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805B1 - eIMTA 간섭 완화를 위한 향상된 전력 제어의 시그널링 - Google Patents
eIMTA 간섭 완화를 위한 향상된 전력 제어의 시그널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35805B1 KR102235805B1 KR1020157033269A KR20157033269A KR102235805B1 KR 102235805 B1 KR102235805 B1 KR 102235805B1 KR 1020157033269 A KR1020157033269 A KR 1020157033269A KR 20157033269 A KR20157033269 A KR 20157033269A KR 102235805 B1 KR102235805 B1 KR 1022358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frames
- subframe
- power control
- subframe type
- upli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2
- 108091006146 Channels Proteins 0.000 description 28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1150096310 SIB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7 detri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49 magnetic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8 resource allo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or Eb/lo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TDD 업링크-다운링크 구성들을 예시하는 표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셀 클러스터들에 따라 그룹화되는 셀들을 갖는 셀 클러스터링 간섭 완화 환경을 예시한다;
도 4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유연 서브프레임들을 갖는 TDD 프레임들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a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상이한 송신 방향들 및 연관된 상이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가질 수도 있는 이웃 셀 클러스터들 및 서브프레임들의 TDD 프레임들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b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상이한 송신 방향들 및 연관된 상이한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을 가질 수도 있는 이웃 셀 클러스터들 및 서브프레임들의 TDD 프레임들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5c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서브프레임 그룹화를 위한 비트맵의 일 예를 예시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기지국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기지국의 또 다른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의 일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TDD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TDD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TDD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그리고
도 13은 다양한 실시형태들에 따른 TDD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Claims (76)
- 시분할 듀플렉스 (TDD)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
각각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표시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서빙 셀과 상기 이웃 셀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D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과 연관된 비트맵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비트맵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연관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의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값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또는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연관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중의 하나 이상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서빙 셀 및 이웃 셀의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및 이웃 셀들의 상기 TDD UL-DL 구성들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에 대해 IoT (Interference over Thermal noise) 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고정 방향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들간에 IoT 의 차이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IoT 의 차이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은 상기 TDD UL-DL 구성과 상관 없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선택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동안 이웃 셀로부터의 신호가 다운링크 (DL) 기준 신호 (RS) 를 포함한다는 것을, 서빙 셀에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프레임 동안 상기 DL RS 의 존재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DL RS 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들은 상기 서빙 셀의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이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일 때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 식별되는, 무선 통신 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와 상이한, 무선 통신 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되지 않은 남아있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적용되고,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의 서브세트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보상되지 않은 UL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따른 상기 UL 송신 전력에 대한 조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타겟 수신 전력 (PO) 및 셀 특정 보상 팩터 (α)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서빙 셀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별개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에 대한 오프셋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시분할 듀플렉스 (TDD)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는 수단;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는 수단;
각각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표시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서빙 셀과 상기 이웃 셀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D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삭제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송신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과 연관된 비트맵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상기 비트맵의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연관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맵의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들의 값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또는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비트들과 연관된 서브프레임을 표시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22 항에 있어서,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중의 하나 이상을 송신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22 항에 있어서,
