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2230694B1 - 배양 용기 - Google Patents

배양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694B1
KR102230694B1 KR1020167029776A KR20167029776A KR102230694B1 KR 102230694 B1 KR102230694 B1 KR 102230694B1 KR 1020167029776 A KR1020167029776 A KR 1020167029776A KR 20167029776 A KR20167029776 A KR 20167029776A KR 102230694 B1 KR102230694 B1 KR 102230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culture solution
cell culture
bubble discharge
conca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0739A (ko
Inventor
나오코 오비
아츠시 오니시
도시히로 이가
Original Assignee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9/00Means for introduction, extraction or recirculation of materials, e.g. pumps
    • C12M29/20Degassing; Venting; Bubble tra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34Measuring or testing with condition measuring or sensing means, e.g. colony coun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2Well or multiwell p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38Caps; Covers; Plugs; Pour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ellular or enzymatic activity or functionality, e.g. cell vi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47Handling flowable solids, e.g. microscopic beads, cell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09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rectangular 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8Geometry, shape and general structure
    • B01L2300/0848Specific forms of parts of containers
    • B01L2300/0854Doub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 B01L3/5085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for multiple samples, e.g. microtitration plates with covers or l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과제) 배양 용기에 있어서의 메니스커스를 제거함으로써, 정확한 관찰을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세포 배양 용기(1)는, 용기 본체(7)와, 누름 부재(9)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7)는, 세포 배양액(C)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7)를 갖는다. 누름 부재(9)는, 오목부(7)의 상측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진 부재이다. 누름 부재(9)는, 끼워진 상태로 세포 배양액(C)의 상면에 접촉하는 하면(23a)과, 세포 배양액(C)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기포 방출부(13)를 갖는다.

Description

배양 용기{CULTURE CONTAINER}
본 발명은, 배양 용기, 특히, 현미경 관찰에 이용되는 배양액을 수용하는 배양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의학 및 생물 분야에 있어서, 세포나 균의 배양이 폭넓게 행해지고 있다.
또, 목적에 맞는 용기를 이용하여 배양을 행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상 및 사이즈의 배양 용기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용기의 배양액을 수용하는 오목부의 내경이 예를 들면 16.5mm 이하가 되면, 용기중의 배양액의 액면이 표면장력으로 만곡하는 현상(이하, 메니스커스)이, 현미경 관찰에 있어서 문제를 일으킨다. 즉, 세포나 균을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에, 메니스커스에 기인한 렌즈 효과에 의해서 상이 열화해 버린다. 그 때문에, 오목부의 중심부 이외의 관찰이 곤란해진다.
그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세포 배양 용기에서는, 용기 안에 메니스커스 제어용 평판을 띄우고 있다.
일본국 특허 공개 평 5-181068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세포 배양 용기에서는, 실제로는 메니스커스 제어용 평판의 설계, 제거 등에 기술적 문제가 많아, 그 때문에 이 세포 배양 용기는 실용적이지는 않다.
본 발명의 과제는, 배양 용기에 있어서의 메니스커스를 제거함으로써, 정확한 관찰을 가능하게 하는 데 있다.
이하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의 양태를 설명한다. 이들 양태는,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배양 용기는, 용기 본체와,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배양 용기로서, 배양액을 수용하기 위한 바닥면 및 통형상부를 갖는 오목부를 구비한 투명성의 용기 본체와, 상기 오목부의 상측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지는 투명성의 누름 부재로서, 상기 누름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배양액의 상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오목부의 상기 바닥면에 근접하는 하면과, 상기 하면의 외주연에 접속된 하단부와 상기 오목부의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에 근접하여 대향하는 외주면을 갖는 통형상부를 갖는 누름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오목부의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상기 누름 부재의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과 상기 오목부의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배양액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기포 방출부를 가지며, 상기 누름 부재의 상기 통형상부는, 상기 누름 부재의 하면부의 상면이 상기 배양 용기의 외부로 전체적으로 직접 노출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배양 용기의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하면부를 통해 상기 배양액을 관찰 가능하며, 상기 기포 방출부는, 상기 누름 부재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과 상기 오목부의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의 사이로부터 상기 배양액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배양 용기를 제공한다.
용기 본체는, 배양액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를 갖는다.
누름 부재는, 오목부의 상측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진 부재이다. 누름 부재는, 끼워진 상태로 배양액의 상면에 접촉하는 하면과, 배양액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기포 방출부를 갖는다.
이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의 오목부에 배양액을 수용한 상태로, 누름 부재가 오목부의 상측에 끼워진다. 그러면, 누름 부재의 하면이 배양액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메니스커스가 해소된다. 이 상태에서, 배양액 내의 기포는, 누름 부재의 기포 방출부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이 결과, 배양 용기에 있어서 세포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누름 부재의 하면은, 배양액 내의 기포를 기포 방출부를 향해서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갖고 있어도 된다.
이 용기에서는, 배양액 내의 기포는, 누름 부재의 하면의 경사면에 의해서 기포 방출부로 유도된다. 따라서, 누름 부재의 하면 근방에 기포가 체류하기 어렵다.
누름 부재의 하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화 처리되어 있어도 된다.
이 용기에서는, 누름 부재의 하면 근방에 기포가 체류하기 어렵다.
누름 부재에는, 액체를 배양액 내에 주입함으로써 배양액 내의 기포를 기포 방출부측으로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액체 공급부가 더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용기에서는, 액체가 액체 공급부로부터 배양액 내에 주입되면, 배양액 내의 기포가 기포 방출부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누름 부재의 하면 근방에 기포가 체류하기 어렵다.
오목부의 바닥부는, 복수의 마이크로 웰이 형성된 제1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누름 부재의 하면은, 배양액의 상면에 접촉한다.
메니스커스가 방지됨으로써, 복수의 마이크로 웰에서 성장한 스페로이드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오목부의 바닥부는, 복수의 마이크로 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그 경우, 누름 부재의 기포 방출부는 제2 부분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바닥부에 있어서 복수의 마이크로 웰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기포 방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복수의 마이크로 웰에서 성장한 스페로이드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양 용기에서는, 메니스커스를 제거함으로써, 정확한 관찰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세포 배양 용기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세포 배양 용기의 누름 부재를 갖는 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세포 배양 용기의 누름 부재를 갖는 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세포 배양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세포 배양 용기의 일부의 평면도(제1 실시형태)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세포 배양 용기의 일부의 평면도(제2 실시형태)이다.
도 9은 도 8의 IX-IX 단면도이다.
도 10은 세포 배양 용기의 일부의 평면도(제3 실시형태)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 단면도이다.
도 12는 세포 배양 용기의 일부의 평면도(제4 실시형태)이다.
