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573B1 -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6573B1 KR102246573B1 KR1020200184445A KR20200184445A KR102246573B1 KR 102246573 B1 KR102246573 B1 KR 102246573B1 KR 1020200184445 A KR1020200184445 A KR 1020200184445A KR 20200184445 A KR20200184445 A KR 20200184445A KR 102246573 B1 KR102246573 B1 KR 1022465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dor
- data
- point
- unit
- points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0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2855 volatile organic compou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GETQZCLCWQTVFV-UHFFFAOYSA-N trimethylamine Chemical compound CN(C)C GETQZCLCWQTVF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1299 aldehy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3464 sulfur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RWSOTUBLDIXVET-UHFFFAOYSA-N Dihydrogen sulfide Chemical compound S RWSOTUBLDIXVE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QMMFVYPAHWMCMS-UHFFFAOYSA-N Dimethyl sulfide Chemical compound CSC QMMFVYPAHWMCM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 H 2 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LSDPWZHWYPCBBB-UHFFFAOYSA-N Methanethiol Chemical compound SC LSDPWZHWYPCB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BBJYMSMWIIQGU-UHFFFAOYSA-N Propionic aldehyde Chemical compound CCC=O NBBJYMSMWIIQG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TQSAGDEMFDKMZ-UHFFFAOYSA-N butyric aldehyde Natural products CCCC=O ZTQSAGDEMFDK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QOXQRCZOLPYPM-UHFFFAOYSA-N dimethyl disulfide Chemical compound CSSC WQOXQRCZOLPY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BDQKXXYIPTUBI-UHFFFAOYSA-N dimethylselenoniopropionate Natural products CCC(O)=O XBDQKXXYIPTU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37 hydrogen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965 odorles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HGBOYTHUEUWSSQ-UHFFFAOYSA-N pentanal Chemical compound CCCCC=O HGBOYTHUEUWSS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QPDZGIKBAWPEJ-UHFFFAOYSA-N valer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O)=O NQPDZGIKBAWP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497 Asphy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DKPFZGUDAPQIHT-UHFFFAOYSA-N Butyl acetate Natural products CCCCOC(C)=O DKPFZGUDAPQIH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TIZESTWPVYFNL-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Chemical compound CC(C)CC(C)=O NTIZESTWPVYFN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IHCLUNTQKBZGK-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Natural products CCC(C)C(C)=O UIHCLUNTQKBZ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TQNGGLPUBDAKN-UHFFFAOYSA-N O-Xyl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C CTQNGGLPUBDA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VFLAEFIIMXUPC-UHFFFAOYSA-N [S].CN(C)C Chemical class [S].CN(C)C GVFLAEFIIMXUP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KHGUXGNUITLKF-XPULMUKRSA-N acetaldehyde Chemical compound [14CH]([14CH3])=O IKHGUXGNUITLKF-XPULMUKR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BUYAZUEYAXMBU-UHFFFAOYSA-N azane;n,n-dimethylmethanamine Chemical compound N.CN(C)C UBUYAZUEYAXMB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96 cres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FUZZWVXGSFPDMH-UHFFFAOYSA-M hexanoate Chemical compound CCCCCC([O-])=O FUZZWVXGSFPDM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ZXEKIIBDNHEJCQ-UHFFFAOYSA-N iso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ZXEKIIBDNHEJC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08 n-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60 propio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UVKMZGDUIUOCP-BTNSXGMBSA-N quinbolone Chemical compound O([C@H]1CC[C@H]2[C@H]3[C@@H]([C@]4(C=CC(=O)C=C4CC3)C)CC[C@@]21C)C1=CCCC1 IUVKMZGDUIUOCP-BTNSXGMB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86 sensory perception of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96 x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1—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comprising two or more sensors, e.g. a sensor arra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6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 G01N33/0063—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measuring method or the display, e.g. intermittent measurement or digital display using a threshold to release an alarm or display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co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하수관망에서의 악취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악취원 추정 및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시한다. 제시된 장치는 하수관망의 각각의 지점에 설치된 악취측정 장치로부터의 악취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각 지점의 악취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데이터를 갖는 지점을 그룹화하는 그룹화부; 및 하수 흐름 및 상기 그룹화된 지점의 악취 데이터를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을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관망에서의 악취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내 하수는 하수관을 따라 맨홀로 모이고, 다시 연결관을 따라 주맨홀로 모인 상태에서 하수관거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흘러간다.
보통, 하수관을 통해 하수관거로 이동되는 하수의 부패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는데, 이와 같이 발생되는 악취는 맨홀 및 하수관거의 개방된 부분 등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외부로 유출되는 악취로 인해 쾌적함을 추구하는 시민들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키거나 차단시키면, 하수관 또는 하수관거 내의 악취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하수관거 작업자의 질식사 및 폭발사고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하수관망에서의 악취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하고 악취원 추정 및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는, 하수관망의 각각의 지점에 설치된 악취측정 장치로부터의 악취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각 지점의 악취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데이터를 갖는 지점을 그룹화하는 그룹화부; 및 하수 흐름 및 상기 그룹화된 지점의 악취 데이터를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을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한다.
상기 그룹화부는,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데이터를 갖는 지점들중에서 최고값 또는 기준값 이상의 값을 갖는 지점의 주변을 그룹화할 수 있다.
상기 판별부는, 상기 하수 흐름과 그룹화된 지점별 악취 데이터를 근거로 최고값 또는 기준값 이상의 값을 갖는 악취 데이터의 지점과 다음 순위의 악취 데이터의 지점 사이를 악취발생지점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하수관망의 모든 지점의 악취측정 장치중에서 악취 발생으로 판단한 악취측정 장치로부터의 악취 데이터만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하수관망의 모든 지점의 악취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악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된 악취발생지점을 외부로 알리는 알림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지점별 악취 데이터 및 상기 판별부로부터의 악취발생지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를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을 추적하고, 상기 악취발생지점을 추적한 위치 정보를 상기 알림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악취 원격 모니터링 방법은, 수신부가, 하수관망의 각각의 지점에 설치된 악취측정 장치로부터의 악취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비교부가, 상기 수신된 각 지점의 악취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그룹화부가,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데이터를 갖는 지점을 그룹화하는 단계; 및 판별부가, 하수 흐름 및 상기 그룹화된 지점의 악취 데이터를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악취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하수관망의 각각의 지점에 설치되어, 해당 지점의 악취가스를 측정하는 악취측정 장치; 상기 각각의 지점의 악취측정 장치로부터의 악취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각 지점의 악취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데이터를 갖는 지점을 그룹화하는 그룹화부; 및 하수 흐름 및 상기 그룹화된 지점의 악취 데이터를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을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한다.
