하고, 그 가요성에 의하여 굴곡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유아벨트(70) 및 조절벨트(75)는, 시트 본체(30)와 배면패널(68) 사이의 수용공간(68d)(도 9) 내에 수용된다.As shown i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9, the
배면패널(68)의 상단부는, 시트 본체(30)의 배면 맞닿음부(32)에 계합하고 있는데, 이러한 계합을 해제함으로써, 힌지(68c)를 중심으로 패널 상부(68a)를 후방을 향하여 굴곡시키고, 시트 본체(30)와 배면패널(68) 사이의 수용공간(68d)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배면패널(68)을 부분적으로 배면 맞닿음부(32)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본체(30)의 배면측에 배치된 유아벨트(70)의 여분 부분을 조절할 때 등에, 배면패널(68)의 패널 상부(68a)를 굴곡시켜, 작업을 하기 쉽도록 개방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또한, 배면패널(68)의 패널 상부(68a)에는, 폭방향 중앙부분에 있어서 높이방향에 걸쳐 개구(68e)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68e)의 폭은, 시트 본체(30)의 배면 맞닿음부(32)의 지주부(37)의 폭보다 크다. 따라서, 배면 맞닿음부(32)의 2개의 개구(36)가 배면패널(68)의 개구(68e)를 통하여,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그 결과, 착좌하고 있는 영유아가 불쾌해지지 않도록, 시트 본체(30)의 배면 맞닿음부(32)의 전후방향에 있어서, 배면 맞닿음부(32)의 2개의 개구(36) 및 헤드 플레이트(60)의 통기개구(60g)(도 20)를 통하여,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배면패널(68)에 개구(68e)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배면패널(68)을 설치한 상태로, 이동부(61)를 조작할 수 있다. 즉, 배면패널(68)의 개구(68e)를 통하여, 회전지지부재(62)의 제1 노브(62c) 및 제2 계합부재(64)의 제2 노브(64b)에 액세스할 수 있다.Further, in the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서, 유아벨트(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유아벨트(70) 일부의 상면도이고, 도 28은 도 1의 유아벨트(70)의 신장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29는 도 1의 유아벨트(70)의 굴곡상태의 측면도이다.With reference to Figs. 27 to 29, the
차일드 시트(1)에 사용되는 유아벨트(70)는 가용성이고 벨트 형상의 복수의 스트랩(71), 예를 들어 2개의 스트랩(71a, 71b)을 겹쳐 형성되어 있다. 스트랩(71a, 71b)의 각각은, 차량의 시트벨트에 있어서 통상 사용되는 소재,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조직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스트랩(71a, 71b)은 길이방향으로 뻗는 복수개의 선, 예를 들어 2개의 선(71c)을 따라서 봉합된다.The
유아벨트(70)를 굴곡시키면, 굴곡시킨 힘을 해방한 후에도, 중력에 반하여 굴곡 상태를 유지한다. 즉, 겹쳐진 스트랩(71)을 굴곡시키면, 굴곡의 안쪽 스트랩(71a)의 곡률반경은, 굴곡의 바깥쪽 스트랩(71b)의 곡률반경보다 작다. 이러한 곡률반경의 차이에 의하여, 대향하는 안쪽 스트랩(71a)의 바깥쪽 면과 바깥쪽 스트랩(71b)의 안쪽면과의 사이에서 굴곡의 둘레방향, 예를 들어 스트랩(71)의 길이방향으로 신장하여, 어긋남이 발생한다. 이어서, 굴곡시키는 힘을 해방하면, 유아벨트(70)는 신장한 바깥쪽 스트랩(71b)이 원래대로 돌아가려고 하는데, 안쪽 스트랩(71a)의 바깥면과 바깥쪽 스트랩의 안쪽면이 마찰저항에 의하여 계지된다. 그 결과, 변형시킨 유아벨트(70)는 변형시키는 힘을 해방한 후에도 중력에 반하여 형상을 유지한다.When the
따라서, 보호자가 유아벨트(70)를 풀고 영유아를 차일드 시트로부터 내린 후에도, 유아벨트(70)가 중력에 반하여 형상을 유지하므로, 그 후에 다시 영유아를 착좌시킬 때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 더욱이, 스트랩(71a, 71b)이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의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으로부터, 영유아나 보호자가 유아벨트(70)에 접촉 또는 충돌하였더라도 안전하다.Therefore, even after the guardian loosens the
한편, 유아벨트(70)를 변형시켰을 때, 2개의 스트랩(71a, 71b) 사이에서의 어긋남이 보다 크게 생기도록, 스트랩(71a, 71b)을 느슨하게 봉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유아벨트(70)는 마찰저항에 따르지 않고, 변형된 형상으로 유지 가능한 철사나 금속판 등을 내부에 삽입 관통함으로써,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유아벨트(70) 전체를 상술한 바와 같이 형상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이것을 부분적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더욱이, 영유아와 맞닿는 유아벨트(70)의 부분에, 쿠션성이 있는 유아벨트커버(77)(도 1)를 감싸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유아벨트커버(77)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형상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더욱이, 상술한 유아벨트(70)는 차일드 시트의 분야뿐만 아니라, 중력에 반하여 형상을 유지하는 벨트의 요구가 존재하는 그 밖의 분야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7 및 도 30을 참조하면서, 유아벨트(70)의 시트 본체(30)로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차일드 시트(1)의 유아벨트(70)의 정면도이다. 특히, 도 30에 나타나는 유아벨트(70)는 그 일단에 있어서, 좌우의 유아벨트(70)가 체결기구에 의하여 체결되는 체결부(78)(도 1)가 설치되며, 또한 영유아의 허벅지 사이에 배치되는, 허벅지 벨트의 유아벨트(70)이다. 시트 본체(30)로의 설치방법에 있어서는, 좌우의 유아벨트(70)도 허벅지 벨트의 유아벨트(70)도 동일하다. 시트 본체(30)의 배면 맞닿음부(32)로부터 뻗은 유아벨트(70) 및 허벅지 벨트의 유아벨트(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트 하부(31)를 아래쪽을 향하여 관통하여 시트 본체(30)의 아랫쪽 부분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시트 하부(31)에는, 도 7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유아벨트(70)를 관통시켜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분으로서, 직사각형의 관통구멍으로서 설치개구(31f)가 좌우 및 앞부분에 형성되어 있다.A method of installing the