서빙 셀 및 이웃 셀의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을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의 식별은 상기 서빙 및 이웃 셀들의 상기 TDD UL-DL 구성들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22 항에 있어서,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에 대해 IoT (Interference over Thermal noise) 를 측정하는 수단; 및
상기 제 1 고정 방향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들간에 IoT 의 차이를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결정은 상기 IoT 의 차이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은 상기 TDD UL-DL 구성과 상관 없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되도록 선택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22 항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동안 이웃 셀로부터의 신호가 다운링크 (DL) 기준 신호 (RS) 를 포함한다는 것을, 서빙 셀에서, 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식별은 상기 서브프레임 동안 상기 DL RS 의 존재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DL RS 가 존재하는 서브프레임들은 상기 서빙 셀의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이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일 때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 식별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삭제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와 상이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되지 않은 남아있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적용되고,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의 서브세트에 적용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22 항에 있어서,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 2 업링크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보상되지 않은 UL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따른 상기 UL 송신 전력에 대한 조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타겟 수신 전력 (PO) 및 셀 특정 보상 팩터 (α)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서빙 셀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별개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에 대한 오프셋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시분할 듀플렉스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고;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고;
각각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하고;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표시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서빙 셀과 상기 이웃 셀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D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삭제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중의 하나 이상을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서빙 셀 및 이웃 셀의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의 식별은 상기 서빙 및 이웃 셀들의 상기 TDD UL-DL 구성들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에 대해 IoT (Interference over Thermal noise) 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고정 방향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들간에 IoT 의 차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결정은 상기 IoT 의 차이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서브프레임 동안 이웃 셀로부터의 신호가 다운링크 (DL) 기준 신호 (RS) 를 포함한다는 것을, 서빙 셀에서,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식별은 상기 서브프레임 동안 상기 DL RS 의 존재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삭제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보상되지 않은 UL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따른 상기 UL 송신 전력에 대한 조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서빙 셀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별개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시분할 듀플렉스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고;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의 적용과 연관된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식별하고;
각각의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서브프레임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될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식별하고;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표시를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기 위하여 실행가능하고,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서빙 셀과 상기 이웃 셀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D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무선 자원 제어 (RRC) 시그널링을 통해 또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해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의 상기 표시를 상기 사용자 장비로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제 1 고정 방향 서브프레임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에 대해 IoT (Interference over Thermal noise) 를 측정하고;
상기 제 1 고정 방향 및 제 2 유연 방향 서브프레임들간에 IoT 의 차이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결정은 상기 IoT 의 차이에 기초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또한 서브프레임 동안 이웃 셀로부터의 신호가 다운링크 (DL) 기준 신호 (RS) 를 포함한다는 것을, 서빙 셀에서,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서브프레임 타입들의 식별은 상기 서브프레임 동안 상기 DL RS 의 존재에 기초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시분할 듀플렉스 (TDD)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의 식별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서빙 셀과 상기 이웃 셀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D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단계;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단계; 및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을 수신하는 단계는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식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을 수신하는 단계는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한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동적 