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553B1 - Filtration device to remove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 Google Patents
Filtration device to remove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2553B1 KR102222553B1 KR1020190110101A KR20190110101A KR102222553B1 KR 102222553 B1 KR102222553 B1 KR 102222553B1 KR 1020190110101 A KR1020190110101 A KR 1020190110101A KR 20190110101 A KR20190110101 A KR 20190110101A KR 102222553 B1 KR102222553 B1 KR 1022225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main pipe
- contaminated water
- rotating
- partition pl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ca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81 potential ener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02F1/3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by centrifuging suspens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0—Settling tanks with multip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s
- B01D21/16—Settling tanks with multip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s provided with flocculating compar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를 회전유도판을 통해 회전시키고, 회전중인 오염수를 내부관으로 유입시켜 더욱 빠른 회전으로 유체와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유체를 배출시키는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ration device that removes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and more specifically, rotates contaminated water flowing through an inlet pipe through a rotating guide plate, and introduces the rotating contaminated water into the inner tube. It relates to a filtration device that removes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that separates the fluid from the contaminants and discharges the fluid through faster rotation.
일반적으로 하수관거는 오수와 우수를 단일관거로 함께 배출하는 합류식 하수관거 시스템과 오수와 우수를 분리하여 각각의 관거로 배출하는 분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이 있으며, 강우에 의해 지표면에 퇴적되어 있던 각종 고형물(예를 들어, 모래, 토사, 유리조각, 철재류, 캔, 스티로폼, 플라스틱, 나무가지, 낙엽, 머리카락 등)이 하수관거나 노면에서 막바로 하천, 해안, 호소등으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오염물을 비점오염원(Non-Point Source Pollutant) 이라 하며, 반면에 오수관이나 폐수관을 통해 항상 일정량의 하폐수가 처리장에 유입되는 오염원을 점오염원(Point Source Pollutant) 이라 한다.In general, sewage pipes include a combined sewage pipe system that discharges sewage and rainwater into a single pipe, and a fractional sewage pipe system that separates sewage and rainwater into separate pipes. For example, sand, soil, glass, steel, cans, styrofoam, plastic, tree branches, fallen leaves, hair, etc.) are discharged from sewer pipes or roads to rivers, shores, lakes, etc. Source Pollutant), on the other hand, a pollutant source in which a certain amount of sewage water always flows into a treatment plant through a sewage pipe or waste water pipe is referred to as a point source pollutant.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점오염원을 처리하기 위한 하폐수처리장 건설에 주력해 왔었으나, 강우시에 상기 비점오염원이 떠내려와 댐, 하천, 호소 및 해양 등의 수질을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었던바, 근래에는 이를 해결하는 것이 더 시급한 과제로 대두 되었다.However, conventionally, the construction of a sewage treatment plant to treat the point pollutant has been focused, but the nonpoint pollutant source floats during rainfall, causing pollution of the water quality of dams, rivers, lakes, and oceans, and in recent years this has been resolved. It has emerged as a more urgent task.
전술한 바와 같이 강우시 발생되는 비점오염원 처리를 위한 종래의 기술은 물의 와류 또는 싸이클론을 이용하거나 스크린의 스크리닝을 이용하거나 여재를 이용하는 여과기술등이 있으나, 상기 비점오염원이 각기 여러형태의 크기로 이루어져 있고, 무겁고 가벼운 여러 비중의 입자들로 이루어져 있어 이를 일괄적으로 처리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 techniques for treating non-point pollutants generated during rainfall include water vortex or cyclone, screening screening, or filtration technology using a filter medium. It is composed of, and consists of heavy and light particles of various specific gravity, so there is a limit to batch processing.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68125호(2006.03.30. 등록)인 '수중 오염물의 분리 제거장치'를 살펴보면, 하수관거를 통하여 배출되는 하수 월류수 및 강우유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여러가지 형태, 크기와 비중을 가진 고형물을 외부 동력원 없이 유입원수의 운동에너지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분리 제거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조대고형물 전처리조의 원통 내벽에 천공된 통수구의 크기보다 외형의 입자가 큰 조대고형물은 상기 조대고형물 전처리조에서, 상기 통수구를 통과한 조대고형물은 미세입자 처리조에서 순차적으로 각각 처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구성을 제공하고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looking at the'Separation and Removal Device of Underwater Pollutant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568125 (registered on March 30, 2006), various types included in sewage overflow and rainfall runoff discharged through sewage pipes. It relates to a device that can separate and remove solids with size and specific gravity using the kinetic energy or potential energy of the incoming source water without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coarse solids are provided in the coarse solids pretreatment tank, and the coarse solids passing through the water passage can be sequentially treated in the fine particle treatment tanks.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부유물과 침전물을 필터링하는 필터부가 반드시 필요하고, 필터의 교체에 따른 인력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a filter unit for filtering suspended matter and sediment is necessarily required, and manpower and cost are increased due to the replacement of the fil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를 회전유도판을 통해 회전시키고, 회전중인 오염수를 내부관으로 유입시켜 더욱 빠른 회전으로 유체와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유체를 배출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pipe through the rotary guide plate, and introduces the rotating contaminated water into the inner pipe, thereby removing fluid and contaminants through faster rotation. It is to provide a filtering device that removes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of a new structure that separates and discharges the flui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외부의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이 일측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된 원통형상의 바디부,Cylindrical body portion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an inlet pipe through which external contaminated water flows in,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를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정화시키는 여과부 및A filter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body unit to purify the contaminated water while moving it downward; and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여과부를 통해 분리된 오염물질을 저장하는 오염물저장부를 포함하는It is located under the body and includes a contaminan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contaminants separated through the filtration unit.