도 13은 도 12의 XIII-XIII 단면도이다.
도 14는 세포 배양 용기의 일부의 평면도(제5 실시형태)이다.
도 15은 도 14의 XV-XV 단면도이다.
도 16은 세포 배양 용기의 일부의 평면도(제6 실시형태)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I-XVII 단면도이다.
도 18은 세포 배양 용기의 일부의 평면도(제7 실시형태)이다.
도 19는 도 18의 XIX-XIX 단면도이다.
도 20은 세포 배양 용기의 단면도(제8 실시형태)이다.
도 21은 세포 배양 용기의 단면도(제9 실시형태)이다.
도 22는 세포 배양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세포 배양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세포 배양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누름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26은 누름 부재의 상면도(제10 실시형태)이다.
도 27은 세포 배양 용기의 단면도(제11 실시형태)이다.
도 28은 세포 배양 용기의 용기 본체의 단면도(제12 실시형태)이다.
도 29는 세포 배양 용기의 단면도(제13 실시형태)이다.
도 30은 세포 배양 용기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제15 실시형태)이다.
1. 제1 실시형태
(1) 전체 구조
도 1~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배양 용기로서의 세포 배양 용기(1)를 설명한다.
도 1은, 세포 배양 용기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세포 배양 용기의 누름 부재를 갖는 판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배양 용기(1)는, 용기 본체(3)와,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3)는, 평면에서 봤을 때 직사각형상이며, 배양액으로서의 세포 배양액(C)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오목부(웰)(7)를 갖는다. 용기 본체(3)는, 두께는 얇고, 투명성의 부재이며, 예를 들면 투명 플라스틱제이다. 용기 본체(3)는, 공지의 것이며, 예를 들면, 일반적인 웰 플레이트이다.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은, 용기 본체(3)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상이며, 오목부(7)에 대응하는 복수의 누름 부재(9)를 갖고 있다.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은, 두께는 얇고, 투명성의 부재이며, 예를 들면 투명 플라스틱제이다.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은, 평판형상의 본체(5a)와, 그 외주면에 형성된 프레임(5b)을 갖고 있다.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의 본체(5a)에는, 복수의 누름 부재(9)가 설치되어 있다. 누름 부재(9)는, 오목부(7)의 상측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부재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은 6×4 합계 24개의 누름 부재(9)를 갖고 있고, 도 3에 나타내는 누름 부재를 갖는 판(5A)은 6×1 합계 6개의 누름 부재(9)를 갖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누름 부재를 갖는 판(5A)은, 도 1에 나타내는 용기 본체(3)에 대해서는 4개가 이용된다.
도 4는, 세포 배양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이 용기 본체(3)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복수의 누름 부재(9)가 복수의 오목부(7) 내에 각각 들어가, 세포 배양액(C)이 들어간 오목부(7)를 밀봉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세포 배양액(C)의 휘발에 의한 감소가 억제되어 있다. 특히, 소경의 오목부에 관해서는, 세포 배양액(C)의 휘발에 의한 감소를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세포 배양중에는, 세포 배양 용기(1)의 상방으로부터(즉,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의 상방으로부터), 덮개가 씌워진다. 덮개는, 용기 본체(3) 및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의 상부를 덮는다. 이에 의해, 세포 배양액에 대한 오염이 방지된다.
세포 배양 용기(1)에 있어서의 세포의 관찰은, 각 오목부(7)의 하방으로부터 각종 현미경을 이용하여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세포는 오목부(7)의 바닥부에 접착한 상태가 되어 있는 것이 많기 때문에, 그와 같은 상태에서 세포는 관찰된다. 단, 부유 배양을 행하는 경우에는, 세포 배양액(C) 안을 부유하고 있는 세포를 관찰하는 경우도 있다.
(2) 상세 구조
다음에, 도 5~도 7을 이용하여, 오목부(7)와 누름 부재(9)의 구조 및 양자의 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세포 배양 용기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VII-VII 단면도이다.
누름 부재(9)는, 끼워진 상태로 세포 배양액(C)의 상면에 접촉하는 하면(23a)(후술)을 갖고 있다. 또한, 누름 부재(9)는, 세포 배양액(C)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기포 방출부(13)를 갖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포 방출부(13)는, 통형상부(25)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면(23a)(후술)의 외주측과 누름 부재(9)의 외부를 연통하는 오목부이다.
오목부(7)는, 바닥부(17)와, 통형상부(19)를 갖고 있다. 통형상부(19)의 내주면(19a)은, 종단면에 있어서 대체로 연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누름 부재(9)는, 주로, 하면부(23)와, 통형상부(25)를 갖고 있다. 하면부(23)는,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형상의 평판이다. 통형상부(25)는, 오목부(7)의 통형상부(19) 내에 미소한 간극을 두고 끼워져 있다. 즉, 통형상부(25)의 외주면(25a)은, 통형상부(19)의 내주면(19a)에 근접한 상태로 대향하고 있다. 통형상부(25)의 하단에는, 하면부(23)의 외주 가장자리가 접속되어 있다.
누름 부재(9)는, 또한 플랜지부(27)를 갖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플랜지부(27)는,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의 본체(5a)에 고정된 부재로서 설명하고 있는데, 본체(5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플랜지부(27)는, 통형상부(25)로부터 외주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오목부(7)의 통형상부(19)의 상면에 착좌되어 있다. 이와 같이, 누름 부재(9)에 플랜지부(2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누름 부재(9)를 오목부(7)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9)의 일부에, 기포 방출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기포 방출부(13)는, 세포 배양액(C)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포 방출부(13)는, 통형상부(25)의 외주면(25a)의 일부가 잘라내어져 형성된 오목부이며, 이 오목부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면부(23)의 하면(23a)으로부터 세포 배양 용기(1)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27)는 평면에서 봤을 때 원호형상으로 잘라내어져 있다.
이와 같이 기포 방출부(13)가 누름 부재(9)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누름 부재(9)에 의해서 메니스커스를 해소함과 더불어, 기포의 체류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하게 또한 넓은 면적에 걸쳐서, 즉 오목부(7)의 외주 가장자리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세포를 관찰할 수 있다.
하면부(23)의 하면(23a)은, 평면 형상이지만, 수평이 아니라, 비스듬하게 되어 있다(도 7의 각도(θ)를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면(23a)은, 기포 방출부(13) 부근이 가장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하면(23a) 부근에 있는 기포는, 하면(23a)을 따라서 기포 방출부(13)를 향해서 유도된다.
또한, 하면(23a)의 경사 각도(θ)는, 1~30도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도이다.
