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428B1 -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7428B1 KR102257428B1 KR1020200162581A KR20200162581A KR102257428B1 KR 102257428 B1 KR102257428 B1 KR 102257428B1 KR 1020200162581 A KR1020200162581 A KR 1020200162581A KR 20200162581 A KR20200162581 A KR 20200162581A KR 102257428 B1 KR102257428 B1 KR 1022574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area
- vehicle
- crosswalk
- pedestria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2—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etermining speed or overspeed
-
- G06K9/00771—
-
- G06K9/00798—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06V20/588—Recognition of the road, e.g. of lane markings; Recognition of the vehicle driving pattern in relation to the roa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 G06K2209/15—
-
- G06K2209/23—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은, 감시 대상 구역에 설치되는 영상 처리 장치; 상기 영상 처리 장치와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2 이상의 주변 IoT 전광판들; 및 상기 영상 처리 장치와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스쿨존 관심영역을 특정하는 특정부-상기 관심영역은 횡단구역을 정의하는 제1 구획들 및 비횡단구역을 정의하는 제2 구획들을 포함함-; 상기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구획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보행자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제2 구획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차량 진입 정보를 도출하며, 상기 제1 및 제2 구획들의 경계구간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불법 주정차 정보를 도출하는 분석부; 및 상기 보행자 정보를 운전자를 위한 제1 IoT 전광판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 진입 정보 및 상기 불법 주정차 정보를 보행자를 위한 제2 IoT 전광판으로 전송하는 제1 전송부를 포함한다. 본 기술에 따르면, 스쿨존 CCTV에 최적화된 에지형 감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지형 감시 시스템 방식이 적용된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쿨존은 초등학교나 유치원 정문에서 반경 300미터 이내의 주통학로를 따라 어린이 보호 구역으로 지정된 곳이다. 어린이들의 안전한 통학공간을 확보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구간이다.
스쿨존 사고에서 가장 큰 위험요소는 불법 주정차이다. 불법 주정차는 사각지대를 만들어 운전자는 전방 상황을 파악할 수 없고 보행자는 다가오는 차량을 인지할 수 없다. 불법 주정차에 갖가지 이유는 있겠지만, 스쿨존에서만큼은 엄격히 제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스쿨존에 CCTV 감지 시스템이 적용된다. CCTV를 통해 입수된 영상을 분석하여, 불법 주정차를 감시하거나, 도로바닥에 속도감응 루프와 연동되어 과속 차량을 단속한다. 관련 선행특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72780호(발명명칭: 어린이 보호 구역 내의 지능형 영상감지 시스템)는 어린이 보호 구역으로 지정된 도로 구간을 진입 및 진출하는 차량에 대한 실시간 영상 분석을 통하여 어린이 보호 구역 내에서의 주, 정차 위반 또는 제한속도 위반 등을 단속할 수 있는 어린이 보호 구역 내의 지능형 영상감시 시스템을 보여준다.
한편, 상기 선행특허를 포함한 종래의 스쿨존에 적용되는 CCTV는 대부분 중앙집중형 감시 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여러 대의 카메라들을 두고서, 이들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중앙 센터에서 수집하여 모니터링 및 응답값을 생성한다.
이는 CCTV 방식의 중앙집중형 감시 시스템의 단점을 그대로 노출시킨다. 중앙 센터의 부하가 증가되고, 전체 트래픽의 양이 크게 늘어난다. 스쿨존 CCTV에 고화질 영상 처리 기술을 적용하고, 객체를 인식하는 최첨단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 카메라 자체에 영상 분석 기능을 구성하여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감시 영상을 전송하는 에지형 감지 시스템의 적용이 필수적이다. 또한, 여러 채널로 CCTV를 운영해 보다 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더욱 그러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스쿨존 CCTV에 최적화된 에지형 감지 시스템 개발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에지형 감시 시스템 방식이 적용된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으로서, 감시 대상 구역에 설치되는 영상 처리 장치; 상기 영상 처리 장치와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2 이상의 주변 IoT 전광판들; 및 상기 영상 처리 장치와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스쿨존 관심영역을 특정하는 특정부-상기 관심영역은 횡단구역을 정의하는 제1 구획들 및 비횡단구역을 정의하는 제2 구획들을 포함함-; 상기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구획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보행자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제2 구획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차량 진입 정보를 도출하며, 상기 제1 및 제2 구획들의 경계구간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불법 주정차 정보를 도출하는 분석부; 및 상기 보행자 정보를 운전자를 위한 제1 IoT 전광판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 진입 정보 및 상기 불법 주정차 정보를 보행자를 위한 제2 IoT 전광판으로 전송하는 제1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획들은 상기 CCTV의 감시 대상 구역 내에 횡단보도 표시선, 횡단보도 정지선 및 이들과 인접하는 도로경계석을 특징점으로 하여 구획되고, 상기 제2 구획들은 상기 CCTV의 감시 대상 구역 내에 횡단보도 정지선, 최외곽 차선 및 이들과 인접하는 도로경계석을 특징점으로 하여 구획될 수 있다.