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를 제공한다.It provides a filtering device that removes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브릿지에 하부가 결합되고, 내부가 빈 관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메인관, 상기 유입관에 연통하고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관으로 유입된 오염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도판, 상기 메인관의 내측 상부를 폐쇄하는 제1 구획판, 상기 제1 구획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메인관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관의 하부를 폐쇄하되, 상기 여과부와 상기 오염물저장부를 연통시키는 제2 구획판 및 상기 여과부를 통해 정화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구획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관의 타측으로 연통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획판은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오염수가 상기 메인관의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art has a lower part coupled to a bridge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 main pipe with an empty pip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rotation guide plat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ipe and formed as a pipe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open to rotate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main pipe in one direction, a first partition plate closing the inner upper part of the main pipe, and the second 1 It is spaced apart from the partition plate and installed at the inner lower part of the main pipe to close the lower part of the main pipe, and the second partition plate communicating the filtering part and the pollutant storage part and the treated water purified through the filtering part to the outside. In order to discharge, the first partition plate includes a discharge pipe that is located under the first partition plate and communicates with the other side of the main pipe, and the first partition plate prevents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into the inlet pipe from mov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pipe. It can be characterized by tha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메인관의 하부 내측벽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되는 나선날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선날개부는 상기 여과부의 하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처리수를 상향 회전시켜 상기 배출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by rotation of the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further comprises a spiral wing portion formed in an upward direction along the lower inner wall of the main pipe, the The spiral blade por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ipe by rotating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ing unit upwar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된 관이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관의 상측이 상기 제1 구획판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관의 하측이 상기 제2 구획판의 중앙에 결합되는 내부관, 상기 내부관의 상측에 외주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홈이 복수개로 형성된 회전부, 상기 내부관의 하측을 관통하는 홀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오염수의 오염물질을 분리한 처리수를 배출시키는 분리공 및 상기 유입관의 일측에 연통하고 상기 내부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오염수의 일부를 상기 내부관의 상부로 분출시켜 상기 내부관의 상부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회전을 더욱 회전시키는 분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ing unit has a tube spac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unit extending vertically, and the upper side of the tube is the first partition plate The inner tube protruding to the top of and the lower side of the tub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second partition plate, a rotating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clined grooves inclin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tube, the lower side of the inner tub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one side of the inlet pipe and a separation hole for discharging the treated water by separating the contaminants of the contaminated water, and are located under the inner pipe, so that a part of the contaminat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ner pipe. It may include a jet tube for further rotating the rotation of the contaminated water that is jetted to the top of the inner tu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염물질저장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여과부를 통해 분리된 오염물질이 적층되는 적층부 및 상기 적층부의 하부에 연통하여 상기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관의 일측에 형성된 오염물제거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filtration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minant storage unit is formed in an arc shape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unit, and the contaminants separated through the filtration unit are stacked. It may include a contaminant removing valve formed on one side of the tube communicating with the uni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tacking unit to discharge the contaminants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는 오염된 유체의 회전을 증대하여 큰 오염물을 제거 후 분리공을 통해 작은 오염물을 제거하여 오염물질의 크기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using rotation on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size of contaminants by removing large contaminants by increasing the rotation of contaminated fluid and then removing small contaminants through a separation hole.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를 회전유도판으로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오염수가 내부관의 상부에 형성된 회전부를 통해 더욱 회전하면서 내부관으로 유입되어 오염수의 오염물질의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ltration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pipe with a rotating guide plate, and the rotating contaminated water is further formed through a rotating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ner tube. It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tube while rotating, so that it is easy to separate contaminants from contaminated wa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는 내부관의 하부에서 상부로 분출되는 분출관을 구비하여 내부관으로 유입된 오염수의 회전력을 더욱 빠르게 회전시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ota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into the inner tube more quickly by having a jet tube that is ejected from the bottom of the inner tube to the top. have.
