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215B1 - Indian tent for playing - Google Patents
Indian tent for play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9215B1 KR102249215B1 KR1020190094771A KR20190094771A KR102249215B1 KR 102249215 B1 KR102249215 B1 KR 102249215B1 KR 1020190094771 A KR1020190094771 A KR 1020190094771A KR 20190094771 A KR20190094771 A KR 20190094771A KR 102249215 B1 KR102249215 B1 KR 1022492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tent
- support member
- present
- india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82472 Canis lupus familiari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51 e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6—Tents used as toy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8—Playhouses, play-tents, big enough for playing insid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놀이용 인디언 텐트에 관한 것으로, 장식부(26)(28)와 조립홈(22)(24)을 갖는 엑스형 연결부재(34)(36)에 지지부재(38)(40)(42)(44)가 연결된 한쌍의 지지틀(12)(14)을 조립고정하여 프레임(16)을 형성한 후 중간지지부재(38)(40)의 이용여부에 따른 프레임(16)의 크기에 따라 크고 작은 2종의 커버(18)(20)를 프레임(16)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하여 길이를 최소화로 배송 및 보관시 공간활용률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고, 설치시에는 프레임(16)의 4개의 장식부(26)(28)가 커버(18)(20) 상부로 돌출하여 인디언 텐트 고유의 외형적 특징을 살려줄 수 있도록 하며, 중간지지부재(38)(40)의 사용유무에 따른 프레임(16)의 크기변화 및 그에 따른 커버(18)(20)의 선택적인 이용으로 반려견용 텐트와 인형놀이용 텐트 및 소품용 텐트 등으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ian tent for play, and supports members 38, 40, and X-shaped connecting members 34 and 36 having decorative portions 26 and 28 and assembly grooves 22 and 24. 42) After assembling and fixing a pair of support frames 12 and 14 to which 44 is connected to form the frame 16, the size of the frame 16 depends on whether or not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s 38 and 40 are used. Accordingly, it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nect and use two types of covers 18 and 20 to the frame 16 so that the length is minimized to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rate during delivery and storage. ) Of the four decorative parts (26) (28) protruding from the top of the cover (18) (20) to make use of the unique external features of the Indian tent, and whether or not intermediate support members (38) (40) are used. The size of the frame 16 according to the change and the selective use of the cover 18, 20 accordingly, it is to be used as a tent for dogs, a tent for playing dolls, a tent for small items, and the like.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아나 어린이들의 실내놀이시 독립된 공간을 확보해주기 위한 놀이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y tent for securing an independent space during indoor play of infants and children.
일반적으로 유아나 어린이들은 자신만의 영역을 갖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적인 심리가 작용하게 되므로 실내 구석진공간 내에 독립된 공간을 마련해주게 되면 놀이용으로서의 기능은 물론 정서발달에도 큰 도움을 줄 수가 있게 된다.In general, infants and children have their own instinctive psychology to have their own domain, so providing an independent space within the indoor corner can provide great help not only for the function of play but also for the development of emotions.
또한 유아나 어린이들의 실내놀이시 공간을 확보해주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는 인디언 텐트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의 선행기술로서는 본원출원인이 제공한 등록특허 10-1497605호 '매트 겸용 인디언 텐트'를 비롯하여 등록실용신안 20-0471832호 '안정성 확보를 위한 놀이용 인디언 텐트 구조' 및 등록특허 10-1577968호 '환기구조를 구비한 인디언 텐트' 등을 예로들 수가 있다.In addition, as a means to secure a space for infants and children to play indoors, an Indian tent that can stimulate curiosity is widely used, and as a prior art of such a playable Indian tent, Patent No. 10-1497605 provid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Including an Indian tent for combined use of mats, registration utility model 20-0471832,'A playable Indian tent structure for securing stability', and Patent No. 10-1577968,'Indian tent with ventilation structure' may be exemplified.