상기 악취측정 장치는, 포집한 공기를 센싱하여 악취가스를 측정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부는 다수개의 센서 모듈이 행렬 형태로 배열된 센서 어레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개의 센서 모듈은 각각 다수 종류의 악취물질을 센싱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취측정 장치는, 상기 센싱부로부터의 측정 데이터를 근거로 악취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악취측정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센서 모듈에서 측정된 악취가스의 농도의 평균값을 다양한 방법으로 구하고, 상기 평균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악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악취측정 장치의 제어부는 악취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부에게로 악취발생 및 해당 악취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센서 모듈의 각각은 22종의 악취물질을 전부 또는 일부를 분석하되, 상기 22종의 악취물질은 1종의 암모니아, 1종의 트리메틸아민, 4종의 황화합물, 4종의 지방산, 5종의 알데하이드, 및 7종의 휘발성유기화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악취방지법 시행규칙 제2조(지정악취물질) 제2호에 따른 악취지정물질이 변동될 경우 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관망의 각 지점에 설치시킨 악취측정 장치로부터의 악취 농도들중에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농도의 지점 및 하수 흐름을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을 판별해 낼 수 있다. 이로 인해, 악취원 추적위치 및 악취 농도에 따른 오염도 등을 외부로 알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격측정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악취측정 장치의 제어부에서의 에어 펌프/흡입팬,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악취측정 장치에서의 악취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도 9의 설명에 채용되는 하수관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설명에 채용되는 하수관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격측정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악취측정 장치의 제어부에서의 에어 펌프/흡입팬,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악취측정 장치에서의 악취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도 9의 설명에 채용되는 하수관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설명에 채용되는 하수관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격측정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센싱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악취측정 장치(200) 및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악취측정 장치(200)는 하수구 맨홀 등과 같이 악취가스를 유출하는 악취원에 설치될 수 있다.
악취측정 장치(200)는 설치된 악취원에서의 악취가스의 농도를 측정하여 서버(3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악취측정 장치(200)는 포집부(50), 센싱부(52), 제어부(54), 및 통신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부(50)는 하수구 맨홀 등과 같이 악취가스를 유출하는 악취원에서의 공기를 포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집부(50)는 도 2에서와 같이 포집관(60a), 에어 펌프/흡입팬(air pump/blower)(60), 공기 유량계(air flow meter)(62), 질량 흐름 제어기(mass flow controller)(64), 제 1 솔레노이드 밸브(66), 챔버(68), 제 2 솔레노이드 밸브(70)를 포함할 수 있다.
포집관(60a)은 악취원으로부터의 공기(악취가스 포함)를 포집할 수 있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포집관(60a)은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 펌프/흡입팬(60)은 포집관(60a)으로 유입되는 공기(악취가스 포함)를 챔버(68)측으로 유도한다.
공기 유량계(62)는 포집관(60a)으로 유입되어 에어 펌프/흡입팬(60)을 통과하는 매체(즉, 공기)의 질량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공기 유량계(62)는 에어 펌프/흡입팬(60)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다.
질량 흐름 제어기(64)는 챔버(68)의 전단에 설치될 수 있다.
질량 흐름 제어기(64)는 포집관(60a)을 통과하여 챔버(68)에게로 유입되는 가스의 양을 측정 및 제어할 수 있다. 즉, 질량 흐름 제어기(64)에 의해 챔버(68)에 포집된 공기량을 확인할 수 있다.
제 1 솔레노이드 밸브(66)는 챔버(68)의 전단(즉, 질량 흐름 제어기(64)와 챔버(68) 사이)에 설치되고, 제 2 솔레노이드 밸브(70)는 챔버(68)의 후단(즉, 챔버(68)와 흡기 매니폴드(7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 1 솔레노이드 밸브(66)와 제 2 솔레노이드 밸브(70)는 제어부(54)의 제어에 의해 개방 또는 차단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 1 솔레노이드 밸브(66)와 제 2 솔레노이드 밸브(70)는 상호 반대되게 동작할 것이다.
챔버(68)는 포집관(60a)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예컨대, 악취가스 포함)를 실질적으로 포집한다. 챔버(68)는 진공 챔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68)에게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동안에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66)는 개방되고 제 2 솔레노이드 밸브(70)는 차단될 것이다. 반대로, 챔버(68)에 공기가 충분히 유입(포집)된 이후에는 제 1 솔레노이드 밸브(66)는 차단되고 제 2 솔레노이드 밸브(70)는 개방될 것이다.
센싱부(52)는 포집부(50)에서 포집한 공기를 센싱하여 악취가스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52)는 악취가스를 측정하기 위해서, 하기의 표 1에 예시한 바와 같은 악취물질들을 분석할 수 있다.
구분 | 분석 대상 항목 | |
복합악취 | 복합악취 | |
지정악취 (22종) |
암모니아 (1종) |
암모니아 |
트리메틸아민 (1종) |
트리메틸아민 |
|
황화합물 (4종) |
황화수소, 메틸메르캅탄, 다이메틸설파이드, 다이메틸다이설파이드 |
|
지방산 (4종) |
프로피온산, n-뷰틸산, n-발레르산, i-발레르산 |
|
알데하이드 (5종) |
아세트알데하이드, 프로피온알데하이드, 뷰틸알데하이드, n-발레르알데하이드, i-발레르알데하이드 |
|
휘발성유기화합물 (7종) |
스타일렌,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메틸아이소뷰틸케톤, 뷰틸아세테이트, i-뷰틸알코올 |
센싱부(52)는 흡기 매니폴드(intake manifolds)(72) 및 센서 어레이 모듈(74)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어레이 모듈(74)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센서 모듈(74a ~ 74n)이 행렬 형태로 배열된다.