하면부(23)의 하면(23a)에는, 친수화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따라서, 하면(23a) 근방에 기포가 체류하기 어렵다. 친수화 처리는 공지 기술(예를 들면, 친수성 폴리머의 도포)이 이용된다. 또, 친수화 처리에 의해서, 부유 배양으로 배양하는 세포가 하면부(23)의 하면(23a)에 부착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누름 부재(9)에는, 액체 공급부(31)가 형성되어 있다. 액체 공급부(31)는, 액체를 세포 배양액(C) 내에 주입함으로써 세포 배양액(C) 내의 기포를 기포 방출부(13)측으로 이동시키는데 이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액체 공급부(31)는, 통형상부(25)의 외주면(25a)의 일부가 잘라내어져 형성된 오목부이며, 이 오목부는, 하면부(23)의 하면(23a)으로부터 세포 배양 용기(1)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액체 공급부(31)는, 기포 방출부(13)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액체 공급부(31)는, 하면(23a)의 가장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가 액체 공급부(31)로부터 세포 배양액(C) 내에 주입되면, 세포 배양액(C) 내의 기포가 기포 방출부(13)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누름 부재(9)의 하면(23a) 근방에 기포가 체류하기 어렵다. 액체 공급에는, 예를 들면, 피펫이 이용된다.
또한, 기포 방출부(13) 및 액체 공급부(31)는, 피펫에 의한 삽입 파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누름 부재(9)를 씌운 후에, 세포 전체의 수량 및 성장 상황을 조정할 수 있다.
이상으로 기술한 바와 같이, 누름 부재(9)의 하면부(23)가 세포 배양액(C)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메니스커스 문제가 해소되어 있다. 또한, 하면부(23)의 외주 가장자리가 오목부(7)의 내주면(19a)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관찰 면적이 증대되어 있다.
종래라면, 예를 들면 직경 7mm 정도의 오목부에 있어서 메니스커스의 영향을 받지 않고 관찰할 수 있는 범위는 직경 1~3mm 정도였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누름 부재(9)의 두께를 제외하고 직경 5mm 정도의 범위에서 관찰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종래에서는 추측에 의해 판단했었던 영역을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정확한 경시 변화 및 상태 관찰이 가능해진다.
슬릿에 의한 누름 부재(9)의 개구 부분의 면적은, 하면부(23)의 면적에 대해, 1~50%, 바람직하게는 3~30%이다. 이에 의해, 세포의 관찰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일이 없는 넓은 관찰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세포 배양액(C) 및 기포를 하면부(23)의 하방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기포 방출부(13)에 의해서, 세포 배양액(C) 내의 기포를 세포 배양 용기(1)의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또, 하면(23a)의 경사 및 친수화 처리, 또한 액체 공급부(31)에 의해서, 기포의 배출이 확실하고 또한 신속하게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누름 부재(9)를 오목부(7)에 끼우는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처음에 오목부(7) 내에 세포 배양액(C)을 주입한다. 이 때의 세포 배양액(C)의 양은, 예를 들면, 누름 부재(9)의 하면(23a)이 세포 배양액의 상면에 접촉하는 위치이다. 다음에, 누름 부재(9)를 오목부(7)에 끼운다. 그러면,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배양액(C)의 액면은 하면(23a)에 눌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세포 배양액(C)의 일부는, 기포 방출부(13) 및 액체 공급부(31) 내에 들어간다.
또한, 하면(23a)의 경사는, 생략되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하면(23a)은, 기포 방출부 부근의 경사 각도가 큰 2단계의 경사면이어도 된다. 또 하면(23a)의 친수화 처리는, 생략되어도 되고, 부분적으로 행해지고 있어도 된다. 또, 액체 공급부(31)는 생략되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누름 부재 및 오목부의 치수에 대해서, 구체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구체예는, 메니스커스가 현저해지는 웰의 사이즈를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들 수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용기 본체의 종류로는, 6, 12, 24, 48, 96, 384웰이 있다. 24웰의 경우에는, 누름 부재의 내경은 8.0~14.0mm이며, 누름 부재의 세로 방향 길이(플랜지를 제외함)는 3.0~10.0mm이며, 누름 부재의 외경은 8.0~14.0mm이며, 오목부의 바닥면 내경은 14.0~17.0mm이다. 96웰의 경우에는, 누름 부재의 내경은 4.0~5.0mm이며, 누름 부재의 세로 방향 길이(플랜지를 제외함)는 3.0~10.0mm이며, 누름 부재의 외경은 4.0~5.0mm이며, 오목부의 바닥면 내경은 5.0~7.0mm이다.
2. 제2 실시형태
이하, 도 8 및 도 9를 이용하여,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8은, 세포 배양 용기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IX-IX 단면도이다.
또한, 누름 부재 및 오목부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누름 부재(9)는, 끼워진 상태로 세포 배양액(C)의 상면에 접촉하는 하면(41a)(후술)을 갖고 있다. 또한, 누름 부재(9)는, 세포 배양액(C)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기포 방출부(43)를 갖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포 방출부(43)는, 하면부(41)의 외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원호형상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홈이다. 구체적으로는, 기포 방출부(43)는, 도면 우측의 한 쌍의 제1 홈(43a)과, 도면 좌측의 한 쌍의 제2 홈(43b)을 갖고 있다. 도면 우측의 한 쌍의 제1 홈(43a)은, 하면부(41)의 도면 우측 반분의 외주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또, 도면 좌측의 한 쌍의 제2 홈(43b)은, 하면부(41)의 도면 좌측 반분의 외주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포 방출부(43)가 누름 부재(9)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누름 부재(9)에 의해서 메니스커스를 해소함과 더불어, 기포의 체류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하게 또한 넓은 면적에 걸쳐서, 즉 오목부(7)의 외주 가장자리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세포를 관찰할 수 있다.
하면부(41)의 하면(41a)은, 도면 좌우로 2분할되어 있고, 도면 좌우 중심으로부터 각각 좌우 양측에 비스듬한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도 9의 각도(θ)를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면(41a)의 도면 우측 부분은, 한 쌍의 제1 홈(43a)의 중간 부근이 가장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하면(41a)의 도면 좌측 부분은, 한 쌍의 제2 홈(43b)의 중간 부근이 가장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하면(41a) 부근에 있는 기포는, 하면(41a)을 따라서, 한 쌍의 제1 홈(43a)과 한 쌍의 제2 홈(43b)을 향해서 유도된다.