또한, 오염물제거밸브를 개방시 오염물저장부의 하부에 적층된 오염물 및 내부관의 하부에 위치한 분리공에 부착된 오염물이 배출관의 높이 까지 차있는 수압에 의해 하부로 드레인 되므로 오염물제거가 용이하다.In addition, when the pollutant removal valve is opened, pollutants stacked at the bottom of the pollutant storage unit and pollutants attached to the separation hol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tube are drained to the bottom by the water pressure that reaches the height of the discharge pipe, so it is easy to remove polluta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는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수의 압력을 회전력으로 형성시켜 별도의 동력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운전 및 관리가 용이하고 비용의 절감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ration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pressure of contaminated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pipe as a rotational force and does not require additional power, so operation and management are easy and cost effective. It can have a saving effect 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의 내부관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tration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by rotating a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filtration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by rotating a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inner tube of a filtration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by rotating a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flow of a filtration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by rotating a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in which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s said to be'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that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that it is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처리수'라는 명칭은 오염수(오염된 유체)를 회전하여 오염물질과 유체를 분리하고 정화한 유체를 지시하는 것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erm'treatment water'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cludes designating a fluid that is purified by rotating contaminated water (contaminated fluid) to separate a contaminant from a fluid and to be purifi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filtering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의 내부관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의 흐름을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tration device that removes contaminants using rotation on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ltration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n inner tube of a filtration device for removing contaminants by rotating a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flow of a filtration device that removes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according to thi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10)는 바디부(100), 여과부(200) 및 오염물저장부(3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10)는 외부의 오염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01)이 일측 상부에 연통되게 구비된 원통형상의 바디부(100), 바디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염수를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정화시키는 여과부(200) 및 바디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여과부를 통해 분리된 오염물질을 저장하는 오염물저장부(30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to 3, th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바디부(1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외부의 오염수를 유입하고 오염물질을 분리하여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1 and 2, the
이를 위해, 바디부(100)는 메인관(110), 회전유도판(120), 제1 구획판(130), 제2 구획판(140) 및 배출관(150)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메인관(110)은 지면에 설치되는 브릿지(111)에 하부가 결합되고, 내부가 빈 관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다.The
브릿지(111)는 메인관(110)의 하부를 지지하여 메인관(11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이는, 오염물저장부(300)에 적층된 오염물을 배출 시, 용이하게 하기위 위해서이다.The
회전유도판(120)은 유입관(101)에 연통하고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관으로 형성되어 메인관(110)으로 유입된 오염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The
즉, 회전유도판(120)은 유입관(101)이 연통하는 메인관(1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관으로 형성되고, 관의 외주면이 경사진 경사부(121)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오염수가 경사부(121)를 따라 메인관(110)의 상부 내측을 회전하게 된다.That is, the
제1 구획판(130)은 메인관(110)의 내측 상부를 폐쇄하는 것으로, 중앙이 관통하는 관통부에 후술하는 내부관(210)의 상부가 결합된다.The