각각의 센서 모듈(74a ~ 74n)에는 하나씩의 흡기 매니폴드(72)가 연결된다.
따라서, 챔버(68)내의 공기는 각각의 흡기 매니폴드(72)를 통해 각각의 센서 모듈(74a ~ 74n)에게로 유입될 수 있다.
각각의 센서 모듈(74a ~ 74n)은 다수 종류의 악취물질(예컨대, 표 1에 예시된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을 분석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센서 모듈(74a ~ 74n)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센서가 하나의 묶음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센서 모듈(74a ~ 74n)은 NH3 센서, H2S 센서, VOCS 센서, MOS 센서 등과 같이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각각의 센서 모듈(74a ~ 74n)은 암모니아(NH3), 황화수소(H2S), VOCS , MOS 등을 센싱하여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결국, 센싱부(52)는 각각의 센서 모듈(74a ~ 74n)에서 저마다 악취가스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예컨대, 악취가스의 종류 및 농도 등)를 제어부(54)에게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여러 개의 센서 모듈(74a ~ 74n)로 측정하게 되면 센서 자체의 제조오차에 따른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만약, 단일의 센서만을 사용한다면 단일의 센서에 제조오차에 의한 측정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단일의 센서에서의 측정치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는 불상사가 발생한다. 그러나, 여러 개의 센서를 하나의 묶음으로 하는 센서 모듈로 측정하게 되면 이들의 평균값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센서 자체의 제조오차에 따른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여러 센서 모듈(74a ~ 74n)을 행렬 형태로 다중화함으로써 센싱부(52)의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통신부(56)는 제어부(54)의 제어에 의해 악취가스의 데이터(예컨대, 악취가스의 종류, 농도, 세기 등)를 서버(3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56)는 악취가스의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서버(3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의 경우에는 RS-485/422, Ethernet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의 경우에는 LTE, Zigbee, BlueTooth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54)는 악취측정 장치(2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54)는 주기적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 공기 포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공기 포집이 완료되면 악취판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54)는 센싱부(52)에서 측정된 악취가스의 데이터(예컨대, 악취가스의 농도에 대한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악취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악취 발생시 그에 상응하는 정보(예컨대, 악취가스의 농도)가 서버(300)에게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54)는 센싱부(52)에서 측정된 악취가스의 농도를 분석할 수 있고, 악취가스 농도 평가에 대한 기준값을 미리 가지고 있다. 또한, 제어부(54)는 센싱부(52)(보다 구체적으로, 센서 어레이 모듈(74)의 센서 모듈들)에서 측정된 악취가스의 농도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악취 발생여부 및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4)는 예를 들어 하기의 표 2에서와 같은 직접관능법에 따른 악취 판정도에 근거하여 악취가스 발생유무 및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악취도 | 악취감도구분 | 설명 |
0 | 무취 (None) |
상대적인 무취로, 평상시 후각으로 아무것도 감지하지 못하는 상태 |
1 | 감지 냄새 (Threshold) |
무슨 냄새인지 알 수 없으나, 냄새를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상태 |
2 | 보통 냄새 (Moderate) |
무슨 냄새인지 알 수 있는 정도의 상태 |
3 | 강한 냄새 (Strong) |
쉽게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한 냄새를 말하며, 예를 들어 병원에서 크레졸 냄새를 맡는 정도의 냄새 |
4 | 극심한 냄새 (Very Strong) |
아주 강한 냄새, 예를 들어 여름철에 재래식 화장실에서 나는 심한 정도의 냄새 |
5 | 참기 어려운 냄새 (Over Strong) |
견디기 어려운 강렬한 냄새로서, 호흡이 정지될 것 같이 느껴지는 정도의 냄새 |
여기서, 기설정된 기준값은 예를 들어 악취도(즉, 악취세기)가 2.5단계(즉, 악취도 2와 악취도 3의 중간 단계)인 것으로 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어부(54)는 악취 발생여부 및 정도를 판단함에 있어서 외부환경 센싱부(도시 생략)로부터의 정보를 반영할 수 있다.
제어부(54)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악취측정 장치의 제어부(54)에서의 에어 펌프/흡입팬, 제 1 및 제 2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악취측정 장치(200)의 제어부(54)는 포집동작 신호를 수신한다(S10). 여기서, 포집동작 신호는 주기적으로 발생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이어, 제어부(54)는 공기 포집을 위해, 에어 펌프/흡입팬(60)를 동작시키고 제 1 솔레노이드 밸브(66)를 개방시킨다(S12).
그에 따라, 하수구 맨홀 등과 같이 악취가스를 유출하는 악취원의 근처에 설치된 포집관(60a)을 통해 악취원의 공기가 유입되어 챔버(68)에게로 제공된다. 이때, 제어부(54)는 질량 흐름 제어기(64)를 통해 챔버(68)에 포집되는 공기량을 확인한다(S14).
만약, 챔버(68)에 포집되는 공기량이 충분하지 않다면(S16에서 "No") 제어부(54)는 상술한 단계 S12로 복귀하여 그 단계부터의 동작이 계속되도록 제어한다.
반대로, 챔버(68)에 포집되는 공기량이 충분하다면(S16에서 "Yes") 제어부(54)는 에어 펌프/흡입팬(6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제 1 솔레노이드 밸브(66)를 차단시킨다(S18).
그리고 나서, 제어부(54)는 제 2 솔레노이드 밸브(70)를 개방시킨다(S20).
그에 따라, 챔버(68)에 포집되어 있는 공기가 흡기 매니폴드(72)를 통해서 센서 어레이 모듈(74)에게로 이동한다(S22). 즉, 포집부(50)에서 포집된 공기가 센싱부(52)에게로 이동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악취측정 장치에서의 악취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집부(50)에서 포집된 공기가 센싱부(52)에게로 이동하면(S30), 센싱부(52)는 포집부(50)에서 포집한 공기를 센싱하여 악취가스를 측정한다(S32). 이때, 센싱부(52)의 센서 어레이 모듈(74)은 행렬 형태의 다수개의 센서 모듈을 포함하고, 각각의 센서 모듈은 각기 다른 다수개의 센서가 하나의 묶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각각의 센서 모듈은 저마다 악취가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싱부(52)의 각각의 각각의 센서 모듈(74a ~ 74n)은 측정한 결과(예컨대, 악취가스의 농도)를 제어부(54)에게로 전송하게 된다(S34).