누름 부재(9)를 오목부(7)에 끼우는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처음에 오목부(7) 내에 세포 배양액(C)을 주입한다. 이 때의 세포 배양액(C)의 양은, 예를 들면, 누름 부재(9)의 하면(41a)이 세포 배양액(C)의 상면에 접촉하는 위치이다. 다음에, 누름 부재(9)를 오목부(7)에 끼운다. 그러면,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배양액(C)의 액면은 하면(41a)에 눌린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세포 배양액(C)의 일부는, 기포 방출부(43)의 제1 홈(43a) 및 제2 홈(43b)에 들어간다. 또한, 도 9에서는, 세포 배양액의 액면은 제1 홈(43a) 및 제2 홈(43b) 안에 위치하고 있는데, 세포 배양액(C)은 제1 홈(43a) 및 제2 홈(43b)을 넘어, 일부가 하면부(41)의 상측으로 넘쳐도 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는, 제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동일하다.
또, 기포 방출부로서의 홈의 수, 위치, 형상은 필요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다. 또, 하면부에 형성된 기포 방출부는, 홈 형상이 아니라, 구멍 형상이어도 된다.
하면(23a)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면은, 전체가 수평으로 연장되는 평면이어도 되고, 각 홈에 대응하여 형성된 복수의 경사 평면이어도 된다.
3. 제3 실시형태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0은, 세포 배양 용기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XI-XI 단면도이다.
또한, 누름 부재 및 오목부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누름 부재(9)는, 끼워진 상태로 세포 배양액(C)의 상면에 접촉하는 하면(45a)(후술)을 갖고 있다. 또한, 누름 부재(9)는, 세포 배양액(C)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기포 방출부(47)를 갖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포 방출부(47)는, 하면부(41)의 좌우 중심에 형성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홈이다. 구체적으로는, 기포 방출부(47)는, 도면에 있어서, 하면부(41)의 외주 가장자리에서부터 외주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포 방출부(47)가 누름 부재(9)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누름 부재(9)에 의해서 메니스커스를 해소함과 더불어, 기포의 체류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하게 또한 넓은 면적에 걸쳐서, 즉 오목부(7)의 외주 가장자리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세포를 관찰할 수 있다.
하면부(45)의 하면(45a)은, 도면 좌우로 2분할되어 있고, 도면 좌우 중심으로부터 각각 좌우 양측에 비스듬한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도 11의 각도(θ)를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면(45a)의 도면 우측 부분은, 기포 방출부(47) 부근이 가장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하면(45a)의 도면 좌측 부분은, 기포 방출부(47) 부근이 가장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하면(45a) 부근에 있는 기포는, 하면(45a)을 따라서, 기포 방출부(47)를 향해서 유도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는, 제1~제2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동일하다.
또, 기포 방출부로서의 홈의 수, 위치, 형상은 필요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다. 또, 하면부에 형성된 기포 방출부는, 홈 형상이 아니라, 구멍 형상이어도 된다.
하면(45a)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면은, 전체가 수평으로 연장되는 평면이어도 된다.
4. 제4 실시형태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이용하여, 제4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2는, 세포 배양 용기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III-XIII 단면도이다.
또한, 누름 부재 및 오목부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누름 부재(9)는, 끼워진 상태로 세포 배양액(C)의 상면에 접촉하는 하면(49a)(후술)을 갖고 있다. 또한, 누름 부재(9)는, 세포 배양액(C)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기포 방출부(51)를 갖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포 방출부(51)는, 하면부(49)의 외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홈이다. 구체적으로는, 기포 방출부(51)는, 도면에 있어서, 도면 우측의 한 쌍의 제1 홈(51a)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제1 홈(51a)은, 하면부(49)의 외주 가장자리의 도면 우측 반분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포 방출부(51)가 누름 부재(9)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기포의 체류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하게 또한 넓은 면적에 걸쳐서, 즉 오목부(7)의 외주 가장자리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세포를 관찰할 수 있다.
하면부(49)의 하면(49a)은, 평면 형상이지만, 수평이 아니라, 비스듬하게 되어 있다(도 13의 각도(θ)를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면(49a)은, 기포 방출부(51)의 한 쌍의 제1 홈(51a)끼리의 중간 부근이 가장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하면(49a) 부근에 있는 기포는, 하면(49a)을 따라서 기포 방출부(51)를 향해서 유도된다.
누름 부재(9)에는, 액체 공급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액체 공급부(52)는, 액체를 세포 배양액(C) 내에 주입함으로써 세포 배양액(C) 내의 기포를 기포 방출부(51)측으로 이동시키는데 이용된다. 이 실시형태는, 액체 공급부(52)는, 하면부(49)의 외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홈이다. 구체적으로는, 액체 공급부(52)는, 도면에 있어서, 도면 좌측의 한 쌍의 제2 홈(52a)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제2 홈(52a)은, 하면부(49)의 외주 가장자리의 도면 좌측 반분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또, 액체 공급부(52)는, 기포 방출부(51)에 대해 지름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액체 공급부(52)의 한 쌍의 제2 홈(52a)끼리의 중간이, 하면(49a)의 가장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 액체가 액체 공급부(52)로부터 세포 배양액(C) 내에 주입되면, 세포 배양액(C) 내의 기포가 기포 방출부(51)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누름 부재(9)의 하면(49a) 근방에 기포가 체류하기 어렵다. 액체 공급에는, 예를 들면, 피펫이 이용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는, 제1~제3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동일하다.
또한, 하면(49a)의 경사는, 생략되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또, 하면(49a)의 친수화 처리는, 생략되어도 되고, 부분적으로 행해져도 된다. 또한, 액체 공급부(52)는, 생략되어도 되고,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5. 제5 실시형태
이하, 도 14 및 도 15를 이용하여, 제5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4는, 세포 배양 용기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 단면도이다.
또한, 누름 부재 및 오목부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누름 부재(9)는, 끼워진 상태로 세포 배양액(C)의 상면에 접촉하는 하면(53a)(후술)을 갖고 있다. 또한, 누름 부재(9)는, 세포 배양액(C)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기포 방출부(55)를 갖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포 방출부(55)는, 하면부(53)의 외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홈이다. 구체적으로는, 기포 방출부(55)는, 하면부(53)의 도면 우측 반분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서 연장되는 홈이다.
이와 같이 기포 방출부(55)가 누름 부재(9)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누름 부재(9)에 의해서 메니스커스를 해소함과 더불어, 기포의 체류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하게 또한 넓은 면적에 걸쳐서, 즉 오목부(7)의 외주 가장자리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세포를 관찰할 수 있다.
하면부(53)의 하면(53a)은, 평면 형상이지만, 수평이 아니라, 비스듬하게 되어 있다(도 15의 각도(θ)를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면(53a)은, 기포 방출부(55)의 중간부 부근이 가장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하면(53a) 부근에 있는 기포는, 하면(53a)을 따라서 기포 방출부(55)를 향해서 유도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는, 제1~제4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동일하다.