상기 특정부는, 입력 데이터에서 횡단보도 표시선을 인식하여 횡단보도 영역을 구획하는 제1 단계; 횡단보도 정지선 및 최외곽 차선을 인식하여 차량 진출입 영역을 구획하는 제2 단계; 상기 횡단보도 영역과 상기 차량 진출입 영역 사이의 횡단보조 영역을 구획하는 제3 단계; 상기 횡단보도 영역 및 횡단보조 영역에 인접하는 도로경계석을 인식하여 횡단 인접 영역을 구획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차량 진출입 영역에 인접하는 도로경계석을 인식하여 차량 진출입 인접 영역을 구획하는 제5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스쿨존 관심영역을 특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구획들은 상기 횡단보도 영역, 상기 횡단보조 영역 및 상기 횡단 인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획들은 상기 차량 진출입 영역 및 상기 차량 진출입 인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행자 정보는 상기 제1 구획 전체에 대해 보행자용 신호등의 횡단 가능 신호가 켜진 시간동안 존재하는 보행자의 수를 판별하여 도출되고, 상기 차량 진입 정보는 상기 제2 구획 전체에 대해 차량용 신호등의 주행 불가 신호가 켜진 시간동안 등장한 차량의 수를 판별하여 도출되며, 상기 불법 주정차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구획들의 경계에 걸쳐서 기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존재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및 차종정보를 인식하여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구획들의 경계에 걸쳐서 기설정된 제2 시간 이상 존재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 상기 차종정보와 함께 인식된 차량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번호를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함께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제2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IoT 전광판은 차량용 신호등과 동일한 시야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 IoT 전광판은 보행자용 신호등과 동일한 시야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스쿨존에 설치된 CCTV 카메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CCTV 카메라는 스쿨존 거치 시설물에 구비된 함체와 전력선 및 네트워크선을 통해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함체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로서, 2 이상의 주변 IoT 전광판들과 연동되어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되,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스쿨존 관심영역을 특정하는 특정부-상기 관심영역은 횡단구역을 정의하는 제1 구획들 및 비횡단구역을 정의하는 제2 구획들을 포함함-; 상기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구획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보행자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제2 구획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차량 진입 정보를 도출하며, 상기 제1 및 제2 구획들의 경계구간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불법 주정차 정보를 도출하는 분석부; 및 상기 보행자 정보를 운전자를 위한 제1 IoT 전광판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 진입 정보 및 상기 불법 주정차 정보를 보행자를 위한 제2 IoT 전광판으로 전송하는 제1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스쿨존 CCTV에 최적화된 에지형 감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스쿨존 내 안전을 위해 보다 신속 정확한 알림이 가능함과 동시에 중앙 관제 서버의 부하를 최소화하는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스쿨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스쿨존 관심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분석부에 의해 스쿨존 관심영역이 분석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분석된 결과가 운전자용 IoT 전광판에 표시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분석된 결과가 보행자용 IoT 전광판에 표시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스쿨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스쿨존 관심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분석부에 의해 스쿨존 관심영역이 분석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분석된 결과가 운전자용 IoT 전광판에 표시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분석된 결과가 보행자용 IoT 전광판에 표시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1)은 영상 처리 장치(100), IoT(Internet of Things) 전광판들(200, 300) 및 관제 서버(1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100)는 감시 대상인 어린이 보호 구역(스쿨존)에 설치된다. 전방의 영상 정보를 입수하며 이를 분석하여 주변 IoT 전광판들(200, 300)과 관제 서버(10)로 전송한다.
영상 처리 장치는 에지형 감시 시스템이 적용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의 영상 정보를 입수하여 분석 기능을 가진 다양한 촬상 장치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영상 처리 장치가 감시 대상 구역에 1대만 설치된 것으로 가정하나, 본 발명이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러 대가 설치되면 사각 지대를 더 줄일 수 있다.
IoT 전광판들(200, 300)도 어린이 보호 구역에 설치된다. 어린이 보호 구역을 지나는 보행자와 운전자에게 필요한 여러 정보를 음향 및 시각적으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IoT 전광판들(200, 300)은 영상 처리 장치(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일례로, LAN, Wi-Fi 등과 같은 근거리 컴퓨터 네트워크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영상 처리 장치와 IoT 전광판들은 모두 스쿨존 내에 설치되므로 근거리 통신 방식이면 충분하다. 제1 네트워크로 참조될 수 있다.
IoT 전광판들은 운전자용 IoT 전광판(200) 및 보행자용 IoT 전광판(300)을 포함한다. 이하 각각 제1 전광판과 제2 전광판으로 참조될 수 있다.
운전자용 IoT 전광판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쿨존을 지나는 운전자 차량의 운행 속도 표시부(210) 및 운전자용 통합 정보 표시부(220)를 갖는다. 현재 지나가는 운전자 차량의 속도가 36이고, 어린이 보호 구역으로서 과태료가 3배라는 정보가 표시된다.
운전자용 IoT 전광판은 운전자용 신호등과 대체로 동일한 시야각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운전자용 신호등(VL)과 함께 설치될 수 있다(도 6 참조). 제1 전광판(200)은 운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므로, 운전자가 항시 주시하는 운전자용 신호등과 함께 설치되어 정보 전달의 효율을 높인다.
보행자용 IoT 전광판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쿨존을 통행하는 보행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부(310) 및 화면으로 출력하는 통합 정보 표시부(320)를 갖는다. 차량 접근 중 한 걸음 물러서라는 음향이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되고, 화면을 통해서도 출력된다.