또한, 시트 본체(30)의 시트 하부(31)를 관통하는 유아벨트(70)를 구성하는 스트랩(71)의 선단은, 꺾여서 꺾인 앞쪽 부분과 겹쳐 봉합되어 있다. 그 결과, 유아벨트(70)의 선단에는, 루프형상으로 형성된 루프부(72)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시트 본체(30)의 시트 하부(31)를 관통한 유아벨트(70)의 루프부(72)에는, 이어서 원주형상의 고정봉(73)이 삽입된다. 고정봉(73)은, 탄소강 등의 금속으로부터, 예를 들어 둥근봉의 소재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봉(73)은 유아벨트(70)가 관통하는 시트 하부(31)의 설치개구(31f)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즉, 원주형상의 고정봉(73)의 길이는, 직사각형의 설치개구(31f)의 가로 치수보다 크고, 고정봉(73)의 직경은, 설치개구(31f)의 세로 치수보다 크다. 따라서, 유아벨트(70)의 루프부(72)에 고정봉(73)이 삽입된 상태로, 유아벨트(70)가 시트 본체(30)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유아벨트(70)의 루브푸(72)에 삽입된 고정봉(73)은 시트 본체(30)의 설치개구(31f) 근방에 형성된 계합고리(31g)에 의하여 스냅식으로 끼워맞추어져 고정된다.In the
유아벨트(70)가 고정봉(73)의 스냅식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확실하게 고정되므로, 시트 본체(30)의 아래쪽으로 쳐져서 방해가 되는 일은 없다. 한편, 고정봉(73)은 봉형상이라면 원주형상, 즉 원형의 가로 단면이 아니어도 좋다. 고정봉(73)은, 예를 들어 사각형 및 육각형 등의 다각형의 가로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하여도 좋다.Since the
유아벨트(70)를 고정하는 고정봉(73)을 봉 형상의 소재로부터 절단함으로써, 원재료비 및 가공비를 매우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봉(73)은 구조가 단순하므로, 강도에도 뛰어나다. 더욱이, 고정봉(73)을 이용한 시트 본체(30)에 대한 유아벨트(70)의 고정은, 단순하게 스냅식으로 끼워맞추는 것뿐이므로, 설치 작업도 간이하다.By cutting the fixed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서, 덮개 기구(8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1은 차일드 시트(1) 상부의 사시도이고, 도 32는 차일드 시트(1)의 덮개 기구(80)의 회전계지기구(81)의 분해조립도이다.The
덮개 기구(80)는 헤드 플레이트(60)에 설치되어 있고, 덮개 기구(80)의 전체가 헤드 플레이트(60)의 상하방향의 슬라이딩 운동에 따라 슬라이딩 운동한다. 덮개 기구(80)는 회전계지기구(81)와, 영유아의 두상을 덮는 덮개(미도시)와, 덮개를 지지하는 골조가 되는 1개의 고정 덮개 스테이(82)와 2개의 제1 가동 덮개 스테이(83) 및 제2 가동 덮개 스테이(84)를 가지고 있다. 회전계기기구(81)는 헤드 플레이트(60)의 굴곡진 좌우 부분에 설치되는 한쌍의 스테이 지지부재(85)와, 한쌍의 제1 회전계지부재(86)와, 한쌍의 제2 회전계지부재(87)를 가지고 있다.The
고정 덮개 스테이(82)의 양단부는, 좌우의 스테이 지지부재(85)에 대하여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다. 제1 가동 덮개 스테이(83)의 양단부는, 좌우의 스테이 지지부재(85)에 대하여, 제1 회전계지부재(86)를 통하여 단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즉 단계적인 회전위치에 계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2 가동 덮개 스테이(84)의 양단부는, 좌우의 스테이 지지부재(85)에 대하여, 제2 회전계지부재(87)를 통하여 단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Both ends of the fixed
따라서, 제1 가동 덮개 스테이(83) 및 제2 가동 덮개 스테이(84)는, 전체적으로 가로방향으로 뻗는 회전축선 둘레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단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덮개를 전방으로 전개하거나, 후방으로 접거나 할 수 있다. 한편, 제1 가동 덮개 스테이(83) 쪽이 제2 가동 덮개 스테이(84)보다 가능한 회전각이 크고, 따라서 제2 가동 덮개 스테이(84)보다 전방으로 전개 가능하게 되어 있다.Accordingly, the first
제1 회전계지부재(86)는 원형으로 형성된 제1 회전단부(86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2 회전계지부재(87)는 제1 회전단부(86a)와 동일한 직경의 원형으로 형성된 제2 회전단부(87a)를 가지고 있다. 스테이 지지부재(85)는 제1 회전계지부재(86)의 제1 회전단부(86a) 및 제2 회전계지부재(87)의 제2 회전단부(87a)와 동일한 직경의 원형으로 형성된 회전지지부(85a)를 가지고 있다. 회전지지부(85a)의 중앙에는, U자형의 홈에 의하여 구성된 탄성기둥(85b)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스테이 지지부재(85)의 탄성 기둥(85b)의 외측면에는 제1 회전계지부재(86)의 제1 회전단부(86a)가 배치되고, 스테이 지지부재(85)의 탄성 기둥(85b)의 내측면에는 제2 회전계지부재(87)의 제2 회전단부(87a)가 배치된다. 탄성 기둥(85b)과 제1 회전단부(86a)와 제2 회전단부(87a)는, 각각의 중심에 회전핀(88)이 삽입 관통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The first