그러나 이들 모두는 단순히 측면상 삼각을 이루는 연결구 하부에 복잡한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지지대를 연결고정하여 다각뿔형의 프레임을 형성한 후 그 프레임에 커버를 씌워서 끼움공이나 벨크로테이프 등으로 고정해주도록 한 것으로서, 각 지지대는 길이가 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취급이 어려울 뿐 아니라 배송 및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프레임의 조립시에는 연결구에 복잡한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각기 길이가 긴 복수개의 지지대를 연결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 프레임은 단순히 다각뿔형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각 지지봉의 상단부가 서로 교차하여 커버 상부로 일부 돌출되는 인디언 텐트 고유의 외형적 특징은 살려주지 못해 사실감이나 미감적 가치가 떨어지게 되며, 크기의 축소를 통한 용도전환이 불가능하여 이용가치가 떨어지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However, all of them simply connect and fix a plurality of supports at the bottom of the triangular connector on the side to form a polygonal pyramidal frame, and then cover the frame and fix it with a fitting hole or velcro tape. As a result, since each support is made of a long integral type, it is difficult to handle and takes up a lot of space when shipping and storag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connecting, and the frame is simply made of a polygonal pyramid, so the upper end of each support bar crosses each other and partially protrudes from the top of the cover. However,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the inability to change usage through reduction in size,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value of use.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임의 분해시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사용을 위한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설치시 인디언 텐트 고유의 외형적 특징을 살려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크기를 축소하여 다른 용도로 이용하도록 할 수가 있는 놀이용 인디언 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the length when disassembling the frame, to assemble for use quickly and easily, to make use of the unique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Indian tent upon installation, and to reduce the size as necessary. It is to provide an Indian tent for play that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 놀이용 인디언 텐트는 장식부와 조립홈을 갖는 엑스형 연결부재에 지지부재가 연결된 한쌍의 지지틀을 조립고정하여 프레임을 형성한 후 중간지지부재의 이용여부에 따른 프레임의 크기에 따라 크고 작은 2종의 커버를 프레임에 선택적으로 연결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Indian tent for 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frame is formed by assembling and fixing a pair of support frames connected to the support member to an X-shaped connection member having a decorative part and an assembly groove, and then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n intermediate support member is u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by selectively connecting two types of covers, large and small, to the fram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rame.
본 발명은 프레임(16)의 분해시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할 뿐 아니라 배송 및 보관시 공간활용률을 높여줄 수 있고, 설치시에는 프레임(16)의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프레임(16)의 엑스형 연결부재(34)(36)가 갖는 4개의 장식부(26)(28)가 커버(18)(20) 상부로 돌출하여 인디언 텐트 고유의 외형적 특징을 살려주게 되므로 인디언 텐트로서의 사실감이나 미감적 가치를 높여줄 수 있게 되며, 프레임(16)의 조립시 중간지지부재(38)(40)를 제외하여 프레임(16)의 크기를 축소하면서 축소된 프레임(16)에 작은커버(20)를 연결형성해주게 되면 반려견용 텐트와 인형놀이용 텐트 및 소품용 텐트 등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제품의 이용가치를 높여줄 수가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length of the
도 1 :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4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5 :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의 사시도
도 6 :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7 :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분해사시도1: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main parts of a fram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동일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기술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xcept that the same compon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or functions are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mitted in order not to lo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 놀이용 인디언 텐트(10)는 한쌍의 지지틀(12)(14)로 이루어진 프레임(16) 및 상기 프레임(16)에 연결형성되는 커버(18)(20)로 구성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요부 분해사시도로서, 프레임(16)을 구성하는 한쌍의 지지틀(12)(14)은 각각 상하로 마주하는 곳에 조립홈(22)(24)이 형성되고 또 상하에는 장식부(26)(28)와 연결부(30)(32)가 형성되는 엑스형 연결부재(34)(36)와, 엑스형 연결부재(34)(36)의 각 연결부(30)(32)에 연결고정되는 중간지지부재(38)(40) 및 각 중간지지부재(38)(40)의 하단에 연결고정되는 하부지지부재(42)(44)로 이루어져 엑스형 연결부재(34)(36)가 갖는 조립홈(22)(24)을 이용하여 조립고정해주게 되면 몸체는 사각뿔형으로 이루어지고 또 몸체 상부에는 4개의 장식부(26)(28)가 돌출된 프레임(16)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essential parts of a fram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또한 프레임(16)의 지지틀(12)(14)을 구성하는 엑스형 연결부재(34)(36)와 중간지지부재(38)(40) 및 하부지지부재(42)(44)는 각기 서로간에 연결부(30)(32)의 측면에 마주보게 형성되는 결합홈(46)(48)과 결합돌부(50)(52)의 결합 및 상기 결합홈(46)(48)과 결합돌부(50)(52)를 관통하는 볼트(54)(56)와 너트(58)(60)의 죄임에 의해 연결고정되게 하고, 엑스형 연결부재(34)(36)의 연결부(30)(32)와 중간지지부재(38)(40) 및 하부지지부재(42)(44)의 일면에는 커버(18)(20)를 연결하기 위한 걸림구(62)(64)가 돌출형성된다.In addition, the X-shaped