보행자용 IoT 전광판은 보행자용 신호등과 대체로 동일한 시야각을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보행자용 신호등(PL)과 함께 설치될 수 있다(도 7 참조). 제2 전광판(300)은 보행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므로, 보행자가 항시 주시하는 보행자용 신호등과 함께 설치되어 정보 전달의 효율을 높인다.
이처럼 제1 전광판과 제2 전광판은 서로 다른 정보를 표시하며, 이를 위해 영상 처리 장치 또한 제1 및 제2 전광판으로 서로 다른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계속하여, 도 1을 참조하면, 관제 서버(10)는 영상 처리 장치(100)와 통신하며 정보를 수신한다. 에지형 감지 시스템 방식이므로, 관제 서버는 영상 처리 장치가 입수한 전방 영상을 모두 수신하지 않으며, 그 중 이벤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영상만을 전송받을 수 있다. 또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결과값만을 전송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관제 서버는 영상 처리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유무선 인터넷, 위성망, 통신망 및 이동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로 참조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네트워크가 근거리 통신망임에 비하여, 제2 네트워크는 원거리 통신망일 수 있다.
관제 서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을 운용하는 관제 센터 내의 서버일 수 있다. 관제 서버가 수신한 정보는 관제 센터의 관제실(20) 내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표시되어 관리자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가 스쿨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100)는 카메라(CA)로부터 입수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 분석 및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각종 모듈들이 내장된 함체(EN)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영상 처리 장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카메라 부분만을 도시하였뿐, 영상 처리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함체(EN)는 카메라(CA)와 전력선(PL) 및 네트워크선(NL)을 통해 연결된다. 전력선과 네트워크선은 거치 시설물(FS) 내에 내장된다.
함체 내 모듈들이 도면에서 입력단, 저장소, 영상처리프로세서 및 통신장비로 도시된다. 이러한 모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기능을 수행한다. 입력단이 후술하는 입력부의 기능을, 저장소가 후술하는 저장부의 기능을, 영상처리프로세서가 후술하는 특정부와 분석부의 기능을, 그리고, 통신장비가 후술하는 제1 전송부와 제2 전송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을 하는 제1 전송부의 기능을 하는 통신장비는 Wi-Fi, 블루투스, LAN 장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거리 통신을 하는 제2 전송부의 기능을 하는 통신장비는 현재 상용 이동통신망인 LTE, 5G 장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방식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가 수집한 영상 데이터를 갖고서, 함체 내에 위치한 여러 모듈들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카메라(CA), 거치 시설물(FS), 전력선(PL), 네트워크선(NL)은 기존에 설치된 것을 활용할 수도 있다. 이는 기존 CCTV 설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설치 비용 및 유지 보수 관리 측면에서 유리하다. 즉,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CCTV 시설물에서 카메라 등은 그대로 두고서, 함체만을 교체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 기존의 일반 CCTV를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 간편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스쿨존 관심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의 분석부에 의해 스쿨존 관심영역이 분석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 장치(100)는 입력부(110), 특정부(120), 저장부(130), 분석부(140), 제1 전송부(150) 및 제2 전송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CCTV 카메라와 같이)과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가시광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으로부터 입수된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주변 IoT 장치들과 관제 서버로 필요한 정보를 전송하게 되므로, 열화상이나 적외선 카메라 방식보다 가시광 카메라 방식이 바람직하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입력된다.
특정부(120)는 입력 데이터로부터 스쿨존 관심영역을 특정한다. 분석 대상을 특정하는 과정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쿨존 관심영역은 제1 구획들 및 제2 구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는 횡단구역(TA)에 관한 것이다. 후자는 비횡단구역(NTA)에 관한 것이다.
횡단구역(TA)은 보행자가 횡단할 때 유효하게 사용하는 구역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정보를 분석할 때에(보행자 수를 카운팅하는 것과 같이) 그 대상이 된다. 비횡단구역(NTA)은 보행자가 횡단할 때 사용하지 않는 구역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진입 정보 및 불법 주정차 정보를 분석할 때에 그 대상이 된다.
상세하게, 도 4를 참조하면, 제1 구획들은 횡단보도 영역(A1), 횡단보조 영역(A3) 및 이들에 인접하는 횡단 인접 영역(A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영역들(A1, A3, A4)에 의해 횡단구역(TA)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구획들은 차량 진출입 영역(A2) 및 차량 진출입 인접 영역(A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영역들(A2, A5)에 의해 비횡단구역(NTA)이 정의될 수 있다.
특정부(120)는 입력 데이터로부터 제1 구획들을 구획하기 위해 입력 영상에서 횡단보도 표시선(PCS), 횡단보도 정지선(SL) 및 이들과 인접하는 도로경계석(BS)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특정부는 입력 데이터로부터 제2 구획들을 구획하기 위해 입력 영상에서 횡단보도 정지선(SL), 최외곽 차선(OL) 및 이들과 인접하는 도로경계석(BS)을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 영상으로부터 횡단보도 표시선, 횡단보도 정지선, 최외곽 차선 및 도로경계석을 특징점으로 인식하기 위한 알려진 여러 알고리즘들과 머신러닝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부(120)는 다음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각 영역들을 특정할 수 있다.