제1 회전계지부재(86)의 제1 회전단부(86a)의 회전중심과 동심의 원주 상에, 오목한 곡면 형상의 2개의 계지 오목부(86b)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회전계지부재(87)의 제2 회전단부(87a)의 회전중심과 동심의 원주 상에, 오목한 곡면 형상의 2개의 계지 오목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향하는 스테이 지지부재(85)의 회전지지부(85a)의 외측면에는, 제1 회전계지부재(86)의 회전중심과 동심의 원주 상이고, 또한 제1 회전계지부재(86)의 회전 범위에 걸치는 계지 오목부(86b)와 대응하는 위치에, 계지 오목부(86b)와 계지하는 볼록한 곡면 형상의 복수의 계지 볼록부(85c)(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대향하는 스테이 지지부재(85)의 회전지지부(85a)의 내측면에는, 제2 회전계지부재(87)의 회전중심과 동심의 원주 상이고, 또한 제2 회전계지부재(87)의 회전 범위에 걸치는 계지 오목부(87b)와 대응하는 위치에, 계지 오목부(87b)와 계지하는 볼록한 곡면 형상의 복수의 계지 볼록부(85c)가 형성되어 있다.Two locking
덮개를 전개 또는 접기 위하여, 제1 가동 덮개 스테이(83)를 스테이 지지부재(85)에 대하여 약간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서 제1 회전계지부재(86)의 계지 오목부(86b)와 스테이 지지부재(85)의 계지 볼록부(85c)와의 계지가 일단 해제된다. 즉, 스테이 지지부재(85)의 계지 볼록부(85c)가 제1 회전계지부재(86)의 인접하는 계지 오목부(86b) 사이에 배치되며, 스테이 지지부재(85)의 회전지지부(85a) 및 제1 회전계지부재(86)의 제1 회전단부(86a) 사이가 약간 이간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 회전계지부재(86)의 제1 회전단부(86a)에 연결된 스테이 지지부재(85)의 탄성 기둥(85b)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스테이 지지부재(85)의 회전지지부(85a)와 제1 회전계지부재(86)의 제1 회전단부(86a)가 접근하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In order to unfold or fold the cover, when the first movable cover stay 83 is slight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이어서, 제1 가동 덮개 스테이(83)를 스테이 지지부재(85)에 대하여 더욱 회전시키면, 제1 회전계지부재(86)의 계지 오목부(86b)는 회전방향으로 인접하는 스테이 지지부재(85)의 계지 볼록부(85c)에 계지하여 안정된다. 이러한 안정적인 계지에는, 스테이 지지부재(85)의 탄성 기둥(85b)의 부세력도 기여하고 있다. 한편, 제1 회전계지부재(86)의 계지 오목부(86b)와 스테이 지지부재(85)의 계지 볼록부(85c)와의 계지가 해제된 상태는 불안정한 상태이다. 따라서, 제1 가동 덮개 스테이(83)의 회전동작 시에 있어서, 제1 회전계지부재(86)는 계지 오목부(86b)가 회전방향으로 인접하는 스테이 지지부재(85)의 계지 볼록부(85c)에 계지하여 안정되도록, 단계적인 회전, 즉 단계적인 회전위치에서의 계지가 가능해진다.Subsequently, when the first movable cover stay 83 is further rotated with respect to the
한편, 제2 가동 덮개 스테이(84)의 스테이 지지부재(85)에 대한 회전은, 상술한 제1 가동 덮개 스테이(83)의 스테이 지지부재(85)에 대한 회전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제2 가동 덮개 스테이(84)의 회전동작 시에 있어서, 제2 회전계지부재(87)는 계지 오목부가 회전방향으로 인접하는 스테이 지지부재(85)의 계지 볼록부(85c)에 계지하여 안정되도록, 단계적인 회전이 가능해진다.On the other hand, rotation of the second movable cover stay 84 with respect to the
상술한 덮개 기구(80)는 헤드 플레이트(6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부터, 착좌하는 영유아의 시트 높이에 따라서, 간단한 조작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계지부재(86)의 계지 오목부(86b) 및 제2 회전계지부재(87)의 계지 오목부는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들과 계지하는 스테이 지지부재(85)의 계지 볼록부(85c)는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매우 매끄럽게 계지 및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수가 적은 단순한 기구로 구성함에도 불구하고, 윤활유를 필요로 하지 않고 매끄럽게 회전 및 계지가 가능한 회전계지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Since the above-described
한편, 2개의 제1 가동 덮개 스테이(83) 및 제2 가동 덮개 스테이(84) 중 어느 한쪽을 생략한 구성이어도 좋다. 그에 따라, 차일드 시트를 제품화한 경우에, 제품 모델마다의 차이를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회전계지부재(86)의 계지 오목부(86b) 및 제2 회전계지부재(87) 쪽에 계지 볼록부를 형성하고, 스테이 지지부재(85) 쪽에 계지 오목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계지 볼록부 및 계지 오목부의 수는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더욱이, 계지 볼록부 및 계지 오목부는, 그 계지 및 해제를 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의 형상이어도 좋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of the two first movable lid stays 83 and the second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서, 서포트 레그(100)의 위치결정기구(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3은 차일드 시트(1)의 서포트 레그(100)의 위치결정기구(110)의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33의 위치결정기구(110)의 중앙보다 왼쪽의 종단면도이며, 도 35는 도 33의 위치결정기구(110)의 중앙을 통과하는 종단면도이다. 한편, 도 33은 위치결정기구(110)의 내부구조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일부의 부재는 그 윤곽만 그려져 있다.The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서포트 레그(100)는 차일드 시트 본체(10)가 설치되는 차량의 시트를 지지하는 차량의 바닥면까지 뻗고, 차일드 시트 본체(10), 즉 받침대(20)의 전방 부분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서포트 레그(100)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다리부(101)와, 다리부(101)에 설치되며, 다리부(101)의 길이를 결정하는 위치결정기구(110)를 가지고 있다.2 and 3, the