또한, 제1 구획판(130)은 유입관(101)으로 유입된 오염수가 메인관(110)의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메인관(110)의 상부로 유입된 오염수가 회전하면서 메인관(110)의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오염수와 여과부(200)에 의해 정화된 처리수가 서로 교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제2 구획판(140)은 제1 구획판(130)으로부터 이격되어 메인관(1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메인관(110)의 하부를 폐쇄하되, 여과부(200)와 오염물저장부(300)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즉, 제2 구획판(140)은 메인관(110)의 하부 내주면에 대응하여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이 관통하는 관통공에 내부관(210)의 하단이 결합되어 내부관(210)의 하부로 분리된 오염물질이 오염물저장부(300)로 드레인 되게 한다.That is, the
또한, 제2 구획판(140)은 내부관(210)의 하부에 형성된 분리공(230)으로 배출되는 처리수가 오염물저장부(300)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배출관(150)은 여과부(200)를 통해 정화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제1 구획판(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메인관(110)의 타측으로 연통한다.The
한편,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10)는 나선날개부(160)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and 4, the
나선날개부(160)는 메인관(110)의 하부 내측벽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된다.The
즉, 나선날개부(160)는 여과부(200)의 하부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상향 회전시켜 배출관(150)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내부관(210)의 하부에 형성된 분리공(230)으로 배출되는 처리수를 배출하여 메인관(110)의 수위를 상승시켜 처리수가 배출관(150)으로 배출되게 한다.That is, 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여과부(200)는 바디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를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3 and 4, the
이를 위해, 여과부(200)는 내부관(210), 회전부(220), 분리공(230) 및 분출관(240)을 포함한다.To this end, the
내부관(210)은 바디부(100)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된 관이 수직하게 연장되고, 관의 상측이 제1 구획판(130)의 상부로 돌출되고 관의 하측이 제2 구획판(140)의 중앙에 결합된다.In the
또한, 내부관(210)은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은 개방되어 오염물질이 하부로 드레인되어 오염물저장부(300)에 적층되게 한다.In addition, the
회전부(220)는 내부관(210)의 상측에 외주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홈이 복수개로 형성된다.The
이러한 회전부(220)는 메인관(110)의 상부 내측을 회전하는 오염수를 내부관(210)의 상부내측으로 유입시키고 내부관(210)의 내측에서 오염수의 회전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이를 위해, 회전부(220)는 회전유도판(12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오염수의 방향에 대응하여 경사홈의 일측 수직방향을 따라 판이 돌출되는 돌기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회전부(220)는 경사홈을 통해 오염수가 유입되면서 회전을 증대시켜 큰 오염물질과 유체를 분리하여 오염물저장부(300)로 오염물을 적층되게 한다.In addition, the
이때, 큰오염물은 내부관(210)의 하부로 이동하고, 작은오염물은 후술하는 분리공(230)을 통과하여 배출관(150)으로 배출되게 한다.At this time, the large pollutants mov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한편, 회전부(220)는 여기 명세서의 도 3에서는 경사홈을 도시하지 않고 돌기판을 부각하여 도시하였다. 이는 돌기판을 보다 자세하게 보여주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경사홈은 돌기판이 내부관(210)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지지하는 것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분리공(230)은 내부관(210)의 하측을 관통하는 홀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오염수의 오염물질을 분리한 처리수를 배출시킨다.The
특히, 분리공(230)은 내부관(210)을 관통하는 홀의 지름을 소정의 지름으로 형성하여 미세간극으로 형성시킨다. 이에 따라, 오염수에 혼합된 작은 오염물질을 통과시켜 여과된 오염수를 처리수로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In particular, the
분출관(240)은 유입관(101)의 일측에 연통하고 내부관(2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오염수의 일부를 내부관(210)의 상부로 분출시켜 내부관(210)의 상부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회전을 더욱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또한, 분출관(240)은 일측에 제어밸브를 구비하여 오염수의 분출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유입관(101)으로 이동하는 오염수의 일부를 내부관(210)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내부관(21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오염수의 회전력을 조절하기 위해서이다.In addition, the
도 1을 참조하면, 오염물저장부(300)는 바디부(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여과부(200)를 통해 분리된 오염물질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오염물저장부(300)는 적층부(310) 및 오염물제거밸브(3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적층부(310)는 바디부(100)의 하부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여과부(200)를 통해 분리된 오염물질이 적층된다.In the stacked
오염물제거밸브(320)는 적층부(310)의 하부에 연통하여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관의 일측에 형성된다.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is is illustrativ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y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y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ranges that can be modified.