예를 들어, 센싱부(52)의 센서 모듈이 모두 3개이고, 각각의 센서 모듈이 암모니아(NH3)만을 센싱하여 그에 상응하는 농도치를 전송하는 경우라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 예를 들어 센서 모듈 1은 암모니아(NH3)를 5ppm 측정하였음을 의미하는 데이터를 제어부(54)에게로 전송할 수 있고, 센서 모듈 2는 암모니아(NH3)를 4ppm 측정하였음을 의미하는 데이터를 제어부(54)에게로 전송할 수 있고, 센서 모듈 3은 암모니아(NH3)를 4.5ppm 측정하였음을 의미하는 데이터를 제어부(54)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예에서는 3개의 센서 모듈이 암모니아(NH3)만을 센싱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3개의 센서 모듈은 기타 다른 가스(예컨대, 황화수소(H2S), VOCS , MOS 등)도 센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예에서의 3개의 센서 모듈은 암모니아(NH3)에 대한 측정 농도 데이터 뿐만 아니라 황화수소(H2S), VOCS , MOS 등에 대한 측정 농도 데이터도 제어부(54)에게로 전송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제어부(54)는 각 센서 모듈에서 측정한 악취가스의 농도들의 평균값을 연산한다(S36). 다시 말해서, 앞서의 단계 S34에서, 제어부(54)는 센싱부(52)로부터 3개의 측정 농도 데이터(암모니아(NH3): 5ppm, 암모니아(NH3):4ppm, 암모니아(NH3):4.5ppm)를 수신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수신한 3개의 측정 농도 데이터들의 평균값을 구한다. 즉, 제어부(54)는 센싱부(52)에서 측정된 악취가스(예컨대, 암모니아(NH3))의 농도들의 평균값은 4.5ppm인 것으로 연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54)는 여러 개의 센서 모듈(74a ~ 74n)에서 측정된 악취가스의 농도 데이터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이후의 악취발생 여부 판단 근거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만약, 단일의 센서만을 사용한다면 단일의 센서에 제조 오차에 의한 측정 오차가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제어부(54)는 해당 단일의 센서에서의 측정치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는 불상사가 발생한다. 그러나, 여러 개의 센서를 하나의 묶음으로 하는 센서 모듈로 측정하게 되면 제어부(54)는 이들의 평균값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센서 자체의 제조오차에 따른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도 및 악취 발생판단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이어, 제어부(54)는 연산된 악취농도(즉, 각 센서 모듈의 악취 농도들의 평균값)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38). 여기서, 기설정된 기준값은 예를 들어 암모니아(NH3)의 경우 1ppm을 기준값(기준농도)이라고 할 수 있고, 이때의 악취세기(즉, 악취도)는 2.5단계에 해당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기준값은 조정가능하다. 여기서, 표기된 악취도는 표 2의 직접관능법에 따른 분류이다. 직접관능법이 아닌 다른 악취농도 분류법을 사용하여 악취 농도를 표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센싱부(52)(보다 구체적으로는 센서 어레이 모듈(74))에서는 2가지 이상의 악취가스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2가지 이상의 악취가스 각각의 농도가 측정되었다면 제어부(54)는 이와 같은 복합악취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기준값으로 해당 복합악취의 농도의 평균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할 것이다.
만약, 연산된 악취농도(즉, 각 센서 모듈의 악취 농도들의 평균값)가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S38에서 "No") 제어부(54)는 악취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술한 단계 S32로 복귀하고 그 단계부터의 동작을 반복시킨다.
반대로, 연산된 악취농도(즉, 각 센서 모듈의 악취 농도들의 평균값)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S38에서 "Yes") 제어부(54)는 악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악취발생 알림 및 해당 악취 농도, 악취 세기 등을 통신부(56)를 통해 서버(300)에게로 알린다(S40). 여기서, 서버(300)에게로 알려지는 악취 농도는 제어부(54)에서 연산된 악취농도로서, 각 센서 모듈의 악취가스의 농도 평균값이 될 것이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어부(54)에서 연산된 악취농도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일 경우에만 악취발생 알림 및 해당 악취 농도, 악취 세기 등을 통신부(56)를 통해 서버(300)에게로 알리는 것으로 하였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제어부(54)는 기준값과의 비교없이 연산된 악취농도를 바로 서버(300)에게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서버(3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버(300)는 각각의 악취측정 장치(200)가 설치된 악취원에서의 악취 가스의 정보(예컨대, 농도)를 기반으로 하수관망의 수질오염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6에서와 같이, 악취측정 장치(200)는 각각의 지점(A1 ~ A20)별로 설치될 수 있고, 악취측정 장치(200)는 각각의 지점(A1 ~ A20)별 악취 가스의 정보를 서버(30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버(300)는 각각의 악취측정 장치(200)로부터의 악취 가스의 정보(예컨대, 농도)를 축적하여 빅데이터화하고, 축적된 빅데이터를 통해 하수관망의 수질오염 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버(300)는 각각의 지점(A1 ~ A20)별 악취측정 장치(200)에서 측정된 악취 데이터(예컨대, 악취 가스의 농도)를 저장하여 추후에 빅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악취원 발생이 반복적일 경우 이전 데이터를 토대로 원인규명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각각의 지점(A1 ~ A20)별 악취측정 장치(200)에서 측정된 악취 데이터(예컨대, 악취 가스의 농도)를 기반으로 악취 원인 및 악취 발생장소(악취 발생원)를 추정 및 추적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7에서와 같이 서버(300)는 각 지점(A1 ~ A20)의 악취 농도를 확인하여 기준값 이상의 악취 농도를 갖는 지점들(예컨대, A3, A4, A11 ~ A13, A17 ~ A20)중에서 악취 농도가 가장 높은 지점을 중심으로 그룹화(G1, G2)하여 악취가 발생된 대략적인 장소를 추정 및 추적할 수 있다. 즉, 서버(300)는 각각의 지점(A1 ~ A20)별 악취측정 장치(200)에서 측정된 악취 가스(예컨대,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의 농도와 비율에 따라 악취발생원인 및 악취발생장소를 추정 및 추적할 수 있다. 이때, 서버(300)는 인접지점간 하수의 흐름을 악취발생장소 추적에 활용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서버(300)의 내부구성도이다. 서버(300)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서버(300)는 수신부(80), 비교부(82), 그룹화부(84), 정렬부(86), 판별부(88), 알림부(90), 데이터 저장부(92), 및 제어부(9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80)는 악취측정 장치(200)로부터의 악취 데이터(예컨대, 악취 농도)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악취측정 장치(200)는 하수관망의 각각의 지점(예컨대, 하수구 맨홀 근처)에 설치되므로, 수신부(80)는 각 지점의 악취 농도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부(80)에 수신되는 악취 농도는 각각의 악취측정 장치(200)중에서도 악취측정 장치(200)에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농도를 측정한 악취측정 장치(200)의 악취 농도만을 수신할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수신부(80)는 악취측정 장치(200)에 기설정된 기준값과는 무관하게 하수관망의 모든 지점의 악취측정 장치(200)에서의 악취 농도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수신부(80)는 하수관망의 모든 지점의 악취측정 장치(200)중에서 악취 발생으로 판단한 악취측정 장치(200)로부터의 악취 농도만을 수신하거나, 악취 발생 판단과는 무관하게 모든 지점의 악취측정 장치(200)에서 측정된 악취 농도를 수신할 수 있다.