다리부(101)는 받침대(20)에 설치되는 제1 통형상 부재(102)와, 제1 통형상 부재(102)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제2 통형상 부재(103)를 가지고 있다. 제2 통형상 부재(103)의 상부는, 제1 통형상 부재(102)의 하부 내에 삽입되고, 삽입량을 조절함으로써, 다리부(10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통형상 부재(102)에는, 후술하는 고정부재(117)가 삽입되는 1개의 관통구멍(10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통형상 부재(103)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고정부재(117)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복수의 관통구멍(103a)이 형성되어 있다(도 2).The
위치결정기구(110)는 제1 통형상 부재(102)의 하부에 설치되고, 제1 하우징 반(半)체(111) 및 제2 하우징 반체(112)를 구비한 하우징(113)과, 슬라이더(114)와, 다리부 조작레버(115)를 가지고 있다. 제1 하우징 반체(111)는 제1 통형상 부재(102)의 전방으로부터 설치되고, 제2 하우징 반체(112)는 제1 통형상 부재(102)의 후방으로부터 설치된다. 즉, 제1 하우징 반체(111) 및 제2 하우징 반체(112)는, 제1 통형상 부재(102)를 전후에서 사이에 끼우도록 끼워 맞추어지며, 제1 통형상 부재(102)에 대하여 설치된다.The
제1 하우징 반체(111)측의 하우징(113) 내에는, 다리부(101)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 즉 하우징(113) 내를 관통하는 다리부(101)에 대하여 이간하는 방향과 근접하는 방향 사이에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슬라이더(114)가 배치된다. 즉, 제1 하우징 반체(111)측의 하우징(113) 내에는, 슬라이더(114)의 슬라이딩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벽(111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 반체(111)의 전면의 내벽(111b)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중공의 보스부(111c)가 형성되며, 보스부(111c) 주위에는 코일스프링(116)이 배치된다.In the
슬라이더(114)의 상부에는, 제1 하우징 반체(111)의 보스부(111c) 및 코일스프링(116)을 수용하는 오목부(11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114)의 오목부(114a) 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기둥 형상의 가이드 돌기(114b)가 형성되어 있다(도 35). 즉, 슬라이더(114)는 그 상부의 오목부(114a) 내에, 제1 하우징 반체(111)의 보스부(111c) 및 코일스프링(116)을 수용하는 동시에, 슬라이더(114)의 가이드 돌기(114b)는 중공의 보스부(111c) 내에 삽입된다. 또한, 슬라이더(114) 상부의 좌우에는 돌기(114c)가 형성되어 있다(도 34). 더욱이, 슬라이더(114)의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별개의 고정부재(117)가 설치되어 있다(도 35). 고정부재(117)는 슬라이더(11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On the upper part of the
다리부 조작레버(115)의 일단에는,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는 조작부로서 조작탭(115a)이 형성되고, 다리부 조작레버(115)의 타단에는, 하우징(113)의 내부에 배치되며, 슬라이더(114)의 좌우 돌기(114c)와 연결되는 한쌍의 연결부(115b)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15b)의 각각에는, 긴구멍(115c)이 형성되어 있고, 대응하는 슬라이더(114)의 돌기(114c)가 그 안에 배치된다. 다리부 조작레버(115)의 중간부 좌우에는 각각 원통 형상의 회전지지돌기(115d)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부 조작레버(115)는 좌우의 회전지지돌기(115d)에 의하여 하우징(113) 내에 설치됨으로써,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At one end of the
위치결정기구(110)를 다리부(101)에 설치한 상태로, 슬라이더(114)는 코일스프링(116)에 의하여 다리부(101)의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117)는 제1 통형상 부재(102)의 관통구멍(102a) 및 제2 통형상 부재(103) 중 어느 1개의 관통구멍(130a)에 삽입되어, 제1 통형상 부재(102)에 대한 제2 통형상 부재(103)의 슬라이딩 운동이 규제되고 있다. 한편, 제1 통형상 부재(102) 및 제2 통형상 부재(103) 및 고정부재(117)는 탄소강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With the
다리부(101)의 길이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우선 다리부 조작레버(115)의 조작탭(115a)을 위쪽으로 잡아당기도록, 즉 윗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회전지지돌기(115d)의 회전축선 둘레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예를 들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향하여 뻗은 오른손으로 위치결정기구(110)의 위쪽의 제1 통형상 부재(102)를 잡고, 그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탭(115a)을 아래에서부터 걸치도록 하여 위쪽으로 끌어올림으로써 행한다. 더욱이, 다리부 조작레버(115)의 조작탭(115a)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계속하면, 회전운동에 의하여 조작탭(115a)은 다리부(101) 방향으로 이동한다.In the cas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이러한 조작탭(115a)의 회전운동에 따라서, 다리부 조작레버(115)의 타단의 연결부(115b)는, 다리부(101)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연결부(115b)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슬라이더(114)는 다리부(101)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가이드벽(111a)을 따라서 슬라이딩 운동한다. 