10 :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
100 : 바디부
101 : 유입관
110 : 메인관
111 : 브릿지
120 : 회전유도판
121 : 경사부
130 : 제1 구획판
140 : 제2 구획판
150 : 배출관
160 : 나선날개부
200 : 여과부
210 : 내부관
220 : 회전부
230 : 분리공
240 : 분출관
300 : 오염물저장부
310 : 적층부
320 : 오염물제거밸브10: Filtering device that removes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100: body part
101: inlet pipe
110: main building
111: bridge
120: rotation guide plate
121: inclined portion
130: first partition plate
140: second partition plate
150: discharge pipe
160: spiral wing part
200: filter unit
210: inner tube
220: rotating part
230: separation hole
240: ejection pipe
300: pollutant storage unit
310: lamination
320: pollutant removal valve
Claims (5)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를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정화시키는 여과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여과부를 통해 분리된 오염물질을 저장하는 오염물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브릿지에 하부가 결합되고, 내부가 빈 관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메인관;
상기 유입관에 연통하고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관으로 유입된 오염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도판;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오염수가 상기 메인관의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메인관의 내측 상부를 폐쇄하는 제1 구획판;
상기 제1 구획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메인관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관의 하부를 폐쇄하되, 상기 여과부와 상기 오염물저장부를 연통시키는 제2 구획판;
상기 여과부를 통해 정화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구획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관의 타측으로 연통하는 배출관; 및
상기 메인관의 하부 내측벽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나선이 형성되는 나선날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나선날개부는 상기 여과부의 하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처리수를 상향 회전시켜 상기 배출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
A cylindrical body portion having an inlet pipe through which external contaminated water is introduc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thereof;
A filter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body unit to purify the contaminated water while moving it downward; And
It is located under the body portion, and includes a pollutan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ollutant separated through the filtering unit,
The body part
A main pipe with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bridge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n empty pip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rotation guide plat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ipe and formed as a pipe having an opening having an open one side thereof to rotate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main pipe in one direction;
A first partition plate that prevents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pipe from mov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pipe to close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main pipe;
A second partition pl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rtition plate and install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main pipe to close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pipe, and to communicate the filtering part and the pollutant storage part;
A discharge pipe located under the first partition plate and communicating with the other side of the main pipe to discharge the treated water purified through the filtering unit to the outside; And
Including a spiral wing portion spirally formed in the upper direction along the lower inner wall of the main pipe,
The spiral blad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by rotating upward the treated water discharg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ration unit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ipe.
A filtering device that removes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를 하부로 이동시키면서 정화시키는 여과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여과부를 통해 분리된 오염물질을 저장하는 오염물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지면에 설치되는 브릿지에 하부가 결합되고, 내부가 빈 관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메인관;
상기 유입관에 연통하고 일측이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관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관으로 유입된 오염수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유도판;
상기 유입관으로 유입된 오염수가 상기 메인관의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메인관의 내측 상부를 폐쇄하는 제1 구획판;
상기 제1 구획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메인관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관의 하부를 폐쇄하되, 상기 여과부와 상기 오염물저장부를 연통시키는 제2 구획판; 및
상기 여과부를 통해 정화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구획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관의 타측으로 연통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부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된 관이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관의 상측이 상기 제1 구획판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관의 하측이 상기 제2 구획판의 중앙에 결합되는 내부관;
상기 내부관의 상측에 외주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홈이 복수개로 형성된 회전부;
상기 내부관의 하측을 관통하는 홀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오염수의 오염물질을 분리한 처리수를 배출시키는 분리공; 및
상기 유입관의 일측에 연통하고 상기 내부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오염수의 일부를 상기 내부관의 상부로 분출시켜 상기 내부관의 상부로 유입되는 오염수의 회전을 더욱 회전시키는 분출관을 포함하는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
A cylindrical body portion having an inlet pipe through which external contaminated water is introduc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thereof;
A filtering unit installed inside the body unit to purify the contaminated water while moving it downward; And
It is located under the body portion, and includes a pollutan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ollutant separated through the filtering unit,
The body part
A main pipe with a lower portion coupled to the bridge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n empty pip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rotation guide plate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ipe and formed as a pipe having an opening having an open one side thereof to rotate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main pipe in one direction;
A first partition plate that prevents the contaminated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pipe from mov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pipe to close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main pipe;