식별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보상되지 않은 UL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따른 상기 UL 송신 전력에 대한 조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타겟 수신 전력 (PO) 및 셀 특정 보상 팩터 (α)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은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2개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대해 별개의 PO 및 α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 시분할 듀플렉스 (TDD)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의 식별을 수신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서빙 셀과 상기 이웃 셀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D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을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수단;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는 수단; 및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송신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을 수신하는 수단은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식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6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을 수신하는 수단은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한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동적 식별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보상되지 않은 UL 송신 전력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UL 개방 루프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에 따른 상기 UL 송신 전력에 대한 조정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시분할 듀플렉스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의 식별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서빙 셀과 상기 이웃 셀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D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고; 그리고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은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식별인,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69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은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한 시그널링에서 수신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동적 식별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 시분할 듀플렉스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을 위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TDD 업링크-다운링크 (UL-DL) 구성과 연관된 제 1 서브프레임 타입 및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의 식별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은 서빙 셀과 이웃 셀 사이의 업링크-업링크 (U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은 상기 서빙 셀과 상기 이웃 셀 사이의 다운링크-업링크 (DL-UL) 간섭을 갖는 서브프레임들에 대응하는, 상기 식별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1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고;
상기 제 2 서브프레임 타입을 갖는 것으로서 식별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에 제 2 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적용하고; 그리고
서빙 기지국으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들을 송신하기 위하여 실행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은 무선 자원 제어 시그널링에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식별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은 물리 계층 제어 채널을 통한 시그널링에서 수신된 유연 서브프레임들의 동적 식별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널링은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PDCCH) 상에서 수신된 다운링크 제어 정보 (DCI) 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PCT/CN2013/075452 | 2013-05-10 | ||
PCT/CN2013/075452 WO2014179979A1 (en) | 2013-05-10 | 2013-05-10 | SIGNALING OF ENHANCED POWER CONTROL FOR eIMTA INTERFERENCE MITIGATION |
PCT/CN2014/077129 WO2014180344A1 (en) | 2013-05-10 | 2014-05-09 | SIGNALING OF ENHANCED POWER CONTROL FOR eIMTA INTERFERENCE MITIG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8567A KR20160008567A (ko) | 2016-01-22 |
KR102235805B1 true KR102235805B1 (ko) | 2021-04-02 |
Family
ID=5186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33269A Active KR102235805B1 (ko) | 2013-05-10 | 2014-05-09 | eIMTA 간섭 완화를 위한 향상된 전력 제어의 시그널링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111188B2 (ko) |
EP (1) | EP2995137B1 (ko) |
JP (1) | JP6599311B2 (ko) |
KR (1) | KR102235805B1 (ko) |
CN (1) | CN105191440B (ko) |
WO (2) | WO201417997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257024A1 (en) * | 2012-09-17 | 2015-09-10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Self-optimization of backhaul radio resources and small cell backhaul delay estimation |
CN104066093B (zh) * | 2013-03-18 | 2018-03-23 |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 无线通信系统的干扰管理方法、锚点设备、基站及其系统 |
WO2014179979A1 (en) * | 2013-05-10 | 2014-11-13 | Qualcomm Incorporated | SIGNALING OF ENHANCED POWER CONTROL FOR eIMTA INTERFERENCE MITIGATION |
US10004043B2 (en) * | 2013-06-18 | 2018-06-19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hange in purpose of wireless resource and apparatus therefor |
US10411820B2 (en) * | 2013-08-15 | 2019-09-10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s, user equipment and radio network node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dynamic time division duplex system |
US10015790B2 (en) * | 2014-04-25 | 2018-07-03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receiving radio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N105308891B (zh) * | 2014-05-23 | 2019-03-01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确定辅载波传输方向的装置及方法 |
KR20160019867A (ko) * | 2014-08-12 | 2016-02-22 | 뉴라컴 인코포레이티드 | 고효율 무선랜 디바이스 전송 전력 제어 |
WO2016045744A1 (en) | 2014-09-26 | 2016-03-31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Controll data signaling framework for lte-laa communication systems employing carrier aggregation on unlicensed bands |