비교부(82)는 각 지점의 악취 농도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기준값으로는 단일의 악취가스별 기준값, 및 복합악취별 기준값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비교부(82)는 각 지점의 악취가스가 암모니아(NH3)라면 각 지점의 악취 농도와 해당 악취가스(즉, 암모니아)에 대해 기설정된 기준값을 서로 비교한다. 만약, 각 지점의 악취 농도가 2가지 이상의 악취가스가 복합된 복합악취의 농도이면 비교부(82)는 각 지점의 악취 농도(즉, 복합악취의 농도)를 기설정된 해당 복합악취의 기준값과 비교한다.
필요에 따라, 비교부(82)에서 사용되는 기준값은 조정가능하다.
그룹화부(84)는 비교부(82)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농도를 갖는 지점들중에서 최고값 또는 기준값 이상의 값을 갖는 지점의 주변을 그룹화할 수 있다. 이때, 그룹화부(84)는 비교부(82)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농도를 갖는 지점들을 기반으로 그룹화함이 바람직하다. 즉,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의 악취 농도를 갖는 지점들은 그룹화 작업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정렬부(86)는 각 지점의 악취 농도를 크기순으로 정렬한다. 즉, 정렬부(86)는 비교부(82)에서의 비교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농도를 갖는 지점의 악취 농도를 크기순으로 정렬한다.
판별부(88)는 인접지점간 하수 흐름 및 그룹화된 각 지점별 악취 농도를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을 판별할 수 있다. 즉, 하수의 흐름방향이 악취의 확산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판별부(88)는 인접지점간 하수 흐름을 악취발생지점 판별에 이용한다. 예를 들어, 판별부(88)는 하수 흐름과 그룹화된 각 지점별 악취 농도를 근거로 최고값을 갖는 악취 농도의 지점과 다음 순위(예컨대, 최고값보다 낮은 값들중에서 제일 큰 값)의 악취 농도의 지점 사이를 악취발생지점으로 판별할 수 있다.
알림부(90)는 판별부(88)에서 판별된 악취발생지점 및 해당 악취발생지점의 악취 농도에 따른 오염도 등을 외부로 알릴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92)는 수신부(80)를 통해 수신한 각 지점별 악취 데이터(예컨대, 악취가스의 종류, 농도, 세기 등) 및 판별부(88)로부터의 악취발생지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94)는 서버(3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94)는 데이터 저장부(92)에 저장한 정보들을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을 추적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악취발생지점 추적 위치 정보(즉, 악취발생지점을 추적한 위치 정보)를 알림부(9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10은 도 9의 설명에 채용되는 하수관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지점(A15)과 지점(A16) 사이에 악취발생원(악취발생지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또한, 악취측정 장치(200)에서 측정된 악취 농도는 암모니아(NH3)에 대한 악취 농도라고 가정한다. 또한, 지점(A8)의 악취 농도는 2ppm이고, 지점(A15)의 악취 농도는 6ppm이고, 지점(A16)의 악취 농도는 7ppm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서버(300)는 각각의 악취측정 장치(200)로부터 해당 지점의 악취 농도를 수신한다(S50). 특히, 수신되는 악취 농도는 각각의 악취측정 장치(200)중에서도 악취측정 장치(200)에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농도를 측정한 악취측정 장치(200)의 악취 농도만을 수신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점의 수는 모두 20개이지만, 20개의 지점중에서 악취 농도의 값이 해당 악취측정 장치(200)에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농도를 측정한 악취측정 장치(200)의 악취 농도만을 수신할 것이다.
여기서는, 지점(A8), 지점(A15), 및 지점(A16)에서의 악취 농도가 해당 악취측정 장치(200)에서의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이어서, 서버(300)는 지점(A8), 지점(A15), 및 지점(A16)에서의 악취 농도를 수신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악취측정 장치(200)는 기설정된 기준값과의 비교없이 연산된 악취 농도를 바로 서버(300)에게로 전송할 수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서버(300)는 모든 지점(A1 ~ A20)의 악취 농도를 수신한다고 볼 수 있다.
이어, 서버(300)는 수신된 악취 농도들이 서버(300)에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52). 이 경우, 서버(300)에는 암모니아에 대한 기준값(즉, 기준 농도)으로 1ppm이 설정될 수 있다.
수신된 악취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S52에서 "No") 서버(300)는 상술한 단계 S50으로 복귀하고 그 단계부터의 동작을 반복시킨다.