A second partition plat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rtition plate and install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main pipe to close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pipe, and to communicate the filtering part and the pollutant storage part; And
And a discharge pipe located under the first partition plate and communicating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pipe in order to discharge the treated water purified through the filtering unit to the outside,
The filtration unit
An inner tube in which a tube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extends vertically, an upper side of the tube protrudes upwards of the first partition plate, and a lower side of the tube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second partition plate;
A rotating part having a plurality of inclined grooves inclined in one direction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tube;
A separation hole having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e lower side of the inner tube to discharge treated water by separating contaminants from the contaminated water; And
And a spout pipe that communicates with one side of the inlet pipe and is located under the inner pipe to eject part of the contaminated wate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ipe to further rotate the rotation of the contaminated water flowing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ipe. doing
A filtering device that removes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상기 오염물저장부는
상기 바디부의 하부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여과부를 통해 분리된 오염물질이 적층되는 적층부; 및
상기 적층부의 하부에 연통하여 상기 오염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관의 일측에 형성된 오염물제거밸브를 포함하는
오염된 유체에 회전을 이용해 오염물을 제거하는 여과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pollutant storage unit
A lamination portion i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an arc shape to stack contaminants separated through the filtering portion; And
Containing a pollutant removal valve formed on one side of th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tacked portion to discharge the pollutant to the outside
A filtering device that removes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0101A KR102222553B1 (en) | 2019-09-05 | 2019-09-05 | Filtration device to remove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0101A KR102222553B1 (en) | 2019-09-05 | 2019-09-05 | Filtration device to remove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2553B1 true KR102222553B1 (en) | 2021-03-04 |
Family
ID=7517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0101A KR102222553B1 (en) | 2019-09-05 | 2019-09-05 | Filtration device to remove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255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440587A (en) * | 2023-04-19 | 2023-07-18 | 南京南蓝环保产业有限公司 | Sand sucking machi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8125B1 (en) | 2005-10-25 | 2006-04-10 | 이수영 | A separation apparatus of a pollutant contamination in a water |
KR100751534B1 (en) * | 2007-04-17 | 2007-08-22 | (주)다산컨설턴트 |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 sediment and filtration |
KR100869775B1 (en) * | 2008-06-27 | 2008-11-21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Integrated hydrodynamic storm runoff treatment device |
KR101577348B1 (en) * | 2015-06-02 | 2015-12-14 | 수생태복원(주) | Multi water treatment apparatus |
-
2019
- 2019-09-05 KR KR1020190110101A patent/KR10222255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8125B1 (en) | 2005-10-25 | 2006-04-10 | 이수영 | A separation apparatus of a pollutant contamination in a water |
KR100751534B1 (en) * | 2007-04-17 | 2007-08-22 | (주)다산컨설턴트 |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 sediment and filtration |
KR100869775B1 (en) * | 2008-06-27 | 2008-11-21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Integrated hydrodynamic storm runoff treatment device |
KR101577348B1 (en) * | 2015-06-02 | 2015-12-14 | 수생태복원(주) | Multi water treatment apparatu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440587A (en) * | 2023-04-19 | 2023-07-18 | 南京南蓝环保产业有限公司 | Sand sucking machine |
CN116440587B (en) * | 2023-04-19 | 2023-11-10 | 南京南蓝环保产业有限公司 | Sand sucking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284342B2 (en) | A vortex separator for central inflow rainwater. | |
KR101218344B1 (en) | Vegetative Filter For Primary Stage Rainwater Treatment | |
KR100800559B1 (en) |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cartridge screw type screen | |
KR100998514B1 (en) | Apparatus for Treatment of First Flush Rainfall | |
KR100779513B1 (en) | Apparatus for purification treatment of storm water | |
SK7862003A3 (en) | Combined degassing and flotation tank and use thereof | |
KR100814063B1 (en) |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 |
KR101830393B1 (en) | round type sludge collector having alien substance removal device | |
KR100795918B1 (en) | Storm water treatment device | |
JP5281094B2 (en) | Rainwater treatment equipment | |
KR100977877B1 (en) | Non-point source contaminant treatment apparatus using cyclone filtering type | |
KR100751534B1 (en) | 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 sediment and filtration | |
KR100906453B1 (en) | Storm runoff treatment apparatus with auto back washing for filter | |
KR101067699B1 (en) | Non-point pollution decrease facilities by using a turbulent flow and filtration function | |
KR101479462B1 (en) | Apparatus of reducing non-point source contaminants | |
KR102222553B1 (en) | Filtration device to remove contaminants by rotating the contaminated fluid | |
KR100605267B1 (en) | Rainwater controlling device | |
KR101846421B1 (en) | Non-point pollution reducing system | |
KR101307288B1 (en) | Initial storm runoff particulate pollutant reduction device | |
KR101713397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first rainwater with auto back washing | |
KR101421139B1 (en) | Filter cleaning device of water treatment facility | |
JPH11114559A (en) | Water treating device | |
KR101106390B1 (en) | Vortex trap apparatus | |
KR20110039047A (en) | Floating removal and filtering system of branch stream | |
KR102216422B1 (en) | Nonpoint pollution source treat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