CN105992357B (zh) * | 2015-02-06 | 2019-09-17 | 电信科学技术研究院 | 基于x2接口的微小区动态上下行子帧配置的方法及装置 |
US11831584B2 (en) * | 2015-12-15 | 2023-11-28 | Qualcomm Incorporated | Techniques for indicating a dynamic subframe type |
WO2017111807A1 (en) * | 2015-12-24 | 2017-06-29 | Intel Corporation | Uplink power control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full- duplex cellular networks |
US10517104B2 (en) | 2016-02-02 | 2019-12-24 | Qualcomm Incorporated | Interference management for networks with variable transmission time intervals |
EP3437385B1 (en) * | 2016-03-31 | 2022-07-27 |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 Interference control in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
CN107317653B (zh) * | 2016-04-26 | 2022-06-21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数据传输方法及装置 |
CN109156022B (zh) | 2016-06-22 | 2022-08-09 | 英特尔公司 | 用于全双工调度的通信设备和方法 |
JP2019145866A (ja) * | 2016-07-05 | 2019-08-29 | シャープ株式会社 | 基地局装置、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
EP3520503B1 (en) * | 2016-09-28 | 2021-06-09 | IDAC Holdings, Inc. | Uplink power control |
US10681708B2 (en) * | 2016-12-16 | 2020-06-09 | Qualcomm Incorporated | Subslot bundling and acknowledgement |
US10531453B2 (en) * | 2017-02-06 | 2020-01-07 | Qualcomm Incorporated | Resource management for low latency wireless communications |
CN108574982B (zh) * | 2017-03-07 | 2021-05-28 |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 一种被用于功率调整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
US10425900B2 (en) * | 2017-05-15 | 2019-09-24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power control |
US20200154441A1 (en) * | 2017-06-22 | 2020-05-14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Interference Mitigation Control |
CN109219121B (zh) * | 2017-06-29 | 2020-12-01 |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功率控制方法及相关设备 |
CN111642021B (zh) * | 2017-10-13 | 2022-05-20 |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 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
US11700107B2 (en) * | 2017-11-09 | 2023-07-11 | Qualcomm Incorporated | Duplexing modes based on power configurations for transmissions |
CN110139352B (zh) * | 2018-02-09 | 2021-03-23 | 华为技术有限公司 | 功率控制的方法和通信装置 |
US11229047B2 (en) * | 2018-04-06 | 2022-01-18 | Qualcomm Incorporated | Transport block repetition handling for downlink and uplink transmissions |
US11025373B2 (en) * | 2018-05-11 | 2021-06-01 | Qualcomm Incorporated | Repetition-based transmission |
CN118201055A (zh) * | 2018-11-02 | 2024-06-14 | 英特尔公司 | 新无线电(nr)用户设备(ue)的ul功率控制 |
US10728009B1 (en) | 2019-10-10 | 2020-07-28 | T-Mobile Usa, Inc. | Mitigating interference between base stations and microwave backhaul transceivers |
US20210112550A1 (en) * | 2019-10-10 | 2021-04-15 | T-Mobile Usa, Inc. | Detecting interference between base stations and microwave backhaul transceivers |
US20210321416A1 (en) * | 2020-04-09 | 2021-10-14 | Qualcomm Incorporated | Asymmetric time division duplexing coexistence techniques |
US20220039033A1 (en) * | 2020-07-29 | 2022-02-03 | Qualcomm Incorporated | User equipment timing misalignment reporting in non-terrestrial networks |
CN112332899B (zh) * | 2020-09-14 | 2021-08-24 | 浙江大学 | 一种星地联合的天地一体化大规模接入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38197A2 (ko) * | 2011-04-08 | 2012-10-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US20120282964A1 (en) | 2011-05-06 | 2012-11-08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Multi-Cell Access |
WO2013004007A1 (en) * | 2011-07-05 | 2013-01-10 | Renesas Mobile Corporation | Mechanism for enhancing power control in time division based communications |
Family Cites Families (3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12133B1 (en) * | 1999-07-26 | 2001-04-03 | Mccoy Kim | Low power GPS receiver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
US7158804B2 (en) * | 2002-11-27 | 2007-01-02 | Lucent Technologies Inc. | Uplink scheduling for wireless networks |
WO2005002120A2 (en) * | 2003-06-12 | 2005-01-06 |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ngestion control |
JP2008511205A (ja) * | 2004-08-17 | 2008-04-10 | カリフォルニア・インスティチュート・オブ・テクノロジー | キュー制御と1方向遅延測定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の輻輳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
DE602006019833D1 (de) * | 2005-03-14 | 2011-03-10 |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 Messung und überwachung der dienstqualität in dienstdifferenzierten drahtlosen netzwerken |
CN100385822C (zh) * | 2005-11-25 | 2008-04-30 | 凯明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 时分同步码分多址系统中不连续发射状态功率控制的方法 |
US20070249360A1 (en) * | 2005-12-22 | 2007-10-25 | Arnab Das | Methods and aparatus related to determining, communicating, and/or using delay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
CA2661393C (en) * | 2006-08-22 | 2014-10-14 | Brilliant Telecommunications, Inc. | Apparatus and method of synchronizing distribution of packet services across a distributed network |
KR101400990B1 (ko) * | 2008-04-03 | 2014-05-29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의 중계기 및 상기 중계기의 동작방법 |
US9826409B2 (en) * | 2008-10-24 | 2017-11-21 | Qualcomm Incorporated | Adaptive semi-static interference avoidance in cellular networks |
WO2010107377A1 (en) * | 2009-03-17 | 2010-09-23 |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 A radio base station, a network control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outer loop power control in dual-carrier hsupa |