또한 프레임(16)에 커버(18)(20)를 연결형성해주기 위한 걸림구(62)(64)의 고정수단으로서는 볼트(54)(56)와 너트(58)(60)에 의한 고정 및 접착제를 이용한 고정 등 다양한 고정수단을 예로들 수 있는데, 걸림구(62)(64)의 고정수단으로서 볼트(54)(56)와 너트(58)(60)가 이용될 경우 걸림구(62)(64)에 너트(58)(60)를 삽입고정하여 사용하면 되며, 더 나아가 엑스형 연결부재(34)(36)와 중간지지부재(38)(40) 및 하부지지부재(42)(44)를 연결고정하는 너트(58)(60)도 걸림구(62)(64)에 삽입고정하여 프레임(16)의 각 연결부위에도 걸림구(62)(64)가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a means for fixing the
그리고 커버(18)(20)는 펼침시 프레임(16)의 몸체와 같이 사각뿔형으로 형성하고 또 프레임(16)의 크기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는 2종으로 제작하면서 각각 프레임(16)에 대한 연결선을 따라 걸림고리(66)(68)가 연결형성되게 하고 또 상부에는 프레임(16)에 묶어서 고정해주기 위한 연결끈(70)(72)이 형성되게 하여 프레임(16) 내측에서 걸림고리(66)(68)와 연결끈(70)(72)을 이용하여 프레임(16)에 연결형성해주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이용되는 프레임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프레임(16)의 크기를 축소하고 또 그에 따라 별도로 준비한 작은커버(20)를 프레임(16)에 연결형성하여 다른 용도로 이용하도록 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us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즉, 프레임(16)을 구성하는 지지틀(12)(14)의 조립시 엑스형 연결부재(34)(36)의 각 연결부(30)(32)에 중간지지부재(38)(40)를 제외하고 하부지지부재(42)(44)를 곧바로 연결고정하여 프레임(16)의 크기를 축소하면서 축소된 프레임(16)의 크기에 따라 작게 제작된 작은커버(20)를 축소된 프레임(16)에 연결형성하여 다른 용도로 이용하도록 구성된다.That is, when assembling the
따라서 본 발명은 프레임(16)이 한쌍의 지지틀(12)(14)로 분리구성되고 또 지지틀(12)(14)은 각각 엑스형 연결부재(34)(36)와 중간지지부재(38)(40) 및 하부지지부재(42)(44)로 분리구성되므로 조립전이나 분해시 길이를 최소화할 수가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프레임(16)을 구성하는 한쌍의 지지틀(12)(14)은 각각 엑스형 연결부재(34)(36)와 중간지지부재(38)(40) 및 하부지지부재(42)(44)로 분리구성되나, 이들은 각기 결합홈(46)(48)과 결합돌부(50)(52)에 의한 결합상태에서 볼트(54)(56)와 너트(58)(60)를 이용하여 연결고정해주면 되고 또 한쌍의 지지틀(12)(14)은 조립홈(22)(24)을 이용하여 상하로 조립고정하여 프레임(16)을 형성해주면 되므로 프레임(16)의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또한 프레임(16)을 조립고정한 후에는 프레임(16) 내측에 커버(18(20)를 결합하여 커버(18)(20)에 연결선을 따라 형성된 걸림고리(66)(68)를 프레임(16)이 갖는 걸림구(62)(64)에 걸어주고 또 상부에 갖는 연결끈(70)(72)을 프레임()의 엑스형 연결부재(34)(36)에 묶어서 연결해주면 되므로 간단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after assembling and fixing the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프레임(16)을 구성하는 지지틀(12)(14)의 조립시 엑스형 연결부재(34)(36)에 하부지지부재(42)(44)를 곧바로 연결고정하여 프레임(16)의 크기를 축소하고 또 크기가 축소된 프레임(16)에 작은커버(20)를 연결형성해주게 되면 반려견용 텐트와 인형놀이용 텐트 및 소품용 텐트 등으로 이용할 수가 있게 된다.5 to 7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ssembling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 권리범위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는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10)--놀이용 인디언 텐트 (12)(14)--지지틀
(16)--프레임 (18)(20)--커버
(22)(24)--조립홈 (26)(28)--장식부
(30)(32)--연결부 (34)(36)--엑스형 연결부재
(38)(40)--중간지지부재 (42)(44)--하부지지부재
(46)(48)--결합홈 (50)(52)--결합돌부
(54)(56)--볼트 (58)(60)--너트
(62)(64)--걸림구 (66)(68)--걸림고리
(70)(72)--연결끈(10)--Indian tent for play (12)(14)--Support frame
(16)--Frame (18)(20)--Cover
(22)(24)--Assembly groove (26)(28)--Decoration
(30)(32)--connection part (34)(36)--X-type connection member
(38)(40)--Intermediate support member (42)(44)--Lower support member
(46)(48)--Mating groove (50)(52)--Mating protrusion
(54)(56)--Bolt (58)(60)--Nut
(62)(64)--hook (66)(68)--hook
(70)(72)--Tip
Claims (4)
연결선을 따라 복수개의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또 상기 프레임 내에 연결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틀은,
장식부와 연결부를 갖도록 엑스형으로 형성된 연결부재; 및
중간지지부재와 하부지지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부에 중간지지부재를 이용하여 하부지지부재를 연결고정하거나 또는 연결부재의 연결부에 하부지지부재를 곧바로 연결고정하여 프레임의 크기를 달리해주도록 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틀의 연결부재와 지지부재는 각기 연결부의 측면에 마주보게 형성되는 결합홈과 결합돌부의 결합상태에서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부를 관통하는 볼트와 너트의 죄임에 의해 연결고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용 인디언 텐트.A frame in which a pair of support frames is assembled and fixed by an assembly groove, and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s; And
Including; a cover formed along the connection line and form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rings and connected in the frame,
The support frame,
A connecting member formed in an X-shape to have a decorative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And