먼저, 입력 데이터에서 횡단보도 표시선(PCS)을 인식하여 횡단보도 영역(A1)을 구획한다(S1). 다음으로, 입력 데이터에서 횡단보도 정지선(SL) 및 최외곽 차선(OL)을 인식하여 차량 진출입 영역(A2)을 구획한다. 이어서, 횡단보도 영역(A1)과 차량 진출입 영역(A2) 사이의 횡단보조 영역(A3)을 구획한다. 계속하여, 횡단보도 영역(A1) 및 횡단보조 영역(A3)에 인접하는 도로경계석(BS)을 인식하여 횡단 인접 영역(A4)을 구획한다. 마지막으로, 차량 진출입 영역(A2)에 인접하는 도로경계석(BS)을 인식하여 차량 진출입 인접 영역(A5)을 구획한다.
구획된 결과는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영상 처리 장치는 고정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획된 결과를 저장부에 저장해 두고 활용한다. 이는 특정부에 의해 상술한 특정하는 과정들이 수행되는 주기를 최소화한다. 오차 보정을 위해 특정하는 과정들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일일 단위, 주 단위 등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정부에 의해 특정된 각 구획들은 후술하는 분석부에 의해 스쿨존 내 안전 통합 지원을 위한 여러 정보(보행자 정보, 차량 진입 정보 및 불법 주정차 정보)를 도출하는 데에 사용된다.
분석부(140)는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보행자 정보, 차량 진입 정보 및 불법 주정차 정보를 도출한다.
상세하게, 입력부(110)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구획(A1, A3, A4)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보행자 정보를 도출하고, 제2 구획(A2, A5)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차량 진입 정보를 도출하며, 제1 및 제2 구획들(A1, A2, A3, A4, A5)의 경계구간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불법 주정차 정보를 도출한다. 이때, 분석부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함에 비해, 각 구획들은 상기 특정부에 의해 미리 특정되어 있음을 주목한다.
보행자 정보를 도출하기 위해 제1 구획(A1, A3, A4) 전체에 대해 보행자용 신호등의 파란불이 켜진 시간동안 입력 영상이 분석될 수 있다. 보행자용 횡단 가능 신호는 일정한 주기를 갖고서 켜지므로, 그러한 주기마다 보행자 정보가 도출되게 된다. 보행자 정보는 해당 횡단 가능 신호에서 제1 구획에 등장한 객체(바람직하게는 보행자)의 수를 카운팅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 영상으로부터 보행자의 수를 인식하기 위한 알려진 여러 알고리즘들과 머신러닝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차량 진입 정보를 도출하기 위해 제2 구획(A2, A5) 전체에 대해 차량용 신호등의 노란불 및 빨간불이 켜진 시간동안 입력 영상이 분석될 수 있다. 차량용 주행 불가 신호는 일정한 주기를 갖고서 켜지므로, 그러한 주기마다 차량 진입 정보가 도출되게 된다. 차량 진입 정보는 해당 주행 불가 신호에서 제2 구획에 등장한 객체(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존부 내지는 객체의 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 영상으로부터 특정 영역에 등장한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알려진 여러 알고리즘들과 머신러닝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불법 주정차 정보를 도출하기 위해 제1 및 제2 구획들(A1, A2, A3, A4, A5)의 경계구간에 대해 실시간으로 입력 영상이 분석될 수 있다. 불법 주정차 정보는 제1 및 제2 구획들의 경계구간에 걸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존재하는 객체가 존재하는지에 관한 정보, 해당 객체의 차량번호판 인식 정보 및 해당 객체의 차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은 일례로, 1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 영상으로부터 차량을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존재하는지를 인식하고, 차량번호판을 인식하고, 차종을 인식하는 알려진 여러 알고리즘들과 머신러닝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경계구간은 제1 구획들간의 경계, 제2 구획들간의 경계 및 제1 구획과 제2 구획간의 경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획별로 객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각 정보가 입력 영상으로부터 더욱 빠르게 도출될 수 있다. 제1 구획 전체에 대해 일정 시간마다 보행자의 수를 카운팅하는 것, 제2 구획 전체에 대해 일정 시간마다 차량의 진입 수를 카운팅하는 것, 그리고, 제1 및 제2 구획들의 경계에서 기설정된 시간 이상 존재하는 차량의 존부를 판단하는 것은 각 정보를 도출하기 위한 가장 최적화된 기준을 제공한다. 횡단 가능 신호에 횡단한 보행자의 수는 제1 구획 내에서 발생한 것만으로도 판단해도 유효하기 때문이다. 주행 불가 신호에 횡단보도를 향해 진입한 차량의 수는 제2 구획 내에서만 발생한 것만으로도 판단해도 유효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불법 주정차는 제1 및 제2 구획들의 경계구간 내에서 발생한 것만으로도 판단해도 유효하기 때문이다. 불법 주정차 중인 차량이 단일 A1 영역에만 존재할 수 없음을 생각하면 된다. 마찬가지로, A2 영역에서만 인식된 차량이 불법 주정차 중인 것으로 볼 수 없고, A3 영역에서만 인식된 차량이 불법 주정차 중인 것으로 볼 수 없으며, A4 또는 A5 영역에서만 인식된 차량이 불법 주정차 중인 것으로 볼 수 없음을 생각하면 된다. 불법 주정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1 내지 A5 영역들 중 경계구간에서 발생한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불법 주정차로 판단될 수 있는 상황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획들에 대해 인식된 객체인 차량이 매칭된 결과가 도시된다.