반대로, 도 10의 경우 지점(A8, A15, A16)에서의 악취 농도가 모두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데, 이와 같이 수신된 지점(A8), 지점(A15), 및 지점(A16)에서의 악취 농도중에서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농도가 있다면(S52에서 "Yes") 서버(300)는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농도를 갖는 지점들중에서 최고값을 갖는 지점(A16)의 주변을 그룹화한다(S54). 즉, 도 10에서와 같이 서버(300)는 지점(A8)과 지점(A15) 및 지점(A16)을 포함하는 그룹(G3)을 만들 수 있다.
이어, 서버(300)는 그룹화되어 있는 각 지점(A8, A15, A16)의 악취 농도를 크기순으로 정렬한다(S56). 이에 의해, 1) A16(7ppm), 2) A15(6ppm), 3) A8(2ppm)의 순으로 정렬될 것이다.
그리고 나서, 서버(300)는 인접지점간 하수 흐름 및 각 지점별 악취 농도를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즉, 악취발생원)을 판별한다(S58, S60). 예를 들어, 하수의 흐름방향이 A8 -> A16 -> A15와 같은 흐름방향이라면, 도 10에서와 같이 서버(300)는 하수의 흐름을 고려하여 지점(A16)과 지점(A15) 사이에서 지점(A16)과 가까운 곳에서 악취발생지점(악취발생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별(추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하수의 흐름의 영향으로 지점(A8)에서의 악취측정 농도가 낮고 지점(A15)에서의 악취측정 농도가 지점(A16)과 비슷함을 추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버(300)는 판별된 악취발생지점(악취발생원) 및 해당 악취발생지점의 악취 농도에 따른 오염도 등을 외부로 알린다(S62).
그리고, 서버(300)는 수신부(80)를 통해 수신한 각 지점별 악취가스의 데이터(예컨대, 악취가스의 종류, 농도, 세기 등) 및 악취발생지점에 대한 정보를 추후에 빅데이터로 활용하기 위해 저장한다(S64). 서버(300)는 저장한 정보들을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을 추적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악취발생지점 추적 위치 정보를 알림부(9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도 9 및 도 10에서는 암모니아 측정을 예시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유사한 알고리즘으로 다른 기타 가스(H2S, VOCs , MOS 등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모듈에서 측정된 모든 가스)의 농도측정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 원격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1은 도 9의 설명에 채용되는 하수관망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1에 예시한 바와 같이 지점(A14)과 지점(A17) 사이에 악취발생원(즉, 악취발생지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또한, 악취측정 장치(200)에서 측정된 악취 농도는 암모니아(NH3)에 대한 악취 농도라고 가정한다. 또한, 지점(A2)의 악취 농도는 1.5ppm이고, 지점(A13)의 악취 농도는 2ppm이고, 지점(A14)의 악취 농도는 6ppm이고, 지점(A17)의 악취 농도는 5ppm이라고 가정한다.
먼저, 서버(300)는 각각의 악취측정 장치(200)로부터 해당 지점의 악취 농도를 수신한다(S50). 특히, 수신되는 악취 농도는 각각의 악취측정 장치(200)중에서도 악취측정 장치(200)에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농도를 측정한 악취측정 장치(200)의 악취 농도만을 수신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점의 수는 모두 20개이지만, 20개의 지점중에서 악취 농도의 값이 해당 악취측정 장치(200)에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농도를 측정한 악취측정 장치(200)의 악취 농도만을 수신할 것이다.
여기서는, 지점(A2), 지점(A13), 지점(A14), 및 지점(A17)에서의 악취 농도가 해당 악취측정 장치(200)에서의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이어서, 서버(300)는 지점(A2), 지점(A13), 지점(A14), 및 지점(A17)에서의 악취 농도를 수신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악취측정 장치(200)는 기설정된 기준값과의 비교없이 연산된 악취 농도를 바로 서버(300)에게로 전송할 수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서버(300)는 모든 지점(A1 ~ A20)의 악취 농도를 수신한다고 볼 수 있다.
이어, 서버(300)는 수신된 악취 농도들이 서버(300)에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52). 이 경우, 서버(300)에는 암모니아에 대한 기준값(즉, 기준 농도)으로 1ppm이 설정될 수 있다.
수신된 악취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S52에서 "No") 서버(300)는 상술한 단계 S50으로 복귀하고 그 단계부터의 동작을 반복시킨다.
반대로, 도 11의 경우 지점(A2, A13, A14, A17)에서의 악취 농도가 모두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인데, 이와 같이 수신된 지점(A2), 지점(A13), 지점(A14), 및 지점(A17)에서의 악취 농도중에서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농도가 있다면(S52에서 "Yes") 서버(300)는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농도를 갖는 지점들중에서 최고값을 갖는 지점(A14)의 주변을 그룹화한다(S54). 즉, 도 11에서와 같이 서버(300)는 지점(A2), 지점(A13), 지점(A14), 및 지점(A17)을 포함하는 그룹(G4)을 만들 수 있다.
이어, 서버(300)는 그룹화되어 있는 각 지점(A2, A13, A14, A17)의 악취 농도를 크기순으로 정렬한다(S56). 이에 의해, 1) A14(6ppm), 2) A17(5ppm), 3) A13(2ppm), 4) A2(1.5ppm)의 순으로 정렬될 것이다.
그리고 나서, 서버(300)는 인접지점간 하수 흐름 및 각 지점별 악취 농도를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을 판별한다(S58, S60). 예를 들어, 하수의 흐름방향이 A17 -> A14 -> A13, A14 -> A2와 같은 흐름방향이라면, 도 11에서와 같이 서버(300)는 하수의 흐름을 고려하여 지점(A17)과 지점(A14) 사이에서 지점(A17)과 가까운 곳에서 악취발생지점(악취원)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추정)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지점(A2) 및 지점(A13)은 하수의 흐름에 따른 악취 확산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서버(300)는 판별된 악취발생지점(악취원) 및 해당 악취발생지점의 악취 농도에 따른 오염도 등을 외부로 알린다(S62).