기포 방출부로서의 홈의 수, 위치, 형상은 필요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다. 또, 하면부에 형성된 기포 방출부는, 홈 형상이 아니라, 구멍 형상이어도 된다.
하면부의 하면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면은, 전체가 수평으로 연장되는 평면이어도 된다.
6. 제6 실시형태
이하, 도 16 및 도 17을 이용하여, 제6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6은, 세포 배양 용기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I-XVII 단면도이다.
또한, 누름 부재 및 오목부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누름 부재(9)는, 끼워진 상태로 세포 배양액(C)의 상면에 접촉하는 하면(57a)(후술)을 갖고 있다. 또한, 누름 부재(9)는, 세포 배양액(C)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기포 방출부(59)를 갖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포 방출부(59)는, 하면부(57)의 외주 가장자리에 형성된 원호형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이다. 구체적으로는, 합계 4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기포 방출부(59)가 누름 부재(9)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누름 부재(9)에 의해서 메니스커스를 해소함과 더불어, 기포의 체류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하게 또한 넓은 면적에 걸쳐서, 즉 오목부(7)의 외주 가장자리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세포를 관찰할 수 있다.
하면부(57)의 하면(57a)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평탄면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기포 방출부(59) 중 어느 한쪽을 액체 공급부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는, 제1~제5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동일하다.
또, 기포 방출부인 홈의 수, 위치, 형상은 필요에 따라서 변경 가능하다. 또, 하면부에 형성된 기포 방출부는, 홈 형상이 아니라, 구멍 형상이어도 된다.
7. 제7 실시형태
다음에, 도 18 및 도 19를 이용하여, 제7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8은, 세포 배양 용기의 일부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XIX-XIX 단면도이다.
또한, 누름 부재 및 오목부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누름 부재(9)는, 끼워진 상태로 세포 배양액(C)의 상면에 접촉하는 하면(61a)(후술)을 갖고 있다. 또한, 누름 부재(9)는, 세포 배양액(C)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기포 방출부(63)를 갖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포 방출부(63)는, 통형상부(25)의 외주면(25a)의 일부가 잘라내어져 형성된 오목부이며, 이 오목부는, 하면부(61)의 하면(61a)으로부터 세포 배양 용기(1)의 외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부(27)는 평면에서 봤을 때 직선형상으로 잘라내어져 있다.
이와 같이 기포 방출부(63)가 누름 부재(9)에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누름 부재(9)에 의해서 메니스커스를 해소함과 더불어, 기포의 체류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하게 또한 넓은 면적에 걸쳐서, 즉 오목부(7)의 외주 가장자리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세포를 관찰할 수 있다.
하면부(61)의 하면(61a)은, 평면 형상이지만, 수평이 아니라, 비스듬하게 되어 있다(도 19의 각도(θ)를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면(61a)은, 기포 방출부(63) 부근이 가장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하면(61a) 부근에 있는 기포는, 하면(61a)을 따라서 기포 방출부(63)를 향해서 유도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는, 제1~제6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동일하다.
8. 제8 실시형태
제1~제7 실시형태에서는, 하면부(23, 53, 63)는, 바닥부(17)로부터 비교적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었는데, 이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20을 이용하여, 제9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20은, 세포 배양 용기의 단면도이다.
또한, 누름 부재 및 오목부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하면부(23A)는, 바닥부(17)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구조는, 제1~제8 실시형태 중 어느 것에도 적용 가능하고, 그들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9. 제9 실시형태
제1~제8 실시형태에서는 배양액 내의 세포를 관찰하는 용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고 있었는데, 본 발명은 다른 종류의 용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1~도 24를 이용하여, 스페로이드 형성용 세포 배양 용기를 설명한다. 도 21~도 24는 세포 배양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누름 부재의 상면도이다.
또한, 누름 부재 및 오목부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1은, 세포 배양 용기의 용기 본체(103)를 나타내고 있다. 용기 본체(103)는, 상측이 개구한 용기이며, 세포 배양액(C)을 유지하고 있다. 세포 배양액(C)은, 다수의 종세포(c)를 포함하고 있다.
오목부(107)의 바닥부(117)에는, 마이크로 웰 부재(131)가 설치되어 있다. 마이크로 웰 부재(131)는, 복수의 마이크로 웰(131a)을 갖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웰 부재(131)는, 상면(제1 부분에 상당)에 다수의 마이크로 웰(131a)을 갖고 있다. 마이크로 웰(131a)의 직경은, 예를 들면 30~1500μm이며, 바람직하게는 50~300μm이다. 마이크로 웰(131a)의 깊이는, 예를 들면, 30~1500μm이며, 바람직하게는 50~300μm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 웰 부재(131)는 바닥부(117)의 중심에 설치되고, 그 상면은 바닥부(117)로부터 비교적 떨어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바닥부(117)에 있어서 마이크로 웰 부재(131)의 외주측은 마이크로 웰 부재(131)의 상면보다 낮은 면(제2 부분에 상당)으로 되어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109)가 용기 본체(103)의 오목부(107) 내에 삽입된다. 누름 부재(109)는, 도 22 및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판형상의 하면부(123)를 갖고 있다. 하면부(123)의 하면(123a)은, 마이크로 웰 부재(131)의 상면(마이크로 웰(131a)이 형성된 부분)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하면부(123)의 하면(123a)과 마이크로 웰 부재(131)의 상면 사이의 치수는, 스페로이드(S)의 직경보다 짧으면 되고, 예를 들면, 0~300μm이다. 또, 하면부(123)에 있어서, 마이크로 웰 부재(131)보다 더 외주측의 부분에는, 복수의 기포 방출부(123b)가 형성되어 있다. 즉, 기포 방출부(123b)는, 바닥부(117)의 제2 부분(마이크로 웰(131a)이 없는 부분)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기포 방출부(123b)는, 점상의 관통 구멍이다. 따라서, 하면부(123)보다 하방의 공간(예를 들면, 복수의 마이크로 웰(131a), 마이크로 웰 부재(131)의 주위)에 있어서의 기포는,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된다.
최초로, 종세포(c)의 파종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배양액(C)을 오목부(107) 내에 주입한다. 세포 배양액(C)은, 액체의 배지와, 배지에 균일하게 확산된 종세포(c)로 이루어지는 현탁액이다. 종세포(c)는, 부착성을 갖고 있고, 예를 들면, 인간 골육종세포 등의 암세포나 간세포이다. 배지는, 부착성 세포의 배양에 적합한 공지의 것이 이용된다. 이상의 경우, 개개의 종세포(c)가, 마이크로 웰(131a)에까지 강하하여 착상한다.