도 5a는 제2 구획들간의 경계(즉, A2 및 A5간의 경계)구간에서 인식된 객체(Ve)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불법 주정차 정보를 도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b는 제1 및 제2 구획들간의 경계(즉, A1, A3, A4 중 적어도 하나 및 A2, A5 중 적어도 하나간의 경계)구간에서 인식된 객체(Ve)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불법 주정차 정보를 도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c는 제1 구획들간의 경계(즉, A1, A3, A4간의 경계)구간에서 인식된 객체(Ve)가 기설정된 시간 이상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불법 주정차 정보를 도출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입력 영상으로부터 인식된 객체가 미리 정해진 구획 또는 구획들간의 경계에 대해 존재하는지를 판단함으로서 보다 빠른 보행자 수, 진입 차량 수 및 불법 주정차 차량 판단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출된 정보가 주변 IoT 전광판들로 전송된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분석된 결과가 운전자용 IoT 전광판(200)에 표시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 분석된 결과가 보행자용 IoT 전광판(300)에 표시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분석부(140)에 의해 도출된 보행자 정보가 제1 전송부(150)에 의해 주변 IoT 장치인 제1 전광판(200)으로 전송된다.
제1 전송부에 의한 보행자 정보의 전송은 직전 보행 신호에 수집된 보행자의 수가 현재 주행 가능 신호에 전송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지나가는 운전자 차량의 속도가 36이고, 직전 보행 신호 보행자의 수가 9명이라는 정보가 두 개의 표시부들(210, 220)을 통해 출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정보는 직전 횡단 가능 신호에서 도출된 보행자의 수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신호등에는 주행 가능 신호가 켜져 있음을 주목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스쿨존을 지나면서, 직전 횡단 가능 신호에서 보행자가 얼마나 있었는지를 알 수 있고, 운전자의 주의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즉, 전방에 횡단하는 보행자가 안 보인다고 하더라도, 직전 주행 가능 신호에서 보행자가 얼마나 있었는지를 제1 전광판을 통해서 확인함으로써 보다 통행에 주의할 수 있다. 단순히 보행자의 수를 전달하는 데에서 나아가 전광판에 새로운 숫자가 하나 더 표기됨으로써 주의력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스쿨존 내 자동차용 신호와 보행자용 신호는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므로, 주기별 횡단 가능 신호에서 도출된 보행자의 수가 주기별 주행 가능 신호에 제1 전광판에 표시되도록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장치는 설치되는 곳의 신호등 제어 시스템(일례로, 교통신호제어기)과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등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횡단 가능 신호의 온오프 시점에 관한 정보 및 주행 가능 신호의 온오프 시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동기화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분석부(140)에 의해 도출된 차량 진입 정보가 제1 전송부(150)에 의해 주변 IoT 장치인 제2 전광판(300)으로 전송된다.
제1 전송부에 의한 차량 진입 정보의 전송은 현재 주행 불가 신호(노란불이 켜진 시점부터 빨간불이 꺼질 때까지)에 수집된 차량의 진입 여부 내지는 차량의 진입 수가 전송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차량 접근 중이고, 한 걸음 물러서라는 정보가 스피커부(310)와 표시부(320)를 통해 출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정보는 현재 주행 불가 신호에서 도출된 차량 진입 정보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용 신호등에는 횡단 가능 신호가 켜져 있음을 주목한다. 따라서, 보행자는 스쿨존을 횡단하면서, 현재 횡단 가능 신호에서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차량이 있는지 여부 내지는 차량의 수를 알 수 있고, 보행자의 주의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즉, 횡단보도로 진입 중인 차량이 보이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차량 주행 불가 신호가 켜지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수집되는 진입 차량 존부 내지는 수를 제2 전광판을 통해서 확인함으로써 보다 통행에 주의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분석부(140)에 의해 도출된 불법 주정차 정보가 제1 전송부(150)에 의해 주변 IoT 장치인 제2 전광판(300)으로 전송된다.
제1 전송부에 의한 불법 주정차 정보의 전송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기설정된 시간 이상 존재하는 차량의 정보가 전송된다. 전송되는 정보는 차량번호 및 차종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봉고 1234 차량이 불법 주정차 중이라는 정보가 스피커부(310)와 표시부(320)를 통해서 출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정보는 실시간으로 도출된 불법 주정차 차량 정보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보행자용 신호등이 횡단 불가 신호가 켜져 있는 상황이 도시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횡단 가능 신호인지 또는 주행 가능 신호인지와 무관하게 기설정된 시간 이상 존재하는 객체가 존재하면 바로 전송된다. 불법 주정차는 신호와 무관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화면뿐만 아니라 음향으로도 출력됨으로써 보행자는 더욱 주의를 기울일 수 있고, 불법 주정차 중인 차량의 소유자도 소리를 듣고서 자신의 차량이 불법 주정차 중임을 보다 정확히 인지할 수 있다. 기존에는 불법 주정차 중인 경우, 단순히 단속 정보만이 차량 소유자에게 문자 등을 통해 전송되는 특정인 알림 방식이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쿨존 내 불특정 다수에게 전송됨으로써 더욱 불법 주정차에 대한 경각심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영상으로부터 분석되는 불법 주정차 정보가 더 오랜 시간 지속되는 경우, 제2 전송부가 관여할 수 있다.