그리고, 서버(300)는 수신부(80)를 통해 수신한 각 지점별 악취가스의 데이터(예컨대, 악취가스의 종류, 농도, 세기 등) 및 악취발생지점에 대한 정보를 추후에 빅데이터로 활용하기 위해 저장한다(S64). 서버(300)는 저장한 정보들을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을 추적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악취발생지점 추적 위치 정보를 알림부(9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도 9 및 도 11에서는 암모니아 측정을 예시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유사한 알고리즘으로 다른 기타 가스(H2S, VOCs , MOS 등 22종의 지정악취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모듈에서 측정된 모든 가스)의 농도측정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악취 원격 모니터링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하수관망 뿐만 아니라 악취 발생이 예상되는 지점이라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50 : 포집부 52 : 센싱부
54, 94 : 제어부 56 : 통신부
60a : 포집관 60 : 에어 펌프/흡입팬
62 : 공기 유량계 64 : 질량 흐름 제어기
66 :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68 : 챔버
70 :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72 : 흡기 매니폴드
74 : 센서 어레이 모듈 80 : 수신부
82 : 비교부 84 : 그룹화부
86 : 정렬부 88 : 판별부
90 : 알림부 92 : 데이터 저장부
200 : 악취측정 장치 300 : 서버
54, 94 : 제어부 56 : 통신부
60a : 포집관 60 : 에어 펌프/흡입팬
62 : 공기 유량계 64 : 질량 흐름 제어기
66 : 제 1 솔레노이드 밸브 68 : 챔버
70 : 제 2 솔레노이드 밸브 72 : 흡기 매니폴드
74 : 센서 어레이 모듈 80 : 수신부
82 : 비교부 84 : 그룹화부
86 : 정렬부 88 : 판별부
90 : 알림부 92 : 데이터 저장부
200 : 악취측정 장치 300 : 서버
Claims (20)
- 하수관망의 각각의 지점에 설치된 악취측정 장치로부터의 악취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각 지점의 악취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데이터를 갖는 지점을 그룹화하는 그룹화부; 및
하수 흐름 및 상기 그룹화된 지점의 악취 데이터를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을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하수 흐름과 그룹화된 지점별 악취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그룹내에서 최고값을 갖는 악취 데이터의 지점과 다음 순위의 악취 데이터의 지점 사이를 악취발생지점으로 판별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부는,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데이터를 갖는 지점들중에서 최고값 또는 기준값 이상의 값을 갖는 지점의 주변을 그룹화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하수관망의 모든 지점의 악취측정 장치중에서 악취 발생으로 판단한 악취측정 장치로부터의 악취 데이터만을 수신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하수관망의 모든 지점의 악취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악취 데이터를 수신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에서 판별된 악취발생지점을 외부로 알리는 알림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지점별 악취 데이터 및 상기 판별부로부터의 악취발생지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를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을 추적하고, 상기 악취발생지점을 추적한 위치 정보를 상기 알림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 - 수신부가, 하수관망의 각각의 지점에 설치된 악취측정 장치로부터의 악취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비교부가, 상기 수신된 각 지점의 악취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
그룹화부가,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데이터를 갖는 지점을 그룹화하는 단계; 및
판별부가, 하수 흐름 및 상기 그룹화된 지점의 악취 데이터를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별하는 단계는 상기 하수 흐름과 그룹화된 지점별 악취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그룹내에서 최고값을 갖는 악취 데이터의 지점과 다음 순위의 악취 데이터의 지점 사이를 악취발생지점으로 판별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데이터를 갖는 지점들중에서 최고값 또는 기준값 이상의 값을 갖는 지점의 주변을 그룹화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방법. - 삭제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수관망의 모든 지점의 악취측정 장치중에서 악취 발생으로 판단한 악취측정 장치로부터의 악취 데이터만을 수신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하수관망의 모든 지점의 악취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악취 데이터를 수신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알림부가, 상기 악취발생지점을 외부로 알리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데이터 저장부가, 상기 지점별 악취 데이터 및 상기 악취발생지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데이터 저장부를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을 추적하고, 상기 악취발생지점을 추적한 위치 정보를 상기 알림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방법. - 하수관망의 각각의 지점에 설치되어, 해당 지점의 악취가스를 측정하는 악취측정 장치;
상기 각각의 지점의 악취측정 장치로부터의 악취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각 지점의 악취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비교부;
상기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악취 데이터를 갖는 지점을 그룹화하는 그룹화부; 및
하수 흐름 및 상기 그룹화된 지점의 악취 데이터를 근거로 악취발생지점을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하수 흐름과 그룹화된 지점별 악취 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그룹내에서 최고값을 갖는 악취 데이터의 지점과 다음 순위의 악취 데이터의 지점 사이를 악취발생지점으로 판별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측정 장치는,
포집한 공기를 센싱하여 악취가스를 측정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부는 다수개의 센서 모듈이 행렬 형태로 배열된 센서 어레이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개의 센서 모듈은 각각 다수 종류의 악취물질을 센싱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센서를 포함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측정 장치는,
상기 센싱부로부터의 측정 데이터를 근거로 악취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측정 장치의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센서 모듈에서 측정된 악취가스의 농도의 평균값을 구하고, 상기 평균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악취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측정 장치의 제어부는 악취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부에게로 악취발생 및 해당 악취 데이터를 보내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센서 모듈의 각각은 22종의 악취물질을 전부 또는 일부를 분석하되,
상기 22종의 악취물질은 1종의 암모니아, 1종의 트리메틸아민, 4종의 황화합물, 4종의 지방산, 5종의 알데하이드, 및 7종의 휘발성유기화합물로 구성되는,
악취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4445A KR102246573B1 (ko) | 2020-12-28 | 2020-12-28 |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4445A KR102246573B1 (ko) | 2020-12-28 | 2020-12-28 |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6573B1 true KR102246573B1 (ko) | 2021-05-04 |