계속해서,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109)가 오목부(107)에 끼워진다.
그리고,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이크로 웰(131a) 내에서, 복수의 종세포(c)가 응집함으로써, 스페로이드(S)를 형성한다. 이 세포 배양 용기에서는, 하면부(123)가, 오목부(107) 내에서 복수의 마이크로 웰(131a)의 상방에 배치되고, 마이크로 웰(131a) 내에서 성장한 스페로이드(S)가 상기 마이크로 웰(131a)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세포 배양 용기에 있어서 스페로이드(S)가 안정적으로 형성된다.
도시하지 않은 관 및 펌프를 이용하여, 오목부(107) 내부에 배지를 공급 및 배출하는 장치를 설치해도 된다. 이에 의해, 유입구를 통해서 새로운 배지를 오목부(107) 내에 주입하고, 또한 유출구를 통해서 세포 배양 용기 내의 배지를 배출할 수 있다. 즉, 종세포(c)가 마이크로 웰(131a)에 있어서 스페로이드(S)를 형성하고 있을 때, 오목부(107) 내의 배지 교환이 행해진다.
상기 배지 교환에 있어서, 오목부(107) 내에 있어서 배지의 흐름이 발생하는데, 이 때, 하면부(123)에 의해서 스페로이드(S)를 누르고 있으므로, 스페로이드(S)가 마이크로 웰(131a)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스페로이드(S)의 유출이 방지되고 있다.
상술된 배지 교환에 의해서, 배지 순환에 의해서, 배양중에도 세포에 영양분 및 산소가 공급되어, 세포가 건강하게 성장한다. 그 결과, 비교적 긴 배양 기간을 필요로 하는 큰 스페로이드(S)를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형성된 스페로이드(S)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또, 배지 교환에 의해서, 스페로이드(S)가 되지 않았던 세포 폐기물 및 노폐물이 제거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포 배양액(C)을 줄여, 하면부(123)보다 상측에 세포 배양액(C)이 존재하지 않게 한 다음, 용기 본체(103)의 하방으로부터 스페로이드(S)를 관찰한다. 이 때, 하면부(123)의 하면(123a)이 세포 배양액(C)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음으로써, 메니스커스가 해소된다. 이 결과, 용기 본체(103)에 있어서, 복수의 마이크로 웰(131a)에서 성장한 스페로이드(S)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또, 하면부(123)에 있어서 복수의 마이크로 웰(131a)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기포 방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복수의 마이크로 웰(131a)에서 성장한 스페로이드(S)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10. 제10 실시형태
제9 실시형태에서는 기포 방출부는 복수의 구멍이었는데, 기포 방출부의 형태는 그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6을 이용하여, 누름 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26은, 누름 부재의 상면도이다. 또한, 누름 부재 및 오목부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하면부(123)에 있어서, 마이크로 웰 부재(131)보다 더 외주측의 부분에는 복수의 기포 방출부(123c)가 형성되어 있다. 기포 방출부(123c)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호상의 관통 홈이다.
하면부에 형성되는 기포 방출부로서의 관통 구멍의 형상, 개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기포 방출부는, 하면부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기포 방출부는, 누름 부재(109)의 통형상부(125)와 용기 본체(103)의 통형상부(119) 사이에 형성된 잘라내어진 부분, 슬릿, 관통 구멍이어도 된다.
하면부(123)에 있어서 복수의 마이크로 웰(131a)에 대응하는 위치(즉, 중심부 및 반경 방향 중간부)에는 기포 방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복수의 마이크로 웰(131a)에서 성장한 스페로이드(S)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11. 제11 실시형태
제9 실시형태에서는 누름 부재의 하면부는 평탄한 형상이었는데, 하면부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27을 이용하여, 누름 부재(109)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27은, 세포 배양 용기의 단면도이다. 또한, 누름 부재 및 오목부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109)의 하면부는, 평탄한 누름부(123A)와, 환상의 돌출부(123B)를 갖고 있다. 누름부(123A)는, 마이크로 웰 부재(131)의 상면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환상의 돌출부(123B)는, 누름부(123A)의 외주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돌출부(123B)는, 마이크로 웰 부재(131)의 외주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123B)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기포 방출부(123b)가 형성되어 있다. 기포 방출부(123b)의 형상은, 점상 또는 호상의 관통 구멍 또는 그들의 조합이다.
하면부에 있어서 복수의 마이크로 웰(131a)에 대응하는 위치(즉, 누름부(123A))에는 기포 방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복수의 마이크로 웰(131a)에서 성장한 스페로이드(S)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12. 제12 실시형태
특히, 제8~제11 실시형태에서는, 누름 부재의 하면부와 그 하방의 부재 사이의 치수를 정확하게 관리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누름 부재는 배양 용기의 배지에 밀어넣어 사용되므로, 부력으로 누름 부재가 떠오른다는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도 28을 이용하여, 그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도 28은, 세포 배양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의 상방에는, 덮개(11)가 배치되어 있다. 덮개(11)는,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의 상측 전체를 덮고 있다. 덮개(11)는, 평탄한 본체(11a)와, 그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통형상부(11b)를 갖고 있다. 덮개(11)의 본체(11a)와,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의 플랜지부(27) 사이에는, 쿠션 부재(12)가 배치되어 있다. 쿠션 부재(12)는, 스프링, 고무, 스펀지 등의 탄성 부재이다.
쿠션 부재(12)는, 누름 부재를 갖는 판(5)과 덮개(11) 사이에서 압축됨으로써,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이 떠오르는 것이 방지되어, 용기 본체(3) 내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스페로이드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마이크로 웰과 메시 사이의 간극을 충분히 짧게 할 수 있어, 그에 의해 스페로이드 고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3. 제13 실시형태
제12 실시형태에서는, 덮개는 자중에 의해서만 탄성 부재를 압축하고 있었는데, 다른 구조에 의해서 탄성 부재를 압축해도 된다.
여기서, 도 29를 이용하여, 그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도 29는, 세포 배양 용기의 단면도이다.
기본적인 구조는 제1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용기 본체(3)의 외주부에 제1 걸어맞춤부(15)가 형성되고, 또한 덮개(11)의 통형상부(11b)에 제2 걸어맞춤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걸어맞춤부(15)와 제2 걸어맞춤부(16)는 서로 걸어맞춰져 있고, 그에 의해 덮개(11)가 용기 본체(3)로부터 떨어져 있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쿠션 부재(12)는, 누름 부재를 갖는 판(5)과 덮개(11) 사이에서 압축됨으로써,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이 떠오르는 것이 방지되어, 용기 본체(3) 내에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스페로이드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마이크로 웰과 메시 사이의 간극을 충분히 짧게 할 수 있어, 그에 의해 스페로이드 고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4. 제14 실시형태
제12 실시형태 및 제13 실시형태에서는, 덮개 및 쿠션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이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있었는데, 다른 수단에 의해서도 떠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의 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금속제 재료를 일부에 사용함으로써, 누름 부재를 갖는 판(5) 자체를 무겁게 한다. 또는,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의 일부에 추를 단다.
