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291B1 -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 - Google Patents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0291B1 KR102220291B1 KR1020190140960A KR20190140960A KR102220291B1 KR 102220291 B1 KR102220291 B1 KR 102220291B1 KR 1020190140960 A KR1020190140960 A KR 1020190140960A KR 20190140960 A KR20190140960 A KR 20190140960A KR 102220291 B1 KR102220291 B1 KR 1022202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artphone
- pin
- gripping device
- center pin
- accessor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폰과 부착되는 소정의 부착면을 갖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중심핀부; 내부에 상기 중심핀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제1좌우경로가 마련된 제1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위치하되, 내부에 상기 제1가이드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제2좌우경로가 마련된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중심핀부가 제1좌우경로의 양단에서 구속되어, 상기 제2좌우경로를 상기 중심핀부와 일체로 이동하는,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핑거링 등의 액세서리의 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종류의 액세서리 등을 달 수 있는 중심핀을 좌우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을 손에 들고 다니는 경우에 스마트폰을 손에서 떨어뜨리지 않고 안전하게 파지하도록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폰 보호커버에 부착하여 사용하도록 된 스마트폰 핑거링 등의 다양한 액세서리가 제공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마트폰 핑거링을 보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폰 보호커버에 부착하도록 접착제층이 구비된 베이스판(10)과, 이 베이스판(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손가락이 끼워지는 링부재(20)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스마트폰 핑거링 등의 액세서리는 일단 스마트폰의 일측에 부착을 하게 되면, 이후에 이를 이동할 수 없게 되어 여러 불편함을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종류의 액세서리 등을 달 수 있는 중심핀의 이동범위 및 이동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유롭게 중심핀의 좌우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스마트폰과 부착되는 소정의 부착면을 갖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중심핀부; 내부에 상기 중심핀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제1좌우경로가 마련된 제1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위치하되, 내부에 상기 제1가이드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제2좌우경로가 마련된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중심핀부가 제1좌우경로의 양단에서 구속되어, 상기 제2좌우경로를 상기 중심핀부와 일체로 이동하는,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스마트폰의 일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부착이 가능한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하우징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핀부는, 상기 제1좌우경로 상을 관통하는 핀바디부; 상기 핀바디부의 내부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중심핀부가 상기 제1좌우경로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소정의 결속면을 갖는 핀결속부; 및 상기 핀바디부의 외부 끝단에 형성되며 스마트폰용 액세서리와 결합하는 핀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핀돌출부는, 상기 핀결속부의 결속면으로부터 수직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핀돌출부는, 상기 핀결속부의 결속면으로부터 평행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자성을 갖는 외부 거치대와 자성 결합할 수 있는 금속편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편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폰용 액세서리를 파지하는 중심핀을 원하는 위치로 좌우 이동하며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중심핀의 이동경로 및 이동범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소비자 또는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 기기에 대한 높은 범용성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기존의 스마트폰 파지를 위한 고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3개 이상의 하우징부로 구성된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3개 이상의 하우징부로 구성된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의 정면도를, 도 3은 도 2의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의 측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3개 이상의 하우징부(100)로 구성된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의 정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는 하우징부(100), 중심핀부(200), 제1가이드부(300) 및 제2가이드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의 좌우방향은 상기 하우징부(100)이 형성하는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이해된다.