상세하게, 분석부(140)는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1 및 제2 구획들의 경계에 걸쳐서 기설정된 제2 시간 이상 존재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 앞서 도출된 불법 주정차 정보의 차량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입력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이벤트 발생 여부의 기준이 된다.
기설정된 제2 시간은 상술한 기설정된 시간보다 긴 시간일 수 있다. 일례로, 5분일 수 있다. 상술한 기설정된 시간이 제1 시간이라면, 이보다 긴 제2 시간 지속되는 경우 단속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요컨대, 제1 및 제2 구획들의 경계구간에서 기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존재하는 차량이 인식되는 경우, 불법 주정차 정보를 생성하여 제1 전송부를 통해 제2 전광판(300)으로 전송한다. 제1 이벤트 발생이라 볼 수 있고, 이 경우, 인식된 차량번호 및 차종정보만이 전송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구획들의 경계구간에서 기설정된 제2 시간 이상 존재하는 차량이 인식되는 경우, 불법 주정차 단속 정보를 생성하여 제2 전송부를 통해 관제 서버(10)로 전송한다. 제2 이벤트 발생이라 볼 수 있고, 이 경우, 인식된 차량번호 및 영상 데이터가 함께 전송된다.
불법 주정차 단속 정보는 차량번호뿐만 아니라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술한 불법 주정차 정보는 스쿨존 내 불특정 다수에 대해 이루어지는 일종의 경고 방송이므로, 영상 데이터 없이, 차량번호와 차종정보면 경고가 충분하다. 반면, 불법 부정차 단속 정보는 실제 법령 위반에 대한 단속이므로 관제 서버가 영상 데이터를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쿨존 CCTV에 최적화된 에지형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입력 영상으로부터 신속히 보행자 정보, 차량 진입 정보 및 불법 주정차 정보를 도출하여 실시간으로 스쿨존 내 보행자와 운전자를 위한 알림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주변 IoT 장치들은 실시간으로 정보를 수신하여 알림을 출력할 수 있고, 관제실에서는 단속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수신함으로써 관제 센터 내 관리자의 단속에 대한 업무 부담을 줄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
10 : 관제 서버
20 : 관제실
100 : 영상 처리 장치
110 : 입력부
120 : 특정부
130 : 저장부
140 : 분석부
150 : 제1 전송부
160 : 제2 전송부
200 : 운전자용 IoT 전광판
210 : 운행 속도 표시부
220 : 운전자용 통합 정보 표시부
300 : 보행자용 IoT 전광판
310 : 스피커부
320 : 표시부
TA : 횡단구역
NTA : 비횡단구역
A1 : 횡단보도 영역
A2 : 차량 진출입 영역
A3 : 횡단보조 영역
A4 : 횡단 인접 영역
A5 : 차량 진출입 인접 영역
CA : 카메라
EN : 함체
FS : 거치 시설물
PL : 전력선
NL : 네트워크선
10 : 관제 서버
20 : 관제실
100 : 영상 처리 장치
110 : 입력부
120 : 특정부
130 : 저장부
140 : 분석부
150 : 제1 전송부
160 : 제2 전송부
200 : 운전자용 IoT 전광판
210 : 운행 속도 표시부
220 : 운전자용 통합 정보 표시부
300 : 보행자용 IoT 전광판
310 : 스피커부
320 : 표시부
TA : 횡단구역
NTA : 비횡단구역
A1 : 횡단보도 영역
A2 : 차량 진출입 영역
A3 : 횡단보조 영역
A4 : 횡단 인접 영역
A5 : 차량 진출입 인접 영역
CA : 카메라
EN : 함체
FS : 거치 시설물
PL : 전력선
NL : 네트워크선
Claims (9)
- 에지형 감시 시스템 방식이 적용된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으로서,
감시 대상 구역에 설치되는 인공지능 영상 처리 장치;
상기 영상 처리 장치와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2 이상의 주변 IoT 전광판들; 및
상기 영상 처리 장치와 제2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스쿨존 관심영역을 특정하는 특정부-상기 관심영역은 횡단구역을 정의하는 제1 구획들 및 비횡단구역을 정의하는 제2 구획들을 포함함-;
상기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구획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보행자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제2 구획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차량 진입 정보를 도출하며, 상기 제1 및 제2 구획들의 경계구간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불법 주정차 정보를 도출하는 분석부; 및
상기 보행자 정보를 운전자를 위한 제1 IoT 전광판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 진입 정보 및 상기 불법 주정차 정보를 보행자를 위한 제2 IoT 전광판으로 전송하는 제1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획들은 상기 감시 대상 구역 내에 횡단보도 표시선, 횡단보도 정지선 및 이들과 인접하는 도로경계석을 특징점으로 하여 구획되고,
상기 제2 구획들은 상기 감시 대상 구역 내에 횡단보도 정지선, 최외곽 차선 및 이들과 인접하는 도로경계석을 특징점으로 하여 구획되며,
상기 특정부는, 입력 데이터에서 횡단보도 표시선을 인식하여 횡단보도 영역을 구획하는 제1 단계;
횡단보도 정지선 및 최외곽 차선을 인식하여 차량 진출입 영역을 구획하는 제2 단계;
상기 횡단보도 영역과 상기 차량 진출입 영역 사이의 횡단보조 영역을 구획하는 제3 단계;
상기 횡단보도 영역 및 횡단보조 영역에 인접하는 도로경계석을 인식하여 횡단 인접 영역을 구획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차량 진출입 영역에 인접하는 도로경계석을 인식하여 차량 진출입 인접 영역을 구획하는 제5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스쿨존 관심영역을 특정하고,
상기 제1 구획들은 상기 횡단보도 영역, 상기 횡단보조 영역 및 상기 횡단 인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획들은 상기 차량 진출입 영역 및 상기 차량 진출입 인접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보행자 정보는 상기 제1 구획 전체에 대해 보행자용 신호등의 횡단 가능 신호가 켜진 시간동안 존재하는 보행자의 수를 판별하여 도출되고,