15. 제15 실시형태
복수의 누름 부재가 복수의 오목부에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양자에 위치 결정 구조를 설치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와 같은 실시형태를, 도 3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세포 배양 용기의 용기 본체의 사시도이다.
또한, 기본적인 구조는 제1~제14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하,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용기 본체(3)의 상측의 모서리에는, 복수의 핀(71)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핀(71)은, 용기 본체(3)의 오목부(7)가 형성된 본체 부분의 외측 부분의 네 모서리에 배치되어 있다.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에는, 핀(71)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구멍(73)은, 프레임(5b)의 네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다.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을 용기 본체(3)에 끼울 때에, 핀(71)과 구멍(73)에 의해서 위치 결정함으로써, 복수의 누름 부재(9)가 오목부(7)에 원활하게 끼어들어간다.
또한, 핀과 구멍의 수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용기 본체(3)와 누름 부재를 갖는 판(5)의 위치 결정 구조는, 핀과 구멍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16. 실시형태의 공통 사항
상기 제1~제15 실시형태는, 하기의 구성 및 기능을 공통으로 갖고 있다.
배양 용기(예를 들면, 세포 배양 용기(1))는, 용기 본체(예를 들면, 용기 본체(3), 용기 본체(103))와, 누름 부재(예를 들면, 누름 부재(9), 누름 부재(109))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는, 배양액(예를 들면, 세포 배양액(C))을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예를 들면, 오목부(7), 오목부(107))를 갖는다.
누름 부재는, 오목부의 상측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진 부재이다. 누름 부재는, 끼워진 상태로 배양액의 상면에 접촉하는 하면(예를 들면, 하면(23a), 하면(41a), 하면(45a), 하면(49a), 하면(53a), 하면(57a), 하면(61a), 하면(123a))과, 배양액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기포 방출부(예를 들면, 기포 방출부(13), 기포 방출부(43), 기포 방출부(47), 기포 방출부(51), 기포 방출부(55), 기포 방출부(59), 기포 방출부(63), 기포 방출부(123b), 기포 방출부(123c))를 갖는다.
이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의 오목부에 배양액을 수용한 상태로, 누름 부재가 오목부의 상측에 끼워진다. 그러면, 누름 부재의 하면이 배양액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메니스커스가 해소된다. 이 상태에서, 배양액 내의 기포는, 누름 부재의 기포 방출부로부터 외부로 방출된다. 이 결과, 배양 용기에 있어서 세포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17.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복수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명세서에 쓰여진 복수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는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조합 가능하다.
오목부 및 누름 부재의 평면에서 본 형상, 및 그들의 조합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오목부 및 누름 부재의 개수는,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누름 부재의 하면의 친수화 처리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적으로 행해져 있어도 되고, 반드시 행해지지 않아도 된다.
누름 부재의 하면을 경사면으로 하는 것, 부분적으로 또는 전면적으로 행해져 있어도 되고, 반드시 행해지지 않아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배양 용기의 일례로서 세포 배양액을 이용한 세포 배양 용기를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배양 용기에서는, 예를 들면, 동물 세포, 식물 세포, 균, 세균도 배양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현미경 관찰에 이용되는 배양액을 수용하는 배양 용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 세포 배양 용기 3 : 용기 본체
5 : 누름 부재를 갖는 판 7 : 오목부
9 : 누름 부재 13 : 기포 방출부
17 : 바닥부 19 : 통형상부
19a : 내주면 23 : 하면부
23a : 하면 25 : 통형상부
25a : 외주면 27 : 플랜지부
31 : 액체 공급부

Claims (8)

  1. 배양 용기로서,
    배양액을 수용하기 위한 바닥면 및 통형상부를 갖는 오목부를 구비한 투명성의 용기 본체와,
    상기 오목부의 상측에 제거 가능하게 끼워지는 투명성의 누름 부재로서, 상기 누름 부재가 상기 용기 본체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배양액의 상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오목부의 상기 바닥면에 근접하는 하면과, 상기 하면의 외주연에 접속된 하단부와 상기 오목부의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에 근접하여 대향하는 외주면을 갖는 통형상부를 갖는 누름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오목부의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에 대향하는 상기 누름 부재의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과 상기 오목부의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배양액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기포 방출부를 가지며,
    상기 누름 부재의 상기 통형상부는, 상기 누름 부재의 하면부의 상면이 상기 배양 용기의 외부로 전체적으로 직접 노출되도록 상측으로 개구되어, 상기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배양 용기의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하면부를 통해 상기 배양액을 관찰 가능하며,
    상기 기포 방출부는, 상기 누름 부재가 상기 오목부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통형상부의 외주면과 상기 오목부의 상기 통형상부의 내주면의 사이로부터 상기 배양액 내의 기포를 외부로 방출 가능하게 하는, 배양 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의 상기 하면은, 상기 배양액 내의 기포를 상기 기포 방출부를 향해서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갖고 있는, 배양 용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의 상기 하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친수화 처리되어 있는, 배양 용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에는, 액체를 상기 배양액 내에 주입함으로써 상기 배양액 내의 기포를 상기 기포 방출부측으로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액체 공급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배양 용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에는, 액체를 상기 배양액 내에 주입함으로써 상기 배양액 내의 기포를 상기 기포 방출부측으로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액체 공급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배양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는, 복수의 마이크로 웰이 형성된 제1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누름 부재의 상기 하면은 상기 배양액의 상면에 접촉하는, 배양 용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제2 부분을 갖고 있고,
    상기 누름 부재의 상기 기포 방출부는 상기 제2 부분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배양 용기.