본 발명의 하우징부(100)는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의 기본 프레임을 이루는 구성으로, 일면에는 스마트폰과 고정 결합되는 소정의 부착면(100a)이 마련된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부(100)의 부착면(100a)은 강화 양면테이프를 통하여 스마트폰의 일면과 결합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는 스마트폰의 일측에 독립적으로 각각 부착이 가능한 복수 개의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하우징은 사용자가 손의 크기 또는 스마트폰의 크기 등 다양한 필요에 따라서 그 간격을 짧게 또는 길게 조절하며 부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는 다양한 사양의 스마트폰 기기 또는 서로 다른 수요자들에게 범용성 있게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 사용습관에 맞는 방식으로 조절하여 이용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에 의한 중심핀부(200)는 다양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가 부착될 수 있는 구성으로, 사용자는 이를 파지하여 후술하는 제1가이드부(300)의 제1좌우경로(310)의 안내에 따라 중심핀부(200)를 좌우 방향으로 왕복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중심핀부(200)에 따른 좌우방향의 이동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1가이드부(300)는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중심핀부(200)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는 제1좌우경로(310)가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좌우경로(310)는 상기 중심핀부(200)의 중심부가 관통 삽입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가이드부(300)는 후술하는 제2가이드부(4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2좌우경로(410)를 따라 좌우 방향을 이동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이 하우징부(100)가 복수 개로 이격되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부(100) 간의 이격된 공간에서는 제1가이드부(300)는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이동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2가이드부(400)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면, 즉 부착면(100a)의 반대면 일측에 위치하며, 제1가이드부(300)와 마찬가지로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된다. 내부에는 상기 제1가이드부(300)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제2좌우경로(410)가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좌우경로(410)는 상기 제1가이드부(300)가 이동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한 채로 제1가이드부(300)를 감싸되, 상기 중심핀부(200)가 이동하는 경로는 외부로 노출되도록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심핀부(200)는 핀바디부(210), 핀결속부(220) 및 핀돌출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핀바디부(210)는 실제로 상기 제1좌우경로(310) 상에서 이동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좌우경로(310)에 삽입 가능한 두께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핀결속부(220)는 상기 핀바디부(210)의 스마트폰 부착 방향인 내부의 끝단에 형성된다. 상기 핀결속부(220)는 중심핀부(200)가 외부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결속면이 마련되며, 상기 결속면은 상기 제1좌우경로(310)를 관통할 수 없는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핀돌출부(230)는 스마트폰용 액세서리가 직접 결합하는 구성이다. 상기 핀돌출부(230)는 상기 핀바디부(210)의 스마트폰 부착 방향의 반대인 외부의 끝단, 즉 상기 핀결속부(220)의 반대방향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핀돌출부(230)는 상기 제1좌우경로(310)를 관통할 수 없는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핀돌출부(230)는, 스마트폰용 액세서리와 결합한 상태에서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파지장치에 의해 파지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등이 스마트폰의 일면의 소정의 위치에서 다양한 각도로 회전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핀돌출부(230)는 상기 핀결속부(220)의 결속면으로부터 수직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핀돌출부(230)는, 상기 핀바디부(210)와 상기 핀결속부(220)의 결속면으로부터 수직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마트폰용 액세서리를 부착한 이후에 이에 대한 좌우 거리를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더불어 원하는 각도로 회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위와 같은 발명의 기본 구성에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중심핀부(200)의 좌우방향 이동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최초로 하우징부(100)가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본인의 편의 또는 스마트폰의 기기 사양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하우징부(100)를 스마트폰의 일면 상 원하는 위치에 부착시킨다.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를 설치한다.
이후, 본 발명의 중심핀부(200)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좌우경로(310)의 가이드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폰용 액세서리를 파지한 중심핀부(200)가 제1가이드부(300)와는 독립적으로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중심핀부(200)가 상기 제1좌우경로(310)의 좌측 또는 우측의 끝단에 도달한 때부터는, 상기 중심핀부(200)의 독립적인 이동이 제한된다. 이후 상기 제1좌우경로(310)의 좌우 범위 이상으로 상기 중심핀부(200)를 계속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때부터 상기 중심핀부(200)가 상기 제1가이드부(300)와 구속되어 이동된다.
즉, 상기 중심핀부(200)는 상기 제1가이드부(300)에게 구속되므로, 상기 중심핀부(200)에 주어지는 힘은 상기 제1가이드부(300)에게도 전달된다.