Consisting of an intermediate support member and a lower support member, the lower support member is connected and fixed using the intermediate support member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nnection member, or the lower support member is directly connected and fixed to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nnection member to change the size of the frame. It includes a support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supporting member of the support frame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and fixed by tightening a bolt and a nut passing through the engaging groove and the engaging protrusion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groove and the engaging protrusion are formed facing each other on the side of the connecting part. Indian tent for play characterized b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4771A KR102249215B1 (en) | 2019-08-05 | 2019-08-05 | Indian tent for play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4771A KR102249215B1 (en) | 2019-08-05 | 2019-08-05 | Indian tent for play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6694A KR20210016694A (en) | 2021-02-17 |
KR102249215B1 true KR102249215B1 (en) | 2021-05-06 |
Family
ID=7473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4771A Active KR102249215B1 (en) | 2019-08-05 | 2019-08-05 | Indian tent for play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9215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28938A (en) | 2021-08-23 | 2023-03-03 | 이영주 | Tent for playing |
KR20250070146A (en) | 2023-11-13 | 2025-05-20 | 정은교 | Inflatable tent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stored by fixing it to the ceiling or wall |
KR20250070801A (en) | 2023-11-14 | 2025-05-21 | 정은교 | Mobile storage box with inflatable tent storage structur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0841Y1 (en) * | 2015-04-29 | 2016-07-12 | 김미형 | Play tent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1832Y1 (en) | 2013-01-18 | 2014-03-17 | 서호준 | Structure of indian toy tent for stability procure |
KR101497605B1 (en) | 2013-09-27 | 2015-03-03 | 이영주 | Indian tent available as mat |
KR101539351B1 (en) * | 2013-12-30 | 2015-07-27 | 주식회사 소셜빈 | Tent for infants |
KR101577968B1 (en) | 2014-06-19 | 2015-12-16 | 강영호 | Indian tent with top ventilation strucyure |
KR102200054B1 (en) * | 2014-07-11 | 2021-01-07 | 신동현 | Complex furniture for tent and lamp structure |
-
2019
- 2019-08-05 KR KR1020190094771A patent/KR10224921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0841Y1 (en) * | 2015-04-29 | 2016-07-12 | 김미형 | Play ten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28938A (en) | 2021-08-23 | 2023-03-03 | 이영주 | Tent for playing |
KR20250070146A (en) | 2023-11-13 | 2025-05-20 | 정은교 | Inflatable tent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stored by fixing it to the ceiling or wall |
KR20250070801A (en) | 2023-11-14 | 2025-05-21 | 정은교 | Mobile storage box with inflatable tent storage struct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6694A (en) | 2021-0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9215B1 (en) | Indian tent for playing | |
KR101453493B1 (en) | Sectional desk | |
US7296859B1 (en) | Erectable rocking chair | |
US3521421A (en) | Geodesic structure | |
US8783329B2 (en) | Sun shader apparatus | |
KR101477410B1 (en) | Frame assembly | |
KR20190000653U (en) | An assembly structure of table | |
KR20220072727A (en) | Toy set for stage setting | |
US7086100B1 (en) | Joining assembly for child's bed | |
KR20180134006A (en) | An exhibition booth that facilitates assembly and disassembly. | |
KR101539351B1 (en) | Tent for infants | |
KR101746123B1 (en) | Playing device for companion animal | |
KR200474399Y1 (en) | Self-assembly Chair Kit | |
KR200489966Y1 (en) | Baby room for playing | |
KR200423076Y1 (en) | Table | |
KR101411376B1 (en) | A assembling shelf | |
KR20170106725A (en) | Frame structure of platform toy furniture for children | |
US20060117702A1 (en) | Table jointing device | |
CN209809384U (en) | Trampoline recreation room | |
KR200480841Y1 (en) | Play tent | |
US20210068558A1 (en) | Baby bassinet that transforms to toys and furniture | |
RU64519U1 (en) | SPORTS AND GAME COMPLEX "PYRAMID" AND THE UNIT OF CONNECTING ITS ELEMENTS (OPTIONS) | |
CN212116666U (en) | Sound-absorbing cat climbing frame capable of being assembled freely | |
KR200163834Y1 (en) | Fold up red | |
KR200478621Y1 (en) | Spin rollw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