KR1020167029776A 2014-06-24 2015-06-10 배양 용기 KR102230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29567 2014-06-24
JPJP-P-2014-129567 2014-06-24
JPJP-P-2014-181097 2014-09-05
JP2014181097A JP5768174B1 (ja) 2014-06-24 2014-09-05 培養容器
PCT/JP2015/066767 WO2015198866A1 (ja) 2014-06-24 2015-06-10 培養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739A KR20170020739A (ko) 2017-02-24
KR102230694B1 true KR102230694B1 (ko) 2021-03-22

Family

ID=5418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776A KR102230694B1 (ko) 2014-06-24 2015-06-10 배양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138454B2 (ko)
EP (1) EP3109313A4 (ko)
JP (1) JP5768174B1 (ko)
KR (1) KR102230694B1 (ko)
CN (1) CN106103692B (ko)
TW (1) TWI548740B (ko)
WO (1) WO20151988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3520A (ko) 2022-07-22 2024-01-30 주식회사 큐리오시스 세포 이미징 시 왜곡현상 및 결로현상의 발생을 방지하여 깨끗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세포 배양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13293B (zh) * 2016-08-17 2018-02-01 Timing Pharmaceutical Co Ltd 白樺茸菌絲體培養瓶裝置
CN110023480B (zh) * 2016-12-14 2022-11-11 株式会社日立高新技术 培养仪器
JP7247520B2 (ja) * 2018-10-30 2023-03-29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培養容器、培養方法、及び輸送方法
JP7441226B2 (ja) * 2018-12-19 2024-02-29 アムジエン・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メニスカスに起因する撮像の問題を解決するための装置
TW202130800A (zh) * 2019-09-30 2021-08-16 日商東京應化工業股份有限公司 細胞篩選裝置及細胞篩選套組
JP2021058175A (ja) * 2019-10-09 2021-04-15 株式会社リコー 細胞押さえ具、細胞層作製具及び細胞層製造方法
JP7380053B2 (ja) * 2019-10-09 2023-11-15 株式会社リコー 蓋付き容器
KR200494877Y1 (ko) * 2020-01-13 2022-01-13 주식회사 랩투랩 배양 기구
JP7470349B2 (ja) * 2020-08-12 2024-04-18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腎臓濾過機能再現装置、腎臓濾過機能評価装置、及び腎臓濾過機能評価方法
WO2022146028A1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배지로부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제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지순환식 세포배양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9327A (ja) * 2006-03-30 2007-10-18 Japan Tissue Engineering:Kk 培養組織の包装容器、これに使用する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培養組織の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1330A (en) 1980-04-04 1982-03-23 Baker Fraser L Tissue culture device
JP2589299B2 (ja) 1987-01-28 1997-03-12 富士通株式会社 単語音声認識装置
JPH0518960Y2 (ko) * 1987-05-22 1993-05-19
JP3133786B2 (ja) 1991-08-20 2001-02-13 ホーヤ株式会社 顕微鏡観察する方法
DE29817223U1 (de) * 1998-09-24 1998-11-19 Marotzki, Stefan, Dr., 25436 Tornesch Vorrichtung zur Aufnahme einer Zellkultur
GB0110120D0 (en) * 2001-04-25 2001-06-20 Medical Res Council Modified sample plate cover and associated method
WO2003066907A1 (en) * 2002-02-05 2003-08-14 Genome Therapeutics Corporation Seal for microtiter plate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80207465A1 (en) * 2002-10-28 2008-08-28 Millipore Corporation Assay systems with adjustable fluid communication
FI115060B (fi) * 2003-04-22 2005-02-28 Chip Man Technologies Oy Analyysi- ja kasvatuslaitteisto
TWI270576B (en) * 2003-05-13 2007-01-11 Cesco Bioengineering Co Ltd Cell-cultivating device and method
JP2006023644A (ja) * 2004-07-09 2006-01-26 Nikon Corp 顕微鏡観察用容器
CN201080483Y (zh) * 2005-05-17 2008-07-02 可乐丽股份有限公司 细胞培养容器
US8968679B2 (en) 2005-05-19 2015-03-03 Emd Millipore Corporation Receiver plate with multiple cross-sections
JP2007104975A (ja) * 2005-10-14 2007-04-26 Toyo Seikan Kaisha Ltd 培養容器および培養方法
US8501462B2 (en) * 2007-02-27 2013-08-0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Insert device for multiwell plate
JP5493869B2 (ja) 2007-05-30 2014-05-14 株式会社ニコン 培養容器
CN102015997B (zh) * 2008-05-05 2016-08-10 威尔森沃尔夫制造公司 细胞容器
US8999703B2 (en) * 2008-05-05 2015-04-07 Daniel P. Welch Cell container
USH2268H1 (en) * 2009-01-30 2012-04-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icrotiter plate to mitigate cell distribution bias from meniscus edge
EP2409766A1 (de) * 2010-07-23 2012-01-25 F. Hoffmann-La Roche AG Verfahren zur Hydrophilisierung von Oberflächen fluidischer Komponenten und derartige Komponenten enthaltende Bauteile
WO2012036011A1 (ja) 2010-09-14 2012-03-22 旭硝子株式会社 培養基材
WO2012045368A1 (en) * 2010-10-08 2012-04-12 Naturin Viscofan Gmbh Cell culture insert
JP6113999B2 (ja) * 2012-10-18 2017-04-12 株式会社クラレ 化合物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9327A (ja) * 2006-03-30 2007-10-18 Japan Tissue Engineering:Kk 培養組織の包装容器、これに使用する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培養組織の包装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3520A (ko) 2022-07-22 2024-01-30 주식회사 큐리오시스 세포 이미징 시 왜곡현상 및 결로현상의 발생을 방지하여 깨끗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세포 배양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68174B1 (ja) 2015-08-26
WO2015198866A1 (ja) 2015-12-30
KR20170020739A (ko) 2017-02-24
JP2016026474A (ja) 2016-02-18
US10138454B2 (en) 2018-11-27
EP3109313A4 (en) 2017-04-05
EP3109313A1 (en) 2016-12-28
US20170067006A1 (en) 2017-03-09
TW201610147A (zh) 2016-03-16
CN106103692B (zh) 2021-08-13
CN106103692A (zh) 2016-11-09
TWI548740B (zh) 2016-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694B1 (ko) 배양 용기
KR102353140B1 (ko) 배양용기
JP7197557B2 (ja) 多孔性支持体を有する細胞培養槽
EP0800571B1 (en) Biological analysis device having improved contamination prevention
US5026649A (en) Apparatus for growing tissue cultures in vitro
US4321330A (en) Tissue culture device
US20200181552A1 (en) Handling features for microcavity cell culture vessel
CN111094535A (zh) 细胞培养容器
WO2006097749A1 (en) Fluidic devices for cell and embryo culture
JP2007516726A (ja) 細胞培養フラスコ
WO2016190322A1 (ja) 細胞処理容器
US20240091778A1 (en) Cell culture vessel
US20150240196A1 (en) Multi-compartment device for cell cloning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US11060054B2 (en) Specimen container
CN115038783A (zh) 细胞培养微装置
US20210277347A1 (en) Cell culture vessel and cell chip
JP2021093930A (ja) 細胞培養容器、細胞培養システム及びスフェロイド培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