이후, 제공되는 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부(300)는 상기 제2가이드부(400)의 내부에서 이동하며, 상기 중심핀부(200)는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이동하되, 양 구성은 일체로서 제2좌우경로(410)의 안내에 따라 이동한다. 이후, 상기 제1가이드부(300)의 일단이 상기 제2좌우경로(410)의 좌측 또는 우측의 끝단에 도달하는 범위까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는 파지된 액세서리 등을 상기 제1,2 좌우경로(310,410)의 안내를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폰용 액세서리를 소정의 축을 기준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는 자성을 갖는 외부 거치대(500a)와 자성 결합할 수 있는 금속편(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을 갖는 외부 거치대(500a)를 차량이나 테이블 등에 부착하고, 본 발명에 구비된 금속편(500)을 이용하여 거치시키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금속편(500)은 상기 제1가이드부(300)의 일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위와 같은 거치 방식의 범용성을 갖기 위함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스마트폰
10: 베이스판
20: 링부재
100: 하우징부
100a: 부착면
200: 중심핀부
210: 핀바디부
220: 핀결속부
230: 핀돌출부
300: 제1가이드부
310: 제1좌우경로
400: 제2가이드부
410: 제2좌우경로
500: 금속편
500a: 외부 거치대
10: 베이스판
20: 링부재
100: 하우징부
100a: 부착면
200: 중심핀부
210: 핀바디부
220: 핀결속부
230: 핀돌출부
300: 제1가이드부
310: 제1좌우경로
400: 제2가이드부
410: 제2좌우경로
500: 금속편
500a: 외부 거치대
Claims (7)
- 스마트폰과 부착되는 소정의 부착면을 갖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중심핀부;
내부에 상기 중심핀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제1좌우경로가 마련된 제1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위치하되, 내부에 상기 제1가이드부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제2좌우경로가 마련된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중심핀부가 제1좌우경로의 양단에서 구속되어, 상기 제2좌우경로를 상기 중심핀부와 일체로 이동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스마트폰의 일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부착이 가능한 복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하우징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부 외부로 노출되는,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핀부는,
상기 제1좌우경로 상을 관통하는 핀바디부;
상기 핀바디부의 내부 끝단에 형성되되, 상기 중심핀부가 상기 제1좌우경로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소정의 결속면을 갖는 핀결속부; 및
상기 핀바디부의 외부 끝단에 형성되며 스마트폰용 액세서리와 결합하는 핀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돌출부는, 상기 핀결속부의 결속면으로부터 수직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돌출부는, 상기 핀결속부의 결속면으로부터 평행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자성을 갖는 외부 거치대와 자성 결합할 수 있는 금속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편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0960A KR102220291B1 (ko) | 2019-11-06 | 2019-11-06 |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0960A KR102220291B1 (ko) | 2019-11-06 | 2019-11-06 |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0291B1 true KR102220291B1 (ko) | 2021-02-25 |
Family
ID=7473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0960A KR102220291B1 (ko) | 2019-11-06 | 2019-11-06 |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029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4407Y1 (ko) * | 1996-01-11 | 2000-01-15 | 구자홍 | 전자기기 도어장치 |
KR101746064B1 (ko) | 2016-06-24 | 2017-06-12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축차 근사형 ad 변환기 |
KR20170083333A (ko) * | 2016-01-08 | 2017-07-18 | (주)에이프로 |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
KR20190030925A (ko) * | 2017-09-15 | 2019-03-25 | 장대규 | 휴대기기용 액세서리 |
-
2019
- 2019-11-06 KR KR1020190140960A patent/KR1022202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64407Y1 (ko) * | 1996-01-11 | 2000-01-15 | 구자홍 | 전자기기 도어장치 |
KR20170083333A (ko) * | 2016-01-08 | 2017-07-18 | (주)에이프로 |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
KR101746064B1 (ko) | 2016-06-24 | 2017-06-12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축차 근사형 ad 변환기 |
KR20190030925A (ko) * | 2017-09-15 | 2019-03-25 | 장대규 | 휴대기기용 액세서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39679B2 (en) |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 |
US8622447B1 (en) | Cellular telephone support device | |
US20200138174A1 (en) | Mobile Phone Buckling Structure and Mobile Phone Fixing Device | |
US9979428B2 (en) | Hand strap for electronic apparatus | |
US20170112240A1 (en) | Necklace for holding smart device | |
KR20210075905A (ko) | 휴대용 전자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홀딩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 |
US11278107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a gripping device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 |
JP2009086513A (ja) | デジタルカメラ機又はデジタルカメラ機能付き携帯電話機用の付属機器連結機構 | |
KR102220291B1 (ko) | 좌우이동이 가능한 스마트폰용 액세서리 파지장치 | |
US20170359641A1 (en) | Portable Compact Bluetooth Speaker | |
KR101280783B1 (ko) |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 |
US10904372B2 (en) | Phone storage and access system | |
KR102012622B1 (ko) | 오토바이용 휴대 단말기 거치대 | |
JP3186332U (ja) | 携帯機器用把持具 | |
KR100830079B1 (ko) |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 | |
US20190274416A1 (en) | Audio Cable Holder | |
KR20160125056A (ko) | 모바일기기 파지용 액세서리 | |
JP2015011694A (ja) | 携帯用電子機器用保持具 | |
KR20120003972U (ko) | 휴대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 |
WO2004039204A1 (en) | Device for carrying a portable object at a wrist | |
US20210289927A1 (en) | Phone holder | |
US12063061B1 (en) | Mobile phone accessory capable of freely gripping and mounting mobile phone using magnetic band | |
CN211959283U (zh) | 移动通讯装置的配件固定架 | |
CN220570559U (zh) | 多功能围边附件 | |
KR200480175Y1 (ko) |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