Family
ID=7591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4445A KR102246573B1 (ko) | 2020-12-28 | 2020-12-28 |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657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9297A (ko) | 2021-12-27 | 2023-07-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소규모 집단시설의 하수역학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
KR102567747B1 (ko) * | 2022-10-21 | 2023-08-25 | 주식회사 케이에너지시스템 | 가스 측정 장치 및 그의 가스 측정 방법 |
KR102586581B1 (ko) * | 2023-04-10 | 2023-10-10 | 정창호 | 하수관로 스마트 악취, 침수위 측정 및 악취저감 시스템 |
CN118314974A (zh) * | 2024-06-05 | 2024-07-09 | 无锡大禹科技有限公司 | 基于VOCs远程运维的监测方法及系统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9794B1 (ko) * | 2009-12-09 | 2010-05-28 | (주)테크윈시스템 | 수처리시설 가스 발생지역 내의 악취 및 유해가스 원방 감시제어 장치 |
KR101234724B1 (ko) | 2010-03-02 | 2013-02-19 |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 악취측정방법 및 악취측정시스템 |
KR20140067763A (ko) * | 2012-11-27 | 2014-06-05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통계적 분석 방법을 이용한 지하수 수질 시계열 자료의 오염 등급 정량화 및 지하수 수질등급 평가방법 |
KR101645600B1 (ko) | 2015-12-31 | 2016-08-08 | (주)센코 | 가스센서를 이용한 악취측정 장치 |
KR20170059342A (ko) * | 2015-11-20 | 2017-05-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환경 정보에 기반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
KR101802466B1 (ko) | 2015-07-15 | 2017-11-29 |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 악취 측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
KR101893413B1 (ko) | 2016-12-21 | 2018-08-31 | (주)센코 | 악취측정 장치 |
KR101914971B1 (ko) * | 2018-03-23 | 2018-11-06 | 주식회사 대은계전 | 환경 모니터링 및 계측 제어 장치 |
KR20200116282A (ko) * | 2019-04-01 | 2020-10-12 | 국방과학연구소 | 오염원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
-
2020
- 2020-12-28 KR KR1020200184445A patent/KR1022465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9794B1 (ko) * | 2009-12-09 | 2010-05-28 | (주)테크윈시스템 | 수처리시설 가스 발생지역 내의 악취 및 유해가스 원방 감시제어 장치 |
KR101234724B1 (ko) | 2010-03-02 | 2013-02-19 |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 악취측정방법 및 악취측정시스템 |
KR20140067763A (ko) * | 2012-11-27 | 2014-06-05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통계적 분석 방법을 이용한 지하수 수질 시계열 자료의 오염 등급 정량화 및 지하수 수질등급 평가방법 |
KR101802466B1 (ko) | 2015-07-15 | 2017-11-29 | 주식회사 과학기술분석센타 | 악취 측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
KR20170059342A (ko) * | 2015-11-20 | 2017-05-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환경 정보에 기반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
KR101645600B1 (ko) | 2015-12-31 | 2016-08-08 | (주)센코 | 가스센서를 이용한 악취측정 장치 |
KR101893413B1 (ko) | 2016-12-21 | 2018-08-31 | (주)센코 | 악취측정 장치 |
KR101914971B1 (ko) * | 2018-03-23 | 2018-11-06 | 주식회사 대은계전 | 환경 모니터링 및 계측 제어 장치 |
KR20200116282A (ko) * | 2019-04-01 | 2020-10-12 | 국방과학연구소 | 오염원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9297A (ko) | 2021-12-27 | 2023-07-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소규모 집단시설의 하수역학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
KR102567747B1 (ko) * | 2022-10-21 | 2023-08-25 | 주식회사 케이에너지시스템 | 가스 측정 장치 및 그의 가스 측정 방법 |
WO2024085406A1 (ko) * | 2022-10-21 | 2024-04-25 | 주식회사 케이에너지시스템 | 가스 측정 장치 및 그의 가스 측정 방법 |
KR102586581B1 (ko) * | 2023-04-10 | 2023-10-10 | 정창호 | 하수관로 스마트 악취, 침수위 측정 및 악취저감 시스템 |
CN118314974A (zh) * | 2024-06-05 | 2024-07-09 | 无锡大禹科技有限公司 | 基于VOCs远程运维的监测方法及系统 |
CN118314974B (zh) * | 2024-06-05 | 2024-10-15 | 无锡大禹科技有限公司 | 基于VOCs远程运维的监测方法及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6573B1 (ko) | 악취 원격 모니터링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
KR102232415B1 (ko) | 악취측정 장치 및 방법 | |
Ottosen et al. | Outlier detection and gap filling methodologies for low-cost air quality measurements | |
Park et al. | Variations of formaldehyde and VOC levels during 3 years in new and older homes. | |
US5832411A (en) | Automated network of sensor units for real-time monitoring of compounds in a fluid over a distributed area | |
JP2002517979A (ja) | 気体におけるアミンおよび他の塩基性分子の汚染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 | |
JP2013525790A (ja) | 配管漏れをチェックする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CN100573381C (zh) | 用于过程控制系统的诊断设备 | |
CN1867876A (zh) | 检测连续过程中的系统部件的故障 | |
RU2006107768A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пожара и определения его места | |
US20230393058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Emissions from a Building | |
Akdeniz et al. | Odor and odorous chemical emissions from animal buildings: Part 4. Correlations between sensory and chemical measurements | |
CN105807736A (zh) | 污染物智能核算方法 | |
CN109716090A (zh) | 一种用于估计配水管网的子网边界处的水流量的改进系统 | |
CN101738435A (zh) | 气固流化床反应器内聚合物结块的动态故障诊断方法 | |
Naddeo et al. | Environmental odour impact assessment of landfill expansion scenarios. Case study of Borgo Montello (Italy) | |
CN116881747A (zh) | 基于医疗废水监测的智能处理方法及系统 | |
CN108469102B (zh) | 一种地下公共空间臭气在线调控方法和装置 | |
CN111027758B (zh) | 一种针对供水管网水质监测系统的全局韧性高效评估方法 | |
CN107025496B (zh) | 一种集中空调风系统突发污染分布检测点的优化布置方法 | |
CN106840523B (zh) | 一种轮胎硫化机疏水阀蒸汽内漏的协同免疫检测方法 | |
JP3024895B2 (ja) | 空気質検知装置 | |
AU2022252831A1 (en) | Method and system for anomaly detection for a pumped pipeline | |
KR101449989B1 (ko) | 상수도관 누수 탐지장치 및 누수탐지를 위한 누수신호 처리방법 | |
Franz et al. | Statistical methods towards more efficient infiltration measurem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