즉, 다리부 조작레버(115)의 연결부(115b)는 회전운동을 하는 것에 대하여, 슬라이더(114)의 이동은 가이드벽(111a)에 의하여 슬라이딩 방향으로 규제되어 있다. 하지만, 슬라이더(114)의 좌우의 돌기(114c)가 대응하는 연결부(115b)의 회전위치에 따라서 긴구멍(115c) 내를 이동함으로써, 연결부(115b)의 회전운동이 방해되는 일이 없으며, 연결부(115b)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더(114)의 슬라이딩 운동으로 변환하고 있다. 바꿔말하면, 이러한 운동의 변환이 매끄럽게 이루어지도록 연결부(115b)의 긴구멍(115c)의 형상이 결정된다.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슬라이더(114)가 다리부(101)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함으로써, 슬라이더(114)와 일체로 설치된 고정부재(117)가 제1 통형상 부재(102)의 관통구멍(102a) 및 제2 통형상 부재(103)의 관통구멍(103a)으로부터 빠져, 다리부(101)의 길이 조절이 가능해진다. 이때, 오른손은 제1 통형상 부재(102)를 잡고 있는데, 왼손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By sliding the
이어서, 예를 들어 왼손을 이용하여, 제1 통형상 부재(102)에 대하여 제2 통형상 부재(103)를 슬라이딩 운동시킴으로써, 다리부(101)를 원하는 길이로 조절하여, 제1 통형상 부재(102)의 관통구멍(102a) 및 제2 통형상 부재(103) 중 어느 1개의 관통구멍(103a)을 정렬시킨다. 이 상태로, 다리부 조작레버(115)의 조작탭(115a)에 가해지고 있던 힘을 개방하면, 코일스프링(116)의 부세력에 의하여 슬라이더(114)는 다리부(101)의 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한다. 그 결과, 다리부 조작레버(115)의 고정부재(117)가 제1 통형상 부재(102)의 관통구멍(102a) 및 제2 통형상 부재(103)의 관통구멍(103a)으로 삽입되는 동시에 다리부 조작레버(115)의 조작탭(115a)은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즉, 슬라이더(114)는 다리부(101)의 신축을 고정하는 고정위치와, 고정이 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Subsequently, for example, by sliding the second
서포트 레그(100)의 위치결정기구(110)에 대하여 정리하면, 조작탭(115a)이 다리부(10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다리부 조작레버(115)를 회전시키면, 연결부(115b)가 다리부(101)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더(114)를 해제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한편, 조작탭(115a)이 다리부(101)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다리부 조작레버(115)를 회전시키면, 연결부(115b)가 다리부(10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더(114)를 고정위치로 슬라이딩 운동시킨다.In summary, with respect to the
상술한 위치결정기구(110)는 한쪽 손에 의하여 다리부(101)의 한쪽을 잡는 것과 슬라이더(114)의 해제위치로의 슬라이딩 운동을 행할 수 있으므로, 다른 쪽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다리부(101)의 다른 쪽을 잡고서 다리부(101)의 길이 조절을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다리부(101)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하여는, 우선은 다리부 조작레버(115)의 조작탭(115a)을 윗방향으로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만일 영유아가 다리부 조작레버(115)의 조작탭(115a)을 위에서 밟더라도, 슬라이더(114)가 의도하지 않게 해제위치가 되는 일은 없다.Since the above-described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1)는 시트벨트 타입의 차일드 시트이고, 따라서 차량의 시트에 대한 차일드 시트(1)의 고정에는, 차량의 시트에 구비되는 시트벨트 장치의 시트벨트가 이용된다.By the way, as described above, the
도 36은, 도 1의 차일드 시트(1)의 받침대(20)의 다른 사시도이고, 도 37은 도 36의 받침대(20)의 하반체(150)의 사시도이다. 받침대(20)는 각각 별개로 형성된 하반체(150)와 상반체(151)를 끼워맞춤으로써 형성된다. 즉, 하반체(150)는, 원통 곡면(25)을 포함하는 베이스부(21)의 바닥면 및 기립부(22)의 배면을 형성하고, 상반체(151)는, 받침대 지지면(24)을 포함하는 베이스부(21)의 윗면 및 기립부(22)의 앞면을 형성한다.FIG. 36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도 36에는, 상술한 설명 중에서 생략하고 있던, 차량의 시트벨트를 사이에 끼울 수 있는 공지의 협지기구인 잠금 오프 디바이스(130)가 나타나 있다. 잠금 오프 디바이스(130)는, 받침대(20)의 기립부(22)의 앞면, 즉 상반체(151)의 앞면의 좌우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차일드 시트(1)에 대하여 좌우 어느 한쪽에 배치된 시트벨트도 대응하는 잠금 오프 디바이스(130)에 의하여 사이에 끼울 수 있다. 따라서, 차일드 시트(1)는 기립부(22)의 앞면을 통과하도록 연장된 시트벨트가 잠금 오프 디바이스(130)에 의하여 사이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차량의 시트에 확실히 장착된다. 한편, 도 36에 있어서, 오른쪽 잠금 오프 디바이스(130)는 생략하여 그려지고 있다.In Fig. 36, a lock-off
다음으로, ISOFIX 또는 ISO-FIX(아이소픽스)의 규격에 준거하여 제조된 ISOFIX 타입의 차일드 시트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n ISOFIX-type child seat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ISOFIX or ISO-FIX (isofix) standards will be described.