KR101472750B1 (ko) * | 2009-04-01 | 2014-1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계층적 셀 구조에서 간섭 완화 방법 및 그를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 |
KR20100113435A (ko) * | 2009-04-13 | 2010-10-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정보 블록 송신 장치 및 방법 |
US20100271962A1 (en) * | 2009-04-22 | 2010-10-28 | Motorola, Inc. | Available backhaul bandwidth estimation in a femto-cell communication network |
US8751627B2 (en) * | 2009-05-05 | 2014-06-10 | Accenture Global Services Limited | Method and system for application migration in a cloud |
KR20110007026A (ko) * | 2009-07-15 | 2011-01-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력제어 방법 및 장치 |
US8824968B2 (en) * | 2009-12-10 | 2014-09-02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inter-cell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20110235582A1 (en) | 2010-03-25 | 2011-09-29 | Qualcomm Incorporated | Subframe dependent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interference management |
US8489100B2 (en) | 2010-04-13 | 2013-07-16 | Qualcomm Incorporated | Uplink power control in long term evolution networks |
US8634364B2 (en) | 2010-04-20 | 2014-01-21 | Qualcomm Incorporated | Semi-persistent scheduling grants in heterogeneous networks |
US8588252B2 (en) * | 2010-05-07 | 2013-11-19 | Qualcomm Incorporated | Transmission of control information on uplink channels |
KR101430501B1 (ko) * | 2010-07-16 | 2014-08-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KR20150065909A (ko) * | 2010-11-05 | 2015-06-15 |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 릴레이 노드 인터페이스 관련 레이어 2 측정과 네트워크 부하 밸런싱에서의 릴레이 노드 처리 |
KR101606451B1 (ko) | 2011-02-11 | 2016-03-28 |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 미리결정된 송신 방향들에 대해 예약된 서브 프레임들을 이용한 다중 반송파들 상에서의 tdd 데이터 송신 |
CN103460781B (zh) * | 2011-03-03 | 2017-04-26 | 意大利电信股份公司 | 具有中继节点的ofdma无线网络的链路调度算法 |
KR101785313B1 (ko) * | 2011-04-12 | 2017-10-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어를 위한 서브프레임 운용 및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KR101595430B1 (ko) * | 2011-07-28 | 2016-02-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측정보고 방법 및 장치 |
JP2013038506A (ja) | 2011-08-04 | 2013-02-21 | Fujitsu Ltd | 移動局装置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
CN103327594B (zh) * | 2012-03-22 | 2017-04-05 | 电信科学技术研究院 | 上行功率控制方法、设备及系统 |
WO2014163050A1 (ja) * | 2013-04-04 | 2014-10-09 | シャープ株式会社 |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
WO2014163163A1 (ja) * | 2013-04-04 | 2014-10-09 | シャープ株式会社 |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
JP6378673B2 (ja) * | 2013-05-09 | 2018-08-22 | シャープ株式会社 |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
JP6396896B2 (ja) * | 2013-05-09 | 2018-09-26 | シャープ株式会社 |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
WO2014179979A1 (en) * | 2013-05-10 | 2014-11-13 | Qualcomm Incorporated | SIGNALING OF ENHANCED POWER CONTROL FOR eIMTA INTERFERENCE MITIGATION |
WO2015005463A1 (ja) * | 2013-07-12 | 2015-01-15 | シャープ株式会社 | 端末装置、方法および集積回路 |
CN105393623B (zh) * | 2013-07-12 | 2019-07-05 | 夏普株式会社 | 终端装置、方法以及集成电路 |
-
2013
- 2013-05-10 WO PCT/CN2013/075452 patent/WO201417997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
- 2014-05-09 KR KR1020157033269A patent/KR102235805B1/ko active Active
- 2014-05-09 US US14/781,159 patent/US10111188B2/en active Active
- 2014-05-09 EP EP14794123.1A patent/EP2995137B1/en active Active
- 2014-05-09 JP JP2016512217A patent/JP6599311B2/ja active Active
- 2014-05-09 CN CN201480025021.7A patent/CN105191440B/zh active Active
- 2014-05-09 WO PCT/CN2014/077129 patent/WO201418034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138197A2 (ko) * | 2011-04-08 | 2012-10-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d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US20120282964A1 (en) | 2011-05-06 | 2012-11-08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System and Method for Multi-Cell Access |
WO2013004007A1 (en) * | 2011-07-05 | 2013-01-10 | Renesas Mobile Corporation | Mechanism for enhancing power control in time division based communications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3GPP R1-131502* |
3GPP R1-13162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995137B1 (en) | 2020-04-22 |
WO2014179979A1 (en) | 2014-11-13 |
EP2995137A4 (en) | 2016-12-14 |
US10111188B2 (en) | 2018-10-23 |
JP2016521512A (ja) | 2016-07-21 |
US20160066288A1 (en) | 2016-03-03 |
CN105191440B (zh) | 2020-03-24 |
WO2014180344A1 (en) | 2014-11-13 |
JP6599311B2 (ja) | 2019-10-30 |
KR20160008567A (ko) | 2016-01-22 |
EP2995137A1 (en) | 2016-03-16 |
CN105191440A (zh) | 2015-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35805B1 (ko) | eIMTA 간섭 완화를 위한 향상된 전력 제어의 시그널링 | |
EP2982202B1 (en) | Interference cancellation/suppression in td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 |
EP3664514B1 (en) | Techniques for using carrier aggregation in dual connectivity wireless communications | |
EP3152966B1 (en) | Techniques for reporting power headroom in multiple connectivity wireless communications | |
US9985773B2 (en) | Techniques for performing half/full-duplex oper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 |
KR102265832B1 (ko) | Lte-tdd eimta에 대한 csi 보고 | |
US20160056907A1 (en) | DUAL THRESHOLD BASED CELL CLUSTERING INTERFERENCE MITIGATION FOR eIMTA | |
EP3761553A1 (en) | Hybrid reconfigu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dd adaptation | |
KR20150122790A (ko) | 멀티-서브프레임 스케줄링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1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904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