상기 차량 진입 정보는 상기 제2 구획 전체에 대해 차량용 신호등의 주행 불가 신호가 켜진 시간동안 등장한 차량의 수를 판별하여 도출되며,
상기 불법 주정차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구획들의 경계에 걸쳐서 기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존재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및 차종정보를 인식하여 도출되되,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설치되는 곳의 교통신호제어기로부터 횡단 가능 신호의 온오프 시점에 관한 정보 및 주행 가능 신호의 온오프 시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동기화됨으로써, 상기 제1 전송부에 의한 상기 제1 IoT 전광판으로 상기 보행자 정보의 전송은 직전 횡단 가능 신호에 수집된 보행자의 수가 현재 주행 가능 신호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구획들의 경계에 걸쳐서 기설정된 제2 시간 이상 존재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 상기 차종정보와 함께 인식된 차량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번호를 상기 영상 데이터와 함께 관제 서버로 전송하는 제2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IoT 전광판은 차량용 신호등과 동일한 시야각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 IoT 전광판은 보행자용 신호등과 동일한 시야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스쿨존에 설치된 CCTV 카메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CCTV 카메라는 스쿨존 거치 시설물에 구비된 함체와 전력선 및 네트워크선을 통해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함체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 - 에지형 감시 시스템 방식이 적용된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 영상 처리 장치로서,
2 이상의 주변 IoT 전광판들과 연동되어 제1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되,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스쿨존 관심영역을 특정하는 특정부-상기 관심영역은 횡단구역을 정의하는 제1 구획들 및 비횡단구역을 정의하는 제2 구획들을 포함함-;
상기 입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제1 구획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보행자 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제2 구획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차량 진입 정보를 도출하며, 상기 제1 및 제2 구획들의 경계구간으로부터 인식된 객체로부터 불법 주정차 정보를 도출하는 분석부; 및
상기 보행자 정보를 운전자를 위한 제1 IoT 전광판으로 전송하고, 상기 차량 진입 정보 및 상기 불법 주정차 정보를 보행자를 위한 제2 IoT 전광판으로 전송하는 제1 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획들은 감시 대상 구역 내에 횡단보도 표시선, 횡단보도 정지선 및 이들과 인접하는 도로경계석을 특징점으로 하여 구획되고,
상기 제2 구획들은 상기 감시 대상 구역 내에 횡단보도 정지선, 최외곽 차선 및 이들과 인접하는 도로경계석을 특징점으로 하여 구획되며,
상기 특정부는, 입력 데이터에서 횡단보도 표시선을 인식하여 횡단보도 영역을 구획하는 제1 단계;
횡단보도 정지선 및 최외곽 차선을 인식하여 차량 진출입 영역을 구획하는 제2 단계;
상기 횡단보도 영역과 상기 차량 진출입 영역 사이의 횡단보조 영역을 구획하는 제3 단계;
상기 횡단보도 영역 및 횡단보조 영역에 인접하는 도로경계석을 인식하여 횡단 인접 영역을 구획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차량 진출입 영역에 인접하는 도로경계석을 인식하여 차량 진출입 인접 영역을 구획하는 제5 단계;를 수행하여 상기 스쿨존 관심영역을 특정하고,
상기 제1 구획들은 상기 횡단보도 영역, 상기 횡단보조 영역 및 상기 횡단 인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획들은 상기 차량 진출입 영역 및 상기 차량 진출입 인접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보행자 정보는 상기 제1 구획 전체에 대해 보행자용 신호등의 횡단 가능 신호가 켜진 시간동안 존재하는 보행자의 수를 판별하여 도출되고,
상기 차량 진입 정보는 상기 제2 구획 전체에 대해 차량용 신호등의 주행 불가 신호가 켜진 시간동안 등장한 차량의 수를 판별하여 도출되며,
상기 불법 주정차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구획들의 경계에 걸쳐서 기설정된 제1 시간 이상 존재하는 차량의 차량번호 및 차종정보를 인식하여 도출되되,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설치되는 곳의 교통신호제어기로부터 횡단 가능 신호의 온오프 시점에 관한 정보 및 주행 가능 신호의 온오프 시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동기화됨으로써, 상기 제1 전송부에 의한 상기 제1 IoT 전광판으로 상기 보행자 정보의 전송은 직전 횡단 가능 신호에 수집된 보행자의 수가 현재 주행 가능 신호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을 위한 영상 처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2581A KR102257428B1 (ko) | 2020-11-27 | 2020-11-27 |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62581A KR102257428B1 (ko) | 2020-11-27 | 2020-11-27 |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7428B1 true KR102257428B1 (ko) | 2021-05-31 |
Family