도 3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200)의 사시도이고, 도 39는, 도 38의 받침대(220)의 하반체(250)의 사시도이다. 도 38에 있어서, 시트 본체(30)는 생략하여 그려지고 있다.3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200)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1)와 비교하면, 받침대의 구성만 다르고, 시트 본체(30), 더욱이는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200)에 있어서도, 시트 본체(30)는 서로 다른 경사각도의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 사이를 변경 가능하게 받침대(220) 상에 지지되는 동시에 리클라이닝 위치의 각각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받침대(220) 상에 지지되어 있다.The
제2 실시형태의 받침대(220)는, 경질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을 상하의 반체마다 또는 좌우의 반체마다 성형하고, 이들을 끼워맞춤으로써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200)의 받침대(220)는, 각각 별개로 형성된 하반체(250)와 상반체(251)를 끼워맞춤으로써 형성된다. 즉, 하반체(250)는 원통곡면(25)을 포함하는 베이스부(221)의 바닥면 및 기립부(222)의 배면을 형성하고, 상반체(251)는 받침대 지지면(24)을 포함하는 베이스부(221)의 윗면 및 기립부(222)의 앞면을 형성한다.The
받침대(220)는, ISOFIX의 규격에 준거한 연결기구(300)를 가지고 있다. 연결기구(300)는, 한 쌍의 봉 형상의 암부재(301)와, 암부재(301)의 각각의 선단에 설치된 연결부재(302)를 가지고 있다. 도 3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차일드 시트(200)를 고정하는 차량용 시트(400)의 뒷부분(401)의 하부에는, 암부재(301)의 연결부재(302)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402)가 형성되고, 각각의 개구(402) 내에는 앵커부재(403)가 배치되어 있다. 앵커부재(403)는 개구(402) 내를 좌우로 횡단하도록 배치된 봉 형상의 부재이다. 암부재(301)의 연결부재(302)는, 차량용 시트(400)의 봉 형상의 앵커부재(403)를 포위하도록 연결하고, 그 포위를 풀도록 연결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암부재(301)는, 차일드 시트(200) 중, 즉 받침대(220) 중에 넣거나, 받침대(220)의 바깥으로 나오거나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받침대(220)의 하반체(250)의 바닥면의 안쪽의 좌우, 특히 원통곡면(25)의 좌우에는, 레일부재(303)가 받침대(220)의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어 있다. 레일부재(303)는 암부재(301)를 암부재(301)의 축선을 따라서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보유하고 있다. 받침대(220)의 하반체(250)의 뒷부분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 구멍을 통하여, 암부재(301)의 각각이, 받침대(220)로부터 뒷쪽으로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레일부재(303)는 받침대(220)로부터 암부재(301)를 임의의 길이로 돌출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도시하지 않은 계지기구를 가지고 있다. 그에 따라, 암부재(301)의 각각은, 그 받침대(220)로부터의 돌출량을 각각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도 39에 있어서, 오른쪽 암부재(301)는 생략하여 그려지고 있다.The
ISOFIX 타입의 차일드 시트(200)를 차량용 시트(400)에 고정할 때에는, 우선 차일드 시트(200) 중으로부터, 즉 받침대(220) 중으로부터 암부재(301)를 꺼낸다. 이어서, 암부재(301)의 선단의 연결부재(302)를, 차량용 시트(400)의 앵커부재(403)에 대하여 연결시킨다. 이어서, 암부재(301)를 차일드 시트(200) 중에 넣음으로써, 차일드 시트(200), 특히 받침대(220)의 기립부(222)의 배면을 차량용 시트(400)의 뒷부분(401)에 밀착시켜, 차일드 시트(200)의 고정이 완료된다.When fixing the ISOFIX-
이상을 정리하면, 시트벨트 타입인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1)에 있어서는, 협지기구인 잠금 오프 디바이스(103)가 받침대(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ISOFIX 타입인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200)에 있어서는, 연결기구(300)가 받침대(2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ISOFIX의 규격에 준거한 연결기구(300) 및 앵커부재(403)는, 주로 탄소강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는데,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Summarizing the above, in the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1)와 비교하여, 받침대의 구성만 다르고,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다. 이것은,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를, 시트 본체(30)의 시트 하부(31), 및 특히 원통곡면(25)과 같이 받침대 내부의 가로방향의 중앙 근방에 집약하여 배치한 것에 의하여 실현된다. 즉,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를 이와 같이 집약하여 배치함으로써, 다른 부재와 간섭하지 않고, 받침대(220) 내에 연결기구(30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바꿔말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1)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200)에 있어서, 받침대 이외의 모든 부품을 공통화할 수 있어, 부품수의 증가 및 제조공정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조 시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받침대(20)와 제2 실시형태의 받침대(220)를 전환함으로써, 시트벨트 타입의 차일드 시트(1)와 ISOFIX 타입의 차일드 시트(200)를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조립 라인의 스케쥴 조정이 쉬워져, 제조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벨트 타입의 차일드 시트(1) 및 ISOFIX 타입의 차일드 시트(200)에 있어서도, 각각 베리에이션을 증가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예를 들어, 헤드 플레이트(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 본체(30)와, 헤드 플레이트(60)가 고정된 시트 본체(30)를 준비하면, 각각에 있어서 시트벨트 타입의 차일드 시트(1) 및 ISOFIX 타입의 차일드 시트(200)를 조합할 수 있어, 합계 4개의 베리에이션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덮개기구(80)의 유무나, 덮개기구(80)의 가동 덮개 스테이의 개수 등에 의하여 베리에이션을 더욱 늘릴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increase variations in the seat belt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차일드 시트는,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를 가지는 타입이었는데, 본 발명을 리클라이닝 기구 및 회전기구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가지지 않는 차일드 시트에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제2 실시형태의 받침대(220)의 기립부(222)는, 잠금 오프 디바이스(130)를 배치하는 공간 및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1 실시형태의 받침대(20)의 기립부(22)와 비교하여, 기립부(222)의 가로방향의 폭을 좁게 하거나, 기립부(222)의 높이를 낮게 하거나 하여도 좋다. 더욱이, 제2 실시형태의 받침대(220)에 잠금 오프 디바이스(130)를 배치함으로써, 시트벨트 타입과 ISOFIX 타입의 양쪽의 특징을 가지는 차일드 시트를 얻을 수 있다.Although the child sea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as of a type having a reclining mechanism and a rotating mechanism,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child seat not having either or both of a reclining mechanism and a rotating mechanism. In addition, since the rising
한편, 주요한 부품의 재질은, 적절히 언급해왔는데, 언급되지 않았던 부품의 재질은, 주로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아세탈 등의 수지재료를 일체 성형하는 것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그 밖의 재료 또는 제조방법을 채용하여도 좋다.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of the main component has been mentioned appropriately, but the material of the component which is not mentioned is mainly formed by integrally molding a resin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or polyacetal. However, other materials or manufacturing methods may be employed.
본 발명에 대하여 특정한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상술하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사상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 수정 등이 가능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ased on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 차일드 시트
200: 차일드 시트
10: 차일드 시트 본체
20: 받침대
220: 받침대
30: 시트 본체
130: 잠금 오프 디바이스
300: 연결기구
301: 암부재
302: 연결부재
403: 앵커부재1: child seat
200: child seat
10: child seat body
20: pedestal
220: pedestal
30: sheet body
130: lock off device
300: connector
301: arm member
302: connecting member
403: anchor member
Claims (11)
상기 제1 받침대 상 및 상기 제2 받침대 상에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된 시트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협지기구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기구가 상기 제2 받침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Any one of a first pedestal having a clamping mechanism capable of interposing the seat belt of the vehicle, and a second pedestal having a connecting mechanism connectable to the anchor member of the vehicle,
And a seat body configured to be supported on the first pedestal and on the second pedestal so as to be slidably supported,
The child seat, wherein the holding mechanism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pedestal, and the connecting mechanism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pedestal.
상기 연결기구가, 제2 받침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가능한 봉 형상의 암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The method of claim 1,
The child seat, wherein the connecting mechanism has a rod-shaped arm member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second pedestal.
상기 연결기구가, 좌우 한 쌍의 상기 암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The method of claim 2,
The child seat, wherein the connecting mechanism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arm members.
상기 시트 본체가, 서로 다른 경사각도의 복수의 리클라이닝 위치 사이를 변경 가능하게 상기 받침대 상에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리클라이닝 위치의 각각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받침대 상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eat body is supported on the pedestal so as to be changeable between a plurality of reclining positions of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and is supported on the pedestal so as to be rotatable at each of the reclining positions.
상기 시트 본체가, 상기 받침대를 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돌출되어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계합 또는 계합 해제하는 리클라이닝 잠금부재와, 상기 받침대를 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돌출되어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계합 또는 계합 해제하는 회전잠금부재를 가지고,
상기 시트 본체의 상기 리클라이닝 위치를 변경할 때에는, 상기 리클라이닝 잠금부재를 상기 받침대로부터 계합 해제하며,
상기 시트 본체를 회전할 때에는, 상기 회전잠금부재를 상기 받침대에 대하여 계합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The method of claim 4,
The seat body includes a reclining locking member protruding toward the pedestal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retracting from the pedestal, and a rotation locking member protruding toward the pedestal so as to engage or release the engagement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have,
When changing the reclining position of the seat body, the reclining locking member is disengaged from the pedestal,
When the seat body is rotated, the rotation locking member is disengaged with respect to the pedestal.
상기 받침대가 계합부를 가지고,
상기 시트 본체가 상기 계합부와 계합하는 피계합부를 가지며,
상기 시트 본체의 상기 리클라이닝 위치의 변경 및 상기 시트 본체를 회전할 때에, 상기 계합부 및 상기 피계합부 사이의 계합이 유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The method of claim 5,
The pedestal has an engaging portion,
The seat body has an engaged portion engaged with the engaged portion,
A child seat,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reclining position of the seat body is changed and the seat body is rotated, an engagement betwee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is maintained.
상기 피계합부가, 상기 시트 본체의 회전축선 둘레의 고리 형상 또는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The method of claim 6,
The child seat,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in a ring shape or a disk shape around a rotation axis of the seat body.
상기 피계합부가, 상기 시트 본체의 하단부의 배치된 하부 피계합부 및 그 하부 피계합부보다 상방에 배치된 상부 피계합부이고,
상기 계합부가, 상기 상부 피계합부 및 상기 하부 피계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The method of claim 7,
The engaged portion is a lower engaged portion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seat body and an upper engaged portion disposed above the lower engaged portion,
The child seat,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to be engaged and the lower portion to be engaged.
상기 계합부가, 상기 시트 본체의 상기 리클라이닝 위치의 변경에 추종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The method of claim 6,
The child seat,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moves in a front-rear direction following a change in the reclining position of the seat body.
상기 계합부와 상기 피계합부와의 계합이, 상기 시트 본체의 후방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The method of claim 6,
The child seat,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engaged at the rear of the seat body.
상기 계합부와 상기 피계합부와의 계합이, 상기 시트 본체의 후방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일드 시트.The method of claim 9,
The child seat,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are engaged at the rear of the seat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PCT/JP2013/072627 | 2013-08-23 | ||
PCT/JP2013/072627 WO2015025432A1 (en) | 2013-08-23 | 2013-08-23 | Child seat |
PCT/JP2014/059505 WO2015025554A1 (en) | 2013-08-23 | 2014-03-31 | Child sea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6807A KR20160046807A (en) | 2016-04-29 |
KR102253893B1 true KR102253893B1 (en) | 2021-05-20 |
Family
ID=524832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4372A KR102214154B1 (en) | 2013-08-23 | 2013-08-23 | Child Seat |