ID=76150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62581A KR102257428B1 (ko) | 2020-11-27 | 2020-11-27 |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742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6934B1 (ko) * | 2021-10-01 | 2021-12-08 | 주식회사 라이브시큐 | 스쿨존 내 보행자 위험요소인 차량, 개인용 이동차량의 이동 상황을 ai분석하여 vms에 표출하고 관제센터에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2411348B1 (ko) * | 2022-03-31 | 2022-06-22 | (주)세영통신 |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
KR20230049840A (ko) * | 2021-10-07 | 2023-04-14 | 이재건 | 주행로봇을 이용한 스쿨존 단속 시스템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16759A (ko) * | 2006-06-08 | 2006-11-15 | (주)한일에스티엠 | 어린이보호구역 통합 감시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1031995B1 (ko) * | 2010-08-16 | 2011-05-02 | (유)티에스산업개발 | 어린이보호구역내 명시적 안전교통 지도시스템 |
KR101241623B1 (ko) * | 2012-07-06 | 2013-03-18 | 박상현 | 방범기능 삽입형 횡단보도 교통안전지도시스템 |
KR20140014987A (ko) * | 2012-07-27 | 2014-02-06 | 휴앤에스(주) | 스쿨존 안전통행 시스템 |
KR20140063049A (ko) * | 2012-11-16 | 2014-05-27 | 딕스비전 주식회사 | 다목적 횡단보도 스마트 안전지도시스템 |
-
2020
- 2020-11-27 KR KR1020200162581A patent/KR1022574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16759A (ko) * | 2006-06-08 | 2006-11-15 | (주)한일에스티엠 | 어린이보호구역 통합 감시방법 및 그 시스템 |
KR101031995B1 (ko) * | 2010-08-16 | 2011-05-02 | (유)티에스산업개발 | 어린이보호구역내 명시적 안전교통 지도시스템 |
KR101241623B1 (ko) * | 2012-07-06 | 2013-03-18 | 박상현 | 방범기능 삽입형 횡단보도 교통안전지도시스템 |
KR20140014987A (ko) * | 2012-07-27 | 2014-02-06 | 휴앤에스(주) | 스쿨존 안전통행 시스템 |
KR20140063049A (ko) * | 2012-11-16 | 2014-05-27 | 딕스비전 주식회사 | 다목적 횡단보도 스마트 안전지도시스템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6934B1 (ko) * | 2021-10-01 | 2021-12-08 | 주식회사 라이브시큐 | 스쿨존 내 보행자 위험요소인 차량, 개인용 이동차량의 이동 상황을 ai분석하여 vms에 표출하고 관제센터에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230049840A (ko) * | 2021-10-07 | 2023-04-14 | 이재건 | 주행로봇을 이용한 스쿨존 단속 시스템 |
KR102590278B1 (ko) * | 2021-10-07 | 2023-10-17 | 이재건 | 주행로봇을 이용한 스쿨존 단속 시스템 |
KR102411348B1 (ko) * | 2022-03-31 | 2022-06-22 | (주)세영통신 | 사고 다발지역 노면 상태 표시용 디지털 전광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57428B1 (ko) | 스쿨존 안전 통합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장치 | |
CN113347254B (zh) | 基于v2x的智能交通控制车联网系统及其控制方法 | |
US10303257B2 (en) | Communication between autonomous vehicle and external observers | |
US9153128B2 (en) | Traffic signal device for driver/pedestrian/cyclist advisory message screen at signalized intersections | |
KR101869391B1 (ko) | 지능형 주차 관리 시스템 | |
KR101696881B1 (ko) | 교통 정보 분석 방법 및 장치 | |
US681355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commercial value to traffic control systems | |
US10733883B1 (en) | Configurable virtual traffic detection system under predictive signal states | |
KR102606475B1 (ko) | 우회전 차량 단속 장치 및 방법 | |
KR102510542B1 (ko) | 스마트 교차로를 위한 3차원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153980B1 (ko) | 차량 감시 장치 | |
WO2017015297A1 (en) | Multi-stream based traffic enforcement for complex scenarios | |
KR102226533B1 (ko) | 일체형 가로등주로 구성된 스마트 도로 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JP2012003602A (ja) | 情報提供装置、及び走行支援システム | |
KR20090022232A (ko) | 주차정보제공및 불법주차와 불법차량의 무인단속시스템 | |
EP3147882A1 (en) | A system and a method for a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 |
KR20200024727A (ko) | 이동 id 그룹 정보를 이용한 위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
KR102111363B1 (ko) | IoT기반의 카메라 그룹핑을 이용한 터널 내 유고 감시 시스템 | |
KR101694155B1 (ko) | 주행 차량 분석 장치 및 그 방법 | |
CN109472732B (zh) | 一种智慧高速综合管控方法及管控平台 | |
CN114863690B (zh) | 一种实线变道的识别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 |
EP214309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capturing potential traffic infractions | |
RU2564469C1 (ru) |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вижением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на перекрестке | |
KR102077315B1 (ko) | 지능형 교통정보제공장치 및 정보제공방법 | |
Bubelíny et al. | The use of smart elements for the transport operation in the slovak citi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