KR1020167004601A KR102253893B1 (en) | 2013-08-23 | 2014-03-31 | Child Seat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04372A KR102214154B1 (en) | 2013-08-23 | 2013-08-23 | Child Seat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JP (2) | JP6198834B2 (en) |
KR (2) | KR102214154B1 (en) |
CN (2) | CN105492246B (en) |
HK (2) | HK1221441A1 (en) |
TW (1) | TWI635002B (en) |
WO (2) | WO2015025432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116283B (en) * | 2014-09-16 | 2020-05-12 | 宝钜儿童用品香港股份有限公司 | Shoulder belt height adjusting mechanism |
EP3190001A1 (en) * | 2016-01-07 | 2017-07-12 | Apramo UK Limited |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mounted child safety seat |
KR102173773B1 (en) | 2016-04-12 | 2020-11-04 | (주)동인기연 | Baby car seats that can be repositioned |
US10322651B2 (en) * | 2016-06-14 | 2019-06-18 | Wonderland Switzerland Ag | Child safety seat |
CN106080310A (en) * | 2016-08-30 | 2016-11-09 | 清华大学苏州汽车研究院(相城) | A kind of rotary child safety seat |
KR101861847B1 (en) * | 2016-09-13 | 2018-05-29 | 주식회사 쁘레베베 | Stability device and safety car seat for infant using the same |
CN107839554B (en) * | 2016-09-19 | 2024-06-28 | 珠海弘点科技有限公司 | Child seat supporting leg structure and child seat supporting seat |
KR101884550B1 (en) * | 2017-01-04 | 2018-08-01 | 이상훈 | Children's Carseat with shock absorber |
US10829012B1 (en) | 2017-01-23 | 2020-11-10 |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a rotatable child safety seat |
US10710478B2 (en) | 2017-01-23 | 2020-07-14 |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a rotatable child safety seat |
GB2562830B (en) * | 2017-03-17 | 2019-05-22 | Wonderland Switzerland Ag | Child safety seat |
CN108859884B (en) * | 2018-07-16 | 2024-08-16 | 麦克英孚(宁波)婴童用品有限公司 | Angle stepless adjusting mechanism and child safety seat |
US11730281B2 (en) * | 2019-02-01 | 2023-08-22 | Ts Tech Co., Ltd. | Vehicle seat |
TWI784317B (en) * | 2019-09-12 | 2022-11-21 | 瑞士商明門瑞士股份有限公司 | Child restraint with rotating seat |
KR20220045639A (en) | 2020-10-06 | 2022-04-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ower supply apparatus for vehicle child seat |
CN112498196A (en) * | 2020-11-30 | 2021-03-16 | 宁波宝贝第一母婴用品有限公司 | Safety seat |
CN117940314A (en) * | 2021-07-15 | 2024-04-26 | 康贝株式会社 | Child sea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93176A (en) * | 2001-03-30 | 2002-10-09 | Nippon Plast Co Ltd | Child seat |
JP2010012895A (en) * | 2008-07-02 | 2010-01-21 | Combi Corp | Child safety seat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45939Y2 (en) * | 1979-10-29 | 1987-12-09 | ||
US4936629A (en) * | 1988-10-07 | 1990-06-26 | Rock-A-Bye Restraint Company, Inc. | Swiveling infant car seat |
JP3117917B2 (en) * | 1996-09-25 | 2000-12-18 | コンビ株式会社 | Swivel type child seat |
JP4206859B2 (en) * | 1998-08-05 | 2009-01-14 | タカタ株式会社 | child seat |
US6746080B2 (en) * | 2001-04-05 | 2004-06-08 | Combi Corporation | Child car seat |
JP4073233B2 (en) * | 2002-04-01 | 2008-04-09 | 株式会社カーメイト | Child seat and locking device |
JP2005193775A (en) * | 2004-01-07 | 2005-07-21 | Fuso Engineering Corp | Movable seat device for vehicle |
CN201124777Y (en) * | 2007-11-12 | 2008-10-01 |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 Seat of children' s car |
RU2502615C2 (en) * | 2008-07-02 | 2013-12-27 | Комби Корпорейшн | Car chair for kids |
RU2501675C2 (en) * | 2008-07-02 | 2013-12-20 | Комби Корпорейшн | Car chair for kids |
CN103057444B (en) * | 2011-10-20 | 2016-02-24 |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 Child safety seat and adjustable anchorage mechanism thereof |
CN203110968U (en) * | 2013-01-05 | 2013-08-07 |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 Child car seat |
-
2013
- 2013-08-23 KR KR1020167004372A patent/KR102214154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3-08-23 JP JP2015532677A patent/JP6198834B2/en active Active
- 2013-08-23 CN CN201380079063.4A patent/CN105492246B/en active Active
- 2013-08-23 WO PCT/JP2013/072627 patent/WO201502543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
- 2014-03-31 JP JP2015532723A patent/JP620327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03-31 KR KR1020167004601A patent/KR102253893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4-03-31 CN CN201480046778.4A patent/CN105473379B/en active Active
- 2014-03-31 WO PCT/JP2014/059505 patent/WO201502555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08-14 TW TW103127934A patent/TWI635002B/en active
-
2016
- 2016-08-10 HK HK16109512.2A patent/HK1221441A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6-08-25 HK HK16110147.3A patent/HK1221944A1/en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93176A (en) * | 2001-03-30 | 2002-10-09 | Nippon Plast Co Ltd | Child seat |
JP2010012895A (en) * | 2008-07-02 | 2010-01-21 | Combi Corp | Child safety sea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473379B (en) | 2018-03-06 |
JP6198834B2 (en) | 2017-09-20 |
CN105473379A (en) | 2016-04-06 |
JPWO2015025432A1 (en) | 2017-03-02 |
KR20160046803A (en) | 2016-04-29 |
TWI635002B (en) | 2018-09-11 |
WO2015025554A1 (en) | 2015-02-26 |
WO2015025432A1 (en) | 2015-02-26 |
HK1221441A1 (en) | 2017-06-02 |
CN105492246B (en) | 2018-03-16 |
KR20160046807A (en) | 2016-04-29 |
JPWO2015025554A1 (en) | 2017-03-02 |
TW201511988A (en) | 2015-04-01 |
KR102214154B1 (en) | 2021-02-09 |
HK1221944A1 (en) | 2017-06-16 |
JP6203270B2 (en) | 2017-09-27 |
CN105492246A (en) | 2016-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53893B1 (en) | Child Seat | |
JP6278638B2 (en) | child seat | |
KR102111615B1 (en) | Child Seat | |
KR102151586B1 (en) | Child Safety Seat | |
JP3186995U (en) | child seat | |
KR102182920B1 (en) | Child Seat | |
JP3186998U (en) | child seat | |
KR102128311B1 (en) | Child Seat | |
JP3187966U (en) | child seat | |
KR102114188B1 (en) | Support Leg and Child Safety Seat Provided with Support Leg | |
KR102114187B1 (en) | Child Seat | |
JP3186996U (en) | bel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